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437A - 플렉서블 컬러필터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컬러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437A
KR20170112437A KR1020160039479A KR20160039479A KR20170112437A KR 20170112437 A KR20170112437 A KR 20170112437A KR 1020160039479 A KR1020160039479 A KR 1020160039479A KR 20160039479 A KR20160039479 A KR 20160039479A KR 20170112437 A KR20170112437 A KR 20170112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up
protective layer
color fil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173B1 (ko
Inventor
조성훈
김상국
박성환
박승준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173B1/ko
Priority to US16/086,837 priority patent/US11119259B2/en
Priority to PCT/KR2016/014608 priority patent/WO2017171200A1/ko
Priority to CN201680082571.1A priority patent/CN108700734B/zh
Priority to TW106101622A priority patent/TW201736903A/zh
Publication of KR2017011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2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flexible sheet or membrane, e.g. for varying the foc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04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3/50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3/51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2Copolymers
    • C08G2261/124Copolymers altern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22Molecular weight
    • C08G2261/228Polymers, i.e. more than 10 repeat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 C08G2261/332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derived from other monocyclic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 C08G2261/332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derived from norborn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 C08G2261/3325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derived from other polycyclic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40Polymerisation processes
    • C08G2261/41Organometallic coupling reactions
    • C08G2261/418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sation [ROM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70Post-treatment
    • C08G2261/72Derivatisation
    • C08G2261/724Hydr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04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08G61/0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prepared by ring-opening of carbocyclic compounds
    • C08G61/08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prepared by ring-opening of carbocyclic compounds of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the 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컬러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층, 보호층 및 블랙매트릭스층과 화소층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상기 보호층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화학식2]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 및 2 내 치환기는 명세서 내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컬러필터{FLEXIBLE COLOR FILTER}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에서 색상 구현을 위해 이용되는 컬러필터,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컬러필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소통되는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미래에는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디스플레이(ubiquitous display)'의 환경이 창출될 것이며, 그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매개체인 노트북, 전자수첩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역할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디스플레이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때와 장소에서 정보를 바로 접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의 휴대성이 요구됨과 동시에, 각종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대화면 특성도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성 및 대화면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에 플렉서블성을 부여하여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을 할 때에는 펼쳐서 이용할 수 있고 휴대시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대표적인 형태가 액정 표시 장치(liquid-crystal display; LCD) 및 유기 발광 표시 소자(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이다.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는 기존의 LCD에 비하여 매우 가볍고 얇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색재현 범위가 넓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높은 명암비(contrast ratio; CR)를 갖는 장점이 있으며, 이 이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데도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로서 현재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종래 청색 광원 대신 백색 광원을 사용하는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소자(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WOLED)는 고효율, 고해상도, 장수명 특성을 가지며 대면적 고화질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뿐만 아니라 일반 조명으로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으로 인하여 국내외 연구자들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소자에 있어 풀칼라 구현을 위해 컬러 필터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컬러필터는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 블랙매트릭스층(black matrix)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백색(white) 패턴을 형성시킨 것이다.
그런데 컬러필터에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은 중량이 크고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휴대성 및 대화면 표시 특성에 한계가 있다. 이에 중량이 가볍고 충격에 강할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기판이 이용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자유롭게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휴대용 기기(mobile & portable display), 착용가능 혹은 유행 제품(wearable & fashionable display), 종이형태 디스플레이(paper-like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부품의 기판이 유리 기판에서 고분자 소재의 플라스틱 기판으로 대체되고 있다.
기존의 유리 기판 대신 플렉서블성이 있는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유리 기판에 비하여 휴대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공정적인 측면에서도, 플라스틱 기판은 증착 또는 프린팅에 의해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고, 기존의 시트(sheet) 단위의 공정과 달리 롤-투-롤(roll-to-roll) 공정으로 표시 장치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을 통한 저비용의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라스틱 기판은 유리에 비하여 전이 온도(transition temperature)가 낮으며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율이 높기 때문에 그 위에 적층되는 층들이 파괴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827729호는 연성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연성기판의 일면 상에 에칭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에칭 방지층의 일면 상에 표시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비연성기판을 에칭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에칭 방지층의 타면 상에 연성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에칭 방지층은, 폴리 실리콘, 금속 및 고온 유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된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비연성 기판을 에칭하여 플렉서블 컬러필터를 제조하는 것이며, 비연성 기판의 습식에칭 과정에서 에칭 방지층의 손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62595호는 컬러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렬키, 다수의 구동소자 및 상기 구동소자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화소전극을 갖는 구동기판; 제1면에 배치된 잉크층과 제2면에 배치된 다수의 컬러필터를 갖는 잉크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키에 의해서 상기 컬러필터가 상기 화소전극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직접 화소전극 및 컬러필터를 정렬시키는 컬러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플렉서블 기판의 경우 유리에 비해 전이온도가 낮아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율로 인해 적층구조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82729호(2012.07.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62595호(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보호층을 사용함으로써 화소층의 손상 및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용제성, 내광성 및 투과율이 우수한 플렉서블 컬러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는 분리층, 보호층 및 블랙매트릭스층과 화소층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상기 보호층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 내 치환기는 명세서 내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는 특정 보호층을 사용함으로써, 화소층의 손상 및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용제성, 내광성 및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따른 각 단계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100)는 분리층(105), 보호층(107), 블랙매트릭스층(113) 및 화소층(109)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상기 보호층(107)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컬러필터로서의 유연성을 위해 각 층의 고분자 재질을 특정하며 편의상 유기층으로 언급하고, 이러한 유기층으로는 기재필름(101), 분리층(105), 보호층(107), 블랙매트릭스층(113), 화소층(109), 평탄화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층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기로 분리층 및 보호층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분리층일 수 있다.
