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635A - 게임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635A
KR20170122635A KR1020160095206A KR20160095206A KR20170122635A KR 20170122635 A KR20170122635 A KR 20170122635A KR 1020160095206 A KR1020160095206 A KR 1020160095206A KR 20160095206 A KR20160095206 A KR 20160095206A KR 20170122635 A KR20170122635 A KR 2017012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achine
board
host
g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샨 웨이
Original Assignee
파오카이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오카이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파오카이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2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25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46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coins and/or bankno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25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 G07F17/3232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wherein the operator is informed
    • G07F17/3234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wherein the operator is informed about the performance of a gaming system, e.g. revenue, diagnosis of the gam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A63F9/305Fishing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06Player sensing means, e.g. presence detection, biometric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23Architectural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internal configuration, master/slave,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25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 G07F17/3227Configuring a gaming machine, e.g. downloading personal settings, selecting working parame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게임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기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기는, 보드; 상기 보드와 결합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결합되는 호스트 및 상기 호스트와 결합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로 상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게임기가 출력한 상태 신호를 상기 호스트가 포착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또 상기 호스트를 통하여 상기 게임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게임기의 관리 효율을 높이고, 유지 보수 비용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기 관리 시스템{GAM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게임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되는 게임기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뽑기 기계, 펀치 게임기 또는 구기 게임기 등과 같은 기계는 조작 방식이 간단하며 인터랙티브 체험을 제공할 수 있어, 오랫동안 오락장에서 인기를 끌었던 기계이다.
관련 업자들이 오락장을 경영함에 있어서, 장소 비용을 제외하고, 기계 유지 보수 비용이 항상 지출에서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이는 오락장에 일반적으로 대량의 게임기를 설치해야 하는 바, 매 한대의 기계는 파라미터를 조절하든, 고장을 제거하든 또는 소모재를 보충하든(예를 들어 뽑기 기계의 뽑기 대상), 모두 사람이 매 하나 하나의 기계에 대하여 점검하면서 진행해야 하므로, 업자는 반드시 높은 인건비를 지출하여 모든 게임기를 유지 보수해야 한다. 또한, 업자는 직원들이 각 기계에 대한 유지 보수를 완성하였는지 확인하려면, 별도로 인원을 채용하거나 친히 매 하나의 기계에 대해 검시해야 하므로, 인건비 또는 시간 비용이 더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새로운 게임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존의 게임 기계를 유지 보수함에 있어서, 인건비와 시간 비용이 지나치게 높고 관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되는 게임기를 포함하는 게임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활용한 기술적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게임기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기는, 보드(board); 상기 보드와 결합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결합되는 호스트 및 상기 호스트와 결합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보드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로 상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게임기가 출력한 상태 신호를 상기 호스트가 포착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또 상기 호스트를 통하여 상기 게임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드는 작동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상기 보드는 상기 작동 파라미터를 상기 상태 신호로 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기가 발송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은 상기 작동 파라미터의 조절 인스트럭션을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게임기로 제어 명령을 직접 전송하여, 한대 또는 복수대의 게임기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고, 또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가 매 한대의 게임기의 현재 작동 