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108A - 접목용 육묘부재 및 육묘세트 및 접목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접목용 육묘부재 및 육묘세트 및 접목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108A
KR20170118108A KR1020177024805A KR20177024805A KR20170118108A KR 20170118108 A KR20170118108 A KR 20170118108A KR 1020177024805 A KR1020177024805 A KR 1020177024805A KR 20177024805 A KR20177024805 A KR 20177024805A KR 20170118108 A KR20170118108 A KR 20170118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stem
plant
unit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타카 노타구치
나오키 야나기사와
히데유키 아라타
슈카 이케마츠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나고야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나고야 다이가쿠 filed Critical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나고야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7011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2Automatic apparatus therefor
    • A01G1/06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9/1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Abstract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인 접목용 육묘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 유닛을 갖추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식물의 종자를 수용하고 식물이 발아하는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 종자 수용부와, 발아하여 신장한 식물의 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줄기 수용부와, 신장한 식물의 줄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줄기 보유부를 갖추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 유닛의 종자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 유닛의 줄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 유닛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접목용 육묘부재 및 육묘세트 및 접목묘 생산방법
본 개시는 접목용 육묘부재 및 육묘세트, 접목묘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국제 출원은 2015년 2월 13일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026570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 출원 제2015-026570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한다.
접목은 농업, 원예 분야에서, 연작 장애의 회피, 품질 및 수확수의 향상, 새로운 품종의 증식 등을 목적으로 널리 쓰이면서 극히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수법이다. 접목은 업무용 및 가정용을 불문하고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접목의 대부분은 사람들에 의해서 실시되고 있다. 접목의 실시에는 어느 정도의 연습이 필요하므로 접목묘의 품질이 불규칙하며, 생산속도가 느려지는 등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전자동 접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 ~ 7에는 다양한 접목용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접목은 사람의 손으로 실시하는 것이 전제되기 때문에 손으로 다루는 사이즈까지 성장한 식물체에만 적용되지 않았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특개 2006-238805호 공보
특허문헌 2 : 실개평 2-127149호 공보
특허문헌 3 : 실개평 3-99930호 공보
특허문헌 4 : 특개평 7-327498호 공보
특허문헌 5 : 특개평 8-242699호 공보
특허문헌 6 : 특개평 8-280265호 공보
특허문헌 7: 유럽 특허출원 공개 제829199호 명세서
상술한 것처럼 접목의 실시에는 어느 정도의 연습이 필요하므로 접목묘의 품질이 불규칙적이며, 생산속도가 느려지는 등과 같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전자동 접목장치는 대형이면서 가격이 높기 때문에 소규모 사업체에 의한 접목묘 생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 ~ 7의 접목용 부재에는, 예를 들어 식물종자를 수용하는 종자 수용부와, 그 종자 수용부에 연통한 줄기 수용부를 갖춘 접목용 부재가 있지만, 식물종자를 줄기 수용부에서 종자 수용부로 투입하려면 줄기 수용부의 내경을 종자 수용부의 내경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줄기 수용부에 수용된 식물 줄기를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고 접목시에 식물줄기의 위치 결정이 어려워진다. 그 결과, 접목의 성공률이 낮아지고, 접목의 작업성도 나빠진다. 또한, 접목의 정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작은 식물의 접목이 어려워진다. 또한, 손 또는 대형장치로 다룰 수 있는 식물은 식물체 사이즈의 크기도 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목은 소채류 중에서 박과, 가지과 등의 발아되어 싹이 튼 큰 식물에만 적용되지 않았다.
본 개시의 일측면은 접목대상이 되는 식물체의 크기와 성장단계를 막론하고 간편하게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고, 접목묘의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측면인 접목용 육묘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을 갖추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식물종자를 수용하고 식물이 발아하는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 종자 수용부와, 발아하여 신장한 식물의 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줄기 수용부와, 신장한 식물줄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줄기 보유부를 갖추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종자 수용부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줄기 수용부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목용 육묘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을 갖추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종자 수용부와 줄기 수용부와 줄기 보유부를 갖는 간단한 구조이다. 그래서 육묘부재를 이용하여 접목에 제공하는 식물체(접목용 묘목)를 간편하게 준비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이 줄기 보유부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줄기가 유지된 상태의 접목용 묘목을 간편하게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1육묘부재에서 제1식물을 육성하고, 제2육묘부재에서 제2식물을 육성한다. 이어서 제1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1식물줄기를 절단하고, 제2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2식물의 줄기를 절단한다. 이어서 제1육묘부재의 제1식물의 줄기 절단면과 제2육묘부재의 제2식물의 줄기 절단면을 접합한다. 이처럼 간편하고 기계적인 작업으로 양호한 정밀도로 접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나 간편하게 균일한 접목묘를 양호한 정밀도로 생산할 수 있고, 접목묘의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육묘부재(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간단한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육묘부재를 대량으로 준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육묘부재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접목대상이 되는 식물체에 맞추어 육묘부재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은 식물에서 큰 식물까지 사이즈를 불문하고, 또한, 발아한지 얼마 되지 않은 어린 묘로부터 성장한 식물체까지 성장단계를 막론하고 접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육묘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육묘준비가 용이하게 됨과 더불어 육묘장소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식물육성기간의 단축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 육성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어린 식물(특히 맨손으로 다룰 수 없을 정도의 작은 사이즈의 어린 식물)을 대상으로 하면, 육성 시간 단축에 따른 육성 코스트의 저감, 접목묘의 사이즈가 작은 것에 의한 수송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종자 수용부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식물종자를 종자 수용부의 개구부분으로부터 종자 수용부 내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서 식물종자를 줄기 수용부에서 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줄기 수용부의 내경을 식물줄기의 지름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식물의 발아 및 육성에 필요한 식물육성배지 등을 종자 수용부의 개구부분으로부터 종자 수용부(구체적으로는 종자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식물종자)에 대해 공급할 수 있으며, 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줄기 수용부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식물의 발아 및 육성에 필요한 식물육성배지 등을 줄기 수용부의 개구부분에서 줄기 수용부(구체적으로는 줄기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식물줄기)에 대해 공급할 수 있으며, 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줄기를 신장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에서 자엽과 초생엽 등을 전개시킬 수 있으며, 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한천 배지 등의 식물육성배지 등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과립의 큰 흙 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육묘부재를 대폭적으로 소형화함과 더불어 소망하는 형상의 육묘부재를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소형의 육묘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마이크로미터 오더로 접목용 묘목(예를 들면 식물줄기의 절단면)의 위치 결정(좌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접목을 양호한 정밀도로 수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 곤란하였던 작고 어린 식물의 접목을 쉽고, 양호한 정밀도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발아하여 신장한 식물줄기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즉각적으로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엽과 초생엽 등이 줄기 수용부의 개구부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출현하고 나서 바로 접목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발아 후의 어린 식물을 바로 접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인 접목용 육묘세트는 상기 접목용 육묘부재를 다수 갖추고 있다.
상기 접목용 육묘세트는 상술한 접목용 육묘부재를 다수 갖추고 있다. 이때문에 상술한 것처럼 간편하게 접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누구나 간편하고 균일한 접목묘 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접목묘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육성 비용, 수송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인 접목묘의 생산방법은, 각자가 상기 접목용 육묘부재인 제1육묘부재 및 제2육묘부재를 준비하는 것과, 제1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에 제1식물종자를 수용하고,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내에서 제1식물종자를 발아시키고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내에서 제1식물의 줄기를 신장시키는 것과, 제1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제1식물줄기를 유지하는 것과, 제1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1식물줄기를 절단하는 것과, 제2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에 제2식물종자를 수용하고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내에서 제2식물종자를 발아시키고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내에서 제2식물줄기를 신장시키는 것과, 제2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제2식물줄기를 유지하는 것과, 제2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2식물줄기를 절단하는 것과, 제1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1식물줄기의 절단면과 제2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2식물줄기의 절단면을 접합하는 것을 갖추고 있다.
상기 접목묘의 생산방법은 상술한 접목용 육묘부재를 복수 이용하여 실시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것처럼 간편하게 양호한 정밀도로 접목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양호한 정밀도로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누구나 간편하게 균일한 접목묘를 양호한 정밀도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접목묘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육성 코스트, 수송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개시의 일측면에 의하면, 접목대상이 되는 식물체의 사이즈와 성장단계를 불문하고 값싸고 간편하게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고, 접목묘의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 코스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접목용 육묘부재에서,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개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종자 수용부가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개구 가능한 구성에는 종자 수용부가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구성, 종자 수용부가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통하는 개구부를 가짐과 더불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부재가 설치된 구성 등이 포함된다. 또한, 식물육성배지는 멤브레인, 종이 등의 침수성을 갖는 두께가 얇은 시트 부재를 매개로 공급하는 것이 좋다. 식물육성배지로서, 굳게 형성한 한천 배지를 이용하면 상술한 시트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개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줄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개구가능한 구성에는 상술한 종자 수용부와 같은 구성이 포함된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그 위에 발아하여 신장한 식물의 뿌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뿌리 수용부를 갖추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뿌리 수용부에서 식물의 뿌리를 신장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뿌리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식물의 발아 및 육성에 필요한 식물육성배지 등을 뿌리 수용부의 개구부분에서 뿌리 수용부(구체적으로는 뿌리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식물의 뿌리)에 대해 공급할 수 있으며, 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뿌리를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더욱 신장시킬 수 있으며, 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뿌리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외부로 개구가능한 구성에는 상술한 종자 수용부와 같은 구성이 포함된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는 가동성을 가지고, 신장한 식물의 줄기에 접촉한 상태에서 식물의 줄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식물의 줄기의 지름이 성장에 의해서 변화하여도 식물의 줄기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식물의 줄기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에서 종자 수용부는 흡수한 식물종자가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단면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종자 수용부를 원형 단면으로 형성할 경우 흡수한 식물 종자의 장경과 동일한 정도에서 장경의 2~3배 정도의 직경으로 하여도 좋다.
