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486A -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486A
KR20170115486A KR1020177017979A KR20177017979A KR20170115486A KR 20170115486 A KR20170115486 A KR 20170115486A KR 1020177017979 A KR1020177017979 A KR 1020177017979A KR 20177017979 A KR20177017979 A KR 20177017979A KR 20170115486 A KR20170115486 A KR 20170115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ed
flame
mass
component
polypropyle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659B1 (ko
Inventor
타츠야 시미즈
양 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7011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08K3/006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05Salts of P-acids with N-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7Antista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6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합성 수지 성분으로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난연제 성분으로서 하기 (A)성분 및 (B)성분을 함유한다. 또한 난연제 성분으로서, (C)성분의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 수지 성분으로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A)성분: 오르토인산멜라민, 피로인산멜라민, 폴리인산멜라민의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멜라민염, (B)성분: 오르토인산피페라진, 피로인산피페라진, 폴리인산피페라진의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피페라진염.

Description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FLAME-RETARDANT POLYPROPYLENE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지 본래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난연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음)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성형 가공성, 내열성 및 역학적 특성 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저(低)비중, 경(輕)질량이라는 이점이 있어, 필름, 시트 및 구조 부품 등의 각종 성형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제품의 수송비의 비용 절감이나, 연비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는 자동차 용도 등에서는, 합성 수지 성형품의 경질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가연성이기 때문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난연제의 배합이 필요해진다.
이 난연제로서, 폴리인산이나 피로인산과 질소 함유 화합물의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소 시에 표면 팽창층(Intumescent)을 형성하고, 분해 생성물의 확산이나 전열을 억제함으로써 난연성을 발휘시키는 인투메센트계 난연제가 뛰어난 난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은, 불소계의 드립 방지제를 함유하기 때문에, 수지 본래의 물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불소계의 드립 방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난연제의 함유량이 많으면 수지 본래의 물성을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수지 조성물 전체의 질량이 늘어나며,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아, 난연제의 함유량이 적은 경질량의 수지 조성물이 필요해지게 되었다.
US2003/0088000A1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뛰어난 난연성과 수지 본래의 뛰어난 물성을 가지며, 경질량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뛰어난 난연성과 수지 본래의 뛰어난 물성을 가진 경질량의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합성 수지 성분으로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난연제 성분으로서 하기 (A)성분 및 (B)성분을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성분: 오르토인산멜라민, 피로인산멜라민, 폴리인산멜라민의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멜라민염
(B)성분: 오르토인산피페라진, 피로인산피페라진, 폴리인산피페라진의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피페라진염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난연제 성분의 (C)성분으로서,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합성 수지 성분으로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체는, 밀도가 10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뛰어난 난연성과 수지 본래의 물성을 가지며, 경질량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난연성과 수지 본래의 물성을 가진 경질량의 성형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난연성이란, 착화되기 어렵고, 또한 착화되어 연소가 지속되어도 그 속도가 상당히 늦거나, 그 후 자기 소화되는 성질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UL-94V 규격을 만족하는, 즉 이 규격에서 V-2 이상의 난연성을 가진다. UL-94V 규격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시험 방법과 같이 두께 0.8㎜ 이상 3.2㎜ 이하의 시험편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 등의 폴리프로필렌의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하, 간단히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에는, 합성 수지 성분으로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으로는, 중합되는 모노머로서, 프로필렌에 더하여 에틸렌 또는/및 부텐-1을 사용한 랜덤 공중합체이면 된다. 즉, 프로필렌에 에틸렌을 공중합한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프로필렌에 부텐-1을 공중합한 프로필렌과 부텐-1의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되며, 프로필렌에 에틸렌과 부텐-1을 공중합한 프로필렌과 에틸렌과 부텐-1의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난연성 면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또한 난연성 면에서, 공중합되는 모노머에 에틸렌을 포함하는 경우는 상기 공중합되는 모노머 중 에틸렌이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로서, 공중합되는 모노머 중 에틸렌이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품의 예를 들면, 프라임 폴리프로 J-721GR((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J-2021GR((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J-2023GR((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J-2041GA((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J-3021GR((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J226E((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J226T((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J227T((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J229E((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B221WA((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J232WA((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B241((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F227D((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F219DA((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F329RA((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F-744NP((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F-744NPT((주)프라임 폴리머제), 프라임 폴리프로 F-794NV((주)프라임 폴리머제), 노바테크 EG6D(니혼폴리프로(주)제), 노바테크 MG3F(니혼폴리프로(주)제), 노바테크 EG8B(니혼폴리프로(주)제), 노바테크 EG7F(니혼폴리프로(주)제), 노바테크 EG7FTB(니혼폴리프로(주)제), 노바테크 MG03BD(니혼폴리프로(주)제), 선 알로마 PM731M(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M731V(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M822V(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M921M(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M731V(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M923V(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M931M(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M931V(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M940M(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MA20V(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B222A(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S522M(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C540R(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C630A(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C630S(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C741R(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F742S(선 알로마(주)제), 선 알로마 PH943B(선 알로마(주)제) 등을 들 수 있다.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의 멜트 플로 레이트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면 0.5g/10min 이상, 50g/10min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성형의 용이성이나 난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은, 난연성과 경량화 면에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 40질량%~90질량%가 바람직하고, 50질량%~9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65질량%~90질량%가 더 바람직하고, 70질량%~85질량%가 보다 더 바람직하며, 75질량%~8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합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은 40질량%~85질량%인 것, 특히 50질량%~80질량%인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사용되는 난연제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난연제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A)성분의 멜라민염은, 오르토인산멜라민, 피로인산멜라민, 폴리인산멜라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단독이어도 되고 혼합물로 사용되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난연성 면에서 피로인산멜라민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혼합물로 사용하는 경우는, 피로인산멜라민의 함유 비율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피로인산멜라민의, 피로인산과 멜라민의 비는, 몰비로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인산과 멜라민의 염은, 각각 대응하는 인산 또는 인산염과 멜라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A)성분으로 사용되는 멜라민염은, 오르토인산 1멜라민을 가열 축합시켜 얻어진 피로인산멜라민 또는 폴리인산멜라민이 바람직하고, 특히 피로인산멜라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난연제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B)성분의 피페라진염은, 오르토인산피페라진, 피로인산피페라진, 폴리인산피페라진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은 단독이어도 되고 혼합물로 사용되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난연성 면에서, 피로인산피페라진이 바람직하고, 혼합물로 사용하는 경우는, 피로인산피페라진의 함유 비율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피로인산피페라진의, 피로인산과 피페라진의 비는, 몰비로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인산과 피페라진의 염은, 각각 대응하는 인산 또는 인산염과 피페라진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B)성분으로 사용되는 피페라진염은, 2오르토인산 1피페라진을 가열 축합시켜 얻어진 피로인산피페라진 또는 폴리인산피페라진이 바람직하고, 특히 피로인산피페라진이 바람직하다.
