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710A -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710A
KR20170096710A KR1020160018269A KR20160018269A KR20170096710A KR 20170096710 A KR20170096710 A KR 20170096710A KR 1020160018269 A KR1020160018269 A KR 1020160018269A KR 20160018269 A KR20160018269 A KR 20160018269A KR 20170096710 A KR20170096710 A KR 2017009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mixture
mixing
bubbles
mix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범준
임홍범
양정식
장봉진
한규영
김종섭
Original Assignee
(주)삼우아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아이엠씨 filed Critical (주)삼우아이엠씨
Priority to KR102016001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6710A/ko
Publication of KR2017009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8Mixing in containers to which motion is imparted to effect the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06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04Proportioning
    • B28C7/0413Proportioning two or more flows in predetermined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04Proportioning
    • B28C7/0418Proportioning 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81Plant for proportioning, supplying or b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한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성하기 위한 현장 혼합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혼합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하고, 생성된 혼합혼화재를 이송하는 혼화재 혼합부; 기포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포를 이송하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현장 혼합 장치가 현장에서 재료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어 생성된 혼합혼화재와 기포를 현장에서 바로 레미콘 장비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고, 장비운영과 재료공급 등에 따른 생산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In-place Mixing Device for Functional Concrete and the Cast-in-place Mixing Method}
본 발명은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하여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성하되, 현장에서 용이하게 혼합 타설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혼합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하고, 기포를 생성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기술의 발전으로 건축이나 토목 구조물이 점차 대형화, 복잡화, 특수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조물에 대한 시공성 확보 및 내구성 향상 그리고 경제성 확보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구조물의 주된 재료인 콘크리트의 성능과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고강도화하는 방법에는 결합재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 양질의 골재를 사용하는 방법, 공재와 결합재의 부착성능을 개선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그 중 결합재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이 주요하게 이용된다.
결합재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고성능감수제를 사용하여 낮은 물결합재비로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결합재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퓸 등의 혼화재를 혼합하여 자유수에 의해 발생하는 모세관 공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 포장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는 표면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크랙과 파손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라텍스와 실리카 퓸을 혼합한 라텍스개질콘크리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었으나, 그 배합특성상 현장에서 재료를 공급받아 모빌믹서(Mobile Mixer)를 이용하여 생산 및 공급하는데, 모빌믹서의 장비운영과 재료공급 운송 및 재료공급 장비운영 등으로 생산단가가 증대됨에 따라 경제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멘트, 라텍스 및 골재를 연속적으로 혼합하여 생산하여야 하는바, 기계적 계량오차가 발생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고가의 라텍스의 혼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라텍스개질콘크리트를 개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8144호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2015. 8. 28. 공개)이 출원된 바 있다.
또한, 콘크리트 포장을 위하여 레미콘 장비를 이용하되, 콘크리트와 기포를 혼합하여 고유동콘크리트를 형성하고, 분말혼합재료를 추가로 투입하여 혼합콘크리트를 제작하고 이를 분사하기 위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1237호 "보통콘크리트에 기포 및 분말혼합재료를 혼입하고 소산하는 과정을 통한 혼합콘크리트 분사장치 및 방법"(2016. 1. 6. 공개)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모두 고강도의 콘크리트를 생산하되, 레미콘 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기포 및 혼화재를 혼합하여 경제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현장에서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가 구비되지 않아 레미콘 장비에 재료를 투입하는 과정이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인건비가 상승하고,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지 못함에 따라 여전히 계량오차가 발생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81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12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성함에 있어서 모빌믹서를 사용하지 않고 범용의 레미콘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장비운영과 재료공급 등에 따른 생산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현장 혼합 장치를 이용하여 인력에 의한 재료의 투입을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절약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계량오차를 줄일 수 