적어도 1개 육묘유닛에서 줄기 수용부의 폭은 식물의 자엽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줄기 수용부의 폭은 식물의 줄기를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줄기 수용부의 폭은 종자 수용부의 지름의 1/10 ~ 1/2 정도로 하여도 좋다. 또한, 줄기 수용부의 길이는 식물의 줄기를 신장시키는데 적당한 길이로 하면 좋다. 또한, 줄기 수용부는 종자 수용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종자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에서 뿌리 수용부는 식물의 뿌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의 통로로 하면 좋다. 또한, 뿌리 수용부의 폭은 종자 수용부의 지름의 1/10 ~ 1/2 정도로 하여도 좋다. 뿌리 수용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개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식물의 뿌리를 충분히 수용 가능한 공간(예를 들면 종자 수용부 등)이 있으면 외부로 개구하지 않고 닫혀 있어도 좋다. 뿌리 수용부는 종자 수용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종자 수용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뿌리 수용부는 줄기 수용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줄기 수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에서 줄기 보유부는 신장한 식물의 줄기를 유지할 수 있다면 형상 등을 묻지 않는다. 여기에서 신장한 식물의 줄기를 유지하는 것은 식물의 줄기를 일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줄기 보유부는 줄기 수용부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줄기 수용부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줄기 수용부의 일부(예를 들면 내벽면)를 줄기 보유부로 하여 기능하는 경우에는 줄기 수용부의 일부에 의한 압압에 의해서 줄기가 유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때, 성장한 단계의 줄기의 굵기에 맞추어 미리 줄기 수용부의 폭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줄기 보유부는 줄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판상 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소형화, 더욱이 육묘부재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육묘부재의 소형화에 의해서 육묘 장소의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이 판상인 경우, 예를 들면, 종자 수용부, 줄기 수용부, 뿌리 수용부 등을 일측의 주면에서 개구하도록 형성하여도 좋고, 개폐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종자 수용부로의 종자의 투입, 종자 수용부, 줄기 수용부, 뿌리 수용부 등으로의 식물육성배지 등의 공급, 접목 이후 접목묘의 취득이 용이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탄성변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에서 육성한 식물을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줄기 수용부의 일부(예를 들면 내벽면)를 줄기 보유부로 하여 기능시키고, 육성한 식물의 줄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 내의 식물의 줄기를 절단하고, 육묘부재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더라도 줄기 수용부 내에서 식물의 줄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성장에 맞추어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이 유연하게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과의 밀착성을 높이고 식물의 줄기의 유지가 용이해지고, 더욱이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불리는 PDMS(폴리디메틸실록산)등을 이용할 수 있다. PDMS는 생체 적합성이 높고, 칼날 등으로 용이하게 절단 가능한 재료이다.
육묘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를 횡단하도록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 내의 식물의 줄기를 절단할 때 그 절단 위치에서 육묘부재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해놓으면 육묘부재를 절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육묘부재를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복수의 육묘유닛을 갖추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육묘부재를 이용하여 보다 대량으로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접목묘의 생산성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복수의 육묘유닛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육묘부재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육묘부재를 이용하여 접목묘를 생산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복수의 육묘유닛은 복수의 육묘유닛 각각의 줄기 수용부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육묘부재를 이용하여 접목묘를 생산하기 위한 작업(특히 식물의 줄기의 절단, 식물의 줄기의 절단면끼리의 접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육묘유닛은 2차원(평면)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3차원(입체)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육묘유닛은 복수의 육묘유닛 각각의 줄기 수용부가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육묘부재를 이용하여 접목묘를 생산하기 위한 작업(특히 식물의 줄기의 절단, 식물의 줄기의 절단면끼리의 접합)이 용이하게 된다.
육묘부재는 어린 식물의 접목에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어린 식물(특히 맨손으로 다룰 수 없을 정도의 작은 사이즈의 어린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육성시간 단축에 따른 육성 코스트의 저감, 접목묘의 사이즈가 작은 것에 의한 수송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사람의 손으로 접목하려면 작고 곤란한 식물에 대해서도 접목할 수 있다는 상술한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린 식물은 식물이 발아를 하여 첫 잎이 열릴 때까지로 한다. 예를 들어 십자화과의 식물이라면 발아를 하고 며칠 후(예를 들어 3일 후)에서 1mm 정도 길이의 상태를 포함한다.
육묘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생물 분해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육묘부재를 이용하여 생산한 접목묘를 육묘부재로부터 취득하지 않고, 육묘부재와 더불어 넓은 경작지에 산포하는 것(모종)이 가능하다. 또한, 생물 분해성 재료로는 제인(옥수수에서 추출하는 비수용성 단백질)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육묘부재는 하나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육묘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 및 줄기 수용부를 갖는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를 갖는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접목용 육묘세트에서 복수의 육묘부재 각각이 복수의 육묘유닛을 갖추고 있을 때, 복수의 육묘유닛은 복수의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가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육묘부재를 이용하여 접목묘를 생산하기 위한 작업(특히 식물의 줄기의 절단, 식물의 줄기의 절단면끼리의 접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접목하는 식물들끼리 비슷한 크기의 식물의 경우에 국한되지 않고 크기가 다른 식물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좋은 접목이 가능하다.
상기 접목묘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제1육묘부재를 복수 부분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분할편을 형성하는 것과, 제2육묘부재를 복수 부분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분할편을 형성하는 것을 더 갖추고, 제1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1식물의 줄기의 절단면과, 제2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2식물의 줄기의 절단면를 접합하는 것은 제1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1식물의 줄기의 절단면과, 제2육묘부재에서의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2식물의 줄기의 절단면이 맞닿아 접해지게 되도록 제1육묘부재에서 복수의 분할편 중 하나의 분할편과, 제2육묘부재에 있어서 복수의 분할편 중 하나의 분할편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접목작업(특히 제1식물의 줄기의 절단면과 제2식물의 줄기의 절단면과의 접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접목묘 생산방법에 있어서 제1육묘부재 및 제2육묘부재에서의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 줄기 수용부 등에 제1식물 및 제2식물의 발아 및 육성을 위한 식물육성배지를 공급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는 제1식물 및 제2식물의 발아 및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접목묘 생산방법에 있어서 제1육묘부재 및 제2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의 일단을 육묘유닛의 외부로 개구하고 있는 경우, 제1식물 및 제2식물의 자엽, 초생엽 등이 줄기 수용부의 일단에 도달하기까지는, 제1육묘부재 및 제2육묘부재를 어두운 곳에 두고, 이후는 제1육묘부재 및 제2육묘부재를 밝은 곳에 두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1육묘부재 및 제2육묘부재를 어두운 곳에 두는 것에 의해서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에서 자엽, 초생엽 등을 전개시키지 않고 줄기를 충분히 신장시키고, 줄기 수용부에 줄기를 적정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육묘부재 및 제2육묘부재를 밝은 곳에 두는 것에 의해서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의 외부에서 자엽, 초생엽 등을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줄기를 굵게 성장시키고 줄기가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충분히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1식물 및 제2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육묘부재 및 제2육묘부재를 어두운 곳 및 밝은 곳에 두는 것을 바꾸고, 제1육묘부재 및 제2육묘부재를 광투과성이 낮은 소재로 구성하고, 육묘유닛 내부는 어두운 곳, 육묘유닛 외부는 밝은 곳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발아하여 신장한 제1식물의 줄기를 제1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 충분히 유지할 수 있고, 발아하여 신장한 제2식물의 줄기를 제2육묘부재에서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면 최초부터 최후까지 밝은 곳에서 육묘하여도 좋다.
상기 접목묘 생산방법에 있어서 제1육묘부재의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1식물의 줄기를 절단할 때 제1육묘부재마다 절단하여도 좋다. 또한, 제1식물의 줄기만 절단하고 그 절단 위치에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제1육묘부재를 분할하여도 좋다. 제1육묘부재마다 절단하는 경우에는 제1육묘부재를 절단하기 용이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접목묘 생산방법에 있어서 제2육묘부재의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제2식물의 줄기를 절단할 때 제2육묘부재마다 절단하여도 좋다. 또한, 제2식물의 줄기만 절단하고 그 절단 위치에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제2육묘부재를 분할하여도 좋다. 제2육묘부재마다 절단하는 경우에는 제2육묘부재를 절단하기 용이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접목묘 생산방법에서는 제1식물 및 제2식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식물을 접목하여 접목묘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식물은 동종의 식물이어도 좋고 다른 종에 속하는 식물이라도 좋으며 이들이 혼재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접목묘의 생산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대목용 식물과 수목용 식물을 접목하여도 좋다. 즉 2개의 식물을 접목하여도 좋다. 또한, 대목용 식물과 수목용 식물 사이에 중간대목의 식물을 배치하여 접목하여도 좋다. 중간대목의 식물은 1개 라도 좋고 복수개 이어도 좋다. 즉, 3개 식물을 접목하여도 좋고, 4개 이상의 식물을 접목하여도 좋다.
