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985B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985B1
KR101461985B1 KR1020130037101A KR20130037101A KR101461985B1 KR 101461985 B1 KR101461985 B1 KR 101461985B1 KR 1020130037101 A KR1020130037101 A KR 1020130037101A KR 20130037101 A KR20130037101 A KR 20130037101A KR 101461985 B1 KR101461985 B1 KR 101461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main body
suction nozzle
cleaner
clean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81A (ko
Inventor
유선일
김영우
김효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85B1/ko
Priority to DE202014002826.5U priority patent/DE202014002826U1/de
Priority to CN201410130929.6A priority patent/CN104095584B/zh
Publication of KR20140120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도록, 상기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흡입 노즐 본체; 그리고 상기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흡입 노즐 본체에 구비되어, 접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입 노즐 본체 또는 청소기 본체의 주행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는 범퍼를 포함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 내부에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 내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팬 모터가 내장되는 본체,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 그리고 이물질을 걸러 내는 집진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진공청소기를 편의상 청소기라 한다.
일반적으로, 청소 환경이나 사용자의 청소 습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강한 흡입력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장소를 청소하기에는 업라이트(up-right) 청소기와 캐니스터(canister) 청소기가 적합하며, 좁은 장소를 간편하게 청소하기에는 스틱 청소기가 적합하다. 그리고, 넓은 장소를 자동으로 청소하기에는 로봇 청소기가 적합하다.
청소를 위해서는 청소기가 이동해야 한다. 즉,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이 이동하면서 청소가 수행되어야 한다.
흡입 노즐은 외부로부터 직접 먼지를 흡입하는 구성으로, 팬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와 분리될 수 있다. 일례로, 캐니스터 청소기와 업라이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흡입 노즐이 형성되는 흡입 노즐이 분리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캐니스터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흡입 노즐 본체가 청소기 본체와 연장관을 통해 연결되므로, 청소시 흡입 노즐 본체와 청소기 본체 사이의 거리가 가변적인 청소기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흡입 노즐 본체와 청소기 본체의 이동 또는 주행은 항상 동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업라이트 청소기는 캐니스터 청소기와는 달리, 흡입 노즐 본체와 청소기 본체의 이동 또는 주행은 항상 동기로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업라이트 청소기에는 흡입 노즐 본체가 청소기 본체에 직접 결합 되기 때문이다.
스틱 청소기는 상기 업라이트 청소기와 매우 유사할 수 있다. 왜냐하면, 흡입 노즐 본체가 청소기 본체에 직접 결합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적인 크기 차이로 인해 스틱 청소기와 업라이트 청소기가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스틱 청소기 중에서는 청소시 청소기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는 스틱 청소기가 있다. 이러한 스틱 청소기는 실질적으로 흡입 노즐 본체만 지면에서 이동 또는 주행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캐니스터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그리고 스틱 청소기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힘을 통해 주행하게 된다. 즉, 청소를 위해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를 밀거나 당겨 이들을 주행시킴으로써 청소가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봇 청소기도 흡입 노즐 본체와 청소기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의 흡입 노즐 본체는 청소기 본체와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흡입 노즐 본체가 청소기 본체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로봇 청소기는, 청소를 위해 모터의 구동을 통해 자동으로 주행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청소기에서, 청소기 본체, 흡입 노즐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청소를 위해서 지면에서 주행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노즐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도록,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도 흡입 노즐 본체와 마찬가지로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양자가 동기로 이동되거나 비동기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양자가 개별적으로 구비되거나 통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나 흡입 노즐 본체는 모두 청소를 위해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주행부 본체라 할 수 있다.
주행부 본체가 주행되는 환경은 매우 다양하다. 다양한 형태의 벽, 가구, 의자, 쇼파, 침대, 책상 등이 상기 주행부 본체의 주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 많은 경우,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거나 청소기 자체에서 인지하지 못하여 주행부 본체가 상기 장애물과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로 인해, 주행부 본체뿐만 아니라 장애물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잦은 충돌로 인해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원활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청소기의 일례로 일반적인 캐니스터 청소기를 설명하고, 일반적인 청소기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1)와 흡입 노즐 본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청소기 본체(1)와 흡입 노즐 본체(2) 사이에는 연장관(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3)의 일단은 청소기 본체(1)의 연결부(5)와 연결되어, 흡입 노즐 본체(2)로 유입되는 먼지는 연장관(3)과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청소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연장관(3)에는 사용자 조작부(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조작부(8)를 통해 청소기 전원 인가와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3)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장관(3)은 플렉시블한 연결 호스(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에는 바퀴(9)가 구비되어 청소기 본체(1)의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에는 외부 전원 연결을 위한 전원 플러그(7)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8)를 잡고 연장관(3)을 밀거나 당기면서 흡입 노즐 본체(2)를 주행시키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이때, 흡입 노즐 본체(2)의 전방은 사용자가 항상 주시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흡입 노즐 본체(2)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으면, 사용자는 주행 방향을 바꾸거나 주행을 멈추게 된다.
