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644A - 하드코팅필름 - Google Patents

하드코팅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644A
KR20170103644A KR1020170023025A KR20170023025A KR20170103644A KR 20170103644 A KR20170103644 A KR 20170103644A KR 1020170023025 A KR1020170023025 A KR 1020170023025A KR 20170023025 A KR20170023025 A KR 20170023025A KR 20170103644 A KR20170103644 A KR 2017010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hard coating
layer
hard 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거산
김승희
김동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448,48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253707A1/en
Priority to JP2017040489A priority patent/JP2017156751A/ja
Priority to TW106106961A priority patent/TW201800507A/zh
Priority to CN201710128560.9A priority patent/CN107153226A/zh
Publication of KR2017010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은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탄성률이 10 내지 3000MPa이며, 파단신도가 30 내지 150%인 고연신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되는 제1 하드코팅층; 및 상기 투명 기재층의 타면에 형성되고, 마텐스 경도가 350 내지 1000N/mm2이며, 압축 탄성율이 4000 내지 10000MPa인 제2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드코팅필름{HARD COATING FILM}
본 발명은 내충격성, 내굴곡성 및 내찰상성이 우수하고, 찍힘 흔적 및 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드코팅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함께 디스플레이용 기재의 박막화 및 슬림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또는 전면판에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소재로 유리 또는 강화 유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는 자체의 무게로 인한 모바일 장치가 고중량화되는 원인이 되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의 문제가 있다.
이에 유리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플라스틱 수지가 연구되고 있다.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은 경량이면서도 깨질 우려가 적어 보다 가벼운 모바일 기기를 추구하는 추세에 적합하다. 특히, 고경도 및 내마모성의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달성하기 위해 지지 기재에 하드코팅 층을 코팅하는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하드코팅 층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하드코팅 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유리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표면 경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하드코팅 층의 두께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하드코팅 층의 두께를 증가시킬수록 표면 경도는 높아질 수 있지만 하드코팅 층의 경화 수축에 의해 주름이나 컬(curl)이 커지는 동시에 하드코팅 층의 균열이나 박리가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실용적으로 적용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근래 하드코팅 필름의 고경도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하드코팅 층의 균열이나 경화 수축에 의한 컬의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몇 가지 제안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5839호는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 지지 기재; 상기 지지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2000 내지 3500MPa의 제 1 탄성계수(elastic modulus)를 갖는 제 1 하드코팅 층; 및 상기 지지 기재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고 2000 내지 3500MPa의 제 2 탄성계수를 갖는 제 2 하드코팅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탄성계수의 차이가 500MPa 미만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하드코팅 층의 두께는 각각 50 내지 300㎛이며, 1kg의 하중에서 7H 이상의 연필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은 하나의 하드코팅층에 적용되는 점만 인식하고 있으며, 생성되는 하드코팅층의 굴곡성 및 내충격성이 디스플레이의 유리 패널을 대체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표면의 내찰상성도 좋지 못하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470465호는 하드 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 지지 기재; 상기 지지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ASTM D638에 의해 측정한 신율(elongation)이 15 내지 200%인 광경화성 탄성 중합체와 1 내지 6 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의 가교 공중합체인 제 1 광경화성 가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 1 하드코팅 층; 및 상기 지지 기재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며, 3 내지 6 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가교 공중합체인 제 2 광경화성 가교 공중합체, 및 상기 제 2 광경화성 가교 공중합체 내에 분산되어 있는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제 2 하드코팅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하드코팅 층의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50 내지 300㎛이고, 1kg의 하중에서 7H 이상의 연필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에 개시된 하드코팅 조성물 역시 하나의 하드코팅층에 적용되는 점만 인식하고 있으며, 생성되는 하드코팅층의 굴곡성 및 내충격성이 디스플레이의 유리 패널을 대체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표면의 내찰상성도 좋지 못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839호(2014.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0465호(2014.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굴곡성 및 내찰상성을 보이며, 찍힘 흔적 및 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드코팅필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은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탄성률이 10 내지 3000MPa이며, 파단신도가 30 내지 150%인 고연신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되는 제1 하드코팅층; 및 상기 투명 기재층의 타면에 형성되고, 마텐스 경도가 350 내지 1000N/mm2이며, 압축 탄성율이 4000 내지 10000MPa인 제2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은 특정 범위의 탄성률 및 파단신도를 갖는 고연신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제1 하드코팅층과 특정 범위의 마텐스 경도 및 압축 탄성율을 포함하는 제2 하드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내충격성, 내굴곡성 및 내찰상성이 우수하고, 하드코팅필름의 경화 수축에 의한 컬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하드코팅필름 >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기재층(110)의 일면에 제1 하드코팅층(120)이 형성되고, 투명 기재층(110)의 타면에 제2 하드코팅층(130)이 형성되며,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110)은 적어도 일면에 후술할 하드코팅 조성물을 도포시킨 다음 경화시켜 하드코팅필름(100)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이란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70% 이상 또는 8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 기재층(110)은 투명성이 있는 고분자 필름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투명 기재층(110)은 구체적으로, 노르보르넨 또는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유도체,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으며,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고분자는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필름,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필름,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필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및 투명성과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하드코팅층
