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157A - 마스크용 소취 필터 및 소취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소취 필터 및 소취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157A
KR20170094157A KR1020177014211A KR20177014211A KR20170094157A KR 20170094157 A KR20170094157 A KR 20170094157A KR 1020177014211 A KR1020177014211 A KR 1020177014211A KR 20177014211 A KR20177014211 A KR 20177014211A KR 20170094157 A KR20170094157 A KR 2017009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nonwoven fabric
mask
deodorizing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나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Abstract

통기성이 우수함과 함께, 불쾌한 악취 가스에 대한 소취 성능이 우수한 소취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소취 필터 및 그것을 사용한 소취 마스크 자체에 불쾌취가 없어, 밀폐 환경에 있어서 보관되거나 한 경우에도, 불쾌한 악취 및 변색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취 필터 및 소취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는, 섬유와,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는 소취 섬유층을 2 층 이상 구비하고, 상기 소취 섬유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섬유를 함유하고, 상기 소취 섬유층의 두께는 0.15 ∼ 0.4 ㎜ 이고, 또한 소취 섬유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 ∼ 45 g/㎡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용 소취 필터 및 소취 마스크 {DEODORIZING FILTER FOR MASK AND DEODORIZING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용 소취 필터 및 이것을 사용한 소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악취 가스, 분진, 세균, 바이러스 등이 호흡기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크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악취 가스용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악취 성분을 흡착하는 소취제를 포함하고 있고, 예를 들어 표면에 소취제를 접착시킨 섬유를 시트상으로 한 소취 섬유층, 또는 소취제의 일부가 표출된 섬유를 시트상으로 한 소취 섬유층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25596호에는, 활성탄 시트를 필터에 사용한 마스크용 필터가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5-33743호에는, Fe, Mn, Al, Zn, Cu 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금속과, 상기 금속과 옥시 다염기산류의 반응 생성물을 공존시킨 통기성 소재를 마스크 통기부에 장착한 탈취 마스크가 기재되어 있다.
악취 성분 등을 포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필터를 복수 적층한 마스크용 필터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15572호에는, 시트상의 유기 고분자 물질에 특정 인산칼슘계 화합물의 입자가 담지되고, 다수의 미소 통기 구멍을 갖는 마스크용 필터재를 1 장 이상 적층한 마스크가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01634호에는, 인산칼슘 담지 섬유가 사용되어 이루어지는 제 1 부직포와, 구리 담지 부직포가 사용되어 이루어지는 제 2 부직포가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소량으로 고도의 소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개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7950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00149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04274호).
화학 흡착형 소취제는, 반응에 의해 악취를 포착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소취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마스크가 대상으로 하는 악취의 성상은 기체이고, 소취제와 악취 가스의 접촉 기회는 일순간이다. 소취제를 담지하는 부직포에도 통기성이 있는 이상, 부직포 중의 소취제에 미접촉으로 통과하는 악취 가스도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에, 악취를 거의 느끼지 않을 정도로 소취하는 마스크는 실현되어 있지 않다. 최근에는 쾌적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악취 가스를 효율적으로 흡착하여, 불쾌감을 생기게 하지 않는 높은 소취 성능을 갖는 마스크가 요구되고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25596호에 기재된 활성탄 시트는, 높은 통기성을 갖지만, 활성탄은 물리 흡착형 소취제이고, 악취 성분의 탈착이 가역적이고 이탈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충분한 소취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악취 성분을 흡착하는 필터 용도로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계속 사용에 의해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가스가 재방출되어 버린다는 문제점도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5-33743호에 기재된 탈취 소재는 충분한 소취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통기부에 다량으로 배치하는 것이 어렵고, 소취제가 편재하여 효과가 저하하는 경우도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15572호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01634호에는, 소취 필터를 복수 적층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여전히 악취 가스에 대한 소취 성능은 불충분하고, 소취 필터를 적층시키는 것에 의한 통기성의 저하도 컸다.
또한, 소취 필터나 소취 마스크 등의 섬유 제품은, 제조 후, 종이, 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봉투, 상자 등에 의해 포장 (수용) 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바인더 (결합제) 를 사용하여, 소취제를 섬유 표면에 부착시켜 얻어진 섬유 제품 중에는, 포장 등의 상태로부터 꺼냈을 때에 섬유 제품을 구성하는 소취제, 섬유 및 바인더, 그리고 포장 재료 중 어느 것에 의존하는지 불분명한, 불쾌한 악취 (이취) 를 방출하는 것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통기성이 우수함과 함께, 불쾌한 악취 가스에 대한 소취 성능이 우수한 소취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소취 필터 및 소취 마스크 자체에 불쾌취가 없어, 밀폐 환경에 있어서 보관되거나 한 경우에도 불쾌한 악취 및 변색을 거의 발생시키는 일 없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취 필터 및 소취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섬유와,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는 소취 섬유층을 2 층 이상 구비하고, 상기 소취 섬유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섬유를 함유하고, 각각의 소취 섬유층의 두께는 0.15 ∼ 0.4 ㎜ 이고, 또한 소취 섬유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 ∼ 45 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소취 필터이다. 또, 상기 마스크용 소취 필터와, 소취 필터 이외의 필터를 적층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마스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악취 성분」이라고 하고, 그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가스를 「악취 가스」라고 한다. 또, 가스 농도에 관한 단위 「ppm」은 「체적 ppm」이다. 또한, 「통기도」는, JIS L1096 에 준하는 프라지어형법에 의해 측정되는 통기도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는,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으로 충분한 통기성을 갖고, 불쾌한 악취 가스에 대해 우수한 소취 성능을 갖는다. 따라서, 배설 취, 부패취, 담배취 등의 악취 가스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흡착하는 필터로서 사용함으로써, 분위기 중의 악취 성분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 및 이것을 사용한 소취 마스크는, 그 자체에 불쾌취가 없기 때문에, 밀폐 환경에 있어서 보관되거나 한 경우에도, 불쾌한 악취를 거의 발생시키는 일 없고, 변색도 억제되므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취 마스크는, 악취 가스가 발생하는 장소 (의료 현장, 개호 현장, 배설 현장, 하수 처리장, 쓰레기 처리장 (소각장), 비료 공장, 화학 공장, 축산 농장, 어항 (漁港), 동물 관련 시설 등) 에 있어서의 사용에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소취 마스크의 일례에 있어서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소취 마스크의 일례에 있어서의 단면 개략도이다.
1. 마스크용 소취 필터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는, 섬유와,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는 소취 섬유층을 2 층 이상 구비하고, 소취 섬유층을 사이에 두고, 필터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으로 통기성을 갖는 소취 필터이다. 본 발명의 소취 필터는, 목적의 크기나 형상 (평면 구조, 플리트 등의 입체 구조) 에 적응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를 구성하는 소취 섬유층은, 바람직하게는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표출되도록, 섬유의 기부 표면에 매설된 복합 섬유, 및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접착층을 개재하여 섬유의 표면에 접합된 복합 섬유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이다. 또한, 섬유 집합체에 포함되는 복합 섬유 등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 ∼ 3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5 ㎛ 이다.
