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245A -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 Google Patents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245A
KR20070009245A KR1020050064366A KR20050064366A KR20070009245A KR 20070009245 A KR20070009245 A KR 20070009245A KR 1020050064366 A KR1020050064366 A KR 1020050064366A KR 20050064366 A KR20050064366 A KR 20050064366A KR 20070009245 A KR20070009245 A KR 2007000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oduct
stone
multiplying
s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범순자
Original Assignee
범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순자 filed Critical 범순자
Priority to KR102005006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9245A/ko
Publication of KR2007000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94Warming devices using heat storage elements or materials, e.g. lava 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비, 후라이팬, 솥 등의 용기의 바닥 저면의 바깥면에 천연석의 곱돌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용기의 저면에 버어너 등의 열전도가 간접적인 가열에 의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이 익혀지도록 함으로서, 용기의 바닥이 내용물이 눌러 붙는다던가 또는 내용물이 타는 일이 없도록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용기내의 내용물의 가열이 끝난 후에도 용기 저면의 곱돌이 열보존도가 뛰어나 바로 용기내의 열이 식지 않고 유지할 수 있으며, 용기 바닥의 바깥에 곱돌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함에 따라서, 특히 용기 바닥에 곱돌의 장착에 따르는 제작 공정이 까다롭지 않아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남비, 후라이팬, 솥 등의 용기에 천연석의 곱돌이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용기바닥(11)의 바깥면에 곱돌장착면(20)이 형성되고, 이 곱돌장착면(20)에 곱돌(100)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곱돌(100)이 일체로 성형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의 플랜지(30)에 곱돌(100)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장착되는 곱돌(100)이 상기 용기바닥(11)에 나사(41)에 의하여 고정되는 링고정체(40)에 유지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장착되는 곱돌(100)이 상기 용기(10)의 둘레면(12)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체(50)에 의하여 유지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Structure of kitchen receptacle with figure store}
도 1a,b 는 본 발명의 곱돌이 플랜지에 의하여 결합된 용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b 는 본 발명의 곱돌이 링고정체에 의하여 결합된 용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a,b 는 본 발명의 곱돌이 커버체에 의하여 결합된 용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b 는 본 발명의 곱돌이 플랜지에 의하여 결합된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b 는 본 발명의 곱돌이 링고정체에 의하여 결합된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1 : 용기바닥
12 : 둘레면 20 : 곱돌장착면
30 : 플랜지 40 : 링고정체
41 : 나사 50 : 커버체
51 : 요철 100 : 곱돌
본 발명은 남비, 후라이팬, 솥 등의 용기에 천연석의 곱돌이 형성되는 곱돌이 결합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남비, 후라이팬, 솥 등의 용기의 바닥 저면의 바깥면에 천연석의 곱돌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용기의 저면에 버어너 등의 열전도가 간접적인 가열에 의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이 익혀지도록 함으로서, 용기의 바닥이 내용물이 눌러 붙는다던가 또는 내용물이 타는 일이 없도록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용기내의 내용물의 가열이 끝난 후에도 용기 저면의 곱돌이 열보존도가 뛰어나 바로 용기내의 열이 식지 않고 유지할 수 있으며, 용기 바닥의 바깥에 곱돌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함에 따라서, 특히 용기 바닥에 곱돌의 장착에 따르는 제작 공정이 까다롭지 않아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삶거나 익혀서 먹는 용도로는 대표적으로 남비 또는 솥 등의 금속제 용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구이용 후라이팬이나 남비 및 솥 등은 숯 또는 가스버너의 연소기구에 의하여 가열되어 피가공물을 굽거나 익히게 한다. 