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882A - 구내 세정용 장치 - Google Patents

구내 세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882A
KR20170125882A KR1020177027249A KR20177027249A KR20170125882A KR 20170125882 A KR20170125882 A KR 20170125882A KR 1020177027249 A KR1020177027249 A KR 1020177027249A KR 20177027249 A KR20177027249 A KR 20177027249A KR 20170125882 A KR20170125882 A KR 20170125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leaning mechanism
support
support portio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999B1 (ko
Inventor
잇페이 다이사쿠
Original Assignee
다이사쿠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사쿠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사쿠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81Vibrating brush body, e.g. by using eccentric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tong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칫솔, 혀 브러시, 치간 브러시 등의 구내 세정 기구를 진동시킬 수 있는 구내 세정용 장치를 제공한다.
구내 세정용 장치는, 구내 세정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부(20)와, 지지부(20)에 대하여 근접 가능 및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지지부(20)에 근접시킴으로써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하는 협지 고정부(5)와, 지지부(20) 또는 협지 고정부(5)를 진동시킴으로써,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된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30, 31)를 가진다.

Description

구내 세정용 장치
본 발명은, 칫솔, 혀 브러시, 치간 브러시 등의 구내 세정을 행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칫솔부를 진동시킴으로써 이빨을 닦기 위한 전동 칫솔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전동 칫솔을 이용함으로써 수동에 의해 이빨을 닦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빨을 깨끗하게 닦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전동 칫솔의 칫솔 부분은 소모품인 점에서, 어느 정도 이용한 경우에는 칫솔 부분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139844호 공보
그러나, 칫솔 부분에 대해서는 메이커측이 지정한 것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실상이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칫솔 부분의 가격이 높은 것이 많아, 저렴하게 입수하는 것은 곤란한 상황이었다.
또한, 전동 칫솔에서는 칫솔 부분을 진동시키는 것은 시도되고 있지만, 칫솔 이외의 혀 브러시, 치간 브러시 등의 구내 세정 기구에 대해서는 진동시킨다는 개념 자체가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칫솔, 혀 브러시, 치간 브러시 등의 구내 세정 기구를 진동시킬 수 있는 구내 세정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는,
구내 세정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근접 가능 및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협지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협지 고정부를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된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는,
하방 위치에서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보조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협지 고정부가, 상기 보조 고정부보다도 상방 위치에서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부는, 상기 구내 세정 기구의 하단을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본체에 포함되고,
구내 세정용 장치가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된 회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협지 고정부가,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에 근접하고,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회전부 내로의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 1 밀폐부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폐부는 방수 링을 가지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된 오목부에 상기 방수 링이 끼워 넣어져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와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회전부 내로의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밀폐부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 가능한 회전 본체부와, 상기 회전 본체부의 정면에 부착된 부착 시일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 시일부는 제 2 밀폐부에 포함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는,
상기 협지 고정부로 고정된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상기 지지부의 하방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까지의 높이 영역에서 덮는 케이싱을 더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본체에 포함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떼어내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내 세정 기구는 칫솔, 혀 브러시 또는 치간 브러시라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에 협지 고정부를 근접시킴으로써 구내 세정 기구를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하고, 그 상태에서 지지부 또는 협지 고정부를 진동시킴으로써,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된 구내 세정 기구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칫솔, 혀 브러시, 치간 브러시 등의 구내 세정 기구를 구내 세정용 장치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구내 세정 기구를 진동시킬 수 있고, 높은 세정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칫솔에 대해서 서술하면, 자신의 취향에 맞는 칫솔을 소위 전동 칫솔로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저렴한 칫솔을 이용함으로써, 낮은 러닝 비용으로 전동 칫솔과 동일한 정도의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를 조립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제 1 밀폐부와 와이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당해 구내 세정용 장치의 측면도이고 일부에 대해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이며, 도 3(c)는 당해 구내 세정용 장치의 배면(背面)도이며, 도 3(d)는 당해 구내 세정용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의 측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의 버튼 부근을 확대한 배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직선 B-B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직선 C-C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버튼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버튼 테두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의 가압부가 지지부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b)는 당해 가압부가 지지부에 대하여 근접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a)(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구내 세정용 장치에 구내 세정 기구의 일 예인 칫솔을 장착했을 때의 도면이며, 도 8(c)는, 구내 세정 기구의 일 예인 치간 브러시를 장착했을 때의 도면이다.
