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346A - 관리 시스템, 서버,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관리 시스템, 서버,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346A
KR20170125346A KR1020177025982A KR20177025982A KR20170125346A KR 20170125346 A KR20170125346 A KR 20170125346A KR 1020177025982 A KR1020177025982 A KR 1020177025982A KR 20177025982 A KR20177025982 A KR 20177025982A KR 20170125346 A KR20170125346 A KR 20170125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mage data
managem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아오야마
히로카즈 아지
Original Assignee
히로시 아오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아오야마 filed Critical 히로시 아오야마
Publication of KR2017012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51Specific applications combined with EAS
    • G08B13/2462Asset location systems combined with 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이벤트의 발생 건수가 증가해도 기억 장치의 필요 용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어, 당해 필요 용량이 명확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 대상(200)의 개체 식별 정보(I)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 부재(110)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하는 정보 판독 장치(120)와,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120)가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하여 연속 화상 데이터(V)를 생성하는 촬상 장치(130)와, 연속 화상 데이터(V)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140)와, 정보 판독 장치(120)에서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I)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취득하고,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연속 화상 데이터(V)에 설정하는 제어 장치(150)와, 연속 화상 데이터(V)에 의거하는 화상(G)을 표시 가능한 표시 장치(1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관리 시스템, 서버,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본 발명은,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과, 연속 화상 데이터를 조합한 관리 시스템, 서버,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전부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와, 화상 데이터를 조합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입퇴역 관리 시스템에서는, 사원의 입역 시각을 추정한 후,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정된 입역 시각을 기점으로 하는 일정 시간의 영상을 복사하고, 이 복사된 영상 데이터와 당해 사원의 개체 식별 정보를 관련지어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하게 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전자 태그 촬영 기능을 가지는 물품의 유통에 관한 화상 추적 문의 시스템에서는, 전자 태그에 포함되는 정보와 비디오 기록을 통합하여 통합 비디오 화상을 형성하는 코딩을 행하여, 필요에 따라 디코딩함으로써 전자 태그 정보를 가지는 원래의 화상을 복원하여 재생하게 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9-93558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표 2009-531748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개체 식별 정보의 수나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의 발생 건수가 증가하면, 그에 따라 작게 구분된 화상 데이터의 수도 증가해 가기 때문에, 이벤트의 증가에 수반하여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기억 장치의 필요 용량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이벤트수를 예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시스템에 필요한 기억 장치의 용량을 모른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이벤트의 발생 건수가 증가해도 기억 장치의 필요 용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어, 기억 장치의 필요 용량이 명확한 관리 시스템, 서버,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발명의 어느 국면에 따르면,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 부재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 기억 부재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 판독 장치와,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하여 연속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장치와, 연속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정보 판독 장치에서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취득하고,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연속 화상 데이터에 설정하는 제어 장치와, 연속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키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고, 재생 개시 키의 선택을 받아들여, 선택된 재생 개시 키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부터 연속 화상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 장치에 재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촬상 장치는, 복수의 촬상기를 가지고 있으며, 복수의 촬상기로 촬상된 복수의 연속 화상 데이터는, 각각 기억 장치에 기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는, 개체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정보 기억 부재의 수, 종류, 정보 판독 장치가 처음으로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 시각, 및, 정보 판독 장치가 마지막으로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벤트에는, 정보 판독 장치가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 경우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벤트에는,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했던 정보 판독 장치가 동일한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없게 된 경우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 기억 부재는, 관리 영역에서 관리되는 관리 대상에 부착되며, 관리 영역은, 관리 영역 내에 설정된 관리 위치와, 관리 영역에 출입하는 관리 대상이 통과하는 출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촬상 장치는, 관리 영역, 및, 출입구를 연속 촬상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 판독 장치는, 관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 기억 부재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제1 정보 판독부와, 출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 기억 부재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제2 정보 판독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벤트에는, 제1 정보 판독부 및 제2 정보 판독부에서 각각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 후, 소정 시간 이상,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가 제1 정보 판독부 및 제2 정보 판독부에서 판독되지 않게 된 경우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출입구는, 관리 영역에 들어가는 관리 대상이 통과하는 입구와, 입구와는 별도로 상기 관리 영역에서 나오는 관리 대상이 통과하는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입구 및 출구에는 각각 다른 정보 판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입구는, 관리 영역에 출입하는 관리 대상이 통과하는 제1 출입구와, 제1 출입구와는 별도로 관리 영역에 출입하는 관리 대상이 통과하는 제2 출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제1 출입구 및 제2 출입구에는 각각 다른 정보 판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보 기억 부재는 RFID 태그이며, 정보 판독 장치는 RFID 리더이다.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와,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속 화상 데이터에는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취득하고,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연속 화상 데이터에 설정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이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된 연속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표시 장치와,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이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된 연속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고,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취득하고,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연속 화상 데이터에 설정하는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이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된 연속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이벤트의 발생 건수가 증가해도 기억 장치의 필요 용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어, 기억 장치의 필요 용량이 명확한 관리 시스템, 서버,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관리 영역(300)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관리 화면(400)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관리 화면(400)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시각 기록 테이블(T)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의 기능 블록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입구 검출 처리 루틴 S700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상품 선반 검출 처리 루틴 S720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출구 검출 처리 루틴 S740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상품 선반 반출 처리 루틴 S760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로스트 처리 루틴 S780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는 화상 데이터로의 설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이다.
도 16은 관리 화면(400)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관리 영역(300)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화상 데이터로의 설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이다.
도 19는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각 부호에 관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구조의 것이 복수개 사용되어 있는 경우, 각 구성 요소를 상위 개념으로서 설명하는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의 지번을 붙이지 않고 알파벳 만으로 나타내고, 각 구성 요소를 서로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즉 하위 개념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의 지번을 알파벳에 이어 붙임으로써 구별한다.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
본 발명이 적용된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 대상(200)인 상품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정보 기억 부재(110)와, 정보 판독 장치(120)와, 촬상 장치(130)와, 서버(174)와, PC(관리 장치)(172)와, 네트워크 장치(170)를 포함하고 있다. 또, 서버(174)는, 기억 장치(140)와, 제어 장치(150)와, 통신 수단(176)과, 시계(178)를 구비하고 있다. PC(172)는, 적어도, PC측 제어 장치(152)와, 표시 장치(160)와, PC측 통신 수단(177)을 포함하고 있다.
정보 기억 부재(110)는, 관리 대상(200)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부재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RFID 태그가 사용되고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 태그는, 예를 들면, 상품의 ID, 제조일, 혹은 제조 공장 등과 같은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를 기억하고 있으며, 전계나 전파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 RFID 리더(=정보 판독 장치(120))에 비접촉식의 통신 방식으로 당해 개체 식별 정보(I)를 송신한다(또한, 본 실시 형태와는 달리, 1개의 RFID 리더에 대해, 개체 식별 정보(I)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설치해도 된다). 또, RFID 태그는, RFID 리더로부터의 전파의 일부를 반사시켜, 당해 반사파에 개체 식별 정보(I)를 실어 RFID 리더에 보내는 「패시브형」과, 전지를 내장하고 있으며, 당해 전지로부터의 전력으로 전파를 발하는 「액티브형」으로 크게 구별되지만, 본 발명에는 어느 쪽의 형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정보 기억 부재(110)는 RFID 태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코드나 이차원 바코드(two dimensional code) 등, 관리 대상(200)의 개체 식별 정보(I)를 기억시킬 수 있어, 당해 개체 식별 정보(I)를 정보 판독 장치(120)에 판독시킬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종류의 장치(접촉식의 것도 포함한다)를 사용해도 된다.
정보 판독 장치(120)는, 소정 거리(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하는 장치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RFID 리더가 사용되고 있다. 정보 판독 장치(120)는, 네트워크 장치(170)를 통하여, 제어 장치(150) 등에 접속되어 있으며, 당해 정보 판독 장치(120)에서 판독된 정보 기억 부재(110)의 개체 식별 정보(I)는, 네트워크 장치(170)를 통하여 제어 장치(150)에서 취급된다.
