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805A - 부유식 장비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인을 연결하는데 특히 적합한 분해가능 링크 - Google Patents

부유식 장비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인을 연결하는데 특히 적합한 분해가능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805A
KR20170103805A KR1020177018879A KR20177018879A KR20170103805A KR 20170103805 A KR20170103805 A KR 20170103805A KR 1020177018879 A KR1020177018879 A KR 1020177018879A KR 20177018879 A KR20177018879 A KR 20177018879A KR 20170103805 A KR20170103805 A KR 20170103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link
longitudinal
complementary surfaces
end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752B1 (ko
Inventor
필리페 부손
Original Assignee
노브-비엘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브-비엘엠 filed Critical 노브-비엘엠
Publication of KR2017010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2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for fastening more or less permanent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2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by means of tension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4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built up from readily-separable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3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incorporating resiliently-mounted members for attachment of the cabl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해가능 링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유식 장비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인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분해가능 링크에 관한 것이다. 직사각형 링과 같은 형상의 이 분해가능 링크(1)는 2개의 곡선부들(3)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직선부들(22)을 포함하고, 그리고 - 상기 곡선부들(3) 중 하나를 각각 형성하는 2개의 측면부들(6), 및 - 상기 직선부들(2) 중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2개의 연결부들(5)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들(6)은 착탈가능한 체결수단(7)을 통해 상기 연결부들(5)과 조립된다.

Description

부유식 장비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인을 연결하는데 특히 적합한 분해가능 링크{DISMANTLABLE LINK, SUITABLE IN PARTICULAR FOR INTERCONNECTING TWO CHAINS FOR ANCHORING FLOATING EQUIPMENT TO THE GROUND}
본 발명은 분해가능 링크(demountable link)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유식 설비(floating installation)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분해가능 링크에 관한 것이다.
특정 산업 분야는 특히 고정(anchoring), 견인(towing) 등의 목적으로 2개의 요소들을 서로 부착하는 체인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특정 부유식 설비들, 특히 해양 석유 시추 플랫폼들(offshore oil rig platforms)은 대형 크기의 고정 체인(anchoring chains; "고정 라인(anchoring lines)"으로도 지칭됨)에 의해 지반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체인들의 각각의 하부의 하류 단부(the lower, downstream end)는 특히 해저에 묻힌 블록을 사용하여 고정 체인을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체인들의 각각의 상부의 상류 단부는 흘수선(waterline) 보다 위쪽에 부유식 설비의 측면에 배치된 제어 스테이션(control station)에서 연장된다.
각각의 작동 스테이션은 일반적으로 고정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흔히 "케이블 휠(cable wheel)"로 지칭되는 장력조절 윈치(tensioner winch)와, 이 고정 체인에 가해진 장력을 로킹(lock)하는 활성(activatable)/비활성(deactivatable) 스토퍼 수단을 포함한다.
실제로, 이러한 고정 체인을 부유식 설비의 또 하나의 체인에 묶는 것이 때때로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고정 체인의 인장(tensioning)을 보장하기 위해, 장력조절 윈치는 유리하게는 마스터 체인 스트랜드(master chain strand)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체인 스트랜드의 하류 단부는 분해가능 링크를 통해 상기 고정 체인의 링크에 착탈가능하게(removably) 고정되도록 구성된 하류 링크를 포함한다.
링크의 크기와 무게로 인해 이 조립 작업은 한 명 또는 두 명의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며, 이들 작업자는 종종 링크들의 들어올림(lifting)을 돕고 체결/풀기(fastening/unfastening)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기 윈치를 종종 사용하게된다.
그러나, 현재의 분해가능 링크들은, 특히 조립 시설 및 강도에 관해서는 충분히 만족스럽지가 않다. 더욱이, 이러한 분해가능 링크들은 고정 체인을 구성하는 링크들과 동일한 기하학적 구조(geometry)를 갖지 않는다.
실제로, 소위 "C-링크들(C-links)" 이 종종 사용되는데, 이 링크들은 장착/분해(mounting/dismounting) 작업들에서 다루기가 힘들고 복잡하다.
따라서, 장착/분해 및 강도면에서의 인체 공학이 최적화되는 분해가능 링크들을 위한 새로운 구조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해가능 링크, 특히 부유식 설비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링크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분해가능 링크에 관한 것이다.
직사각형 링(oblong ring)의 형상을 갖는 이 분해가능 링크는 2개의 굴곡부들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직선부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분해가능 링크는:
- 상기 굴곡부들 중 하나를 각각 형성하는 2개의 측면부들(lateral parts), 및
- 상기 직선부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2개의 연결부들(connecting parts)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측면부들은 착탈가능한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연결부들과 조립된다.
