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189A -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189A
KR20170121189A KR1020177024019A KR20177024019A KR20170121189A KR 20170121189 A KR20170121189 A KR 20170121189A KR 1020177024019 A KR1020177024019 A KR 1020177024019A KR 20177024019 A KR20177024019 A KR 20177024019A KR 20170121189 A KR20170121189 A KR 20170121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water
ship
ballast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809B1 (ko
Inventor
슈지 고마다
Original Assignee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draught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73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Abstract

종래보다 연비를 향상시키면서 추진기의 추진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을 제공한다. 밸러스트수를 저류하는 밸러스트 탱크 (10) 를 구비한 선박으로서, 추진기 (1) 와, 물 분출 수단 (2) 을 구비하고, 물 분출 수단 (2) 은,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 추진기 (1) 를 향하여 물을 분출한다.

Description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VESSEL AND CLEAN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항행하면, 해양 생물 등이 선박 표면이나 추진기에 부착되어, 선박의 유체 저항의 증가나 추진 효율이 악화되고, 선박의 연비가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선박을 운항하는 운항자는, 예를 들어 수 년에 1 번 선박을 입거 (入渠) 시켜 추진기에 부착된 해양 생물 등을 제거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또, 다이버를 수중에 잠수시켜, 선박이 정박되어 있을 때에 추진기를 청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2009년도 외래 생물의 선박 부착 종합 관리에 관한 조사」해양 정책 연구 재단 (재단 법인 쉽·앤드·오션 재단)
그러나, 비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박을 입거시켜 추진기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다대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 또, 입거하는 간격을 짧게 하거나, 수중 청소를 빈번하게 실시하는 등을 실시함으로써 연비의 악화를 억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해도 청소시에 다대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선박을 입거시키지 않고 또한 다이버를 수중에 잠수시키지 않고, 수면 상에서 추진기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브러시나 연마 디스크 등의 청소 도구를 사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갖는 추진기를 청소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청소 도구를 추진기에 눌러대는 것은 기계로는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복잡한 형상을 갖는 추진기를 청소 가능하도록 청소 도구를 구성하면, 청소 도구의 구조는 복잡해져, 청소 도구가 유체 저항을 증대시키거나, 청소 도구의 비용이 매우 비싸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수중에 있어서 고압수를 추진기에 분출하여 추진기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물살은 짧은 거리에서 감쇠되기 때문에, 노즐의 분출구를 피청소면 부근에 근접시키거나, 고압수를 추진기에 분출할 필요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일반적으로 추진기는 복잡한 구조이며, 노즐을 추진기 표면에 근접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 과대한 고압수를 노즐로부터 분출하기 위해서는, 고압수 발생 장치가 과대해지고, 또 수류 분출의 반력도 매우 큰 것이 되어, 매우 대규모의 장치가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보다 연비를 향상시키면서 추진기의 추진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선박은, 밸러스트수를 저류하는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한 선박으로서, 추진기와, 물 분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 분출 수단은, 상기 추진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 상기 추진기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의 청소 방법은, 밸러스트수를 저류하는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청소 방법으로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저류된 밸러스트수를 배출하는 공정과,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저류된 밸러스트수를 배출하여 추진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 상기 추진기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는 공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 분출 수단은, 추진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 추진기를 향하여 물을 분출한다. 이 때문에, 선박을 입거시키지 않고 추진기를 청소할 수 있고, 수중에 있어서 추진기를 청소하는 경우와 같이 물 분출 수단으로부터 분출되는 물살이 감쇠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도 없어진다. 따라서, 종래보다 연비를 향상시키면서 추진기의 추진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 (100) 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 (100) 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X-X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 (100) 의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 (100) 의 추진기 (1) 의 시간 경과에 따른 경년 열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 부재의 크기의 관계가 실제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또, 도 1 을 포함하여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것은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에 상당하는 것이며, 이러한 점은 명세서의 전문에 있어서 공통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문에 나타나 있는 구성 요소의 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이들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 (100) 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 (100) 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X-X 단면도이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00) 은, 추진기 (1) 와, 물 분출 수단 (2) 과, 노즐 (3) 과, 밸러스트 탱크 (10) 와, 상태 검출 수단 (20) 과, 제어 수단 (50) 과, 펌프 (도시 생략) 를 구비한다. 선박 (100) 의 외곽은 본체 (100A) 로 구성되어 있다.
