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239A -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239A
KR20170112239A KR1020160039021A KR20160039021A KR20170112239A KR 20170112239 A KR20170112239 A KR 20170112239A KR 1020160039021 A KR1020160039021 A KR 1020160039021A KR 20160039021 A KR20160039021 A KR 20160039021A KR 20170112239 A KR20170112239 A KR 2017011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substrate
curing
adh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섭
박용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239A/ko
Priority to TW106110092A priority patent/TW201736238A/zh
Priority to PCT/KR2017/003510 priority patent/WO2017171444A1/ko
Publication of KR2017011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송대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필름과 접합되도록 위치되고, 접합된 필름을 회전운동에 의하여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롤러; 제1롤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일부 기재가 접촉되어 회전에 의하여 기재가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기재와 필름이 서로 부착(Laminate)되어 회전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송장치{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판넬이라 함은, CRT, LCD, PDP, EL(electroluminescence)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판넬의 ITO(indium tin oxide) 필름을 가압하여 컴퓨터에 신호를 줄 수 있게 만든 것을 말한다. 아날로그 타입의 터치 판넬의 제조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ITO 필름을 ITO가 형성된 뒷면에 보호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일정한 규격의 사이즈로 절단하는 단계, ITO 박막 위에 에칭레지스트를 스크린 방식에 의해 인쇄하는 단계, 산 용액을 이용한 ITO 박막 에칭 단계, 알카리 용액으로 에칭레지스크를 박리하는 단계, 부스바 역할을 하는 은전극을 스크린 방식에 의해 인쇄하는 단계, ITO 글라스와 접합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방법은 수작업으로 실시되어 많은 인원이 투입되며, 작업자의 실수나 부주의에 의한 오염, 제품 파손 등의 불량이 많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지만 많은 공정을 겪어야 하므로 공정자체가 복잡하며 생산시간이 증가되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0-0058404 호 (2000. 10. 05.)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름제조 공정을 줄여, 생산비와 생산시간을 감소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름제조 중 기재부착단계에서 사전경화를 함으로써 경화효율을 증진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대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필름과 접합되도록 위치되고, 접합된 필름을 회전운동에 의하여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롤러; 제1롤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일부 기재가 접촉되어 회전에 의하여 기재가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기재와 필름이 서로 부착(Laminate)되어 회전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기재는 필름과 부착되기 전에 필름과 부착되는 면에 레진이 도포되고, 기재와 필름이 부착되기 전에 레진을 기 결정된 정도로 경화시키는 사전경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재는 필름과 부착되기 전에 필름과 부착되는 면에 레진이 도포되고, 기재와 필름이 부착되기 전에 레진을 기 결정된 정도로 경화시키는 사전경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전경화기는 열을 가하는 열경화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ultraviolet)경화가 가능하다.
또한, 기재는 필름과 부착되기 전에 필름과 부착되는 면에 레진이 도포되고,
필름과 기재가 부착된 후에 레진을 경화시키는 주경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경화기는 열을 가하는 열경화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ultraviolet)경화가 가능하다.
또한, 제1롤러의 회전속도와 상기 이송대의 이송속도가 동일하다.
또한, 필름은 이송대 상에서 글래스 위에 안착되어 이송되고, 글래스와 필름 사이에는 보호층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롤러는 적어도 외주면이 점착성을 지닌 고무재료로 형성되고, 점착성에 의하여 제1롤러와 필름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1롤러와 필름의 접착은 제1롤러의 외주면에 도포된 접착물질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1롤러와 필름의 접착은 제1롤러가 필름을 흡착할 수 있도록 제1롤러의 외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름제조 공정을 줄여, 생산비와 생산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름제조 중 기재부착단계에서 사전경화를 함으로써 경화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b)는 제1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b)는 기재와 필름의 접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필름(400)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상이한 소재의 층으로 적층된 필름(400)일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송장치가 생산하고자 하는 필름에 따라 복수 개의 제조장치의 배열에서 선순위 또는 후순위에 위치되는 것은 당업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므로 필름(400)을 형성하는 층의 수에 대해서는 한정된 바 없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송장치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기재(300), 필름(400) 및 경화기(10, 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100)는 이송대(30)와 동일한 이송속도를 유지하며 회전되고, 제1롤러(100)의 외주면에 필름(400)이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400)은 이송대(30)에서 글래스(410) 위에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는데, 필름(400)이 글래스(410)로부터 박리(De-laminate)되고 제1롤러(100)에 원활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글래스(410) 위에 필름(400)이 안착될 시에 글래스(410)와 필름(400) 사이에는 보호층이 위치될 수 있다. 이 때의 보호층과 필름(400) 사이의 접착력은 필름(400)과 제1롤러(100) 사이의 접착력 보다 낮거나 없는 소재가 될 수 있다.