상기 (A)성분의 배합량은,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6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7~30질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20질량부이다. 한편, 상기 (B)성분의 배합량은,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9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45질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4~30질량부이다.
또한 합성 수지 성분으로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에 더하여, 다른 합성 수지를 배합하는 경우는,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과 다른 합성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A)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5~6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6~30질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20질량부이다. 한편, 상기 (B)성분의 배합량은,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와 다른 합성 수지의 합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8~9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9~45질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30질량부이다.
또한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뛰어난 난연성을 발휘함과 함께,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더 경량화를 위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 10질량%~35질량%가 바람직하고, 15질량%~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20질량%~25질량%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10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난연성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35질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물성을 손상시키거나, 질량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의 함유 비율(질량 기준)은, (A)/(B)=20/80~5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A)/(B)=30/70~50/5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C)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또한 난연제 성분 (C)성분으로서,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아연은 표면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산화아연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산화아연 1종(미츠이킨조쿠코교(주)제), 부분 피막형 산화아연(미츠이킨조쿠코교(주)제), 나노파인 50(평균 입경 0.02㎛의 초미립자 산화아연: 사카이카가쿠코교(주)제), 나노파인 K(평균 입경 0.02㎛의 규산아연 피막한 초미립자 산화아연: 사카이카가쿠코교(주)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의 (C)성분의 산화아연의 함유량은, (A)성분과 (B)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난연성 면에서, 0.01~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질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7.5질량부이다.
또한 난연제 성분으로서 (C)성분을 배합한 경우의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뛰어난 난연성을 발휘함과 함께,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더 경량화를 위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 10질량%~35질량%가 바람직하고, 15질량%~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20질량%~25질량%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10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난연성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35질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물성을 손상시키거나, 질량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난연성에 더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합성 수지 성분으로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에 더하여,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스티렌 및/또는 α-메틸스티렌과 다른 단량체(예를 들면, 무수말레산, 페닐말레이미드, 메타크릴산메틸,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메타크릴산메틸-부타디엔-스티렌(MBS) 수지, 내열 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AAS) 수지, 스티렌-무수말레산(SMA) 수지,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S) 수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 고무-스티렌(AES) 수지,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SBBS)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ABS)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그리고 이들 부타디엔 혹은 이소프렌의 이중 결합을 수소 첨가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수지,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SEPS) 수지,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SEP) 수지,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SEEPS) 수지 등의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복수의 블렌드물로도 사용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난연성 면에서,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수지,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SEPS) 수지가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경우의,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 비율(질량 기준)은, 10/1~1/3이 바람직하고, 5/1~1/2이 보다 바람직하며, 3/1~1/1.5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2차 응집의 억제나 내수성의 개량을 위해 실리콘 오일을 함유해도 된다. 실리콘 오일의 예로는, 폴리실록산의 측쇄(側鎖), 말단이 모두 메틸기인 디메틸 실리콘 오일, 폴리실록산의 측쇄의 일부가 페닐기인 메틸페닐 실리콘 오일, 폴리실록산의 측쇄의 일부가 수소인 메틸하이드로젠 실리콘 오일 등이나, 이들 코폴리머를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측쇄 및/또는 말단의 일부에 유기기를 도입한, 아민 변성, 에폭시 변성, 지환식 에폭시 변성, 카르복실 변성, 카르비놀 변성, 메르캅토 변성, 폴리에테르 변성, 장쇄(長鎖) 알킬 변성, 플루오로알킬 변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고급 지방산 아미드 변성, 실라놀 변성, 디올 변성, 페놀 변성 및/또는 아랄킬 변성한 변성 실리콘 오일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실리콘 오일의 구체예를 들면, 디메틸 실리콘 오일로서, KF-96(신에츠카가쿠(주)제), KF-965(신에츠카가쿠(주)제), KF-968(신에츠카가쿠(주)제) 등을 들 수 있고, 메틸하이드로젠 실리콘 오일 또는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구조를 가지는 실리콘 오일로서, KF-99(신에츠카가쿠(주)제), KF-9901(신에츠카가쿠(주)), HMS-151(Gelest사제), HMS-071(Gelest사제), HMS-301(Gelest사제), DMS-H21(Gelest사제) 등을 들 수 있으며, 메틸페닐 실리콘 오일의 예로는, KF-50(신에츠카가쿠(주)제), KF-53(신에츠카가쿠(주)제), KF-54(신에츠카가쿠(주)제), KF-56(신에츠카가쿠(주)제) 등을 들 수 있고, 에폭시 변성품으로는, 예를 들면 X-22-343(신에츠카가쿠(주)제), X-22-2000(신에츠카가쿠(주)제), KF-101(신에츠카가쿠(주)제), KF-102(신에츠카가쿠(주)제), KF-1001(신에츠카가쿠(주)제), 카르복실 변성품으로는, 예를 들면 X-22-3701E(신에츠카가쿠(주)제), 카르비놀 변성품으로는, 예를 들면 X-22-4039(신에츠카가쿠(주)제), X-22-4015(신에츠카가쿠(주)제), 아민 변성품으로는, 예를 들면 KF-393(신에츠카가쿠(주)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2차 응집의 억제나, 내수성,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해도 된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알케닐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 옥테닐트리메톡시실란, 알릴트리메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고, 아크릴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으며, 메타크릴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옥시옥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고, 에폭시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독시옥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으며, 아미노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N'-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 