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064A -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및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및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064A
KR20170123064A KR1020160052240A KR20160052240A KR20170123064A KR 20170123064 A KR20170123064 A KR 20170123064A KR 1020160052240 A KR1020160052240 A KR 1020160052240A KR 20160052240 A KR20160052240 A KR 20160052240A KR 20170123064 A KR20170123064 A KR 2017012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rner
synthetic resin
edg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583B1 (ko
Inventor
한상철
Original Assignee
한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철 filed Critical 한상철
Priority to KR102016005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58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oblong elements connected both laterally and at their 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HBENDING WOOD OR SIMILAR MATERIAL; COOPERAGE; MAKING WHEELS FROM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H1/00Bending wood stock, e.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2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oblong elements connected laterally
    • B27M3/005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oblong elements connected laterally using g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8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connecting using glu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목재 패널에 일 방향으로 모서리용 홈을 형성하고 홈의 두 내면이 서로 접근하도록 목재 패널을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는 목재 패널의 모서리 결합구조에 있어서, 두 내면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두 내면 사이에 합성수지 결합층이 위치하고, 두 내면의 각각에는 보조홈이 설치되며 합성수지 결합층에는 보조홈을 채우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의 모서리 결합구조와 이를 형성하는 형성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의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종래에 비해 안정되고 내구성 있는 모서리 결합 구조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및 형성방법 {Lumber Panel Edge Combination Structure and Form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목재 패널 가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를 제조하기 위해 목재 패널로 모서리를 접힘 가공으로 제작함에 있어 모서리 응력 집중으로 인한 외면 필름 혹은 시트 지의 균열, 파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서리의 날카로운 부분에 대한 곡면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구용 패널은 원목 또는 MDF나 파티클보드, 집성목 등과 같은 합성 목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근래에는 제조비용이 저렴한 합성 목재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합성 목재로는 나무를 가공할 때 생기는 톱밥이나 자투리에서 섬유질만 뽑아 압출한 중밀도 섬유판(MDF : Medium Density Fiberboard), 미송 원목을 약 5cm의 폭으로 자른 각재를 접착제로 붙인 집성목, 목재나 대나무, 사탕수수 등의 목섬유 성분을 기계적으로 분쇄한 뒤 작은 조각을 접착제와 혼합해서 만든 파티클보드(PB : paticle board) 및 목재를 얇은 판으로 만들어서 접착제를 이용해 여러 장 붙인 합판(plywood) 등이 있다.
합성 목재로 제조되는 가구용 패널은 자연스런 나무 무늬가 없어 나무의 질감이 살아나지 않고 충격이나 집중된 힘을 받기 쉬운 부분은 재료가 된 조각, 덩어리가 부스러져 분리되기 쉬운 단점을 가지므로 통상 그 외측에 외관과 패널 보호를 위한 시트 지가 부착되어 사용된다.
패널과 패널을 결합하여 가구를 제조할 때에는 볼트와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 고정수단과 핀 등의 결합수단이 이용된다. 가구 제작 과정에서 패널이 직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만들어질 때 통상은 패널의 두 단부를 맞붙인 다음 맞붙는 부분을 체결 고정수단 또는 결합수단으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강한 하중을 받지 않는 가구나 목구조물의 절곡부분 혹은 모서리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무 패널 부재에 V자형 홈을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 시트 지를 부착하고, V자형 홈의 두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두 내면이 서로 접근하여 밀착되도록 굽혀 형성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렇게 V자형의 홈을 형성하여 절곡시켜 모서리를 형성하는 경우 만들어진 모서리부분이 날카로워 이 부분에 사용자나 작업자가 상해를 입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고, 모서리가 외부의 힘, 충격을 받으면 첨부에 힘이 집중되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스러져 손상되기 쉽고, 그 첨부에 인장력이 집중되어 부착된 시트 지나 필름이 찢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모서리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몇 가지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그런 방법 가운데 하나는 도 2와 같은 예에서 보듯이 v자형 홈을 형성할 때 홈을 사이각이 직각인 하나의 홈으로 형성하지 않고, 복수 개의 홈으로 형성하고, 이들 홈의 사이각의 합이 직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모서리는 하나의 직각으로 형성되지 않고 복수 개의 둔각으로 형성되어 날카로운 부분이 다소 경감된다.
