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133A -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133A
KR20170118133A KR1020177025723A KR20177025723A KR20170118133A KR 20170118133 A KR20170118133 A KR 20170118133A KR 1020177025723 A KR1020177025723 A KR 1020177025723A KR 20177025723 A KR20177025723 A KR 20177025723A KR 20170118133 A KR20170118133 A KR 20170118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d
light control
light
len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945B1 (ko
Inventor
송링 양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1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optionally us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 두개의 이어폰(10), 하나의 피복 부재(20)와 두개의 디스플레이 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피복 부재(20)는 두개의 이어폰에 연결되어 사용자 눈의 앞부분 공간을 피복하며, 피복 부재는 눈 전방에 위치한 투명도 변화가 가능한 광 조절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디스플레이 부재(30) 각각은 대응된 하나의 이어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눈 전방에 위치한 하나의 제1 위치 및 눈과 어긋난 하나의 제2 위치로 회전 가능하며, 그 중 제1 위치에서 광 조절부는 차광 상태이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는 사용자의 눈을 향하여 화상을 투사하며; 제2 위치에서 광 조절부는 투광 상태이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는 광 조절부에 화상을 투사하여 사용자가 외부 정경과 투사된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를 벗지 않고도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한 화상에 대한 관람과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의 외부 환경 정경에 대한 관람 사이에서 편리하게 스위칭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큰 편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한다.

Description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본 발명은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머션(immersion)형 및 헤드업(head up)형 디스플레이 형태를 가진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는 근안(near-to-eye) 디스플레이 기기이며, 화상을 형성하여 사용자 눈을 향하여 투사한다. 이로써 확대된 허상을 사용자가 보도록 함으로써 큰 면적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얻는다.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는 통상 투과형과 이머션형 두가지로 구분된다. 투과형의 헤드마운트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실제 신(scene)에서 전자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겹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머션형 헤드마운트 전자 기기를 착용한 사용자는 전자기기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만을 볼 수 있다. 상기 두가지 방식에서 전자는 현실을 보조하는 목적에 적합한 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navigation)에 적용시 지선 마크와 그에 대응되는 도로가 겹쳐지도록 하는 것에 적용된다. 후자는 구성하고자 하는 환경, 예를 들어 설정된 게임 신 속에 사용자가 들어가도록 하는 것에 더 적합하다. 이머션형 헤드마운트 전자 기기를 착용한 경우, 외부 환경을 보고자 하면 통상 전자 기기를 벗어야 하므로 비교적 번거롭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투과형과 이머션형 디스플레이 형태에 편리한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는, 두개의 이어폰, 하나의 피복 부재와 두개의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의 피복 부재는 상기 두개의 이어폰에 연결되어 사용자 눈의 앞부분 공간을 피복하며, 상기 피복 부재는 눈 전방에 위치한 투명도 변화가 가능한 광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디스플레이 부재 각각은 대응된 하나의 이어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눈 전방에 위치한 하나의 제1 위치 및 눈과 어긋난 하나의 제2 위치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광 조절부는 차광 상태이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는 사용자의 눈을 향하여 화상을 투사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광 조절부는 투광 상태이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는 상기 광 조절부에 화상을 투사하여 사용자가 외부 정경과 상기 투사된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를 벗지 않고도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가 디스플레이한 화상에 대한 관람과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외부 환경 정경에 대한 관람 사이에서 편리하게 스위칭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큰 편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한다.