또, 소취 섬유층 및 소취 필터를 구성하는 기재는, 직포 및 부직포 중 어느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지만, 원하는 두께의 설정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통기성이 컨트롤이 하기 쉬운 점에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에 포함되는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화학 흡착형 소취제와의 접착성이나 통기성이 충분히 얻어지고, 소취 필터 자체에 불쾌취가 생기지 않는 점에서,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기타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산,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및 레이온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 수지와, 기타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유량이 전체 수지에 대해 10 ∼ 10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9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 80 질량%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는, 니들 펀치법이나 수류 낙합법 등에 의해 교락되어 있는 부직포, 서멀 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및 스펀 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 악취 가스용 소취제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와 같이 화학 흡착에 의해 악취 성분을 흡착하거나, 악취 성분과 화학 결합을 형성하는 타입 이외에, 활성탄과 같이 물리 흡착에 의해 악취 성분을 흡착하는 타입, 광 촉매와 같이 악취 성분을 접촉 시에 분해하는 타입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악취 가스를 통기시키는 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 악취 가스가 통과하는 단시간에 악취 성분을 흡착할 필요가 있어, 계속 사용에 의해 악취 가스가 재방출되어 버리는 물리 흡착 타입이나, 광을 쬐어 분해시키는 분해 타입에서는, 충분한 소취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소취 필터를 구성하는 소취 섬유층에 사용하는 소취제로는, 단시간에 악취 성분을 흡착할 수 있고, 소취 섬유층을 빠져나갈 때에 충분한 소취 효과를 발휘하며, 소취 속도가 빠르고, 소취 용량이 큰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최적이다. 또한, 상기 화학 흡착형 소취제에 있어서의 화학 결합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학 흡착형 소취제에 포함되는 관능기, 악취 성분에 포함되는 관능기 등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다.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대상으로 하는 악취 성분의 구체예는, 암모니아, 아민 등의 염기성 화합물, 아세트산, 이소발레르산 등의 산성 화합물, 포름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노네날 등의 알데하이드류,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의 황 화합물 등이다.
이들 악취 성분에 대한 화학 흡착형 소취제로는, 무기계 화학 흡착형 소취제 및 유기계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들 수 있다. 무기계 화학 흡착형 소취제로는, 구체적으로는 4 가 금속의 인산염, 제올라이트, 비정질 복합 산화물, Ag, Cu, Zn 및 M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자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화합물, 수화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지르코늄 화합물, 하이드로탈사이트계 화합물, 비정질 활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기계 화학 흡착형 소취제로는,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안전성이 우수하고, 변질되기 어려운 소취제로는, 물에 대해 불용성 또는 난용성의 무기계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화학 흡착형 소취제는, 1 종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소취 대상 (악취 성분) 이 상이한 복수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사용함으로써, 상승적인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2 황화디메틸 등을 포함하는, 배설취 또는 부패취 (음식물 쓰레기 등의 악취) 에 대해서는 염기성 가스용 화학 흡착형 소취제 및 황계 가스용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조합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아세트산, 이소발레르산 등을 포함하는, 땀냄새 등의 체취에 대해서는 염기성 가스용 화학 흡착형 소취제 및 산성 가스용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또, 아세트알데하이드, 아세트산 등을 포함하는 담배취에 대해서는 염기성 가스용 화학 흡착형 소취제, 산성 가스용 화학 흡착형 소취제, 및 알데하이드 가스용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조합이 적합하다. 2 종 이상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량의 비율은, 사용하는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소취 용량이나 소취 속도 등의 소취 성능과, 목적으로 하는 환경의 가스 농도 (악취 성분의 농도) 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 종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사용하여 복수의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악취 가스를 소취하는 경우, 충분한 소취 효과를 얻기 위한 대략의 질량비는 20 : 80 ∼ 80 : 20 이다. 또, 이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와, 활성탄과 같은 물리 흡착형 소취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소취 용량이란, 화학 흡착형 소취제 1 g 이 소취 가능한 표준 상태의 악취 성분의 양 (㎖) 을 의미하고, 이 값이 클수록 소취 필터에 있어서의 소취 효과의 지속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는, 상기 소취 섬유층을 2 층 이상 구비하지만, 각각의 소취 섬유층에 포함되는 화학 흡착형 소취제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각각의 소취 섬유층에 포함되는 화학 흡착형 소취제는, 소취 성능의 관점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나타낸다.
[1] 4 가 금속의 인산염
4 가 금속의 인산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물에 대해 불용성 또는 난용성이고, 염기성 가스에 대한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
HaMb(PO4)c·nH2O (1)
(식 중, M 은, 4 가의 금속 원자이고, a, b 및 c 는, 식 : a + 4b = 3c 를 만족하는 정수이며, n 은 0 또는 양의 정수이다)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M 으로는, Zr, Hf, Ti, Sn 등을 들 수 있다.
4 가 금속의 인산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인산지르코늄 (Zr(HPO4)2·H2O), 인산하프늄, 인산티탄, 인산주석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에는, α 형 결정, β 형 결정, γ 형 결정 등, 여러 가지 결정계를 갖는 결정질의 것과 비정질의 것이 있지만, 어느 것이라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아민 화합물
아민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라진계 화합물 또는 아미노구아니딘염이다. 이들 화합물은, 알데하이드계 가스와 반응하는 점에서, 알데하이드계 가스에 대한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 하이드라진계 화합물로는,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카르보하이드라지드, 숙신산디하이드라지드, 옥살산디하이드라지드가 예시되고, 아미노구아니딘염으로는, 아미노구아니딘염산염, 아미노구아니딘황산염, 아미노구아니딘중탄산염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 아민 화합물은, 담체에 담지된 소취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무기 화합물이고, 구체적으로는 후술되는 제올라이트, 비정질 복합 산화물이나, 실리카 겔 등이 예시된다. 또한, 제올라이트 및 비정질 복합 산화물은, 모두 염기성 가스에 대한 소취 효과를 가지므로, 이들을 담체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알데하이드계 가스 및 염기성 가스 양방에 대해 유효하다.
[3]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제올라이트이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물에 대해 불용성 또는 난용성이고, 염기성 가스에 대한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 제올라이트의 구조는 다양하지만, 공지된 제올라이트는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구조로는, A 형, X 형, Y 형, α 형, β 형, ZSM-5, 아모르퍼스 등이 있다.
