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410B1 -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 Google Patents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410B1
KR102082410B1 KR1020160093232A KR20160093232A KR102082410B1 KR 102082410 B1 KR102082410 B1 KR 102082410B1 KR 1020160093232 A KR1020160093232 A KR 1020160093232A KR 20160093232 A KR20160093232 A KR 20160093232A KR 102082410 B1 KR102082410 B1 KR 102082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ing
weight
coating film
film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694A (ko
Inventor
임거산
김성민
최한영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410B1/ko
Priority to TW106124265A priority patent/TWI777965B/zh
Priority to US15/654,794 priority patent/US20180024592A1/en
Priority to JP2017141077A priority patent/JP2018013785A/ja
Priority to CN201710604185.0A priority patent/CN107641348A/zh
Publication of KR20180010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410B1/ko
Priority to JP2021003494A priority patent/JP2021073506A/ja
Priority to JP2022137610A priority patent/JP2022177044A/ja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1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필름으로 사용되는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표면저항이 5E+11Ω/sq 내지 5E+13Ω/sq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HARD COATING FILM AND FLEXIBLE DISPLAY WINDOW INCLUDING A TOUCH SENS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필름으로 사용되는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센서 구동이 가능하고, 먼지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윈도우 필름 표면의 경도와 윈도우 필름의 내굴곡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함께 디스플레이용 기재의 박막화 및 슬림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또는 전면판에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소재로 유리 또는 강화 유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는 자체의 무게로 인한 모바일 장치가 고중량화되는 원인이 되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의 문제가 있다.
이에 유리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플라스틱 수지가 연구되고 있다.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은 경량이면서도 깨질 우려가 적어 보다 가벼운 모바일 기기를 추구하는 추세에 적합하다. 특히, 터치구동이 가능하며 먼지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표면저항, 연필경도 및 내굴곡성의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달성하기 위해 지지 기재에 하드코팅 층을 코팅하는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280호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 3~30중량부, 불소 변성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0.01~3중량부, 전도성 고분자 수용액 5~30중량부, 광중합 개시제 0.1~5중량부 및 전도성 고분자 친화성 극성 유기용매 30~9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경화형 방오성 대전방지 하드코팅용 조성물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된 하드코팅층은 3H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도, 106~108Ω/sq의 표면저항, 95°보다 크거나 동일한 물접촉각, 92%보다 크거나 동일한 가시광투과율 및 0.5%보다 크거나 동일한 헤이즈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방오성 대전방지 하드코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한 번의 코팅으로 플라스틱 패널 상에 방오 및 대전방지를 위한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어서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패널과의 부착성, 투명성, 내찰상성, 대전방지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9406호는 6관능 아크릴모노머 10~60중량%, 3관능 아크릴모노머 4~20중량%, 아크릴모노머 20~60중량%, 광개시제 3~7중량%, 자외선 경화용 영구 대전방지제 3~40중량%, 도전성 티타니아 0~10중량% 및 소량의 자외선 안정제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성 광경화용 하드코팅제조성물 및 이의 코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코팅도막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내후성, 내오염성, 슬립성등의 물성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표면저항이 낮아 터치 구동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 시 표면의 경도를 강하게 해주는 반대 급부로서 내굴곡성이 떨어져,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280호(2013.03.04. 주식회사 앰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9406호(1999.03.04.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필름으로 사용되는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센서 구동이 가능하고, 먼지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윈도우 필름 표면의 경도와 윈도우 필름의 내굴곡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윈도우 필름 상에 부여되는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표면저항이 5E+11Ω/sq내지 5E+13Ω/sq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코팅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특정 값의 표면저항을 유지함으로써 터치센서 구동이 가능하며, 먼지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면저항, 연필경도 및 내굴곡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하드코팅 필름>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투명기재층 및 하드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표면저항이 5E+11Ω/sq 내지 5E+13Ω/sq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은 표면저항이 5E+11Ω/sq 내지 5E+13Ω/sq인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저항이 상기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터치센서 구동에 영향 없이 먼지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표면저항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터치 구동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표면저항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먼지 부착은 방지할 수 있으나 대전방지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은 투명한 고분자 필름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이란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70% 이상 또는 8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 기재층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프로피오닐 셀룰오로스, 부티릴 셀룰로오스, 아세틸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이들 고분자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
