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558A -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558A
KR20170070558A KR1020150178225A KR20150178225A KR20170070558A KR 20170070558 A KR20170070558 A KR 20170070558A KR 1020150178225 A KR1020150178225 A KR 1020150178225A KR 20150178225 A KR20150178225 A KR 20150178225A KR 20170070558 A KR20170070558 A KR 20170070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ing
composition
forming
meth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398B1 (ko
Inventor
김동휘
김승희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3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7/121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이상인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투습을 억제하고, 편광판 제작 시 시간이 지남에 따른 수분에 의한 컬 변화 및 이후 패널접합 시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COMPOSITION FOR FORMING HARD COATING AND HARD COATING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CD), 전계발광(EL)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전계방출 표시 장치(FED), OLED 등과 같은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콜계(polyvinyl alcohol, PVA) 필름에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이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포함하며, 편광자의 한 면에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편광자의 다른 한 면에는 편광자 보호필름, 액정셀과 접합되는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편광판에서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하드코팅을 사용할 수 있는데, 편광판의 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편광자를 중심으로 상하 보호필름의 수축율 밸런스가 요구된다.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036735호는 편광자 보호필름의 일면에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시킨 후, 도포층을 광경화하는 방법이 개시하고 있다. 이는 하드코팅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방법으로서 이렇게 제조된 편광자 보호필름은 검화처리 후 편광자에 접합하여 사용된다.
한편, 편광자로부터의 기재층을 통한 수분이탈은 편광판의 수축팽창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른 컬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중소형 화상 표시 장치 시장에서는 더욱 얇은 편광판이 요구됨에 따라 편광자뿐만 아니라 이를 보호하는 편광자용 보호필름 역시 박막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재의 박막화는 투습도를 증가시키고, 이를 매개로 한 편광판 내외의 수분이동이 활발하게 되어 컬 변화량이 더 커진다.
편광판은 컬을 없애는 최적화된 공정조건으로 제작되지만, 패널제조사로의 이송과정 및 보관환경, 나아가 패널접합 이후에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편광판이 요구된다. 따라서, 편광자의 초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조건변화, 특히 수분변화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는 보호필름이 필수적이며, 상기 보호필름의 박막화가 가속될수록 저투습에 대한 연구가 절실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6735호
본 발명은 투습을 억제하고, 편광판 제작 시 시간이 지남에 따른 수분에 의한 컬 변화 및 이후 패널접합 시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물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이상인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200000인,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나 지환식 구조함유의 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및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5. 위 1에 있어서,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더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및 알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7. 위 1에 있어서, 무기 나노 입자를 더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8.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9. 위 8에 있어서, 투습도가 10 내지 300 g/m2/day인, 하드코팅 필름.
10. 위 8에 있어서, 두께가 5 내지 35 마이크로미터(㎛)인, 하드코팅 필름.
1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청구항 8의 하드코팅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12. 위 11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은, 투습을 억제하고, 편광판 제작 시 시간이 지남에 따른 수분에 의한 컬 변화 및 이후 패널접합 시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은, 박막 하드코팅층 형성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물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이상인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투습을 억제하고, 편광판 제작 시 시간이 지남에 따른 수분에 의한 컬 변화 및 이후 패널접합 시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수지의 이성질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수지는 그 이성질체까지 포함하는 대표 화학식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메타아크릴-', 또는 이 둘 모두를 지칭한다.
<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본 발명의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은 물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이상인 고분자를 포함한다.
물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이상인 고분자(A)
본 발명에 따른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이상인 고분자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투습을 억제하는 성능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른 수분에 의한 컬 변화 및 이후 패널접합 시의 휨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예를 들면,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 종래 사용되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경우 투습도가 매우 높아 컬 발생 문제가 심각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층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 같은 기재 필름의 일면에 형성하여 얻어지는 하드코팅 필름은 10 내지 300 g/m2/day 정도의 낮은 투습도를 나타낼 수 있다.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고분자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미만이면, 그 고분자는 투습을 억제하는 성능이 저하되고,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른 수분에 의한 컬 변화 및 이후 패널접합 시의 휨이 현저히 증가한다.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라 함은 하나의 물질이 다른 물질에 용해되어 용액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찰스 한센 박사에 의해 발견된 파라미터이다.
통상 용해도 파라미터(Solubility Parameter)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응집 에너지(cohesive energy)를 구해야 한다.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Hansen Solubility Parameter)에서는 용해도 파라미터에 영향을 주는 응집 에너지를 하기의 3개의 에너지로 세분화된 파라미터로 나타낸다:
δD: 비극성의 분산 에너지로 인해 발생하는 용해도 파라미터 (J/cm3)1/2
δP: 영구 쌍극자로 인한 극성 에너지로 인해 발생하는 용해도 파라미터 (J/cm3)1/2
δH: 수소 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에너지로 인해 발생하는 용해도 파라미터 (J/cm3)1/2.
