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719A - 잉크젯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719A
KR20170109719A KR1020160033307A KR20160033307A KR20170109719A KR 20170109719 A KR20170109719 A KR 20170109719A KR 1020160033307 A KR1020160033307 A KR 1020160033307A KR 20160033307 A KR20160033307 A KR 20160033307A KR 20170109719 A KR20170109719 A KR 2017010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rinting
control data
drople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276B1 (ko
Inventor
이동준
김민수
김종원
이승돈
이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276B1/ko
Priority to US15/254,019 priority patent/US9931838B2/en
Priority to CN201611221261.1A priority patent/CN107215114B/zh
Publication of KR2017010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41Specific driving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03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on optical devices, e.g. lens elements; for the 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4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by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6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of a type not covered by groups B41J2/04575 - B41J2/04585, or of an undefin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2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a continuous ink jet
    • B41J2002/022Control methods or devices for continuous 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15Moving nozzle or nozzle pl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해, 일정한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1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위치에 따라 변하는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해,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잉크젯 헤드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잉크젯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제조방법{Inkjet print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inkjet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잉크젯 기반의 박막 형성 방법과 이를 활용한 표시 장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잉크젯 인쇄 방법은 비접촉식의 인쇄 기술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잉크젯 인쇄 시에, 인쇄할 영역 상에 복수개의 잉크젯 헤드를 배열하고, 잉크젯 헤드의 노즐을 통해 일정한 간격과 크기의 액적을 인쇄 영역상에 분사한다. 액적의 크기, 간격은 인쇄할 면적이나 목표하는 막두께에 따라 정해진다.
인쇄 영역 상에 분사된 액적은 자중에 의해 평평하게 되면서 액체처럼 확산하며 막 두께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인쇄 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분사되는 액적은 인쇄 영역의 바깥을 향한 방향으로도 액체처럼 확산하여, 인쇄 영역의 가장자리 근방에서는 두께가 불균일해지고, 경계 형상이 불분명해지기 쉽다.
본 발명은 막두께의 산포 제어가 양호한 잉크젯 인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유형에 따르면,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해, 일정한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1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위치에 따라 변하는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해,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잉크젯 헤드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2영역의 인쇄 밀도는 상기 제1영역의 인쇄 밀도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의 인쇄 밀도는 상기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상기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과 마주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될 때, 상기 단위 영역에 분사될 액적들의 간격 또는 각각의 부피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소정의 기본 토출량 공차 범위를 만족하는 기본 구동 전압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설정된 기본 구동 전압이 상기 복수의 노즐이 배치된 제1방향을 행으로 하여 나열되고, 상기 잉크젯 헤드가 상기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행이 반복된 매트릭스 형태로 상기 제1영역의 인쇄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에 대한 인쇄 밀도 가변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밀도 가변 방법은 액적 부피 조정형, 인쇄 간격 조정형, 또는 이들의 혼합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액적 부피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상기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을 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각각 정해진 상기 비율과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들과 마주하는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정해진 기본 구동 전압을 곱한 매트릭스 형태의 데이터로,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인쇄 간격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에 대한, 상기 제2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 비율을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간격 비율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액적이 분사될 위치를 1, 분사되지 않을 위치를 0으로 하는 비트맵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각각 정해진 상기 비트맵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들과 마주하는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정해진 기본 구동 전압을 곱한 매트릭스 형태의 데이터로, 상기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혼합형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상기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을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에 대한, 상기 제2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 비율을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간격 비율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액적이 분사될 위치를 1, 분사되지 않을 위치를 0으로 하는 비트맵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각각 정해진 상기 비트맵 데이터와,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각각 정해진 상기 비율과,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들과 마주하는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정해진 기본 구동 전압을 곱한 매트릭스 형태의 데이터로,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르면, 표시 소자들이 어레이된 표시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시 기판을 잉크젯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봉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젯 인쇄 방법은,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해, 일정한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1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상기 제1영역의 인쇄 밀도보다 낮은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해,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잉크젯 헤드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표시 소자들은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르면, 다수의 표시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와 화소 전극이 형성된 제1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기판 상에 잉크젯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제1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젯 인쇄 방법은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해, 일정한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1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상기 제1영역의 인쇄 밀도보다 낮은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해,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잉크젯 헤드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표시 장치 제조방법은 제2기판에 상기 잉크젯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제2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잉크젯 인쇄 방법에 따르면,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근방의 막두께 산포가 양호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잉크젯 인쇄 방법은 막두께 제어를 위한 추가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공정이 용이하다.
상술항 잉크젯 인쇄 방법은 액정 표시 장치의 배향막이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봉지막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잉크젯 인쇄 방법에서 제어 데이터 생성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기본 구동 전압을 설정한 데이터의 예를 보인다.
