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943A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943A
KR20170106943A KR1020170108748A KR20170108748A KR20170106943A KR 20170106943 A KR20170106943 A KR 20170106943A KR 1020170108748 A KR1020170108748 A KR 1020170108748A KR 20170108748 A KR20170108748 A KR 20170108748A KR 20170106943 A KR20170106943 A KR 2017010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k
unit
middle fram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창
Original Assignee
씨엠텍21(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텍21(주) filed Critical 씨엠텍21(주)
Priority to KR102017010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6943A/ko
Publication of KR2017010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ork, comb or plate shaped means for engaging the lower surface on a object to be trans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는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포크부 및 상기 포크부에 안착된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이송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반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Height-Adjustable Telescopic Fork}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대상물의 수평 이동뿐만 아니라 이송 대상물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 대상물의 적재하거나, 적재된 이송 대상물을 용이하게 반송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장치 중에는 구동체를 조금만 이동시켜도 물품을 장 거리로 이송시켜줄 수 있는 기구학적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구동기구로서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의 포크(Fork) 등과 같은 구조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단의 프레임의 망원경과 같은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여러 단의 프레임 전체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장치들은 여러 단의 프레임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구동장치 등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고장 발생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포크는 수평 이동 등의 이송 대상물의 수평 이동 등과 같은 위치 이동은 가능하지만, 다단 적층이 불가능하거나, 적층을 위하여 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 대상물의 수평 이동뿐만 아니라 이송 대상물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 대상물의 적재하거나, 적재된 이송 대상물을 용이하게 반송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는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포크부 및 상기 포크부에 안착된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이송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반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는, 지면 또는 이송 레일 상에 고정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유닛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유닛을 승강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는 볼 스크류 모터 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 방향을 따라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승강유닛의 일측에 상기 승강유닛과 상기 제1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크부는,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면, 양방으로 구동 가능한 미들 프레임, 상기 미들 프레임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미들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고, 상기 이송 대상물이 안착되는 이송 프레임 및 상기 미들 프레임 및 이송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 프레임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포크부가 양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최소 사이즈로 이송 대상물의 이송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다.
둘째, 미들 프레임 및 이송 프레임을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구동시킴으로써 장치의 크기 및 구성을 최소화 및 간소화할 수 있다.
셋째, 이송 대상물의 좌우 높이 편차 또는 적재 및 반송 높이차이가 발생할 시에도 이송 대상물을 정밀 반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롤러 등을 이용하여 포크부 및 승강부의 구동 시 발생하는 지동 및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의 작동상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포크부(100) 및 승강부(20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100)는 이송 대상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포크부(100)는 이송 대상물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이송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는 포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일실시예에 따른 포크부(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실시예에 따른 포크부(100)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110), 미들 프레임(120), 이송 프레임(130) 및 제2구동부(140)로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승강부(200)와 포크부(100)를 연결하고, 포크부(100)에 포함되는 구성들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10)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송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을 갖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미들 프레임(120)과 결합하는 상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렉기어(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10)의 제1렉기어(111)와 근접한 일측에는 후술하는 제2구동부(140)에서 발생한 동력을 미들 프레임(120) 및 이송 프레임(13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구동부(140)에 포함되는 구동기어(143)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또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는 제1측벽(113)이 형성되어, 미들 프레임(120)의 구동 시 흔들림을 억제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제1측벽(113)의 내측면 일측에는 미들 프레임(120)의 구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제1가이드 롤러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제2구동부(14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중심부 일측에 구비되어 미들 프레임(120) 및 이송 프레임(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장치이다. 이때, 제2구동부(140)는 미들 프레임(120) 및 이송 프레임(130)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2구동부(140)의 구동에 따라 미들 프레임(120) 및 이송 프레임(130)이 동시에 제어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14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구동부(140)는 크게 몸체(141), 모터(142) 및 구동기어(143)로 구성된다.
몸체(141)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관통홀(112)이 형성된 일측에 구비되어 제2구동부(140)를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하고, 제2구동부(140)에 포함되는 구성들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몸체(141)는 모터(142)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143)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구동기어(143)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평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모터(142)는 몸체(141)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기어(143)를 정, 역회전 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이는 서보모터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정, 역회전이 가능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구동기어(143)는 모터(142)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몸체(141)의 일측에 모터(142)의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구동기어(143)의 지름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소정길이 노출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구동기어(143)와 후술하는 미들 프레임(120)에 구비되는 제2렉기어(122)와 구동기어(143)가 맞물려 모터(142)의 회전에 따라 미들 프레임(12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기어가 맞물리는 것을 기준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하나의 기어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제2구동부(140)의 구성을 모터(142) 및 구동기어(143)로 이루어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과 같이 미들 프레임(120) 및 이송 프레임(130)을 직선 운동 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미들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 프레임(130)의 이동거리를 연장시키는 동시에 제2구동부(140)의 동력을 이송 프레임(130)으로 전달하여 이송 프레임(130)을 구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미들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과 같은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평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때, 미들 프레임(12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대면하는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제2측벽(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2측벽(121)이 형성됨에 따라 이송 프레임(130)의 이송 시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과 대면하는 미들 프레임(120)의 일면에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관통홀(112)을 통과하여 노출된 제2구동부(140)의 구동기어(143)와 맞물리는 제2렉기어(122)가 미들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처럼, 미들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2렉기어(122)가 제2구동부(140)의 구동기어(143)와 맞물려 제2구동부(140)의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제2구동부(1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미들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양방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다.
