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480B1 -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 - Google Patents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480B1
KR100979480B1 KR1020100013740A KR20100013740A KR100979480B1 KR 100979480 B1 KR100979480 B1 KR 100979480B1 KR 1020100013740 A KR1020100013740 A KR 1020100013740A KR 20100013740 A KR20100013740 A KR 20100013740A KR 100979480 B1 KR100979480 B1 KR 10097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arina
cleaner
modul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훤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형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형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형중공업
Priority to KR102010001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선박클리너는 해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마리나; 상기 마리나에 배치되고 선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이동모듈; 상기 전후이동모듈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모듈; 상기 수직이동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선체의 외벽을 세척하는 클리너모듈; 상기 마리나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동모듈 및 수직이동모듈을 상기 선체 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모듈을 포함하기 때문에, 해수면에 정박 중인 선박을 지상으로 인양하지 않고도 선체를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청소 중에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해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Cleaner apparatus for leisure type ship}
본 발명은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저용 선박의 외부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트, 낚시 보트, 쾌속정, 연안용 어선 등 중소형 선박은 유리섬유로 보강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FRP :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로 제작되고, 이러한 FRP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뛰어난 내구성과, 염분, 습기, 화학물질에 강한 내식성과, 동일중량 대비 타 재료보다 월등히 높은 강도 및 낮은 열전도율,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작용에 의한 변화가 거의 없는 안전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 충격이나 압력에도 쉽게 형태를 잃지 않는 우수한 복원력 등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선박은 선체 외벽에 어패류 등의 정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독성의 도료를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외벽의 청소를 위해 수리 조선소가 위치한 지상으로 인양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의 소요가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이 해수에 정박한 상태로 선체를 청소할 수 있는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에 정박한 선체를 청소할 때 발생되는 오염물질에 의한 해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레저용 선박 클리너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마리나; 상기 마리나에 배치되고 선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이동모듈; 상기 전후이동모듈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모듈; 상기 수직이동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선체의 외벽을 세척하는 클리너모듈; 상기 마리나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동모듈 및 수직이동모듈을 상기 선체 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모듈을 포함하는 레저용 선박클리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마리나는 상기 전후이동모듈 및 상기 수직이동모듈이 설치되는 이동마리나; 상기 이동마리나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마리나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이동모듈은 상기 이동마리나 및 상기 베이스마리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모듈은 상기 이동마리나 및 상기 베이스마리나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힌지 연결된 유압실린더이고, 상기 전후이동모듈은 상기 이동마리나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마리나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는 전후이동부; 상기 전후이동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구동부는 상기 이동마리나에 설치된 전후모터; 상기 전후이동부와 치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모듈은 상기 전후이동모듈은 관통하게 배치된 수직이동바; 상기 수직이동바와 치합되고 회전 시 발생되는 상호치합에 의해 상기 수직이동바에 직선이동을 발생시키는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이동부를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직모터; 상기 수직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프라킷; 상기 수직이동부 및 상기 스프라킷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이동부를 회전시키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모듈은 상기 수직이동모듈에 고정된 클리너바디; 상기 클리너바디에 결합된 브러시바디; 상기 브러시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청소하는 브러시; 상기 클리너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선체에서 분리된 오염물을 흡입하는 토출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너바디 및 상기 브러시바디는 서로 상대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브러시바디는 상기 브러시가 설치되는 브러시홀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홀 가장자리에 상기 오염물을 상기 브러시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더 배치되고, 상기 클리너바디는 상기 오염물을 저장하는 오염물 저장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클리너는 해수면에 정박 중인 선박을 지상으로 인양하지 않고도 선체를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청소 중에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해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선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저면도
도 7은 도 1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클리너의 개략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클리너모듈의 일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너모듈이 도시된 정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선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선박(100)은 선체(10)와, 상기 선체(10)의 전방을 커버하는 갑판(20)과, 상기 선체(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10)의 일부를 커버하는 선루(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갑판(20)이 하부에는 연료탱크 등이 배치되고, 상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주입구(미도시) 등이 마련된다.
상기 선체(10)에는 선박을 견인하기 위한 복수개의 아이(eye, 12)가 배치되고, 상기 선체(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핸드레일(14)이 배치된다.