상기 하드 코팅층은 상기 투명 기재층의 일면에 리튬 이온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은 리튬 이온을 포함하며,광중합성 화합물, 용제, 광개시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하드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코팅 방식, 나이프 코팅 방식, 롤 코팅 방식, 블레이드 코팅 방식, 다이 코팅 방식,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방식, 콤마 코팅 방식, 슬롯 다이 코팅 방식, 립 코팅 방식, 솔루션 캐스팅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리튬 이온
리튬 이온은 리튬염인 리튬퍼클로레이트(LiClO4),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 리튬헥사플루오로알세네이트(LiAsF6), 리튬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LiBF4) 및 퍼플루오로알킬설포닉계 리튬염인 리튬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LiTf), 리튬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이미데이트(LiTFSI), 리튬비스펜타플루오로메탄설폰이미드(LiBETI), 리튬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LiFSI), 슈퍼에시드 리튬염계(LiSA: CnF2n+1SO3Li, n=4,8,10), 리튬폴리음이온염계, 1,2,3-디티아졸리딘-4,4,5,5-테트라플루오로-1,1,3,3-테트라옥사이드(LiCTFSI), 리튬비스옥살레이트보레이트(LiBOB), 이미다졸계 리튬염으로 리튬-4,5-디시아노-2-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LiTDI), 리튬-4,5-디시아노-2-펜타플루오로에틸이미다졸(LiPDI), 플루오린미함유계 리튬염인 리튬-4,5-디시아노-1,2,3-트리아졸레이트(LiDCTA), 리튬테트라시아노보레이트(LiB(CN)4) 등 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리튬 이온은 투광성 수지 내 산소와 결합하여 하드코팅층의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와 동시에 하드코팅층 내에 공유 결합이 아닌 유동적인 이온 결합 싸이트를 형성하여 경도 측정 시 반가교 결합처럼 작용하여 경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굴곡성 테스트 시에는 공유 결합과 달리 자유롭게 결합이 분리되었다가 다른 싸이트에서 재결합하는 효과로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여 경도와 유연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하드코팅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리튬 이온 화합물은 0.1중량%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표면저항이 높아 먼지부착방지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표면저항이 낮아 터치 구동이 지연되어 정상적인 터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광경화성 수지
상기 광경화형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모노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광경화형 관능기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 기를 분자내 갖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는 구체적인 예로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하드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경화성 수지가 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경도 향상을 도모하기 어렵고 80중량부를 초과일 경우에는 컬링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하드 코팅층의 경도를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기나노입자를 더 첨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에 상기 무기나노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기계적 특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도막 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연필 경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100nm, 구체적으로 1 내지 80nm, 더욱 구체적으로 5 내지 50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조성물 내에서 응집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균일한 도막의 형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막의 광학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Al2O3, SiO2, ZnO, ZrO2, BaTiO3, TiO2, Ta2O5, Ti3O5, ITO, IZO, ATO, ZnO-Al, Nb2O3, SnO, Mg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Al2O3, SiO2, ZrO2일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제품의 경우 유기 용매에 10 내지 80 중량%의 농도로 분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제
상기 용제는 상기 언급한 바의 조성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기술분야의 하드코팅 조성물의 용제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용제는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아세테이트 계(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노말부틸아세테이트, 터셔리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등), 알칸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 또는 그의 유도체(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에테르계(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5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용제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투명기재층의 스웰링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없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광개시제
상기 광개시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하이드록시케톤류, 아미노케톤류, 수소탈환형 광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개시제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하이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개시제는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 중량% 내에서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의 경화 속도가 늦어지고 미경화가 발생하여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경화로 인해 도막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의 연필경도는 5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6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코팅필름이 상기 범위 이상의 연필경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표면경도를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윈도우>
