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817A - 로봇 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817A
KR20100117817A KR1020090036476A KR20090036476A KR20100117817A KR 20100117817 A KR20100117817 A KR 20100117817A KR 1020090036476 A KR1020090036476 A KR 1020090036476A KR 20090036476 A KR20090036476 A KR 20090036476A KR 20100117817 A KR20100117817 A KR 20100117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leaner
dust
air
discharge passag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철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7817A/ko
Publication of KR2010011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후방측 아래에 배치되며, 바닥면으로 부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흡입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흡입구로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집진하기 위한 먼지통, 먼지통과 연통하도록 먼지통 전방에 배치되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로부터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필터와 연통하도록 필터 전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며, 필터로부터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 및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흡입구의 후방측에는 먼지나 오물을 상기 먼지통의 내부로 쓸어담기 위해 로봇 청소기의 휠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는 역회전브러쉬를 포함한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의 구조에 따르면, 바닥면으로부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고, 먼지통을 통과하고,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역회전브러쉬에 의하여,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먼지 흘림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커튼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로봇 청소기, 냉각 장치, 역회전브러쉬

Description

로봇 청소기{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구가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그에 따른 흡입팬이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 내부(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들)를 냉각시킬 수 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흡입구가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그에 따른 흡입팬이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흡입구 아래에 로봇 청소기의 휠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을 하는 역회전브러쉬가 제공됨으로써, 흘림 방지를 위한 커튼 없이,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먼지 흘림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로봇의 대표적인 예인,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에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할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자동 청소 기기를 말한다.
로봇 청소기는 거리센서를 통해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의 좌륜모터와 우륜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스스로 방향을 전환해가면서 청소구역을 청소한다.
또한, 로봇 청소기는 내부에 구비된 흡입팬에 의해 주행경로에 있는 먼지를 흡입하여 내부에 적재하며, 먼지 등의 이물질은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 구비된 메인브러쉬에 의해 흡입구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에는 각종 센서, 제어 장치 등의 전자부품 및 좌륜모터와 우륜모터 등의 기계부품들이 탑재되어 청소할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각종 부품들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이 보관되어 있는 하우징의 온도가 올라가 각종 부품들의 성능이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로봇 청소기의 성능 및 품질의 저하가 촉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에서는 BLDC 모터를 사용하여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 진공흡입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방안이 제안되기도 했는데, 이는 BLDC 모터의 특성상 대용량의 모터 제작이 안되고 로봇 청소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흡입구가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구성만이 존재하므로, 로봇 청소기의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로봇 청소기의 휠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메인브러쉬가 뒷쪽으로 먼지나 오물을 쳐내서 흡입구로 빨려들어가지 못하는 경우, 먼지나 오물들이 그대로 바닥에 남아 있게 되어 청소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흡입구 후방측에 로봇 청소기의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흘림 방지를 위한 흘림 방지 커튼을 장착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흘림 방지 커튼 및 커튼에 걸쳐진먼지나 오물들이 바닥에 끌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적지 않은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흡입구가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그에 따른 흡입팬이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흡입구가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그에 따른 흡입팬이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흡입구 아래에 로봇 청소기의 휠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을 하는 역회전브러쉬가 제공됨으로써,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먼지 흘림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치 않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성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 아래에 배치되며, 바닥면으로 부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집진하기 위한 먼지통, 상기 먼지통과 연통하도록 상기 먼지통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로부터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및 상기 필터와 연통하도록 상기 필터 전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로부터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고, 상기 먼지통을 통과하고,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 내부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먼지나 오물 및 공기가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으로부터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으로 배치되는 흡입구, 먼지통, 필터, 흡입팬을 차례로 거쳐 집진 또는 배출되는 구성을 가졌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먼지나 오물 및 공기가 흡입구, 먼지통, 필터, 흡입팬의 순서로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으로부터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으로 집진 또는 배출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 