[4] 비정질 복합 산화물
비정질 복합 산화물은, 상기 제올라이트 이외의 화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Al2O3, SiO2, MgO, CaO, SrO, BaO, ZnO, ZrO2, TiO2, WO2, CeO2, Li2O, Na2O, K2O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2 종에 의해 구성되는 비정질의 복합 산화물이다. 이 복합 산화물은, 물에 대해 불용성 또는 난용성이고, 염기성 가스에 대한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 X2O-Al2O3-SiO2 (X 는, Na, K, 및 L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알칼리 금속 원자) 로 나타내는 비정질 복합 산화물이 소취 성능이 우수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비정질이라는 것은, 분말 X 선 회절 측정을 실시했을 때에, 결정면에 근거하는 분명한 회절 시그널이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가로축에 회절각, 세로축에 회절 시그널 강도를 플롯한 X 선 회절 차트에, 첨도가 높은 (이른바 샤프한) 시그널 피크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5] Ag, Cu, Zn 및 M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자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복합물
이 복합물은, 물에 대해 불용성 또는 난용성의 복합물이고, 황계 가스에 대한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 이 복합물은, Ag, Cu, Zn 및 M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자의 적어도 1 종, 그리고 그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과,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합 재료이다. Ag, Cu, Zn 및 Mn 중 적어도 1 종의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수산화물, 인산, 황산 등의 무기산의 염, 아세트산, 옥살산, 아크릴산 등의 유기산의 염이다. 따라서, 이 소취제 [5] 로서 Ag, Cu, Zn 및 M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금속, 또는 상기 화합물을, 다른 재료로서의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담체에 담지시킨, 물에 불용성인 복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담체로서 바람직한 무기 화합물은, 실리카, 4 가 금속의 인산염 및 제올라이트 등이다. 또한, 4 가 금속의 인산염 및 제올라이트는, 염기성 가스에 대한 소취 효과를 가지므로, 4 가 금속의 인산염 및 제올라이트를 담체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황계 가스 및 염기성 가스 양방에 대해 유효하다.
[6] 지르코늄 화합물
지르코늄 화합물은, 수화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지르코늄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정질 화합물이다. 이들 화합물은, 물에 대해 불용성 또는 난용성이고, 산성 가스에 대한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 수화산화지르코늄은, 옥시수산화지르코늄, 수산화지르코늄, 함수산화지르코늄, 산화지르코늄 수화물과 동의의 화합물이다.
[7] 하이드로탈사이트계 화합물
하이드로탈사이트계 화합물은, 하이드로탈사이트 구조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물에 대해 불용성 또는 난용성이고, 산성 가스에 대한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
M1 (1-x)M2 x(OH)2An- (x/n)·mH2O (2)
(식 중, M1 은 2 가의 금속 원자이고, M2 는 3 가의 금속 원자이며, x 는 0 보다 크고 0.5 이하의 수이고, An- 는 탄산 이온, 황산 이온 등의 n 가의 음이온이며, m 은 양의 정수이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계 화합물로는, 마그네슘-알루미늄하이드로탈사이트, 아연-알루미늄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산성 가스에 대해 보다 우수한 소취 효과를 갖는 점에서, 마그네슘-알루미늄하이드로탈사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소성물, 즉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을 약 500 ℃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하고, 탄산근이나 수산기가 탈리함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도 하이드로탈사이트계 화합물에 포함된다.
[8] 비정질 활성 산화물
이 비정질 활성 산화물은, 상기 비정질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물에 대해 불용성 또는 난용성이고, 산성 가스 또는 황계 가스에 대한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 비정질 활성 산화물로는, 구체적으로는 Al2O3, SiO2, MgO, CaO, SrO, BaO, ZnO, CuO, MnO, ZrO2, TiO2, WO2, CeO2 등을 들 수 있다. 또, 표면 처리된 활성 산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표면 처리물의 구체예로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 표면 처리한 활성 산화물, 알루미늄, 규소, 지르코늄 또는 주석의 산화물 혹은 수산화물로 표면을 피복한 활성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의 유기계 재료로 표면 처리하는 편이 무기계 재료로 표면 처리하는 것보다 소취 성능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크기에 대해서는, 이것이 입상물인 경우,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기로 측정한 메디안 직경은, 소취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50 ㎛, 더 바람직하게는 0.2 ∼ 30 ㎛ 이다.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크기가 상기 범위이면, 표출되는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단위 질량당의 표면적이 적당하여, 충분한 소취 효과가 얻어지고, 또 원하는 단위 면적당 중량을 설정했을 때에 충분한 통기도가 얻어진다.
또, 화학 흡착형 소취제는, 악취 성분과 접촉하는 효율이 높을수록 우수한 소취 효과도 얻어지므로, 비표면적은 바람직하게는 10 ∼ 8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600 ㎡/g 이다. 비표면적은, 질소 흡착량으로부터 산출하는 BET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를 구성하는 소취 섬유층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함유량은, 많은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함유량이 많아짐에 따라 소취 필터의 통기도가 저하하고, 비용은 상승하기 때문에, 통상 이것을 고려하여 함유량이 결정된다. 화학 흡착형 소취제 1 종당의 소취 섬유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g/㎡ 이상이다. 또,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2 종 이상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는 경우의 합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g/㎡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이다. 또,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수한 소취 효과가 얻어지는 소취 섬유층의 바람직한 양태는, 이 소취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질량을 100 질량부로 한 경우에,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함유 비율을, 바람직하게는 2 ∼ 6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5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50 질량부로 하는 것이다.
소취 섬유층의 구성은,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섬유의 표면에 매설되어 있는 양태여도 되고, 섬유 및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에멀션 등의 바인더 (결합제) 를 사용하여 접합되어 있는 양태여도 된다. 후자의 경우, 바인더로는, 천연 수지, 천연 수지 유도체, 페놀 수지, 자일렌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케톤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석유 수지, 테르펜 수지, 환화 고무, 염소화 고무, 알키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염소화폴리프로필렌, 스티렌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전분,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당해 소취 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소취 마스크가, 밀폐 환경에 있어서 보관 등 된 경우에, 불쾌한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는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류, 전분,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및 셀룰로오스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고분자는,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로는, 방향족계 폴리에스테르 및 지방족계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로는, 산 성분과, 하이드록시기 함유 성분을 사용하여 얻어진 중축합체로 이루어지는 포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SO3H, -SO3Na, -SO3-, -COOH, -COO-, -OPO(OH)2, -OPO(OH)O- 등의 친수성기가 결합한 폴리에스테르여도 된다.
상기 산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스산, 피로멜리트산, 벤조산, p-옥시벤조산, p-(하이드록시에톡시)벤조산,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크산, 글루타르산, 수베르산, 도데칸디카르복실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 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트리시클로데칸디카르복실산, 테트라하이드로테레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오르토프탈산, 헥사하이드로오르토프탈산, 이들의 디, 트리, 혹은 테트라카르복실산의 메틸에스테르, 또는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친수성기를 갖는 산 성분으로는, 5-술폰산나트륨이소프탈산, 5-술폰산암모늄이소프탈산, 4-술폰산나트륨이소프탈산, 4-메틸술폰산암모늄이소프탈산, 2-술폰산나트륨테레프탈산, 5-술폰산칼륨이소프탈산, 4-술폰산칼륨이소프탈산, 2-술폰산칼륨테레프탈산 등의 술폰산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 함유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2-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에틸-2-부틸-1,3-프로판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비스페놀계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비스페놀계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올,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스피로글리콜, 트리시클로데칸디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레조르시놀, 1,3-비스(2-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용융 중합법, 용액 중합법, 고상 중합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친수기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도입할 수 있지만, -COO- 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무수 트리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트리메스산, 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등을 사용한 중축합 반응 후, 아미노 화합물, 암모니아 또는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하여 중화반응에 제공하는 방법 등이 적용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통상 포름산비닐,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피발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얻어진 수지이고,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 (A) 또는 (B) 에 의해 얻어진 수지, 나아가서는 제 1 ∼ 3 급 아미노기 혹은 제 4 급 암모늄기를 폴리비닐알코올의 주사슬 또는 측사슬에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A) 비닐에스테르를 중합하고, 그 후 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B) 비닐에스테르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하고, 그 후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상기 방법 (B) 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펜틸렌, 헥실렌, 시클로헥실렌, 시클로헥실에틸렌, 시클로헥실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푸마르산,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트리메틸(3-아크릴아미드-3-디메틸프로필)암모늄클로라이드, 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및 그 나트륨염, 에틸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N-비닐피롤리돈, 염화비닐, 브롬화비닐, 불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술폰산나트륨, 알릴술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류로는,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부티르산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전분으로는, 산화전분, 에테르화전분, 에스테르화전분 등의 변성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아미드로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와, 카티온성 단량체 및 아니온성 단량체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과, 가교제 등의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진 것으로 할 수 있다.
