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981A - 로봇 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981A
KR20170097981A KR1020160019770A KR20160019770A KR20170097981A KR 20170097981 A KR20170097981 A KR 20170097981A KR 1020160019770 A KR1020160019770 A KR 1020160019770A KR 20160019770 A KR20160019770 A KR 20160019770A KR 20170097981 A KR20170097981 A KR 2017009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tor
case body
exhaust passage
exhaus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240B1 (ko
Inventor
이병인
김병찬
오우람
임원규
정경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9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240B1/ko
Priority to CN201780010442.6A priority patent/CN108697288B/zh
Priority to US16/076,838 priority patent/US11452411B2/en
Priority to EP17753364.3A priority patent/EP3381345B1/en
Priority to PCT/KR2017/000310 priority patent/WO2017142202A1/ko
Publication of KR2017009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 조립체는, 전면에 설치된 팬의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모터를 감싸며, 상기 팬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팬 모터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팬 모터 케이싱의 배기유로는, 상기 팬 모터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팬 모터의 상측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배기유로; 상기 팬 모터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상기 팬 모터의 전단으로 안내하는 제2배기유로; 상기 팬 모터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팬 모터의 좌측과 우측을 따라 상기 팬 모터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배기유로; 및 상기 팬 모터의 하측 또는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3배기유로의 좌측 및 우측을 따라 이동한 상기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제4배기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물이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는 자율적으로 피청소면을 이동하면서,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과 먼지를 흡입하여 청소를 수행한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는 오물과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팬 모터를 구비한다. 팬 모터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오물과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로봇 청소기로 흡입된다. 팬 모터의 전방에는 집진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물과 먼지는 집진장치에 의해 분리된 후, 깨끗해진 공기만이 팬 모터를 통해 로봇 청소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팬 모터가 설치된 로봇 청소기의 본체에는 배기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 팬 모터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로봇 청소기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로봇 청소기의 본체의 배기 구멍은 팬 모터의 배출구와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어, 팬 모터가 동작하는 경우, 팬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그대로 외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할 때 소음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로봇 청소기의 본체의 배기 구멍과 팬 모터의 배출구 사이에 흡음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흡음부재만으로는 로봇 청소기의 소음을 충분히 줄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청소시에 팬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로봇 청소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팬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배기유로의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팬 모터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로봇 청소기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로봇 청소기는, 전면에 설치된 팬의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모터를 감싸며, 상기 팬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팬 모터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팬 모터 케이싱의 배기유로는, 상기 팬 모터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팬 모터의 상측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배기유로; 상기 팬 모터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상기 팬 모터의 전단으로 안내하는 제2배기유로; 상기 팬 모터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팬 모터의 좌측과 우측을 따라 상기 팬 모터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배기유로; 및 상기 팬 모터의 하측 또는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3배기유로의 좌측 및 우측을 따라 이동한 상기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제4배기유로;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 모터 케이싱은, 상기 팬 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된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에 상기 팬 모터의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가 상기 케이스 몸체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를 전방 챔버와 후방 챔버로 구획하는 한 쌍의 수직벽; 및 상기 팬 모터의 후단 부분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후방 챔버의 상부를 덮는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는 상기 모터 조립체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부가 마련된 청소기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모터 조립체의 배기구를 덮는 배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로봇 청소기는, 전면에 설치된 팬의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모터를 감싸며, 상기 팬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팬 모터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팬 모터 케이싱은, 상기 팬 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된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 상기 케이스 몸체의 좌우 측면에서 상기 팬 모터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팬 모터가 상기 케이스 몸체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를 전방 챔버와 후방 챔버로 구획하는 한 쌍의 수직벽; 및 상기 팬 모터의 후단 부분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후방 챔버의 상부를 덮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기유로는 상기 팬 모터의 외측면과 상기 팬 모터 케이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후면, 상기 팬 모터의 후면, 및 상기 케이스 몸체의 