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175A -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175A
KR20170107175A KR1020160030762A KR20160030762A KR20170107175A KR 20170107175 A KR20170107175 A KR 20170107175A KR 1020160030762 A KR1020160030762 A KR 1020160030762A KR 20160030762 A KR20160030762 A KR 20160030762A KR 20170107175 A KR20170107175 A KR 20170107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ipe
water supply
bridg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628B1 (ko
Inventor
김종대
김은진
최은철
이채성
Original Assignee
서울시설공단
매크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설공단, 매크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시설공단
Priority to KR102016003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62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에서 우수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한쪽 방향으로 유도하는 배수판을 갖는 신축이음부에 있어서, 외측 표면에 복수개의 토출구(320)가 형성된 급수파이프(300)가 상기 배수판(200)의 내측 공간(220)에 설치되어 살수연결노즐(34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토출구(320)를 통해 고압으로 토출되고 이때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 배수판(200)에 적재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수판에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배수판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이물질이 물과 함께 구배각을 따라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A drain-plate cleaning device of a bridge expansion joints}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판에 쌓여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여 교량 상판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배수판 훼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이루는 상판과 상판 사이에는 온도 변화에 따른 상판의 신축 및 팽창에 대응하기 위해 교량의 도로 폭방향으로 설치된 신축이음부가 교량의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위치된다.
상기한 신축이음부는, 교량의 불연속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온도 변화시 교량 상부 구조물의 수축과 팽창, 차량 통행시 활하중에 의한 회전과 이동, 상부구조 형식에 따른 크리프 및 건조 수축 등으로 인한 교량 상부구조의 유동을 수용하게 되며, 이러한 유간을 보상하여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고, 또한 우수가 하부 구조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교량 전체의 내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교량의 중요한 부분이어서 거의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한편, 신축이음부의 하부에는 교량 상부의 우수가 각종 이물질과 함께 상기 신축이음부를 이루는 유간을 통해 유입되었을 때 하부로 낙하되어 교량의 하부구조물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판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판은, 통상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소재의 시트가 양단이 교량 슬라브 또는 신축이음부의 양단에 고정되고, 그 중심에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U", "V" 형 등으로 하부로 연장되게 설치되어지되, 우수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진 구배각을 가지며 형성된다.
하지만, 우수인 경우 배수판의 배수로에 형성된 기울기를 통해 한쪽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지만 우수와 함께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서서히 이동하는 경우 이물질이 쌓여 적층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이물질이 배수로를 채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배수로에 이물질이 채워지게 되면 하중과 화학반응 등으로 인해 배수판이 손상되고 고유의 기능인 방수 및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지 못해 하부구조물의 부식 및 노후화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장치가 다수 제안된 바 있다.
그 한 예로서, 특허등록 제10-0994674호 교량 신축이음부의 이물질 제거 및 배수장치 및 다수의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 교량 신축이음부의 이물질 제거 및 배수 장치는, 양측의 가장자리로 가면서 노면이 하향지게 구배진 제1,2교량 슬래브 사이의 신축이음부에 기존의 신축이음장치를 사이에 두고 가장자리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된 이물질수거용 신축이음재와; 상기 이물질수거용 신축이음재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2교량 슬래브의 거동시 신축되는 베이스통과; 상기 베이스통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이물질수거용 신축이음재의 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과 물을 포집하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에 포집된 이물질과 물 중에서 물을 유입 받아 배수하는 배수덕트를 포함하여, 상기 이물질수거용 신축이음재의 유입공으로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수거통의 바닥부에 모이고 물은 상기 수거통과 베이스통을 통해 상기 배수덕트로 범람하여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교량 노면의 구배를 통해 자연적으로 교량 슬래브 사이의 신축이음부의 가장자리에 모이는 이물질과 물이 배출되어 신축이음부에 끼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신축이음재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하여 교량의 구배각을 따라 이동되는 물과 이물질을 수거통으로 수집한 후 배출시키는 것이어서 교량의 상면 슬래브에 쌓여져 적층되는 이물질은 전혀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94674호 공고일 2010. 11. 16.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7062호 공고일 2010. 10. 11.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1479호 공고일 2008. 10. 02.
