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147A -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147A
KR20170109147A KR1020160032486A KR20160032486A KR20170109147A KR 20170109147 A KR20170109147 A KR 20170109147A KR 1020160032486 A KR1020160032486 A KR 1020160032486A KR 20160032486 A KR20160032486 A KR 20160032486A KR 20170109147 A KR20170109147 A KR 20170109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coated paper
coating sheet
adhesive layer
conduc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
조환석
백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원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원,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원
Priority to KR102016003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9147A/ko
Publication of KR2017010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 인덕션 가열용 원단은 인덕션 가열용 원단에 있어서,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인서트되어 열전도성접착층과 가압 및 가열에 의해 융착되는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를 공급하는 단계;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상부코팅지와 대향되게 공급하는 단계;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덕션 조리용기 바닥면 외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서트한 후 히팅프레스 장치에 의해 열처리 및 가압하여 인써트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2mm 미만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인써트 성형하여 롤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인덕션 조리 가능한 종이 재질의 일회용 조리용기의 바닥판을 대량 생산 가능하여 인덕션 전용 조리용기의 대량 생산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Fabric and the fabric production method for induction heating}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덕션 가열 조리를 위한 1차 조리 후 급속 냉동시킨 즉석식품을 담아 냉동상태로 보관 및 판매하여 인덕션 가열장치가 구비된 즉석조리장치로서 간편한 인덕션 가열 즉석조리를 할 수 있는 조리용기를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기존의 유도가열 반응 금속판이 발열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성분이 음식물에 혼합되지 않으면서도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조리용기는 대부분 유도 코일의 자기장에 반응을 위하여 금속(철)성분을 포함해야 한다. 최근에는 즉석식품을 인덕션 방식으로 가열하여 바로 취식할 수 있는 즉석식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즉석식품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금속판을 가진 일회용 종이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인덕션 조리용 종이용기와 관련된 제1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5417호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가 있으며, 제2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489800호 인덕션 레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제1선행기술에 의한 인덕션 조리용 종이용기는 금속판이 종이용기 바닥면에 부착되는 형태이고, 제2선행기술은 금속판 가장자리가 밑판과 측판이 조립될 때 그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선행기술은 금속판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에 담겨지는 식품과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유도 가열에 의한 발열이 이루어짐으로써 금속판 표면에서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성분이 유출되어 식품에 함유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이재질로 된 일회용 조리용기는 저렴한 제조단가를 유지하기 위해 비교적 위생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 소재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단가가 저렴한 철 성분이 함유된 알루미늄 합금판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이 발열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으로부터 중금속 성분이 많이 유출될 수 밖에 없으며, 즉석식품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양념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작용이 진행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대체하기 위한 인덕션 가열 용 조리용기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5417호(2015.04.28) 한국등록특허 제10-1489800호(2015.01.2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덕션 조리용 종이용기 바닥 표면에 부착되는 금속판을 대체하기 위한 인덕션 조리 가능한 포장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인써트 성형하여 롤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인덕션 조리 가능한 종이 재질의 일회용 조리용기의 바닥판을 대량 생산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인덕션 가열용 원단은 인덕션 가열용 원단에 있어서,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인서트되어 열전도성접착층과 가압 및 가열에 의해 융착되는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를 공급하는 단계;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상부코팅지와 대향되게 공급하는 단계;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덕션 조리용기 바닥면 외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서트한 후 히팅프레스 장치에 의해 열처리 및 가압하여 인써트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에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 외형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폭 어레이 시킨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2mm 미만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인써트 성형하여 롤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인덕션 조리 가능한 종이 재질의 일회용 조리용기의 바닥판을 대량 생산 가능하여 인덕션 전용 조리용기의 대량 생산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이 인서트된 원단 표면에는 코팅 또는 인쇄 또는 열융착으로 열전도성 방수층이 형성되므로 음식물과 유도가열부재가 직접적으로 접촉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이 발열하는 과정에서 중금속 성분 등이 방출되지 않아 음식물에 혼합되는 문제가 전혀 없으며 신속한 유도 가열 조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이 구비된 원단에 의해 일회용 조리용기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져 저렴한 단가의 조리용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 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 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인서트되어 열전도성접착층과 가압 및 가열에 의해 융착되는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은 0.2mm 내지 0.7mm 형성될 수 있고, 인덕션 가열 대상 즉석식품에 대응하여 고성능 발열이 요구되는 경우 1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에는 원단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제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접착제 성분에 유도 자기장에 반응하여 자체 발열하는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 분말이 더 혼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원단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인서트 한 후 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접착제에는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에서 유도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이 원단쪽으로 열전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접착제에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분말이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바닥판은 다음과 같이 을 구성할 수 있다,
조리 용기 바닥판은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이 내부에 인서트되어 있고,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는 용기본체 하단과 조립되기 위한 절곡융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는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되며,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본체 상단부는 외측으로 말아 밴딩지지부가 형성되며, 용기본체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를 외측으로 감싸도록 바닥면으로부터 3mm 내지 6mm 이내로 절곡된 융착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를 공급하는 단계;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상부코팅지와 대향되게 공급하는 단계;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덕션 조리용기 바닥면 외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서트한 후 히팅프레스 장치에 의해 열처리 및 가압하여 인써트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 외형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폭 어레이 시킨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원단 사이에 인서트하면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롤 단위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므로 기존과 같이 사전제작된 조리용기 바닥면 별도의 융착 가공에 의해 부착하는 방식에 비해 대량의 자동 생산이 가능해짐은 물론, 기존의 조리용기 생산 라인에 본 발명의 원단을 사용하여 제조를 할 수 있으므로 인덕션 가열에 의해 즉석 식품 제조 및 판매 사업에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상부코팅지 20 : 하부코팅지
30 : 가요성 유도가열박판 40 : 열전도성접착층
50 : 히팅 프레스장치

