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715A - 면도날 카트리지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착탈 장치를 구비한 면도기 손잡이 - Google Patents

면도날 카트리지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착탈 장치를 구비한 면도기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715A
KR20170122715A KR1020177018036A KR20177018036A KR20170122715A KR 20170122715 A KR20170122715 A KR 20170122715A KR 1020177018036 A KR1020177018036 A KR 1020177018036A KR 20177018036 A KR20177018036 A KR 20177018036A KR 20170122715 A KR20170122715 A KR 2017012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rms
handle
substantially spherical
sphe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248B1 (ko
Inventor
스피로스 그라시아스
이오안니스-마리오스 프시마다스
이오안니스 보지키스
파나지오티스 모우스타카스
디미트리오스 에프시미아디스
엡스트라티오스 크리스토피델리스
Original Assignee
빅-비올렉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비올렉스 에스아 filed Critical 빅-비올렉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7012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18Guar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2Ergonomic details, e.g. shape, ribs or rubber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 303, 403)를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면도기(101, 201, 301, 401)용 손잡이(102, 202, 302, 402)에 관한 것이며, 상기 손잡이는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 303, 403)를 해제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을 포함한다.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은, 상기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을 작동할 때 사용자의 핑거가 접촉하게 되도록 위치한 실질적인 구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면도날 카트리지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착탈 장치를 구비한 면도기 손잡이{A SHAVER'S HANDLE WITH A LOCK AND RELEASE MECHANISM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A RAZOR CARTRIDGE}
본 발명은 일회용 면도날 카트리지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해제 장치를 구비한 면도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습식 면도기 및 이러한 면도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 2009027910에는 이젝터 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착탈 장치를 구비한 면도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젝터 버튼은 손잡이 몸체에 장착되며 버튼의 작동 중에 사용자의 핑거가 위치하도록 설계된 오목한 구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특히 사용 및 인간공학의 편안함과 관련하여, 종래 기술의 면도기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용 손잡이는 면도날 카트리지를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는 면도날 카트리지를 해제하도록 작동가능한 작동 버튼을 포함한다. 작동 버튼은, 작동 버튼을 작동할 때 사용자의 핑거가 접촉하도록 위치된 실질적인 구형부(즉, 구형 또는 구형으로부터 약간 벗어난)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하여 사용 및 인간공학의 편안함이 개선된다. 특히, 실질적으로 구헝부를 구비한 작동 버튼은 면도 중에 그리고/또는 버튼의 작동 중에 버튼에 사용자의 핑거를 놓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더욱더 자유로움을 제공한다.
이러한 손잡이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통합할 수 있다.
-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 상기 손잡이 본체에 제공되고 면도날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두 개의 암을 갖는 암 어셈블리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암들은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와 결합하는 안착 위치(rest position)와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를 분리하는 해제 위치(release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작동 버튼은 손잡이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작동 버튼이 작동될 때 상기 작동 버튼은 상기 두 개의 암을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캠 동작에 의해 암 어셈블리와 상호 협력한다.
- 손잡이 본체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 실질적인 구형부는 손잡이 본체의 재료의 밀도와 상이한 평균 밀도를 갖는다.
- 상기 평균 밀도와 손잡이 본체의 재료의 밀도 사이의 차이는 적어도 10%이다.
- 실질적인 구형부는 상이한 밀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재료를 포함한다.
- 실질적인 구형부는 손잡이 본체의 재료의 밀도보다 높은 평균 밀도를 갖는다[이에 의해 작동 버튼은 다기능적(multifunctional)이다. 작동 버튼은 손잡이로부터 면도날 카트리지를 해제하도록 형성되고 손잡이의 메인 본체 상에 혹은 메인 본체 내에 추가 무게를 배치할 필요없이, 및/또는 그 안에 끼워지는 인서트를 사용할 필요없이, 및/또는 손잡이의 메인 그립부(gripping portion)의 제조 중에 더 높은 밀도의 특수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손잡이의 플라스틱 체적을 증가시킬 필요없이, 손잡이에 대한 추가 무게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동 버튼은 매끄럽고 안락한 면도를 위한 손잡이의 밸런스를 또한 향상시킨다].
- 작동 버튼의 실질적인 구형부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버튼 전체 또는 버튼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 암 어셈블리는 손잡이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손잡이 본체와 암 어셈블리는 별개의 피스이다.
- 작동 버튼은 실질적으로 손잡이의 종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손잡이 본체에 장착된다.
- 손잡이는 작동 버튼이 손잡이 본체 안으로 눌려진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손잡이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작동 버튼을 포함하고, 작동 버튼은 작동 버튼이 하강 위치로 눌려질 때 상기 두 개의 암을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며, 작동 버튼이 해제될 때 두 개의 암은 작동 버튼을 상승 위치로 바이어스 한다.
- 작동 버튼이 공통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암은 상기 공통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하고 작동 버튼은 손잡이 본체에 장착된다.
- 손잡이는 두 개의 암이 안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복귀력이 두 개의 암에 적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를 포함하고, 손잡이는 가드 부재 및 두 개의 암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드 부재에 맞닿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두 개의 암을 서로 연결하는 U-형상 탄성 부재이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드 부재 둘레에 감기고 복귀력 발생부 및 정지 부재들로서 작용하는 보호부들을 포함하며, U-형상 탄성 부재의 보호부들은 두 개의 암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드 부재에 맞닿게 되어 예컨대, U-형상 탄성 부재의 보호부들이 상기 U-형상 탄성 부재의 복귀력 발생부가 항복점 또는 가해지는 최대 인장 응력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 두 개의 암은 작동 버튼에 가까이 있는 근위부(proximal parts) 및 작동 버튼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원위부(distal parts)를 갖고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암은 두 개의 피벗 지점 주위로 안착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고, 두 개의 암의 근위부는 작동 버튼의 작동 중에 멀어지게 이동되고 이에 의해 피벗 지점 주위로 회전하며 면도날 카트리지를 손잡이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두 개의 암의 원위부가 함께 가까워지게 한다.
- 암 어셈블리는 연결부를 또한 포함하며, 두 개의 암은 힌지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로부터 면도날 카트리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개별적인 원위부로 연장하며, 두 개의 암은 힌지 주위에서 안착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며,
암 어셈블리는 손잡이의 종방향을 따라 손잡이 본체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며,
연결부는 암 어셈블리를 종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기 위하여 작동 버튼이 작동될 때 캠 동작에 의해 상기 작동 버튼과 상호 협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작동 버튼의 작동으로 암 어셈블리가 미끄러질 때 암은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캠 동작에 의해 손잡이 본체와 상호 협력한다.
- 힌지는 안착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암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하다.
- 연결부는 버튼을 그 안에 수용하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하고, 경사면은 암의 원위부와 대향하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작동 버튼은 상기 작동 버튼이 캐비티 안으로 들어가고 캠 작용에 의해 경사면에 눌려지는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캐비티 안에 장착되고,
작동 버튼은 눌려질 때 종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손잡이 본체에 대해 안내된다.
- 작동 버튼은 구체(sphere)이며, 암 어셈블리를 덮고 손잡이 본체와 함께 견고한 커버에 있는 구멍 안에서 안내되고, 상기 구멍은 작동 버튼이 캐비티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 정지 부재들은 두 개의 암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돌출하며 두 개의 암이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가드 부재에 대하여 안착하게 되어 예컨대, 복귀력 발생부가 항복점 또는 가해지는 최대 인장 응력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 작동 버튼은 실질적으로 손잡이의 종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손잡이 본체에 장착된다.
- 작동 버튼은 버튼 본체와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본체는 실질적으로 손잡이의 종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손잡이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는 버튼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가 버튼 본체의 밖으로 상승되는 상승 위치와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가 버튼 본체의 안으로 눌려지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손잡이의 종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손잡이 본체에 대해 안내되며,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는 상승 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되며,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버튼 본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버튼 본체를 미끄러지게 할 수 있도록 버튼 본체와 상호 협력한다.
- 버튼 본체는 손잡이 본체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캐비티 및 손잡이 본체와 대향하는 상기 캐비티를 부분적으로 덮는 커버를 갖고 있으며, 상기 커버는 실질적인 구형부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그곳을 통하여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가 캐비티의 밖으로 돌출하는 관통공을 갖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 본체는 버튼 본체의 캐비티에서 커버 쪽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를 갖고 있으며,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는 암 어셈블리를 향하여 상기 가이드에 지탱되며 상기 캐비티는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가 하강 위치에서 상기 캐비티에 전부 들어갈 수 있고 버튼 본체가 암 어셈블리 쪽으로 미끄러질 때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가 상기 커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 손잡이는 분리할 수 있는 면도날 카트리지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가드 부재는 면도날 카트리지를 안착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수단을 갖고 있다.
- 실질적인 구형부는 구체의 일부, 예컨대 반구를 구성할 수 있다.
- 실질적인 구형부는 사용자를 위해 가시적인 것일 수 있다.
- 작동하는 실질적인 구형부는 손잡이 본체로부터 밖으로 돌출할 수 있다.
- 실질적인 구형은 사용자의 핑거를 안착하기 위한 임의의 지정된 구역을 한정하지 않는 사용자의 핑거를 위한 다중 방향의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이에 의해, 실질적인 구형부는 면도 중에 그리고 해제 버튼을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를 해제하는 동안에 면도기를 조작하기 위해 더욱더 자유로움을 제공하는 핑거 안착 구역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작동 버튼 또는 적어도 실질적인 구형부는 면도 중에 사용자의 핑거를 위한 핑거 안착 구역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 버튼 자체가 실질적으로 구형일 수 있다(구체는 버튼의 복잡한 피처들을 형성할 때 더욱 적은 수고를 들여 성형하기 용이하며, 이에 의해 제조 공정은 작고 세심한 부품의 제조 중에 정확성에 대한 필요성이 감소하여 단순화되고, 방향과 무관한 실질적인 구형의 대칭적인 특징은 조립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계의 정밀도에 대한 요구가 적고, 예컨대 면도기의 낙하와 같은 돌발 상황 중에 또는 면도기의 고유하고 일정한 장기간의 사용 중에 파손 가능성이 감소하며, 최소 개수의 부품 및 덜 복잡한 피처들을 구비한 손잡이는 손잡이의 장기간의 수명을 지원하고 손잡이 또는 그 핵심 부품들 중의 하나를 의도하지 않게 파손하는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특징들을 구비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장착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카트리지는 두 개의 암이 안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두 개의 암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두 개의 암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두 개의 암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카트리지는 작동 버튼의 작동시 상기 손잡이로부터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이점 및 다른 목적들과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 장치를 도시한 손잡이의 원위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원위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다른 시각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원위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원위부의 분해도이다.
도 7a는 버튼의 작동 전에 손잡이의 원위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b는 버튼의 작동 후에 손잡이의 원위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8a는 버튼의 작동 전에 손잡이의 원위부 및 착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버튼의 작동 후에 손잡이의 원위부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8c는 추가적인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 실시예의 변경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동 버튼이 없이 손잡이의 원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의 작동 버튼의 메인 부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동 버튼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원위부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시각에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의 원위부의 다른 분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실질적인 구형부가 상승 위치에 있는, 제4 실시예의 면도기의 원위부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질적인 구형부가 중간 위치에 있는, 제4 실시예의 면도기의 원위부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질적인 구형부가 하강 위치에 있는, 제4 실시예의 면도기의 원위부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원위부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작동 버튼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작동 버튼의 실질적인 구형부의 가능한 조성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주요 실시예들에 대한 아래에서의 설명은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고 있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설명에서, X-축은 실질적으로 손잡이의 종방향을 나타내는 반면에 Y-축은 X-축과 수직이다. 예컨대, Y-축은 면도날 카트리지의 피벗 축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101)를 나타내는데, 이 면도기는 손잡이(102), 면도날 카트리지(103), 커버(104) 및 작동 버튼(105)을 포함한다. 손잡이(102)는 기다란 손잡이 본체(102A)를 포함하는 기다란 것일 수 있다. 손잡이 본체(102A)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본체(102A)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저렴한 재료로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손잡이 본체(102A)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본체(102A)는 가급적 적은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본체(102A)는 단일 피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손잡이 본체(102), 커버(104) 및/또는 버튼(105)은 적어도 하나의 핑거 안착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핑거 안착 구역은 예컨대 고무 또는 유사한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면도기(101)는 일회용 면도날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101)는 두 개의 암을 포함하는 암 어셈블리를 구비할 수 있다. 암(106)은 면도날 카트리지(103)를 결합 및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두 개의 암(106)은 카트리지(103)가 손잡이(102)에 부착되는 안착 위치와 두 개의 암(106)이 함께 더욱 근접하고 이에 의해 손잡이(102)로부터 면도날 카트리지(103)를 해제시키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카트리지(103)는 한 쌍의 림(103A)을 구비할 수 있다. 림(103A)은 암(106)에 제공된 한 쌍의 셸 베어링(119A)과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셸 베어링(119A)과 림(103A)은 Y-축 주위로 카트리지(103)의 피벗 이동을 지원하도록 형성된다. 대안으로, 암(106)은 카트리지(103)에 부착된 중간 구조물과 양립할 수 있다. 암(106)은 중간 구조물과 또는, 카트리지(103) 및 중간 구조물 모두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안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암(106)들이 안착 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 되도록 두 개의 암(106)에 탄성 복귀력이 적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탄성 복귀력은 암(106)들을 서로 연결하는 탄성 부재(107)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07)는 두 개의 암(106)을 서로 멀어지게 푸시하고, 따라서 안착 위치로 암들을 복귀시킨다. 대안으로, 하나 이상의 탄성 부품이 손잡이(102)에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탄성 부품은 암(106)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복귀력을 적용한다.
