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370A -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및 전자 키 - Google Patents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및 전자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370A
KR20170125370A KR1020177027436A KR20177027436A KR20170125370A KR 20170125370 A KR20170125370 A KR 20170125370A KR 1020177027436 A KR1020177027436 A KR 1020177027436A KR 20177027436 A KR20177027436 A KR 20177027436A KR 20170125370 A KR20170125370 A KR 20170125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using
annular member
end side
inn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693B1 (ko
Inventor
신지 가지우라
히카루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70125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5/00Key-rings
    • A44B15/005Fo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5/00Key-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는,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9)가 끼워 맞추어져 일체화하는 하우징(3)과 환상 부재(5)를 구비한다. 환상 부재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에 일부를 배치해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환상 부재는,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하우징과의 사이에 간극(51)을 형성하는 외부 부재(53)와, 외부 부재에 연결되어서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내부 부재(55)를 구비한다. 제1 케이스는, 내부 부재의 제1 단부를 끼워 넣는 형상을 갖고, 제1 단부측의 제1 케이스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걸림부(89)를 갖는다. 제1 케이스는, 내부 부재의 제1 단부측이 제1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내부 부재의 제1 단부와는 반대측인 제2 단부의, 제1 케이스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걸림부(91)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환상 부재가 비틀림력을 받은 경우에도, 환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와의 끼워 맞춤이 빠지기 어렵다.

Description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및 전자 키
본 출원은, 당해 개시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 2015년 3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073649호를 기초로 하고 있다.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를 차 밖에서 개폐하기 위한 차량용 전자 키에 적용할 수 있는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와, 그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를 갖는 전자 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키 홀더에 있어서, 링이나 끈(스트랩) 등을 장착하는 키 링은, 예를 들어 수지나 고무 등으로 키 홀더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키 링은, 키 홀더가 갑자기 강하게 인장되었을 때 등을 상정한 강도에 모자랄 우려가 있다. 또한, 수지나 고무 등의 마스코트 인형 등의 키 홀더에서는, 키 링으로서, 링을 구비한 나사 등이 나사 삽입되는 구성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마찬가지로 인장 강도는 높지 않을 우려가 있다.
차량용 전자 키(휴대기)는, 통상 키용 무선 통신 장치를 내장하기 위한 하우징(케이스 본체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용기)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에는, 차량용 전자 키가 손에서 떨어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 스트랩 등을 설치하는 구멍이나 링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전자 키에서는, 케이스 본체와 커버가 갈고리부를 갖는 보유 지지 리브의 탄성 변형에 의해, 케이스 본체와 커버와의 착탈이 규제되는 고정 구조(스냅 피트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고정 구조를 차량용 전자 키에 채용함으로써, 내부에 탑재된 전지를 교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 케이스 본체와 커버와의 끼워 맞춤면에 끼워 맞춤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커버를 용이하게 열어서 전지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케이스 본체와 커버 사이에 장식 부품을 조립하는 구조의 차량용 전자 키에 있어서, 장식 부품이 밖에서의 힘에 의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식 부품을 케이스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삽입하는 구조의 차량용 전자 키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기술은, 긴 장식 부품의 고정부를 케이스 본체의 측면(케이스 본체와 커버와의 끼워 맞춤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조립하는 것이며, 측면의 홈에 장식 부품의 고정부를 삽입함으로써, 장식 부품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상술한 기술에서는, 비틀림 강도 등이 향상된다. 그러나 한 쌍의 케이스 사이에 키 링을 배치함과 함께, 하우징 측면으로부터 키 링의 일부를 돌출시키고, 하우징 측면과 키 링 사이에 어느 정도의 공간을 마련한 전자 키 등을 고려한 경우에는, 인장 강도나 비틀림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즉, 케이스 본체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측면으로부터, 키 링의 일부가 호 형상으로 공중으로 돌출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키 링에 대하여 인장되는 방향이나 비트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키 링이 케이스 본체(따라서 하우징)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33658호 공보
본 개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환상 부재의 탈락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는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및 전자 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의한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끼워 맞추어져 일체화하는 하우징과, 환상 부재를 구비한다. 환상 부재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에 일부를 배치해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환상 부재는,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서 하우징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외부 부재와, 외부 부재에 연결되어서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내부 부재를 구비한다. 제1 케이스는, 내부 부재의 제1 단부를 끼워 넣는 형상을 가짐과 함께, 제1 단부측의 제1 케이스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걸림부를 갖는다. 제1 케이스는, 내부 부재의 제1 단부측이 제1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내부 부재의 제1 단부와는 반대측인 제2 단부의, 제1 케이스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환상 부재가 도 10의 화살표 D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 방향의 비틀림력을 받은 경우, 환상 부재의 제1 단부측의 회전은 제1 케이스의 제1 걸림부에 의해 억제되고, 환상 부재의 제1 단부측과 반대측인 제2 단부측의 회전은, 예를 들어 제1 케이스에 의해 억제된다. 이에 의해, 환상 부재의 시계 방향의 회전이 억제된다.
