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360A -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360A
KR20120072360A KR1020120066242A KR20120066242A KR20120072360A KR 20120072360 A KR20120072360 A KR 20120072360A KR 1020120066242 A KR1020120066242 A KR 1020120066242A KR 20120066242 A KR20120066242 A KR 20120066242A KR 20120072360 A KR20120072360 A KR 20120072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metal salt
photocurable
sal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 석 서
김종은
김태영
이태희
Original Assignee
광 석 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 석 서 filed Critical 광 석 서
Priority to KR102012006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2360A/ko
Publication of KR2012007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36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성 물질(inherently dissipative polymer; IDP)을 포함하는 광경화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메틸렌옥사이드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등 산소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주쇄의 한 쪽 말단에 에틸옥사이드 또는 메틸옥사이드 등의 알킬 옥사이드로 구성되어 있는 수지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른 말단에는 자외선 경화가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가 도입된 수지에 금속염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대전방지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 또는 피코팅체 표면에 코팅한 후 광경화하면 표면저항이 108-1011 오움/면적 정도의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물 또는 알콜류 등의 용매에 대한 세척저항성이 높으면서 표면저항의 경시변화가 거의 없는 양호한 영구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Photo curable antistatic coating composition having metal salt compound}
본 발명은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성 물질(inherently dissipative polymer; IDP)을 포함하는 광경화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틸렌옥사이드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등 산소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주쇄의 한 쪽 말단에 에틸옥사이드 또는 메틸옥사이드 등의 알킬 옥사이드로 구성되어 있는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른 말단에는 자외선 경화가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가 도입된 수지에 금속염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액정디스플레이 또는 각종 전자 제품은 제조 공정 및 운반, 취급 등 여러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성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대전방지성이 부여된 필름을 사용하거나 대전방지성이 부여된 운반용기에 담아 운반해야 한다.
정전기 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대전방지제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전도성 카본블랙, 계면활성제형 대전방지제, 이온성 액체 (ionic liquids), 전도성 고분자 (inherently conductive polymers: ICP), 또는 금속염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제 (inherently dissipative polymers; IDP)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들 각 성분들은 예를 들어 필름의 경우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등의 바인더 성분과 혼합되어 필름 표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면 이들 표면 대전방지층이 외부로부터 또는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소멸시키거나 분산시켜 전자 및 전기 부품 및 장치를 정전기 피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들 성분들은 각각 장점과 단점이 있어 사용상 많은 제약이 따른다. 예를 들어, 전도성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경우 대전방지성은 상당히 좋으나 취급 도중 표면에 형성된 대전방지층이 탈락되어 부품에 놓이면 이 전도성 이물이 부품의 통전시키는 역할을 하여 오히려 부품이 손상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전도성 카본블랙이 유기 바인더로 둘러싸여 있다고는 하지만 전도성 카본 블랙의 전기전도도가 워낙 높아 부품의 회로 중간에 놓일 경우 회로 간 누설전류 (leakage current)를 증가시켜 통전이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이는 결국 부품의 파괴손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계면활성제형 대전방지제는 투명하고 고분자 물질과 혼합하기 쉽고 표면에 코팅했을 때 투명하기 때문에 그 동안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계면활성제형 대전방지제는 습도의존성이 있어 상대습도가 50% 이상으로 높으면 표면저항이 약 1010 오움/면적까지도 가능하나, 상대습도가 20-30% 이하가 되면 전기전도성을 잃어버리고, 특히 대전방지층을 형성한 후 수 개월이 지나면 대전방지성이 소멸되는 등 많은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온성 액체 (ionic liquids)는 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자체적으로 최고 109 오움/면적의 표면저항까지도 가능한 물질로서, 필름류 대전방지 제품의 경우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수지에 1-10 중량부 정도 혼합하면 1010 오움/면적 정도의 표면저항도 가능하다. 