도 4는 도 3에 예시한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로부터, 제1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 예를 보인다.
도 5는 도 4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잉크젯 헤드가 구동되며 제1영역에 액적을 분사한 예를 보인다.
도 6은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 생성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흐름도에서,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 생성에 적용할 가변 인쇄 밀도 프로파일을 예시적으로 보인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6의 흐름도에서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액적 부피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 제2영역의 단위 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을 예시적으로 보인 조정 데이터이다.
도 9는 도 3에서 설정한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와 도 8의 조정 데이터로부터,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 예를 보인다.
도 10은 도 9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잉크젯 헤드가 구동되며 제2영역에 액적을 분사한 예를 보인다.
도 11은 도 6의 흐름도에서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인쇄 간격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 제2영역의 단위 영역에 대한 액적의 분사 여부를 나타낸 비트맵 데이터이다.
도 12는 도 3에서 설정한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와 도 11의 비트맵 데이터로부터,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 예를 보인다.
도 13은 도 12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잉크젯 헤드가 구동되며 제2영역에 액적을 분사한 예를 보인다.
도 14 및 도 15는 도 6의 흐름도에서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혼합형이 선택된 경우, 각각, 제2영역의 단위 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을 예시적으로 보인 조정 데이터 및 제2영역의 단위 영역에 대한 액적의 분사 여부를 나타낸 비트맵 데이터이다.
도 16는 도 3에서 설정한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와 도 14의 조정 데이터 및 도 15의 비트맵 데이터로부터,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 예를 보인다.
도 17은 도 16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잉크젯 헤드가 구동되며 제2영역에 액적을 분사한 예를 보인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인쇄 영역 가장 자리 근방에서의 막두께 분포를 비교예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이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이 적용된 표시 장치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이 적용된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은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근방의 막두께 분포나 경계 형상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인쇄 밀도가 일정한 영역과 인쇄 밀도가 가변하는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밀도를 구현하도록 잉크젯 헤드를 구동한다.
여기서, 인쇄 밀도는 잉크젯 인쇄시 인쇄 대상 영역의 단위 면적당 분사되는 액적 양을 의미하며, 개개의 액적의 부피와 액적 간 간격에 의해 정해진다. 인쇄 밀도는 잉크젯 인쇄에 의해 최종 구현된 막두께 분포와는 다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잉크젯 인쇄 방법은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해, 일정한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1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00), 위치에 따라 변하는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제2영역은 제1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근방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제2영역을 설정할 때, 제2영역의 위치, 면적 등의 세부적인 사항이 정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를 위해, 제1영역에 형성될 막 두께가 고려될 수 있다. 제2영역의 인쇄 밀도는 제1영역의 인쇄 밀도보다 낮게 설정된다. 제2영역의 인쇄 밀도는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제1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100)와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200)는 순서에 구애되지 않으며, 어느 단계가 먼저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설정되면,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해,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S300). 제어 데이터는 인쇄 대상 영역이 잉크젯 헤드의 복수의 노즐과 마주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될 때, 각 단위 영역에 분사될 액적들의 간격 또는 각각의 부피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잉크젯 헤드의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복수의 노즐이 인쇄 대상 영역과 마주하게 되는 복수의 단위 영역마다, 예를 들어, 액적의 분사 유무나 구동 전압에 대한 제어 정보가 마련된다. 제어 데이터는 매트릭스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1영역의 설정(S100), 제2영역의 설정(S200), 제어 데이터의 생성(S300)의 과정도 흐름도에 표시된 순서에 구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영역을 설정하고 제1영역에 대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한 다음, 제2영역의 설정,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의 생성이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이 순서가 반대로 진행될 수도 있다.
제어 데이터가 생성되면,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잉크젯 헤드를 구동한다(S400). 잉크젯 헤드를 구동시, 잉크젯 헤드가 진행하는 방향을 행, 복수의 노즐이 배열된 방향을 열로 하는 매트릭스 형태의 제어 데이터가 활용된다. 제어 데이터는 인쇄 대상 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에 분사될 액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각 노즐이 인쇄 대상 영역의 어느 위치의 단위 영역과 마주하는 지에 대한 정보는 잉크젯 헤드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대한 스테이지 인코더 데이터에 의해 제공된다. 잉크젯 헤드는 스테이지 인코더 데이터와 연동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인쇄 대상 영역에 액적을 분사한다.