그러나, 흡입 노즐 본체(2)의 양측방이나 전방의 양측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미처 주행 방향을 바꾸지 못하거나 주행을 멈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틈새 내부로 흡입 노즐 본체(2)를 밀어 넣을 때, 흡입 노즐 본체(2)의 폭이 예상보다 상기 틈새보다 큰 경우, 흡입 노즐 본체(2)의 양측방이나 전방의 양측이 장애물과 충돌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이러한 흡입 노즐 본체(2)와 장애물의 충돌로 인해, 흡입 노즐 본체나 장애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높다.
이러한 충돌로 인한 손상과 파손의 우려는 청소기 본체(1)에서는 더욱 심각할 수 있다. 왜냐하면, 부피와 무게가 흡입 노즐 본체보다 더욱 크고 무겁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사용자는 흡입 노즐 본체(2)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나, 청소기 본체(1)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청소기 본체(1)의 주행은 사용자가 연장관(3)이나 흡입 노즐(4)을 잡아당길 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큰 힘으로 청소기 본체(1)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청소기 본체(1)는 장애물과 매우 크게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 또는 장애물의 파손이나 손상이 유발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또한, 청소기 본체(1)가 코너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와 흡입 노즐 본체(2)가 있는 위치와 청소기 본체(1)가 있는 위치가 코너에 의해 구획되는 경우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코너에 의해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1)를 볼 수 없는 경우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더욱 큰 힘으로 청소기 본체(1)를 잡아당기거나, 청소를 일시 정지하고 사용자와 노즐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나 장애물의 손상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거나, 청소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최근에 가전 기기는 그 기능성뿐만 아니라 외관 디자인이 매우 미려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 또는 외관 디자인이 나날이 미려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잦은 충돌로 인해 외관 손상이 발생 되어 제품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청소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를 위해서 지면에서 주행하는 주행부 본체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발생되는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청소기 본체가 코너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가 장애물과 충돌 시, 범퍼를 통해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의 주행 방향을 바꿀 수 있어, 더 이상의 충격력 발생을 방지하고 연속적인 청소가 가능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청소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되는 보조 바퀴가 지면에 끌리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와 같은 주행부 본체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도록, 상기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흡입 노즐 본체; 그리고 상기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흡입 노즐 본체에 구비되어, 접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범퍼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범퍼를 통해, 흡입 노즐 본체 또는 청소기 본체의 주행 방향을 전환될 수 있다. 즉, 범퍼에 대해서 흡입 노즐 본체 또는 청소기 본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주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는 상기 청소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노즐 본체와 청소기 본체의 주행이 동기로 이루어지거나 비동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흡입 노즐 본체와 청소기 본체는 청소를 위해서 지면에서 이동하는 주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 노즐 본체와 청소기 본체를 주행 본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행은,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가하는 힘이나 모터의 구동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흡입 노즐 본체에는 지면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이 구비되며, 청소기 본체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퍼는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에 대해서 상대적인 회전을 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대로,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가 상기 범퍼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범퍼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 범퍼의 회전으로 완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 충격이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에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범퍼는,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의 좌우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의 좌우 측면의 최외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범퍼가 최외각에 형성됨에 따라, 외부 장애물은 일반적으로 본체가 아닌 상기 범퍼에 직접 부딪힌다. 따라서, 본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범퍼에 의해 외부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충격력은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의 주행 방향 전환을 위한 힘으로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력이 더욱 완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의 좌우 측면에 구비되는 범퍼는 충격 완화뿐만 아니라 본체를 회전시켜 자세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의 주행 방향을 장애물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더이상 발생되지 않고, 연속적인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범퍼는,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의 전방 최외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청소기 본체가 정면으로 장애물과 충돌 시, 상기 범퍼는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청소기의 주행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조그만 달라지더라도, 범퍼의 회전 또는 본체의 회전을 통해 본체의 주행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측면의 범퍼와 마찬가지로 전방의 범퍼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및 효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범퍼는, 외부 충격을 잘 견딜 수 있고 긁힘에 대한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범퍼 표면은 반경 방향 힘의 잘 전달되도록 굴곡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범퍼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흡입 노즐 본체를 연결하는 연장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관은 플렉시블한 연결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장관을 통해, 청소기 본체와 흡입 노즐 본체는 비동기로 주행할 수 있다. 일정 공간 청소 시에는 흡입 노즐 본체만 주행하다가, 다른 장소로 흡입 노즐 본체가 이동되면, 연장관을 통해 청소기 본체를 당기게 되므로, 이때 청소기 본체도 주행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는 일반적인 캐니스터 청소기의 청소 시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전방에 상기 연장관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범퍼는 상기 본체의 상기 연결부 하부에 구비되는 본체 범퍼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범퍼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방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최외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는, 후방 지지부를 통해 지면에 대해 지지되는 후방 본체; 그리고 상기 후방 본체 전방에서 전방 지지부를 통해 지면에 대해 지지되는 전방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후방 본체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지지부는 상기 전방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볼 캐스터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 지지부는 상기 전방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수평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회전축은 상기 범퍼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갖고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 바퀴의 회전 중심(지면에서 주행을 위해 롤링하는 중심)이 범퍼의 회전 중심과 소정 반경을 갖고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범퍼의 회전 중심과 상기 보조 바퀴의 회전 중심 사이에는 모멘트 거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범퍼의 회전 중심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보조 바퀴의 회전 중심이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청소기 본체의 주행 방향이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범퍼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면에서부터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적어도 좌우 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단일 범퍼가 청소기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좌우 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청소 시 청소기 본체는 전방 주행이나 좌우 전방 주행을 한다. 