기재필름(101)은 광학용 투명 필름으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굴곡성, 투명성,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위상차 균일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필름(101)을 이용함으로써, 컬러필터를 제조, 운반 및 보관시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기재필름(101)의 재질은 고분자 재질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등일 수 있다.
상기 분리층(105)은 컬러필터가 형성되는 유리 기판과 박리를 위해 형성하는 층으로, 컬러필터 제조를 위한 유리 기판과는 물리적인 힘을 통해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분리층(105)은 유리 기판에 대한 박리력이 1N/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N/2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리층(105)의 박리력이 상기 범위 내에 해당함에 따라 이후 유리 기판이 손쉽게 제거되며 표면이 들뜨거나 일부가 떨어져 나가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물성에도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분리층(105)의 두께는 1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리층(105)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박리 공정 진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리 이후 공정의 작업성 및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분리층(105)은 박리 후에는 표면 에너지가 30 내지 70mN/m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에너지는 접촉각과 관련한 요소로 박리 후 표면 에너지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낮은 젖음성을 가지며 이후 형성되는 접착제층 조성물의 코팅성이 우수하여 접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분리층(105)의 코팅 방법은 원하는 두께를 얻을 수 있도록 통상적인 습식 코팅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습식 코팅 방법은 롤 코터, 스핀 코터, 슬릿 앤드 스핀 코터, 슬릿 코터(다이 코터라고도 하는 경우가 있음), 잉크젯 등의 도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경화 공정은 오븐, 핫 플레이트 등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온도 및 시간은 조성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례로 80 내지 250℃ 에서 10 내지 120 분의 조건으로 열처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107)은 분리층(105)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층(105)은 공정 후반부에 유리 기판을 물리적인 박리 방식으로 제거하기 위한 층이기 때문에, 박리력이 매우 약하므로 보호층(107)이 분리층(105)의 양 측변을 감싸는 캡슐화(encapsulat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층(107)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R1 내지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Xn-R'기이고,
이때, X는 C1 내지 C5의 알킬렌기 또는 카보닐기이고,
n은 0 또는 1이고,
R'는 C1 내지 C6 알킬기, C6 내지 C12 방향족기 및 프로톤성 극성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알킬기 및 방향족기는 C1 내지 C12 알킬기, C6 내지 C12 방향족기, 할로겐기, 나트릴기, 니트로기 및 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알킬기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아밀, 이소아밀, tert-아밀, 헥실, 헵틸, 옥틸, 이소옥틸, 2-에틸헥실, tert-옥틸, 노닐, 이소노닐, 데실, 이소데실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방향족기는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 복소환기를 포함하고,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일례로,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탄소 원자수 1~12의 방향족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프로톤성 극성기는 카르복시기 (히드록시카르보닐기), 술폰산기, 인산기, 히드록시기 등의 산소 원자를 갖는 극성기, 제1급 아미노기, 제2급 아미노기, 제1급 아미드기, 제2급 아미드기 (이미드기) 등의 질소 원자를 갖는 극성기, 티올기 등의 황 원자를 갖는 극성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산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기이다.
[화학식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k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R5와 R6은 이들이 결합하는 2개의 탄소원자와 함께, C1 내지 C20 알킬기, C6 내지 C20 방향족기, 할로겐기, 나트릴기, 니트로기 및 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는, 산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3원 또는 5원 헤테로환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보호층(107) 내 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 Mw는 5,000 내지 15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상기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크랙 안정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07)의 유리전이온도(Tg)는 100 내지 250℃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고온 영역에서의 기계 강도의 저하가 작고, 점도 특성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보호층(107)의 탄성률은 2.8 내지 4.5GPa이고, 투과율은 85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율 및 투과율이 상기 범위 이내일 경우 박리시 크랙에 대해 안정할 수 있으며, 색상 변화 등의 열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113)은 보호층(107)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층(113)은 차광층으로 패터닝된 각 화소 사이에 위치하여 화소 영역을 제외한 부분의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화소층(109)은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113)과 보호층(10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화소층(109)은 색 구현을 위한 층으로 통상적으로 패턴화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백색(white) 화소층(109)과 함께 블랙매트릭스층(113)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화소층(109)은 3원색 및 백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 한다. 또한, 화소층(109)의 각 색의 순서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블랙매트릭스층(113)과 화소층(109)의 형성 순서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컬러필터는 예컨대,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의 기재필름에 직접 제조하지 않고 우선 유리 기판 상에서 분리층 및 보호층을 형성한 뒤 그 위에 컬러필터를 만들고 나중에 분리층을 박리하여 기재필름을 접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따른 각 단계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는
유리 기판(115)에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분리층(105)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리층(105) 상에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분리층 측면까지 감싸도록 보호층(107)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107) 상에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113)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백색(white) 화소층(109)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층(109) 전체에 걸쳐 평탄화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평탄화층(111)을 형성하는 단계;
점착제층(117)이 일측면에 도포된 보호필름(119)을 상기 평탄화층(111)과 접합하는 단계;
상기 유리 기판(115)과 분리층(105)을 분리하는 단계;
접착제층(103)이 일측면에 도포된 기재필름을 상기 분리층(105)과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119) 및 점착제층(117)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한다.