촬상 장치(130)는, 관리 대상(200)을 관리하는 영역인 관리 영역(300)을 연속해서 촬상함으로써 연속 화상 데이터(V)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130)는 3대의 촬상기(132, 134, 136)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기(132, 134, 136)에서 생성된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는, 네트워크 장치(170)를 통하여 기억 장치(140)에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기(132, 134, 136)로서 공지의 비디오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지만, 연속 화상 데이터(V)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면,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이나 웹 카메라와 같은 다른 기기를 사용해도 된다. 이하, 연속 화상 데이터를 상위 개념으로서 설명하는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의 지번을 붙이지 않고 알파벳 「V」 만으로 나타내고, 복수의 촬상기(132, 134, 136)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서로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즉 하위 개념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V1」, 「V2」, 「V3」와 같이 아라비아 숫자의 지번을 알파벳에 이어 붙임으로써 구별한다.
서버(174)는, 상술한 대로, 기억 장치(140)와, 제어 장치(150)와, 통신 수단(176)과, 시계(178)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어 장치(150)와, 네트워크 장치(170)를 통한 정보 판독 장치(120), 촬상 장치(130), 및 PC(172)와의 데이터의 교환은 통신 수단(176)을 통하여 행해진다. 또한,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120)와 촬상 장치(130)에도 도시하지 않은 내장 시계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내장 시계와 상기 시계(178)는, 관리 시스템(100)이 구성된 나라나 지역 등의 표준시각에 따라, 서로 동기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특히, 촬상 장치(130)의 내장 시계에 의거하는 시각을 중심으로 동기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기억 장치(140)는, 촬상 장치(130)에서 생성된 연속 화상 데이터(V)나, 제어 장치(150)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나, 후술하는 시각 기록 테이블(T)(도 5 참조) 등을 기억하는 장치이다. 또, 기억 장치(140)는, 복수의 촬상기(132, 134, 136)에서 생성된 개개의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를 각각 별개로 기억한다. 또한, 기억 장치(140)는, 정보 판독 장치(120)로부터 보내져 온 각 정보 기억 부재(110)의 개체 식별 정보(I)를 기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기억 장치(140)는, 네트워크 장치(170)에 접속된 서버(174)에 내장된 「기억 메모리」로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다. 또한, 기억 장치(140)는, 각종의 RAM(Random Access Memory), 각종의 ROM(Read-Only Memory), 플래쉬 메모리 등에 의해 실현된다. 또, 기억 장치(140)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용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등록상표) 메모리,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k), 메모리 카드,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 카드, 광카드, 마스크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기억 매체 등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또한, 기억 장치(140)는, 필요에 따라 서버(174)와는 별도로 네트워크 장치(170)에 접속된 PC(172) 내에 설치된 PC측 기억 장치(142)를 이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PC(172)도, PC측 기억 장치(142)와, PC측 제어 장치(152)와, PC측 통신 수단(177)과, PC측 시계(179)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장치(150)는, 기억 장치(140) 혹은 외부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어 장치(150)는, 네트워크 장치(170)에 접속된 서버(174)에 내장된 「프로세서」로서의 CPU이다.
PC(172)는, 상술한 대로, PC측 기억 장치(142)와, PC측 제어 장치(152)와, PC측 통신 수단(177)과, PC측 시계(179)와, 표시 장치(160)를 포함하고 있다. PC측 기억 장치(142), PC측 제어 장치(152), PC측 통신 수단(177), 및 PC측 시계(179)는, 각각, 서버(174)에 내장된 기억 장치(140), 제어 장치(150), 통신 수단(176), 및 시계(178)와 동종의 것이므로, 이들의 설명에 대해서는 서버(174)의 설명을 원용한다.
표시 장치(160)는, 관리 화면(400) 내에 있어서,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에 의거하는 화상(G1, G2, G3) 그 외의 화상을 재생 표시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표시 장치(160)는, PC(172)에 포함되는 모니터이다.
네트워크 장치(170)는,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120), 촬상 장치(130), 기억 장치(140), 제어 장치(150), 표시 장치(16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데이터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170)에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무선 통신, 광통신 등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장치가 해당한다. 또, 1대의 PC(172) 혹은 서버(174)에 대해, 케이블 등을 사용하여 정보 판독 장치(120)나 촬상 장치(130)를 직접 접속해도 되고, 이 경우, 당해 케이블 등이 네트워크 장치(170)에 해당한다.
(관리 시스템(100)의 적용예)
다음에, 예를 들면, 창고나 건물의 일실(一室) 등을 관리 영역(300)으로서 상품 등의 관리 대상(200)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해, 상술한 관리 시스템(100)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영역(300)은, 대략, 상품 등의 관리 대상(200)을 보관하는 상품 선반인 관리 위치(302)와, 당해 관리 영역(300)에 관리 대상(200)을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한 출입구(30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출입구(304)는, 관리 영역(300)에 들어가는 관리 대상(200)이 통과하는 입구(306)와, 관리 영역(300)으로부터 나오는 관리 대상(200)이 통과하는 출구(308)를 가지고 있다. 또, 정보 기억 부재(110)는, 관리 대상(200)인 개개의 상품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보 판독 장치(120)는, 관리 위치(302)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하는 제1 정보 판독부(122)와, 출입구(304)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하는 제2 정보 판독부(12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306)와 출구(308)가 따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정보 판독부(124)도,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되며, 입구(306)를 통과하는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하는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와, 출구(308)의 근방에 설치되며, 출구(308)를 통과하는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하는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로 구성되어 있다.
또, 촬상 장치(130)를 구성하는 3대의 촬상기(132, 134, 136)는, 각각 입구(306)(촬상기(132)가 대응), 관리 위치(302)(촬상기(134)가 대응), 및, 출구(308)(촬상기(136)가 대응)를 연속 촬상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촬상기(132)는,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 의해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있는 영역을 촬상하고 있다. 촬상기(134)는, 제1 정보 판독부(122)에 의해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있는 영역을 촬상하고 있다. 촬상기(136)는,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에 의해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있는 영역을 촬상하고 있다.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관리 대상(200)의 관리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표시 장치(160)에 관리 화면(400)이 표시된다. 관리 화면(400)은, 촬상기 화상 표시부(402, 404, 406)와, 리스트 표시부(408)와, 선택 화상 표시부(41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촬상기 화상 표시부(402, 404, 406)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표시부이다. 또, 필요에 따라 다른 요소를 관리 화면(400)에 더해도 된다.
촬상기 화상 표시부(402, 404, 406)는, 각각, 3대의 촬상기(132, 134, 136)로부터 보내져 온 3종류의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에 의거하는 화상(G1, G2, G3)을 표시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대의 촬상기(132, 134, 136)로 연속 촬상한 화상(G1, G2, G3)을 각각 실시간으로 촬상기 화상 표시부(402, 404, 406)에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리스트 표시부(408)에는,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에 관한 이벤트(이벤트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의 내용 및 당해 이벤트의 이벤트 시각을 이벤트 발생순으로 리스트화한 이벤트 리스트(EL), 관리 대상(200)의 ID(예를 들면, 품번이나 품명. 이하 동일)와 관리 위치(302)에 현재 보관되어 있는 수를 리스트화한 재고 리스트(SL)(도 4 참조), 및, 관리 대상(200)의 ID와 당해 관리 대상(200)의 상품 정보를 리스트화한 상품 정보 리스트(PL)가 표시된다. 또, 각 리스트(EL, SL, PL)는, 이용자가 대응하는 탭을 선택함으로써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재고 리스트(SL) 및 상품 정보 리스트(PL)는, 본건 발명의 실시에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또, 리스트 표시부(408)에 다른 종류의 리스트를 추가해도 된다.
도 3으로 되돌아와, 선택 화상 표시부(410)는, 후술하는 재생 개시 키(EK)가 선택된 경우에, 촬상기(132, 134, 136)로 연속 촬상된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에 설정된 재생 개시 시각부터, 당해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에 의거하는 화상(G1, G2, G3)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각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각 이벤트에 관련 지어진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되어 있다.