상기 선루(30)와 상기 선체(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선박(100)을 조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을 비롯한 각종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선루(30) 및 상기 갑판(20) 사이에는 윈드실드(35)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체(10)의 후미에는 선박(10)을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프로펠러(미도시) 및 조타장비(미도시)를 포함한 드라이브 유닛(40)이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유닛(40)은 상기 스티어링 휠(미도시)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상기 선체(10)에는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드라이브 유닛(40)에 동력을 공급하는 엔진(미도시)이 배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클리너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클리너모듈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클리너(200)는 마리나(210)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선체(10)의 외면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클리너(200)는 해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마리나(210)와, 상기 마리나(210)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이동모듈(220)과, 상기 전후이동모듈(220)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모듈(230)과, 상기 수직이동모듈(230)에 결합되고 선체(10)의 외벽을 세척하는 클리너모듈(250)과, 상기 마리나(210)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동모듈(220) 및 수직이동모듈(230)을 상기 선체(10) 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모듈(240)을 포함한다.
상기 마리나(210, marina)는 요트나 레저용 보트의 정박시설과 계류장, 해안의 산책길, 상점 식당가 및 숙박시설 등을 갖춘 항구를 일컫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해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구조물을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마리나(210)는 상기 전후이동모듈(220)이 삽입되는 이동마리나(212)와, 이동마리나(212)와 분리되어 배치된 베이스마리나(214)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이동모듈(220)은 상기 마리나(210)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전후이동부(222)와, 상기 전후이동부를 상대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2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부(222)는 상기 마리나(210)의 이동마리나(212)에 삽입되고, 상기 마리나(210)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후이동부(222)는 이동레일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마리나(210)의 상측에 걸쳐지는 전후지지부(223)와, 상기 전후지지부(223) 및 상기 마리나(210)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225)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구동부(224)는 상기 전후이동부(222)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전후이동부(222)를 상대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모터(224a) 및 기어(224b)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지지부(223)의 가장자리에 상기 기어(224b)와 치합되는 기어의 치형(22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모터(224a)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리나(210)에 고정되어 상기 전후이동부(222)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전후모터(224a) 및 기어(224b)의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고, 기어의 치합이 아닌 체인이나 벨트 등이 구동력전달수단을 통해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이동모듈(230)은 상기 전후이동부(2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수직이동바(232)와, 상기 수직이동바(232)와 결합되어 상기 수직이동바(232)를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233)와, 상기 수직이동부(233)를 구동시키는 수직구동부(234)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이동부(222)에는 상기 수직이동바(232)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수직설치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이동바(232)는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이동부(233)는 상기 스크류 형태의 상기 수직이동바(232)와 결합되고, 회전력을 직선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이동부(233) 및 상기 수직이동바(232)는 볼 스크류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수직이동부(2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직이동바(232)가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이동바(232)의 하단에는 상기 클리너모듈(250)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이동부(233)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수직이동바(232)가 상/하 이동될 때 상기 클리너모듈(250)도 함께 이동된다.
상기 수직이동부(233)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수직구동부(234)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모터(미도시)와, 상기 수직모터에 연결된 스프라킷(234a)과, 상기 스프라킷(234a)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체인(234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인(234b)은 상기 수직이동부(23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체인(234b)의 회전 시 상기 수직이동부(233)가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이동바(232) 및 상기 수직이동부(233)는 복수개 설치되는 바, 상기 체인(234b)은 복수개의 수직이동부(233)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체인(234b)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시 상기 복수개의 수직이동바(232)는 같은 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스크류의 치형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좌우이동모듈(240)은 상기 이동마리나(212) 및 상기 베이스마리나(214)를 연결하되, 상기 선체(10)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거리조절수단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이동마리나(212) 및 상기 베이스마리나(214)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이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피스톤이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마리나(212)를 상기 선체(1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마리나(210)는 해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바, 파도 등에 의해 상기 이동마리나(212) 및 상기 베이스마리나(214) 사이에 상대변위가 발생될 수 있고, 이를 완충하기 위해 상기 거리조절수단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241)가 배치되며, 어느 한쪽에만 힌지(241)가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클리너모듈(250)은 상기 수직이동부(232)에 고정된 클리너바디(252)와, 상기 클리너바디(252)에 결합되어 상기 선체(10)를 청소하는 브러시바디(254)와, 상기 브러시바디(254)를 통해 선체(10)에서 분리된 오염물(259)을 흡입하여 상기 클리너바디(252) 측으로 배출시키는 토출펌프(26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리너바디(252)는 상기 수직이동부(232)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이동부(232)의 상대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브러시바디(254)는 상기 클리너바디(25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선체(10)의 외측면 형상에 따라 교체가능하며, 상기 클리너바디(252)와 힌지(253) 연결되어 소정각도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바디(254)는 상기 선체(10) 외측면과 마찰되어 상기 선체(10)를 청소하는 브러시(255)가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바디(254)는 상기 브러시(255)가 삽입되는 브러시홀(254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브러시홀(254a)의 주변에는 상기 선체(10)에서 분리된 오염물을 상기 브러시바디(252)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254b)가 배치된다.