N-(비닐벤질)-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염산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트리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를 들 수 있고, 메르캅토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3-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으며, 우레이도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3-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고, 술피드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를 들 수 있으며, 티오에스테르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3-옥탄오일티오-1-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들 수 있고,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란 커플링제 중에서도, 2차 응집의 억제나, 내수성, 내열성 면에서, 에폭시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10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71,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300, 아사히카세이 바커 실리콘(주)제의 GENIOSIL XL10,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210 등을 들 수 있고, 비닐트리에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E-10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51,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519, 아사히카세이 바커 실리콘(주)제의 GENIOSIL GF56,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220 등을 들 수 있으며,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으로는, 아사히카세이 바커 실리콘(주)제의 GENIOSIL GF62를 들 수 있고,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으로는,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72를 들 수 있으며,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으로는,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2171, 아사히카세이 바커 실리콘(주)제의 GENIOSIL XL12 등을 들 수 있고, 옥테닐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1083을 들 수 있으며, 알릴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825를 들 수 있고,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1403을 들 수 있으며,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KBM-5103을 들 수 있고,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502,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033 등을 들 수 있으며,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5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74,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030, 아사히카세이 바커 실리콘(주)제의 GENIOSIL GF31,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710 등을 들 수 있고,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E-502를 들 수 있으며,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E-5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Y-9936을 들 수 있고, 메타크릴옥시옥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5803을 들 수 있고,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3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86,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043,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530 등을 들 수 있으며,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402,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044,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520 등을 들 수 있고,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4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87,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040, 아사히카세이 바커 실리콘(주)제의 GENIOSIL GF80,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510 등을 들 수 있으며,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E-402를 들 수 있고,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E-4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871, 아사히카세이 바커 실리콘(주)제의 GENIOSIL GF82 등을 들 수 있으며, 글리시독시옥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4803을 들 수 있고,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602,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2120, 아사히카세이 바커 실리콘(주)제의 GENIOSIL GF-95,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310 등을 들 수 있으며,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6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120,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122,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020,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Z-6094, 아사히카세이 바커 실리콘(주)제의 GENIOSIL GF-91,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320 등을 들 수 있고,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9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110,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610,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360 등을 들 수 있으며,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는, KBE-9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100,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011,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330 등을 들 수 있고,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으로는, KBE-9103,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340 등을 들 수 있으며,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57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Y-9669,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883 등을 들 수 있고, N,N'-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으로는,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XS1003을 들 수 있으며, N-(비닐벤질)-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염산염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575,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032,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350 등을 들 수 있고, 트리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9659를 들 수 있고, 3-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802,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852,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M-803,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89,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062, 니치비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사일라 에이스 S810 등을 들 수 있으며,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는,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891, 토레이 다우코닝(주)제의 Z-6911을 들 수 있고,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는,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160을 들 수 있으며,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E-585를 들 수 있고,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E-846을 들 수 있고, 3-옥탄오일티오-1-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는,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LINK599를 들 수 있으며,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KBE-9007,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A-1310 등을 들 수 있고,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는,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스 재팬 고도가이샤제의 Y-5187, 아사히카세이 바커 실리콘(주)제의 GENIOSIL GF4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난연성 조제로서, 다가(多價) 알코올 화합물을 배합해도 된다. 