아래의 도면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낸 각 소자는 실제 크기와 비율 관계를 나타내지 않으며, 명료한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임을 이해해야 하며,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의 개략도이며, 그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는 제2 위치에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의 부분 분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접촉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헤드마운트형 디스플레이 부재의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머션형 투영을 구현하는 광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헤드마운트형 디스플레이 부재의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이 투과형 투영을 구현하는 광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개략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수단과 장점이 더 명료해지도록, 아래에서는 다수의 실시 형태와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결부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는 하나의 헤드마운트형 비디오 플레이어, 헤드마운트형 게임 장치 또는 헤드마운트형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으며,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는 두개의 이어폰(10), 상기 두개의 이어폰(10)에 연결된 하나의 피복 부재(20), 및 이어폰(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두개의 디스플레이 부재(30)를 포함한다. 피복 부재(20)는 사용자가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를 착용한 후 두개의 이어폰(10)에 사용자의 귀를 클립하는 클립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를 안정적으로 착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어폰(10)과 디스플레이 부재(30)는 각각 사용자에게 음성과 화상을 출력하여 시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결부하면, 이어폰(10) 각각은 하나의 쉘(12), 하나의 귀덮개(14), 하나의 스피커(미도시), 하나의 장착 부재(16), 장착 부재(16)에 설치된 하나의 동력원(18)을 포함한다. 쉘(12)은 대체로 컵 모양이며, 하나의 기둥형 벽(12a)과, 기둥형 벽(12a)을 밀폐하는 하나의 측벽(12b)을 구비하며, 이로써 쉘(12)은 하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귀덮개(14)는 기둥형 벽(12a)의 측벽(12b)에서 멀어진 측에 고정된다. 여기에서의 구조는 종래 이어폰의 구조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장착 부재(16)는 하나의 환형부(16a)와 하나의 장착부(16b)를 구비한다. 환형부(16a)는 이어폰(10)의 기둥형 벽(12a)에 씌워져 이어폰(10)과 연결되며, 장착부(16b)는 환형부(16a)의 일측에 위치한다. 장착부(16b)에는 하나의 수용홈(16c)이 개설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장착 부재(16)는 이어폰(10)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 형태의 조립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력원(18)은 본 실시 형태에서 하나의 전동 모터와, 출력 회전수를 저감시키면서 출력 토크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기어군이다. 동력원(18)은 수용홈(16c)에 수용된다. 측벽(12b)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장치(19), 예를 들어 기설정 패턴의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터치 장치(19)를 통해 전체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에 대한 필요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피복 부재(20)는 두개의 이어폰(10)에 연결되어 사용자 눈의 앞부분 공간을 피복하기 위한 것으로, 피복 부재(20)는 눈 전방에 위치한 투명도 변화가 가능한 광 조절부(2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 피복 부재(20)는 대체로 C형을 나타내며, C형 개구의 양측에 위치한 두개의 연결부(22) 및 연결부(2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C형을 형성하는 광 조절부(24)를 포함한다. 연결부(22)는 본 실시 형태에서 원고리형을 나타내며, 이어폰(10)의 기둥형 벽(12a)에 씌워져 이어폰(10)과 연결된다. 광 조절부(24)는 사용자가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이마에 근접하는 하나의 상측(24a), 이마로부터 멀어지는 하측(24b), 및 상측(24a)과 하측(24b) 사이에 위치하는 중부(24c)를 포함한다. 중부(24c)는 상측(24a) 및 하측(24b)에 상대하여 이어폰(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다. 하측(24b)은 그 중간 부위에서 중부(24c)를 향하여 함몰되어 하나의 노치(24d)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후, 코가 노치(24d)의 상측에 접촉하여 피복 부재(20)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로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 더 많은 사용자에게 적응하기 위해, 광 조절부(24)와 두개의 연결부(22) 사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신축 가능한 조절부(25)가 설치되어 광 조절부(24)와 두개의 연결부(22)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광 조절부(24)의 투명도는 변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기 변색 (Electrochromic) 소자로 제작된다. 광 조절부(24)는 통상 유 투명 기판 재료, 투명 도전층, 전기 변색층, 전해질층, 이온 저장층, 투명 도전층, 투명 기판 재료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며, 두개의 투명 도전층 사이에 일정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 변색층 재료가 전압 작용하에서 산화 환원 반응이 발생하여 색상이 변하고, 전압 해제 후 전기 변색층은 다시 원리 상태를 회복할 수 있다. 