《구성》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구내 세정용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내 세정용 장치는, 칫솔, 혀 브러시, 치간 브러시 등의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를 가지고 있다. 구내 세정용 장치는, 지지부(20)에 대하여 근접 가능 및 이격 가능한 협지 고정부(5)를 가지고 있다. 협지 고정부(5)(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가압부(10))를 지지부(20)에 근접시킴으로써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지지부(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20)는 본체(1)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체(1) 중 후술하는 케이싱(13)측의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내 세정용 장치는, 지지부(20) 또는 협지 고정부(5)를 진동시킴으로써,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된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30, 31)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진동부(30, 3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 내에 설치된 모터 등의 구동부(30)와, 동일하게 본체(1) 내에 설치되고, 구동부(30)의 선단에 편심하여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3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부(30)가 밸런스 웨이트(31)를 회전시킴으로써 본체(1)가 진동하고, 그 결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된 구내 세정 기구(100)가 진동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태양은 일 예이며, 협지 고정부(5)에 진동부가 설치되고, 협지 고정부(5)가 진동함으로써,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된 구내 세정 기구(100)가 진동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진동부(30, 31)에 의해 지지부(20) 및 협지 고정부(5)가 진동되게 된다.
도 3(b)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내 세정용 장치는, 하방 위치에서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하는 보조 고정부(15)를 가지고 있다. 이 보조 고정부(15)는, 구내 세정 기구(100)의 하단을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보조 고정부(15)는, 지지부(20)의 하단에 장착되는 하방 장착부(16)에 포함되어 있다(도 1(a) 참조). 이 하방 장착부(16)는 본체(1)에 대하여 떼어내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보조 고정부(15)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위치)는 케이싱(13)의 하단 근방에 위치할 필요는 없고, 보다 상방(예를 들면 케이싱(13)의 하단으로부터 케이싱(13)의 전체 길이 30% 이내의 거리)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보조 고정부(15)의 높이 위치는 조정할 수 있도록 되도 된다. 이와 같이 보조 고정부(15)의 높이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여러 가지 길이로 이루어지는 구내 세정 기구(100)의 하단이나 하방부를 보조 고정부(15)로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협지 고정부(5)는, 보조 고정부(15)보다도 상방 위치에서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측면에는 회전부(40)가 설치되어 있다. 협지 고정부(5)는, 회전부(40)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부(20)에 근접하고,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부(10)와, 가압부(10) 및 회전부(40)에 연결되어, 와이어(50)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기구를 갖고 있다(도 1(a) 참조). 이 연결 기구가 회전부(40)로 회전됨으로써, 가압부(10)가 지지부(20)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하도록 되어 있다(도 7(a)(b) 참조). 도 1에 나타내는 태양에서는, 연결 기구가 와이어(50)로 이루어져 있다. 이 와이어(50)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 와이어 스토퍼(5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10)에는, 이 와이어 스토퍼(51)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1)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40)와 지지부(20)의 사이에는, 지지부(20)측으로부터 회전부(40) 내로의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 1 밀폐부(6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 1 밀폐부(61)는 방수 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1)에 설치된 오목부(2)에 제 1 밀폐부(61)가 끼워 넣어진다. 