즉, 청소 시 후방 주행이 수행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주행을 위해 당기는 힘이 상기 연결부에서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의 후방에는 범퍼가 제공될 필요성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상기 본체 범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범퍼 지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부 청소기 본체와 하부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범퍼와 상기 범퍼 지지부는 상기 상부 청소기 본체와 하부 청소기 본체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범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범퍼 지지부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본체 범퍼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범퍼는 상기 범퍼 지지부를 통해 상기 본체 범퍼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의 제한이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즉, 범퍼는 지속적으로 접선 방향 외력이 가해지면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외력 방향이 바뀌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범퍼의 전방과 양측방은 상기 청소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최외각을 형성하고, 상기 범퍼의 후방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범퍼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범퍼는,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최외각을 형성하는 흡입 노즐 범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 본체 내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 범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범퍼 지지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흡입 노즐 범퍼의 적어도 일부분은 흡입 노즐 본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범퍼 지지부는 상기 흡입 노즐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퍼 지지부는 상기 흡입 노즐 범퍼가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범퍼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범퍼가 슬라이딩됨으로써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노즐 본체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노즐 범퍼와 상기 범퍼 지지부는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 범퍼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전방과 좌우 측방에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최외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환형의 흡입 노즐 범퍼도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마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노즐 범퍼는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좌우 측방에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최외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방 좌우 그리고 측방 좌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 범퍼는 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크 좌우 말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스토퍼를 통해 회전 각도가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크 형상은 환형에서 반형 이상을 형성하도록 일부가 절개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아크의 중심을 기준으로 범퍼가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을 통해 범퍼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 본체에는, 상기 범퍼의 양단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최대 이격 거리를 제한하는 슬라이딩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일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슬라이딩되면 상기 상기 범퍼의 일단이 슬라이딩 스토퍼에 구속되어 더이상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스토퍼로 인해 슬라이딩이 가능한 여유 공간 또는 여유 거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 본체에는, 상기 흡입 노즐 범퍼의 좌우 말단을 덮어 상기 흡입 노즐 본체 외부로의 가시적인 노출을 차단하는 범퍼 커버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퍼 커버는 상기 여유 공간을 덮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범퍼 커버를 통해 범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밀거나 당기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모터의 구동을 통해, 청소를 위해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주행부 본체; 상기 주행부 본체의 적어도 좌우 측방의 최외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범퍼; 그리고 상기 주행부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주행부 본체의 주행 시 외부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해 상기 범퍼에 접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범퍼에 대해 상기 주행부 본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범퍼를 지지하는 범퍼 지지부를 포함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행부 본체는, 청소기 본체 또는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장관을 통해 연결되는 흡입 노즐 본체일 수 있다.
상기 범퍼 지지부는, 상기 범퍼가 상기 주행부 본체의 좌우 중심에 구비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거나, 상기 범퍼가 상기 주행부 본체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를 위해서 지면에서 주행하는 주행부 본체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발생되는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청소기 본체가 코너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가 장애물과 충돌 시, 범퍼를 통해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의 주행 방향을 바꿀 수 있어, 더 이상의 충격력 발생을 방지하고 연속적인 청소가 가능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청소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되는 보조 바퀴가 지면에 끌리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 또는 흡입 노즐 본체와 같은 주행부 본체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청소기, 특히 캐니스터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도 6에 도시된 흡입 노즐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흡입 노즐 본체의 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흡입 노즐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통해 설명된 종래의 청소기 구조나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실시예들과 모순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기 본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청소기(20)는 청소기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청소기 본체(30)에는 연결부(33)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먼지가 본체(30) 내부로 흡입된다. 즉, 상기 연결부(33)를 통해 먼지가 청소기 본체(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 본체(2)와 연장관(3, 4)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30)는 상부 본체(31)와 하부 본체(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양자가 결합되어 청소기 본체(30)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에 전장 구성들과 팬모터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30)는 전방 지지부와 후방 지지부를 통해, 지면에 대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지지부와 후방 지지부를 통해 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청소기 본체의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방 지지부는 바퀴(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퀴(34)는 청소기 본체(30)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어, 청소기 본체가 주행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지지부도 마찬가지로 보조 바퀴(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바퀴(35)는 상기 바퀴(34)에 비하여 크기가 작기 때문에 보조 바퀴라 할 수 있다.