도 2는 도 1의 잉크젯 인쇄 방법에서 제어 데이터 생성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어 데이터 생성 단계(S300)는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소정의 기본 토출량 공차 범위를 만족하는 기본 구동 전압을 설정하는 단계(S310), 제1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30),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은 개별적으로 구비된 액츄에이터, 예를 들어, 압전 소자에 의해 온/오프 구동되며, 제조 공차에 따라 동일한 부피의 액적을 분사하는 구동 전압은 노즐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기본 구동 전압을 설정하는 단계(S310)는 이를 감안하여, 기본 토출량을 제공하는 기본 구동 전압을 노즐마다에 대해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설정된 기본 구동 전압은 제1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때 액적 부피를 변경하는 기준값으로 활용된다.
기본 구동 전압이 설정된 다음, 제1영역의 제어 데이터 생성(S330), 제2영역의 제어 데이터 생성(S350)은 순서에 구애되지 않으며, 어느 단계가 선행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잉크젯 헤드(100)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N1, N2, N3, N4, N5, N6) 각각에 대해 기본 구동 전압을 설정한 데이터의 예를 보인다.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V)는 잉크젯 헤드(100)의 복수의 노즐(N1, N2, N3, N4, N5, N6) 각각이 소정의 기본 토출량을 분사하는 구동 전압 값의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V)은 복수의 노즐(N1, N2, N3, N4, N5, N6)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나타낸 1행의 매트릭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V)에 포함된 각 전압 값은 각 노즐의 기본 토출량을 완전히 일치시키는 수치를 의미하지는 않으며, 공정 조건에 따라 정해진 기본 토출량 공차 범위를 만족하는 수치로 정해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예시한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V)로부터, 제1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CD1)를 생성한 예를 보이며, 도 5는 도 4의 제어 데이터(CD1)에 따라 잉크젯 헤드(100)가 구동되며 제1영역에 액적(LD)을 분사한 예를 보인다.
도 4에서, D1은 복수의 노즐(N1, N2, N3, N4, N5, N6)이 배열된 방향, D2는 잉크젯 헤드(100)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제어 데이터(CD1)은 복수의 노즐(N1, N2, N3, N4, N5, N6)이 D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마주하게 되는, 제1영역의 단위 영역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1영역은 인쇄밀도가 일정한 영역이므로, 제1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CD1)는 도 3에서 설정한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V)의 행을 제2방향(D2)을 따라 반복 배치한 매트릭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잉크젯 헤드(100)는 생성된 제어 데이터(CD1)에 따라 인쇄 대상 영역의 제1영역(R1)에 액적(LD)을 분사한다. 각 노즐(N1, N2, N3, N4, N5, N6)에는 기본 구동 전압으로 정해진 수치가 일정하게 구동 전압으로 인가되며, 제2방향(D2)을 따라 움직이며 액적(LD)을 분사한다. 액적(LD)간 간격은 잉크젯 헤드(100)가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속도와 각 노즐(N1, N2, N3, N4, N5, N6)의 토출 주파수에 따라 정해진다. 제어 데이터(CD1)은 액적(LD)간 간격, 액적(LD) 부피를 일정하게 분사하기 위한 데이터이며, 각 노즐(N1, N2, N3, N4, N5, N6)은 정해진 구동 전압에 따라, 일정한 토출 주파수로 액적(LD)을 분사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R1)에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액적(LD)이 분사된다.
도 6은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 생성 단계(S350)를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 생성을 위해, 먼저, 제2영역에 대한 인쇄 밀도 가변 방법을 선택한다(S355).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액적 부피 조정형(361), 인쇄 간격 조정형(371), 혼합형(381)이 선택될 수 있다.
인쇄 밀도 가변 방법의 선택과 함께, 또는 인쇄 밀도 가변 방법을 선택하기 전이나 후에, 제2영역에 형성할 인쇄 밀도 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영역(R2)을 제2-1영역(R2_1), 제2_2영역(R2_2), 제2_3영역(R2_3)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인쇄 밀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래프는 제1영역(R1)의 인쇄 밀도를 1로 표시하고 있다.
DS로 표시한 영역은 dead space, 즉, 잉크젯 인쇄에 의한 박막이 형성되지 않을 위치이며, ED는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를 나타낸다.
선택된 인쇄 밀도 가변 방법과, 구현하고자 하는 인쇄 밀도 프로파일에 따라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도 6의 흐름도에서 액적 부피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S361)의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도 6의 흐름도에서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액적 부피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 제2영역의 단위 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을 예시적으로 보인 조정 데이터(VR1)이고, 도 9는 도 3에서 설정한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V)와 도 8의 조정 데이터(VR1)로부터,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CD2_1)를 생성한 예를 보이며, 도 10은 도 9의 제어 데이터(CD2_1)에 따라 잉크젯 헤드(100)가 구동되며 제2영역(R2)에 액적(LD)을 분사한 예를 보인다.