재생 개시 시각은, 원칙으로서,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로스트」 이벤트를 제외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이 그대로 재생 개시 시각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 본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억 장치(140)에 기억된 시각 기록 테이블(T)이 사용된다. 시각 기록 테이블(T)에는, 적어도, 개체 식별 정보(I)에 포함되는 ID와, 이것에 대응하는, 입구 검출 시각(500)과, 상품 선반 반입 시각(502)과, 상품 선반 반출 시각(504)과, 출구 검출 시각(506)을 기록하는 란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입구 검출 시각(500)은, 대응하는 개체 식별 정보(I)가 기억된 정보 기억 부재(110)가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검출된(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수신한]) 시각을 의미한다. 상품 선반 반입 시각(502)는, 대응하는 개체 식별 정보(I)가 기억된 정보 기억 부재(110)가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검출된(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수신한]) 시각을 의미한다. 상품 선반 반출 시각(504)은, 대응하는 개체 식별 정보(I)가 기억된 정보 기억 부재(110)를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검출할 수 없게 된(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지 않게 된 [수신할 수 없게 된]) 시각을 의미한다. 또한, 출구 검출 시각(506)은, 대응하는 개체 식별 정보(I)가 기억된 정보 기억 부재(110)가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에서 검출된(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수신한]) 시각을 의미한다.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의 기능 블록)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이다.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는, 개체 식별 정보 수신부(800)와, 연속 화상 데이터 수신부(802)와,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와, 현재 시각 취득부(806)와,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808)와, 관리 화면 표시부(810)와, 시각 설정부(812)와, 로스트 이벤트 발생 판단부(814)에 의해 행해진다. 제어 장치(150)가 후술하는 각 단계 S600~S784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 부가 구성된다.
개체 식별 정보 수신부(800)는, 네트워크 장치(170)를 통하여, 정보 판독 장치(12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연속 화상 데이터 수신부(802)는, 네트워크 장치(170)를 통하여, 촬상 장치(130)로부터의 연속 화상 데이터(V)를 수신하여, 당해 연속 화상 데이터(V)를 기억 장치(140)에 기억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는, 시각 기록 테이블(T)의 내용을 판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는, 시각 기록 테이블(T)에 기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는, 각각의 상품마다, 입구 검출 시각, 상품 선반 반입 시각, 상품 선반 반출 시각, 출구 검출 시각을 시각 기록 테이블(T)에 기입한다.
현재 시각 취득부(806)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의 시각(이벤트 발생 시각)을 시계(178)로부터 취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808)는, 이벤트 발생 시각에 의거하여 재생 개시 시각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808)는,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경우에는,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시각을 재생 개시 시각으로서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808)는,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경우에는,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시각을 재생 개시 시각으로서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808)는,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경우, 및 그 후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지 않게 된 경우에는, 각각 판독한 시각 및 판독되지 않게 된 시각을 재생 개시 시각으로서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808)는,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고,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후에,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지 않게 되고, 또한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지 않게 된 시각을 재생 개시 시각으로서 결정한다.
관리 화면 표시부(810)는, 생성한 관리 화면(400)을, 네트워크 장치(170)를 통하여 PC(172)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관리 화면 표시부(810)는, 기억 장치(140)에 기억된 연속 화상 데이터(V)를 표시 장치(160)에 송신하여, 표시 장치(160)의 소정의 개소에 표시시킨다.
시각 설정부(812)는, 기억 장치(140)에 기억된 연속 화상 데이터(V)에 「이벤트」명 및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로스트 이벤트 발생 판단부(814)는, 소정의 조건이 갖추어졌을 때에, 관리 대상(200)을 잃어 버린 「로스트」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스트 이벤트 발생 판단부(814)는,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고,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후에,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지 않게 되고, 또한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지 않게 경우에 「로스트」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 플로우)
다음에,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은,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9는, 개체 식별 정보(I)가 입구(306)에서 판독되었을(검출되었을) 때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은, 개체 식별 정보(I)가 관리 위치(302)(상품 선반)에서 판독되었을 때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은, 개체 식별 정보(I)가 출구(308)에서 판독되었을 때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는, 관리 위치(302)(상품 선반)에서 판독되었던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지 않게 되었을 때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3은, 상품이 「로스트」상태가 되었을 때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로 되돌아와, 서버(174) 내의 제어 장치(150)가 기억 장치(140)에 기억되어 있던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하면, 관리 시스템(100)이 개시된다. 또한, 전제로서, 제어 장치(150)는, 관리 영역(300)에 있어서의,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120)가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촬상 장치(130)가 연속 촬상함으로써 생성된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를, 네트워크 장치(170)를 통하여 받아들여, 기억 장치(140)에 연속해서 기억시키고 있다. 제어 장치(150)가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연속 화상 데이터 수신부(802)(도 6 참조)가 구성된다.
먼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는,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구체적으로는,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70) 및 PC(172)의 통신 수단(176)을 통하여, 제어 장치(150)에 개체 식별 정보(I)가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600을 실행함으로써, 개체 식별 정보 수신부(800)(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을 때(S600에서의 판단이 YES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기억 장치(140)로부터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읽어내어, 당해 개체 식별 정보(I)에 포함되는 ID에 대응하는 행을 확인하고, 입구 검출 시각(500)의 란에 이미 시간이 기록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2). 제어 장치(150)가 이 S602를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입구 검출 시각(500)의 란에 이미 시간이 기록 완료된 경우(S602에서 판단이 YES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다시,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한편, 입구 검출 시각(500)의 란에 아직도 시간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S602에서 판단이 NO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것을, 「입구에서 상품을 검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입구 검출 처리 루틴(S700)을 실행한다. 입구 검출 처리 루틴(S700)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가, 서버(174) 내에 설치된 시계(178)로부터 현재 시각을 이벤트 발생 시각으로서 취득하는 것(S702)부터 시작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02를 실행함으로써, 현재 시각 취득부(806)(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다음에, 제어 장치(150)는, 취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시각 기록 테이블(T)에 있어서의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가 포함되는 행의 입구 검출 시각(500)의 란에 기록한다(S704). 만약, 시각 기록 테이블(T)에,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새로운 행을 추가하고 당해 ID도 기록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04를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그런 후, 제어 장치(150)는, 이벤트 발생 시각에 의거하여, 「입구에서 상품을 검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결정한다(S706). 「재생 개시 시각」이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 화면(400) 상에 배치된 당해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키(EK)(후술)가 선택되었을 때에 재생되는 연속 화상 데이터(V)의 재생을 개시하는 시각이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06을 실행함으로써,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808)(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또한, 재생 개시 시각은, 실제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과 동일해도 되고,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과는 상이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벤트 발생 시각의 몇분 전을 재생 개시 시각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정보 기억 부재(110)가 부착된 관리 대상(200)이 입구(306)를 통과하기 조금 전부터의 화상(G)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모든 이벤트를 통해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스트」 이벤트를 제외하고,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시각으로 하고 있다(재생 개시 시각=이벤트 발생 시각).