첨부 도면들 중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작동 버튼(105)은 손잡이 본체(102A)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 버튼(105)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하강 위치로 작동 버튼(105)의 작동시 암(106)들이 해제 위치로 함께 가까워지게 이동되고, 따라서 카트리지(103)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 버튼(105)은 캠 동작에 의해 암(106)들과 상호 협력한다. 작동 버튼(105)이 사용자에 의해 해제될 때, 암(106)들은 안착 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되고, 동시에 캠 동작에 의해 암(106)들은 작동 버튼(105)을 상승 위치로 되돌린다. 착탈 장치의 상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작동 버튼(105)은 실질적인 구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는 구체의 일부, 예컨대 반구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구형부는 사용자에게 가시적이다. 대안으로, 작동 버튼(105) 자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구형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구형의 작동 버튼(105)은 손잡이(102)의 원위부에 무게를 추가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의 작동 버튼(105)으로 인해, 작동 버튼(105)뿐만 아니라 전체 착탈 장치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는데, 이것은 면도기 어셈블리의 비용을 낮게 한다. 실질적인 구형의 작동 버튼(105)의 하나의 이점은 구체는 대칭이며 성형하기 용이하다는 것이다. 손잡이(102)의 조립 중에 손잡이 본체(102A)에 구체를 배치할 때 방향과 무관하기 때문에, 대칭적인 형상은 전체 제조 공정을 또한 단순화한다. 실질적인 구형의 작동 버튼(105)은, 버튼(105)을 사용할 때 핑거 안착 구역으로서 사용자를 위해 또한 안락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암(106)은 실질적으로 공통의 평면 XY에서 연장한다. 버튼(105)은 실질적으로 평면 XY와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 본체(102A)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버튼(105)은 커버(104)의 구멍(127) 안에 고정됨으로써 평면 XY 내의 이동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버튼(105)은 손잡이(102)의 측면들과 손잡이(102)의 종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제한된다. 손잡이(102) 안에서 손잡이(102)의 종방향을 따른 버튼(105) 이동의 제한은 돌출부(113)를 차단함으로써 보장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버튼(105)은 회전 이동이 제한된다. 회전 이동의 제한은 버튼(105)과 구멍(127)의 림 사이에 마찰을 증가시키는, 예컨대 고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재료와 같은 적합한 재료로 버튼(105)의 표면을 덮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고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재료는 적절한 핑거 안착 구역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 버튼(105)은 면도 중에 사용자의 핑거를 안착하기 위한 지지 구역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동 버튼(105)은 블레이드에 가까이 있는 사용자의 핑거를 위한 지지를 제공하고, 면도 중에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블레이드의 이동이 더욱 편리하게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버튼(105)은 핑거가 버튼(105)에 대하여 안착될 때 사용자의 핑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외부층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으로, 버튼(105)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때 미끄럼 이동을 본질적으로 제한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미끄럼 이동을 방지하는 이러한 재료의 예들은 고무 또는 고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탄성중합체 재료이다.
작동 버튼(105)의 재료는 손잡이 본체(102A)의 재료의 밀도와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102)의 밸런스가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동 버튼(105)의 밀도와 손잡이 본체(102A)의 밀도의 차이는 손잡이 본체(102A)의 밀도의 적어도 10%이다.
작동 버튼(105)의 재료는 손잡이 본체(102A)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재료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버튼(105)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작동 버튼(105)의 무게는 면도 중에 사용자의 느낌을 개선하고 면도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조력한다. 특히 손잡이 본체(102A)가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가볍고 저렴한 재료로 성형될 경우, 손잡이(102) 원위부에서의 이러한 무게는 면도 과정을 더욱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한다. 버튼(105)에 배치되는 추가 무게는 블레이드에 가까이 있다. 그러므로, 사용 중에 손잡이(102)의 밸런스가 향상될 것이다.
작동 버튼(105)의 추가 무게는 두 개의 암(106)의 탄성부, 예컨대 탄성 부재(107)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 복귀력보다 작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버튼(105)을 실제로 푸시하지 않고 단지 버튼(105)의 무게에 의해서 카트리지(103)의 예기치 않은 자발적인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암(106)이 안착 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 될 때 작동 버튼(105)이 상승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또한 보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02)의 착탈 장치를 도시한다. 착탈 장치는 두 개의 암(106), 작동 버튼(105) 및 탄성 부재(107)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107)는 보호부(107B)들을 또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07)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 부재(115) 둘레에 감긴 U-형상 탄성 부재이다. 보호부(107B)들은 정지 부재로서 작용한다. 보호부(107B)들과 가드 부재(115)는 탄성 부재(107)의 복귀력 발생부(107A)가 항복점 또는 가해지는 최대 인장 응력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며, 항복점은 재료가 영구적인 소성 변형을 일으키기 전에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응력의 지점일 수 있고 최대 인장 응력은 재료가 파단되는 응력의 지점이다. 작동 버튼(105)이 하강 위치로 눌려질 때, 두 개의 암(106)은 함께 더욱 가까워지고, 이에 의해 면도날 카트리지(103)를 손잡이(102)로부터 해제한다. 동시에, 보호부(107B)들은 가드 부재(115)에 대하여 안착하도록 서로를 향하여 푸시된다. 이것은 암(106)이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해제 위치에 정지시키고 복귀력 발생부(107A)가 지나치게 많이 늘어나서 항복점 또는 가해지는 최대 인장 응력에 도달하는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탄성 부재(107)의 기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탄성 부재(107)를 지나치게 많이 당기고 과도한 변형을 유발함으로써 탄성 부재를 원치않게 파손시키는 가능성이 감소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는 부적절하고 과도한 사용에 덜 취약하며, 전체 면도기의 신뢰성이 또한 향상된다. 가드 부재(115) 및 정지 부재(107B)와 같은 보호 수단으로 인해, 면도기의 수명은 증가할 것이고, 더욱이 면도에 소요되는 사용자의 비용은 낮아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원위부(119) 및 근위부(117)를 포함하는 두 개의 암(106)을 보여준다. 두 개의 암(106)의 원위부(119)는 면도날 카트리지(103)와 결합 또는 분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의 원위부(119)는 셸 베어링(119A)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셸 베어링은 카트리지(103)에 구비된 림(103A)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셸 베어링(119A) 및 림(103A)은 피벗 축(Y) 주위로 카트리지(103)의 피벗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된다. 피벗하는 면도날 카트리지(103)를 부착하기 위한 임의의 대안적인 수단, 예컨대 핀 및 대응하는 구멍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암(106)들은 피벗 지점들에 대해 피벗 하게 손잡이 본체(102A)에 장착된다. 피벗 지점들은 손잡이 본체(102A)로부터 돌출한 한 쌍의 핀(111)의 형태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각각의 핀(111)은 암(106)들에 제공된 한 쌍의 개구(118) 중의 개별적인 하나의 구멍 내에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구(118)들은 피벗 암(106)들의 길이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제공된다. 암(106)들은 X-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손잡이 본체(102A)와 두 개의 암들 간에 상대적인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대안적인 방안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핀들이 암(106)들에 제공될 수 있고 대응하는 개구들이 손잡이 본체(102A)에 배치될 수 있다.
암(106)들의 근위부(117)들의 원활한 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근위부(117)를 둘러싸는 손잡이 본체(102)에 침강 구역(120)이 있을 수 있다. 안착 위치로 복귀될 때, 두 개의 암(106)의 원위부(119)는 손잡이(102)의 각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두 개의 안착 돌출부(1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안착 위치에서 원위부(119)는 안착 돌출부(116)에 기대어질 수 있다.
버튼(105)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버튼은 손잡이 본체(102A) 안으로 눌려진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본체(102A)에 중공의 캐비티(114)가 있다. 하강 위치로 작동될 때 작동 버튼(105)은 캐비티(114)에 알맞게 놓일 수 있다. 버튼(105)이 상승 위치로부터 손잡이(102) 안의 하강 위치로 눌려질 때, 버튼은 캐비티(114) 내로 들어간다.
암(106)들의 근위부(117)는 경사면(117A)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경사면(117)들은 평면이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면(117A)들은 서로 마주한다. 암(106)들이 안착 위치에 있고 버튼(105)이 상승 위치에 있을 때, 경사면(117A)에 대하여 안착하는 버튼(105)의 두 개의 측부가 있다. 상승 위치에서, 버튼(105)은 커버(104)와 경사면(117A)들 사이에 위치된다. 버튼(105)의 작동 중에, 근위부(117)들은 이들 사이의 버튼(105)을 누름으로써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근위부(117)들이 멀어지게 이동될 때, 이들은 핀(111) 주위로 회전한다. 동시에, 원위부(119)들은 함께 가까워지게 이동하고, 이에 의해 원위부들이 손잡이(102)로부터 카트리지(103)를 해제한다. 버튼이 작동될 때, 경사면(117A)들에 인접한 버튼(105)의 측면들은 경사면(117A)들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어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구형의 버튼(105)이 경사면(117A)들과 양립할 수 있다. 대안으로, 경사면(117A)들과 접촉하는 삼각형의 버튼(105)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103)가 해제될 때, 원위부(119)들이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암(106)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응하게, 암들의 근위부(117)들은 카트리지(103)의 해제 중에 가까워지게 이동할 수 있다. 작동 버튼(105)이 작동될 때, 버튼은 근위부(117)들을 함께 가까워지게 강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근위부(117)들은 그 측면들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경사면(117A)들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으로, 작동 버튼(105)이 작동될 때 오목부가 경사면(117A)들을 따라 접촉하고 미끄러지며, 이에 의해 경사면들을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하게 강제하도록, 작동 버튼(105)은 예컨대 삼각형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세트의 개구(112)들이 손잡이(102)에 제공될 수 있다. 개구(112)들은 커버(104)에 배치된 한 세트의 상응하는 돌출부(124)와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104)는 손잡이 본체(102A)에 고정되도록 한 세트의 개구(112)들에 압입 끼워맞춤될 수 있다. 추가로, 커버는 암(106)들이 그 주위로 회전하는 핀(111)들을 덮는 한 쌍의 포켓(122)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포스트(125)가 커버(104)의 내측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포스트(125)는 손잡이 본체(102A)의 최원위부 상에서 암(106)들 중의 하나와 가드 부재(115) 사이에 끼워진다. 작동 버튼(105)이 면대면 이동으로 제한되도록 작동 버튼(105)과 인접한 커버(127)에 구멍이 있을 수 있다. 작동 버튼(105)이 실질적으로 구형인 경우에, 구멍(127)은 원형이다. 바람직하게, 구멍(127)은 버튼(105)의 직경보다 지름이 작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버튼(105)은 손잡이 본체(102A) 안에 유지된다. 또한, 버튼(105)은 커버(104)의 구멍(127)을 통해 외부로 부분적으로 돌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트리지(103)는 Y-축 주위로 피벗 가능하다. 손잡이(102)는 카트리지(103)가 회전될 때 카트리지(10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형성된 복귀 수단을 구비한다. 카트리지(103)는 셸 베어링(119A)에 의해 손잡이(102)에 유지된다. 셸 베어링(119A)은 카트리지(103)에 구비된 림(103A)과 결합하게 되어 있다. 림(103A)과 셸 베어링(119A)은 면도 중에 카트리지(103)를 Y-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카트리지(103)를 Y-축 주위로 피벗할 수 있게 하는 다른 피벗 수단들이 또한 가능한데, 예컨대 암(106)에 제공된 핀들과 카트리지(103)에 배치된 대응하는 구멍들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드 부재(115)는 탄성 부재(107)의 복귀력 발생부(107A)가 항복점 또는 가해지는 최대 인장 응력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 부재(107B)와 상호 협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 가드 부재(115)는 피벗하는 카트리지(10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드 부재(115)는 다기능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손잡이(102)의 착탈 장치에 포함된 부품의 수가 감소하고, 손잡이(102)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다. 가드 부재(115)는 손잡이 본체(102A)의 일부로서 성형될 수 있다. 가드 부재(115)는 카트리지(103)에 인접한, 손잡이(102)의 최원위부에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드(115)는 손잡이(102)의 X-축에 놓인다.