따라서, 이러한 링크가 스터드리스 링크(studless link)와 동일한 표준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특히 견인 윈치(traction winch)의 통상적인 견인력(traction capacity)의 적어도 1.5배(바람직하게는 대략 1.7배 정도)보다 큰 강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링크는 중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측면부들은 각각 U자형이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직선부들 중 하나에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끝단부들에 의해 각각 끝나며; 상기 2개의 연결부들은 각각 직선형이고, 서로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직선부에서 연장되는 2개의 끝단부들에 의해 각각 끝나며; 그리고 연결부의 상기 끝단부들의 각각은 측면부의 상기 끝단부들 중 하나와 협력하여, 상기 끝단부들이 착탈가능한 체결(fastening)수단을 통해 조립되는 조립체 쌍을 형성한다.
이 경우, 각각의 조립체 쌍에서, 상기 탈착가능한 체결수단은 유리하게는,
- 대응하는 직선부의 종축에 평행한 병진 축(translation axis)에 따라 상기 끝단부들을 서로 병진 끼워맞춤하는 수단,
-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작동가능한, 상기 끼워맞춤된 끝단부들을 서로에 대해 병진 차단하는 수단, 및
- 상기 차단 수단을 활성 위치에 로킹(locking)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립체 쌍의 끝단부들은 상기 병진 끼워맞춤 수단을 형성하는 수놈형 및 암놈형의 상보적 표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표면들은 대응하는 직선부의 종축에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따라 상기 결합된 측면부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단 수단은 상기 회전 작동을 통해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활성 위치에서 회전을 로킹(locking)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경우, 상보적 표면들은 유리하게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동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 경우에, 병진 차단 수단은 유리하게는 상기 상보적 표면들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병진 차단을 보장하도록 배향된 스너그/홈 쌍들(snug/groove cluples)을 포함한다.
이 상보적 표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상보적인 절두 원추 형상들을 가지며; 상기 스너그/홈 쌍들은 상기 상보적 표면들의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밴드에 걸쳐 분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드는 그의 종축이 상기 상보적 표면들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상보적 표면들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스너그/홈 쌍들의 2개의 종방향 밴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밴드들은 상기 상보적 표면들의 종축에 대해 정반대 위치들(diametrically opposed positions)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로킹 수단은 적어도 2개의 동축 하우징들:
- 연결부에 배치된 제1 하우징, 및
- 적어도 측 방향 부분 중 하나에 배치된 제2 하우징, 사이에 부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가능한 인덱싱 요소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측면부들의 끝단부들은 유리하게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말단 면이 구비된 수놈 표면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들의 이들 말단 면들은 링크의 조립 동안 서로에 대해 인접해지고, 이들의 나란히 놓인 하우징부들은 함께하여 인덱싱 요소를 수용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위치에서, 하우징들은 각각, 스너그/홈 쌍들의 종방향 밴드들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으로, 또는 적어도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종축을 정의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면부들은 서로 동일하고, 2개의 연결부들은 서로 동일하다.
본 발명은 또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한정됨이 없이 분해가능 링크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예시될 것이다:
도 1은 구성 부분들이 함께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분해가능 링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분해도로 도시된, 도 1에 따른 분해가능 링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분해가능 링크의 구성부들의 조립을 위한 주요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병진 차단 수단(translational blocking means)이 활성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분해가능 링크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분해가능 링크의 중앙 단면 평면 IX-IX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비활성 위치에서의 병진 차단 수단을 보여주는, 도 9의 링크의 상세 및 확대도;
도 11은 조립체 쌍을 통과하는 도 9의 횡단면(transverse sectional plane) XI-XI에 따른 분해가능 링크의 또 다른 단면도;
도 12는 비활성 상태의 병진 차단 수단의 상세 및 확대도;
도 13은 병진 차단 수단이 활성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가능 링크의 측면도;
도 14는 중앙 단면 평면 XIV-XIV에 따른, 도 13의 분해가능 링크의 단면도;
도 15는 병진 차단 수단에서의 도 14의 단면도의 상세 및 확대도;
도 16은 조립 쌍을 통과하는 횡단면 XVI-XVI에 따른, 도 14의 분해가능 링크의 단면도;
도 17은 활성 위치에서의 병진 차단 수단을 보여주는, 도 16의 부분 및 확대도.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해가능 링크(1)(또는 "분해가능 링(demountable ring)")는 특히 2개의 체인들(C), 예를 들면 부유식 설비(도시되지 않음)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유식 설비는 유리하게는 해양 부유식 설비, 예를 들면 부유 플랫폼 및 특히 오일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체인들(C)은 두 개씩 연결된(interlaced) 금속 링크의 세트로 구성된다.
