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780A -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780A
KR20170030780A KR1020150128110A KR20150128110A KR20170030780A KR 20170030780 A KR20170030780 A KR 20170030780A KR 1020150128110 A KR1020150128110 A KR 1020150128110A KR 20150128110 A KR20150128110 A KR 20150128110A KR 20170030780 A KR20170030780 A KR 20170030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n
draft
trim
bow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8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0780A/ko
Publication of KR20170030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draught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물질을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이송시, 선박의 흘수를 측정하여 트림 상태를 판단하고 선미 트림 운항시에 압력을 가진 공기가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액상 물질을 이송하는 배관 내에 주입되어 액상 물질의 이송 압력을 높임으로써 액상 물질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선수 흘수와 선미 흘수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수중에 잠기는 상태를 감지하는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 상기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와 각각 전기적 신호로 연결되고 선수 흘수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과 선미 흘수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을 서로 비교하여 선미 트림, 선수 트림, 이븐 드래프트를 판단하는 트림 판단부; 상기 트림 판단부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배관의 선미 측과 선수 측에 각각 설치되어 배관 내에 흐르는 액상 물질의 유량과 유속을 검출하는 선미 및 선수 검출수단; 상기 배관 내에 선수 방향으로 토출구가 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라인;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연결라인에 설치되는 공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Providing Examination Function Using Sample Catalyst}
본 발명은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이송 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액상 물질을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이송시, 선박의 흘수를 측정하여 트림 상태를 판단하고 선미 트림 운항시에 압력을 가진 공기가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액상 물질을 이송하는 배관 내에 주입되어 액상 물질의 이송 압력을 높임으로써 액상 물질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의 선미 측에는 거주구를 비롯한 엔진과 무게가 무거운 각종 설비들이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선미 측에 설치되는 설비에서 선수 측에 설치되는 설비로 액상 물질(예를 들면 오일, 물, 발라스트수)이 이송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관(12)이 선박(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선박(10)의 정박(state) 상태 또는 만재 상태에서는 선수 및 선미 흘수(14, 16)가 수평을 이루도록 흘수선을 조정하게 되나 선박(10)이 운항을 하게 되면 선수와 선미가 각각 다른 흘수 상태의 운항 흘수를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대형선박의 경우 운항 중에는 선박 엔진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 계통 설비와 거주구 등의 무게가 작용하여 선미가 선수에 비해 더 가라앉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운항 중에는 선수 쪽이 들리게 되는 선미 트림 상태로 운항을 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선미 트림으로 운항을 하게 되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액상 물질(W)을 이송시, 배관(12)의 선미 측 부분보다 배관의 선수 측 부분의 높이가 높아 액상 물질(W)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방법으로 배관(12)에 경사 각도 구간 즉, 슬로프 구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극복을 하고 있으나, 배관(12)이 설치되는 주변에 각종 장치와 부품들이 근접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요구하는 경사 각도와 슬로프 구간 설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경사 각도 형성과 슬로프 구간으로 배관(12)을 배치시, 배관(12)의 설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많은 자재의 소요와 함께 작업량 증가가 불가피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액상 물질을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이송시, 선박의 흘수를 측정하여 트림 상태를 판단하고 선미 트림 운항시에 압력을 가진 공기가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액상 물질을 이송하는 배관 내에 주입되어 액상 물질의 이송 압력을 높임으로써 액상 물질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수 흘수와 선미 흘수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수중에 잠기는 상태를 감지하는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 상기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와 각각 전기적 신호로 연결되고 선수 흘수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과 선미 흘수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을 서로 비교하여 선미 트림, 선수 트림, 이븐 드래프트를 판단하는 트림 판단부; 상기 트림 판단부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배관의 선미 측과 선수 측에 각각 설치되어 배관 내에 흐르는 액상 물질의 유량과 유속을 