또한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은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면 대전방지성이 소멸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최근 필름류 제품의 대전방지성 부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물질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과 같이 사용할 경우 결국 표면으로 기어 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온도와 습도를 가하여 장기 신뢰성 시험을 하는 경우 또는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술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전기전도도는 전도성 카본 블랙보다 낮으나 대전방지제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인 전도성 고분자 (conducting polymers)가 사용되고 있다. 이 전도성 고분자는 물질 자체가 전기전도도를 띠는 유기 고분자로서, 대표적인 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변성 전도성 고분자 등이 있다. 이 물질은 물질 자체의 전기전도도는 전도성 카본블랙에 비해 월등이 낮아 통전에 의한 파괴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현재 상업화되어 있는 대표적인 전도성 고분자는 독일 스타크 사 (H. C. Starck, 그레이드: Clevious P)의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poly(3,4-dioxythiophene; PEDOT)가 있다. 이 전도성 고분자는 주로 물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판매되는데, 이를 수용성 유기바인더와 잘 혼합하여 대전방지 코팅액을 만든 후 이를 피코팅제 표면에 코팅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면 정전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회로 패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정전기 방지층 물질이 탈락되어 회로 패턴 사이에 놓이면 결국 패턴간의 누설전류를 증가시켜 통전에 의한 파괴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정전기 방지 코팅은 전도성 고분자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층을 필름류 제품의 표면에 106 오움/면적을 갖도록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표면층의 표면저항이 106 오움/면적이라고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104 오움/면적인 전도성 고분자 성분이 전기적으로 절연체인 유기바인더로 쌓여있는 형상이다. 따라서 만일 표면층의 대전방지층이 탈락되어 회로 패턴 사이에 놓이면 코팅면의 저항인 106 오움/면적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104 오움/면적인 부분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높은 전기전도도를 보이는 부분이 있으면 이는 누설전류를 부분적으로 높아지고, 이는 결국 통전에 의한 파괴손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대전방지성을 보이는 물질이 대전방지층에 형성되었을 경우 이 대전방지 성능이 오랫동안 유지되어야 하고 (영구 대전방지성), 습도의존성이 크지 않아야 하며,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면으로 이행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누설전류의 증가에 의한 파괴손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물질 자체의 전기전도도가 가능한 한 낮아야 한다. 즉, 표면저항의 경우 표면저항이 가능한 한 높으면서 영구 대전방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정전기 방지 코팅이 필름 표면에 형성되었을 경우 표면저항이 109 - 1010 오움/면적 정도면 대전방지성 또는 정전기 방지성으로 충분하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으며 유기물 바인더와 혼합이 용이한 대전방지성 화합물이 금속염 화합물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금속염 화합물은 주로 리튬 또는 나트륨 등의 금속을 양이온으로 하고 각종 유기, 무기 화합물을 음이온으로 구성되어 있는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을 에틸렌글리콜 등 산소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혼합하여 조성물을 만들면 영구 대전방지제로 사용 가능하다. 이 혼합물은 우레탄계 또는 아마이드계 탄성체와 같이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용 대전방지 조성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이들 혼합물, 즉 리튬염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우레탄계 탄성체 등을 일정량 혼합하고 이를 다시 대표적인 열가소성 고분자인 폴리에스터 공중합물과 (PETG; polyethyleneterephthalate 공중합물) 혼합하여 평판 쉬트를 만들면 매우 양호한 정전기 방지성을 보이는 고분자 쉬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기술은 현재 가장 높은 정전기 방지성능을 요구하는 전자 부품인 헤드스택에셈블리(head stack assemblt; HSA) 운반용기 제조용 정전기 방지 쉬트로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구 대전방지제이면서 자체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지 않아 누설전류가 높아질 염려가 없는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제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의 정전기 방지성 부여는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리튬염 화합물과 에틸렌글리콜 및 우레탄계 탄성체와 혼합하는 경우 이 대전방지 성분은 대전방지성을 갖고 있으면서 표면으로 이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전방지성이 영구히 유지되는 장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정전기 방지 물질이다.