다가 알코올 화합물은, 복수의 하이드록실기가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펜타에리스리톨, 폴리펜타에리스리톨,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1,3,5-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THEIC),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만니톨, 말티톨, 락티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크실로오스, 수크로오스(슈쿠로스), 트레할로오스, 이노시톨, 프럭토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등이다. 이들 다가 알코올 화합물 중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펜타에리스리톨, 폴리펜타에리스리톨 등의, 펜타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의 축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의 축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며, 디펜타에리스리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THEIC 및 소르비톨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의 합성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10.0질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0질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3.0질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윤활제를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윤활제로는, 유동 파라핀, 천연 파라핀, 마이크로 왁스, 합성 파라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순(純)탄화수소계 윤활제;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윤활제; 고급 지방산, 옥시 지방산 등의 지방산계 윤활제; 지방산 아미드, 비스 지방산 아미드 등의 지방산 아미드계 윤활제; 지방산의 저속 알코올에스테르, 글리세리드 등의 지방산의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지방산의 폴리글리콜에스테르, 지방산의 지방 알코올에스테르(에스테르 왁스) 등의 에스테르계 윤활제; 금속 비누, 지방 알코올, 다가 알코올, 폴리글리콜, 폴리글리세롤, 지방산과 다가 알코올의 부분 에스테르, 지방산과 폴리글리콜, 폴리글리세롤의 부분 에스테르계의 윤활제나, 실리콘 오일, 광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윤활제의 배합량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의 합성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3~2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또한,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유기 또는 무기계의 난연제 또는 난연 조제의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들 난연제ㆍ난연 조제로는, 트리아진환 함유 화합물, 금속 수산화물,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 축합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 포스페이트계 난연제, 무기 인계 난연제, 디알킬포스핀산염, 실리콘계 난연제, 금속 산화물, 붕산 화합물, 팽창성 흑연, 그 밖의 무기계 난연 조제, 그 밖의 유기계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환 함유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멜라민, 암멜린, 벤조구아나민, 아세토구아나민, 프탈로디구아나민,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부틸렌디구아나민, 노보넨디구아나민, 메틸렌디구아나민, 에틸렌디멜라민, 트리메틸렌디멜라민, 테트라메틸렌디멜라민, 헥사메틸렌디멜라민, 1,3-헥실렌디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수산화물로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수산화아연, 키스마 5A(교와카가쿠코교(주)제 수산화마그네슘의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의 예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실레닐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크실레닐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디페닐포스페이트, t-부틸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비스-(t-부틸페닐)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t-부틸페닐)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비스-(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축합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의 예로는, 1,3-페닐렌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1,3-페닐렌비스(디크실레닐포스페이트), 비스페놀A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인계 난연제로는, 적린(red phosphorus)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알킬포스핀산염으로는, 디에틸포스핀산알루미늄, 디에틸포스핀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무기계 난연 조제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이산화티탄,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무기 화합물, 및 그 표면 처리품을 들 수 있다. 그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TIPAQUE R-680(이시하라산교(주)제 산화티탄의 상표), 쿄와마그 150(교와카가쿠코교(주)제 산화마그네슘의 상표), DHT-4A (하이드로탈사이트: 교와카가쿠코교(주)제), 알카마이저 4(교와카가쿠코교(주)제 아연 변성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상표), 등의 다양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hindered) 아민계 광안정제, 노화 방지제 등을 배합해도 된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2,6-디제3부틸-p-크레졸,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디스테아릴(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1,6-헥사메틸렌비스[(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아미드], 4,4'-티오비스(6-제3부틸-m-크레졸), 2,2'-메틸렌비스(4-메틸-6-제3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제3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6-제3부틸-m-크레졸), 2,2'-에틸리덴비스(4,6-디제3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제2부틸-6-제3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제3부틸페닐)부탄, 1,3,5-트리스(2,6-디메틸-3-하이드록시-4-제3부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2-제3부틸-4-메틸-6-(2-아크릴로일옥시-3-제3부틸-5-메틸벤질)페놀, 스테아릴(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키스[3-(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메틸]메탄, 티오디에틸렌글리콜비스[(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사메틸렌비스[(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제3부틸페닐)부티르산]글리콜에스테르, 비스[2-제3부틸-4-메틸-6-(2-하이드록시-3-제3부틸-5-메틸벤질)페닐]테레프탈레이트, 1,3,5-트리스[(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3,9-비스[1,1-디메틸-2-{(3-제3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제3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의 합성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제3부틸-4-(3-제3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티오)-5-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옥틸디페닐포스파이트, 디(데실)모노페닐포스파이트, 디(트리데실)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디(노닐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제3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제3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제3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쿠밀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디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4,4'-n-부틸리덴비스(2-제3부틸-5-메틸페놀)디포스파이트, 헥사(트리데실)-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제3부틸페닐)부탄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제3부틸페닐)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2,2'-메틸렌비스(4,6-제3부틸페닐)-2-에틸헥실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제3부틸페닐)-옥타데실포스파이트, 2,2'-에틸리덴비스(4,6-디제3부틸페닐)플루오로포스파이트, 트리스(2-[(2,4,8,10-테트라키스제3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6-일)옥시]에틸)아민, 2-에틸-2-부틸프로필렌글리콜과 2,4,6-트리제3부틸페놀의 