본 발명에서는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제공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윈도우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LCD, OLED, LED, FED 등의 디스플레이나 이를 이용한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터치패널, 전제페이퍼 등의 커버 글래스를 대체하는 용도 또는 기능성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구비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1 내지 5: 하드코팅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20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10관능, 미원 스페셜티 케미칼, Miramer MU9500), 20중량부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3관능, 미원스페셜티 케미칼, Miramer M3160), 20중량부 나노 실리카 졸(12nm, 고형분 40%), 리튬퍼클로레이트(LiClO4) 2중량부, 35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5중량부 광개시제(시바사, I-184), 0.5중량부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20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10관능, 미원 스페셜티 케미칼, Miramer MU9500), 20중량부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3관능, 미원스페셜티 케미칼, Miramer M3160), 20중량부 나노 실리카 졸(12nm, 고형분 40%),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 2중량부, 35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5중량부 광개시제(시바사, I-184), 0.5중량부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20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10관능, 미원 스페셜티 케미칼, Miramer MU9500), 20중량부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3관능, 미원스페셜티 케미칼, Miramer M3160), 20중량부 나노 실리카 졸(12nm, 고형분 40%), 리튬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LiFSI) 2중량부, 35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5중량부 광개시제(시바사, I-184), 0.5중량부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20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10관능, 미원 스페셜티 케미칼, Miramer MU9500), 20중량부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3관능, 미원스페셜티 케미칼, Miramer M3160), 20중량부 나노 실리카 졸(12nm, 고형분 40%), 리튬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이미데이트(LiTFSI) 2중량부, 35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5중량부 광개시제(시바사, I-184), 0.5중량부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20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10관능, 미원 스페셜티 케미칼, Miramer MU9500), 20중량부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3관능, 미원스페셜티 케미칼, Miramer M3160), 20중량부 나노 실리카 졸(12nm, 고형분 40%), 37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2.5중량부 광개시제(시바사, I-184), 0.5중량부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70)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의 하드코팅액을 두께 50㎛인 폴리이미드 필름의 한 면 상에 경화 후 두께 10㎛가 되도록 코팅을 실시 후 용제 건조 및 UV 적산광량 500mJ/cm2을 조사하여 단면 코팅을 실시한 후 폴리이미드 필름의 다른 한 면에 동일하게 경화 후 두께 10㎛가 되도록 코팅 및 건조, UV 경화를 실시하여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 대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하드코팅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1 대신 제조예 3에서 제조한 하드코팅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조예 1 대신 제조예 4에서 제조한 하드코팅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1 대신 제조예 5에서 제조한 하드코팅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드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하드코팅 필름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측정법 및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표면저항
하드코팅 필름에 표면 고저항측정기(Hiresta-up, MCP-HT450, 미쯔비시 사) URS프루브를 사용하여 500V전압을 인가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2) 연필경도
하중 1kg하, 45도 방향으로 연필을 세팅 후, 코팅 필름을 글래스 상에 고정시킨 후 각 연필 경도를 가지는 연필로 5회 평가 후, 4회 이상 긁히지 않는 경도로 연필 경도를 표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3) 내굴곡성
하드코팅 필름의 코팅층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필름 면 사이의 간격이 6mm가 되도록 반으로 접은 후 다시 펼쳤을 때 접힌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양호: 접힌 부분 크랙 미발생
불량: 접힌 부분 크랙 발생
표면저항 연필경도 내굴곡성
실시예 1 1.1E+12Ω/sq 6H 양호
실시예 2 4.2E+12Ω/sq 6H 양호
실시예 3 6.2E+12Ω/sq 6H 양호
실시예 4 3.7E+12Ω/sq 6H 양호
비교예 1 1E+14Ω/sq 이상(OVER) 4H 불량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는 표면저항. 연필경도 및 내굴곡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드코팅필름의 연필경도는 6H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이 상기 연필경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표면경도를 구현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의 경우 표면저항이 기계적 측정 범위를 초과하였으며, 연필경도 및 내굴곡성도 우수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필름으로 사용되는 하드코팅 필름에 있어서, 표면저항이 5E+11Ω/sq 내지 5E+13Ω/sq이고, 상기 하드코팅 필름은 리튬 이온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의 경화물을 함유하며,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리튬이온 화합물의 함량은 0.1 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연필경도가 5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은 광경화성 수지, 용제 및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은 무기나노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1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용제는 10 내지 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광개시제는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 필름.
