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922A -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동형 기기, 서버 기기, 및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동형 기기, 서버 기기, 및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922A
KR20170112922A KR1020160116219A KR20160116219A KR20170112922A KR 20170112922 A KR20170112922 A KR 20170112922A KR 1020160116219 A KR1020160116219 A KR 1020160116219A KR 20160116219 A KR20160116219 A KR 20160116219A KR 20170112922 A KR20170112922 A KR 20170112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instruction
mobile devic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850B1 (ko
Inventor
하지메 가지야마
히데키 후지모토
구니토시 야마모토
마리코 미야자키
나오야 오가타
아키라 이치카와
데츠야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1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task planning, object-oriented langu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4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 H04N1/0025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with an apparatus for taking photographic images, e.g.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G06K2017/00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自走式) 프린터를 구비하여 자신의 자리에서의 프린트 출력 같은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자주식 프린터의 효율적인 운용과 프린트 출력의 지연 방지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프린트 출력을 지시하는 클라이언트 기기(10)와, 프린트 출력의 지시를 받아서 그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 프린트 출력의 지시를 행한 유저인 것의 인증을 거쳐 프린트 출력을 실행하는 자주식 프린터(20)와, 고정 위치에 거치되어 프린트 출력을 행하는 복합기(40)를 구비하고, 자주식 프린터(20)가, 프린트 출력의 지시를 받아서 그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도, 프린트 출력을 지시한 유저인 것의 인증을 얻지 못하는 인증 불능 시에, 자신에 의한 프린트 출력을 행하지 않고, 그 프린트 출력의 서비스를 복합기(40)에게 맡긴다.

Description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동형 기기, 서버 기기, 및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SERVICE PROVIDING SYSTEM, MOBILE APPARATUS, SERVER APPARATUS, AND SERVICE PROVIDING PROGRAM}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동형 기기, 서버 기기, 및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오피스 내 등의 미리 정해진 공간 내에서 자주(自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지정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탐색해서 지정 위치로 이동하는 자주식 청소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동적 장해물이 존재할 수 있는 환경 하에 있어서, 동적 장해물과의 조우(遭遇) 확률이 최저로 되는 루트를 선택해서 자주하는 자주식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인쇄 요구를 행한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정기적으로 산출하고, 그 이용자가 이동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그 이용자의 자리까지 이동해서 인쇄를 실행하도록 지시를 내보내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14-071845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4-20929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6-012878호 공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기를 구비하여 그 이동형 기기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장소로 이동시키고, 보안을 위하여 유저의 인증을 거치고 나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에, 곧바로 인증을 얻지 못했을 때에 어떻게 처리할지가 문제로 된다. 그 경우에, 인증이 얻어질 때까지 그 이동형 기기를 그 장소에 머물게 해두면, 제 2 서비스 제공의 지시가 있어도 그 제 2 서비스 제공의 지시에 대응하는 것이 지연되어 버리게 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인증을 얻지 못할 때에 그 서비스의 실행을 뒤로 미뤄서 제 2 서비스를 우선시켜, 그 이동형 기기를 그 제 2 서비스의 제공 장소로 향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서비스의 제공을 최초에 지시한 유저가, 그 지시한 서비스를 즉시 받을 필요가 있는 상황에 있어도, 곧바로 서비스를 받을 수 없어 서비스를 받는 것이 지연되어 버리는 결과로 된다. 예를 들면, 그 이동형 기기가 이동형의 프린터이며, 어느 유저가, 앞으로 개시될 회의에서 사용할 예정인 자료의 프린트 출력을 지시해 두고서, 그 회의를 위한, 그 자료의 준비 이외의 준비를 위하여 자신의 자리를 잠시 떠났을 경우에, 자신의 자리에 부재였으므로, 그 자주식의 프린터가 다른 유저를 위한 프린트 출력을 우선시켜 그 다른 유저의 자리를 향해서 이동해 버리는, 회의의 자료를 회의 시간에 맞출 수 없다는 사태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태를 피해서 지체 없이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서비스의 제공을 일단 지시하면 이동식 기기가 자신의 자리로 이동해 올 때까지 자신의 자리로부터 떠날 수 없다고 하면, 이것도 편의성이 나쁜 시스템으로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 인증을 얻지 못하는 경우여도 그 서비스의 제공을 거치형 기기에게 맡기지 못하는 경우에 비해, 서비스의 지연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클라이언트 기기와,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거쳐 당해 유저에 대하여 당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기와, 고정 위치에 거치(据置)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형 기기가,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도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얻지 못하는 인증 불능 시에, 당해 서비스의 자신에 의한 제공을 정지하고, 당해 서비스의 제공을 상기 거치형 기기에게 맡기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2] [1]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발신된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수신하는 지시 수신부와, 당해 지시 수신부에서 수신한 지시에 따른 서비스의 제공을 상기 이동형 기기에 지시하는 서비스 지시부와, 상기 인증 불능 시에, 당해 서비스 제공의 역할을 상기 거치형 기기로 대체하는 서비스 대체부를 가져도 된다.
[3] [1] 또는 [2]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는, 상기 이동형 기기가 당해 서비스의 제공을 상기 거치형 기기로 대체한 것의 통지를 받으며, 또한 상기 거치형 기기로 일단 대체된 서비스를, 상기 통지를 받은 후의 당해 클라이언트 기기를 조작하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이동형 기기로 다시 대체하는 것을 지시하고 있어도 된다.