상기 바퀴(34)는 기본적으로 청소기 본체(30)를 지지하고 전후방 직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바퀴(34)의 회전 축은 항상 진행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 바퀴(35)는 본체(30)의 주행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 바퀴(34)의 회전축(35a)은 360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바퀴(34)의 회전축이 가변됨에 따라 보조 바퀴(34)가 본체(30)의 주행 방향을 가변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보조 바퀴(34)는 볼 캐스터 형태의 바퀴(34)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보조 바퀴(34)의 특성상,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애물에 본체(30)가 끼어 구속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보조 바퀴(34)의 회전축(35a)이 회전하기 때문에, 본체(30)가 장애물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소기 본체(30)에는 먼지보관부(40), 먼지분리부(50) 그리고 프리필터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먼지분리부(50)에서 분리된다. 즉, 먼지는 상기 먼지보관부(40)로 유입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프리필터부(6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리필터부(60)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한번 필터링된 후 청소기 본체(30) 내부를 거쳐 청소기 본체(30)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전술한 과정을 통해 청소가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먼지보관부(40), 먼지분리부(50) 그리고 프리필터부(60)는 청소기 본체(30)의 후방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는 청소기 본체(30)의 후방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먼지보관부(40)는 청소기 본체(3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30)의 후방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범퍼(71)가 커버하는 영역의 후방이라 할 수 있다. 일례로, 범퍼(71)가 커버하는 영역을 본체(30)의 전방 또는 전방 본체라 할 수 있고, 범퍼(71)가 커버하지 않는 영역을 본체(30)의 후방 또는 후방 본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보관부(40), 먼지분리부(50) 그리고 프리필터부(60)는 청소기 본체(3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장착 가능하고, 반대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챔버(41, 51, 61)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오염도 정도나 먼지양을 본체(30)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보관부 등과 같은 구성들의 청소 시기를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기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먼지보관부(40)는 청소기 본체(3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보관부(40) 상부에는 손잡이(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3)는 먼지보관부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구성일 수 있으며, 청소기 본체(30)를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30)의 취급을 위한 별도의 손잡이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먼지보관부(40) 하부 양측에 각각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세 개의 구성들 사이의 위치 관계로 인해 미려한 디자인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먼지보관부(40), 먼지분리부(50) 그리고 프리필터부(60) 각각에는 챔버(41, 51, 61)를 개폐하는 커버(42, 52, 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를 분리함으로써 챔버 내의 오염물 제거 및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30)의 후방에서, 최후방과 후방 양측의 최외각은 바퀴(34)를 통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보관부(40), 먼지분리부(50) 그리고 프리필터부(60)는 두 개의 바퀴(34)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들이 주행 시 장애물과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손상될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소기 본체(30)의 주행시 장애물과의 충돌은 본체(30)의 전방에서 발생된다. 구체적으로는, 최전방과 전방 양측에서 주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에서는 청소기 본체(30)가 장애물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30)의 후방에서는 이러한 충돌 문제 발생 가능성이 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돌 문제 해결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이도, 청소기 본체(30)의 후방에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30)와 먼지보관부(40) 등의 위치 관계로 인해,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30)의 전방 부분에서의 충돌 문제 해결을 위한 구성만이 구비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본체(30)의 충돌 문제와 이로 인해 발생되는 부가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20)는 범퍼(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범퍼(71)는 청소기 본체(30)에 구비되는 본체 범퍼(71)일 수 있다.
상기 본체 범퍼(71)는 접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범퍼(71)의 회전을 통해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감소되고, 본체(30)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 범퍼(71)는 기본적으로 청소기의 본체의 좌우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청소기 본체(30)의 전방 좌우 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30)의 후방 좌우 측면에 범퍼를 구비할 필요성이 적기 때문이다. 또한, 청소기 본체(30)의 후방 좌우 측면에 범퍼를 구비하기 위한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범퍼(71)는 상기 청소기 본체(30)의 전방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30)의 전방 양측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범퍼(71)는 청소기 본체(30)보다 먼저 외부 장애물과 맞닿을 수 있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범퍼(71)는 상기 청소기 본체(30)의 전방 좌우의 최외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낮은 장애물 등에 의해서, 청소기 본체(30)의 최전방 인근에서도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퍼(71)는 청소기 본체(3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범퍼(71)는 연결부(33)의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실질적으로는 연결부(33) 또는 연결부(33)와 연결되는 연장관이 본체(30)의 최장방에서 연장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높은 장애물은 당연히 이러한 연결부(33) 또는 연장관과 간섭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33)보다 높은 위치에 범퍼(71)를 위치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33)의 위치보다 높이가 낮은 장애물들도 상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33)의 하부에 상기 범퍼(7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를 통해 전체적인 청소기 본체(30)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청소기 본체(30)의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범퍼(71)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어셈블리(7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는 상부 본체(31)와 하부 본체(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30)는 청소기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본체와 후방 본체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부 본체(31)와 하부 본체(32)의 전방 일부를 전방 본체라 하고, 하부 본체(32)의 후방 일부를 후방 본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지지부 특히 보조 바퀴(35)를 통해 지면에 대해서 지지되는 부분을 전방 본체라 하고 후방 지지부 특히 바퀴(34)를 통해 지면에 대해서 지지되는 부분을 후방 본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범퍼(71)의 위치와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즉, 범퍼(71)가 커버하는 부분을 전방 본체라 할 수 있고, 범퍼(71)가 커버하지 못하는 부분을 후방 본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범퍼(71)는, 상기 상부 본체(31)와 하부 본체(3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범퍼(71)의 일부(일례로, 반경 방향 내측)은 상기 본체(3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범퍼(71)의 일부(일례로, 반경 방향 외측)은 상기 본체(30)의 외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퍼(71)는 본체(3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대로, 상기 본체(30)가 상기 범퍼(7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체(30)의 회전이 제한될 때, 범퍼(71)만 회전할 수 있고, 범퍼(71)의 회전이 제한될 때, 본체(30)만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범퍼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본체(30)의 주행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바퀴(35)의 특징으로 인해, 주행 방향 변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있다. 이는 본체(30)의 주행 방향이 급격하게 변경되더라도, 상기 보조 바퀴(35)의 회전축(35a)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범퍼(71)의 상대적인 회전 또는 본체(30)의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하도록, 상기 범퍼(71)를 지지하는 범퍼 지지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범퍼 지지부(72)는 상기 청소기 본체(30)에서 상기 본체 범퍼(7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범퍼 지지부(72)는, 상기 범퍼(71)에 접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범퍼에 대해 상기 본체(3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범퍼를 지지하게 된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상기 범퍼 지지부(72)는 상기 범퍼(71)에 접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범퍼(71)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범퍼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범퍼(71)와 범퍼 지지부(72)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범퍼 어셈블리(70)라 할 수 있다.
