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736B1 - 로봇 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736B1
KR101692736B1 KR1020150118685A KR20150118685A KR101692736B1 KR 101692736 B1 KR101692736 B1 KR 101692736B1 KR 1020150118685 A KR1020150118685 A KR 1020150118685A KR 20150118685 A KR20150118685 A KR 20150118685A KR 101692736 B1 KR101692736 B1 KR 10169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ction
unit
outlet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736B1/ko
Priority to PCT/KR2016/008891 priority patent/WO2017034198A1/en
Priority to US15/754,098 priority patent/US10702110B2/en
Priority to EP16839487.2A priority patent/EP3340848B1/en
Priority to AU2016310965A priority patent/AU2016310965B2/en
Priority to TW105125767A priority patent/TWI61064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팬 유닛의 구동에 의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된 흡입부; 상기 제1배출구에 결합되는 제1안내 부재; 상기 제2배출구에 결합되는 제2안내 부재; 및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고, 상기 제1안내 부재에 연통되는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안내 부재에 연통되는 제2연통공을 포함하는 사이클론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ROBOT CLEANER}
본 발명은 청소 성능이 향상된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우주 항공 로봇, 의료용 로봇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
가정용 로봇의 대표적인 예로 로봇 청소기를 들 수 있다. 로봇 청소기는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의 먼지(이물질을 포함한다)를 흡입하여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 주행 중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스스로 주행하며 청소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를 통해 먼지를 걸러내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필터에 먼지가 쌓이게 되어 필터가 쉽게 오염되고, 오염된 필터에 의해 흡입력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청소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의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설치되는 배터리의 용량이 커지게 되는데, 배터리를 사용함에 따라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배터리를 냉각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로봇 청소기의 청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청소 성능의 향상을 위해 흡입력을 높이게 되면, 공기의 흡입 및 배출시의 소음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력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흡입부가 통과하는 영역의 먼지가 효율적으로 흡입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가 구동되는 동안에 배터리를 냉각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유닛;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제1배출구에 결합되는 제1안내 부재; 상기 제2배출구에 결합되는 제2안내 부재; 및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고, 상기 제1안내 부재에 연통되는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안내 부재에 연통되는 제2연통공을 포함하는 사이클론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팬 유닛의 구동에 의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서, 하나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먼지와 공기는 두 개의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로 분배되어서 배출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흡입구에는 두 개의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흡입력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먼지와 공기가 두 개의 배출구로 분리된 후에 하나의 사이클론 유닛에서 다시 혼합되면서 먼지와 공기가 분리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사용하지만, 먼지와 공기가 분리되기 전에 먼지와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유로가 커지고, 각각의 유로에 흡입력이 분산될 수 있어서, 전체적인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는 상기 흡입부 내에서 서로 분리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구에 공급되는 흡입력이 보다 넓은 위치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 부재에 의해서 안내된 공기와 상기 제2안내 부재에 의해서 안내된 공기는 상기 사이클론 유닛 내에서 혼합되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사이클론 유닛이 별도로 구동될 필요가 없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분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배출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격벽과, 상기 제2배출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는 서로 다른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흡입부의 내부에 흡입력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1격벽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배출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3격벽과, 상기 제2격벽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배출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4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3격벽은 쌍을 이루고, 상기 제2격벽과 상기 제4격벽은 서로 쌍을 이루면서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로 안내되는 공기가 저항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흡입구의 폭은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의 폭을 합친 것보다 크고, 상기 흡입구는 한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로 분리되어 안내되지만, 상기 사이클론 유닛에서 다시 합쳐져서, 공기와 먼지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흡입부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는 상기 흡입부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부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면은 경사각을 이루기 때문에 바닥쪽에 위치한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로 이동될 때에 적은 저항을 받으면서 쉽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안내 부재와 상기 제2안내 부재는,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제1배출구와 사상기 제2배출구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안내 부재와 상기 제2안내 부재로쉽게 공기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사이클론 유닛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안내 부재는, 상기 제1연통공에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안내 부재는, 상기 제2연통공에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어서, 상기 제1안내 부재와 상기 제2안내 부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먼지가 상기 사이클론 유닛 내에서 발생되는 회전에 쉽게 편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 내에서 먼지와 공기의 분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은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의 단면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른 크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사이클론 유닛은 제1사이클론과 제2사이클론을 포함하는 멀티사이클론이고, 상기 제2사이클론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제1사이클론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의 하단은 상기 제2사이클론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안내 부재와 상기 제2안내 부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2사이클론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해야 전체적인 사이클론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사이클론의 상단에 배치되어야 상기 제2사이클론의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 상기 먼지 분리부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 유닛; 및 상기 팬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유로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팬 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로봇 청소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로봇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서 공기가 이동가능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팬 유닛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용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배터리와 열교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팬 유닛에 전기를 공급해서, 상기 팬 유닛은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해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청소기 본체가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에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는 배기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한 후에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서, 상기 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내에 먼지가 축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기 필터에 수직하게 공기를 안내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에서 연장되고, 공기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제2연통부와, 상기 제2연통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연통부에서의 공기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3연통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상기 제1연통부, 상기 제2연통부, 상기 제3연통부를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3연통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연통부와 상기 제2연통부를 차례대로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3연통부에서 배터리와 접촉할 수 있다. 고기는 상기 제3연통부에서 일부는 배터리와 직접 접촉하면서 열교환되고, 일부는 배터리에 접촉한 공기와 대류 등에 의해서 열교환이 되면서 배터리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이동하는 공기가 난류로 전환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층류에서 난류를 이루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연통부에 마련되어서, 상기 제3연통부에 설치된 배터리가 공기가 접촉하기 전에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부, 상기 먼지 분리부, 상기 팬 유닛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차례대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배치에 따를 경우에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제1연통부는 상기 팬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제1연통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3연통부는 상기 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연통부, 상기 제2연통부 및 상기 제3연통부는 상기 팬 유닛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서, 전체적으로 로봇 청소기의 내부 부품이 작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 상기 팬 유닛, 상기 먼지 분리부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차례대로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에 따를 경우에 상기 제1연통부는 상기 팬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제1연통부의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연통부는 상기 팬 유닛의 좌측에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연통부, 상기 제2연통부 및 상기 제3연통부는 상기 팬 유닛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서, 전체적으로 로봇 청소기의 내부 부품이 작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연통부는 상기 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제1연통부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연통부는 상기 팬 유닛의 우측에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연통부, 상기 제2연통부 및 상기 제3연통부는 상기 팬 유닛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서, 전체적으로 로봇 청소기의 내부 부품이 작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 및 상기 먼지 분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팬 유닛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를 둘러싸고, 제1흡기공 및 제1배기공이 형성된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를 둘러싸고, 제2흡기공 및 제2배기공이 형성된 제2챔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챔버는 상기 구동 모터를 둘러싸고,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챔버를 둘러싸서, 상기 구동 모터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챔버에 의해서 감싸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1차적으로는 상기 제1챔버에서 차단되고, 2차적으로 상기 제2챔버에서 차단되어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는,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 부재와, 상기 제1챔버 상부 부재에 결합되어 하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1챔버 하부 부재를 포함해서, 그 내측에 상기 구동 모터가 수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흡기공은 상기 제1챔버 상부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배기공은 상기 제1챔버 하부 부재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1흡기공과 상기 제1배기공이 서로 다른 부재에 배치된다.