액적 부피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S361),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을 설정한다(S363).
여기서, 기본 토출량은 도 3에서 설정한 기본 구동 전압에 의해 분사되는 액적 양을 의미한다. 상기 비율은 도 7에서 예시한 인쇄 밀도 프로파일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영역들 각각에 대한 값으로 설정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 방향, 열 방향이 각각 제1방향(D1), 제2방향(D2)으로 정의된 매트릭스 형태의 조정 데이터(VR1)가 설정될 수 있다. 제1방향(D1), 제2방향(D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잉크젯 헤드의 복수의 노즐이 배열된 방향, 잉크젯 헤드의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다음, 단위 영역마다에 정해진 상기 비율과 노즐별 기본 구동 전압을 곱하여 매트릭스 형태의 제어 데이터를 형성한다(S365).
도 9를 참조하면, 제어 데이터(CD2_1)는 제1방향(D1), 제2방향(D2)으로 행 방향, 열 방향이 설정된 매트릭스 형태를 가지며, i행, j열을 나타내는 각 위치(i, j)에서의 값은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CD2_1}ij={VR1}ij *{V}j
잉크젯 헤드(100)가 제어 데이터(CD1)에 따라 인쇄 대상 영역의 제1영역(R2)에 액적(LD)을 분사한다. 잉크젯 헤드(100)가 제2방향(D2)을 따라 움직이며 복수의 단위 영역과 마주하게 될 때, 각 노즐(N1, N2, N3, N4, N5, N6)에는 해당 영역에 대해 설정된 제어 데이터(CD2_1)에 포함된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액적이 분사된다. 제2방향(D2)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복수의 노즐(N1, N2, N3, N4, N5, N6)은 일정한 토출 주파수로 액적을 분사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R2)에는 액적(LD)간 간격이 일정하고, 액적(LD) 부피가 가장자리(ED)로 갈수록 점차로 작아지는 형태로 액적(LD)이 분사된다. 여기서 액적(LD)간 간격은 인접하는 액적(LD) 중심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제2_1영역(R2_1), 제2_2영역(R2_2), 제2_3영역(R2_3)으로 갈수록 액적(LD) 부피는 점차로 감소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도 6의 흐름도에서 인쇄 간격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S371)의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도 6의 흐름도에서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인쇄 간격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 제2영역의 단위 영역에 대한 액적의 분사 여부를 나타낸 비트맵 데이터(BM1)이고, 도 12는 도 3에서 설정한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V)와 도 11의 비트맵 데이터(BM1)로부터,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CD2_2)를 생성한 예를 보이며, 도 13은 도 12의 제어 데이터(CD2_2)에 따라 잉크젯 헤드(100)가 구동되며 제2영역(R2)에 액적(LD)을 분사한 예를 보인다.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인쇄 간격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S371), 제1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에 대한, 제2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 비율을 설정한다(S373). 즉, 인쇄 밀도가 일정한 제1영역에서의 액적 간 간격을 1이라고 할 때, 제2영역에서의 액적 간 간격을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수치로 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은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설정된 인쇄 밀도 프로파일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로 정할 수 있다.
다음, 정해진 간격 비율에 따라,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액적 분사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를 형성한다(S375). 비트값은 액적이 분사될 영역을 1, 액적이 분사되지 않을 영역을 0으로 정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은 매트릭스 형태의 비트랩 데이터(BM1)가 형성된다.
다음, 제2영역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각각 정해진 비트맵 데이터와 노즐별 기본 구동 전압을 곱하여 매트릭스 형테의 제어 데이터(CD2_2)를 생성한다(S377)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 데이터(CD2_2)는 제1방향(D1), 제2방향(D2)으로 행 방향, 열 방향이 설정된 매트릭스 형태를 가지며, i행, j열을 나타내는 각 위치(i, j)에서의 값은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CD2_2}ij={BM1}ij *{V}j
잉크젯 헤드(100)가 제어 데이터(CD2_2)에 따라 인쇄 대상 영역의 제2영역(R2)에 액적(LD)을 분사한다. 잉크젯 헤드(100)가 제2방향(D2)을 따라 움직이며 복수의 단위 영역과 마주하게 될 때, 각 노즐(N1, N2, N3, N4, N5, N6)에는 해당 영역에 대해 설정된 제어 데이터(CD2_2)에 포함된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액적이 분사된다. 제2방향(D2)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복수의 노즐(N1, N2, N3, N4, N5, N6)은 서로 다른 토출 주파수로 액적을 분사한다. 예를 들어, 노즐(N1, N2)은 도 5 또는 도 9의 제어 데이터(CD1)(CD2_1)에 따라 인쇄할 때의 토출 주파수를 f0라고 할 때, f0/2의 토출 주파수로 액적을 분사한다. 노즐(N3, N4)는 f0/3의 토출 주파수로, 노즐(N5, N6)는 f0/4의 토출 주파수로 액적을 분사한다.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R2)에는 액적(LD) 부피가 일정하며, 액적(LD) 간 간격이 가장자리(ED)로 갈수록 점차로 작아지는 형태로 액적(LD)이 분사된다. 즉, 가장자리(ED)에 점차 가까와지는 제2_1영역(R2_1), 제2_2영역(R2_2), 제2_3영역(R2_3)의 순서로, 액적(LD)간 간격은 점차로 커진다.