제1 하드코팅층(120)은 상기 투명 기재층(110)의 일면에 고연신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드코팅층(120)의 두께는 5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드코팅층(120)의 두께가 50㎛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1 하드코팅층(120)의 두께가 3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굴곡성이 저하되고 컬 발생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하드코팅층
제2 하드코팅층(130)은 상기 투명 기재층(110)의 타면에 하드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드코팅층(130)은 마텐스 경도가 350 내지 1000N/mm2이며, 압축 탄성율이 4000 내지 10000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드코팅층(130)의 마텐스 경도 및 압축 탄성율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내찰상성이 저하되고, 찍힘 흔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하드코팅층(130)의 두께는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하드코팅층(13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내찰상성 및 내찍힘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제2 하드코팅층(13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깨지거나 컬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은 고연신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광중합성 화합물, 용제, 광개시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하드코팅 조성물은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스핀코팅 등 공지된 방식을 적절히 사용하여, 투명기재에 도공(Coating Process)이 가능하다.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성 화합물은 제1 하드코팅층(120) 및 제2 하드코팅층(130)의 형성에 사용되며, 광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광중합성 모노머, 광중합성 올리고머 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일 수 있다.
광중합성 모노머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경화형 관능기로,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기를 분자 내에 갖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노머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단관능 및/또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메타크릴-", "아크릴-" 또는 이 둘 모두를 지칭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첨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분자 중에 1~3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올리고 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 에테르(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 우레탄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올리고 에폭시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에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첨가 생성물; 및 모노(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가령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이하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히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광중합성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와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2종의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화물의 스크래치 내성 및 경도를 향상시키고, 제1 하드코팅층(120)과 제2 하드코팅층(130)의 탄성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분자 내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치환기 및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각각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OC(=O)NH-*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1몰과 활성 수소-함유 중합성 불포화 화합물 2몰을 반응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R1-OC(=O)NH-R3-NHC(=O)O-R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활성 수소 함유 중합성 불포화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메타)아크릴로일기를 포함하는 치환기이고, R3은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2가 치환기이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디 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디 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의 생성물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아크릴산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헥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중합성 모노머, 광중합성 올리고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광중합성 모노머와 광중합성 올리고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작업성 및 상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모노머와 광중합성 올리고머의 함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 하드코팅층(120)과 제2 하드코팅층(130)의 저장 탄성률, 수축력 및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성 모노머에 대한 중합성 올리고머의 함량비가 1:10 내지 10:1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모노머에 대한 중합성 올리고머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1 하드코팅층(120)과 제2 하드코팅층(130)의 저장 탄성률이 감소하거나 수축력이 증가하여 경도 및 유연성이 저하됨에 따라 컬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부를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층의 탄성률이 감소하여 굽힘시 코팅층에 크랙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도포성이 저하되고, 표면 레벨링이 부족하여 외관 특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추가로 경도와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기 나노 필러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무기 나노 필러로 100㎛ 미만의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실리카는 표면에 광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광경화성 기를 가진 것일 수 있고, 가지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고연신 올리고머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조성물은 고연신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고연신 올리고머는 탄성률이 10 내지 3000MPa이고, 파단신도가 3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률 및 파단신도가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할 경우 우수한 내굴곡성 및 내충격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컬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연신 올리고머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한 분자 내에 폴리에스테르 및 우레탄 기를 동시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는 에폭시 