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595Y1 -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1595Y1 KR200311595Y1 KR20-2003-0002742U KR20030002742U KR200311595Y1 KR 200311595 Y1 KR200311595 Y1 KR 200311595Y1 KR 20030002742 U KR20030002742 U KR 20030002742U KR 200311595 Y1 KR200311595 Y1 KR 2003115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pansion joint
- drainage
- rail
- gutt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476 body wa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이격틈새에 설치되어 상판(40)의 원활한 신축작용을 흡수하고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이 신축이음장치는 신축이음장치의 측면부 낮은 쪽의 레일(22)과 고무씰(24)을 하향으로 설치하고, 연석부(42) 사이에 위치되는 배수 홈통(32) 및 유도 관로(34)를 통하여 우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이격틈새에 설치되어 상판의 원활한 신축작용을 도모하며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고가도로는 다수의 교각에 양단이 얹혀져 연속되는 다수의 상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상판은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량과 건조수축, 크리프 등의 구조물 변형을 흡수하기 위해 이음영역에 이격틈새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이격틈새에는 일반적으로 교량상판의 원활한 신축작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시 방수처리 방안으로 레일을 상향으로 굴곡시키고 방호울타리와 함께 제작시공되며, 신축이음장치에 이물질이나 물고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신축이음장치 가까이에 배수구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우수(雨水) 및 이물질이 장기간 방치됨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우수 및 이물질에 의하여 문제가 발생되는 신축이음장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로 이에 대한 개선방향이 검토되어야 한다. 레일형신축이음장치는 교량 폭만큼 레일과 고무씰이 일체로 제작되며 이음부가 없어 누수의 가능성이 많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비배수 방식의 경우 거의 완벽한 방수처리가 장점이다. 또한 고무씰의 형상이 신축을 허용할 수 있는 V형으로 우수나 이물질이 홈에 고이는 현상이 발생되며 자연건조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우수가 장기간 체류될 경우 도장손상부의 강재가 부식되고, 동절기에 우수가 결빙되어 고무씰의 손상 및 차량의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되며, 연석부(방호울타리) 시공이음부에 물이 스며들어 신축이음장치 바닥판부의 내구성 저하요인이 되고, 우수의 체수 및 이물질에 의해 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축이음장치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극적인 배수기능을 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교량 폭만큼 레일과 고무씰이 일체로 제작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수 홈통의 주요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수 홈통이 신축이음장치의 레일에 결합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요부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신축이음장치에서 배수 홈통 및 유도 관로를 상판의 아래 방향에서 보여주는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신축이음장치 22 : 레일
24 : 고무씰 32, 32', 32" : 배수 홈통
34, 34', 34" : 유도 관로 40 : 상판
42 : 연석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이격틈새에 설치되어 상판(40)의 원활한 신축작용을 흡수하고 배수가가능하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이 신축이음장치는 측면부 낮은 쪽의 레일(22)과 고무씰(24)을 하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레일(22)과 고무씰(24)이 삽입되는 연석부(42) 사이에 위치되는 배수 홈통(32) 및 유도 관로(34)를 통하여 우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는 레일(22)에 고정되는 배수 홈통(32)과 상기 배수 홈통(32)의 하부측으로 결합되는 유도 관로(34)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와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홈통(32')은 양측으로 제 1 및 제 2 연장부(70, 72)를 각각 형성하여 양측 연석부(42)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제 1 연장부(70)는 일측 연석부(42)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연장부(72)는 타측 연석부(42)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대(74)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도록하여 이룰 수 도 있으며, 도 6 내지 도 8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홈통(32")은 외통체(32a")와 내통체(32b")로 분리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외통체(32a")는 그 내측면이 하향경사진 레일(12) 선단의 일측면에 용접되고 그 하부측으로 유도관로(34")가 결합되며, 상기 내통체(32b")는 외통체(32a")의 내측으로 중첩되게 삽입되도록 하여, 그 내측에서 폭 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이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측면이 상기 레일(22) 선단의 타측면에 용접되도록 하여 이룰 수 도 있다.
본 고안의 발명자는 고무씰에 고여있는 물을 배수시키는 방안과 고무씰에 물을 적게 고이게 하는 방안을 염두해두고, 배수방안 적용시 신축이음장치의 방수기능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려하였으며, 이와 별도로 방호울타리의 차량 충돌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신축이음장치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검토에 의해 본 고안은 완전배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신축이음장치 측면부 낮은 쪽의 레일과 고무씰을 하향으로 설치하고, 배수 홈통 및 유도 관로를 통하여 우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 홈통 및 유도관로는 신축이음장치의 유간내에 설치되어야 하고, 우수가 배수 홈통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배수 홈통 크기를 최대한 이용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배수 홈통은 상부구조에 고정되므로 홈통이 유간변화에 따른 신축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배수 홈통을 직접 사용하는 본 고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배수 홈통을 신축이음장치 유간내에 직접 설치하여 유간신축을 홈통에서 흡수하도록 하는 방안으로 기능을 간단하게 하고 유지관리 및 설치가 간편하다.