가드 부재(115)는 카트리지(10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당해 기술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귀 수단은 푸셔(108)와 스프링(109)의 조합일 수 있다. 스프링(109)은 카트리지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필요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푸셔(108)는 카트리지(103)의 상응하는 캠 표면(110)과 상호 협력한다. 푸셔(108)는 가드(115)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푸셔(108)는 X-축을 따른 이동 외에 모든 방향에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푸셔(108)는 커버(104)로 덮인다. 바람직하게, 푸셔(108)는 가드(115) 안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푸셔(108)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08A)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푸셔(108)는 푸셔(108)의 양측에 제공된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하나의 돌출부(108A)가 가드(115)의 안에 제공된 홈(115A) 안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 커버(104)에는 푸셔(108)의 이동 중에 그 안에 다른 돌출부(108A)가 배치되는 홈(126)이 또한 제공된다.
제2 실시예의 설명
도 5는 손잡이(202), 면도날 카트리지(203), 커버(204) 및 작동 버튼(205)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201)를 도시한다. 손잡이(202)는 기다란 그립부를 포함하는, 기다란 손잡이 본체(202A)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 본체(202A)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저렴한 재료로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손잡이 본체(202A)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본체(202A)는 가급적 적은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손잡이 본체(202A)는 단일 피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손잡이 본체(202A), 커버(204) 및/또는 버튼(205)은 적어도 하나의 핑거 안착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핑거 안착 구역은 예컨대 고무 또는 유사한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면도기(201)는 일회용 면도날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는 두 개의 암(206) 및 연결부(214)를 포함하는 암 어셈블리를 구비할 수 있다. 암(206)은 면도날 카트리지(203)를 결합 및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두 개의 암(206)은 카트리지(203)가 손잡이(202)에 부착되는 안착 위치와 두 개의 암(206)이 함께 더욱 근접하고 이에 의해 손잡이(202)로부터 면도날 카트리지(203)를 해제시키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카트리지(203)는 한 쌍의 림(203A)을 구비할 수 있다. 림(203A)은 암(206)에 제공된 한 쌍의 셸 베어링(206A)과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셸 베어링(206A)과 림(203A)은 Y-축 주위로 카트리지(203)의 피벗 이동을 지원하도록 형성된다. 대안으로, 암(206)은 카트리지(203)에 부착된 중간 구조물과 양립할 수 있다. 암(206)은 중간 구조물과 또는, 카트리지(203) 및 중간 구조물 모두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안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암(206)들이 안착 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 되도록 두 개의 암(206)에 탄성 복귀력이 적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탄성 복귀력은 암(206)들과 연결부(214) 사이의 탄성 연결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암(206)들과 연결부(214)들은 이러한 탄성 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암(206)들, 탄성 연결부 및 연결부(214)는 단일 피스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암(206)들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암(206)들은 탄성 연결부가 없이 연결부(214)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탄성 복귀력은 암(206)들 자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암(206)들은 복귀력을 발생시키는 힌지(207)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07)들은 암(206)들이 연결부(214)로부터 돌출하는 지점들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연결부(214) 및 암(206)들은 XY 평면에서 연장한다. 암(206)들은, 상기 암(206)들이 카트리지(203)와 결합하는 안착 위치와 상기 암(206)들이 카트리지(203)와 분리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힌지(207)는 탄성 복귀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두 개의 암(206)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힌지(207)는 두 개의 암(206)을 서로 멀어지게 푸시하고, 따라서 안착 위치로 암들을 복귀시킨다.
첨부 도면들 중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작동 버튼(205)은 손잡이 본체(102A)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 버튼(205)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하강 위치로 작동 버튼(205)의 작동시 암(206)들이 해제 위치로 함께 가까워지게 이동되도록, 작동 버튼(205)은 캠 동작에 의해 암(206)들과 상호 협력한다. 따라서 카트리지(203)가 분리된다. 작동 버튼(205)이 사용자에 의해 해제될 때, 암(206)들은 안착 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된다. 동시에, 캠 동작에 의해 암(206)들은 작동 버튼(205)을 상승 위치로 되돌린다. 착탈 장치의 상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작동 버튼(205)은 실질적인 구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는 구체의 일부, 예컨대 반구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구형부는 사용자에게 가시적이다. 대안으로, 작동 버튼(205) 자체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구형일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하나의 가능한 양태로서, 작동 버튼(205)은 손잡이(202)의 원위부에 무게를 추가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의 작동 버튼(205)으로 인해, 작동 버튼(205)뿐만 아니라 전체 착탈 장치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는데, 이것은 면도기 어셈블리의 비용을 낮게 한다. 실질적인 구형의 작동 버튼(205)의 하나의 이점은 구체는 대칭이며 성형하기 용이하다는 것이다. 손잡이(202)의 조립 중에 손잡이 본체(202A)에 구체를 배치할 때 방향과 무관하기 때문에, 대칭적인 형상은 전체 제조 공정을 또한 단순화한다. 실질적인 구형의 작동 버튼(205)은, 작동 버튼(205)을 사용할 때 핑거 안착 구역으로서 사용자를 위해 또한 안락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암(206)은 실질적으로 공통의 평면 XY에서 연장한다. 버튼(205)은 실질적으로 평면 XY와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 본체(202A)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버튼(205)은 커버(204)의 구멍(227) 안에 고정됨으로써 평면 XY 내의 이동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버튼(205)은 손잡이(202)의 측면들과 손잡이(202)의 종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제한된다. 추가로, 버튼(205)은 회전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회전 이동의 제한은 버튼(205)과 구멍(227)의 림 사이에 마찰을 증가시키는, 예컨대 고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재료와 같은 적합한 재료로 버튼(205)의 표면을 덮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고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재료는 적절한 핑거 안착 구역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 버튼(205)은 면도 중에 사용자의 핑거를 안착하기 위한 지지 구역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동 버튼(205)은 블레이드에 가까이 있는 사용자의 핑거를 위한 지지를 제공하고, 면도 중에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블레이드의 이동이 더욱 편리하게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버튼(205)은 핑거가 버튼(205)에 대하여 안착될 때 사용자의 핑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외부층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으로, 버튼(205)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때 미끄럼 이동을 본질적으로 제한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미끄럼 이동을 방지하는 이러한 재료의 예들은 고무 또는 고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탄성중합체 재료이다.
작동 버튼(205)의 재료는 손잡이 본체(202A)의 재료의 밀도와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202)의 밸런스가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동 버튼(205)의 밀도와 손잡이 본체(202A)의 밀도의 차이는 손잡이 본체(202A)의 밀도의 적어도 10%이다.
작동 버튼(205)의 재료는 손잡이 본체(202A)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재료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버튼(205)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작동 버튼(205)의 무게는 면도 중에 사용자의 느낌을 개선하고 면도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조력한다. 특히 손잡이 본체(202A)가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가볍고 저렴한 재료로 성형될 경우, 손잡이(202)의 원위부에서의 이러한 무게는 면도 과정을 더욱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한다. 버튼(205)에 배치되는 추가 무게는 블레이드에 가까이 있다. 그러므로, 면도 스트로크 동안 사용자의 피부 상의 블레이드의 인식이 향상될 것이다.
작동 버튼(205)의 추가 무게는 두 개의 암(206)의 탄성부, 예컨대 힌지(207)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 복귀력보다 작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버튼(205)을 실제로 푸시하지 않고 단지 버튼(205)의 무게에 의해서 카트리지(203)의 예기치 않은 자발적인 해제를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암(206)이 안착 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 될 때 작동 버튼(205)이 상승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또한 보장한다.
제2 실시예의 하나의 가능한 양태로서, 손잡이 본체(202A)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부(214)가 있다. 연결부(214)는 손잡이(202)의 X-축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부(214)는 카트리지(20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연결부(214)는 작동 버튼(205)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캐비티(214A) 내로 작동 버튼(205)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상기 캐비티(214A)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하강 위치로 작동될 때 작동 버튼(205)은 캐비티(214A)에 알맞게 놓일 수 있다. 버튼(205)이 상승 위치로부터 손잡이(202) 안의 하강 위치로 눌려질 때, 버튼은 캐비티(214A) 내로 들어간다.
제2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 따라, 연결부(214)로부터 밖으로 돌출한 한 쌍의 암(206)이 있다. 예컨대, 암(206)들은 카트리지(203)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암(206)들은 X-축에 대해 대칭으로 연장할 수 있다. 안착 위치에서 카트리지(203)에 더욱 가까이 배치된 암(206)들의 부분이 카트리지(203)로부부터 더욱 떨어져 배치된 부분보다 X-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 또는 더욱 큰 거리에 있게 되도록 암(206)들이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암(206)들은 X-축으로부터 분기한다. 바람직하게, 암(206)들과 연결부(214)는 XY 평면에 놓여 있다.
바람직하게, 카트리지(203)는 Y-축 주위로 피벗 가능하다. 손잡이(202)는 카트리지(203)가 회전될 때 카트리지(20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형성된 복귀 수단을 구비한다. 카트리지(203)는 셸 베어링(206A)에 의해 손잡이(202)에 유지된다. 셸 베어링(206A)은 카트리지(203)에 구비된 림(203A)과 결합하게 되어 있다. 림(203A)과 셸 베어링(206A)은 면도 중에 카트리지(203)를 Y-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카트리지(203)를 Y-축 주위로 피벗할 수 있게 하는 다른 피벗 수단들이 또한 가능한데, 예컨대 암(206)에 제공된 핀들과 카트리지(203)에 배치된 대응하는 구멍들이다.
X-축을 따라 연결부(214)의 원활한 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결부(214)를 둘러싸는 손잡이 본체(202A)에 침강 구역(220)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부(214)와 암(206)들이 함께 미끄러지도록 암(206)들은 연결부(214)에 직접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암(206)들과 연결부(214)는 카트리지(20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X-축을 따라 미끄러진다. 안착 위치로 다시 복귀될 때, 각각의 암(106)은 손잡이(102)의 각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개별적인 안착 돌출부(2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안착 위치에서, 암(206)들은 안착 돌출부(216)에 기대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이 연결부(214)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이 연결부(214)의 에지 가까이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은 평면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이 XY 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214)로부터 밖으로 돌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경사면(217)이 작동 버튼(205)과 접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이 연결부(214)로부터 돌출한다. 예컨대, 연결부(214)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작동 버튼(205)에 있다. 상승 위치에서, 버튼(205)은 커버(204)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 사이에 위치된다. 버튼(205)의 작동 중에, 연결부(214)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과 접촉하는 작동 버튼(205)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구형의 버튼(205)이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과 양립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과 접촉하는 삼각형의 버튼(105)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202)는 푸시 피처(229)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푸시 피처(229)는 Y-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안착 돌출부(216)에서 손잡이(202)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할 수 있다. 암(206)들이 안착 위치에 있을 때, 암(206)들은 푸시 피처(229)에 기대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푸시 피처(229)는 실질적으로 암(206)들의 길이의 중간에서 암(206)들과 접촉한다. 바람직하게, 푸시 피처(229)는 X-축으로부터 더욱 멀리 있는 암(206)들의 측면과 접촉한다.
사용자에 의해 작동 버튼(205)이 하강 위치로 눌려질 때, 작동 버튼은 연결부(214)의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버튼(205)이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7)을 따라 미끄러질 때, 연결부(214)는 버튼(205)에 의해 X-축을 따라 강제로 미끄러진다. 예컨대, 버튼(205)의 작동 중에 연결부(214)는 카트리지(20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X-축을 따라 푸시된다. 바람직하게, 연결부(214)는 침강 구역(220)의 안에서 미끄러진다.
