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495A - 작업물을 위한 지지면 위에 위치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물을 위한 지지면 위에 위치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495A
KR20170120495A KR1020170032224A KR20170032224A KR20170120495A KR 20170120495 A KR20170120495 A KR 20170120495A KR 1020170032224 A KR1020170032224 A KR 1020170032224A KR 20170032224 A KR20170032224 A KR 20170032224A KR 20170120495 A KR20170120495 A KR 20170120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support
lamp
ramp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567B1 (ko
Inventor
페너 알렉산더
하데르 야콥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7012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2Indicators for positioning work, e.g. with graduated sca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9/00Incorporations or adaptations of l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물을 위한 지지면(17) 상에 위치 마크(16)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이 마킹 장치는 마킹 램프(4)를 선회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3), 광 마크를 형성하기 위한 마킹 램프(4) 및 구동 장치(3)의 회전 운동을 마킹 램프(4)의 선회 운동으로 바꾸기 위한 기어 박스(5)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17) 상 위치 마크(16)의 운동은 선형적으로 다르게 상기 구동 장치(3)의 회전 운동의 회전 각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동 장치(3)가 기어 박스(5)에 의해 마킹 램프(4)에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물을 위한 지지면 위에 위치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 장치{MARKING DEVICE FOR SETTING A POSITION MARK ON THE SUPPORTING SURFACE FOR A WORKPIECE}
본 발명은 마킹 장치, 마킹 장치를 포함하는 재봉틀 및 마킹 장치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킹 장치들은 DE 10 2007 019 944 A1, DE 10 2007 019 945 A1, DE 10 2007 020 161 A1, DE 10 2007 041 085 A1, JP 10 2008 188 148 A, JP 2002 336 568 A, JP 09 024 172 A, US 3,766,870 및 US 2013/0139739 A1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작업물을 지지하기 위한 평면 위에 위치 마크를 설정하는 것을 개선하고 이런 설정을 간단하게 하는 마킹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는 제 1 항에 따른 마킹 장치를 이용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장치의 회전 운동을 마킹 램프의 선회 운동으로 바꾸기 위한 기어 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마킹 램프의 운동은 10%이하, 특히 8%이하, 특히 4%이하, 특히 1%이하만큼 선형적으로 다르게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 운동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동 장치가 기어 박스에 의해 마킹 램프와 작동적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배치는, 특히 2개의 삼각 함수 성분이 거의 완전하게 꺼내지도록, 이루어지므로, 그 결과 상기 위치 마크의 운동 중 선형 성분이 남는다. 위치 마크 내지 램프 마크의 운동과 구동 장치의 회전 운동 사이의 관계가 거의 선형에 가깝다. 이는, 작은 각도에 가까워지는 것이 무산되는, 즉 각도의 싸인 또는 탄젠트가 라디안적으로 더 이상 상기 각도 자체로 대체될 수 없는 선회 각도에도 적용된다.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 운동의 회전 각도의 10%이하 편차로, 구동 장치가 선회할 때 위치 마크가 지나가는 지지면, 즉 경로 위에서 위치 마크의 운동의 선형 의존성은 특히 10°이상의 회전각에서도 적용되고 마킹 램프의 선회 각도에서 10°이상의 선회각에서도 및 특히 15°이상, 20°이상, 25°이상 또는 30°이상의 각도에서도 적용된다. 램프 마크의 운동과 구동 장치의 회전 운동 간 관계가 선형이기 때문에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 운동의 주어진 위치 결정도와 함께 유리하게 높은 위치 결정도는 위치 마크의 장소를 설정할 때에도 달성될 수 있다. 지지면 위에 램프 마크가 경사져 입사하면 기어 변화는, 상기 구동 장치의 주어진 회전각이 지지면 위에 램프 마크가 입사하는 각도의 변경을 단지 작게 야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반해, 상기 지지면 위에 램프 마크가 경사지게 입사할 경우 그리고 특히 실제로 수직으로 입사할 경우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 운동이 동일한 상황에서도 마킹 램프의 선회각을 더 크게 변경시킨다. 선형 편차가 작기 때문에 이용자에 의한 위치 마크 내지 램프 마크의 교정이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위치 마크 내지 램프 마크의 목표 위치와 실제 위치 간 변위 크기를 보정하기 위해, 변위 버튼을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보정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구동 장치가 동기 모터, 특히 스텝 모터, 예를 들어 반스텝 모터로서 실시되는 것이 장점이다.