[도 1] 육묘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도 1의 육묘부재의 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1의 육묘부재의 II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1의 육묘부재의 IV-IV선의 단면도이다.
[도 5] 육묘부재 집합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육묘부재를 이용한 접목묘의 생산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7] 육묘부재를 식물육성배지와 함께 수직으로 세울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도 8A-8D는 육묘유닛에서의 육묘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도 9A-9C는 육묘부재를 이용한 접목의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 육묘부재를 이용한 접목묘 생산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1] 도 11A-11D는 육묘부재를 이용한 접목의 모습의 일례를 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 다른 예의 육묘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다른 예의 육묘부재 집합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도 14A 및 14B는 육묘부재의 구성 및 육묘부재를 이용한 육묘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육묘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육묘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육묘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육묘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육묘부재의 육묘 제1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도 20A 및 20B는 육묘부재를 이용한 육묘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 도 21A 및 21B는 육묘부재를 이용한 육묘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 육묘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 도 23A 및 23B는 육묘부재를 이용한 육묘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도면과 더불어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의 접목용 육묘부재(20)는 복수의 육묘유닛(30)을 갖추고 있다. 각 육묘유닛(30)은 식물의 종자를 수용하고, 식물이 발아하는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 종자 수용부(32)와, 발아하여 신장한 식물의 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줄기 수용부(34)와, 신장한 식물의 줄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줄기 보유부(후술하는 줄기 수용부(34)의 내벽면(341)을 갖추고 있다. 각 육묘유닛(30)의 종자 수용부(32)의 일부는 종자 수용부(32)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의 일부는 줄기 수용부(34)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접목용 육묘부재(2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접목용 육묘부재(20)의 구성 개요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목용 육묘부재(20)의 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목용 육묘부재 (20)의 II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목용 육묘부재(20)의 IV-IV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접목용 육묘부재 집합체(10)의 구성 개요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제1실시형태의 설명에서의 방향은 어디까지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부재(20)는 예를 들면 폴리 디메틸 실록산(PDMS)으로 대표되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유연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육묘부재(2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육묘부재(20)는 복수의 육묘유닛(30)을 갖추고 있다. 복수의 육묘유닛(30)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육묘유닛(30)은 일렬로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육묘유닛(30)은 종자 수용부(32)와, 줄기 수용부(34)와 뿌리 수용부(36)를 갖는다. 종자 수용부(32)는 육묘부재(20)의 두께 방향의 일측 주면으로부터 원주상에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자 수용부(32)의 직경(φ)은 흡수된 종자가 발아시 회전 가능한 사이즈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종자 수용부의 직경(φ)은 예를 들어 흡수한 종자의 장경과 동일 정도에서 장경의 1.5배와 2배 정도로 하여도 좋다.
줄기 수용부(34)는 육묘부재(20)의 일측 주면으로부터 도랑상의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줄기 수용부(34)는 종자 수용부(32)에서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다. 줄기 수용부(34)는 그 일단(종자 수용부(32)측과는 반대 측의 선단)이 상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줄기 수용부(34)의 양측 내벽면(341)은 신장한 식물의 줄기를 양쪽에서 보유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줄기 수용부(34)의 내벽면(341)은 신장한 식물의 줄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줄기 보유부이다.
줄기 수용부(34)의 폭(d)은 자엽이 통과 가능한 사이즈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줄기 수용부(34)의 폭(d)은 예를 들어 종자 수용부(32)의 직경(φ)의 1/10 ~ 1/2 정도로 하여도 좋다. 줄기 수용부(34)의 길이(L1)는 접목하기에 적당한 길이이면 좋다. 줄기 수용부(34)의 길이(L1)는 예를 들어 종자 수용부(32)의 직경(φ)의 1 ~ 3배 정도로 하여도 좋다.
뿌리 수용부(36)는 육묘부재(20)의 일측 주면에서 도랑상의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뿌리 수용부(36)는 뿌리 수용부(36)와 동일한 폭(d)으로 종자 수용부(32)에서 하방으로(줄기 수용부(34)와는 반대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다. 뿌리 수용부(36)는 일단(종자 수용부(32)측과는 반대측의 선단)이 하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뿌리 수용부(36)의 폭(d)은 뿌리가 통과가능한 사이즈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뿌리 수용부(36)의 폭(d)은 예를 들어 종자 수용부(32)의 직경(φ)의 1/10 ~ 1/2 정도로 하여도 좋다. 뿌리 수용부(36)의 길이(L2)는 뿌리가 하방으로 늘어나면 좋기 때문에 종자 수용부(32)의 직경(φ)의 2배 정도로 하여도 좋다.
종자 수용부(32),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의 깊이(W2)는 육묘부재(20)의 두께(W1)의 절반 ~ 1/3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다. 종자 수용부(32),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의 깊이(W2)는 적어도 종자 수용부(32)에서 흡수시킨 종자가 발아시 회전할 수 있도록 종자 수용부(32)의 지름(φ)과 비슷한 정도로 하여도 좋다. 제1실시형태의 육묘부재(20)에서는, 종자 수용부(32), 줄기 수용부 (34) 및 뿌리 수용부(36)의 깊이(W2)를 종자 수용부(32)의 지름(φ)과 동일하다.
육묘부재(20)에서 종자 수용부(32),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는 육묘부재(20)의 일측 주면에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육묘부재(20)의 각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의 양쪽에는 종자 수용부(32)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3개의 절단용 표시(38a, 38b, 38c)가 형성되고 있다.
육묘부재(20)에서 복수의 육묘유닛(30)은 각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줄기 수용부(34)가 상하방향(연직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복수육묘유닛(30)에서는 각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육묘부재(20)는 복수의 육묘부재(20)를 상하방향(연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그 복수의 육묘부재(20)를 일체로 형성한 접목용 육묘부재 집합체(10)를 수평방향의 파선의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육묘유닛(30)은 대상으로 하는 종자의 종류에 의해서 그 사이즈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종자의 지름이 500μm 정도의 애기장대의 경우에는 종자 수용부(32)의 지름(φ)은 700~1200μm(예를 들면 900μm)으로 하여도 좋다.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의 폭(d)은 100~500μm(예를 들면 250μm)으로 하여도 좋다. 줄기 수용부(34)의 길이(L1)는 500~1500μm(예를 들면 1000μm)으로 하여도 좋다. 뿌리 수용부(36)의 길이(L2)는 100~1000μm(예를 들면 500μm)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토마토, 가지 등의 경우에는 종자 수용부(32)의 지름(φ)은 3.5 ~ 7.5mm(예를 들면 5.5mm)으로 하여도 좋다.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의 폭(d)은 0.6 ~ 1.5mm(예를 들면 1.0mm)으로 하여도 좋다. 줄기 수용부(34)의 뿌리 수용부(36)의 길이(L1, L2)는 5 ~ 15mm(예를 들면 10mm)으로 하여도 좋다. 뿌리 수용부(36)의 길이 L2는 0 ~ 10mm(예를 들면 1mm)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종자 수용부(32)의 지름(φ)을 900μm,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의 폭(d)을 300μm, 줄기 수용부(34)의 길이(L1)를 1000μm, 뿌리 수용부(36)의 길이를 500μm 로 하고, 4개 육묘유닛(30)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접목용 육묘부재(20)를 상하방향(연직방향)으로 5개 올려서 접목용 육묘부재 집합체(10)를 형성한다. 그러면 20개의 육묘유닛(30)과 17mm(수평방향)×16mm(상하방향, 수직방향)의 사이즈의 접목용 육묘부재 집합체(10)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접목용 육묘부재(20)를 복수개 이용한 접목묘의 생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접목묘의 생산방법은 도 6, 도 7, 도 8A~8D 및 도 9A~9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육묘부재(20)의 육묘유닛(30)에서 종자 수용부(32)내에 식물(5)의 종자(50)를 수용하고, 종자 수용부(32)내에서 식물(5)을 발아시키고, 줄기 수용부(34)내에서 식물(5)의 줄기(51)를 신장시키고, 줄기 보유부(줄기 수용부(34))의 양측 내벽면(341))에 의해서 식물(5)의 줄기(51)를 유지하는 육묘 공정과, 각 육묘부재(20)의 육묘유닛(30)의 줄기 보유부(줄기 수용부(34))의 양측 내벽면(341))에 의해서 유지된 식물(5)의 줄기(51)를 절단하고, 식물(5)의 줄기(51)의 절단면들을 접합하여 접목묘(6)를 얻는 접목공정을 실시한다. 이하, 접목묘(6)의 생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접목용 육묘부재(20)를 이용한 접목묘의 생산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접목묘 생산은 먼저 육묘부재(20)를 2개 준비한다(공정 S100). 이어서 일측 육묘부재(제1육묘부재)(20)의 각 종자 수용부(32)에 대목이 되는 식물(제1식물)의 종자를 파종하며, 타측 육묘부재(제2육묘부재)(20)의 각 종자 수용부(32)에 수목이 되는 식물(제2식물)의 종자를 파종한다(공정 S110).
