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130A - 윤활제 및 베어링 장치, 그리고 윤활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제 및 베어링 장치, 그리고 윤활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130A
KR20170094130A KR1020177011754A KR20177011754A KR20170094130A KR 20170094130 A KR20170094130 A KR 20170094130A KR 1020177011754 A KR1020177011754 A KR 1020177011754A KR 20177011754 A KR20177011754 A KR 20177011754A KR 20170094130 A KR20170094130 A KR 20170094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wax
bearing
lubricating oi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나카무라
요시후미 이나가키
도시야 이노우에
요시타다 야노
요시토모 사토
Original Assignee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도구슈세이유 가부시기가이샤
루베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도구슈세이유 가부시기가이샤, 루베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4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2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thicke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10M171/02Specified values of viscosity or viscosity inde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4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oil being fed or carried along by an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F16N7/385Central lubr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14Synthetic waxes, e.g. polythene waxes
    • C10M2205/146Synthetic waxes, e.g. polythene waxes used as thick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16Paraffin waxes; Petrolatum, e.g. slack wax
    • C10M2205/166Paraffin waxes; Petrolatum, e.g. slack wax used as thicken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18Natural waxes, e.g. ceresin, ozocerite, bees wax, carnauba; Degras
    • C10M2205/186Natural waxes, e.g. ceresin, ozocerite, bees wax, carnauba; Degras used as thick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05Ester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2Esters of (cyclo)aliphatic oolycarboxylic acids
    • C10M2207/2825Esters of (cyclo)aliphatic oolycarboxylic acid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11Cloud poi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2Bea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10Semi-solids; greasy
    • C10N2240/02
    • C10N2250/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nt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윤활유와 왁스를, 양자의 합계량에 대하여 윤활유를 90 ∼ 60 질량%, 왁스를 10 ∼ 40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고, 10 ∼ 70 ℃ 의 범위의 소정의 온도에서 액상이 되는 윤활제. 또, 윤활제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소정량의 상기 윤활제가 공급되는 베어링 장치. 그리고, 상기 윤활제를 저장하고, 소정량을 배관에 토출시키는 윤활제 공급 장치.

Description

윤활제 및 베어링 장치, 그리고 윤활제 공급 장치{LUBRICANT, BEARING DEVICE, AND LUBRICANT SUPPLY DEVICE}
본 발명은 베어링 등에 공급되는 윤활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베어링과, 상기 윤활제를 베어링에 공급하는 윤활제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베어링 장치, 그리고 내부에 저장된 상기 윤활제를 베어링에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작 기계의 주축 지지용 베어링 장치 (10) 에는, 외부에 형성된 윤활제 공급 장치 (1) 로부터 공급관 (2) 을 통하여 베어링 (3) 에, 소정량의 윤활제를 정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윤활제 보급 시스템이 채용되어 있다. 윤활제로는, 윤활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그리스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베어링 (3) 에 공급되는 그리스 조성물은 극히 미량이기 때문에, 조도 (稠度) 가 작아, 비교적 딱딱한 그리스 조성물에서는, 배관 경로가 긴 경우나, 배관 경로가 도중에 굴곡지거나 직각으로 절곡된 부위가 여러 군데 존재하는 경우 등에서는, 배관 저항에 의해 미량의 그리스 조성물을 소정량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꽤 어려워진다. 또, 장기간 사용되게 되면, 압송시에 반복해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증조제가 기유 (基油) 와 분리되어 윤활유 전체적으로 경화 또는 고화된 상태가 되어 배관 내에서 막혀, 그리스 조성물을 소정량,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 에 있어서, 윤활제 공급 장치 (1) 의 구조를 연구하여 그리스 조성물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실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그리스 조성물의 증조제가 고화되는 문제까지는 해결되지 않았다.
일본국 특허 제3707553호
그래서 본 발명은, 그리스 조성물과 같이 증조제가 기유와 분리되어 경화 또는 고화되는 문제가 없어, 윤활제 공급 장치로부터 베어링으로의 윤활제의 안정 공급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의 윤활제 및 베어링 장치, 그리고 베어링으로의 윤활제 보급 장치를 제공한다.
(1) 윤활유와 왁스를, 양자의 합계량에 대하여 상기 윤활유를 90 ∼ 60 질량%, 상기 왁스를 10 ∼ 40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10 ∼ 70 ℃ 의 범위의 소정의 온도에서 액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2) 액상이 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었을 때에는, 반고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윤활제.
(3) 액상과 반고체상의 상태 변화가 가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윤활제.
(4) 윤활유를 90 ∼ 80 질량%, 왁스를 10 질량% 이상 20 질량% 미만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윤활제.