파라미터를 포착함으로써, 복수대 게임기의 전체 운행 상황을 파악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상기 게임기의 관리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계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작동 파라미터는 상기 게임기의 가격 또는 게임 규칙을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예측 방문 고객 수 등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각 기계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오락장의 수익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임기는 상기 보드에 결합되는 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파라미터는 상기 집게의 힘 또는 명중률을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예측 방문 고객 수 또는 게임기의 개별적 운영 상황 등 상이한 경우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체 각 기계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어, 소비자의 게임 체험 및 오락장의 수익 균형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보드는 동전 박스와 결합되고, 상기 동전 박스가 접수한 동전 수량을 통계내며, 또한 상기 상태 신호로 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를 통하여 복수대의 게임기의 개별적인 운영 상황을 이해하고, 또 이를 전체 각 기계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의거로 사용하거나, 또는 게임기의 업데이트 여부 또는 교체 여부의 참고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동전 박스가 예정 시간 내에 동전을 접수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보드는 경고 메세지를 상기 상태 신호로 발생시켜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게임기의 운영 상황의 이상을 알 수 있고, 또한 즉시 사람을 파견하여 상기 게임기가 고장 발생 여부에 관한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게임기의 고장 제거 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게임기는, 클리핑 대상을 놓기 위한 수용 공간을 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결합되는 감시 카메라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감시 카메라는 상기 수용 공간을 촬영하여 감시 화면을 생성하고, 또한 상기 감시 화면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상기 감시 화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 중 클리핑 대상의 저장량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클리핑 대상의 제어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게임기에는 상기 보드와 결합되는 인물 카메라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드에 의해 소비자가 성공적으로 클리핑 대상을 획득하거나 최고 점수를 깼음이 탐지될 때, 상기 인물 카메라를 통하여 소비자를 촬영하여 사진을 생성하며, 또한 상기 사진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여, 소비자가 상기 사진을 다운 받거나 또는 상기 사진을 소셜 네트워크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가 상기 게임기를 조작하는 신선도와 성취감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기 게임기에는 상기 보드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바, 상기 인물 카메라가 사진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사진의 하이퍼 링크를 표시한다. 따라서, 소비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사진의 촬영을 완성하고, 상기 호스트로 접속하여 상기 사진을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게임기에는 복수대의 발광 트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드는 상기 각 발광 트림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드는 상기 인물 카메라가 소비자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때, 상기 발광 트림이 백광 또는 기타 밝기가 비교적 높은 색광을 발산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물 카메라에서 화질이 좋은 사진이 생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인물 카메라는 섬광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섬광등은 상기 인물 카메라가 촬영 과정에서 밝은 빛을 발생시켜 상기 인물 카메라가 광선이 약한 환경 하에서도 화질이 좋은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를 통하여 각 게임기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게임기의 운영 상황이 이상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소모재의 저장량을 감시하고, 상기 게임기의 제어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계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스템 구조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게임기의 일 실시 양태의 외관 모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될 때, 시스템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이 더욱 명확해지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면과 결부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문에서 서술하는 결합(coupling)은, 두 장치 사이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두 장치의 데이터가 서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게임기(1), 호스트(2) 및 제어기(3)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트(2)는 각각 상기 게임기(1) 및 상기 제어기(3)와 결합된다.
상기 호스트(1)는 보드(11) 및 상기 상기 보드(11)와 결합되는 무선 통신 모듈(12)을 포함한다. 상기 보드(11)는 상기 게임기(1)의 각 에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은Wi-Fi, 적외선, 블루투스, Zigbee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 (Global System for Mobile, GSM)등 무선 전송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은 상기 호스트(2)와 결합된다.