[4] [1]∼[3]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지시를 행한 유저의 자리에 당해 유저가 재석(在席)해 있는지의 여부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인식하는 재석 인식 기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이동형 기기는,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재석 인식 기기에 의해,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자리에 당해 유저가 부재인 것이 인식되었을 때는, 당해 유저의 곁으로의 이동을 정지해도 된다.
[5]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거쳐 당해 유저에 대하여 당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기로서, 상기 이동형 기기가,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도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얻지 못하는 인증 불능 시에, 당해 서비스의 자신에 의한 제공을 정지하고, 당해 서비스의 제공을, 고정 위치에 거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기기에게 맡기는 이동형 기기가 제공된다.
[6]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발신된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수신하는 지시 수신부와, 상기 지시 수신부에서 수신한 지시에 따른 서비스의 제공을,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거쳐 당해 유저에 대하여 당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기에 지시하는 서비스 지시부와, 상기 이동형 기기가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도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얻지 못하는 인증 불능 시에, 당해 서비스 제공의 역할을, 고정 위치에 거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기기로 대체하는 서비스 대체부를 갖는 서버 기기가 제공된다.
[7]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내에서 실행되어, 당해 정보 처리 장치를,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발신된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수신하는 지시 수신부와, 상기 지시 수신부에서 수신한 지시에 따른 서비스의 제공을,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거쳐 당해 유저에 대하여 당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기에 지시하는 서비스 지시부와, 상기 이동형 기기가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도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얻지 못하는 인증 불능 시에, 당해 서비스 제공의 역할을, 고정 위치에 거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기기로 대체하는 서비스 대체부를 갖는 기기로서 동작시키는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이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이동형 기기에 내장된 정보 처리 장치 내에서 실행되어도 되고, 혹은 이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이동형 기기와는 별체의 정보 처리 장치 내에서 실행되어 그 정보 처리 장치를 이동형 기기와는 별체의 서버 기기로서 동작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1]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의 이동형 기기, [6]의 서버 기기, 및 [7]의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에 따르면, 인증을 얻지 못하는 경우여도 그 서비스의 제공을 거치형 기기에게 맡기지 못하는 경우에 비해, 서비스의 지연 방지가 도모된다.
[2]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서버 기기를 구비하지 않고 이동형 기기와 거치형 기기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에 비해, 예를 들면 이동형 기기가 복수 대 존재하는 바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에 적합한 시스템이 구축된다.
[3]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의 제공을 이동형 기기로 다시 대체하는 기능이 없는 시스템에 비해, 편의성이 향상된다.
[4]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이동형 기기를 일률적으로 그 지시를 행한 유저의 자리까지 이동시키는 시스템에 비해, 이동형 기기의 이용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인 프린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오피스의 실내의 레이아웃의 모식도.
도 3은 로그인 상황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기기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로그인의 정보가 송신되어 온 상황에 있어서의 서버 기기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프린트 출력을 지시하는 상황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기기(10)에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클라이언트 기기(10)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프린트 지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파일을 수신한 상황, 즉 프린트 출력의 지시를 수신한 상황에 있어서의 서버 기기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전송 통지를 받은 클라이언트 기기(10)에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전송 통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클라이언트 기기(10)의 표시 화면상의 통지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전송 통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그 전송 통지에 대한 응답이 송신되어 온 상황에 있어서의 서버 기기에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재전송 거부 통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복합기로부터 프린트 출력 완료 보고가 송신되어 왔을 때의 서버 기기에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로그아웃 시의 서버 기기에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인 프린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프린트 시스템(100)은, 자주식 프린터(20)를 구비하고 있어, 유저로부터의 프린트 출력의 지시에 따라, 그 유저의 곁으로 가서, 그 유저의 인증을 행한 후에 프린트 출력하는 시스템이다.
이 프린트 시스템(100)은, 복수 대의 노트형 퍼스널컴퓨터(이하, 「노트 PC」로 약기함)(10A)나 휴대형 단말기기(이하, 「휴대 단말」로 약기함)(10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노트 PC(10A)나 휴대 단말(10B)은, 각각이 단독으로, 혹은 동일 유저에 의해서 동기가 취해진 노트 PC(10A)와 휴대 단말(10B)이 페어로 되어, 클라이언트 기기(10)를 구성하고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각 클라이언트 기기(10)에서는 프린트 출력의 지시가 행해진다.
또한, 이 프린트 시스템(100)은 일례로서 3대의 자주식 프린터(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주식 프린터(20)들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이동형 기기의 일례에 상당한다. 각 자주식 프린터(20)는, 프린트 출력의 지시를 행한 유저의 자리쪽으로 이동해 유저의 인증을 거쳐 프린트 출력을 실행한다. 이 상세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또한 이 프린트 시스템(100)은 서버 기기(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서버 기기(30)는, 각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송신되어 온 프린트 출력의 지시를 수신하여, 그 프린트 지시를 3대의 자주식 프린터(20)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하고, 그 할당한 자주식 프린터(20)에 프린트 출력해야 할 파일을 전송하며, 또한 이동해야 할 장소를 지정하고, 그 장소로 이동해서 프린트 출력해야 할 것을 지시한다.
또한, 이 프린트 시스템(100)은 거치형의 복합기(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복합기(40)는 프린터로서의 기능 외, 스캐너의 기능이나 복사기로서의 기능 등, 복합적인 복수의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이 복합기(4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거치형 기기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이 프린트 시스템(100)은 복수 대의 카메라(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카메라(50)들은,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하는 오피스(60)의 벽이나 천정 등에 설치되며, 유저가 자신의 자리에 착석해 있는지의 여부의 감시용이다. 상세는 후술한다.