상기 제1흡기공은 상측을 바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배기공은 측면을 바라보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1흡기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배기공으로 배출될 때에 공기의 이동 경로가 급격하게 변화되어 공기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하부 부재에는 상기 구동 모터의 하측에 접촉해서 상기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제1진동 감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에는 상기 구동 모터의 상측에 접촉해서 상기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제2진동 감쇠부가 구비되어서, 상기 구동 모터가 상측은 상기 제1진동 감쇠부에 접촉하고 하측은 상기 제2진동 감쇠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 감쇠부와 상기 제2진동 감쇠부는 진동이 발생되면 형상이 변형되거나 압축되면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해서, 상기 구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챔버는,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부 부재와,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에 결합되어 하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2챔버 하부 부재를 포함해서, 상기 제1챔버가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와 상기 제2챔버 하부 부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공은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배기공은 상기 제2챔버 하부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흡기공과 상기 제2흡기공이 위치를 달리하도록 분리되어서, 상기 제2흡기공과 상기 제2배기공을 통해서 일관된 공기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공에는 배기 필터가 구비되어서, 상기 제2배기공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거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필터는 빈 공간과는 달리 일정 수준의 밀폐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구동 모터에서 발생된 소음이 상기 제2배기공을 통해서 그대로 외부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배기 필터에 의해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공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흡기공을 통해서, 상기 구동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2흡기공의 상측에 배치되지만, 상기 제2흡기공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는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흡기공을 통해서 방출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제2흡기공에 이격되도록 상부에 배치되지만, 상측에서 내려다 봤을 때에 상기 제2흡기공을 전체적으로 덮는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2흡기공을 통해서 이동되는 소음의 경로를 차단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제2챔버의 상측에 배치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는 소음을 차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흡기공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가능하면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2흡기공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챔버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편과,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 고정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은 높이보다 폭이 얇은 부재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의 폭 방향은 상기 제2흡기공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동을 방해하는 주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폭이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는 상부가 하부보다 단면적이 작도록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흡기공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서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내측에 리세스가 형성되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흡기공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반사되는 면이 곡선의 형태를 이루어서 소음 차단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2흡기공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이클론 유닛에서 안내된 공기를 상기 팬 유닛으로 안내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관통공과 상기 제2흡기공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관통공에서 상기 제2흡기공으로 안내되는 공기 유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술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사이클론 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넓게 분포시키는 메쉬를 포함해서, 상기 메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커버의 상측에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으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어서, 상기 커버에 의해서 방해되는 공기의 유로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에 의해서 상기 제2흡기공에서 방출되는 상기 구동 모터의 소음이 일부 차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부가 지나가는 영역에 먼지가 효율적으로 흡입되어서 청소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동일한 흡입력을 이용해서 넓게 분포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어서, 흡입력에 대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입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소모되는 에너지 증가를 막을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입력 향상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증가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부에서 먼지와 공기가 흡입되는 면적이 고르게 분포될 수 있어서, 흡입부에서 먼지가 효율적으로 흡입될 수 있다. 즉 흡입부가 청소면을 바라보는 면 중에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에 흡입력이 넓고 고르게 분포될 수 있어서, 흡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에서 사용자에게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어, 로봇 청소기가 구동 중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발생되는 소음이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경로가 차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를 구동할 때에 배터리를 냉각할 수 있어서, 배터리의 사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서 청소기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를 냉각하기 위해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로봇 청소기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를 냉각하기 위해서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할 필요없이, 배터리가 구동되면 바로 공기를 공급해서 냉각을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상태 감지 등의 부수적인 구성요소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흡입부를 설명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커버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공기의 유동을 설명한 도면.
도 14는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개략도.
도 16은 다르게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하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6에서 하우징을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100)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의 먼지(이물질을 포함한다)를 흡입하여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로봇 청소기(100)는 이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청소기 본체(101), 제어부(미도시) 및 이동 유닛(110)을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101)는 내부 구성들을 수용하고, 이동 유닛(110)에 의해 바닥면을 주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청소기 본체(101)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봇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 주행 중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센서(103), 장애물과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댐퍼(104) 등이 수용 내지 장착될 수 있다.
