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343A -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343A
KR20170096343A KR1020160017610A KR20160017610A KR20170096343A KR 20170096343 A KR20170096343 A KR 20170096343A KR 1020160017610 A KR1020160017610 A KR 1020160017610A KR 20160017610 A KR20160017610 A KR 20160017610A KR 20170096343 A KR20170096343 A KR 20170096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unch
cap
type diffuser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469B1 (ko
Inventor
박차홍
Original Assignee
박차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차홍 filed Critical 박차홍
Priority to KR102016001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4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6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4Recont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2Stabbing or piercing, e.g. for making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형의 디퓨저를 단일 트랜스퍼 금형에서 제조하기 위한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행공정에서 블랭킹된 원형의 소재(W)를 하부금형(L) 상에 안치시켜 상부금형(T)의 펀치(11)를 하강시켜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의 형틀(12)에서 플랜지부 곡률이 R8,캡부의 곡률이 R12가 되게 성형하는 드로잉 공정(S1)과,상기 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2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2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 곡률이 R4,캡부의 곡률이 R9가 되게 성형하는 1차 리드로잉 공정(S2)과,상기 1차 리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3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3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 곡률이 R3이 되게 플랜지를 하방으로 벤딩되게 하고 캡부는 경사각이 형성되게 성형하는 2차 리드로잉 공정(S3)과,상기 2차 리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4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4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를 수평으로 형성하고 캡부의 경사각은 소정의 곡률이 형성되게 성형하는 포밍 공정(S4)과,상기 포밍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5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5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와 캡부의 형상과 치수를 교정 성형하는 리스트리킹 공정(S5)과,상기 리스트리킹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6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6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을 천공하는 피어싱 공정(S6)과,상기 피어싱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7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7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의 가장자리를 절단하고 각인하는 트림 및 마킹 공정(S7)과,상기 트림 및 마킹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82)에서 상부금형(T)의 캠(81)를 하강하여 홀천공용 펀치(83)가 장착된 펀치스트리퍼(84)로 캡부의 측면 내주연에 천공되는 홀의 1/2를 천공시키는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 및 상기 1차 피어싱 공정(S8)에서 캡부의 측면 내주연에 1/2홀이 천공된 소재를 상기 1차 피어싱 공정(S8)의 동일한 형상의 금형에서 홀천공용 펀치의 위치만이 변경된 구조로 소재의 나머지 1/2홀을 천공하는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으로 캡형 디퓨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Transfer die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ffuser capped on a single die}
본 발명은 캡형(Cap type)의 디퓨저(Diffuser)를 단일 트랜스퍼(Transfer) 금형에서 제조하기 위한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행공정에서 블랭킹(Blanking)된 원형의 소재를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드로잉 공정(Drawing Process)-리드로잉 1,2차 공정(Redrawing)-포밍 공정(Forming Process)-리스트리킹 공정(Restriking)-피어싱 공정(Piercing Process)-트림 및 마킹 공정(Trim & Marking Process)-사이드 피어싱 1,2차 공정(Side Piercing Process)의 9단계를 통하여 제조할 수 있게 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랜스퍼 금형은 연속 대량생산 작업에 많이 사용되는 금형으로 각 공정 간의 금형설계가 독립적이다.
즉,단 공정 금형의 조합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트랜스퍼 금형 작업은 바 피더(Bar Feeder)에 장착되어 있는 핑거(Finger)에 의해 부품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면서 단계적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주로 중대형 제품의 성형작업에 이용되고 트랜스퍼 금형작업은 전용의 트랜스퍼 이송장치가 부착되어 있는프레스가 필요하며 보통 작업속도는 30-60spmdml 범위에 있다.
상기의 캡형 디퓨저는 그 형상에 있어 4방향으로 천공된 홀을 가지는 플랜지의 상부로 캡 형상의 하우징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측면 상에 다수의 천공된 홀을 가지는 구조로 상기 캡형 디퓨저의 절곡부(상부,플랜지 등)의 곡률가공과 하우징의 측면에 천공되는 홀의 가공정밀도를 요구하는 성형물이다.
또한 상기 캡형 디퓨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다수의 금형과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므로 다수의 금형설비와 작업자가 요구되고 설비의 공간 점유률로 인한 공간 활용률이 저하되며 원 싸이클의 제조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금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캡형 디퓨저의 제조장치로는 공개특허 제10-21015-0027520호(자동차 에어백 인플레이터 홀가공 금형장치)가 제시되었다.