도 3은 V자형 홈 하단에 라운드 홈을 형성하고, 접힘 가공 시 이 홈에는 보강 바를 삽입하여 홈의 공간을 채우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이런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패널의 모서리 부위가 곡면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개선된 접힘 방식으로 모서리를 형성하는 경우 모서리에 의한 상해나, 모서리의 첨부로 인한 손상가능성 증대, 시트지 필름의 파손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지만, 이런 모서리 구조도 어느 정도는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담을 받게 되는데, 서로 병행된 접착 부분이 늘게 되면서 이런 부분 가운데 일부에서 이상이 발생하여도 결합상태, 즉, 일정한 구조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가령, 홈을 여러 개로 만들어서 나무 패널 사이의 수직으로 결합되는 부분을 형성하는 경우, 접착면 숫자가 늘어나는 데, 이들 가운데 어느 하나만 부실하게 접착이 이루어져도 그 부분에서 틈이 벌어지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정도의 하중이 걸리는 부분에도 외관상 매끈한 형태를 이루고, 볼트나 핀과 같은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보강을 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가공의 비용과 노력이 줄이기 위해 결합 부재의 사용 없이 굽힘 가공으로 모서리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모서리의 결합상태와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유지하기 위한 보다 안정적인 결합수단이 요청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8408호 : 모서리 접힘 가공용 목재패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6601호 : 가구용 패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안정된 결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안정된 결합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합구조는, 목재 패널에 일 방향으로 모서리용 홈을 형성하고 홈의 두 내면(서로 마주보는 두 면)이 서로 접근하도록 목재 패널을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는 목재 패널의 모서리 결합구조에 있어, 상기 두 내면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두 내면 사이에 합성수지 결합층이 위치하고, 상기 두 내면의 각각에는 보조홈이 설치되며 합성수지 결합층에는 보조홈을 채우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수지 결합층은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전체적으로 Y자형을 이루고, 상기 두 내면 사이에 Y자의 줄기 부분이 위치하고, Y자의 갈라진 두 가지 부분은 모서리를 이루는 두 목재 패널 부분의 내측 면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서리용 홈은 홈이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V자를 이루는 양측 선에 보조홈에 해당하는 노치부를 가지는 V자홈(groove)이거나, 이런 V자형 홈의 뾰족한 하단이 열린 원형 홈으로 대체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모서리용 홈의 하단이 열린 원형 홈으로 된 것일 때, 열린 원형 홈에는 봉형 혹은 원통형 심재가 위치하여, 굽힘 가공을 통해 모서리 구조가 이루어질 때 이 심재가 모서리 외측에 존재하면서 모서리 외측 끝단이 라운드형 모서리를 이루고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합성수지 결합층은 기재층과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지거나, 열융착이 용이한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테이프의 기재층이 열융착이 용이한 합성수지층일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결합층은 대략 Y자형 단면을 가지는 경우, 이 Y자의 줄기 부분 하단에 원통형 혹은 봉형의 심재가 일체로 결합,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모서리 외측을 포함하여 이 모서리를 형성하는 두 목재 패널 부분의 외측 표면에는 시트층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서리 결합구조 형성방법은, 목재 패널의 모서리를 형성할 부분에 일 방향으로 보조홈을 포함하는 모서리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조홈을 포함하는 모서리용 홈의 내면 굴곡에 맞도록 돌기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결합부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합성수지 결합부재가 부착된 상태로 모서리용 홈의 두 내면이 접근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목재 패널을 굽힘 가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모서리 결합구조 형성방법에서 물론 필요에 따라 목재 패널의 모서리용 홈이 형성된 표면과 반대쪽 표면에는 시트층이 부착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서리 결합구조 형성방법에서 모서리용 홈을 형성할 때 모서리용 홈은 보조홈에 해당하는 노치를 가진 V자형 홈의 하단이 원형 홈 