[문헌 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2732호 공고일 2006. 01. 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신축이음부에 구비되어 교량 상판으로부터 낙하되는 우수 등을 안내하여 교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판에 있어 배수판 내의 이물질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배수판의 내측 공간인 배수로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함은 물론 배수로에 이물질이 쌓여서 적층되는 경우 이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에서 우수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한쪽 방향으로 유도하는 배수판을 갖는 신축이음부에 있어서, 외측 표면에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급수파이프가 상기 배수판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유체가 공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파이프에 형성된 토출구의 선단이 상기 배수판의 내측공간에서 바닥면을 포함하여 내측 벽면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판의 내측 공간 바닥면이 교량이 폭방향을 따라 구배각을 가지며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토출구와 토출구의 간격이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파이프의 일측에는 폐쇄용 캡이 그리고 타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판의 내측 공간 바닥면에 복수개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에 상기 급수파이프가 올려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파이프의 일측에 물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개폐레버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배수판에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배수판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이물질이 물과 함께 구배각을 따라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수판에 이물질이 적재되지 않고 배수되도록 함에 따라 배수판의 훼손 방지는 물론 신축이음부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급수파이프와 배수판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급수파이프의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의 도시에 의하여 교량용 신축이음부(100)의 저면에서 배수를 위해 설치되는 배수판(200)과, 상기 배수판(200)에 설치되어 고압의 물분사를 통해 물과 함께 이물질을 교량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급수파이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교량 상면으로부터 우수와 함께 이물질이 신축이음부(100)를 통해 배수판(200)으로 유입되면 배수판(200)의 구배각인 기울기를 따라 배수되게 되는데 이때, 배수판(200)의 기울기를 따라 이동되지 못하고 이물질이 점차적으로 적층되면 상기 배수판(200)에 설치된 급수파이프(300)에 물을 공급하여 고압으로 토출되는 물의 압력으로 배수판(200)에 쌓여져 적재된 이물질을 배수시키게 된다.
상기 신축이음부(100)는,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래브(110)와 슬래브(120) 사이에 위치되어 교량의 온도 변화시 신축적 작용을 유도하게 되는 공지 기술과 동일한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상면에 서로 마주보는 핑거조인트(130)(140)를 가지고, 상기 핑거조인트(130)(140) 사이의 하측에 배수판(200)이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판(200)은, 공지 기술과 동일한 것으로 배수시트 또는 배수트랩이라고도 하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단면 외형이 "U", "V" 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신축이음부(100)의 이음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또는 이물질을 교량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판(200)의 내측 공간 바닥면은 우수 등이 흐를 수 있도록 한쪽 방향인 배수방향을 따라 구배각(θ)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파이프(300)는,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이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 양쪽에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토출구(3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판(200)의 내측 공간(220)에 상기 배수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위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급수파이프(300)의 일측 단부에는 공급되는 물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폐쇄용 캡(330)이 결합되어 물 이동을 차단하게 되고, 타측 단부에 살수연결노즐(34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살수연결노즐(340)과 일체로 연결되는 튜브가 연결되며, 상기 튜브에는 물 공급 및 차단을 위한 개폐레버(350)가 구비된다. 또한 외측에는 유입된 물이 고압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320)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살수연결노즐(340)은, 물 공급원에 위치된 펌프와 직접 연결된 연결 튜브 또는 살수차의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판(200)의 내측 공간(220)에 복수개의 지지대(26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260)의 상면에 상기 급수파이프(300)가 올려져 바닥면과 일정 높이로 유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급수파이프(300)를 상기 배수판(200)의 내측 공간(220) 중간에 위치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26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가 가능하며 양단이 상기 배수판(200)의 내측 공간(220)에 고정되고 중간부가 상기 급수파이프(300)를 받침 형태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토출구(320)는, 별도의 노즐(400)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배수판(200)의 내측 공간 바닥면을 향하여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7참조)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파이프(300)에 형성된 토출구(320)의 중심을 기준으로 15°~ -30°경사각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320)와 다른 토출구의 간격이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되도록 하여 토출 부분에서 강한 수압이 작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급수파이프(300)의 양쪽에 설치된 상기 토출구(320)가 평면에서 볼 때 지그재그 방향의 위치에 구비되도록 함이 가능하다.
상기 폐쇄용 캡(330)은, 일측에 암형 나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파이프(300)의 단부에 형성된 숫형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고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시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량의 상판을 이루는 슬래브(110)와 슬래브(120) 사이의 대응단에 신축이음부(100)를 설치하고 상기 신축이음부(100)의 저면에 배수판(200)을 설치하면 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배수판(200)의 내측 공간에 복수개의 지지대(260)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260)에 급수파이프(300)를 올려놓고 용접 등을 통해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면 된다.