내의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들이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고려할 때, 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가 흡입팬으로부터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으로 배출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로봇 청소기 내에 탑재된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들을, 별도의 냉각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 냉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봇 청소기는, 일 단부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바닥면을 향하며, 다른 단부가 상기 흡입팬과 연통하는 제1공기배출통로 및 일 단부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내부를 향하며, 다른 단부가 상기 흡입팬과 연통하는 제2공기배출통로,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를 개폐하는 제1차 단막 및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를 개폐하는 제2차단막, 상기 로봇 청소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2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를 개방하여,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 부품 및 기계 부품들로 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2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를 폐쇄하여,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 외부 바닥을 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항상 동일한 공기배출통로를 통과하는여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로봇 청소기의 내부 상황(예를 들어,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서 제1공기배출통로 및 제2공기배출통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공기배출통로를 통과하여 로봇 청소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 부품 및 기계 부품들로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 부품 및 기계 부품들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고,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공기배출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 외부 바닥을 향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의 먼지나 오물을 사이드브러쉬로 쓸어담기 전에 먼지나 오물을 바닥에서 미리 날려 추후에 흡입이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성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 아래에 배치되며, 바닥면으로 부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집진하기 위한 먼지통, 상기 먼지통과 연통하도록 상기 먼지통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로부터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및 상기 필터와 연통하도록 상기 필터 전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로부터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을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흡입구의 후방측에는 먼지나 오물을 상기 먼지통의 내부로 쓸어담기 위해 상기 로봇 청소기의 휠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는 역회전브러쉬가 제공되어,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먼지나 오물의 흘림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에서 후방측 방향으로, 흡입구, 먼지통, 필터, 흡입팬이 순서대로 배치되며 흡입구의 전방 아래측에 메인브러쉬가 존재하므로,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메인브러쉬가 뒤로 먼지를 쳐서 흡입구로 빨려들어가지 못한 먼지나 오물이 그대로 바닥에 남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흡입구의 후방측에 역회전브러쉬(로봇 청소기 휠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함)가 배치되어, 먼지나 오물을 앞으로 쳐줌으로써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먼지 흘림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이러한 먼지나 오물의 흘림 방지를 위하여 흘림 방지 커튼을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여 흘림 방지 커튼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흘림 방지 커튼이 바닥에 끌림으로써 발생하는 원치않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역회전브러쉬는 브러쉬길이가 8.5 mm 내지 9 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브러쉬길이가 8.5 mm 내지 9 mm의 범위 내에서 존재함으로 바닥과 브러쉬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줄이는 동시에, 기존의 로봇 청소기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쉬에 비하여 흡입량과 흡입률이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 좌우에 배치되는 사이드브러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사이드브러쉬는 로봇 청소기의 휠의 회전방향과 일치하게 회전을 하고,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 좌우에 배치됨으로써 로봇이 진행하고 있는 방향에 존재하는 먼지나 오물을 흡 입구가 존재하는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로봇 청소기의 성능을 더욱 높여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및 로봇 청소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의 발열로 인한 전자부품, 기계부품 및 로봇 청소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가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그에 따른 흡입팬이 전방측에 배치되며, 흡입구 아래에 진행 방향과는 반대로 회전을 하는 역회전 브러쉬가 제공됨으로써, 흘림 방지를 위한 커튼 없이,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먼지 흘림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커튼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측면에서의 로봇 청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공기의 흐름을 포함한, 흡입팬 부근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로봇 청소기(10)는 흡입구(11), 먼지통(12), 필터(13), 흡입팬(14), 제1 및 제2공기배출통로(15a, 15b), 역회전브러쉬(16), 사이드브러쉬(17), 휠(18)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0)에는 로봇 청소기(10)의 작동의 필요한 각종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지만,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기술의 로봇 청소기에서는 흡입구, 먼지통, 필터, 흡입팬, 배출구의 순서로, 이를 요소들이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따른 로봇 청소기(10)는, 흡입팬(14)이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에 아래에 배치되며, 흡입팬(14)과 연통하도록 그 상부에 먼지통(12)이 배치되고, 필터(13)는 먼지통(12)과 연통하도록 먼지통 바로 전방에 배치되며,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흡입팬(14)은 필터(13)와 연통하여 필터(13) 전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흡입구(11)는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나 오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며, 먼지통(12)은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먼지나 오물을 집진하는 기능을 가지며, 필터(13)는 먼지나 오물과 함께 