상기 호스트(2)는 컴퓨터 호스트, 워크 스테이션, 파일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 공간일 수 있다. 상기 호스트(2)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과 결합되고,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은 상기 보드(11)와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보드(11)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하여 상태 신호를 상기 호스트(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3)는 원격 조종기, 제어 패널, PC,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 입력/출력 기능을 구비하는 제어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제어기(3)는 유선 또는 무선 전송 방식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2)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3)는 상기 호스트(2)가 상기 게임기(1)가 출력한 상태 신호를 포착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어기(3)는 상기 호스트(2)를 통하여 상기 게임기(1)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게임기 관리 시스템이 실제로 운행될 때, 상기 호스트(2)는 복수대의 게임기(1)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를 함께 참고하면, 상기 게임기(1)의 일 실시 양태로서, 본 실시 양태에서 상기 게임기(1)는 뽑기 기계일 수 있다. 상기 보드(11)는 상기 게임기(1)의 각각의 에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보드(11) 중에는 상기 게임기(1)의 "가격" 또는 "게임 규칙"을 포함하는 작동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상세하게 말하면, 상기 보드(11)는 일반적으로 동전 박스(111)와 결합되는 바, 상기 동전 박스(111)가 예정 수량(예를 들어 1매)의 동전을 접수할 때, 상기 보드(11)는 상기 게임기(1)를 작동시키는데, 상기 예정 수량이 즉 상기 게임기(1)의 "가격" 이고; 한편, 상기 동전 박스(111)가 상기 예정 수량의 동전을 접수한 후, 상기 보드(11)는 상기 게임기(1)를 한번(한번 투입하고 한번 플레이한다고 칭함)또는 여러번(예를 들어 한번 투입하고 두번 플레이함)작동시켜, 소비자가 플레이 하도록 하고, 상기 보드(11)는, 또한 상기 동전 박스(111)가 연속 목표 수량(예를 들어 10 매)의 동전을 접수한 후 추가로 몇번의 게임 기회를 증정하거나, 또는 물체를 클리핑하는 것을 보증하는 등 특수 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드의 설정이 바로 상기 게임기(1)의 "게임 규칙" 이다.
상기 보드(11)는 상기 게임기(1)의 "가격" 또는 "게임 규칙" 등 작동 파라미터를 상태 신호로 하여 상기 호스트(2)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2)가 상기 보드(11)의 작동 파라미터 포착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게임기(1)가 현재 설정한 작동 파라미터를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관리자가 상기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하고자 할 때,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2)를 거쳐 상기 게임기(1)로 상기 작동 파라미터의 조절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며, 따라서 상기 보드(11)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이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이에 따라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게임기에 따른 "가격" 또는 "게임 규칙" 등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할 때 반드시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한대씩 조절해야 하는데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직접 상기 게임기(1)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어, 즉시 한대 또는 복수대 게임기(1)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한 조절을 완성할 수 있고, 관리자는 또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2)가 매 한대의 게임기(1)의 현재의 작동 파라미터를 포착하도록 제어하고, 복수대의 게임기(1)의 전체 운행 상황을 파악하도록 하여, 상기 게임기(1)의 제어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기계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존의 게임기는 "가격" 또는 "게임 규칙" 등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하고자 할 때, 반드시 사람이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므로, 게임기의 수량이 비교적 많을 때 대량의 인력 또는 시간을 소모해야 매 한대의 게임기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무적으로 관리자는 통상 각각의 기계의 "가격" 또는 "게임 규칙" 등 작동 파라미터를 고정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가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신속하게 매 한 대의 게임기(1)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방문 고객 수 등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각각의 기계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주말 또는 특정된 휴가일 등 인기 있는 시간대(방문 고객 수가 비교적 많음)에 각 기계의 "가격"을 인상시키거나 또는 "게임 규칙" 을 "한번 투입하고 두번 플레이하는 것"으로부터 "한번 투입하고 한번 플레이하는 것"으로 조절하며, 상기 인기 시간대가 끝나면, 다시 원래 상태로 조절하여, 오락장의 수익을 최대화시킨다.
