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778B1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3778B1 KR101023778B1 KR1020100128291A KR20100128291A KR101023778B1 KR 101023778 B1 KR101023778 B1 KR 101023778B1 KR 1020100128291 A KR1020100128291 A KR 1020100128291A KR 20100128291 A KR20100128291 A KR 20100128291A KR 101023778 B1 KR101023778 B1 KR 101023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ing member
- bridge
- space
- foreign matter
- fing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름 부재에 투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최소화하고, 거름 부재에 수용된 이물질은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아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핑거들이 서로 마주하되, 번갈아가며 대향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며, 핑거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통해 투입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신축재질의 거름 부재;상기 거름 부재의 공간에 배치되며, 거름 부재의 내측면을 향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노즐이 설치된 세척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핑거들이 서로 마주하되, 번갈아가며 대향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며, 핑거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통해 투입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신축재질의 거름 부재;상기 거름 부재의 공간에 배치되며, 거름 부재의 내측면을 향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노즐이 설치된 세척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핑거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된 거름 부재에 이물질이 수용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거름 부재에 수용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구조물은 온도 변화 또는 교량을 지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교량 구조물은 교량 구조물의 원활한 팽창 및 수축을 위해, 교량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마다 적정한 연결 틈새가 생기도록 교량의 상판이 복수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교량 상판의 연결 틈새에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어 각각의 교량 상판을 연결한다.
이러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설치로 인해, 온도 변화 및 차량의 하중에 따른 교량의 신축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교량의 파손이 방지되어 교량의 수명은 늘어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량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마다 그리고, 교량 상판의 너비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서로 맞물린 채로 상호 간에 삽입 및 이탈을 반복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11)와, 상기 각각의 핑거 플레이트(11)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지지부재(12)와, 상기 마주하는 지지부재(12) 사이에 설치되어 핑거 플레이트(11)의 삽입 및 이탈에 의해 신축되는 거름 부재(13)로 구성된다.
이때, 거름 부재(13)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11)를 통해 투입된 이물질 및 빗물 등의 물을 수용하여 교량의 하부인 교각으로 더 이상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거름 부재(13)는 핑거 플레이트(11) 사이의 간격을 향해 개구된 수용홈을 형성하며, 거름 부재의 양단부는 지지부재(12)에 고정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핑거 플레이트(11) 사이의 간격을 통해 투입된 빗물 등의 오수 및 이물질은 교량의 하부 구성인 교각으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거름 부재(13)에 걸러짐으로써 교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거름 부재(13)에 걸러진 오수 및 이물질은 거름 부재(13)의 일측에 설치된 배수파이프(미도시)로 유도되어 별도의 장소에 버려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거름 부재(13)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가 크다 보니, 퇴적되는 이물질의 양이 많아서 제거하는데 매우 불편하였다.
즉, 거름 부재(13)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이물질 및 오수 등이 엉켜서 형성하는 슬러지가 또한 크게 형성되어 거름 부재를 청소하기가 쉽지 않았던 것이다.
물론, 거름 부재(13)를 작게 형성하여 그의 공간에 수용되는 이물질 및 오수의 양을 축소하는 대응 방안도 있겠지만, 핑거 플레이트(11)의 유동 거리를 감안할 때, 거름 부재(13)의 크기를 최소화하는데에도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둘째, 거름 부재(13)에 수용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빗물 등의 오수는 거름 부재(13) 일측에 설치된 배수파이프를 통해 배수되기는 하지만, 이물질은 핑거 플레이트(11) 사이의 간격을 통해 빼내어야 함으로써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즉, 핑거 플레이트(11) 사이의 협소한 간격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떨어뜨렸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름 부재의 공간을 메워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거름 부재에 수용된 이물질에 바람을 분사하여 이물질에 대한 제거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핑거들이 서로 마주하되, 번갈아가며 대향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며, 핑거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통해 투입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신축재질의 거름 부재;상기 거름 부재의 공간에 배치되며, 거름 부재의 내측면을 향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노즐이 설치된 세척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거름 부재 공간의 단면 형태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세척튜브도 상기 거름 부재의 공간에 대응되는 반원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은 세척튜브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은 핑거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통해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거름 부재에 형성된 공간을 세척튜브가 메움으로써,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이 축소되어 상기 공간에 퇴적되는 이물질의 양이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한결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세척튜브의 내부에 바람을 강하게 주입하여 세척튜브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고압의 바람을 거름 부재의 내측면을 향해 강하게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은 거름 부재의 내측면 곡률을 따라 상방으로 토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거름 부재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 작업이 간편해져, 세척작업에 대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핑거플레이트(100)와, 거름 부재(200)와, 세척튜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핑거플레이트(100)는 교량의 신축시 교량이 유동되는 공간을 확보하며, 서로 대향된 상태의 한 쌍으로 제공된다.