이 도 1에 나타내는 각 클라이언트 기기(10), 각 자주식 프린터(20), 서버 기기(30), 복합기(40), 및 카메라(50)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101)에 의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클라이언트 기기(10), 각 자주식 프린터(20), 서버 기기(30), 및 복합기(40)의 각각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연산 처리 장치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거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나 동작을 실행한다.
이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트 시스템(100)은 일례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레이아웃의 오피스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오피스의 실내의 레이아웃의 모식도이다.
이 오피스(60)에는 복수의 테이블(61)이나 의자(62)가 배치되어 있다. 각 의자(62)에는 각각 고유의 좌석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 오피스(6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3대의 자주식 프린터(20)가 배비(配備)되어 있다. 이들 3대의 자주식 프린터(20)의 이 도 2에 나타내는 각 위치는, 이 오피스(60)에 있어서의 각 자주식 프린터(20)의 각 대기 위치이다. 각 대기 위치에는 도시하지 않은 충전 설비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자주식 프린터(20)는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그 충전 설비에 의해 충전되고, 그 에너지로 이동해서 프린트 출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오피스(6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복합기(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오피스(60)의 벽이나 천정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복수 대의 카메라(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50)들은, 각 자리에 유저가 착석해 있는지, 혹은 공석으로 되어 있는지를 감시하는 카메라로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재석 인식 기기의 일례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오피스(60)는, 이 오피스(60)를 이용할 권리가 있는 유저여도 유저마다의 고정된 자리(의자(62))는 할당되어 있지 않으며, 각 유저는 입실 시에 비어 있는 자리(의자(62))에 착석해서 집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유저는, 이 오피스(60)에 입실할 때에 이 오피스(60)의 입구(도시하지 않음)에서 입실 수속을 행하고, 그때에 당일 한정 유저 ID가 부여되며, 그 유저 ID가 기록된 IC 카드를 수취해서 입실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이 입실 시에 부여한 유저 ID는, IC 카드에의 기록 외, 서버 기기(30)(도 1 참조,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에도 송신되어, 그 유저에 대응해서 등록된다. 그리고, 그 유저 ID가 기록된 IC 카드는 그 유저에 의해서 휴대되며 그 유저의 퇴실 시에 반납된다.
이 오피스(60)에 설치되어 있는 프린트 시스템(100)은, 집무를 개시한 유저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기기(10)(노트 PC(10A)나 휴대 단말(10B))를 조작해서 프린트 출력을 지시하면, 자주식 프린터(20) 중의 1대가 그 유저의 자리까지 이동해 와서, 그 프린트 출력의 지시를 행한 유저인 것의 인증을 행한 뒤에 프린트 출력을 실행하는 시스템이다.
도 3은 로그인 상황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기기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라이언트 기기(10)로서 휴대 단말(10B)을 사용하는 것을 이미징해서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기기(10)로서 노트 PC(10A)를 사용하는 것, 혹은 1인의 유저가 상황에 따라서 노트 PC(10A)와 휴대 단말(10B)을 구분해 사용하는 것은 자명하며, 여기에서는, 그들의 사용법의 차이에 대해서는 특별히는 구애받지 않는 것으로 한다.
유저는, 상기한 입실 수속을 마친 후, 도 2에 나타내는 오피스(60)에 입실하고, 그 오피스(60) 내의 비어 있는 자리(의자(62)) 중 어느 하나에 착석한다. 그리고, 자신의 클라이언트 기기(10)를 조작해서, 이 오피스(60)에 설치되어 있는 프린트 시스템(100)의 사용을 개시하기 위한 로그인의 조작을 행한다.
이 로그인의 조작을 행함에 있어서는, 우선은, 이 프린트 시스템(100)을 사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어플」로 약기함)을 기동한다. 그러면, 그 클라이언트 기기(10)(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휴대 단말(10B)을 이미징하고 있음)의 표시 화면(11)상에 도 4에 나타내는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그 로그인 화면상에 유저명과, 패스워드와, 좌석 번호가 입력된다(도 3의 스텝 S101). 그리고, 도 4의 로그인 화면상에 그 정보들이 입력되어 「OK」 버튼이 눌리면, 그 정보들이 서버 기기(30)(도 1 참조)로 송신된다(스텝 S102). 서버 기기(30)로부터 금번 로그인을 수락한 취지의 통지를 수취하면(스텝 S103), 그 로그인의 수락과 함께 송신되어 온 유저 ID를 그 클라이언트 기기(10) 내에 등록해서(스텝 S104), 금번 로그인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서버 기기(30)로부터, 로그인을 거부하는 취지의 통지를 수취했을 때는(스텝 S103), 도 4에 나타내는 로그인 화면상에의 재입력이 행해진다(스텝 S101).
도 5는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로그인의 정보가 송신되어 온 상황에 있어서의 서버 기기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송신되어 온 로그인의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301).
이 서버 기기(30)는, 이 오피스(60)를 이용할 권리가 있는 모든 유저의 유저명과 패스워드를 서로 대응시켜서 기억한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유저 데이터베이스에는 또한 유저가 입실했을 때에 부여된 유저 ID도 대응해서 기억되어 있다.