제 1 밀폐부(61)의 내주측에는, 후술하는 릴(63) 등이 배치되게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밀폐부(61)를 구성하는 방수 링에는 한 쌍의 컷아웃(61a)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컷아웃(61a) 내에 와이어(50)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부(40)는, 전술한 제 1 밀폐부(61)와, 래칫 내(內) 톱니(62)와, 래칫 내 톱니(62)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릴(63)과, 릴(63)의 정면측(본체(1)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구동반(64)과, 구동반(64)의 외주측에 설치되는 O링(65)과, O링(65)을 수납하기 위한 홈이 내주면에 설치된 회전 본체부인 다이얼(41)과, 다이얼(41)의 정면(도 4의 우측의 면: 본체(1)의 배면측의 면)에 붙여지는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수 양면 시일(66)과, 방수 양면 시일(66)의 상방으로부터 붙여지는 방수 시일(67)을 가지고 있다. 이 중, O링(65), 방수 양면 시일(66) 및 방수 시일(67)에 의해, 지지부(20)와 반대측(도 4의 우측)으로부터 회전부(40) 내로의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밀폐부(65-67)가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 예이며, 제 2 밀폐부는, O링(65)만, 또는, 방수 양면 시일(66) 및 방수 시일(67)만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방수 양면 시일(66) 및 방수 시일(67)은 부착 시일부에 포함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반(64)은, 래칫 클로우(64a)와, 래칫 내 톱니(62)와 감합하는 래칫 외(外) 톱니(64b)를 가지고 있다.
다이얼(41)이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구동반(64)이 회전하고, 그 결과, 릴(63)이 회전하고, 와이어(50)가 권취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와이어(50)가 릴(63)로 권취되면, 가압부(10)가 지지부(20)에 근접되게 된다(도 7(a) 참조). 한편, 다이얼(41)이 예를 들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릴(63)로 권취된 와이어(50)가 개방 상태(느슨해진 상태)가 되고, 가압부(10)가 지지부(20)로부터 이격되게 된다(도 7(b) 참조).
도 1(b), 도 3(b)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 고정부(5)로 고정된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의 하방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까지의 높이 영역에서 덮는 케이싱(13)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케이싱(13)은, 지지부(20)의 하단 위치로부터 상단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싱(13)은 본체(1)에 대하여 떼어내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도 1(a) 참조). 구체적으로는, 지지부(20)의 측면에는, 케이싱(13)을 안내하기 위한 홈부(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홈부(21)로 안내됨으로써, 케이싱(13)이 지지부(20)에 장착되게 된다. 케이싱(13)은 하면(13a)을 가지고 있으며, 이 하면(13a)에는 하방 장착부(16)의 하단부에 설치된 돌출부(18)를 삽입하기 위한 컷아웃부(1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방 장착부(16)에도 케이싱(13)을 안내하기 위한 홈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의 배면측에는 온 및 오프를 전환하기 위해서 설치되고, 예를 들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버튼(7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6(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버튼(70)의 지지부(20)측(도 4의 좌측)에는 택트 스위치(71)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택트 스위치(71)에 대향하여 배선 플레이트(79)가 설치되어 있다. 오프 상태에 있을 때에 버튼(70)을 누름으로써 택트 스위치(71)가 내려가고(도 4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택트 스위치(71)가 배선 플레이트(79)에 접촉함으로써, 전지(B)로부터 구동부(30)로 전력이 공급된다. 반대로, 온 상태에 있을 때에 버튼(70)을 누름으로써 택트 스위치(71)가 올라가고(도 4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전지(B)로부터 구동부(30)로 전력이 차단된다. 이러한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버튼(70)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택트 스위치(71)가 내려가, 택트 스위치(71)와 배선 플레이트(79)가 접촉하여 온 상태가 되고, 버튼(70)을 떼면 택트 스위치(71)가 올라가, 택트 스위치(71)와 배선 플레이트(79)가 이격되어 오프 상태가 되어도 된다. 택트 스위치(71)의 주연에는 택트 스위치(71)를 배선 플레이트(79)로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고, 중심부가 개구된 안내부(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부(73)에 의해, 택트 스위치(71)가 배선 플레이트(79)를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튼(70)의 주연에는 버튼 테두리(74)가 설치되어 있다. 도 6(b)(d)(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튼(70)에는, 버튼 테두리(74)의 돌출부(74a)가 삽입되기 위한 컷아웃부(70a)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 테두리(74)의 돌출부(74a)에 버튼(70)의 컷아웃부(70a)가 삽입되어 일체형이 된 후에, 본체(1)에 버튼(70) 및 버튼 테두리(74)가 장착되게 된다.