그 원리와 구체적인 구현 형태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익숙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와 같이, 광 조절부(2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전기 변색 소자가 차광 상태 및 투광 상태가 되도록 한다. 차광 상태에서 외부 광선은 대부분 투과할 수 없으며, 반면, 투광 상태에서 외부 광선은 대부분 전기 변색 소자를 투과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투명도 변화가 가능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광 조절부(24)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다른 소자로 대신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광 조절부(24)는 투명 TFT 기판을 구비한 액정 스크린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액정 상태를 조절하여 액정 스크린이 상기와 같은 전기 변색 소자가 도달할 수 있는 차광 효과와 투광 효과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전방에 위치한 광 조절부(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완전한 조각일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부재(27)에 의해 연결된 분리된 두개의 조각일 수 있다. 연결 부재(27)는 광 조절 기능을 가지지 않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과 같은 재료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복 부재(20)는 사용자의 이마와 접촉하는 하나의 접촉 부재(26)를 더 구비하며, 접촉 부재(26)는 상측(24a)에 고정된 고정부(26a) 및 고정부 중간 부위로부터 사용자의 이마 방향으로 연장된 접촉부(26b)를 포함한다. 접촉부(26b)는 탄성 변형 능력을 가지며, 그 끝단의 폭은 사용자의 이마 폭보다 작아, 사용자가 착용한 후 변형되어 이마와 비교적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착용에 편리하다. 이와 동시에, 접촉부(26b)의 사용자를 향한 표면에는 스펀지 등의 연성 마감재가 더 설치되어, 사용자가 더 쾌적한 착용감을 갖도록 하고 차광 효과를 더 증가시킨다. 이해할 수 있는 바로는, 피복 부재(20)가 더 훌륭한 차광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 접촉 부재(2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도 있다. 접촉 부재(26')와 접촉 부재(26)의 다른 점은, 접촉부(26b')가 고정부(26a')로부터 시트형으로 사용자의 이마를 향하여 연장된 것으로서, 착용시 접촉부(26b')는 사용자의 이마와 접촉하여 피복 부재(20)가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차광할 수도 있다. 물론, 하측(24b)에도 상기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고 차광 효과를 가져오는 접촉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30)는 대응된 하나의 이어폰(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 전방에 위치한 하나의 제1 위치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과 어긋난 하나의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광 조절부(20)는 차광 상태이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30)는 사용자의 눈으로 화상을 투사한다. 상기 제2 위치에서 광 조절부(20)는 투광 상태이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30)는 광 조절부(20)로 화상을 투사하여 사용자가 외부 정경과 상기 투사된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부재(30)는 하우징(32)과 하우징(32) 내에 수용된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38)을 포함한다. 하우징(32)의 일측(32a)은 동력원(32)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에 대향된 타측에는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38)의 광선을 내쏘는 제1 출광구(32b)와 제2 출광구(32c)가 형성된다. 그 중, 제1 출광구(32b)는 사용자의 눈을 향하고, 제2 출광구(32c)는 사용자의 이마 방향, 즉 위를 향한다. 이와 같이, 동력원(32)이 하나의 비교적 작은 각도로 구동한 경우에, 출광구(32b)가 위치한 측은 하나의 비교적 큰 라디안으로 이동할 수 있어, 출광구(32b)가 위치한 측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신속하게 스위칭되는 것에 유리하다.
도 4를 결부하면,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38)은 하나의 화상 소스(38a), 하나의 제1 렌즈 모듈(38b), 하나의 회전 가능한 굴절 렌즈 모듈(38c), 하나의 제2 렌즈 모듈(38d) 및 제3 렌즈 모듈(38e)을 포함한다. 그 중, 화상 소스(38a), 제1 렌즈 모듈(38b), 굴절 렌즈 모듈(38c) 및 제2 렌즈 모듈(38d)은 제1 광로에 위치하고, 굴절 렌즈 모듈(38c)이 회전한 후, 화상 소스(38a), 제1 렌즈 모듈(38b), 굴절 렌즈 모듈(38c) 및 제3 렌즈 모듈(38e)은 제2 광로에 위치한다. 굴절 렌즈 모듈(38c)의 회전은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화상 소스(38a)는 하나의 LCD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마이크로 타입이고 디스플레이 밀도가 높은 디스플레이 모듈이다. 굴절 렌즈 모듈(38c)은 화상 소스(38a)가 방출한 화상을 반사하여 화상의 광로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제1렌즈 모듈(38b) 및 제2 렌즈 모듈(38d)이 하나의 방향 상에 적층될 필요가 없도록 하여 하우징(32)의 내부 공간을 융통성 있게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1렌즈 모듈(38b) 및 제2 렌즈 모듈(38d)은 화상 소스(38a)가 방출한 화상을 광학적으로 적절하게 굴절시켜 사용자의 눈으로 설정된 크기의 화상의 허상을 뚜렷하게 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결부하면, 투과형 투사를 구현해야 하는 경우 굴절 렌즈 모듈(38c)을 특정 각도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굴절 렌즈 모듈(38c)은 도 4에서 나타내는 화살표 역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광선을 위로 투사하여 제2 출광구(32c)로부터 내쏘도록 하는 바, 광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광선은 광 조절부에 투사되어 도 1과 같은 화상(6)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렌즈 