이동 유닛(110)은 청소기 본체(101)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거나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주 바퀴(111) 및 보조 바퀴(112)를 포함한다.
주 바퀴(111)는 청소기 본체(10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주 바퀴(111)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바퀴(111) 각각은 서로 다른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주 바퀴(111) 각각은 회전축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바퀴들(111a, 111b)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주 바퀴(111)가 턱과 같은 장애물에 올라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바퀴(111a, 111b)가 장애물에 접촉되어 주 바퀴(111)가 헛도는 현상 없이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다.
보조 바퀴(112)는 주 바퀴(111)와 함께 청소기 본체(101)를 지지하며, 주 바퀴(111)에 의한 본체의 이동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를 사이클론 유닛을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실시예들에서 사이클론의 특징을 이용하지 않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면, 먼지를 회전력에 의해서 분리하는 사이클론 유닛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를 통과시켜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는 기술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흡입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청소기 본체(101)에 장착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유닛(120), 상기 청소기 본체(101)에 구비되며, 상기 팬 유닛(120)의 구동에 의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1)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34) 및 제2배출구(136)가 형성된 흡입부(130), 상기 제1배출구(134)에 결합되는 제1안내 부재(160), 상기 제2배출구(136) 결합되는 제2안내 부재(170) 및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고, 상기 제1안내 부재(160)에 연통되는 제1연통공(152)과, 상기 제2안내 부재(170)에 연통되는 제2연통공(154)을 포함하는 사이클론 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안내 부재(160)에 의해서 안내된 공기와 상기 제2안내 부재(170)에 의해서 안내된 공기는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 내에서 혼합되게 된다.
상기 팬 유닛(120)은 상기 흡입부(130)를 통해서 먼지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한다. 상기 흡입부(130)에서 흡입된 먼지와 공기는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을 통과하면서 먼지는 먼지통(미도시)으로 이동되고, 공기는 상기 팬 유닛(120)의 흡입력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지통을 분리해서 포집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0)는 청소면에 흡입력을 제공하면서, 청소면에 부착된 먼지와 공기를 함께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내부에 공기와 먼지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0)는 바닥면(132)에 상기 흡입구(131)가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136)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흡입구(131)에 의해서 흡입된 먼지와 공기는 두 개의 배출구, 즉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136)로 구분되어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0)는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136)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분리부(1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37)는 상기 제1배출구(134)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격벽(137a)과, 상기 제2배출구(136)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격벽(137b)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137a)과 상기 제2격벽(137b)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흡입구(131)에서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상기 흡입부(130) 내에서 저항을 받지않고,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37a)과 상기 제2격벽(137b)은 예각을 이루면서,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136)로부터 멀어질수록, 거리가 가까워지고, 일 단에 도달하면 상기 제1격벽(137a)과 상기 제2격벽(137b)이 서로 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흡입부(130)는, 상기 제1격벽(137a)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배출구(134)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3격벽(138)과, 상기 제2격벽(137b)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배출구(136)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4격벽(139)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흡입구(131)를 통해서 흡입된 먼지와 공기는 상기 제1격벽(137a)과 상기 제3격벽(138)을 통해서 상기 제1배출구(134)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격벽(137a)과 상기 제3격벽(138)은 상기 흡입구(131)에서 상기 제1배출구(134)로 이동할 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제1배출구(134)로 흡입력이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흡입구(131)를 통해서 흡입된 먼지와 공기는 상기 제2격벽(137b)과 상기 제4격벽(139)을 통해서 상기 제2배출구(136)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격벽(137b)과 상기 제4격벽(139)은 상기 흡입구(131)에서 상기 제2배출구(136)로 이동할 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제2배출구(136)로 흡입력이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흡입구(131)의 폭은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136)의 폭을 합친 것보다 크고, 상기 흡입구(131)는 한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흡입구(131)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136)로 분리되어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흡입구(131)는 상기 흡입부(130)의 폭에 유사하게 연장되어서, 상기 흡입부(130)가 통과하는 청소면에 먼지들이 빠짐없이 흡입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흡입부(130)에서 상기 흡입구(131)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상기 흡입부(130)가 지나갔음에도 상기 흡입구(131)에서 먼지가 흡입될 가능성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흡입구(131)보다는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136)의 폭이 작아서,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136)에 흡입력이 집중될 수 있어서, 상기 흡입부(130)를 통과한 먼지들이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30)의 바닥면(132)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경사진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흡입구(131)는 상기 흡입부(130)의 바닥면(132)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136)는 상기 흡입부(130)의 후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구(131)와 상기 제1배출구(134) 또는 상기 흡입구(131)와 상기 제2배출구(136)의 사이에 높낮이가 생길 수 있다.
상기 바닥면(132)에 형성된 경사로 인해서, 상기 흡입구(131)에 의해 흡입된 먼지와 공기는 더 적은 저항을 받으면서, 상기 흡입구(131)에서 상기 제1배출구(134) 및 상기 제2배출구(136)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격벽(137a), 상기 제2격벽(137b), 상기 제3격벽(138), 상기 제4격벽(139) 및 상기 바닥면(132)은 상기 흡입부(130) 내에서 이동되는 먼지와 공기들이 이동할 때에 작은 저항을 받도록, 매끈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흡입부(130) 내에서 이동되는 먼지와 공기는 상기 제1배출구(134)를 통해서 상기 제1안내 부재(160)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130) 내에서 이동되는 먼지와 공기는 상기 제2배출구(136)를 통해서 상기 제2안내 부재(170)로 이동된다.
상기 제1안내 부재(160)에 연통되는 상기 제1연통공(152)과 상기 제2안내 부재(170)에 의해서 연통되는 상기 제2연통공(154)은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즉 상기 흡입구(131)를 통해서 흡입된 먼지와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1안내 부재(160)를 통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으로 이동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안내 부재(170)를 통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흡입부(130)를 통해서 흡입된 후에 다시 두 개의 안내 부재로 분리되고, 하나의 사이클론 유닛(150)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 내에서 혼합되면서 먼지와 공기가 함께 분리된다.