상기 클리너바디(252)는 상기 힌지(253)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오염물(259)이 저장되는 오염물저장부(252a)가 형성되고, 상기 오염물저장부(252a)는 상기 클리너바디(252)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클리너바디(252)를 통해 유동된 해수보다 넓은 면적으로 확장되어 오염물(259)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브러시(255)는 미도시된 모터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서 선체(10)와 마찰을 발생시킨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클리너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클리너(200)는 상기 클리너모듈(250)을 3차원으로 이동시키면서 선체(10)의 외측면을 청소할 수 있다.
먼저, 선체(10)와 상기 클리너모듈(250)을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좌우이동모듈(240)을 작동시켜 상기 이동마리나(212)를 상기 선체(10) 측에 접근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브러시(255)의 작동반경 안에 상기 선체(10)가 위치되도록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선체(10)는 해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상태인 바, 선체(10)에 외력이 작용되면 선체(10)가 이동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체(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선박클리너(200)를 배치시켜 상기 선체(10)의 양측을 동시에 청소함으로서 선박의 유동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선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필요할 경우, 상기 전후구동부(224)를 작동시켜 상기 전후이동부(2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전후이동부(222)에 연결된 상기 클리너모듈(25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구동부(224)의 전후모터(224a)에서 발생된 힘은 기어(224b)를 통해 상기 전후이동부(222)의 치형(223b)에 가해지고, 상기 기어(224b) 및 치형(223b)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222)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특히 상기 전후지지부(223)의 하측에 배치된 롤러(225)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발생 시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상대이동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선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수직구동부(234)를 작동시켜 상기 수직이동바(23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수직이동바(232)의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클리너모듈(25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구동부(234)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스프라킷(234a)이 회전되면, 상기 스프라킷(234a)과 결합된 체인(234b)이 회전되면서 상기 수직이동부(233)를 회전시키고, 상기 수직이동부(233)가 회전되면 상기 수직이동부(233) 및 상기 수직이동바(232)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수직이동바(232)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변위를 발생시키며, 이를 통해 상기 클리너모듈(250)의 상/하 방향 상대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모듈(220) 및 상기 수직이동모듈(230)이 동시에 작동될 경우 상기 클리너모듈(250)은 상기 선체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러쉬(255)는 브러시홀(254a)에 삽입되어 회전되고, 상기 선체(10)에서 떨어져 나온 오염물(259)은 브러시홀(254a)을 통해 흡입된다.
여기서 상기 클리너바디(252)에 배치된 토출펌프(260)는 상기 브러시바디(252) 내부로 해수를 유입하는 바, 상기 오염물(259)은 상기 브러시홀(254a)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펌프(260) 측으로 유동된다.
특히 상기 브러시홀(254a) 가장자리에 배치된 가이드(254b)는 상기 선체(10)에서 분리된 오염물(259)이 해수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브러시홀(254a) 쪽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홀(254a)로 유입된 오염물(259)은 동일한 단면적의 브러시바디(252)를 거쳐 클리너바디(254)로 유동되고, 상기 클리너바디(254)의 토출펌프(260) 측에 배치된 오염물저장부(252a)로 이동되어 축적된다.