「입구에서 상품을 검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결정한 후, 제어 장치(15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60)에 표시시킨 관리 화면(400)에 있어서의 리스트 표시부(408)의 이벤트 리스트(EL)에, 당해 이벤트명과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키(EK)」로서 새롭게 표시시킨다(S708). 이들 「이벤트명」 및 「이벤트 발생 시각」란은, 사용자가 포인터나 터치 동작 등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명을 「입구에서 상품을 검출」로 하고 있지만, 물론, 이벤트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당해 이벤트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이벤트명을 사용해도 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08을 실행함으로써, 관리 화면 표시부(810)(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계속해서, 도 9로 되돌아와, 제어 장치(150)는, 입구(306)를 연속 촬상하는 촬상기(132)로부터의 연속 화상 데이터(V1)에, 당해 이벤트명 및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S710).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 화상 데이터(V1)의 3시 00분에 「입구에서 상품 A를 검출」 이벤트의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되어 있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10을 실행함으로써, 시각 설정부(812)(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연속 화상 데이터(V1)에 대한 재생 개시 시각의 설정 수법은 특정의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벤트명이나 이벤트 발생 시각과 재생 개시 시각의 대응표(도시하지 않음)를 별도로 작성해 두어, 「재생 개시 키(EK)」가 관리 화면(400)에서 선택되면, 제어 장치(150)가 대응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당해 이벤트명 등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파악하고, 당해 재생 개시 시각부터 연속 화상 데이터(V1)를 재생하도록 해도 된다. 또, 연속 화상 데이터(V1)에 있어서의 재생 개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태그(트리거)」를 임베딩해 두어도 된다. 또한, 이것은 다른 이벤트에 있어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연속 화상 데이터(V1)에 대한 재생 개시 시각의 설정이 완료됨으로써, 입구 검출 처리 루틴(S700)은 종료된다. 도 7로 되돌아와, 제어 장치(150)는, 다시,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하지 않은 경우(S600에서 판단이 NO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출구(308)의 근방에 설치된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에서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를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4). 제어 장치(150)가 이 S604를 실행함으로써, 개체 식별 정보 수신부(800)(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에서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경우(S604에서 판단이 YES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참조하여,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가 포함되는 행의 출구 검출 시각(506)의 란에 이미 시각이 기록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6). 제어 장치(150)가 이 S606을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출구 검출 시각(506)의 란에 이미 시각이 기록 완료된 경우(S606에서 판정이 YES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다시,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출구 검출 시각(506)의 란에 아직도 시각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S606에서 판정이 NO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에서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것을 「출구에서 상품을 검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출구 검출 처리 루틴(S740)을 실행한다. 출구 검출 처리 루틴(S740)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가, 시계(178)로부터 현재 시각을 이벤트 발생 시각으로서 취득하는 것(S702)부터 시작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02를 실행함으로써, 현재 시각 취득부(806)(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다음에, 제어 장치(150)는, 취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시각 기록 테이블(T)에 있어서의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가 포함되는 행의 출구 검출 시각(506)의 란에 기록한다(S744). 제어 장치(150)가 이 S744를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그런 후, 제어 장치(150)는, 이벤트 발생 시각에 의거하여, 「출구에서 상품을 검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결정한다(S746). 제어 장치(150)가 이 S746을 실행함으로써,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808)(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출구에서 상품을 검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결정한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는, 표시 장치(160)에 표시시킨 관리 화면(400)에 있어서의 리스트 표시부(408)의 이벤트 리스트(EL)에, 당해 이벤트명과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키(EK)」로서 새롭게 표시시킨다(S748). 제어 장치(150)가 이 S748을 실행함으로써, 관리 화면 표시부(810)(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계속해서, 도 11로 되돌아와, 제어 장치(150)는, 출구(308)를 연속 촬상하는 촬상기(136)로부터의 연속 화상 데이터(V3)에, 당해 「재생 개시 키(EK)」에 관련 지어진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S750).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 화상 데이터(V3)의 22시 00분에 「출구에서 상품 B를 검출」 이벤트의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되어 있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50을 실행함으로써, 시각 설정부(812)(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연속 화상 데이터(V3)로의 재생 개시 시각의 설정 완료에 의해, 출구 검출 처리 루틴(S740)은 종료된다. 도 7로 되돌아와, 제어 장치(150)는, 다시,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에서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하지 않은 경우(S604에서 판단이 NO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다음에, 관리 위치(302)즉 상품 선반에 설치된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8).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장치(170) 및 서버(174)의 통신 수단(176)을 통하여, 제1 정보 판독부(122)로부터 제어 장치(150)에 개체 식별 정보(I)가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608을 실행함으로써, 개체 식별 정보 수신부(800)(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S608)한 결과,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었을 때(S608에서의 판단이 YES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참조하여,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상품 선반 반입 시각(502)의 란에 이미 시각이 기록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10). 제어 장치(150)가 이 S610을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상품 선반 반입 시각(502)의 란에 이미 시각이 기록 완료된 경우(S610에서 판정이 YES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다시,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한편, 상품 선반 반입 시각(502)의 란에 아직도 시각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S610에서 판정이 NO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것을 「상품 선반에서 상품을 검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품 선반 검출 처리 루틴(S720)을 실행한다. 상품 선반 검출 처리 루틴(S720)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가, 시계(178)로부터 현재 시각을 이벤트 발생 시각으로서 취득하는 것(S722)부터 시작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22를 실행함으로써, 현재 시각 취득부(806)(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다음에, 제어 장치(150)는, 취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시각 기록 테이블(T)에 있어서의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가 포함되는 행의 상품 선반 반입 시각(502)의 란에 기록한다(S724). 제어 장치(150)가 이 S724를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그런 후, 제어 장치(150)는, 이벤트 발생 시각에 의거하여, 「상품 선반에서 상품을 검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결정한다(S726). 제어 장치(150)가 이 S726을 실행함으로써,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808)(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상품 선반에서 상품을 검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결정한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는, 표시 장치(160)에 표시시킨 관리 화면(400)에 있어서의 리스트 표시부(408)의 이벤트 리스트(EL)에, 당해 이벤트명과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키(EK)」로서 새롭게 표시시킨다(S728). 제어 장치(150)가 이 S728을 실행함으로써, 관리 화면 표시부(810)(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계속해서, 도 10으로 되돌아와, 제어 장치(150)는, 관리 영역(상품 선반)(302)을 연속 촬상하는 촬상기(134)로부터의 연속 화상 데이터(V2)에, 당해 「재생 개시 키(EK)」에 관련 지어진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S730).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 화상 데이터(V2)의 4시 00분에 「상품 선반에서 상품 A를 검출」 이벤트의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30을 실행함으로써, 시각 설정부(812)(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연속 화상 데이터(V2)에 대한 재생 개시 시각의 설정이 완료됨으로써, 상품 선반 검출 처리 루틴(S720)은 종료된다. 도 7로 되돌아와, 제어 장치(150)는, 다시,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S608)한 결과,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하지 않은 경우(S608의 판정이 NO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참조하여,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상품 선반 반입 시각(502)의 란에 이미 이벤트 발생 시각이 기록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12). 제어 장치(150)가 이 S612를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상품 선반 반입 시각(502)의 란에 아직도 이벤트 발생 시각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S612에서 판단이 NO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다시,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상품 선반 반입 시각(502)의 란에 이미 이벤트 발생 시각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S612에서 판단이 YES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또한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참조하여,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상품 선반 반출 시각(504)의 란에 이미 이벤트 발생 시각이 기록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14). 제어 장치(150)가 이 S614를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상품 선반 반출 시각(504)의 란에 아직도 이벤트 발생 시각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S614에서 판단이 NO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관리 영역(상품 선반)(302)에서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되지 않게 된 것을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을 반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품 선반 반출 처리 루틴(S760)을 실행한다. 상품 선반 반출 처리 루틴(S760)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가, 시계(178)로부터 현재 시각을 이벤트 발생 시각으로서 취득하는 것(S762)부터 시작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62를 실행함으로써, 현재 시각 취득부(806)(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다음에, 제어 장치(150)는, 이벤트 발생 시각을 시각 기록 테이블(T)에 있어서의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가 포함되는 행의 상품 선반 반출 시각(504)의 란에 기록한다(S764). 제어 장치(150)가 이 S764를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그런 후, 제어 장치(150)는, 이벤트 발생 시각에 의거하여,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을 반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결정한다(S766). 제어 장치(150)가 이 S766을 실행함으로써,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808)(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을 반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결정한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는, 표시 장치(160)에 표시시킨 관리 화면(400)에 있어서의 리스트 표시부(408)의 이벤트 리스트(EL)에, 당해 이벤트명과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키(EK)」로서 새롭게 표시시킨다(S768). 제어 장치(150)가 이 S768을 실행함으로써, 관리 화면 표시부(810)(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계속해서, 도 12로 되돌아와, 제어 장치(150)는, 관리 영역(상품 선반)(302)을 연속 촬상하는 촬상기(134)로부터의 연속 화상 데이터(V2)에, 당해 「재생 개시 키(EK)」에 관련 지어진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S770).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 화상 데이터(V2)의 15시 00분에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 A를 반출」 이벤트의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70을 실행함으로써, 시각 설정부(812)(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연속 화상 데이터(V2)로의 재생 개시 시각의 설정 완료에 의해, 상품 선반 반출 처리 루틴(S760)은 종료된다. 도 7로 되돌아와, 제어 장치(150)는, 다시,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상품 선반 반출 시각(504)의 란에 이미 시각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S614에서 YES인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는, 현재 시각과, 기록되어 있는 상품 선반 반출 시각(504)을 비교해, 양 시각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 이상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16). 제어 장치(150)가 이 S616을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양 시각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에 이르지 않은 경우(S616에서 NO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다시, 도 7로 되돌아와,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양 시각의 간격이 소정의 시간과 동일하거나 당해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 경우(S616에서 판단이 YES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참조하여, 당해 ID에 대응하는 출구 검출 시각(506)의 란에 이미 시각이 기재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18). 제어 장치(150)가 이 S618을 실행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80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출구 검출 시각(506)의 란에 이미 시각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S618에서 판단이 YES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다시, 도 7로 되돌아와,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출구 검출 시각(506)의 란에 아직도 시각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S618에서 판단이 NO인 경우), 제어 장치(150)는, 당해 ID에 대응하는 관리 대상(200)을 잃어 버린 「로스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로스트 처리 루틴(S780)을 실행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80을 실행함으로써, 로스트 이벤트 발생 판단부(814)(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로스트 처리 루틴(S780)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가 시계(178)로부터 현재 시각을 이벤트 발생 시각으로서 취득하는 것(S782)부터 시작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80을 실행함으로써, 현재 시각 취득부(806)(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그런 후, 제어 장치(15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60)에 표시시킨 관리 화면(400)에 있어서의 리스트 표시부(408)의 이벤트 리스트(EL)에, 당해 이벤트명과 로스트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을 새롭게 표시시킴과 함께, 관리 화면(400) 상에 당해 이벤트명이 크게 눈에 띄도록 하는 경보(K)(예를 들면, 「상품 A 로스트! 」)을 표시시킨다(S784). 이것과 동시에, 제어 장치(150)는, 가장 최근의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 A를 반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부터, 연속 화상 데이터(V2)의 화상(G2)을 선택 화상 표시부(410)에 재생 표시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명을 「로스트」로 하고 있지만, 물론, 이벤트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당해 이벤트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이벤트명을 사용해도 된다. 제어 장치(150)가 이 S784를 실행함으로써, 관리 화면 표시부(810)(도 6 참조)의 일부가 구성된다.
