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070A -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070A
KR20170121070A KR1020170050914A KR20170050914A KR20170121070A KR 20170121070 A KR20170121070 A KR 20170121070A KR 1020170050914 A KR1020170050914 A KR 1020170050914A KR 20170050914 A KR20170050914 A KR 20170050914A KR 20170121070 A KR20170121070 A KR 20170121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movable
diaphragm
pressure plat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512B1 (ko
Inventor
질 레바스
엠마누엘 코메인
오렐리 자프레스
김상인
김현수
신효식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8555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12107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17012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07Double clutch with torque input plate in-between the two clutches, i.e. having a central input plate
    • F16D2021/0615Double clutch with torque input plate in-between the two clutches, i.e. having a central input plate the central input plate is supported by bearings in-between the two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84Mechanically actuated clutches with two clutch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9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with two clutches arranged axially without radial over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2066/008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of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3Determination of the clutch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33Clutch wear adjustment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4),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5a, 5b), 각각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해 가동되는 제1 및 제2 압력 플레이트(3a, 3b), 고정식 덮개(6), 제1 다이어프램(9a)과 고정식 덮개(6)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 및 제2 다이어프램(9b)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CLUTCH DEVICE WITH WEAR COMPENSATION,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 장치는 전형적으로 반응 플레이트, 이동식 압력 플레이트 및 상기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 디스크를 포함한다. 압력 플레이트의 운동은 다이어프램에 의해 제어되며, 이 다이어프램은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압력 플레이트는 마찰 디스크가 상기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 사이에서 조여지는 클러치 연결 위치 및 상기 마찰 디스크가 풀리는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움직인다.
클러치 장치의 사용은 마찰 디스크의 라이닝의 마모 및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의 대응 재료의 마모를 유발한다. 이것은 연관 다이어프램에 대한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에 대한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 변화에 의해 유발되어, 마찰 디스크의 조임 하중의 변화 및 클러치 베어링의 코스 및 바이팅 포인트의 변경을 발생시킨다. 바이팅 포인트는 클러치 장치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기 시작하는 위치이다.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는 문헌 FR 2 780 119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덮개를 포함하며, 이 덮개의 내부에는, 마찰 디스크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압력 플레이트, 압력 플레이트와 덮개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마찰 디스크에 대하여 밀린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을 매개로 하여 마찰 디스크로부터 떨어진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를 가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이어프램이 설치된다.
마찰 디스크의 마모 보정 수단은 다이어프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며,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를 포함하고, 압력 플레이트 측에 위치하는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다이어프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카운터-램프에 대한 램프의 각도 위치에 따라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상한다.
상기 장치는, 마찰 디스크가 마모된 경우에는 이동식 보정 부재를 변위시킬 수 있고 이 마모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보정 부재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를 포함하고 압력 플레이트 측에 위치하는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한다.
끝으로, 상기 장치는 적어도 상기 이동식 부재들의 램프를 연관된 카운터 램프에 대하여 제약하는 압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 부재는 마찰 디스크의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이동식 부재들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고정식 스토퍼와 협력할 수 있다.
이동식 보정 부재는,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가 압착 부재에 의하여 그리고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그 자신과 압착 부재 사이의 간극을 보정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구동된다. 한편, 이동식 검출 부재는,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가 압착 부재에 의하여 그리고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그 자신과 압착 부재 사이의 간극을 보정하도록 다른 스프링에 의하여 구동된다.
작동시, 유닛은 연속적인 클러치 연결 단계 및 클러치 분리 단계를 교대로 거친다.
클러치 연결 단계에서, 다이어프램은 간극 보정 부재를 매개로 하여 압력 플레이트 상에 지지된다. 클러치 분리 단계에서, 압력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탭의 형태를 취하는 복원 수단을 매개로 하여 그 클러치 분리 위치를 향해 복원된다.
마찰 디스크가 마모되지 않고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의 대응 재료가 마모되지 않은 경우, 압착 부재는 계속적으로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가 압력 디스크 상에서 지지되도록 유지하므로, 상기 부재들은 부동화된다.
마모의 경우, 압착 부재는 스토퍼 상에 지지되며 압착 부재와 검출 부재 사이에 간극이 생성된다. 이 검출 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제약되기 때문에, 상기 간극을 메우는 식으로 변위된다. 클러치 연결 위치에서, 보정 부재 상에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은, 압력 플레이트 상에서의 지지 및 마찰에 의하여, 이 보정 부재의 변위를 방해한다. 뒤이어, 다이어프램이 그 클러치 분리 위치로 변위될 때,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탭이 압력 플레이트를 간극 보정 부재에 대하여 밀어붙이고 간극 보정 부재를 다이어프램에 대하여 밀어붙이게 된다. 복원 탭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은 비교적 작아서, 간극에서의 마찰에도 불구하고, 상응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인가되는 응력하에서도 간극 보정 부재의 변위를 허용할 수 있다. 이 변위에 의해 압착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의 간극의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 플레이트의 마모 및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 및 압력 플레이트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보정된다.
이러한 작동은 특히 간극에서의 마찰에도 불구하고 보정 부재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비교적 작은 하중을 인가하는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의 이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복원 수단은 축 방향 바이브레이션을 전달하여 압력 플레이트의 펌핑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동에 해를 끼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 명의의 특허 출원 FR 3 009 592호는, 클러치 장치의 마찰 디스크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압력 플레이트,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마찰 디스크에 대하여 밀린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을 매개로 하여 마찰 디스크로부터 떨어진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압력 플레이트를 가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클러치 장치는
- 다이어프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마찰 디스크의 마모 보정 수단으로서,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를 포함하고 압력 플레이트 측에 위치하는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다이어프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카운터-램프에 대한 램프의 위치에 따라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상하는 상기 마모 보정 수단,
- 마찰 디스크의 마모의 경우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를 변위시킬 수 있고 이 마모가 불충분한 때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으로서, 이동식 보정 부재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를 포함하고 압력 플레이트 측에 위치하는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상기 마모 검출 수단,
- 적어도 검출 부재의 램프를 연관 카운터-램프에 대하여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 부재로서, 마찰 디스크의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이동식 부재들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고정식 스토퍼와 협력할 수 있는 압착 부재
를 포함하는 마모 보정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 이동식 보정 부재는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가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도록 구동되고,
- 이동식 검출 부재는,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가 압착 부재 및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어 그 자신과 압착 부재 사이의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다이어프램은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이동식 검출 부재를 방출하고 이동식 보정 부재의 변위를 방해하며,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 다이어프램은 이동식 보정 부재를 방출하고 이동식 검출 부재의 변위를 방해하며, 다이어프램은 항상 그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와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이동식 부재들 중 하나 위에 지지된다.
이러한 식으로,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은 큰 하중을 인가할 수 있고, 이 하중은, 이동식 보정 부재에 의해, 이어서 다이어프램 또는 이동식 검출 부재에 의해, 이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위치에 따라 다이어프램에 의해 인계된다. 실제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은, 그 변위시,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을 받지 않으므로, 마모의 경우 용이하게 이들의 변위를 유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강성이 큰 스프링 탭과 같은, 큰 하중을 인가하는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이 배치되기 때문에, 축방향 바이브레이션의 전달을 제한하고 압력 플레이트의 펌핑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식 검출 부재 및 이동식 보정 부재는 예를 들어 텐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구동된다.
특히,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텐션 스프링이 검출 부재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또는 압력 플레이트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는 덮개와 검출 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텐션 스프링은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이들 제2 스프링은 검출 부재에 대한 보정 부재의 동력화(motorization) 기능을 보장한다.
특허 출원 FR 3 009 592호는 또한 이러한 마모 보정 수단을 이중 클러치에 적용한다.
이중 클러치는 특히 차량의 엔진 샤프트를 자동식일 수 있는 기어박스의 두 공축 입력 샤프트와 교대로 연결할 수 있다.
그래서, 이중 클러치는 차량의 차륜으로의 엔진 토크 전달을 유지하면서 기어비를 변경할 수 있다. 실제로, 2개의 클러치가 각각 짝수 및 홀수 기어비에 연관된다. 기어비 변경시, 제1 클러치는 분리되고 제2 클러치는 연결되므로, 엔진 토크는 제1 클러치로부터 제2 클러치로 점진적으로 전달된다.