화합물에 대하여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12의 직쇄 알코올의 양말단 글리시딜에테르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수소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내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자내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 (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 (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디아크릴레이트나,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티롤프로판테트라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한 분자 내에 폴리에스테르 및 우레탄기를 동시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리니어한 구조를 포함한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연신률이 30% 이상인 고연신 코팅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연신 올리고머는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0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80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연신 올리고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도막의 형성이 어렵거나 형성되더라도 충분한 수준의 내충격성을 갖는 하드코팅필름(100)을 제조할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드코팅필름(100) 제조 시 고점도로 인해 코팅 막의 균일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용제
상기 용제는 상기 언급한 바의 조성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기술분야의 하드코팅 조성물의 용제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아세테이트 계(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노말부틸아세테이트, 터셔리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등), 알칸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 또는 이들의 유도체(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에테르계(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5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기재층의 스웰링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으며, 9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광개시제
상기 광개시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이드록시케톤류, 아미노케톤류, 수소탈환형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하이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5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의 경화 속도가 늦어지고 미경화가 발생하여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경화로 인해 도막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또한, 상기 코팅조성물이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무기나노입자, 레벨링제 및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하드코팅층의 경도 향상을 위해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에 상기 무기나노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기계적 특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도막 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연필 경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100nm, 구체적으로 1 내지 80nm, 더욱 구체적으로 5 내지 50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조성물 내에서 응집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균일한 도막의 형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막의 광학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Al2O3, SiO2, ZnO, ZrO2, BaTiO3, TiO2, Ta2O5, Ti3O5, ITO, IZO, ATO, ZnO-Al, Nb2O3, SnO, Mg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Al2O3, SiO2, ZrO2일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제품의 경우 유기 용매에 10 내지 80 중량%의 농도로 분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실리콘계레벨링제, 불소계레벨링제 및 아크릴계레벨링제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에 상기 레벨링제가 포함되는 경우 도막 형성시평활성 및 코팅성의 부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벨링제는 비와이케이케미사의 BYK-323, BYK-331, BYK-333, BYK-337, BYK-373, BYK-375, BYK-377, BYK-378, 대구사의 TEGO Glide 410, TEGO Glide 411, TEGO Glide 415, TEGO Glide 420, TEGO Glide 432, TEGO Glide 435, TEGO Glide 440, TEGO Glide 450, TEGO Glide 455, TEGO Rad 2100, TEGO Rad 2200N, TEGO Rad 2250, TEGO Rad 2300, TEGO Rad 2500, 3M사의 FC-4430, FC-4432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레벨링제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안정제는 힌더드아민계; 페닐살리실레이트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니켈유도체; 라디칼스캐빈저; 폴리페놀계; 포스파이트계; 및 락톤계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 안정제란, 경화된 도막의 표면이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에 의해 분해을 일으켜 변색되고 잘 부스러지게 되므로, 이러한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흡수하여 접착제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첨가하는 첨가제를 일컬을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작용기구에 따라 흡수제, 소광제(Quenchers),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화학구조에 따라 페닐살리실레이트(Phenyl Salicylates, 흡수제), 벤조페논(Benzophenone, 흡수제),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흡수제), 니켈유도체(소광제), 라디칼스캐빈저(Radical Scavenger)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의 초기 색상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는 자외선 안정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열 안정제는 상업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1차 열 안정제인 폴리페놀계, 2차 열 안정제인 포스파이트계 및 락톤계를 각각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와 열안정제는 자외선 경화성에 영향이 없는 수준에서 적절히 함량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용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LCD, OLED, LED, FED 등의 디스플레이나 이를 이용한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터치패널, 전자페이퍼 등의 커버 글래스를 대체하는 용도 또는 기능성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드코팅필름(100)이 구비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윈도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1 내지 6: 하드코팅층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70중량부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사, UA-122P), 25중량부의 메틸에틸케톤, 4.5중량부의 광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0.5중량부의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탄성률은 2070MPa였으며, 파단신률은 58%였다.
제조예 2
70중량부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사, UA-232P), 25중량부의 메틸에틸케톤, 4.5중량부의 광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0.5중량부의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탄성률은 1320MPa였으며, 파단신률은 135%였다.