사용시에는,
살수차 등을 근접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살수연결노즐(340)을 상기 급수파이프(300)의 단부에 연결한다. 그런다음 살수차의 펌프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개폐레버(350)를 오픈 방향으로 회전시켜 물이 상기 급수파이프(300)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토출구(32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배수판(200)의 내측 공간(220)에 쌓여진 이물질을 타격과 동시에 물과함께 슬라이드 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100: 신축이음부
110,120: 슬래브 130,140: 핑거 조인트
200: 배수판
220: 내측 공간 260: 지지대
300: 급수파이프
320: 토출구 330: 폐쇄용 캡
340: 살수연결노즐 350: 개폐레버

Claims (6)

  1. 교량에서 우수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한쪽 방향으로 유도하는 배수판을 갖는 신축이음부에 있어서,
    외측 표면에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급수파이프가 상기 배수판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유체가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파이프에 형성된 토출구의 선단이 상기 급수파이프 중심을 기준으로 토출구가 25°~ -30°경사각을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의 내측 공간 바닥면이 교량이 폭방향을 따라 구배각을 가지며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토출구와 토출구의 간격이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파이프의 일측에는 폐쇄용 캡이 그리고 타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살수연결노즐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의 내측 공간 바닥면에 복수개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에 상기 급수파이프가 올려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연결노즐의 일측에 물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개폐레버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60030762A 2016-03-15 2016-03-15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KR10186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762A KR101866628B1 (ko) 2016-03-15 2016-03-15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762A KR101866628B1 (ko) 2016-03-15 2016-03-15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175A true KR20170107175A (ko) 2017-09-25
KR101866628B1 KR101866628B1 (ko) 2018-06-12

Family

ID=6003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762A KR101866628B1 (ko) 2016-03-15 2016-03-15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0475A (zh) * 2019-04-12 2019-06-25 赵绮 一种环保式路桥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335134A (zh) * 2020-04-01 2020-06-26 青岛周识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护理的桥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94U (ja) * 1991-09-30 1993-04-27 勝英 島田 洗車装置
KR100576845B1 (ko) * 2004-05-06 2006-05-10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회전 분사노즐
KR100662035B1 (ko) * 2005-06-03 2006-12-27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재의 제작, 설치 및 교체방법
KR100924863B1 (ko) * 2007-12-24 2009-11-0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 제조용 습식 세정 장치
KR101000314B1 (ko) * 2010-07-06 2010-12-13 이텍산업 주식회사 교량 신축이음부 퇴적물 청소차
KR101456895B1 (ko) * 2014-05-08 2014-10-31 주식회사 브리텍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78B1 (ko) * 2010-12-15 2011-03-21 극동엔지니어링(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94U (ja) * 1991-09-30 1993-04-27 勝英 島田 洗車装置
KR100576845B1 (ko) * 2004-05-06 2006-05-10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회전 분사노즐
KR100662035B1 (ko) * 2005-06-03 2006-12-27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재의 제작, 설치 및 교체방법
KR100924863B1 (ko) * 2007-12-24 2009-11-0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 제조용 습식 세정 장치
KR101000314B1 (ko) * 2010-07-06 2010-12-13 이텍산업 주식회사 교량 신축이음부 퇴적물 청소차
KR101456895B1 (ko) * 2014-05-08 2014-10-31 주식회사 브리텍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0475A (zh) * 2019-04-12 2019-06-25 赵绮 一种环保式路桥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930475B (zh) * 2019-04-12 2019-12-31 赵绮 一种环保式路桥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335134A (zh) * 2020-04-01 2020-06-26 青岛周识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护理的桥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628B1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9305B2 (en) Inline bioremediation liquid treatment system
KR101866628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1838899B1 (ko)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KR101255641B1 (ko) 이중 집수구조를 갖는 우수배출장치
JP2010261190A (ja) 側溝用排水装置
KR20190094676A (ko) 교량 배수관 연결구
KR101769208B1 (ko) 개방형 배수관
KR101136508B1 (ko)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JP4502205B2 (ja) 放流管渠の除塵装置
KR20060008252A (ko)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US20200263409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for enhanced maintenance of stormwater management systems
KR101169517B1 (ko) 분리 조립형 배수관
JP2001123484A (ja) 雨水貯留装置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200324571Y1 (ko) 배수조가 부설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944980B1 (ko) 선형의 배수유도부재를 이용하여 노면 침투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한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00847B1 (ko) 분리형 배수직관
KR102300295B1 (ko) 개방형 배수직관
KR200311595Y1 (ko)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CZ20004143A3 (cs) Prosakovací zařízení sráľkové vody
KR102584399B1 (ko) 초기우수처리 및 모래받이 기능을 포함한 교량 배수파이프
KR200245748Y1 (ko) 교량 배수관용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