상기 제1안내 부재(160)와 상기 제2안내 부재(170)는, 상기 제1배출구(134)와 상기 제2배출구(136)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배출구(134)와 사기 제2배출구(136)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먼지가 가능하면 작은 저항을 받으면서 상기 제1안내 부재(160)와 상기 제2안내 부재(17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 부재(160)는 상기 제1연통공(152)에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안내 부재(170)는 상기 제2연통공(154)에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은 기본적으로 사이클론 원리를 이용해서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다. 즉 먼지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입자이고 공기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입자이기 때문에,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 내에서 회전이동되면서 먼지와 공기가 서로 분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접선 방향으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내부로 진입하면서, 상기 팬 유닛(12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대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분리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 부재(160)와 상기 제2안내 부재(170)는 내부에 먼지와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양단에는 상기 제1배출구(134), 상기 제2배출구(136), 상기 제1연통공(152), 상기 제2연통공(154)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안내 부재(160)와 상기 제2안내 부재(170)는 그 내부에서 저항이 작아지도록 공기의 유로를 급격하게 변화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연통공(152)과 상기 제2연통공(154)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1연통공(152)과 상기 제2연통공(154)은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연통공(152)을 통과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에 진입하는 먼지와 공기는 상기 제2연통공(154)을 통과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에 진입하는 먼지와 공기와 혼합되어서 분리가 되기 때문에,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1연통공(152)과 상기 제2연통공(154)의 높이가 다를 경우에는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에서 흡입되는 회전력이 높이에 따라 균등하게 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내부에서 먼지와 공기의 회전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먼지와 공기에 대한 분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연통공(152)과 상기 제2연통공(154)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높이가 작아질 수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이 좀 더 컴팩트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은 제1사이클론(156)과 제2사이클론(158)을 포함하는 멀티사이클론이고, 상기 제2사이클론(158)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제1사이클론(156)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멀티사이클론에 대해서는 현재 당업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관련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멀티사이클론은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크기가 좀더 작아지면서, 먼지와 공기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상기 제1연통공(152)과 상기 제2연통공(154)은 상기 제2사이클론(158)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연통공(152)과 상기 제2연통공(154)에 의해서 흡입된 먼지와 공기는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에 진입하면서, 상기 제1사이클론(156)과 상기 제2사이클론(158)에 의해서 먼지와 공기가 분리되는데, 가능하면 상기 제1연통공(152)과 상기 제2연통공(154)이 상기 제2사이클론(158)의 상단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사이클론(156)과 상기 제2사이클론(158)의 기능을 충분히 이용하면서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a와 도 7a는 동일한 조건에서 사이클론 유닛에 먼지와 공기가 안내되는 안내 부재가 하나만 구비된 상태에 대한 실험 결과이고, 도 6b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안내 부재가 두 개가 구비된 상태의 실험 결과이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안내 부재가 두 개인 경우에는 안내 부재 내부의 공기 유동 속도가 줄어들게 되어서, 그만큼 안내 부재의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와 먼지가 저항을 적게 받게 된다.
또한 도 8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안내 부재가 한 개만 구비된 상태이고,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안내 부재가 두 개 구비된 상태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동일한 풍량을 제공할 때에, 안내 부재가 두 개가 구비되면 상기 팬 유닛에서 제공하는 압력이 작아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풍량 1CMM을 발생시킬 때에 안내 부재가 한 개인 경우에는 2431Pa를 발생시켜야 하지만, 안내 부재가 두 개인 경우에는 1712Pa를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안내 부재가 두 개의 늘어나게 되면, 먼지와 공기의 흡입 효율은 물론 먼지와 공기의 분리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과 비교했을 때에 손실이 저감하게 되고, 풍량이 증가될 수 있어서, 전체적인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에서 분리된 공기는 도 9에 도시된 안내부(280)를 통해서 팬 유닛(120)에 이동된다.
즉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관통공(282)을 통해서 상기 안내부(280)로 진입한 후에, 상기 팬 유닛(120)을 통과하고, 상기 팬 유닛(120)에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30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에서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팬 하우징(300)의 측면에서, 상기 팬 하우징(300)의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280)는 상기 팬 유닛(120)의 상측에 마련되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의 상측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팬 유닛(120)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200)와, 상기 구동 모터(200)를 둘러싸고, 제1흡기공(211) 및 제1배기공(213)이 형성된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210, 212)를 둘러싸고, 제2흡기공(231) 및 제2배기공(233)이 형성된 제2챔버(230, 2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 유닛(120)은 실질적으로 가장 큰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 모터(200)를 상기 제1챔버(210, 212)와 상기 제2챔버(230, 232)에 의해서 이 중으로 감싸기 때문에 소음 및 진동이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 유닛(120)에서 진동 및 소음의 차단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200)는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회전축에 연결된 날개가 회전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동에 의해서 상기 흡입부(130)에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흡입부(130)를 통해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10, 212)는,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 부재(210)와, 상기 제1챔버 상부 부재(210)에 결합되어 하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1챔버 하부 부재(2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200)는 상기 제1챔버 상부 부재(210) 및 상기 제1챔버 하부 부재(212)의 결합된 내부 공간에 수용가능하다
상기 제1흡기공(211)은 상기 제1챔버 상부 부재(210)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배기공(213)은 상기 제1챔버 하부 부재(212)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흡기공(211)은 상측을 바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배기공(213)은 측면을 바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흡기공(211)과 상기 제1배기공(213)은 상기 구동 모터(200)의 흡입되는 부분과 배기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공(211)과 상기 제1배기공(213)은 서로 다른 부재에 마련되어서, 상기 제1흡기공(211)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1배기공(213)을 통과해서 외부로 배출될 때에, 상기 제1챔버(210, 212) 내에서 공기의 유로가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고 완만한 굴곡을 가지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210, 2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저항이 감소되어, 상기 구동 모터(200)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모터(200)는 회전을 하면서 공기 흐름이 발생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서, 상기 제1챔버 하부 부재(212)에는 상기 구동 모터(200)의 하측에 접촉해서 상기 구동 모터(200)를 지지하는 제1진동 감쇠부(2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230)에는 상기 구동 모터(200)의 상측에 접촉해서 상기 구동 모터(200)를 지지하는 제2진동 감쇠부(218)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모터(200)는 상측은 상기 제2진동 감쇠부(218), 하측은 상기 제1진동 감쇠부(216)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1챔버 상부 부재(210) 및 상기 제1챔버 하부 부재(212)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는다.