(5) 윤활유의 점도가 5 ∼ 200 ㎟/s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윤활제.
(6) 윤활유가 에스테르유이고, 왁스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윤활제.
(7)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공급 장치와, 상기 베어링과 상기 윤활제 공급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을 구비하는 베어링 장치로서,
상기 윤활제 공급 장치는 상기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윤활제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윤활제를 반고체상으로 상기 배관을 유통시키고,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윤활제를 액상으로 변화시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8) 윤활제를 저장하고, 배관을 통하여 상기 윤활제를 베어링에 공급하기 위해서, 베어링 외부에 형성되는 윤활제 공급 장치로서,
상기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윤활제를 저장하고, 반고체상으로 상기 배관에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 장치.
본 발명의 왁스계 윤활제는 증조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리스 조성물과 같이 증조제가 기유와 분리되어 배관 내에 막혀, 윤활제 공급 장치로부터 베어링으로의 공급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베어링 장치도, 윤활제 공급 장치로부터 왁스계 윤활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윤활유 공급 방식에 비하여 수명이 길어진다.
도 1 은 윤활제 보급 시스템의 일례로서, 공작 기계의 주축 지지용 베어링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액상화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왁스계 윤활제에 대하여, 점도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왁스계 윤활제에 대하여, 점도계 내에서의 이동량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실시예 2 에서 조제한 왁스계 윤활제에 대하여, 점도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베어링 장치는, 베어링과 윤활제 공급 장치를 배관으로 연결한 구성이면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작 기계의 주축 지지용 베어링 장치 (10) 를 예시할 수 있다.
윤활제 공급 장치 (1) 는, 종래와 같이, 저장되어 있는 윤활제를 일정량으로 정기적으로 공급관 (2) 에 토출시키는 구성이면 제한은 없다. 즉, 본 발명의 윤활제 공급 장치 (1) 는, 왁스계 윤활제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와, 탱크로부터의 왁스계 윤활제를 공급관 (2) 에 일정량씩 정기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압송 수단 등을 구비하는데,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의 윤활제 공급 장치에 준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왁스계 윤활제는 반고체상으로 윤활제 공급 장치 (1) 로부터 토출되어, 공급관 (2) 의 내부에서도 반고체상으로 이동하지만, 왁스계 윤활제는, 윤활유와 왁스를 기본 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윤활성을 갖고, 반고체상이며, 나아가서는 왁스가 윤활유의 증조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그리스 조성물용 윤활제 공급 장치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왁스계 윤활제는, 윤활유와 왁스를 기본 성분으로 한다. 왁스는 그 융점보다 저온에서는 고화 혹은 반고체화되어 있고, 융점 이상에서는 액상이 되어, 유동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왁스 단체이면, 왁스의 융점 부근의 온도를 경계로 하여, 전체적으로 반고체상과 액상으로 가역 변화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왁스계 윤활제는, 윤활유 (액체) 와 왁스 (반고체) 의 혼합체 (왁스 (용질) 에 윤활유 (희박액) 를 첨가한 희박 용액에 상당) 이다. 그 때문에, 왁스계 윤활제는 왁스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반고체상에서 액상으로 변화한다. 반고체상에서 액상으로 변화하는 온도 (이하 「액상화점」이라고 칭한다) 는, 포함되는 왁스의 융점 및 윤활유의 혼합 비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왁스의 융점>액상화점」이 되기 때문에, 포함되는 왁스와 윤활유의 혼합 비율로 액상화점을 왁스의 융점 이하의 소정의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윤활유 및 왁스의 종류, 그리고 양자의 혼합 비율에 따라, 액상화점과 왁스의 융점의 온도차를 약 10 ∼ 30 ℃ 로 할 수 있다. 또, 포함되는 왁스의 종류 및 윤활유의 혼합 비율 등을 조정함으로써, 온도에 따라 액상과 반고체상으로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액상 및 액상화점은, 도 2 및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확인한다. 이 방법은, 일본국의 위험물 규제에 관한 규칙, 제 12 장 잡칙 제 69 조의 2 (액상의 정의) 에 따른 방법이다.
(1) 시험 물품 (왁스계 윤활제) 을 2 개의 시험관 (직경 30 ㎜, 높이 120 ㎜) 의 A 선 (높이 55 ㎜) 까지 넣는다.
(2) 일방의 시험관 (액상 판단용 시험관) 을 공혈이 없는 고무마개로 단단히 막는다.