또한, 기존의 게임기는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한대씩 조절한다 할지라도, 업자는 여전히 모든 기계에 대한 조절을 완성한 후 각 기계에 설정된 작동 파라미터를 검증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업자는 반드시 별도로 인원을 채용하거나 친히 매 한대의 기계를 검시하여, 매 한대의 기계의 작동 파라미터가 예정 수치로 조절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직접 상기 호스트(2)가 매 한대의 기계의 작동 파라미터를 포착하도록 할 수 있어, 신속하게 모든 기계의 조절 전후의 작동 파라미터를 파악하여, 게임기 제어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인건비 또는 시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보드(11)는 상기 게임기(1)의 운영 상황을 기록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보드(11)는 상기 동전 박스(111)가 접수한 동전의 수량을 통계낼 수 있고, 또 이를 상태 신호로 하여 상기 호스트(2)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복수대의 게임기(1)의 개별적 운영 상황을 파악하고, 나아가서 각 기계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의거로 사용하거나, 또는 게임기(1)의 업데이트(예를 들어 뽑기 기계의 클리핑 대상을 교체) 여부 또는 교체 여부의 참고로 사용한다. 또는, 상기 동전 박스(111)가 예정 시간 내(예를 들어 4시간)에 동전을 접수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보드(11)는 경고 메세지를 발생시켜 상기 상태 신호로 하여 상기 호스트(2)로 전송할 수 있는 바,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상기 게임기의 운영 상황의 이상을 알 수 있어, 즉시 사람을 파견하여 상기 게임기(1)의 고장 발생 여부 상황을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게임기(1)의 고장 제거 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에 비하여, 기존의 게임기는 고장 등 요소로 인하여 운영 상황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소비자가 주동적으로 통보하지 않는 이상, 정기 점검을 할 때야만 기계 이상이 발견되고 처리할 수 있으므로, 업자가 불필요한 손실을 감당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본 실시 양태에서, 상기 게임기(1)는 뽑기 기계이고, 따라서 상기 게임기(1)는 상기 보드(11)에 결합되는 집게(13)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 파라미터는 상기 게임기(1)의 "가격" 또는 "게임 규칙" 을 포함하는 외에, 상기 집게(13)의 "힘" 또는 "명중률"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상기 보드(11)가 상기 집게(13)로 출력한 파워의 높고 낮음은 상기 집게(13)가 대상물을 클리핑할 때의 "힘"에 영향을 주고; 또 상기 보드(11)는 상기 집게(13)가 대상물을 확실하게 클리핑하는 동작과 대상물을 가볍게 터치하는 동작 비율을 제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보드(11)는 상기 집게(13)가 대상물을 확실하게 클리핑하는 30%의 확률을 가지도록 제어하고, 그 밖의 70%의 확률은 대상물을 가볍게 터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바, 상기 확률은 즉 상기 집게(13)의 "명중률"이다. 상기 집게(13)의 "힘" 또는 "명중률" 등 작동 파라미터는 소비자가 상기 게임기(1)를 조작할 때 클리핑 대상을 획득하는 난이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마찬가지로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상기 보드(11)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이에 따라 상기 집게(13)의 "힘" 또는 "명중률" 등 작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방문 고객 수 또는 게임기(1)의 개별적 운영 상황 등 상이한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각 기계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소비자의 게임 체험 및 오락장의 수익 균형을 이룬다.
전술한 실시 양태에서, 상기 게임기(1)는 뽑기 기계이지만, 상기 게임기(1)는 펀치 게임기(예를 들어, 햄스터 게임)또는 구기 게임기(예를 들어, 슈팅 머신)일 수도 있는 바, 상기 게임기(1)가 펀치 게임기일 때, 상기 작동 파라미터는 펀치물의 "신축 속도"를 포함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상기 게임기(1)가 슈팅 머신일 때, 상기 작동 파라미터는 림(rim)의 "이동 속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축 속도" 또는 "이동 속도" 등 작동 파라미터는 모두 직접적으로 소비자가 상기 게임기(1)를 조작하여 게임을 진행할 때의 난이도에 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상기 호스트(2)가 복수대의 상이한 유형의 게임기(1)와 결합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여전히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각 기계의 "가격", "게임 규칙" 또는 난이도를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의 게임기(1)에 적용되며, 전술한 실시 양태에서 도시된 뽑기 기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상기 게임기(1)는, 클리핑 대상(예를 들어 인형)을 놓기 위한 수용 공간(R)을 향하여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카메라(14)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과 결합된다. 