차단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팬 모터의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제1배기유로; 상기 케이스 몸체의 하면과 상기 팬 모터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상기 팬 모터의 전단으로 안내하는 제2배기유로; 상기 케이스 몸체의 좌우 측면과 상기 팬 모터의 좌우 측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팬 모터의 좌측과 우측을 따라 상기 팬 모터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배기유로; 및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면과, 상기 팬 모터의 상면, 및 상기 케이스 몸체의 차단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3배기유로의 좌측 및 우측을 따라 이동한 상기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제4배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본체에서 배기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로봇 청소기의 본체에서 실링 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로봇 청소기의 본체에서 상부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베이스에 마련된 모터 수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배기 커버와 모터 조립체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에 사용되는 모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모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모터 조립체를 선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터 조립체에서 인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터 조립체의 배기유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
도 13은 도 8의 모터 조립체의 팬 모터의 후면 사시도;
도 14는 도 8의 모터 조립체의 팬 모터에서 전면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8의 모터 조립체의 팬 모터 케이싱의 상부 케이스 몸체의 저면 사시도;
도 16은 도 10의 모터 조립체를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100)는 본체(110), 제어부(101), 구동부(140), 청소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로봇 청소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제어부(101), 구동부(140), 청소장치(150)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검출유닛(미도시), 로봇 청소기(100)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는 장애물 검출유닛(미도시), 제어부(101), 구동부(140), 위치검출유닛(미도시), 장애물 검출유닛(미도시), 청소장치(15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유닛(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로봇 청소기(100)가 피청소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체(110)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된 한 쌍의 바퀴(141)를 포함한다. 한 쌍의 바퀴(141)는 2개의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101)가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한 쌍의 바퀴(141)를 회전시키면, 로봇 청소기(100)를 피청소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청소장치(150)는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과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10)의 전단에 설치되는 흡입 노즐(151), 및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집진장치(153)와 모터 조립체(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노즐(151)의 바닥면에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며, 흡입구에는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브러시(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흡입 노즐(151)은 집진장치(153)와 연통되어 있고, 집진장치(153)는 모터 조립체(1)와 연결되어 있다. 모터 조립체(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집진장치(153)는 흡입된 공기에서 오물과 먼지를 분리하고 깨끗해진 공기만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집진장치(153)로는 먼지봉투, 사이클론 집진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집진장치(153)로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사용된다.
모터 조립체(1)가 작동하여 흡입력이 발생하면, 집진장치(153)를 통해 흡입 노즐(151)의 흡입구에 흡입력이 인가된다. 그러면, 흡입력에 의해 흡입 노즐(151)의 흡입구를 통해 오물과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집진장치(153)로 흡입된다. 집진장치(153)는 흡입된 공기에서 오물과 먼지를 분리하고 깨끗해진 공기를 모터 조립체(1)로 배출한다. 흡입된 공기는 모터 조립체(1)를 통과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모터 조립체(1)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01)는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로봇 청소기(100)를 이동시키고, 청소장치(150)의 모터 조립체(1)를 제어하여 흡입력을 발생시켜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과 먼지를 흡입하여 청소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로봇 청소기(100)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 의한 로봇 청소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배기 커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본체에서 배기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로봇 청소기의 본체에서 실링 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로봇 청소기에의 본체에서 상부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베이스에 마련된 모터 수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배기 커버와 모터 조립체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110)는 베이스(120)와 상부 커버(130)를 포함한다.
베이스(120)에는 제어부(101), 구동부(140), 위치검출유닛(미도시), 장애물 검출유닛(미도시), 전원공급유닛(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0)에는 청소장치(150)의 모터 조립체(1)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120)에는 모터 조립체(1)가 수용 및 고정되는 모터 수용부(121)가 마련된다. 모터 수용부(121)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서는 집진장치(153)와 모터 조립체(1)가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집진장치(153)를 베이스(120)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집진장치(153)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 커버(130)의 집진장치 수용부(13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모터 수용부(121)는 베이스(1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123)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돌기(123)는 모터 조립체(1)의 4곳을 지지할 수 있도록 4개의 지지돌기(123)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지지돌기(123)는 대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돌기(123)의 상단에는 볼트나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123a)가 형성된다. 모터 조립체(1)에는 4개의 지지돌기(123)에 고정되는 4개의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돌기(123)의 높이는 모터 조립체(1)를 설치하였을 때, 모터 조립체(1)의 하면이 베이스(120)에 접촉하지 않도록 정해질 수 있다.