(3) 타방의 시험관 (온도 측정용 시험관) 을 온도계를 부착한 고무마개로 단단히 막는다. 또한, 온도계는, 그 선단이 시험 물품의 표면에서부터 30 ㎜ 의 깊이가 되도록 삽입하여, 시험관에 대하여 직립시킨다.
(4) 2 개의 시험관을, 액상 확인 온도 ±0.1 ℃ 로 유지된 항온조 중에, B 선 (시험 물품의 표면보다 30 ㎜ 상방) 이 항온조의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직립시켜 정치 (靜置) 시킨다.
(5) 온도 측정용 시험관 중의 시험 물품의 온도가 액상 확인 온도 ±0.1 ℃ 가 되고 나서, 10 분간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한다.
(6) 액상 판단 시험관을 항온 수조로부터 수평인 대 (臺) 위에 직립시킨 채로 꺼내어, 즉시 대 위로 수평으로 쓰러뜨려, 시험 물품의 선단이 B 선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7) 시험 물품이 B 선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90 초 이내일 때, 시험 물품이 「액상」이라고 판단한다.
(8) 그리고, 항온 수조의 온도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1) ∼ (7) 을 실시하여, 액상이 된 온도를 「액상화점」이라고 한다.
또한, 액상화점이란, 물의 응고점 (0°/순수, 대기압하) 과 같은 정점 (定點) 온도가 아니라, 어느 특정 온도에 대하여 대략 ±2 ℃ 정도의 범위에서 정의, 수치화된다.
혹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 플레이트형 점도계 (E 형 점도계) 를 이용하여, 온도를 서서히 높여 가 점도 변화가 일정해진 온도가 액상화점 근방에 나타나기 때문에, 이 온도를 액상화점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윤활제 공급 장치 (1) 로부터의 왁스계 윤활제를 베어링 (3) 의 내부에 공급하려면, 베어링 (3) 의 외륜에 형성한 공급구를 통하여 액상의 왁스계 윤활제를 유입시킨다. 일반적인 공작 기계의 주축 지지용 베어링 장치에서는, 베어링이 베이킹되지 않도록, 하우징 내의 외륜 주변에 냉각관을 배치하여 가동시에 베어링 온도가 40 ∼ 50 ℃ 정도가 되도록 냉각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윤활제 공급 장치 (1) 로부터의 왁스계 윤활제는, 공급관 (2) 의 내부에서는 반고체상으로 공급관 (2) 을 유통하여, 적어도 베어링 (3) 의 외륜에 형성한 공급구의 바로 앞에서 액상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어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액상화점을 10 ∼ 70 ℃ 로 규정한다.
베어링 (3) 의 내부는 40 ∼ 50 ℃, 혹은 이보다 높은 온도이기 때문에, 공급된 왁스계 윤활제는 액상이다. 왁스상 윤활제는 증조제를 포함하지 않고, 윤활유 및 왁스의 양방 모두 윤활 성분이기 때문에, 그리스 조성물에 있어서 기유의 비율이 증가한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되어, 윤활 성능이 그리스 조성물보다 높아진다. 그 때문에, 1 회당의 보급량을 적게 할 수 있고, 보급 간격도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왁스계 윤활제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어, 윤활제 보급 시스템 전체적으로 수명이 길어진다.
또한, 왁스계 윤활제는 그리스 조성물과 같이 증조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압력이 가해져도 고화되지 않아, 공급관 (2) 이 길어지거나 굴곡진 지점이 있어도 안정적인 보급이 가능해진다.
또, 윤활 종료 후, 왁스계 윤활제는, 베어링 (3) 으로부터 배출관 (4) 을 통과하여 하우징 외부로 보내지는데, 그 때 배출관 (4) 은 바깥 공기 (실온) 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왁스계 윤활제는 액상에서 다시 반고체상으로 변화한다. 그리스 조성물에서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증조제에서 유래하는 잔류물이 발생하여 공기의 흐름이 저지되어, 베어링의 온도 상승의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왁스계 윤활제에서는, 베어링 (3) 으로부터 배출된 후에도 어느 정도의 거리까지는 액상인 채로 배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왁스계 윤활제는, 윤활유와 왁스를 기본 성분으로 하는 것이지만, 윤활유 및 왁스 모두 충분한 윤활성을 갖고, 또한 10 ∼ 70 ℃ 에서 액상이고,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 반고체상으로 변화하는 한, 그 종류는 모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바람직하게는 온도에 따라 액체와 반고체로 가역적으로 변화하도록 조정한다.