형태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런 경우, 모서리용 홈에 합성수지 결합 부재를 부착시키는 단계에서 원형 홈에는 합성수지 결합부재와 별도로 혹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단면이 원을 이루는 봉형 혹은 원통형 심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종래 기술의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종래에 비해 안정된 모서리 결합 구조를 유지하고 내구성을 가지는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모서리용 홈의 내면을 이루는 부분에 보조홈을 더 설치하고 합성수지 결합부재에는 이 보조홈에 정합되는 돌기부분을 설치하고, 모서리용 홈에 이 합성수지 결합부재를 부착하여 합성수지 결합층과 목재 패널이 결합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고 마찰력을 증가시켜 모서리 결합구조의 결합력과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을 높이고, 결국, 종래에 비해 안정된 모서리 결합 구조를 유지하고 내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수지 결합층을 이용하여 모서리를 이루는 두 목재 패널 부분의 모서리 결합면에 습기가 차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형성방법의 일 예의 각 단계를 함께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형성방법의 다른 예의 일 단계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형성방법의 일 실시 예에서 구성요소들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패널 모서리 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위해 평면이 4각형인 목재 패널로 모서리 형성을 준비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요소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먼저, 두께가 일정하고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인 목재 패널이 준비된다. 목재 패널 좌우의 두 부분(120a, 120b) 사이 위치에서 목재 패널(120)의 전후 방향으로 뻗는 한 변과 평행하게 모서리용 홈(123)을 형성한다. 홈은 다양한 날물을 통해 목재 패널의 일 면, 여기서는 상면의 해당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한다. 홈(groove) 길이 방향(전후 방향)과 수직한, 도 5와 같은 단면에서 홈은 전체적으로 볼 때에는 사이각이 직각을 이루는 V자형 홈에 가깝지만, V자형 홈의 뾰족한 하단 부분은 원형 홈으로 대체되어 있고, V자를 이루는 양쪽 사선, 즉, 도 4의 V자형 홈의 두 내면(121a, 121b) 부분에는 모서리용 홈(123)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작은 V자형의 보조홈(129)이 형성된다.
이때, 원형 홈은 완전한 원형이 아니고 위가 열려 V자형 홈의 하부와 연결되는 원형 홈이며, 도 4와 같이 입체적으로 본 도면에서는 원통형 홈(125)을 이룬다. 보조홈(129)은 여기서는 한쪽 내면에 하나씩 있지만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런 모서리용 홈(123)은 목재 패널 상면을 깎아 V자형 홈을 먼저 형성하고 V자형 홈의 하단을 다시 원형에 가까운 날물을 이용하여 추가로 제거하고, V자형 홈의 마주보는 두 내면에도 작은 V자형 날물로 각각 추가로 보조홈(129)을 깎아 만드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홈의 하부에는 목재 패널의 두께가 매우 작게 남겨져 있으며, 이런 작은 두께는 이후 모서리 형성을 위한 굽힘 가공을 쉽게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잔여부의 이런 얇은 두께는 굽힘 가공 시 목재 패널의 변형에 대한 저항을 줄이고, 같은 열풍을 불어도 두꺼운 경우에 비해 더 쉽게 온도를 높여 더 쉽게 변형되고 더 쉽게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홈을 형성한 상면의 반대쪽인 하면에는 모서리가 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시트지(110) 혹은 테이프가 부착된다. 시트지(110)는 합성수지 기재층과 접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층을 이용하여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부착된 시트 지는 모서리 형성을 위한 목재 패널 굽힘 가공을 할 때 작은 두께 부분을 보호하고, 이 부분에서 균열이나 부러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모서리 형성 뒤에도 이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시트지 기재층은 기계적인 강인성을 가지고 이후 형성될 목재 패널 모서리의 부스러짐이나 기타 외력 작용시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굽힘 가공 시 모서리 부분에 불어지는 열풍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내열성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존의 모서리 형성에 사용되는 부재와 같은 재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시트지 접착층은 휘발성 용제를 섞은 일반 화학 접착제일 수 있지만 열가소성 혹은 열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져 목재 패널 하면에 결합될 때에는 접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열풍을 불어가면서 접착을 실시할 수 있다.