추진기 (1) 는, 선박 (100) 을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추진기 (1) 는, 모터 (도시 생략) 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선박 (100) 을 원하는 방향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추진기 (1) 는, 예를 들어, 본체 (100A) 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 (100A) 의 길이 방향은, 예를 들어, 선박 (100) 의 진행 방향 (후퇴 방향) 을 나타낸다. 여기서, 본체 (100A) 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은, 예를 들어, 선박 (100) 의 선수 (선미) 측을 나타낸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는, 추진기 (1) 가 본체 (100A) 의 선미측에 있어서의 하방에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물 분출 수단 (2) 은, 예를 들어, 고압의 물을 분출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본체 (100A) 의 내부 (선내) 또는 본체 (100A) 의 내면 (갑판) 에 형성된다. 노즐 (3) 은, 예를 들어, 추진기 (1) 를 청소하기 위한 부재이다. 노즐 (3) 은 1 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노즐 (3) 에는, 본체 (100A) 의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분출구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3) 은, 예를 들어 추진기 (1) 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노즐 (3) 은, 예를 들어, 물 분출 수단 (2) 으로부터 분출된 고압수 또는 연마제를 혼합한 고압수를 추진기 (1) 에 대하여 분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밸러스트 탱크 (10) 는, 밸러스트수를 저류하는 용기로서, 본체 (100A) 의 내부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밸러스트 탱크 (10) 에는, 화물의 다과 (多寡) 에 따라 흘수나 전후 경사 (트림) 를 조정하기 위한 밸러스트수가 탑재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 (10) 는, 예를 들어, 본체 (100A) 내의 상부 및 하부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 (10) 는, 예를 들어, 본체 (100A) 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본체 (100A) 의 양측부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 (10) 는, 예를 들어, 본체 (100A) 의 종단면에 있어서, 4 구석에 형성되어 있다. 밸러스트 탱크 (10) 내의 물은, 예를 들어, 펌프에 의해 배출된다. 펌프는,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되는 밸러스트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펌프는, 예를 들어, 밸러스트 탱크 (10) 마다 형성되어 있다.
상태 검출 수단 (20) 은, 예를 들어,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상태 검출 수단 (20) 은, 예를 들어, 추진기 (1) 의 흘수 상태를 검출하는 액면 검출 수단으로 구성된다. 액면 검출 수단은, 추진기 (1) 의 부근에 장착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추진기 (1) 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액면 검출 수단은, 도 2 와 같이 1 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추진기 (1) 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태 검출 수단 (20) 이 액면 검출 수단으로 구성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태 검출 수단 (20) 이 추진기 (1) 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으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제어 수단 (50) 은, 추진기 (1), 물 분출 수단 (2), 노즐 (3), 및 펌프 (도시 생략) 의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제어 수단 (50) 은, 예를 들어, 이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 디바이스 등의 하드웨어, 또는 마이크로컴퓨터 혹은 CPU 등의 연산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제어 수단 (50) 은, 상태 검출 수단 (20) 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물 분출 수단 (2) 을 제어한다. 또, 제어 수단 (50) 은 노즐 (3) 의 각도를 제어한다. 또, 제어 수단 (50) 은 노즐 (3) 의 위치를 제어한다.
여기서, 밸러스트 탱크 (10) 내에 저류된 밸러스트수는, 예를 들어, 선박 (100) 에 승선하는 자 (이하, 운항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가 본체 (100A) 내에 형성된 물 배출 수단 (도시 생략) 을 조작함으로써 배출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운항자가 본체 (100A) 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본체 (100A) 의 가장 선미측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되는 밸러스트수를 배출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운항자가 본체 (100A) 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본체 (100A) 의 가장 선미측의 밸러스트 탱크 (10) 보다 본체 (100A) 의 선수측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 (10) 내에 저류되는 밸러스트수를 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운항자가 모든 밸러스트 탱크 (10) 중 본체 (100A) 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본체 (100A) 의 선미측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된 밸러스트수를 배출한다.