이때 상기 분리층(105)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컬러필터의 제조공정 후반부에 유리 기판과 박리를 위한 층으로써 유리 기판(115)에 대한 박리력을 1 N/25 ㎜ 이하, 바람직하기로, 0.1 N/25㎜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표면의 들뜸이나 떨어짐과 같은 손상 없이 유리 기판(115)만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층의 박리 특성 제어는 레이저, 식각액 등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대상 기판을 제거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월등히 경제적이고 안정적일 뿐 아니라 물리적인 박리 또한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유리 기판(115)을 준비한 후,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분리층(105)을 형성한다(도 1 참조).
상기 유리 기판(115)은 컬러필터를 구성하는 층들이 형성되는 면이자 컬러필터 제조공정 중에 쉽게 휘거나 뒤틀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적정 강도를 제공한다. 또한, 열이나 화학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는 소재로 유리가 적합하다.
상기 유리 기판(115)의 두께는 특정 범위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50 내지 500 ㎛ 범위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유리 기판(115)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및 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공정 중에 무게로 인한 공정 장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은 코팅 후 경화시켜 분리층(105)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분리층(105)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컬러필터의 제조공정에 있어 컬러필터가 형성되는 유리 기판과 박리를 위해 형성하는 층이다. 상기 분리층(105)은 컬러필터 제조를 위한 유리 기판과는 물리적인 힘을 통해 분리될 수 있어야 하며 분리된 후에는 전술한 접착제층(103)을 통해 기재필름(101)과 접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분리층(105)은 유리 기판에 대한 박리력은 1 N/25㎜ 이하, 바람직하기로, 0.1 N/2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 해당함에 따라 이후 유리 기판(115)이 손쉽게 제거되며 표면이 들뜨거나 일부가 떨어져 나가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물성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분리층(105)의 두께는 1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범위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박리 공정 진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박리 이후 공정의 작업성 및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상기 분리층(105)은 박리 후에는 표면 에너지가 30 내지 70 mN/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에너지는 접촉각과 관련한 요소로 박리 후 표면 에너지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낮은 젖음성을 가지며 이후 형성되는 접착제층 조성물의 코팅성이 우수하여 접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코팅 방법은 원하는 두께를 얻을 수 있도록 통상적인 습식 코팅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습식 코팅 방법은 롤 코터, 스핀 코터, 슬릿 앤드 스핀 코터, 슬릿 코터(다이 코터라고도 하는 경우가 있음), 잉크젯 등의 도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경화 공정은 오븐, 핫 플레이트 등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온도 및 시간은 조성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례로 80 내지 250 에서 10 내지 120 분의 조건으로 열처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형성된 분리층(105) 상에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분리층 측면까지 감싸도록 보호층(107)을 형성한다(도 2 참조).
상기 분리층(105)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정 후반부에 유리 기판을 물리적인 박리 방식으로 제거하기 위한 층이기 때문에 박리력이 매우 약하므로 보호층(107)이 분리층(105)의 양 측면을 감싸는 캡슐화(encapsulate) 형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의 코팅 방법 및 경화 공정은 이전 단계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형성된 보호층(107) 상에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BM)층(113)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백색(white) 화소층(109)을 형성한다(도 3 및 4 참조).
상기 화소층(109)은 색 구현을 위한 층으로 통상적으로 패턴화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백색(white) 화소층과 함께 블랙매트릭스층(113)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화소층(109)은 3원색 및 백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블랙매트릭스층(113)은 차광층으로 패터닝된 각 화소 사이에 위치하여 화소 영역을 제외한 부분의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층(107) 상에 화소를 형성하는 부분을 구획하도록 블랙매트릭스층(113)을 형성한 뒤 그 사이에 색상 표현을 위한 각각의 화소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노광, 현상 및 열경화하여 형성한다. 상기 화소층의 각 색의 순서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매트릭스층(113) 및 화소층(109)의 형성 순서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블랙매트릭스층(113) 및 화소층(109)의 코팅 방법 및 경화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형성된 화소층(109) 전체에 걸쳐 평탄화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평탄화층(111)을 형성한다(도 5 참조).