윤활유로는, 종래부터 베어링의 윤활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윤활유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핀계나 나프텐계의 광유, 혹은 에스테르유나 탄화수소유, 에테르유 등의 합성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복수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그 점도도 일반적인 범위이면 되지만, 베어링 (3) 의 윤활성을 고려하면 40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 ∼ 200 ㎟/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윤활유의 동점도는 베어링의 용도에 따라 설정되고, 예를 들어 공작 기계의 스핀들용 베어링 등과 같이, 저온도 상승 특성과 내베이킹성을 양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10 ∼ 130 ㎟/s (4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왁스는, 상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상이며, 알킬기를 갖는 유기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 왁스, 합성 왁스의 어느 쪽이어도 된다. 단, 베어링 내부에서 윤활유와의 혼합물이 되기 때문에, 윤활유와의 상용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연 왁스로는 동·식물 왁스, 광물 왁스, 석유 왁스를 들 수 있고, 합성 왁스로는 피셔 트롭쉬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유지계 합성 왁스 (에스테르, 케톤류, 아미드), 수소화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복수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단, 왁스계 윤활제의 액상화점은, 실질적으로 왁스의 융점과 윤활유의 혼합 비율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이 액상화점이 10 ∼ 70 ℃ 가 되도록, 상기에 예시한 왁스에서 선택하고, 또한 윤활유와 왁스를 적정한 혼합 비율로 조제한다. 또한, 액상화하는 온도인 액상화점은 베어링의 용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공작 기계용 베어링에서는 30 ∼ 70 ℃ 의 범위의 소정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윤활유와 왁스의 조합으로서, 상용성의 관점에서 윤활유에 에스테르유를 사용한 경우, 왁스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윤활유와 왁스의 혼합 비율은, 양자의 합계량에 대하여 왁스가 10 ∼ 40 질량% 이고, 윤활유가 90 ∼ 6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의 비율이 커질수록 왁스계 윤활제가 반고체상일 때의 유동성이 나빠져, 40 질량% 를 초과하면 윤활제 공급 장치 (1) 로부터의 토출성이나, 공급관 (2) 에 의한 수송성이 나빠진다. 특히 유동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왁스의 혼합 비율을 10 질량% 이상 20 질량% 미만으로 하고, 윤활유의 혼합 비율을 90 질량% 이하 80 질량%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왁스는, 윤활유나 그리스의 유성 (油性) 향상제로서 첨가되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의 왁스계 윤활제에서는, 상기와 같이 왁스의 첨가량을 일반적인 첨가제량보다 많게 함으로써, 윤활유와 동등한 반고체상의 성질 (증조제로서의 기능) 을 유지한다.
일례를 나타내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는, 융점이 67 ∼ 98 ℃ 이지만, 윤활유와 상기 혼합 비율로 혼합한 왁스계 윤활제는, 액상화점을 35 ∼ 50 ℃ 의 범위의 소정의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파라핀 왁스는, 융점이 47 ∼ 69 ℃ 이지만, 윤활유와 상기 혼합 비율로 혼합한 왁스계 윤활제는, 액상화점을 20 ∼ 35 ℃ 의 범위의 소정의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왁스계 윤활제에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두 공지된 산화 방지제나 방청제, 극압제 등을 적당량 첨가할 수 있다.
왁스계 윤활제를 조제하려면, 왁스를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액상으로 하고, 거기에 윤활유 또는 첨가제를 첨가한 윤활유를 더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왁스의 융점 미만의 온도 (통상은 액상화점 이하 정도) 로 냉각시키면 된다. 혹은, 윤활유 또는 첨가제를 첨가한 윤활유와, 고형의 왁스를 적당한 용기에 넣고, 전체를 왁스의 융점 이상의 온도까지 가열하여 혼합한 후, 액상화점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시켜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왁스계 윤활제는, 볼 베어링의 윤활에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볼 베어링에서는 접촉각선을 적도로 하여 볼이 회전하는 결과, 볼이 펌프 효과를 발휘하여, 윤활제가 봉입되어 있는 공간에 기류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유동성이 좋은 왁스계 윤활제를 사용함으로써, 베어링 내에서의 윤활제의 체류를 방지할 수 있어, 베어링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전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왁스계 윤활제의 조제)
디에스테르유 (디옥틸세바케이트) 를 78.5 질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융점 82 ℃) 를 15 질량%, 첨가제로서 산화 방지제 및 극압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6.5 질량% 의 비율로 왁스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실온까지 자연 냉각시켜 왁스계 윤활제를 얻었다.