각각의 고정 체인(anchoring chain) 내에서, 서로 직접 연결된 2개의 링크들의 중앙 평면들은 서로에 대해 수직되게 또는 적어도 대략 수직되게 연장된다.
각각의 링크는 통상적으로 스터드리스(studless) 링크 또는 스터드 링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해가능 링크(1)는 2개의 단부 링크들(도 1):
- 부유식 설비측에 위치된 체인 단부를 구성하는 상류 단부 링크(C1), 및
- 해저에 고정된 체인 단부를 구성하는 하류 단부 링크(C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스터드리스 링크 형태의 분해가능 링크(1)는 직사각형 링(oblong ring)의 형상을 가지며, 이 링의 와이어(wire)는 중앙 평면(P)에서 연장한다(도 1).
이러한 분해가능 링크(1)는 2개의 굴곡부들(bent sections; 3)에 의해 연결된 종축(2')을 각각 정의하는 2개의 직선부들(rectilinear sections; 2)을 포함한다(도 1).
이 분해가능 링크(1)는 고정 체인의 링크와 동일한 표준의 일반적인 형상(standard general shape)을 가지는데, 그것은 예를 들면 다음 치수들, 즉 직경 150mm, 길이 900mm 및 폭 500mm의 "와이어(wire)" 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분해가능 링크(1)는 한 세트의 4개의 부품들(또는 "부분들(pieces)" 또는 "작업편들(work pieces)") (다시 말해서, 이 분해가능 링크(1)의 본체는 4개의 부품들로 구성된다):
- 직선부들(2) 중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서로 동일한 2개의 연결부들(connecting parts; 5), 및
- 굴곡부들(3) 중 하나를 각각 형성하는 서로 동일한 2개의 측면부들(lateral parts; 6),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들 부분(5,6)은 각각 단일체(single-piece; 전체적으로 기계 가공된)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측면부들(6)은 각각 U-형상을 가지며,
- 분해가능 링크(1)의 굴곡부들(3) 중 하나에 대응하는 곡선부(curved portion; 61), 및
- 조립된 분해가능 링크(1)의 직선부들(2) 중 하나의 단부에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끝단부들(end portions; 62)을 포함한다.
곡선부(curve part; 61)는 장착이 용이하도록 조작 링(handling ring)의 나사 조임(screwing)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구멍들(tapped holes; A)을 포함한다(도 1).
2개의 끝단부들(62)은 각각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축(62')을 정의한다.
그것들의 역할을 위해(for their part), 2개의 연결부들(5)은 형성된 분해가능 링크(1)의 직선부들(2) 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해 종축(5')을 정의하는 대체로 직선의 원통 형상을 각각 갖는다.
각각의 연결부(5)는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대응하는 직선부(2)의 단부들에 연장되는 2개의 끝단부들(52)에 의해 끝난다.
이 끝단부들(52)은 각각 동축 방향으로(coaxially) 연장되는 종축(52')을 정의한다.
분해가능 링크(1)의 조립을 위해, 연결부(5)의 각각의 끝단부들(52)은 측면부(6)의 끝단부들(62) 중 하나와 협력하여 조립체 쌍(assembly couple; 52,62)을 형성하게 된다(특히 도 14 내지 17에 도시됨).
여기서, 분해가능 링크(1)는 직선부(2)와 굴곡부(3) 사이의 접합부(junction)에 각각 위치되는 4개의 조립체 쌍들(52,62)을 포함한다.
각각의 조립체 쌍(52,62)에서, 이 끝단부들(52,62)은 착탈가능한 체결수단(7)을 통해 조립되고, 상기 착탈가능한 수단은
- 대응하는 직선부(2)의 종축(2')과 동축(coaxial)이고 연결부(5)의 종축(5')과 동축인 병진 축(translation axis)에 따라 끝단부들(52,62)을 서로에 대해 병진 끼워맞춤(translational fitting)하는 수단(71),
- 활성 위치(active position; 도 13 내지 17)와 비활성 위치(an inactive position; 도 8 내지 12)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상기 끼워맞춤된 끝단부들(52,62; 도 17)을 병진 차단(translationally blocking)하는 수단(72), 및
- 상기 병진 차단 수단(72)을 활성 위치(도 13 내지 도 17)에 로킹(locking)하는 수단(73)을 포함한다.
먼저, 조립체 쌍(52,62)의 끝단부들(52,62)은 병진 끼워맞춤 수단(71)을 형성하기 위해 수놈(male)형 및 암놈(female)형의 상보적 표면들(complementary surfaces; 521,621)을 포함한다.