한편, 제2롤러(200)도 제1롤러(100)와 동일한 이송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제1롤러(100)의 지름이 제2롤러(20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각 롤러(100, 200)의 외주면을 따라 이송되는 부재의 속도가 동일하기 위하여 분당회전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도 1의 일 실시예와 같은 경우 제2롤러가 더 높은 분당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제1롤러(100)에 의하여 제1롤러(100)의 원주방향으로 이송되는 필름(400)은 기 결정된 위치에서 기재(300)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위치는 제2롤러(200)와 제1롤러(100)에 가장 인접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인접한 위치에 따라 각 롤러(100, 200) 간의 간격이 결정되는데 이러한 간격은 제2롤러(20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기재(300)를 고려할 때, 제1롤러(100)의 외주면과 기재(300)가 가장 인접되는 간격이 필름(400)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의 결정은 기재(300)와 필름(400)의 접착을 위하여 기재(300)와 필름(400)이 서로 압착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거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재(300)가 위치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롤러(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기 결정된 각도만큼 제2롤러(200)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위치되고, 제1롤러(100)와 제2롤러(200)가 서로 대향하는 공간을 경유하며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재(300)는 제2롤러(20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외주면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동 중에 필름(400)과 부착(Laminate)될 수 있다.
또한, 기재(300)는 필름(400)과의 접촉 전과 후로 상태변화가 될 수 있다. 상기 상태변화란, 기재(300)가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필름(400)과의 접촉되는 위치로부터 전측에는 사전경화기(10)가 형성될 수 있고, 후측에는 주경화기(20)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전경화기(10)는 기재(300)가 필름(400)과 부착(Laminate)되기 위하여 기재(300)에 레진이 도포되고 필름(400)과의 접촉 전에 예를 들면 30% 경화시키고, 필름(400)과의 접촉 후에 주경화기(20)에서 상기 레진을 100% 경화시키는 방식을 통하여 기재(300)와 필름(400)의 접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화기(10, 20)는 제1롤러(100)와 부착되어 있는 필름(400)과 제2롤러(200)가 이송하는 기재(300)의 접착을 위하여 포함되는 구성으로, 제1롤러(100)로부터 필름(400)이 박리되어 필름(400)이 기재(300)와 접착되는 것이 경화기(10, 20)를 경유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경우, 경화기(10, 2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제1롤러(100)와 필름(400) 간의 접착력보다 기재(300)와 필름(400)간의 접착력이 더 높게 형성될 경우에는 경화기(10, 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당업자는 경우에 따라 필름(400)와 기재(300) 간의 접착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전경화기(10) 또는 주경화기(20)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롤러(100)를 나타낸 사시도, (b)는 제1롤러(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롤러(100)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도 2의 (a)의 경우, 제1롤러(100)는 적어도 외주면이 점착성면(110)으로 형성되어 필름(400)이 점착성(viscosity)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에 의한 접착력은 제1롤러(100)의 외주면에 필름(400)이 접착된 후 회전 중에 기재(300)와 부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기재(300)와 필름(400) 간의 접착력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착성을 지닌 외주면은 예를 들면 합성고무가 될 수 있고, 합성물의 비율 등과 같은 합성조건에 따라 점도가 달리 형성될 수 있다.
(b)의 경우에는, 제1롤러(100)의 외주면에 별도의 접착물질(120)이 도포된 상태로, 접착물질(120)의 접착력에 의한 필름(400)의 접착을 유도할 수 있다. (a)의 경우와 동일하게 (b)도 상기 접착에 의한 접착력은 제1롤러(100)의 외주면에 필름(400)이 접착된 후 회전 중에 기재(300)와 부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기재(300)와 필름(400) 간의 접착력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a) 및 (b)에서의 상기 접착력은 박리를 고려한 접착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 결정된 흡착력을 통해 제1롤러(100)는 필름(400)을 흡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롤러(100)의 외주면에는 필름(400)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공은 제1롤러(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는 공기흡입수단에 의하여 흡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공에 의하여 필름(400)은 제1롤러(100)의 외주면에 흡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 결정된 흡착력은 상술한 기재(300)와 필름(400) 간의 접착력보다 낮게 형성되고, 필름(400)이 기재(300)로 전달되기 전까지 제1롤러(100)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정도의 흡착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400)은 제1롤러(400)부터 박리되어 기재(3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b)는 기재(300)와 필름(400)의 접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a)와 (b)를 참조하면, 사전경화기(10), 주경화기(20), 제2롤러(200) 및 기재(300)가 도시되고, 기재(300)가 사전경화기(10)와 주경화기(20)를 경유하며 경화되는 과정을 예시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제1롤러(100)는 생략한다.
기재(300)는 제1롤러(10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하는 필름(400)과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부착 시의 부착되는 접착력에 의하여 필름(100)이 제1롤러(100)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접착력의 관계에 따라 기재(300)는 필름(400)과 기 결정된 접착력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력은 기재(300)의 이동방향기준으로 사전경화기(10)의 전측에 위치한 도시되지 않은 레진도포부에 의하여 도포되는 레진에 의하여 기재(300)와 필름(400)은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400)과 접착될 수 있는 접착수단이 레진이라면, 접착력을 결정하는 것은 레진의 경화도가 될 수 있고, 상기 경화도는 사전경화기(3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경화단계를 기준으로 기재(300)를 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경화기재(310), 사전경화기재(320) 및 완경화기재(330)로 구분되는 기재(300)의 부분은 예를 들어 경화의 정도가 무경화기재(310)는 0%, 사전경화기재(320)는 30%, 완경화기재(330)는 100%가 될 수 있다.