제조예 3
70중량부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사, UA-122P), 25중량부의 메틸에틸케톤, 4.5중량부의 광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0.5중량부의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탄성률은 2570MPa였으며, 파단신률은 67%였다.
제조예 4
20중량부의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50중량부의 무기나노실리카졸(20nm 실리카성분 40%, 메틸에틸케톤 60%), 25중량부의 메틸에틸케톤, 4.7중량부의 광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0.3중량부의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하드코팅 조성물을 글래스 상에 코팅 및 건조 경화시킨 후 나노인덴터를 통해 측정한 코팅막의 마텐스 경도는 835N/mm2 였으며, 압축탄성률은 9120MPa이였다.
제조예 5
30중량부의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40중량부의 무기나노실리카졸(실리카성분 40%, 메틸에틸케톤 60%), 25중량부의 메틸에틸케톤, 4.7중량부의 광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0.3중량부의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하드코팅 조성물을 글래스 상에 코팅 및 건조 경화시킨 후 나노인덴터를 통해 측정한 코팅막의 마텐스 경도는 785N/mm2였으며, 압축탄성률은 8830MPa이였다.
제조예 6
15중량부의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의 에틸렌옥사이드 함유 4관능 아크릴레이트(미원사, miramer M4004) 40 중량부의 무기나노실리카졸(실리카성분 40%, 메틸에틸케톤 60%), 25중량부의 메틸에틸케톤, 4.7중량부의 광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0.3중량부의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하드코팅 조성물을 글래스 상에 코팅 및 건조 경화시킨 후 나노인덴터를 통해 측정한 코팅막의 마텐스 경도는 399N/mm2였으며, 압축탄성률은 4970MPa이였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5: 하드코팅필름 제조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하드코팅 조성물을 두께 80㎛인 폴리 이미드 필름 일면에 경화 후 두께 200㎛가 되도록 코팅을 실시한 후, 용제를 건조하고, 조성물의 경화를 위해 UV 적산광량 500mJ/cm2을 조사하여 제1 하드코팅층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예 1이 하드코팅된 폴리이미드 필름의 타면에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하드코팅 조성물을 두께 5㎛가 되도록 코팅을 실시한 후, 용제를 건조하고, 조성물의 경화를 위해 UV 적산광량 500mJ/cm2를 조사하여 제2 하드코팅층을 제조하여,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예 5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예 6으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예 2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제1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예 2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에서 제1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예 2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예 3으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2에서 제1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예 3으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3에서 제1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예 3으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하드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지 않고, 제조예 4의 제2 하드코팅 조성물을 폴리이미드 필름의 일면에 경화 후 두께 5㎛가 되도록 코팅을 실시한 후, 용제를 건조하고, 조성물의 경화를 위해 UV 적산광량 500mJ/cm2를 조사하여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두께 80㎛인 폴리 이미드 필름의 양면에 상기 제조예 4의 제2 하드코팅 조성물을 경화 후 두께 5㎛가 되도록 코팅을 실시한 후, 용제를 건조하고, 조성물의 경화를 위해 UV 적산광량 500mJ/cm2를 조사하여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예 1의 제1 하드코팅 조성물로 경화 후 두께 200㎛가 되도록 코팅을 실시한 후, 용제를 건조하고, 조성물의 경화를 위해 UV 적산광량 500mJ/cm2를 조사하여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1 하드코팅층이 아래로 향하게 하여 투명 기재층 측에서 충격성 및 내찰상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비교예 4
두께 80㎛인 폴리 이미드 필름의 양면에 제조예 1의 제1 하드코팅층을 경화 후 두께 5㎛가 되도록 코팅을 실시한 후, 용제를 건조하고, 조성물의 경화를 위해 UV 적산광량 500mJ/cm2를 조사하여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하드코팅층을 제1 하드코팅층 측에 경화 후 두께 5㎛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9와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하드코팅필름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측정법 및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온 내굴곡성 평가
제2 하드코팅층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필름 면 사이의 간격이 6mm가 되도록 반으로 접은 후, 다시 펼쳤을 때 접힌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양호: 접힌 부분 크랙 미발생
불량: 접힌 부분 크랙 발생
2. 고온고습 내굴곡성
제2 하드코팅층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필름 면 사이의 간격이 6mm가 되도록 반으로 접은 상태로 85도 85%상대습도 하에 필름을 24시간 처리 후 필름의 이상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양호: 접힘부 이상 무
불량: 접힘부 크랙 발생 혹은 전면 크랙 발생
3. 내충격성