시트 지는 평평한 상태의 목재 패널(120)에 부착되는 대신에 모서리 형성을 위한 굽힘 가공 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런 경우 열풍은 시트 지를 목재 패널의 하면(모서리 외측면)에 부착하는 작용과 함께 목재를 굽힐 때 굽힘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목재 패널(120)에 형성된 모서리용 홈(123)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결합부재(130)가 결합된다. 결합부재(130)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전체적으로 모서리용 홈(123)과 같은 V자형을 이루는 앵글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V자를 이루는 갈라진 두 부분(131a, 131b)의 상단에는 목재 패널 상면과 평행한 두 가지 부분(플랜지부: 137a, 137b)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V자를 이루는 두 부분(131a, l31b)의 외측면에는 각각 하나씩 돌기(1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는 모서리용 홈(123)의 보조홈(129)과 정합되는 크기 및 형태를 이룬다. V자의 하단에는 목재 패널에 형성된 모서리용 홈의 하부를 이루는 원통형 홈(125)과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원봉 부분(1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원봉 부분(135)은 모서리용 홈(123)의 일 부분인 원통형 홈(125)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고 틈을 가지지만 모서리 형성을 위한 목재 패널 굽힘 가공이 이루어질 때 원통형 홈(125)의 열린 상부가 닫힐 때에는 원통형 홈(125)이 만드는 원통형 공간을 가득 채우도록 이루어진다.
결합부재(130)는 기계적 강인성을 가진 합성수지 기재층과 기재층 하면 혹은 외측면을 덮는 외측 접착제층(140)을 구비하며, 외측 접착제층(140)은 기재층 및 목재 모두와의 결합력이 강한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결합부재의 V자로 갈라진 두 부분(131a, 131b)은 모서리용 홈(123)의 V자형 부분의 두 내면(121a, 121b)과 접착되고, V자로 갈라진 두 부분(131a, 131b)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137a, 137b)는 모서리를 이루는 두 목재 패널 부분(121a, 121b)의 상면과 접착되고, 보조홈(129)에는 돌기(139)가 삽입되어 밀착된다. V자 하단의 원봉 부분(135)은 원통형 홈(125) 내에 위치하게 된다.
V자형을 이루는 두 부분의 서로 마주보는 두 내면 혹은 한 내면에는 내측 접착제층(미 도시)이 도포되어 있다. 향후 모서리를 만들기 위한 굽힘 가공 시, 이들 두 내면이 서로 접근하여 밀착될 때 내측 접착제층은 V자형을 이루는 두 부분의 내면을 서로 단단히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내측 접착제층으로는 아크릴계, 에폭시계 등의 여러 재질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두 내면의 2액형 접착제의 두 성분을 하나씩 도포하여 내측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로서, 내측 접착제층은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결합부재의 합성수지 기재층으로 열에 의해 쉽게 서로 융착될 수 있는 연질 PVC, PP, PE 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재층은 연질 PVC나 PP 혹은 PE 재료를 압출가공하여 압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실시 예에서는 굽힘 가공 시 모서리 외측을 이루는 부분뿐 아니라 내측을 이루는 부분에도 열풍을 불어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V자형 부분의 두 내측면이 융착을 이루면서 일체가 되도록 한다.
이런 경우, 굽힘 가공이 이루어질 때 결합부재(130)의 모서리 첨부에 가까운 하측부터(V자형 부분의 하부부터) 열풍에 의한 융착이 이루어져 플랜지부(137a, 137b)가 시작되는 상측까지 융착이 완료되도록 결합부재(130)의 두께를 다소 조절할 수 있다. 즉, 굽힘 가공이 이루어지고 열풍에 의한 표면 융해가 이루어질 때 결합부재의 V자형 부분의 내측이 한꺼번에 만나지 않고 하측부터 접촉 및 융착이 시작된다. 위쪽에는 여전히 접촉이 되지 않아 열풍이 닿아 부분 융해 상태를 유지하고, 아래쪽에서는 융착부의 표면 일부가 녹은 상태에서 압력에 의해 틈이 있는 위쪽으로 올라오면서 그곳의 융해 상태의 표면과 함께 만나 틈을 채워가고, 이런 방식으로 하측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융착이 이루어진다. 이런 융착에 의하면 융착부에 기포나 덜 융착된 부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열풍에 의한 융착부 표면 가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와 같이 목재 패널 상면에 굽힘 가공을 위한 모서리용 홈(123)이 형성되고, 하면에 시트지(110)가 부착되고, 모서리용 홈(123)에는 결합부재(130)가 부착된 상태에서 목재 패널의 굽힘 가공을 통해 모서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굽힘 가공이 이루어지면 결합부재의 V자 부분의 내측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접착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굽힘 가공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모서리를 보면 합성수지 결합층은 전체적으로 Y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합성수지 결합층은 Y자형 기재층과, 이 Y자형 기재층과 두 목재 패널 부분이 서로 접하면서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있는 접착층(1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보면, 도 6의 정단면도에서 결합부재의 V자를 형성하는 두 대응하는 변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은, 목재 패널에 형성된 V자형 홈의 대응하는 두 변으로서 서로 접근하여 결합되는 두 변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 두 변을 결합시키며, Y자형 결합층의 공통의 줄기 부분(131')이 되고, Y자형 결합층의 갈라진 두 가지 부분은 결합부재의 플랜지부(137a, 137b)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목재 패널 부분(120a, 120b)의 내측변에 결합(부착)된 형태를 이룬다. 공통의 줄기 부분(131')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139)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힘이나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이 부분이 보조홈에서 이탈되고, Y자형 합성수지 결합층이 두 목재 패널 부분의 결합부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또한, 이 돌기 부분에도 접착층이 있어 보조홈의 두 내면과 접착되는 면적이 넓어지고 이 면적의 증가는 합성수지 결합층과 두 목재 패널 부분의 결합력을 강하게 한다.