폴리알킬렌옥사이드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이들 폴리알킬렌옥사이드와, 다가 카르복실산 혹은 그 무수물 또는 그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반응시켜 얻어진 것, 이들 폴리알킬렌옥사이드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것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는, N-비닐-2-피롤리돈, N-비닐-4-피롤리돈 등의 비닐피롤리돈의 단독 중합체 (즉,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과,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락트산비닐 등의 지방산 비닐에스테르류 ;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에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3-하이드록시프로필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류 ; 하이드록시부틸알릴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 등의 알릴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화학 흡착형 소취제와 바인더를 배합한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사용하여 가공하는 경우, 소취제 함유 가공액 중의 에멀션에서 유래하는 수지 고형분에 대한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인더의 비율이 클수록 소취제의 고정력이 높아져 소취제의 탈락이 감소하는 점에서는 바람직하다. 그 한편으로, 바인더 수지 고형분의 비율이 작을수록 소취제가 악취 가스와 접촉하기 쉬워져 소취 효과가 우수한 것이 된다. 따라서, 양자의 밸런스로부터, 바인더 (고형분) 및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비율은, 바인더 (고형분) 및 소취제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한 경우에, 각각 바람직하게는 10 ∼ 90 질량% 및 10 ∼ 90 질량%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60 질량% 및 40 ∼ 75 질량% 의 범위이다.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는 소취제 함유 가공액에는, 바인더용 첨가제를 더함으로써, 소취 성능 이외의 작용을 갖는 복합 기능화나 가공성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분산제, 소포제, 점도 조정제, 안료, 염료, 방향제, 물리 흡착형 소취제,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알레르겐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목적을 고려하여 적정량이 필요로는 되지만,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소취 효과의 저하나 소취용 부직포의 물성이나 마스크 가공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화학 흡착형 소취제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소취제 함유 가공액의 조제 방법으로는, 무기 분말 등의 일반적인 분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에멀션에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더하고, 추가로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첨가하고, 샌드밀, 디스퍼, 볼밀 등에 의해 교반하여 분산시키면 된다. 소취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중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고형분 농도가 클수록 소취제 함유 가공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핸들링은 어려워지는 한편, 안정성은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소취제 함유 가공액 중에서의 소취제의 고형분 농도로는 5 ∼ 60 질량% 가 바람직하다. 소취제 함유 가공액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소취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점도 조정제 등을 더할 수도 있다.
상기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소취 필터에 있어서, 소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취 섬유층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량을 늘리면, 일반적으로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접합하기 위한 바인더의 사용량도 증가하고, 소취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사이에 매몰되어, 소취 필터의 통기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바인더에 파묻혀 버리는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양이 증가하여 악취 가스에 포함되는 악취 성분과 접촉할 수 없어, 소취제 함유량의 증가에 수반해 기대되는 소취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통기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화학 흡착형 소취제에 의한 소취 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소취 필터에 있어서는, 각각의 소취 섬유층의 두께 및 단위 면적당 중량이 특정 범위에 있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에 있어서의 소취 섬유층의 두께는, 0.15 ∼ 0.4 ㎜ 이고, 0.18 ∼ 0.38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0.35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취 섬유층의 두께가 0.15 ㎜ 미만에서는, 소취 성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두께가 0.4 ㎜ 를 초과하면, 소취 필터의 통기도가 저하한다.
또, 소취 섬유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 (1 ㎡ 당의 질량) 은, 충분한 소취 효과 및 통기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20 ∼ 45 g/㎡ 이고, 바람직하게는 22 ∼ 42 g/㎡,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40 g/㎡ 이다. 소취 섬유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20 g/㎡ 미만인 경우, 소취 섬유층의 통기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악취 가스 중의 악취 성분이 화학 흡착형 소취제와 접촉하지 않고, 악취 가스의 대부분이 소취 섬유층을 통과해 버려, 소취 효과는 저하한다. 한편, 단위 면적당 중량이 45 g/㎡ 를 초과하면, 소취 섬유층의 통기도가 크게 저하하여, 기체가 소취 필터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에 대해 원활하게 흐르지 않게 된다.
상기 소취 섬유층의 두께가 0.15 ∼ 0.4 ㎜ 이고, 또한 단위 면적당 중량이 20 ∼ 45 g/㎡ 인 경우, 높은 통기성을 갖는 한편으로, 악취 성분이 화학 흡착형 소취제에 충분히 흡착되어, 악취 가스에 대한 우수한 소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소취 필터에 높은 통기성을 구비하고, 또한 높은 소취 성능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소취 섬유층의 두께 및 단위 면적당 중량이 특정 범위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 특정 소취 부직포층을 단층에서 2 층으로 나눔으로써,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부직포 표면에 노출되기 쉬워져, 소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취 부직포층을 2 층 이상으로 함으로써 1 층당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가공량이 저감하기 때문에, 부직포에 대한 가공성이 향상되어, 균일하게 소취제를 부직포에 가공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높은 소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가 구비하는 소취 섬유층은, 2 ∼ 8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4 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 또는 3 층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 층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소취 섬유층을 2 층 이상 구비한 마스크용 소취 필터의 통기성은, 프라지어형법에 근거하는 통기도로 50 ∼ 350 ㎤/(㎠·s) 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300 ㎤/(㎠·s)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 ∼ 250 ㎤/(㎠·s)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프라지어형법에 근거하는 통기도가, 50 ∼ 350 ㎤/(㎠·s) 의 범위 내이면, 마스크에 사용한 경우에 호흡이 하기 쉽고, 또한 소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는,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지 않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의 전체에, 화학 흡착형 소취제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도포 (침지, 스프레이, 패딩 등) 한 후, 건조시키고, 직포 또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접착시켜 소취 섬유층을 제작하고, 이것을 2 층 이상 적층시켜 마스크용 소취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2)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표출되도록, 섬유의 기부 표면에 매설된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교락 처리 (니들펀치법 등) 에 제공하여 소취 섬유층을 제작하고, 이것을 2 층 이상 적층시켜 마스크용 소취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3)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지 않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의 그 섬유에,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열처리 또는 화학 처리를 실시하여,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섬유의 표면에 정착시켜 소취 섬유층을 제작하고, 이것을 2 층 이상 적층시켜 마스크용 소취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는, (1) 의 전착 가공법이 바람직하고, 섬유를, 화학 흡착형 소취제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소취제 함유 가공액에 침지하여 소취 섬유층을 제작하고, 이것을 2 층 이상 적층시켜 마스크용 소취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소취 마스크