연결부(214)는 한 쌍의 탄성 연결부에 의해 암(206)들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버튼(205)이 하강 위치로 눌려질 때, 연결부(214)와 암(206)은 X-축을 따라 함께 미끄러진다. 바람직하게, 연결부(214)와 암(206)은 카트리지(20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암(206)과 연결부(214)가 X-축을 따라 함께 미끄러질 때, 푸시 피처(229)는 암(206)들을 함께 더욱 가까워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푸시 피처(229)는 암(206)들을 안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보낼 수 있고, 이에 의해 카트리지(203)로부터 암(206)들을 분리한다. 예컨대, 안착 위치에서 카트리지(203)에 더욱 가까이 배치된 암(206)들의 부분이 카트리지(203)로부터 더욱 떨어져 배치된 부분보다 X-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 또는 더욱 큰 거리에 있게 되도록 암(206)들이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푸시 피처(229)는 실질적으로 암(206)들의 길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안착 위치에서, 푸시 피처(229)보다 카트리지(203)에 더 가까운 암(206)들의 부분은 푸시 피처와 비교할 때 X-축으로부터 또한 더 멀리 있다. 암(206)들과 연결부(214)가 카트리지(20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께 미끄러질 때, 암(206)들의 상응하는 부분들은 푸시 피처(229)에 의해서 함께 더욱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푸시 피처(229)는 암(206)들을 해제 위치로 강제하고, 카트리지(203)는 해제된다.
제2 실시예의 하나의 양태로서, 암(206)들에 대한 작동 버튼(205)의 캠 동작에 의해서,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작동 버튼(205)의 동작은 안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암(206)들의 이동과 연결된다. 작동 버튼(205)을 누를 때, 암(206)들은 해제 위치 쪽으로 서로 가까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카트리지(203)를 손잡이(202)로부터 해제한다. 바람직하게, 두 개의 암(206)은 힌지(207)에 의해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안착 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된다. 버튼(205)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버튼(206)이 해제될 경우 힌지(207)에 의해 발생한 탄성력은 작동 버튼(205)을 상승 위치로 다시 올릴 수 있다.
또한, 도 8c의 변경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2)는 연결부(214)의 근위측에 가까이 위치된 스프링(24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프링(242)은 연결부(214)의 근위측과 침강 구역의 상응하는 인접한 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242)은 연결부(214)의 근위측에 인접한 침강 구역(220)의 근위 벽내에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작동 버튼(205)의 작동 중에 연결부(214)가 카트리지(203)로부터 멀어지게 미끄러질 때, 연결부는 스프링(242)을 침강 구역(220)의 근위벽에 대해 누르고, 이에 의해 스프링(242) 내에 탄성 장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작동 버튼(205)이 상승 위치로 상승하려고 할 때 스프링(242)은 힌지(207)에 의해 발생한 복귀력을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쌍을 이루는 암(206)은 해제 위치에 있을 때보다 안착 위치에서 함께 더 가까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작동 버튼(205)이 작동될 때 암(206)들은 해제 위치로 강제로 멀어지고, 따라서 카트리지(203)는 해제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가드 부재(215)가 손잡이 본체(202A)에 제공될 수 있다. 가드 부재(215)는 손잡이 본체(202A)의 일부로서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드 부재(215)는 카트리지(203)에 인접한, 손잡이(202)의 최원위부에 성형된다. 바람직하게, 가드(215)는 손잡이(202)의 X-축에 놓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드 부재(215)는 카트리지(20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수단을 둘러싼다. 가드 부재(215)는 카트리지(20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복귀 수단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귀 수단은 푸셔(208)와 스프링(209)의 조합일 수 있다. 스프링(209)은 카트리지(20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필요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푸셔(208)는 카트리지(203)의 상응하는 캠 표면(210)과 상호 협력한다. 푸셔(208)는 가드(215)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푸셔(208)는 X-축을 따른 이동 외에 모든 방향에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푸셔(208)는 커버(204)로 덮인다. 바람직하게, 푸셔(208)는 가드(215) 안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푸셔(208)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8A)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푸셔(208)는 푸셔(208)의 양측에 제공된 두 개의 돌출부(208A)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하나의 돌출부(208A)가 가드(215)의 안에 제공된 홈(215A) 안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 커버(204)에는 푸셔(208)의 이동 중에 그 안에 다른 돌출부(208A)가 배치되는 홈이 또한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암(206)들을 정지 부재(228)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정지 부재(228)들은 암(206)들이 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 두 개의 암(206)이 서로 너무 가까워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암(206)들이 해제 위치를 향하여 서로 가까워질 때, 정지 부재(228)들은 가드 부재(215)에 맞닿는다. 따라서, 힌지(207)들은 갑작스런 과부하로부터 보호되는데, 이러한 과부하는 힌지(207)들을 파손에 이르게 할 수 있다. 가드 부재(215)와 정지 부재(228)들은 힌지(207)가 항복점 또는 가해지는 최대 인장 응력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며, 항복점은 재료가 영구적인 소성 변형을 일으키기 전에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응력의 지점이고 최대 인장 응력은 재료가 파단되는 응력의 지점이다. 암(206)들이 정지 부재(228)들을 구비함으로써, 암(206)들은 해지 위치에서 정지되며, 이에 의해 힌지(207)가 지나치게 많이 늘어나서 항복점 또는 가해지는 최대 인장 응력에 도달하는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힌지(207)의 기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힌지(207)를 지나치게 많이 당기고 과도한 변형을 유발함으로써 힌지를 원치않게 파손시키는 가능성이 감소한다. 따라서, 힌지(207)는 부적절하고 과도한 사용에 덜 취약하며, 전체 면도기의 신뢰성이 또한 향상된다. 가드 부재(215) 및 정지 부재(228)와 같은 보호 수단으로 인해, 면도기의 수명은 증가할 것이고, 더욱이 면도에 소요되는 사용자의 비용은 낮아질 것이다.
따라서, 가드 부재(215)는 다기능 요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결국, 손잡이(202)의 착탈 장치에 포함된 부품의 수가 감소하고, 손잡이(202)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다.
더욱이, 정지 부재(228)는 카트리지(203)가 당겨지는 경우에 암(206)들이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전 장치(228A)가 가드(215)의 원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안전 장치(228A)는 가드(215)로부터 손잡이(202)의 측면을 향해 밖으로 돌출할 수 있다. 정지 부재(228)가 카트리지(203)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정지 부재(228)는 안전 장치(228A)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므로, 카트리지(203)가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는 것은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사용자의 안전이 높아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암(206), 연결부(214) 및 정지 부재(228)들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쌍을 이루는 암(206)들은 탄성 연결부가 없이 연결부(214)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탄성 복귀력은 암(206)들 자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암(206)들은 복귀력을 발생시키는 힌지(207)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세트의 개구(212)들이 손잡이(202)에 제공될 수 있다. 개구(212)들은 커버(204)에 배치된 한 세트의 상응하는 돌출부(224)와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204)는 손잡이 본체(202A)에 고정되도록 한 세트의 개구(212)들에 압입 끼워맞춤될 수 있다. 작동 버튼(205)이 면대면 이동으로 제한되도록 작동 버튼(205)과 인접한 커버(204)에 구멍(227)이 또한 있을 수 있다. 작동 버튼(205)이 실질적으로 구형인 경우에, 구멍(227)은 원형이다. 바람직하게, 구멍(227)은 버튼(205)의 직경보다 지름이 작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버튼(205)은 손잡이 본체(202A) 안에 유지된다. 또한, 버튼(205)은 커버(204)의 구멍(227)을 통해 외부로 부분적으로 돌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301)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면도기(301)는 손잡이(302), 카트리지(303), 및 작동 버튼(305)을 포함한다. 버튼(305)은 버튼(305)에 고정된 실질적인 구형부(305A)를 또한 포함한다.
손잡이(302)는 기다란 그립부를 포함하는, 기다란 손잡이 본체(102A)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본체(302A)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저렴한 재료로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손잡이 본체(302A)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본체(302A)는 가급적 적은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손잡이 본체(302A)는 단일 피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손잡이 본체(302A) 및/또는 버튼(305)은 적어도 하나의 핑거 안착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핑거 안착 구역은 예컨대 고무 또는 유사한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302)의 원위부가 예컨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착탈 장치는 면도날 카트리지(303)를 해제가능하게 결합 및 분리하도록 형성된다. 손잡이(302)는 한 쌍의 암(306)을 포함하는 암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카트리지(303)는 쌍을 이루는 암(306)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암(306)들은 카트리지(303)가 손잡이(302)에 부착되는 안착 위치와 손잡이(302)로부터 카트리지(303)가 분리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306)들은 셸 베어링(306A)을 구비하는데,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303)가 손잡이(302)에 장착된다. 안착 위치에서 셸 베어링(306A)은 카트리지(303)에 제공된 림(303A)과 결합한다. 림(303A)과 셸 베어링(306A)은 Y-축 주위로 카트리지(303)의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핀 및 상응하는 개구,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피벗하는 면도날 카트리지(303)를 부착하기 위한 임의의 대안적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암(306)들은 카트리지(303)에 부착된 중간 구조물과 양립할 수 있다. 암(306)들은 중간 구조물과 또는, 카트리지(303) 및 중간 구조물 모두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쌍을 이루는 암(306)은 작동 버튼(305)과 상호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 버튼(305)의 작동시, 작동 버튼(305)과 쌍을 이루는 암(306) 사이의 캠 동작에 의해 두 개의 암(306)은 해제 위치로 함께 더욱 가까이 이동된다. 바람직하게, 작동 버튼(305)은 실질적인 구형부(305A)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305A)는 구체의 일부, 예컨대 반구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구형부(305A)는 사용자에게 가시적이다. 버튼(305)을 작동할 때 사용자의 핑거가 접촉하게 되도록 실질적인 구형부(305A)가 바람직하게 위치된다. 실질적인 구형부(305A)의 제조 공정은 다른 더 복잡한 부품의 제조 공정에 비해 더욱 단순하고, 신속하며 제조 비용이 적다. 실질적인 구형은, 실질적인 구형부(305A)를 사용할 때 핑거 안착 구역으로서 사용자를 위해 또한 안락한 것이다.
실질적인 구형부(305A)의 재료는 손잡이 본체(302A)의 재료의 밀도와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302)의 밸런스가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질적인 구형부(305A)의 밀도와 손잡이 본체(302A)의 밀도의 차이는 손잡이 본체(302A)의 밀도의 적어도 10%이다.
실질적인 구형부(305A)는 손잡이(302)의 원위부에 무게를 추가하도록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특히, 실질적인 구형부(305A)는 손잡이 본체(302A)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실질적인 구형부(305A)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버튼(305)이 복수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작동 버튼은 면도날 카트리지(303)를 해제한다. 작동 버튼은 손잡이(302)의 원위부에 추가적인 무게를 또한 제공한다.
추가 무게가 제공된 작동 버튼(305)의 실질적인 구형부(305A)는 면도 중에 사용자의 느낌을 개선하고 면도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조력한다. 특히 손잡이 본체(302A)가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가볍고 저렴한 재료로 성형될 경우, 손잡이(302)의 원위부에서의 추가 무게는 면도 과정을 더욱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한다. 버튼(305)에 배치되는 추가 무게는 블레이드에 가까이 있다. 그러므로, 면도 스트로크 동안 사용자의 피부 상의 블레이드의 인식이 향상될 것이다.
작동 버튼(305) 및/또는 작동 버튼(305)의 실질적인 구형부(305A)는 사용자의 핑거를 안착하기 위한 지지 구역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버튼(305) 및/또는 버튼(305)의 실질적인 구형부(305A)는 핑거가 버튼(305)에 대하여 안착될 때 사용자의 핑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고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대안으로, 버튼(305)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때 미끄럼 이동을 본질적으로 제한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미끄럼 이동을 방지하는 이러한 재료의 예들은 고무 또는 고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탄성중합체 재료이다.