이 상보적 표면들(521,621)은 각각 원형 단면을 가지며, 한편으로는 대응하는 직선부(2)의 종축(2')과 동축 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연결부(5)의 종축(5')과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따라 상기 결합된 측면부(6)에 대한 연결부(5)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동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측면부(6)의 끝단부들(62)은 각각 그 종축(62')과 동축인, 대체로 절두 원추(truncated-cone) 형상의 수놈 표면(621)을 포함한다.
각각의 수놈 표면(621)은 2개의 단부들:
- 직경이 작고 그 종축(62')과 수직인 자유 단부면(622), 및
- 직경이 크고 크라운(crown)을 형성하는, 곡선부(61)에 연결된 단부(623)에 의해 끝난다.
그것들의 역할을 위해, 각각의 연결부(5)의 끝단부들(52)은 각각 그 종축(52')과 동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절두 원추 형상의 암놈 표면(521)을 포함한다.
각각의 암놈 표면(521)은 2개의 단부들:
- 직경이 크고 상기 암놈 표면의 진입 범위를 정의하는(delimiting) 크라운을 형성하는 외측 단부(522), 및
- 직경이 작고 여기서(herein) 다른 암놈 표면(521)의 내측 단부(523)을 향하여 개방되는 내측 단부(523)(특히 도 9 및 11에 도시된)에 의해 끝난다.
따라서, 각각의 암놈 표면(521)은 연결부(5)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서 개방되는 하우징을 형성한다.
여기서 각각의 암놈 표면(521)은 적어도 대략 상기 연결부(5)의 길이의 절반에 걸쳐 연장된다(특히 도 9 및 11에 도시됨).
상보적 표면들(521,621)은 각각, 각각의 길이들에 걸쳐 분포된 일련의 동심 숄더들(concentric shoulders; 524,624)을 구비한 계단형의 형상을 갖는다(특히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됨).
이하에서 개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여기서(herein) 병진 차단 수단(72)과의 협력에 의해 연결부(5)의 회전시에 최적의 안내(guiding)를 보장하는데 이점이 있다.
병진 차단 수단(72)은, 한편으로는 상보적 표면들(521,621) 상에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조립체 쌍(52,62)의 끝단부들(52,62)의 병진 차단을 보장하도록 배향된 스너그(snug)/홈 쌍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들 병진 차단 수단(72)은 두 위치:
- 조립체 쌍(52,62)의 조립된 끝단부들(52,62)의 병진이동이 차단되는 활성 위치, 및
- 상기 조립체 쌍(52,62)의 조립된 끝단부들(52,62)의 병진이동이 자유로운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다.
이들 두 위치 사이에서의 병진이동(translation)은, 대응하는 직선부(2)의 종축(2')과 동축 방향으로, 그리고 이 연결부(5)의 종축(5')과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따라, 상기 결합된 측면부(6)에 대한 (경우에 따라, 두 결합된 측면부들(6)에 대한) 연결부(5)의 회전 작동에 의해 얻어진다.
그 목적을 위해, 상보적 표면들(521,621)은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각각의 다른 홈들(5252,6252) 사이의 범위를 정의하는 한 세트의 스너그들(snugs; 5251,6251)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밴드(band; 525,625)를 각각 구비한다.
여기서, 이 상보적 표면들(521,621)은 각각 그 종축(52',62')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위치들에 배치된 2개의 종방향 밴드들(525,625)을 포함한다(도 2).
여기서 각각의 종방향 밴드(525,625)는 대응하는 상보적 표면(521,621)의 원주의 1/4에 대응하는 각도 부분(angular sector)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이 종방향 밴드들(525,625)은 그 종축(52',62')에 대해 정반대 위치들(diametrically opposed positions)에 배치된 스너그들이 없는(devoid of snugs) 두 자유 단부들(526,626)에 의해 분리된다.
각각의 종방향 밴드(525,625)는 그 종축(525',625')이 상기 대응하는 상보적 표면(521,621)의 종축(52',62')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각각의 종방향 밴드(525,625)는 직선 톱니(tooth serration)의 일반적인 형상을 가지며, 그 스너그들(5251,6251)은 각각, 자유 가장자리(5251a,6251a)가 대응하는 상보적 표면(521,621)의 종축(52',62')과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되는 톱니(tooth)로 이루어진다(도 10 및 12).
각각의 스너그(5251,6251)는 또한 2개의 마주하는 면들:
- 대응하는 상보적 표면(521,621)의 종축(52',62')에 대해 경사진 앞면(5251b, 6251b)
- 대응하는 상보적 표면(521,621)의 종축(52',62')에 수직으로 연장된 뒷면(5251c,6251c)을 포함한다.