상기 평탄화층(111)은 화소층(109)의 단차를 보정하고 평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층으로 오버코팅층(OC 층)으로도 불린다.
이러한 평탄화층(111) 패터닝된 화소층 보호 및 이후 화소전극 형성시 컬러필터 표면 평탄화를 위한 것으로 화소층(109) 전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층(111)의 재질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111) 코팅 방법 및 경화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점착제층(117)이 일측면에 도포된 보호필름(119)을 상기 평탄화층(111)과 접합한다(도 6 참조).
상기 보호필름(119)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컬러필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및 투명성을 갖도록 물성이 제어된 재질을 사용한다. 일례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염화 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117)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성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에테르, 변성 폴리올레핀,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에폭시, 불소, 고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117)은 보호필름(119)에 직접 도포된 것이거나, 보호필름(110)에 점착 시트를 부탁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보호필름(119) 및 점착제층(117)의 두께는 보호필름의 재질 및 점착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리 기판(115)과 분리층(105)을 분리한다(도 7 참조).
컬러필터 제조를 위해 사용된 유리기판(115)을 제거하기 위해 분리층(105)을 박리시킨다.
상기 박리 공정은 상온에서 진행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층(105)의 유리기판에 대한 약한 박리력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벗겨내는 방식으로 유리 기판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리층을 기준으로 유리 기판과 나머지 층들을 고정시킨 후 물리적 힘으로 분리하는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착제층(103)이 일측면에 도포된 기재필름(101)을 상기 분리층(105)과 접착한다(도 8 참조).
상기 기재필름(101)은 광학용 투명 필름으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굴곡성, 투명성,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위상차 균일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필름(101)을 이용함으로써, 컬러필터를 제조, 운반 및 보관시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기재필름(101)의 재질은 일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등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103)은 기재필름(101)과 컬러필터의 분리층(105)을 접합하기 위해 사용되며, 기재필름(101) 또는 분리층(105)의 일면에 배치된다. 사용가능한 접착제는 광경화형 접착제이며 광경화 후 별도의 건조 공정이 필요 없고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폭시 화합물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103)의 광경화에 있어서, 원자외선, 자외선, 근자외선, 적외선 등의 광선, X선, γ선 등의 전자파 외에, 전자선, 프로톤선, 중성 자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경화 속도, 조사 장치의 입수의 용이성, 가격 등으로부터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가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조사를 행할 때의 광원으로서는, 고압 수은등, 무전극 램프,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 램프, 제논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층 사이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필름 및/또는 분리층에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합한 보호필름(119) 및 점착제층(117)을 제거한다(도 9 참조).
추후 터치센서, POL일체형 터치 또는 윈도우 필름을 적층하기 위해 이전 단계에서 접합한 보호필름(119) 및 점착제층(117)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도 10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100)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100)은 기재필름(101); 접착제층(103); 분리층(105); 보호층(107); 패터닝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백색(white) 화소층(109); 및 평탄화층(11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컬러필터로서의 유연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컬러필터를 구성하는 각 층의 고분자 재질을 특정하며 편의상 유기층으로 언급하고, 이러한 유기층으로는 기재필름(101), 분리층(105), 보호층(107), 평탄화층(111)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층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기로 분리층(105) 및 보호층(107)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분리층(105)일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의 재질은 고분자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고분자 재질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예, PMMA),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믹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올레핀(예, PE, PP), 폴리스티렌, 폴리노보넨, 폴리말레이미드, 폴리아조벤젠, 폴리에스테르(예, PET, PBT), 폴리아릴레이트, 폴리프탈이미딘,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 폴리비닐신나메이트, 폴리신나메이트, 쿠마린계 고분자, 칼콘계 고분자,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재질은 각 층에 기재필름(101), 분리층(105), 보호층(107), 평탄화층(111)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층에 적용 가능한다. 일례로, 각 층 모두에 동일 또는 유사 고분자를 적용거나, 분리층(105)에 폴리아크릴에이트만 적용하고 그외 나머지 층들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의 각각의 두께는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플렉서블 컬러필터 및 적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박막화를 위해서는 얇을수록 유리하며 따라서 각 유기층의 두께는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의 제조공정은 고온공정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형성은 유리 기판 상에서 진행한 뒤 상온에서 분리층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을 제거하고 플라스틱 소재의 기재필름을 적층한다.