마킹 램프가 레이저로서 실시되는 것이 장점이다.
작업물이 재봉물인 경우, 재봉틀 내에 상기 마킹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장점이다.
제 2 항에 따른 마킹 장치의 경우에 구조적으로 간단한 기어 박스가 제공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 장치의 회전 운동과 마킹 램프의 선회 운동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커플링 엘리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엘리먼트는 조인트-슬라이딩 아암으로서 실시되어 있는 것이 장점이다. 유리한 실시예로서 상기 슬라이딩 아암이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커플링 엘리먼트가 마킹 램프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곳에서, 마킹 램프의 캐리어가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실시가 이루어지면, 상기 기어 박스에서 운동학적 중복이 회피된다.
제 3 항에 따른 마킹 장치의 경우에 마킹 램프에 대한 구조적으로 유리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영역을 통해 기어 박스의 운동학적 중복이 회피된다. 상기 마킹 램프의 가이드 영역에서 상기 기어 박스의 한 영역 또는 요소가 선형으로 유도되는 것이 장점이다.
제 4 항에 따른 마킹 장치는 상기 구동 장치와 마킹 램프 간 구조적으로 유리한 결합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커플링 엘리먼트는 자기의 한 단부를 이용해 구동 유닛의 구동 샤프트와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자기의 반대편 단부를 이용해 상기 마킹 램프의 가이드 영역에서 운동하게, 특히 선형으로 운동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 엘리먼트의 단부가 마킹 램프의 가이드 영역에서 선형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장점이다.
제 5 항에 따른 마킹 장치는 구조적으로 유리한 커플링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돌출-가이드 부분은 회전하면서 커플링 엘리먼트에 그리고 마킹 램프의 가이드 영역에 미끄럼 마찰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제 6 항에 따른 마킹 장치의 경우에 지지면 위에 위치 마크의 특히 정확한 설정이 보장된다.
제 7 항에 따른 마킹 장치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 위치로부터 및/또는 마킹하려는 위치로 특히 유리한 입력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입력 모듈은 터치-동작을 갖는다. 그러므로 특히 유리한 입력이 보장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입력 모듈은 디스플레이 형태의, 특히 접촉 감지 디스플레이 형태의 마킹 장치를 갖는다. 그러므로 다수의 작동 메뉴 및 선택 메뉴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을 선택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제 8 항에 따른 마킹 장치의 경우에 마킹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특히 마킹 램프의 선회 운동 동안 선회축과 구동 샤프트 축 사이 거리가 일정하다. 상기 마킹 램프의 홀더는 마킹 장치의 기어 박스의 레버 아암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엘리먼트는 상기 기어 박스의 또 다른 레버 엘리먼트로서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샤프트 축이 구동 장치, 특히 회전 구동 장치, 특히 스텝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제 9 항에 따른 마킹 장치의 경우에 상기 마킹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추가로 개선된다. 선회축, 구동 샤프트 축 및 커플링 축이 수직방향으로 상하로 정렬하는 순시 위치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 축과 커플링 축 사이 거리는 커플링 축과 선회축 간 거리의 대략 절반, 특히 최대 50%, 최대 45% 또는 최대 40%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마킹 장치를 포함하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는 제 10 항의 특징들을 이용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봉물을 위한 위치 마크의 설정이 개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치 마크가 상기 지지면 위에 설정될 수 있고 재봉물에 대한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마킹 장치가 재봉틀 안에 배치되는 것이 장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마킹 장치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는 제 11 항에 따른 방법을 통해 해결된다.
마킹 장치를 보정함으로써 작업물을 지지하기 위한 평면 위에서 위치 마크의 장소를 설정하는 것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본 발명에 의해 알 수 있다. 구동 장치의 회전 운동의 크기와 상기 지지면 위 위치 마크의 운동 간 선형 관계의 잔여 편차가 보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마크를 보정하기 위해 이용자는 또 다른 조치들을 취할 필요가 없다. 특히 변위 크기를 결정하고 이런 변위 크기에 따라서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가 불필요하다.
제 12 항에 따른 방법의 경우에 상기 지지 위치의 특히 유리한 배치가 제공된다. 작업물을 위한 지지면 위에 위치 마크의 장소 설정을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3개 이상, 특히 5개 이상, 특히 10개 이상 지지 위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해 상술한다.
도 1은 마킹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마킹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마킹 장치의 입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과 유사한 도로서 제 1의 지지 위치에 있는 마킹 장치의 순시 위치에 관한 도이다.
