KR20100087894A - 조리판 - Google Patents

조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894A
KR20100087894A KR1020090006945A KR20090006945A KR20100087894A KR 20100087894 A KR20100087894 A KR 20100087894A KR 1020090006945 A KR1020090006945 A KR 1020090006945A KR 20090006945 A KR20090006945 A KR 20090006945A KR 20100087894 A KR20100087894 A KR 20100087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oking
cooking plate
central portion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훈
조남용
Original Assignee
이진훈
조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훈, 조남용 filed Critical 이진훈
Priority to KR102009000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7894A/ko
Publication of KR2010008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가열수단에 의해 열을 받는 플레이트형의 가열판부와; 가열판부의 테두리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가열판부는 가열수단으로부터 열을 집중적으로 받는 중앙부분과, 중앙부분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분의 주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주변부분으로 구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이 개시된다.
조리판, 가열, 온도, 닭갈비

Description

조리판{A COOKING TOOL OF PALTE TYPE}
본 발명은 조리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닭갈비와 같이 육류와 양념 등이 혼합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갈비, 소갈비, 등심, 삼겹살과 같은 각종 고기를 굽는 요리에 사용되는 고기조리판은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기조리판 중에서 금속판재로 제작된 고기조리판(구이판)은 대부분 두께가 1.5∼2mm 정도의 얇은 두께이어서 고기가 쉽게 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이고, 화력을 세게 할 경우에는 고기의 내부는 익지 않으면서 겉만 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석재로 제작된 고기조리판의 경우에는 석재로 된 조리구이판이 은근히 가열되어 급하게 타면서 익게 되는 금속판재로 제작된 고기조리판보다는 고기가 쉽게 타지 않는 이점이 있으나, 무게가 무겁고, 충격에 약해서 쉽게 파손되며, 중량이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재로 제작된 고기조리판은 예를 들어 닭갈비와 같이 고기와 함께 야채 및 많은 양념이 혼합된 음식을 조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닭갈비와 같은 요리를 하는 조리판의 경우에는, 일반 프라이팬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각종 야채, 양념을 닭갈비와 함께 섞어서 조리하게 되는데, 종래의 닭갈비용 조리판의 경우에도 그 두께가 두껍고 전체면이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부분에는 과열이 되어서 양념 및 각종 야채와 섞인 닭갈비가 눌러붙거나 타게 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주변 가장자리에서는 조리가 되지 않거나 늦게 조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식당에서는 주인이나 종업원 또는 손님이 직접 음식을 조리판의 중앙에 모아 놓고, 수시로 섞어주어 가면서 익혀야 하므로, 많은 일손이 필요하며, 손님에게도 매우 번거롭게 되어 편안한 상태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리판이 쉽게 가열되어 중앙부분의 음식이 타거나 눌러붙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조리판을 전체적으로 두껍게 제작할 경우에는, 재료비가 증가하여 제품비용이 증가하며, 또한 무게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운반, 사용 및 관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화력을 받는 가열판 부분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열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된 조리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판은, 가열수단에 의해 열을 받는 플레이트형의 가열판부와; 상기 가열판부의 테두리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판부는 상기 가열수단으로부터 열을 집중적으로 받는 중앙부분과, 상기 중앙부분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분의 주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주변부분으로 구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부분은 상기 주변부분에 비하여 1.2배 내지 1.7배 두껍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변부분은 상기 중앙부분에 비하여 1.5 내지 1.7배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중앙부분은 5mm 내지 10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부분은 4mm 내지 6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분과 주변부분은 상면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하면이 단차지게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중앙부분의 반경은 100mm 내지 125mm이고, 상기 주변부분의 반경은 200mm 내지 250mm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가열판부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외측으로 두껍게 확장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3mm 내지 4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8mm 내지 10mm의 상하두께 및 8mm 내지 10mm의 좌우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열판부와 상기 측벽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철을 재료로 하여 주물 제작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리판에 따르면, 가열수단으로부터 열을 받는 가열판부를 중앙부분과 주변부분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시킴으로써, 가열판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열이 전달되어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닭갈비 요리와 같이 다양한 재료를 섞은 상태로 익혀서 요리하는 음식의 경우, 조리판의 중앙부분으로 열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료가 눌러 붙거나 부분적으로 타는 것을 방지하여 쉽고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의 편중을 방지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 비하여 가열판부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절감을 통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경량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운반 및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리판의 측벽부 상부에 플랜지부를 더 두껍게 확장 형성시킴으로써, 조리판을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조리판들끼리 충돌하는 경우 등과 같이 충격을 받더라도 철로 주물제작된 조리판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여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은, 플레이트형의 가열판부(10)와, 상기 가열판부(10)의 테두리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된 측벽부(20) 및 상기 측벽부(20)에 형성된 손잡이(30)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판부(10)는 대략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주철금속으로 상기 측벽부(20)와 일체형으로 주물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가열판부(10)는 하부에서 화력을 받아 상부면에 놓이는 음식을 익히기 위한 부분으로서, 중앙부분(11)과, 주변부분(12)으로 구분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중앙부분(11)은 버너 등의 가열수단(40)으로부터 화력을 집중적으로 받는 부분으로서, 주변부분(1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상기 중앙부분(11)은 도 3과 같이 그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주변부분(12)과는 그 하단면에는 단차지도록 하부로 더 두껍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주변부분(12)은 중앙부분(11)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에 형성된 평판 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11)과는 일체로 형성된다. 