상보적 표면(521,621)의 각 스너그(5251,6251)의 앞면(5251b,6251b)은 다른 상보적 표면(521,621)의 스너그(5251,6251)의 앞면(5251b,6251b)과 협력하여 회전시 최적의 안내(guiding)를 보장하기 위해, 상술한 숄더(524,624)의 연장부(the continuation of)에서 연장된다.
그와 관련하여, 로킹 수단(73)은 연결부(5) 및 결합된 측면부(6) 사이에 부가되는 착탈가능한 인덱싱 요소(indexation element;731), 여기서는 원통형 키(key)를 포함한다.
이 인덱싱 요소(731)는 연결부(5)가 활성 위치에 위치될 때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하우징들(732,733), 즉
- 연결부(5)에 배치된 제1 하우징(732)과,
- 측면부들(6)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2 하우징(733) 사이에 부가된다.
연결부(5)의 제1 하우징(732)은 원통형 부분을 갖는 구유형 하우징(trough-housing)이다.
이 제1 하우징(732)은, 한편으로는 연결부(5)의 종축(5')에 수직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그 종방향 밴드들(525)을 통과하는 일반적인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축(732')을 정의한다.
여기서, 이 제1 하우징(732)은 2개의 암놈 표면들(521)의 내측 단부들(523) 사이에 이 암놈 표면들과 연통된 상태(특히 도 11)로 위치된다.
또한, 이 제1 하우징(732)은 상술된 인덱싱 요소(731)의 위치 결정을 위해 연결부(5)의 양측에 개방되어 있다.
그와 관련하여, 제2 하우징(733)은 분해가능 링크(1)의 조립체에서 서로 인접하게 되는 측면부들(6)의 자유 단부면들(622)에 의해 형성된다.
그 목적을 위해, 이 자유 단부면들(622)은 각각 제2 하우징(733)의, 여기서는 반 원통형(semi-cylindrical shape; 도 2)의 부분(7331)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733)의 이 부분(7331)은 다른 자유 단부면(622)의 상보적인 부분(7331)과 나란히 놓일 때(juxtaposed) 제2 하우징(733)을 형성하게 된다(특히 도 11).
얻어진 원통형의 제2 하우징(733)은 측면부들(6)의 끝단부들(62)의 종축(62')에 대해 그리고 이 동일한 끝단부들(62)의 종방향 밴드들(625)을 통과하는 일반적인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축(733')을 정의한다(도 6 및 11).
실제로, 작업자는 이 측면부(6)의 끝단부들(62)이 각각 연결 링크들(5) 중 하나의 두 끝단부들(52) 중 하나와 협력하도록, 측면부들(6) 중 하나에 2개의 연결부들(5)을 부가한다(도 3 및 4).
이 조립체는 대응하는 연결부(5)의 종축(5')에 평행한 (그리고 대응하는 상보적 표면들(521,621)의 종축(52',62')에 평행한) 병진 축(translation axis)에 따른 상보적 끝단부들(52,62)의 병진 끼워맞춤(translational fitting)에 의해 획득된다.
결합된 끝단부들(52,62)은 상술된 병진 끼워맞춤 수단(71)을 형성하는, 수놈형 및 암놈형의 상보적 표면들(521,621)을 포함하는 조립체 쌍(52,62)을 구성한다.
절두 원추 형상의 이러한 상보적 표면들(521,621)은 이 병진 끼워맞춤 동안 최적의 안내를 수행한다.
이 끼워맞춤(fitting)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연결부(5)는 또한 결합될 그 끝단부(52)의 종방향 밴드들(525)이 측면부(6)의 끝단부(62)의 종방향 밴드들(625)에 대해 각도 상쇄(angularly offset)되도록 각도(angularly) 배향된다.
즉, 암놈 표면(521)의 종방향 밴드들(525)은 각각 수놈 표면(621)의 종방향 영역들(626) 중 하나와 정렬되어 상반되게(reciprocally) 연장된다(도 9 내지 12).
각각의 연결부들(5)의 제2 끝단부(52)는 자유 상태(free)로 유지된다.
따라서, 각각 조립체 쌍(52,62)을 통해, 2개의 연결부들(5)이 결합된 측면부(6)로 형성된 유닛(unit)이 얻어진다.
폐쇄 전, 분해가능 링크(1)는 특히 도 1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상류 링크(C1) 및 하류 링크(C2)와 결합된다.
상류 링크(C1) 및 하류 링크(C2)의 위치 결정은 장착 동안 이 분해가능 링크(1)의 폭 넓은(wide) 개방에 의하여 용이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여전히 비활성 위치에 있는 연결부들(5)의 자유 끝단부들(52)에 제2 측면부(6)를 부가한다(도 5).