이어서, 2개의 육묘부재(20)의 일측 주면(육묘유닛(30)의 종자 수용부(32)등이 형성된 면)에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서 식물육성배지를 설치한다(공정 S120). 이어서, 2개의 육묘부재(20)를 식물육성배지마다 수직하게 세우고, 자엽이 줄기 수용부(34)의 일단(개구단)근방에 이르기까지 어두운 곳에 두고 육묘한다(공정 S130). 자엽이 전개하지 않고 줄기 수용부(34)의 일단(개구단)근방에 이르면 자엽이 전개할 때까지 밝은 곳에서 육묘한다(공정 S140). 이것에 의해서 자엽이 전개한다.
여기서, 육묘부재(20)를 식물육성배지(40)와 함께 수직으로 세울 때의 모습을 도 7에 나타낸다. 식물육성배지(40)는 육묘부재(20)의 일측 주면을 덮도록(종자 수용부(32),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의 개구부분을 폐쇄하도록)배치한다. 이것에 의해서 식물의 종자를 투입하는 방향 및 식물의 발아 및 육성에 필요한 식물육성배지(40)를 공급하는 방향과 식물의 성장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작업성이 우수해지는 구성이 된다. 또한, 육묘부재(20)를 식물육성배지(40)마다 수직으로 세우는 것은, 식물(5)이 중력 방향을 따라서 성장하기 때문이다. 또한, 어두운 곳에 두고 육묘하는 것은 자엽을 전개시키지 않고 어느 정도까지 줄기(배축)를 뻗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8A ~ 8D에 육묘유닛(30)에서의 육묘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어두운 곳에 두고 육묘하면 종자 수용부(32)에 파종된 식물(5)의 종자(50)(도 8A)는 발아하고(도 8B), 자엽(52)이 전개하지 않고 줄기(51)가 줄기 수용부(34)내를 신장함과 더불어 뿌리(53)가 뿌리 수용부(36)안을 신장한다(도 8C). 이후 밝은 곳에 두고 육묘하면 자엽(52)이 전개한다(도 8D).
이어서, 도 6과 같이 2개의 육묘부재(20)를 줄기 수용부(34)의 중간이 되는 위치(예를 들면 절단용 표시(38b)의 자리)에서 수평하게 육묘부재(20)마다 절단한다(공정 S150). 이러한 절단에 의해서 대목이 되는 식물의 종자를 심은 육묘부재(20)의 종자 수용부(32)측의 절단편(분할편)은 대목의 어레이가 되고, 수목이 되는 식물의 종자를 심은 육묘부재(20)의 자엽측의 절단편(분할편)은 수목의 어레이가 된다.
이어서, 대목의 어레이 상에 수목의 어레이를 정합하도록 올려 태워서 접합한다(공정 S160). 대목의 어레이도 수목의 어레이도 동일한 육묘부재(20)를 줄기 수용부(34)의 중간이 되는 위치에서 수평으로 절단하여 얻어지는 대목의 어레이에 수목의 어레이를 정합하도록 올려 태워서 대목의 어레이의 줄기 수용부(34)와 수목의 어레이의 줄기 수용부(34)가 정합되고, 대목이 되는 식물의 줄기의 절단면과 수목이 되는 식물의 줄기의 절단면이 맞닿아 접해지게 된다.
여기서, 도 9A ~ 9C에 2개의 육묘부재(20)를 이용한 접목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목이 되는 식물(5A)의 종자를 심은 육묘부재(20)(도 9B)와 수목이 되는 식물(5B)의 종자를 심은 육묘부재(20)(도 9A)를 줄기 수용부 (34)의 중간이 되는 위치에서 수평으로 절단한다. 그리고 대목의 어레이(21)(도 9B의 종자 수용부(32)측의 절단편)위에 수목의 어레이(22)(도 9A의 자엽 측의 절단편)를 올려 태운다. 이것에 의해서 대목의 줄기의 절단면과 수목의 중간의 절단면이 맞닿아 접해져 접목이 이루어진다(도 9C).
그 후, 도 6과 같이 대목의 줄기의 절단면과 수목의 줄기의 절단면이 맞닿아 접해진 상태에서 밝은 곳(약광)에서 육묘한다(공정 S170). 이것에 의해서 대목의 줄기의 절단면과 수목의 줄기의 절단면이 접합되어 접목묘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 의해서 접목묘의 생산이 완료된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육묘유닛(30)으로 종자 수용부(32)의 지름(φ)을 900μm, 줄기 수용부(34)및 뿌리 수용부(36)의 폭(d)을 250μm, 줄기 수용부(34)의 길이(L1)를 1000μm, 뿌리 수용부(36)의 길이(L2)를 500μm 로 하는 2세트의 육묘부재(20)를 준비하고 대목, 수목과 함께 애기장대를 이용하여 접목하였다.
육묘유닛(30)의 종자 수용부(32)에 종자를 파종하고, 식물육성배지(40)를 설치하고 어두운 곳에 두어 육묘하였다가 2일째에 자엽이 줄기 수용부(34)의 일단(개구단)근방에 이르렀다. 이후 밝은 곳에서 1 ~ 2일 육묘하면 자엽이 전개하였다.상술한 바와 같이 줄기 수용부(34)의 중간 위치에서 수평으로 육묘부재(20)마다 절단하고, 대목의 어레이에 수목의 어레이를 정합시키고 올려 태워서 접목하였다. 접목은 약 1주간에서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목의 성립은 관다발의 재연락을 심플라스트(symplast) 수송의 트레이서 색소를 잎에 투여하여 뿌리를 관찰하고, 뿌리에서 색소의 형광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확인하였다. 또한, 접목한 애기장대의 식물은 차세대의 종자를 형성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어서, 제1실시형태의 접목용 육묘부재(20) 및 그것을 이용한 접목묘의 생산방법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접목용 육묘부재(20)는 복수의 육묘유닛(30)을 갖추고 있다. 각 육묘유닛(30)은 종자 수용부(32)와 줄기 수용부(34)와 줄기 보유부(줄기 수용부 (34)의 내벽면(341))을 갖는 간단한 구조이다. 그래서 육묘부재(20)를 이용하여 접목에 제공하는 식물체(접목용 묘목)를 간편하게 준비할 수 있다. 특히 육묘유닛(30)이 줄기 보유부(줄기 수용부(34)의 내벽면(341))를 갖추고 있는 것에 의해서 줄기 보유부(줄기 수용부(34)의 내벽면(341))에 의해 줄기가 유지된 상태의 접목용 묘목을 간편하게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의 육묘부재(20)에서는 복수의 대목들이 일렬로 배열한 대목의 어레이나 복수의 수목이 일렬로 배열한 수목의 어레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대목의 어레이에 수목의 어레이를 정합하도록 올려 태우는 것만으로 일렬로 배열한 복수의 접목묘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이해서 간편하고 기계적인 작업에서 양호한 정밀도로 접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나 간편하게 균일한 접목묘를 양호한 정밀도로 생산할 수 있고, 접목묘의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육묘부재(20)(육묘유닛(30))는 간단한 구조로 준비할 수 있다. 그래서 육묘부재(20)를 대량으로 준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육묘부재(20)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접목의 대상이 되는 식물체에 맞추어 육묘부재(20)의 사이즈 등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작은 식물에서 큰 식물까지 사이즈를 불문하고, 또한 발아할 사이도 없이 어린 묘에서 성장한 식물체까지 성장단계를 막론하고 접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육묘부재(20)를 이용함으로써 육묘의 준비가 용이하게 됨과 더불어 육묘 장소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육성 기간의 단축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 육성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어린 식물(특히 맨손으로 다룰 수 없는 정도의 작은 사이즈의 어린 식물)을 대상으로 하면 육성시간 단축에 의한 육성 코스트의 저감, 접목묘의 사이즈가 작은 것에 의한 수송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육묘유닛(30)의 종자 수용부(32)의 일부는 종자 수용부(32)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식물의 종자를 종자 수용부(32)의 개구부분에서 종자 수용부(32)내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식물의 종자를 줄기 수용부(34)에서 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줄기 수용부(34)의 내경을 식물의 줄기의 지름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발아 및 육성에 필요한 식물육성배지(40)를 종자 수용부(32)의 개구부분에서 종자 수용부(32)(구체적으로는 종자 수용부(32)내에 수용하는 식물의 종자)에 대해서 공급할 수 있으며, 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의 일부는 줄기 수용부(34)의 외부로 개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식물의 발아 및 육성에 필요한 식물육성배지(40)를 줄기 수용부(34)의 개구부분에서 줄기 수용부(34)(구체적으로는 줄기 수용부(34)내에 수용하는 식물의 줄기)에 대해서 공급할 수 있으며, 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줄기를 신장시키고 육묘유닛(30)의 외부에서 떡잎과 초생엽 등을 전개시킬 수 있어 식물의 육성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한천배지 등의 식물육성배지(4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과립의 큰 흙 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육묘부재(20)를 대폭적으로 소형화함과 더불어 소망하는 형상의 육묘부재(20)를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소형의 육묘부재(2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마이크로미터 오더로 접목용 묘목(예를 들면 식물의 줄기의 절단면)의 위치 결정(좌표를 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접목을 양호한 정밀도로 수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 곤란하였던 작은 어린 식물의 접목을 용이하고, 양호한 정밀도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발아하여 신장한 식물의 줄기는 육묘유닛(30)의 줄기 보유부(줄기 수용부(34)의 내벽면(341))에 의해서 즉각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엽, 초생엽 등이 줄기 수용부(32)의 개구부분에서 육묘유닛(30)의 외부로 출현하고부터 바로 접목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발아 후의 어린 식물을 즉각적으로 접목할 수 있다.