흡인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며, 흡입팬(14)은 필터(13)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먼지통(12)으로부터 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필터(13)에 의해 여과된 공기는 흡입팬(14)에 의하여 제1 및 제2공기배출통로(15a, 15b)를 통하여 로봇 청소기의 외부 또는 내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로봇 청소기(10)는 로봇 청소기(10)의 외부 바닥을 향하는 방향으로 흡입팬(14)과 연통하여 배치되는 제1공기배출통로(15a) 및 로봇 청소기(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흡입팬(14)과 연통하여 배치되는 제2공기배출통로(15b)를 가지게 됨으로, 선택적으로 로봇 청소기(10)의 외부 및/또는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10)에는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15a)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15a)를 개폐하는 제1차단막(21a) 및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15b)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15b)를 개폐하는 제2차단막(21b)이 설치될 수 있는 이러한 선택적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제1차단막(21a) 및 제2차단막(21b)은 제어 장치(20)에 의하여 제어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차단막(21a) 및 제2차단막(21b)에 의해 제1공기배출통로(15a) 및 제2공기배출통로(15b)의 개폐가 제어되지만, 제1공기배출통로(15a) 및 제2공기배출통로(15b)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면, 기타 다른 구성요소가 사용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로봇 청소기(10)는 로봇 청소기(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9), 및 상기 온도 센서(19)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1차단막(21a) 및 제2차단막(21b)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팬(14)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15a) 및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15b) 중 하나 이상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20)(도시 안됨)를 더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온도 센서(19)는 수시로 로봇 청소기(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들의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온도에 대한 결과를 제어 장치(20)에 송출한다. 제어 장치(20)는, 제어 장치(20)에 송출된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냉각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임계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1공기배출통(15a)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차단막(21a)을 이용하여 제1공기배출통로(15a)를 폐쇄하고, 제2공기배출통로(15b) 내에 배치되어 제2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를 개방한다. 따라서, 흡입팬(14)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1공기배출통로(15a)를 통과하지 않고, 제2공기배출통로를 통과하여 로봇 청소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 부품 및 기계 부품들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하여,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 흡입팬(14)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로봇 청소기(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과열된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들이 냉각 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20)는, 제어 장치(20)에 송출된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즉 로봇 청소기(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들의 냉각이 필요없는 경우, 제1공기배출통로(15a)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차단막을 이용하여 제1공기배출통로(15a)를 개방하고, 제2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2차단막을 이용하여 제2공기배출통로를 폐쇄한다. 따라서,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2공기배출통로를 통과하지 않고, 제1공기배출통로(15a)를 통과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 외부 바닥면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하여, 바닥면의 먼지를 사이드브러쉬(17)로 쓸어담기 전에 먼지나 오물을 미리 날릴 수 있어, 흡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제1 및 제2공기배출통로(15a, 15b)에 제1 및 제2차단막(21a, 21b)이 설치되어, 로봇 청소기(10)의 내부 상황에 따라 제1 및 제2차단막(21a, 21b)에 의해 제1 및 제2공기배출통로(15a, 15b)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구성을 가진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로봇 청소기(10)의 내부 및 외부에 항상 일정한 정도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제1 및 제2공기배출통로(15a, 15b)에 제1 및 제2차단막(21a, 21b)이 설치되지 않는 구성도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로봇 청소기(10)에는, 먼지나 오물을 상기 먼지통(12)의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로봇 청소기(10)의 휠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는 역회전브러쉬가 로봇 청소기(1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10)의 흡입구(11)의 후방에 더 제공된다. 이때, 역회전브러쉬(16)는 로봇 청소 기의 저면부에서 청소 구역에 접촉하여 먼지를 로봇 청소기의 내부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하게 되며, 역회전브러쉬(16)에 의해 당겨진 먼지나 오물은 로봇 청소기(10)의 내부에 있는 흡입팬(14)의 흡입량에 의해 공기와 함께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으로 집진된다. 다만,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의 브러쉬는 로봇 청소기의 휠(18)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휠(18)의 방향과는 반대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역회전을 이용하는 역회전브러쉬(16)에 의하여 바닥에 남겨져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앞으로 쳐줌으로써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먼지 흘림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이러한 기능은 역회전브러쉬(16)의 브러쉬길이가 8. 5 mm 내지 9 mm의 범위 내로 이루어진 경우, 기존의 브러쉬에 비하여 흡입량과 흡입률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브러쉬와 바닥과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데이터는 첨부되지 않았지만, 브러쉬길이가 9. 0mm 이하로 구성됨으로써, 바닥과 브러쉬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브러쉬 흡입량 데이터>
브러쉬길이평균치 흡입량 흡입률
9. 0mm 12 60%
9. 35mm 16 80&
<역회전브러쉬 흡입량 데이터>
브러쉬길이평균치 흡입량 흡입률
8. 5mm 15. 3 76. 5%
9. 2mm 15. 9 79. 5%
본 발명에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로봇 청소기(10)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전방측 좌우에 배치되는 사이드브러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브러쉬(17)는 로봇 청소기(10)의 전방측 좌우에 배치되어 있으며, 로봇 청소기(10)가 진행하는 방향, 즉 휠(18)이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을 한다.