서버 기기(30)는,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면(스텝 S301), 그 로그인 정보 중의 유저명 및 패스워드를, 유저 데이터베이스 중의 유저명 및 패스워드와 대조 확인하여, 이 오피스(60)를 사용할 권리가 있는 정당한 유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2). 정당한 유저일 때는, 로그인 정보 중의 좌석 번호를, 그 유저에 대응시켜서 유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에(스텝 S303), 로그인의 수락을 그 클라이언트 기기(10)에 송신하고(스텝 S304), 또한 유저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그 유저의 ID 번호를 그 클라이언트 기기(10)에 송신한다(스텝 S305).
한편, 금번 로그인의 정보에 의거해서는 정당한 유저라고는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했을 때는(스텝 S302), 그 로그인 정보를 송신해 온 클라이언트 기기(10)를 향해서 로그인의 거부를 송신한다(스텝 S306).
로그인의 수락 혹은 로그인의 거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기기(10)에서의 처리는 전술(도 3 참조)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로그인 후에 있어서의 프린트 출력을 지시하는 상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프린트 출력을 지시하는 상황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기기(10)에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클라이언트 기기(10)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프린트 지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로그인을 행하면, 클라이언트 기기(10)의 표시 화면상에 자주 프린터(20)의 마크(20')가 표시된다.
그래서, 프린트 출력하려고 하고 있는 파일 자신 혹은 그 파일의 숏컷을 나타내는 마크(1')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시켜서, 그 마크(1')를 자주식 프린터의 마크(20') 상에 겹치도록 드래그&드롭의 조작을 행한다. 그러면, 그 마크(1')에 대응하는 파일이, 유저 ID와 함께 서버 기기(30)를 향해서 송신된다(도 6의 스텝 S111). 이 송신은, 즉 프린트 출력의 지시를 의미하고 있다.
도 8은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파일을 수신한 상황, 즉 프린트 출력의 지시를 수신한 상황에 있어서의 서버 기기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서버 기기(30)는, 파일(프린트 출력의 지시)을 수신하면(스텝 S311), 그 파일에 부속해서 송신되어 온 유저 ID를 키워드로 해서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그 유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동일한 유저 ID에 대응해서 등록되어 있는, 그 유저의 금번의 좌석 번호를 인식하며, 또한 그 좌석 번호로부터 그 좌석(의자(62))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카메라(50)를 사용해서, 그 자리(의자(62))에 사람이 착석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12).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자리에 사람이 있으면 정당한 유저가 그 자리에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그 자리에 있는 사람이 정당한 유저 본인인지의 여부의 엄밀성은 묻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 자리가 공석일 때는, 파일을 유저 ID와 함께 복합기(40)(도 1, 도 2 참조)에 전송하고(스텝 S313), 프린트 출력을 지시해 온 클라이언트 기기(10)를 향해서, 파일을 복합기(40)를 향해서 전송한 것을 통지한다(스텝 S314). 그 자리가 공석일 때는 자주식 프린터(20)를 그 자리를 향하게 해도 의미없기 때문이다. 이 전송 통지에 대한 상세는 후술하는 스텝 S326에 있어서의 전송 통지의 설명 시에 함께 설명한다.
그 유저의 자리가 공석이 아니었을 때는(스텝 S312), 서버 기기(30)는, 자주식 프린터(20) 중의 1대를 선정하고, 그 선정한 1대에 유저의 자리의 위치 정보를 통지해서, 그 장소로 이동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315).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오피스(60)의 플로어에는 3대의 자주식 프린터(20)가 배비되어 있지만, 이 3대의 자주식 프린터(20)들 중의 어느 자주식 프린터(20)에 금번의 프린트 출력을 담당시킬지는, 미리 정해져 있는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2대가 다른 프린트 출력을 위한 동작 중이며 1대만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는, 금번에는 그 대기 상태에 있는 1대가 사용된다. 2대 이상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는, 이동처에 가까운 위치의 자주식 프린터(20)가 사용된다. 혹은, 그 3대의 자주식 프린터(20)들의 프린트 출력의 능력에 차이가 있고, 예를 들면 2대는 소량의 프린트 출력용, 1대는 대량 프린트용이며, 금번의 프린트 출력이 대량의 프린트 출력을 행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었을 때는, 대량 프린트용의 자주식 프린터가 사용된다.
서버 기기(30)는 또한, 상기와 같이 해서 선정한 자주식 프린터(20)에, 금번의 프린트 출력용의 파일을 유저 ID와 함께 송신한다(스텝 S316). 그리고 또한, 타이머를 기동한다(스텝 S317). 이 타이머는, 자주식 프린터(20)가 유저의 자리까지 이동하고, 유저의 인증이 완료하기까지의 충분한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이 타이머의 타임업 시간은, 유저의 곁으로 향하는 자주식 프린터(20)와 그 유저의 자리 사이의 거리 등에 따른 가변의 시간이어도 된다.
자주식 프린터(20)는, IC 카드 리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유저의 곁으로 향한 자주식 프린터(20)는, IC 카드 리더에서 유저의 IC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유저 ID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유저 인증을 행하고, 정당한 유저인 것의 확인이 취해지면, 서버 기기(30)를 향해서 프린트 출력의 개시를 보고하고 나서 프린트 출력을 행한다. 그리고, 그 프린트 출력이 완료되면, 그 자주식 프린터(20)는 서버 기기(30)를 향해서 금번에는 프린트 출력이 완료된 것을 보고한다.