상기 공개특허는 금형장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인플레이터를 삽입 및 고정하는 삽입구와 고정핀을 구비하는 하형플레이트와 하형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하로 교합되고 인플레이터의 상단을 작업하는 상형플레이트 및 상형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펀칭기법을 사용하여 펀칭축,펀칭,펀치스트리퍼,가이드바로 구성되어 인플레이터의 외주면에 홀을 형성하는 홀가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홀가공 금형장치이다.
상기의 공개특허는 다수의 선행공정 금형을 통하여 성형된 캡형 인플레이터를 하형플레이트의 삽입부와 고정핀에 의해 안치시킨 후 상형플레이트의 펀칭축이 펀칭이 장착된 펀치스트리퍼를 타격하여 홀을 가공하고 가이드바에 의해 펀치스트리퍼의 양측에 설치된 바를 밀어서 펀치스트리퍼를 원위치시키는 구조의 금형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공개특허는 캡형 인플레이터의 하우징 측면에 형성되는 홀의 천공 공정만을 수행하는 금형으로 선행공정에서의 다수의 금형과 공정을 통하여 캡형 인플레이터를 성형시키므로 설비비용이 상승되고 다수의 작업자로 인한 인건비의 상승과 제조시간이 지연될 뿐만아니라 설비의 공간점용률이 넓어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천공 공정에서 펀칭을 이용하여 홀을 천공하고 원위치시키는 펀치스트리퍼의 작동이 가이드바로 펀치스트리퍼의 양측에 설치된 바를 밀어서 작동시키는 구조이므로 금형의 연속가공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출된 것으로 트랜스퍼 단일금형을 이용하여 블랭킹된 원형의 소재를 드로잉 공정-리드로잉 1,2차 공정-포밍 공정-리스트리킹 공정-피어싱 공정-트림 및 마킹 공정-사이드 피어싱 1,2차 공정의 9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제조할 수 있게 하고 캡형 디퓨저의 플랜지부의 곡률부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1,2차에 걸쳐 리드로잉 공정을 수행하며 순차적으로 포밍,리스트리킹,피어싱 및 트림과 마킹 공정을 수행케 하고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캡형 디퓨저의 하우징 측면에 다수의 홀을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펀칭시켜 홀의 가공정밀도와 버(Burr)의 발생률을 최소화하면서 하우징 내에 이물질 잔류를 방지하는 사이드 피어싱 공정을 수행케 하는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선행공정에서 블랭킹된 원형의 소재를 하부금형 상에 안치시켜 상부금형의 펀치를 하강시켜 하부금형의 캡형 디퓨저의 형틀에서 플랜지부 곡률이 R8,캡부의 곡률이 R12가 되게 성형하는 드로잉 공정과,상기 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의 캡형 디퓨저 형틀에서 상부금형의 펀치를 하강시켜 플랜지부 곡률이 R4,캡부의 곡률이 R9가 되게 성형하는 1차 리드로잉 공정과,상기 1차 리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의 캡형 디퓨저 형틀에서 상부금형의 펀치를 하강시켜 플랜지부 곡률이 R3이 되게 플랜지를 하방으로 벤딩되게 하고 캡부는 경사각이 형성되게 성형하는 2차 리드로잉 공정과,상기 2차 리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의 캡형 디퓨저 형틀에서 상부금형의 펀치를 하강시켜 플랜지부를 수평으로 형성하고 캡부의 경사각은 소정의 곡률이 형성되게 성형하는 포밍 공정과,상기 포밍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의 캡형 디퓨저 형틀에서 상부금형의 펀치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와 캡부의 형상과 치수를 교정 성형하는 리스트리킹 공정과,상기 리스트리킹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의 캡형 디퓨저 형틀에서 상부금형의 펀치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을 천공하는 피어싱 공정과,상기 피어싱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의 캡형 디퓨저 형틀에서 상부금형의 펀치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의 가장자리를 절단하고 각인하는 트림 및 마킹 공정과,상기 트림 및 마킹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의 캡형 디퓨저 형틀에서 상부금형의 캠를 하강하여 홀천공용 펀치가 장착된 펀치스트리퍼로 캡부의 측면 내주연에 천공되는 홀의 1/2를 천공시키는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 및 상기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에서 캡부의 측면 내주연에 1/2홀이 천공된 소재를 상기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의 동일한 형상의 금형에서 홀천공용 펀치의 위치만이 변경된 구조로 소재의 나머지 1/2홀을 천공하는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으로 캡형 디퓨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과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의 구조는 중앙에 캡형 디퓨저 형틀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그 상단의 중앙에 캠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 홀천공용 펀치가 이단으로 장착된 펀치스트리퍼가 형성되며 펀치스트리퍼는 그 양측에 설치된 상부스트리퍼에 의해 원위치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캡형 디퓨저의 측면 내주연에 홀을 천공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캡형의 디퓨저를 제조하기 위하여 드로잉 