각각의 클러치는, 덮개 및 엔진 샤프트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압력 플레이트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각각의 다이어프램은 휴지 위치와 활성 위치 사이에서 상응하는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변위할 수 있다. 클러치의 유형에 따라, 다이어프램의 활성 위치는 기어박스와 엔진 샤프트의 연결 또는 분리에 상응하고 다이어프램의 휴지 위치는 이들 샤프트의 분리 또는 연결에 상응한다. 그래서, 각각 노말 오픈 클러치 및 노말 클로즈드 클러치라 불린다.
안전상의 이유에서, 적어도 클러치들 중 하나는 노말 오픈형이다.
클러치 베어링은 다이어프램에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이것을 소정 거리 변위시키도록 전자 계산기에 의해 조종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제어된다.
상응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구동되는 각각의 클러치의 압력 플레이트는 상응하는 반응 플레이트 상에서 마찰 디스크를 조이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클러치에 대하여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2개의 마찰 디스크 사이에 설치된, 2개의 클러치에 공통인 유일한 반응 플레이트를 이용한다.
각각의 마찰 디스크는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고 각각의 반응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엔진 샤프트에 연결된 플라이휠과 일체형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상응하는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마찰 디스크가 조여짐으로써 연관된 기어박스의 샤프트와 엔진 샤프트 사이에서 토크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클러치의 사용은 마찰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 및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의 대응 재료의 마모를 야기한다. 이것은 연관된 다이어프램에 대한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에 대한 각각의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 변화에 의해 유발되어, 마찰 디스크의 조임 하중의 변화 및 클러치 베어링의 코스 및 바이팅 포인트의 변경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바이팅 포인트는 클러치가 닫힐 때 엔진 토크가 기어박스의 샤프트로 전달되기 시작하는 위치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마모는, 제1 클러치에, 즉 홀수 기어비에 연관된 클러치에 속하는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및 마찰 디스크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이중 클러치가 본 발명에 따른 단 하나의 마모 보정 메커니즘만을 포함하는 경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제1 클러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러치는 제1 클러치에 장착되는 마모 보정 메커니즘과 제2 클러치에 장착되는 메커니즘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특허 출원 FR 3 009 592호는 특히 제1 클러치에 장착되는 제1 마모 보정 메커니즘 및 제2 클러치에 장착되는 제2 마모 보정 메커니즘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 특허 출원에는, 구동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도록 설계된 반응 플레이트, 각각 제1 및 제2 피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 반응 플레이트 상에서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각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가동되는 제1 및 제2 압력 플레이트(제1 압력 플레이트는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 운동으로 이동식 덮개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덮개 상에 상기 제1 다이어프램이 지지됨으로써 가동됨), 제1 다이어프램과 이동식 덮개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마찰 디스크의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 제2 다이어프램과 제2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마찰 디스크의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클러치가 개시된다.
작동시, 이동식 덮개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구성 요소들의 양호한 포지셔닝을 어렵게 하는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는 큰 기계적 응력을 받는다. 이것은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양호한 포지셔닝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모의 모든 과잉 보상 또는 과소 보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모 검출 및 보정 부재의 양호한 위치를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를 제안한다.
한편, 본 장치는 또한 부재들의 설치 또는 치수설정의 실질적인 공차를 흡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클러치 베어링의 제어 수단의 축방향 차지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코스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 회전축 주위에서, 구동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도록 설계된 반응 플레이트,
- 피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마찰 디스크,
- 상기 반응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식 부품을 매개로 하여,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가동되는 압력 플레이트,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고정된 부품, 예를 들어 고정식 덮개 사이에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보정 수단으로서,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해 방출될 때 소정 범위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부품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고정식 부품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상기 마모 보정 수단,
마모의 경우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의 변위를 허용할 수 있고 이 마모가 불충분한 때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으로서, 이동식 보정 부재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부품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상기 마모 검출 수단,
적어도 상기 검출 부재의 램프를 연관된 카운터-램프에 대하여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 부재로서,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검출 부재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고정식 스토퍼와 협력할 수 있는 상기 압착 부재
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를 제안하며,
이 장치는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고, 이 베어링 부재는, 적어도 상기 압착 부재에 연결되는 제1 부분 및 클러치 장치의 고정식 부품 또는 이동식 부품의 지지 구역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반대를 포함하여, 마모의 경우 상기 검출 부재 및/또는 상기 보정 부재로부터 상기 압착 부재를 떼어 놓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거리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퍼런스의 역할을 하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요소에 대한 이동식 검출 및 보정 부재들의 양호한 위치설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 수단은 베어링 부재의 길이, 예를 들어 축방향 길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정할 수 있고, 상응하는 마모는 카운터 램프에 대한 램프의 위치에 따라 보상된다.
이동식 보정 부재는 이것이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하는 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동식 검출 부재는 이것이 압착 부재에 의하여 그리고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하여 그 자신과 압착 부재 사이의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는 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베어링 부재의 제2 부분은 너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제1 부분은 너트와 협력하는 골이 파인 구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베어링 부재의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작동자가 너트를 제1 부분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지지 구역은 평면일 수 있고 방사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 부재의 제2 부분은 상응하는 평면 지지 구역 상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 평면 방사상 면을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상기 지지 구역 및/또는 베어링 부재의 상기 제2 부분은 둥근 표면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 구역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볼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볼 링크는 실질적인 정렬 결함을 보상할 수 있고 상기 지지 구역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면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베어링 부재의 제2 부분은, 베어링 부재의 제1 부분에 크림핑에 의하여 고정되는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거리는 크림핑 전에 원하는 값으로 조절된다.
제1 부분은 변형가능한 와이어로 제작될 수 있다. 연신되었을 때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베어링 부재의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원하는 거리에 따른다.
베어링 부재는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압착 부재에 연결될 수 있어, 압착 부재의 진동 효과가 제한되는데, 이러한 진동은 검출 부재 및/또는 보정 부재 상에 압착 부재가 실제로 지지되는 구역의 위치에 영향을 준다. 이렇게 상기한 특징들은 상기 이동식 부재들의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상응하는 마모 보정 및 검출 수단의 양호한 작동을 보장하고 마모의 과잉 보상 및 과소 보상을 방지한다.
베어링 부재는 방사방향으로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압착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압착 부재는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분포되는 압착력을 발휘할 수 있고 축(X)을 따른 이 힘의 축방향 성분은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적용 반경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식 보정 부재와 이동식 검출 부재는 동심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 형태의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는, 상기 이동식 부재들이 방사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볼록부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압착 부재는 상기 볼록부가 제공된 구역에서 상기 이동식 부재들의 상응하는 단부 상에 베어링 지지된다.
압착 부재에 연결되는 베어링 부재의 단부는 상기 볼록부가 제공된 구역 안에 수용될 수 있다.
압착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탭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의 일단부는 이동식 검출 부재 상에 또는 상응하는 이동식 보정 부재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다.
압착 부재는 고정식 부품 또는 압력 플레이트와의 고정 구역을 2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구역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유형의 클러치 장치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중 클러치는
- 구동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
- 각각 제1 및 제2 피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
- 상기 반응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각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가동되는 제1 및 제2 압력 플레이트(여기서, 상기 제1 압력 플레이트는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 운동하여 이동식 덮개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덮개 상에 상기 제1 다이어프램이 지지됨으로써 가동됨),
- 반응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제2 압력 플레이트, 제2 마찰 디스크 및/또는 제2 다이어프램을 수용하는 고정식 덮개,
- 제1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정할 수 있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으로서, 제1 다이어프램과 고정식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
- 제2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정할 수 있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으로서, 제2 다이어프램과 제2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과 상기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각각
상기 제1 다이어프램과 상기 고정식 덮개 사이에 또는 상기 제2 다이어프램과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보정 수단으로서, 소정 범위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덮개 또는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다이어프램과 상기 고정식 덮개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제2 다이어프램과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카운터-램프에 대한 상기 램프의 위치에 따라 상응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상기 마모 보정 수단,
마모의 경우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를 변위시킬 수 있고 이 마모가 불충분한 때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으로서, 이동식 보정 부재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덮개 또는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상기 마모 검출 수단,
적어도 상기 검출 부재의 램프를 연관된 카운터-램프에 대하여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 부재로서,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검출 부재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고정식 스토퍼와 협력할 수 있는 압착 부재
를 포함하며,
이동식 보정 부재는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가 상기 제1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또는 제2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도록 구동되고,
이동식 검출 부재는,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가 상기 압착 부재에 의하여 및 상기 제1 다이어프램 또는 제2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어 그 자신과 상기 압착 부재 사이의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도록 구동되며,
베어링 부재가 적어도 상기 압착 부재들 중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마모의 경우 상기 압착 부재를 상기 검출 부재 및/또는 상기 보정 부재로부터 떼어 놓도록 설계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압착 부재에 연결되는 제1 부분 및 클러치 장치의 고정식 부품 또는 이동식 부품의 지지 구역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반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거리의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각각의 클러치에, 차지 부피가 축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감소된 마모 보정 수단이 장착된다. 따라서, 이중 클러치의 차지 부피가 감지가능할 정도로 감소된다.