도 3(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의 하단에는 전지(B)를 넣거나 취출하거나 할 때에 개폐되는 전지 덮개(75)가 요동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지 덮개(75)의 배면측(도 4의 우측)의 면과 본체(1)의 사이에는, O링(76)이 설치되어, 물 등의 액체가 전지(B)를 수납하는 전지 박스(80)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구내 세정용 장치에는 전지 박스(80) 내의 전지(B)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태양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전지 박스(80) 내의 전지(B)가 충전되게 된다.
《효과》
다음으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이며, 아직 서술하지 않은 효과 또는 특히 중요한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지지부(20)에 협지 고정부(5)의 가압부(10)를 근접시킴으로써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하고, 그 상태로 지지부(20) 및 협지 고정부(5)를 진동시킴으로써,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된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이 때문에, 시판되고 있는 칫솔, 혀 브러시, 치간 브러시 등의 구내 세정 기구(100)를 구내 세정용 장치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진동시킬 수 있고, 높은 세정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칫솔에 대해서 서술하면, 자신의 취향에 맞는 칫솔을 소위 전동 칫솔로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저렴한 칫솔을 이용함으로써, 낮은 러닝 비용으로 전동 칫솔과 동일한 정도의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협지 고정부(5)의 가압부(10)가 지지부(20)에 대하여 근접 가능 및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도 7(a)(b) 참조), 가압부(10)를 지지부(20)에 근접시킴으로써 칫솔, 혀 브러시, 치간 브러시 등의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든 크기로 이루어지는 파지부(통상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지점)를 가지는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칫솔, 혀 브러시 및 치간 브러시의 각각에서는 파지부의 굵기가 상이한 경향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굵기가 상이한 칫솔, 혀 브러시 및 치간 브러시의 각각에 대응할 수 있는 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도 8(a)는 파지부의 굵기가 굵은 칫솔을 장착했을 때의 도면이며, 도 8(b)은 파지부의 굵기가 얇은 칫솔을 장착했을 때의 도면이며, 도 8(c)는 치간 브러시를 장착했을 때의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부의 굵기가 상이한 구내 세정 기구(100)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10)를 지지부(20)에 근접시킴으로써 칫솔, 혀 브러시, 치간 브러시 등의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구내 세정 기구(100)와 지지부(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진동부(30, 31)에 의해 효율적으로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b) 및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협지 고정부(5)뿐만아니라 보조 고정부(15)가 설치되어 있으며, 2점 이상의 지점에서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진동부(30, 31)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고정부(15)가 구내 세정 기구(100)의 하단위치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하고, 지지부(20)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협지 고정부(5)가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한다. 이 때문에, 구내 세정 기구(100)를 밸런스 좋게 지지부(2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는, 지지부(20)의 상단으로부터, 지지부(20)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 20% 이내의 거리에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20)의 측면에 설치된 회전부(4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가압부(10)를 지지부(20)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20)의 측면(배면측)에 회전부(40)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지 않는 위치에(정면과 반대측에) 회전부(40)를 위치 부여할 수 있고,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부(40)가 지지부(2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치약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액체가 회전부(40) 내로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회전부(40)의 열화를 방지함과 함께, 회전부(40) 내에서 잡균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1)측으로부터 회전부(40) 내로의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 1 밀폐부(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1)측으로부터 회전부(40) 내로, 치약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액체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회전부(40)의 열화를 방지함과 함께, 회전부(40) 내에서 잡균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밀폐부(61)를 구성하는 방수 링에는 한 쌍의 컷아웃(61a)이 설치되고, 이 컷아웃(61a) 내에 와이어(50)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50)로 이루어지는 연결 기구에 의해 회전부(40)로부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면서 당해 직선 운동을 가압부(10)로 전달하고, 또한, 회전부(40) 내에 액체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부(40)가, 지지부(20)와 반대측으로부터(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1)와 반대측으로부터) 회전부(40) 내로의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밀폐부(65-67)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지지부(20)와 반대측으로부터 회전부(40) 내로, 치약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액체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회전부(40)의 열화를 방지함과 함께, 회전부(40) 내에서 잡균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밀폐부(65-67)가 O링(65), 방수 양면 시일(66) 및 방수 시일(67)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회전부(40)의 정면(본체(1)의 배면측의 면)으로부터의 액체의 인입을 방수 양면 시일(66) 및 방수 시일(67)에 의해 방지할 수 있고, 다이얼(41)의 내주면으로부터의 액체의 인입을 