이상에 의해, 도 8로 되돌아와, 로스트 처리 루틴(S780)은 종료되고, 제어 장치(150)는, 다시, 도 7로 되돌아와,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600).
(사용자에 의한 원하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상(G)의 재생)
관리 화면(400)에 표시된 각 재생 개시 키(EK)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제어 장치(150)는, 선택된 재생 개시 키(EK)에 대응하는 이벤트에 관련 지어진 연속 화상 데이터(V)를, 당해 연속 화상 데이터(V)에 설정된 재생 개시 시각부터 재생하고, 당해 재생한 화상(G)을 관리 화면(400)의 선택 화상 표시부(410)에 표시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된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상품 관리의 예)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된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상품 관리의 하나의 구체예로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 A가 3시에 입구(306)를 통과하여 4시에 상품 선반에 납입되고, 그 후, 다른 상품 B가 9시 30분에 입구(306)를 통과하여 10시 30분에 상품 선반에 납입되며, 또한, 15시에 상품 A가 상품 선반으로부터 반출된 후에 18시에 상품 A에 「로스트」 이벤트가 발생하고, 20시에 상품 B가 상품 선반으로부터 반출된 후, 22시에 상품 B가 출구(308)로부터 반출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전제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대의 촬상기(132, 134, 136)가 각각 입구(306), 상품 선반(관리 위치(302)), 출구(308)를 연속 촬상함으로써 생성된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가, 제어 장치(150)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170)를 통하여 기억 장치(140)에 연속해서 기억되어 있다.
(상품 A가 입구(306)를 통과)
상품 A가 3시에 입구(306)를 통과하면, 입구(306)의 근방에 설치된 정보 판독 장치(120)의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가 상품 A에 부착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다(도 7의 S600에서 판단이 YES). 그러면, 제어 장치(150)는, 기억 장치(140)에 기억된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참조하여(도 5 참조),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의 행에 있어서의 입구 검출 시각(500)란에 시각이 미기입된 것으로 판단한다(도 7의 S602에서 판단이 NO). 또한, 당해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의 란이 시각 기록 테이블(T)에 작성되어 있지 않으면, 먼저 동일 ID의 란을 작성한다.
그런 후, 제어 장치(150)는, 입구 검출 처리 루틴 S700(도 9 참조)을 실행하여, 시각 기록 테이블(T)에 입구 검출 시각(3시)을 기록함과 함께(S704), 이벤트명 「입구에서 상품 A를 검출」 및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키(EK)」로서 관리 화면(400)에 있어서의 리스트 표시부(408)의 이벤트 리스트(EL)에 표시한다(S708: 도 16을 참조).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50)는, 입구(306)의 연속 화상 데이터(V1)에 당해 이벤트명 「입구에서 상품 A를 검출」 및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S710: 도 15 참조). 이것에 의해, 당해 「재생 개시 키(EK)」가 선택되면, 제어 장치(150)는,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에서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이벤트 발생 시각, 즉, 상품 A가 입구(306)를 통과한 시각부터, 연속 화상 데이터(V1)의 화상(G1)을 도 3에 나타내는 선택 화상 표시부(410)에 재생 표시한다.
(상품 A가 상품 선반에 처음으로 반입된다)
다음에, 상품 A가 4시에 상품 선반에 납입되면, 상품 선반(관리 위치(302))의 근방에 설치된 제1 정보 판독부(122)가 상품 A에 부착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다(도 7의 S608에서 판단이 YES). 그러면, 제어 장치(150)는, 기억 장치(140)에 기억된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참조하여(도 5 참조),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의 행에 있어서의 상품 선반 반입 시각(502)란에 시각이 미기입된 것으로 판단한다(S610에서 판단이 NO: 도 7 참조).
그런 후, 제어 장치(150)는, 도 10에 나타내는 상품 선반 검출 처리 루틴 S720을 실행하여, 시각 기록 테이블(T)에 상품 선반 반입 시각(4시)을 기록함과 함께(S724), 이벤트명 「상품 선반에서 상품 A를 검출」 및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키(EK)」로서 이벤트 리스트(EL)에 표시한다(S728: 도 16을 참조). 또한, 제어 장치(150)는, 상품 선반(관리 위치(302))의 연속 화상 데이터(V2)에 당해 이벤트명 「상품 선반에서 상품 A를 검출」 및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S730: 도 15 참조). 이것에 의해, 당해 「재생 개시 키(EK)」가 선택되면, 제어 장치(150)는,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이벤트 발생 시각, 즉, 상품 A가 상품 선반(관리 위치(302))에 반입된 시각부터, 연속 화상 데이터(V2)의 화상(G2)을 선택 화상 표시부(410)에 재생 표시한다(도 16 참조).
(상품 B가 입구(306)를 통과함과 함께 상품 선반에 처음으로 반입된다)
상품 B가 입구(306)를 통과함과 함께 상품 선반에 반입되었을 때도, 상품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시각이 시각 기록 테이블(T)에 기록됨과 함께, 이벤트명 및 이벤트 발생 시각이 이벤트 리스트(EL)에 표시된다. 또, 이벤트명 및 재생 개시 시각이 연속 화상 데이터(V1 및 V2)에 설정된다(도 15 및 도 16 참조).
(상품 A가 상품 선반으로부터 반출된다)
상품 선반(관리 위치(302))에 있어서 제1 정보 판독부(122)가 정기적으로 판독했던 개체 식별 정보(I)가 당해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판독할 수 없게 되었을 때(도 7의 S612에서 판단이 YES), 제어 장치(150)는, 기억 장치(140)에 기억된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참조하여,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의 행에 있어서의 상품 선반 반출 시각(504)란에 시각이 미기입된 것으로 판단한다(S614에서 판단이 NO).
그런 후, 제어 장치(150)는, 상품 선반 반출 처리 루틴(S760)을 실행하여, 시각 기록 테이블(T)에 상품 선반 반출 시각(15시)을 기록함과 함께,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벤트명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 A를 반출」 및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키(EK)」로서 이벤트 리스트(EL)에 표시한다(S768: 도 3을 참조). 또한, 제어 장치(150)는, 상품 선반(관리 위치(302))의 연속 화상 데이터(V2)에 당해 이벤트명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 A를 반출」 및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S770: 도 15 참조). 이것에 의해, 당해 「재생 개시 키(EK)」가 선택되면, 제어 장치(15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개체 식별 정보(I)가 판독될 수 없게 된 이벤트 발생 시각, 즉, 상품 A가 상품 선반(관리 위치(302))으로부터 반출된 시각부터, 연속 화상 데이터(V2)의 화상(G2)을 선택 화상 표시부(410)에 재생 표시한다.