상기 범퍼 지지부(72)는 범퍼(71)를 본체(30)에 고정시키기 위한 범퍼 고정부(73, 7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범퍼(71)의 상부에는 상부 범퍼 고정부(73)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하부 범퍼 고정부(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범퍼 고정부(73)를 통해, 상기 범퍼(71)가 본체(3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범퍼 고정부(73, 74)는 각각 상기 범퍼(71)의 상하부에 형합되어 상기 범퍼(71)와 일체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71)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범퍼 고정부(73, 74)는 중앙에 각각 중공(74a, 73a)이 형성되는 원형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본체(32) 상에는 하부 리테이너(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테이너(78)는 상기 범퍼 어셈블리(7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 범퍼 고정부(7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리테이너(78)는 트러스트 베어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범퍼 고정부(73)의 상부에는 상부 리테이너(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테이너(77)도 상기 하부 리테이너(78)와 마찬가지로 범퍼 어셈블리(7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범퍼 고정부(7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리테이너(78)도 트러스트 베어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충격에 의해서 범퍼 어셈블리의 상측으로 부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서, 상측 부하 발생시에도 상기 범퍼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범퍼(71), 범퍼 고정부(73, 74)의 회전 중심이 고정될 필요가 있다. 즉, 이들 구성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서 회전 중심이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 본체(31)에 고정되는 중심축(75)과 상기 중심축을 결합하는 중심축 고정부(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 고정부(76)는 하부 본체(32)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심축(75)과 중심축 고정부(76)를 기준으로, 상기 범퍼(71), 범퍼 고정부(73, 74)가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중심축(75)과 중심축 고정부(76)는 상부 리테이너(77),상부 범퍼 고정부(73), 범퍼(71), 하부 범퍼 고정부 그리고 하부 리테이너(78)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중심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리테이너(78)는 하부 본체(32)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범퍼 고정부(74)와 맞닿는다. 그리고, 상부 리테이너는 상기 중심축(75)과 맞닿는다. 상기 중심축(75)은 상부 본체(31)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범퍼 어셈블리(70)의 상부 하중 또는 하부 하중이 발생되더라도 범퍼(71)가 본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관점에서는, 본체(30)가 범퍼(7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심축(75)과 중심축 고정부(76)는 회전하지 않는 구성일 수 있다. 즉, 각각 상부 본체(31)과 하부 본체(32)에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 구성을 기준으로 범퍼(71)들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7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79)은 볼 베어링일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범퍼 고정부(79)의 중심, 즉 중공(74a)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베어링(79) 자체에서 중공(97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 범퍼 고정부(79)는 회전 가능한 베어링 하우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범퍼 어셈블리(70), 구체적으로는 범퍼(71)와 범퍼 지지부(72)를 통해 범퍼(71)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범퍼(71)는 회전 각도와 회전 방향(반시계 또는 시계)의 제약이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범퍼(71)는 본체(30)의 전방 부분만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30)의 후방 부분까지 커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범퍼 어셈블리(70)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고, 범퍼 어셈블리(70)를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범퍼(71)의 후방은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범퍼(71)가 본체(30)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범퍼 가이드(36, 3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범퍼 가이드는 상부 본체(31)와 하부 본체(32)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범퍼(71)가 범퍼 가이드(36, 37)를 통해 본체(30)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범퍼 가이드(36, 37)는 본체(30)를 관통하는 일종의 터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조 바퀴(35)와 범퍼(71)의 회전 중심과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범퍼(71)의 회전 중심은 중심축(75)와 중심축 고정부(75)를 통해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바퀴(35)는 회전축(35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35a)는 실질적으로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이를 수평 회전축(35a)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회전축의 중심 또는 보조 바퀴의 중심(35b)은 상기 범퍼(71)의 회전 중심과는 편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회전축(35a)은 상기 범퍼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수직 회전축(35c)을 기준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갖고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조 바퀴의 중심(35b)이 상기 수직 회전축(35c)과 일치하지 않고, 소정 거리 이격됨을 의미한다. 즉, 상기 보조 바퀴의 중심(35b)이 상기 수평 수직 회전축(35c)을 기준으로 소정 반경을 갖고 회전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징은 일반적인 볼 캐스터 바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범퍼(71)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외력은 접선 방향 외력과 반경 방향 외력으로 분해될 수 있다. 접선 방향 외력은 범퍼(71)를 회전시키게 되고, 반경 방향 외력은 범퍼(71)의 회전 중심은 병진 이동시킨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다른 관점, 즉 범퍼(71)에 외력이 가해지고 범퍼(71)가 회전이 구속된다는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접선 방향 외력은 본체(30)를 회전시키게 되고, 반경 방향 외력은 본체(30)를 병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30)는 바퀴(34)와 보조 바퀴(35)에 의해 지지 되는데, 이들 바퀴들의 회전이 없는 병진 이동은 지면과 바퀴들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지면 예를 들어 마루 바닥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병진 이동을 일으키는 반경 방향 외력이 상기 본체(30)의 회전으로 전환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보조 바퀴(34)의 수평 회전축(34a) 중심(35b)은 범퍼(71)의 회전 중심(35c)을 기준으로 소정 반경을 갖고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병진 이동을 일으키는 반경 방향 외력은 보조 바퀴(34)의 수평 회전축(34a) 중심(35b)을 회전시켜, 본체(30)가 방향 전환되고 전환된 방향으로 주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시 본체(30)가 코너에 끼인 경우, 본체(30)가 용이하게 주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전환되는 방향으로 주행하여 코너를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본체(30)를 코너에서 빼내기 위해 청소를 잠시 멈추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청소기 본체(30)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본적인 