상기 제1진동 감쇠부(216)와 상기 제2진동 감쇠부(218)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진동 감쇠부(216)와 상기 제2진동 감쇠부(218)는 상기 구동 모터(200)에 진동이 발생할 때에 변형되면서, 진동에 의한 에너지를 흡수해서, 진동은 물론 진동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진동 감쇠부(216)와 상기 제2진동 감쇠부(218)는 상기 제1챔버(210, 212) 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아서, 상기 제1진동 감쇠부(216)와 상기 제2진동 감쇠부(218)에 의해서 흡입력이 감소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진동 감쇠부(216)는 상기 구동 모터(200)와 상기 제1챔버 상부 부재(210)가 결합되는 결합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진동 감쇠부(218)는 상기 구동 모터(200)와 상기 제2챔버 하부 부재(232)가 결합되는 결합면 상에 배치되어서, 상대적으로 공기가 이동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1배기공(213)은 상기 제1챔버 하부 부재(212)의 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구동 모터(200)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챔버(230, 232)는,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부 부재(230)와,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230)에 결합되어 하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2챔버 하부 부재(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230)와 상기 제2챔버 하부 부재(232)가 결합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제1챔버(210, 212)가 완전히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제1챔버(210, 212)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상기 제2챔버(230, 232)에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230, 232)는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230)와 상기 제2챔버 하부 부재(232)의 두 개의 부재로 구분되기 때문에, 상기 제1챔버(210, 212)와 상기 제2챔버(230, 232)를 결합시킬 때에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제2흡기공(231)은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230)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배기공(233)은 상기 제2챔버 하부 부재(232)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흡기공(231)은 상측을 바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배기공(233)은 측면을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흡기공(231)과 상기 제2배기공(233)도 서로 다른 부재인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230)와 상기 제2챔버 하부 부재(232)에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제2챔버(230, 232)의 내부에서 상기 제2흡기공(231)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2배기공(233)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흡기공(211)과 상기 제2흡기공(231)은 서로 바라보는 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흡기공(231)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흡기공(211)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배기공(213)과 상기 제2배기공(233)도 서로 바라보는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배기공(213)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배기공(233)으로 큰 저항을 받지 않고 토출되도록 유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챔버 하부 부재(232)에 형성된 상기 제2배기공(233)에는 배기 필터(290)가 구비되어서, 상기 제2배기공(233)을 통과해서 먼지가 한 번 더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필터(290)는 상기 제2배기공(233)이 완전히 노출되지 않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밀폐를 하기 때문에 상기 제2챔버(230, 23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제2챔버(230, 232)의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상부 부재(230)의 상면에는 상기 제2흡기공(231)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편(234)이 마련된다.
상기 안착편(234)은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안내부(280)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편(234)의 상면에는 실링 부재(240)가 구비되고, 그 상측에 상기 안내부(280)가 배치된다. 상기 실링 부재(240)는 상기 안착편(234)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되어서, 상기 안내부(280)와 상기 안착편(234)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280)는 상기 관통공(282)을 통해서 수평한 방향으로 입사된 공기가 상기 안내부(280) 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경로가 변형되어서, 상기 제2흡기공(231)으로 안내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2흡기공(23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흡기공(231)을 통해서, 상기 구동 모터(2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25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250)는 상기 제2흡기공(231)의 상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흡기공(231)을 통해 상기 제2챔버(230, 232)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그대로 상기 제2흡기공(231)의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커버(250)는 상기 제2흡기공(231)을 통해서 이동되는 소음의 경로를 차단하는 커버부(252)와, 상기 커버부(252)를 상기 제2챔버(230, 232)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지지부(25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54)는 상기 제2챔버(230, 232)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편(255)과, 상기 커버부(252)의 상측에 고정되는 암(256)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252)는 상기 제2흡기공(231)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280)를 통해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커버(250)에 의해서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상기 커버(250)는 상기 제2흡기공(231)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250)의 상측에서 상기 제2흡기공(231)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유로는 상기 커버(250)에 의해서 방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250)는 소음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 반면에, 상기 커버(250)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지지부(254)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256)은 높이보다 폭이 얇은 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안내부(280)에서 상기 제2흡기공(231)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적게 받을 수 있다. 상기 지지편(255)과 상기 암(256)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구성되어서, 상기 커버부(252)가 상기 제2흡기공(231)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마련하면서, 공기 유동을 방해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252)는 상부가 하부보다 단면적이 작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형상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252)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기가 상기 커버부(252)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2흡기공(231)으로 이동될 때에 공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52)는 내측에 리세스(253)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253)는 상기 제2흡기공(231)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253)를 통해서 상기 제2흡기공(231)을 통해서 상측으로 전파되는 소음을 좀더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250)의 소음 감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측에서 내려다 봤을 때에, 상기 커버부(252)는 상기 제2흡기공(231)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흡기공(231)을 통해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소음은 상기 커버부(252)에 의해서 그대로 전파되는 것이 막아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커버부(252)는 상기 제2흡기공(231)을 전체적으로 가리되, 상기 커버부(252)는 상기 제2흡기공(231)으로부터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커버부(252)와 상기 제2흡기공(231)의 사이에 빈 공간이 있어서, 공기가 상기 커버부(252)와 상기 제2흡기공(231)의 사이를 통해서, 상기 제2흡기공(231)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50)는 상기 관통공(282)과 상기 제2흡기공(231)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안내부(280)는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을 통과한 공기를 넓게 분포시키는 메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260)는 복수 개의 구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메쉬(260)의 상측에서 상기 메쉬(260)를 통과해서 상기 메쉬(260)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좀더 상기 메쉬(260)의 단면적을 따라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쉬(260)를 통과하면서 공기는 상기 커버부(252)에 집중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252)의 외곽쪽으로도 이동되어서, 공기 유동이 상기 커버부(252)에 집중되어 발생되는 흡입력 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안내부(280), 상기 팬 유닛(120) 및 상기 하우징(300)을 통과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사이클론 유닛(150)에서 걸러진 공기는 상기 관통공(282)을 통과하면서 상기 안내부(280)로 진입한다.