상기 3개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들은 한센 스페이스로 알려진 3차원 공간에 있는 한 점에 대한 좌표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들 3개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총합인 총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Total Hansen solubility parameter) (δTot)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δTot = (δD2 + δP2+ δH2)1/2.
즉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HSP)는 위의 3개 요소를 가지는 벡터 물성을 나타내고 총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δTot)는 그 벡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희석제의 각각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HSP) 값인 δD, δP, 및 δH은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를 제안한 창시자인 찰스 한센 박사 그룹에서 개발한 HSPiP (Hansen Solubility Parameters in Practice)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Ra는 두 물질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HSP)의 거리를 나타내어 두 물질의 유사성의 차이를 의미하는 값으로서, 그 값이 클수록 두 물질은 유사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두 물질 A와 B에 대해 각각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HSP)가 아래와 같다고 가정하면:
HSPA = (δDA, δPA, δHA)
HSPB = (δDB, δPB, δHB)
Ra는 하기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Ra = [4*(δDA - δDB)2 + (δPA - δPB)2 + (δHA - δHB)2]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이상인 고분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나 지환식 구조함유의 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및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바람직하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이상인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바람직하게 10000 내지 2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150000일 수 있다.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미만인 경우에는 투습도가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고, 200000 초과인 경우에는 경도가 과도하게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이상인 고분자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투습도 증가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중량% 초과이면 필름의 혼탁도 증가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광중합성 화합물(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중합성 화합물(B)은 하드코팅층의 기계적 물성(특히, 경도)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광중합성 화합물(B)은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광경화형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중합성 화합물(B)의 평균 관능기수는 3.5 내지 7인 것이 높은 경도를 달성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와 (메타)아크릴산 또는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얻게 되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으며,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컨대 Epikote 828, Epikote 1001, Epikote 1004(이들은 모두가 일본국의 油化-Shell Epoxy사의 상품명임) 등의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나, Epikote 4001P,Epikote 4002P, Epikote 4003P(이들은 모두가 일본국의 油化-Shell Epoxy사의 상품명임) 등의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등이 있다. 바람직한 비스페놀형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아크릴산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헥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경화형 모노머는 당 분야에 공지된 광경화형 모노머가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및 알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모노머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일 수 있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는 예를 들어,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올리고머 및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성 화합물(B)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형성이 어렵거나 형성되더라도 충분한 수준의 경도를 갖는 하드코팅층을 제조할 수 없으며, 80중량% 초과이면, 하드코팅층 제조 후 도막의 경화 후 수축에 의해 컬링이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 (C)
본 발명에 따른 광중합 개시제(C)는,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광중합 개시제(C)는 화학 구조 또는 분자 결합 에너지의 차에 의해 분자의 분해로 라디칼이 생성되는 Type 1형 개시제와 3차 아민과 공존하여 수소 탈환형의 Type 2형 개시제가 있다.
Type 1형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트리클로로아세트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2-히드록시-2-메틸-l-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l-온, 1-(4-도데실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등의 아세트페논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질 디메틸케탈등의 벤조인류, 아실포시핀옥사이드류, 티타노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Type 2형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익에시드, 벤조일벤조익에시드메틸에테르, 4-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졸-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메틸-4-메톡시벤조페논등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 2-크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 4-디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등의 티옥산톤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1종을 이용하여도 가능하고 2종 이상을 병행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Type 1형과 Type 2형를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여도 무방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시판품으로는 이가큐어 184(바스프社 제조)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따른 광중합 개시제(C)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밀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0.1중량% 미만인 경우,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최종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나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 수축으로 인한 크랙, 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용매(D)
본 발명에 따른 용매(D)는 전술한 성분들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메톡시 알코올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등), 아세테이트계(메틸 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톡시 아세테이트 등), 셀로솔브계(메틸 셀로솔브, 에틸 셀로솔브, 프로필 셀로솔브등), 에테르계(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 탄화수소계(노말 헥산, 노말 헵탄, 벤젠, 톨루엔, 자일렌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매(D)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88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적정 도포성을 구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5중량% 미만인 경우, 점도가 높아 도포성이 저하되며,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막의 두께 조정이 어렵고 건조 얼룩이 발생하여 외관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무기 나노 입자(E)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은 하드코팅층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기 나노 입자(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E)는 도막 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연필 경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 나노 입자(D)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 내지 100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평균 입경이 1nm미만인 경우, 입자의 응집이 발생하여 균일한 도막을 형성할 수 없으며, 100nm를 초과하는 경우, 광학 특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기계적 특성도 저하되게 된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D)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일 수 있으며, Al2O3, SiO2, ZnO, ZrO2, BaTiO3, TiO2, Ta2O5, Ti3O5, ITO, IZO, ATO, ZnO-Al, Nb2O3, SnO, Mg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l2O3, SiO2, Zr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기 나노 입자(D)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연필 경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다. 한편,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성을 방해하여 오히려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유기 용매에 10 내지 80중량% 농도로 희석해서 사용될 수 있다.