한편, 환상 부재가 도 10의 화살표 D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의 비틀림력을 받은 경우, 환상 부재의 제1 단부측은, 예를 들어 제1 케이스에 의해 받아낼 수 있으므로, 그 회전이 규제되고, 환상 부재의 타단부측 회전은, 제2 걸림부에 의해 억제된다. 이에 의해, 환상 부재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억제된다.
즉,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해, 환상 부재가 비틀림력을 받은 경우에도, 환상 부재가 제1 케이스(하우징)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와의 끼워 맞춤이 빠지기 어렵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있어서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 환상 부재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 탈락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전자 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전자 키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케이스 및 키 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케이스의 개구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제2 케이스의 개구측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키 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키 링을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키 링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c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키 링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d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키 링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e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키 링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7f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키 링을 도시하는 저면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케이스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하우징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X-X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XI-XI 단면도.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케이스 및 키 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a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전자 키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b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전자 키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c는, 본 개시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 전자 키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형태를 설명한다. 각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는,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해서 설명한 다른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를 구비한 전자 키로서, 차량용 전자 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자 키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자 키(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콩 형상)을 갖는 하우징(3)과, 하우징(3)에 설치됨과 함께 일부가 하우징(3) 밖으로 돌출되는 환상 부재인 키 링(5)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은, 차량에 탑재된 차량용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전파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키용 무선 통신 장치(7)(도 2 참조)를 수용하는 용기이며, 키용 무선 통신 장치(7)가 내장되는 케이스 본체인 제2 케이스(케이스 B)(9)와, 제2 케이스(9)를 덮도록 제2 케이스(9)에 장착되는 덮개인 제1 케이스(케이스 A)(11)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9)에 협지되도록, 제2 케이스(9)의 오목 형상 중앙부(13) 상에는, 도 2의 하측에서부터, 키용 무선 통신 장치(7)의 회로 기판(15), 전지 홀더(17), 전지(19), 고무 커버(방수 고무)(21)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 제2 케이스(9), 키 링(5)은,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메타크릴 수지(PMMA)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성형품(예를 들어 사출 성형품)이다. 제1 케이스(11), 제2 케이스(9), 키 링(5)은, 차량용 전자 키(1)의 외관을 특정하는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장, 인쇄 등의 표면 처리(디자인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키 링(5)으로서는, 금속으로 된(예를 들어 철 등)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차량용 전자 키(1)의 각 부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는, 제2 케이스(9)와 끼워 맞추어져 하우징(3)을 구성하는 접시 형상의 부재(덮개)이며, 키 링(5)이 설치되는 부분의 외주가, 원활하게 오목 형상으로 만곡한 오목 형상 만곡부(23)[제1 케이스(11)의 제1 오목 형상 만곡부(23a)]를 갖고 있다.