서버 기기(30)는, 유저의 곁을 향하도록 지시한 자주식 프린터(20)로부터, 스텝 S317에 있어서 기동한 타이머가 타임업하기(스텝 S318)보다도 전에 프린트 출력의 개시 보고를 수신하면(스텝 S319), 그 자주식 프린터(20)로부터의 프린트 출력의 완료 보고를 기다리고(스텝 S320), 그 자주식 프린터(20)에 대기 위치에의 이동을 지시하고(스텝 S321), 서버 기기(30) 내에 보존해 둔 금번의 프린트 출력용의 파일을 파기한다(스텝 S322). 스텝 S316에 있어서 자주식 프린터(20)에 전송된 파일은, 그 자주식 프린터(20)에 있어서의 프린트 출력의 완료 시에 그 자주식 프린터(20)에 의해서 파기된다.
자주식 프린터(20)로부터의 프린트 출력 개시 보고(스텝 S319)가 도달하기 전에 타임업하면(스텝 S318), 서버 기기(30)는, 그 자주식 프린터(20)에, 그 자주식 프린터(20)가 유지하고 있는, 금번의 프린트 출력용의 파일의 파기 지시(스텝 S323)와, 대기 위치에의 이동 지시(스텝 S324)를 행한다. 그러면, 그 자주식 프린터(20)는 그 파일을 파기해서 자신의 대기 위치에의 이동을 개시한다.
서버 기기(30)는, 또한 금번의 프린트 출력용의 파일을 복합기(40)에 전송해서(스텝 S325), 금번의 프린트 출력을 지시한 클라이언트 기기(10)를 향해서 전송 통지를 행한다(스텝 S326).
도 9는 전송 통지를 받은 클라이언트 기기(10)에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전송 통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0의 전송 통지 화면은, 도 8의 스텝 S314 및 스텝 S3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전송 통지를 받은 클라이언트 기기(10)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다.
서버 기기(30)로부터 송신되어 온 전송 통지를 클라이언트 기기(10)가 수신하면(스텝 S121), 그 클라이언트 기기(10)의 표시 화면(11)상에, 도 10에 나타내는 전송 통지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122). 이 클라이언트 기기(10)의 유저는, 이 전송 통지 화면을 확인해서, 「로보」, 「캔슬」, 「복합기」로 이루어지는 3개의 버튼 중의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누른다. 「로보」는, 자주식 프린터(20)의 애칭으로서, 이 「로보」 버튼은 자주식 프린터(20)에서 프린트 출력하는 것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또한, 「캔슬」 버튼은 금번의 프린트 지시를 캔슬하는 것을 지시하는 버튼이며, 또한 「복합기」 버튼은 복합기(40)에서의 프린트 출력을 용인하는 것을 전하는 버튼이다.
그 3개의 버튼들 중의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리면, 그 눌린 버튼에 따른 응답이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서버 기기(30)에 송신된다(스텝 S123).
도 11은 클라이언트 기기(10)의 표시 화면상의 통지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서버 기기(30)로부터 전송 통지가 송신되었을 때에 클라이언트 기기(10)에서 이 프린트 시스템 사용의 어플이 기동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는, 그 클라이언트 기기(10)의 표시 화면상에, 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파일 전송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클라이언트 기기(10)로서 휴대 단말(10B)을 이미징하고 있으며, 그 휴대 단말(10B)의 표시 화면(11)상에, 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Notification 표시)가 나타난다. 이 클라이언트 기기(10)가 노트 PC(10A)(도 1 참조)일 경우, 어플이 기동되어 있지 않았을 때는 그 노트 PC(10A)의 표시 화면상에 이 도 11에 나타내는 메시지와 같은 내용의 메시지가 말풍선 표시된다.
유저는, 이 도 11에 나타내는 메시지를 확인하면, 어플을 기동해서, 클라이언트 기기(10)의 표시 화면상에 도 10에 나타낸 전송 통지 화면을 표시하고, 그 전송 통지 화면상에서 상기한 지시를 행한다.
도 12는, 전송 통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그 전송 통지에 대한 응답이 송신되어 온 상황에 있어서의 서버 기기에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서버 기기(30)에서는, 전송 통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스텝 S331), 그 응답에 의한 지시가, 자주식 프린터(20)에의 재전송(도 10에 나타내는 전송 통지 화면에 있어서의 「로보」 버튼의 누름)인지, 캔슬(「캔슬」 버튼의 누름)인지, 그렇지 않으면, 복합기(40)에서의 프린트 출력의 용인(「복합기」 버튼의 누름)인지가 판정된다(스텝 S332). 「복합기」인 경우는, 그 후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이 처리 플로에 의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캔슬」인 경우는, 복합기(40)에 대하여 금번의 파일 파기를 지시하고(스텝 S333), 서버 기기(30) 스스로도, 서버 기기(30) 내에 보존해 둔 파일을 파기한다(스텝 S334). 복합기(40)에서는 파일 파기의 지시를 받아서 그 파일을 파기한다.
자주식 프린터(20)에의 재전송에의 지시(「로보」 버튼의 누름)가 있었을 때는, 카메라(50)를 사용해서 그 유저가 자리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335). 그리고, 그 유저가 자리에는 아직 돌아와 있지 않았을 때는, 그 유저의 클라이언트 기기(10)를 향해서 재전송 거부 통지가 송신된다(스텝 S336).