  10.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이 구비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11. 제10항에 따른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60093232A 2016-07-22 2016-07-22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2082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232A KR102082410B1 (ko) 2016-07-22 2016-07-22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TW106124265A TWI777965B (zh) 2016-07-22 2017-07-20 硬塗膜及使用該硬塗膜之包括觸控感測器之可撓性顯示窗
US15/654,794 US20180024592A1 (en) 2016-07-22 2017-07-20 Hard coating film and flexible display window including touch sensor using the same
JP2017141077A JP2018013785A (ja) 2016-07-22 2017-07-20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センサーを含む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ウィンドウ
CN201710604185.0A CN107641348A (zh) 2016-07-22 2017-07-21 硬涂膜和使用该硬涂膜的包括触摸传感器的柔性显示窗
JP2021003494A JP2021073506A (ja) 2016-07-22 2021-01-13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センサーを含む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ウィンドウ
JP2022137610A JP2022177044A (ja) 2016-07-22 2022-08-31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センサーを含む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ウィンドウなら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232A KR102082410B1 (ko) 2016-07-22 2016-07-22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236A Division KR20200021498A (ko) 2020-02-20 2020-02-20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694A KR20180010694A (ko) 2018-01-31
KR102082410B1 true KR102082410B1 (ko) 2020-02-27

Family

ID=6098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232A KR102082410B1 (ko) 2016-07-22 2016-07-22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24592A1 (ko)
JP (3) JP2018013785A (ko)
KR (1) KR102082410B1 (ko)
CN (1) CN107641348A (ko)
TW (1) TWI7779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955B1 (ko) * 2015-01-30 2022-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305462B1 (ko) 2015-04-30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031801B1 (ko) * 2018-06-04 2019-10-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327414B1 (ko) * 2019-10-01 2021-11-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WO2021182443A1 (ko) * 2020-03-09 2021-09-16
WO2021182453A1 (ja) * 2020-03-09 2021-09-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用積層体、表示装置用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CN114106388A (zh) * 2020-08-26 2022-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保护膜及其制造方法、触控板和显示装置
JPWO2022239821A1 (ko) * 2021-05-13 2022-11-17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9532A (ja) 1997-07-11 2001-07-24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帯電防止特性を有する帯電防止セラマハードコート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406B1 (ko) 1996-09-03 1999-06-15 이종학 대전방지성 광경화용 하드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코팅방법
JP4508635B2 (ja) * 2003-12-26 2010-07-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US20060072445A1 (en) * 2004-09-28 2006-04-06 Imation Corp.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abrasion resistance and antistatic properties
JP2008242076A (ja) * 2007-03-27 2008-10-09 Nippon Shokubai Co Ltd 帯電防止性ハードコート組成物および光学物品
JP2009234059A (ja) * 2008-03-27 2009-10-15 Konica Minolta Opto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423016B2 (ja) * 2009-01-30 2014-02-19 凸版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12043606A1 (ja) * 2010-10-01 2012-04-0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太陽熱発電用フィルムミラー、太陽熱発電用フィルムミラーの製造方法及び太陽熱発電用反射装置
KR20120051290A (ko) * 2010-11-12 2012-05-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241280B1 (ko) 2011-04-11 2013-03-14 주식회사 앰트 자외선 경화형 방오성 대전방지 하드코팅용 조성물
US20150267071A1 (en) * 2011-10-25 2015-09-24 Uni-Pixel Displays, Inc. Radiation-curable optically clear coating composition for touch sensors
JP6028333B2 (ja) * 2012-01-17 2016-1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樹脂組成物、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20072360A (ko) * 2012-06-20 2012-07-03 광 석 서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KR101657356B1 (ko) * 2013-09-30 2016-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능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JP2015200698A (ja) * 2014-04-04 2015-11-12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樹脂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60040051A (ko) * 2014-10-02 2016-04-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748009B1 (ko) * 2014-10-20 2017-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476788B2 (ja) * 2014-11-21 2019-03-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9532A (ja) 1997-07-11 2001-07-24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帯電防止特性を有する帯電防止セラマハードコート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41348A (zh) 2018-01-30
JP2018013785A (ja) 2018-01-25
TW201829567A (zh) 2018-08-16
US20180024592A1 (en) 2018-01-25
JP2021073506A (ja) 2021-05-13
JP2022177044A (ja) 2022-11-30
TWI777965B (zh) 2022-09-21
KR20180010694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410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1415840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15838B1 (ko) 하드코팅 조성물
KR102039737B1 (ko) 하드코팅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15839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2094450B1 (ko)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
KR20200008007A (ko) 하드코팅필름
KR102107737B1 (ko)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
KR102009962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2556906B1 (ko)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EP3309229B1 (en) Flexible plastic film
KR20170001102A (ko) 패턴화된 하드코팅 필름
KR20150040260A (ko)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방법
KR20170103395A (ko)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되는 접착제층, 접합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KR20200008648A (ko) 하드코팅필름
KR102031802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2436845B1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200021498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2502398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10233834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87956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170011029A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102641633B1 (ko)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70103647A (ko) 하드코팅 조성물
KR20190103578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