O링(65)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내 세정 기구(100)를, 지지부(20)의 하방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까지의 높이 영역에서 덮는 케이싱(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부(20)측으로부터 회전부(40) 내에 치약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액체가 인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13)이, 지지부(20)의 하단 위치로부터 상단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부(20)측으로부터 회전부(40) 내에 치약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액체가 인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싱(13)은 본체(1)에 대하여 떼어내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싱(13)을 본체(1)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케이싱(13) 및 지지부(20)를 포함하는 본체(1)를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케이싱(13) 및 본체(1)(지지부(20))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고정부(15)를 포함하는 하방 장착부(16)는 본체(1)에 대하여 떼어내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점에서(도 1(a) 참조), 보조 고정부(15)를 포함하는 하방 장착부(16)를 본체(1)로부터 떼어내어 세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방 장착부(16)(특히 보조 고정부(15))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1)의 측면에 케이싱(13)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홈부(21)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방 장착부(16)에도 케이싱(13)을 안내하기 위한 홈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홈부(17) 및 홈부(21)를 따라 케이싱(13)을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케이싱(13)을 본체(1)로부터 떼어내거나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1)와 하방 장착부(16)를 연결한 후에, 케이싱(13)을 본체(1)의 홈부(21)와 하방 장착부(16)의 홈부(17)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케이싱(13)을 본체(1) 및 하방 장착부(16)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케이싱(13)을 본체(1)의 홈부(21)와 하방 장착부(16)의 홈부(17)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케이싱(13)을 본체(1) 및 하방 장착부(16)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싱(13)을 본체(1) 및 하방 장착부(16)에 장착하거나 떼어내거나 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번거롭지 않기 때문에, 본체(1), 케이싱(13) 및 하방 장착부(16)를 분해하여 세정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13)이 하면(13a)을 가지고 있으며, 이 하면(13a)에는 하방 장착부(16)를 삽입하기 위한 컷아웃부(1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1)와 하방 장착부(16)를 연결한 후에, 케이싱(13)을 본체(1) 및 하방 장착부(16)의 하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본체(1) 및 하방 장착부(16)에 장착함으로써, 이들 케이싱(13), 본체(1) 및 하방 장착부(16)를 일체로 할 수 있다. 또한, 컷아웃부(13b)에 하방 장착부(16)의 돌출부(18)가 끼워 넣어져, 그 상방에는 보조 고정부(15)가 돌출부(18)의 상방을 덮도록 하여 설치되는 점에서, 하방 장착부(16)와 케이싱(13)과의 사이로부터 치약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액체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 하방 장착부(16) 및 케이싱(13)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치약을 포함하는 물과 같은 액체 등으로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재 및 도면의 개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재 또는 도면의 개시에 의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 : 협지 고정부
10 : 가압부
13 : 케이싱
15 : 보조 고정부
20 : 지지부
30 : 구동부
31 : 밸런스 웨이트
40 : 회전부
61 : 제 1 밀폐부
65 : O링
66 : 방수 양면 시일
67 : 방수 시일
100 : 구내 세정 기구

Claims (11)

  1. 구내 세정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근접 가능 및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협지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협지 고정부를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된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방 위치에서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보조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협지 고정부는, 상기 보조 고정부보다도 상방 위치에서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부는, 상기 구내 세정 기구의 하단을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본체에 포함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된 회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협지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에 근접하고,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회전부 내로의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 1 밀폐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폐부는 방수 링을 가지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된 오목부에 상기 방수 링이 끼워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와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회전부 내로의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밀폐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 가능한 회전 본체부와, 상기 회전 본체부의 정면에 부착된 부착 시일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 시일부는 제 2 밀폐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고정부로 고정된 상기 구내 세정 기구를, 상기 지지부의 하방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까지의 높이 영역에서 덮는 케이싱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본체에 포함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떼어내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 세정 기구는 칫솔, 혀 브러시 또는 치간 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세정용 장치.