상기 감시 카메라(14)는 상기 수용 공간(R)을 촬영하여 감시 화면을 생성하고, 또한 상기 감시 화면을 상기 호스트(2)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2)가 상기 감시 화면을 포착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감시 화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R) 중 클리핑 대상의 저장량을 감시할 수 있고, 나아가 클리핑 대상 저장량이 지나치게 적을 때, 즉시 인원을 파견하여 클리핑 대상을 보충 또는 교체하며, 또한 계속하여 상기 감시 화면으로부터 클리핑 대상이 보충 또는 교체가 완성되었는지를 확인하여, 클리핑 대상의 저장량이 지나치게 적어 소비자가 클리핑 시도를 하지 않아, 상기 게임기(1)의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는 상황을 방지한다. 기존의 뽑기 기계와 비교해 보면, 관리자 또는 기타 직원에 의해 클리핑 대상의 저장량을 순찰 감시하여, 직원에게 클리핑 대상을 보충 또는 교체하도록 요구할지라도, 관리자가 여전히 실시간으로 뽑기 기계를 점검해야만 작업이 완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존의 뽑기 기계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게임기(1)에 감시 카메라(14)를 설치하여, 관리자가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클리핑 대상의 저장량을 감시할 수 있어, 클리핑 대상의 제어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앞서 기재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드(11)는 상기 동전 박스(111)가 접수한 동전의 수량을 통계낼 수 있고,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상기 게임기(1)의 운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또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클리핑 대상의 저장량을 감시할 수 있어, 관리자는 상기 게임기(1)의 운영 상황과 클리핑 대상의 저장량 변화에 따라, 상기 집게(13)의 "힘" 또는 "명중률" 등 작동 파라미터의 합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 이에 따라 상기 게임기(1)가 클리핑할 대상을 획득하는 난이도에 대해 후속 조절하여, 소비자의 게임 체험 및 상기 게임기(1)의 수익 균형을 더 한층 이룬다.
이 밖에, 상기 게임기(1)에는 상기 보드(11)와 결합되는 인물 카메라(15)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드(11)에 의해 소비자가 성공적으로 클리핑 대상을 획득하거나 최고 점수를 깼음이 탐지될 때, 상기 인물 카메라(15)를 통하여 소비자를 촬영하여 사진을 생성하며, 상기 사진을 상기 호스트(2)로 전송한다. 상기 호스트(2)는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어, 소비자가 상기 사진을 다운 받거나 또는 상기 사진을 소셜 네트워크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가 획득한 상기 클리핑 대상 또는 최고 점수 기록을 전시할 수 있어, 소비자가 상기 게임기(1)를 조작하는 신선도 및 성취감을 향상시킨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도2 및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부분적 실시 양태의 게임기(1)에서는, 상기 보드(11)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6)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드(11)는 상기 인물 카메라(15)가 소비자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은 메세지를 표시하여 소비자가 상기 인물 카메라(15)를 향하도록 지시한다. 이 밖에, 상기 인물 카메라(15)는 상기 사진을 상기 호스트(2)로 전송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은 상기 사진의 하이퍼 링크를 표시할 수 있는바, 상기 하이퍼 링크는 직접적으로 웹사이트 주소로 나타나거나, 또는 이차원 바코드(QR Code)로 코딩되어 소비자가 스캔하도록 표시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의 지시에 따라 상기 사진 촬영을 완성하고, 상기 호스트(2)에 접속하여 상기 사진을 획득하도록 한다.
상기 게임기(1)는,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발광 트림(17)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발광 트림(17)은 상이한 색상의 라이트 박스를 발생할 수 있어, 화려한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 소비자의 눈길을 끄는 목표를 달성한다. 주의할 점은 부분적인 오락장에서는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비교적 어두운 광선을 사용하는데, 상기 인물 카메라(15)가 광선이 약한 환경하에서 화질이 좋은 사진을 촬영 및 생성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상기 보드(11)는 상기 각각의 발광 트림(17)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드(11)는 상기 인물 카메라(15)가 소비자를 촬영할 때, 상기 발광 트림(17)이 백광 또는 기타 광도가 비교적 높은 색광을 발산하도록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상기 인물 카메라(15)가 화질이 좋은 사진을 생성하는 것을 확보한다.