Claims (3)

  1. 인덕션 가열용 원단에 있어서,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인서트되어 열전도성접착층과 가압 및 가열에 의해 융착되는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2.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를 공급하는 단계;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상부코팅지와 대향되게 공급하는 단계;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덕션 조리용기 바닥면 외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서트한 후 히팅프레스 장치에 의해 열처리 및 가압하여 인써트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 외형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폭 어레이 시킨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
KR1020160032486A 2016-03-18 2016-03-18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9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86A KR20170109147A (ko) 2016-03-18 2016-03-18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86A KR20170109147A (ko) 2016-03-18 2016-03-18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147A true KR20170109147A (ko) 2017-09-28

Family

ID=6003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486A KR20170109147A (ko) 2016-03-18 2016-03-18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91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7593B2 (ja) 誘導加熱容器
JP6090155B2 (ja) 誘導加熱発熱体、及び誘導加熱容器
JP2009532291A (ja) 電子レンジで使用可能な食品用パッケージ
JP5810887B2 (ja) 誘導加熱発熱体の製造方法
JP5155637B2 (ja) 誘導加熱容器
JP2010001041A (ja) 加熱調理用容器
JP2006320615A (ja) 電磁調理器用紙カップ
JP6798589B2 (ja)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
KR20170109147A (ko)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5138468B2 (ja) 誘導加熱発熱体及び誘導加熱容器
KR20170045935A (ko) 유도가열부재가 구비된 인덕션조리용 종이용기
KR20170109146A (ko)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07296037A (ja) 紙製電磁誘導加熱容器
JP2002345639A (ja)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
KR20170001961U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JP4807151B2 (ja) 誘導加熱調理容器
WO2018116704A1 (ja) Ih調理器用発熱シート
JP2007246124A (ja)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
JP6052335B2 (ja) 誘導加熱発熱体
JP7184714B2 (ja) 電子レンジ用紙カップの製造方法
JP5889024B2 (ja)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5797588B2 (ja) 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KR20220013033A (ko) 인덕션 렌지용 일회용기
KR20150045417A (ko)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JP2004042989A (ja) 電子レンジ用発熱紙カップ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