그 다음, 신규 결합된 끝단부들(52,62)은 병진 끼워맞춤 수단(71)을 또한 형성하기 위해 수놈형 및 암놈형의 상보적 표면들(521,621)를 포함하는 조립체 쌍들(52,62)을 또한 구성한다(도 8 내지 12).
측면부들(6)의 말단 면들(terminal faces; 622)은 링크(1)의 조립 동안 서로에 대해 인접해지고; 그리고 나란히 놓인 하우징부들(housing portions; 7331)은 인덱싱 요소(731)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733)을 함께 형성한다.
이후, 병진 차단 수단(72)은 결합된 측면부들(6)에 대한 각각의 연결부들(5)의 회전 작동을 통해 실행된다(도 5 및 6).
그 다음, 측면부들(6)에 인접한 2개의 끝단부들(62)은 연결부(5)의 회전을 안내하는 일종의 소용돌이(whirl)를 형성한다.
이 회전 동안, 각각의 조립체 쌍(52,62) 내에서, 연결부(5)의 종방향 밴드들(525) 중 하나는 측면부(6)의 상보적 종방향 밴드(625)와 협력한다(도 16 및 17).
여기서, 종방향 밴드(525,625)의 스너그들(5151,6251)은 상보적 종방향 밴드(525,625)(도 17)의 상보적 홈들(5252,6252) 내로 들어간다.
이 활성 위치에서, 하우징들(732,733) 각각은, 한편으로는 서로에 대해 동축 방향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너그/홈 쌍들(5251,5252,6251,6252)의 종방향 밴드들(525,625)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으로, 또는 적어도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축(732',733')을 정의한다(도 14).
이들 병진 차단 수단(72)을 로킹(locking)하기 위해, 작업자는 동축(coaxial) 하우징들(732,733)을 통해 착탈가능한 인덱싱 요소(731)를 도입(introduction)함으로써 활성 위치 로킹 수단(active position locking means; 73)을 실행한다(도 7 및 14).
착탈가능한 인덱싱 요소(731)는 동축 하우징들(732,733) 내에서 병진이동이 차단된다.
예를 들면, 스크류들(734)은 제2 하우징(732)의 관통 단부들(through-ends; 7321)(스크류 헤드들(734)의 베어링 숄더(7321)를 포함하는)과 협력하도록, 이 착탈가능한 인덱싱 요소(731)(적절한 탭핑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의 단부들(7311)의 각각에 부가된다.
따라서, 상류 링크(C1)와 하류 링크(C2)는 폐쇄된 분해가능 링크(1)를 통해 함께 체결된다.
반대로, 이 링크(1)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단지
- 병진 차단 해제(translation unblocking) 이후 착탈가능한 인덱싱 요소(731)를 제거하고,
- 연결부들(5)을 비활성 위치로 회전 작동시키고, 그리고
- 측면부들(6)을 연결부들(5)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본 발명은 특히 장착/분리에 있어서 인체공학적인 한편, 노력 대비 최적의 저항이 유지되는(keeping an optimum resistance to the efforts) 분해가능 링크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링크는 표준 스터드리스 링크와 동일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부유식 설비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해 특히 2개의 체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직사각형 링의 형상을 가지며, 2개의 굴곡부들(3)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직선부들(2)을 포함하는 분해가능 링크(1)에 있어서,
    상기 분해가능 링크(1)는
    - 상기 굴곡부들(3) 중 하나를 각각 형성하는 2개의 측면부들(6), 및
    - 상기 직선부들(2) 중 하나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2개의 연결부들(5)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들(6)은 착탈가능한 체결수단(7)을 통해 상기 연결부들(5)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부들(6)은 각각 U자형이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직선부들(2) 중 하나에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끝단부들(62)에 의해 각각 끝나며,
    상기 2개의 연결부들(5)은 각각 직선형이고, 서로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직선부(2)에서 연장되는 2개의 끝단부들(52)에 의해 각각 끝나며, 그리고
    연결부(5)의 상기 끝단부들(52)의 각각은 측면부(6)의 상기 끝단부들(62) 중 하나와 협력하여, 상기 끝단부들(52,62)이 착탈가능한 체결수단(7)을 통해 조립되는 조립체 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3.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립체 쌍(52,62)에서, 상기 착탈가능한 체결수단(7)은,
    - 대응하는 직선부(2)의 종축(2‘)에 평행한 병진 축에 따라 상기 끝단부들(52,62)을 서로의 안에 병진 끼워맞춤하는 수단(71),
    -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작동가능한, 상기 끼워맞춤된 끝단부들(52,62)을 서로에 대해 병진 차단하는 수단(72), 및
    - 상기 차단 수단(72)을 활성 위치에 로킹(locking)시키는 수단(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4. 제 3항에 있어서,
    조립체 쌍의 상기 끝단부들(52,62)은 상기 병진 끼워맞춤 수단(71)을 형성하는 수놈형 및 암놈형으로 된 상보적 표면들(521,621)을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표면들(621,621)은 대응하는 직선부(2)의 종축(2')에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따라 상기 결합된 측면부(6)에 대한 상기 연결부(5)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단 수단(72)은 상기 회전 작동을 통해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로킹 수단(73)은 상기 활성 위치에서 회전을 로킹하기 위한 수단(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 표면들(521,621)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차단 수단(72)은 상보적 표면들(521,621)에 배치되고 상기 병진 차단을 보장하도록 배향되는 스너그/홈 쌍들(5251,5252; 6251,62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 표면들(521,621)은 상보적인 절두 원추 형상들을 가지며,
