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563B1 -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563B1
KR100619563B1 KR1020040103913A KR20040103913A KR100619563B1 KR 100619563 B1 KR100619563 B1 KR 100619563B1 KR 1020040103913 A KR1020040103913 A KR 1020040103913A KR 20040103913 A KR20040103913 A KR 20040103913A KR 100619563 B1 KR100619563 B1 KR 10061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oncrete
drain
road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157A (ko
Inventor
최한순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4010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5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배수관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수관거의 상부로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배수관거의 측면에 우수 저장구를 설치하여 폭우에 의해 도로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최대한 빠르게 배수처리하도록 하는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우수를 집수시키고 배수구를 통해 외부 배출시키는 한편, 상단 중앙에 돌출턱(22)이 형성되고, 그 돌출턱(22)에 볼트홀(23)이 형성되며, 폭 방향 양측에 우수 유출 슬릿홈(24)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배수구(28)가 형성된 콘크리트 배수박스(20);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20)의 돌출턱(22)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한편, H자형 단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내,외측과 하부 내측에 주름부(32)가 형성되고, 일측의 높이가 낮도록 형성된 소음 방지구(30); 상기 소음 방지구(30)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는 한편, 외부틀(42)의 내측 하단에 원형봉(44)이 다수개 용접된 스틸 덮개(40);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20)의 우수 유출 슬릿홈(2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편, 직사각형 형태로, 일측에 경사지도록 우수 유입구(62)가 형성되고, 우수 유입구(62)에 볼트홀(63)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배수구(66)가 형성된 우수 저장구(60); 및 상기 콘크리트배수박스(20)의 우수 유출 슬릿홈(24)에 우수 저장구(60)의 우수 유입구(62)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고, 콘크 리트 배수박스(20)와 우수 저장구(60)를 관통하여 너트(26)에 고정설치되는 고정 볼트(50);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배수관거, 소음 방지구, 우수 저장구

Description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DRAINAGE MEMBER MOUNT STRUCTURE FOR ROAD}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도로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의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도로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의 상부 절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소음 방지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틸 덮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배수박스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우수 저장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로 20: 콘크리트 배수박스
30: 소음 방지구 40: 스틸 덮개
50: 고정 볼트 60: 우수 저장구
본 발명은, 도로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배수관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수관거의 상부로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배수관거의 측면에 우수 저장구를 설치하여 폭우에 의해 도로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최대한 빠르게 배수처리하도록 하는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도와 보도가 접하는 사이에 경계석이 설치되고, 상기 경계석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엘형 측구의 상부에 적재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엘형 측구에는 차도 상에서 발생된 우수를 처리하기 위해 집수통 및 사각 박스가 설치된다.
상술한 경우는 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배수 처리 구조이고, 하부에서는 종래의 기술로 도로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는 배수관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로(1)에는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수관거(2)가 매설되는 한편, 상기 배수관거(2)는 콘크리트 사각박스(3)의 일측에 배수관(4)이 설치되고 상부에 그레이팅 덮개(5)가 설치되어 그레이팅 덮개(5)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배수관(4)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상술한 배수관거(2)는, 콘크리트 사각박스(3)와 스틸(STEEL)로 제작된 그레이팅 덮개(5)가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므로, 상부로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 소음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소음은 차량 통과시 '철커덕'하는 소리가 발생됨과 아울러, 콘크리트 사각박스(3)와 그레이팅 덮개(5)가 정확하게 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레이팅 덮개(5)와 덮개 안착대(6)가 스틸로 제작된 관계로 더욱 크게 소음이 발생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수관거(2)는, 콘크리트 사각박스(3)의 상부에 덮개 안착대(6)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그레이팅 덮개(5)가 다른 재질로 제작되는 바, 정확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차량 통과에 따른 그레이팅 덮개(5)에 의해 콘크리트 사각박스(3)의 상단이 파손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개량된 스틸 덮개와 소음 방지구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는 관계로 차량 통과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배수박스의 양측면에 우수 저장구가 설치되어 배수관거로 유 입된 우수를 집수하여 빠른 배수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량된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를 설치하여 도로의 문화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우수를 집수시키고 배수구를 통해 외부 배출시키는 콘크리트 배수박스;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의 돌출턱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소음 방지구; 상기 소음 방지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는 스틸 덮개;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의 우수 유출 슬릿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우수 저장구; 및 상기 콘크리트배수박스와 우수 저장구가 너트에 고정설치되는 고정 볼트;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로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의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도로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의 상부 절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로(10)에는 아스팔트 포장면과 높이가 일치되도록 상부가 오픈된 배수관거(9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배수관거(90)는, 콘크리트 배수박스(20), 소음 방지구(30), 고정 볼트(50) 및 우수 저장구(60)가 유기적으로 연관되게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음 방지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스틸 덮개의 사시도이다.