본 발명의 소취 마스크는, 섬유와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는 상기 소취 섬유층 (소취 부직포층) 을 2 층 이상 구비하는 마스크이다. 또, 본 발명의 소취 마스크는, 소취 부직포층에 추가로, 방진 부직포층 및 그 밖의 부직포층을 구비하고, 당해 방진 부직포층이 안면측에 위치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 부직포층 및 그 밖의 부직포층은, 복수의 부직포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소취성을 가져, 악취 가스의 흡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소취 마스크에 있어서는, 소취 부직포층과 방진 부직포층 사이에, 본원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층을 구비할 수 있다. 그 밖의 층으로는, 통기성을 갖는 것이면 형상 및 재질 등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부직포층이라도 직포층이라도 상관없다. 바람직하게는 소취 부직포층 이상의 통기성을 갖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소취 마스크로는, 바람직하게는 소취 부직포층이 방진 부직포층에 인접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소취 부직포층이 방진 부직포층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취 마스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마스크용 소취 필터 및 방진용 부직포를, 통기 부분 (통상, 주연부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 을 접착시키지 않고 주연부만을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층체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기 부분이 아닌 마스크 본체부의 주연부 등에 있어서, 열융착 또는 접착, 봉제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안면측 및 외기측에는, 또 다른 부직포를 배치 형성해도 된다. 다른 부직포는, 수지 종류 등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소취용 부직포 및 방진용 부직포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동등하거나 그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 배 이상의 통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외기측에는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등의 발수성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안면측에는 유연한 레이온제 또는 폴리올레핀제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마스크 본체부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선택과 적층 방법 외에는, 이와 같은 형상의 입체 구조 마스크의 제조 방법 자체는 당업자에게는 알려진 것이고, 마스크 본체부의 형상으로서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방형으로 10 ㎝ ×18 ㎝ 정도의 장방형을 기본으로 하여 플리트의 형상이나 치수 등도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노즈 와이어 (마스크 본체부의 일부 주연부를 코의 형상에 맞춰 형상 유지시키기 위한 철사 또는 수지) 나 귀걸이부, 보강 시일 등의 부품도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 시에 관련된 조립 가공을 위해, 열시일 장치 등도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2 는, 본 발명의 소취 마스크의 일례에 있어서의 단면 개략도이고, 소취 마스크의 외기측으로부터 안면측을 향해, 외기측 폴리프로필렌 (PP) 제 부직포층 (7), 2 층의 소취 부직포층 (소취 섬유층)(8), 방진 부직포층 (9), 및 안면측 PP 제 부직포층 (10) 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소취 마스크에는, 플리트 (11) 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 있어서, 부 및 % 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1. 소취 마스크용 기재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소취 마스크는, 하기의 부직포 시트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표 1 에 나타낸 소취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사용하여 소취 부직포를 제작한 후, 이 소취 부직포와, 다른 부직포 등을 사용하여, 오메가 플리트형의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부직포 시트 W1)
폴리프로필렌 수지 섬유와 폴리에틸렌 수지 섬유를 1 : 1 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부직포가 서멀 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것.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 g/㎡.
(부직포 시트 W2)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가 서멀 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것. 단위 면적당 중량은 17 g/㎡.
(부직포 시트 W3)
폴리프로필렌 수지 섬유와 폴리에틸렌 수지 섬유를 1 : 1 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부직포가 서멀 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것. 단위 면적당 중량은 40 g/㎡.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낸 소취제의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체적 기준에 의해 측정한 메디안 직경이다.
또, 소취제의 소취 용량을 산출하기 위한 시험 방법은, 이하와 같다.
소취제 0.01 g 을 용량 약 4 ℓ 의 테들러 백에 넣고, 밀봉 후, 악취 강도 5 의 농도의 200 배에 상당하는, 암모니아 (8000 ppm), 메틸메르캅탄 (40 ppm), 아세트산 (380 ppm) 또는 아세트알데하이드 (2000 ppm) 를 포함하는 가스 2 ℓ 를 봉입하고, 그 24 시간 후에 각 악취 성분의 농도 (잔존 가스 성분 농도) 를 가스 검지관으로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의해 소취 용량 (㎖/g) 을 얻었다.
소취 용량 (㎖/g) = [2000 (㎖) × (초기 악취 가스 성분 농도 (ppm) - 잔존 가스 성분 농도 (ppm)) × 10-6]/0.01 (g)
2. 평가 방법
(1) 통기도
마스크용 소취 필터 및 그것을 사용한 소취 마스크에 대해, JIS L1096 「직물 및 편물의 생지 시험 방법」(2010 년 개정판) 에 규정된 프라지어형법에 의해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단위는, ㎤/(㎠·s) 이다.
(2) 소취 마스크의 평가
(a) 악취 성분 저감률의 측정
미리, 소정 농도의 악취 성분을 포함하도록 조제한 악취 가스를, 소취 마스크의 본체부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소취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봉투에 수용한 악취 가스를, (주) 가스테크 제조 기체 채취기 「MODEL GV-100」(형식명) 을 사용하여 흡인시키면서, 경로에서 면적 5 ㎠ 의 소취 마스크를 통과시킨 후, 기체 검지관에 의해 통과 가스 중의 악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악취 가스로서, 6 단계 악취 강도 표시법에 근거하는 악취 강도 5 의 5 배에 상당하는, 암모니아 (200 ppm), 아세트산 (9.5 ppm) 또는 아세트알데하이드 (50 ppm) 를 포함하는 가스, 그리고 악취 강도 5 의 50 배에 상당하는 메틸메르캅탄 (10 ppm) 을 포함하는 가스를 통기시켰다. 그리고, 통기 후, 각각의 악취 성분에 대응하는 가스 검지관 (암모니아용 기체 검지관 : No.3M, 아세트산용 기체 검지관 : No.81L, 아세트알데하이드용 기체 검지관 : No.92, 메틸메르캅탄용 기체 검지관 : No.71) 을 사용하여 통과 가스 중의 각 악취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의해 악취 성분 저감률을 구하였다.
악취 성분 저감률 = [(통기 전 악취 성분 농도 - 통기 후 악취 성분 농도)/통기 전 악취 성분 농도] × 100
(b)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
악취 강도 5 의 농도의 암모니아 가스 (40 ppm), 아세트산 가스 (1.9 ppm), 아세트알데하이드 가스 (10 ppm) 또는 메틸메르캅탄 가스 (0.2 ppm) 2 ℓ 를 악취 봉투에 충전하고, 6 명의 피험자에게 악취 봉투 내의 냄새를 맡게 해 악취 가스의 냄새를 인지시킨 후, 소취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각 6 명이 악취 봉투 내의 냄새를 맡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악취 강도를 판정하였다. 6 명의 악취 강도를 평균하여, 관능 시험에 의한 악취 강도로 하였다. 악취 강도의 값이 작을수록 마스크의 소취 효과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악취 강도 0 : 무취.
악취 강도 1 : 감지할 수 있는 냄새.
악취 강도 2 : 무슨 냄새인지 알 수 있는 약한 냄새.
악취 강도 3 :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냄새.
악취 강도 4 : 강한 냄새.
악취 강도 5 : 강렬한 냄새.