또한, 밸러스트 탱크 (10) 내에 저류된 밸러스트수는, 예를 들어, 제어 수단 (50) 이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배출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어 수단 (50) 은, 본체 (100A) 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본체 (100A) 의 선미측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되는 밸러스트수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도록 펌프를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어, 본체 (100A) 의 선미측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되는 밸러스트수를 배출함으로써, 본체 (100A) 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본체 (100A) 의 선수측에서 선미측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져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고,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체 (100A) 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본체 (100A) 의 선미측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되는 밸러스트수를 배출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를 수면으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으면, 본체 (100A) 의 내부의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10) 중 어느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되는 물을 배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되는 밸러스트수의 배출량과 본체 (100A) 의 경사 각도의 관계를 미리 산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 (100) 의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100A) 의 선수에서 선미를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져,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운항자가 추진기 (1) 를 직접 시인하여,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에는, 운항자가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것으로 판정한 경우, 밸러스트 탱크 (10)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배출하지 않도록 물 배출 수단을 조작하고, 이로써, 본체 (100A) 의 각도가 고정된다. 또, 운항자가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제어 수단 (50) 에 대하여, 추진기 (1) 를 향하여 물을 분출시키도록 물 분출 수단 (2) 을 제어시킴으로써, 추진기 (1) 의 청소가 실행된다. 또, 운항자가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추진기 (1) 의 청소를 개시하지 않고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된 밸러스트수의 배출을 계속한다.
또한, 제어 수단 (50) 이, 상태 검출 수단 (20) 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어 수단 (50) 은, 상태 검출 수단 (20) 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것으로 판정한 경우, 밸러스트 탱크 (10)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배출하지 않도록 펌프를 제어한다. 또, 제어 수단 (50) 은, 상태 검출 수단 (20) 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것으로 판정한 경우, 고압수 또는 연마제를 혼합한 고압수를 추진기 (1) 에 분출시키도록 물 분출 수단 (2) 을 제어한다. 제어 수단 (50) 은, 상태 검출 수단 (20) 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추진기 (1) 의 청소를 개시하지 않고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된 밸러스트수의 배출을 계속한다.
또한, 상태 검출 수단 (20) 이 촬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 (50) 은, 촬상 수단이 소정 시간마다 촬상한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 (50) 은, 촬상 수단이 소정 시간마다 촬상한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추진기 (1) 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도록 물 분출 수단 (2) 을 제어한다. 또, 제어 수단 (50) 은, 촬상 수단이 소정 시간마다 촬상한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 추진기 (1) 의 청소를 개시하지 않고 밸러스트 탱크 (10) 에 저류된 밸러스트수의 배출을 계속한다. 이 때,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 (50) 이 실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운항자가 촬상 수단이 촬상한 촬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는, 제어 수단 (50) 은, 추진기 (1) 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물 분출 수단 (2) 으로부터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추진기 (1) 의 표면을 청소한다. 또,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는, 제어 수단 (50) 은, 예를 들어, 노즐 (3) 의 각도나 위치를 제어하며, 추진기 (1) 의 표면을 청소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 (50) 은, 추진기 (1) 의 청소를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수단 (50) 은, 물 분출 수단 (2) 으로부터 물이 분출된 시간으로부터 기산하여 소정 시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수단 (50) 은, 소정 시간 경과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물 분출 수단 (2) 으로부터 분출되는 물을 제지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수단 (50) 은, 물 분출 수단 (2) 으로부터 물이 분출된 시간으로부터 기산하여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추진기 (1) 의 청소를 계속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 (50) 은, 물 분출 수단 (2) 으로부터 물이 분출된 시간으로부터 기산하여 소정 시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청소를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운항자가 추진기 (1) 를 직접 시인하여, 추진기 (1) 의 청소를 완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운항자가 추진기 (1) 에 부착된 미생물이나 진애가 소정량 이상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추진기 (1) 의 청소를 계속한다. 또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운항자가 추진기 (1) 에 부착된 해양 생물 등이 소정량 미만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추진기 (1) 의 청소를 종료한다.
또 예를 들어, 제어 수단 (50) 은, 촬상 수단의 촬상 결과에 기초하여 추진기 (1) 의 청소를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어 수단 (50) 은, 추진기 (1) 에 부착된 해양 생물 등이 소정량 이상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추진기 (1) 의 청소를 계속한다. 또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어 수단 (50) 은, 추진기 (1) 에 부착된 해양 생물 등이 소정량 미만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추진기 (1) 의 청소를 종료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 (100) 의 추진기 (1) 의 시간 경과에 따른 경년 열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의 횡축에는 선박 (100) 의 운용 년수를 나타내고, 도 6 의 종축에는 선박 (100) 의 추진기 (1) 의 효율의 열화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 중의 점선은, 종래와 같이 선박을 입거시켜 추진기를 청소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추진기의 경년 열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 중의 실선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추진기 (1) 의 경년 열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 중의 t 는, 선박 (100) 을 입거시키는 시기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해양 생물 등이 추진기 (1) 에 부착됨으로써, 추진기 (1) 는 오손되어 추진기 (1) 의 효율은 점차 악화되어 간다. 여기서 종래, 선박의 정기 보수시에 선박을 입거시켜 추진기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추진기의 추진 효율은, 도 6 의 점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추진기 (1) 의 추진 효율은, 도 6 의 실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어, 종래의 것에 비해 추진기 (1) 의 성능을 높은 채로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 (100) 은, 밸러스트수를 저류하는 밸러스트 탱크 (10) 를 구비한 선박 (100) 으로서, 추진기 (1) 와, 물 분출 수단 (2) 을 구비하고, 물 분출 수단 (2) 은,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 추진기 (1) 를 향하여 물을 분출한다.