제1 케이스(11)는, 오목 형상의 저벽(25)을 갖는 중앙부(27)와, 주연부(29)와, 키 링(5)이 고정되는 고정 구조(31)[제1 케이스(11)의 제1 고정 구조(31a)]와, 중앙부(27)와 고정 구조(31)를 이격하는 격벽(33)을 구비하고 있다. 주연부(29)는 환상을 갖고, 중앙부(27)의 주위를 포위함과 함께 저벽(25)보다도 높이가 높아, 동일 수평면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주연부(29)의 외주측에는 주연부(29)보다 높이가 높고 동일 수평면을 갖는 외연부(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연부(35)의 내주면에는, 제2 케이스(9)와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 맞춤 갈고리(37)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9)는, 제1 케이스(11)와 끼워 맞추어져 하우징(3)을 구성하는 접시 형상의 부재(케이스 본체)이며, 키 링(5)이 설치되는 부분의 외주가, 원활하게 오목 형상의 오목 형상 만곡부(23)[제2 케이스(9)의 제2 오목 형상 만곡부(23b)]를 갖고 있다.
제2 케이스(9)는, 상술한 회로 기판(15) 등의 각 부품이 적재되기 위한 저벽(41)을 갖는 중앙부(43)와, 중앙부(43)를 포위함과 함께 저벽(41)보다도 높이가 높고, 동일 수평면 형상으로 배치된 환상의 주연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연부(45)의 외주에는 주연부(45)보다 높이가 낮고 동일 수평면을 갖는 외연부(4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연부(45)의 외주면에는 제1 케이스(11)[끼워 맞춤 갈고리(37)]와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 맞춤 갈고리(49)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연부(45)와 제2 오목 형상 만곡부(23b) 사이에는, 키 링(5)이 고정되는 고정 구조(31)[제2 케이스(9)의 제2 고정 구조(31b)]가 설치되어 있다.
도 6, 도 7a 내지 도 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링(5)은 중앙 부분에 공간(51)을 갖는 환상 부재이며, 하우징(3)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부재(53)와, 하우징(3)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부재(55)와, 제1 연결부(57)와, 제2 연결부(59)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부재(53)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원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내부 부재(55)는 긴 판재가 굴곡한 형상을 갖는다. 제1 연결부(57)는, 외부 부재(53)의 일단부측(도 6의 좌측)과 내부 부재(55)의 일단부(제1 단부)측을 연결한다. 제2 연결부(59)는, 외부 부재(53)의 타단부측(도 6의 우측)과 내부 부재(55)의 타단부측을 연결한다. 내부 부재(55)의 타단부측은 내부 부재(55)의, 제1 단부측과 반대인 제2 단부측이라도 된다.
내부 부재(55)는, 도 6의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선단부측 걸림부(61), 코너 형상부(63), 중앙 판 형상부(65), 연접부(67), 후단부측 걸림부(69)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부측 걸림부(61)는, 키 링(5) 자신을 제1 케이스(11)의 제1 걸림부(89)(도 8 참조)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걸림 부분이며, 제1 연결부(57)보다 일단부측(도 6의 좌측, 선단부측)으로 돌출되는 볼록 형상의 부재이다. 이 선단부측 걸림부(61)는 판 형상이며, 도 6의 하방이 비스듬히 잘려서, 선단부측의 폭이 좁아지고 있다.
또한, 선단부측 걸림부(61)는 키 링(5)을 설치할 때에, 홈(선단부 홈)(83a)(도 8 참조)에 끼워 넣기 쉽도록(파고들기 쉽도록), 선단부의 코너부를 둥글게 하여, 매끄러운 곡선을 갖게 해도 된다.
코너 형상부(63)는, 제1 연결부(57)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그 폭(도 7d의 좌우 방향의 폭)은 선단부측 걸림부(61)보다 넓어져 있다. 즉, 선단부측 걸림부(61)의 근원측은, 코너 형상부(63)에 의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오목부인 오목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판 형상부(65)는, 코너 형상부(63)보다 폭이 넓은 판 형상이며, 선단부측 걸림부(61)와 동일 평면이 되도록, 타단부측(도 6의 우측, 후단부측)으로 신장되어 있다. 연접부(67)는, 중앙 판 형상부(65)보다 폭이 좁은 판 형상이며,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연접부(67)는 중앙 판 형상부(65)의 후단부 부분의 한쪽 측(도 6의 하측)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고,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판 형상부(65)의 후단부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외측(도 7c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도중에서 후단부측 걸림부(69)측으로 직각으로 굴곡하여, 후단부측 걸림부(69)에 접속되어 있다.