있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는, 일반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한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성하기 위한 현장 혼합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혼합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하고, 생성된 혼합혼화재를 이송하는 혼화재 혼합부; 기포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포를 이송하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혼화재 혼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수용하는 교반용기; 상기 교반용기 내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교반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하는 교반기; 생성된 혼합혼화재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혼합혼화재가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화재 혼합부는, 상기 교반용기로 이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각각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 저장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용기는 용량이 50~1000ℓ이며, 상기 교반기는 회전속도가 60~180rp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 발생부는, 기포제와 물을 저장하여 기포를 생성시키는 저장용기; 생성된 기포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기포가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 발생부는, 저장용기 내에 수용된 기포제와 물을 혼합하는 교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회전속도가 5~120rp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 혼합 장치는, 상기 혼화재 혼합부 및 기포 발생부에서 이송되는 혼합혼화재 및 기포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포 발생부는 생성된 기포의 일부를 혼화재 혼합부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현장 혼합 타설공법은 일반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한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성하기 위한 현장 혼합 타설공법에 있어서, 현장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하고, 기포를 생성하는 혼합혼화재 및 기포 생성단계; 일반 콘크리트와 상기 혼합혼화재 및 기포를 현장에서 배합하는 배합단계; 및 배합된 기능성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설단계는, 이경관(reducer)을 이용하여 배합된 기능성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에 따르면, 혼합혼화재를 생성하고 이송하는 혼화재 혼합부와 기포를 생성하고 이송하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하는바,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성함에 있어서 모빌믹서를 사용하지 않고 범용의 레미콘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장비운영과 재료공급 등에 따른 생산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현장 혼합 장치가 현장에서 재료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어 생성된 혼합혼화재와 기포를 현장에서 바로 레미콘 장비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현장 혼합 장치를 이용하여 인력에 의한 재료의 투입을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절약하고, 재료를 투입하는 시간을 절약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현장 혼합 장치를 이용하여 재료의 투입에 따른 계량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력을 이용하여 레미콘 장비에 재료를 투입하는 모습.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력을 이용하여 레미콘 장비에 기포를 투입함에 따라 벽면에 기포가 묻은 모습이며, 도 2b는 해당 작업 모습.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현장 혼합 장치는 혼합혼화재를 생성하기 위한 혼화재와 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기포제 및 물과 같은 재료를 현장에서 자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현장 혼합 장치에서 생성된 혼합혼화재와 기포를 현장에서 바로 레미콘장비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레미콘 장비를 이용하여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산하기 위하여 리프트 카에 인력을 배치하고 재료를 수작업으로 레미콘 장비에 이송하는 비효율성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현장 혼합 장치는 재료를 사전에 저장한 후 자동으로 공급함에 따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를 혼화재로 실리카 퓸과 라텍스를 투입하는 경우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구 분 기포 투입 및 혼합 실리카 퓸 투입 및 혼합 라텍스 투입 및 혼합
종래 (3㎥) 4분 4분 6분
본 발명 (3㎥) 4분 7분 (기포와 동시에 투입 및 혼합)
본 발명 (5㎥) 5분 12분 (기포와 동시에 투입 및 혼합)
상기 표 1을 생산 효율로 변환하면, 본 발명이 종래 방식에 비하여 약 50 ~ 100% 정도 증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는 일반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한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혼화재 혼합부와 기포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화재는 실리카 퓸, 라텍스, 속경성 혼화재, 안료, 플라이 애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실리카 퓸과 라텍스를 혼합하여 교량이나 노면에 적용되는 포장용 고강도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으며, 속경성 혼화재와 라텍스를 혼합하여 초속경 유지보수재료를 생산할 수 있고, 안료와 플라이 애쉬를 혼합하여 고성능 칼라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혼화재 이외에도 일반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시키고 경제성이 인정되는 다른 혼화재가 사용될 수 있다면 이러한 혼화재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기포는 기포제와 물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보통 콘크리트가 충분한 유동성을 지니도록 하여 혼합혼화재와 충분히 배합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혼화재 혼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혼합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하고, 생성된 혼합혼화재를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기포 발생부는 기포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포를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기능성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장비가 레미콘 장비인 경우에 상기 혼화재 혼합부와 기포 발생부는 생성된 혼합혼화재와 기포를 레미콘 장비로 직접 이송한다.