중앙부분(11)과 주변부분(12) 각각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 높이로 형성되고, 하면은 서로 다른 단차진 높이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중앙부분(11)은 주변부분(12)에 비하여 대략 1.2배 내지 1.7배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중앙부분(11)은 5mm 내지 10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주변부분(12)은 4mm 내지 6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열부(10)를 중앙부분(11) 및 주변부분(12)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시키게 되면, 가열부(10)의 전체적인 두께를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량으로 조리판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재료비의 절감으로 인하여 생산비를 줄일 수 있고, 경량이므로 운반이 용이하며, 식당에서의 유지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조리판의 경우 음식물이 눌러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10mm 이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원 발명의 경우에는 10mm 이하의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며,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단차진 구성에 의해서 편향적으로 가열되어 음식이 부분적으로 눌러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변부분(12)의 반경(r2)은 중앙부분(11)의 반경(r1)에 비하여 대략 1.5배 내지 1.7배의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중앙부분의 반경(r1)은 100mm 내지 125mm의 크기로 형성되고, 주변부분(12)의 반경(r2)은 200mm 내지 230mm 정도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앙부분(11)을 주변부분(12)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시키게 되면, 가열수단(40)의 열을 중앙부분(11)에서 집중적으로 받더라도 주변부분(12)보다 두껍기 때문에, 그만큼 천천히 가열되고, 주변부분(12)은 가열수단(4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관계로 낮은 온도로 가열되나, 얇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중앙부분(11)보다는 빨리 가열된다. 따라서 결국에는 중앙부분(11)과 주변부분(12)이 거의 동일한 속도로 가열됨으로써, 가열판부(10) 상에 놓인 조리 대상물을 골고루 균일하게 익힐 수 있게 됨으로써, 중앙부분의 음식이 눌러 붙거나, 먼저 익거나 또는 타는 것 을 방지하고, 주변의 음식이 늦게 익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요리를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닭갈비 요리와 같이, 닭고기, 야채 및 많은 종류의 양념이 함께 섞인 음식을 요리할 경우에는, 가열판부(10) 전체가 골고루 가열되므로, 음식을 가열판부(10) 위에 넓게 펼쳐놓은 상태로 균일하게 익힐 수 있으므로, 식당 종사자나, 손님이 수시로 음식을 섞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어 편리하게 요리를 해먹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벽부(20)는 가열판부(10)의 테두리에서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측벽부(20)는 링타입으로 가열판부(10)의 테두리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측벽부(20)의 두께는 대략 3mm 내지 4m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측벽부(20)의 상단에는 그 두께가 두꺼우며,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21)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21)의 상하 두께(t1)는 대략 8mm 내지 10mm인 것이 좋고, 그 좌우 폭(w1)은 대략 5mm 내지 6mm인 것이 좋다. 그리고 측벽부(20)의 전체 높이(h1)는 40mm 내지 50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닭갈비 요리 등과 같이 많은 양의 재료가 밖으로 넘치지 않도록 수용한 상태로 조리하는데 적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벽부(20)의 상부에 플랜지부(21)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측벽부(20)가 충격 등에 의해서 깨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조리판을 오랜시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원 발명의 조리판을 주물에 의해 무쇠로 형성시킬 경우, 충격 등에 의해 조리판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나, 측벽부(20)의 상단 전체에 플랜지부(21)를 측벽부(20)보다 두껍게 형성시킴으로써, 조리판의 깨짐, 크랙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0)는 플랜지부(2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조리판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 손잡이(30)는 조리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는 조리판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조리판 제조
전체 지름이 436mm인 조리판을 중앙부분의 지름이 230mm되도록 하고, 중앙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주변부분으로 제작하였으며, 이때, 중앙부분의 두께를 7mm, 주변부분의 두께를 6mm로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조리판 제조
전체 지름이 436mm인 조리판을 전체 두께가 7mm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조리판 제조
전체 지름이 436mm인 조리판을 전체 두께가 6mm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리판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조리판의 비교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조리판을 이용하여 닭갈비 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조리판에 닭갈비를 20분 동안 그대로 두어 익힌 후, 조리된 닭갈비의 탄 정도 및 조리된 닭갈비의 균일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훈련된 10명의 관능요원이 1회에 3가지 시료를 평가하게 하였고, 1에서 5까지로 분류한 등급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5에 가까울수록 탄 정도가 심하고 1에 가까울수록 타지 않는 것을 나타냈으며, 5에 가까울수록 조리된 닭갈비의 상태가 균일하고, 1에 가까울수록 불균일한 상태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탄 정도 0 0 4.4
닭갈비의 균일성 4.7 1.4 1.2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조리판을 비교한 결과(표 1), 실시예 1의 조리판은 닭갈비가 전혀 타지 않았고, 조리판의 중앙부분 및 주변부분에 있는 닭갈비가 균일하게 익었으나, 비교예 1의 조리판은 닭갈비가 타지는 않았으나, 조리판의 중앙부분만 과열되어 중앙부분에 놓여진 닭갈비만 익었을 뿐 주변부분에 놓여진 닭갈비는 익지 않은 상태였다. 비교예 2의 조리판은 조리된 닭갈비의 탄 정도가 매우 심하였고, 조리판의 중앙부분만 과열되어 중앙부분에 놓여진 닭갈비의 재료가 조리판에 눌러붙은 상태였으며, 조리된 닭갈비의 상태도 불균일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리판에서 음식의 재료들이 타지 않으면서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판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가열판부 11..중앙부분
12..주변부분 20..측벽부
21..플랜지부 30,30'..손잡이

