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384A - 성형 밀봉부들에 따라 가변적인 유동 연결부를 갖는 압축 공기 매체 장치 - Google Patents

성형 밀봉부들에 따라 가변적인 유동 연결부를 갖는 압축 공기 매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384A
KR20170095384A KR1020177020011A KR20177020011A KR20170095384A KR 20170095384 A KR20170095384 A KR 20170095384A KR 1020177020011 A KR1020177020011 A KR 1020177020011A KR 20177020011 A KR20177020011 A KR 20177020011A KR 20170095384 A KR20170095384 A KR 20170095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dium
flow
annular portion
housing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248B1 (ko
Inventor
카르스텐 슈니티게르
크리스티안 쿨렌
Original Assignee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95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15B13/081Laminated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28Modular units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of the mod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3Systems with different interchangeable components, e.g. using preassembled k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013/002Modular valves, i.e. consisting of an assembly of interchangeable components
    • F15B2013/006Modular components with multiple uses, e.g. kits for either normally-open or normally-closed valves, interchangeable or reprogrammable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ket Seals (AREA)
  • Valve Housing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매체가 유동하는 차량의 압력 매체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서로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층을 가진 다층 구조를 포함하고, 이 경우 제 1 층(20)의 제 1 표면(76)에서 압력 매체를 위한 유동 채널들의 적어도 3개의 유동 개구들(44, 56, 58)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 1 표면은 제 1 층(20)에 인접하는 제 2 층(36)의 제 2 표면(78)에 마주 놓이고, 2개의 층(20, 36)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환형부(46) 및 환형부(46)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 밀봉부(40; 40a, 40b, 40c)가 배치되며, 상기 폐쇄부는 제 1 표면(76)에 있는 유동 개구들(44, 56, 58)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개구의 밀봉 폐쇄를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환형부(46)는 링형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는 환형부(46) 내에 배치되며, 환형부(46)는 압력 매체 의해 관류될 수 있는 챔버(74)를 둘러싸고, 상기 챔버는 또한 제 1 표면(76)에 의해 및 제 2 표면(78)에 의해 획정되고, 환형부(46)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가 각각 상이한 위치를 갖는 성형 밀봉부들(40a, 40b, 40c)의 그룹이 제공되고, 2개의 층(20, 36) 사이에 조립되며 성형 밀봉부들(40a, 40b, 40c)의 그룹에서 선택된 성형 밀봉부(40a, 40b 또는 40c)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다른 유동 개구(44, 56, 58)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에 의해 폐쇄되고, 따라서 적어도 3개의 유동 개구들(44, 56, 58) 중 적어도 2개의 개구(44, 56 또는 44, 58 또는 56, 58) 사이의 각각의 다른 유동 연결부가 챔버(74) 내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성형 밀봉부(40)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동 개구(44 또는 56 또는 58)가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에 의해 폐쇄되도록 및 적어도 3개의 개구들(44, 56, 58) 중 적어도 2개의 개구(44, 56 또는 44, 58 또는 56, 58) 사이의 각각의 다른 유동 연결부가 챔버(74) 내에서 구현되도록, 상기 성형 밀봉부(40)가 형성되고 유동 개구들(44, 56, 58)은 제 1 표면(76)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성형 밀봉부들에 따라 가변적인 유동 연결부를 갖는 압축 공기 매체 장치{COMPRESSED AIR DEVICE WITH FLUIDIC CONNECTIONS WHICH ARE VARIABLE ON THE BASIS OF MOLDED SEALS}
본 발명은 서로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층을 가진 다층 구조를 포함하고, 제 1 층의 제 1 표면에서 압력 매체를 위한 유동 채널들의 적어도 3개의 유동 개구들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 1 표면은 제 1 층에 인접하는 제 2 층의 제 2 표면에 마주 놓이고, 상기 2개의 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환형부 및 이 환형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 밀봉부가 배치되며, 상기 폐쇄부는 제 1 표면에 있는 유동 개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개구의 밀봉 폐쇄를 위해 제공되는,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압력 매체가 유동하는 차량의 압력 매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압력 매체 장치는 예를 들어 DE 39 10 381 A1호에 다수의 중간 플레이트와 단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다중 접속 플레이트의 형태로 공개되어 있다. 거기에서 2개의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성형 밀봉부가 배치되고, 상기 성형 밀봉부는 2개의 중간 플레이트에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어 서로 동일 평면에 놓인 유동 개구들의 폐쇄를 위해 디스크 형태의 폐쇄부를 갖는다. 성형 밀봉부의 구현에 따라 3개의 폐쇄부에 의해 3개의 모든 유동 개구들이 폐쇄될 수 있고, 이 경우 하나의 중간 플레이트 내의 유동 개구로부터 다른 중간 플레이트의 관련 유동 개구 내로 유동은 더 이상 이루어질 수 없거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하나의 유동 개구만 또는 2개의 유동 개구는 관련 성형 밀봉부에 적절하게 배치된 폐쇄부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중간 플레이트들을 통해 연장되며 유동 개구들 내로 통하는 각각의 특정한 유동 채널들을 폐쇄 또는 개방하기 위해, 각각 상이한 개수 및/또는 위치의 폐쇄부를 갖는 성형 밀봉부들의 그룹이 제공된다. 압력 매체 회로를 가변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중간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며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수직인 유동 채널들이 개방 또는 폐쇄되어야 하는 경우에, 이러한 방식의 성형 밀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이한 성형 밀봉부들의 사용에 의해 가변적인 압력 매체 회로가 다른 방식으로 가능하도록 전술한 방식의 압력 매체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환형부는 링형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는 환형부 내에 배치되며, 환형부는 압력 매체에 의해 관류될 수 있는 챔버를 특히 밀봉 방식으로 둘러싸고, 상기 챔버는 또한 제 1 표면에 의해 및 제 2 표면에 의해 획정된다. 제 2 층의 제 2 표면은 이 경우 바람직하게 유동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술한 DE 39 10 381 A1 호와 달리, 따라서 상이한 층들 사이에 이미 존재하는 또는 제공된 유동 연결부들은 폐쇄부 또는 폐쇄부들의 위치와 관련해서 상이한 성형 밀봉부들의 조립에 의해 가변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하게 압력 매체 장치의 하나의 층에만 형성된 유동 개구들 사이의 유동 연결부들이 가변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유동은 제 1 층의 제 1 표면에 있는 유동 개구로부터 배출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층의 제 2 표면에서 리턴된 후에, 폐쇄부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제 1 층의 제 1 표면에 있는 다른 유동 개구 내로 유입된다. 이 경우 제 1 표면에 의해, 제 2 표면에 의해 및 환형부에 의해 둘러싸인 또는 획정된 챔버는 관류된다. 챔버를 획정하는 역할만을 하는 제 2 층은 유동 개구 또는 유동 채널을 포함하지 않아도 되고,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폐쇄된 단부 플레이트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 2 층은 따라서 비교적 얇을 수 있고, 이는 조립 공간의 절약에도 기여한다. 대안으로서 제 2 층도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제 2 층 내의 상기 유동 개구 또는 거기에 할당된 유동 채널은 유동 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 따라 환형부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가 각각 상이한 위치를 갖는 성형 밀봉부들의 그룹이 제공되고, 이 경우 2개의 층 사이에 조립되며 성형 밀봉부들의 그룹에서 선택된 성형 밀봉부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다른 유동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에 의해 폐쇄되고, 따라서 적어도 3개의 개구 중 적어도 2개의 개구 사이의 각각의 다른 유동 연결부가 챔버 내에서 구현된다.