그러나 이 금속염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대전방지제를 광경화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에 혼합하여 제조한 광경화형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경화형 대전방지 물질로 사용하는 경우 광경화 후 정전기 방지층의 표면저항이 급격히 높아져 대전방지성을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어 응용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염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과 우레탄계 화합물과 혼합하면 열가소성 수지에는 효과적인 대정방지성을 부여하나, 이와 유사한 조성물을 우레탄기를 갖는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수지계에 혼합하여 광경화하면 전기전도도를 잃어 정전기 방지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금속염 화합물을 대전방지제 성분으로 사용하면서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혼합 후 광경화시 표면저항이 급격히 높아지는 현상이 없는 새로운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경화형 수지조성물의 발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염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광경화형 수지조성물에 있어, 광경화 후에도 표면저항이 급격히 높아지지 않는 금속염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새로운 광경화형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경화형 대전방지 수지조성물은 알킬렌 옥사이드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등의 광경화형 수지와 금속염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한 쪽 말단은 알킬옥사이드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옥사이드로는 메틸옥사이드, 에틸옥사이드, 프로필옥사이드, 부틸옥사이드 등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형 대전방지 수지조성물은, 한 쪽 말단은 알킬옥사이드로 치환되고 그리고 다른 말단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인 알킬렌 옥사이드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등의 광경화형 수지와 금속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염은 리튬염, 나트륨염 및 칼륨염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에 대한 연구에서, 리튬염과 같은 금속염 화합물을 에틸렌글리콜과 같이 산소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혼합하여 제조한 영구 대전방지제를 일반 광경화형 수지와 혼합하여 광경화하면 표면저항이 급격이 증가하여 대전방지성을 급격히 잃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일반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 금속염화합물과 에틸렌글리콜 및 우레탄계 탄성체와 혼합하면 108-1010 오움/면적이 대전방지제로서 매우 양호한 표면저항값을 갖는다. 따라서 우레탄 탄성체 대신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수지도 분자 내에 산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어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금속염 화합물과 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제조한 대전방지제와 혼합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광경화 후 표면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1011 오움/면적 이상으로 증가하여 정전기 방지성을 잃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우레탄계 광경화형 수지가 모두 이런 특성을 보임을 알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산소를 포함하는 단위체 중 알킬렌 옥사이드를 갖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사용하며 그 한 쪽에 알킬옥사이드기를 도입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다른 한 쪽에 광경화가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형 광경화 수지 (이하 알킬렌 옥사이드 수지라 부른다)를 사용한다.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 수지는 그 예로서 아래의 화학식 1 또는 2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화학식 1 및 2에서 R은 alkyl 을, 그 반대편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형 광경화 수지를 의미한다.
즉, 금속염 화합물을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 수지와 직접 혼합하여 대전방지성 광경화형 수지조성물을 만들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금속염 화합물은 리튬염, 나트륨염 및 칼륨염으로서, 대표적인 금속염 화합물로는 과염소산 리튬 (LiClO4), 과염소산 나트륨 (NaClO4), 과염소산칼륨 (KClO4), 리튬헥사플루오로알세네이트 (LiASF6), 리튬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LiBF4),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LiPF6),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 (LiCF3SO3),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LiN(CF3SO2)2),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LiC(CF3SO2)3) 등이 있다. 특히, LiClO4, LiN(CF3SO2)2, LiPF6, LiAsF6, LiI, LiBr, LiSCN, LiSO3CF3, LiNO3, LiC(SO2CF3)3, Li2S 및 LiMR4 (여기에서, M은 Al 또는 B이고, R은 할로겐, 알킬 또는 아릴기이다) 등의 리튬염 화합물이 유용하고, 이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은 이온 해리하여 이온전도를 나타내는 물질로 이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대전 방지 성능이 떨어지고 또한 너무 많으면 대전방지 성능의 증가가 둔해지며 금속염의 열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재료의 열화를 초래할 수 있어 0.05-20 중량퍼센트 사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필요한 경우 상기 금속염 화합물을 적당한 용매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용매 함량, 또는 고형분 함량은 특별한 범위가 있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용매 양을 결정하면 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아크릴레이트 수지에 금속염화합물을 직접 혼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용매는 금속염 화합물을 용해시킬 수 있으면서 광경화형 수지와 상용성이 좋은 용매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대표적인 