여기서 상기 오염물저장부(252a)는 오염물(259)이 유동되어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적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오염물(259)이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축적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염물저장부(252a)가 상기 클리너바디(254)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이와 달리 오염물(259)의 분리를 위해 분리형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클리너바디(254)에서 해수가 토출되는 토출측에는 해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재 또는 여과장치가 부가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클리너(200)는 해수면에 정박 중인 선박을 지상으로 인양하지 않고도 선체(10)를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청소 중에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해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너모듈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바디(254)(254')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 브러시바디(254)(254')에 브러시(255)가 배치되어 선체(10)의 외측면을 청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브러시바디(254)(254')의 배치형태는 선박의 외측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10 : 선체 100 : 선박
200 : 선박클리너 210 : 마리나
220 : 전후이동모듈 230 : 수직이동모듈
240 : 좌우이동모듈 250 : 클리너모듈

Claims (10)

  1. 해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마리나;
    상기 마리나에 배치되고 선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이동모듈;
    상기 전후이동모듈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모듈;
    상기 수직이동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선체의 외벽을 세척하는 클리너모듈;
    상기 마리나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동모듈 및 수직이동모듈을 상기 선체 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모듈을 포함하는 레저용 선박클리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리나는
    상기 전후이동모듈 및 상기 수직이동모듈이 설치되는 이동마리나;
    상기 이동마리나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마리나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이동모듈은 상기 이동마리나 및 상기 베이스마리나 사이에 배치된 레저용 선박클리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모듈은 상기 이동마리나 및 상기 베이스마리나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힌지 연결된 유압실린더인 레저용 선박클리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모듈은
    상기 이동마리나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마리나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는 전후이동부; 상기 전후이동부를 상대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구동부는 상기 이동마리나에 설치된 전후모터; 상기 전후이동부와 치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기어를 포함하는 레저용 선박클리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모듈은
    상기 전후이동모듈은 관통하게 배치된 수직이동바;
    상기 수직이동바와 치합되고 회전 시 발생되는 상호치합에 의해 상기 수직이동바에 직선이동을 발생시키는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이동부를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하는 레저용 선박클리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직모터; 상기 수직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프라킷; 상기 수직이동부 및 상기 스프라킷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이동부를 회전시키는 체인을 포함하는 레저용 선박클리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모듈은
    상기 수직이동모듈에 고정된 클리너바디;
    상기 클리너바디에 결합된 브러시바디;
    상기 브러시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청소하는 브러시;
    상기 클리너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선체에서 분리된 오염물을 흡입하는 토출펌프를 포함하는 레저용 선박클리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바디 및 상기 브러시바디는 서로 상대회전되게 설치된 레저용 선박클리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바디는 상기 브러시가 설치되는 브러시홀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홀 가장자리에 상기 오염물을 상기 브러시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더 배치된 레저용 선박클리너.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바디는 상기 오염물을 저장하는 오염물 저장부가 더 배치된 레저용 선박클리너.
KR1020100013740A 2010-02-16 2010-02-16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 KR10097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740A KR100979480B1 (ko) 2010-02-16 2010-02-16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740A KR100979480B1 (ko) 2010-02-16 2010-02-16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480B1 true KR100979480B1 (ko) 2010-09-02

Family

ID=4300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740A KR100979480B1 (ko) 2010-02-16 2010-02-16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818B1 (ko) 2010-09-03 2012-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엔터테인먼트 모듈을 갖는 크루즈 선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0440A (en) 1976-03-24 1977-06-21 Floyd David Wickersham Boat cleaning machine
US4236477A (en) 1979-06-04 1980-12-02 Water Front Products, Inc. Boat hull cleaning device
US5988093A (en) 1995-07-13 1999-11-23 Orca Marine Company Limited Floating do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0440A (en) 1976-03-24 1977-06-21 Floyd David Wickersham Boat cleaning machine
US4236477A (en) 1979-06-04 1980-12-02 Water Front Products, Inc. Boat hull cleaning device
US5988093A (en) 1995-07-13 1999-11-23 Orca Marine Company Limited Floating d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818B1 (ko) 2010-09-03 2012-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엔터테인먼트 모듈을 갖는 크루즈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977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Material from Water System and Uses of Apparatus
GB2485849A (en) Oil spill recovery vessel
US5140922A (en) Lift for a watercraft
US7748337B2 (en) Automatic boat washing assembly
KR101549377B1 (ko) 수중 청소로봇
US20050199171A1 (en) Ship hull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160052986A (ko) 수중 청소로봇
CN105083493B (zh) 一种自升自航式船坞
FI123745B (fi) Laitteisto ja menetelmä materiaalin keräämiseksi vesistöstä
KR20040033863A (ko) 수륙양용 해양오염 방제장치
KR100979480B1 (ko) 레저용 선박의 클리너
KR101799212B1 (ko) 오염수 차폐용 호퍼를 이용한 호수 바닥 청소 장치 및 시스템
US6327991B1 (en) Boat maintenance
KR101531492B1 (ko) 수중 청소로봇
EP0669885B1 (fr) Scooter depollueur
US7610870B1 (en) Interlocking platform boats
US20150203178A1 (en) Hot tub boat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using same
KR101224623B1 (ko) 선박용 청정연료 공급장치
KR102021170B1 (ko) 쌍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KR101788606B1 (ko) 선박용 부유기름제거장치
AU2019298997B9 (en) Autonomous active waterline scrubbing device principally for swimming pools and spas
JP6505238B2 (ja) 船舶及び船舶の清掃方法
RU2466052C1 (ru) Плавсредство - катамаран для морской геофизики
DK177265B1 (en) A hull cleaning system for removing fouling from a ship
KR102322287B1 (ko) 프로펠러 이물질 고착 방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