또한, 미들 프레임(12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제1렉기어(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의 관통부가 형성된다. 이때, 관통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동기어(123)가 구비된다. 이러한 피동기어(123)는 미들 프레임(120)이 이동함에 따라 제1렉기어(111)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력을 이송 프레임(13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송 프레임(130)과 대면하는 미들 프레임(120)의 일면에는 관통부와 인접한 일측에 관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 레일(124)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레일은 제2측벽(12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미들 프레임(120)이 하나만 구비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 및 도시하고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복수의 미들 프레임(120)을 사용하여 이송 프레임(130)의 이동거리를 연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다른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미들 프레임(120)이 생략될 수 있음 역시 자명하다.
이송 프레임(130)은 미들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 대상물을 운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송 프레임(130)의 이송 대상물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평판 형상 또는 집게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송 대상물이 안착된 팔레트 등을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부재를 중심으로 설명 및 도시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이송 프레임(130)의 형상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 프레임(130)은 평판 형상,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프레임(110) 및 미들 프레임(120)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갖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때, 이송 프레임(130)의 저면, 즉, 미들 프레임(120)과 대면하는 일면에는 이송 프레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들 프레임(120)의 피동기어(123)와 맞물리는 제3렉기어(131)가 형성된다. 이처럼, 제2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미들 프레임(120)이 일방으로 이동하면, 베이스 프레임(110)의 제1렉기어(111)와 맞물리는 미들 프레임(120)이 회전하고 되고, 최종적으로 피동기어(123)와 맞물린 제3렉기어(131)에 의해 이송 프레임(130)이 미들 프레임(1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운동 하게 된다.
또한, 제3렉기어(131)와 인접한 위치에 제3측벽(132)이 형성되고, 제3측벽(132)의 일측에는 제2가이드 레일(124)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 롤러(133)가 구비된다. 이처럼 제2가이드 롤러(133)가 제2가이드 레일(124)을 따라 구비됨에 따라 이송 프레임(130)의 이송 시에 흔들림 등을 최소화하여 이송 프레임(130)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승강부(200)는 포크부(100)와 연결되어 포크부(100)를 승강시켜 이송 대상물을 다단으로 적재하거나, 적재된 이송 대상물을 반송할 수 있도록 포크부(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승강부(200)는 포크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200)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의 사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2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지 프레임(210), 승강유닛(220) 및 제1구동부(230)로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210)은 승강유닛(220)이 승강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승강유닛(220) 및 포크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210)은 지면 또는 이송 레일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벽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지면 또는 이송 레일 등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L'자 형상의 벽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때, 지지 프레임(210)의 높이 방향, 즉, 승강유닛(220)의 승강 방향을 따라 승강유닛(220)의 승강 시 안정적으로 승강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 레일(240) 및 연결부(241)로 구성된다.