용매로는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류 용매,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벤젠, 클로로벤젠, 니트로메탄, 톨루엔, 헥산, 씨클로헥산, 자일렌,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메틸에틸케톤, N-메틸-2-피롤리돈, 2-피롤리돈, N-비닐-2-피롤리돈, N-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톤, n-부티로락톤 등과 같은 유기용매 등의 용매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경화형 수지와 혼합 시 양극성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 등의 수계 용매도 사용 가능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광경화형 수지조성물은 누설전류 증가에 의한 파괴손상을 억제함은 물론이고 일반 투명 영구 대전방지 코팅제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일반 사출물 표면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광경화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면 물 또는 알콜 등의 용매에 대한 내용제성이 강한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광경화형 수지조성물은 그대로 또는 적당 용매에 혼합하여 희석한 상태에서 사용 가능하며, 또한 대전방지층 도포 방법은 함침법, 스프레이 코팅법 등 사출물 표면에 도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경화형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은 코팅제로서 사용되어 광경화된 후에, 108-1011 오움/면적범위의 표면저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은 직접 대상 제품으로 제조하여 대전방지 제품을 만들거나 또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도포 대상물에 도포하여 대전방지 처리된 대전방지 제품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금속염을 포함하는 광경화형 (또는 자외선경화형)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지조성물을 만들어 이를 필름 또는 피코팅체 표면에 도포한 후 광경화하면 표면저항이 108 - 1011 오움/면적의 안정적인 대전방지성을 보이는 정전기 방지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대전방지 필름 (또는 대전방지 제품)은 물 또는 알콜류 용매에 닦이지 않으면서 경시변화가 없는 양호한 영구 대전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 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성 측정
본 발명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표면저항, 마찰 전압, 감쇄시간, 세척성, 장기신뢰성의 5 가지 항목을 측정하였다. 각 항목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표면 저항: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한 후 광경화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를 일본 심코 사의 ST-3을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의 표면저항을 ESD STM 11.11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마찰 전압: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한 후 광경화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도포된 면에 대하여 니트릴 장갑을 착용한 후, 10회 강하게 문지른 후, 일본 심코 사의 FMX-003을 사용하여 표면에 생긴 정전기 전압을 ESD STM 11.2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감쇄 시간: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한 후 광경화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도포된 면에 대하여 Monroe Electronics사의 CPM288을 사용하여 FTMS 101C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세척성 :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한 후 광경화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조된 시편을 증류수로 10회 세척 후 건조하여 저항 변화를 관찰하였다.
장기 신뢰성 :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한 후 광경화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조된 시편을 25도 45%RH 에 방치하여 1달 후 저항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비교예 1>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0.1g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광경화형 올리고머 1g 및 모노머 1g을 에틸아세테이트에 30 중량퍼센트로 용해시킨 후, 광개시제 0.2g을 추가로 용해시킨다. 제조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80도에서 1분간 건조 후, 300mJ로 자외선 경화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에틸렌옥사이드계 광경화형 올리고머 1g 및 모노머 1g을 에틸아세테이트에 30 중량퍼센트로 용해시킨 후, 광개시제 0.2g을 추가로 용해시킨다. 제조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80도에서 1분간 건조 후, 300mJ로 자외선 경화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4급 암모늄계 대전방지제 0.5g과 에틸렌옥사이드계 광경화형 올리고머 1g 및 모노머 1g을 에틸아세테이트에 30 중량퍼센트로 용해시킨 후, 광개시제 0.2g을 추가로 용해시킨다. 제조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80도에서 1분간 건조 후, 300mJ로 자외선 경화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이온성 액체의 일종인 1-부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0.5g과 에틸렌옥사이드계 광경화형 올리고머 1g 및 모노머 1g을 에틸아세테이트에 30 중량퍼센트로 용해시킨 후, 광개시제 0.2g을 추가로 용해시킨다. 제조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80도에서 1분간 건조 후, 300mJ로 자외선 경화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0.03g과 에틸렌옥사이드계 광경화형 올리고머 1g 및 모노머 1g을 에틸아세테이트에 30 중량퍼센트로 용해시킨 후, 광개시제 0.2g을 추가로 용해시킨다. 제조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80도에서 1분간 건조 후, 300mJ로 자외선 경화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0.1g과 에틸렌옥사이드계 광경화형 올리고머 1g 및 모노머 1g을 에틸아세테이트에 30 중량퍼센트로 용해시킨 후, 광개시제 0.2g을 추가로 용해시킨다. 제조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80도에서 1분간 건조 후, 300mJ로 자외선 경화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0.2g과 에틸렌옥사이드계 광경화형 올리고머 1g 및 모노머 1g을 에틸아세테이트에 30 중량퍼센트로 용해시킨 후, 광개시제 0.2g을 추가로 용해시킨다. 제조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80도에서 1분간 건조 후, 300mJ로 자외선 경화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용액을 기 사출된 48인치 LCD 백라이트유닛 트레이에 스프레이 방법으로 도포하여, 80도에서 1분간 건조 후, 300mJ로 자외선 경화하였다. 코팅된 트레이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표면저항 (Ω/sq) > 1E12 > 1E12 1E10 5E10 1E10 2E9 7E8 2E10