첨가제(F)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F)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레벨링제,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조성물을 도포시, 도막의 평활성 및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실리콘 레벨링제, 불소계 레벨링제, 아크릴계 레벨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의 시판품으로는, 케미사의 BYK-323, BYK-331, BYK-333, BYK-337, BYK-373, BYK-375, BYK-377, BYK-378, 대구사의 TEGO Glide 410, TEGO Glide 411, TEGO Glide 415, TEGO Glide 420, TEGO Glide 432, TEGO Glide 435, TEGO Glide 440, TEGO Glide 450, TEGO Glide 455, TEGO Rad 2100, TEGO Rad 2200N, TEGO Rad 2250, TEGO Rad 2300, TEGO Rad 2500, 3M사의 FC-4430, FC-443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도막의 표면이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에 의해 변색되거나 잘 부스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작용기구에 따라 흡수제, 소광제(Quenchers),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페닐 살리실레이트(Phenyl Salicylates, 흡수제), 벤조페논(Benzophenone, 흡수제),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흡수제), 니켈유도체(소광제), 라디칼 스캐빈저(Radical Scavenger)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 안정제로는 폴리페놀계, 포스파이트계 및 락톤계 열안정제는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안정제와 열안정제는 자외선 경화성에 영향이 없는 수준에서 적절히 함량으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F)들은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 하드코팅 필름>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은 편광판에서 편광자 보호필름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기재 필름 및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전술한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 필름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르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 올레핀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드코팅층은 기재 필름 상에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포는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코팅법, 디스펜서 인쇄법, 노즐 코팅법, 모세관 코팅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의 투습도는 10 내지 300 g/m2/day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의 두께는 5 내지 3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두께가 35㎛ 초과인 경우에는 코팅막의 투명성 확보가 어렵고, 균일한 막 확보가 불가능하여 외관이 불량할 수 있으며, 5㎛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가 불량하여 바람직한 기계적 특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투습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코팅액의 점도 및 코팅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예를 들면, 코터)에 따라 적합하도록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을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 또는 부착하여 형성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의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 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필름 폴리비닐 알코올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중에서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형성된 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내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구성 외에 당 분야에 공지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플라스마 표시 장치, 전계 방출 표시 장치 등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은 권취시 돌출 및 블로킹 발생이 억제되어 대면적의 디스플레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10관능, 미원상사, SC2153) 8중량%,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7중량%, 나노 실리카 졸(12nm, 고형분 40%, 촉매화성사, V8802) 55중량%,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19.5중량%,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대정화금) 6.5중량%, 광개시제(시바사, I-184) 2.7중량%,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33) 0.3 중량%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중량평균분자량 10만, 물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35.7)의 MEK용액(고형분 10%) 1중량% 넣어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10관능, 미원상사, SC2153) 1중량%,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29중량%, 나노 실리카 졸(12nm, 고형분 40%, 촉매화성사, V8802) 40중량%,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19.5중량%,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대정화금) 6.5중량%, 광개시제(시바사, I-184) 2.7중량%,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UV3570) 0.3 중량%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폴리비닐아세테이트(중량평균분자량 10만, 물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35.0)의 MEK용액(고형분 10%) 1중량% 넣어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10관능, 미원상사, SC2153) 5.71중량%,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중량%, 나노 실리카 졸(12nm, 고형분 40%, 촉매화성사, V8802) 39.29중량%,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14.29중량%,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대정화금) 5중량%, 광개시제(시바사, I-184) 1.93중량%,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33) 0.20중량%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중량평균분자량 10만, 물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 35.7 )의 MIBK용액(고형분 40%) 28.57중량%를 혼합하여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두께가 25㎛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일면에,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두께(건조 후)로 스핀 코팅하여 80℃에서, 1분간 용매를 건조하고 고압 수은 램프에서 300mJ 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의 조성물을 25㎛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위에 경화 후 두께 8㎛이 되도록 코팅 후 용제를 건조 및 UV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2의 조성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3의 조성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의 조성물중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1의 조성물중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용액 대신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 = 3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Tt(전광선투과율)/Haze
전광선투과율(%) 및 헤이즈(%)는 HM-150 측정기(무라카미사)로 측정하였으며, 헤이즈는 필름의 혼탁도를 나타낼 수 있는 인자로, 산란 투과율(Td)/전광선 투과율(Tt)로 정의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하드코트 필름에 대한 각각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 투습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름을 KS K0594:2008 (염화칼슘법)의 측정방법에 의해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파라핀을 이용하여 필름과 투습컵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였고, 흡습제는 CaCl2, 온도 40±2℃, 상대습도 90±5%조건에서 실시되었으며, 24hr 경과 전과 후의 무게 차이를 초기 무게로 나눈 값을 투습도로 정의하였다.