이때, 핑거플레이트(100)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 복수의 핑거(110)들이 형성되며, 상기 핑거(110)의 형태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대향된 핑거(110)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교량이 신축될 때, 서로 대향된 핑거(110)는 서로를 향해 맞물림과 이탈을 반복하게 된다.
다음으로, 거름 부재(200)는 교량의 신축으로 인해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100)가 서로를 향해 유동될 때, 상기 핑거플레이트(100)가 유동되는 속도를 저감시켜 완충 작용을 하며, 핑거플레이트(100)의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거름 부재(200)는 핑거플레이트(100)의 핑거(11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투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교량의 하방 즉, 교각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거름 부재(200)는 핑거(110) 사이에 대응되는 소정의 공간(210)을 형성하며, 그의 양단부는 핑거플레이트(100)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반원 형태 즉, "U"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반원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거름 부재(200)의 재질은 핑거플레이트(100)의 유동성을 무리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신축성이 뛰어난 고무재질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거름 부재(200)의 양측에는 지지부재(22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20)는 핑거플레이트(100)의 하방에 공간을 마련하여 거름 부재(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각 핑거플레이트(10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정확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 부재(200)의 양단부를 고정한 후,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지지부재(220) 역시 한 쌍으로 제공되며, 상호 간에 일정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부재(220)의 외측면에는 각각 교량 상판의 타설을 위해 철근이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앵커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세척튜브(300)는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을 메워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과 더불어,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에 수용된 소량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척튜브(300)는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에 배치된다.
즉, 세척튜브(300)의 형태 역시 거름 부재(200)의 공간에 대응되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의 내부는 중공(中空)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세척튜브(300)의 상면은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는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에 대응되는 형태로 곡률을 갖는다.
이때, 세척튜브(300)의 하부에는 그 곡률을 따라 복수의 통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310)은 세척튜브(300)의 내부로부터 고압의 바람이 분사되는 통로이며, 상기 통공(310)은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 및 내측면을 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척튜브(300)는 핑거플레이트(100)의 유동에 따라 거름 부재(200)와 함께 신축작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고무 등의 신축재질임이 당연하다.
이때, 세척 튜브(300)의 두께는 평상시에 반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만약, 세척튜브(300)의 두께가 너무 얇게 형성되면, 반원 형태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세척튜브(300)의 상면에는 노즐(320)이 설치된다.
상기 노즐(320)은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압축기(미도시) 등에 의해, 바람을 세척튜브(300)의 내부로 압송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이때, 노즐(320)은 세척튜브(300) 한 개당 하나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플레이트(100)의 저면과 지지부재(220) 사이에는 체결수단을 이용해 거름 부재(200)의 양단부를 고정시킨다.
이때,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에는 세척튜브(300)가 수용된 상태이며, 세척튜브(300)에 설치된 노즐은 핑거플레이트(100) 사이로 노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세척튜브(300)가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을 메움으로써,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에 투입될 수 있는 이물질의 양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최소의 양이라 하더라도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에는 이물질이 투입되며,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다.
핑거플레이트(100) 사이로 노출된 노즐(320)에 압축기에 설치된 호스를 연결시킨 후, 압축기를 통해 세척튜브(300)의 내부로 바람을 압송시킨다.
이후, 바람은 세척튜브(300)의 내부로부터 통공(310)을 통해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으로 토출된다.
이때, 토출된 바람은, 이물질을 거름 부재(200)의 상방으로 이송시켜 핑거플레이트(100) 사이의 간격을 통해 외부로 날려 버리게 된다.