공정-리드로잉 1,2차 공정-포밍 공정-리스트리킹 공정-피어싱 공정-트림 및 마킹 공정-사이드 피어싱 1,2차 공정의 9단계를 순차적으로 단일 트랜스퍼에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설비비용과 공간점유률을 최소화하며 캡형 디퓨저의 생산 싸이클을 단축시켜 제조시간을 단축시키고 인건비를 절감시키며 1,2차에 걸쳐 리드로잉 공정으로 캡형 디퓨저의 플랜지부의 곡률부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사이드 피어싱 공정을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캡형 디퓨저의 하우징 측면에 다수의 홀을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펀칭시켜 홀의 가공정밀도와 버의 발생률을 최소화하면서 하우징 내에 이물질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공정인 드로잉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2공정인 1차 리드로잉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3공정인 2차 리드로잉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4공정인 포밍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5공정인 리스트리킹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6공정인 피어싱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7공정인 트림 및 마킹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8공정인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
도 9 는 본 발명의 성형품인 캡형 디퓨저의 가공 수순에 따른 형상구조도
이하 발명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공정인 드로잉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이고,도 2 는 본 발명의 제2공정인 1차 리드로잉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이며,도 3 은 본 발명의 제3공정인 2차 리드로잉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이고,도 4 는 본 발명의 제4공정인 포밍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이며,도 5 는 본 발명의 제5공정인 리스트리킹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이고,도 6 은 본 발명의 제6공정인 피어싱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제7공정인 트림 및 마킹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이고,도 8 은 본 발명의 제8공정인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의 금형작동과 성형제품 형상도이며,도 9 는 본 발명의 성형품인 캡형 디퓨저의 가공 수순에 따른 형상구조도로 블랭킹된 소재를 드로잉 공정-리드로잉 1,2차 공정-포밍 공정-리스트리킹 공정-피어싱 공정-트림 및 마킹 공정-사이드 피어싱 1,2차 공정의 9단계를 순차적으로 단일 트랜스퍼 금형에서 수행할 때의 소재의 성형 수순에 따른 형상을 도시하였다.
캡형 디퓨저를 단일 트랜스퍼 금형에서 제조함에 있어서,
선행공정에서 블랭킹된 원형의 소재(W)를 하부금형(L) 상에 안치시켜 상부금형(T)의 펀치(11)를 하강시켜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의 형틀(12)에서 플랜지부 곡률이 R8,캡부의 곡률이 R12가 되게 성형하는 드로잉 공정(S1)과;
상기 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2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2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 곡률이 R4,캡부의 곡률이 R9가 되게 성형하는 1차 리드로잉 공정(S2)과;
상기 1차 리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3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3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 곡률이 R3이 되게 플랜지를 하방으로 벤딩되게 하고 캡부는 경사각이 형성되게 성형하는 2차 리드로잉 공정(S3)과;
상기 2차 리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4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4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를 수평으로 형성하고 캡부의 경사각은 소정의 곡률이 형성되게 성형하는 포밍 공정(S4)과;
상기 포밍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5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5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와 캡부의 형상과 치수를 교정 성형하는 리스트리킹 공정(S5)과;
상기 리스트리킹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6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6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을 천공하는 피어싱 공정(S6)과;
상기 피어싱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7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7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의 가장자리를 절단하고 각인하는 트림 및 마킹 공정(S7)과;