후단부측 걸림부(69)는, 키 링(5)을 제1 케이스(11)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걸림 부분이며, 연접부(67)에 연접됨과 함께, 중앙 판 형상부(65)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후단부측 걸림부(69)의 폭(도 7d의 좌우 방향의 폭)은, 중앙 판 형상부(65)보다 좁고, 연접부(67)에 연접하는 부분과 반대측은 제2 연결부(59)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부(57)의 폭(도 7d의 좌우 방향의 폭)은, 코너 형상부(63)의 폭보다 좁아져 있고, 제2 연결부(59)의 폭은 후단부측 걸림부(69)의 폭보다 좁아져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 외부 부재(53), 제1 연결부(57), 코너 형상부(63), 중앙 판 형상부(65), 연접부(67), 후단부측 걸림부(69), 제2 연결부(59)는, 환상으로 접속되어서 일체의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즉, 키 링(5)은 공간(51)을 둘러싸는 환상의 부재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d에 있어서, 내부 부재(55)의 우측이, 제1 케이스(11)의 제1 고정 구조(31a)에 끼워 넣어지는(삽입되는) 측이며, 내부 부재(55)의 좌측이, 제2 케이스(9)의 제2 고정 구조(31b)에 끼워 넣어지는(삽입되는) 측이다.
이어서, 키 링(5)을 하우징(3)에 고정하는 키 링(5)의 고정 구조(31)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의 제1 고정 구조(31a)는, 키 링(5)을 제1 케이스(11)에 고정하는 구조이며, 제1 오목 형상 만곡부(23a)를 구성하는 외벽(81)과 격벽(33) 사이에, 내부 부재(55)를 끼워 넣는 끼워 맞춤 홈(83)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의 외연부(35) 중, 외부 부재(53)의 양단부를 끼워 넣는 부분(35a, 35b)은, 그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케이스(9)의 외연부(47) 중, 외부 부재(53)의 양단부를 끼워 넣는 부분은, 그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 맞춤 홈(83)의 일단부측(도 10의 좌측)은, 내부 부재(55)의 일단부측의 선단부측 걸림부(제1단)(61)가 끼워 넣어질 때까지[즉 선단부 홈(83a)까지] 신장되어 있으며, 이 선단부 홈(83a)의 개구측(도 10의 상측)의 일부를 횡단하도록 다리 형상 부재(85)(도 8, 도 11 참조)가 신장되어 있다.
즉, 격벽(33)의 일단부측에는, 도 1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7)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부(87)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 홈(83a)을 수직으로 횡단하도록 직육면체의 기둥 형상인 다리 형상 부재(8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키 링(5)을 끼워 넣을 때에는 선단부측 걸림부(61)의 상면(도 10의 상방인 면)이 다리 형상 부재(85)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선단부 홈(83a) 및 다리 형상 부재(85)에 의해, 선단부 홈(83a)에 끼워 넣은 상태의 내부 부재(55)의 일단부측[즉 선단부측 걸림부(61)]이 제1 케이스(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 걸림부(89)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33)에는 선단부 홈(83a)에 연통하는 개구부(33a)(도 10 참조)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 홈(83)의 저면(83b)은, 내부 부재(55)가 끼워 맞춤 홈(83)에 끼워 넣어진 경우에, 그 선단부측 걸림부(61) 및 코너 형상부(63) 및 중앙 판 형상부(65)의 하면(도 10의 하방 면)이 저면(83b)에 접촉하여, 내부 부재(55)[키 링(5)]가 소정 방향[제1 케이스(11)의 개구면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볼록부 등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의 끼워 맞춤 홈(83)의 타단부측(도 10의 우측)에는, 제1 케이스(11)로부터 제2 케이스(9)측을 향해 수직으로 신장하는(세워 설치된) 제2 걸림부(9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걸림부(91)는 판 형상이며, 그 선단부(93)에는 내부 부재(55)의 후단부측 걸림부(69)의 상면에 거는 결합 갈고리(9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91)는 내부 부재(55)로 둘러싸인 공간(51) 내에 있어서, 후단부측 걸림부(69)보다 일단부측(도 8의 좌측)에서, 후단부측 걸림부(69)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걸림부(91)는 끼워 맞춤 홈(83)보다도 폭이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폭을 확보하기 위해, 연접부(67)가 L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9)에는, 제2 고정 구조(31b)로서, 제1 케이스(11)측을 향해 수직으로 신장하는(세워 설치된) 배면 규제부(9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면 규제부(97)는 판 형상이며, 제2 걸림부(91)의 배면(일단부측의 면)(91a)에 근접 또는 접하도록, 배면(91a)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걸림부(91)의 배면(91a) 측에는 약간의 간극(클리어런스)(9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면 규제부(97)의 하단부는 내부 부재(55)의 중앙 판 형상부(65)의 상단부와 접하는 위치까지 달하고 있다.