    상기 스너그/홈 쌍들(5251,5252; 6251,6252)은 상기 상보적 표면들(521,621)의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밴드(525,625)에 걸쳐 분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밴드(525,625)는 그의 종축(525',625')이 상기 상보적 표면들(521,621)의 종축(52',62')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 표면들(521,621)은 스너그/홈 쌍들(5251,5252; 6251,6252)의 2개의 종방향 밴드들(525,625)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밴드들(525,625)은 상기 상보적 표면들(521,621)의 종축(52',62')에 대해 정반대 위치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9.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73)은 적어도 2개의 동축 하우징들:
    - 연결부(5)에 배치된 제1 하우징(732), 및
    - 측면부들(6)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2 하우징(733), 사이에 부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가능한 인덱싱 요소(7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들(6)의 상기 끝단부들(62)은 하우징부(7331)를 포함하는 말단 면(622)이 구비된 수놈 표면(621)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들(6)의 상기 말단 면들(622)은 상기 링크(1)의 조립 동안 서로에 대하여 인접해지고, 상기 나란히 놓인(juxtaposed) 하우징부들(7331)은 상기 인덱싱 요소(731)를 수용하는 상기 제2 하우징(733)을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11. 제 7항,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활성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732,733)은 각각, 스너그/홈 쌍들(5251,5252; 6251,6252)의 종방향 밴드들(525,625)을 통과하는 평면에 수직으로, 또는 적어도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종축(732',733')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부들(6)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2개의 연결부들(5)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스터드리스 링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 링크.
KR1020177018879A 2015-01-08 2016-01-05 부유식 장비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인을 연결하는데 특히 적합한 분해가능 링크 KR102499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0133A FR3031561B1 (fr) 2015-01-08 2015-01-08 Maillon demontable, adapte notamment a raccorder deux chaines pour l'ancrage au sol d'une installation flottante
FR1550133 2015-01-08
PCT/FR2016/050007 WO2016110638A1 (fr) 2015-01-08 2016-01-05 Maillon démontable, adapté notamment à raccorder deux chaines pour l'ancrage au sol d'une installation flotta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805A true KR20170103805A (ko) 2017-09-13
KR102499752B1 KR102499752B1 (ko) 2023-02-15

Family

ID=5262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879A KR102499752B1 (ko) 2015-01-08 2016-01-05 부유식 장비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인을 연결하는데 특히 적합한 분해가능 링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246165B2 (ko)
EP (1) EP3243013B1 (ko)
KR (1) KR102499752B1 (ko)
CN (1) CN107110300B (ko)
CA (1) CA2972941C (ko)
DK (1) DK3243013T3 (ko)
ES (1) ES2863995T3 (ko)
FR (1) FR3031561B1 (ko)
PL (1) PL3243013T3 (ko)
SG (1) SG11201705502UA (ko)
WO (1) WO2016110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1561B1 (fr) * 2015-01-08 2017-07-21 Nov-Blm Maillon demontable, adapte notamment a raccorder deux chaines pour l'ancrage au sol d'une installation flottante
CN107651116B (zh) * 2017-11-10 2019-10-11 江苏亚星锚链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水下系泊链的自动拆卸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7088A (en) * 1943-03-06 1944-04-18 Dock Mortimer Russell Chain link
JP2014509719A (ja) * 2011-03-07 2014-04-21 ペヴァック・オーストリア・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長円形状のプロファイル付き鎖環からなるチェーン及びこのタイプのチェーンを製造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1791A (en) * 1956-01-24 Chain shackle
GB466794A (en) * 1935-01-22 1937-06-04 Kohle Und Eisenforschung Gmbh Improvements relating to chains
GB617101A (en) * 1946-05-16 1949-02-01 Karl Werner Skoeld Improved shackle
GB620330A (en) * 1946-12-28 1949-03-23 North British Electric Welding Improved shackle
US2693673A (en) * 1950-03-04 1954-11-09 Carlton G Lutts Chain link and a nonkink chain made from a plurality thereof
GB1398711A (en) * 1971-07-15 1975-06-25 Wheway Watson Ltd Coupling link
FR2689187B1 (fr) * 1992-03-24 1995-05-24 Fresnes Forges Procédé d'assemblage de deux extrémités d'éléments en vis à vis et maillons démontables réalisés par ce procédé.