도 14 내지 도 16을 함께 참조하여, 도 6의 흐름도에서 혼합형이 선택된 경우(S381)의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는 도 6의 흐름도에서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혼합형이 선택된 경우, 각각, 제2영역의 단위 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을 예시적으로 보인 조정 데이터(VR2) 및 제2영역의 단위 영역에 대한 액적의 분사 여부를 나타낸 비트맵 데이터(BM2)이다. 도 16는 도 3에서 설정한 기본 구동 전압 데이터(V)와 도 14의 조정 데이터(VR2) 및 도 15의 비트맵 데이터(BM2)로부터,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CD2_3)를 생성한 예를 보이며, 도 17은 도 16의 제어 데이터(CD2_3)에 따라 잉크젯 헤드(100)가 구동되며 제2영역(R2)에 액적(LD)을 분사한 예를 보인다.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혼합형이 선택된 경우(S381), 제2영역의 단위 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을 설정한다(S383).
기본 토출량은 도 3에서 설정한 기본 구동 전압(V)에 의해 분사되는 액적 양을 의미한다.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 데이터는 복수의 단위 영역들 각각에 대한 값으로 설정되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D1), 제2방향(D2)으로 행 방향, 열 방향이 설정된 매트릭스 형태의 조정 데이터(VR2)가 설정된다.
또한, 제1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에 대한, 제2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 비율을 설정한다(S385). 인쇄 밀도가 일정한 제1영역에서의 액적 간 간격을 1이라고 할 때, 제2영역에서의 액적 간 간격을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수치로 정할 수 있다.
S383, S385의 순서는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가 뒤바뀔 수도 있다.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 데이터, 제2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설정된 인쇄 밀도 프로파일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로 정할 수 있다.
다음, 정해진 간격 비율에 따라,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액적 분사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를 형성한다(S387). 비트값은 액적이 분사될 영역을 1, 액적이 분사되지 않을 영역을 0으로 정할 수 있다. 도 15과 같은 매트릭스 형태의 비트랩 데이터(BM2)가 형성된다.
다음, 제2영역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각각 정해진 비트맵 데이터와 단위 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 및 노즐별 기본 구동 전압을 곱하여 매트릭스 형테의 제어 데이터(CD2_3)를 생성한다(S389)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 데이터(CD2_3)는 제1방향(D1), 제2방향(D2)으로 행 방향, 열 방향이 설정된 매트릭스 형태를 가지며, i행, j열을 나타내는 각 위치(i, j)에서의 값은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CD2_3}ij={VR2}ij*{BM2}ij *{V}j
잉크젯 헤드(100)가 제어 데이터(CD2_3)에 따라 인쇄 대상 영역의 제2영역(R2)에 액적(LD)을 분사한다. 잉크젯 헤드(100)가 제2방향(D2)을 따라 움직이며 복수의 단위 영역과 마주하게 될 때, 각 노즐(N1, N2, N3, N4, N5, N6)에는 해당 영역에 대해 설정된 제어 데이터(CD2_3)에 포함된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액적(LD)을 분사한다. 각 노즐(N1, N2, N3, N4, N5, N6)이 마주하는 단위 영역의 제어 데이터(CD2_3) 값이 0인 경우, 액적(LD)이 분사되지 않는 위치이므로, 이를 위해, 각 노즐(N1, N2, N3, N4, N5, N6)의 토출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다. 제2방향(D2)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복수의 노즐(N1, N2, N3, N4, N5, N6)은 상이한 토출 주파수로 액적(LD)을 분사할 수 있다. 도 5 또는 도 9의 제어 데이터(CD1)(CD2_1)에 따라 인쇄할 때의 토출 주파수를 f0라고 할 때, 노즐(N1, N2, N3, N4)는 f0/2의 토출 주파수로 액적(LD)을 분사하고, 노즐(N5, N6)는 f0의 토출 주파수로 액적(LD)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R2)에는 액적(LD) 부피, 액적(LD)간 간격이 제2_1영역(R2_1), 제2_2영역(R2_2), 제2_3영역(R2_3)에서 서로 다른 형태로 액적(LD)이 분사된다. 제2_1영역(R2_1), 제2_2영역(R2_2), 제2_3영역(R2_3)으로 갈수록, 즉, 가장자리(ED)에 가까워질수록 인쇄 밀도는 낮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2_1영역(R2_1)에는 도 5에 예시한 제1영역(R1)에 분사된 액적(LD)과 같은 부피의 액적(LD)이 액적(LD) 간격이 두 배로 증가한 형태로 배치되어, 제1영역(R1)보다 낮은 인쇄 밀도를 갖는다. 제2_2영역(R2_2)에는 제2_1영역(R2_1)에 분사된 액적(LD)보다 작은 부피의 액적(LD)이 제2_1영역(R2_1)에서의 액적(LD)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분사되어, 제2_1영역(R2_1)보다 낮은 인쇄 밀도를 갖는다. 제2_3영역(R2_3)에는 제2_2영역(R2_2)에 분사된 액적(LD)보다 작은 부피의 액적(LD)이 제2_2영역(R2_2)에서의 액적(LD)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분사되어, 제2_2영역(R2_2)보다 낮은 인쇄 밀도를 갖는다.