카트리지(303)가 손잡이(302)로부터 해제될 때 암(306)들은 함께 더욱 가까워지도록 휘어진다. 따라서, 카트리지(303)가 셸 베어링(306A)으로부터 해제되고 분리 또는 교체된다. 이러한 이유로, 각각의 암(306)은 리셉터클(33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330)은 개별적인 암(306)의 전방면에 제공된다. 리셉터클(330)은 실질적으로 콩 모양의 형상(bean-like shape)일 수 있다. 리셉터클(330)은 버튼(305)에 구비된 핀(337)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암(306)들은 손잡이(302)에서 X-축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된다.
암(306)들 사이에는 플랫폼(331)이 위치한다. 플랫폼은 복수의 용도로 쓰일 수 있다. 플랫폼은 푸셔(308)를 위한 서포트를 제공한다. 또한, 플랫폼은 버튼(305)을 그 위치에 고정하고 버튼(305)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조력한다. 바람직하게, 플랫폼(331)은 전체적으로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암(306)들에 인접한 플랫폼(331)의 벽들은 면도기의 종축과 평행이다.
플랫폼(331)은 전방벽을 포함하고, 전방벽은 버튼(305)을 향하여 배향된다. 플랫폼의 전방벽은 트랙(331A)을 포함한다. 트랙(331A)은 푸셔(308)에 제공된 안내 돌출부(380A)들 중의 하나를 수용한다. 트랙(331A)은 푸셔(308)를 선형으로 왕복 이동하게 안내하는 것을 도와주며, 푸셔(308)가 잘못된 방향으로 변위되거나 안내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푸셔(308)의 손상의 위험성이 낮아지고, 그 안착 위치로 복귀하는 카트리지(303)의 기능이 향상된다.
암(306)들과 플랫폼(331)은 비선형 슬롯(332)들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비선형 슬롯(332)들은 각각의 암(306)과 플랫폼(331) 사이에 제공된다. 각각의 비선형 슬롯(332)은 선형부(333)를 구획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선형부(331)는 버튼(305), 즉 손잡이 본체(302A)의 원위부와 짝을 이루는 버튼(305)의 일부에 제공되는 로케이터(338)과 상호 협력하도록 형성된다.
플랫폼(331) 아래에 슬롯(334)이 형성된다. 슬롯은 실질적인 직사각형이다. 슬롯(334)은 한 방향으로 기다란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방향은 면도기(301)의 종축과 평행이다. 바람직하게, 면도기(301)의 종축과 평행한 슬롯(334)의 벽들은 서로 평행하며, 플랫폼(331)의 측벽과 또한 평행하다. 슬롯(334)의 측벽들은 플랫폼(331)의 측벽들과 실질적으로 하나의 라인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측벽들은 한 쌍의 대향하는 트랙을 형성하는 두 개의 종방향 에지들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트랙들은 버튼(305)의 가요성 후크(flexible hook)(339)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슬롯(334)의 근위벽은 정지 돌출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 돌출부(335)는 슬롯(334) 내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 정지 돌출부(335)의 전방벽은 플랫폼(331)의 전방벽과 정렬된다. 이 방식에서, 정지 돌출부(334)는 푸셔(308)의 이동과 간섭하지 않는다. 정지 돌출부(335)는 버튼(305)의 가요성 후크(339)들이 함께 더욱 가까워지거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더욱 멀어지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손잡이(302)가 낙하 또는 충격에 노출될 때, 정지 돌출부(335)는 버튼(305)의 분리 및 손잡이(302)의 분리를 방지한다.
손잡이 본체(302A)의 원위부의 전방부는 해제 버튼(3305)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이러한 버튼의 세부 사항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버튼(305)은 돌출부(340)를 구비한 본체로 형성된다. 돌출부(340)는 손잡이 본체(302A)의 원위 전방부에 대해 버튼(305)의 먼쪽으로부터, 그리고 손잡이 본체(302A)로부터 멀어지게 돌출한다. 돌출부는 실질적인 구형부(305A)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버튼(305)이 작동될 때, 실질적인 구형부(305A)는 사용자의 핑거와 접촉한다. 이를 위해, 돌출부는 핑거 안착부(340A)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버튼(305)이 작동될 때 핑거 안착부(340A)는 버튼(305)과 사용자 핑거 사이의 미끄럼 이동을 방지하고, 따라서 해제 장치의 원활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핑거 안착부(340A)는 고무, 실리콘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적합한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마찬가지로, 실질적인 구형부(305)의 외부 표면도 핑거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실질적인 구형부(305A)는 고무와 같은 적합한 탄성중합체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카트리지(303)가 제거되도록 할 때, 버튼(305)이 실질적으로 손잡이(302)의 종방향을 따라 카트리지(303)를 향해 앞쪽으로 푸시된다.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버튼(305) 후방부는 한 쌍의 로커(338)를 포함한다. 로커(338)들은 손잡이 본체(302A)와 결합하는 버튼(305)의 측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 로커(338)들은 카트리지(303)에 더 가까운 버튼(305)의 측면, 즉 버튼(305)의 최원위부에 위치된다. 로커들은 면도기(301)의 종축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로커(338)들은 그들 사이에 플랫폼(331)이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옵셋되어 있다. 이것은 로커(338)들이 의도하지 않게 함께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손잡이 본체(302A)로부터 손상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랫폼(331)과 로커(338)들은 그곳을 통해 푸셔(308)가 돌출하는 개구를 한정한다. 푸셔(308)는 이 개구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푸셔(308)에 제공된 돌출부(308A)들 중의 하나가 플랫폼(331)의 트랙(331A)과 결합한다. 플랫폼(331)에 있는 것과 유사한 트랙이 손잡이 본체(302A)와 결합하는 버튼(305)의 측면에 또한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푸셔(308)의 기능이 보장되도록 푸셔(308)는 안내를 제공한다.
푸셔(308)는 스프링(309)과 상호 협력한다. 카트리지(303)가 사용 중에 회전될 때 이들 두 부품의 상호 협력은 피벗하는 카트리지(30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수단을 제공한다. 스프링(309)은 카트리지(303)가 손잡이(302)로부터 분리된 후에 카트리지(303)를 셸 베어링(306A)으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는 푸시 힘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로커(338)는 바깥쪽으로 배향된 후크의 형태로 제공된다. 버튼(305)이 안착 위치에 있을 때, 로커(338)들은 비선형 슬롯(332)의 선형부(333)와 결합한다.
손잡이 본체(302A)와 접촉하는 버튼(305)의 내측 부분은 한 쌍의 핀(337)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핀(337)들은 암(306)에 구비된 리셉터클(330)과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리셉터클(330)은, 비선형일 수 있으며 비스듬히 밖을 향해 전방으로 배향되는 홈 형태일 수 있다.
카트리지(303)가 분리되려고 할 때 핀들은 암(306)들을 함께 더욱 가까이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버튼(305)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이것은 카트리지(303) 쪽으로 손잡이(302)의 종방향을 따라 미끄러진다. 핀(337)들은 리셉터클(330)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암(306)들을 휘어지게 하며 함께 서로 가까이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각각의 셸 베어링(306A)는 카트리지(303)의 상응하는 림(303A)으로부터 분리된다. 동시에, 카트리지(303)는 푸셔(308)에 의해 셸 베어링(306A)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303)는 손잡이(302)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버튼(305) 내측 부분은 가요성 후크(339)들을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가요성 후크(339)들은 버튼(305)의 근위 단부 가까이, 즉 카트리지(303)로부터 더욱 멀리 있는 단부에 제공된다. 가요성 후크(339)들은 손잡이 본체(302A)와 결합하는 버튼의 측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한다. 착탈 장치가 조립될 때, 이들은 플랫폼(331) 옆에 제공된 슬롯(334)을 통하여 연장한다. 가요성 후크(339)들은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이며, 구부러진 부분은 가요성 후크(339)의 먼 부분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가요성 후크(339)의 내측부를 형성하는 고리는 바깥쪽으로 배향, 즉 밖으로 구부러진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후크들이 마주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요성 후크들은 슬롯(334)의 측벽들과 결합한다. 다음에 후크들은 슬롯(334)의 측벽들의 단부에 의해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가요성 후크(339)들은 트랙과 스냅 끼워맞춤 한다. 이 피처들은 버튼(305)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4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면도기(401)는 손잡이(402), 카트리지(403) 및 작동 버튼(405)을 포함한다.
손잡이(402)는 그립 구역으로 기능할 수 있는 손잡이 본체(402A)를 포함한다. 손잡이 본체(402A)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저렴한 재료로 또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손잡이 본체(402A)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손잡이 본체(402A)는 가급적 적은 부품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손잡이 본체(402A)는 단일 피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손잡이 본체(402A), 및/또는 버튼 본체(405A), 및/또는 실질적인 구형부(405B)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 안착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핑거 안착 구역은 예컨대 고무 또는 유사한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손잡이 본체(402A)는 기다란 그립부를 포함하는, 기다란 것일 수 있다.
작동 버튼(405)은 버튼 본체(405B) 및 실질적인 구형부(405A)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실질적으로 버튼 본체(405B)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본체(405B)와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개별적인 두 개의 피스로 제조될 수 있다. 버튼 본체(405B)가 실질적으로 손잡이(402)의 종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버튼 본체(405B)는 손잡이 본체(402A)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버튼 본체(405B)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X-축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게 손잡이 본체(402)에 장착된다. 제2 위치에서, 버튼 본체(405B)는 카트리지(403)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 있다. 제2 위치에서, 버튼 본체(405B)는 카트리지(403)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에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버튼 본체(405B)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실질적으로 평면 XY와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 본체(402)에 장착된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버튼 본체(405B)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승 위치와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버튼 본체(405B) 안으로 완전히 눌려지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의 재료는 손잡이 본체(402A)의 재료의 밀도와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402)의 밸런스가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질적인 구형부(405A)의 밀도와 손잡이 본체(402A)의 밀도의 차이는 손잡이 본체(402A)의 밀도의 적어도 10%이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손잡이(402)의 원위부에 무게를 추가하도록, 버튼(405)의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제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손잡이 본체(402)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의 이러한 추가 무게는 면도 중에 사용자의 느낌을 개선하고 면도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조력한다. 특히 손잡이 본체(402A)가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가볍고 저렴한 재료로 성형될 경우, 손잡이(102) 원위부에서의 추가 무게는 면도 과정을 더욱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한다. 버튼 본체(405B)에 배치되는 추가 무게는 블레이드에 가까이 있다. 그러므로, 면도 스트로크 동안 사용자의 피부 상의 블레이드의 인식이 향상될 것이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버튼 본체(405B)가 손잡이(402)의 종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구형부는 버튼 본체(405B)를 제1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버튼 본체(405B)를 제2 위치 쪽으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도록 버튼 본체(405)와 상호 협력한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상승 위치에 있는 동안 버튼 본체(405B)가 제1 위치에 고정되는 것의 이점은, 면도 중에 더 편안하게 핑거 안착 구역으로서 버튼 본체(405)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유리하게 자신의 핑거를 블레이드에 바싹 근접하여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면도 블레이드를 더욱 효과적으로 인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403)를 손잡이(402)로부터 분리하는 유리한 방법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를 XY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버튼 본체(405B)를 잠금 해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사용자가 면도기(401)를 자신의 피부를 향하여 푸시할 때 자신의 핑거를 X-축 방향으로 작동 버튼(405)에 안착할 경우 원하는 임의의 힘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버튼 본체(405B)를 제1 위치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성이 훨씬 더 증가된다. 작동 버튼(405)은 블레이드에 가까이 있는 사용자의 핑거를 위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면도 중에 사용자의 피부 상에서 블레이드의 이동이 더욱 편리하게 안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복수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것은 버튼 본체(405B)의 미끄럼에 대항하여 잠금 장치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이것은 손잡이(402)의 원위부에 추가 무게를 또한 제공한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구체일 수 있다. 구형은 제조 공정 중에 손잡이 본체(402A)에 임의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하며 방향 무관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실질적인 구형부(405A)의 제조 공정은 더 복잡한 다른 부품들의 제조 공정보다 더 단순하고, 신속하며 제조 비용도 적다. 구형은 핑거 안착 구역으로서 실질적인 구형부(405A)를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또한 편안할 수 있다.
상승 위치에서 버튼 본체(405B) 및/또는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예컨대 면도 중에 사용자의 핑거를 안착하기 위한 지지 구역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버튼 본체(405B) 및/또는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핑거가 버튼 본체(405B) 및/또는 실질적인 구형부(405A)에 대하여 안착될 때 사용자의 핑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고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대안으로, 버튼 본체(405B) 및/또는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때 미끄럼 이동을 본질적으로 제한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미끄럼 이동을 방지하는 이러한 재료의 예들은 고무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탄성중합체 재료이다.