마찰전압 (V) 3000 2700 300 500 300 200 150 300
감쇄시간 (s) > 100 > 100 3 5 3 1 < 0.1 3
세척성(Ω/sq) > 1E12 > 1E12 > 1E12 > 1E12 2E10 3E9 8E8 3E10
장기신뢰성(Ω/sq) > 1E12 > 1E12 > 1E12 > 1E12 1E10 3E9 6E8 2E10

Claims (5)

  1. 광경화형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한 쪽에는 알킬옥사이드기를 도입한 알킬렌 옥사이드기를 갖고 다른 한쪽에는 광경화가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기능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수지와 금속염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대전방지 수지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금속염은 리튬염, 나트륨염 및 칼륨염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금속염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대비 0.05-20 중량퍼센트인 광경화형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형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이 코팅제로서 사용되어 광경화 후, 108-1011 오움/면적의 표면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형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
  5. 제 1항 내지 5항의 대전방지 수지 조성물로 직접 제조되거나 또는 상기 수지 조성물로 코팅 처리되어 대전방지 처리된 대전방지 제품.
KR1020120066242A 2012-06-20 2012-06-20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KR20120072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42A KR20120072360A (ko) 2012-06-20 2012-06-20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42A KR20120072360A (ko) 2012-06-20 2012-06-20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880A Division KR20110020139A (ko) 2009-08-21 2009-08-21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360A true KR20120072360A (ko) 2012-07-03

Family

ID=4670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242A KR20120072360A (ko) 2012-06-20 2012-06-20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23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94A (ko) * 2016-07-22 2018-01-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WO2018143554A1 (ko) * 2017-02-03 2018-08-0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200080035A (ko) * 2018-12-26 2020-07-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94A (ko) * 2016-07-22 2018-01-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WO2018143554A1 (ko) * 2017-02-03 2018-08-0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180090453A (ko) * 2017-02-03 2018-08-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200080035A (ko) * 2018-12-26 2020-07-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978B1 (ko) 디스플레이용 대전방지 보호필름
KR100844476B1 (ko) 고전도성, 투명성 및 내습성을 갖는 폴리티오펜계 전도성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막
KR20130114097A (ko) 중합체 조성물, 중합체 막, 중합체 겔, 중합체 발포제, 및 이러한 막, 겔,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JP5514596B2 (ja) 導電性分散液
KR20080043424A (ko) 대전방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송용 롤러 제조방법
JP6880129B2 (ja) 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
KR20120072360A (ko)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JP6880130B2 (ja) 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
KR100671456B1 (ko) 진공성형용 전도성 코팅조성물 및 포장재료
KR20100089357A (ko) 방오성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542490B2 (ja) 導電性塗料および導電性成形物の製造方法
KR20080055266A (ko) 인라인 코팅으로 형성된 대전방지층을 갖는 필름
KR100951509B1 (ko) 자외선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KR20110020139A (ko)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한 영구 대전방지 광경화형 수지조성물
KR20070077145A (ko) 디스플레이용 대전방지 보호필름
CN106957610B (zh) 带间隔件的粘合剂层、带有带间隔件的粘合剂层的光学膜、图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508237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면보호필름
KR102152249B1 (ko)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JP6419008B2 (ja) 帯電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導電性離型剤及び帯電防止フィルム
KR100626709B1 (ko) 전도성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0336A (ko)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6059998A (en) Electrostatic dissipative substrate materials
CN107799198B (zh) 导电性组合物和利用其的导电性层叠体
KR101341049B1 (ko) 유기용매 분산형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또는 시트
KR20080101830A (ko) 자외선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