또는, 다시 도2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면, 상기 인물 카메라(15)는, 상기 인물 카메라(15)가 촬영 과정 중 광선을 접수하여 상기 인물 카메라(15)가 영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렌즈(15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분적 실시 양태의 게임기(1)에서, 상기 인물 카메라(15)는, 상기 인물 카메라(15)의 촬영 과정 중에서, 밝은 빛을 발생시켜 상기 인물 카메라(15)가 광선이 약한 환경 하에서도 화질이 좋은 사진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섬광등(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게임기(1)에 무선 통신 모듈(12)을 설치하고, 호스트(2)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과 결합되며, 제어기(3)는 상기 호스트(2)를 통하여 상기 게임기(1)가 출력한 상태 신호를 포착하도록 제어하고, 또 상기 제어기(3)는 상기 호스트(2)를 거쳐 상기 게임기(1)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상태 신호는 상기 게임기(1)의 "가격" 또는 "게임 규칙" 또는 상기 게임기(1)가 플레이할 때의 난이도 등 작동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3)는 상기 게임기(1)로 제어 명령을 직접 전송하여 한대 또는 복수대의 게임기(1)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2)가 매 한대의 게임기(1)의 현재 작동 파라미터를 포착하도록 제어하고, 복수대의 게임기(1)의 전체적 운행 정황을 파악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게임기(1)의 보드(11)는 동전 박스(111)가 접수한 동전의 수량을 통계낼 수 있고, 상태 신호로 하여 상기 호스트(2)로 전송하여, 상기 동전 박스(111)가 예정 시간 내에 동전을 접수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보드(11)는 경고 메세지를 발생시켜 상기 상태 신호로 하여 상기 호스트(2)로 전송할 수 있는 바,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상기 게임기(1)의 운영 상황의 이상을 알 수 있고, 인원을 파견하여 상기 게임기(1)가 고장이 발생한 상황을 파악하고, 게임기(1)의 고장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기(1)는 감시 카메라(1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시 카메라(14)는 클리핑 대상을 놓기 위한 수용 공간(R)을 촬영하여 감시 화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감시 화면 상기 호스트(2)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상기 감시 화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R) 중 클리핑 대상의 저장량을 점검할 수 있고, 나아가 클리핑 대상의 저장량이 지나치게 낮을 때, 인원을 파견하여 클리핑 대상을 보충하거나 교체한다.
이에 따라, 파라미터를 조절하고, 고장을 제거하거나 소모재를 보충하는 모든 것이 모두 인력에 의거하여 매 한대마다 순찰해야 하는 기존의 게임기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게임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기(3)를 통하여 각 게임기(1)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게임기(1)의 운영 상황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파악하며 소모재의 저장량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게임기(1)의 제어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기계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공개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진행하는 여러 가지 변경과 보정은 여전히 본 발명이 보호하고자 하는 기술적 범주에 속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 내용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1: 게임기
2: 호스트
3: 제어기
11: 보드
12: 무선 통신 모듈
13: 집게
14: 감시 카메라
15: 인물 카메라
16: 디스플레이 패널
17: 발광 트림
151: 렌즈
152: 섬광등
R: 수용 공간

Claims (11)

  1. 게임기 관리 시스템으로서;
    보드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보드와 결합되는(couple to) 게임기;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결합되는(couple to) 호스트; 및 상기 호스트와 결합되는(couple to) 제어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보드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로 상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게임기가 출력한 상태 신호를 상기 호스트가 포착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또 상기 호스트를 통하여 상기 게임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는 게임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작동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상기 보드는 상기 작동 파라미터를 상기 상태 신호로 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기가 발송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은 상기 작동 파라미터의 조절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게임기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파라미터는 상기 게임기의 가격 또는 게임 규칙을 포함하는 게임기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는 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는 상기 보드에 결합되며(couple to), 상기 작동 파라미터는 상기 집게의 힘 또는 명중률을 포함하는 게임기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동전 박스와 결합되고, 상기 동전 박스가 접수한 동전 수량을 통계내며, 또한 상기 상태 신호로 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게임기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박스가 예정 시간 내에 동전을 접수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보드는 경고 메세지를 상기 상태 신호로 발생시켜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게임기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는 감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클리핑 대상을 놓기 위한 수용 공간을 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감시 카메라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결합되는(couple to) 게임기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는 인물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인물 카메라는 상기 보드에 결합되는(couple to) 게임기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보드와 결합되고(couple to), 상기 인물 카메라가 사진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사진의 하이퍼 링크를 표시하는 게임기 관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는 복수대의 발광 트림을 구비하고, 상기 보드는 상기 각 발광 크림과 결합되는(couple to) 게임기 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물 카메라는 섬광등을 포함하는 게임기 관리 시스템.