KR1020177027249A 2015-02-27 2015-02-27 구내 세정용 장치 KR102046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01036 WO2016135780A1 (ja) 2015-02-27 2015-02-27 口内洗浄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882A true KR20170125882A (ko) 2017-11-15
KR102046999B1 KR102046999B1 (ko) 2019-11-20

Family

ID=5678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249A KR102046999B1 (ko) 2015-02-27 2015-02-27 구내 세정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64876B2 (ko)
JP (1) JP6272491B2 (ko)
KR (1) KR102046999B1 (ko)
CN (1) CN107427349B (ko)
WO (1) WO2016135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2537B2 (ja) * 2019-12-24 2024-01-26 ライオン株式会社 通信型歯ブラシ用アタッチメン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629U (ja) * 1991-03-15 1992-09-30 物産ジー・アンド・エー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JPH051320U (ja) * 1991-06-27 1993-01-14 サンエツクス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ホルダー
JPH0591922A (ja) * 1991-10-03 1993-04-16 Hirose Electric Co Ltd 電動歯ブラシ装置
JP2011139844A (ja) 2010-01-08 2011-07-21 Omron Healthcare Co Ltd 電動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625B2 (ja) * 1988-05-16 1996-03-2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パトローネ組立装置
JPH02174804A (ja) 1988-12-27 1990-07-06 Hiroshi Fukuba 口腔照明式歯ブラシ装置
JPH04112629A (ja) 1990-08-31 1992-04-14 Nec Home Electron Ltd 充電回路
US5150492A (en) * 1991-02-08 1992-09-29 Suroff Leonard W Ultrasonic toothbrush
JPH0739604B2 (ja) 1991-06-24 1995-05-01 富士電子工業株式会社 高周波無酸化焼入方法および装置
WO2004084674A1 (ja) * 1994-03-24 2004-10-07 Kazuhiko Yukawa 電動歯ブラシ
KR19990082684A (ko) * 1996-12-17 1999-11-25 요트. 게. 아. 롤페즈 상이한 길이의 강모를 갖는 브러시 부재를 구비한 칫솔, 및칫솔에 대해 상이한 길이의 강모를 갖는 브러시 부재
JPH10216159A (ja) 1997-02-10 1998-08-18 Sunstar Inc 歯ブラシの電動化ユニット
GB2352621A (en) * 1999-07-30 2001-02-07 Addway Eng Ltd Electric toothbrush : drive to orbit head
US6920659B2 (en) * 2001-01-12 2005-07-26 Water Pik, Inc. Toothbrush
EP1641409A1 (en) * 2003-06-27 2006-04-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ushhead attachment system for a power toothbrush
US20050066459A1 (en) * 2003-09-09 2005-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es and replaceable components
CN100560149C (zh) * 2003-11-04 2009-11-18 泰尔茂株式会社 连接件
JP4118299B2 (ja) * 2003-12-10 2008-07-16 チャーチ・アンド・ドゥワイト・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電動歯ブラシ
CN2803305Y (zh) * 2004-09-14 2006-08-09 吴旭榕 一种电动牙刷
KR100625801B1 (ko) 2004-10-28 2006-09-20 김남수 범용 칫솔을 장착 가능하게 한 전동 칫솔
CN1830402A (zh) * 2005-03-09 2006-09-13 吴旭榕 一种电动牙刷