제1가이드 레일(240)은 승강유닛(220)의 승강경로를 따라 지지 프레임(210)의 일측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 레일(240)의 형상은 승강유닛(220)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연결부(241)는 제1가이드 레일(240)의 일측에 제1가이드 레일(24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유닛(220)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유닛(220)의 승강 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보조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제1가이드 레일(240)이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승강유닛(220), 포크부(100) 및 이송 대상물의 크기 및 하중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제1가이드 레일(2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구동부(230)는 지지 프레임(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유닛(220) 및 승강유닛(220)과 결합되는 포크부(100)를 승강시켜 이송 대상물의 운송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구동부(230)는 실질적으로 포크부(100)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리니어 액추에이터, 정역 회전 가능한 모터 등 어떠한 동력 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볼 스크류 모터를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볼 스크류 모터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장치이다. 즉, 지지 프레임(210)의 일측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승강유닛(220)을 승강 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볼 스크류 모터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승강유닛(220)의 승강 경로에 대응되도록 지지 프레임(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유닛(220)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스크류축 및 모터의 동력을 전달 받아 스크류축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볼이 포함된 너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볼 스크류 모터의 구성 및 구동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승강유닛(220)은 제1구동부(230)의 일측, 즉, 볼 스크류 모터의 너트 일측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모터의 동력에 의해 승강 하는 너트와 함께 승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승강유닛(220)의 일측에 안착되는 포크부(100)를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승강유닛(220)은 상면에 포크부(100)의 베이스 프레임(11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때, 포크부(100)의 베이스 프레임(110)이 길이를 갖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승강유닛(220) 역시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유닛(220)의 하부 일측에는 볼 스크류 모터의 너트 및 가이드부의 연결부(241)가 결합된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의 작동상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10)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10)는 포크부(100) 및 승강부(200)가 동시 제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포크부(100) 및 승강부(200)의 작동상태를 각각 분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10)가 반드시 포크부(100) 및 승강부(200)가 개별적으로 제어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미들 프레임(120) 및 이송 프레임(130)이 중첩되어 있는 상태로 대기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 미들 프레임(120) 및 이송 프레임(130)이 중첩되도록 포개진 상태로 대기하기 때문에 포크부(1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송 대상물을 이송해야 하는 경우,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포크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으로 구동시켜 포크부(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구동부(140)의 모터(142)를 구동하면, 모터(142)의 구동축과 연결된 구동기어(143)가 모터(14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구동기어(143)가 맞물린 상태로 구비된 미들 프레임(120)의 제2렉기어(122)를 통해 모터(142)의 동력을 미들 프레임(120)으로 전달함에 따라 미들 프레임(120)의 일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미들 프레임(120)의 피동기어(123)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제1렉기어(111)와 맞물린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미들 프레임(120)이 일방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피동기어(123)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미들 프레임(120)의 직선 이동 시 베이스 프레임(110)의 제1측벽(113)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가 함께 회전하며 미들 프레임(120)을 지지하기 때문에 미들 프레임(120)은 직선 이동 시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120)의 피동기어(123)가 회전하게 되면 피동기어(123)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이송 프레임(130)의 제3렉기어(131)가 피동기어(123)의 회전력을 이송 프레임(130)으로 전달하여 이송 프레임(130) 역시 미들 프레임(1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이동 한다. 이때, 이송 프레임(130)의 직선 이동 시 이송 프레임(130)의 저면에 구비된 제2가이드 롤러(133)가 미들 프레임(120)에 구비된 제2가이드 레일(124)을 따라 함께 회전함에 따라 이송 프레임(130)의 직선 이동 시 발생하는 진동 및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 및 작동 상태와 같이, 제2구동부(140)의 모터(142)와 미들 프레임(120)의 제2렉기어(122)가 맞물리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제1렉기어(111), 미들 프레임(120)의 피동기어(123) 및 이송 프레임(130)의 제3렉기어(131)가 맞물리도록 구비됨에 따라 제2구동부(140)에 포함된 하나의 모터(142)만으로도 미들 프레임(120) 및 이송 프레임(130)을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들 프레임(120) 및 이송 프레임(130)은 모터(142)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길이만큼 직선 이동할 수 있고, 구동기어(143) 및 피동기어(123)의 지름에 따라 상호 다른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일방으로 이송한 포크부(100)의 이송 프레임(130) 상에 이송 대상물을 안착시킨 후, 전술한 과정과 반대방향으로 제2구동부(140)의 모터(142)를 구동시켜 이송 대상물을 베이스 프레임(110) 상으로 이송시키거나, 이송 대상물을 안착시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포크부(100)는 양방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이송 대상물의 최대 이송 거리는 베이스 프레임(110), 미들 프레임(120) 및 이송 프레임(130)의 최대 길이의 2배만큼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 대상물이 팔레트 등에 안착되어 있거나, 이송 대상물을 복수로 적층하기 위해서는 포크부(100)의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이러한 포크부(100)의 높이 제어는 승강부(200)를 통해 제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팔레트에 안착된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송 플레이트 및 이송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승강부(200)는 최초, 이송 대상물의 이송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서 대기하거나, 승강부(200)의 승강 높이 중 어디에서나 대기할 수 있다.
이후, 이송 대상물의 이송이 필요한 경우 포크부(100)의 이송 플레이트가 팔레트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는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로 포크부(100)의 높이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승강부(200)를 승강시켜 이송 플레이트 상에 팔레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포크부(10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여 이송 대상물의 적재위치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승강부(200)를 통해 포크부(100)의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팔레트를 적재할 수 있다.