버튼 본체(405B)는 연장부(444)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부(444)는 사용자의 핑거를 안착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역을 확대할 수 있다. 연장부(444)를 구비함으로써, 버튼 본체(405b)의 표면에 사용자의 핑거의 배치가 사용자를 위해 더욱 편안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장부(444)는 고무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적절한 탄성중합체 재료로 덮인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402)의 원위부가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착탈 장치는 면도날 카트리지(403)를 해제가능하게 결합 및 분리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암(406)들은 X-축에 대해 대칭으로 손잡이 본체(402A)에 위치된다. 카트리지(403)는 쌍을 이루는 암(406)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암(406)들은 가요성일 수 있다. 암(406)들은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암(406)들은 손잡이 본체(402A)와 일체로 성형된다.
암(406)들은 카트리지(403)가 손잡이(402)에 결합되는 안착 위치와 손잡이(402)로부터 카트리지(403)가 분리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카트리지(403)의 해제 동안 안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암(406)들은 서로 가까이 이동할 수 있다. 카트리지(403)의 분리 중에 암(406)들이 더 멀어지게 이동하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또한 가능하다.
암(406)들이 해제 위치 쪽으로 함께 가까이 이동할 때 암(406)들은 탄성 복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탄성 복귀력은 암(406)들을 안착 위치로 되돌리도록 강제한다. 따라서, 버튼(405)이 작동될 때 암(406)들은 안착 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버튼(405)이 사용자에 의해 해제된 후, 이것은 쌍으로 이루어진 암(406)들에 의해 발생한 바이어스 힘에 의해 제1 위치로 다시 푸시될 수 있다. 암(406)들 및 버튼(405)의 상응하는 피처들은 예컨대 WO 2010/037418A1에 설명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406)들은 셸 베어링(406A)을 구비할 수 있는데, 셸 베어링(406A)에 의해 카트리지(403)가 손잡이(402)에 장착된다. 예컨대, 안착 위치에서 셸 베어링(406A)은 카트리지(403)에 구비된 상응하는 림(도시하지 않음)과 결합한다. 림과 셸 베어링(406A)은 피벗 축 Y 주위로 카트리지(403)의 피벗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피벗하는 면도날 카트리지(403)를 부착하기 위한 임의의 대안적인 수단, 예컨대 핀 및 대응하는 구멍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암(406)들은 카트리지(403)에 부착된 중간 구조물과 양립할 수 있다. 암(406)들은 중간 구조물과 또는, 카트리지(403) 및 중간 구조물 모두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쌍을 이루는 암(406)은 작동 버튼(405)과 상호 협력하도록 형성된다. 작동 버튼(405)의 작동시, 작동 버튼(405)과 암(406)들 사이에 캠 동작에 의해 두 개의 암(406)은 함께 가까이 이동된다. 버튼 본체(405B)가 면도기의 카트리지(403)를 향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X-축을 따라 전방으로 미끄러질 때, 암(406)들은 안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해 함께 가까이 이동한다.
각각의 암(406)은 리셉터클(43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430)은 개별적인 암(406)의 전방면에 제공된다. 리셉터클(430)은 비선형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리셉터클(430)은 실질적으로 콩 모양의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셉터클(430)들은 손잡이(402)의 근위부로부터 원위부로 X-축으로 부여되는 종방향에 대해 서로 멀어지게 경사져 있다. 리셉터클(430)은 비선형일 수 있으며 비스듬히 밖을 향해 전방으로 배향되는 홈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버튼 본체(405B)가 제2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할 때 암(406)들은 서로 가까이 이동하는 반면에 버튼(405)이 제1 위치로 다시 복귀할 때 암(406)들은 다시 멀어지도록, 리셉터클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 본체(405B)의 하부는 한 쌍의 핀(437)을 포함한다. 카트리지(403)가 손잡이(402)로부터 해제되도록 할 때, 암(406)들은 함께 가까워지도록 휘어진다. 카트리지(403)가 해제되도록 할 때 핀(437)들은 암(406)들을 함께 가까이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핀(437)들은 암(406)들에 제공된 리셉터클(430)과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카트리지(403)는 셸 베어링(406A)으로부터 분리되고, 제거 또는 교체될 수 있다. 핀(437)들은 암(406)들을 구동하기 위하여 리셉터클(430)과 결합한다. 버튼 본체(405B)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푸시될 때, 핀(437)들은 암(406)들을 구부리도록 리셉터클(430)을 구동한다. 버튼(405)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버튼 본체(405B)는 카트리지(403)를 향해 X-축을 따라 미끄러진다. 핀(437)들은 리셉터클(430)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암(406)들을 구부리고 함께 가까이 이동하도록 강제한다. 따라서, 각각의 셸 베어링(406A)이 카트리지(403)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카트리지(403)는 손잡이(402)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암(406)들 사이에, 탄성적인 텅(tongue)(445)이 위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403)가 Y-축 주위로 피벗할 때, 탄성적인 텅(445)은 카트리지(40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적인 텅(445)은 X-축 상에 또는 X-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대안으로, 탄성적인 텅(445)은 플런저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임의의 복귀력 발생 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버튼 본체(405B)는 손잡이 본체(402A) 쪽으로 개방된 캐비티(414)를 가질 수있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실질적으로 캐비티(414) 안에 배치된다. 캐비티(414)는,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캐비티(414)에 완전히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버튼 본체(405B)는 손잡이 본체 반대편의 캐비티(414)를 부분적으로 덮는 커버(40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승 위치에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관통공(427)을 통하여 버튼 본체(405B)의 밖으로 위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관통공(427)은 버튼 본체(405B)의 커버(404)에 배치된다. 관통공(427)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캐비티(414)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관통공(427)에 위치할 때, 바람직하게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면대면 이동이 제한된다. 예컨대, 관통공(427)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실질적인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 본체(402A)는 버튼 본체(405B)의 캐비티(414)에서 커버 쪽으로 연장하는 강성의 가이드(443)를 포함한다. 가이드(443)는 손잡이 본체(402A)와 일체인 포스트 또는 벽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암 어셈블리를 향하여 가이드(443)에 지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버튼 본체(405B) 안을 향하여 안내되도록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까지의 도중에서 상기 가이드에 대하여 지탱된다. 따라서, 실질적인 구형부는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손잡이의 종방향과 수직인 손잡이 본체(402A)에 대해 안내된다.
손잡이 본체(402)는 실질적으로 버튼 본체(405B)의 캐비티(414) 아래에 중공의 침강부(45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하강 위치에 놀려질 때 침강부(450)가 실질적인 구형부(405A)의 적어도 부분적인 진입을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실질적인 구형부가 침강부(450)에 끼워맞춤 되도록 침강부(450)는 오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침강부(450) 안에는 스프링(442)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프링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와 손잡이 본체(402A) 사이에 위치된다. 스프링(442)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를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다시 푸시하는 바이어스 힘을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실질적인 구형부(405A)에 어떠한 압력도 가해지지 않으면, 복귀 스프링(442)에 의해 제공되는 힘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를 상승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대안으로, 스프링(442)은 판 스프링 또는 복귀력을 제공하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6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상승 위치에 있는 손잡이(402)의 원위부를 도시한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버튼 본체(405B)는 제1 위치에 있고 암(406)들은 안착 위치에 있다. 상승 위치에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암 어셈블리를 향해 가이드(443)에 지탱된다. 또한, 상승 위치에서 실질적인 구형부는 손잡이의 종방향에 대해 커버(404)의 관통공(427) 안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승 위치에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버튼 본체(405A)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버튼 본체(405B)는 실질적인 구형부(405A)에 의해 제1 위치에 잠금된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를 누르면, 사용자는 하강 위치로 실질적인 구형부(405A)의 이동을 개시할 수 있다.
도 17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중간 위치에 있는 손잡이(402)의 원위부를 도시하는데, 중간 위치는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의 실질적인 중간에 있는 것에 해당한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버튼 본체(405B)의 경사면(417)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를 따라 미끄럼 가능하다. 결국, 버튼 본체(405B)는 제2 위치로 자유롭게 미끄러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 본체(405B)를 제2 위치 쪽으로 X-축을 따라 전방으로 푸시할 수 있다. 캠 동작에 의해, 암(406)들이 해제 위치 쪽으로 함께 가까이 구부러지기 시작하도록 버튼 본체(405B)는 캠(406)과의 상호 협력을 개시한다. 버튼 본체(405B)가 제2 위치로 전방으로 미끄러지고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경사면(417)을 따라 미끄러질 때, 실질적인 구형부는 버튼 본체(405B)의 경사면(417)에 의해 하강 위치로 눌려진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가이드(443)에 지탱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경사면(417)을 따라 미끄러질 때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암 어셈블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도 18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하강 위치에 있는 손잡이(402)의 원위부를 도시한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403)가 제거/교체될 수 있도록 버튼 본체(405B)는 제2 위치에 있고 암(406)들은 해제 위치에 있다. 하강 위치에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버튼 본체(405B)의 캐비티(414) 안으로 눌려진다. 또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여전히 가이드(443)에 지탱된다. 이러한 이유로, 버튼 본체(405B)는 암 어셈블리를 향해 더 이상 미끄러질 수 없다. 바람직하게, 하강 위치에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침강부(450)에 진입한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442)은 실질적인 구형부(405A)와 손잡이 본체(402A) 사이의 침강부 안으로 완전히 눌려진다.
사용자가 버튼 본체(405B)를 푸시하는 것을 중지하면, 탄성적인 암(406)들에 의해 발생한 복귀력으로 버튼 본체(405B)는 제1 위치로 다시 되돌아갈 수 있다. 스프링(442), 실질적인 구형부(405A) 및 버튼 본체(405) 간의 캠 동작에 의한 것 외에, 스프링(442)에 의해 발생한 복귀력이 버튼 본체(405B)를 제1 위치로 다시 푸시하도록 기여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상승 위치로 복귀할 때,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가이드를 따라 안내되고 경사면(417)을 따라 미끄러진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버튼 본체(405B)를 제1 위치로 되돌리게 강제한다.
도 21은 제1 실시예의 작동 버튼(105)의 예들을 도시하는데, 모든 예들에서 작동 버튼(105)은 두 개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동 버튼(105)에 포함되는 재료의 수는 더 많을 수 있다. 다음의 단락들에서, 비록 제1 실시예의 작동 버튼(105)에 대해서만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작동 버튼 또는 실질적인 구형부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또한 채택될 수 있다. 작동 버튼(105)의 재료는 손잡이 본체(102A)의 재료의 밀도보다 높거나 낮은 평균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동 버튼(105)의 평균 밀도와 손잡이 본체(102A)의 재료의 밀도 사이의 차이는 손잡이 본체(102A)의 재료의 밀도의 적어도 10%이다.
바람직하게, 작동 버튼(105)은 다른 밀도를 갖는 복수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재료 중의 일부는 손잡이 본체(102A)의 재료보다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고, 이들 재료 중의 일부는 손잡이 본체(102A)의 재료보다 낮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작동 버튼(105)에 복수의 재료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은 손잡이(102)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핑거의 그립 구역 및/또는 안착 구역을 제공하는 이점들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 본체(102A)의 재료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무게 증가 재료들은 고밀도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재료일 수 있다. 손잡이 본체(102A)의 재료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저밀도 재료들은 가벼운 플라스틱, 고무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복수의 재료의 평균 밀도가 손잡이 본체(102)의 재료의 밀도와 상이하도록 재료들의 조합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평균 밀도와 손잡이 본체(102A) 재료의 밀도 사이의 차이는 손잡이 본체(102A)의 밀도의 적어도 10%이다.
도 21a는 작동 버튼(105) 안에 손잡이 본체(102A)의 재료보다 높은 밀도의 재료(B), 및 작동 버튼(105) 밖에 손잡이 본체(102A)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의 밀도보다 낮은 밀도의 재료(A)를 포함하는 구형의 작동 버튼(105)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료들이 반대로 배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도 21b는 작동 버튼(105)의 안에 있으며 작동 버튼(105)의 밖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재료(D)를 보여준다. 대안으로,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버튼(105)은 단일의 재료(E) 및 내부에 중공부(F)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공부(F)는 제로(0)와 동일하거나 제로에 매우 가까운 밀도를 갖는다. 도 21d는 구형의 작동 버튼(105)의 중심에 제공된 재료(G)가 재료(H)를 통해 작동 버튼(105)의 외부를 향한 다양한 방향들로 돌출하는 다른 예를 보여준다. 재료(H)는 손잡이(102)에 대해 무게 증가 재료일 수 있고 재료(G)는 고무와 같은 손잡이의 그립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d에 도시한 것과 다른 밀도를 갖는 재료의 다른 변형예들이 또한 가능하다. 손잡이 본체(102A)의 재료의 밀도보다 높거나 낮은 밀도를 갖는 재료들 중에서 임의의 재료(A, B, C, D, E, G, H)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항목들에 설명하는 것에 따른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항목 1.