상기 소음 방지구(30)는, 대략적으로 H자 형태로 중앙이 연결되고, 상부 내,외측과 하부 내측에 주름부(32)가 형성되어 상부에 스틸 덮개(40)가 안착되는 한편, 상기 소음 방지구(30)는 상부 일측, 도로측으로 높이차가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음 방지구(30)는, 주름부(32)가 차량 통과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는 구조로 작동되도록 폴리에틸렌, 우레탄 등의 내구성을 갖는 부재로 제작함이 적정하다.
상기 스틸 덮개(40)는, 외부틀(42)의 내측에 원형봉(44)이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소음 방지구(30)의 상부에 커버(COVER)로 사용되어 덮여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배수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우수 저장구의 사시도이다.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20)는, 직사각형 구조물로, 상단에 폭 방향 중앙으로 돌출턱(22)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돌출턱(22)에 각각 볼트홀(23)이 형성되며, 한편 하부 측면에 우수 유출 슬릿홈(24)이 형성되고, 볼트홀(23)이 형성된 직하부에 우수 유출 슬릿홈(24)의 하부에 고정 너트(26)가 매설되며, 길이방향 일측면에 배수구(28)가 형성되어 배수관과 연결되어 콘크리트 배수박스(20)로 유입된 우수를 처리하게 된다.
상기 우수 저장구(60)는, 직사각형 형태로, 폭 방향 일측면에 콘크리트 배수박스(20)와 밀착되도록 우수 유입구(62)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우수 유입구(62)에 관통되는 볼트홀(63)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측면 하부에 배수구(66)가 형성되어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배출처리하는 배수관(도면상 미도시됨)과 연결된다.
상기 콘크리트 배수 박스(20)에는, 볼트홀(23)을 통해 고정 볼트(50)가 삽입되어 우수 저장구(60)의 우수 유입구(62)를 관통하여 고정 너트(26)에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거(90)는, 도로(10)의 폭 방향을 횡단하여 설치되고, 상부로 차량이 수없이 통행하게 되며, 이때 통행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음 방지구(30)가 설치되는 바, 차량의 바퀴가 지나는 경우 H자형 형태로 형성된 소음 방지구(30)가 하부로 하강되고, 차량이 통과하면 원래의 위치되로 소음 방지구(30)가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음 방지구(30)는, 상부에 스틸 덮개(40)가 안착시,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높이차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스틸 덮개(40)가 정확한 밀착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20)에는, 폭 방향 양측면에 각각 고정 볼트(50)로 고정되는 우수 저장구(60)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여름철 폭우에 의해 유입되는 우수를 효율적으로 다른 배수관으로 배출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20)는, 직사각형 형태로, 중앙 상부에 돌출턱(22)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20)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소음 방지구(30)도 콘크리트 배수 박스(20)와 동일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20)에는 슬릿홈으로 관통된 우수 유입구(62)가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설치되어 고정 볼트(50)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우수 저장 구(60)는, 우수 유입구(62)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수구(66)가 형성된 측면이 하방향측에 위치되어 도로(10) 상에서 발생된 우수를 빠르게 배출처리하게 된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20)는, 유입된 우수를 콘크리트 배수박스(20)에서 배수구(28)를 통해 외부 처리함과 동시에, 홍수 등 우수의 유량이 넘치는 경우, 측면에 설치되는 우수 저장구(60)에 우수를 배출시키고 바로 배수구(66)를 통해 외부 처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량된 스틸 덮개와 소음 방지구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는 관계로 차량 통과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콘크리트 배수박스의 양측면에 우수 저장구가 설치되어 배수관거로 유입된 우수를 집수하여 빠른 배수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개량된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를 