또한, 제2 케이스(9)의 일단부측(도 11의 좌측)에는, 그 내면으로부터 제1 케이스(11)측을 향해 수직으로 일단부측 규제부(99)가 신장되어(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일단부측 규제부(99)의 선단부의 타단부측에는, 직각으로 잘린 오목부(99a)가 마련되어 있고, 이 오목부(99a)는 코너 형상부(63)의 선단부의 코너 부분[볼록부(63a)]과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63a)는 선단부의 일단부측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어도 된다.
이어서, 키 링(5)을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링(5)을 제1 케이스(11)의 제1 고정 구조(31a)에 고정할 경우에는, 먼저 내부 부재(55)의 선단부측 걸림부(61)를, 끼워 맞춤 홈(83)을 따라 삽입하여, 선단부 홈(83a) 및 다리 형상 부재(85)에 의해 구성된(구멍 형상이 된) 제1 걸림부(89) 내에 끼워 넣는다.
이어서, 내부 부재(55)의 타단부측을, 화살표 D1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키 링(5)을 눕히도록 한다. 이 동작에 의해, 후단부측 걸림부(69)가 제2 걸림부(91)[결합 갈고리(95)]에 간섭하여, 제2 걸림부(91)가 휜다. 그리고 다시 눕혀서 넣어 가면, 제2 걸림부(91)의 결합 갈고리(95)가 후단부측 걸림부(69)를 타고넘어 복원되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부측 걸림부(69)와 제2 걸림부(91)가 걸림 결합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키 링(5)이, 제1 케이스(11)의 제1 고정 구조(31a)에 고정된다. 그 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 화살표 D2 방향(끼워 맞춤 방향)으로 억압함과 함께, 키용 무선 통신 장치(7) 등을 수용한 제2 케이스(9)를, D3 방향(끼워 맞춤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9)를 끼워 맞춤시킨다.
이때, 제2 케이스(9)로부터 신장하는 배면 규제부(97)가, 후단부측 걸림부(69)의 배면(91a)을 따라, 중앙 판 형상부(65)의 상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 케이스(9)로부터 신장하는 일단부측 규제부(99)의 오목부(99a)가, 코너 형상부(63)의 볼록부(63a)에 끼워 맞추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키 링(5)이 제1 케이스(11)에 고정됨과 함께,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9)가 끼워 맞추어져 하우징(3)이 구성되고, 키 링(5)을 구비한 차량용 전자 키(1)가 완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냅 피트 결합하기 위해, 제1 케이스(11)에는 끼워 맞춤 갈고리(37)가 설치되고, 제2 케이스(9)에는 끼워 맞춤 갈고리(4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9)를 끼워 맞춤시킬 때에는, 서로의 끼워 맞춤 갈고리(37, 49)가 타고 넘어서 걸림 결합하고,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9)가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 스냅 피트 결합은, 예를 들어 작업 공구에 의해 끼워 맞춤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해제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자 키(1)는,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9)가 끼워 맞추어진 하우징(3)에, 키 링(5)이 고정된 것이다. 외벽(81)과 격벽(33)에 협지되도록 형성된 끼워 맞춤 홈(83)에는, 내부 부재(55)의 중앙 판 형상부(65) 등을 끼워 넣는다.