모듈(38b) 및 제2 렌즈 모듈(38d), 굴절 렌즈 모듈(38c)의 구체적인 구조와 렌즈 수량은 도 4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설계 수요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로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 하우징(32)에 대한 회전은 수작업으로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때 하우징(32)은 장착부(16b)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해할 수 있는 바로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2 출광구(32c)는 사용자의 턱, 다시 말해 아래로 향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투과형 투사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 도 1 및 도 2를 결부하면,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를 사용할 때, 먼저 두개의 이어폰(10)을 외측으로 벌리고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 전체를 얼굴 앞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귀덮개(14)가 사용자의 귀를 덮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부재(30)는 눈의 바로 앞의 제1 위치에 위치하고, 광 조절부(24)는 차광 상태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부재(30)는 사용자의 눈을 향하여 화상을 투사하여, 사용자가 상기 화상의 확대된 허상을 보도록 한다. 사용자가 피복 부재(20)의 외부 정경을 보고자 할 경우, 동력원(32)은 하우징(32)이 아래로 회전하여 눈 아래의, 눈의 시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광 조절부(24)는 투광 상태로 변하며, 외부 광선이 사용자의 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굴절 렌즈 모듈(38c)이 특정 각도만큼 회전한 후, 화상 소스(38a)가 방출한 화상 광선은 도 5에 도시된 광로를 따라 제2 출광구(32c)로부터 내쏘아 광 조절부(24)를 향하여 화상을 투사하여 사용자 눈을 향하여 반사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투사된 화상과 외부 화상의 겹침을 볼 수 있어 투과형 투사를 구현한다. 지적해야 할 것은, 디스플레이 부재(30)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스위칭 제어, 굴절 렌즈 모듈(38c)의 회전 제어, 광 조절부(24)의 차광 상태와 투광 상태 사이의 스위칭 제어, 디스플레이 부재(30)에 의해 발생한 화상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 및 화상 관람 과정에 진행하는 볼륨과 진도(progress) 조절 등과 같은 시스템 제어는 모두 터치 장치(19)에 대해 상응한 조작을 하고,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의 중앙프로세서(CPU) 및 대응된 기능 회로(미도시)가 상기 조작에 응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를 벗지 않고도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가 디스플레이한 화상에 대한 관람과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8)의 외부 환경 정경에 대한 관람 사이에서 편리하게 스위칭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큰 편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제1', '제2'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가리키는 구성요소의 수량을 암묵적으로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구성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당해 구성요소를 명시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고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은 한, '다수'의 의미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하고 한정하지 않은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의미에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분리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직접적인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으며, 두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 가지는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모든 수정, 균등 교체와 개량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Claims (15)

  1.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
    두개의 이어폰, 하나의 피복 부재와 두개의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피복 부재는 상기 두개의 이어폰에 연결되어 사용자 눈의 앞부분 공간을 피복하며, 상기 피복 부재는 눈 전방에 위치한 투명도 변화가 가능한 광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디스플레이 부재 각각은 대응된 하나의 이어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눈 전방에 위치한 하나의 제1 위치 및 눈과 어긋난 하나의 제2 위치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광 조절부는 차광 상태이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는 사용자의 눈을 향하여 화상을 투사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광 조절부는 투광 상태이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는 상기 광 조절부에 화상을 투사하여 사용자가 외부 정경과 상기 투사된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은 다른 이어폰으로부터 멀어진 측벽에 상기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부재는 C형을 나타내며, 상기 피복 부재는, 사용자의 이마에 근접한 상측, 사용자의 이마에서 멀어진 하측 및 상기 상측과 하측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의 중간 부위는 상기 중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하나의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5.