(상품 A에 「로스트 이벤트」가 발생)
상품 A가 상품 선반으로부터 반출되었다고 판단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도 8에 있어서의 S616에서 판단이 NO)는, 제1 정보 판독부(122)에서 당해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없어도, 제어 장치(150)는 특별한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한편, 당해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S616에서 판단 YES), 제어 장치(150)는, 기억 장치(140)에 기억된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참조하여, 당해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의 행에 있어서의 출구 검출 시각(506)란에 시각이 미기입된 것으로 판단한다(S618에서 판단이 NO).
그러면, 제어 장치(150)는, 로스트 처리 루틴(S780)을 실행하여, 이벤트명 「상품 A 로스트」 및 이벤트 발생 시각을 이벤트 리스트(EL)에 표시한다(S784: 도 16을 참조). 또한, 제어 장치(150)는, 관리 화면(400) 상에 이벤트명 「상품 A 로스트」가 크게 눈에 띄도록 하는 경보(K)를 표시시킨다(S784). 또, 이것과 동시에, 가장 최근의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 A를 반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부터 연속 화상 데이터(V2)의 화상(G2)을 선택 화상 표시부(410)에 재생 표시한다.
또한, S616에 있어서의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품 A가 출구(308)를 통과하고 있었던 경우,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가 상품 A에 부착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함으로써, 시각 기록 테이블(T)의 출구 검출 시각(506)에 이벤트 발생 시각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S618의 판단이 NO가 되어 「로스트」 이벤트가 발생하는 일은 없어진다.
(상품 B가 처음으로 출구(308)를 통과)
상품 B가 22시에 출구(308)를 통과하면, 출구(308)의 근방에 설치된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가 상품 B에 부착된 정보 기억 부재(110)로부터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다(도 7에 있어서의 S604에서 판단이 YES). 그러면, 제어 장치(150)는, 시각 기록 테이블(T)을 참조하여, 판독한 개체 식별 정보(I)에 대응하는 ID의 행에 있어서의 출구 검출 시각(506)란에 시각이 미기입된 것으로 판단한다(S606에서 판단이 NO).
그런 후, 제어 장치(150)는, 출구 검출 처리 루틴 S740을 실행하여, 시각 기록 테이블(T)에 출구 검출 시각(22시)을 기록함과 함께(S744: 도 15 참조), 이벤트명 「출구에서 상품 B를 검출」 및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키(EK)」로서 이벤트 리스트(EL)에 표시한다(S748: 도 3을 참조). 또한, 제어 장치(15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308)의 연속 화상 데이터(V3)에 당해 이벤트명 「출구에서 상품 B를 검출」 및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S750). 이것에 의해, 이 「재생 개시 키(EK)」가 선택되면, 제어 장치(150)는,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에서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이벤트 발생 시각, 즉, 상품 B가 출구(308)를 통과한 시각부터, 연속 화상 데이터(V3)의 화상(G3)을 선택 화상 표시부(410)에 재생 표시한다.
(관리 시스템(100)의 특징 1)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이벤트의 발생과는 관계 없이 관리 위치(302) 등을 연속 촬상하여 생성해 둔 연속 화상 데이터(V)에 대해,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리 위치(302) 등을 촬상하여 작게 구분된 화상 데이터를 많이 생성하는 종래의 관리 시스템에 비해 심플하며 필요한 기억 용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 관리 시스템(100)에 의하면, 이벤트수가 많아졌다고 해도 화상 데이터로의 재생 개시 시각의 설정수가 많아지는 것뿐이며,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비교했을 때, 설정수의 증가에 따른 데이터량의 증가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몇 종류의 화상 데이터를 어느 정도의 길이로 보존해 두는지와 같은 사양을 결정함으로써, 시스템에 필요한 기억 용량을 정밀도 있게 결정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100)의 특징 2)
또,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명」이나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키(EK)」로서 표시 장치(160)의 관리 화면(400)에 표시시키고, 사용자에 의한 당해 「재생 개시 키(EK)」의 선택을 받아들여, 선택된 「재생 개시 키(EK)」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부터 화상(G)을 표시 화면에서 재생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벤트를 선택하는 것 만으로, 연속 촬상된 화상(G)을 확인하고 싶은 이벤트에 대응하는 시각부터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등의 관리 대상(200)의 관리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100)의 특징 3)
또,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관리 영역(300)(예를 들면, 창고)에 있어서의 관리 위치(302)(예를 들면, 상품 선반)나 출입구(304)와 같은 복수의 위치를 복수의 촬상기(132, 134, 136)를 이용하여 연속 촬상함으로써 복수의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를 생성하고, 각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에 「이벤트명」과 「재생 개시 시각」을 설정함과 함께 대응하는 「재생 개시 키(EK)」를 관리 화면(400)에 표시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이벤트를 가장 파악하기 쉬운 연속 화상 데이터(V1, V2, V3)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관리 시스템(100)의 특징 4)
또,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관리 위치(302)(상품 선반)에서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없게 된 경우(S608에서 판단이 NO)도 이벤트로서 처리하고 있으므로, 관리 위치(302)(상품 선반)로부터 관리 대상(200)(상품)이 꺼내어진 시각을 검출하고, 당해 시각을 재생 개시 시각으로서 화상(G)을 재생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100)의 특징 5)
또,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관리 위치(302) 및 출입구(304)를 연속 촬상하고 있으므로, 관리 위치(302) 뿐만 아니라, 관리 영역(300)에 관리 대상(200)이 출입하는 상황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100)의 특징 6)
또한,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출입구(304)를 입구(306)와 출구(308)로 나누고, 이들 양쪽의 근방에 정보 판독부(124, 126)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관리 영역(300)에 들어가는 관리 대상(200)과, 관리 영역(300)으로부터 나오는 관리 대상(200)을 명확하게 구별해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관리 영역(300)으로의 출입이 많은 관리 대상(200)을 취급하는 경우여도, 당해 관리 대상(200)의 출입이 원활한 관리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100)의 특징 7)
또,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개체 식별 정보(I)가 기억된 정보 기억 부재(110)로서 RFID 태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개체 식별 정보(I)를 자동적으로 판독할 수 있어,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관리 시스템(100)의 특징 8)
또,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제어 장치(150)가 관리 화면(400)에 「상품 A 로스트」의 경보(K)를 표시시킴과 동시에, 가장 최근의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 A를 반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부터, 연속 화상 데이터(V2)의 화상(G2)을 선택 화상 표시부(410)에 재생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로스트」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알게 된 사용자는, 당해 상품을 누가 상품 선반으로부터 꺼냈는지를 확인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이 변형예에 의하면, 「로스트」 이벤트를 알게 된 사용자는, 아무것도 조작을 행할 필요 없이, 가장 최근의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 A를 반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상(G2)을 확인할 수 있다.
(촬상 장치(13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촬상 장치(130)에서는,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120)가 정보 기억 부재(110)에 기억된 관리 대상(200)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하여 연속 화상 데이터(V)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연속 화상 데이터(V)에는, 개체 식별 정보(I)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즉, 촬상 장치(130)는,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120)가 정보 기억 부재(110)에 기억된 관리 대상(200)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하여 연속 화상 데이터(V)를 생성하는 것이며, 연속 화상 데이터(V)에는, 개체 식별 정보(I)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촬상 장치(130)에서는,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120)가 정보 기억 부재(110)에 기억된 관리 대상(200)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하여 연속 화상 데이터(V)를 생성하는 방법이 실행되며, 연속 화상 데이터(V)에는, 개체 식별 정보(I)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 장치(15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서버(174)의 제어 장치(150)에서는,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120)가 정보 기억 부재(110)에 기억된 관리 대상(200)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V)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단계와, 개체 식별 정보(I)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취득하는 단계와,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을 연속 화상 데이터(V)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PC측 제어 장치(152)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PC(172)의 PC측 제어 장치(152)에서는,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120)가 정보 기억 부재(110)에 기억된 관리 대상(200)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V)이며, 개체 식별 정보(I)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된 연속 화상 데이터(V)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 장치(16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변형예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화면(400)에 표시된 「재생 개시 키(EK)」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당해 「재생 개시 키(EK)」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화상(G)이 재생되게 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제어 장치(150)가, 사용자가 「재생 개시 키(EK)」를 선택하지 않아도, 예를 들면 가장 최근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화상(G)을 자동적으로 재생하도록 해도 된다. 또, 사용자에 의한 「재생 개시 키(EK)」의 선택에 의해 대응하는 이벤트의 화상(G)을 재생하는 경우와, 자동적으로 당해 화상(G)을 재생하는 경우를 조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50)가 관리 화면(400)에 「상품 A 로스트」의 경보(K)를 표시시킴과 동시에, 가장 최근의 「상품 선반으로부터 상품 A를 반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부터, 연속 화상 데이터(V2)의 화상(G2)을 선택 화상 표시부(410)에 재생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 대신에, 「상품 A 로스트」의 경보 만을 발보시키고, 화상(G2)은 자동 재생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B)
개체 식별 정보(I)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제어 장치(150)가, 개체 식별 정보(I)에 의거하여, 정보 기억 부재(110)의 수, 정보 기억 부재(110)의 종류, 정보 판독 장치(120)가 처음으로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시각, 혹은, 정보 판독 장치(120)가 마지막으로 특정의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한 시각을 기억 장치(140)에 기억시켜도 된다.