또한, 제1 케이스(11)는 내부 부재(55)의 일단부인 선단부측 걸림부(61)를 끼워 넣는 형상을 가짐과 함께, 선단부측 걸림부(61)가 제1 케이스(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 걸림부(8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선단부측 걸림부(61)가 제1 걸림부(89)에 걸린 상태에서, 내부 부재(55)의 타단부측인 후단부측 걸림부(69)가 제1 케이스(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걸림부(9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링(5)이 시계 방향(화살표 D4 방향)의 비틀림력을 받은 경우, 키 링(5)의 일단부측(도 10의 좌측)의 회전은, 제1 케이스(11)의 제1 걸림부(89)에 의해 억제된다. 동시에, 키 링(5)의 타단부측(도 10의 우측)의 회전은, 제1 케이스(11)의 저면(11a)에 의해 억제된다. 이에 의해, 키 링(5)의 시계 방향의 회전이 억제된다.
한편, 키 링(5)이 반시계 방향(화살표 D5 방향)의 비틀림력을 받은 경우, 키 링(5)의 일단부측(도 10의 좌측)은, 제1 케이스(11)의 끼워 맞춤 홈(83)의 저면(83b)에 의해 막아낼 수 있으므로, 회전하지 않는다. 동시에, 키 링(5)의 타단부측(도 10의 우측)의 회전은, 제2 걸림부(91)의 결합 갈고리(95)에 의해 억제된다. 이에 의해, 키 링(5)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억제된다.
게다가, 제2 케이스(9)에는, 제2 걸림부(91)의 배면(91a)을 따라 중앙 판 형상부(65)에 달하는 배면 규제부(9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시계 방향으로 큰 비틀림력을 받은 경우에도, 제2 걸림부(91) 및 중앙 판 형상부(65)가 이동(회동)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2 걸림부(91)의 결합 갈고리(95)가 후단부측 걸림부(69)로부터 빠지기 어렵다.
또한, 제2 케이스(9)에는, 내부 부재(55)의 일단부측이 제1 케이스(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화살표 D3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일단부측 규제부(99)가 설치되어 있다. 반시계 방향으로 키 링(5)이 비틀림력을 받은 경우에는, 코너 형상부(63)의 볼록부(63a)가 일단부측 규제부(99)의 오목부(99a)에 접촉함으로써, 키 링(5)의 회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키 링(5)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성에 의해, 키 링(5)이 비틀림력을 받은 경우에도, 키 링(5)이 제1 케이스(11)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9)와의 끼워 맞춤이 빠지기 어렵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키 링(5)은 끼워 맞춤 홈(83)에 끼워 넣는 구조이므로, 키 링(5)이 인장력을 받은 경우에는, 끼워 맞춤 홈(83)의 벽면 전체[외벽(81) 전체]에서 하중을 받게 되어,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자 키(1)에 있어서는, 하우징(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 키 링(5)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 탈락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게다가, 상술한 구성에 의해, 키 링(5)의 고정을 작은 공간에서 실현할 수 있고, 또한 강도도 우수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부재(55)의 연접부(67)가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제2 걸림부(91)가 배치되는 공간이 넓게 되어 있으므로, 제2 걸림부(91)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걸림부(91)와 후단부측 걸림부(69)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키 링(5)은, 제1 고정 구조(31a)에 의해 제1 케이스(1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지 교환 등의 때에,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9)를 분리한 경우에도, 키 링(5)이 제1 케이스(11)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또한, 키 링(5)의 외부 부재(53)는 하우징(3)으로부터 공간(51)의 일부인 간극(51a)(도 8 참조)을 두고 돌출되어 있으므로, 각종 스트랩이나 링을 설치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인 부재에는 마찬가지인 번호를 붙인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자 키(101)에서는, 제1 케이스(103)의 일단부측[도 13a 좌측]에는, 제1 걸림부(105)로서, 도 13a 우측에 개구하는 구멍(오목부)(107)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오목부(107)에, 키 링(5)의 내부 부재(55)의 선단부측 걸림부(61)가 끼워 넣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발휘한다.