US10038314B2 (en) * 2008-08-29 2018-07-31 Yazaki Corporation Wire harness installation structure
JP5753086B2 (ja) * 2008-09-09 2015-07-22 ニューヨーク・ユニバーシティ 頭蓋顔面骨密度を増大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GB0904199D0 (en) * 2009-03-11 2009-04-22 Linde Ag Hand-held teeth treatment device
US8336155B2 (en) * 2009-04-21 2012-12-25 Ranir, Llc Replacement head for electric toothbrush
JP2010275089A (ja) * 2009-05-29 2010-12-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CN104026860B (zh) * 2009-12-23 2017-01-11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系统
WO2012151259A1 (en) * 2011-05-02 2012-11-08 Water Pik, Inc. Mechanically-driven, sonic toothbrush
US8938838B2 (en) * 2011-09-12 2015-01-27 Nikhil Shankarlal Vashi Toothbrush with an imaging device being camera
JP6122839B2 (ja) * 2012-03-23 2017-04-26 ライオン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CN102727321B (zh) * 2012-07-11 2014-11-05 宁波赛嘉电器有限公司 电动牙刷震动结构
US9265338B1 (en) * 2015-08-25 2016-02-23 Harry Cygler Electric toothbru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629U (ja) * 1991-03-15 1992-09-30 物産ジー・アンド・エー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JPH051320U (ja) * 1991-06-27 1993-01-14 サンエツクス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ホルダー
JPH0591922A (ja) * 1991-10-03 1993-04-16 Hirose Electric Co Ltd 電動歯ブラシ装置
JP2011139844A (ja) 2010-01-08 2011-07-21 Omron Healthcare Co Ltd 電動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999B1 (ko) 2019-11-20
US20180103750A1 (en) 2018-04-19
JPWO2016135780A1 (ja) 2017-04-27
CN107427349A (zh) 2017-12-01
CN107427349B (zh) 2020-10-30
WO2016135780A1 (ja) 2016-09-01
US10264876B2 (en) 2019-04-23
JP6272491B2 (ja)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7468B2 (ja) 電動歯ブラシ
WO2012144328A1 (ja) 口腔衛生装置
RU2497482C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JP6122839B2 (ja) 電動歯ブラシ
US20130305466A1 (en) Electric toothbrush
CN111888025A (zh) 电动牙刷
KR20170125882A (ko) 구내 세정용 장치
KR200474190Y1 (ko) 치아 세척 기구 전동장치
JP2006325320A (ja) 携帯機器用充電装置
JP4873095B2 (ja) 電動歯ブラシ
KR20090129843A (ko) 치간솔 저장부가 구비된 치간칫솔
KR20170044492A (ko) 전동 칫솔용 칫솔 헤드
JP2021523806A (ja) 電動ブラシ
KR20100121923A (ko) 전동칫솔
JP4888606B2 (ja) 電動歯ブラシ
JP5059925B2 (ja) 電動歯ブラシ
KR102433087B1 (ko) 칫솔용 진동 손잡이
JP3123331U (ja) 電動入れ歯クリーナー
JP2014140776A (ja) 電動歯ブラシ
JP4873096B2 (ja) 電動歯ブラシ
KR20180099313A (ko) 전동칫솔장치
KR200282835Y1 (ko) 전동칫솔
JP2020171397A (ja) 歯磨き装置
KR200450695Y1 (ko) 치간솔 저장부가 구비된 치간칫솔
JP2021037108A (ja) 電動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