(c) 쾌/불쾌도
샘플링 백에, 소취 마스크를 10 장 넣어 밀폐한 후에, 5 ℓ 의 무취 공기를 넣어 항온기에 넣고, 50 ℃ 에서 30 일간 보관하였다. 그 후, 6 명의 피험자에게 이들 마스크를 착용시키고, 코로 5 회 호흡하여, 냄새를 맡게 하였다. 이때의 냄새의 질을, 표 2 에 나타내는 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6 명의 평균값을 쾌/불쾌도 평가의 결과로 하였다.
Figure pct00002
3. 소취 부직포의 제조
상기 부직포 시트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표 1 에 나타낸 소취제와,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및 물을 포함하는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사용하여, 소취 섬유층에 사용하는 소취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 (소취 부직포 D1 의 제작)
인산지르코늄이 4 부, CuO·SiO2 복합 산화물이 4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4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인산지르코늄 분말 및 CuO·SiO2 복합 산화물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인산지르코늄의 전착량이 4 g/㎡, CuO·SiO2 복합 산화물의 전착량이 4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3 참조).
제조예 2 (소취 부직포 D2 의 제작)
인산지르코늄이 3 부, CuO·SiO2 복합 산화물이 3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3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인산지르코늄 분말, 및 CuO·SiO2 복합 산화물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인산지르코늄의 전착량이 3 g/㎡, CuO·SiO2 복합 산화물의 전착량이 3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2 를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3 참조).
제조예 3 (소취 부직포 D3 의 제작)
규산알루미늄이 4 부, 함수산화지르코늄이 3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4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규산알루미늄 분말, 함수산화지르코늄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규산알루미늄의 전착량이 4 g/㎡, 함수산화지르코늄의 전착량이 3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3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3 참조).
제조예 4 (소취 부직포 D4 의 제작)
인산지르코늄이 4 부, CuO·SiO2 복합 산화물이 4 부,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이 3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6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인산지르코늄 분말, CuO·SiO2 복합 산화물 분말,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인산지르코늄의 전착량이 4 g/㎡, CuO·SiO2 복합 산화물의 전착량이 4 g/㎡,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의 전착량이 3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4 를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3 참조).
제조예 5 (소취 부직포 D5 의 제작)
규산알루미늄이 4 부, 활성 산화아연이 3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4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규산알루미늄 분말, 활성 산화아연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규산알루미늄의 전착량이 4 g/㎡, 활성 산화아연의 전착량이 3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침지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5 를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3 참조).
제조예 6 (소취 부직포 D6 의 제작)
함수산화지르코늄이 3 부,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이 3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3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함수산화지르코늄 분말,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 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함수산화지르코늄의 전착량이 3 g/㎡,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의 전착량이 3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6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3 참조).
제조예 7 (소취 부직포 D7 의 제작)
아모르퍼스 제올라이트가 4 부, 하이드로탈사이트가 3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4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아모르퍼스 제올라이트 분말, 하이드로탈사이트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아모르퍼스 제올라이트의 전착량이 4 g/㎡,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전착량이 3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7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3 참조).
제조예 8 (소취 부직포 D8 의 제작)
인산지르코늄이 4 부, CuO·SiO2 복합 산화물이 4 부, 함수산화지르코늄이 3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6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인산지르코늄 분말, CuO·SiO2 복합 산화물 분말, 함수산화지르코늄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인산지르코늄이 4 g/㎡, CuO·SiO2 복합 산화물의 전착량이 4 g/㎡, 함수산화지르코늄의 전착량이 3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8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3 참조).
제조예 9 (소취 부직포 D9 의 제작)
규산알루미늄이 4 부, 활성 산화아연이 3 부,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이 3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5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규산알루미늄 분말, 활성 산화아연 분말,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규산알루미늄의 전착량이 4 g/㎡, 활성 산화아연의 전착량이 3 g/㎡,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의 전착량이 3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9 를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3 참조).
제조예 10 (소취 부직포 D10 의 제작)
CuO·SiO2 복합 산화물이 4 부, 하이드로탈사이트가 3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4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CuO·SiO2 복합 산화물 분말, 하이드로탈사이트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CuO·SiO2 복합 산화물의 전착량이 4 g/㎡,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전착량이 3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0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3 참조).
제조예 11 (소취 부직포 D11 의 제작)
인산지르코늄이 4 부, CuO·SiO2 복합 산화물이 4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4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인산지르코늄 분말 및 CuO·SiO2 복합 산화물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2 에, 인산지르코늄의 전착량이 4 g/㎡, CuO·SiO2 복합 산화물의 전착량이 4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2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1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참조).
제조예 12 (소취 부직포 D12 의 제작)
인산지르코늄이 8 부, CuO·SiO2 복합 산화물이 8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8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인산지르코늄 분말 및 CuO·SiO2 복합 산화물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3 에, 인산지르코늄의 전착량이 8 g/㎡, CuO·SiO2 복합 산화물의 전착량이 8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3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2 를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참조).
제조예 13 (소취 부직포 D13 의 제작)
인산지르코늄이 6 부, CuO·SiO2 복합 산화물이 6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6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인산지르코늄 분말 및 CuO·SiO2 복합 산화물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3 에, 인산지르코늄의 전착량이 6 g/㎡, CuO·SiO2 복합 산화물의 전착량이 6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3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3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참조).
제조예 14 (소취 부직포 D14 의 제작)
규산알루미늄이 8 부, 함수산화지르코늄이 6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7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규산 알루미늄 분말, 함수산화지르코늄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3 에, 규산알루미늄의 전착량이 8 g/㎡, 함수산화지르코늄의 전착량이 6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3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4 를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참조).
제조예 15 (소취 부직포 D15 의 제작)
규산알루미늄이 8 부, 활성 산화아연이 6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7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규산 알루미늄 분말, 활성 산화아연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3 에, 규산알루미늄의 전착량이 8 g/㎡, 활성 산화아연의 전착량이 6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침지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3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5 를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참조).
제조예 16 (소취 부직포 D16 의 제작)
함수산화지르코늄이 6 부,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이 6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6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함수산화지르코늄 분말,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 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3 에, 함수산화지르코늄의 전착량이 6 g/㎡,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의 전착량이 6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3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6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참조).
제조예 17 (소취 부직포 D17 의 제작)
아모르퍼스 제올라이트가 8 부, 하이드로탈사이트가 6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7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아모르퍼스 제올라이트 분말, 하이드로탈사이트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3 에, 아모르퍼스 제올라이트의 전착량이 8 g/㎡,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전착량이 6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3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7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참조).
제조예 18 (소취 부직포 D18 의 제작)
CuO·SiO2 복합 산화물이 10 부, 하이드로탈사이트가 10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10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CuO·SiO2 복합 산화물 분말, 하이드로탈사이트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CuO·SiO2 복합 산화물의 전착량이 10 g/㎡,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전착량이 10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8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참조).
제조예 19 (소취 부직포 D19 의 제작)
인산지르코늄이 4 부, CuO·SiO2 복합 산화물이 4 부,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이 3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6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인산지르코늄 분말, CuO·SiO2 복합 산화물 분말,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2 에, 인산지르코늄의 전착량이 4 g/㎡, CuO·SiO2 복합 산화물의 전착량이 4 g/㎡,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30 % 담지 실리카 겔의 전착량이 3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2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19 를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참조).