KR1020160095206A 2016-04-27 2016-07-27 게임기 관리 시스템 KR201701226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5113180A TW201737982A (zh) 2016-04-27 2016-04-27 遊戲機管理系統
TW105113180 2016-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635A true KR20170122635A (ko) 2017-11-06

Family

ID=5649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206A KR20170122635A (ko) 2016-04-27 2016-07-27 게임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16645A1 (ko)
EP (1) EP3239941A1 (ko)
JP (1) JP2017199337A (ko)
KR (1) KR20170122635A (ko)
CN (1) CN107316407A (ko)
TW (1) TW2017379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595B1 (ko) 2019-05-29 2020-05-26 한국기계연구원 풍력발전기 진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37270U (zh) * 2016-03-18 2017-02-21 Ming-Jian Huang 選物販賣之網路互動系統
KR101852077B1 (ko) * 2018-01-16 2018-04-27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난이도 조절을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CN108615310B (zh) * 2018-05-07 2021-03-02 北京云点联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控制娃娃机抓取成功率的控制方法
JP7220093B2 (ja) * 2019-02-13 2023-02-09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アミューズ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及び景品獲得ゲーム装置
TWI712940B (zh) * 2019-08-09 2020-12-11 飛騰精密科技有限公司 選物販賣機之設定裝置
TWI786496B (zh) * 2020-12-22 2022-12-11 飛絡力電子股份有限公司 取物遊戲機的落物電眼裝置及自動偵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665A (en) * 1993-12-27 1998-09-22 Kabushiki Kaisha Ace Denken Image display gaming machine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JPH11235464A (ja) * 1998-02-20 1999-08-31 Namco Ltd ゲーム装置
US6234487B1 (en) * 1998-04-15 2001-05-22 Stephen P. Shoemaker, Jr. Crane game claw gauge
US6283475B1 (en) * 1999-10-19 2001-09-04 Smart Industri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rane game claw control
JP3929674B2 (ja) * 2000-03-17 2007-06-13 株式会社タイトー ゲームシステム
JP3094537U (ja) * 2002-12-09 2003-06-27 京葉システム技研株式会社 防犯機能付自動販売機
JP2005110767A (ja) * 2003-10-03 2005-04-28 Taito Corp ゲーム機等のインカム集計システム
TWM285386U (en) * 2005-06-07 2006-01-11 Leisure Machinery Co Ltd Grabbing game machine with monitor
US7637507B2 (en) * 2005-11-18 2009-12-29 Coinstar Entertainment Services, Inc. Skill cranes and other amusement vending machines having visual targeting systems
TWM291315U (en) * 2005-11-23 2006-06-01 Feiloli Electronic Co Ltd One-to-many accounts checking and setting device of game machine
JP5017852B2 (ja) * 2005-12-09 2012-09-05 株式会社セガ 景品取得遊戯装置
BE1017038A5 (nl) * 2006-03-07 2007-12-04 Elaut N V Grijp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regelen van de grijpkracht.