특히, 상기 분리층의 유리 기판에 대한 박리력을 일정 범위로 한정함에 따라 박리 공정이 손쉽게 수행되며 유리 기판 역시 깨끗하게 제거되고, 박리 공정 후 표면이 들뜨거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손상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플렉서블 컬러필터는 종래 기재필름의 열적 변형을 방지할 뿐 아니라 이로 인한 품질 저하나 오작동이 없어 높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컬러필터의 패턴의 치수가 정확하고 정세화되어 더욱 정밀한 화소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목적에 따라 다양한 플라스틱 소재를 기재필름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는 플렉서블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소자(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WOLED) 기판 상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 및 터치센서, POL일체형 터치 또는 윈도우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플라스틱 소재의 열적 변형으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가 해결되었기에 굴곡 및 유연성을 요구하는 자동화 기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전자종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자유로운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합성예 1: 고분자화합물 A-1
8-하이드록시카보닐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60중량부, N-페닐-(5-노보넨-2,3-다이카복시이미드) 40중량부, 1-헥센 1.3중량부, (1,3-다이메틸이미다졸리딘-2-일리덴)(트라이사이클로헥실포스핀)벤질리덴루테늄다이클로라이드 0.05중량부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0중량부를 질소 치환한 유리제 내압 반응기에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70℃에서 2시간 반응시켜 수지 용액(a)(고형분농도: 약 20%)을 수득했다. 상기 수지 용액(a)을 교반기 부착 오토클레이브내로 옮기고, 수소압력4MPa, 온도 150℃에서 5시간 반응시켜 수소 첨가된 수지(수소 첨가율 99%)를 포함하는 수지 용액(b)(고형분 농도: 약 20%)을 수득했다.
다음으로, 상기 수지 용액(b) 100중량부 및 활성탄 분말 1중량부를 내열제의 오토클레이브내로 넣고, 수소압력 4MPa하에 온도 150℃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구멍 직경 0.2㎛의 불소 수지제 필터로 여과하여 활성탄을 분리함으로써 수지 용액(c)을 수득했다. 이때, 용액은 순조롭게 여과되었다.
이어서, 수지 용액(c)을 에틸 알코올 중에 가했다. 생성된 조각을 건조시켜 고분자 화합물 A-1을 수득했다. 고분자 화합물 A-1의 폴리아이소프렌환산의 Mw는 5,500, Mn은 3,200, 유리전이온도(Tg) 187℃였다. 또한, 수소첨가율은 99%였다.
합성예 2: 고분자화합물 A-2
8-메틸-8-메톡시카보닐테트라사이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100중량부, 1-헥센 1.3중량부, 1,3-다이메틸이미다졸린-2-일리덴(트라이사이클로헥실포스핀)벤질리덴루테늄 다이클로라이드 0.05중량부 및 사이클로헥세인 400중량부를 질소 치환한 유리제 내압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 혼합물을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중합 반응 및 수소첨가 반응을 수행하여 수지를 수득했으며, 수지의 Mw는 5,300, Mn은 3,200, 유리전이온도(Tg) 197℃이었다. 또한, 수소첨가율은 99%였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은 수지 100중량부, N-메틸피롤리돈 100중량부, 프로필렌글라이콜 500중량부, 85% 수산화칼륨 84.5중량부를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 혼합물을 4.5시간 동안 190℃에서 가열 교반했다. 수득된 반응액을 대량의 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염산의 혼합 용액에 부어 가수 분해물을 응고시켰다. 응고 폴리머를 수세, 건조하여 가수 분해된 고분자 화합물 A-2를 수득했다. 고분자 화합물 A-2의 가수분해율은 95%였다.
합성예 3: 고분자화합물 A-3
5-(2-하이드록시에톡시카보닐)바이사이클로[2.2.1]헵토-2-엔 100중량부, 1-헥센 1.3중량부, 1,3-다이메틸이미다졸리딘-2-일리덴(트라이사이클로헥실포스핀)벤질리덴루테늄 다이클로라이드 0.05중량부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0중량부를 질소 치환한 유리제 내압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 혼합물을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중합 반응 및 수소 첨가반응을 수행하여 고분자 화합물 A-3을 수득했다. 고분자 화합물 A-3의 Mw는 5,500, Mn은 3,300이었으며, 수소첨가율은 99%이고, 유리전이온도(Tg) 199℃였다.
합성예 4: 고분자화합물 A-4
8-에틸리덴-테트라사이클로[4.4.0.12,5.17,10]데카-3-엔 100중량부, 1-헥센 1.3중량부, 1,3-다이메틸이미다졸리딘-2-일리덴(트라이사이클로헥실포스핀)벤질리덴루테늄 다이클로라이드 0.05중량부 및 사이클로헥세인 400중량부를 질소 치환한 유리제 내압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 혼합물을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중합 반응 및 수소 첨가반응을 하여 고분자 화합물 A-4를 수득했다. 고분자 화합물 A-4의 Mw는 5,500, Mn은 3,200이고, 유리전이온도(Tg) 198℃였다. 또한, 수소첨가율은 99%였다.