제조예 20 (소취 부직포 D20 의 제작)
활성탄이 8 부, 및 폴리에스테르의 수지 고형분이 4 부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활성탄 분말, 및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 인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소취제 함유 가공액을, 부직포 시트 W1 에, 활성탄의 전착량이 8 g/㎡ 가 되도록 균일하게 패딩 도포한 후, 130 ℃ 에서 건조시켜, 소취제가 부직포 시트 W1 의 1 면측으로부터 타면측의 전체에 균일하게 접착된 소취 부직포 D20 을 제작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1 층 및 2 층 적층했을 때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표 4 참조).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4. 소취 마스크의 제조
상기에서 제작한 소취 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섬유를 사용하여 스펀 본드법에 의해 얻어진 단위 면적당 중량 25 g/㎡ 의 부직포 (이하, 「부직포 W4」라고 한다) 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섬유를 사용하여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얻어진 단위 면적당 중량 25 g/㎡ 의 부직포 (이하, 「방진 부직포 L1」이라고 한다) 를, 모두 175 ㎜ × 165 ㎜ 의 크기로 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종래 공지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근거하여, 오메가 플리트의 입체 구조를 갖는 소취 마스크를 제조하고, 각종 평가에 제공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및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소취 마스크 M1 의 제조 및 평가)
최외층으로부터, 부직포 W4,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 을 2 장, 방진 부직포 L1, 및 부직포 W4 를, 이 순서로 겹친 후, 175 ㎜ × 95 ㎜ 의 크기의 장방형이 되도록 오메가 플리트의 절첩 가공을 실시하였다. 그 후, 이 적층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노즈 와이어를 삽입한 상태에서, 적층물의 주연부를 히트 실러 (150 ℃) 로 융착하였다. 이어서, 마스크 본체부의 양단 (兩端) 에, 귀걸이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형성하여, 오메가 플리트의 입체 구조를 갖는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메틸메르캅탄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소취 마스크 M2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2 를 얻었다. 그 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소취 마스크 M3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3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3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소취 마스크 M4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4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4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4 를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4 를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메틸메르캅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소취 마스크 M5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5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5 를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5 를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소취 마스크 M6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6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6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6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6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아세트산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소취 마스크 M7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7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7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7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7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소취 마스크 M8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8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8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8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8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및 아세트산의 각 악취 성분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소취 마스크 M9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9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9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9 를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9 를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소취 마스크 M10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10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0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0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메틸메르캅탄 및 아세트산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소취 마스크 M11 의 제조 및 평가)
최외층으로부터, 부직포 W4, 제조예 11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1 을 2 장, 방진 부직포 L1, 및 부직포 W4 를, 이 순서로 겹친 후, 175 ㎜ × 95 ㎜ 의 크기의 장방형이 되도록 오메가 플리트의 절첩 가공을 실시하였다. 그 후, 이 적층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노즈 와이어를 삽입한 상태에서, 적층물의 주연부를 히트 실러 (250 ℃) 로 융착하였다. 이어서, 마스크 본체부의 양단에, 귀걸이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형성하여, 오메가 플리트의 입체 구조를 갖는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1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1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메틸메르캅탄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소취 마스크 M12 의 제조 및 평가)
최외층으로부터, 부직포 W4, 제조예 12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2, 방진 부직포 L1, 및 부직포 W4 를, 이 순서로 겹친 후, 175 ㎜ × 95 ㎜ 의 크기의 장방형이 되도록 오메가 플리트의 절첩 가공을 실시하였다. 그 후, 이 적층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노즈 와이어를 삽입한 상태에서, 적층물의 주연부를 히트 실러 (150 ℃) 로 융착하였다. 이어서, 마스크 본체부의 양단에, 귀걸이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형성하여, 오메가 플리트의 입체 구조를 갖는 4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2 를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2 를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메틸메르캅탄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소취 마스크 M13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2 대신에, 제조예 13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4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3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3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메틸메르캅탄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소취 마스크 M14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2 대신에, 제조예 14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4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4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4 를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4 를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소취 마스크 M15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2 대신에, 제조예 15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4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5 를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5 를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소취 마스크 M16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2 대신에, 제조예 16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6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4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6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6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아세트산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소취 마스크 M17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2 대신에, 제조예 17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7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4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7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7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소취 마스크 M18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18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8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8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8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메틸메르캅탄 및 아세트산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소취 마스크 M19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19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9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19 를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19 를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소취 마스크 M20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2 대신에,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1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4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20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20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및 메틸메르캅탄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소취 마스크 M21 의 제조 및 평가)
소취 부직포 D1 대신에, 제조예 20 에서 얻어진 소취 부직포 D2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5 층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소취 마스크 M20 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소취 마스크 M20 을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부에 있어서의 통기도 측정과,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의 저감률 측정과, 소취 마스크 착용에 의한 관능 시험과, 소취 마스크 자체의 냄새의 쾌/불쾌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실시예 1 ∼ 10 모두에 있어서, 악취 성분 저감률 90 % 이상의 높은 소취 성능을 나타내고, 관능 시험에서는 1.2 이하의 무취에 가까운 레벨의 악취 강도까지 악취를 저감할 수 있었다. 비교예 2, 3, 4, 5, 6 및 7 의 소취 부직포층은 1 층이고, 실시예 1, 2, 3, 5, 6 및 7 의 소취 부직포층은 2 층인 것 이외에는, 각각 소취 부직포층의 부직포의 재질, 제조 방법, 화학 흡착 소취제와 바인더의 조성 및 가공량, 및 단위 면적당 중량이 동일하지만, 비교예에서는 악취 성분 저감률 및 관능 시험 악취 강도와 함께 소취 성능이 열등하고, 또한 마스크의 통기도도 열등한 점에서, 소취 부직포층을 복층으로 하는 것의 유효성이 나타났다.
또, 실시예 1 ∼ 10 모두에 있어서, 마스크 자체의 악취의 쾌/불쾌도는 -1 이상이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및 비교예 9 는 부직포 기포 (基布) 의 성분에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지 않았던 예이지만, 이들의 쾌/불쾌도는 -2 이하가 되어 불쾌도가 높아졌다.