제1 다이어프램 또는 제2 다이어프램은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이동식 검출 부재를 방출하고 이동식 보정 부재의 변위를 방해할 수 있고,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 제1 다이어프램 또는 제2 다이어프램은 이동식 보정 부재를 방출하고 이동식 검출 부재의 변위를 방해할 수 있으며, 제1 다이어프램 또는 제2 다이어프램은 그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와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이동식 부재들 중 하나 상에 언제나 베어링 지지된다.
각각의 이동식 검출 부재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단부, 및 고정식 덮개 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 측의 연관 카운터-램프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한 단부를 포함하는 고리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연관된 카운터-램프에 대한 이동식 검출 부재의 램프의 변위는 이동식 검출 부재의 피봇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동식 보정 부재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단부, 및 고정식 덮개 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연관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한 단부를 포함하는 고리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연관된 카운터-램프에 대한 이동식 보정 부재의 램프의 변위는 이동식 보정 부재의 피봇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베어링 부재는 고정식 덮개 또는 이동식 덮개에 연결되는 단부 및 압착 부재에 연결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어링 부재는, 마모의 경우 고정식 덮개 또는 이동식 덮개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는 단부, 및 압착 부재 상에 고정되거나 베어링 지지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어링 부재는, 마모의 경우 고정식 덮개 또는 이동식 덮개에 고정되는 단부, 및 압착 부재 상에 베어링 지지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러치 또는 클러치 장치는 또한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 제1 압력 플레이트는 반응 플레이트에 대항하여 예를 들어 제1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 복원 탭과 같은 제1 탄성 복원 수단에 의하여 그 클러치 분리 위치를 향해 복원된다.
- 제2 압력 플레이트는 반응 플레이트와는 반대로 예를 들어 제2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 복원 탭과 같은 제2 탄성 복원 수단에 의하여 그 클러치 분리 위치를 향해 복원된다.
- 상기 탄성 탭들은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들의 회전 연결을 보장한다.
- 제1 클러치는 노말 오픈형이다.
- 제2 클러치는 노말 오픈형이다.
- 이중 클러치는 제1 마찰 디스크 및 제2 마찰 디스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 제1 다이어프램은 환형의 탄성 금속 시트의 형태로 존재하고 이동식 덮개의 지지 구역 주위에 진동식으로 설치된다.
- 제2 다이어프램은 환형의 탄성 금속 시트의 형태로 존재하고 이의 방사상 외부 둘레는 고정식 덮개에 대하여 진동식으로 설치된다.
- 탄성 부재는 제2 다이어프램의 방사상 외부 둘레를 고정식 덮개 상에 지지 상태로 유지한다.
- 고정식 덮개는, 제2 압력 플레이트, 제2 마찰 디스크 및/또는 제2 다이어프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환형부에 연결되는, 반응 플레이트 상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방사상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덮개의 환형부는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환형부에 의해 연장된다.
- 고정식 덮개의 방사상 부분에 카운터-램프가 마련된다.
- 이동식 덮개는,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고 제1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에 의해 연장되는, 고정식 덮개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제1 압력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방사상 외측부를 포함한다.
- 상기 이동식 부재들의 램프들과 연관 카운터-램프의 각도는 2°및 30°사이에 포함된다.
- 검출 부재는 상응하는 마모 보정 부재의 방사방향으로 외부에 위치한다.
-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텐션 스프링과 같은 제1 탄성 부재는 한편으로 검출 부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고정식 덮개 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다.
- 예를 들어 핀형 스프링과 같은 제2 탄성 부재는 각각의 검출 부재와 상응하는 보정 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 제1 탄성 부재는 제2 탄성 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접선방향 또는 원주방향 하중보다 큰 접선방향 또는 원주방향 하중을 인가한다.
- 제1 탄성 부재의 길이는, 예를 들어 120°정도의 큰 각도 범위에서 검출 부재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도록 크다.
- 각각의 압착 부재는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 탭의 형태로 존재한다.
- 압착 부재는, 제1 단부에서 고정식 덮개에 고정되고, 제2 단부에서 상응하는 마모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 상에, 예를 들어 제1 이동식 검출 및 보정 부재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어, 카운터-램프 상에 지지되는 램프를 제약한다.
- 압착 부재는, 제1 단부에서 압력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제2 단부에서 상응하는 마모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 상에, 예를 들어 제2 이동식 검출 및 보정 부재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어, 카운터-램프 상에 지지되는 램프를 제약한다.
- 압착 부재는 추가의 부재를 매개로 하여 고정식 덮개 또는 이동식 덮개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 베어링 부재는 상기 탄성 탭의 제2 단부에 고정된다.
- 베어링 부재는, 방사방향으로 상응하는 마모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 사이의 중간에 예컨대 리벳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단부를 포함하고,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는 이들이 방사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한다.
-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는, 정면에서 보아, 상기 이동식 부재들이 방사 방향으로 서로 국소적으로 떨어져 있는 볼록부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의 형태이고, 압착 부재는 상기 구역에서 상기 이동식 부재의 상응하는 단부들 상에 베어링 지지된다.
-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는 축방향으로 제1 다이어프램 또는 제2 다이어프램을 가로지를 수 있다.
-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는 축방향으로 제1 다이어프램 및 이동식 덮개를 가로지를 수 있다.
-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는 축방향으로 제2 다이어프램 및 고정식 덮개를 가로지를 수 있다.
- 축방향 차지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이동식 보정 부재 및 검출 부재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이동식 보정 부재 및 검출 부재의 방사방향으로 외부에 또는 방사방향으로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의 교시에 의하여 보다 잘 이해되고 본 발명의 다른 상세 사항, 특징 및 이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클러치의 정면도이다.
- 도 2는 도 1의 II 라인에 따른 축방향 반단면도이다.
- 도 3은 도 1의 III 라인에 따른 축방향 반단면도이다.
- 도 4 내지 7은, 베어링 부재의 나머지에 대한 너트의 설치를 도시한, 상세한 축방향 단면도이다.
- 도 8 및 9는 이중 클러치의 상세한 사시도이다.
- 도 10 및 11은 마모가 없을 때 제1 클러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 12 내지 15는 마모의 경우 제1 클러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 16 및 17은 마모가 없을 때 제2 클러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 18 내지 21은 마모의 경우 제2 클러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 22 및 23은 본 발명의 실시 변형예를 도시한 상세한 축방향 단면도로서, 각각 너트가 상응하는 지지면에서 떨어져 있고 상기 지지면 상에 지지되어 있다.
-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변형예의 상세한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21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기어박스의 제1 및 제2 입력 샤프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엔진을 커플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중 클러치의 축은 X로 표시된다. 이중 클러치(1)는 기어 시프트가 상이한 (클러치 메커니즘이라고도 일컬어지는) 제1 및 제2 클러치(2a, 2b)를 포함한다.
제1 클러치(2a)는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 반응 플레이트(4)를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제1 마찰 디스크(5a)가 연장된다. 제1 압력 플레이트(3a)는 반응 플레이트(4)에 회전 연결되고 반응 플레이트(4) 상에서 제1 마찰 디스크(5a)를 조이거나 또는 제1 마찰 디스크(5a)를 방출하는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 운동으로 움직인다.