따라서 성형 밀봉부들의 그룹에서 성형 밀봉부의 선택에 따라 상이한 압력 매체 회로들이 제공되고, 상기 회로들은 유동 개구에 연결되는 제 1 층 또는 다른 층들 내의 유동 채널들의 경로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따라서 정해진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폐쇄부를 갖는 성형 밀봉부를 이와 달리 폐쇄부 또는 폐쇄부들의 위치가 변경된 다른 성형 밀봉부로 대체하는 것만으로도 압력 매체 장치 내에 각각 다른 유동 연결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 밀봉부의 교체만으로 각각의 다른 압력 매체 회로, 특히 공압식- 또는 유압식 회로를 달성하기 위한 매우 저렴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 따라, 상기 성형 밀봉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동 개구가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에 의해 폐쇄되도록 및 적어도 3개의 개구들 중 적어도 2개의 개구 사이의 각각의 다른 유동 연결부가 챔버 내에서 구현되도록, 성형 밀봉부가 형성되고 유동 개구들은 제 1 표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동일한 성형 밀봉부의 회전된 장착에 의해 각각의 다른 압력 매체 회로가 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성형 밀봉부는 교체되지 않아도 된다. 환형부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 탄성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과 같은 임의의 둘러싸는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이 경우 유동 개구들은, 성형 밀봉부의 변경된 회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에 의해 폐쇄 가능하도록, 제 1 층의 제 1 표면에 배치된다.
제 1 표면 및/또는 제 2 표면에 성형 밀봉부의 환형부의 적어도 부분적인 수용을 위한 리세스가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가 예를 들어 원형 경로와 같은 회전 대칭의 둘레방향 경로를 갖지 않으면, 회전 장착 시 탄성 환형부가 리세스의 둘레방향 경로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세스 및 환형부의 둘레 길이가 거의 동일한 크기인 것이 전제된다. 대안으로서 환형부는 강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압력 매체 장치의 변형예의 형성 시 바람직하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에 명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 및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압력 매체 장치를 평면으로 설계할 수 있다. 개선예에 따라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압력 매체 장치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부를 이룬다. 하우징 또는 하우징부란 주변과 접촉하는 외부면을 갖는 부품 또는 어셈블리이다. 이 경우 반드시 폐쇄되거나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셸형, 실린더형, 사각형 또는 정방형 부품이 아니어도 된다. 오히려 이 경우 모든 하우징 또는 하우징부가 고려되고, 여기에는 예를 들어 자기 밸브 또는 릴레이 밸브들과 같은 압력 매체 장치의 부품들, 어셈블리 또는 접속부들을 포함하고, 지지하고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플레이트 형태의 하우징부들도 포함된다.
개선예에 따라 성형 밀봉부의 적어도 환형부는 제 1 표면과 제 2 표면 사이에서 예비 응력을 받아 지지된다. 이 경우 챔버의 밀봉력은 예비 응력, 즉 환형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만 제공된다.
성형 밀봉부의 위치 고정을 위해 환형부는 제 1 표면에 및/또는 제 2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또는 홈에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환형부는 제 1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또는 홈에 수용된다. 리세스 또는 홈은 연속하거나 또는 둘레방향으로 볼 때 중단될 수 있다.