면도기(401)용 손잡이(402)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402A);
손잡이 본체(402A)에 제공되며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403)와 결합하여 면도날 카트리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암(406)을 가진 암 조립체;
실질적으로 손잡이(402)의 종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손잡이 본체(402A)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 본체(405B)와 실질적인 구형부(405A)를 포함하는 작동 버튼(405)을 포함하고;
암(406)들은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403)와 결합하기 위한 안착 위치와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403)를 분리하기 위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작동 버튼(405)이 작동될 때 상기 작동 버튼(405)이 상기 한 쌍의 암(406)을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 버튼(405)의 상기 본체(405B)는 캠 동작에 의해 암 어셈블리와 상호 협력하며,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버튼 본체(405B) 밖으로 상승되는 상승 위치와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버튼 본체(405) 안으로 완전히 눌려지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손잡이(402)의 종방향과 수직인 버튼 본체(405B)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버튼 본체(405B)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버튼 본체(405B)가 하강 위치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상승 위치 쪽으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되고 버튼 본체(405)와 상호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2. 항목 1에 따른 손잡이(402)에 있어서,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손잡이 본체(402A)의 재료의 밀도와 다른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3. 항목 2에 따른 손잡이(402)에 있어서,
상기 평균 밀도와 상기 손잡이 본체(402A)의 재료의 밀도 사이의 차이는 적어도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4. 항목 2 또는 항목 3에 따른 손잡이(402)에 있어서,
실질적인 구형부는 상이한 밀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5. 선행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에 따른 손잡이(402)에 있어서,
실질적인 구형부는 손잡이 본체(402A)의 재료의 밀도보다 높은 평균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6. 선행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에 따른 손잡이(402)에 있어서,
실질적인 구형부(405A)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7. 선행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에 따른 손잡이(402)에 있어서,
손잡이는 스프링(442)을 또한 포함하고,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하강 위치 쪽으로 완전히 눌려졌을 때 상기 스프링(442)이 실질적인 구형부(405A)를 상승 위치로 푸시하는 복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8. 선행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에 따른 손잡이(402)에 있어서,
버튼 본체(405B)는 면도 중에 사용자의 핑거를 안착하기 위한 연장부(4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9. 면도기(101, 201, 301, 401)용 손잡이(102, 202, 302, 402)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
손잡이 본체에 제공되며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 303, 403)와 결합하여 면도날 카트리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두 개의 암(106, 206, 306, 406)을 가진 암 조립체;
손잡이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을 포함하고;
암(106, 206, 306, 406)들은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 303, 403)와 결합하기 위한 안착 위치와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 303, 403)를 분리하기 위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이 작동될 때 상기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이 상기 두 개의 암(106, 206, 306, 406)을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은 캠 동작에 의해 암 어셈블리와 상호 협력하고,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이 손잡이 본체(102A, 202A, 302A, 402A)의 재료의 밀도와 다른 평균 밀도를 갖는 무게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10. 항목 9에 따른 손잡이(102, 202, 302, 402)에 있어서,
상기 평균 밀도와 손잡이 본체(102A, 202A, 302A, 402A)의 재료의 밀도 사이의 차이는 적어도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11. 항목 9 또는 항목 10에 따른 손잡이(102, 202, 302, 402)에 있어서,
무게 부품은 다른 밀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12. 항목 9 내지 항목 11 중 어느 것에 따른 손잡이(102, 202, 302, 402)에 있어서,
무게 부품은 손잡이 본체(102A, 202A, 302A, 402A)의 재료의 밀도보다 높은 평균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13. 항목 9 내지 항목 12 중 어느 것에 따른 손잡이에 있어서,
무게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14. 항목 9 내지 항목 13 중 어느 것에 따른 손잡이에 있어서,
작동 버튼(105, 205) 자체가 무게 부품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목 15. 항목 9에 따른 손잡이에 있어서,
작동 버튼(105, 205)은 상승 위치와 상기 작동 버튼(105, 205)이 손잡이(102, 202) 안으로 눌려지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손잡이 본체에 장착되고, 작동 버튼(105, 205)이 하강 위치로 눌려질 때 상기 작동 버튼(105, 205)은 상기 두 개의 암(106, 206)을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고, 작동 버튼(105, 205)이 해제될 때 상기 두 개의 암(106, 206)이 상기 작동 버튼(105, 205)을 상승 위치로 바이어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23)

  1.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 303, 403)를 해제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을 포함하며,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 303, 403)를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면도기(101, 201, 301, 401)용 손잡이(102, 202, 302, 402)에 있어서,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은, 상기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을 작동할 때 사용자의 핑거가 접촉하게 되도록 위치한 실질적인 구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302, 402).
  2.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02A, 202A, 302A, 402A);
    손잡이 본체(102A, 202A, 302A, 402A)에 제공되며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 303, 403)와 결합하여 면도날 카트리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두 개의 암(106, 206, 306, 406)을 가진 암 조립체를 또한 포함하며,
    암(106, 206, 306, 406)들은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 303, 403)와 결합하기 위한 안착 위치와 적어도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 303, 403)를 분리하기 위한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은 손잡이 본체(102A, 202A, 302A, 402A)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이 작동될 때 상기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이 상기 두 개의 암(106, 206, 306, 406)을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은 캠 동작에 의해 암 어셈블리와 상호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302, 40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질적인 구형부는 손잡이 본체(102A, 202A, 302A, 402A)의 재료의 밀도와 다른 평균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302, 402).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밀도와 상기 손잡이 본체(102A, 202A, 302A, 402A)의 재료의 밀도 사이의 차이는 적어도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302, 402).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실질적인 구형부는 상이한 밀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302, 402).
  6. 선행항에 있어서,
    실질적인 구형부는 손잡이 본체(102A, 202A, 302A, 402A)의 재료의 밀도보다 높은 평균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302, 402).
  7. 선행항에 있어서,
    실질적인 구형부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302, 402).
  8. 선행항에 있어서,
    작동 번트(105, 205)은 실질적으로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9. 선행항에 있어서,
    암 어셈블리는 손잡이 본체(102A, 202A)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손잡이 본체(102A, 202A)와 암 어셈블리는 별개의 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10. 선행항에 있어서,
    작동 버튼(105, 205)은 상승 위치와 상기 작동 버튼(105, 205)이 손잡이(102, 202) 안으로 눌려지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손잡이 본체(102A, 202A)에 장착되고, 작동 버튼(105, 205)이 하강 위치로 눌려질 때 상기 작동 버튼(105, 205)은 상기 두 개의 암(106, 206)을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고, 작동 버튼(105, 205)이 해제될 때 상기 두 개의 암(106, 206)이 상승 위치 쪽으로 상기 작동 버튼(105, 205)을 바이어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11. 선행항에 있어서,
    작동 버튼(105)이 공통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암(106, 206)은 상기 공통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하고 상기 작동 버튼(105)은 손잡이 본체(102A, 202A)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12. 선행항에 있어서,
    두 개의 암(106, 206)이 안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복귀력이 두 개의 암(106, 206)에 적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107A, 207),
    가드 부재(115, 215) 및 두 개의 암(106, 206)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드 부재(115, 215)에 맞닿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정지 부재(107B, 229)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두 개의 암(106)을 서로 연결하는 U-형상 탄성 부재(107)이며, 상기 U-형상 탄성 부재(107)는 가드 부재(115) 둘레에 감기고 복귀력 발생부(107A) 및 정지 부재들로서 작용하는 보호부(107B)들을 포함하며,
    U-형상 탄성 부재(107)의 보호부(107B)들은 두 개의 암(106)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가드 부재(115)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14. 제13항에 있어서,
    분리할 수 있는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를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가드 부재(115, 215)는 면도날 카트리지(103, 203)를 안착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102, 202).
  15. 선행항에 있어서,
    두 개의 암(106)은 작동 버튼에 가까이 있는 근위부(117) 및 작동 버튼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원위부(119)를 갖고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암(106)은 두 개의 피벗 지점(111) 주위로 안착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고,
    상기 두 개의 암(106)의 근위부(117)는 작동 버튼(105)의 작동 중에 멀어지게 이동되고, 이에 의해 피벗 지점(111) 주위로 회전하며 면도날 카트리지(103)를 손잡이(102)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두 개의 암(106)의 원위부(119)가 함께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암 어셈블리는 연결부(214)를 또한 포함하며, 두 개의 암(206)은 힌지(207)에 의해 상기 연결부(214)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207)로부터 면도날 카트리지(203)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개별적인 원위부까지 연장하며, 상기 두 개의 암(206)은 힌지 주위로 안착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며,
    상기 암 어셈블리는 손잡이(202)의 종방향을 따라 손잡이 본체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연결부(214)는 암 어셈블리를 종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기 위하여 작동 버튼(205)이 작동될 때 캠 동작에 의해 상기 작동 버튼(205)과 상호 협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작동 버튼(205)의 작동으로 암 어셈블리가 미끄러질 때 암(206)들은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캠 동작에 의해 손잡이 본체와 상호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202).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207)는 안착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암(206)들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202).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연결부(214)는 버튼(205)을 그 안에 수용하는 캐비티(214A)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217)은 암(206)의 원위부와 대향하는 상기 캐비티(214A)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작동 버튼(205)은 상기 작동 버튼(205)이 캐비티(214A) 안으로 들어가고 캠 작용에 의해 경사면에 눌려지는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캐비티(214A) 안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버튼(205)은 눌려질 때 손잡이(202)의 종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손잡이 본체에 대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202).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205)은 구체이며, 암 어셈블리를 덮고 손잡이 본체와 함께 견고한 커버(204)에 있는 구멍(227) 안에서 안내되고, 상기 구멍(227)은 작동 버튼(205)이 캐비티(214A)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202).
  2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작동 버튼(305)은 상기 작동 버튼이 실질적으로 손잡이(302)의 종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손잡이 본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302).
  2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작동 버튼(405)은 버튼 본체(405B)와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본체(405B)는 실질적으로 손잡이(402)의 종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손잡이 본체(402A)에 장착되고,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버튼 본체(405B)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버튼 본체(405B)의 밖으로 상승되는 상승 위치와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버튼 본체(405B)의 안으로 눌려지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손잡이(402)의 종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손잡이 본체(402A)에 대해 안내되며,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상승 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되며,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버튼 본체(405B)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버튼 본체(405B)를 미끄러지게 할 수 있도록 버튼 본체(405B)와 상호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402).
  22. 제21항에 있어서,
    버튼 본체(405B)는 손잡이 본체(402A)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캐비티(414) 및 손잡이 본체(402A)와 대향하는 상기 캐비티(414)를 부분적으로 덮는 커버(404)를 갖고 있으며, 상기 커버(404)는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그곳을 통하여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캐비티(414)의 밖으로 돌출하는 관통공(427)을 갖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 본체(402A)는 버튼 본체(405B)의 캐비티(414)에서 커버(404) 쪽으로 연장하는 가이드(443)를 갖고 있으며,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는 암 어셈블리를 향하여 상기 가이드(443)에 지탱되며, 상기 캐비티(414)는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하강 위치에서 상기 캐비티(414)에 전부 들어갈 수 있고 버튼 본체(405B)가 암 어셈블리 쪽으로 미끄러질 때 상기 실질적인 구형부(405A)가 버튼 본체(405B)의 상기 커버(40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402).
  23. 선행항에 따른 손잡이(102, 202, 302, 402) 및 상기 손잡이(102, 202, 302, 402)에 장착된 적어도 카트리지(103, 203, 303, 403)를 포함하는 면도기(101, 201, 301, 401)로서,
    상기 카트리지(103, 203, 303, 403)는 두 개의 암(106, 206, 306, 406)이 안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두 개의 암(106, 206, 306, 406)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카트리지(103, 203, 303, 403)는 두 개의 암(106, 206, 306, 406)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두 개의 암(106, 206, 306, 406)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카트리지(103, 203, 303, 403)는 작동 버튼(105, 205, 305, 405)의 작동시 상기 손잡이(102, 202, 302, 402)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101, 201, 301, 401).