상기 메쉬(260)에 의해서 상기 안내부(280)에서 공기가 좀 더 고르게 퍼지고, 상기 커버부(252)의 외곽을 통과해서, 상기 제2흡기공(231)으로 진입한다. 상기 지지부(254)가 공기 유로를 크게 방해하지는 않기 때문에, 공기 흐름은 상기 지지부(254)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상기 제2흡기공(231), 상기 제1흡기공(211)로 흡입되고, 상기 구동 모터(200)로 진입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1배기공(213), 상기 제2배기공(233)을 차례대로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하우징(300)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구동 모터(200)는 구동되면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상기 제1진동 감쇠부(216) 및 상기 제2진동 감쇠부(218)에 의해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가 두 겹으로 상기 구동 모터(200)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진동 및 소음이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커버(250)는 상기 제2흡기공(231)의 상측에 이격되어서, 상기 제2흡기공(231)을 가리기 때문에 상기 구동 모터(2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차폐될 수 있다.
도 11은 커버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52)는 상부가 하부보다 단면적이 작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부(252)는 공기 유동의 저항을 적게 발생시키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252)는 그 내측에 하면을 리세스(253)가 형성되어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소음 중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252)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부분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공기의 유동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3a는 하우징 내에 돌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예이고, 도 12b 및 도 13b는 하우징 내에 돌출부가 형성된 예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00)은 전체적으로 상기 팬 유닛(120)의 후방과 상기 팬 유닛(120)의 하방에 배치된다.
도 12a에서 개시된 청소기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흡입부(130), 상기 먼지 분리부(150), 상기 팬 유닛(120)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차례대로 배치된다. 이때 전방은 도 3 및 도 12a에서 좌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도 3 및도 12a에서 우측을 의미한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팬 유닛(1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어서, 상기 하우징(300)의 유입구(302)에서 상기 배기 필터(29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하우징(300)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300)에는 상기 팬 유닛(12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400)가 수용되고,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배터리(400)와 열교환된다.
로봇 청소기는 상기 배터리(400)에 외부 전원에 의해서 전기가 충전되고, 충전된 전기가 상기 팬 유닛(120)에 공급되면서, 로봇 청소기는 외부 전원에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주행을 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팬 유닛(120)에서 토출되고, 상기 하우징(300)으로 안내되는 공기는 상기 유입구(302)에 마련된 상기 배기 필터(29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일부 먼지들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배기 필터(290)에 수직하게 공기를 안내하는 제1연통부(310) 와, 상기 제1연통부(310)에서 연장되고, 공기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제2연통부(320)와, 상기 제2연통부(320)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연통부(310)에서의 공기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3연통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통부(310)는 상기 팬 유닛(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통부(320)는 상기 제1연통부(3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3연통부(330)는 상기 팬 유닛(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통부(310), 상기 제2연통부(320) 및 상기 제3연통부(330)는 상기 팬 유닛(120)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면서, 상기 팬 유닛(12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부(310)는 상기 배기 필터(29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배기 필터(290)의 후방, 즉 상기 배기 필터(290)를 통과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부(320)는 상기 제1연통부(310)를 통해서 안내된 공기의 방향이 전환될 때에, 급격한 방향 변화로 인해서 저항이 증가되어 유속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통부(320)는 상기 제3연통부(330)와 상기 제1연통부(31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연통부(310)와 상기 제3연통부(330)의 사이에서 공기의 전환 방향이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이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연통부(330)는 상기 제2연통부(320)를 통해서 안내된 공기가 계속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상기 제3연통부(330)에서 공기는 상기 제1연통부(310)에서의 진행 방향에 180도 바뀌어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300) 내에서는 상기 팬 유닛(120)에서 토출된 공기의 이동방향이 안내되면서, 상기 하우징(300)은 물론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400)는 상기 제3연통부(33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연통부(310)는 상기 팬 유닛(1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초기에 이동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연통부(320)는 상기 제1연통부(310)를 통과한 공기의 방향이 초기에 전환되는 부분이다. 반면에 상기 제3연통부(330)는 상기 제2연통부(320)를 통과한 공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4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0)가 상기 제3연통부(330)에 배치되면, 상기 제3연통부(330)에서 방향이 가지런해진 공기의 유동과 접촉하면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40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400)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서 상기 배터리(400)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400)를 냉각하기 위해서, 별도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 상기 팬 유닛(120)에서 방출되는 공기를 이용해서 냉각을 한다. 상기 팬 유닛(120)은 청소를 할 때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구동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배터리(400)를 냉각하기 위해서 특별하게 구동되는 구성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상기 팬 유닛(120)이 구동될 때에 상기 팬 유닛(120)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기 유동을 상기 배터리(400)를 냉각하는 데에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400)는 외부에 전기를 공급할 때에, 즉 상기 팬 유닛(120)을 구동할 때에 열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배터리(400)는 외부에 전기를 공급하지 않을 때에는 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다가 상기 팬 유닛(120)을 구동하게 되면 상기 팬 유닛(120)은 물론 상기 배터리(400)에서 자체적으로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시기에 상기 팬 유닛(120)에서 발생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400)가 냉각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400)에 공기 유동을 공급하는 시기를 별도로 조절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13a에서와 같이, 상기 팬 유닛(12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1연통부(310), 상기 제2연통부(320) 및 상기 제3연통부(330)를 통과하면서 상기 배터리(400)와 열교환될 수 있다.