상부 커버(130)는 베이스(120)의 상부를 덮어 제어부(101), 구동부(140), 위치검출유닛(미도시), 장애물 검출유닛(미도시), 전원공급유닛(미도시)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부 커버(130)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153)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장치 장착부(131)가 마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장치 장착부(131)의 일측으로 베이스(120)에 설치된 모터 조립체(1)의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130)의 부분에 모터 조립체(1)의 배기구에 대응하는 제1배기구(133)가 마련된다. 제1배기구(133)는 모터 조립체(1)의 상면에 대응하도록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부 커버(130)의 제1배기구(133)의 상측에는 제1배기구(133)를 덮을 수 있도록 배기 커버(160)가 설치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배기구(133)의 둘레로 상부 커버(130)와 배기 커버(160) 사이에는 실링 부재(170)가 설치되어 모터 조립체(1)의 진동이 상부 커버(130)를 통해 배기 커버(16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실링 부재(170)는 상부 커버(130)와 배기 커버(160)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 부재(170)에는 제1배기구(133)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2배기구(173)가 마련된다. 제2배기구(173)의 둘레로 실링 부재(170)의 하면에는 상부 커버(130)의 제1배기구(133)에 삽입되는 돌기부(174)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실링 부재(170)는 제2배기구(173)에 먼지 필터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먼지 필터로는 모터 조립체(1)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고성능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배기 커버(160)는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110), 즉 상부 커버(130)의 제1배기구(133)를 덮을 수 있도록 상부 커버(130)에 설치된다. 배기 커버(160)를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110), 즉 상부 커버(130)에 설치하면, 배기 커버(160)는 모터 조립체(1)의 배기구()의 상측을 덮게 된다. 배기 커버(160)에는 모터 조립체(1)의 배기구에 대응하는 부분에 복수의 관통구멍(161)이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 조립체(1)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부 커버(130)의 제1배기구(133)를 덮고 있는 배기 커버(160)의 복수의 관통구멍(161)을 통해 로봇 청소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100)에 사용되는 모터 조립체(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에 사용되는 모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모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모터 조립체를 선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터 조립체(1)는 팬 모터(3)와 팬 모터 케이싱(5)을 포함한다.
팬 모터(3)는 외부 공기를 집진장치(153)로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팬 모터(3)는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21a)로 공기를 흡입하고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17)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팬 모터 케이싱(5)은 팬 모터(3)를 감싸며, 팬 모터(3)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37)를 포함한다. 팬 모터 케이싱(5)에는 팬 모터(3)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구(37)로 안내하는 배기유로가 마련된다. 배기유로는 팬 모터(3)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의 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기유로를 길게 하면, 팬 모터(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운동에너지가 줄어들어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팬 모터(3)와 팬 모터 케이싱(5)에 의해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1)의 배기유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터 조립체에서 인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터 조립체의 배기유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1 및 도 12에서 팬 모터 케이싱(5)은 투명하게 표시하여 내부의 팬 모터(3)가 나타나도록 도시하였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서 굵은 화살표는 배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모터 조립체(1)의 배기유로는 팬 모터(3)의 둘레에 형성된 4개의 배기유로, 즉 제1배기유로(A), 제2배기유로(B), 제3배기유로(C-1,C-2), 및 제4배기유로(D)를 포함한다.
제1배기유로(A)는 팬 모터(3)의 후단에 형성되며, 팬 모터(3)의 배출구(17)에서 팬 모터(3)의 축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팬 모터(3)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즉, 제1배기유로(A)는 팬 모터(3)에서 축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팬 모터(3)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배기유로(B)는 제1배기유로(A)와 연통되도록 팬 모터(3)의 하측에 형성되며, 제1배기유로(A)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팬 모터(3)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배기유로(B)는 공기가 팬 모터(3)의 하면을 따라 팬 모터(3)의 후단에서 전단 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제3배기유로(C-1,C-2)는 팬 모터(3)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되며, 제2배기유로(B)와 연통된다. 제3배기유로(C-1,C-2)는 제2배기유로(B)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팬 모터(3)의 외측면의 좌측과 우측을 따라 팬 모터(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배기유로(B)를 따라 이동한 공기는 제3배기유로(C-1,C-2)에 의해 2개의 공기 흐름으로 분기된다. 이때, 제3배기유로(C-1,C-2)의 2개의 통로, 즉 좌측 통로(C-1) 및 우측 통로(C-2)와 연결되는 제2배기유로(B)의 부분에는 제1흡음부재(4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흡음부재(41)는 제2배기유로(B)의 공기가 균등하게 분배되어 제3배기유로(C-1,C-2)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며, 제2배기유로(B)를 통과하는 공기의 소음을 감소시킨다. 제1흡음부재(41)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4배기유로(D)는 팬 모터(3)의 상측에 마련되며, 제3배기유로의 좌측 및 우측 통로(C-1,C-2)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3배기유로의 좌측 및 우측 통로(C-1,C-2)를 따라 이동한 2개의 공기 흐름은 제4배기유로(D)에서 모여 한 개의 공기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제4배기유로(D)는 공기 흐름을 팬 모터 케이싱(5)의 상면(30f)에 형성된 배기구(37)로 안내한다. 배기구(37)는 팬 모터(3)의 후단부 상측에 위치한다. 제4배기유로(D)는 팬 모터(3)를 기준으로 제2배기유로(B)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4배기유로에는 배출 공기의 소음 감소를 위해 제2흡음부재(4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흡음부재(42)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1배기유로(A), 제2배기유로(B), 제3배기유로(C-1,C-2), 및 제4배기유로(D)는 팬 모터(3)와 별개의 부재로 팬 모터 케이싱(5)에 형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팬 모터(3)의 외측면과 팬 모터 케이싱(5)으로 상술한 배기유로(A,B,C-1,C-2,D)를 형성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모터 조립체(1)의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팬 모터(3)와 팬 모터 케이싱(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도 10,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팬 모터(3)는 모터부(10)와 모터부(10)의 전단에 설치되는 팬부(20)로 구성된다.