다음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축이음장치에서 배수를 위한 구성은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에 대한 신축성이 확보되어있으며, 우수가 적절히 유도배수된다.
또한 연석부의 차량충돌에 대해 안전하면서, 이물질에 대한 막힘현상이 최소화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의거하여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결합ㆍ고정을 위한 보강 리브(판), 볼트 및 나사, 홀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신축이음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설치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 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 홈통의 주요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도 1의 배수 홈통이 신축이음장치의 레일에 결합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요부 발췌사시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첨부도면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의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20)는 교량이나 고가도로 상판(40)의 이격틈새에 설치된다. 이 신축이음장치(20)는 신축이음장치 측면부 낮은 쪽의 레일(22)과 고무씰(24)이 하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배수 홈통(32)과 유도 관로(34)는 상기 레일(22)과 고무씰(24)이 삽입되는 연석부(42)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본 고안의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20)에서 상기 배수 홈통(32)은 상기 레일(22)에 고정되고 유도 관로(34)는 상기 배수 홈통(32)에 결합되는데, 이는 배수 홈통(32)의 양단(36)이 신축이음장치(20)의 어느 한 레일의 전후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 홈통(32)의 상단에 레일(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38)를 설치하고, 이 연장부(38)에 레일(22)을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배수 홈통(32)을 신축이음장치(20)에 고정하는 방법은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체결수단(예로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에서 배수 홈통(32)과 유도 관로(34)는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 홈통(32)은 판금 또는 프레스 등을 통해서 철판, 알루미늄판 등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유도 관로(34)는 강관, 알루미늄관 등을 절단하여 배수 홈통(3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배수 홈통(32)과 유도 관로(34)는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일례로 플라스틱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그 형상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교량이나 고가도로 상판(40)의 이격틈새에 설치되어 우수가 효과적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20)는 상기 신축이음장치(20)의 측면부 낮은 쪽의 레일(22)과 고무씰(24)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우수가 상기 배수 홈통(32)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되고, 이는 유도 관로(34)를 통해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5는 도 4의 신축이음장치에서 배수 홈통 및 유도 관로를 상판의 아래 방향에서 보여주는 저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20)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교량이나 고가도로 상판(40)의 이격틈새에 설치되고, 상기 신축이음장치(20) 측면부 낮은 쪽의 레일(22)과 고무씰(24)이 하향으로 설치되며, 배수 홈통(32')과 유도 관로(34')가 연석부(42)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20)는 배수 홈통(32)과 유도 관로(34)가 신축이음장치(20)에 결합되는데 반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홈통(32')이 양측의 연석부(42)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 홈통(32')의 양측에는 제 1 및 제 2 연장부(70, 72)가 형성되고, 이 제 1 및 제 2 연장부(70, 72)는 양측 연석부(42)의 저면에 각각 위치되는데, 제 1 연장부(70)는 일측 연석부(42)의 저면에 고정되고, 제 2 연장부(72)는 타측 연석부(42)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대(74)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함께 상기 배수 홈통(34')과 유도 관로(34')의 설치를 한층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는 배수 홈통(32)과 유도 관로(34)가 신축이음장치(20)에 고정되어 결합되므로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상판의 신축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연석부(42)에 고정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석부(42)에 대해 배수 홈통(32')과 유도 관로(34')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상판의 신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수 홈통(32')이 연석부(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은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배수 홈통(32')은 양측에 판형태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부(70, 72)를 형성하여 제 1 연장부(70)는 일측의 연석부(42)에 고정하고 제 2 연장부(72)는 타측의 연석부(42)에 고정되는 지지대(74)에 삽입되도록 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였지만, 배수 홈통(32')이 연석부(42)에 대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라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는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신축이음장치(20)와 별도로 독립되어 설치되고, 제 2 연장부(72)가 연석부(42)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 배수 홈통(32') 자체에서 연석부(42)의 신축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비해서 신축이음장치의 제한을 덜 받으면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8은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 하면, 상기 배수 홈통(32")은 외통체(32a")와 내통체(32b")로 분리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외통체(32a")의 그 내측면이 하향경사진 레일(12) 선단의 일측면에 용접되도록 하고 그 하부측으로 유도관로(26")가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내통체(32b")는 외통체(32a")의 내측에 중첩되도록 삽입되어, 그 내측에서 폭 