도 12b에서는 상기 하우징(300)에 공기가 난류로 전환되도록 하는 돌출부(350)가 형성된 예이다.
상기 돌출부(350)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서 이동하는 공기가 층류에서 난류로 변환된도록 한다.
난류는 불규칙한 유체의 흐름을 의미하고, 규칙적으로 흐르는 흐름을 층류라 한다. 난류에는 여러 소용돌이가 불규칙하게 존재할 수 있고, 층류에 비해서 수송계수가 크고 물체에 끼치는 저항 또한 크다. 이러한 난류는 유체의 가장자리가 굴곡있고 유속이 빠르며 유체 점성이 작을 때 발생된다.
상기 하우징(300)내에서 층류가 아닌 난류가 발생되면 더 많은 공기가 상기 배터리(400)와 열교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400)를 냉각하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돌출부(350)가 형성되면 상기 하우징(300) 내에서 더 많은 난류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350)는 상기 배터리(400)가 설치되는 제3연통부(330)가 아닌 그 전에 위치한 제2연통부(320)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연통부(320)에서 발생된 난류가 상기 배터리(400)와 열교환되어서,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개략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부(130), 상기 팬 유닛(120), 상기 먼지 분리부(150)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차례대로 배치된다. 도 14에서 좌측이 전방을 의미하고, 도 14에서 우측이 후방을 의미한다.
상기 팬 유닛(12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300)에 배치되어서 상기 팬 유닛(12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도 15에서 아래쪽은 전방을 의미하고, 왼쪽은 좌측을 의미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통부(310)는 상기 팬 유닛(1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통부(320)는 상기 제1연통부(310)의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연통부(330)는 상기 팬 유닛(120)의 좌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팬 유닛(12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제3연통부(330)에 배치된 상기 배터리(400)가 냉각될 수 있다.
상기 팬 유닛(120)에서 상기 팬 유닛(120)의 전방을 향해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1연통부(310)를 따라 상기 팬 유닛(12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통부(320)를 따라 상기 제1연통부(310)의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3연통부(330)를 따라 상기 팬 유닛(120)의 좌측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배터리(400)를 냉각할 수 있다.
도 16은 다르게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하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도 16에서 하우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부(130), 상기 팬 유닛(120), 상기 먼지 분리부(150)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차례대로 배치된다. 도 16에서 왼쪽은 전방을 의미하고, 오른쪽은 후방을 의미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연통부(310)는 상기 팬 유닛(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통부(320)는 상기 제1연통부(310)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연통부(330)는 상기 팬 유닛(12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배기 필터(29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1연통부(310)를 따라서 상기 배기 필터(290)의 단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되고, 상기 제2연통부(320)를 따라서 방향이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제3연통부(330) 내에서 완전히 방향이 변화되어서 상기 배터리(400)를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을 통과한 후에 상기 토출구(306)를 통해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제2연통부(320)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350)가 마련되어서, 상기 하우징(300) 내에서 이동하는 공기가 층류가 아닌 난류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00)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배터리(400)와 열교환되는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1: 청소기 본체 110: 이동 유닛
120: 팬 유닛 130: 흡입부
131: 흡입구 134; 제1배출구
136: 제2배출구 137: 분리부
150: 사이클론 유닛 152: 제1연통공
154: 제2연통공 156: 제1사이클론
158: 제2사이클론 160: 제1안내 부재
170: 제2안내 부재
200: 구동 모터 210: 제1챔버 상부 부재
212: 제1챔버 하부 부재 230: 제2챔버 상부 부재
232: 제2챔버 하부 부재 250: 커버
252: 커버부 254: 지지부
280: 안내부 290: 배기 필터
300: 하우징
310: 제1연통부 320: 제2연통부
330: 제3연통부 350: 돌출부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유닛;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팬 유닛의 구동에 의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된 흡입부;
    상기 제1배출구에 결합되는 제1안내 부재;
    상기 제2배출구에 결합되는 제2안내 부재; 및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고, 상기 제1안내 부재에 연통되는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안내 부재에 연통되는 제2연통공을 포함하는 사이클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내 부재와 상기 제2안내 부재는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안내 부재에 의해서 안내된 공기와 상기 제2안내 부재에 의해서 안내된 공기는 상기 사이클론 유닛 내에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분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배출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격벽과, 상기 제2배출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1격벽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배출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3격벽과,
    상기 제2격벽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배출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4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폭은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의 폭을 합친 것보다 크고,
    상기 흡입구는 한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로 분리되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흡입부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는 상기 흡입부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사이클론 유닛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 부재는,
    상기 제1연통공에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 부재는,
    상기 제2연통공에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은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유닛은 제1사이클론과 제2사이클론을 포함하는 멀티사이클론이고,
    상기 제2사이클론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제1사이클론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의 하단은 상기 제2사이클론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6. 외관을 형성하는 청소기 본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흡입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된 흡입부;
    상기 제1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 부재;