도 5는 도 1과 유사한 도로서 제 2의 지지 위치에 있는 마킹 장치의 순시 위치에 관한 도이다.
도 6은 도 1과 유사한 도로서 제 3의 지지 위치에 있는 마킹 장치의 순시 위치에 관한 도이다.
도 7은 도 1과 유사한 도로서 제 1의 지지 위치와 제 3의 지지 위치 사이에 있는 마킹 장치의 순시 위치에 관한 도이다.
하기에서 도 1 및 도 2를 이용해 상기 마킹 장치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상기 마킹 장치(1)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고정 맨드릴(2)에 의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장치, 특히 재봉틀 안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마킹 장치(1)는 구동 장치(3), 마킹 램프(4) 및 기어 박스(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장치(3)는 마운팅 베이스(6)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탈착가능한 연결이 나사 체결 방식으로 실시되는 것이 장점이다. 상기 구동 장치(3)는 돌출형 구동 샤프트(7)를 갖는다. 이 구동 샤프트(7)는 기어 박스(5)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기어 박스(5)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아암(8)의 형태인 커플링 엘리먼트로서 실시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아암(8)을 통해 상기 구동 장치(3)는 마킹 램프(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마킹 램프(4)는 홀더(9)와 광원 유닛(radiation unit)(10)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9)는 스위블 조인트(11)에 의해 마운팅 베이스(6)에 고정되어 있다. 하기에서 선회축이라고도 불리는 회전축이 상기 스위블 조인트(11)를 관통하고, 이때 회전축을 중심으로 마킹 램프(4)가 회전될 수 있다. 광원 유닛(10)이 레이저로서 실시되어 있는 것이 장점이다. 상기 광원 유닛(10)은 홀더(9)의 수납 영역(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마킹 장치(1)의 적용예에 따라 상기 광원 유닛(10)은 수납 영역(12) 내에 풀을 수 있게 또는 풀을 수 없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영역(12)에 인접하여 가이드 영역(13)이 제공되어 있다. 이 가이드 영역(13) 내에, 슬라이딩 아암(8)의 한 단부가 선형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돌출-가이드 부분(14)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돌출-가이드 부분(14)은 슬라이딩 아암(8)의 상기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고 가이드 영역(13)에서는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영역(13)은 가이드 레일(13a)을 포함하며, 이 가이드 레일은 상기 홀더(9)의 본체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레일(13a)과 상기 홀더(9)의 본체의 맞은편 표면 사이에 상기 가이드 영역(13)은 돌출-가이드 부분(14)을 위해 한쪽이 개방된 선형 가이드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아암(8)의 한 단부는 상기 구동 샤프트(7)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단부에 스위블 조인트(15)가 제공된다. 하기에서 구동 샤프트 축이라고도 불리는 또 다른 회전축이 상기 스위블 조인트(15)를 관통하며, 이 구동 샤프트 축을 중심으로 슬라이딩 아암(8)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양 스위블 조인트(11,15)의 회전축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선회축은 구동 샤프트 축 위에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아암(8)은 이의 반대편 단부를 이용해 돌출-가이드 부분(14)을 통해 가이드 영역(13) 내에서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한 커플링 축이 이 돌출-가이드 부분(14)을 관통한다. 상기 선회축은 이 커플링 축에 의해 홀더(9)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마킹 램프(4)의 선회 운동 동안 상기 선회축과 구동 샤프트 축 간 거리는 일정하다. 그에 반해 상기 선회축과 커플링 축 간 거리 그리고 구동 샤프트 축과 커플링 축 간 거리는 가변적이다. 원칙적으로 구동 샤프트 축과 커플링 축 간 거리는 커플링 축과 선회축 간 거리보다 더 작다. 선회축, 커플링축 및 구동 샤프트 축이 수직 방향으로 상하로 정렬되어 있는 순시 위치에서 유효한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 샤프트 축과 커플링 축 간 거리는 대략 커플링 축과 선회축 간 거리의 절반이고(비교 도 6), 특히 유효한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 샤프트 축과 커플링 축 간 거리는 커플링 축과 선회축 간 거리의 최대 50%, 45% 또는 40%이다.