적어도 환형부는 예를 들어 탄성적으로 형성되고, 임의의 둘러싸는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이 경우 유동 개구들은, 성형 밀봉부의 변경된 회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에 의해 폐쇄 가능하도록, 제 1 층의 제 1 표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개선예는 특히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와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환형부 또는 전체 성형 밀봉부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와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원판 형태 또는 플러그 방식의 폐쇄부는 성형 밀봉부의 제조 시 예를 들어 가황 처리에 의해 형성된 웨브에 의해 환형부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폐쇄부도 상기 폐쇄부에 의해 폐쇄된 유동 개구와 제 2 표면 사이에서 예비 응력 하에 지지되고, 이로 인해 해당 유동 개구의 가장자리를 향해 가압된 폐쇄부에 의해 밀봉력이 높아진다. 또한, 폐쇄부는 이로 인해 위치 고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압력 매체는 압축 공기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압력 매체 장치는 바람직하게, 부품 또는 어셈블리로서 공기 건조 카트리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공기 건조 장치, 다회로 안전 밸브 및 경우에 따라서 다른 밸브들을 가진 밸브 장치, 압력 제한 장치, 제어- 및 조절 전자장치 및 상기 부품들 또는 어셈블리가 내부에 또는 옆에 배치된 다수의 층 또는 하우징부들을 포함하는 차량-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층들 또는 하우징부들은 전술한 방식의 층들 또는 하우징부들이다.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성형 밀봉부들의 그룹에 의해 또는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하나의 성형 밀봉부에 의해 압축 공기 공급 장치들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복잡하지 않게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압력 매체 장치는 공압식 또는 전기 공압식 브레이크 장치, 공압식 또는 전기 공압식 에어 서스펜션 장치 또는 공압식 또는 전기 공압식 도어 작동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압력 매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특히 상용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속해서 실시예들을 참고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설명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후면도.
도 3은 도 1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측면 분해도.
도 4는 도 1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중앙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중앙 하우징의 부분의 횡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하우징들 또는 하우징부들 사이에 배치된 제 1 변형예에 따른 성형 밀봉부의 평면도.
도 7은 도 6a 내지 도 6c의 성형 밀봉부의 횡단면도.
도 8은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하우징들 또는 하우징부들 사이에 배치된 제 2 변형예에 따른 성형 밀봉부의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조립된 다양한 회전 위치에서 도 8의 성형 밀봉부의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매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는 상용차에 배치되고, 공압식 또는 전기 공압식 상용 브레이크 장치, 파킹 브레이크 장치, 에어 서스펜션 장치 및/또는 도어 작동 장치와 같은 압축 공기 소비 장치들의 압축 공기 공급을 위해 이용된다.
압축 공기 공급 장치(1)는 공기 건조 카트리지(4)를 가진 공기 건조 장치 장치(2)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건조 카트리지는 제 1 하우징(6)에 분리- 및 교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은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체크 밸브와 같은 공기 건조 장치(2)의 다른 부품들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6)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다이 캐스팅 방법으로 제조된다. 공기 건조 카트리지- 또는 통(4)은 고정 장치(8), 예를 들어 베이어닛 조인트를 이용해서 제 1 하우징(6)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베이어닛 조인트(8)의 부품들은 또한 예컨대 압축 공기를 이송하는 압축기를 위한 접속부(10)와 같은 제 1 하우징(6)의 전체 접속부처럼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압축기를 위한 접속부(10)는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6)과 일체형으로 캐스팅된 파이프 소켓 내에 제공되고, 상기 파이프 소켓의 개구에 압축기 관의 조인트의 대응하는 외부 나사산을 위한 내부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용차의 프레임에 압축 공기 공급 장치(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12)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스크루 아이(screw eye) 형태로 제 1 하우징(6)에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건조 장치(2)의 동작은 충분히 공개되어 있고, 따라서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 압력 제한 장치 또는 압력 조절기도 제 1 하우징(6)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제한 장치 또는 압력 조절기는 후방에 배치된 압축 공기 저장기 또는 압력 회로 내의 압력을 조절한다.
제 1 하우징(6)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 성형 블랭크로서 일체형으로 캐스팅된 접속 플레이트(14)를 갖고, 상기 접속 플레이트 내에 접속부들이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개구(16)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 개구(16)는 제 2 하우징(22)의 하우징부로서 제 1 밸브 블록(20)의 대응하는 유동 개구(18)와 동일 평면에 놓이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적어도 제 1 하우징(6)의 접속 플레이트(14)에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에 관하여 추후에 설명된다. 서로 통하는 유동 개구들(16, 18)을 통해 압축기로부터 송출되어 공기 건조 장치(2)에서 건조된 압축 공기는 제 1 밸브 블록(20) 또는 제 2 하우징(22) 내에 도달한다. 예를 들어 접속 플레이트(14)와 동일 평면의 추가 수직 플레이트(24)는 제 1 하우징(6)과 다른 하우징, 예를 들어 제 2 하우징(22) 사이의 연결을 고정 또는 보강할 수 있다. 수직 플레이트(24)는 이 경우 또한 금속, 예를 들어 강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사출 성형부인 제 1 밸브 블록(20)은 다수의 하우징부들 중 하나의 하우징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부들은 함께 제 2 하우징(22)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밸브 블록(20)은 더 정확히는 제 2 하우징(22) 내에 배치된 밸브 장치(26)의 부분이고, 상기 밸브 장치는 특히 다회로 안전 밸브, 특히 4회로 안전 밸브 또는 예를 들어 자기 밸브, 릴레이 밸브 및 셔틀 밸브와 같은 다른 밸브들을 포함한다. 다회로 안전 밸브 또는 오버플로우(overflow) 밸브를 이용해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에 연결된 압축 공기 소비 장치 회로, 예컨대 상용 브레이크 회로(I), 상용 브레이크 회로(II), 파킹 브레이크 회로, 보조 소비 장치 회로의 회로 분리가 구현된다. 특히 제 2 하우징(22) 내에 상용차의 전기 공압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 및/또는 전기 공압식 에어 서스펜션 장치의 전자 제어부 또는 (자기-) 밸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밸브 블록(20)은 예를 들어 제 1 밸브 돔(28)을 갖고, 상기 밸브 돔 내로 밸브 시트(30)와 함께 작용하는 밸브 장치(26)의 시트 밸브들의 밸브 바디들(32)이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밸브 바디들(32)은 도 3의 분해도에 의해 상세히 도시되고, 압축 스프링(34)에 의해 관련 시트 밸브의 폐쇄- 또는 개방 방향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다. 밸브 블록(20)은 밸브 돔(28)을 포함하지 않고 구현될 수도 있다.