또한, 육묘유닛(30)은 종자 수용부(32) 및 줄기 수용부(34)와 더불어 뿌리 수용부(36)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뿌리 수용부(36)에서 식물의 뿌리를 신장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육묘유닛(30)의 뿌리 수용부(36)는 그 일단이 외부로 개구하고 있다. 그래서, 식물의 뿌리를 육묘유닛(30)의 외부로 더욱 신장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식물의 육성을 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육묘유닛(30)은 판상이다. 그래서 육묘유닛(30)의 소형화, 또는 육묘부재(20)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육묘부재(20)의 소형화에 의해서 육묘 장소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육묘유닛(30)은 판상이며, 종자 수용부(32),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를 일측 주면에서 개구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종자 수용부(32)에 종자의 투입, 종자 수용부(32),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에 대한 식물육성배지(40)의 공급, 접목 이후 접목묘의 취득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육묘부재(20)(육묘유닛(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육묘유닛(30)에서 육성한 식물을 보유할 수 있다. 줄기 수용부(34)의 일부(구체적으로는 내벽면(341))를 줄기 보유부로 하여 기능시키고, 육성한 식물의 줄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내의 식물의 줄기를 육묘부재(20)마다 절단한 경우에도 줄기 수용부(34)내에서 식물의 줄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성장에 맞추어 육묘유닛(30)이 유연하게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과의 밀착성을 높이고 식물의 줄기의 유지가 용이하게 되고, 게다가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육묘부재(20)는 복수의 육묘유닛(30)을 갖추고 있다. 그래서 육묘부재(20)를 이용하여 보다 대량으로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접목묘의 생산성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육묘부재(20)(복수의 육묘유닛(30))는 일반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육묘부재(20)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육묘부재(20)를 이용한 접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육묘유닛(30)은 각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가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소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있다. 그래서 복수의 육묘부재(20)를 이용한 접목작업(특히 식물의 줄기의 절단, 식물의 줄기의 절단면끼리 접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육묘유닛(30)은 각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가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있다. 그래서 복수의 육묘부재(20)를 이용한 접목작업(특히 식물의 줄기의 절단, 식물의 줄기의 절단면끼리 접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육묘부재(20)는 어린 식물(특히 맨손으로 다룰 수 없을 정도의 작은 사이즈의 어린 식물)의 접목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육성시간 단축에 따른 육성 코스트의 저감, 접목묘의 사이즈가 작은 것에 의한 수송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지금까지는 사람의 손으로 접목하려면 작아서 곤란한 식물에 대해서도 접목할 수 있다는 상술의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형태의 접목묘의 생산방법은 접목용 육묘부재(20)를 복수 이용하여 실시한다. 그래서, 상술한 것처럼 간편하게 양호한 정밀도로 접목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양호한 정밀도로 좋은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누구나 간편하게 균일한 접목묘를 정밀도 좋게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접목묘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육성 코스트, 수송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형태의 접목묘의 생산방법에서 접목공정에서는 각 육묘부재(20)의 육묘유닛(30)의 줄기 보유부(줄기 수용부(34)의 내벽면(341))에 의해서 유지된 식물의 줄기를 절단하고 각 육묘부재(20)를 복수 부분으로 분할(절단)하여 복수의 분할편(절단편)을 형성하고, 식물의 줄기의 절단면끼리 맞닿아 접하도록 각 육묘부재(20)의 분할편(절단편)을 배치한다. 그래서 접목공정에서의 접목작업(특히 식물의 줄기의 절단면끼리 접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육묘공정에서는 식물의 자엽이 줄기 수용부(34)의 일단(개구단)에 이르기까지는 육묘부재(20)를 어두운 곳에 두고, 그 이후에는 육묘부재(20)를 밝은 곳에 둔다. 즉 육묘부재(20)를 어두운 곳에 둠으로써 줄기 수용부(34)에 있어서 자엽을 전개시키지 않고 줄기를 충분히 신장시키고, 줄기 수용부(34)에 줄기를 적정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육묘부재(20)를 밝은 곳에 둠으로써 줄기 수용부(34)의 외부로 자엽을 전개시키고 줄기는 굵게 성장하여 줄기 수용부(34)에 적합하고, 줄기 보유부(줄기 수용부(34)의 내벽면(341))에 의해서 유지되도록 된다. 이것에 의해서 식물의 육성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접목의 대상이 되는 식물체의 사이즈와 성장단계를 막론하고 간편하게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고, 접목묘의 생산성 향상, 품질향상, 코스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접목용 육묘부재(20) 및 육묘세트, 접목묘의 생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제2실시형태는 도 10 및 도 11A ~ 11D 와 같이 접목용 육묘부재(20)를 3개 이용한 접목묘의 생산방법의 예이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구성, 방법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0은 육묘부재(20)를 이용한 접목묘의 생산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나듯이 접목묘의 생산방법은 우선 육묘부재(20)를 3개 준비한다(공정 S200). 즉 3세트의 육묘부재(20)를 갖춘 육묘 세트를 준비한다. 이어서 제1육묘부재(20)의 각 종자 수용부(32)에 대목이 되는 식물(제1식물)의 종자를 파종한다. 또한, 제2육묘부재(20)의 각 종자 수용부(32)에 중간대목이 되는 식물(제2의 식물)의 종자를 파종한다. 또한 제3육묘부재(20)의 각 종자 수용부(32)에 수목이 되는 식물(제3의 식물)의 종자를 파종한다(공정 S210).
이어서, 3개의 육묘부재(20)의 일측의 주면(육묘유닛(30)의 종자 수용부(32)등이 형성된 면)에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서 식물육성배지(40)를 설치한다(공정 S220). 이어서, 3개의 육묘부재(20)를 식물육성배지(40)마다 수직으로 세우고, 자엽이 줄기 수용부(34)의 일단(개구단)근방에 이르기까지 어두운 곳에 두고 육묘한다(공정 S230). 자엽이 전개하지 않고 줄기 수용부(34)의 일단(개구단)근방에 이르면 자엽이 전개할 때까지 밝은 곳에서 육묘한다(공정 S240). 이것에 의해서 자엽이 전개된다.
이어서 제1육묘부재(20)에 대해서는 줄기 수용부(34)의 중간이 되는 위치(예를 들면 절단용 표시(38c)의 위치)에서 수평하게 육묘부재(20)마다 절단한다. 또한, 제2육묘부재(20)에 대해서는 줄기 수용부(34)의 중간이 되는 2개소의 위치(예를 들면 절단용 표시(38a, 38c)의 위치)에서 수평하게 육묘부재(20)마다 절단한다. 또한, 제3육묘부재(20)에 대해서는 줄기 수용부(34)의 중간이 되는 위치(예를 들면 절단용 표시(38a)의 위치)에서 수평하게 육묘부재(20)마다 절단한다(공정 S250).
이런한 절단에 의해서 대목이 되는 식물의 종자를 파종한 제1육묘부재(20)의 종자 수용부(32)측의 절단편(분할편)은 대목의 어레이가 된다. 또한, 중간대목이 되는 식물의 종자를 파종한 제2육묘부재(20)의 줄기 수용부(34)의 일부 절단편(분할편)은 중간대목의 어레이가 된다. 또한, 수목이 되는 식물의 종자를 파종한 제3육묘부재(20)의 자엽 측의 절단편(분할편)은 수목의 어레이가 된다.
이어서, 대목의 어레이 위에 중간대목의 어레이를 정합하여 올려 태워짐과 더불어 중간대목의 어레이에 수목의 어레이를 정합하여 올려 태워서 접합한다(공정 S260). 대목의 어레이, 중간대목의 어레이, 수목의 어레이는 동일한 육묘부재(20)를 줄기 수용부(34)의 중간이 되는 위치에서 수평하게 절단하여 얻어지기 때문에 대목의 어레이 위에 중간대목의 배열을 정합하도록 올려 태움과 더불어 중간대목의 어레이에 수목의 어레이를 정합하도록 올려 태우는 대로 대목의 어레이의 줄기 수용부(34)와 중간대목의 줄기 수용부(34)가 정합함과 더불어 중간대목의 줄기 수용부(34)와 수목의 어레이의 줄기 수용부(34)가 정합한다. 그리고 대목의 줄기의 절단면과 중간대목의 줄기의 절단면이 맞닿아 접해짐과 더불어 중간대목의 줄기의 절단면과 수목의 줄기의 절단면이 맞닿아 접해지게 된다.
여기서, 도 11A ~ 11D에 3개 육묘부재(20)를 이용한 접목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목이 되는 식물(5A)의 종자를 파종한 제1육묘부재(20)(도 11C)와, 중간대목이 되는 식물(5C)의 종자를 파종한 제2육묘부재(20)(도 11B)와, 수목이 되는 식물(5B)의 종자를 파종한 제3육묘부재(20)(도 11A)를 줄기 수용부(34)의 중간의 파선의 위치에서 수평하게 절단한다. 그리고 대목의 어레이(21)(도 11C의 종자 수용부(32)측의 절단편)위에 중간대목의 어레이(23)(도 11B의 2개의 파선사이의 절단편)를 올려 태움과 더불어 중간대목의 어레이(23)위에 수목의 어레이(22)(도 11A의 자엽 측의 절단편)을 올려 태운다. 이것에 의해서 대목의 줄기의 절단면과 중간대목의 줄기 아래쪽의 절단면이 맞닿아 접해짐과 더불어 중간대목의 줄기 위쪽의 절단면과 수목의 줄기의 절단면이 맞닿아 접해지고, 접목을 수행한다(도 11D).