도 13은 도 8의 모터 조립체의 팬 모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8의 모터 조립체의 팬 모터에서 전면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모터부(10)는 하우징(11), 고정자(12), 및 회전자(13)를 포함한다. 고정자(12)는 하우징(11)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자(13)는 고정자(12)의 내측에 고정자(1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자(13)의 회전축(14)은 하우징(11)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베어링(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우징(11)의 후면에는 팬부(2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7)가 마련된다. 팬 모터(3)의 모터부(10)는 BLDC(Brushless DC) 모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팬부(20)는 모터부(10)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면 커버(21), 임펠러(22), 디퓨저(23)을 포함한다. 임펠러(22)는 모터부(10)의 회전자(13)의 회전축(14)의 일단에 고정되며, 회전자(13)와 일체로 회전한다. 디퓨저(23)는 하우징(11)의 전면에 고정되며, 동축 상으로 내부에는 임펠러(22)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디퓨저(23)는 임펠러(22)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모터부(10)로 안내한다. 전면 커버(21)는 하우징(11)의 일단에 설치되며, 임펠러(22)와 디퓨저(23)를 덮도록 형성된다. 전면 커버(21)의 중심에는 공기가 임펠러(22)로 인입되는 흡입구(21a)가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부(10)의 회전자(13)에 의해 임펠러(22)가 회전하면, 외부 공기가 전면 커버(21)의 흡입구(21a)를 통해 임펠러(22)로 인입되고, 디퓨저(23)를 통해 하우징(11)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여, 모터부(10)의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17)를 통해 팬 모터(3)의 외부로 배출된다.
팬 모터(3)의 후단, 즉 팬부(20)가 설치된 일단과 반대쪽 단에는 팬 모터(3)의 후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인쇄회로기판(50)이 설치된다. 인쇄회로기판(50)에는 팬 모터(3)를 구동 및 제어할 수 있는 구동회로가 마련된다. 인쇄회로기판(50)의 형상은 팬 모터(3)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의 원형부(51)와 원형부(51)에서 일측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장되는 사각부(52)를 포함한다. 사각부(52)의 길이(L)는 사각부(52)의 일단이 팬 모터(3)의 하우징(1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0)의 사각부(52)의 길이(L)는 사각부(52)의 선단이 팬 모터 케이싱(5)의 하면에 인접하도록 결정된다. 팬 모터 케이싱(5)의 하면에 후술하는 버퍼 챔버(33)가 형성된 경우에는 사각부(52)의 선단이 버퍼 챔버(33)에 위치하도록 사각부(52)의 길이(L)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팬 모터(3)의 후단에는 인쇄회로기판(50)과 팬 모터(3) 후면 사이의 공간의 상부를 덮는 연장부(60)가 설치된다. 연장부(60)는 하우징(11)의 후단에서 인쇄회로기판(50) 쪽으로 연장된다. 연장부(50)의 길이는 하우징(11)의 원주 길이의 대략 절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50)는 인쇄회로기판(50)의 사각부(52)와 반대쪽으로 하우징(11)에 마련된다. 따라서, 팬 모터(3)의 후단에는 연장부(60)와 인쇄회로기판(50)에 의해 팬 모터(3)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배기유로(A)가 형성된다.