즉, 사전경화기(10)를 경유하면서 기 결정된 수준으로 경화된 레진이 기재(300)와 필름(400)을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30%의 경화도는 하나의 예로써, 30% 경화도에 한정되지 않고 10% 이상 90% 이하의 경화도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사전경화기
20 : 주경화기
30 : 이송대
100 : 제1롤러
110 : 점착성면
120 : 접착제
200 : 제2롤러
300 : 기재
310 : 무경화기재
320 : 사전경화기재
330 : 완경화기재
400 : 필름
410 : 글래스

Claims (12)

  1. 이송대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필름과 접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접합된 상기 필름을 회전운동에 의하여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롤러; 및
    상기 제1롤러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일부 기재가 접촉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재가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기재와 상기 필름이 서로 부착(Laminate)되어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필름과 부착되기 전에 상기 필름과 부착되는 면에 레진이 도포되고,
    상기 기재와 상기 필름이 부착되기 전에 상기 레진을 기 결정된 정도로 경화시키는 사전경화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전경화기는 열을 가하는 열경화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ultraviolet)경화가 가능한, 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필름과 부착되기 전에 상기 필름과 부착되는 면에 레진이 도포되고,
    상기 필름과 상기 기재가 부착된 후에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주경화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경화기는 열을 가하는 열경화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ultraviolet)경화가 가능한, 이송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필름과 부착되기 전에 상기 필름과 부착되는 면에 레진이 도포되고,
    상기 기재와 상기 필름이 부착되기 전에 상기 레진을 기 결정된 정도로 경화시키는 사전경화기 및 상기 필름과 상기 기재가 부착된 후에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는 주경화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전경화기 및 주경화기는 열을 가하는 열경화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ultraviolet)경화가 가능한, 이송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의 회전속도와 상기 이송대의 이송속도가 동일한, 이송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이송대 상에서 글래스 위에 안착되어 이송되고, 상기 글래스와 상기 필름 사이에는 보호층이 위치되는, 이송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는 적어도 외주면이 점착성을 지닌 고무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점착성에 의하여 상기 제1롤러와 상기 필름이 접착되는, 이송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필름의 접착은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에 도포된 접착물질에 의하여 접착되는, 이송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필름의 접착은 상기 제1롤러가 상기 필름을 흡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롤러의 외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을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20160039021A 2016-03-31 2016-03-31 이송장치 KR20170112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021A KR20170112239A (ko) 2016-03-31 2016-03-31 이송장치
TW106110092A TW201736238A (zh) 2016-03-31 2017-03-27 饋送裝置
PCT/KR2017/003510 WO2017171444A1 (ko) 2016-03-31 2017-03-30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021A KR20170112239A (ko) 2016-03-31 2016-03-31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239A true KR20170112239A (ko) 2017-10-12

Family

ID=5996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021A KR20170112239A (ko) 2016-03-31 2016-03-31 이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70112239A (ko)
TW (1) TW201736238A (ko)
WO (1) WO20171714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4782A (ja) * 2008-10-01 2012-02-23 ジャンファン ファン 光学/電子構造物を有するディスプレー装置の製造方法
KR20120107360A (ko) * 2011-03-21 2012-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KR101907484B1 (ko) * 2011-07-21 2018-12-05 미래나노텍(주)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376625B1 (ko) * 2012-09-14 201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패널 제조장치 및 영상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20150130755A (ko) * 2014-05-14 2015-11-24 황장환 광학 패턴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36238A (zh) 2017-10-16
WO2017171444A1 (ko)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039B1 (ko) 시트상 제품 제조장치
JP2006334715A (ja) 積層体フイルムのハーフカット方法及び装置
JP2008238763A (ja) 長尺状ウエブの貼り付け方法
JP6612951B2 (ja) 曲面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19218802A1 (zh) 膜材裁切方法、裁切装置、复合膜材、背光模组和显示装置
CN101823356B (zh) 薄膜贴附机台、薄膜贴附方法以及固化膜层的制作方法
JP2007084200A (ja) 積層体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WO2007139090A1 (ja) 外層体の剥離方法及び剥離装置
KR20170112239A (ko) 이송장치
JP5679597B2 (ja) ガラス基板の平坦面形成装置
JP2015154033A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JP6211828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KR1018730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편광필름 부착장치
KR101072588B1 (ko) 패널 접착장치 및 패널 접착방법
KR101247984B1 (ko) 스티커형 접착패드의 필름 코팅 장치
KR20130131974A (ko) 진공 흡착 롤러를 이용한 필름 넥 컷팅 구조 장치
JP6430191B2 (ja) 曲面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2087239B1 (ko) 부착식 광고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6211841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KR101557523B1 (ko) 유리기판의 평탄면 형성 장치 및 방법
WO2019061719A1 (zh) 柔性oled显示器的分离方法及柔性oled显示器
KR1006694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라미네이터
JP2009172965A (ja) 感光性ウエブ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WO2019088260A1 (ja) 支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貼付システム
JP6315751B2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