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제3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인계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의 합성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티오에테르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티오디프로피온산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온산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온산디스테아릴 등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류, 및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β-알킬티오프로피온산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이들 티오에테르계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의 합성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5,5'-메틸렌비스(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2-하이드록시벤조페논류;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제3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제3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제3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쿠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제3옥틸-6-(벤조트리아졸릴)페놀), 2-(2'-하이드록시-3'-제3부틸-5'-카르복시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 페닐살리실레이트, 레조르시놀모노벤조에이트, 2,4-디제3부틸페닐-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4-디제3아밀페닐-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류;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2-에톡시-4'-도데실옥사닐리드 등의 치환 옥사닐리드류; 에틸-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시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 2-(2-하이드록시-4-옥톡시페닐)-4,6-비스(2,4-디제3부틸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프로폭시-5-메틸페닐)-4,6-비스(2,4-디제3부틸페닐)-s-트리아진 등의 트리아릴트리아진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의 합성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3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1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는, 예를 들면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스테아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스테아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ㆍ디(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ㆍ디(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4,4-펜타메틸-4-피페리딜)-2-부틸-2-(3,5-디제3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2-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숙신산디에틸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2,4-디클로로-6-모르폴리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2,4-디클로로-6-제3옥틸아미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6,11-트리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1,6,11-트리스[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등의 힌더드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배합량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의 합성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3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1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노화 방지제로는, 나프틸아민계, 디페닐아민계, p-페닐디아민계, 퀴놀린계,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모노페놀계, 티오비스페놀계, 힌더드 페놀계, 아인산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노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중의 합성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5질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으로서 강화재를 배합해도 된다. 이 강화재로는, 통상 합성 수지의 강화에 사용되는 섬유상, 판상, 입상(粒狀), 분말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섬유, 석면(asbestos) 섬유, 탄소 섬유, 그라파이트 섬유, 금속 섬유, 티탄산칼륨 위스커(whisker), 붕산알루미늄 위스커, 마그네슘계 위스커, 규소계 위스커, 규회석(wollastonite), 세피올라이트, 석면, 슬래그 섬유, 조놀라이트, 엘레스타다이트(ellestadite), 석고 섬유, 실리카 섬유, 실리카ㆍ알루미나 섬유, 지르코니아 섬유, 질화붕소 섬유, 질화규소 섬유 및 붕소 섬유 등의 무기 섬유상 강화재,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아크릴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 케나프(kenaf), 라미(ramie), 목면, 주트(jute), 삼(hemp), 사이잘(sisal), 아마(flax), 리넨, 실크, 마닐라 삼, 사탕수수, 목재 펄프, 휴지, 폐지 및 울 등의 유기 섬유상 강화재, 유리 플레이크, 비팽윤성 운모, 그라파이트, 금속박, 세라믹 비즈, 클레이, 마이카, 세리사이트,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돌로마이트, 카올린, 미분(微粉)규산, 장석분(長石粉), 티탄산칼륨, 시라스 벌룬(shirasu balloon),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이산화티탄, 규산알루미늄, 석고, 노바큘라이트, 도소나이트 및 백토 등의 판상이나 입상의 강화재를 들 수 있다. 이들 강화재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에폭시 수지 등의 열변화성 수지로 피복 또는 집속(集束) 처리되어 있어도 되고, 아미노 실란이나 에폭시 실란 등의 커플링제 등으로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으로서 층상(層狀) 규산염을 배합해도 된다. 층상 규산염으로는,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바이델라이트, 스티븐사이트, 논트로나이트 등의 스멕타이트계 점토 광물, 버미큘라이트, 할로이사이트, 팽윤성 마이카, 탤크 등을 들 수 있고, 그 층간에 유기 양이온, 제4급암모늄 양이온, 포스포늄 양이온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으로서, 또한 결정 핵제를 배합해도 된다. 상기 결정 핵제로는 일반적으로 폴리머의 결정 핵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무기계 결정 핵제 및 유기계 결정 핵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결정 핵제의 구체예로는, 카올리나이트, 합성 마이카, 클레이, 제올라이트,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황화칼슘, 질화붕소,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산화네오디뮴 및 페닐포스포네이트 등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계 결정 핵제는,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유기물로 수식(修飾)되어 있어도 된다.
유기계 결정 핵제의 구체예로는,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리튬, 안식향산칼슘, 안식향산마그네슘, 안식향산바륨, 테레프탈산리튬, 테레프탈산나트륨, 테레프탈산칼륨, 옥살산칼슘, 라우르산나트륨, 라우르산칼륨, 미리스트산나트륨, 미리스트산칼륨, 미리스트산칼슘, 옥타코산산나트륨, 옥타코산산칼슘,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륨, 스테아르산리튬,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바륨, 몬탄산나트륨, 몬탄산칼슘, 톨루엔산나트륨, 살리실산나트륨, 살리실산칼륨, 살리실산아연, 알루미늄디벤조에이트, 칼륨디벤조에이트, 리튬디벤조에이트, 나트륨β-나프탈레이트, 나트륨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등의 유기 카르복실산 금속염, p-톨루엔술폰산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나트륨 등의 유기 술폰산염, 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라우르산아미드, 팔미트산아미드,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에루카산아미드, 트리메스산트리스(t-부틸아미드) 등의 카르복실산아미드, 벤질리덴소르비톨 및 그 유도체, 나트륨-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의 인 화합물 금속염, 및 2,2-메틸비스(4,6-디-t-부틸페닐)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으로서, 가소제를 배합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는, 일반적으로 폴리머의 가소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글리세린계 가소제, 다가 카르복실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알킬렌글리콜계 가소제 및 에폭시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의 구체예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로진 등의 산 성분과,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단관능 카르복실산 혹은 단관능 알코올로 말단이 봉쇄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에폭시 화합물 등으로 말단이 봉쇄되어 있어도 된다.