설치하여 도로의 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우수를 집수시키고 배수구를 통해 외부 배출시키는 한편, 상단 중앙에 돌출턱(22)이 형성되고, 그 돌출턱(22)에 볼트홀(23)이 형성되며, 폭 방향 양측에 우수 유출 슬릿홈(24)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배수구(28)가 형성된 콘크리트 배수박스(20);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20)의 돌출턱(22)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한편, H자형 단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내,외측과 하부 내측에 주름부(32)가 형성되고, 일측의 높이가 낮도록 형성된 소음 방지구(30);
    상기 소음 방지구(30)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는 한편, 외부틀(42)의 내측 하단에 원형봉(44)이 다수개 용접된 스틸 덮개(40);
    상기 콘크리트 배수박스(20)의 우수 유출 슬릿홈(2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편, 직사각형 형태로, 일측에 경사지도록 우수 유입구(62)가 형성되고, 우수 유입구(62)에 볼트홀(63)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배수구(66)가 형성된 우수 저장구(60);
    및 상기 콘크리트배수박스(20)의 우수 유출 슬릿홈(24)에 우수 저장구(60)의 우수 유입구(62)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삽입되고, 콘크리트 배수박스(20)와 우수 저장구(60)를 관통하여 너트(26)에 고정설치되는 고정 볼트(50);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KR1020040103913A 2004-12-10 2004-12-10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KR10061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913A KR100619563B1 (ko) 2004-12-10 2004-12-10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913A KR100619563B1 (ko) 2004-12-10 2004-12-10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949U Division KR200378200Y1 (ko) 2004-12-09 2004-12-09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157A KR20060065157A (ko) 2006-06-14
KR100619563B1 true KR100619563B1 (ko) 2006-09-01

Family

ID=3716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913A KR100619563B1 (ko) 2004-12-10 2004-12-10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5411B (zh) * 2018-04-04 2020-09-08 长安大学 一种隧道水泥混凝土路面用结构及铺设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157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4874B2 (ja) U字溝を備えた舗装路の構造
KR20090007395U (ko) 그레이트용 거름망 설치구조
KR200378200Y1 (ko)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KR101215995B1 (ko) 오수 및 우수의 배수시스템
KR101028522B1 (ko) 교량 설치용 집수구
KR100619563B1 (ko) 도로의 폭 방향 횡단 배수관거 설치구조
JP2002061105A (ja) 境界導水溝ブロック、および道路における排水処理構造
KR100466889B1 (ko) 도로용 보도블록
JP2000104206A (ja) 舗装用平板並びにこれを用いた舗装及び歩道の構造
KR200422723Y1 (ko) 수퍼 그레이팅.
JP4315843B2 (ja) 道路構造物の排水装置
KR101124388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틸그레이팅
JP3127873U (ja) 側溝及び枡の蓋構造
KR100875951B1 (ko) 배수성 아스팔트의 노면 물고임 방지를 위한 우수 유도장치
JP3125931U (ja) 側溝の道路横断構造
US7690857B2 (en) Storm drain relief channel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JP4528743B2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KR200416889Y1 (ko) 맨홀 구조.
KR101790535B1 (ko) 빗물 유도기 및 빗물 유도기가 장착되는 그레이팅
JP2000328641A (ja) 縁石付き蓋版を備えた側溝
JP3182522U (ja) 側溝
KR101721828B1 (ko) 도로용 측구 구조체
JP2018131802A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KR100471003B1 (ko) 건축 단지의 아스팔트 도로용 배수구 설치구조
KR20110010594U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