도 13은 재전송 거부 통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3에 나타낸 재전송 거부 통지 화면은, 도 10에 나타낸 전송 통지 화면과 디자인이 비슷하지만 메시지가 다르며, 이 재전송 거부 통지 화면상에는 「자리로 돌아오고 나서 지시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이 재전송 거부 통지 화면상으로부터도, 도 10에 나타낸 전송 통지 화면으로부터 입력하는 지시와 같은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재전송 거부 통지를 받았을 때의 클라이언트 기기(10)에서의 처리는, 도 9에 나타내는 전송 통지를 받았을 때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재전송 거부 통지 화면상으로부터 지시를 행한 경우도, 서버 기기(30)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처리 플로에 의한 처리가 실행된다.
도 12로 되돌아와서 설명을 계속한다.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지시가 「로보」이며, 유저가 자신의 자리에 재석해 있었을 때는(스텝 S335), 서버 기기(30)는 복합기(40)에 대해 금번의 파일을 파기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337). 복합기(40)는 그 지시를 받아서 그 파일을 파기한다. 서버 기기(30)는 그 후에는 도 8의 (스텝 S315)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서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복합기(40)에 전송된 파일에 의거한 프린트 출력을 그 복합기(40)에서 실행시킬 때에는, 유저는 그 복합기(40)의 설치 장소(도 2 참조)로 간다. 이 복합기(40)에도 자주식 프린터(20)와 마찬가지로 IC 카드 리더가 구비되어 있다. 그 복합기(40)가 있는 곳으로 간 유저는, 그 복합기에 자신의 IC 카드를 대서 그 복합기(40)에 정당한 유저인 것의 인증을 행한다. 그러면, 그 복합기(40)는 그 파일에 의거한 프린트 출력을 행하고, 그 프린트 출력이 완료되면 서버 기기(30)를 향해서 프린트 출력 완료 보고를 송신하고, 복합기(40) 내의 금번의 파일을 파기한다.
도 14는 복합기로부터 프린트 출력 완료 보고가 송신되어 왔을 때의 서버 기기에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서버 기기(30)에서는, 복합기(40)로부터 송신되어 온 프린트 출력 완료 보고를 수신하면(스텝 S341), 서버 기기(30)에 보존해 둔 금번의 프린트 출력용의 파일이 파기된다(스텝 S342).
도 15는 로그아웃 시의 서버 기기에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유저는, 오피스(60)(도 2 참조) 내에서의 금일의 집무를 종료함에 있어서, 자신의 클라이언트 기기(10)를 사용해서 로그아웃의 조작을 행한다. 서버 기기(30)는, 그 로그아웃을 수신하면(스텝 S351), 그 유저의 금번의 좌석 번호를 소거하고(스텝 S352), 또한 그 유저의 입실 시에 부여한 유저 ID를 말소한다(스텝 S353). 유저는, 이 로그아웃의 조작을 행한 후, IC 카드를 접수처에 반납하고 이 오피스(60)로부터 퇴실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린트 시스템(100)에 따르면, 자주식 프린터(20)에 의한 자신의 자리에서의 프린트 출력 같은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유저가 이석(離席)해 있을 때 등 인증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어도, 자주식 프린터(20)의 효율적인 운용과 프린트 출력의 지연 방지의 양립이 도모되어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의 프린트 시스템(100)은, 프린트 출력의 서비스의 제공은, 복합기(40)에 전송된 경우를 제외하고 유저의 자리에서 행해지며, 또한 프린트 지시를 행한 시점에서 자주식 프린터(20)가 유저의 자리를 향해서 이동을 개시하지만, 프린트 지시를 행하는 유저가 프린트 출력을 행하는 장소를 지정하는 시스템이어도 되며, 또한 프린트 출력을 행할 시각을 지정하는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의 프린트 시스템(100)은, 오피스(60)에의 입실 시에 금번 한정의 유저 ID가 등록된 IC 카드를 수취하고 퇴실 시에 그 IC 카드를 반납하는 시스템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 오피스(60)를 이용할 권리가 있는 유저에게, 그 유저마다 고정된 유저 ID를 부여해 두고, 퇴실 후여도 그 IC 카드를 유저가 보관해 두는 시스템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보안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서버 기기(스텝 S320)가 프린트 지시를 수신했을 때에, 그 프린트 출력을 지시한 클라이언트 기기(10)를 향해서, 금번의 프린트 출력에 한해 유효한 원타임 패스워드를 송신하고 프린트 출력 전의 인증 시에 그 원타임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혹은, 유저의 얼굴의 특징이나 지문 등의 생체 정보를 등록해 두고 그 생체 정보를 사용해서 유저 인증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의 프린트 시스템(100)에서는, 카메라(50)를 오피스(60)의 벽이나 천정에 설치해 두는 취지로 설명했지만, 이 카메라는 자주식 프린터(2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의 프린트 시스템(100)에서는, 카메라(50)에 의해서 유저가 자신의 자리에 있는지의 여부를, 그 자리에 누군가가 있기만 하면 금번의 프린트 출력을 지시한 유저가 자리에 있는 것으로 추정해서, 자주식 프린터(20)를 그 자리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얼굴 인증을 행해서, 금번의 프린트 출력을 지시한 유저 자신이 그 자리에 있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자주식 프린터(20)를 그 자리를 향해서 이동시켜도 된다. 그 경우에, 얼굴 인증이 확실히 행해지도록, 카메라를 각 자리의 정면에 설치해 두어도 된다. 혹은, 유저가 이석하는 경우여도 노트 PC(10A)는 자신의 자리에 놓여 있는 것을 전제로 하면, 그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기기(10)가 휴대 단말(10B)이 아니고 노트 PC(10A)이며 그 노트 PC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는, 그 노트 PC(10A)의 카메라를 사용해서 얼굴 인증을 행해, 그 유저가 자신의 자리에 있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자주식 프린터(20)를 그 유저의 자리로 향하게 해도 된다.