글리세린계 가소제의 구체예로는, 글리세린모노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아세토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올레이트 및 글리세린모노아세토모노몬타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카르복실산에스테르계 가소제의 구체예로는, 프탈산디메틸, 프탈산디에틸, 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디헵틸, 프탈산디벤질, 프탈산부틸벤질 등의 프탈산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트리부틸, 트리멜리트산트리옥틸, 트리멜리트산트리헥실 등의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n-옥틸-n-데실, 아디프산메틸디글리콜부틸디글리콜, 아디프산벤질메틸디글리콜, 아디프산벤질부틸디글리콜 등의 아디프산에스테르, 아세틸구연산트리에틸, 아세틸구연산트리부틸 등의 구연산에스테르, 아젤라산디-2-에틸헥실 등의 아젤라산에스테르, 세바스산디부틸, 및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등의 세바스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알킬렌글리콜계 가소제의 구체예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ㆍ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및/또는 랜덤 공중합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비스페놀류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중합체, 비스페놀류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중합체, 비스페놀류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부가 중합체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혹은 그 말단 에폭시 변성 화합물, 말단 에스테르 변성 화합물, 및 말단 에테르 변성 화합물 등의, 말단 봉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계 가소제란, 일반적으로는 에폭시 스테아르산알킬과 대두유로 이루어지는 에폭시트리글리세리드 등을 가리키지만, 그 밖에도, 주로 비스페놀A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원료로 하는 바와 같은, 이른바 에폭시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가소제의 구체예로는, 네오펜틸글리콜디벤조에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올의 안식향산에스테르, 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의 지방산 아미드, 올레산부틸 등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아세틸리시놀산메틸, 아세틸리시놀산부틸 등의 옥시산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각종 소르비톨,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및 파라핀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소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으로서, 또한 아크릴계 가공 조제를 배합해도 된다. 아크릴계 가공 조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을 중합 또는 2종 이상을 공중합 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드립 방지제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불소계 드립 방지제의 배합은, 환경에 대한 부하를 고려한 논 할로겐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이 가지는 물성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불소계 드립 방지제의 예로는,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등의 불소계 수지나 퍼플루오로메탄술폰산나트륨염, 퍼플루오로-n-부탄술폰산칼륨염, 퍼플루오로-t-부탄술폰산칼륨염,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나트륨염, 퍼플루오로-2-에틸헥산술폰산칼슘염 등의 퍼플루오로알칸술폰산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또는 퍼플루오로알칸술폰산알칼리 토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 합성 수지에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가교제, 대전 방지제, 금속 비누, 충전제, 방담제(防曇劑), 플레이트 아웃 방지제, 표면 처리제, 형광제, 방미제(防黴劑), 살균제, 발포제, 금속 불활성제, 이형제(離型劑), 안료, 가공 조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A)~(C)성분 이외의 임의 성분(단,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수지는 제외함)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에 대하여 합계 40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는, 수지 성분으로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상기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외의 합성 수지를 배합해도 된다. 이러한 합성 수지의 예로는, 호모폴리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直鎖) 저밀도 폴리에틸렌, 가교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펜텐 등의 α-올레핀 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및 이들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 폴리불화비닐리덴, 염화고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아세트산비닐 삼원 공중합체, 염화비닐-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말레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등의 할로겐 함유 수지; 석유 수지, 쿠마론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아크릴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직쇄 폴리에스테르;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락트산 수지, 폴리말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디옥산, 폴리(2-옥세타논) 등의 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카프로락탐 및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분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우레탄, 섬유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및 이들 블렌드물 혹은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변화성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액정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의 구체예를 들면,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니트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나일론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합성 수지는, 1종만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합성 수지는 알로이(alloy)화되어 있어도 된다.
합성 수지는, 분자량, 중합도, 밀도, 연화점, 용매에 대한 불용분의 비율, 입체 규칙성의 정도, 촉매 잔사의 유무, 원료가 되는 모노머의 종류나 배합 비율, 중합 촉매의 종류(예를 들면, 치글러(Ziegler) 촉매, 메탈로센 촉매 등) 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제조 시에,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에 (A), 및 (B)성분, 필요에 따라 (C)성분을 더 배합하는 타이밍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A)~(C)성분 중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을 원팩(one-pack)화하고 나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에 배합해도 되고, 또는 각각의 성분을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배합해도 된다.