그러므로 지지면(17) 위에서 위치 마크(16)의 운동이 선형으로 10% 이하만큼, 특히 5% 이하만큼, 특히 1% 이하만큼 다르게 구동 장치의 회전 운동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구동 장치(3)가 슬라이딩 아암(8)에 의해 마킹 램프(4)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위치 마크(16)의 위치는 표시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위치 센서(18)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위치 센서는 수납 영역(12)에 인접해 마운팅 베이스(6)에 고정되어 있다(비교 도 2). 이 위치 센서(18)는 위치 마크(16) 내지 마킹 램프(4)의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데 이용된다. 이 위치 센서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증분형 인코더로서 실시될 수 있다. 기준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 기준 스위치(19)가 제공되어 있다. 이 기준 스위치(19)는 위치 센서(18)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스위치(19)는 설정하려는 기준 위치에 따라서 마킹 램프(4)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기준 위치는 머신 툴 상 기준 위치와 비교하여 마킹 장치(1)를 참조한다. 이 기준 위치는 표시 영역 밖에 있을 수 있다.
도 3에는 마킹 장치(1)의 입력 모듈(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입력 모듈(20)은 복수의 작동 메뉴 또는 선택 메뉴(22)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특히 접촉 감지 디스플레이의 형태인 마킹 장치(21)를 갖는다. 상기 입력 모듈(20)은 마킹 장치(1)의 선택 요소들, 예를 들어 구동 장치(3), 마킹 램프(4), 위치 센서(18) 및/또는 기준 스위치(19)와 양방향으로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신호 연결은 상기 마킹 장치(1)의 적용예에 따라서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메뉴 및 선택 메뉴(22)를 이용해 지지 위치 및/또는 마킹하려는 위치의 위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데이터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어 유닛(23)에 의해 처리된다. 이어, 스위칭온 신호가 구동 장치(3)에 전송된다. 상기 위치 센서(18)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 유닛(23)에 전송되고 이미 입력되어 있는 목표 위치와 비교된다. 이 목표 위치에의 도달이 이루어지면, 스위칭오프 신호가 구동 장치(3)에 전송된다.
하기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이용해 상기 마킹 장치(1)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을 상술한다.
실제적인 보정에 앞서, 상기 마킹 장치(1)의 스위칭온 후 기준 위치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마킹 장치(1)의 교정 및 제어에 이용된다. 이런 레퍼런싱은 상기 지지 위치들 내지 지지 장소들이 정확하게 재현되어 이것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이어, 지지 위치들(24, 26, 27)로 이동이 하기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위치들(24, 26, 27)은 상기 중간 영역들의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을 위한 토대를 형성하고 상기 마킹 램프(4)의 표시하려는 임의의 위치 각각을 위한 베이스이기도 한다.
상기 마킹 장치(1)를 보정하기 위해 제 1의 지지 위치(24)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 지지 위치(24)는 상기 입력 모듈(20)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제 1의 지지 위치(24)의 위치 데이터는 저장 유닛(25) 안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저장 유닛은 제어 유닛(23)과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어, 작동 메뉴 및 선택 메뉴(22)를 이용해 제 2의 지지 위치(26)가 선택된다. 상기 마킹 램프(4)가 선회되는 방식으로 상기 구동 장치(3)가 구동 샤프트(7)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므로, 이 위치 마크(16)가 제 2의 지지 위치(26)에 표시된다. 상기 위치 데이터는 위치 센서(18)에 의해 검출되어 저장 유닛(25)에 저장된다. 이어서, 작동 메뉴 및 선택 메뉴(22)를 이용해 제 3의 지지 위치(27)가 입력되므로, 상기 마킹 램프(4)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 3의 지지 위치(27)를 제어하고 이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 유닛(25)에 저장한다. 끝으로, 제 1의 지지 위치(24)와 제 3의 지지 위치(27) 사이에 및 제 2의 지지 위치(26)와 제 3의 지지 위치(27) 사이에 부분 경로가 각각 보간된다.
