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051A -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051A
KR20160040051A KR1020140133566A KR20140133566A KR20160040051A KR 20160040051 A KR20160040051 A KR 20160040051A KR 1020140133566 A KR1020140133566 A KR 1020140133566A KR 20140133566 A KR20140133566 A KR 20140133566A KR 20160040051 A KR20160040051 A KR 20160040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ing
polarizer
film
polarizing plate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거산
박송희
이정은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0051A/ko
Priority to TW104129621A priority patent/TW201613752A/zh
Priority to PCT/KR2015/009571 priority patent/WO2016052883A1/ko
Publication of KR2016004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에 하드코팅필름을 구비한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필름 중 어느 하나는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층을 구비함으로써, 점착층을 포함한 경우에도 하드 코팅 필름의 높은 연필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콜(PVA)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상의 편광자 양면에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의 기재 필름이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LCD) 브라운관(CRT), 전자발광 디스플레이(EL)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요한 구성부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편광판을 각종 환경 하에서 사용함에 있어 높은 내구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고경도 하드코팅필름으로 편광판 표면을 처리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강화 유리를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smart phone)을 비롯한 각종 터치 스크린 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경도 향상을 위하여 하드코팅 필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얻어진 하드코팅 필름의 경도는 향상되지만 반대로 하드코팅층의 박리가 발생하고 경화 수축, 열습 수축에 의해 하드코팅 필름의 끝부분이 말아오르는 컬(curl)이 커지게 되어 취급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하드코팅 조성물은 광경화성 화합물로 폴리머를 사용한 바 있으나, 폴리머의 분자량에 따라 상용성이 좋지 않거나 광학 특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51824호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변성 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특정 두께의 기재 필름에 적층되었을 때 말림이 0 초과 20mm 이하인 하드코팅필름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51824호
본 발명은 경도가 높은 고경도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층에 의한 경도의 저하 없이 우수한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양면에 하드코팅필름을 구비한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필름 중 어느 하나는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층을 구비한, 편광판.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비-폴리머계 광경화성 화합물, 광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된 것인, 편광판.
3. 위 2에 있어서, 상기 비-폴리머계 광경화성 화합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비닐기, 스티릴기 및 알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인, 편광판.
4. 위 3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편광판.
5. 위 3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인, 편광판.
6. 위 1에 있어서, 상기 비-폴리머계 광경화성 화합물은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되는, 편광판.
7. 위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투명기재필름과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8. 위 7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상기 투명기재필름이 편광자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편광판.
9. 위 7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 중 점착층과 접하는 하드코팅필름은 상기 하드코팅층이 편광자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하드코팅필름은 투명기재필름이 편광자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편광판.
10. 위 7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상기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 제2의 하드코팅층을 더 구비하는, 편광판.
11. 위 7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편광판.
12. 위 7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필름인, 편광판.
13. 위 1에 있어서, 연필 경도가 5H 이상인 편광판.
14. 위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과 상기 하드코팅필름의 경도 차이는 2H 이하인, 편광판.
15. 위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경도가 높은 고경도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폴리머계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점착층을 구비하여도 경도의 저하 없이 우수한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착층에 의한 경도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점착층을 포함한 경우에도 하드 코팅 필름의 높은 연필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양면에 하드코팅필름을 구비한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필름 중 어느 하나는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층을 구비함으로써, 점착층을 포함한 경우에도 하드 코팅 필름의 높은 연필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편광판>
편광자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는 양면에 하드코팅필름을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는 편광자 형성용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건조하는 등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따라 제조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일 수 있다.
편광자 형성용 필름은 이색성 물질, 즉 요오드에 의해 염색 가능한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수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면내에서 편광도의 균일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요오드에 대한 염색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팅필름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은 비-폴리머계 광경화성 화합물, 광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비닐기, 스티릴기 및 알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상에서 폴리머란 중량평균분자량 10,000이상인 폴리머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상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하드 코팅층에 광경화성 가교 중합체인 폴리머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경도 저하, 분자량 증가로 인한 헤이즈(Haze)발생 등 고분자의 분자량 정밀 제어의 어려움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 제조 시 사용되는 점착제 층에 의해 경도가 저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제 층에 의한 경도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바, 점착층을 포함하여 경도를 측정하여도 하드 코팅 층의 높은 연필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필 경도가 5H 이상일 수 있고, 경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9H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과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의 경도 차이는 2H 이하일 수 있다.