원팩화하는 경우에는, 각 성분을 미리 각각 분쇄하고 나서 혼합해도 되고, 또는 미리 각 성분을 혼합하고 나서 분쇄해도 된다.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수지나 다른 임의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성형함으로써 난연성이 뛰어나고, 수지 물성이 뛰어나며, 경량의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난연성과 수지 물성, 경량화 면에서, 그 밀도가 10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005㎏/㎥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체 밀도의 하한으로는, 제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900㎏/㎥ 이상이 바람직하고, 9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형체의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압출 가공, 캘린더 가공, 사출 성형, 롤, 압축 성형, 블로(blow) 성형 등을 들 수 있으며, 수지판, 시트, 필름, 이형품 등의 다양한 형상의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성형체는, 전기ㆍ전자ㆍ통신, 농림수산, 광업, 건설, 식품, 섬유, 의류, 의료, 석탄, 석유, 고무, 피혁, 자동차, 정밀 기기, 목재, 건재, 토목, 가구, 인쇄, 악기 등의 폭넓은 산업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 PC, 워드프로세서, 키보드, PDA(소형 정보 단말기), 전화기, 복사기, 팩시밀리, ECR(전자식 금전 등록기), 전자계산기, 전자수첩, 카드, 홀더, 문구 등의 사무, OA 기기, 세탁기, 냉장고, 청소기, 전자레인지, 조명 기구, 게임기, 다리미, 코타츠 등의 가전 기기, TV, VTR, 비디오 카메라,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리코더, 미니 디스크, CD 플레이어, 스피커,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AV 기기, 커넥터, 릴레이, 콘덴서, 스위치, 프린트 기판, 코일 보빈, 반도체 밀봉 재료, LED 밀봉 재료, 전선, 케이블, 트랜스, 편향 요크, 분전반, 시계 등의 전기ㆍ전자 부품 및 통신 기기, OA 기기 등의 하우징(테두리, 케이스, 커버, 외장)이나 부품, 자동차 내외장재의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성형체는, 좌석(충전물, 겉감 등), 벨트, 천장 막(ceiling covering), 컨버터블 탑, 암레스트, 도어 트림, 리어 패키지 트레이, 카펫, 매트, 선바이저, 휠 커버, 매트리스 커버, 에어백, 절연재, 보조 손잡이(assist grip), 보조 손잡이 끈, 전선 피복재, 전기 절연재, 도료, 코팅재, 마감재, 바닥재, 코너벽, 카펫, 벽지, 벽장재, 외장재, 내장재, 지붕재, 갑판재, 벽재, 기둥재, 깔판, 담장 재료, 골조 및 조형(繰形), 창문 및 도어형 재, 지붕널, 널판, 테라스, 발코니, 방음판, 단열판, 창문재 등의, 자동차, 하이브리드카, 전기 자동차, 차량, 선박, 항공기, 건물, 주택 및 건축용 재료나, 토목 재료, 의류, 커튼, 시트, 합판, 합성 섬유판, 융단, 현관 매트, 시트, 버킷(bucket), 호스, 용기, 안경, 가방, 케이스, 고글, 스키판, 라켓, 텐트, 악기 등의 생활 용품, 스포츠 용품 등의 각종 용도로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표 1의 배합은, 모두 질량부 기준이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12]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성분 배합으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조정하고, 이어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200~230℃에서 압출하여 펠릿(pellet)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200℃에서 사출 성형하고 길이 127㎜, 폭 12.7㎜, 두께 1.6㎜의 시험편을 얻었다.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난연성 시험으로서, 하기 시험 방법으로, UL-94V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의 시험편의 질량과 체적을 측정하고, 계산에 의해 성형체의 밀도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와 동일하게 하여 표 1 및 2에 기재된 배합으로 비교예를 실시했다. 비교예는, 실시예의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대신에, 호모폴리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4 및 8의 시험편의 질량과 체적을 측정하고, 계산에 의해 성형체의 밀도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난연성 UL-94V 시험 방법>
길이 127㎜, 폭 12.7㎜, 두께 1.6㎜의 시험편을 수직으로 유지하고, 하단에 버너의 불을 10초간 접촉시킨 후에 불꽃을 제거하고, 시험편에 착화된 불이 사라지는 시간을 측정했다. 다음으로, 불이 사라짐과 동시에 2회째의 불꽃 접촉을 10초간 실시하고, 1회째와 동일하게 하여 착화된 불이 사라지는 시간을 측정했다. 또한 낙하하는 불씨에 의해 시험편 아래의 솜이 착화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동시에 평가했다.
1회째와 2회째의 연소 시간, 솜 착화의 유무 등으로부터 UL-94V 규격에 따라 연소 랭크를 매겼다. 연소 랭크는 V-0이 최고인 것이며, V-1, V-2가 됨에 따라 난연성은 저하된다. 단, V-0~V-2의 랭크 중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것은 NR로 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Claims (5)

  1. 합성 수지 성분으로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난연제 성분으로서 하기 (A)성분 및 (B)성분을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A)성분: 오르토인산멜라민, 피로인산멜라민, 폴리인산멜라민의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멜라민염
    (B)성분: 오르토인산피페라진, 피로인산피페라진, 폴리인산피페라진의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피페라진염
  2. 제1항에 있어서,
    난연제 성분으로서, (C)성분의 산화아연을 추가로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합성 수지 성분으로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추가로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성형체.
  5. 제4항에 있어서,
    밀도가 1020㎏/㎥ 이하인 성형체.
KR1020177017979A 2015-02-06 2016-01-21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2441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1891 2015-02-06
JPJP-P-2015-021891 2015-02-06
PCT/JP2016/051684 WO2016125591A1 (ja) 2015-02-06 2016-01-21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486A true KR20170115486A (ko) 2017-10-17
KR102441659B1 KR102441659B1 (ko) 2022-09-08

Family

ID=5656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979A KR102441659B1 (ko) 2015-02-06 2016-01-21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66673B2 (ko)
EP (1) EP3255100B1 (ko)
JP (1) JP6675331B2 (ko)
KR (1) KR102441659B1 (ko)
CN (1) CN107207806B (ko)
TW (1) TWI685528B (ko)
WO (1) WO201612559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435A1 (ko) * 2018-12-21 2020-06-2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1107540A1 (ko) * 2019-11-27 2021-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341612B1 (ko) * 2021-05-14 2021-12-20 이종욱 친환경 tpe 소재를 이용한 방염안전 벽 보호대
KR20220018428A (ko) * 2020-08-06 2022-02-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11718739B2 (en) 2018-03-30 2023-08-08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5563B2 (ja) * 2016-06-15 2020-12-23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
JP7158384B2 (ja) * 2017-07-24 2022-10-21 株式会社Adeka 組成物及び難燃性樹脂組成物
JP7090483B2 (ja) * 2017-11-06 2022-06-24 株式会社フジクラ 難燃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成形体、絶縁電線、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MY193858A (en) * 2018-02-09 2022-10-28 Inoova Mat Science Sdn Bhd An elastomeric composition
US11931973B2 (en) 2018-03-02 2024-03-19 Ticona Llc Weatherable fiber-reinforced propylene composition
EP3802479A4 (en) * 2018-05-28 2022-03-09 Robert Valentine Kasowski FR COMPOSITIONS WITH DRIPPING ADDITIVES
CN109181003A (zh) * 2018-08-06 2019-01-11 台启龙 阻燃低烟功能母料的制备方法及该功能母料
CN109666214A (zh) * 2018-11-29 2019-04-23 安徽康乐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低能耗epp阻燃颗粒
CN109987852A (zh) * 2019-04-23 2019-07-09 广州市榕锦建筑工程安装有限公司 一种耐火建筑幕墙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552584A (zh) * 2019-09-26 2021-03-26 合肥杰事杰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可陶瓷化阻燃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409693B (zh) * 2020-11-26 2023-05-09 浙江旭森阻燃剂股份有限公司 具有良好阻燃和加工性能的无卤阻燃剂及阻燃树脂组合物