JP4709097B2 (ja) * 2006-08-23 2011-06-22 株式会社タイトー 景品取得ゲーム機、景品取得ゲームシステム
TW200822957A (en) * 2006-11-27 2008-06-01 zhi-yu Xu video-image feedback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on mechanical game machines.
TWM349286U (en) * 2008-05-28 2009-01-21 Leisure Machinery Co Ltd Lamp decoration structure of crane machine
BE1019163A4 (nl) * 2010-01-25 2012-04-03 Elaut N V Speelautomaat.
JP2011161069A (ja) * 2010-02-12 2011-08-25 Kusuno Seisakusho:Kk 景品情報取得手段を備えた景品獲得ゲーム機
US20130285838A1 (en) * 2012-03-23 2013-10-31 Gary Balaban Game Machine Controller Method and PCB
US20120190417A1 (en) * 2011-01-26 2012-07-26 Gary Balaban Crane Controller Method and PCB
JP2014004192A (ja) * 2012-06-26 2014-01-16 Cyberstep Inc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5747204B2 (ja) * 2013-03-06 2015-07-08 株式会社メイクソフトウェア 写真シール作成装置
US9846989B2 (en) * 2013-10-17 2017-12-19 Bally Gaming, Inc. Identifying idle gaming machines
KR101542083B1 (ko) * 2014-01-09 2015-08-12 (주)신우엔그룹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
JP6432143B2 (ja) * 2014-03-26 2018-12-05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景品取得ゲーム装置、それによる通信方法及びサーバ装置
JP6069430B2 (ja) * 2015-08-06 2017-02-01 株式会社タイトー ゲー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595B1 (ko) 2019-05-29 2020-05-26 한국기계연구원 풍력발전기 진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9941A1 (en) 2017-11-01
US20170316645A1 (en) 2017-11-02
JP2017199337A (ja) 2017-11-02
TW201737982A (zh) 2017-11-01
CN107316407A (zh)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2635A (ko) 게임기 관리 시스템
US103255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and adjusting electronic displays
US90266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identifying display components
KR20110120327A (ko) 디스플레이 특성 피드백 루프
US10699418B1 (en) Computer vision system that identifies the dimensions of a space from only a picture and a user input reference marker the techniques and capabilities of the system can be applied to space design and planning
CN116684456B (zh) 一种大屏的可视化部署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4113737A (zh) 防止监控视频被替换的系统及其方法
CN112543376B (zh) 一种基于物联网的自运营媒体运维方法、系统、存储介质及装置
US10764490B1 (en) Computer vision system that detects people, identification of their location in a field of view
US11216670B2 (en) Computer vision with identification of common movement pathways within a space
US10452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ulti-projection theater
KR101796157B1 (ko) 옥외 광고 시스템 및 옥외 광고 방법
WO2019092774A1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2023022596A (ja) 飛行計画生成装置及び飛行計画生成方法
US10997401B2 (en) Computer vision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ive to animal wellness
US20200410236A1 (en) Computer vision with identification of common areas of dwell in a space
JP7416231B2 (ja) 設置支援装置、設置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39491A (ja) 位置情報管理装置、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10700B1 (ko) 운항정보 표출 단말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US10791302B1 (en) Computer vision system that provides an identification of movement pathway intensity
TWI712978B (zh) 動態影像檢核方法、服務系統及電腦程式產品
US10902269B2 (en) Computer vision system that provides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space use
JP7102636B1 (ja) 飛行計画生成装置、飛行計画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41498B1 (en) Computer vision system with physical security coaching
US11062148B2 (en) Computer vision system that provides an identification of locations where collisions regularly occ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