1)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바람직하게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일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알리파틱 알킬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소이 빈 오일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시드 펜던트 노볼락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페닐 노볼락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모노머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비닐기, 스티릴기 및 알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모노머는 불포화 기를 분자 내에 갖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레이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 일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충분한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컬링이 심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개시제는 당 분야에서 쓰이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개시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테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벤조페논 일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시판품으로는 I-184(시바사 제조) 등이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속도가 늦고, 10중량부를 초과 할 경우 과경화로 하드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는 당 분야의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의 용매로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의 알콜류;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헥산, 헵탄, 옥탄 등의 헥산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및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벤젠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함량은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매가 상기 기준으로 10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9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은 당 분야에 공지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벨링제, 무기 필러 등이 있으며, 무기 필러로는 경도를 더욱 보강하기 위한 나노 실리카 졸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은 단일 필름일 수 있으며, 또는 투명기재필름과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편광자와 점착층 사이는 하드코팅층이 편광자와 맞닿아 내부에 위치한 구조일 수 있지만 최외곽 측에는 경도 확보를 위해 반드시 하드코팅층이 위치해야 한다. 도 2에는 상기 하드코팅필름이 투명기재필름과 하드코팅층을 각각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형성된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기재필름은 상기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제2의 하드코팅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는 하드코팅필름이 서로 다른 하드코팅층 사이에 투명기재필름이 개재된 구조로 형성된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투명기재필름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필름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와 하드코팅 필름, 또는 투명기재필름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접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접착제로는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폴리비닐알콜(PVA)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계(SBR계) 접착제,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층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은, 편광자와 접하고 있는 하드코팅필름 중 어느 하나의 하드코팅필름에서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다.
점착층은 본 발명에 따른 고경도 편광판을 액정셀, 다른 광학기능성 필름 등 다른 부재에 부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점착층은 당 분야에 알려진 점착제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통상의 화상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점착제층이 적층된 편광판을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 외에 당 분야에 공지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하드코팅층 조성물의 제조
우레탄아크릴레이트(10관능, 미원상사, SC2153) 10중량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3관능, 미원상사, M340) 10중량부를 사용하여 평균 관능기 수 6.5관능인 유기 아크릴레이트와 나노 실리카 졸(12nm, 고형분 40%, 촉매화성사, V8802) 50중량부, 메틸에틸케톤(대정화금) 2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대정화금) 7중량부, 광개시제(시바사, I-184) 2.5중량부, 레벨링제(BYK 케미사, BYK3530) 0.5중량을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고경도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하드코팅층 조성물의 제조
분자량 100,000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경도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하드코팅층 조성물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80㎛)의 단면 또는 양면에 경화한 후, 코팅 두께가 15㎛가 되도록 코팅 및 경화시켜 하기 표 1의 구조와 같은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 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참고예1
구성 HC1 HC1 HC1 HC1 HC1 HC1 HC1 HC2 HC1
TAC TAC TAC TAC TAC TAC TAC - TAC
- HC1 - HC1 HC1 - HC1 TAC HC1
PVA PVA PVA PVA PVA PVA PVA PVA PVA
- - HC1 HC1 - - - - HC1
TAC TAC TAC TAC HC1 TAC TAC TAC TAC
HC1 HC1 HC1 HC1 TAC - - HC2 HC1
PSA PSA PSA PSA PSA PSA PSA PSA -
Glass Glass Glass Glass Glass Glass Glass Glass Glass
HC1: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하드코팅필름
HC2: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하드코팅필름
TA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PSA: 아크릴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
Glass: 유리기판
실험예 1: 연필경도의 측정
JIS K5600에 의거하여 Pencil Hardness Tester(연필경도기, 석보과학)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중 500g, 각도 45°로 연필을 고정시킨 후 표면을 연필 경도 별로 긁어 육안으로 긁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실험예 2: 내스크래치성 평가
마찰시험기(rubbing tester, KPD-301, 기배이엔티사)에 강철솜을 장착한 후 1kg의 하중으로 10회 왕복시켜 발생하는 스크래치 개수를 평가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실험예 3: 헤이즈 측정
스가사의 HZ-1 Haze Meter를 이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 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참고예1
연필경도
(HC필름)
5H 6H 5H 6H 6H 5H 6H 4H 6H
연필경도
(편광판)
5H 6H 6H 7H 6H 2H 3H 4H 7H
스크래치개수 10개
미만
10개
미만
10개
미만
10개
미만
10개
미만
10개
미만
10개
미만
30개
이상
10개미만