혹은, 유저의 자리가 공석이 아니기만 하면 정당한 유저가 그 자리에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시스템인 경우는, 반드시 카메라를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각 자리 앞에,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지하는 초전(焦電)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의 센서를 설치해 두어도 된다. 그 경우, 그 센서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재석 인식 기기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유저로부터 프린트 출력의 지시가 있으면, 특별히 재석 확인을 하지 않고 유저가 자리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자주식 프린터(20)를 그 유저의 자리로 향하게 해도 된다. 그 경우, 유저가 자리에 없었을 때에는, 자주식 프린터(20)를 그 유저의 자리로 향하게 한 것이 무의미해지지만, 카메라 혹은 센서 등의 재석 확인 기기의 설치가 불필요해져, 그 만큼 프린트 시스템의 구성이 간이화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서버 기기(30)를 구비한 프린트 시스템(100)을 예시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서버 기기(30)를 구비하지 않으며, 클라이언트 기기(10)와 자주식 프린터(20)와 복합기(40) 사이에서 상호 직접 통신을 행하는 프린트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주식 프린터(20)에, 자주식 프린터(20)로서의 전술한 역할 외에, 전술한 서버 기기(30)의 역할을 겸용시켜도 된다. 복수의 자주식 프린터를 구비한 시스템의 경우는, 어느 1대의 자주식 프린터(20)에 서버 기기(30)의 역할을 담당시켜도 되고, 혹은 복수 대의 자주식 프린터(20)의 사이에서 전술한 서버 기기(30)의 역할을 분담시켜도 된다. 이 서버 기기(30)가 없는 시스템은 자주식 프린터(20)가 예를 들면 1대뿐인 등의 소규모인 프린트 시스템에 적합하다. 서버 기기(30)를 구비하고 있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프린트 시스템(100)을 기초로 했을 때의, 그 프린트 시스템(100)으로부터 서버 기기(3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시스템에의 변경은 자명하며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례로서, 자주식 프린터를 구비해서 이동처에서 프린트 출력하는 프린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프린트 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류나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 시스템 등, 이동형 기기와 거치형 기기를 구비하고 그들 사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책임을 대체할 수 있는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0 : 클라이언트 기기 10A : 노트형 퍼스널컴퓨터(노트 PC)
10B : 휴대형 단말기기(휴대 단말) 11 : 표시 화면
20 : 자주식 프린터 30 : 서버 기기
40 : 복합기 50 : 카메라
60 : 오피스 61 : 테이블
62 : 의자 100 : 프린트 시스템
101 :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Claims (8)

  1.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클라이언트 기기와,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거쳐 당해 유저에 대하여 당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기와,
    고정 위치에 거치(据置)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형 기기가,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도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얻지 못하는 인증 불능 시에, 당해 서비스의 자신에 의한 제공을 정지하고, 당해 서비스의 제공을 상기 거치형 기기에게 맡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발신된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수신하는 지시 수신부와, 당해 지시 수신부에서 수신한 지시에 따른 서비스의 제공을 상기 이동형 기기에 지시하는 서비스 지시부와, 상기 인증 불능 시에, 당해 서비스 제공의 역할을 상기 거치형 기기로 대체하는 서비스 대체부를 갖는 서버 기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는, 상기 이동형 기기가 당해 서비스의 제공을 상기 거치형 기기로 대체한 것의 통지를 받으며, 또한 상기 거치형 기기로 일단 대체된 서비스를, 상기 통지를 받은 후의 당해 클라이언트 기기를 조작하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이동형 기기로 다시 대체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는, 상기 이동형 기기가 당해 서비스의 제공을 상기 거치형 기기로 대체한 것의 통지를 받으며, 또한 상기 거치형 기기로 일단 대체된 서비스를, 상기 통지를 받은 후의 당해 클라이언트 기기를 조작하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이동형 기기로 다시 대체하는 것을 지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중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를 행한 유저의 자리에 당해 유저가 재석(在席)해 있는지의 여부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인식하는 재석 인식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형 기기는,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재석 인식 기기에 의해,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자리에 당해 유저가 부재인 것이 인식되었을 때는, 당해 유저의 곁으로의 이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거쳐 당해 유저에 대하여 당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기로서,
    상기 이동형 기기가,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도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얻지 못하는 인증 불능 시에, 당해 서비스의 자신에 의한 제공을 정지하고, 당해 서비스의 제공을, 고정 위치에 거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기기에게 맡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기기.
  7.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발신된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수신하는 지시 수신부와,
    상기 지시 수신부에서 수신한 지시에 따른 서비스의 제공을,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거쳐 당해 유저에 대하여 당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기에 지시하는 서비스 지시부와,
    상기 이동형 기기가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도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얻지 못하는 인증 불능 시에, 당해 서비스 제공의 역할을, 고정 위치에 거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기기로 대체하는 서비스 대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기기.