하드코팅필름의 코팅 반대면, 즉 기재면을 50㎛ OCA(탄성률 0.08Mpa)로 글래스에 접합한 후, 높이 50cm에서 쇠볼을 하드코팅 표면으로 떨어뜨려 필름 하부의 글래스가 파괴되지 않는 최대 쇠볼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4. 찍힘 흔적
하드코팅 필름의 코팅 반대측, 즉 투명 기재층면을 50㎛ OCA(탄성률 0.08Mpa)로 글래스에 접합한 후, 높이 5cm에서 9H 연필을 하드코팅 표면으로 5회 떨어뜨려 연필로 인한 찍힘 흔적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 5회 모두 찍힘 시인 안됨
○: 1회 시인됨
△: 3회 시인됨
X: 5회 모두 시인됨
5. 내찰상성
하드코팅필름의 코팅 반대면, 즉 투명 기재층을 25㎛ 아크릴 점착제로 글래스에 접합한 후, 하드코팅층의 표면에 대해 1kg/cm2 하중으로 스틸울 #0000번을 사용하여 10회 왕복 스크래치 테스트를 실시한 후 스크래치 수를 목시로 판단하였다.
◎: 스크래치 10개 이하
○: 스크래치 20개 이하
△: 스크래치 30개 이하
X: 스크래치 30개 초과
6. 컬
하드코팅필름을 10cm*10cm 크기로 자른 후 25, 48RH%하에서 24시간 방치 후 바닥으로부터 각 모서리의 들린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 네 모서리의 높이 평균이 20mm 이하
○: 네 모서리의 높이 평균이 50mm 이하
△: 네 모서리의 높이 평균이 50mm 초과
X: 네 모서리가 완전히 들려서 필름이 원통형으로 말림
상온 내굴곡성 고온고습 내굴곡성 내충격성 찍힘 흔적 내찰상성
실시예 1 양호 양호 40g
실시예 2 양호 양호 40g
실시예 3 양호 양호 45g
실시예 4 양호 양호 55g
실시예 5 양호 양호 55g
실시예 6 양호 양호 55g
실시예 7 양호 양호 45g
실시예 8 양호 양호 45g
실시예 9 양호 양호 45g
비교예 1 양호 양호 5g
비교예 2 양호 양호 5g X
비교예 3 양호 양호 40g X X
비교예 4 양호 불량 60g
비교예 5 양호 불량 40g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는 상온 내굴곡성, 고온고습 내굴곡성, 내충격성, 찍힘 흔적 및 내찰상성이 우수하며, 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 및 2의 경우 내충격성이 5g으로 우수하지 못하며, 비교예 3 및 4의 경우에는 찍힘 흔적 및 내찰상성이 우수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5의 경우, 제1 하드코팅층 상에 제2 하드코팅을 형성함으로써, 컬이 미미하게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100: 하드코팅필름
110: 투명 기재층
120: 제1 하드코팅층
130: 제2 하드코팅층

Claims (9)

  1.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고, 탄성률이 10 내지 3000MPa이며, 파단신도가 30 내지 150%인 고연신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되는 제1 하드코팅층; 및
    상기 투명 기재층의 타면에 형성되고, 마텐스 경도가 350 내지 1000N/mm2이며, 압축 탄성율이 4000 내지 10000MPa인 제2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은 광중합성 화합물, 용제, 광개시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연신 올리고머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기와 폴리에스테르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5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연신 올리고머는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9. 제8항에 따른 윈도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70023025A 2016-03-04 2017-02-21 하드코팅필름 KR20170103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48,484 US20170253707A1 (en) 2016-03-04 2017-03-02 Hard Coating Film
JP2017040489A JP2017156751A (ja) 2016-03-04 2017-03-03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106106961A TW201800507A (zh) 2016-03-04 2017-03-03 硬質塗膜
CN201710128560.9A CN107153226A (zh) 2016-03-04 2017-03-06 硬质涂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72 2016-03-04
KR20160026372 2016-03-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946A Division KR20200008007A (ko) 2016-03-04 2020-01-16 하드코팅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644A true KR20170103644A (ko) 2017-09-13

Family

ID=599679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025A KR20170103644A (ko) 2016-03-04 2017-02-21 하드코팅필름
KR1020200005946A KR20200008007A (ko) 2016-03-04 2020-01-16 하드코팅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946A KR20200008007A (ko) 2016-03-04 2020-01-16 하드코팅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70103644A (ko)
TW (1) TW20180050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44A1 (ko) * 2017-05-19 2018-11-22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N111278643A (zh) * 2017-10-27 2020-06-12 应用材料公司 柔性盖板透镜膜
CN111748274A (zh) * 2019-03-27 2020-10-09 郡是株式会社 覆膜
CN113167929A (zh) * 2018-11-27 2021-07-23 富士胶片株式会社 硬涂膜、具备硬涂膜的物品及图像显示装置
CN113930179A (zh) * 2020-06-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柔性屏的保护膜、柔性屏模组和电子设备
US11661536B2 (en) 2018-02-28 2023-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s comprising polymerized units of secondary hexyl (meth)acrylates
US11787970B2 (en) 2017-12-08 2023-10-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hardcoat