이러한 사이드브러쉬(17)는 로봇 청소기(10)의 전방에 산재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구(11)가 존재하는 축 상으로 위치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흡입구(11)로 흡입되도록, 먼지나 오물을 수집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로봇 청소기(10)의 전방측 좌우에 배치되게 되고, 로봇 청소기(10)의 휠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로봇 청소기(1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로봇 청소기(10)의 휠의 방향과 반대로 역회전하는 역회전브러쉬(16)를 상호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측면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로봇 청소기의 공기의 흐름은 포함한, 흡입팬 부근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로봇 청소기(10) 흡입구(11)
먼지통(12) 필터(13)
흡입팬(14) 공기배출통로(15a, 15b)
역회전브러쉬(16) 사이드브러쉬(17)
휠(18) 온도 센서(19)
제어 장치(20) 차단막(21a, 21b)

Claims (7)

  1.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 아래에 배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집진하기 위한 먼지통,
    상기 먼지통과 연통하도록 상기 먼지통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로부터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및
    상기 필터와 연통하도록 상기 필터 전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로부터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고, 상기 먼지통을 통과하고,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 내부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일 단부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바닥면을 향하며, 다른 단부가 상기 흡입팬과 연통하는 제1공기배출통로 및 일 단부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내부를 향하며, 다른 단부가 상기 흡입팬과 연통하는 제2공기배출통로,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를 개폐하는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를 개폐하는 제2차단막,
    상기 로봇 청소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2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를 개방하여,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 부품 및 기계 부품들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2차단막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공기배출통로를 폐쇄하여,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공기배출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 외부 바닥을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5.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 아래에 배치되며, 바닥면으로 부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집진하기 위한 먼지통,
    상기 먼지통과 연통하도록 상기 먼지통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로부터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및
    상기 필터와 연통하도록 상기 필터 전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로부터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을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흡입구의 후방측에는 먼지나 오물을 상기 먼지통의 내부로 쓸어담기 위해 상기 로봇 청소기의 휠의 회전방향과 반 대방향으로 역회전하는 역회전브러쉬가 제공되어, 방향 전환이나 속도 변경시 먼지나 오물의 흘림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브러쉬는 브러쉬길이가 8.5 mm 내지 9 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7.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후방측 아래에 배치되며, 바닥면으로 부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집진하기 위한 먼지통,
    상기 먼지통과 연통하도록 상기 먼지통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나 오물 및 공기로부터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와 연통하도록 상기 필터 전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로부터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 및
    상기 로봇 청소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흡입구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먼지나 오물을 상기 먼지통의 내부로 쓸어담기 위해 상기 로봇 청소기의 휠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는 역회전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고, 상기 먼지통을 통과하고,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 내부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KR1020090036476A 2009-04-27 2009-04-27 로봇 청소기 KR20100117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476A KR20100117817A (ko) 2009-04-27 2009-04-27 로봇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476A KR20100117817A (ko) 2009-04-27 2009-04-27 로봇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817A true KR20100117817A (ko) 2010-11-04

Family

ID=4340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476A KR20100117817A (ko) 2009-04-27 2009-04-27 로봇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78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6031A (zh) * 2018-04-09 2018-08-03 朱明恺 图书用悬挂式自动吸尘装置
US10455998B2 (en) 2016-07-22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11452411B2 (en) 2016-02-19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2411B2 (en) 2016-02-19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US10455998B2 (en) 2016-07-22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CN108356031A (zh) * 2018-04-09 2018-08-03 朱明恺 图书用悬挂式自动吸尘装置
CN108356031B (zh) * 2018-04-09 2023-08-04 朱明恺 图书用悬挂式自动吸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1358B1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JPWO2005092168A1 (ja) 集塵装置
KR20080087596A (ko) 로봇청소기
JP4618060B2 (ja) 電気掃除機
JP2004160102A (ja) 電気掃除機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JP2013059527A (ja) 電気掃除機
KR10101237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100117817A (ko) 로봇 청소기
JP2010068903A (ja) 洗浄機能付きウエット&ドライ電気掃除機
KR20060019740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구조
JP2001178668A (ja) 電気掃除機
KR100848964B1 (ko) 로봇청소기의 흡진 어셈블리
KR100761667B1 (ko) 무배기 로봇 청소기
JP5025243B2 (ja) アップライト式電気掃除機
EP126769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JP3863096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13183761A (ja) 空気噴射装置及び電気掃除機
KR20100059551A (ko)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2010236722A (ja) 空気清浄機
KR20130064769A (ko) 로봇청소기
KR20110053765A (ko)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및 이를 구비한 로봇청소기
KR20120032496A (ko) 로봇청소기
JP2013052008A (ja) 空気噴射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1573740B1 (ko) 다중 흡입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수단 및 상기 흡입수단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