따라서, 모빌믹서를 사용하지 않고 범용의 레미콘 장비 등을 사용함으로써 장비운영과 재료공급 등에 따른 생산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시험 시공에 의하면 대략적으로 15.7%의 공사비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상기 혼화재 혼합부는 교반용기, 교반기, 이송관 및 동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반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후술하는 교반기에 의하여 수용된 혼화재가 혼합된다. 상기 교반기는 교반용기 내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교반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한다. 상기 이송관은 생성된 혼합혼화재를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혼합혼화재는 동력모듈에 의하여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이송관을 따라 레미콘 장비 등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장비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는 노즐이 구비되어 혼합혼화재가 충분한 속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화재 혼합부는, 상기 교반용기로 이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각각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 저장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혼화재가 상호 혼합되는 경우 혼화재의 종류별로 개별적인 혼화재 저장용기를 구비함으로써, 현장에서도 충분한 양의 혼화재를 사전에 보유할 수 있어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인력에 의한 재료의 투입이 불요한 바 불필요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어부를 이용하여 혼화재의 양과 비율을 조절할 수 있어 정량 투입 및 혼합이 가능해져 계량오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균질하고 정확한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교반용기는 용량이 50~1000ℓ이며, 상기 교반기는 회전속도가 60~180rpm일 수 있다.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는 혼화재의 종류에 따른 점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점성이 증가될 수록 회전속도가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비중이 높은 혼화재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교반용기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포 발생부는, 저장용기, 이송관 및 동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는 기포제와 물을 저장하여 기포를 생성시키며, 이송관은 생성된 기포가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포는 동력모듈이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생성된 기포가 이송관을 통하여 레미콘 장비 등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장비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는 노즐이 구비되어 생성된 기포가 충분한 속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혼화재 혼합부와 기포 발생부에 형성되는 이송관의 노즐은 노즐 지지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 거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은 혼합혼화재 또는 기포의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벽면에 기포가 묻거나, 인력을 이용하여 이송관을 잡고 지지하여야 하는 비효율이 발생하였다.
이에 상기 노즐 지지대에 상기 이송관들의 노즐이 거치되도록 하여 안정적으고, 효과적으로 혼합혼화재 및 기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포 발생부는, 저장용기 내에 수용된 기포제와 물을 혼합하는 교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에 기포제와 물을 저장하고 추후에 고압으로 이송시킴으로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사전에 상기 교반기를 이용하여 적절한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기포제가 물과 균질하게 혼합되도록 충분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반기의 회전이 지나치면 기포가 사전에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교반기는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회전속도가 5~120rp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 발생부는 생성된 기포의 일부를 혼화재 혼합부로 이송할 수 있다. 혼화재 혼합부는 교반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혼합하는 바, 복수의 혼화재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기포의 일부를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장 혼합 장치는, 상기 혼화재 혼합부 및 기포 발생부에서 이송되는 혼합혼화재 및 기포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혼화재 혼합부와 기포 발생부에서 이송되는 혼합혼화재 및 기포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정확하고 균질한 기능성 콘크리트의 배합비를 제공할 수 있어 재료의 투입에 따른 계량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때, 혼합혼화재 및 기포의 양은 시간에 따른 재료의 양인 유량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유량을 제어하여 정확한 배합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혼화재 혼합부의 혼화재 저장용기로부터 교반용기로 이송되는 혼화재의 양을 제어하여, 혼화재 간의 중량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데 라텍스와 실리카 퓸을 이용하여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레미콘 장비 1㎥ 의 부피당 라텍스 42kg과 실리카 퓸 25kg이 요구되는 바 그 중량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현장 혼합 타설공법은 일반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한 기능성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생성하기 위한 공법으로, 혼합혼화재 및 기포 생성단계, 배합단계 및 타설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혼화재 및 기포 생성단계는 상술한 현장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하고, 기포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로써,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성함에 있어서 모빌믹서를 사용하지 않고 범용의 레미콘 장비 등을 사용함으로써 장비운영과 재료공급 등에 따른 생산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상황과 무관하게 재료를 충분히 저장하여 레미콘 장비 등 