합성예 5: 고분자화합물 A-5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를 준비하고, 한편, N-벤질말레이미드 45중량부, 메타크릴산 45중량부, 트리사이클로데실 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4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이하, “PGMEA”라 함) 40중량부를 투입후, 교반 혼합하여 모노머 적하 로트를 준비하고, n-도데칸티올 6 중량부, PGMEA 24중량부를 넣고 교반 혼합하여 연쇄 이동제 적하 로트를 준비했다. 이후 플라스크에 PGMEA 395중량부를 도입하고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공기에서 질소로 한 후 교반하면서 플라스크의 온도를 90℃까지 승온했다. 이어서 모노머 및 연쇄 이동제를 적하 로트로부터 적하를 개시했다. 적하는 90℃를 유지하면서, 각각 2시간동안 진행하고 1시간후에 110℃ 승온하여 3시간유지한 뒤, 가스 도입관을 도입시켜, 산소/질소=5/95 (v/v)혼합 가스의 버블링을 개시했다. 이어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부,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0.4중량부, 트리에틸아민 0.8중량부를 플라스크내에 투입하여 110℃에서 8시간 반응을 계속하고, 그후 실온까지 냉각하면서 고형분 29.1 중량%, 중량평균분자량 32,000, 유리전이온도(Tg) 140℃, 산가가 114㎎KOH/g인 고분자 화합물 A-5를 얻었다.
합성예 6: 고분자화합물 A-6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를 준비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300 중량부를 투입 후 교반 하면서 75℃까지 가열한다. 플라스크에 3, 4-에폭시-8-(아크릴로일옥시)트리시클로일[5.2.1.02,6]데칸(EDCPA) 62.5중량부, 아크릴산(AA) 15.1 중량부, 비닐톨루엔 22.4 중량부를 PGMEA 170 중량부에 녹인 용액을 적하 로트를 이용하여 5시간 동안 적하시켰다.
한편, 중합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30 중량부를 PGMEA 200 중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별도의 적하 로트를 이용하여 5시간에 걸쳐서 적하시켰다. 중합개시제의 적하가 완료된 후에, 약 4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하면서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면서 고형분 37.6 중량%, 중량평균분자량 10740, 유리전이온도(Tg) 160℃, 산가 111㎎KOH/g인 고분자 화합물 A-6을 얻었다.
합성예 7: 고분자화합물 A-7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를 준비하고, 한편, 아세토아세톡시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 하이드록시 메타크릴 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 N-벤질말레이미드 45 중량부, 메타크릴산 15 중량부, 트리사이클로데실 메타크릴레이트 10 중량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4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40 중량부를 투입 후, 교반 혼합하여 모노머 적하 로트를 준비하고, n-도데칸티올 6 중량부, PGMEA 24 중량부를 넣고 교반 혼합하여 연쇄 이동제 적하 로트를 준비했다.
이후 플라스크에 PGMEA 395 중량부를 도입하고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공기에서 질소로 한 후 교반하면서 플라스크의 온도를 90℃까지 승온했다. 이어서 모노머 및 연쇄 이동제를 적하 로트로부터 적하를 개시했다. 적하는, 90℃를 유지하면서 각각 2h 동안 진행하고, 1h 후에 110℃로 승온하여 3h 유지한 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면서 고형분 29.1 중량%, 중량평균분자량 25,000, 유리전이온도(Tg) 80℃ 산가가 140㎎KOH/g인 고분자 화합물 A-7을 얻었다.
합성예 1 내지 7의 상기 고분자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Mw) 측정은 GPC법을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장치: HLC-8120GPC(도소㈜ 제조)
칼럼: TSK-GELG4000HXL + TSK-GELG2000HXL(직렬 접속)
칼럼 온도: 40℃
이동상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유속: 1.0 ㎖/분
주입량: 50 ㎕
검출기: RI
측정 시료 농도: 0.6 질량%(용매 = 테트라히드로퓨란)
교정용 표준 물질: TSK STANDARD POLYSTYRENE F-40, F-4, F-1, A-2500, A-500(도소㈜ 제조)
합성예 1 내지 7의 유리전이온도(Tg)는 시차 주사형열량계를 사용하여 10/분으로 승온시켜 측정 하였다.
플렉서블 컬러필터의 제조
유리 기판 상에 상기 표 1에 기재한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한 후 150℃ 에서 20분간 경화시켜 0.3㎛두께의 분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분리층 양 측면이 감싸도록 보호막을 코팅한 후 230℃에서 20분간 열처리하여 3㎛ 두께의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는 보호층 상부에 블랙매트릭스층(TBK-04) 및 패터닝된 화소층(TR-800, YG-800, YB-800)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화소층 상에 평탄화막(DW-LT09)을 형성한 뒤, 상기 평탄화층과 점착제가 부착된 보호필름(15㎛PSA/38㎛PET, 후지모리사)으로 접합하였다.
이어서, 상온에서 유리 기판을 분리층으로부터 박리하여 분리한 후 접착제(KR15P, ADEKA사)를 도포한 기재필름을 적층하여 컬러필터를 제조한 후 기판에 대한 투과율, 탄성율, 도막 크랙, 내광성 및 내용제성을 측정하였다.