[제3 실시 형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자 키(111)에서는, 제2 케이스(113)의 타단부측[도 13b 우측]에는, 배면 규제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면 규제부(115)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걸림부(91)의 배면(91a)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나, 그 선단부(하단부)는 중앙 판 형상부(65)의 상단부에 달하고 있지 않다.
이 제3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비틀림력에 대한 효과는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작지만,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인 효과를 발휘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자 키(121)에서는, 제2 케이스(123)의 타단부측[도 13c 우측]에, 배면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제4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비틀림력에 대한 효과는 제3 실시 형태보다도 작지만, 제3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인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해서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여러 가지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덧붙여서, 여러 가지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 그들에 1 요소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예를 들어, 키 링은 제1 케이스나 제2 케이스 중 어느 쪽에 설치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개시는 차량용 전자 키에 한정되지 않고, 주택용 전자 키 등, 각종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나의 구성 요소가 갖는 기능을 복수의 구성 요소로 분산시키거나, 복수의 구성 요소가 갖는 기능을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시키거나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공지된 구성으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부가 또는 치환하거나 해도 된다.

Claims (8)

  1.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9)가 끼워 맞추어져 일체화하는 하우징(3)과,
    상기 제1 케이스(11)와 상기 제2 케이스(9) 사이에 일부를 배치해서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환상 부재(5)를 구비하고,
    상기 환상 부재(5)는
    상기 하우징(3) 밖으로 돌출되어서 해당 하우징(3) 사이에 간극(51)을 형성하는 외부 부재(53)와, 상기 외부 부재(53)에 연결되어서 상기 하우징(3) 내에 배치되는 내부 부재(55)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11)는
    상기 내부 부재(55)의 제1 단부를 끼워 넣는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1 케이스(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걸림부(89)와,
    상기 내부 부재(55)의 제1 단부측이 상기 제1 걸림부(89)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내부 부재(55)의 상기 제1 단부와는 반대측인 제2 단부의, 상기 제1 케이스(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걸림부(9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89)는 상기 제1 단부를 끼워 넣는 홈(83a)과 해당 홈(83a)의 개구측의 일부를 덮는 다리 형상 부재(8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89)는 상기 제1 단부를 끼워 넣는 구멍(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91)는 상기 제1 케이스(11)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케이스(9)측을 향해 신장됨과 함께, 그 선단부(93)에 상기 내부 부재(55)와 걸림 결합하는 결합 갈고리(9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9)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케이스(11)측을 향해 신장하여, 상기 제2 걸림부(91)의 상기 제1 단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배면 규제부(9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규제부(97)는 상기 내부 부재(55)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케이스(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에 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9)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케이스(11)측을 향해 신장되어, 상기 내부 부재(55)의 상기 제1 단부측의 상기 제1 케이스(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단부측 규제부(9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3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3) 내에 전자 부품(7)을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1).