반응 플레이트(4)는 고정식 덮개라 불리는 덮개(6) 상에 고정되고, 이 덮개 자체는 엔진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다. 제1 마찰 디스크(5a)는 기어박스의 제1 입력 샤프트에 거플링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제1 클러치(2a)의 클러치 연결 위치에서, 엔진 샤프트는 기어박스의 제1 입력 샤프트에 커플링된다.
제1 압력 플레이트(3a)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반응 플레이트(4) 및 고정식 덮개(6)에 대하여 병진 운동으로 이동식 덮개(7) 상에 고정된다. 제1 압력 플레이트(3a)와 반응 플레이트(4) 사이에 제1 탄성 복원 탭(8a)이 설치된다.
제1 클러치(2a)는 탄성 환형 금속 시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1 다이어프램(9a)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동식 덮개(7)의 지지부(10)를 중심으로 하여 진동하도록 설치된다.
제1 클러치(2a)의 제어는 전형적으로는 제1 다이어프램(9a)의 방사상 내부 둘레와 협력하는 제1 클러치 베어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1 다이어프램(9a)은 이동식 덮개(7)를 매개로 하여 제1 압력 플레이트(3a)에 제1 클러치 베어링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을 전달하는 레버를 형성한다.
제1 마찰 디스크(3a)를 효과적으로 조일 수 있기 위하여, 제1 다이어프램(9a)은 휴지 상태에서 전부하(preload)를 받는다. 이러한 전부하가 없으면, 제1 다이어프램(9a)은, 휴지 상태에서, 제1 마찰 디스크(3a)에 효율적인 조임 하중을 인가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제1 클러치 베어링의 코스 개시를 필요로 하는 탄성 상태에 있게 된다. 제1 클러치 베어링이 가동될 때, 이것은 상기 제1 마찰 디스크(3a)의 조임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의 전부하와 평형을 이룬다. 제1 다이어프램(9a)의 전부하는, 제1 마찰 디스크(3a)를 조이기 위하여 제1 클러치 베어링이 접근하는 코스를 줄일 수 있게 하고, 예를 들어 제1 클러치 베어링의 볼베어링 상에 그리고 이중 클러치(1)를 지지하는 볼베어링 상에 항상 최소의 전부하 하중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의 수명이 증가하고 이중 클러치(1)의 바이브레이션이 제한된다.
제1 클러치(2a)는 노말 오픈형이다. 따라서, 제1 다이어프램(9a)의 휴지 위치는 제1 클러치(2a)의 클러치 분리 상태에 상응한다. 제1 다이어프램(9a)은 바람직하게는 제1 다이어프램(9a)을 그 휴지 위치를 향해 복원시킬 수 있는 접시 스프링 와셔형의 부분을 구비한다.
제1 다이어프램(9a)의 휴지 위치에서, 즉 제1 베어링이 제1 다이어프램(9a)에 하중을 전혀 또는 거의 인가하지 않을 때, 제1 다이어프램(9a)은 제1 압력 플레이트(3a) 상에 하중을 전혀 (또는 거의) 인가하지 않는다. 제1 압력 플레이트(3a)는 탄성 탭(8a)을 매개로 하여 반응 플레이트(4)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제1 마찰 디스크(5a)를 풀어준다.
제2 클러치(2b)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반응 플레이트(4)와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마찰 디스크(5b)를 포함한다. 이로써, 2개의 클러치(2a, 2b)에 대하여 동일한 반응 플레이트(4)가 사용되고, 각각의 마찰 디스크(5a, 5b)는 반응 플레이트(4)의 두 방사상 지지면들 중 하나의 측부에 배치된다. 제2 압력 플레이트(3b)와 반응 플레이트(4) 사이에 제2 탄성 복원 탭(8b)이 설치된다.
제2 압력 플레이트(3b)는 반응 플레이트(4)에 회전 연결되고 반응 플레이트(4) 상에서 제2 마찰 디스크(5b)를 조이거나 또는 제2 마찰 디스크(5b)를 풀어주는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 운동으로 움직인다.
제2 마찰 디스크(5b)는 기어박스의 제2 입력 샤프트에 커플링된다. 이로써, 제2 클러치(2b)의 클러치 연결 위치에서, 엔진 샤프트는 기어박스의 제2 입력 샤프트에 커플링된다.
제2 클러치(2b)는 탄성 환형 금속 시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2 다이어프램(9b)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것의 방사상 외부 둘레는 고정식 덮개(6)에 대하여 진동식으로 설치된다. 탄성 부재(11)가 제2 다이어프램의 방사상 외부 둘레를 고정식 덮개(6) 상의 지지부(12)에 유지시킨다(도 2).
제2 클러치(2b)의 제어는 전형적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하중 전달 장치를 매개로 하여 제2 다이어프램(9b)의 방사상 내부 둘레와 협력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2 클러치 베어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2 마찰 디스크(5b)를 효율적으로 조일 수 있기 위하여,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압력 플레이트(3b)에 제2 클러치 베어링(20)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을 전달하는 레버를 형성한다.
제2 클러치(2b)도 노말 오픈형이다. 제2 다이어프램(9b)의 휴지 위치에서, 즉 제2 클러치 베어링이 제2 다이어프램(9b)에 하중을 전혀 또는 거의 인가하지 않을 때,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하중을 전혀 (또는 거의) 인가하지 않는다. 제2 압력 플레이트(3b)는 탄성 탭(8b)을 매개로 하여 반응 플레이트(4)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제2 마찰 디스크(3b)를 풀어준다.
고정식 덮개(6)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제2 압력 플레이트(3b), 제2 마찰 디스크(5b) 및/또는 제2 다이어프램(9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환형부(6b)에 연결되는, 반응 플레이트(4)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방사상 클램프(6a)를 포함한다. 상기 환형부(6b)는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환형부(6c)에 의해 연장된다.
한편, 이동식 덮개(7)는,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고 제1 다이어프램(9a)의 지지(10)에 기여하는 부분(7b)에 의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압력 플레이트(3a)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고정식 덮개(6)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방사상 외측부(7a)를 포함한다.
제1 마찰 디스크(5a),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4)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1 클러치(2a)에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이 장착된다.
제1 클러치(2a)에 장착된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축방향으로 고정식 덮개(6)와 제1 다이어프램(9a) 사이에, 더 정확하게는 축방향으로 제1 다이어프램(9a)과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부분(6c) 사이에 삽입된다.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고리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1 이동식 보정 부재(13a)를 포함하며, 이 제1 이동식 보정 부재는, 제1 다이어프램(9a)을 지지할 수 있는 단부, 및 직접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부분(6c)에 마련된 연관 카운터-램프(15a)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4a)를 포함하는 단부를 가진다(도 10 내지 15 참조). 물론, 카운터-램프(15a)는 독립적인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고정식 덮개(6)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도 고리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1 이동식 검출 부재(16a)를 또한 포함하며, 이 제1 이동식 검출 부재는, 제1 다이어프램(9a)을 지지할 수 있는 단부 및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부분(6c)의 카운터-램프(15a)와 협력하고(예컨대 도 6 참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7a)를 포함하는 단부를 가진다(도 10 내지 15 참조).
예컨대,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의 램프(14a, 17a)와 고정식 덮개(6)의 카운터-램프(15a)의 각도는 2°및 30°사이에 포함된다.
상기 2개의 이동식 부재들(13a, 16a)은 동심이고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1 검출 부재(16a)는 방사방향으로 제1 마모 보정 부재(13a)의 외부에 위치한다. 변형예에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의 각각의 위치는 뒤바뀔 수 있다. 그러나, 이동식 부재들(13a, 16a)의 역전의 가능성은 메커니즘의 내부 아키텍쳐와 연관된다.
예컨대 스터드와 같은 센터링 수단은 이동식 부재(13a, 16a)의 양호한 포지셔닝을 보장한다.
예컨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텐션 스프링과 같은 제1 탄성 부재(18a)가 제1 검출 부재(16a)와 고정식 덮개(6) 사이에 설치된다.
예컨대 핀형 스프링과 같은 제2 탄성 부재(19a)는 제1 검출 부재(16a)와 제1 보정 부재(13a)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스프링(18a)의 길이는 큰 각도 범위(예컨대, 120°정도)에서 제1 검출 부재(16a)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도록 크다.