이 때문에, 선박 (100) 을 입거시키지 않고 추진기 (1) 를 청소할 수 있고, 수중에 있어서 추진기 (1) 를 청소하는 경우와 같이 물 분출 수단 (2) 으로부터 분출되는 물살이 감쇠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도 없어진다. 따라서, 종래보다 연비를 향상시키면서 추진기 (1) 의 추진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보다 온실 효과 가스의 배출량을 감소시키면서 추진기 (1) 의 추진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노즐 (3) 에 의해 청소하는 대상이 추진기 (1) 인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박 (100) 을 구성하는 부재를 피청소체로 하고, 피청소체의 근방에 노즐 (3) 을 형성하고, 물이 노즐 (3) 을 통하여 피청소체에 대하여 분출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 (50) 이 추진기 (1) 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도록 물 분출 수단 (2) 을 제어하는 조건으로서 추진기 (1) 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청소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제어 수단 (50) 이 추진기 (1) 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도록 물 분출 수단 (2) 을 제어하는 조건으로서 추진기 (1) 의 상하 방향의 상반분이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 수단 (50) 이 추진기 (1) 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도록 물 분출 수단 (2) 을 제어하는 조건으로서 추진기 (1) 전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 : 추진기
2 : 물 분출 수단
3 : 노즐
10 : 밸러스트 탱크
20 : 상태 검출 수단
50 : 제어 수단
100 : 선박
100A : 본체

Claims (5)

  1. 밸러스트수를 저류하는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한 선박으로서,
    추진기와,
    물 분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 분출 수단은, 상기 추진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 상기 추진기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추진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 상기 추진기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도록 상기 물 분출 수단을 제어하는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의 흘수 상태를 검출하는 액면 검출 수단 또는 상기 추진기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으로 구성되는 상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진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 상기 추진기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도록 상기 물 분출 수단을 제어하는 선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저류된 밸러스트수가 배출되어 상기 추진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 상기 추진기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도록 상기 물 분출 수단을 제어하는 선박.
  5. 밸러스트수를 저류하는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한 선박의 청소 방법으로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저류된 밸러스트수를 배출하는 공정과,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저류된 밸러스트수를 배출하여 추진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경우에 상기 추진기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는 공정을 갖는 선박의 청소 방법.
KR1020177024019A 2016-03-25 2016-03-25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 KR101941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9571 WO2017163394A1 (ja) 2016-03-25 2016-03-25 船舶及び船舶の清掃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189A true KR20170121189A (ko) 2017-11-01
KR101941809B1 KR101941809B1 (ko) 2019-01-23

Family

ID=5990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019A KR101941809B1 (ko) 2016-03-25 2016-03-25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05238B2 (ko)
KR (1) KR101941809B1 (ko)
CN (1) CN107709154A (ko)
TW (1) TWI630148B (ko)
WO (1) WO2017163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1591A (zh) * 2020-09-27 2021-01-08 瑞安斌团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螺旋桨自主清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595U (ja) * 1992-02-25 1993-09-07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姿勢制御装置
JPH0732394Y2 (ja) * 1987-01-19 1995-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舶用プロペラ洗浄装置
KR960004927U (ko) * 1994-07-09 1996-02-16 내부 압력을 가한 구상선수
KR20150024665A (ko) * 2013-08-27 2015-03-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흘수 측정 장치 및 선박의 흘수 측정 방법
KR20170030780A (ko) * 2015-09-10 2017-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2991A (en) * 1980-07-17 1982-02-06 Hitachi Zosen Corp Ballast adjusting method of ship
JPS57131399U (ko) * 1981-02-12 1982-08-16
JPS59175951A (ja) * 1983-03-23 1984-10-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プロペラの清掃方法
JPS62251296A (ja) * 1986-04-23 1987-11-02 Sanshin Ind Co Ltd 水噴射式船舶推進機の洗浄装置
NZ242327A (en) * 1991-04-11 1994-07-26 Russell James Eathorne Device for underwater servicing of surfaces such as ships hulls
FR2698337B1 (fr) * 1992-11-24 1995-02-03 Eaux Cie Gle Scooter de mer pour la récupération des polluants flottants.