(변형예 C)
상기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 2에 있어서, 입구(306)나 출구(308)는, 대규모의 「게이트」로서 그리고 있지만, 입구(306) 및 출구(308)의 양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통로 상에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6)나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128)가 설치되어 있는 것 뿐이어도 된다. 또, 입구(306) 및 출구(308)로 하지 않고, 양쪽 모두 관리 대상(200)이 출입할 수 있는, 제1 출입구 및 제2 출입구로 하고, 각각에 다른 정보 판독 장치(120)를 설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관리 대상(200)을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변형예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화면(400)에 표시한 「이벤트명」이나 「이벤트 발생 시각」을 「재생 개시 키(EK)」로서 사용하고 있었지만, 이것 대신에, 혹은, 이것에 더하여, 다른 「재생 개시 키(EK)」를 사용해도 된다. 다시 말하면, 「재생 개시 키(EK)」는, 관리 화면(400) 상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별도 설치한 하드웨어에 「재생 개시 키(EK)」(혹은 버튼)을 설치해도 된다.
(변형예 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130)로서 3대의 촬상기(132, 134, 136)가 이용되고 있으며, 또, 정보 판독 장치(120)로서 3대의 정보 판독부(122, 124, 126)가 이용되고 있지만, 촬상 장치(130)나 정보 판독 장치(120)의 대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좁고, 또한, 1개의 출입구(310)를 가지는 관리 영역(300)의 경우, 1대의 촬상기(138)로 관리 위치(302)와 출입구(310)를 함께 촬상하고, 1대의 정보 판독부(129)를 출입구(310)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 뿐이어도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경우, 촬상기(138)가 연속 촬상하여 1개의 연속 화상 데이터(V4)가 생성된다. 이 때문에, 당해 연속 화상 데이터(V4)에 설정되는 이벤트명 및 이벤트 발생 시각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된다. 또, 처리 플로우에 대해서도,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음에 「출입구(310)에서 개체 식별 정보(I)를 판독했는지」가 판단되며(S650), 당해 판단이 YES이면 「출입구에서 상품을 검출」 이벤트가 발생하고, 시각 기록 테이블(T)의 출입구 검출 시각 508에 이벤트 발생 시각을 기록하는 출입구 검출 처리 루틴 S790이 실행된다. 또한, 출입구 검출 처리 루틴 S790은, 기본적으로 입구 검출 처리 루틴(S700: 도 9를 참조)과 동일하며, 「입구 검출 시각」이 「출입구 검출 시각」으로 바뀌는 것 뿐이다.
(변형예 F)
상기 실시 형태에서도 서술했지만, 관리 시스템(100)의 처리는, 네트워크 장치(170)에 접속된 PC(172) 내의 PC측 제어 장치(152)로 행해도 되고, 네트워크 장치(170)에 접속된 서버(174) 내의 제어 장치(150)로 행해도 된다. 또, PC(172) 내의 PC측 제어 장치(152)가 서버(174) 내의 기억 장치(140)를 이용하여 관리 시스템(100)의 처리를 행해도 되고, 반대로, 서버(174) 내의 제어 장치(150)가 PC(172) 내의 PC측 기억 장치(142)를 이용하여 관리 시스템(100)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다시 말하면, 관리 시스템(100)의 처리를 네트워크 장치(170)에 접속된 노트 PC나 타블렛으로 행해도 된다.
(변형예 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관리 시스템(100)을 재고 관리에 사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관리 시스템(100)의 사용처는 이러한 「물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사람」의 관리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 시스템(100)을 입퇴실 관리에 사용하는 경우, 관리 영역(300)은, 오피스, 공장, 학교이며, 관리 위치(302)는, 데스크, 작업장, 교실이다. 또, 예를 들면, 작업원을 관리 대상(200)으로 하여, 당해 작업원이 출입구(304) 등의 개체 식별 정보(I)의 정보 판독 장치(120)의 근처나 촬상 장치(130)로 촬상 가능한 장소를 통과한 시각 등을 검출하여, 작업원의 움직임 등을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100)으로 할 수도 있다.
(변형예 H)
상기 실시 형태 대신에, 관리 대상(200)의 입하 시 혹은 출하 시의 검사(예를 들면, 관리 대상(200)의 수나 문제 없이 가동하는지 아닌지의 검사)에도 관리 시스템(100)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사를 실시하는 장소의 근방에 정보 판독 장치(120)를 설치함과 함께, 당해 장소를 카메라로 촬상한다. 또, 입하 또는 출하하는 관리 대상(200)의 개체 식별 정보(I)를 정보 판독 장치(120)에서 판독함과 함께 검사를 실시하고, 당해 검사가 행해지는 타이밍을 이벤트 발생 시각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개개의 관리 대상(200)마다 검사가 실시된 시점부터의 연속 화상을 PC(172)로 확인하여, 적절한 검사가 행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변형예 I)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대상(200)의 반입이나 반출, 로스트 등을 이벤트로서 예시하고 있지만, 이벤트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관리 대상(200)을 두는 장소를 잘못 안 경우나, 특정의 종류의 관리 대상(200)의 수가 일정 미만이 된 경우 등이어도 되며, 관리 시스템(100)의 내용이나 적용 장소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변형예 J)
또, 출하 또는 입하했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관리 대상(200)이 선반 등의 소정 장소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리는 고지를 PC(172)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으로서의 관리 대상(200)에 폐기 기한 등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하 시부터의 경과 시간을 검출하여, 미리 설정한 기간(폐기 기한이나 폐기 기한부터 1개월 전 등)이 경과한 시점에서 고지함으로써, 폐기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00: 관리 시스템 110: 정보 기억 부재
120: 정보 판독 장치 122: 제1 정보 판독부
124: 제2 정보 판독부 126: 입구측 제2 정보 판독부
128: 출구측 제2 정보 판독부 129: 정보 판독부
130: 촬상 장치 132, 134, 136, 138: 촬상기
140: 기억 장치 142: PC측 기억 장치
150: 제어 장치 152: PC측 제어 장치
160: 표시 장치 170: 네트워크 장치
172: PC 174: 서버
176: 통신 수단 177: PC측 통신 수단
178: 시계 179: PC측 시계
200: 관리 대상 300: 관리 영역
302: 관리 위치 304: 출입구
306: 입구 308: 출구
310: 출입구 400: 관리 화면
402, 404, 406: 촬상기 화상 표시부 408: 리스트 표시부
410: 선택 화상 표시부 500: 입구 검출 시각
502: 상품 선반 반입 시간 504: 상품 선반 반출 시간
506: 출구 검출 시간 508: 출입구 검출 시각
800: 개체 식별 정보 수신부 802: 연속 화상 데이터 수신부
804: 시각 기록 테이블 취급부 806: 현재 시각 취득부
808: 재생 개시 시각 결정부 810: 관리 화면 표시부
812: 시각 설정부 814: 로스트 이벤트 발생 판단부
I: (정보 기억 부재가 보유하는) 개체 식별 정보
V: 연속 화상 데이터 G: 화상
EL: 이벤트 리스트 SL: 재고 리스트
PL: 상품 정보 리스트 T: 시각 기록 테이블
K: 경보 EK: 재생 개시 키

Claims (17)

  1.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 부재와,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정보 기억 부재로부터의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 판독 장치와,
    적어도 상기 정보 판독 장치가 상기 정보 기억 부재로부터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하여 연속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장치와,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정보 판독 장치에서 판독한 상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취득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의 태그를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에 임베딩함으로써 설정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키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고,
    상기 재생 개시 키의 선택을 받아들여, 선택된 상기 재생 개시 키에 대응하는 상기 재생 개시 시각으로부터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상기 표시 장치에 재생시키는,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복수의 촬상기를 가지고 있으며,
    복수의 상기 촬상기로 촬상된 복수의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는, 각각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개체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 기억 부재의 수, 종류, 상기 정보 판독 장치가 최초로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 시각, 및, 상기 정보 판독 장치가 마지막으로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에는, 상기 정보 판독 장치가 특정의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 경우가 포함되어 있는,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에는, 특정의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했던 상기 정보 판독 장치가 동일한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없게 된 경우가 포함되어 있는,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억 부재는, 관리 영역에서 관리되는 상기 관리 대상에 부착되며,
    상기 관리 영역은,
    상기 관리 영역 내에 설정된 관리 위치와,
    상기 관리 영역에 출입하는 상기 관리 대상이 통과하는 출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관리 영역, 및, 상기 출입구를 연속 촬상하는,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독 장치는,
    상기 관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정보 기억 부재로부터의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제1 정보 판독부와,
    상기 출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정보 기억 부재로부터의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제2 정보 판독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벤트에는, 상기 제1 정보 판독부 및 상기 제2 정보 판독부에서 각각 특정의 상기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 후, 소정 시간 이상, 특정의 상기 개체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정보 판독부 및 상기 제2 정보 판독부에서 판독되지 않게 된 경우가 포함되어 있는,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상기 관리 영역에 들어가는 상기 관리 대상이 통과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는 별도로 상기 관리 영역에서 나오는 상기 관리 대상이 통과하는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에는 각각 다른 상기 정보 판독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상기 관리 영역에 출입하는 상기 관리 대상이 통과하는 제1 출입구와, 상기 제1 출입구와는 별도로 상기 관리 영역에 출입하는 상기 관리 대상이 통과하는 제2 출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출입구 및 상기 제2 출입구에는 각각 다른 상기 정보 판독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억 부재는 RFID 태그이며,
    상기 정보 판독 장치는 RFID 리더인, 관리 시스템.