제1 클러치(2a)는 또한 축 방향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 탭의 형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착 부재(20a)를 포함한다. 상기 탭(20a)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호인 일반 형태를 가진다. 상기 탭(20a)은 제1 단부에서 고정식 덮개(6)에 고정되고 제2 단부에서 제1 검출 부재(16a) 상에 및 실질적으로 제1 마모 보정 부재(13a) 상에 지지될 수 있어, 이들을 고정식 덮개(6)의 방사부(6c) 상에 지지되도록 제약한다.
베어링 부재(21a)가 상기 탭(20a)의 제2 단부 상에 고정된다. 베어링 부재(21a)는 특히, 방사방향으로 제1 검출 부재(16a)와 제1 마모 보정 부재(13a)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 사이의 중간에서 예를 들어 리벳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일단부(26a) 및 숄더부(28a)를 형성하는 너트(23a)가 나사 고정되는 골이 파인 제2 단부(27a)(도 4 내지 7)를 포함하는 제1 부분(22a)을 포함한다(도 4). 상기 스터드(21a)는 이동식 덮개의 개공을 가로지르고, 너트(23a)에 의해 형성된 숄더부(28a)는, 이동식 덮개(7)에 마련된 카운터 싱크(24)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상 바닥면 상에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너트(23a)는 제1 환형부(29a) 및 상기 제1 환형부보다 직경이 더 크고 상기 제1 환형부(29a)와 함께 환형 숄더부(28a)를 형성하는 제2 환형부(30a)를 포함하고(도 4 및 8), 상기 너트(23a)의 숄더부를 형성하는 방사상 환형 면(28a)은, 제1 압력 플레이트(3a)의 변위가 클 때, 즉, 제1 마찰 디스크(5a)의 라이닝 및/또는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클 때 카운터싱크(24)의 바닥면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너트의 제2 환형부(30a)는 클램핑 도구의 톱니와 협력할 수 있는 노치(31a)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중 클러치(1)의 설치 동안, 상기 너트(23a)는 베어링 부재(21a)의 제1 부분(22a)의 골이 파인 단부(27a)에 맞물리고(도 4 내지 6), 이어서 상기 탭(20a)에 고정되는 제1 부분(22a)의 단부(26a)와 숄더부(28a)의 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가 너트(23a)의 회전에 의해 원하는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좋은 거리가 수득되면, 상기 제1 부분(22a) 및 너트(23a)의 나사홈 및 나사산의 단부들이 도구 또는 펀치(32)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어, 너트를 끼워지고 임의의 우발적인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도 7).
물론, 너트(23a)는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고정제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자동 잠금 너트를 사용함으로써 제1 환형부(29a) 상에서 부동화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는, 너트(23a)가 홈이 파인 단부(27a) 상에서 완전히 나사 고정될 때 원하는 조정을 실현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기계 가공에 의하여 숄더부(28a)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0 내지 15를 참조하여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제1 마찰 디스크(5a)의 라이닝이 전혀 또는 거의 마모되지 않은 경우 및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 연관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가 마모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축적된 축방향 마모가 0.05 mm 미만인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그리고 마모가 없을 때, 제1 다이어프램(9a)은 제1 보정 부재(13a) 상에 지지되어, 탄성 복원 탭(8a)에 대항하여 제1 압력 플레이트(3a)를 다시 밀어낸다. 따라서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 상응하는 반응 플레이트(4)(축방향으로 고정됨)는 라이닝을 갖는 제1 마찰 디스크(5a)를 조인다. 이 위치에서, 숄더부(28a)는 이동식 덮개(7)의 카운터 싱크(24)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에 이른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 그리고 마모가 없을 때, 제1 다이어프램(9a)은 제1 검출 부재(16a) 상에 지지되고, 제1 다이어프램(9a)과 제1 보정 부재(13a)의 상응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이렇게, 현저한 마모가 없는 경우, 탄성 탭(20a)의 제2 단부 및/또는 제1 다이어프램(9a)은, 제1 클러치(2a)의 작동 단계(클러치 연결/클러치 분리)가 무엇이든, 제1 검출 부재(16a) 및 제1 보정 부재(13a)를 고정식 덮개(6) 상에 지지하여 유지한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 경우, 상기 부재들(13a, 16a)과 고정식 덮개(6)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 토크는 스프링(18a, 19a)에 의해 발휘되는 토크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부재들(13a, 16a)은, 제1 클러치(2a)의 작동 단계가 무엇이든, 고정식 덮개(6)에 대한 회전이 부동화된다.
도 12 내지 15는 제1 마찰 디스크(5a)의 라이닝이 (또는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가) 크게 마모되어 제1 클러치(2a)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21a)의 숄더부(28a)는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이동식 덮개(7)의 카운터 싱크(24)의 바닥면 상에 지지되어, 탄성 탭(20a)의 제2 단부가 제1 검출 부재(16a)의 상응하는 제2 단부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제1 검출 부재(16a)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탭(20a)의 제2 단부 사이에 간극(j1)이 형성된다.
이로써, 제1 압착 부재(20a)가 제1 검출 부재(16b)의 상응하는 제2 단부 상에 지지되더라도, 특히 제1 마모 보정 부재(13a)의 상응하는 제2 단부와 제1 압착 부재(20a) 사이의 축방향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제1 검출 부재(16a)의 단부와 제1 검출 부재(16a)의 제2 단부가 혼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보정 부재(13a)의 단부와 제1 보정 부재(13a)의 제2 단부가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축방향 하중을 더 이상 받지 않는 제1 검출 부재(16a)는, 제1 탄성 부재(18a)에 의해 회전 연동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간극(j1)을 메운다(도 13). 이 회전 동안, 제2 탄성 부재(19a)는 제약을 받는다.
제1 검출 부재(16a)의 회전은, 예를 들어 제1 검출 부재(16a)의 상응하는 제2 단부가 다시 상기 탭(20a)의 제2 구역 상에 베어링 지지될 때, 정지된다. 이 단계 동안, 제1 보정 부재(13a)는 제1 다이어프램(9a)에 의해 고정식 덮개(6) 상에 지지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부재는 고정식 덮개(6)에 대하여 회전이 부동화된다.
이어지는 클러치 분리 단계 동안, 제1 다이어프램(9a)은 제1 보정 부재(13a)로부터 제1 검출 부재(16a)로 그 지지를 이전한다. 도 14 및 15는 이러한 이전 동안 이들 요소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클러치 분리 동안, 제1 압력 플레이트(3a)는 상응하는 복원 탭(8a)을 매개로 하여 반응 플레이트(4)로부터 떨어져, 제1 마찰 디스크(5a)를 방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이어프램(9a)이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 있을 때, 이것은 제1 보정 부재(13a)를 완전히 방출한다. 이 위치에서, 제1 검출 부재(16a)는 제1 다이어프램(9a) 상에 그리고 고정식 덮개(6) 상에 지지됨으로써 회전이 고정되어 유지된다. 한편, 베어링 부재(21a)의 숄더부(28a)는 이동식 덮개(7)의 카운터 싱크(24)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이동식 탭(20a)의 제2 단부는 제1 보정 부재(13a)의 상응하는 제2 단부에 대하여 간극(j2) 만큼 떨어진다.
따라서, 제2 탄성 부재(19a)에 의해 구속되는 제1 보정 부재(13a)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연동되어, 상기 제1 보정 부재(13a)와 상기 탭(20a) 사이의 간극(j2)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메운다.
고정식 덮개(6)에 대한 제1 보정 부재(13a) 및 제1 검출 부재(16a)의 피봇은, 램프(14a, 17a) 및 카운터-램프(15a)를 매개로 하여, 상기 부재들(13a, 16a) 상의 제1 다이어프램(9a)의 지지 구역과 고정식 덮개(6)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제1 마찰 디스크(5a)의 라이닝의 마모 및/또는 제1 압력 플레이트(3a)와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점진적으로 보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제1 다이어프램(9a)의 작동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일정한 전부하 하중이 유지되고 기계적 응력이 감소된다.
제2 마찰 디스크(5b),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4)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2 클러치(2b)에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이 장착된다.