US11789300B2 (en) 2019-06-26 2023-10-17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827811B2 (en) 2019-05-09 2023-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hardcoat
US11827810B2 (en) 2019-05-09 2023-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hardcoat
US11827802B2 (en) 2019-05-09 2023-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hardcoat
US11988810B2 (en) 2018-08-14 2024-05-21 Applied Materials, Inc.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196A1 (ja) * 2019-02-28 2020-09-03 積水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電子基板及び光硬化性組成物
KR102440212B1 (ko) * 2019-07-30 2022-09-02 세키수이 폴리머텍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기판 및 광경화성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39B1 (ko) 2012-08-23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KR101415838B1 (ko) 2012-08-23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조성물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44A1 (ko) * 2017-05-19 2018-11-22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N111278643A (zh) * 2017-10-27 2020-06-12 应用材料公司 柔性盖板透镜膜
US11758757B2 (en) 2017-10-27 2023-09-12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cover lens films
US11787970B2 (en) 2017-12-08 2023-10-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hardcoat
US11661536B2 (en) 2018-02-28 2023-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s comprising polymerized units of secondary hexyl (meth)acrylates
US11988810B2 (en) 2018-08-14 2024-05-21 Applied Materials, Inc.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CN113167929A (zh) * 2018-11-27 2021-07-23 富士胶片株式会社 硬涂膜、具备硬涂膜的物品及图像显示装置
CN111748274A (zh) * 2019-03-27 2020-10-09 郡是株式会社 覆膜
US11827802B2 (en) 2019-05-09 2023-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hardcoat
US11827811B2 (en) 2019-05-09 2023-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hardcoat
US11827810B2 (en) 2019-05-09 2023-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hardcoat
US11934056B2 (en) 2019-06-26 2024-03-19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789300B2 (en) 2019-06-26 2023-10-17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940682B2 (en) 2019-06-26 2024-03-26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940683B2 (en) 2019-06-26 2024-03-26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CN113930179A (zh) * 2020-06-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柔性屏的保护膜、柔性屏模组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00507A (zh) 2018-01-01
KR20200008007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3644A (ko) 하드코팅필름
KR102556906B1 (ko)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US20170253707A1 (en) Hard Coating Film
KR101415838B1 (ko) 하드코팅 조성물
KR101415841B1 (ko) 하드코팅 필름
JP6987574B2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1686644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KR20170130866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US20170253706A1 (en) Hard Coating Film
KR20190094841A (ko) 하드코팅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54157B1 (ko) 하드코팅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854156B1 (ko) 하드코팅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7165953A (ja) ハードコート組成物
KR20170075663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20140076779A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200008648A (ko) 하드코팅필름
JP2018022062A (ja) フォルダブル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05075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경화물, 및, 필름
KR20170100808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20170040598A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하드코팅 필름
KR20170103647A (ko) 하드코팅 조성물
KR20170103645A (ko)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KR20170111922A (ko)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도전성 필름
KR20170070558A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CN112292405A (zh) 活性能量射线固化性组合物及使用其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