상기 트림 및 마킹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82)에서 상부금형(T)의 캠(81)를 하강하여 홀천공용 펀치(83)가 장착된 펀치스트리퍼(84)로 캡부의 측면 내주연에 천공되는 홀의 1/2를 천공시키는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 및 상기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에서 캡부의 측면 내주연에 1/2홀이 천공된 소재를 상기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의 동일한 형상의 금형에서 홀천공용 펀치의 위치만이 변경된 구조로 소재의 나머지 1/2홀을 천공하는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으로 캡형 디퓨저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과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의 구조는 중앙에 캡형 디퓨저 형틀(82)이 형성된 하부금형(L)과 그 상단의 중앙에 캠(81)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 홀천공용 펀치(83)가 이단으로 장착된 펀치스트리퍼(84)가 형성되며 펀치스트리퍼(84)는 그 양측에 설치된 상부스트리퍼(85)에 의해 원위치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캡형 디퓨저의 측면 내주연에 홀을 천공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를 제조하기 위하여을 블랭킹된 원형의 소재를 드로잉 공정-리드로잉 1,2차 공정-포밍 공정-리스트리킹 공정-피어싱 공정-트림 및 마킹 공정-사이드 피어싱 1,2차 공정의 9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제조할 수 있게 하고 1,2차에 걸쳐 리드로잉 공정으로 캡형 디퓨저의 플랜지부와 캡부의 곡률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며 포밍 공정에서 플랜의 곡률형상과 캡부의 경사가을 조정하며 리스트리킹 공정에서 형상과 치수를 교정하고 피어싱 공정에서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을 정밀하게 천공하고 트림과 마킹 공정에서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의 가장자리를 절단하고 각인하며 사이드 피어싱 공정을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캡형 디퓨저의 하우징 측면에 다수의 홀을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펀칭시켜 홀의 가공정밀도와 버의 발생률을 최소화하면서 하우징 내에 이물질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랭킹된 원형 소재(W)를 드로잉 공정(S1)-리드로잉 1,2차 공정(S2,S3)-포밍 공정(S4)-리스트리킹 공정(S5)-피어싱 공정(S6)-트림 및 마킹 공정(S7)-사이드 피어싱 1,2차 공정(S8,S9)을 통한 9단계의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를 제조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트랜스퍼 금형은 드로잉 공정(S1)에서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9) 까지 단일금형에서 순차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선행공정에서 소재(W)를 원형상으로 블랭킹시켜 제1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드로잉 공정(S1)은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12)에 안치시키고 상부금형(T)을 하강시켜 펀치(11)로 소재(W)를 1차 성형시킨다.
이때 성형물의 플랜지부의 곡률은 R8이 되게 하고 캡부의 곡률은 R12가 되게 성형한다.(도1 및 도9 참조)
상기 드로잉 공정(S1)을 통과한 성형물은 1차 리드로잉 공정(S2)으로 이송되어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22)에 안치시키고 상부금형(T)을 하강시켜 펀치(21)로 성형물을 2차 성형시킨다.
이때 성형물의 플랜지부의 곡률은 R4이 되게 하고 캡부의 곡률은 R9가 되게 성형한다.(도2 및 도9 참조)
상기 1차 리드로잉 공정(S2)을 통과한 성형물은 2차 리드로잉 공정(S3)으로 이송되어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32)에 안치시키고 상부금형(T)을 하강시켜 펀치(31)로 성형물을 3차 성형시킨다.
이때 성형물의 플랜지부의 곡률은 R3이 되게 하기 위하여 플랜지를 하방으로 벤딩시키고 이와 동시에 캡부의 형상은 경사각을 이루게 성형한다.(도3 및 도9 참조)
상기 2차 리드로잉 공정(S3)을 통과한 성형물은 포밍 공정(S4)으로 이송되어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42)에 안치시키고 상부금형(T)을 하강시켜 펀치(41)로 성형물을 4차 성형시킨다.
이때 성형물의 플랜지부는 수평으로 형성하면서 소정의 곡률로 성형되게 하고 캡부의 경사각은 소정의 곡률로 형성되게 성형한다.(도4 및 도9 참조)
상기 포밍 공정(S4)을 통과한 성형물은 리스트리킹 공정(S5)으로 이송되어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52)에 안치시키고 상부금형(T)을 하강시켜 펀치(51)로 성형물을 5차 성형시킨다.
이때 성형물의 플랜지부와 캡부의 형상과 치수를 제품규격에 일치하게 형상과 치수를 교정되게 성형한다.(도5 및 도9 참조)
상기 리스트리킹 공정(S5)을 통과한 성형물은 피어싱 공정(S6)으로 이송되어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62)에 안치시키고 상부금형(T)을 하강시켜 펀치(61)로 성형물을 6차 성형시킨다.
이때 성형물의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을 정밀하게 천공시켜 성형한다.(도6 및 도9 참조)
상기 피어싱 공정(S6)을 통과한 성형물은 트림 및 마킹 공정(S7)으로 이송되어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72)에 안치시키고 상부금형(T)을 하강시켜 펀치(71)로 성형물을 7차 성형시킨다.