  8.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내에서 실행되어, 당해 정보 처리 장치를,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발신된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수신하는 지시 수신부와,
    상기 지시 수신부에서 수신한 지시에 따른 서비스의 제공을, 서비스의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거쳐 당해 유저에 대하여 당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기에 지시하는 서비스 지시부와,
    상기 이동형 기기가 서비스 제공의 지시를 받아서 당해 지시를 행한 유저의 곁으로 이동해도 당해 유저인 것의 인증을 얻지 못하는 인증 불능 시에, 당해 서비스 제공의 역할을, 고정 위치에 거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기기로 대체하는 서비스 대체부
    를 갖는 기기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KR1020160116219A 2016-03-24 2016-09-09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동형 기기, 서버 기기, 및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KR102127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59313 2016-03-24
JP2016059313A JP6651929B2 (ja) 2016-03-24 2016-03-24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移動型機器、サーバ機器、およ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922A true KR20170112922A (ko) 2017-10-12
KR102127850B1 KR102127850B1 (ko) 2020-06-29

Family

ID=5689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219A KR102127850B1 (ko) 2016-03-24 2016-09-09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동형 기기, 서버 기기, 및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87876B1 (ko)
EP (1) EP3223213A1 (ko)
JP (1) JP6651929B2 (ko)
KR (1) KR102127850B1 (ko)
CN (1) CN1072294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7853A (ja) * 2016-03-16 2017-09-21 株式会社リコー サーバ、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10614634B (zh) * 2019-08-15 2022-02-01 纳恩博(常州)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便携式终端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801A (ko) * 2004-01-23 2005-07-28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지시 기술 변경 장치 및 방법, 지시 기술 변경 프로그램을기억한 기억 매체
JP2014071845A (ja) 2012-10-01 2014-04-21 Sharp Corp 機器制御装置、および自走式電子機器
KR20140104370A (ko) * 2013-02-20 2014-08-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장치, 인쇄방법 및 기억매체
JP2014209293A (ja) 2013-04-16 2014-11-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経路探索装置、自走式作業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6012878A (ja) 2014-06-30 2016-01-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移動装置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0109A4 (en) * 2002-11-06 2011-05-18 Panasonic Corp PRINTING SYSTEM,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ING INSTRUCTIONS
JP4400040B2 (ja) * 2002-12-04 2010-0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バイス管理装置
JP3793197B2 (ja) * 2003-12-03 200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20060209334A1 (en) * 2005-03-15 2006-09-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dex data for print job data
CN101179459A (zh) * 2006-11-07 2008-05-14 朗迅科技公司 Ims网络打印服务
JP2009297994A (ja) * 2008-06-12 2009-12-24 Ricoh Co Ltd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783848B (zh) * 2009-01-20 2013-03-27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图像形成系统
US9081522B2 (en) * 2010-11-23 2015-07-14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missing resources
JP2012201041A (ja) * 2011-03-26 2012-10-22 Oki Data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5679890B2 (ja) * 2011-04-20 2015-03-04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及び認証印刷データの管理権限委譲方法
US9110608B2 (en) * 2011-09-30 2015-08-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mobile printing
JP6140994B2 (ja) * 2012-12-07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48321B2 (ja) * 2013-06-07 2016-12-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自走式作業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001863A (ja) * 2013-06-17 2015-01-05 株式会社リコー 配達装置、自走型フィニッシャ、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配達プログラム
JP6217352B2 (ja) * 2013-11-29 2017-10-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210109A (ja) * 2015-05-11 2016-12-15 株式会社リコー 印刷物配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配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801A (ko) * 2004-01-23 2005-07-28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지시 기술 변경 장치 및 방법, 지시 기술 변경 프로그램을기억한 기억 매체
JP2014071845A (ja) 2012-10-01 2014-04-21 Sharp Corp 機器制御装置、および自走式電子機器
KR20140104370A (ko) * 2013-02-20 2014-08-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장치, 인쇄방법 및 기억매체
JP2014209293A (ja) 2013-04-16 2014-11-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経路探索装置、自走式作業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6012878A (ja) 2014-06-30 2016-01-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移動装置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29433A (zh) 2017-10-03
EP3223213A1 (en) 2017-09-27
US9787876B1 (en) 2017-10-10
US20170280019A1 (en) 2017-09-28
JP2017170755A (ja) 2017-09-28
CN107229433B (zh) 2021-09-17
KR102127850B1 (ko) 2020-06-29
JP6651929B2 (ja)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2102B2 (ja) 移動機器、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ラグラム
US11315081B2 (en) Resource reservation system, terminal sett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62386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47194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指示プログラム
JP201606624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37572A (ja)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JP2011107843A (ja) 情報機器装置
JP2021102344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27850B1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동형 기기, 서버 기기, 및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KR20170112921A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클라이언트 기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서버 프로그램
JP2017177328A (ja) プリントシステム、サーバ機器、プリンタ選定プログラム、およびプリント指示振分プログラム
JP5915196B2 (ja) ドキュメント配付システム、会議システム、サーバーおよび携帯型の端末装置
JP2020123790A (ja) 通信システム、障害検出方法、情報処理端末、プログラム
JP2020095675A (ja) リソース予約システム、端末設定方法、プログラム、利用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JP2018065270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制御プログラム
US10831424B1 (en) Authentication system with refresh tokens to print using a mobile application
JP2017123526A (ja) 機器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CN115431648B (zh) 印刷系统、信息处理装置以及记录介质
WO2022009380A1 (ja) サーバ装置、入退場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WO2021260773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端末、認証端末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4748150B2 (ja) 管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748151B2 (ja) 端末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23109132A (ja) 端末、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05458A (ja) 所在確認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79929A (ja) 機器の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