제2 클러치(2b)에 장착되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축방향으로 제2 다이어프램(9b)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삽입된다.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고리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2 이동식 보정 부재(13b)를 포함하며, 이 제2 이동식 보정 부재는, 제2 다이어프램(9b)이 베어링 지지될 수 있는 단부, 및 직접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마련된 연관 카운터-램프(15b)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4b)를 포함하는 단부를 포함한다(도 16 내지 21).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또한 고리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2 이동식 검출 부재(16b)를 포함하며, 이 제2 이동식 검출 부재는, 제2 다이어프램(9b)이 베어링 지지될 수 있는 단부, 및 제2 압력 플레이트(3b)의 카운터-램프(15b)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7b)를 포함하는 단부를 포함한다.
예로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b, 16b)의 램프(14b, 17b)와 제2 압력 플레이트(3b)의 카운터-램프(15b)의 각도는 2°및 30°사이에 포함된다.
상기 2개의 이동식 부재들(13b, 17b)은 동심이고 예를 들어 센터링 스터드 및 이격 스터드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2 이동식 검출 부재(16b)는 방사방향으로 상응하는 제2 이동식 보정 부재(13b)의 외부에 위치한다. 변형예에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b, 16b)의 각각의 위치는 뒤바뀔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텐션 스프링(18b)이 제2 검출 부재(16b)와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핀형 스프링과 같은 제2 스프링(19b)이 제2 검출 부재(16b)와 제2 보정 부재(13b)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스프링(18b)의 길이는 큰 각도 범위(예를 들어, 120°정도)에서 제2 검출 부재(16b)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도록 크다.
제2 클러치(2b)는 또한 축 방향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 탭의 형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착 부재(20b)를 포함한다. 상기 탭(20b)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원주방향 길이 및 두께가 압착 부재(20b)의 축방향 강성을 규정한다. 변형예에서, 압착 부재(20b)는 압력 플레이트(3b)와의 고정 구역을 둘 포함할 수 있고, 이 두 고정 구역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상기 탭(20b)은 제1 단부에서 압력 플레이트(3b)에 고정되고 제2 단부에서 제2 검출 부재(16b)의 상응하는 제2 단부 상에 및 실질적으로 제2 마모 보정 부재(13b) 상에 지지되어, 이것을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지지되도록 제약한다. 이로써, 제2 압착 부재(20b)가 제2 검출 부재(16b)의 상응하는 제2 단부 상에 지지되더라도, 특히 제2 마모 보정 부재(13b)의 상응하는 제2 단부와 제2 압착 부재(20b) 사이의 축방향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21b)는 상기 탭(20b)의 제2 단부 상에 고정된다. 베어링 부재(21b)는 특히, 방사방향으로 제1 검출 부재(16b)와 제1 마모 보정 부재(13b)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b, 16b) 사이의 중간에서 예를 들어 리벳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일단부(26b) 및 숄더부(28b)를 형성하는 너트(23b)가 나사 고정되는 골이 파인 제2 단부(27b)를 포함하는 제2 부분(22b)를 포함한다. 상기 스터드(21b)는 고정식 덮개(6)의 개공을 가로지르고, 너트(23b)에 의해 형성된 숄더부(28b)는, 직접 고정식 덮개(6)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덮개(6)에 고정되는 요소에 의해 형성된,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면(6c) 위에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너트(23b)는 제1 환형부(29b)(도 9) 및 상기 제1 환형부보다 직경이 더 크고 상기 제1 환형부(29b)와 함께 환형 숄더부(28b)를 형성하는 제2 환형부(30b)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23b)의 숄더부(28b)를 형성하는 방사상 환형 면은, 제2 압력 플레이트(3b)의 변위가 클 때, 즉, 제2 마찰 디스크(5b)의 라이닝 및/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클 때 상응하는 방사상 면(6c)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앞에서와 같이, 이중 클러치의 설치 동안, 상기 너트(23b)는 베어링 부재(21b)의 제1 부분(22b)의 골이 파인 단부(27b)에 맞물리고, 이어서 상기 탭(20b)에 고정되는 제1 부분(22b)의 단부와 숄더부(28b)의 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가 너트(23b)의 회전에 의해 원하는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좋은 거리가 수득되면, 상기 제1 부분(22b) 및 너트(23b)의 나사산 및 나사홈의 단부들이 도구 또는 펀치(32)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어, 너트(23b)를 끼워지고 임의의 우발적인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제, 도 14 내지 21을 참조하여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및 17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제2 마찰 디스크(5b)의 라이닝이 전혀 또는 거의 마모되지 않은 경우 및 연관된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가 마모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축적된 축방향 마모가 0.05 mm 미만인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그리고 마모가 없을 때,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보정 부재(13b) 상에 베어링 지지되어, 탄성 복원 탭(8b)에 대항하여 제2 압력 플레이트(3b)를 다시 밀어낸다. 따라서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상응하는 반응 플레이트(4)(축방향으로 고정됨)는 라이닝을 갖는 제2 마찰 디스크(5b)를 조인다. 이 위치에서, 베어링 부재(21b)의 환형 숄더부(28b)는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면과 같은 높이에 이른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 그리고 마모가 없을 때,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검출 부재(16b) 상에 베어링 지지되고, 제2 다이어프램(9b)과 제2 보정 부재(13b)의 상응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이렇게, 현저한 마모가 없는 경우, 탄성 탭(20b)의 제2 단부 및/또는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클러치(2b)의 작동 단계(클러치 연결/클러치 분리)가 무엇이든, 제2 검출 부재(16b) 및 제2 보정 부재(13b)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지지하여 유지한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 경우, 상기 부재들(13b, 16b)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 토크는 스프링(18b, 19b)에 의해 인가되는 토크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부재들(13b, 16b)은, 제2 클러치(2b)의 작동 단계가 무엇이든, 제2 압력 플레이트(3b) 대한 회전이 부동화된다.
도 18 내지 21은 제2 마찰 디스크(5b)의 라이닝이 (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가) 크게 마모되어 제2 클러치(2b)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21b)의 숄더부(28b)는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면에 베어링 지지되어, 탄성 탭(20b)의 제2 단부가 제2 검출 부재(16b)의 상응하는 제2 단부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제2 검출 부재(16b)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탭(20b)의 제2 단부 사이에 간극(j'1)이 형성된다.
어떤 경우에는 제2 검출 부재(16b)의 단부와 제2 검출 부재(16b)의 제2 단부가 혼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보정 부재(13b)의 단부와 제2 보정 부재(13a)의 제2 단부가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축방향 하중을 더 이상 받지 않는 제2 검출 부재(16b)는, 제1 탄성 부재(18b)에 의해 회전 연동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간극(j'1)을 메운다(도 19). 이 회전 동안, 제2 탄성 부재(19b)는 제약을 받는다.
제2 검출 부재(16b)의 회전은, 예를 들어 제2 검출 부재(16b)의 상응하는 제2 단부가 다시 상기 탭(20b)의 제2 단부 상에 베어링 지지될 때, 정지된다. 이 단계 동안, 제2 보정 부재(13b)는 제2 다이어프램(9b)에 의해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지지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부재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에 대한 회전이 부동화된다.
이어지는 클러치 분리 단계 동안,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보정 부재(13b)로부터 제2 검출 부재(16a)로 그 지지를 이전한다. 도 20 및 21은 이러한 이전 동안 이들 요소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클러치 분리 동안, 제2 압력 플레이트(3b)는 상응하는 복원 탭(8b)을 매개로 하여 반응 플레이트(4)로부터 떨어져, 제2 마찰 디스크(5b)를 방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다이어프램(9b)은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 제2 보정 부재(13b)를 완전히 방출한다. 이 위치에서, 제2 검출 부재(16b)는 제2 다이어프램(9b) 상에 그리고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지지됨으로써 회전이 고정되어 유지된다. 한편, 베어링 부재(21b)의 숄더부(28b)는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이동식 탭(20b)의 제2 단부는 제2 보정 부재(13b)의 상응하는 제2 단부에 대하여 간극(j'2) 만큼 떨어진다.
따라서, 제2 탄성 부재(19b)에 의해 구속되는 제2 보정 부재(13b)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연동되어, 상기 제2 보정 부재(13b)와 상기 탭(20b) 사이의 간극(j'2)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메운다.