검출하는 선미 및 선수 검출수단; 상기 배관 내에 선수 방향으로 토출구가 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라인;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연결라인에 설치되는 공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림 판단부는 선수 흘수감지센서의 감지 신호 개수와 선미 흘수감지센서의 감지 신호 개수를 비교하여 선미 흘수감지센서의 감지 신호 개수가 더 많은 경우에는 선미 트림으로 판단하고, 상기 선수 흘수감지센서의 감지 신호 개수가 더 많을 경우에는 선수 트림으로 판단하며, 선미 및 선수 흘수감지센서의 감지 신호 개수가 같을 때에는 이븐 드래프트로 판단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수단은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콤프레셔와, 상기 연결라인을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트림 판단부로부터 선미 트림에 대한 해당 신호가 입력시 제어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된 선미 검출수단과 선수 검출수단를 통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흐르는 배관 내 액상 물질의 유량과 유속에 대한 검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선미 검출수단의 검출 값과 선수 검출수단의 검출 값 간에 차이 값이 제어부에 입력 설정된 설정 편차 값을 초과하는 경우, 콤프레셔의 구동과 전자식 개폐밸브의 개방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가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선수 흘수와 선미 흘수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수중에 잠기는 상태를 감지하는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 상기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와 각각 전기적 신호로 연결되고 선수 흘수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과 선미 흘수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을 서로 비교하여 선미 트림, 선수 트림, 이븐 드래프트를 판단하는 트림 판단부; 상기 트림 판단부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설정 입력된 구동 시간과 정지 시간 단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부를 구비하는 제어부;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배관 내에 선수 방향으로 토출구가 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라인;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연결라인에 설치되는 공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부에 설정 입력된 구동 시간과 정지 시간 단위로 공압수단에 구동 및 정지를 위한 해당 신호를 각각 인가하여 콤프레셔의 구동과 전자식 개폐밸브의 개방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선미 트림 운항시에 압력을 가진 공기가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액상 물질을 이송하는 배관에 주입되어 액상 물질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배경기술과 같이 슬로프 구간을 형성하는 구조 타입으로 배치 설계시, 슬로프 구간이 형성 따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배관의 슬로프 구간 배치 없이 직선적인 배치가 가능하여 자재 사용량과 작업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자재 사용량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미 트림 운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은, 먼저 선박(10)의 선수 흘수군(S1)에 표시된 선수 흘수(14)와 선미 흘수군(S2)에 표시된 선미 흘수(16)의 위치에 개별적으로 노출 설치되는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18, 20)와; 상기 선수 흘수감지센서(18)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과 선미 흘수감지센서(20)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을 서로 비교하여 트림을 판단하는 트림 판단부(22)와; 상기 트림 판단부(22)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는 제어부(24)와; 상기 제어부(24)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배관(12)의 선미 측과 선수 측에 각각 설치되는 선미 및 선수 검출수단(26, 28)과; 상기 선미 및 선수 검출수단(26, 28)과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배관(12)의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이송되는 액상 물질의 이송 력(W)을 제공하는 공압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박(10)의 선수와 선미에는 각각 선수 흘수(14)와 선미 흘수(16)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시되는 선수 및 선미 흘수(14, 16)의 일 옆에는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18, 20)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18, 20)는 수중에 잠겨 있는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선수 및 선미 검출수단(26, 28)은 배관(12)의 내부와 소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관(12) 내에 흐르는 액상 물질(W)의 유량과 유속을 검출하는 유량 유속 측정기가 사용된다.
상기 공압수단(30)은 콤프레셔(30a), 토출구(30b)가 선수 방향으로 향해 설치되는 구조로 배관(12) 내부와 소통 연결되는 연결라인(30c), 상기 연결라인(30c)에 설치되는 전자식 개폐밸브(3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콤프레셔(30a)와 전자식 개폐밸브(30d)는 콤프레셔(30a)의 구동과 전자식 개폐밸브(30d)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24)와 각각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 1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예를 들어 선박(10)이 운항을 시작하게 되면, 선수 흘수(14)와 선미 흘수(16)에 각각 개별 설치되어 있는 선수 흘수감지센서(18)와 선미 흘수감지센서(20)는 수중에 잠겨있는 상태를 각각 감지하게 되고, 선수 흘수감지센서(18)에서 감지된 신호와 선미 흘수감지센서(20)에서 감지된 신호를 각각 트림 판단부(22)로 입력하게 된다.