연장부(60)와 인쇄회로기판(50)에 의해 형성된 제1배기유로(A)는 하우징(11)의 내면을 따라 팬 모터(3)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60)와 인쇄회로기판(50)은 하우징(11)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대략 90도 꺾어 배출된 공기가 팬 모터(3)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장부(60)와 인쇄회로기판(50)이 팬 모터(3)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팬 모터(3)의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었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다. 다른 예로서, 연장부(60)와 인쇄회로기판(50)은 팬 모터(3)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팬 모터(3)의 상측, 좌측, 또는 우측과 같이 팬 모터(3)의 어느 한쪽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팬 모터 케이싱(5)은 상술한 팬 모터(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된 케이스 몸체(30)로 형성된다. 케이스 몸체(30)는 팬 모터(3)의 조립을 위해 상부 케이스 몸체(30-1)와 하부 케이스 몸체(30-2)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 몸체(30-1)와 하부 케이스 몸체(30-2)는 결합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스 몸체(30-1)의 양측에 결합 구멍(46a)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편(46)을 마련하고, 하부 케이스 몸체(30-2)에 한 쌍의 결합편(46)의 결합 구멍(46a)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돌기(47)를 마련한다. 따라서, 한 쌍의 결합편(46)의 결합 구멍(46a)에 한 쌍의 결합돌기(47)를 삽입하면 상부 케이스 몸체(30-1)와 하부 케이스 몸체(30-2)가 결합되어 하나의 케이스 몸체(3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 몸체(30-1)와 하부 케이스 몸체(30-2) 사이에는 공기의 누설을 막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 몸체(30)의 전면에는 팬 모터(3)의 전방 커버(21)의 선단(20b)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30a-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케이스 몸체(30)의 개구(30a-1)에 팬 모터 케이싱(5)에 대해 팬 모터(3)를 지지하는 전방 진동차단부재(71)가 설치된다. 전방 진동차단부재(71)는 팬 모터(3)의 진동을 흡수하여 팬 모터(3)의 진동이 케이스 몸체(30)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방 진동차단부재(7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관통공(71a)에는 팬 모터(3)의 전면 커버(21)의 선단(21b)이 삽입되며, 전방 진동차단부재(71)의 외주면은 케이스 몸체(30)의 개구(30a-1)에 고정된다. 전방 진동차단부재(71)는 고무와 같은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몸체(30)의 내부에는 케이스 몸체(30)의 좌우 측면(30c, 30d)에서 케이스 몸체(3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벽(31)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벽(31)은 팬 모터(3)가 케이스 몸체(30)에 수용되었을 때, 케이스 몸체(30)의 내부를 전방 챔버(32-1)와 후방 챔버(32-2)로 구획한다. 이때, 전방 챔버(32-1)와 후방 챔버(32-2)는 팬 모터(3) 아래의 한 쌍의 수직벽(3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통된다. 한 쌍의 수직벽(31) 사이로 케이스 몸체(30)의 하면에는 버퍼 챔버(33)가 마련된다. 버퍼 챔버(33)는 케이스 몸체(30)의 하면(30e)에서 일정 깊이의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팬 모터(3)의 후단에 마련된 배기유로(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일시적으로 버퍼 챔버(33)에 머물렀다가 팬 모터(3)의 전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수직벽(31)은 케이스 몸체(30)에 대해 팬 모터(3)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팬 모터(3)의 진동이 케이스 몸체(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팬 모터(3)와 수직벽(31) 사이에는 후방 진동차단부재(73)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팬 모터(3)의 좌측 및 우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2개의 후방 진동차단부재(73)가 설치되고, 2개의 후방 진동차단부재(73)가 한 쌍의 수직벽(31)의 상단에 의해 지지된다. 후방 진동차단부재(73)는 고무와 같은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팬 모터(3)는 전단에 설치된 전방 진동차단부재(71)와 후방에 설치된 후방 진동차단부재(73)에 의해 케이스 몸체(3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팬 모터(3)가 회전할 때, 팬 모터(3)의 진동이 케이스 몸체(30)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8, 도 9, 도 10,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몸체(30)의 후면(30b)에는 케이스 몸체(3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팬 모터(3)의 후단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차단벽(35)이 형성된다. 차단벽(35)은 팬 모터(3)의 연장부(60)의 상측에 설치되어 케이스 몸체(30)의 후방 챔버(32-2)의 상부를 덮어 팬 모터(3)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케이스 몸체(30)의 상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참고로, 도 15는 도 8의 모터 조립체(1)의 상부 케이스 몸체(30-1)의 저면 사시도이다.
케이스 몸체(30)의 상면(30f)에 차단벽(35)의 상측으로 배기구(37)가 마련된다. 따라서, 차단벽(35)과 케이스 몸체(30)의 상면(30f)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 몸체(30)에 팬 모터(3)가 설치되었을 때, 팬 모터(3)의 상면과 케이스 몸체(30)의 상면(30f) 사이의 공간과 배기구(37)가 개구(36)를 통해 연통된다.
또한, 케이스 몸체(30)의 좌우 측면(30c,30d)은 케이스 몸체(30)에 팬 모터(3)가 설치되었을 때, 팬 모터(3)의 좌우 측면과 케이스 몸체(30)의 좌우 측면(30c,30d)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팬 모터(3)의 좌우 측면과 케이스 몸체(30)의 좌우 측면(30c,30d) 사이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좌측 통로(C-1)와 우측 통로(C-2)가 형성된다. 참고로, 도 16은 도 10의 모터 조립체(1)를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케이스 몸체(30)의 모서리에는 케이스 몸체(30)를 설치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49)가 마련된다. 일 예로서, 모터 조립체(1)를 로봇 청소기(100)에 사용할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베이스(120)에 마련된 복수의 지지돌기(123)에 대응하도록 케이스 몸체(30)에는 복수의 고정부(49)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베이스(120)에 4개의 지지돌기(123)가 마련되므로, 케이스 몸체(30)에도 4개의 고정부(49)가 마련된다. 고정부(49)는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49a)이 마련된다.