결합층 하단에 있던 원봉 부분(135)은 굽힘 가공에 따라 벌어져 있던 원통형 홈 입구가 닫히면서 원통을 이루어 굽힘 가공 시 모서리 외측 첨단을 라운드 곡면으로 형성하는 패널의 V자형 홈의 하단에 있는 원통형 홈 부분의 빈 공간을 채운다. 이런 원봉 부분 역시 외면에 접착층을 구비하면 원통형 홈과 밀착되면서 접착면을 이루어 합성수지 결합층과 두 목재 패널 부분의 결합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결합부재에는 모서리용 홈의 보조홈과 결속부재의 돌기가 정합되면서 전체적으로 접착면적을 크게 하고, 서로의 삽입 형태의 결합구조로 상호 이탈시 마찰력을 크게 하여 합성수지 결합층과, 서로 수직하도록 굽혀져 모서리를 이루는 각 목재 패널 부분과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목재 패널의 모서리 구조를 외력에 대해 안정적, 내구적으로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시트지
120: 목재 패널
120a, 120b: 목재 패널 부분
123: 모서리용 홈
125: 원통형 홈
130: 결합부재
135: 원봉 부분
137a, 137b: 플랜지부
140: 접착층

Claims (6)

  1. 목재 패널에 일 방향으로 모서리용 홈을 형성하고 홈의 두 내면이 서로 접근하도록 목재 패널을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는 목재 패널의 모서리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두 내면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두 내면 사이에 합성수지 결합층이 위치하고, 상기 두 내면의 각각에는 보조홈이 설치되며 합성수지 결합층에는 상기 보조홈을 채우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의 모서리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용 홈은 형성할 때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볼 때 V자형 홈의 뾰족한 하단이 열린 원형 홈으로 대체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린 원형 홈에는 봉형 혹은 원통형 심재가 위치하여, 상기 심재가 모서리 외측에 존재하면서 모서리 외측 끝단이 라운드형 모서리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라운드형 모서리의 외측면을 포함하여,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서로 수직하게 위치하는 두 목재 패널 부분의 외측 표면에는 시트층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의 모서리 결합구조.
  3. 제 1 항에서,
    상기 합성수지 결합층은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전체적으로 Y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두 내면 사이에 Y자의 줄기 부분이 위치하고, Y자의 갈라진 두 가지 부분은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서로 수직하게 위치하는 두 목재 패널 부분의 내측 면에 부착되며, 상기 합성수지 결합층은 Y자형 기재층과 상기 Y자형 기재층과 상기 두 목재 패널 부분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개재되어 있는 접착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의 모서리 결합구조.
  4. 목재 패널의 모서리를 형성할 부분에 일 방향으로 모서리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서리용 홈의 두 내면과 상기 두 내면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는 목재 패널의 표면 부분에 정합되는 형태의 합성수지 결합부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 결합부재가 부착된 상태로 외력을 주어 상기 모서리용 홈의 두 내면을 접근시켜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목재 패널을 굽힘 가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모서리용 홈은 단면에서 볼 때 V자형 홈의 형태가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V자형 홈을 이루는 두 내면에는 상기 일 방향으로 뻗는 보조홈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형성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패널의 상기 모서리용 홈이 형성된 표면과 반대쪽 표면에 시트 지를 부착시키는 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V자형 홈의 하부는 단면에서 볼 때 상부가 열린 원을 이루는 원통형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서리용 홈에 상기 합성수지 결합부재를 부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원통형 홈에는 상기 합성수지 결합부재와 별도로 또는 일체로 형성되며 단면이 원을 이루는 봉형 혹은 원통형 심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형성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결합부재의 기재층은 연질 PVC, PP, PE 가운데 하나로 압출가공하여 압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굽힘 가공하는 단계에서는 모서리 외측 및 내측에 열풍을 불어 상기 결합부재 기재층의 V자형 부분의 두 내측면이 융착을 이루면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형성방법.