  12.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와,
    상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에는, 태그를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에 임베딩함으로써 상기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취득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의 태그를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에 임베딩함으로써 설정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서버.
  14.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이며, 상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의 태그가 임베딩된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
  15. 표시 장치와,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이며, 상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의 태그가 임베딩된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
  16.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고,
    상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을 취득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의 태그를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에 임베딩하는, 관리 방법.
  17. 적어도 정보 판독 장치가 정보 기억 부재에 기억된 관리 대상의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를 연속 촬상한 연속 화상 데이터이며, 상기 개체 식별 정보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 발생 시각에 대응하는 재생 개시 시각의 태그가 임베딩된 상기 연속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관리 방법.
KR1020177025982A 2015-02-24 2016-02-23 관리 시스템, 서버,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201701253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34434 2015-02-24
JP2015034434 2015-02-24
PCT/JP2016/055272 WO2016136748A1 (ja) 2015-02-24 2016-02-23 管理システム、サーバ、管理装置、および、管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346A true KR20170125346A (ko) 2017-11-14

Family

ID=5678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982A KR20170125346A (ko) 2015-02-24 2016-02-23 관리 시스템, 서버,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354506B2 (ko)
EP (1) EP3264751A4 (ko)
JP (1) JP6755853B2 (ko)
KR (1) KR20170125346A (ko)
CN (1) CN107409195A (ko)
TW (1) TWI706338B (ko)
WO (1) WO20161367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8912B2 (en) * 2000-10-24 2011-01-11 Objectvideo, Inc. Video surveillance system employing video primitives
AU2002341273A1 (en) 2002-10-11 2004-05-04 Geza Nemes Security system and proces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people and goods
JP2004266623A (ja) * 2003-03-03 2004-09-24 Ffc:Kk 監視カメラ管理システム
JP2004312511A (ja) * 2003-04-09 2004-11-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編集システム,園児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福祉施設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記念ビデオ作成システム,行動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映像編集方法
US20050110634A1 (en) 2003-11-20 2005-05-26 Salcedo David M. Portable security platform
US20060001537A1 (en) * 2003-11-20 2006-01-05 Blake Wilbert L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cess to security event information
CN1694531A (zh) * 2004-02-11 2005-11-09 传感电子公司 用于远程访问安全事件信息的系统和方法
US9621749B2 (en) * 2005-06-02 2017-04-11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apturing selected image objects
JP4735172B2 (ja) * 2005-10-06 2011-07-27 オムロン株式会社 生産管理装置、生産管理方法、生産管理プログラム、生産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生産システム
CN100547604C (zh) 2006-03-27 2009-10-07 李克 带有电子标签录像的物流查询系统
CN1889097B (zh) * 2006-03-27 2010-05-12 李克 带有电子标签录像的防伪查验系统和方法
JP2008078954A (ja) 2006-09-21 2008-04-0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画像管理システム
JP4933354B2 (ja) * 2007-06-08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9093558A (ja) 2007-10-11 2009-04-30 Toray International Inc 入退域管理システム
US20100127922A1 (en) * 2008-11-21 2010-05-27 Emerson Electric Co. System for sharing video captured at jobsite
JP2010130577A (ja) 2008-11-28 2010-06-10 Fujitsu Ten Ltd 常時記録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523122B2 (ja) * 2009-03-16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598074A (zh) * 2009-09-01 2012-07-18 德马荷工业相机股份有限公司 摄像机系统
JP5570176B2 (ja) * 2009-10-19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02055958A (zh) * 2009-10-27 2011-05-11 南京理工大学 发电厂灰库粉煤灰发货过程的图像监控方法和系统
WO2012122269A2 (en) * 2011-03-07 2012-09-13 Kba2,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tic data gathering from image providers at an event or geographic location
US20130039634A1 (en) * 2011-08-12 2013-02-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n intelligent video clip for improved investigations in video surveillance
CN103020624B (zh) * 2011-09-23 2015-12-02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混合车道监控视频智能标记、检索回放方法及其装置
JP5903557B2 (ja) 2011-12-27 2016-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3294829B (zh) * 2013-06-26 2017-05-03 公安部第三研究所 基于Android操作系统实现轻量化视频结构化描述的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4751A1 (en) 2018-01-03
CN107409195A (zh) 2017-11-28
US10354506B2 (en) 2019-07-16
JPWO2016136748A1 (ja) 2017-12-28
EP3264751A4 (en) 2018-03-28
US10614690B2 (en) 2020-04-07
US20190311593A1 (en) 2019-10-10
JP6755853B2 (ja) 2020-09-16
TW201635202A (zh) 2016-10-01
WO2016136748A1 (ja) 2016-09-01
US20180047270A1 (en) 2018-02-15
TWI706338B (zh)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1534B2 (ja) 商品管理装置、商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70854A1 (ja) セルフposシステム、セルフpos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8922028A (zh) 自动售卖设备、自动售卖设备的控制方法及系统
JP5352483B2 (ja) 作業画像管理システム
JP2012203770A (ja) 作業分析システム
US11080977B2 (en) Management system, server, management device, and management method
KR20040046768A (ko) Dvr이 내장된 pos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WO2021163353A1 (en) Remote rent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8460363A (zh) 监控考勤方法、装置及系统
US20050035858A1 (en) Monitoring system
US200300956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lert conditions in a surveillance system
KR20170125346A (ko) 관리 시스템, 서버,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JP2009093558A (ja) 入退域管理システム
JP202201239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7310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689502B1 (ko) 비디오 텍스트 삽입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94957B1 (ko) 텍스트 검색 기반의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JP2007329622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WO2023032243A1 (ja) 商品入れ替え提案システム、および、収納庫
CN215954341U (zh) 一种物品管理系统
EP41605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0729276B1 (ko) 아날로그 영상정보와 디지털 텍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합성관리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TWM599199U (zh) 選物販賣機物品偵測系統
KR100301279B1 (ko) 화상을 이용한 화상업무종합관리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465762B1 (ko)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금전등록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