또한, 팬 모터(3)와 팬 모터 케이싱(5)은 전방 진동차단부재(71)와 후방 진동차단부재(73)에 의해서만 연결되어 있으며, 팬 모터 케이싱(5)의 다른 부분은 팬 모터(3)와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팬 모터(3)와 팬 모터 케이싱(5)의 케이스 몸체(30) 사이에는 틈이 존재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팬 모터(3)와 케이스 몸체(30)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진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탄성재료로 된 진동차단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팬 모터 케이싱(5)은 팬 모터(3)와 함께 배기유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몸체(30)의 후면(30b), 팬 모터(3)의 후면, 케이스 몸체(30)의 차단벽(35)은 팬 모터(3)의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팬 모터(3)의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제1배기유로(A)를 형성한다. 이때, 팬 모터(3)의 후면에는 인쇄회로기판(50)과 연장부(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팬 모터(3)의 후면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대부분은 인쇄회로기판(50), 연장부(60), 및 팬 모터(3)의 후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팬 모터(3)의 아래로 이동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50)과 팬 모터(3) 사이의 틈으로 배출된 공기는 인쇄회로기판(50)의 외부를 덮고 있는 케이스 몸체(30)의 후면(30b)과 차단벽(35)에 의해 팬 모터(3)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좁은 의미의 제1배기유로(A)는 인쇄회로기판(50), 연장부(60), 및 팬 모터(3)의 후면에 의해 형성되고, 넓은 의미의 제1배기유로는 케이스 몸체(30)의 후면(30b), 차단벽(35) 및 팬 모터(3)의 후면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스 몸체(30)의 하면(30e)과 팬 모터(3)의 하면은 제1배기유로(A)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팬 모터(3)의 전단 쪽으로 안내하는 제2배기유로(B)를 형성한다.
케이스 몸체(30)의 좌우 측면(30c,30d)과 팬 모터(3)의 좌우 측면은 제2배기유로(B)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팬 모터(3)의 좌측과 우측을 따라 팬 모터(3)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3배기유로(C-1,C-2)를 형성한다. 즉, 팬 모터(3)의 좌측면과 케이스 몸체(30)의 좌측면(30c)은 제3배기유로의 좌측 통로(C-1)를 형성하고, 팬 모터(3)의 우측면과 케이스 몸체(30)의 우측면(30d)은 제3배기유로의 우측 통로(C-2)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2배기유로(B)를 따라 팬 모터(3)의 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제3배기유로(C-1,C-2)에 의해 2개의 공기 흐름으로 분기되어 팬 모터(3)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케이스 몸체(30)의 상면(30f)과, 팬 모터(3)의 상면, 및 케이스 몸체(30)의 차단벽(35)은 제3배기유로의 좌측 및 우측 통로(C-1,C-2)를 따라 이동한 공기를 배기구(37)로 안내하는 제4배기유로(D)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3배기유로의 좌측 통로 및 우측 통로(C-1,C-2)를 따라 팬 모터(3)의 상측으로 이동한 2개의 공기 흐름은 제4배기유로(D)에 의해 한 개의 공기 흐름으로 합쳐진 후, 케이스 몸체(30)의 상면(30f)에 형성된 배기구(37)로 이동하여 케이스 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4배기유로(D)는 팬 모터(3)의 중심축에 대해 제2배기유로(B)와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터 조립체(1)는 전면에 설치된 흡입구(20a)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팬 모터(3)와 팬 모터 케이싱(5) 사이에 마련된 배기유로(A,B,C-1,C-2,D)를 통해 팬 모터 케이싱(5)의 상면에 마련된 배기구(3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팬 모터(3)의 흡입구(20a)로 흡입된 공기는 팬 모터(3)의 후단으로 배출된 후, 팬 모터(3)의 외측면을 따라 팬 모터(3)의 전단 쪽으로 이동하고, 팬 모터(3)의 전단부에서 팬 모터(3)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따라 팬 모터(3)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팬 모터(3)의 후단 상측에 형성된 배기구(37)로 배출된다. 따라서, 팬 모터(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팬 모터(3)의 주위에 형성된 긴 배기유로(A,B,C-1,C-2,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팬 모터(3)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된다.