FR2817230B1 (fr) * 2000-11-29 2003-06-20 Jean Philippe Tible Dispositif et procede de nettoyage des parties d'un bateau immergees dans l'eau
JP2003261094A (ja) * 2002-03-08 2003-09-16 Anderusen:Kk 海中生物付着防止装置
NO329007B1 (no) * 2008-05-19 2010-07-19 Tor Mikal Ostervold Fremgangsmate og apparat til rengjoring av flater
JP2010280339A (ja) * 2009-06-05 2010-12-16 Tokai Univ 船舶
WO2011058954A1 (ja) * 2009-11-10 2011-05-19 学校法人東海大学 海洋生物付着防止装置及び海洋生物付着防止方法
TW201119908A (en) * 2009-12-09 2011-06-16 Wisepoint Tech Co Ltd Self inflatable jet propeller and outboard engine device with self inflatable jet propeller.
JP4573911B1 (ja) * 2010-02-10 2010-11-04 長山 明 船舶
JP5562186B2 (ja) * 2010-09-13 2014-07-30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船舶のバラスト処理水の循環システム
CN202226028U (zh) * 2011-09-09 2012-05-23 海南绿航水下清洗科技有限公司 船舶水下空化清洗系统
JP6132295B2 (ja) * 2012-06-06 2017-05-24 株式会社エスアイ 船舶
CN204548439U (zh) * 2015-02-28 2015-08-12 江苏海通海洋工程装备有限公司 监测船舶吃水深度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94Y2 (ja) * 1987-01-19 1995-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舶用プロペラ洗浄装置
JPH0567595U (ja) * 1992-02-25 1993-09-07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姿勢制御装置
KR960004927U (ko) * 1994-07-09 1996-02-16 내부 압력을 가한 구상선수
KR20150024665A (ko) * 2013-08-27 2015-03-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흘수 측정 장치 및 선박의 흘수 측정 방법
KR20170030780A (ko) * 2015-09-10 2017-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9년도 외래 생물의 선박 부착 종합 관리에 관한 조사」해양 정책 연구 재단 (재단 법인 쉽·앤드·오션 재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63394A1 (ja) 2018-03-29
JP6505238B2 (ja) 2019-04-24
WO2017163394A1 (ja) 2017-09-28
CN107709154A (zh) 2018-02-16
TWI630148B (zh) 2018-07-21
TW201733856A (zh) 2017-10-01
KR101941809B1 (ko)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445A (en) Fluid jet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maintenance of ship performance
US68401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parts of a boat immersed in water
KR20110068962A (ko) 선박용 추진장치
JP2022507389A (ja) 船を回収するための装置
US8844459B2 (en) Tug-barge offshore cargo transport
KR101941809B1 (ko)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
CN105083493B (zh) 一种自升自航式船坞
KR20140092108A (ko) 선박의 프로펠러용 크리닝 장치
JP5192211B2 (ja) ガス排出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RU2483967C2 (ru) Ледоко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лавающих тел
JP2016534919A (ja) 自動ボート洗浄ドック、及び自動ボート洗浄ドック内でのボート洗浄のための関連の方法
KR101912944B1 (ko) 선체 균형유지 장치
KR20130017524A (ko) 워터제트를 이용한 엘엔지 벙커링 바지선 시스템
JP4699282B2 (ja) 船舶
KR20180096833A (ko) 에어제트 추진 선박 및 그 선체의 구성방법
US8727823B2 (en) Water jet propulsion device
RU185954U1 (ru) Судно с винтами в корме туннельного типа
KR102322287B1 (ko) 프로펠러 이물질 고착 방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US4030437A (en) Ship's dock
WO2013013679A1 (en) A ship hull cleaning system for removing fouling
KR100979480B1 (ko)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
KR102284213B1 (ko)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JP2005082045A (ja) 小型船
KR101994067B1 (ko) 선박용 추진장치
JP3112151B2 (ja) 2段式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