제 2 하우징(22)은 다른 하우징부로서 밸브 장치(26)의 제 2 밸브 블록(36)을 갖고, 상기 밸브 블록은 제 2 밸브 돔(38)을 가지며, 특히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돔에 밸브 장치(26)의 시트 밸브들의 밸브 시트들(30)이 바람직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밸브 바디(32)가 밸브 시트(30)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경우에 해당 시트 밸브는 개방 위치에 있고, 밸브 바디(32)가 밸브 시트(30)를 향해 밀리는 경우에는 폐쇄 위치에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압력 제한 밸브에 관련된다. 거기의 시트 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트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 위치는 자기적으로, 즉 하나 이상의 자기 코일의 급전 또는 급전 중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제 2 밸브 블록(36)은 이 경우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부이다. 또한, 제 1 밸브 블록(20)과 제 2 밸브 블록(36)은 제 2 하우징(22)의 별도의 하우징부들이고, 상기 밸브 블록들의 둘레면의 적어도 섹션들이 주변과 접촉하고, 상기 밸브 블록들은 예를 들어 밸브 바디(32)와 같은 부품들을 그것의 내부에 수용한다.
제 1 밸브 돔(28)과 제 2 밸브 돔(38)은 조립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서로 내측으로 돌출하여 서로 관련된 밸브 시트들(30) 및 밸브 바디들(32)이 서로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 설정된다. 이를 위해 적절한 센터링 조치들이 제공된다. 특히 도 3 및 도 5가 이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 공기 공급 장치(1)의 밸브 블록들 또는 하우징들 또는 하우징부들 중 일부의 사이에 성형 밀봉부(4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계속해서 제 1 밸브 블록(20)과 제 2 밸브 블록(36) 사이의 성형 밀봉부(40)가 고려되고, 상기 성형 밀봉부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탄성적인 일체형 성형 밀봉부(40)로서 구현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 성형 밀봉부(40)의 제 1 변형예의 다양한 구현들(40a, 40b 및 40c)이 도시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도시된 성형 밀봉부들(40a 내지 40c)은 각각 링형으로 둘러싸는 환형부(46)를 갖고, 이 경우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환형부(46) 내에 하나의 폐쇄부(42)만이 배치된다. 환형부(46)와 폐쇄부는 예를 들어 웨브(5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 경우 환형부(46), 폐쇄부(42) 및 웨브는 바람직하게 탄성적으로 일체형으로 구현된 엘라스토머부로서 형성된다. 폐쇄부(42)는 둘러싸는 환형부(46)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환형부로부터 내부로 향한다.
환형부(46)는 압력 매체에 의해 관류되는 챔버(74)를 포함하거나 둘러싸고, 상기 챔버는 전적으로 폐쇄부(42)로 채워지지 않으며, 즉 챔버(74)는 내폭을 갖는다. 상기 챔버(74)는 환형부(46)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또한 여기에서 예를 들어 제 1 밸브 블록(20)의 제 1 표면(76) 및 여기에서 예를 들어 제 2 밸브 블록(36)의 제 2 표면(78)에 의해,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정된다.
폐쇄부(42)는 특히 원판 형태 또는 플러그 방식이고, 도 6a의 성형 밀봉부(40a)의 경우에 예를 들어 성형 밀봉부(40)가 제 1 밸브 블록(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제 1 밸브 블록(20) 내의 제 1 표면(76)에 형성된 제 1 유동 개구(44)를 밀봉하여 폐쇄한다. 이를 위해 폐쇄부(42)의 외경은 바람직하게 폐쇄부(42)에 의해 폐쇄된 제 1 유동 개구(44)의 내경보다 약간 크고, 따라서 조립된 상태에서 폐쇄부(42)와 제 1 유동 개구(44)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압착력이 존재한다.
또한, 환형부(46)는 예를 들어 제 1 밸브 블록(20)의 표면에 형성된 제 1 홈(48) 내에 지지되고 또는 안내된다(도 7).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에 의해 간단하게 고려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홈(48)에 대해서 동일 평면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밸브 블록(36) 내의 제 2 홈(여기에서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환형부(46)는 제 1 홈(48)과 제 2 홈 사이에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하나의 홈 또는 홈들 또는 리세스들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도 고려될 수 있고, 이 경우 환형부(46)는 2개의 밸브 블록(20, 36) 사이에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서만 위치 고정된다.
성형 밀봉부(40a)의 장착 상태에서 소정의 공차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웨브(50)는 실제보다 약간 더 길어야 한다. 또한, 웨브(50)는 폐쇄부(42)를 위한 소실 방지부를 형성한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폐쇄부(42)는 제 2 밸브 블록(36)을 향하는 표면에 노브(knob;54)를 갖고, 상기 노브들은 제 2 밸브 블록(36)을 위한 지지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폐쇄부(42)는 바람직하게 제 1 유동 개구(44)로부터 제 2 밸브 블록(36)의 제 2 표면(78)까지 연장되고, 거기에 예비 응력 하에 접촉하고, 이는 유동 개구(44) 내에서 폐쇄부(42)의 위치 고정 및 밀봉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또한, 폐쇄부(42)는 그것의 반경방향 외측의 둘레면에도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여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밀봉립(52)을 갖고, 상기 밀봉립들은 유동 개구 내에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된다. 제 1 유동 개구(44)의 가장자리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폐쇄 부재(42) 상의 스탭은, 또한 폐쇄부(42)가 제 2 밸브 블록(36)에 의해 제 1 유동 개구(44)의 가장자리를 향해 가압될 때, 축방향 밀봉부로서 작용한다. 밸브 블록들(20, 36)의 서로에 대한 예비 응력은 추후에 설명되는 타이 로드(68)에 의해 제공된다.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성형 밀봉부(40a 내지 40c)의 경우에 폐쇄부(42)는 제 1 밸브 블록(20) 내의 제 1 표면(76)에 있는, 여기에서 3개의 유동 개구들(44, 56 및 58) 중 하나의 각각의 다른 유동 개구, 예를 들어 제 1 유동 개구(44), 제 2 유동 개구(56) 또는 제 3 유동 개구(58)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 1 변형예에 따라 환형부(46)에 대해서 폐쇄부(42)가 각각 상이한 위치를 갖는 성형 밀봉부들(40a, 40b, 40c)의 그룹이 제공되고, 이 경우 2개의 밸브 블록(20, 36) 사이에 조립되며 성형 밀봉부들(40a, 40b, 40c)의 그룹에서 선택된 성형 밀봉부(40a, 40b 또는 40c)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다른 유동 개구(44, 56, 58)가 바로 선택된 성형 밀봉부(40a, 40b 또는 40c)의 폐쇄부(42)에 의해 폐쇄되고, 따라서 3개의 유동 개구들(44, 56 및 58) 중 2개의 유동 개구(56, 58(도 6a 참조), 또는 44, 56(도 6b 참조), 또는 44, 58(도 6c 참조)) 사이의 각각의 다른 유동 연결부가 챔버(74) 내에서 구현된다.