또한, 모터 조립체(1)의 배기구(37)에서 배출된 공기는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110)에 마련된 배기 커버(160)의 복수의 관통구멍(161)을 통해 로봇 청소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 공기를 통해 방출되는 팬 모터(3)의 소음을 더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모터 조립체 3; 팬 모터
5; 팬 모터 케이싱 10; 모터부
11; 하우징 12; 고정자
13; 회전자 14; 회전축
20; 팬부 21; 전방 커버
22; 임펠러 23; 디퓨저
30; 케이스 몸체 31; 수직벽
33; 버퍼 챔버 35; 차단벽
36; 개구 37; 배기구
41, 42; 흡음부재 50; 인쇄회로기판
60; 연장부 71; 전방 진동차단부재
73; 후방 진동차단부재 100; 로봇 청소기
101; 제어부 110; 본체
120; 베이스 130; 상부 커버
140; 청소장치 151; 흡입 노즐
153; 집진장치

Claims (20)

  1. 전면에 설치된 팬의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모터를 감싸며, 상기 팬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팬 모터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팬 모터 케이싱의 배기유로는,
    상기 팬 모터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팬 모터의 상측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배기유로;
    상기 팬 모터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상기 팬 모터의 전단으로 안내하는 제2배기유로;
    상기 팬 모터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팬 모터의 좌측과 우측을 따라 상기 팬 모터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배기유로; 및
    상기 팬 모터의 하측 또는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3배기유로의 좌측 및 우측을 따라 이동한 상기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제4배기유로;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 케이싱은,
    상기 팬 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된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에 상기 팬 모터의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가 상기 케이스 몸체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를 전방 챔버와 후방 챔버로 구획하는 한 쌍의 수직벽; 및
    상기 팬 모터의 후단 부분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후방 챔버의 상부를 덮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유로는 상기 팬 모터의 후단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기유로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하면과 상기 팬 모터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기유로에는 흡음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배기유로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좌우 측면과 상기 팬 모터의 좌우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배기유로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면과, 상기 팬 모터의 상면, 및 상기 케이스 몸체의 차단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배기유로에는 흡음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 케이싱은 상부 케이스 몸체와 하부 케이스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의 전단과 상기 팬 모터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는 전방 진동차단부재; 및
    상기 팬 모터의 후단부와 상기 팬 모터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 진동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부가 마련된 청소기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모터 조립체의 배기구를 덮는 배기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와 상기 배기 커버 사이에는 실링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모터 수용부에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팬 모터 케이싱에는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커버에는 상기 모터 조립체의 배기구에 대응하는 부분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5. 전면에 설치된 팬의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팬 모터; 및
    상기 팬 모터를 감싸며, 상기 팬 모터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구로 안내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팬 모터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팬 모터 케이싱은,
    상기 팬 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된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
    상기 케이스 몸체의 좌우 측면에서 상기 팬 모터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팬 모터가 상기 케이스 몸체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부를 전방 챔버와 후방 챔버로 구획하는 한 쌍의 수직벽; 및
    상기 팬 모터의 후단 부분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후방 챔버의 상부를 덮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팬 모터의 외측면과 상기 팬 모터 케이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후면, 상기 팬 모터의 후면, 및 상기 케이스 몸체의 차단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팬 모터의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제1배기유로;
    상기 케이스 몸체의 하면과 상기 팬 모터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를 상기 팬 모터의 전단으로 안내하는 제2배기유로;
    상기 케이스 몸체의 좌우 측면과 상기 팬 모터의 좌우 측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팬 모터의 좌측과 우측을 따라 상기 팬 모터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배기유로; 및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면과, 상기 팬 모터의 상면, 및 상기 케이스 몸체의 차단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3배기유로의 좌측 및 우측을 따라 이동한 상기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제4배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기유로와 상기 제4배기유로 중 적어도 한 곳에는 흡음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 케이싱의 케이스 몸체는 상부 케이스 몸체와 하부 케이스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부가 마련된 청소기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모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모터 조립체의 배기구를 덮는 배기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KR1020160019770A 2016-02-19 2016-02-19 로봇 청소기 KR102450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770A KR102450240B1 (ko) 2016-02-19 2016-02-19 로봇 청소기