상기 트림 판단부(22)에서는 선수 흘수감지센서(18)의 감지 신호 개수와 선미 흘수감지센서(20)의 감지 신호 개수를 서로 비교하여 선박(10)의 트림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선수 흘수감지센서(18)의 감지 신호 개수와 선미 흘수감지센서(20)의 감지 신호 개수의 차이에서 선미 흘수감지센서(20)의 감지 신호 개수가 더 많은 경우에는 선미 트림(trim by the stern), 반대로 선수 흘수감지센서(18)의 감지 신호 개수가 더 많은 경우에는 선수 트림(trim by the bow,trim by the stem), 선미 및 선수 흘수감지센서(18, 20)의 감지 신호 개수가 같을 때에는 이븐 드래프트(even draft)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트림 판단부(22)에서 선수 트림이나 이븐 드래프트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해당 신호를 제어부(24)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24)에서는 이에 해당되는 신호가 입력시에 사전 입력된 프로그램 실행과 그에 따른 해당 신호를 선미 및 선수 검출수단(26, 28)과 공압수단(30)에 각각 인가하여 선미 및 선수 검출수단(26, 28)의 검출 중단과 공압수단(30)의 구동 정지를 계속 유지토록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트림 판단부(22)에서 선미 트림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트림 판단부(22)는 선미 트림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24)로 입력하게 된다.
위와 같이 선미 트림에 대한 신호가 제어부(24)로 입력되면, 제어부(24)에서는 각각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된 선미 검출수단(26)과 선수 검출수단(28)을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동을 통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흐르는 배관(12) 내 액상 물질이 유량과 유속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는 검출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선미 검출수단(26)의 검출 값과 선수 검출수단(28)의 검출 값 간에 차이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선미 검출수단(26)의 검출 값과 선수 검출수단(28)의 검출 값 간에 차이 값이 제어부(24)에 입력 설정된 설정 편차 값을 초과하는 경우,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24)에서 선미 트림에 해당하는 신호의 입력과 더불어 제어부(24)에 입력 설정된 설정 편차 값을 초과시에는 해당하는 프로그램 실행과 그에 따른 해당 신호를 공압수단(30)에 인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공압수단(30)의 콤프레셔(30a)는 구동을 하게 되고, 연결라인(30c)을 폐쇄하고 있던 전자식개폐밸브(30d)는 개방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콤프레셔(30a)에서 형성된 압축 공기는 연결라인(30c)의 토출구(30b)를 통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토출 되고, 이와 같이 토출 되는 공기가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흐르는 배관(12)의 액상 물질(W)을 이송방향으로 더 밀어면서 이송 압력과 유속을 높이는 힘으로 작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선미 트림 운항시에 액상 물질을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선미 트림 상태로 판단된 상태에서 선수 측에서 검출되는 유량 유속 검출 값과 선미 측에서 검출되는 유량 유속 검출 값 간에 차이 값이 제어부(24)에 설정된 설정 편차 값과 동일하거나 미만인 경우, 제어부(24)에서는 그에 따른 해당 신호를 공압수단(30)에 각각 인가하여 콤프레셔(30a)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전자식 개폐밸브(30d)는 폐쇄하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배관의 선수 측 부분이 배관의 선미 측 부분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선미 트림 운항시에 액상 물질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배관의 배치 설계 시 종래와 같이 각도 형성과 슬로프 구간이 형성되는 주변의 장치 및 부품들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배경기술의 제반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배관의 직선 배치 설계가 가능하여 자재 사용량과 작업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 1에서는 선박의 운항시, 트림 상태가 선미 트림 상태로 판단되고, 또한 선미 검출수단(26)의 검출 값과 선수 검출수단(28)의 검출 값 간에 차이 값이 설정된 설정 편차 값을 초과하는 경우, 콤프레셔(30a)의 구동과 전자식 개폐밸브(30d)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선미 검출수단(26)의 검출 값과 선수 검출수단(28)의 검출 값 간에 차이 값이 설정 편차 값과 동일하거나 미만인 경우에는 콤프레셔(30a)의 정지와 연결라인(30c)이 폐쇄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2]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실시예 2에서는 설정해 놓은 타이머에 맞추어 공압수단이 간헐적을 동작하는 구성이 제시된다. 설명에 앞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선박(10)이 운항을 시작하게 되면 선수 흘수(14)와 선미 흘수(16)에 개별 설치되어 있는 선수 흘수감지센서(18)와 선미 흘수감지센서(20)가 수중에 잠겨있는 상태를 감지하게 되고, 선수 흘수감지센서(18)에서 감지된 신호와 선미 흘수감지센서(20)에서 감지된 신호는 각각 트림 판단부(22)로 입력된다.