그 후, 도 10 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목, 중간대목 및 수목의 줄기의 절단면끼리 맞닿아 접한 상태에서 밝은 곳에서 육묘한다(공정 S270). 이것에 의해서, 절단면끼리 접합되어 접목묘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접목묘 생산이 완료된다. 또한, 중간대목으로서는 광범위한 식물과 접목이 가능한 담배속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중간대목을 사용하기 때문에 대목과 수목간의 조합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중간대목으로서는 광범위한 식물과 접목이 가능한 담배속 등을 이용하면 중간대목을 개재하는 것에 의해서 서로 접목이 부적합한 식물끼리 접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식물을 동시에 접목했지만 예를 들면, 2개의 식물을 접목한 후, 접목한 식물과 다른 식물을 접목하여도 좋다. 즉, 복수회의 접목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4개 이상의 식물을 접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3실시형태)
제3실시형태는 도 12,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목용 육묘부재(20)(육묘유닛(30))의 구성을 변경한 예이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구성방법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2와 같이 육묘부재(20)는 종자 수용부(32)에서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가 수평면으로부터 기울어(예를 들면 경사각 : 30 ~ 60°의 범위)형성된 육묘유닛(30)이 수평으로 복수 배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줄기 수용부(34)의 양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절단용 표시(38)를 따라 절단함으로써 줄기를 경사지게 절단한 대목의 어레이와 대목의 절단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고 줄기를 경사지게 절단한 수목의 어레이를 얻을 수 있고, 줄기를 경사지게 절단한 대목과 수목의 접목묘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 및 뿌리 수용부(36)가 연직 방향이 되도록 하여 육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육묘부재(20)는 도 13 에 예시되어 있는 육묘부재 집합체(110)를 파선으로 절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육묘부재(20)이라도 2개 이용하여 대목과 수목의 접목묘를 생산하거나 3개 이용하여 대목과 중간대목과 수목의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다.
(제4실시형태)
제4실시형태는 도 14A,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목용 육묘부재(20)(육묘유닛(30))의 구성을 변경한 예이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구성방법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부재(20)의 육묘유닛(30)은 종자 수용부와 줄기 수용부가 일체로 된 육묘부(33)를 갖는다. 육묘부(33)는 육묘부재(20)의 일측 주면에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육묘부(33)에는 육묘부(33)의 저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원기둥상의 줄기 보유부(31)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육묘부(33)의 양쪽에는 오목 도랑상의 절단용 표시(38)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용 표시(38)는 육묘부(33)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줄기 보유부(31)는 육묘부(33)내에서 발아한 식물(5)의 줄기(51)의 신장을 안내함과 더불어 신장한 줄기(51)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신장한 식물(5)의 줄기(51)를 줄기 보유부(31)가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제5실시형태)
제5실시형태는 도 15 ~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목용 육묘부재(20)(육묘유닛(30))의 구성을 변경한 예이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구성방법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5 ~ 도 18에 도시한 육묘부재(20)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 ~ 제4실시형태와 같이 도중까지 어두운 곳에서 육묘하였다가 도중에서 밝은 곳에서 육묘하는 경우와는 다르게 처음부터 끝까지 밝은 곳에서 육묘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부재(20)의 육묘유닛(30)은 종자 수용부와 줄기 수용부와 뿌리 수용부가 일체로 된 육묘부(33)를 갖는다. 육묘부(33)는 길게 형성된 공간이며, 흡수시킨 식물(5)의 종자(50)가 발아시에 회전가능한 폭이며, 자엽이 전개 가능한 크기로 조정되어 있다. 육묘부(33)의 양측 내벽면(35)은 발아한 식물(5)의 줄기 신장을 안내하는 기능을 가짐과 더불어 신장한 식물(5)의 줄기를 유지하는 줄기 보유부의 기능을 갖는다. 육묘부(33)의 양측에는 오목 도랑상의 절단용 표시(38)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용 표시(38)는 육묘부(33)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부재(20)의 육묘유닛(30)은 종자 수용부와 줄기 수용부와 뿌리 수용부가 일체로 된 육묘부(33)와, 육묘부(33)의 양측에서 육묘부(33)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판상의 한쌍의 육묘 보유부(37)를 갖는다. 육묘부(33)는 육묘부재(20)의 일측 주면에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육묘부(33)는 길게 형성된 공간이며, 흡수시킨 식물(5)의 종자(50가 발아시에 회전가능한 폭으로 조정되어 있다. 육묘 보유부(37)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 가능하며, 자엽이 전개할 때에는 그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탄성 변형된다. 또한, 육묘 보유부(37)는 발아한 식물(5)의 줄기 신장을 안내하는 기능과 더불어 신장한 식물(5)의 줄기를 유지하는 줄기 보유부의 기능을 갖는다. 육묘부(33)의 양측(한쌍의 육묘 보유부(37))에는 오목 도랑상의 절단용 표시(38)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용 표시(38)는 육묘부(33)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부재(20)의 육묘유닛(30)은 종자 수용부와 줄기 수용부와 뿌리 수용부가 일체로 육묘부(33)를 갖는다. 육묘부(33)에는 육묘부(33)의 저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판상의 육묘 보유부(37)가 한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육묘 보유부(37)들사이의 거리(폭)는 흡수시킨 식물(5)의 종자(50)가 발아시에 회전가능한 폭으로 조정되어 있다. 육묘 보유부(37)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 가능하며, 자엽이 전개할 때에는 그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탄성 변형된다. 또한, 육묘 보유부(37)는 발아한 식물(5)의 줄기 신장을 안내하는 기능과 더불어 신장한 식물(5)줄기를 유지하는 줄기 보유부의 기능을 갖는다. 육묘부(33)의 양측에는 한쌍의 육묘 보유부(37)를 가로질러 절단하도록 오목한 도랑상의 절단용 표시(38)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용 표시(38)는 육묘부(33)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부재(20)의 육묘유닛(30)은 종자 수용부와 줄기 수용부와 뿌리 수용부가 일체로 된 육묘부(33)를 갖는다. 육묘부(33)에는 육묘부(33)의 저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원주상의 육묘 보유부(37)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육묘 보유부(37)는 세로로 2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육묘 보유부(37)들사이의 거리(폭)는 흡수시킨 식물(5)의 종자(50)가 발아시에 회전가능한 폭으로 조정되고 있다. 육묘 보유부(37)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 가능하며, 자엽이 전개할 때에는 그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탄성 변형된다. 또한, 육묘 보유부(37)는 발아한 식물(5)의 줄기 신장을 안내하는 기능과 더불어 신장한 식물(5)의 줄기를 유지하는 줄기 보유부의 기능을 갖는다. 육묘부(33)의 양측에는 오목한 도랑형 절단용 표시(38)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용 표시(38)는 육묘부(33)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6실시형태)
제6실시형태는 도 19, 도 20A, 2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목용 육묘부재(20)(육묘유닛(30))의 구성을 변경한 예이다. 또한, 상술한 제5실시형태와 같은 구성방법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9, 도 20A, 2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부재(20)는 육묘 제1부재(20A)와 육묘 제2부재(20B)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육묘유닛(30)은 육묘 제1부재(20A)의 유닛제1부(30A)와 육묘 제2부재(20B)의 유닛제2부(30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 제1부재(20A)의 유닛 제1부(30A)는 종자 수용부와 줄기 수용부와 뿌리 수용부가 일체로 된 육묘부(33)를 갖는다. 육묘부(33)에는 육묘부(33)의 저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원뿔 모양의 육묘 안내부(39)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육묘 안내부(39)는 세로로 2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육묘 안내부(39)들사이의 거리(폭)는 흡수시킨 식물(5)의 종자(50)가 발아시에 회전가능한 폭으로 조정되고 있다. 육묘 안내부(39)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 가능하며, 자엽이 전개할 때에는 그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탄성 변형된다. 또한, 육묘 보유부(37)는 발아한 식물(5)의 줄기 신장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 제2부재(20B)의 유닛 제2부(30B)는 원주상의 육묘 보유부(37)를 복수 갖는다. 복수의 육묘 안내부(37)는 세로로 2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육묘 보유부(37)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 가능하며 신장되는 식물(5)의 줄기를 유지하는 줄기 보유부의 기능을 갖는다.
접목묘 생산에 있어서는 도 2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 제1부재(20A)의 유닛 제1부(30A)에서 식물(5)을 육성한다. 그리고 육묘 제1부재(20A)의 유닛 제1부(30A)의 육묘부(33)내로 육묘 제2부재(20B)의 유닛 제2부(30B)의 복수의 육묘 보유부(37)를 밀어 넣는다.
이어서, 도 2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 제1부재(20A)의 유닛 제1부(30A)에서 육묘 제2부재(20B)의 유닛 제2부(30B)를 당기어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식물(5)의 줄기(51)가 복수의 육묘 보유부(37)에 의해서 유지된 상태의 육묘 제2부재(20B)의 유닛 제2부(30B)를 얻을 수 있다. 이후 육묘 제2부재(20B)를 이용하여 접목을 수행하여 접목묘를 얻는다.