이때 성형물의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천공된 홀의 가장자리를 절단하고 각인시켜 성형한다.(도7 및 도9 참조)
상기 트림 및 마킹 공정(S7)을 통과한 성형물은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으로 이송되어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82)에 안치시키고 상부금형(T)을 하강시켜 캠(81)으로 펀치스트리퍼(84)를 외부로 밀면 펀치스트리퍼(84)에 장착된 펀치(83)가 타격하여 성형물의 캡부 측면 내주연에서 외부로 홀을 천공시키고 상부금형(T)이 상승하면 캠(81)과 함께 상부스트리퍼(85)가 상승하면서 내측 단턱이 펀치스트리퍼(84)의 외측단턱을 밀어 펀치(83)가 장착된 펀치스트리퍼(84)를 원위치시키고 다음 작업을 대기하면서 성형물을 8차 성형시킨다.
이때 성형물의 캡부 측면 내주연에서 외측으로 천공되는 홀의 1/2을 천공시켜 성형한다.(도8 및 도9 참조)
상기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을 통과한 성형물은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9)으로 이송되어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82)에 안치시키고 상부금형(T)을 하강시켜 캠(81)으로 펀치스트리퍼(84)를 외부로 밀면 펀치스트리퍼(84)에 장착된 펀치(83)가 타격하여 성형물의 캡부 측면 내주연에서 외부로 홀을 천공시키고 상부금형(T)이 상승하면 캠(81)과 함께 상부스트리퍼(85)가 상승하면서 내측 단턱이 펀치스트리퍼(84)의 외측단턱을 밀어 펀치(83)가 장착된 펀치스트리퍼(84)를 원위치시키고 다음 작업을 대기하면서 성형물을 9차 성형시킨다.
이때 성형물의 캡부 측면 내주연에서 외측으로 천공되는 홀은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에서 1/2을 천공하고 나머지 1/2을 천공시켜 성형한다.(도9 참조)
상기의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과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9)에 사용되는 금형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고 2단으로 장착되는 홀천공용 펀치(83)의 위치만이 변경되는 구조로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에서 캡부 측면 내주연에 천공되는 홀의 1/2을 천공하고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9)에서 나머지 1/2을 천공하여 캡형 디퓨저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21,31,41,51,61,71: 펀치
12,22,32,42,52,62,72,82: 캠형 디퓨저 형틀
81: 캠
83: 홀천공용 펀치
84: 펀치스트리퍼
85: 상부스트리퍼
L: 하부금형
T: 상부금형
W: 소재

Claims (2)

  1. 캡형 디퓨저를 단일 트랜스퍼 금형에서 제조함에 있어서,
    선행공정에서 블랭킹된 원형의 소재(W)를 하부금형(L) 상에 안치시켜 상부금형(T)의 펀치(11)를 하강시켜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의 형틀(12)에서 플랜지부 곡률이 R8,캡부의 곡률이 R12가 되게 성형하는 드로잉 공정(S1)과;
    상기 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2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2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 곡률이 R4,캡부의 곡률이 R9가 되게 성형하는 1차 리드로잉 공정(S2)과;
    상기 1차 리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3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3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 곡률이 R3이 되게 플랜지를 하방으로 벤딩되게 하고 캡부는 경사각이 형성되게 성형하는 2차 리드로잉 공정(S3)과;
    상기 2차 리드로잉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4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4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를 수평으로 형성하고 캡부의 경사각은 소정의 곡률이 형성되게 성형하는 포밍 공정(S4)과;
    상기 포밍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5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5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와 캡부의 형상과 치수를 교정 성형하는 리스트리킹 공정(S5)과;
    상기 리스트리킹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6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6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을 천공하는 피어싱 공정(S6)과;
    상기 피어싱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72)에서 상부금형(T)의 펀치(71)를 하강시켜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홀의 가장자리를 절단하고 각인하는 트림 및 마킹 공정(S7)과;