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한 후, 상기 피복 부재는 사용자의 왼쪽 눈 전방으로부터 사용자의 오른쪽 눈 전방으로 연장된 하나의 광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6.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한 후, 상기 피복 부재는 사용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 전방에 각각 위치하는 두개의 광 조절부와, 상기 두개의 광 조절부를 연결하고 광 조절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두개의 이어폰에 각각 연결된 두개의 연결부, 및 각각의 연결부와 광 조절부 사이에 연결된 두개의 조절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조절부는 대응된 연결부와 광 조절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8. 제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어폰은 하나의 기둥형 벽을 가지며, 각각의 연결부는 고리형을 나타내며 상기 기둥형 벽에 씌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부재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는 또 외부 광선이 사용자의 눈으로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절부는 전기 변색 소자에 의해 제작되거나 또는 투명 TFT 기판을 가진 액정스크린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12.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어폰은 하나의 장착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는 하나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의 광선을 내쏘는 적어도 하나의 출광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어폰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된 하나의 동력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동력원에 연결되고 동력원의 구동 하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광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측에 형성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한 하나의 제1 출광구 및 사용자의 이마 또는 턱을 향한 하나의 제2 출광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 모듈은 하나의 화상 소스, 하나의 제1 렌즈 모듈, 하나의 회전 가능한 굴절 렌즈 모듈, 하나의 제2 렌즈 모듈 및 하나의 제3 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소스, 제1 렌즈 모듈, 굴절 렌즈 모듈 및 제2 렌즈 모듈은 상기 제1 출광구로부터 내쏘는 하나의 제1 광로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화상 소스, 제1 렌즈 모듈, 회전된 굴절 렌즈 모듈 및 제3 렌즈 모듈은 상기 제2 출광구로부터 내쏘는 하나의 제2 광로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KR1020177025723A 2015-07-30 2015-07-30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KR102010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85637 WO2017015968A1 (zh) 2015-07-30 2015-07-30 头戴电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133A true KR20170118133A (ko) 2017-10-24
KR102010945B1 KR102010945B1 (ko) 2019-08-14

Family

ID=5788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723A KR102010945B1 (ko) 2015-07-30 2015-07-30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17683B2 (ko)
EP (1) EP3330767A4 (ko)
JP (1) JP6630370B2 (ko)
KR (1) KR102010945B1 (ko)
CN (1) CN107003518B (ko)
WO (1) WO2017015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2267S1 (en) * 2017-03-30 2019-03-05 Gn Audio A/S Headset
US10454198B2 (en) * 2017-06-21 2019-10-22 Goertek Technology Co., Ltd. Connecting mechanism
JP6613429B2 (ja) * 2017-08-09 2019-12-04 イアフレド株式会社 映像音響再生装置
CN107678539A (zh) * 2017-09-07 2018-02-09 歌尔科技有限公司 用于头戴显示设备的显示方法及头戴显示设备
USD1026854S1 (en) * 2022-06-08 2024-05-14 Yi Zhao (Shenzhen) Co., Limited Audio heads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704A (ja) * 1997-10-29 1999-05-21 Seiko Epson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CN102421046A (zh) * 2011-11-28 2012-04-18 大连民族学院 一种可视型头戴式耳机
JP2013200325A (ja) * 2012-03-23 2013-10-03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1162B2 (ja) 1989-12-19 1999-02-2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ヘルメットマウント形ディスプレイ用バイザー
JP3003322B2 (ja) * 1991-09-30 2000-01-2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EP0763216A2 (en) * 1994-02-07 1997-03-19 Virtual I/O, Inc. Personal visual display
US5642221A (en) * 1994-03-09 1997-06-24 Optics 1, Inc. Head mounted display system
JPH08160348A (ja) * 1994-12-09 1996-06-21 Sega Enterp Ltd 頭部搭載型ディスプレイ
JP2000111828A (ja) 1998-10-06 2000-04-21 Sharp Corp 装着型画像表示装置
US7547101B2 (en) * 2007-01-02 2009-06-16 Hind-Sight Industries, Inc. Eyeglasses with integrated telescoping video display
CN101320131A (zh) 2007-06-07 2008-12-10 立景光电股份有限公司 可调整环境光强度的头戴式显示器
JP2011059444A (ja) * 2009-09-10 2011-03-24 Olympus Corp 眼鏡型画像表示装置