항목 고분자화합물 용매 첨가제
A-1 A-2 A-3 A-4 A-5 A-6 A-7 B C-1 C-2
실시예1 17 - - - - - - 79.5 0.5 2.5
실시예2 - 17 - - - - - 79.5 0.5 2.5
실시예3 - - 17 - - - - 79.5 0.5 2.5
실시예4 - - - 17 - - - 79.5 0.5 2.5
실시예5 - 8.5 8.5 - - - - 79.5 0.5 2.5
실시예6 8.5 - 8.5 - - - - 79.5 0.5 2.5
실시예7 - - 8.5 8.5 - - - 79.5 0.5 2.5
비교예1 - - - - 17 - - 79.5 0.5 2.5
비교예2 - - - - - 17 - 79.5 0.5 2.5
비교예3 - - - - - - 17 79.5 0.5 2.5
A-1: 합성예 1
A-2: 합성예 2
A-3: 합성예 3
A-4: 합성예 4
A-5: 합성예 5
A-6: 합성예 6
A-7: 합성예 7
B: MEDG
C-1: F-554, DIC
C-2: EPHE-3150CE, Dicel
실험예 1: 두께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로 제조된 고분자 화합물을 50mm×50mm, 700㎛ 두께의 소다 라임 글라스(Soda lime glass)의 유리 기판상에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이어서 100℃에서 2분 건조하고, 230℃에서 30분간 추가로 건조한 뒤, 방랭함으로써 도막기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포 기판은 표면 형상 측정 장치 「Dektak8(Veeco사제)」를 이용하여 코팅 된 기판에서 4포인트를 측정한 막의 두께가 2㎛에 맞도록 스핀 코터의 도포 조건을 조정하여 도막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2: 투과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상기 필름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두께 700㎛의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 상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층 만을 형성하였다. 상기 절연층의 파장 550nm에서의 광의 투과율을 분광 광도계(히따찌세이사꾸쇼 제조, U321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실험예 3: 탄성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상기 필름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두께 700㎛의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 상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층 만을 형성된 기판을 KS M ISO 6721-4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도막 크랙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상기 필름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두께 700㎛의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 상에 분리층을 코팅하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고분자 수지를 분리층 상부에 코팅하여 3M #55 tape(25mm폭/길이10cm)를 이용하여 박리하고 이때 전사된 도막의 크랙 여부를 눈으로 관측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크랙이 없는 상태
X: 크랙이 발생한 상태
실험예 5: 내광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상기 필름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두께 700㎛의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 상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층 만을 형성을 형성한 기판을 크세논 램프(Xenon lamp)를 이용하여 200시간 조사하여 투과율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3 ΔT% 이하
△: 4~8 ΔT% 이하
X: 9 ΔT% 이상
실험예 6: 내용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상기 필름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두께 700㎛의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 상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층 만을 형성 기판을 PGMEA에 침지후 100도에서 30분간 가열 후 막전후의 두께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98% 이상
△: 95%~98%
X: 95% 이하
실험예 7: 유리전이 온도( Tg )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상기 필름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두께 700㎛의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 상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층 만을 형성된 기판을 DSC장비의 시편 적용가능 한 사이즈의 크기로 절단하여,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시료의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에너지(energy) 입력차를 온도의 함수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두께
(㎛)
투과율
(T%)
탄성율
(MPa)
도막
크랙
내광성
(ΔT% )
내용제성 유리전이
온도(Tg)
실시예1 2 97 400 0.3 100
실시예2 2 98 390 0.4 120
실시예3 2 99 420 1 150
실시예4 2 98 380 0.4 180
실시예5 2 98 390 0.6 140
실시예6 2 97 405 0.55 170
실시예7 2 97 400 0.5 120
비교예1 2 85 480 5 90
비교예2 2 90 550 12 150
비교예3 2 89 590 7 45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7은 투과율, 탄성율 및 내광성 및 내용제성이 모두 우수하며, 도막의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100: 플렉서블 컬러필터
101: 기재필름
103: 접착제층
105: 분리층
107: 보호층
109: 화소층
111: 평탄화층
113: 블랙매트릭스층
115: 유리 기판
117: 점착제층
119: 보호필름

Claims (6)

  1. 분리층, 보호층 및 블랙매트릭스층과 화소층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상기 보호층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컬러필터.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R1 내지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Xn-R'기이고,
    이때, X는 C1 내지 C5의 알킬렌기 또는 카보닐기이고,
    n은 0 또는 1이고,
    R'는 C1 내지 C6 알킬기, C6 내지 C12 방향족기 및 프로톤성 극성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상기 알킬기 및 방향족기는 C1 내지 C12 알킬기, C6 내지 C12 방향족기, 할로겐기, 나트릴기, 니트로기 및 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다).
    [화학식2]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k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R5와 R6은 이들이 결합하는 2개의 탄소원자와 함께, C1 내지 C20 알킬기, C6 내지 C20 방향족기, 할로겐기, 나트릴기, 니트로기 및 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는, 산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3원 또는 5원 헤테로환 구조를 형성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내 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 Mw는 5,000 내지 1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컬러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유리전이온도(Tg)는 100 내지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컬러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탄성률은 2.8 내지 4.5G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컬러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투과율은 8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컬러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의 상기 보호층과의 인접면의 반대면에 구비되는 기재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컬러필터.