또한, 접목묘 생산에 있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 제1부재(20A)의 유닛 제1부(30A)에서 식물(5)을 육성한다. 그리고 식물(5)의 줄기(51)의 2개소에 접착제(41)를 도포한다. 접착제(41)는 신장한 식물(5)의 줄기를 유지하는 줄기 보유부의 기능을 갖는다. 이후 육묘 제1부재(20A)의 유닛 제1부(30A)의 식물(5)에 대해서 판상의 육묘 제2부재(20B)의 유닛 제2부(30B)를 눌러 붙인다.
그리고, 도 2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묘 제1부재(20A)의 유닛 제1부(30A)에서 육묘 제2부재(20B)의 유닛 제2부(30B)를 당기어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식물(5)의 줄기(51)가 접착제(41)를 통해서 육묘 제2부재(20B)의 유닛 제2부(30B)로 유지된다. 이후 육묘 제2부재(20B)를 이용하여 접목을 수행하고, 접목묘를 얻는다.
(제7실시형태)
제7실시형태는 도 22, 도 23A, 2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목용 육묘부재(20)(육묘유닛(30))의 구성을 변경한 예이다. 또한, 상술한 제5실시형태와 같은 구성방법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2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묘부재(20)의 육묘유닛(30)은 종자 수용부와 줄기 수용부와 뿌리 수용부가 일체로 된 육묘부(33)를 갖는다. 육묘부(33)에는 육묘부(33)의 양측 내벽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판상의 육묘 보유부(37)가 상하로 2개씩, 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육묘부(33)의 폭은 흡수시킨 식물(5)의 종자(50)가 이 발아시에 회전가능한 폭으로 조정되고 있다. 육묘 보유부(42)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 가능하며, 자엽이 전개할 때에는 그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탄성 변형된다. 또한, 육묘 보유부(42)는 발아한 식물(5)의 줄기 신장을 안내하는 기능과 더불어 신장한 식물(5)의 줄기를 유지하는 줄기 보유부의 기능을 갖는다. 육묘부(33)의 양측에는 오목한 도랑형 절단용 표시(38)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용 표시(38)는 육묘부(33)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3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묘 보유부(42)는 육묘부(33)내에서 발아한 식물(5)의 줄기(51)의 신장을 안내함과 더불어 신장한 줄기(51)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신장한 식물(5)의 줄기(51)를 육묘 보유부(42)가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물(5)의 줄기(51)를 육묘 보유부(42)에 의해서 유지한 상태에서 육묘부(33)의 개구부분을 덮도록 상하로 시트부재(43)를 배치함으로써 식물(5)의 줄기(51)의 보유를 더욱 충분히 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형태)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어떠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육묘부재(20)를 판상이라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육묘유닛(30)의 종자 수용부(32), 줄기 수용부(34), 줄기 보유부(31), 뿌리 수용부(36) 등의 형상은 대상으로 하는 식물의 종류, 사이즈 등에 의해서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다.
(2)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육묘부재(20)에서 각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의 양측에 종자 수용부(32)로부터 거리가 다른 3개의 절단용 표시(38a, 38b, 38c)를 형성하였지만 절단용 표시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절단용 표시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3)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육묘유닛(30)의 종자 수용부(32)에 종자를 파종한후에 육묘부재(20)의 일측 주면에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서 식물육성배지(40)를 설치하고, 줄기 수용부(34)가 수직하게 되도록 식물육성배지(40)마다 육묘부재(20)를 세우는 것으로 하였지만 종자 수용부(32)에 종자와 더불어 식물육성배지를 적당량 넣는다면, 그 상태의 육묘부재(20)를 줄기 수용부(34)가 수직하게 되도록 세우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멤브레인 필터 및 식물육성배지 만큼 더욱이 공간 절약으로 접목묘를 생산할 수 있다.
(4)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각 육묘부재(20)의 육묘유닛(30)의 줄기 수용부(34)내의 식물의 줄기를 절단할 때 육묘부재(20)마다 절단하였지만 육묘부재(20)(육묘유닛(30))를 식물의 줄기의 절단 위치에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식물의 줄기만 자르고 육묘부재(20)를 절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육묘부재(20)를 재이용할 수 있다.
(5)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식물을 접목하여 접목묘를 생산하였다. 여기에서 복수의 식물은 동종의 식물이라도 좋으며, 다른 종에 속하는 식물이라도 좋으며, 이들이 혼재하여 있어도 좋다.
(6)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대목용 식물과 수목용 식물을 접목(2개의 식물을 접목)하거나 대목용 식물과 수목용 식물과의 사이에 중간대목의 식물을 배치하여 3개의 식물을 접목하기도 한다. 중간대목의 식물은 1개라도 좋으며, 복수개 이어도 좋다. 즉, 3개의 식물을 접목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식물을 접목할 수도 있다.
(7) 육묘부재(20)(육묘유닛(30))는 예를 들면, 생물 분해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육묘부재(20)(육묘유닛(30))를 이용하여 생산한 접목묘를 육묘부재(20)(육묘유닛(30))에서 꺼내지 않고 육묘부재(20)(육묘유닛(30))마다 넓은 경작지에 산포하는 것(모종)이 가능하다. 생물 분해성 재료로는 제인(옥수수에서 추출하는 수용성 단백질)등을 이용할 수 있다.
(8) 본 개시의 각 구성 요소는 개념적인 것이며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개의 구성요소가 갖는 기능을 복수의 구성요소에 분산시키거나 복수의 구성요소가 갖는 기능을 1개의 구성요소에 통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구성의 적어도 일부를 같은 기능을 갖는 공지의 구성으로 치환하여도 좋다.
20 ... 육묘부재
30 ... 육묘유닛
31 ... 줄기 보유부
32 ... 종자 수용부
34 ... 줄기 수용부

Claims (12)

  1. 접목용 육묘부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을 갖추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식물의 종자를 수용하고, 상기 식물이 발아하는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 종자 수용부와, 발아하여 신장한 상기 식물의 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줄기 수용부와, 신장한 상기 식물의 줄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줄기 보유부를 갖추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종자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종자 수용부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줄기 수용부의 외부로 개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접목용 육묘부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의 줄기 보유부는 가동성을 가지며, 신장한 상기 식물의 줄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식물의 줄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목용 육묘부재.
  3.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육묘 유닛은 판상인 접목용 육묘부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접목용 육묘부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육묘유닛은 복수의 육묘 유닛을 갖추고 있는 접목용 육묘부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육묘 유닛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목용 육묘부재.
  7. 청구항 5 또는 6 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육묘유닛은 복수의 육묘 유닛 각각의 상기 줄기 수용부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접목용 육묘부재.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육묘유닛은 복수의 육묘 유닛 각각의 상기 줄기 수용부가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접목용 육묘부재.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 부재는 어린 식물의 접목에 이용되는 접목용 육묘부재.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접목용 육묘부재를 복수 갖추고 있는 접목용 육묘세트.
  11. 접목묘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접목용 육묘부재이고, 제1육묘부재 및 제2육묘부재를 준비하는 것과,
    상기 제1육묘부재의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종자 수용부에 제1식물의 종자를 수용하고,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종자 수용부 내에서 상기 제1식물의 상기 종자를 발아시키고,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제1식물의 줄기를 신장시키는 것과,
    상기 제1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상기 제1의 식물의 상기 줄기를 유지하는 것과,
    상기 제1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제1식물의 상기 줄기를 절단하는 것과,
    상기 제2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종자 수용부에 제2식물의 종자를 수용하고,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종자 수용부 내에서 상기 제2식물의 상기 종자를 발아시키고.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제2식물의 줄기를 신장시키는 것과,
    상기 제2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상기 제2식물의 상기 줄기를 유지하는 것과,
    상기 제2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제2식물의 상기 줄기를 절단하는 것과,
    상기 제1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제1식물의 상기 줄기의 절단면과, 상기 제2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제2식물의 상기 줄기의 절단면을 접합하는 것을 갖추고 있는 접목묘의 생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육묘부재를 복수 부분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편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2육묘부재를 복수 부분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편을 형성하는 것을 더 갖추고,
    상기 제1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제1식물의 상기 줄기의 절단면과, 상기 제2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제2식물의 상기 줄기의 절단면을 접합하는 것은, 상기 제1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제1식물의 상기 줄기의 절단면과, 상기 제2의 육묘부재에서 상기 육묘유닛의 상기 줄기 보유부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제2식물의 상기 줄기의 절단면이 맞닿아 접하도록 상기 제1육묘부재에서 상기 복수의 분할편 중 하나의 분할편과, 상기 제2육묘부재에서의 상기 복수 분할편 중 하나의 분할편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목묘의 생산방법.