특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부여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보관부(40)가 전방 본체에 형성되고,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가 후방 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부(60)는 먼지분리부(5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보관부(40)는 챔버는 상부 본체(31)에 수용될 수 있고, 이때 챔버를 개폐하는 커버(42)는 본체(3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42)를 투명 재질로 하여, 상기 먼지보관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의 챔버(51, 61)는 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마찬가지로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는 양 바퀴(34)의 내부에 위치되고, 최후방은 상기 양 바퀴(3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 관계로 인해, 먼지분리부와 프리필터부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보관부(40)는 범퍼(71)에 의해 커버되는 전방 본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보관부(40) 또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범퍼 어셈블리(70)의 구성과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53)가 먼지분리부(5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53)는 먼지분리부(50)의 장탈착을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청소기 본체(30)의 취급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범퍼(71) 영역으로 먼지보관부(4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먼지보관부(40)는 본체(3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장착 및 분리가 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퀴(34)에 의해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본체(3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분리 시에는 반대로 후방으로 이동될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청소를 위해 지면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주행부 본체 중 청소기 본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주행부 본체 중 흡입 노즐 본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서로 모순되지 않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실시예만 적용되거나 모든 실시예가 함께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흡입 노즐 본체에 대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흡입 노즐 본체(100)는 지면과 실질적으로 맞닿게 이동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노즐 본체(100)에 형성되는 흡입 노즐(103)을 통해 먼지가 흡입 노즐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 노즐 본체(100)는 상부 본체(101)와 하부 본체(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103)은 상기 하부 본체(102)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결합을 통해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 본체(100)는 회전 연결부(80)를 통해 연장관(도 1 참조, 3)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노즐 본체(100)는 상기 회전 연결부(80)를 통해 연장관과 연통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결부(80)는 흡입 노즐 본체(100)에 대한 연장관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청소시 연장관(9)을 밀거나 잡아당기면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100)를 주행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100)도 마찬가지로 주행함에 따라 외부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충돌에 의해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 노즐 본체(100)에는 범퍼(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범퍼(90)를 흡입 노즐 범퍼(90)라 할 수 있다.
흡입 노즐 범퍼(90)는 흡입 노즐 본체(100)와 전술한 청소기 본체(30)의 특성 차이로 범퍼의 형상이나 구조 그리고 범퍼 지지부의 형상이나 구조가 상이할 수 있다. 왜냐하면, 흡입 노즐 본체(100) 자체의 하중과 장애물과의 충돌 형태 그리고 충격력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90)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환형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범퍼(90)는 범퍼 지지부(91)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범퍼 지지부(91)는 상기 범퍼(90)가 슬라이딩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퍼 지지부(91)를 범퍼 레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범퍼 레일(91)은 레일 고정부(92)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 고정부(92)는 흡입 노즐 본체(100) 중 하부 본체(102)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범퍼 지지부는 상기 범퍼 레일(91)과 레일 고정부(92)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범퍼 어셈블리는, 범퍼와 범퍼 지지부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범퍼 지지부(91, 92)는 범퍼(90)가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범퍼 레일(91)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범퍼 레일(91)과 레일 고정부(92)는 하부 본체뿐만 아니라 상부 본체(101)에도 형성될 수 있다. 양자의 형합을 통해, 범퍼(90)가 범퍼 레일(91)에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흡입 노즐 범퍼(90)와 범퍼 지지부(91, 92)는 상부 본체(101)과 하부 본체(102) 사이에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환형의 범퍼(9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흡입 노즐 본체(100)의 형상도 환형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범퍼(90)는 흡입 노즐 본체(100)의 전방과 양측의 최외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입 노즐 본체(100) 후방에는 범퍼(90)가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회전 연결부(80)가 흡입 노즐 본체(100)의 후방 최외각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범퍼(90)에 접선 방향 외력이 가해지면 범퍼(90)가 회전한다. 이는 흡입 노즐 본체(100)의 주행 방향이 전환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방이나 측방으로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 흡입 노즐 본체(100)의 주행 방향이 전환되어 충격력이 완화되고, 소음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범퍼(90)의 슬라이딩을 통한 회전으로 인해 범퍼(90)와 범퍼 지지부(91, 92)의 구조가 매우 단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흡입 노즐 본체(100) 전체의 무게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환형 범퍼(90) 형성을 위해, 상기 본체(100)에는 중공(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흡입 노즐 본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 본체(100)는 전술한 흡입 노즐 본체(100)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은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구조나 기능은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10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타원 형상으로 주행 방향으로 청소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타원 형상의 흡입 노즐 본체(100)로 인해, 흡입 노즐 본체(100)에 대해서 환형의 범퍼를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회전 각도의 제한이 없는 범퍼를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특정 위치에서의 접선 방향은 다른 위치에서는 회전을 제한하는 힘으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노즐 본체(100)의 전방 좌우와 양측면 그리고 후방 좌우까지 연장되는 범퍼(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범퍼(90)는 흡입 노즐 본체(100)의 좌우에 각각(90a, 90b) 형성될 수 있다.