상기 트림 판단부(22)에서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선박의 트림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즉, 선수 흘수감지센서(18)의 감지 신호 개수와 선미 흘수감지센서(20)의 감지 신호 개수의 차이에서 선미 흘수감지센서(20)의 감지 신호 개수가 더 많은 경우에는 선미 트림(trim by the stern), 반대로 선수 흘수감지센서(18)의 감지 신호 개수가 더 많을 경우에는 선수 트림(trim by the bow,trim by the stem), 선미 및 선수 흘수감지센서(18, 20)의 감지 신호 개수가 같을 때에는 이븐 드래프트(even draft)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트림 판단부(22)에서 선수 트림이나 이븐 드래프트로 판단할 경우에는 그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4)에 인가하고, 제어부(24)에서는 이에 대한 해당 신호 입력시 사전 입력된 프로그램 실행과 그에 따른 해당 신호를 선미 및 선수 검출수단(26, 28)과 공압수단(30)에 각각 인가하여 구동 정지를 계속 유지하게 한다.
한편, 상기 트림 판단부(22)에서 선미 트림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트림 판단부(22)에서는 그에 해당되는 신호를 제어부(40)에 입력하게 된다. 위와 같이 선미 트림에 대한 신호가 제어부(40)에 입력되게 되면, 제어부(40)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부(42)에 설정 입력된 구동 시간과 정지 시간에 맞추어 제어부(40)에서 콤프레셔(30a)와 전자식 개폐밸브(30d)에 구동과 정지를 위한 해당 신호를 각각 인가하여 콤프레서(30a)의 구동과 정지 및 전자식 개폐밸브(30d)의 개폐가 타이머부(42)에 설정 입력된 구동 시간과 정지 시간 맞추어 간헐적인 조정 되어 동작과 정지를 반복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라인(30c)의 토출구(30b)를 통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압력을 가진 공기가 간헐적으로 제공되고, 그로 인해 선미 트림 운항시에 액상 물질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앞서 설명된 실시예 1과 같이 한편, 선미 트림 상태로 판단된 상태라도 선수 측에서 검출되는 유량 유속 검출 값과 선미 측에서 검출되는 유량 유속 검출 값 간에 차이 값이 제어부(40)에 설정된 설정 편차 값과 동일하거나 미만인 경우, 제어부(40)에서는 그에 따른 해당 신호를 공압수단(30)에 각각 인가하여 콤프레셔(30a)의 구동 정지와 전자식 개폐밸브(30d)의 폐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10 : 선박 12 : 배관
14 : 선수 흘수 16 : 선미 흘수
18 : 선수 흘수감지센서 20 : 선미 흘수감지센서
22 : 트림 판단부 24, 40 : 제어부
26 : 선미 검출수단 28 : 선수 검출수단
30 : 공압수단 32 : 전자식 개폐밸브
42 : 타이머부

Claims (7)

  1. 선수 흘수(14)와 선미 흘수(16)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수중에 잠기는 상태를 감지하는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18, 20);
    상기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18, 20)와 각각 전기적 신호로 연결되고 선수 흘수감지센서(18)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과 선미 흘수감지센서(20)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을 서로 비교하여 선미 트림, 선수 트림, 이븐 드래프트를 판단하는 트림 판단부(22);
    상기 트림 판단부(22)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는 제어부(24);
    상기 제어부(24)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배관(12의 선미 측과 선수 측에 각각 설치되어 배관 내에 흐르는 액상 물질의 유량과 유속을 검출하는 선미 및 선수 검출수단(26, 28);
    상기 배관(12) 내에 선수 방향으로 토출구(30b)가 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라인(30c);
    상기 제어부(24)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연결라인(30c)에 설치되는 공압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 판단부(22)는 선수 흘수감지센서(18)의 감지 신호 개수와 선미 흘수감지센서(20)의 감지 신호 개수를 비교하여 선미 흘수감지센서(20)의 감지 신호 개수가 더 많은 경우에는 선미 트림으로 판단하고, 상기 선수 흘수감지센서(18)의 감지 신호 개수가 더 많을 경우에는 선수 트림으로 판단하며, 선미 및 선수 흘수감지센서(20, 18)의 감지 신호 개수가 같을 때에는 이븐 드래프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수단(30)은 연결라인(30c)과 연결되는 콤프레셔(30a)와, 상기 연결라인(30c)을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30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는 트림 판단부(22)로부터 선미 트림에 대한 해당 신호가 입력시 제어부(24)와 각각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된 선미 검출수단(26)와 선수 검출수단(28)를 통해 선미에서 선수 방향으로 흐르는 배관 내 액상 물질의 유량과 유속에 대한 검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선미 검출수단(26)의 검출 값과 선수 검출수단(28)의 검출 값 간에 차이 값이 제어부(24)에 입력 설정된 설정 편차 값을 초과하는 경우, 콤프레셔(30a)의 구동과 전자식 개폐밸브(30d)의 개방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5. 선수 흘수(14)와 선미 흘수(16)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수중에 잠기는 상태를 감지하는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18, 20);