KR1020160052240A 2016-04-28 2016-04-28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및 형성방법 KR101872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240A KR101872583B1 (ko) 2016-04-28 2016-04-28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및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240A KR101872583B1 (ko) 2016-04-28 2016-04-28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및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64A true KR20170123064A (ko) 2017-11-07
KR101872583B1 KR101872583B1 (ko) 2018-06-28

Family

ID=6038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240A KR101872583B1 (ko) 2016-04-28 2016-04-28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및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990A (ko) * 2021-02-05 2022-08-12 주식회사 지쓰리 마감부재의 모서리 컷팅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감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418B1 (ko) * 2019-08-29 2022-06-30 (주)우드필가구 측면에 천연무늬를 갖는 목판재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452Y1 (ko) * 2004-06-28 2004-10-02 권호섭 절단되지 않고 연속된 표면을 갖는 가구용 판재
KR20050018779A (ko) * 2004-12-23 2005-02-28 조원민 시트 랩핑구조의 집성목 판재 제조방법 및 시트랩핑구조의 집성목 판재
KR200386601Y1 (ko) 2005-01-31 2005-06-16 김광목 가구용 패널
KR200398408Y1 (ko) 2005-07-07 2005-10-12 김광목 모서리 접힘 가공용 목재패널
JP2007098909A (ja) * 2005-10-07 2007-04-19 Seishiro Yoshihara アール角稜付き化粧シート貼り木質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木質部材
KR20120008368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한샘 하이글라시 엣지 생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452Y1 (ko) * 2004-06-28 2004-10-02 권호섭 절단되지 않고 연속된 표면을 갖는 가구용 판재
KR20050018779A (ko) * 2004-12-23 2005-02-28 조원민 시트 랩핑구조의 집성목 판재 제조방법 및 시트랩핑구조의 집성목 판재
KR200386601Y1 (ko) 2005-01-31 2005-06-16 김광목 가구용 패널
KR200398408Y1 (ko) 2005-07-07 2005-10-12 김광목 모서리 접힘 가공용 목재패널
JP2007098909A (ja) * 2005-10-07 2007-04-19 Seishiro Yoshihara アール角稜付き化粧シート貼り木質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木質部材
KR20120008368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한샘 하이글라시 엣지 생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990A (ko) * 2021-02-05 2022-08-12 주식회사 지쓰리 마감부재의 모서리 컷팅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583B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1213B2 (en) Subfloor joint
AU8611698A (en) A flooring panel and/or flooring of such flooring panels and/or related methods
US20060196129A1 (en) Stair tread structure
KR101872583B1 (ko)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및 형성방법
US20070101674A1 (en) Method of making a post cover and a post cover mad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KR20170123063A (ko) 목재 패널 모서리 결합구조 및 형성방법
US20070251174A1 (en) Wood door
KR101745457B1 (ko) 휨방지 및 경량화가 가능한 재활용목재 가구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2010100330A (ja) 板材による箱の製造法
US20070234645A1 (en) Door
JP4669872B2 (ja) 樹脂板の接合方法
JP4693829B2 (ja) 樹脂板の接合方法
JPS6134419Y2 (ko)
WO2024014034A1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CN215319252U (zh) 一种拼接木板
JP4837511B2 (ja) 框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14002B2 (ja) 入子
JP3107333U (ja) ドアパネル
BE1028764A1 (n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schrijnwerkersamenstel en samenstel hierdoor verkregen
JP2007016546A (ja) 建具および建具の製造方法
JPH0130100Y2 (ko)
JP6481972B2 (ja) 床材および床材の施工方法
JP2000333753A (ja) カウンター
EP0062013A1 (en) Assembly strip and rounded edges laminated case so built
JP2014031667A (ja) 框組状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