제2 압력 플레이트(3b)에 대한 제2 보정 부재(13b)와 제2 검출 부재(16b)의 피봇은, 램프(14b, 17b) 및 카운터-램프(15b)를 매개로 하여, 상기 부재들(13b, 16b) 상의 제2 다이어프램(9b)의 지지 구역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제2 마찰 디스크(5b)의 라이닝의 마모 및/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와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점진적으로 보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제2 다이어프램(9b)의 작동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일정한 전부하 하중이 유지되고 기계적 응력이 감소된다.
도 22 및 23은, 제1 클러치에 관한 카운터싱크(24)의 바닥면과 숄더부(28a)가 각각 둥그스름한 형태를 갖거나 또는 구체 부분을 가져 볼 링크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상이한 실시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볼 링크는 실질적인 정렬 결함을 보상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또한 제2 클러치에 관한 덮개(6)의 상응하는 지지면과 숄더부(28b)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4는, 베어링 부재의 제1 부분(22a)이, 상기 탭(20a)의 양측에 배치되는 칼라(33)와 확대된 헤드(34)를 구비한 일단부(26a)를 포함하는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탭(20a)에 상기 단부(26a)가 고정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상이한 다른 실시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베어링 부재(21a)의 제2 부분은 제1 부분(22a)의 다른 단부(27a) 상에 끼워진 부재(35)에 의하여 형성되어, 설치 후에는 특히 상기 제1 부분(22a) 상에서, 상기 부재(35)의 축방향 위치를 조절 또는 조정할 수 있다.
와이어(22a)는 변형가능할 수 있고, 연신되었을 때 상기 와이어(22a)의 길이는 와이어(22a)의 단부(26a) 및 이동식 덮개(7)의 지지면(24)과 끼워진 부재(35)의 지지면 사이의 원하는 거리에 따른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또한 제2 클러치(2b)의 베어링 부재(21b)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들 각각에서, 베어링 스터드(21a, 21b)는 상기 탭(20a)에 고정되는 단부(26a, 26b)와 숄더부(28a, 28b)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절 수단은 레퍼런스의 역할을 하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요소(6, 7)에 대한 상기 이동식 검출 및 보정 부재들(13a, 13b, 16a, 16b)의 양호한 위치설정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탄성 탭(8a, 8b)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 플레이트(3a, 3b)의 복원 수단은 큰 하중을 발휘할 수 있고, 이 하중은, 상응하는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에 의해, 이어서 상응하는 다이어프램(9a, 9b) 또는 상응하는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에 의해, 이어서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의 위치에 따라 상응하는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해 인계된다. 실제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3b, 16a, 16b)은 그 변위 동안 압력 플레이트(3a, 3b)의 복원 수단(8a, 8b)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을 받지 않으므로, 마모의 경우 스프링(18a, 18b, 19a, 19b)의 도움으로 용이하게 그 변위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이 큰 스프링 탭(8a, 8b)과 같은, 큰 하중을 발휘하는 압력 플레이트(3a, 3b)의 복원 수단(8a, 8b)이 배치되므로, 축방향 바이브레이션의 전달을 제한할 수 있고 펌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착 부재를 형성하는 탭(20a, 20b)은 각각 고정식 덮개(6) 및 압력 플레이트(3b)에 고정되므로 작동시 클러치 연결 및 클러치 분리 사이클로 인한 피로 현상을 겪지 않는다.
한편으로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제1 다이어프램(9a)과 고정식 덮개(6) 사이에 위치설정하고,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제2 다이어프램(9b)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위치설정하는 것은, 이중 클러치(1)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이것의 방사상 차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작동시 변형을 적게 받는 부재들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수단의 작동을 더 잘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동식 부재들(13a, 13b, 16a, 16b)의 위치가 더 잘 제어된다.
한편,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각각의 베어링 부재(21a, 21b)가 상응하는 탭(20a, 20b)의 제2 단부에 연결되므로, 이 제2 단부의 변형을 최대로 감소시킬 수 있어, 상이한 이동식 요소들(13a, 13b, 16a, 16b)의 축방향 위치를 최선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마모의 보정도 최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마모 과잉 보상 또는 과소 보상이 방지되거나 제한된다.
본 발명은 또한 노말 클로즈드형 클러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 회전축(X) 주위에서, 구동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도록 설계된 반응 플레이트(4),
    - 피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마찰 디스크(5a, 5b),
    - 상기 반응 플레이트(4) 상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5a, 5b)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식 부품(7)을 매개로 하여,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하여 가동되는 압력 플레이트(3a, 3b),
    - 상기 다이어프램(9a, 9b)과 상기 반응 플레이트(4)에 대하여 고정된 부품(6), 예를 들어 고정식 덮개(6) 사이에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9a, 9b)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보정 수단(13a, 13b)으로서, 상기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해 방출될 때 소정 범위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13a, 13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부품(6)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는 램프(14a, 14b)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어프램(9a, 9b)과 상기 고정식 부품(6)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9a, 9b)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상기 마모 보정 수단(13a, 13b),
    마모의 경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의 변위를 허용할 수 있고 상기 마모가 불충분한 때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16a, 16b)으로서,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16a, 16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부품(6)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3b)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는 램프(17a, 17b)를 포함하는 상기 마모 검출 수단(16a, 16b),
    적어도 상기 검출 부재(16a, 16b)의 램프(17a, 17b)를 연관된 카운터-램프(15a, 15b)에 대하여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 부재(20a, 20b)로서,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검출 부재(16a, 16b)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고정식 스토퍼와 협력할 수 있는 상기 압착 부재(20a, 20b)
    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로서,
    베어링 부재(21a, 21b)를 포함하고, 이 베어링 부재는, 적어도 상기 압착 부재(20a, 20b)에 연결되는 제1 부분(22a, 22b, 26a, 26b) 및 클러치 장치의 고정식 부품(6) 또는 이동식 부품(7)의 지지 구역(24, 6c)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제2 부분(23a, 23b, 28a, 28b)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반대를 포함하여, 마모의 경우 상기 검출 부재(16a, 16b) 및/또는 상기 보정 부재(13a, 13b)로부터 상기 압착 부재(20a, 20b)를 떼어 놓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제1 부분(22a, 22b, 26a, 26b) 및 상기 제2 부분(23a, 23b, 28a, 28b) 사이의 거리의 조절 수단(23a, 27a, 23b, 27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의 제2 부분은 너트(23a, 23b)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22a, 22b)은 상기 너트(23a, 23b)와 협력하는 골이 파인 구역(27a, 27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역(24, 6c)은 평면이고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의 제2 부분(23a, 23b, 28a, 28b)은, 상응하는 평면 지지 구역(24, 6c)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된 방사상 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역(24, 6c) 및/또는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의 상기 제2 부분(23a, 23b, 28a, 28b)은, 상기 지지 구역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볼 링크를 형성하도록 둥근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의 제2 부분은 상기 베어링 부재(21a)의 제1 부분(22a)에 크림핑에 의해 고정되는 요소(3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22a)은 변형가능한 와이어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는, 방사방향으로 상기 검출 부재(16a, 16b)와 상기 보정 부재(13a, 13b)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상기 압착 부재(20a, 20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 및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는 동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원형인 상기 검출 부재(16a, 16b) 및 상기 보정 부재(13a, 13b)는,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3b, 16a, 16b)이 방사 방향으로 서로 국소적으로 떨어져 있는 볼록부가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25)을 포함하고, 상기 압착 부재(20a, 20b)는 상기 볼록부가 제공되어 있는 구역(25)에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3b, 16a, 16b)의 상응하는 단부 상에 베어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탭(20a, 20b)을 포함하고 이것의 일단부는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 상에 또는 상응하는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20a, 20b)는 상기 고정식 부품(6)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3b)와의 고정 구역을 2 이상 포함하고, 상기 고정 구역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 장치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1)로서,
    상기 이중 클러치는
    - 구동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4),
    - 각각 제1 및 제2 피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5a, 5b),
    - 상기 반응 플레이트(4)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5a, 5b)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각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하여 가동되는 제1 및 제2 압력 플레이트(3a, 3b) ― 상기 제1 압력 플레이트(3a)는 상기 반응 플레이트(4)에 대하여 병진 운동으로 이동식 덮개(7)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덮개(7) 상에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이 지지됨으로써 가동됨 ―,
    - 반응 플레이트(4)에 고정되고 제2 압력 플레이트(3b), 제2 마찰 디스크(5b) 및/또는 제2 다이어프램(9b)을 수용하는 고정식 덮개(6),
    - 제1 마찰 디스크(5a)의 마모를 보정할 수 있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으로서,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과 상기 고정식 덮개(6)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