Claims (8)

  1. 가열수단에 의해 열을 받는 플레이트형의 가열판부와;
    상기 가열판부의 테두리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판부는 상기 가열수단으로부터 열을 집중적으로 받는 중앙부분과, 상기 중앙부분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분의 주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주변부분으로 구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은 상기 주변부분에 비하여 1.2배 내지 1.7배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분은 상기 중앙부분에 비하여 1.5 내지 1.7배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은 5mm 내지 10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부분은 4mm 내지 6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분과 주변부분은 상면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하면은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의 반경은 100mm 내지 125mm이고, 상기 주변부분의 반경은 200mm 내지 25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가열판부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외측으로 두껍게 확장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3mm 내지 4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8mm 내지 10mm의 상하두께 및 8mm 내지 10mm의 좌우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부와 상기 측벽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철을 재료로 하여 주물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판.
KR1020090006945A 2009-01-29 2009-01-29 조리판 KR20100087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945A KR20100087894A (ko) 2009-01-29 2009-01-29 조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945A KR20100087894A (ko) 2009-01-29 2009-01-29 조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894A true KR20100087894A (ko) 2010-08-06

Family

ID=4275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945A KR20100087894A (ko) 2009-01-29 2009-01-29 조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78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575A (ko) * 2020-11-25 2022-06-02 남경호 도마, 뚜껑 겸용 인덕션 불판
CN115919130A (zh) * 2022-07-13 2023-04-07 江门市浩盈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不粘锅火力均衡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575A (ko) * 2020-11-25 2022-06-02 남경호 도마, 뚜껑 겸용 인덕션 불판
CN115919130A (zh) * 2022-07-13 2023-04-07 江门市浩盈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不粘锅火力均衡系统
CN115919130B (zh) * 2022-07-13 2023-09-08 江门市浩盈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不粘锅火力均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1245B2 (en) Automatic broiler with air flow restriction plate
KR101490601B1 (ko)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KR20100087894A (ko) 조리판
US10213045B2 (en) Cooking vessel
US20080295703A1 (en) Thermo-moderating grill for a baking stone of a barbecue
KR102177414B1 (ko) 구이용 불판
KR20170126189A (ko)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
JP2016104108A (ja)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KR101598457B1 (ko)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WO2009094879A1 (fr) Plateau de cuisson pour four à micro-ondes présentant une base à rayonnement de chaleur
KR100817530B1 (ko) 기름배출구조를 갖는 돌 구이판
KR200305099Y1 (ko) 고기 구이판
KR200266752Y1 (ko) 뚜껑이 분리되는 솥뚜껑형 구이판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KR200314595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100696862B1 (ko) 구이기
US4280044A (en) Heat absorbing and radiating device for electric stoves
JPH0232192Y2 (ko)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JP3200803U (ja) 調理器具
KR200305101Y1 (ko) 양면 요리판
KR200199932Y1 (ko) 세라믹 저면판이 설치된 음식물 조리용기
JPH11342082A (ja) 電磁調理器用焼器の皿
JP2819088B2 (ja) 石焼料理用加熱器
KR20070009245A (ko)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