즉 구이용 후라이팬이나 남비 및 솥 등은 피가공물을 굽거나 익히는 기능으로서만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생활의 질이 높아지면서 피가공물을 굽거나 익히는 기능에 부가하여 맛이 좋고 또한 몸에 좋은 음식물을 섭취의 요구에 따라서 기능성 후라이팬이나 남비 및 솥 등이 요구되고 있고, 그 예로서는 곱돌이 이용되고 있으며, 곱돌 후라이팬, 곱돌남비 및 곱돌솥 등이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곱돌 후라이팬, 곱돌남비 및 곱돌솥은 곱돌을 가공하여 후라이팬 또는 용기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나 곱돌이 급속한 열을 받는 경우에 깨지는 결점이 있으며, 이 곱돌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가공된 곱돌후라이팬 및 용기에 금속주조물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함으로서, 주조 금속체가 곱돌을 성형유지하도록 하여 가열에 의하여 곱돌이 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천연의 곱돌은 가열되면 원적원선 등이 방출로 용기내의 내용물의 맛을 더 좋케한다 하여 남비, 후라이팬, 솥 등의 용기 내면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용기내에 곱돌을 장착하는 것은 금속의 용기에 곱돌이 일체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일련의 성형 공정과 가공공정 등을 거쳐야 하는 관계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생산원가의 증대로 판매가가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곱돌이 열보존성이 뛰어나고 용기내의 내용물을 간접열을 가하여지도록 하는 장점을 용기에 결합하되, 복잡한 생산공정을 거치지 않고 저렴한 가격으로 곱돌용기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와 요구를 해소하기 위하여, 남비, 후라이팬, 솥 등의 용기바닥에 곱돌을 형성하되, 용기바닥의 저면 바깥면에 곱돌이 장착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바닥의 저면 바깥면에 곱돌을 형성하되, 곱돌이 용기의 저면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성형시에 용기바닥에 곱돌이 장착되도록 하여 용기바닥의 바깥쪽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바닥에 고정리브 또는 플랜지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바닥의 저면 바깥에 곱돌을 장착하며, 곱돌이 링고정체에 유지될 수 있도록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바닥의 저면 바깥에 곱돌을 장착하며, 곱돌이 커버체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커버체가 용기의 바깥둘레면에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남비, 후라이팬, 솥 등의 용기에 천연석의 곱돌이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용기바닥의 바깥면에 곱돌장착면이 형성되고, 이 곱돌장착면에 곱돌이 일체로 장착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바닥의 곱돌장착면에 곱돌이 일체로 성형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용기바닥의 곱돌장착면의 플랜지에 곱돌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바닥의 곱돌장착면에 장착되는 곱돌이 상기 용기바닥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는 링고정체에 유지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용기바닥의 곱돌장착면에 장착되는 곱돌이 상기 용기의 둘레면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체에 의하여 유지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b 는 본 발명의 곱돌이 플랜지에 의하여 결합된 용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또한 도 2a,b 는 본 발명의 곱돌이 링고정체에 의하여 결합된 용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또한 도 3a,b 는 본 발명의 곱돌이 커버체에 의하여 결합된 용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또한 도 4a,b 는 본 발명의 곱돌이 플랜지에 의하여 결합된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또한 도 5a,b 는 본 발명의 곱돌이 링고정체에 의하여 결합된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a,b 내지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남비, 후라이팬 및 솥 등의 용기(10)에 천연석의 곱돌이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상기 용기(10)의 용기바닥(11)의 바깥면에 곱돌장착면(20)이 형성되고, 이 곱돌장착면(20)에 곱돌(100)이 결합되어 일체로 장착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의 성형시에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곱돌(100)이 장착되도록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곱돌(100)은 용기(10)의 용기바닥(11)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칫수가 다르다.
이때,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장착되는 곱돌(100)은 도 1a,b 및 도 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30)에 의하여 그의 바깥둘레면들이 유지 고정되게 된다. 상기 플랜지(30)는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으로부터 곱돌(100)이 빠져나오지 않는 칫수로 하여야 한다.