이런 보정을 마친 후 상기 표시 영역 내 임의의 값들, 즉 제 1 의 및 제 2 의 지지 위치(24, 26)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위치(24, 26, 27) 또는 위치 마크(16)로 가기 위해 스위칭온 신호가 구동 장치(3)에 전송되므로, 상기 구동 샤프트(7)는 설정된 회전 각도(φ) 만큼 회전한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딩 아암(8)은 동일한 회전 각도(φ) 만큼 스위블 조인트(15)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상기 돌출-가이드 부분(14)은 이의 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동시에 가이드 영역(13)에서 선형으로 운동된다. 상기 돌출-가이드 부분(14)에 의해 상기 마킹 램프(4)는 회전 각도(φ)만큼 스위블 조인트(11)를 중심으로 선회되고, 이것은 기어 박스(5)의 작동에 근거하여 비선형적으로 회전 각도(φ)에 의존하고 또한 이것은 선형적으로 회전 각도(φ)에 의존하는 지지면(17) 위 위치 마크(16)의 변환을 야기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어 박스(5)가, 지지면(17) 상에 위치 마크(16)의 변환이 거의 선형으로 구동 샤프트(7)의 회전 각도(φ)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 때문에 상기 전체 표시 영역에 의해 상기 회전 각도(φ)의 변경은 위치 마크(16)의 거의 동일한 변환이라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 달성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39°로부터 40°로 회전 각도(φ) 변경시 상기 위치 마크(16)의 변환이 예를 들어 거의 69°로부터 70°로 회전 각도(φ)의 변경 시와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Claims (12)

  1. - 마킹 램프(4)를 선회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3),
    - 광 마크를 형성하기 위해 홀더(9)를 갖는 마킹 램프(4) 및
    - 구동 장치(3)의 회전 운동을 마킹 램프(4)의 선회 운동으로 바꾸기 위한 기어 박스(5)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17) 상 위치 마크(16)의 운동은 10%이하만큼 선형적으로 다르게 상기 구동 장치(3)의 회전 운동의 회전 각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동 장치(3)가 기어 박스(5)에 의해 마킹 램프(4)에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작업물을 위한 지지면(17) 상에 위치 마크(16)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5)는 커플링 엘리먼트(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마킹 장치(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램프(4)가 기어 박스(5)의 일부의 변환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1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엘리먼트(8)의 한 단부는 회전 불가능하게 구동 장치(3)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의 반대편 단부는 상기 마킹 램프(4)의 가이드 영역(13)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램프(4)의 가이드 영역(13)에서 커플링 엘리먼트의 단부를 가이드하기 위해 돌출-가이드 부분(14)이 상기 커플링 엘리먼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마크(16) 및/또는 마킹 램프(4)의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센서(18)를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위치(24, 26, 27) 및/또는 위치 마크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모듈(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1).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마킹 장치(1)의 프레임 고정형 컴포넌트(6)에 홀더(9)를 힌지 연결하는, 선회축을 포함하는 스위블 조인트(11),
    - 선회축이 구동 샤프트 축 위에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되며, 프레임 고정형 컴포넌트(6)에 커플링 엘리먼트(8)를 힌지 연결하는 구동 샤프트 축을 포함하는 또 다른 회전 조인트(15)를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9. 제 4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램프(4)의 홀더(9)는 돌출-가이드 부분(14)의 커플링 축에 의해 커플링 엘리먼트(8)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샤프트 축과 커플링 축 간 거리는 커플링 축과 선회 축 간 거리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킹 장치(1)를 포함하는 재봉틀.
  11. - 제 1 의 지지 위치(24)를 지나고,
    - 상기 제 1 의 지지 위치(24)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 제 2 의 지지 위치(26)를 지나고,
    - 상기 제 2 의 지지 위치(26)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 제 3 의 지지 위치(27)를 지나고,
    - 상기 제 3 의 지지 위치(27)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 1 과 제 3의 지지 위치(24, 27) 사이에 및 제 2 와 제 3의 지지 위치(26, 27) 사이에 부분 경로를 보간하는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킹 장치(1)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과 제 2의 지지 위치(24, 26)가 상기 마킹 램프(4)의 표시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에 있으며 제 3 의 지지 위치(27)는 제 1 과 제 2 의 지지 위치(24, 26) 사이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KR1020170032224A 2016-04-21 2017-03-15 작업물을 위한 지지면 위에 위치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 장치 KR102288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6815.6 2016-04-21