비교예 8 은 통기도가 50 ㎤/(㎠·s) 이하인 소취 부직포층을 마스크에 사용한 예이지만, 소취 성능은 높지만, 마스크의 통기도는 낮아, 실용적이지 않은 것이었다. 비교예 10 은 실시예 1 에 사용한 소취 필터를 1 층으로 한 것이지만, 악취 성분 저감률 및 관능 시험 악취 강도와 함께 소취 성능이 열등하였다. 또, 비교예 11 은,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아닌 소취제로서 활성탄을 사용한 예이고, 악취 성분 저감률 및 관능 시험 악취 강도와 함께 현저하게 낮은 소취 성능이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소취 마스크에 의하면, 예를 들어 배설취나 부패취 등의 악취 가스에 대해, 소취 섬유층을 통과하는 악취 성분에 대해 순시로 높은 소취 성능이 얻어진다. 따라서, 배설물 처리장, 축산 농장, 하수 처리장, 오물 처리장, 쓰레기 처리장, 비료 공장, 화학 공장, 병원, 개호 시설, 어항, 재해 현장 등의 각 작업 현장이나 가정에 있어서의 작업 시의 악취가 발생하는 장소에 있어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마스크 본체
2 : 마스크 본체 상부
3 : 귀걸이부
4 : 노즈 와이어
5 : 열융착 심부
6 : 열융착 메시부
7 : 외기측 PP 제 부직포층
8 : 소취 부직포층 (소취 섬유층)
9 : 방진 부직포층
10 : 안면측 PP 제 부직포층
11 : 플리트

Claims (9)

  1. 섬유와,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는 소취 섬유층을 2 층 이상 구비하고,
    상기 소취 섬유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섬유를 함유하고,
    상기 소취 섬유층의 두께는 0.15 ∼ 0.4 ㎜ 이고, 또한 소취 섬유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 ∼ 45 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소취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용 소취 필터의 기재가, 부직포인 마스크용 소취 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 층 이상의 각각의 소취 섬유층이, 동일한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는 마스크용 소취 필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1] 4 가 금속의 인산염, [2] 아민 화합물, [3]제올라이트, [4] X2O-Al2O3-SiO2 (X 는, Na, K 및 L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원자) 로 나타내는 비정질 복합 산화물, [5] Ag, Cu, Zn 및 Mn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 [6] 수화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지르코늄 화합물, [7] 하이드로탈사이트계 화합물, 그리고 [8] 비정질 활성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인 마스크용 소취 필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 섬유층에 있어서의 화학 흡착형 소취제의 함유량이, 1 g/㎡ 이상인 마스크용 소취 필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 섬유층이, 화학 흡착형 소취제를 포함하는 액체에 섬유를 침지한 후, 건조시켜 제조된 것인 마스크용 소취 필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 섬유층에 있어서, 화학 흡착형 소취제가 바인더를 이용하여 섬유에 접합되어 있는 마스크용 소취 필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라지어형법에 근거하는 통기도가, 50 ∼ 350 ㎤/(㎠·s) 인 마스크용 소취 필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스크용 소취 필터와, 상기 소취 필터 이외의 필터를 적층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마스크.
KR1020177014211A 2014-12-17 2015-10-28 마스크용 소취 필터 및 소취 마스크 KR20170094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4764 2014-12-17
JPJP-P-2014-254764 2014-12-17
PCT/JP2015/080368 WO2016098460A1 (ja) 2014-12-17 2015-10-28 マスク用消臭フィルター及び消臭マス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157A true KR20170094157A (ko) 2017-08-17

Family

ID=5612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211A KR20170094157A (ko) 2014-12-17 2015-10-28 마스크용 소취 필터 및 소취 마스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67416A1 (ko)
JP (1) JPWO2016098460A1 (ko)
KR (1) KR20170094157A (ko)
CN (1) CN107105801A (ko)
TW (1) TW201622777A (ko)
WO (1) WO2016098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0044B2 (ja) * 2016-08-17 2021-03-31 マスギ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呼吸保護装置および呼吸保護装置製造方法
USD872256S1 (en) * 2016-08-17 2020-01-07 Masgick, Inc. Strapless collapsible respiratory mask
TWI765923B (zh) * 2016-10-18 2022-06-01 日商東亞合成股份有限公司 吸附劑及除臭加工製品
USD854144S1 (en) * 2017-09-05 2019-07-16 Prestige Ameritech, Ltd. Ear loop mask
US11124901B2 (en) 2017-11-27 2021-09-21 First Step Holdings, Llc Composite fabric, method for forming composite fabric, and use of a composite matter fabric
JP2020049136A (ja) * 2018-09-28 2020-04-02 松林工業株式会社 消臭用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消臭用複合シート
US20210307428A1 (en) * 2020-04-03 2021-10-07 Nanotek Instruments Group, Llc Antiviral filtration element and filtration devices containing same
USD955555S1 (en) * 2020-05-20 2022-06-21 Alexey Sibilev Transformable hygienic facial mask
EP3912687A1 (en) * 2020-05-20 2021-11-24 Carl Freudenberg KG Face mask withfilter mediummade from multicomponent filaments
JP7473957B2 (ja) 2020-06-18 2024-04-24 フレックスジャパン株式会社 マスク
KR102440032B1 (ko) * 2020-08-28 2022-09-02 이창수 금속 극세사 직물을 이용한 방진 및 항균 마스크
USD928936S1 (en) * 2020-09-16 2021-08-24 Yiwu Yaochun Network Technology Co., Ltd. Face mask
US11064745B1 (en) * 2020-11-12 2021-07-20 United Arab Emirates University Face mask with separate inhaling and exhaling portions
IT202100004943A1 (it) * 2021-03-03 2022-09-03 Thd Spa Mascherina protettiva
GB202107040D0 (en) * 2021-05-17 2021-06-30 Heathcoat Fabrics Ltd Absorbent material
CA3218196A1 (en) * 2021-05-17 2022-11-24 Kamlesh Madhubhai MISTRY Adsorbent material
US20230000186A1 (en) * 2021-07-05 2023-01-05 Watson Medical & Biotechnology Co., Ltd. Face mas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3707B2 (ja) * 2006-10-04 2011-09-28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マスク用フィルタ
JP4843626B2 (ja) * 2008-02-27 2011-12-21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マスク
CN201798054U (zh) * 2010-09-28 2011-04-20 马贵芹 新型防尸臭口罩
CN104125849A (zh) * 2012-03-07 2014-10-29 东亚合成株式会社 除臭面罩
DE102012007503A1 (de) * 2012-03-28 2013-10-02 BLüCHER GMBH Adsorptives Filtermedium
JP2013256739A (ja) * 2012-06-14 2013-12-26 Teijin Ltd マスク用不織布およびマスク
JP6445448B2 (ja) * 2013-10-17 2018-12-26 東亞合成株式会社 消臭フィルター
KR102461080B1 (ko) * 2014-11-21 2022-11-02 듀폰 세이프티 앤드 컨스트럭션, 인크. 호흡 장치 및 안면 마스크용 용융 방사 여과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22777A (zh) 2016-07-01
WO2016098460A1 (ja) 2016-06-23
JPWO2016098460A1 (ja) 2017-09-07
US20170367416A1 (en) 2017-12-28
CN107105801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4157A (ko) 마스크용 소취 필터 및 소취 마스크
JP6571648B2 (ja) 消臭マスク
JP6445448B2 (ja) 消臭フィルター
KR101948962B1 (ko) 소취 마스크
JP5435839B2 (ja) 消臭抗菌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ー材
JP2008104556A (ja) 積層体シート
JP6257547B2 (ja) 脱臭剤封入濾材
JP2004041836A (ja) 空気清浄フィルター
JP2000153115A (ja) 空気清浄化フィルター
JP7201183B2 (ja) 抗菌シート及びマスク
JP2017172068A (ja) 基材−シリカゾル乾燥物複合体、その応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62604A (ja) 脱臭剤および脱臭シート
JPH11262626A (ja) 脱臭剤および脱臭シート
JPH11309203A (ja) 脱臭剤及び脱臭シート
JP2002095921A (ja) 空気清浄化フィルタ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