흡입 노즐 본체(100)의 최전방은 흡입 노즐 본체(100)의 주행 방향과 나란하게 된다. 사용자가 청소시 주행 방향을 주시하기 때문에, 흡입 노즐 본체(100)의 최전방에서 장애물과 충돌할 가능성은 적다. 충돌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미는 힘을 급격히 줄일 것이다. 따라서, 흡입 노즐 본체(100)의 전방 양측, 양측면 최외각에 상기 범퍼(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범퍼(90)는 환형에서 일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범퍼(90)는 아크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정 부분에서의 접선 방향 외력은 다른 부분에서도 회전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슬라이딩을 통해 회전하는 범퍼(90)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범퍼(9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범퍼 지지부(92, 9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범퍼 지지부(91, 92)는 구체적으로 상기 범퍼(90)가 슬라이딩을 통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범퍼 지지부는 범퍼(90)가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범퍼 레일(9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범퍼 레일(9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범퍼(90)가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범퍼 레일(91)은 상부 본체(10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본체(10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양쪽에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는 일례로, 범퍼 레일(91)이 상부 본체(101)의 하부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범퍼 레일(91)은 하부 본체(102)에 형성되는 레일 고정부(92)를 통해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즉, 범퍼 레일(91)과 레일 고정부(92)의 형합을 통해, 범퍼(90)가 본체(1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원형 형상의 흡입 노즐 본체(100)로 인해 애지테이터(106) 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애지테이터(106)는 좌우로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애지테이터(106)는 흡입 노즐(103)의 후방에 구비되어, 지면의 먼지를 쓸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흡입 노즐 본체(100)에도 마찬가지로 중공(10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범퍼(90)의 아크 형상으로 인해, 상기 범퍼(90)의 슬라이딩 이격 거리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범퍼(9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범퍼(90)의 양측 말단 또는 범퍼(90)의 좌우 말단에는 슬라이딩 스토퍼(10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스토퍼(90)는 구체적으로는 본체(10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90)의 양측 말단이 슬라이딩 스토퍼(107)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일측 말단이 슬라이딩되어 상기 슬라이딩 스토퍼(107)에 닿는 경우, 상기 범퍼(90)의 슬라이딩은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스토퍼(107)를 통한 여유 공간(108) 또는 여유 길이는 범퍼(9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스토퍼(107)는 범퍼(90)의 양측 말단에 구비됨으로 하여, 양 방향으로 범퍼(9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를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하여, 범퍼(90)가 회전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미도시된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유 공간(108)은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범퍼의 양측 말단이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범퍼(90)가 이탈될 수 있고, 상기 여유 공간(108)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여유 공간을 덮거나, 상기 범퍼의 양측 말단을 덮기 위한 범퍼 커버(10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퍼 커버(105)는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20 : 청소기 30 : 청소기 본체
33 : 연결부 34 : 바퀴
35 : 보조 바퀴 40 : 먼지보관부
50: 먼지 분리부 60 : 프리필터부
70 : 범퍼 어셈블리 71 : 범퍼(청소기 본체 범퍼)
72 : 범퍼 지지부 80 : 회전 연결부
90 : 범퍼(흡입 노즐 본체 범퍼) 91 : 범퍼 레일
92 : 레일 지지부 100 : 흡입 노즐 본체

Claims (25)

  1. 지면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도록, 상기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흡입 노즐 본체; 그리고
    상기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기 본체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후방 지지부를 통해 지면에 대해 지지되는 후방 본체; 그리고
    상기 후방 본체 전방에서 전방 지지부를 통해 지면에 대해 지지되는 전방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접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주행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는 범퍼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의 전방과 양측방은 상기 청소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전방 본체를 커버하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최외각을 형성하고,
    상기 범퍼의 후방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해서 상대적인 회전을 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좌우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좌우 측면의 최외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먼지분리부 및 필터부는 상기 후방 본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흡입 노즐 본체를 연결하는 연장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본체에 상기 연장관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범퍼는 상기 본체의 상기 연결부 하부에 구비되는 본체 범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부는 상기 전방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수평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회전축은 상기 범퍼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갖고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범퍼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면에서부터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적어도 좌우 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상기 본체 범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범퍼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부 청소기 본체와 하부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범퍼와 상기 범퍼 지지부는 상기 상부 청소기 본체와 하부 청소기 본체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범퍼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범퍼는 상기 범퍼 지지부를 통해 상기 본체 범퍼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의 제한이 배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삭제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최외각을 형성하는 흡입 노즐 범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 내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 범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범퍼 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지지부는 