이에 따라, 거름 부재(200)의 공간(210)에 투입된 최소한의 이물질이라 하더라도 쉽게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세척튜브(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신축이음장치당 한 개씩 설치되며, 노즐(320) 역시 세척튜브(300) 한 개당 하나씩 설치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거름 부재(200)에 대한 세척 작업은 갓길 또는 중앙분리대 주변에서 작업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는 거름 부재(200)에 형성된 공간(210)을 메워 이물질이 투입되는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세척튜브(300)의 통공(310)을 통해 토출되는 고압의 바람을 이용해 이물질을 핑거플레이트(100)의 상방으로 날려 제거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거름 부재(200)에 이물질에 대한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제거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100 : 핑거 플레이트 110 : 핑거
200 : 거름 부재 210 : 공간
220 : 지지부재 300 : 세척튜브
310 : 통공 320 : 노즐
200 : 거름 부재 210 : 공간
220 : 지지부재 300 : 세척튜브
310 : 통공 320 : 노즐
Claims (3)
- 복수의 핑거들이 서로 마주하되, 번갈아가며 대향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며, 핑거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통해 투입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신축재질의 거름 부재;
상기 거름 부재의 공간에 배치되며, 거름 부재의 내측면을 향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노즐이 설치된 세척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부재 공간의 단면 형태는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세척튜브도 상기 거름 부재의 공간에 대응되는 반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세척튜브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은 핑거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통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291A KR101023778B1 (ko) | 2010-12-15 | 2010-12-15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291A KR101023778B1 (ko) | 2010-12-15 | 2010-12-15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23778B1 true KR101023778B1 (ko) | 2011-03-21 |
Family
ID=4393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8291A KR101023778B1 (ko) | 2010-12-15 | 2010-12-15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377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6628B1 (ko) * | 2016-03-15 | 2018-06-12 | 서울시설공단 |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
CN112942086A (zh) * | 2021-01-28 | 2021-06-11 | 中交德利(广州)控股有限公司 | 一种设有伸缩装置的桥梁及安装工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22323U (ko) | 1973-06-18 | 1975-03-13 | ||
JPS59173713U (ja) | 1983-05-04 | 1984-11-20 | 株式会社 サンケンスチ−ル | 橋梁継目部の止水兼排水装置 |
JPS59188512U (ja) | 1983-05-09 | 1984-12-14 | ニツタ株式会社 | 伸縮継手用排水樋 |
JPH05214712A (ja) * | 1992-02-06 | 1993-08-24 | Nitta Ind Corp | 橋梁用伸縮装置のウエブ遊間内構造 |
-
2010
- 2010-12-15 KR KR1020100128291A patent/KR1010237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22323U (ko) | 1973-06-18 | 1975-03-13 | ||
JPS59173713U (ja) | 1983-05-04 | 1984-11-20 | 株式会社 サンケンスチ−ル | 橋梁継目部の止水兼排水装置 |
JPS59188512U (ja) | 1983-05-09 | 1984-12-14 | ニツタ株式会社 | 伸縮継手用排水樋 |
JPH05214712A (ja) * | 1992-02-06 | 1993-08-24 | Nitta Ind Corp | 橋梁用伸縮装置のウエブ遊間内構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6628B1 (ko) * | 2016-03-15 | 2018-06-12 | 서울시설공단 |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
CN112942086A (zh) * | 2021-01-28 | 2021-06-11 | 中交德利(广州)控股有限公司 | 一种设有伸缩装置的桥梁及安装工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98760A (ko) |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 |
KR101533984B1 (ko) |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 |
KR101023778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1784721B1 (ko) |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053941B1 (ko) | 간단한 스컴제거수단을가진 슬러지수집기 | |
KR200381939Y1 (ko) |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자동스크린 | |
KR101235246B1 (ko) |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및 시공방법 | |
KR100861480B1 (ko) | 신축이음장치용 탈착이 용이한 배수시트 교체장치 및 이의시공방법 | |
KR100746924B1 (ko) |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자동스크린 | |
KR101232309B1 (ko) | 배수설비가 구비된 신축이음의 시공방법 | |
KR100869551B1 (ko) | 교량 신축이음구간 빗물받이 | |
KR101253061B1 (ko) |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 |
KR100714994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20120003355U (ko) | 교량의 신축이음 구조 | |
KR101866628B1 (ko) |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0994674B1 (ko) | 교량 신축이음부의 이물질 제거 및 배수 장치 | |
KR200312792Y1 (ko) | 배수기능을 강화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
KR20090100198A (ko) | 신축이음장치용 탈착이 용이한 배수시트 교체장치 및 이의시공방법 | |
KR101373110B1 (ko) | 조립식 빗물 재이용시설 및 그 설치방법 | |
JP2015017462A (ja) |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 | |
KR200476485Y1 (ko) | 배수장치 | |
CN113774786B (zh) | 一种用于桥面伸缩缝间的水箱排水系统及桥体 | |
CN208777166U (zh) | 一种混凝土道路桥梁防水结构 | |
KR20100027625A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126198B1 (ko) | 폐수정화장치용 무빙스크린기의 스크린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