KR1020177027436A 2015-03-31 2016-03-17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및 전자 키 KR101975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3649A JP6439547B2 (ja) 2015-03-31 2015-03-31 環状部材の固定構造及び電子キー
JPJP-P-2015-073649 2015-03-31
PCT/JP2016/001536 WO2016157793A1 (ja) 2015-03-31 2016-03-17 環状部材の固定構造及び電子キ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370A true KR20170125370A (ko) 2017-11-14
KR101975693B1 KR101975693B1 (ko) 2019-05-07

Family

ID=5700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436A KR101975693B1 (ko) 2015-03-31 2016-03-17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및 전자 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71443B2 (ko)
JP (1) JP6439547B2 (ko)
KR (1) KR101975693B1 (ko)
CN (1) CN107407104B (ko)
DE (1) DE112016001493T5 (ko)
WO (1) WO20161577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6547A (ja) * 2018-06-05 2020-12-17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11399566B2 (en) 2018-06-05 2022-08-02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5163S1 (en) * 2017-12-19 2020-05-26 Kone Corporation Electronic key
JP6855407B2 (ja) * 2018-03-28 2021-04-07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車両用電子キー
USD970372S1 (en) * 2022-01-06 2022-11-22 Neil Aneja Housing for a location track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5014A (ja) * 2006-03-22 2007-10-04 Honda Lock Mfg Co Ltd キーユニット
JP2013133658A (ja) 2011-12-27 2013-07-08 Denso Corp 車両用電子キ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7928B4 (de) * 2001-04-10 2004-10-28 ABUS August Bremicker Söhne KG Schlüsselanhänger
DE10322853A1 (de) * 2003-05-21 2004-12-16 Volkswagen Ag Schlüssel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2007170024A (ja) * 2005-12-21 2007-07-05 Miwa Lock Co Ltd キーヘッドカバー
JP4648227B2 (ja) * 2006-03-22 2011-03-09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キーユニットにおける支持部材のインサート成形構造
US7370501B2 (en) * 2006-03-22 2008-05-13 Kabushiki Kaisha Honda Lock Key unit
JP4953244B2 (ja) * 2007-03-21 2012-06-13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携帯機
CN202788233U (zh) * 2012-09-23 2013-03-13 昌辉汽车电器(黄山)股份公司 一种汽车智能钥匙
CN203201268U (zh) * 2013-03-31 2013-09-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汽车的钥匙组件和机械钥匙
CN203808636U (zh) * 2014-02-24 2014-09-03 江门市大前门智能门控科技有限公司 一种带灯折叠式门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5014A (ja) * 2006-03-22 2007-10-04 Honda Lock Mfg Co Ltd キーユニット
JP2013133658A (ja) 2011-12-27 2013-07-08 Denso Corp 車両用電子キ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6547A (ja) * 2018-06-05 2020-12-17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11311045B2 (en) 2018-06-05 2022-04-26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disassembly
US11399566B2 (en) 2018-06-05 2022-08-02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950628B2 (en) 2018-06-05 2024-04-09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as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63976A1 (en) 2018-03-01
US10271443B2 (en) 2019-04-23
JP2016194198A (ja) 2016-11-17
CN107407104B (zh) 2019-09-06
WO2016157793A1 (ja) 2016-10-06
KR101975693B1 (ko) 2019-05-07
DE112016001493T5 (de) 2018-01-04
JP6439547B2 (ja) 2018-12-19
CN107407104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693B1 (ko)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및 전자 키
US9972457B2 (en) Push switch
WO2010131307A1 (ja) 携帯端末装置
US8361643B2 (en) Battery cover latch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962996B2 (en) Electronic key for vehicle
EP3012391B1 (en) Vehicle door handle
US20100328858A1 (en) Cover latch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JP2013165107A (ja) 電子制御装置
JP2013062243A (ja) 防水装置及び防水加工方法
JP2014067840A (ja) 車載用防水型電子機器筐体
KR970004117A (ko) 전자 기기용 전지 커버
US20110005046A1 (en) Accessory secur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90270430A1 (en) Electronic key
JP7294095B2 (ja) ワイヤレス給電ホルダ
KR100656399B1 (ko) 후크결합구조 및 이를 사용한 케이스
JP6195381B2 (ja) ジャックコネクタ
KR101417802B1 (ko) 전자제품의 배터리 커버 개폐 장치
JP5603767B2 (ja) 測定器
JP2017011810A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構造
JPH10173420A (ja) 固定型アンテナ取付構造
JP2015176879A (ja) 電気電子部品の防水収容構造および電気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JP2020516023A (ja) スイッチ構造
US20130215562A1 (en) Screwing structure for casing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JP2015015402A (ja) 操作端末
JP2012256969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