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이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그 내측면이 상기 레일(12) 선단의 타측면에 용접되도록 하여 이룬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배수 홈통(32")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홈통(32")과 유도 관로(34")가 신축이음장치(20)의 레일(22)에 고정되어 결합되므로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상판(40)의 신축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분야에 종상하는 종사자들이라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배수 홈통(32")의 단순한 변형 실시예에 의한 고안은 본 출원인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는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에 의하면, 배수 홈통을 신축이음장치 유간내에 직접 설치하여 유간신축을 신축이음장치 또는 배수 홈통에서 흡수하도록 함으로 기능을 간단하게 하고 유지관리 및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에 대한 신축성이 확보됨으로 우수가 적절히 유도배수되고, 연석부의 차량충돌에 안전하고, 이물질에 대한 막힘현상이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4)
-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이격틈새에 설치되어 상판(40)의 원활한 신축작용을 흡수하고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20)에 있어서,상기 신축이음장치(20)는 교량의 상판(40) 및 연석부(42)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22)과 고무씰(24)의 일측 단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하부측의 연석부(42) 사이에는 배수홈통(32) 및 유도 관로(34)가 위치되어 이를 통해 우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수 홈통(32)은 철판 및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판금 또는 프레스작업을 통해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하되, 상부측 중앙에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연장부(38)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8)에는 신축이음장치(20)를 이루고 있는 어느 하나의 레일(22) 선단부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배수홈통(32)의 하부측에는 유도 관로(34)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수 홈통(32')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양측의 연석부(42)에 위치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부(70, 72)를 갖되, 상기 제 1 연장부(70)는 상기 연석부(42)에고정되고, 상기 제 2 연장부(72)는 상기 연석부(42)에 고정된 지지대(74)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수 홈통(32")은 외통체(32a")와 내통체(32b")로 분리구성되되, 상기 외통체(32a")는 그 내측면이 하향경사진 레일(12) 선단의 일측면에 용접되고 그 하부측으로 유도관로(34")가 결합되며,상기 내통체(32b")는 외통체(32a")의 내측에 중첩되도록 삽입되어, 그 내측에서 폭 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이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측면이 상기 레일(12) 선단의 타측면에 용접되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6033 | 2002-12-03 | ||
KR20020036033 | 2002-12-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1595Y1 true KR200311595Y1 (ko) | 2003-05-01 |
Family
ID=4940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2742U KR200311595Y1 (ko) | 2002-12-03 | 2003-01-28 |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1595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8180A (ko) * | 2018-06-04 | 2019-12-12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신축이음장치용 배수구조 |
KR20200009635A (ko) | 2018-07-19 | 2020-01-30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배수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
2003
- 2003-01-28 KR KR20-2003-0002742U patent/KR20031159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8180A (ko) * | 2018-06-04 | 2019-12-12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신축이음장치용 배수구조 |
KR102111773B1 (ko) | 2018-06-04 | 2020-05-15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신축이음장치용 배수구조 |
KR20200009635A (ko) | 2018-07-19 | 2020-01-30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배수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7024B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 |
KR101769208B1 (ko) | 개방형 배수관 | |
KR102111773B1 (ko) | 신축이음장치용 배수구조 | |
KR200311595Y1 (ko) |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 |
CN211973097U (zh) | 一种伸缩缝的排水装置及桥梁伸缩缝 | |
KR100881207B1 (ko) | 신축이음용 배수장치 | |
US4451172A (en) | Open top drain | |
KR20120008399A (ko) | 철도 교량용 우수받이 | |
KR200453460Y1 (ko) |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 방지기능을 갖는 매립 레일형 신축이음 장치 | |
KR200184750Y1 (ko)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
JP4315843B2 (ja) | 道路構造物の排水装置 | |
KR200334267Y1 (ko) |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 |
KR101821570B1 (ko) | 확장형 탄성채움재가 구비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378200Y1 (ko) |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 |
KR20050017496A (ko) | 교량 신축이음부 배수장치 | |
JP5374347B2 (ja) | 道路橋継目部の排水構造 | |
KR102300295B1 (ko) | 개방형 배수직관 | |
KR102676271B1 (ko) | 교량 선배수 장치 | |
KR200323996Y1 (ko) | 교량슬래브 바닥구간의 종방향 배수드레인 체결구조 | |
KR102251088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설치 구조 및 그 방법 | |
NL9101642A (nl) | Element, geschikt voor een weg of iets dergelijks. | |
KR200284915Y1 (ko) | 차도의 엘형측구에 설치하는 배수형측구 구조체. | |
KR101721828B1 (ko) | 도로용 측구 구조체 | |
KR200247435Y1 (ko) | 교량의 신축이음부 배수구조 | |
KR100619563B1 (ko) |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