상기 흡입 노즐 범퍼가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범퍼 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노즐 범퍼와 상기 범퍼 지지부는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 범퍼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전방과 좌우 측방에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최외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 범퍼는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좌우 측방에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최외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 범퍼는 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크 좌우 말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스토퍼를 통해 회전 각도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 본체에는, 상기 흡입 노즐 범퍼의 좌우 말단을 덮어 상기 흡입 노즐 본체 외부로의 가시적인 노출을 차단하는 범퍼 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3.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이동하면서 먼지를 흡입하는 타원 형상의 흡입 노즐 본체;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 본체에 구비되어, 접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주행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는 범퍼;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는 환형에서 일부 절개된 형태로 상기 흡입 노즐 본체의 전방 좌우와 양측면 및 후방 좌우까지 연장되어 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범퍼의 양측 말단에는 상기 범퍼의 슬라이딩 이격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슬라이딩 스토퍼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에 대해 상기 흡입노즐 본체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범퍼를 지지하는 범퍼 지지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지지부는 상기 범퍼가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범퍼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범퍼 레일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범퍼가 슬라이딩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130037101A 2013-04-04 2013-04-04 청소기 KR101461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101A KR101461985B1 (ko) 2013-04-04 2013-04-04 청소기
DE202014002826.5U DE202014002826U1 (de) 2013-04-04 2014-04-01 Staubsauger
CN201410130929.6A CN104095584B (zh) 2013-04-04 2014-04-02 吸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101A KR101461985B1 (ko) 2013-04-04 2013-04-04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81A KR20140120781A (ko) 2014-10-14
KR101461985B1 true KR101461985B1 (ko) 2014-11-14

Family

ID=5126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101A KR101461985B1 (ko) 2013-04-04 2013-04-04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61985B1 (ko)
CN (1) CN104095584B (ko)
DE (1) DE202014002826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202A1 (ko) * 2016-02-19 2017-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2669A1 (de) * 2020-08-31 2022-03-03 Miele & Cie. Kg Beutelloser Bodenstaubsaug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015A (ja) * 1994-05-09 1995-11-14 Lg Electron Inc 真空掃除機の回転型常用吸入口
JP2000184997A (ja) * 1998-10-14 2000-07-04 Tadao Sazawa 電気掃除機の緩衝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90098512A (ko) * 2008-03-14 2009-09-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충전식 진공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7894B2 (ja) * 1989-09-29 1999-06-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US5214822A (en) * 1989-09-29 1993-06-01 Hitachi, Ltd. Vacuum Cleaner
CN1765293A (zh) * 2004-10-27 2006-05-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真空吸尘器吸嘴
JP2006230870A (ja) * 2005-02-28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1361562B1 (ko) * 2007-05-31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로봇
CN101558975A (zh) * 2008-04-17 2009-10-2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真空吸尘器
CN202654062U (zh) * 2012-04-18 2013-01-09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一种防撞导向装置及使用本导向装置的吸尘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015A (ja) * 1994-05-09 1995-11-14 Lg Electron Inc 真空掃除機の回転型常用吸入口
JP2000184997A (ja) * 1998-10-14 2000-07-04 Tadao Sazawa 電気掃除機の緩衝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90098512A (ko) * 2008-03-14 2009-09-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충전식 진공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202A1 (ko) * 2016-02-19 2017-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N108697288A (zh) * 2016-02-19 2018-10-23 三星电子株式会社 机器人清洁器
US11452411B2 (en) 2016-02-19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4002826U1 (de) 2014-07-16
KR20140120781A (ko) 2014-10-14
CN104095584B (zh) 2018-09-04
CN104095584A (zh)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8352B2 (ja) 自律走行型掃除機
US7950102B2 (en)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steering unit
CN106793903B (zh) 机器人清洁器
KR102125334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31784B1 (ko) 진공 청소기
JP2005323999A (ja) ロボット掃除機
GB2344750A (en) Self propelled vacuum cleaner with laterally protruding floor nozzle
US8978197B2 (en) Vacuum cleaner
CN100455248C (zh) 真空吸尘器管嘴
KR101461985B1 (ko) 청소기
KR20150141980A (ko) 로봇 진공 청소기
US10076183B2 (en) Surface cleaning head
GB2447995A (en) Vacuum cleaner with sliding dust collection chamber
KR20150141979A (ko) 돌출 측부 브러시를 구비하는 로봇 진공 청소기
EP2975993B1 (en) A vacuum cleaner nozzle comprising a rear brush mechanism
EP3031374B1 (en) Nozzle for cleaner and vacuum cleaner
CN212066610U (zh) 一种防碰撞的纯电动吸尘车用吸嘴
KR101617957B1 (ko) 진공 청소기
US20190029481A1 (en) Cleaner
JP2017006185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5083351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その吸込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1649418B1 (ko) 청소기의 노즐 및 진공 청소기
CN104337465A (zh) 真空吸尘器
CN101558975A (zh) 真空吸尘器
KR101476211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