(3) 연필경도
하중 1kg하, 45도 방향으로 연필을 세팅 후, 코팅면이 연필측으로 향하도록 코팅 필름을 글래스 상에 고정시킨 후 각 연필 경도를 가지는 연필로 5회 평가 후, 4회 이상 긁히지 않는 경도로 연필 경도를 표기하였다.
(4) 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름을 코팅 주방향(MD)으로부터 45도의 방향으로 100mmx100mm의 크기로 재단하여, 평탄면 위에 놓았을 때 각 꼭지점의, 평탄면으로부터의 들려 올려진 공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를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컬량이 30㎜ 이하로 말리지 않음.
×: 컬량이 30mm 초과 내지 원형으로 말림.
Tt(%) 헤이즈(%) 투습도(g/m2/day)
연필경도
기재 필름 하드코팅 필름
실시예1 91.6 0.5 1200 256 3H
실시예2 92.1 0.3 1200 133 3H
실시예3 92.1 0.3 1200 151 3H
비교예1 91.9 0.8 1200 439 4H X
비교예2 81.2 4.2 1200 351 H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코팅 필름들은 헤이즈, 투습도, 연필경도 및 컬 특성을 우수한 범위 내로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들은 헤이즈, 투습도, 연필경도 및 컬 특성이 동시에 우수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물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거리가 35이상인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200000인,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나 지환식 구조함유의 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및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더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및 알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무기 나노 입자를 더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8.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필름.
  9. 청구항 8에 있어서, 투습도가 10 내지 300 g/m2/day인, 하드코팅 필름.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두께가 5 내지 35 마이크로미터(㎛)인, 하드코팅 필름.
  1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청구항 8의 하드코팅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12. 청구항 11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50178225A 2015-12-14 2015-12-14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102502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25A KR102502398B1 (ko) 2015-12-14 2015-12-14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25A KR102502398B1 (ko) 2015-12-14 2015-12-14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558A true KR20170070558A (ko) 2017-06-22
KR102502398B1 KR102502398B1 (ko) 2023-02-21

Family

ID=5928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225A KR102502398B1 (ko) 2015-12-14 2015-12-14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8856A (ja) * 2017-06-29 2020-06-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68414A (ko) *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케이씨텍 웨이퍼 가공용 코팅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542A (ja) * 2002-04-23 2003-11-06 Sekisui Chem Co Ltd 偏光板
KR20080106109A (ko) * 2007-05-31 2008-12-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그를 이용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036735B1 (ko) 2005-03-31 2011-05-24 신닛테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필름의 제조방법
KR20140076779A (ko) * 2012-12-13 2014-06-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15217654A (ja) * 2014-05-21 2015-1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素子の前面板及び表示装置、並びに薄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塗膜の耐剥離性の改良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542A (ja) * 2002-04-23 2003-11-06 Sekisui Chem Co Ltd 偏光板
KR101036735B1 (ko) 2005-03-31 2011-05-24 신닛테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필름의 제조방법
KR20080106109A (ko) * 2007-05-31 2008-12-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그를 이용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76779A (ko) * 2012-12-13 2014-06-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15217654A (ja) * 2014-05-21 2015-1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素子の前面板及び表示装置、並びに薄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塗膜の耐剥離性の改良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8856A (ja) * 2017-06-29 2020-06-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68414A (ko) *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케이씨텍 웨이퍼 가공용 코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398B1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2414B (zh) 硬涂膜及具有硬涂膜的柔性显示器
KR101854524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102039737B1 (ko) 하드코팅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08007A (ko) 하드코팅필름
JP6987574B2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1801471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CN107151471B (zh) 硬质涂膜及使用该硬质涂膜的图像显示装置
KR102609848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102082410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1854157B1 (ko) 하드코팅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854156B1 (ko) 하드코팅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959474B1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91528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502398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200008648A (ko) 하드코팅필름
KR20190035642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180087956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JP7140187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KR20170039912A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CN108351436B (zh) 光学薄膜、图像显示装置以及光学薄膜的制造方法
JP2013025310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これを備えた偏光板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70103647A (ko) 하드코팅 조성물
KR102315005B1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101576295B1 (ko)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70056128A (ko)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