도 6a의 성형 밀봉부(40a)의 경우에 제 1 유동 개구(44)는 폐쇄부(42)에 의해 폐쇄되고, 이 경우 또한 제 2 유동 개구(56)와 제 3 유동 개구(58) 사이에 유동 연결부가 제공된다. 유동 개구들(44, 56, 58)은 여기에서 예를 들어 유동 채널들의 유입부들이고, 상기 유동 채널들은 제 1 밸브 블록(20) 내에 형성되어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7에 예시적으로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유동 채널(80)이 도시되고, 상기 유동 채널의 유동 개구(44)는 여기에서 폐쇄부(42)에 의해 폐쇄된다.
도 6a에서 예를 들어 압축 공기는 제 1 밸브 블록(20) 내에 형성된 유동 채널로부터 유입부로서 제 2 유동 개구(56)를 통해 챔버(74) 내로 유입된 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밸브 블록의 제 2 표면(78)에서 리턴된 후에 제 3 유동 개구(58)를 통해 제 1 밸브 블록(20)에 있는 상기 유동 개구에 할당된 유동 채널 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 경우 챔버(74)가 관류된다. 성형 밀봉부(40b 및 40c)의 경우에 유사한 방식으로 여기에서 예를 들어 각각 2개의 유동 개구(44, 56 또는 44, 58) 사이에 각각의 다른 유동 연결부들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겨우 3개의 유동 개구들(44, 56 및 58) 대신에 제 1 밸브 블록(20)의 제 1 표면(76)에 3개 이상의 유동 개구들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유동 개구들은 챔버(74)에 유동 연결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유동 개구를 각각 차단하기 위해, 성형 밀봉부(40a, 40b 또는 40c)는 다수의 폐쇄부(42)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a의 성형 밀봉부(40a)를 환형부(46)에 대해서 폐쇄부(42) 또는 폐쇄부들이 각각 다른 위치를 갖는 다른 하나의 성형 밀봉부(40b 또는 40c)로 교체함으로써 유동 개구(44, 56, 58)와 상기 유동 개구에 할당된 제 1 밸브 블록(20) 내의 유동 채널들 사이에 상이한 유동 연결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밸브 블록(36)은 챔버(74)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 유동 개구를 갖지 않지만, 거기에 제 2 밸브 블록 내에 형성된 유동 채널의 유입부이기도 한 유동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은 유동 채널들 사이의 가능한 유동 연결부들의 개수를 확장한다.
밸브 블록(20) 내의 유동 개구들(44, 56 및 58)은 바람직하게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성형 밀봉부들(40a, 40b 및 40c)의 폐쇄부(42)도 각각 바람직하게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도 8 및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라, 하나의 동일한 성형 밀봉부(40)의 각각의 다른 조립 위치에 의해 유동 개구들(44, 56 및 58) 사이에 상이한 유동 연결부들이 형성된다. 이 경우 성형 밀봉부(40)는 예를 들어 가상의 회전축과 관련해서 각각의 밸브 블록들(20, 36)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하나의 다른 회전 위치에만 장착되고, 이 경우 여기에서 예를 들어 삼각형 형태의 환형부(46)는 각각 탄성적으로 조정되지만, 성형 밀봉부(40)는 따로 변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성형 밀봉부(40)의 조립 위치에 따라서 제 1 밸브 블록(20) 내의 각각의 다른 유동 개구(44 또는 56 또는 58)가 개방 또는 폐쇄되므로, 하나의 동일한 성형 밀봉부(40)를 이용해서 제 1 밸브 블록(20) 내의 상이한 유동 연결부들이 개방 또는 폐쇄되고, 이로써 상이한 공압식 회로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a의 회전 위치에서 성형 밀봉부(40)의 폐쇄부(42)는 예를 들어 제 1 유동 개구(44)를 폐쇄하고, 도 8b에 따른 다른 회전 위치에서 제 3 유동 개구(58)를 폐쇄하며, 또 다른 회전 위치에서 제 2 유동 개구를 폐쇄한다.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에 따른 변형예에서처럼 도 8a 내지 도 8c에 따른 변형예에서도 성형 밀봉부(40)의 환형부(46)는 제 1 밸브 블록(20)의 표면에 형성된 제 1 홈에서 지지되고 또는 안내될 수 있다. 제 1 홈에 대해서 동일 평면에 놓이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밸브 블록(36) 내의 제 2 홈(여기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환형부(46)는 또한 제 1 홈과 제 2 홈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홈을 포함하지 않는 구현이 고려될 수도 있다.
폐쇄부(42)의 형상 또는 유동 개구(44, 56 및 58) 내에서 상기 폐쇄부의 지지 및 밸브 블록들(20, 36) 사이에 고정은 바람직하게 제 1 변형예에서처럼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된다.