    상기 트림 및 마킹 성형된 소재를 하부금형(L)의 캡형 디퓨저 형틀(82)에서 상부금형(T)의 캠(81)를 하강하여 홀천공용 펀치(83)가 장착된 펀치스트리퍼(84)로 캡부의 측면 내주연에 천공되는 홀의 1/2를 천공시키는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 및 상기 1차 피어싱 공정(S8)에서 캡부의 측면 내주연에 1/2홀이 천공된 소재를 상기 1차 피어싱 공정(S8)의 동일한 형상의 금형에서 홀천공용 펀치의 위치만이 변경된 구조로 소재의 나머지 1/2홀을 천공하는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으로 캡형 디퓨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과 2차 사이드 피어싱 공정(S8)의 구조는 중앙에 캡형 디퓨저 형틀(82)이 형성된 하부금형(L)과 그 상단의 중앙에 캠(81)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 홀천공용 펀치(83)가 이단으로 장착된 펀치스트리퍼(84)가 형성되며 펀치스트리퍼(84)는 그 양측에 설치된 상부스트리퍼(85)에 의해 원위치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캡형 디퓨저의 측면 내주연에 홀을 천공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


















KR1020160017610A 2016-02-16 2016-02-16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 KR101772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610A KR101772469B1 (ko) 2016-02-16 2016-02-16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610A KR101772469B1 (ko) 2016-02-16 2016-02-16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343A true KR20170096343A (ko) 2017-08-24
KR101772469B1 KR101772469B1 (ko) 2017-08-30

Family

ID=5975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610A KR101772469B1 (ko) 2016-02-16 2016-02-16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4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407A1 (ko) 2017-07-28 2019-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CN109513815A (zh) * 2018-10-16 2019-03-26 浙江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箱上盖的加工工艺
KR102044850B1 (ko) * 2018-05-18 2019-11-15 (주)삼도인더스트리 서보 구동 스트리퍼를 구비한 프레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697B1 (ko) * 2019-12-06 2021-07-22 (주)선진하이텍 스틸볼 성형 금형
KR102198556B1 (ko) * 2020-06-01 2021-01-05 주식회사 상진 원통형 고강도 부싱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통형 고강도 부싱, 및 이 원통형 고강도 부싱을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 성형장치
KR102270264B1 (ko) * 2020-10-23 2021-06-28 김부태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한 부싱베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56B1 (ko) * 2007-04-11 2007-12-10 선진정밀(주) 방진고무 아웃파이프 제조장치
KR101550023B1 (ko) * 2015-03-03 2015-09-08 주식회사전우정밀 프레스 금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407A1 (ko) 2017-07-28 2019-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KR102044850B1 (ko) * 2018-05-18 2019-11-15 (주)삼도인더스트리 서보 구동 스트리퍼를 구비한 프레스
CN109513815A (zh) * 2018-10-16 2019-03-26 浙江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箱上盖的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469B1 (ko)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469B1 (ko) 트랜스퍼 단일금형에서 캡형 디퓨저의 제조방법
US8875555B2 (en) Bossed disc-like member manufacturing method and bossed disc-like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672979B1 (ko) 박판가공장치 및 박판가공방법
US2015032536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laminated iron core
KR20130035710A (ko) 릴레이 펀칭 금형 및 릴레이 펀칭 금형을 이용한 펀칭 방법
US9669448B2 (en)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stamped parts
CN106944794A (zh) 一种汽车零部件生产方法
KR101583428B1 (ko) 박형 금속 재료를 이용한 베어링부를 갖는 모터 케이스의 제조 방법
CN206578196U (zh) 冲压拉伸互换型模具
CN106345877A (zh) 一种钣金件打凸包工艺及专用模具
KR101034457B1 (ko) 진동모터 케이스 제조방법
JPH07304116A (ja) ゴム製環状品製造用加硫シート、ゴム製環状品の製造方法およびゴム製環状品の製造装置
CN213223960U (zh) 一种轮辐成型模具
KR100585514B1 (ko) 프레스 금형 조립체
KR102067706B1 (ko) 전기모터의 베어링 쉴드 제조방법
CN220444837U (zh) 一种连续冲压模具
CN206046806U (zh) 一种用于螺母板的多工序连续冲压模
KR20140051634A (ko) 자동 제품 취출 기능을 갖는 트리밍 금형
CN112355141B (zh) 一种用于加工轴承油封的冲压模具
KR102067700B1 (ko) 전기모터용 베어링 쉴드 제조장치
CN214601331U (zh) 一种搬运车车架的冲孔切料模具
CN112122943B (zh) 一种制动套加工工艺
CN216828199U (zh) 一种整机安装板模具
KR200355328Y1 (ko) 프레스 금형 조립체
CN115805264A (zh) 车用外部横梁多道冲压加工成型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