EP4263705A1 (en) 2020-12-16 2023-10-25 Ticona LLC Uv stable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ion
EP4124636A1 (en) * 2021-07-29 2023-02-01 Borealis AG Flame retardant composition comprising a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CN113845725B (zh) * 2021-10-19 2023-03-21 青岛塑科高分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耐水性的阻燃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160692B (zh) * 2022-07-14 2023-11-17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可吸塑聚丙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8000A1 (en) 2001-07-17 2003-05-08 Asahi Denka Kogyo Kabushiki Kaisha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JP2008063458A (ja) * 2006-09-07 2008-03-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難燃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物品、成形部品およびケーブル
JP2013515827A (ja) * 2009-12-31 2013-05-09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ワイヤーおよびケーブル用途のハロゲンフリー難燃性熱可塑性組成物
JP2013082870A (ja) * 2011-09-28 2013-05-09 Mitsui Chemicals Inc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それからなる成形体並びに電線
JP2013155244A (ja) * 2012-01-27 2013-08-15 Mitsubishi Chemicals Corp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2014065822A (ja) * 2012-09-26 2014-04-17 Fujikura Ltd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JP2014523460A (ja) * 2011-06-21 2014-09-1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ピペラジン系膨張性難燃剤を含むハロゲンフリー難燃性ポリマー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567A (ja) * 1996-02-13 1997-08-26 Chisso Corp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WO2005080494A1 (ja) 2004-02-24 2005-09-01 Adeka Corporation 流動性の改善された難燃剤組成物、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5414168B2 (ja) * 2007-11-14 2014-02-12 株式会社Adeka 加工性の改善された難燃剤組成物、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CN102066496B (zh) * 2008-06-16 2013-10-02 Adeka株式会社 非卤系阻燃性合成树脂组合物
JP5793068B2 (ja) * 2011-12-06 2015-10-14 株式会社Adek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5503071B1 (ja) * 2013-12-09 2014-05-28 出光ライオン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成形品及び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03992293A (zh) * 2014-05-07 2014-08-20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剂的制备方法及其阻燃聚烯烃组合物
CN104119610A (zh) * 2014-07-04 2014-10-29 广东聚石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v0级无卤阻燃增强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6448370B2 (ja) * 2015-01-08 2019-01-09 株式会社Adeka 難燃剤組成物及び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KR102519613B1 (ko) * 2015-02-05 2023-04-0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8000A1 (en) 2001-07-17 2003-05-08 Asahi Denka Kogyo Kabushiki Kaisha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JP2008063458A (ja) * 2006-09-07 2008-03-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難燃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物品、成形部品およびケーブル
JP2013515827A (ja) * 2009-12-31 2013-05-09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ワイヤーおよびケーブル用途のハロゲンフリー難燃性熱可塑性組成物
JP2014523460A (ja) * 2011-06-21 2014-09-1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ピペラジン系膨張性難燃剤を含むハロゲンフリー難燃性ポリマー組成物
JP2013082870A (ja) * 2011-09-28 2013-05-09 Mitsui Chemicals Inc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それからなる成形体並びに電線
JP2013155244A (ja) * 2012-01-27 2013-08-15 Mitsubishi Chemicals Corp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2014065822A (ja) * 2012-09-26 2014-04-17 Fujikura Ltd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8739B2 (en) 2018-03-30 2023-08-08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WO2020130435A1 (ko) * 2018-12-21 2020-06-2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00078802A (ko) * 2018-12-21 2020-07-02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1661505B2 (en) 2018-12-21 2023-05-30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WO2021107540A1 (ko) * 2019-11-27 2021-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20018428A (ko) * 2020-08-06 2022-02-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20018433A (ko) * 2020-08-06 2022-02-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아데노신 삼인산 및 폴리젖산에 기반한 난연성 플라스틱
KR102341612B1 (ko) * 2021-05-14 2021-12-20 이종욱 친환경 tpe 소재를 이용한 방염안전 벽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39913A (zh) 2016-11-16
US20180016419A1 (en) 2018-01-18
EP3255100A4 (en) 2018-09-12
JP6675331B2 (ja) 2020-04-01
EP3255100B1 (en) 2021-08-18
KR102441659B1 (ko) 2022-09-08
US10266673B2 (en) 2019-04-23
CN107207806B (zh) 2020-07-28
CN107207806A (zh) 2017-09-26
TWI685528B (zh) 2020-02-21
EP3255100A1 (en) 2017-12-13
JPWO2016125591A1 (ja) 2017-11-16
WO2016125591A1 (ja)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5486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US10508194B2 (en) Flame-retardant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JP6448370B2 (ja) 難燃剤組成物及び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KR102512595B1 (ko)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수지 조성물
KR20160045627A (ko)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KR20180124843A (ko)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JP7345463B2 (ja) ポリリン酸アミン塩組成物、ポリリン酸アミン塩難燃剤組成物、これを含有する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EP3835367A1 (en) Additive composition, flame-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olded article thereof
KR102667723B1 (ko) 폴리인산 아민염 조성물, 폴리인산 아민염 난연제 조성물, 이것을 함유하는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