상술한 설명들은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근방에서의 인쇄 밀도를 가변하는 다양한 방법을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이며, 영역의 개수, 구동 전압, 비율, 간격 등과 관련된 구체적인 수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에 의해 형성된 인쇄 영역 가장 자리 근방에서의 막두께 분포를 비교예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이다.
비교예는 가변 인쇄 밀도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잉크젯 인쇄 방법에 의해 형성된 막두께를 보이고 있다.
잉크젯 인쇄시, 통상,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ED)로 갈수록 막두께는 통상 점차적으로 낮아지다가 가장자리(ED) 근방에서 용액의 퍼짐성에 의해 커피 얼룩(coffee stain)이라고 불리는 두께 증가 영역이 나타난다. 실시예의 경우, 가장자리(ED) 근방의 소정 영역을 인쇄 밀도 가변 영역으로 정하여,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어된 크기, 간격의 액적을 분사함으로써, 커피 얼룩 효과(coffee stain effect)가 감소한다. 비교예와 비교할 때, 가장자리(ED) 근방의 막두께 증가 영역이나, 가장자리로 갈수록 막두께가 감소하는 영역의 폭이 감소됨을 볼 수 있다.
상술한 잉크젯 인쇄 방법은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근방의 막두께 품질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배향막이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봉지막 형성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이 적용된 표시 장치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50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서,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어레이된 표시 기판(570), 표시 기판(570)을 봉지하는 봉지막(EC)을 포함한다.
표시 기판(570)은 기판(510), 기판(510) 상에 형성된 화소 회로(520), 화소 회로(520)를 덮는 절연막(530),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화소 정의막(540)을 포함한다. 화소 회로(520)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화소 회로(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552), 중간층(554), 제2전극(556)을 포함한다.
중간층(554)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홀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홀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510), 제1전극(552), 제2전극(556)의 재질로는 표시 장치(500)의 표시 방향에 따라, 예를 들어, 배면 발광, 전면 발광 여하에 따라 투명, 반투명, 또는 반사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봉지막(EC)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보호하고, 또한, 표시 장치(500)의 수명 향상등을 위해 구비된다. 봉지막(EC)은 단층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수의 유기막, 무기막의 복합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500)의 제조에 상술한 잉크젯 인쇄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된 표시 기판(570)을 형성한 후, 표시 기판(570)이 봉지막(EC)으로 봉지될 수 있다. 봉지막(EC)을 이루는 유기막, 무기막은 재료에 알맞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봉지막(EC)을 이루는 적어도 어느 한 층에, 전술한 잉크젯 인쇄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이 적용된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600)는 표시 영역의 제어를 위한 화소 회로(614)와 화소 전극(616)이 형성된 제1기판(610), 제1기판(610)과 마주하며 이격 배치된 제2기판(670), 제1기판(610)과 제2기판(670) 사이에 위치한 액정층(LC)을 포함한다. 화소 회로(520)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616)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액정층(LC)의 제어를 위해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600)의 제조를 위해, 상술한 잉크젯 인쇄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기판(612) 상에 화소 회로(614), 화소 전극(616)이 구비된 제1기판(610)을 형성하고, 제1기판(610) 상에 상술한 잉크젯 인쇄 방법에 따라 제1배향막(AL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판(672) 상에 컬러 필터(674), 평탄화층(676), 공통전극(678)이 구비된 제2기판(670)을 형성하고, 제2기판(670) 상에 제2배향막(AL2)을 상술한 잉크젯 인쇄 방법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컬러 필터(674), 평탄화층(676), 공통전극(678)가 제2기판(670)에 구비된 것은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가 제1기판(6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 제1기판(610)과 제2기판(670) 사이에 액정층(LC)이 형성된다.