KR1020160039479A 2016-03-31 2016-03-31 플렉서블 컬러필터 KR10250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79A KR102503173B1 (ko) 2016-03-31 2016-03-31 플렉서블 컬러필터
US16/086,837 US11119259B2 (en) 2016-03-31 2016-12-13 Flexible color filter
PCT/KR2016/014608 WO2017171200A1 (ko) 2016-03-31 2016-12-13 플렉서블 컬러필터
CN201680082571.1A CN108700734B (zh) 2016-03-31 2016-12-13 柔性滤色器
TW106101622A TW201736903A (zh) 2016-03-31 2017-01-18 軟性彩色濾光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79A KR102503173B1 (ko) 2016-03-31 2016-03-31 플렉서블 컬러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37A true KR20170112437A (ko) 2017-10-12
KR102503173B1 KR102503173B1 (ko) 2023-02-23

Family

ID=5996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479A KR102503173B1 (ko) 2016-03-31 2016-03-31 플렉서블 컬러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19259B2 (ko)
KR (1) KR102503173B1 (ko)
CN (1) CN108700734B (ko)
TW (1) TW201736903A (ko)
WO (1) WO20171712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430A1 (ko) * 2019-03-29 2020-10-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7368B2 (en) * 2018-07-13 2022-03-2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Thin film multivariate optical element and detector combinations, thin film optical detectors, and downhole optical computing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345A (ko) * 2006-12-12 2008-06-1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컬러필터 및 액정표시장치
KR20080062595A (ko)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6673A (ko) * 2005-10-12 2008-07-16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수직 배향형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82729A (ko) 2011-01-14 2012-07-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537243A (en) * 2004-01-30 2005-11-16 Zeon Corp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resin film
CN101283298A (zh) * 2005-10-12 2008-10-08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相位差膜,偏振片及垂直取向型液晶显示装置
US20090251643A1 (en) 2005-12-09 2009-10-08 Konica Minolta Opto, Inc.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O2007069474A1 (ja) 2005-12-12 2007-06-21 Konica Minolta Opto, Inc.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029517B1 (ko) 2008-10-28 2011-04-1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빔을 이용한 전자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의 저온 큐어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 제조 방법
JP5457078B2 (ja) * 2009-06-05 2014-04-02 株式会社ダイセル カチオン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5817237B2 (ja) * 2010-07-29 2015-11-18 Jsr株式会社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硬化膜の形成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形成方法
CN102854743A (zh) * 2011-06-30 2013-01-02 Jsr株式会社 感放射线性树脂组成物、显示元件用硬化膜、显示元件用硬化膜的形成方法及显示元件
WO2013024849A1 (ja) * 2011-08-18 2013-02-21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酸樹脂組成物、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イミドオキサゾール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を含有するフレキシブル基板
JP2014048428A (ja) * 2012-08-30 2014-03-17 Jsr Corp 感放射線性組成物、表示素子用硬化膜の形成方法、表示素子用硬化膜及び表示素子
CN103675975A (zh) * 2013-12-25 2014-03-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彩色滤光片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73A (ko) * 2005-10-12 2008-07-16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수직 배향형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54345A (ko) * 2006-12-12 2008-06-1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컬러필터 및 액정표시장치
KR20080062595A (ko)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2729A (ko) 2011-01-14 2012-07-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430A1 (ko) * 2019-03-29 2020-10-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데코 필름, 이를 갖는 윈도우 필름과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86593A1 (en) 2019-03-21
US11119259B2 (en) 2021-09-14
CN108700734A (zh) 2018-10-23
WO2017171200A1 (ko) 2017-10-05
KR102503173B1 (ko) 2023-02-23
CN108700734B (zh) 2021-09-28
TW201736903A (zh)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9750B2 (en) Flexible color filter,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TW201718727A (zh) 樹脂膜、積層體、光學構件、氣體阻障材及觸碰感測器基材
KR101938882B1 (ko) 필름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1922501A (zh) 光學積層體
KR20200036819A (ko) 광학 필름
JP2020189955A (ja) 光学フィルム
CN112888561A (zh) 层叠体及图像显示装置
KR102503173B1 (ko) 플렉서블 컬러필터
KR20210006324A (ko) 화합물, 잠재성 첨가제, 조성물, 경화물, 경화물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8883603B (zh) 膜触控传感器及包含该膜触控传感器的触控屏面板
CN114586087B (zh) 光学层叠体和显示装置
TW201806749A (zh) 彩色濾光器及包含其之影像顯示裝置
JP2021148935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KR20160140126A (ko) 플렉서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
JP6557965B2 (ja) 透明絶縁膜用樹脂溶液、および透明絶縁膜の製造方法
JP2021147485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KR20230107357A (ko) 적층 필름, 적층체, 편광판, 편광판 롤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JP2021148937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TW202037637A (zh) 聚醯胺系樹脂、光學膜及可撓性顯示裝置
JP2021063213A (ja) ポリイミド系樹脂
JP2021063212A (ja) 光学フィルム
KR20220032905A (ko)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및 광학 장치
JP2005133029A (ja) 透明複合シート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