상기 플랜지(30)의 형성은, 용기(10)의 성형시에 곱돌(100)을 주형틀에 올려놓고 용기(10)의 성형시에 용기바닥(11)의 바깥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주형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10)저면에 곱돌(100)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재질이 스텐레스 또는 알미늄의 경우에는 용기(10)의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빠우 또는 시보리 등에 의하여 플랜지(30)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 플랜지(30)에 곱돌(100)의 둘레면이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중요한 것은 용기(10)의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서 곱돌(100)이 장착되어 용기(10)로부터 곱돌(100)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a,b 및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장착되는 곱돌(100)의 고정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11)에 나사(41)에 의하여 고정되는 링고정체(40)에 유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고정체(40)의 사방에 탭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용기바닥(11)에도 탭구멍을 형성하여 나사(41)를 조임으로서 링고정체(40)가 곱돌(100)의 둘레면을 유지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도 3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장착되는 곱돌(100)이 상기 용기(10)의 둘레면(12)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체(50)에 의하여 유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체(50)의 안쪽과 용기(10)의 둘레면에 요철(51)을 형성하여 억지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언급되고 있는 고정수단은 용기(10)의 용기바닥(11)에 곱돌(100)이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들이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곱돌(100)이 용기바닥(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10)의 용기바닥(11)의 바깥쪽에서 곱돌(100)을 장착하기 때문에, 용기(10)의 안쪽에 곱돌을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생산공정이 쉽고 또한 곱돌의 결합에 있어서도 고도의 정밀을 요하지 않아 생산성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바닥(11)에 곱돌(100)의 형성으로, 용기의 바닥이 내용물이 눌러 붙는다던가 또는 내용물이 타는 일이 없도록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용기내의 내용물의 가열이 끝난 후에도 용기 저면의 곱돌이 열보존도가 뛰어나 바로 용기내의 열이 식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용기의 빠른 열전도에 의하여 내용물이 눌러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상기 결점의 보완하기 의하여 금속용기의 바닥을 두껍게 형성함에 따르는 원가의 증가 등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남비, 후라이팬, 솥 등의 용기의 바닥 저면의 바깥면에 천연석의 곱돌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용기의 저면에 버어너 등의 열전도가 간접적인 가열에 의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이 익혀지도록 함으로서, 용기의 바닥이 내용물이 눌러 붙는다던가 또는 내용물이 타는 일이 없도록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용기내의 내용물의 가열이 끝난 후에도 용기 저면의 곱돌이 열보존도가 뛰어나 바로 용기내의 열이 식지 않고 유지할 수 있으며, 용기 바닥의 바깥에 곱돌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함에 따라서, 특히 용기 바닥에 곱돌의 장착에 따르는 제작 공정이 까다롭지 않아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남비, 후라이팬, 솥 등의 용기에 천연석의 곱돌이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용기바닥(11)의 바깥면에 곱돌장착면(20)이 형성되고, 이 곱돌장착면(20)에 곱돌(100)이 일체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곱돌(100)이 일체로 성형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의 플랜지(30)에 곱돌(100)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장착되는 곱돌(100)이 상기 용기바닥(11)에 나사(41)에 의하여 고정되는 링고정체(40)에 유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11)의 곱돌장착면(20)에 장착되는 곱돌(100)이 상기 용기(10)의 둘레면(12)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체(50)에 의하여 유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KR1020050064366A 2005-07-15 2005-07-15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KR20070009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66A KR20070009245A (ko) 2005-07-15 2005-07-15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66A KR20070009245A (ko) 2005-07-15 2005-07-15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245A true KR20070009245A (ko) 2007-01-18

Family

ID=3801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366A KR20070009245A (ko) 2005-07-15 2005-07-15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92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30B1 (ko) * 2007-03-30 2008-08-05 홍혜정 음식점용 조리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30B1 (ko) * 2007-03-30 2008-08-05 홍혜정 음식점용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96157A1 (en) Methods and systems to sectional cooking and storage solutions
KR101945253B1 (ko) 솥뚜껑 겸용 고기불판
US20220192409A1 (en) Cookware assembly
EP0022830A4 (en) INSULATED BOWL AND LID FOR MICROWAVE COOKING.
JP6192257B2 (ja) Ih用調理用プレート
KR20070009245A (ko) 곱돌이 결합된 용기바닥의 구조
KR200394849Y1 (ko) 구획벽을 구비한 냄비
CN102415822A (zh) 两用厨具盖
KR101314082B1 (ko) 가스버너용 조리기
KR102097014B1 (ko) 열변형 저감형 바닥을 갖는 주방용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3160440U (ja) 電磁調理器用土鍋
TW201703700A (zh) 烹飪器具
KR200422603Y1 (ko) 인덕션 렌지 겸용 주방용기
KR200448036Y1 (ko) 조리기구용 덮개
KR100499251B1 (ko) 조리용기
KR101406492B1 (ko) 조리용기
KR200266752Y1 (ko) 뚜껑이 분리되는 솥뚜껑형 구이판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CN217274312U (zh) 一种适用于铁锅炖的电磁加热灶具
KR20100087894A (ko) 조리판
JP2006068215A (ja) 電磁焼き調理具
JP3236563U (ja) 生卵調理容器
KR200197460Y1 (ko) 남비
JP3200803U (ja) 調理器具
KR200407308Y1 (ko) 음식물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