KR1020177024805A 2015-02-13 2016-02-12 접목용 육묘부재 및 육묘세트 및 접목묘 생산방법 KR20170118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6570 2015-02-13
JPJP-P-2015-026570 2015-02-13
PCT/JP2016/054168 WO2016129683A1 (ja) 2015-02-13 2016-02-12 接ぎ木用の育苗部材及び育苗セット、並びに接ぎ木苗の生産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108A true KR20170118108A (ko) 2017-10-24

Family

ID=5661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805A KR20170118108A (ko) 2015-02-13 2016-02-12 접목용 육묘부재 및 육묘세트 및 접목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0617065B2 (ko)
EP (1) EP3257355A4 (ko)
JP (2) JP6270187B2 (ko)
KR (1) KR20170118108A (ko)
CN (1) CN107205341B (ko)
AU (1) AU2016216962A1 (ko)
BR (1) BR112017017228A2 (ko)
CA (1) CA2976423A1 (ko)
EA (1) EA201791827A1 (ko)
IL (1) IL253842A0 (ko)
MX (1) MX2017010173A (ko)
WO (1) WO2016129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4997B2 (en) * 2017-04-28 2019-07-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replacement gates
EP3804501A4 (en) 2018-06-06 2022-03-02 GRA&GREEN Inc. ELEMENT FOR GRAFT, ELEMENT FOR GRAFT SET, FIXING TOOL FOR GRAFT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GRAFT SEEDLINGS
KR102400243B1 (ko) * 2019-07-25 2022-05-23 대한민국 과채류 접목묘의 저장 방법
WO2021112231A1 (ja) * 2019-12-05 2021-06-10 グランドグリーン株式会社 接木装置
CN112205190A (zh) * 2020-10-12 2021-01-12 陕西天宇润泽生态农业有限责任公司 一种优良的核桃品种嫁接培育方法
EP4063779B1 (en) 2021-03-26 2024-01-1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eat-exchanger pins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6113A (en) * 1921-09-22 1923-02-20 Maude A Blackwell Plant-propagation cell or container
US3028705A (en) * 1961-01-03 1962-04-10 Paul J Howard Multiple container for plants
AU758266A (en) * 1966-06-28 1968-12-12 Walter Barr Pty. Limited Propagation device
US3835584A (en) * 1972-01-07 1974-09-17 M Shimazu Synthetic form resin propagation bed for plants cutting
US3973355A (en) * 1974-01-18 1976-08-10 Agritec Co. Self-contained hydrophilic plant growth matrix and method
CA991408A (en) * 1974-04-08 1976-06-22 John Walters Planting containers
US3992810A (en) * 1974-06-05 1976-11-23 Lakeland Enterprises, Inc. Seedling tray
US4057932A (en) * 1975-01-06 1977-11-15 Henry Anderson Spencer Container for seedlings
US4050188A (en) * 1976-03-01 1977-09-27 Wingerden Aart Van Seedling growing container
US4012866A (en) * 1976-03-01 1977-03-22 Brokaw William H Method of root stock propagation
FR2592756B1 (fr) * 1986-01-10 1988-03-18 Ferrand Claude Element tubulaire ouvrant destine a la culture et a l'automatisation de sa manutention
JPS6434590U (ko) * 1987-08-25 1989-03-02
NL8801724A (nl) * 1988-07-07 1990-02-01 Rockwool Lapinus Bv Agroplug, agroplug-systeem en een plugstrip daarvoor.
JPH02127149A (ja) * 1988-11-07 1990-05-15 Aisin Seiki Co Ltd 水滴除去装置
DE69021084T2 (de) * 1989-01-19 1995-11-30 Komatsu Mfg Co Ltd Propfvorrichtung für unreife Pflanzen.
JPH02127149U (ko) 1989-03-27 1990-10-19
DE8912710U1 (ko) 1989-10-27 1991-02-21 Fischer Gmbh & Co Kg Internationale Handelsgesellschaft Mit Gaertnerischen Erzeugnissen Und Gartenbaubedarf, 5416 Hillscheid, De
JPH0399930U (ko) 1989-10-27 1991-10-18
CA2028290C (en) * 1989-11-01 1996-12-17 Aart Van Wingerden Tr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pagating, growing and handling plants
CA2017945C (en) * 1990-05-31 1998-05-19 Mario Robert Cormier Seedling container
NL9100161A (nl) * 1991-01-30 1992-08-17 Rockwool Grodan Bv Plantpot voor het telen van planten.
JPH0775456A (ja) * 1993-06-17 1995-03-20 Achilles Corp 水耕栽培用基材および植物の水耕栽培方法
JP2946393B2 (ja) 1994-06-10 1999-09-0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植物苗の育成方法及び育苗用トレイキャップ
JPH08242699A (ja) * 1995-03-09 1996-09-24 Techno Grafting Kenkyusho:Kk 接木苗用の育苗トレイ
JPH08280265A (ja) 1995-04-11 1996-10-2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育苗用苗ポット
JPH1084714A (ja) 1996-09-11 1998-04-07 Yazaki Corp 植物栽培用水性ゲル培地
US6050027A (en) * 1999-01-05 2000-04-18 Landmark Plastic Corporation Container for shipping young plants or seedlings
NL1017794C2 (nl) * 2001-04-09 2002-10-10 Rombomatic B V Inrichting voor het machinaal afscheiden van stekken van een plantentak.
US20030014915A1 (en) * 2001-07-18 2003-01-23 Holmberg Douglas A. Method of plant or tree propagation
NL1021463C2 (nl) * 2002-09-16 2004-03-18 Tno Werkwijze voor het scheiden van rozetplanten.
US20080078118A1 (en) * 2003-11-17 2008-04-03 Aerogrow International, Inc. Master gardener basket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US7171782B2 (en) * 2004-02-02 2007-02-06 Felknor Ventures, Llc Planter for growing plants
JP4857414B2 (ja) 2005-03-04 2012-01-18 井関農機株式会社 接木苗製造装置
US20070000170A1 (en) * 2005-06-30 2007-01-04 Rockwool International A/S Plant growth system
JP2007274996A (ja) * 2006-04-10 2007-10-25 Osaka Prefecture Univ 穂木収納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接木装置
US20120137581A1 (en) * 2009-08-07 2012-06-07 Nuplant Pty Ltd Plantlet handling system
IT1398756B1 (it) * 2010-03-02 2013-03-18 Tea Project Srl Apparato automatico per innesti di vegetali
BR112014015347B1 (pt) * 2011-12-23 2019-05-21 Tropicana Products, Inc. Recipiente, mistura de solo e método de desenvolvimento de plantas
US20130180171A1 (en) * 2012-01-13 2013-07-18 Kevin Oldenburg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and/or Analyzing Biological Samples
JP5508465B2 (ja) * 2012-04-09 2014-05-28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接ぎ木用植物の切断作業用治具
EP2919579B1 (en) * 2012-11-13 2020-04-15 Jalmaja Holding B.V. Growing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on water
EP2964015B1 (en) 2013-03-07 2018-12-19 Rockwool International A/S Method for growing plants using a superabsorbent polymer
DK2803261T3 (en) * 2013-05-16 2017-04-24 Nelson Garden AB Plant propagation container, a tray and a greenhouse for the container, and a method for propagating the growth of cuttings
JP5629353B1 (ja) * 2013-05-24 2014-11-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植物ホルダおよび移植装置
US9462756B2 (en) * 2013-11-20 2016-10-11 Ming-Tsun LIN Modular device for raising seed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55013B2 (ja) 2020-09-16
CN107205341A (zh) 2017-09-26
US20190021237A1 (en) 2019-01-24
BR112017017228A2 (pt) 2018-04-10
US10617065B2 (en) 2020-04-14
JP2018042568A (ja) 2018-03-22
CA2976423A1 (en) 2016-08-18
EP3257355A4 (en) 2018-08-29
JP6270187B2 (ja) 2018-01-31
WO2016129683A1 (ja) 2016-08-18
IL253842A0 (en) 2017-09-28
US20180027744A1 (en) 2018-02-01
EP3257355A1 (en) 2017-12-20
JPWO2016129683A1 (ja) 2017-11-02
MX2017010173A (es) 2018-02-21
AU2016216962A1 (en) 2017-09-07
US11147216B2 (en) 2021-10-19
EA201791827A1 (ru) 2018-05-31
CN107205341B (zh)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8108A (ko) 접목용 육묘부재 및 육묘세트 및 접목묘 생산방법
KR101570978B1 (ko) 수경재배용 모종판
CY1111366T1 (el) Μεθοδος για την κατασκευη ενος χλοοταπητα
KR101806825B1 (ko) 묘삼의 생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인삼의 수경재배방법
JP2011142902A (ja) 水耕栽培法
KR101360222B1 (ko)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KR20080089147A (ko) 종자를 수용하는 캡슐과 이 캡슐을 이용한 파종방법
CN203968614U (zh) 水分诱导壮根型植物种苗培养装置
JPH02273122A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90327B1 (ko) 딸기 모종 증식방법 및 증식도구
CN207410933U (zh) 一种便于移苗的条播式育苗装置
JP2001103841A (ja) 育苗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166973A (ja) 接木苗用の育苗トレイとそれを用いた栽培方法
KR100349261B1 (ko) 식물성장관찰학습용 수경재배용구
JP3130522U (ja) 教材用芽ねぎ栽培キット
JPH0292216A (ja) ジャガイモ用栽培器具
Capocasa et al. Micropropagated strawberry mother plants for high quality frigo and plug plants nursery production
JP2006320298A (ja) ウレタン千切培地
CN103947328A (zh) 水分诱导壮根型植物种苗培养装置
CN105104137A (zh) 一种用于植物染色体镜检的标本根培养方法
KR20170053970A (ko) 어린이 교육용 원예교구
JP2604152B2 (ja) 接木苗育成方法
JP3198973U (ja) 育苗移植用集合鉢体
JP2021184703A (ja) 育苗兼栽培装置、水耕育苗兼栽培方法及び土耕育苗兼栽培方法
JPH04440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