도 3에 의해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22) 내에 제어- 및 조절 전자장치(60)도 배치되고, 상기 전자장치는 실행된 제어- 및 조절 소프트웨어에 의해 바람직하게 압축 공기 공급 장치(1)의 전체 기능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파킹 브레이크 기능 및/또는 에어 서스펜션 기능을 제어 또는 조절한다. 제어- 및 조절 전자장치(60)를 포함하는 기판은 이 경우 예를 들어 제 1 밸브 블록(2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2 밸브 블록(36)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 2 하우징(22) 또는 특히 제 1 밸브 블록(20) 및 제 2 밸브 블록(36)은 제 1 하우징(6)과 제 3 하우징(62) 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제 2 하우징 또한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캐스팅부이고, 이 경우 제 1 하우징(6), 제 2 하우징(22) 및 제 3 하우징(62)의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제 3 하우징(62)은 바람직하게 플레이트형이고, 이 경우 특히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2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3 하우징의 표면에 압축 공기 소비 장치 회로의 파이프 및/또는 관을 위한 접속부들(64)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들(64)은 예를 들어 제 3 하우징(62)과 일체형으로 캐스팅된 파이프 소켓 내에 제공되고, 연결된 파이프 및 관들의 조인트의 대응하는 외부 나사산을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파이프 소켓의 개구 내에 형성된다. 제 3 하우징(62)에 또한 상용차의 프레임에 압축 공기 공급 장치(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66)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스크루 아이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여기에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1)는 바람직하게 제 1 하우징(6)에서만 그리고 제 3 하우징(62)에서만 해당하는 고정 장치(12, 66)를 이용해서 상용차의 프레임에 지지되는 한편, 제 2 하우징(22)은 이러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안으로서 또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는 고정 장치(12)에 의해서만 제 1 하우징(6)에 지지될 수 있거나, 고정 장치(66)에 의해서만 제 3 하우징(62)에 지지될 수 있고, 이 경우 돌출 위치가 나타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22)은 제 1 하우징(6)과 제 3 하우징(62) 사이에서 한편으로는 제 1 하우징(6) 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3 하우징(62) 내에 나사로 고정되는 타이 로드(68)를 이용해서 지지된다. 2개의 밸브 블록(20, 36)과 제 3 하우징(62)은 제 1 하우징(6)의 접속 플레이트(14)의 평면에 대해서 상기 접속 플레이트(14)를 지나 측면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타이 로드(68)는 수직 플레이트(24)에도 고정된다. 접속 플레이트(14), 2개의 밸브 블록(20, 36) 및 플레이트 형태의 제 3 하우징(62)은 또한 바람직하게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는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을 야기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22)은 추가로 중간 플레이트(70)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제 2 밸브 블록(36)과 제 3 하우징(62) 사이에 배치되고, 개구 또는 유동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 또는 유동 채널은 제 2 밸브 블록(36) 내의 개구 또는 유동 채널들을 압축 공기 소비 장치의 압축 공기 회로를 위한 접속부(64)에 연결된, 제 3 하우징(62) 내의 개구 또는 유동 채널들과 서로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블랭크이고 접속 플레이트(14), 2개의 밸브 블록 및 플레이트 형태의 제 3 하우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중간 플레이트(70)는 한편으로 제 2 밸브 블록(36) 내의 제 2 밸브 돔(38)의 개구를 통해 돌출하는 밸브 장치(26)의 적어도 소수의 밸브들의 부품들을 지지하고 또는 나사로 고정한다. 상기 부품들은 예를 들어 중간 플레이트(70)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캐스팅된 밸브 시트이다.
다른 한편으로 중간 플레이트(70)는 밸브 장치(26)의 밸브들과 압축 공기 소비 장치 회로를 위한 접속부들(64) 사이의 유동 경로 및 유동 채널들을 형성한다. 특히 한편으로는 제 2 밸브 블록(36)을 향하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표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3 하우징(62)을 향하는 표면에 홈 형태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내부에 상기 유동 경로들을 서로 연결하는 유동 채널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경로 또는 유동 채널들은 바람직하게 중간 플레이트(70)와 함께 사출 성형 방법으로 일체형으로 캐스팅된다.
밸브 블록들 사이처럼 또한 한편으로 제 2 밸브 블록(36)과 중간 플레이트(70) 사이 및 중간 플레이트(70)와 제 3 하우징(62) 사이에도 성형 밀봉부(40)가 밀봉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성형 밀봉부는 그것의 폐쇄부들(42)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70)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유동 채널을 밀봉 방식으로 폐쇄한다. 성형 밀봉부(40)의 밀봉부들(46)은 또한 제 2 밸브 블록(36), 중간 플레이트(72) 및 제 3 하우징(62) 내의 홈들에 안내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관련 성형 밀봉부(40)의 위치 또는 구현에 따라 특정한 유동 경로들이 폐쇄되거나 개방된다.