DE102016206815.6A DE102016206815A1 (de) 2016-04-21 2016-04-21 Markierungsvorrichtung zur Vorgabe einer Positionsmarkierung auf einer Auflagefläche für ein Werkstü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95A true KR20170120495A (ko) 2017-10-31
KR102288567B1 KR102288567B1 (ko) 2021-08-11

Family

ID=5785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224A KR102288567B1 (ko) 2016-04-21 2017-03-15 작업물을 위한 지지면 위에 위치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255194B1 (ko)
JP (1) JP7075720B2 (ko)
KR (1) KR102288567B1 (ko)
CN (1) CN107304499B (ko)
DE (1) DE102016206815A1 (ko)
TW (1) TWI7290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620B1 (ko) * 2021-04-30 2022-08-02 진우산전 주식회사 차량 감지기의 검지 위치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6073A (ja) * 2006-04-28 2007-11-15 Juki Corp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6870A (en) * 1972-09-06 1973-10-23 Reliable Attachment Co Sewing machine attachment
JP2734717B2 (ja) * 1990-02-10 1998-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模様等の各種形象を映写し得るミシン
JPH0924172A (ja) * 1995-07-11 1997-01-28 Nakano Yasuo 縫製機用の光マーキング装置
US6240864B1 (en) 2000-05-16 2001-06-05 Victoria I. Pettigrew Transparent template for facilitating embroidery alignment using a support frame of a sewing machine
JP4975220B2 (ja) * 2001-05-21 2012-07-11 Juki株式会社 縫製装置
JP2007229344A (ja) * 2006-03-03 2007-09-13 Brother Ind Ltd ミシンの加工布位置決めガイド装置
JP4975358B2 (ja) 2006-04-27 2012-07-11 Juki株式会社 ミシン及び玉縁縫いミシン
JP4975360B2 (ja) * 2006-05-01 2012-07-11 Juki株式会社 玉縁縫いミシン
JP5013780B2 (ja) 2006-08-31 2012-08-29 Juki株式会社 玉縁縫いミシン
JP2008054965A (ja) * 2006-08-31 2008-03-13 Juki Corp 玉縁縫いミシン
JP5059435B2 (ja) * 2007-02-02 2012-10-24 Juki株式会社 玉縁縫いミシン
JP2009207734A (ja) * 2008-03-05 2009-09-17 Juki Corp ミシンのマーキング照射装置
JP5578162B2 (ja) * 2011-12-05 2014-08-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WO2014042586A1 (en) * 2012-09-14 2014-03-20 Revent International Ab Oven door and rack system
CN203382971U (zh) * 2013-07-30 2014-01-08 苏州豪建纺织有限公司 光导纽扣缝合机
DE102015207996B3 (de) * 2015-04-30 2016-10-27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6073A (ja) * 2006-04-28 2007-11-15 Juki Corp ミシ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620B1 (ko) * 2021-04-30 2022-08-02 진우산전 주식회사 차량 감지기의 검지 위치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04499A (zh) 2017-10-31
EP3255194A2 (de) 2017-12-13
CN107304499B (zh) 2021-04-06
EP3255194A3 (de) 2018-02-14
EP3255194B1 (de) 2019-09-25
JP2017192717A (ja) 2017-10-26
TW201738426A (zh) 2017-11-01
TWI729063B (zh) 2021-06-01
KR102288567B1 (ko) 2021-08-11
DE102016206815A1 (de) 2017-10-26
JP7075720B2 (ja)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8421B2 (ja) 真円度測定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271222A (ja) 真円度測定機
JP6086813B2 (ja) シーム溶接方法およびシーム溶接装置
CN109107833A (zh) 涂胶装置及其涂胶方法
KR20130084785A (ko) 배관용접장치
US20110123285A1 (en) Multiaxis machining apparatus
CN108356458A (zh) 可旋转对称焊接的三轴实时跟踪焊接装置
KR20170120495A (ko) 작업물을 위한 지지면 위에 위치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 장치
JPH0380848A (ja) 手術用顕微鏡
JP2009067052A (ja) 印刷デバイス、調整方法、および印刷方法
JP2007152416A (ja) ワークパネル位置決め姿勢変更装置及びワークパネル位置決め姿勢変更方法
KR101234267B1 (ko)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JP2007268685A (ja) レンズ穴あけ加工装置
JP6421550B2 (ja) 組立機
KR102306401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재의 폴딩 시험 장치
KR101265184B1 (ko) 하이브리드운동을 하는 토치를 포함하는 자동 용접장치
JP5498854B2 (ja) シーム溶接装置
KR102180087B1 (ko) 스마트 자동화 샘플 스테이지
JP4342364B2 (ja) ワーク保持装置
US6601494B1 (en) Wide sweep tilting mechanism for a band saw
KR20180031182A (ko) 파이프 용접용 틸팅 로테이터
CA3050143A1 (en) Miter fence positioner
JP4722645B2 (ja) コンデンサ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顕微鏡
JP2016036862A (ja) 人の動作支援装置
CN109623102A (zh) 一种传感器引导的爬行弧焊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