콘크리트 타설 장비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진행되는 상기 배합단계는 일반 콘크리트와 상기 혼합혼화재 및 기포를 현장에서 배합하는 단계이며, 상술한 제어부가 혼화재 혼합부와 기포 발생부에서 이송되는 혼합혼화재 및 기포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정확하고 균질한 기능성 콘크리트의 배합비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설단계는 배합된 기능성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이때, 이경관(reducer)을 이용하여 상기 배합단계에 혼합하였던 기포가 소산 및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일반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한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성하기 위한 현장 혼합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혼합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하고, 생성된 혼합혼화재를 이송하는 혼화재 혼합부;
    기포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포를 이송하는 기포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재 혼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수용하는 교반용기;
    상기 교반용기 내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교반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하는 교반기;
    생성된 혼합혼화재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혼합혼화재가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재 혼합부는,
    상기 교반용기로 이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를 각각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혼화재 저장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용기는 용량이 50~1000ℓ이며, 상기 교반기는 회전속도가 60~18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는,
    기포제와 물을 저장하여 기포를 생성시키는 저장용기;
    생성된 기포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기포가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는,
    저장용기 내에 수용된 기포제와 물을 혼합하는 교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회전속도가 5~12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혼합 장치는,
    상기 혼화재 혼합부 및 기포 발생부에서 이송되는 혼합혼화재 및 기포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는 생성된 기포의 일부를 혼화재 혼합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10. 일반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한 기능성 콘크리트를 생성하기 위한 현장 혼합 타설공법에 있어서,
    청구항 1의 현장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혼합혼화재를 생성하고, 기포를 생성하는 혼합혼화재 및 기포 생성단계;
    일반 콘크리트와 상기 혼합혼화재 및 기포를 현장에서 배합하는 배합단계; 및
    배합된 기능성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타설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단계는,
    이경관(reducer)을 이용하여 배합된 기능성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타설방법.
KR1020160018269A 2016-02-17 2016-02-17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 KR20170096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269A KR20170096710A (ko) 2016-02-17 2016-02-17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269A KR20170096710A (ko) 2016-02-17 2016-02-17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710A true KR20170096710A (ko) 2017-08-25

Family

ID=5976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269A KR20170096710A (ko) 2016-02-17 2016-02-17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67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3813A (zh) * 2020-05-25 2020-09-08 郑州水工机械有限公司 一种干混砂浆楼站控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3813A (zh) * 2020-05-25 2020-09-08 郑州水工机械有限公司 一种干混砂浆楼站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6334B2 (en) Method, composition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concrete
CN110027116B (zh) 一种混凝土生产加工设备
KR101587064B1 (ko)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일체형 믹싱 및 타설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96710A (ko) 기능성 콘크리트의 현장 혼합 장치 및 현장 혼합 타설공법
JP5502116B2 (ja) モルタル用軽量骨材の製造方法
JP2007015184A (ja) 大粗粒含有不定形耐火物の連続混練方法と連続混練機
CN111173290A (zh) 混凝土浇筑车
JP2015123693A (ja) 粉体混和材のセメント混練物への添加器具及び添加方法、並びに粉体混和材を混和したセメント混練物の製造方法
KR100701605B1 (ko) 콘크리트 첨가물 현장 배합 및 고속 믹싱방법 및 그 장치
JP4531154B2 (ja) 気泡モルタル連続製造用のミキサポンプを用いた気泡モルタルの連続製造方法
CN108863213A (zh) 一种抗渗抗裂预拌砂浆及其制作方法
JP6662668B2 (ja) 吹付用モルタル
JP2008063759A (ja) 流動化処理土の製造方法
JP5110339B2 (ja) モルタル用軽量骨材
JP6274433B2 (ja) セメントミキシングシステム車
JP4000393B2 (ja) 高濃度土質スラリー材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JP3674558B2 (ja) 可塑性注入材の施工方法
CN215241787U (zh) 一种混凝土搅拌站混料装置
JP2016190415A (ja) 重量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重量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7163548B2 (ja) エアモルタル用プレミックス材、エアモルタル、エアモルタルの製造方法、エアモルタルの製造装置
JP3258141B2 (ja) 吹付けにより気泡コンクリートを打設する方法
KR101442795B1 (ko) 기포숏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포장 시공방법
KR100187431B1 (ko) 현장타설용기 포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219445603U (zh) 一种混凝土养护装置
CN210336427U (zh) 一种建筑砂浆混料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