제 2 하우징(22)은 따라서 이 경우 2개의 밸브 블록(20, 36), 중간 플레이트(70) 및 성형 밀봉부(40)도 포함하고, 이 경우 바람직하게 이러한 모든 부품들은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서 열가소성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반결정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2.5 mm에 이르는 벽두께로 비교적 얇고,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 강화부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부분들(20, 36, 70)은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듀로플라스틱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이로써 특히 2.5 mm 이상의 벽두께를 갖는 두꺼운 부분들(20, 36, 7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6)과 제 3 하우징(62)은 그와 달리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우 상기 하우징들(6, 62)에 적어도 압축기 및 압축 공기 소비 장치 회로를 위한 접속부들(10, 64)이 바람직하게 일체형으로 캐스팅되어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내부 나사산을 갖는 파이프 소켓으로서 형성된 접속부들(10, 64)은 강도 및 강성에 대한 더 높은 요구들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하우징(6)과 제 3 하우징(62)에서 상용차의 프레임에 압축 공기 공급 장치(1)의 고정을 위한 고정 장치(8, 68)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상기 고정 장치들에도 더 높은 강성 및 강도 요구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 장치(1)에서 금속 하우징 또는 금속 부품들은, 예를 들어 금속- 및 플라스틱 하우징 또는 - 하우징부들(20, 36, 70)로 이루어진 결합 구조의 복합 재료로서 금속들의 전형적으로 높은 강도 및 강성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는 곳에서만 사용되고, 상기 결합 구조에서 플라스틱 하우징부들로 이루어진 제 2 하우징(22)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 1 하우징(6)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 3 하우징(62) 사이에서 샌드위치 구조로 지지되고, 결합 구조로부터 또는 샌드위치 구조로부터 자동차의 구조 내로 힘 전달 및 힘 도입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 1 하우징(6)과 제 3 하우징(62)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하우징(6)과 제 3 하우징(62)에 의해 포함된 또는 둘러싸인 제 2 하우징(22)을 위해 또는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부들(20, 36, 70)을 위해 비교적 낮은 강도(인장 강도 < 200 N/㎟, 그러나 더 높은 압축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이 이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금속제의 제 1 하우징(6)과 금속제의 제 3 하우징(62)에 의해 작동- 및 무게 중력의 상당 부분이 흡수되기 때문이다.
1 압축 공기 공급 장치
2 공기 건조 장치
4 공기 건조 카트리지
6 제 1 하우징
8 고정 장치
10 접속부
12 고정 장치
14 접속 플레이트
16 유동 개구
18 유동 개구
20 제 1 밸브 블록
22 제 2 하우징
24 수직 플레이트
26 밸브 장치
28 제 1 밸브 돔
30 밸브 시트
32 밸브 바디
34 압축 스프링
36 제 2 밸브 블록
38 제 2 밸브 돔
40 성형 밀봉부
42 폐쇄부
44 제 1 유동 개구
46 환형부
48 제 1 홈
50 웨브
52 밀봉 립
54 노브
56 제 2 유동 개구
58 제 3 유동 개구
60 제어- 및 조절 전자장치
62 제 3 하우징
64 접속부들
66 고정 장치
68 타이 로드
70 중간 플레이트
72 밸브 시트
74 챔버
76 제 1 표면
78 제 2 표면
80 유동 채널

Claims (15)

  1. 압력 매체가 유동하는 차량의 압력 매체 장치(1)로서, 서로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층을 가진 다층 구조를 포함하고, 제 1 층(20)의 제 1 표면(76)에서 압력 매체를 위한 유동 채널들의 적어도 3개의 유동 개구들(44, 56, 58)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 1 표면은 상기 제 1 층(20)에 인접하는 제 2 층(36)의 제 2 표면(78)에 마주 놓이고, 2개의 층(20, 36)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환형부(46) 및 상기 환형부(46)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 밀봉부(40; 40a, 40b, 40c)가 배치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 1 표면(76)에 있는 상기 유동 개구들(44, 56, 58)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개구의 밀봉 폐쇄를 위해 제공되는 압력 매체 장치(1)에 있어서,
    a) 상기 환형부(46)는 링형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는 상기 환형부(46) 내에 배치되며,
    b) 상기 환형부(46)는 압력 매체 의해 관류될 수 있는 챔버(74)를 둘러싸고, 상기 챔버는 또한 상기 제 1 표면(76)에 의해 및 상기 제 2 표면(78)에 의해 획정되고,
    c) 상기 환형부(46)에 대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가 각각 상이한 위치를 갖는 성형 밀봉부들(40a, 40b, 40c)의 그룹이 제공되고, 상기 2개의 층(20, 36) 사이에 조립되며 상기 성형 밀봉부들(40a, 40b, 40c)의 그룹에서 선택된 성형 밀봉부(40a, 40b 또는 40c)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다른 유동 개구(44, 56, 58)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에 의해 폐쇄되고, 따라서 적어도 3개의 유동 개구들(44, 56, 58) 중 적어도 2개의 개구(44, 56 또는 44, 58 또는 56, 58) 사이의 각각의 다른 유동 연결부가 상기 챔버(74) 내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d) 상기 성형 밀봉부(40)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동 개구(44 또는 56 또는 58)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에 의해 폐쇄되도록 및 상기 적어도 3개의 개구들(44, 56, 58) 중 적어도 2개의 개구(44, 56 또는 44, 58 또는 56, 58) 사이의 각각의 다른 유동 연결부가 상기 챔버(74) 내에서 구현되도록, 상기 성형 밀봉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 개구들(44, 56, 58)은 상기 제 1 표면(7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22, 36)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20, 36)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상기 압력 매체 장치(1)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부(4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42)는 원판 형태의 플러그이고, 상기 플러그는 웨브(50)에 의해 상기 환형부(4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밀봉부(40; 40a, 40b, 40c)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부(46)는 상기 제 1 표면(76)에 및/또는 상기 제 2 표면(78)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또는 홈(48)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밀봉부(40; 40a, 40b, 40c)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형부(46)는 상기 제 1 표면(76)과 상기 제 2 표면(78) 사이에서 예비 응력을 받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형부(46)는 탄성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부(46)는 탄성적으로 형성되고, 임의의 둘러싸는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유동 개구들(44, 56, 58)은, 상기 성형 밀봉부(40)의 변경된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2)에 의해 폐쇄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층(20)의 상기 제 1 표면(7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42)는 상기 폐쇄부에 의해 폐쇄된 상기 유동 개구(44, 56, 58)와 상기 제 2 표면(78) 사이에서 