KR1020177018036A 2014-12-05 2014-12-05 면도날 카트리지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착탈 장치를 구비한 면도기 손잡이 KR102245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4/076791 WO2016087007A1 (en) 2014-12-05 2014-12-05 A shaver's handle with a lock and release mechanism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a razor cart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715A true KR20170122715A (ko) 2017-11-06
KR102245248B1 KR102245248B1 (ko) 2021-04-28

Family

ID=5201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036A KR102245248B1 (ko) 2014-12-05 2014-12-05 면도날 카트리지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착탈 장치를 구비한 면도기 손잡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0427312B2 (ko)
EP (2) EP3227065B1 (ko)
JP (1) JP6496824B2 (ko)
KR (1) KR102245248B1 (ko)
CN (1) CN107107361B (ko)
AU (1) AU2014413156B2 (ko)
BR (1) BR112017011453B1 (ko)
CA (1) CA2969035C (ko)
MX (1) MX2017007239A (ko)
PL (1) PL3227065T3 (ko)
RU (1) RU2681234C2 (ko)
WO (1) WO20160870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693A2 (ko) 2017-09-22 2019-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보호층용 무용제형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925B1 (ko) 2006-06-29 2007-08-1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PL2853362T3 (pl) 2013-09-25 2017-01-31 Bic Violex S.A. Kaseta nożyków do golenia
EP3110599B1 (en) * 2014-02-28 2019-10-30 BIC-Violex S.A. A razor handle comprising inserts within holes and razor comprising such a razor handle
EP3227065B1 (en) * 2014-12-05 2020-02-19 BIC-Violex S.A. A shaver's handle with a lock and release mechanism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a razor cartridge
US10131063B2 (en) * 2015-09-29 2018-11-20 The Gillette Company Llc Adapter for attaching a razor cartridge to a razor handle
KR101703508B1 (ko) * 2015-11-20 2017-02-07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US10576648B2 (en) * 2016-04-05 2020-03-03 Bic-Violex Sa Shaver handle with a lock and release mechanism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a razor cartridge
US10652956B2 (en) 2016-06-22 2020-05-12 The Gillette Company Llc Personal consumer product with thermal control circuitry and methods thereof
USD818643S1 (en) * 2016-07-13 2018-05-22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Razor Actuator Button
WO2018049668A1 (zh) * 2016-09-19 2018-03-22 任向荣 剃须刀用弹性卡扣
EP3398738B1 (en) 2017-05-05 2020-03-11 BIC Violex S.A. Razor handle
KR102444441B1 (ko) 2017-07-20 2022-09-16 쉐이브로직, 인코포레이티드 면도 시스템
US11351687B2 (en) * 2017-11-28 2022-06-07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Razor handle
AU2019242765B2 (en) * 2018-03-30 2022-06-23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movable members
US11607820B2 (en) 2018-03-30 2023-03-21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movable members
CA3092881A1 (en) 2018-03-30 2019-10-03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movable members
USD874061S1 (en) 2018-03-30 2020-01-28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razor cartridge
CN111819046B (zh) 2018-03-30 2022-09-13 吉列有限责任公司 具有可移动构件的剃刀柄部
US11123888B2 (en) 2018-03-30 2021-09-21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EP3552780B1 (en) * 2018-03-30 2021-01-27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razor cartridge
EP3774230A1 (en) 2018-03-30 2021-02-17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EP3774235A1 (en) 2018-03-30 2021-02-17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CN111867795B (zh) * 2018-03-30 2022-03-18 吉列有限责任公司 剃刀柄部
EP3774221A1 (en) 2018-03-30 2021-02-17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CN111819044B (zh) 2018-03-30 2022-09-16 吉列有限责任公司 具有枢转部分的剃刀柄部
EP4015169A1 (en) * 2018-09-14 2022-06-22 BIC Violex Single Member S.A. Razor assembly
US11020867B2 (en) * 2019-03-15 2021-06-01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US11020866B2 (en) * 2019-03-15 2021-06-01 The Gillette Company Llc Handle for a razor
US11703963B2 (en) * 2019-06-28 2023-07-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put device
US11161263B2 (en) * 2019-08-22 2021-11-02 Harry's, Inc. Razor cartridge connection and handle
CN114761188A (zh) * 2019-10-16 2022-07-15 伊格尔·梅西卡 具有用于一次性剃刀盒的剃刀柄部的剃刮设备
EP3842196B1 (en) * 2019-12-23 2023-09-13 BIC Violex Single Member S.A. Coupling mechanis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3837A2 (en) * 1996-04-10 2000-11-22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and method
KR200276579Y1 (ko) * 2002-02-19 2002-05-24 주식회사 도루코 안전 면도기
KR20110093776A (ko) * 2008-10-01 2011-08-18 빅-비올렉스 에스아 면도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면도기 손잡이 및 그 손잡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WO2014094907A1 (en) * 2012-12-21 2014-06-26 Bic-Violex Sa Shaver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5841A (en) * 1937-11-22 1941-03-25 Monnet Georges Elastic handle for safety razors
GB888738A (en) * 1958-05-17 1962-02-07 Heinz Osberghau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zors
US3052979A (en) * 1958-05-17 1962-09-11 Rud Osberghaus Fa Safety razor
GB1294666A (en) * 1969-01-28 1972-11-01 Wilkinson Swor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aving devices
GB1378085A (en) * 1972-05-16 1974-12-18 Wilkinson Sword Ltd Shaving devices
US4083104A (en) * 1975-05-12 1978-04-11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US4198746A (en) * 1977-06-09 1980-04-22 The Gillette Company All plastic swivel head razor handle
US4266340A (en) * 1979-06-11 1981-05-12 Warner-Lambert Company Razor handle for mounting pivotable razor blade cartridges
GB2078589B (en) * 1980-06-26 1983-04-07 Gillette Co Razor handles
GB2086790B (en) * 1980-11-10 1984-03-21 Gillette Co Safety razors
US4488357A (en) * 1982-09-17 1984-12-18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
US4492025A (en) * 1982-09-17 1985-01-08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assembly
GB8506831D0 (en) * 1985-03-15 1985-04-17 Wilkinson Sword Ltd Razor handle
US4797998A (en) * 1986-12-08 1989-01-17 Warner-Lambert Company Lockable pivotable razor
US4739553A (en) * 1986-12-15 1988-04-26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assembly
US4756082A (en) * 1987-05-12 1988-07-12 Apprille Jr Domenic V Razor blade assembly and handle therefor
US5497551A (en) * 1994-10-13 1996-03-12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assembly
US5784790A (en) * 1996-04-10 1998-07-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razor and method
US5956851A (en) * 1996-04-10 1999-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including handle and replaceable cartridges
US5687485A (en) * 1996-05-15 1997-11-18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US5784785A (en) * 1997-06-09 1998-07-28 Violex-Bic, S.A. Folding longitudinal razor
KR100352838B1 (ko) * 2000-06-24 2002-09-1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US20020116831A1 (en) * 2001-02-28 2002-08-29 Coffin David C. Apparatus for releasably retaining a disposable razor cartridge
EP1300220A1 (en) * 2001-10-02 2003-04-09 Warner-Lambert Company Blade cartridge holding, releasing, and capturing mechanism for a replaceable cartridge razor
JP4408895B2 (ja) * 2003-02-25 2010-02-03 エヴァレディ バッテリー カンパニー インク シェービング装置
US20040216311A1 (en) * 2003-03-28 2004-11-04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Razor handle assembly
US7536787B2 (en) * 2004-03-30 2009-05-26 Ridgewood Industries Llc Wet razor and electric trimmer assembly
EP1789238B1 (en) * 2004-09-07 2008-03-19 BIC Violex S.A. Razor handle and shaver including such a handle
US20090119924A1 (en) * 2005-09-06 2009-05-14 Ioannis Bozikis Vibrating wet shaver
US7770294B2 (en) 2007-08-30 2010-08-10 The Gillette Company Razor with blade unit biasing member
US8844145B2 (en) * 2008-04-11 2014-09-30 Bic-Violex Sa Razor handle for a retractable shaving cartridge and a razor comprising such a razor handle
US20100005669A1 (en) * 2008-07-14 2010-01-14 Florina Winter Razor Handle
CN102202839B (zh) * 2008-09-18 2013-05-22 比克-维尔莱克 具有可伸缩刮刀盒的剃须刀以及用于这种手柄的剃须刀手柄
US8209868B2 (en) * 2009-07-27 2012-07-03 The Gillette Company Device with an illuminated button assembly
US20110088269A1 (en) * 2009-10-21 2011-04-21 Walker Jr Vincent Paul Docking Mechanisms for Shaving Razors and Cartridges
US8510956B2 (en) * 2010-03-12 2013-08-20 The Gillette Company Combination shaving and trimming device
KR102009179B1 (ko) * 2012-12-21 2019-08-09 빅-비올렉스 에스아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를 가지는 면도기와 이러한 면도기를 위한 카트리지와 헤드 및 핸들 조립체
USD850721S1 (en) * 2014-03-05 2019-06-04 Mack-Ray, Inc. Razor cartridge
EP3227065B1 (en) * 2014-12-05 2020-02-19 BIC-Violex S.A. A shaver's handle with a lock and release mechanism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a razor cartridge
US10576648B2 (en) * 2016-04-05 2020-03-03 Bic-Violex Sa Shaver handle with a lock and release mechanism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a razor cartri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3837A2 (en) * 1996-04-10 2000-11-22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and method
KR200276579Y1 (ko) * 2002-02-19 2002-05-24 주식회사 도루코 안전 면도기
KR20110093776A (ko) * 2008-10-01 2011-08-18 빅-비올렉스 에스아 면도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면도기 손잡이 및 그 손잡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WO2014094907A1 (en) * 2012-12-21 2014-06-26 Bic-Violex Sa Sha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693A2 (ko) 2017-09-22 2019-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보호층용 무용제형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69035A1 (en) 2016-06-09
MX2017007239A (es) 2017-10-16
JP2017536200A (ja) 2017-12-07
WO2016087007A1 (en) 2016-06-09
JP6496824B2 (ja) 2019-04-10
AU2014413156B2 (en) 2018-07-26
KR102245248B1 (ko) 2021-04-28
PL3227065T3 (pl) 2020-08-24
EP3227065A1 (en) 2017-10-11
CN107107361B (zh) 2019-05-03
RU2017123396A3 (ko) 2019-01-09
AU2014413156A1 (en) 2017-06-22
CN107107361A (zh) 2017-08-29
EP3659762B1 (en) 2023-01-25
US20170334083A1 (en) 2017-11-23
RU2017123396A (ru) 2019-01-09
BR112017011453B1 (pt) 2021-03-30
US11220016B2 (en) 2022-01-11
RU2681234C2 (ru) 2019-03-05
CA2969035C (en) 2021-01-19
EP3227065B1 (en) 2020-02-19
US10427312B2 (en) 2019-10-01
BR112017011453A2 (pt) 2018-02-27
EP3659762A1 (en) 2020-06-03
US20200023532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2715A (ko) 면도날 카트리지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착탈 장치를 구비한 면도기 손잡이
JP6588162B2 (ja) ハンドルアセンブリー、およびこれを含むカミソリ
JP4897664B2 (ja) スライド可能な2つのシェービングヘッドを有するカミソリ
US5379520A (en) Tool/sheath locking assembly
RU2432253C2 (ru) Электробритва
JP2017519572A (ja) 剃毛かみそり旋回ロック
US10576648B2 (en) Shaver handle with a lock and release mechanism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a razor cartridge
KR20160146834A (ko) 면도 카트리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면도기용 손잡이
CZ298628B6 (cs) Rukojet holicího strojku a drík rukojeti
CN109121403B (zh) 手动利器的锁定机构
PL234889B1 (pl) Urządzenie nacinające skórę
JP3135418U (ja) スライドカバーを有する安全かみそり
JPH0747096Y2 (ja) 刃 物
JP3624564B2 (ja) 電気かみそり
JP2022109472A (ja) 電子キー
JP2000070559A (ja) カッターナイフ
JP2003153726A (ja) 携帯品用ストラップ
MXPA06010523A (en) Razor having two slideable shaving h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