전술한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팔레트를 다단으로 적층하거나, 다단으로 적층된 팔레트를 반송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100 : 포크부
110 : 베이스 프레임
111 : 제1렉기어
112 : 관통홀
113 : 제1측벽
114 : 제1가이드 롤러
120 : 미들 프레임
121 : 제2측벽
122 : 제2렉기어
123 : 피동기어
124 : 제2가이드 레일
130 : 이송 프레임
131 : 제3렉기어
132 : 제3측벽
133 : 제2가이드 롤러
140 : 제2구동부
141 : 몸체
142 : 모터
143 : 구동기어
200 : 승강부
210 : 지지 프레임
220 : 승강유닛
230 : 제1구동부
240 : 제1가이드 레일
241 : 연결부

Claims (5)

  1.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포크부; 및
    상기 포크부에 안착된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이송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반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포크부는,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양방으로 직선 운동하는 미들 프레임과, 상기 미들 프레임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미들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면서 상기 이송 대상물이 안착되는 이송 프레임과, 상기 미들 프레임과 상기 이송 프레임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제2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는,
    지면 또는 이송 레일 상에 고정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유닛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승강유닛을 승강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 방향을 따라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승강유닛의 일측에 상기 승강유닛과 상기 제1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볼 스크류 모터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은 복수로 구비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대상물의 이송을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기 미들 프레임 및 상기 이송 프레임이 중첩된 상태로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기 미들 프레임 및 상기 이송 프레임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된 구동기어가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가 맞물린 상태로 구비된 상기 미들 프레임의 렉기어를 통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미들 프레임으로 전달하여 상기 미들 프레임을 일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미들 프레임의 피동기어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렉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미들 프레임이 일방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도 회전하고,
    상기 미들 프레임의 상기 피동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상기 이송 프레임의 렉기어가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이송 프레임으로 전달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이 상기 미들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KR1020170108748A 2017-08-28 2017-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KR20170106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748A KR20170106943A (ko) 2017-08-28 2017-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748A KR20170106943A (ko) 2017-08-28 2017-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424A Division KR20170106811A (ko) 2016-03-14 2016-03-14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943A true KR20170106943A (ko) 2017-09-22

Family

ID=6003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748A KR20170106943A (ko) 2017-08-28 2017-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694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9739A (zh) * 2018-05-14 2018-10-12 宿迁市金田塑业有限公司 一种同步卡固三坐标提升移动卷材的装置
CN110039502A (zh) * 2019-05-30 2019-07-23 凌龙智能(深圳)科技有限公司 检测设备及其升降调节装置
CN110481866A (zh) * 2019-08-06 2019-11-22 苏州中核华东辐照有限公司 双层辐照箱吊架装箱用的送料系统
KR102168939B1 (ko) * 2020-01-09 2020-10-23 (주) 한조 제어 애플리케이션 의해 효율적으로 구동되는 스태커형 자동창고 시스템
CN116986317A (zh) * 2023-08-22 2023-11-03 广州中谷自动化设备有限公司 玻璃横移输送机构及其输送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9739A (zh) * 2018-05-14 2018-10-12 宿迁市金田塑业有限公司 一种同步卡固三坐标提升移动卷材的装置
CN110039502A (zh) * 2019-05-30 2019-07-23 凌龙智能(深圳)科技有限公司 检测设备及其升降调节装置
CN110481866A (zh) * 2019-08-06 2019-11-22 苏州中核华东辐照有限公司 双层辐照箱吊架装箱用的送料系统
KR102168939B1 (ko) * 2020-01-09 2020-10-23 (주) 한조 제어 애플리케이션 의해 효율적으로 구동되는 스태커형 자동창고 시스템
CN116986317A (zh) * 2023-08-22 2023-11-03 广州中谷自动化设备有限公司 玻璃横移输送机构及其输送方法
CN116986317B (zh) * 2023-08-22 2024-03-15 广州中谷自动化设备有限公司 玻璃横移输送机构及其输送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6811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KR20170106943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포크
JP5436747B2 (ja) 物品移載装置
JP2013047150A (ja) 物品移載装置
WO2022134893A1 (zh) 升降装置及搬运机器人
KR20160103913A (ko) 자동창고
JP5247606B2 (ja) 移載装置
JP6331895B2 (ja) 物品搬送設備
TW201208970A (en) Rising and lowering device
JP6156409B2 (ja) 搬送装置
JP7485411B2 (ja) 物品受け渡し手段
CN112124981A (zh) 供料装置及其供料方法
JP2009292642A (ja) 段積み搬出装置
KR20150087915A (ko) 물품 이송장치 및 방법
CN213801957U (zh) 供料装置
CN110155856B (zh) 安葬工作系统及运载平台对位方法
JP7222183B2 (ja) 搬送装置
JP2010046706A (ja) ワーク搬送装置
KR20030054612A (ko) 자동승강이송장치
JP5978937B2 (ja) 基板搬送用ハンド及び基板搬送方法
WO2020105268A1 (ja) 姿勢転換装置
JPH04141341A (ja) ガントリーローダ
JP2021139456A (ja) 移動装置及び移動装置を備えた昇降台車
JP2006264966A (ja) リフト装置
KR101747830B1 (ko)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