JPH08170627A (ja) * 1994-12-19 1996-07-02 Tetsuo Hiyama 連結具
JPH09158991A (ja) * 1995-12-08 1997-06-17 Yamatani Sangyo:Kk 連結具
DE202006016032U1 (de) * 2006-10-16 2006-12-21 Thiele Gmbh & Co. Kg Kettenverbindungsglied
DE102010013474B4 (de) * 2010-03-30 2015-08-13 Thiele Gmbh & Co. Kg Kettenschloss
FR3031561B1 (fr) * 2015-01-08 2017-07-21 Nov-Blm Maillon demontable, adapte notamment a raccorder deux chaines pour l'ancrage au sol d'une installation flottan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7088A (en) * 1943-03-06 1944-04-18 Dock Mortimer Russell Chain link
JP2014509719A (ja) * 2011-03-07 2014-04-21 ペヴァック・オーストリア・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長円形状のプロファイル付き鎖環からなるチェーン及びこのタイプのチェーンを製造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243013T3 (da) 2021-03-22
CA2972941C (fr) 2023-04-04
US10246165B2 (en) 2019-04-02
CA2972941A1 (fr) 2016-07-14
WO2016110638A1 (fr) 2016-07-14
PL3243013T3 (pl) 2021-06-14
KR102499752B1 (ko) 2023-02-15
FR3031561A1 (fr) 2016-07-15
CN107110300A (zh) 2017-08-29
EP3243013A1 (fr) 2017-11-15
SG11201705502UA (en) 2017-08-30
ES2863995T3 (es) 2021-10-13
US20180001967A1 (en) 2018-01-04
FR3031561B1 (fr) 2017-07-21
EP3243013B1 (fr) 2020-12-23
CN107110300B (zh)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724069C1 (de) Biegbarer Schlauch mit zueinander parallelen ringfoermigen Wellen und Axialabstuetzung
EP1616376B1 (de) Kabelführung
CA2875387A1 (en) Apparatus for aligning sections of pipe
EP2776737B1 (de) Gurt oder gurtselement mit offenem ende und befestigungsvorrichtung dafür
DE2414821A1 (de) Kupplung
EP3807563A1 (d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für hängende anwendungen, insbesondere als service-loop für eine bohranlage
DE102015004750B4 (de) Verbinder mit Durchgangstüll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WO2000012913A1 (de) Energieführungskette zum führen von leitungen mit räumlich beweglichen kettengliedern
WO2013156830A1 (de) Spanngurt und rohrkupplung zum kraftschlüssigen verbinden von rohren, insbesondere von glattendigen rohren
KR20170103805A (ko) 부유식 장비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인을 연결하는데 특히 적합한 분해가능 링크
US7927254B2 (en) Recreational structure using a sleeve-joint coupling
KR101701284B1 (ko) 체인 연결용 퀵 링크
AT392443B (de) Reifen- und gleitschutznetz fuer fahrzeugreifen
DE102016215165B4 (de) Flugwarnkugel, Montageset für eine solche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solchen an einem Seil
DE3232377A1 (de) Verbinder zum anschluss einer kette an ein drahtseil
KR101505142B1 (ko) 샤클
DE19841452A1 (de) Verbindung eines Hauptgehäuses eines Sortierers für faserstoffhaltige Suspensionen mit einem einlaßseitigen Deckelteil
DE10142628C2 (de) Verschluss- und Abdichtelement
WO2018001792A1 (de) Verbindungsring
DE202004011202U1 (de) Moduldichtung für Leitungsdurchführungen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EP3267054B1 (en) Control cable quick disconnect
DE60113765T2 (de) Gehäuse zur Verbindung von optischen bzw. Kupferkabeln
EP1255339B1 (de) Schraubenlose Keilspannklemme
EP0878331B1 (de) Verstellanordnung für den Knotenpunkt von (Gleitschutz-) Kettensträ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