도 19 및 도 20의 표시 장치(500)(600)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잉크젯 인쇄 방법이 적용됨에 따라,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근방, 즉, 표시 장치의 테두리 근방의 막두께 편차 영역의 폭이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얇은 베젤(bezel)을 갖는 표시 장치(500)(600)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잉크젯 헤드
N1, N2, N3, N4, N5, N6: 노즐
LD: 액적
500, 600: 표시 장치
EC: 봉지막
AL1, AL2: 배향막

Claims (20)

  1.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해, 일정한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1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위치에 따라 변하는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해,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잉크젯 헤드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인쇄 밀도는 상기 제1영역의 인쇄 밀도보다 낮은, 잉크젯 인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인쇄 밀도는 상기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잉크젯 인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상기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과 마주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될 때, 상기 단위 영역에 분사될 액적들의 간격 또는 각각의 부피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인, 잉크젯 인쇄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소정의 기본 토출량 공차 범위를 만족하는 기본 구동 전압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설정된 기본 구동 전압이 상기 복수의 노즐이 배치된 제1방향을 행으로 하여 나열되고, 상기 잉크젯 헤드가 상기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행이 반복된 매트릭스 형태로 상기 제1영역의 인쇄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에 대한 인쇄 밀도 가변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밀도 가변 방법은
    액적 부피 조정형, 인쇄 간격 조정형, 또는 이들의 혼합형인, 잉크젯 인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액적 부피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상기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을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각각 정해진 상기 비율과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들과 마주하는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정해진 기본 구동 전압을 곱한 매트릭스 형태의 데이터로,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인쇄 간격 조정형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에 대한, 상기 제2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 비율을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간격 비율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액적이 분사될 위치를 1, 분사되지 않을 위치를 0으로 하는 비트맵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각각 정해진 상기 비트맵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들과 마주하는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정해진 기본 구동 전압을 곱한 매트릭스 형태의 데이터로, 상기 제2영역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밀도 가변 방법으로 혼합형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분사될 액적의 상기 기본 토출량에 대한 비율을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에 대한, 상기 제2영역에 분사될 액적의 간격 비율을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간격 비율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액적이 분사될 위치를 1, 분사되지 않을 위치를 0으로 하는 비트맵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각각 정해진 상기 비트맵 데이터와,
    상기 제2영역의 복수의 단위 영역들에 대해 각각 정해진 상기 비율과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들과 마주하는 복수의 노즐 각각에 대해 정해진 기본 구동 전압을 곱한 매트릭스 형태의 데이터로,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7. 표시 소자들이 어레이된 표시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기판을 잉크젯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봉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젯 인쇄 방법은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해, 일정한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1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상기 제1영역의 인쇄 밀도보다 낮은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해,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잉크젯 헤드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들은 유기 발광 소자인, 표시 장치 제조방법.
  19. 표시 영역 제어를 위한 화소 회로와 화소 전극이 형성된 제1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기판 상에 잉크젯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제1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젯 인쇄 방법은
    인쇄 대상 영역에 대해, 일정한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1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인쇄 대상 영역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상기 제1영역의 인쇄 밀도보다 낮은 인쇄 밀도로 인쇄될 제2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인쇄를 위해,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복수의 노즐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잉크젯 헤드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제2기판에 상기 잉크젯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제2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방법.