    상기 선수 및 선미 흘수감지센서(18, 20)와 각각 전기적 신호로 연결되고 선수 흘수감지센서(18)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과 선미 흘수감지센서(20)로부터 감지된 감지 값을 서로 비교하여 선미 트림, 선수 트림, 이븐 드래프트를 판단하는 트림 판단부(22);
    상기 트림 판단부(22)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설정 입력된 구동 시간과 정지 시간 단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부(42)를 구비하는 제어부(40);
    선박(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배관(12) 내에 선수 방향으로 토출구(30b)가 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라인(30c);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연결라인(30c)에 설치되는 공압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수단(30)은 연결라인(30c)과 연결되는 콤프레셔(30a)와, 상기 연결라인(30c)을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30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타이머부(42)에 설정 입력된 구동 시간과 정지 시간 단위로 공압수단(30)에 구동 및 정지를 위한 해당 신호를 각각 인가하여 콤프레셔(30a)의 구동과 전자식 개폐밸브(30d)의 개방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KR1020150128110A 2015-09-10 2015-09-10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KR20170030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110A KR20170030780A (ko) 2015-09-10 2015-09-10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110A KR20170030780A (ko) 2015-09-10 2015-09-10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80A true KR20170030780A (ko) 2017-03-20

Family

ID=5850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110A KR20170030780A (ko) 2015-09-10 2015-09-10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07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189A (ko) * 2016-03-25 2017-11-01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
KR20190061333A (ko) * 2017-11-27 2019-06-05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용 운동저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189A (ko) * 2016-03-25 2017-11-01 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및 선박의 청소 방법
KR20190061333A (ko) * 2017-11-27 2019-06-05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용 운동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537B1 (ko) 선박의 안티 힐링 제어장치
US8117851B2 (en) Liquified gas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CA2632963A1 (en) Fuel cell system, moving object equipped with fuel cell system, and abnormality judgment method for fuel cell system
KR101817531B1 (ko) 하중 모멘트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하중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측정 장비
CN104765394A (zh) 控制固体料流的方法和装置
KR20170030780A (ko) 흘수 측정을 이용한 선미 트림에 따른 액상 물질 이송 조정 시스템
US10858201B2 (en) Vacuum conveyor system
NO20151389A1 (en) Pressure balance type floating body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2004257363A (ja) 液体燃料量計測装置及び液体燃料量計測方法
US10388553B2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JP2007322131A (ja) エンジン試験用オイル温度調整装置
JP5090460B2 (ja) 処理液供給機構および処理液供給方法
KR20160053667A (ko) 선박 자세 제어 시스템
KR101762777B1 (ko) 공기윤활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KR20160023405A (ko) 자동 평형수 시스템 및 조절방법
KR20130142513A (ko) 빌지 처리 장치
CN104594322B (zh) 一种船闸安全绳索系统及控制方法
KR20110139870A (ko) 중력을 이용한 안티 힐링 시스템
KR20130123991A (ko) 부유식 생산저장설비의 불활성 가스 공급 시스템
KR101246321B1 (ko)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JP5336833B2 (ja) ばら物運搬船の陸揚げ時における船体の位置調整システム
CN105240334B (zh) 一种隔水管动力猫道控制系统
US9915261B2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drive assembly, and drive member controlling method
JP6906868B2 (ja) 粉体吹込システム
JP6155299B2 (ja) 揚荷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