US20110213664A1 (en) * 2010-02-28 2011-09-01 Osterhout Group, Inc. Local advertising content on an interactive head-mounted eyepiece
WO2011106798A1 (en) * 2010-02-28 2011-09-01 Osterhout Group, Inc. Local advertising content on an interactive head-mounted eyepiece
US20150309316A1 (en) * 2011-04-06 2015-10-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 glasses with predictive control of external device based on event input
CN102918443B (zh) * 2010-04-27 2016-01-13 寇平公司 可佩戴的电子显示器
US9753284B2 (en) * 2012-01-24 2017-09-05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JP5910119B2 (ja) 2012-01-31 2016-04-27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US8577427B2 (en) * 2012-03-08 2013-11-05 Lee Serota Headset with adjustable display and integrated computing system
JP5987387B2 (ja) 2012-03-22 2016-09-07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手術システム
JP6060512B2 (ja) * 2012-04-02 2017-0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6145966B2 (ja) 2012-05-09 2017-06-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10433044B2 (en) * 2012-08-02 2019-10-01 Ronald Pong Headphones with interactive display
US20160004082A1 (en) * 2013-02-12 2016-01-07 Virtual Goggles Inc. Headset with Binary Display and Integrated Computing System
JP6107276B2 (ja) 2013-03-22 2017-04-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03246062A (zh) 2013-05-17 2013-08-14 崔培全 一种新型穿戴式智能电子设备
CN103383491B (zh) 2013-07-03 2015-08-26 成都理想境界科技有限公司 一种视透率可调的头戴显示装置
US10390122B2 (en) 2014-12-23 2019-08-20 Hed Technologies Sarl Method and system for audio sharing
EP3045951B1 (en) 2015-01-15 2018-04-18 Essilor International Loupe with camera
US10055887B1 (en) * 2015-02-19 2018-08-21 Google Llc Virtual/augmented reality transition system and method
US10331169B2 (en) * 2015-03-27 2019-06-25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Modularized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assembly and disassembly module
JP6491364B2 (ja) * 2015-04-30 2019-03-27 シェンツェン ロイヤル テクノロージーズ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Ltd. 電子装置及びその表示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704A (ja) * 1997-10-29 1999-05-21 Seiko Epson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CN102421046A (zh) * 2011-11-28 2012-04-18 大连民族学院 一种可视型头戴式耳机
JP2013200325A (ja) * 2012-03-23 2013-10-03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3518A (zh) 2017-08-01
EP3330767A1 (en) 2018-06-06
EP3330767A4 (en) 2019-03-20
JP2018527781A (ja) 2018-09-20
US10317683B2 (en) 2019-06-11
US20180120571A1 (en) 2018-05-03
WO2017015968A1 (zh) 2017-02-02
CN107003518B (zh) 2020-08-28
JP6630370B2 (ja) 2020-01-15
KR102010945B1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3310B2 (ja)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用装置
KR20170115622A (ko)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KR20170118133A (ko) 헤드마운트형 전자 기기
US10222621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CN112840261B (zh) 基于偏振的动态聚焦器
CN110398839B (zh) 头戴式显示设备和控制方法
US11003212B2 (en) Image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adjustment method for display device
WO2014108693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JP2007318476A (ja) 映像表示装置
KR20220131341A (ko) 스캔 빔 시스템들에 대한 공간적으로 및 시간 변화하는 편광 교정 광학부
JP2002162597A (ja) 装着型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20174764A1 (en) Interactive method, head-mounted device, interactive system and storage medium
WO2017113116A1 (zh) 头戴式显示设备
CN115087909B (zh) 用于照明光学器件的衍射元件的基于偏振的复用
KR20190096627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US2022021455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EP3514603A1 (en)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odule thereof
US11513359B1 (en) Lens
CN107407960A (zh) 头戴式显示设备
KR20200096000A (ko) 변색렌즈를 이용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WO2005026819A1 (ja) 画像表示装置
KR20190103654A (ko) 일체형 vr 헤드셋 기기
JPH10123456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50012373A (ko) 착용가능한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