헤이즈 0.3% 0.2% 0.2% 0.2% 0.2% 0.3% 0.3% 0.8% 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비교예들에 비해 연필경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폴리머로 제조된 하드코팅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비교예 3은 스크래치 개수 및 헤이즈도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예 1을 살펴보면, 양면에 하드코팅필름을 구비한 편광판 자체의 연필경도는 7 H로 측정되었으므로, 본 발명은 점착층을 포함하여도 경도가 저하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5)

  1. 양면에 하드코팅필름을 구비한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필름 중 어느 하나는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층을 구비한, 편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비-폴리머계 광경화성 화합물, 광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된 것인, 편광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폴리머계 광경화성 화합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비닐기, 스티릴기 및 알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인, 편광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편광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인, 편광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폴리머계 광경화성 화합물은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되는, 편광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투명기재필름과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상기 투명기재필름이 편광자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편광판.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 중 점착층과 접하는 하드코팅필름은 상기 하드코팅층이 편광자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하드코팅필름은 투명기재필름이 편광자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편광판.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상기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 제2의 하드코팅층을 더 구비하는, 편광판.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편광판.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필름인, 편광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필 경도가 5H 이상인 편광판.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과 상기 하드코팅필름의 경도 차이는 2H 이하인, 편광판.
  15.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40133566A 2014-10-02 2014-10-02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KR20160040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566A KR20160040051A (ko) 2014-10-02 2014-10-02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TW104129621A TW201613752A (en) 2014-10-02 2015-09-08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CT/KR2015/009571 WO2016052883A1 (ko) 2014-10-02 2015-09-11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566A KR20160040051A (ko) 2014-10-02 2014-10-02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051A true KR20160040051A (ko) 2016-04-12

Family

ID=5563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566A KR20160040051A (ko) 2014-10-02 2014-10-02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60040051A (ko)
TW (1) TW201613752A (ko)
WO (1) WO201605288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94A (ko) * 2016-07-22 2018-01-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200136819A (ko)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80787A1 (ko) *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10224A1 (ko) * 2022-07-06 2024-01-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448B1 (ko) * 2008-12-29 2012-09-20 제일모직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내오염성이 우수한 편광판 및 하드코팅층 형성 방법
KR20110109206A (ko) * 2010-03-30 2011-10-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JP6004603B2 (ja) * 2010-07-15 2016-10-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142481B2 (ja) * 2012-08-07 2017-06-07 東洋紡株式会社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443845B1 (ko) * 2012-09-03 2014-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94A (ko) * 2016-07-22 2018-01-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200136819A (ko)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80787A1 (ko) *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10224A1 (ko) * 2022-07-06 2024-01-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KR20240006758A (ko) * 2022-07-06 2024-01-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2883A1 (ko) 2016-04-07
TW201613752A (en) 2016-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524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102031556B1 (ko)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609848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101462579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I627237B (zh) 光固化塗膜、偏光板及顯示裝置
KR20210049969A (ko) 광학 적층체
TW201134899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180006427A (ko) 하드 코팅 필름, 이것을 사용한 편광판, 디스플레이 부재 및 표시 장치
KR20160040051A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10035331A (ko) 광학 적층체
KR102519866B1 (ko)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76787A (ko) 고경도 하드코팅필름
JP2020129140A (ja) 防眩フィルム
KR20120024211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40040382A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10114304A (ko) 방현성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372688B1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US20180208776A1 (en) Hardcoat film, front plate of image display element, resistive film-type touch panel, capacitance-type touch panel, and image display
KR20210109952A (ko) 유연성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60114162A (ko) 고경도 하드코팅 광학필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광학필터
CN102890297B (zh) 防眩性硬涂薄膜、具备该薄膜的偏光板以及显示装置
KR20180087956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2613779B1 (ko) 방현 필름
TW201500487A (zh) 光可固化塗料組成物、塗膜及使用該塗膜之偏光板
KR20120128739A (ko)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