예비 응력 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매체는 압축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매체 장치는 차량-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공기 공급 장치는 부품 또는 어셈블리로서 공기 건조 카트리지(4)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공기 건조 장치(2), 다회로 안전 밸브 및 경우에 따라서 다른 밸브들을 가진 밸브 장치(26), 압력 제한 장치, 제어- 및 조절 전자장치(60) 및 상기 부품 또는 어셈블리가 내부에 또는 옆에 배치된 다수의 층 또는 하우징부(6, 20, 22, 36, 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매체 장치는 공압식 또는 전기 공압식 브레이크 장치, 공압식 또는 전기 공압식 에어 서스펜션 장치 또는 공압식 또는 전기 공압식 도어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매체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력 매체 장치(1)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77020011A 2014-12-19 2015-12-17 성형 밀봉부들에 따라 가변적인 유동 연결부를 갖는 압축 공기 매체 장치 KR101972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9116.8 2014-12-19
DE102014019116.8A DE102014019116A1 (de) 2014-12-19 2014-12-19 Druckluftmitteleinrichtung mit aufgrund von Formdichtungen variablen Strömungsverbindungen
PCT/EP2015/080152 WO2016097096A1 (de) 2014-12-19 2015-12-17 Druckluftmitteleinrichtung mit aufgrund von formdichtungen variablen strömungsverbind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384A true KR20170095384A (ko) 2017-08-22
KR101972248B1 KR101972248B1 (ko) 2019-04-24

Family

ID=5502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011A KR101972248B1 (ko) 2014-12-19 2015-12-17 성형 밀봉부들에 따라 가변적인 유동 연결부를 갖는 압축 공기 매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234374B1 (ko)
JP (1) JP6395940B2 (ko)
KR (1) KR101972248B1 (ko)
CN (1) CN107110183B (ko)
BR (1) BR112017012229A2 (ko)
DE (1) DE102014019116A1 (ko)
TR (1) TR201906253T4 (ko)
WO (1) WO2016097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7335A1 (de) * 2017-07-31 2019-01-31 Bürkert Werke GmbH & Co. KG Betätigungseinheit für ein Prozessventil sowie Prozessventil
DE102019122452A1 (de) 2019-08-21 2021-02-2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Rückschlagventil-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03474C3 (de) * 1973-01-25 1980-08-21 Wabco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Druckmittel-Verteilerblock
DE3910381A1 (de) * 1989-03-31 1990-10-11 Bosch Gmbh Robert Sammelanschlussplat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50116B (de) * 1963-06-07 1966-10-25 Festo Maschf Stoll G Ventilanordnung
DE4111890C2 (de) * 1991-04-09 1995-04-20 Mannesmann Ag Ventilbatterie, insbesondere für gasförmige Medien
DE202004021530U1 (de) * 2004-10-21 2008-10-16 KNORR 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us Modulen mit elektrischen und/oder pneumatischen Komponenten aufgebaute elektro-pneumatische Zentraleinheit eines Nutzfahrzeugs
DE102006037307A1 (de) * 2006-08-08 2008-02-1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 Nutzfahrzeug und Lufttrocknerpatrone
DE202006015673U1 (de) * 2006-10-12 2007-02-22 Bürkert Werke GmbH & Co. Modularer Ventilblock
DE102007046168B4 (de) * 2006-11-14 2015-12-1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orrichtung mit Ventilgehäuse und Druckluftleitung
CN203394911U (zh) * 2013-07-18 2014-01-15 富阳通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气动液压站的进气阀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03474C3 (de) * 1973-01-25 1980-08-21 Wabco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Druckmittel-Verteilerblock
DE3910381A1 (de) * 1989-03-31 1990-10-11 Bosch Gmbh Robert Sammelanschlusspla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4374B1 (de) 2019-02-20
JP2018501143A (ja) 2018-01-18
TR201906253T4 (tr) 2019-05-21
BR112017012229A2 (pt) 2017-12-26
WO2016097096A1 (de) 2016-06-23
DE102014019116A1 (de) 2016-06-23
EP3234374A1 (de) 2017-10-25
KR101972248B1 (ko) 2019-04-24
CN107110183A (zh) 2017-08-29
JP6395940B2 (ja) 2018-09-26
CN107110183B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605B2 (en)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ing device for actuation of setting elements in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JP6239837B2 (ja) 圧力板とアクチュエータチューブを接合するケージングボルトベアリングを持つスプリング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
CN103574137B (zh) 具有内部通道的致动器装置
US10385966B2 (en) Hydraulic actuating device for actuation of setting elements in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KR102369739B1 (ko) 밸브 장치
WO2008029699A1 (fr) Structure de scellement étanche pour un dispositif hydraulique
KR101972248B1 (ko) 성형 밀봉부들에 따라 가변적인 유동 연결부를 갖는 압축 공기 매체 장치
US20170253224A1 (en) Valve unit for modulating the pressure in a pneumatic brake system
KR20210134723A (ko) 다이어프램 및 다이어프램 밸브
CN104160191A (zh) 用于致动阀的本体、对应的致动阀及其制造方法
CN110770103A (zh) 一种用于制动流体的容器单元和用于控制制动流体的流动的系统
JP6770174B2 (ja) 電磁弁のための弁可動子および弁カートリッジ
CN107000730B (zh) 用于车辆的压缩空气制动系统的制动调制器
JP6625645B2 (ja) プラスチックからなる少なくとも1つのハウジングを備える、車両圧縮空気設備用の圧縮空気供給装置
KR20130013958A (ko) 진동흡수댐퍼
JP7089041B2 (ja) 電子膨張弁
KR101736732B1 (ko) 브레이크 오일 누출 방지용 브레이크 캘리퍼
CN212429770U (zh) 阀组件及控制阀组件
CN109073105B (zh) 气动的多阀门装置及其制造方法
US9435445B2 (en) Normally closed three-port valve
RU2259930C2 (ru) Электро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клапан двой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8205634B2 (en) Hydraulic block
US11015719B2 (en) Electromagnetic valve manifold
KR20190008720A (ko) 하이드로 엔진 마운트
JP6526824B2 (ja) 成形シールに基づいて可変の流動接続を有する圧力媒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