    상기 제2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제1안내 부재와 분리된 유로를 형성하는 제2안내 부재;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안내 부재와 상기 제2안내 부재에서 안내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고, 상기 제1안내 부재에 연통되는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안내 부재에 연통되는 제2연통공을 포함하는 사이클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안내 부재와 상기 제2안내 부재를 통해서 분리된 유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2연통공을 각각 통과한 후에 상기 사이클론 유닛 내에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KR1020150118685A 2015-08-24 2015-08-24 로봇 청소기 KR101692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85A KR101692736B1 (ko) 2015-08-24 2015-08-24 로봇 청소기
PCT/KR2016/008891 WO2017034198A1 (en) 2015-08-24 2016-08-12 Robot cleaner
US15/754,098 US10702110B2 (en) 2015-08-24 2016-08-12 Robot cleaner
EP16839487.2A EP3340848B1 (en) 2015-08-24 2016-08-12 Robot cleaner
AU2016310965A AU2016310965B2 (en) 2015-08-24 2016-08-12 Robot cleaner
TW105125767A TWI610648B (zh) 2015-08-24 2016-08-12 清掃機器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85A KR101692736B1 (ko) 2015-08-24 2015-08-24 로봇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736B1 true KR101692736B1 (ko) 2017-01-04

Family

ID=5783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685A KR101692736B1 (ko) 2015-08-24 2015-08-24 로봇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02110B2 (ko)
EP (1) EP3340848B1 (ko)
KR (1) KR101692736B1 (ko)
AU (1) AU2016310965B2 (ko)
TW (1) TWI610648B (ko)
WO (1) WO201703419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1896B2 (en) 2018-07-19 2020-10-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06317B2 (en) 2018-07-19 2020-10-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246462B2 (en) 2019-11-18 2022-02-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inlet cyclone
US11751740B2 (en) 2019-11-18 2023-09-1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inlet cycl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6157A (zh) * 2017-06-18 2017-09-05 毛强平 一种扫地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102590139B1 (ko) * 2018-11-13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JP1679790S (ko) * 2020-03-25 2021-04-19
USD987924S1 (en) * 2020-07-14 2023-05-30 Hobot Technology Inc. Cleaning robot
JP1708854S (ja) * 2021-01-14 2022-03-02 掃除ロボ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73B1 (ko) * 2008-04-16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JP2013022437A (ja) * 2011-07-19 2013-02-04 Hajime Ishii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2013240599A (ja) * 2012-05-17 2013-12-05 Dyson Technology Ltd 自律型真空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2621B2 (en) * 2001-01-12 2003-03-18 Royal Appliance Mfg. Co. Vacuum cleaner with noise suppression features
KR100645376B1 (ko) 2005-03-29 2006-11-1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멀티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778125B1 (ko) * 2005-12-19 2007-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콤팩트한 로봇청소기
KR100715819B1 (ko) * 2006-03-15 2007-05-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높이 차가 있는 복수 개의 흡입구를 갖는 집진장치
ES2379401T3 (es) * 2007-02-15 2012-04-25 Hanool Robotics Corp. Robot de limpieza que tiene función de realimentación de aire de escape
KR101457423B1 (ko) 2008-06-17 201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량감지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청소장치
US8887349B2 (en) * 2009-04-16 2014-11-1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CN203736119U (zh) 2011-09-29 2014-07-30 夏普株式会社 清扫机器人
US9282867B2 (en) 2012-12-28 2016-03-15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coverage robot
TW201519844A (zh) 2013-11-18 2015-06-01 Weistech Technology Co Ltd 可搭配及/或替換多功能模組盒之移動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73B1 (ko) * 2008-04-16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JP2013022437A (ja) * 2011-07-19 2013-02-04 Hajime Ishii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2013240599A (ja) * 2012-05-17 2013-12-05 Dyson Technology Ltd 自律型真空掃除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1896B2 (en) 2018-07-19 2020-10-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06317B2 (en) 2018-07-19 2020-10-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166609B2 (en) 2018-07-19 2021-11-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246462B2 (en) 2019-11-18 2022-02-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inlet cyclone
US11751740B2 (en) 2019-11-18 2023-09-1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inlet cycl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0648B (zh) 2018-01-11
TW201707637A (zh) 2017-03-01
AU2016310965A1 (en) 2018-03-01
EP3340848A4 (en) 2019-03-06
EP3340848A1 (en) 2018-07-04
US10702110B2 (en) 2020-07-07
WO2017034198A1 (en) 2017-03-02
US20180242801A1 (en) 2018-08-30
EP3340848B1 (en) 2023-07-19
AU2016310965B2 (en)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161B1 (ko) 로봇 청소기
KR101692736B1 (ko) 로봇 청소기
US10952582B2 (en) Robot cleaner
RU2299668C2 (ru) Выпуск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и пылесос,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492164B1 (ko) 진공 청소기
RU2295273C2 (ru) Всасывающий входной узел пылесоса
EP3381345B1 (en) Robot cleaner
KR100809738B1 (ko) 진공청소기
KR101436631B1 (ko) 진공 청소기
US20050138755A1 (en) Vacuum cleaner
EP0453296A1 (en) Vacuum cleaner
CN111588303B (zh) 吸尘器
KR200205691Y1 (ko) 진공청소기 흡음케이스의 소음저감구조
JP6111431B2 (ja) 電気掃除機
KR100784712B1 (ko) 진공 청소기용 모터 케이스 구조
KR950012122B1 (ko) 저소음 진공청소기
KR100270801B1 (ko) 진공청소기의 일체형 흡음장치
KR100213365B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구조
KR100577277B1 (ko) 진공청소기
JPH09135794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02297759B1 (ko) 로봇 청소기
KR960005002B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장치
KR102367199B1 (ko) 로봇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