KR1020160033307A 2016-03-21 2016-03-21 잉크젯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제조방법 KR10248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307A KR102487276B1 (ko) 2016-03-21 2016-03-21 잉크젯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제조방법
US15/254,019 US9931838B2 (en) 2016-03-21 2016-09-01 Method of controlling film thickness distribu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ethod
CN201611221261.1A CN107215114B (zh) 2016-03-21 2016-12-26 控制膜厚度分布的喷墨印刷方法及制造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307A KR102487276B1 (ko) 2016-03-21 2016-03-21 잉크젯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719A true KR20170109719A (ko) 2017-10-10
KR102487276B1 KR102487276B1 (ko) 2023-01-12

Family

ID=5985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307A KR102487276B1 (ko) 2016-03-21 2016-03-21 잉크젯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31838B2 (ko)
KR (1) KR102487276B1 (ko)
CN (1) CN10721511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29A1 (ko) 2017-08-29 2019-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2단계의 실링 과정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의 사이드부 실링 방법
WO2021172662A1 (ko) * 2020-02-26 2021-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팅 장치, 쌍극성 소자의 프린팅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30046717A (ko) * 2021-09-30 2023-04-06 (주)에스티아이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5926B (zh) * 2018-04-18 2021-07-1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印刷方法、印刷装置、el和太阳能电池的制造方法
CN110421988B (zh) * 2018-07-18 2021-04-20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喷墨控制方法和系统、喷墨打印设备
CN108909188B (zh) * 2018-07-27 2019-10-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设备及一种喷墨打印方法
CN109765730B (zh) * 2019-03-18 2020-08-0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配向膜的制作方法及配向膜
CN114779533A (zh) * 2022-04-11 2022-07-2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配向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4759A (ja) * 2005-08-25 2007-03-08 Sharp Corp 液滴吐出方法および液滴吐出装置
JP2014529379A (ja) * 2012-05-07 2014-11-0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ティング法によって形成された透明導電性高分子電極、これを含む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47398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7248B2 (ja) * 2003-03-12 2008-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膜形成方法、膜形成装置、液晶の配置方法、液晶の配置装置、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3915789B2 (ja) 2003-03-13 2007-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
KR20070010847A (ko) 2005-07-20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배향막 인쇄 장치 및 그 방법
JP4768393B2 (ja) 2005-10-21 2011-09-07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51580B2 (ja) 2006-05-31 2011-03-1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470945B2 (ja) 2007-02-05 2010-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成膜方法及び配向膜形成方法
JP2009189928A (ja) 2008-02-13 2009-08-27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ヘッドの駆動方法、液滴吐出ヘッド
CN102224449A (zh) * 2008-11-21 2011-10-19 夏普株式会社 取向膜材料的滴下方法和滴下装置
JP2011083987A (ja) * 2009-10-16 2011-04-28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
JP2013063573A (ja) 2011-09-16 2013-04-11 Riso Kagaku Corp インクジェット印刷機
GB2509497B (en) * 2013-01-02 2017-09-13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electronic device fabrication methods
JP6363707B2 (ja) 2013-12-12 2018-07-25 カティーバ,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ハーフトーニングを用いて厚さを制御するインクベース層加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4759A (ja) * 2005-08-25 2007-03-08 Sharp Corp 液滴吐出方法および液滴吐出装置
JP2014529379A (ja) * 2012-05-07 2014-11-0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ティング法によって形成された透明導電性高分子電極、これを含む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47398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29A1 (ko) 2017-08-29 2019-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2단계의 실링 과정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의 사이드부 실링 방법
WO2021172662A1 (ko) * 2020-02-26 2021-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팅 장치, 쌍극성 소자의 프린팅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30046717A (ko) * 2021-09-30 2023-04-06 (주)에스티아이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276B1 (ko) 2023-01-12
US20170266957A1 (en) 2017-09-21
US9931838B2 (en) 2018-04-03
CN107215114B (zh) 2020-12-29
CN107215114A (zh)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276B1 (ko) 잉크젯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제조방법
JP4635842B2 (ja) 吐出パターンデータ補正方法、吐出パターンデータ補正装置、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5266671B2 (ja) 液状体の吐出方法、有機el素子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8094044A (ja) ヘッドユニットおよび液滴吐出装置、液状体の吐出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有機el素子の製造方法、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6346575A (ja) キャリッジ、液滴吐出装置、液滴吐出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031070A (ja) 有機el材料塗布装置とその塗布方法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CN109254741B (zh) 一种喷墨打印方法、装置及系统
CN110385926B (zh) 印刷方法、印刷装置、el和太阳能电池的制造方法
JP2008268558A (ja) 液滴吐出ヘッドの吐出制御方法、液状体の吐出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有機el素子の製造方法、配向膜の製造方法、
JP2009198938A (ja) 液滴吐出装置、液状体の吐出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JP2006159114A (ja) 液滴吐出装置を用いた描画方法、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159703A (ja) 液滴吐出装置を用いた描画方法、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93043B2 (ja) 液滴吐出装置を用いた描画方法および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9247933A (ja) 液状体吐出方法、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2238479A (ja) 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4306302B2 (ja) 液滴吐出ヘッドの予備吐出方法、液滴吐出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4302749B2 (ja) インク吐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241610B1 (ko) 인쇄 장치
TWI705591B (zh) 印刷方法及印刷裝置和el與太陽電池的製造方法
KR20190030203A (ko) 인쇄 장치
JP2015149210A (ja) 表示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4013596B2 (ja) 製膜装置と製膜方法、およびデバイス製造装置とデバイス製造方法並びにデバイス
US20100058587A1 (en) Spacer arranging method
JP2002214422A (ja) 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タ並びに表示装置
CN116039265A (zh) 喷嘴调整方法及喷嘴调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