CN201780010442.6A CN108697288B (zh) 2016-02-19 2017-01-10 机器人清洁器
US16/076,838 US11452411B2 (en) 2016-02-19 2017-01-10 Robot cleaner
EP17753364.3A EP3381345B1 (en) 2016-02-19 2017-01-10 Robot cleaner
PCT/KR2017/000310 WO2017142202A1 (ko) 2016-02-19 2017-01-10 로봇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770A KR102450240B1 (ko) 2016-02-19 2016-02-19 로봇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981A true KR20170097981A (ko) 2017-08-29
KR102450240B1 KR102450240B1 (ko) 2022-10-05

Family

ID=5962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770A KR102450240B1 (ko) 2016-02-19 2016-02-19 로봇 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52411B2 (ko)
EP (1) EP3381345B1 (ko)
KR (1) KR102450240B1 (ko)
CN (1) CN108697288B (ko)
WO (1) WO2017142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479A (ko) * 2019-12-03 2021-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057907B1 (ja) * 2021-03-08 2022-04-21 オムロン株式会社 清掃装置
CN114271743B (zh) * 2021-12-09 2023-10-31 广东玛西尔电动科技有限公司 吸力装置及洗地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1269B1 (en) * 2002-07-04 2008-06-25 Aktiebolaget Electrolux Noise reduction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US20150128375A1 (en) * 2013-11-11 2015-05-14 NELA RAZVOJNI CENTER d.o.o. PODRUZNICA OTOKI Vacuum cleaner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system
KR20150125224A (ko) * 2014-04-30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US20160037984A1 (en) * 2014-08-11 2016-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867A (ko) * 1991-07-26 1993-02-22 배순훈 저소음 진공청소기
JPH10201678A (ja) 1997-01-17 1998-08-04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GB2344778A (en) * 1998-12-18 2000-06-21 Notetry Ltd Cyclonic separator and fan combination
KR100447410B1 (ko) 2002-02-19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로봇의 흡진장치
KR20060117711A (ko) 2005-05-13 2006-11-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모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060122521A (ko) 2005-05-27 200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756321B1 (ko) * 2006-11-28 2007-09-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용 케이스 조립체
KR20100117817A (ko) 2009-04-27 2010-11-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JP5216688B2 (ja) 2009-05-29 2013-06-19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CN201469182U (zh) 2009-06-10 2010-05-19 刘银桃 具有静音功能的干湿两用吸尘器
EP2316322A3 (en) 2009-11-02 2011-06-29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CN201727457U (zh) * 2010-05-06 2011-02-02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KR20120095489A (ko) 2011-02-19 2012-08-29 윤장식 원심형식의 습식 청소기
KR101320775B1 (ko) 2011-07-25 2013-10-22 한국과학기술원 소음 상쇄 시스템이 적용된 진공청소기 및 소음 상쇄 시스템이 적용된 진공청소로봇
KR101476206B1 (ko) 2012-05-24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1461985B1 (ko) 2013-04-04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N204365046U (zh) 2014-12-08 2015-06-03 磐安县万能印刷厂 一种新型除尘集尘器
CN204581157U (zh) 2015-03-11 2015-08-26 佛山市顺德区新朴诚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器的电机部组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1269B1 (en) * 2002-07-04 2008-06-25 Aktiebolaget Electrolux Noise reduction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US20150128375A1 (en) * 2013-11-11 2015-05-14 NELA RAZVOJNI CENTER d.o.o. PODRUZNICA OTOKI Vacuum cleaner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system
KR20150125224A (ko) * 2014-04-30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US20160037984A1 (en) * 2014-08-11 2016-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202A1 (ko) 2017-08-24
KR102450240B1 (ko) 2022-10-05
US20190045991A1 (en) 2019-02-14
CN108697288A (zh) 2018-10-23
EP3381345A1 (en) 2018-10-03
US11452411B2 (en) 2022-09-27
EP3381345A4 (en) 2019-04-10
CN108697288B (zh) 2021-12-24
EP3381345B1 (en)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161B1 (ko) 로봇 청소기
KR101692736B1 (ko) 로봇 청소기
KR102492164B1 (ko) 진공 청소기
KR20170097981A (ko) 로봇 청소기
JP2005028105A (ja) 真空掃除機用モータ組立体およびそ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KR100809738B1 (ko) 진공청소기
JP2023002820A (ja) クリーナ
US20190150687A1 (en) Robot cleaner
TWI581748B (zh) 吸塵器
KR100756321B1 (ko) 팬 모터용 케이스 조립체
KR100349292B1 (ko) 전기 청소기
KR100767118B1 (ko) 진공청소기
KR100213365B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구조
KR200205691Y1 (ko) 진공청소기 흡음케이스의 소음저감구조
KR100205687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조
KR100233512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기 유로구조
KR0124973Y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방지장치
KR20040096024A (ko) 진공청소기의 배기장치
KR19980017825A (ko) 진공청소기의 모터 장착구조
KR0148955B1 (ko) 조립이 용이한 흡음방구조
JPH09135794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01044829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체임버
KR100203855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배기구조
KR200192862Y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배기부구조
KR970002799Y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