    - 제2 마찰 디스크(5b)의 마모를 보정할 수 있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으로서, 상기 제2 다이어프램(9b)과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과 상기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각각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과 상기 고정식 덮개(6) 사이에 또는 상기 제2 다이어프램(9b)과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보정 수단(13a, 13b)으로서, 소정 범위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13a, 13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덮개(6) 또는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3b)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는 램프(14a, 14b)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과 상기 고정식 덮개(6)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제2 다이어프램(9b)과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카운터-램프(15a)에 대한 상기 램프(14a, 14b)의 위치에 따라 상응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상기 마모 보정 수단(13a, 13b),
    마모의 경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의 변위를 허용할 수 있고 상기 마모가 불충분한 때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16a, 16b)으로서,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16a, 16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덮개(6) 또는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3b)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는 램프(17a, 17b)를 포함하는 상기 마모 검출 수단(16a, 16b),
    적어도 상기 검출 부재(16a, 16b)의 램프(17a, 17b)를 연관된 카운터-램프(15a, 15b)에 대하여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 부재(20a, 20b)로서,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검출 부재(16a, 16b)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고정식 스토퍼(21a, 21b)와 협력할 수 있는 압착 부재(20a, 20b)
    를 포함하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는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가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에 의하여 또는 상기 제2 다이어프램(9b)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도록 구동되고,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는,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가 상기 압착 부재(20a, 20b)에 의하여 그리고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 또는 상기 제2 다이어프램(9b)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어 그 자신과 상기 압착 부재(20a, 20b) 사이의 간극(j1, j'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도록 구동되며,
    베어링 부재(21a, 21b)가 적어도 상기 압착 부재들(20a, 20b) 중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는 마모의 경우 상기 압착 부재(20a, 20b)를 상기 검출 부재(16a, 16b) 및/또는 상기 보정 부재(13a, 13b)로부터 떼어 놓도록 설계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는 상기 압착 부재(20a, 20b)에 연결되는 제1 부분(22a, 22b, 26a, 26b) 및 클러치 장치(1)의 고정식 부품(6) 또는 이동식 부품(7)의 지지 구역(24, 6c)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제2 부분(23a, 23b, 28a, 28b)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반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는 상기 제1 부분(22a, 22b, 26a, 26b)과 상기 제2 부분(23a, 23b, 28a, 28b) 사이의 거리의 조절 수단(23a, 27a, 23b, 27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클러치(1).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의 제1 부분(22a, 22b)은 상기 압착 부재(20a, 20b)에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의 제2 부분(23a, 23b)은 상기 고정식 덮개(6) 또는 상기 이동식 덮개(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클러치(1).
KR1020170050914A 2016-04-21 2017-04-20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KR102303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3545A FR3050492B1 (fr) 2016-04-21 2016-04-21 Dispositif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1653545 2016-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70A true KR20170121070A (ko) 2017-11-01
KR102303512B1 KR102303512B1 (ko) 2021-09-23

Family

ID=5685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914A KR102303512B1 (ko) 2016-04-21 2017-04-20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236097B1 (ko)
KR (1) KR102303512B1 (ko)
CN (1) CN107304790B (ko)
FR (1) FR3050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4864B1 (fr) * 2017-12-11 2019-11-08 Valeo Embrayages Organe de rattrapage d'usure pour un mecanisme d'embrayage
DE102018100213A1 (de) * 2018-01-08 2019-07-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achstelleinrichtung für eine für eine Reibungskupplung
FR3080658A1 (fr) * 2018-04-26 2019-11-01 Valeo Embrayages Couvercle d'embrayage destine a un double embraya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2446A1 (fr) * 1996-09-17 1998-03-26 Valeo Embrayage a fri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EP0926374A1 (fr) * 1997-12-23 1999-06-30 Valeo Embrayage à friction à dispositif de rattrapage d usure,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2780119A1 (fr) * 1998-06-18 1999-12-24 Mannesmann Sachs Ag Groupe structurel a plaque de pression
DE10016189B4 (de) * 2000-03-31 2006-02-23 Daimlerchrysler Ag Doppelkupplung für ein Zahnräderwechsel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1018592A1 (de) * 2010-05-25 2011-12-0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eibungskupplung mit weggesteuerter Verschleißkompensation und Verfahren zu deren Montage
EP2682626B1 (de) * 2012-07-02 2015-05-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achstelleinricht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und entsprechende Reibungs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38451C2 (ru) * 1992-03-10 2004-10-20 Лук Ламеллен унд Купплюнгсбау ГмбХ Фрикционная муфта и устройство сцепления
KR100326408B1 (ko) 1992-12-22 2002-10-31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마찰클러치
DE19910858B4 (de) 1998-06-18 2010-09-23 Zf Sachs Ag Druckplattenbaugruppe
DE19922724A1 (de) 1999-05-18 2000-11-23 Mannesmann Sachs Ag Druckplattenbaugruppe
US6533094B2 (en) * 1999-12-09 2003-03-18 Exedy Corporation Clutch cover assembly
DE10032668B4 (de) 2000-07-05 2005-07-07 Daimlerchrysler Ag Reibscheiben-Kupplung mit einer Nachstelleinrichtung zum Ausgleich von Reibflächen-Verschleiß
DE10035491B4 (de) 2000-07-21 2012-06-21 Zf Sachs Ag Druckplattenbaugruppe
DE102008042988A1 (de) 2007-11-21 2009-05-28 Zf Friedrichshafen Ag Druckplattenbaugruppe
DE102009000705A1 (de) 2009-02-09 2010-08-12 Zf Friedrichshafen Ag Druckplattenbaugruppe für eine Reibungskupplung
JP4962996B2 (ja) * 2010-07-06 2012-06-27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FR3000152B1 (fr) * 2012-12-20 2015-01-16 Valeo Embrayages 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09592B1 (fr) 2013-08-08 2015-07-31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2446A1 (fr) * 1996-09-17 1998-03-26 Valeo Embrayage a fri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EP0926374A1 (fr) * 1997-12-23 1999-06-30 Valeo Embrayage à friction à dispositif de rattrapage d usure,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2780119A1 (fr) * 1998-06-18 1999-12-24 Mannesmann Sachs Ag Groupe structurel a plaque de pression
DE10016189B4 (de) * 2000-03-31 2006-02-23 Daimlerchrysler Ag Doppelkupplung für ein Zahnräderwechsel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1018592A1 (de) * 2010-05-25 2011-12-0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eibungskupplung mit weggesteuerter Verschleißkompensation und Verfahren zu deren Montage
EP2682626B1 (de) * 2012-07-02 2015-05-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achstelleinricht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und entsprechende Reibungs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04790B (zh) 2020-07-21
KR102303512B1 (ko) 2021-09-23
FR3050492A1 (fr) 2017-10-27
EP3236097B1 (fr) 2018-09-26
EP3236097A1 (fr) 2017-10-25
FR3050492B1 (fr) 2018-04-27
CN107304790A (zh)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998B1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장치
US7063195B2 (en) Dual clutch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powertrain
JP5444153B2 (ja) クラッチ装置
KR20170121070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JPH0327768B2 (ko)
JPH07238953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US20030164274A1 (en) Multi-clutch arrangement
US9133890B2 (en) Friction clutch with adjusting device
KR20140104432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US5568852A (en) Clutch cover assembly having clutch disk wear compensation means
US7264100B2 (en) Dual-clutch assembly
US6264019B1 (en) Clutch cover assembly
EP0795695B1 (en) Clutch cover assembly with a wear compensation mechanism
US5509518A (en) Diaphragm clutch assembly with wear compensator
KR20170061612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US9151338B2 (en) Friction clutch with readjustment device
KR20170061613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US5373927A (en) Clutch release assembly
KR20200014839A (ko) 마모 보상부를 갖는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20140115323A (ko) 커플링 장치
KR20170099774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
JP6173319B2 (ja) クラッチ装置
KR20170099775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
EP0724692B1 (en) Diaphragm clutch assembly with wear compensator
US20040245063A1 (en) Pressure plate assembly for a friction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