(점도의 온도 의존성)
콘 플레이트형 점도계 (E 형 점도계) 를 이용하여, 온도를 바꾸어 상기 왁스계 윤활제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도 3 에 나타내는데, 온도의 상승과 함께 점도가 저하되어, 유동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2 ℃ 까지는 시료 표면의 이동은 없고, 44 ℃ 에서 5 ㎜, 46 ℃ 에서 17 ㎜ 의 이동이 확인되고, 48 ℃ 에서 50 ㎜ 를 초과하여 용기의 선단까지 도달하였다. 그 때문에, 실시예 1 의 조성의 왁스계 윤활제는, 47 ℃ 의 액상화점을 갖고 있다. 즉, 47 ℃ 부근에서 반고체상에서 액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여, 일반적인 공작 기계의 주축 지지용 베어링 장치의 윤활제 보급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왁스계 윤활제의 조제)
디에스테르유 (디옥틸세바케이트) 를 83 질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융점 72 ℃) 를 10.5 질량%, 첨가제로서 산화 방지제 및 극압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6.5 질량% 의 비율로 왁스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실온까지 자연 냉각시켜 왁스계 윤활제를 얻었다
(점도의 온도 의존성)
콘 플레이트형 점도계 (E 형 점도계) 를 이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온도를 바꾸어 상기 왁스계 윤활제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5 에 나타내는데, 실시예 2 의 조성의 왁스계 윤활제는, 온도 상승에 의한 점도 변화의 비율이 38 ℃ 를 경계로 감소하고 있고, 액상화점은 38 ℃ 부근이다. 그 때문에, 20 ∼ 40 ℃ 정도에서 사용되는 베어링 장치의 윤활제 보급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4년 10월 29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14-220705) 에 근거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진다.
1 윤활제 공급 장치
2 공급관
3 베어링
4 배출관
10 베어링 장치

Claims (8)

  1. 윤활유와 왁스를, 양자의 합계량에 대하여 상기 윤활유를 90 ∼ 60 질량%, 상기 왁스를 10 ∼ 40 질량% 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10 ∼ 70 ℃ 의 범위의 소정의 온도에서 액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액상이 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었을 때에는, 반고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상과 반고체상의 상태 변화가 가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윤활유를 90 ∼ 80 질량%, 왁스를 10 질량% 이상 20 질량% 미만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윤활유의 점도가 5 ∼ 200 ㎟/s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윤활유가 에스테르유이고, 왁스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7.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공급 장치와, 상기 베어링과 상기 윤활제 공급 장치를 연결하는 배관을 구비하는 베어링 장치로서,
    상기 윤활제 공급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윤활제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윤활제를 반고체상으로 상기 배관을 유통시키고,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윤활제를 액상으로 변화시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8. 윤활제를 저장하고, 배관을 통하여 상기 윤활제를 베어링에 공급하기 위해서, 베어링 외부에 형성되는 윤활제 공급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윤활제를 저장하고, 반고체상으로 상기 배관에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 장치.
KR1020177011754A 2014-10-29 2015-10-28 윤활제 및 베어링 장치, 그리고 윤활제 공급 장치 KR20170094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0705 2014-10-29
JP2014220705 2014-10-29
PCT/JP2015/080467 WO2016068219A1 (ja) 2014-10-29 2015-10-28 潤滑剤及び軸受装置、並びに潤滑剤供給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130A true KR20170094130A (ko) 2017-08-17

Family

ID=5585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754A KR20170094130A (ko) 2014-10-29 2015-10-28 윤활제 및 베어링 장치, 그리고 윤활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3214160B1 (ko)
JP (1) JP6668251B2 (ko)
KR (1) KR20170094130A (ko)
CN (1) CN107207990A (ko)
TW (1) TW201627491A (ko)
WO (1) WO2016068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6648A (zh) * 2016-09-19 2017-04-19 新疆福克油品股份有限公司 废润滑油再生生产线断电自救的补偿装置
CN109899668A (zh) * 2019-04-01 2019-06-18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风电机组主轴轴承的润滑补偿方法及系统
CN116209740A (zh) * 2020-09-30 2023-06-02 协同油脂株式会社 包含碳纳米管的润滑剂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0606A (en) * 1978-03-14 1979-09-19 Nippon Koyu Kk Lubricator for rail switch slide plate
JP2006022865A (ja) * 2004-07-07 2006-01-26 Koyo Seiko Co Ltd 軸受用潤滑剤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0858A (en) * 1968-11-14 1972-02-08 Texaco Inc Dual purpose lubricating compositions
DE2919489A1 (de) * 1979-05-15 1980-12-04 Bosch Gmbh Robert Nachschmiereinrichtung fuer elektrische maschinen
JPS57139194A (en) * 1981-02-23 1982-08-27 Hitachi Ltd Solid lubricant and lubricating device for elevator using same
US5221490A (en) * 1990-07-30 1993-06-22 Nkk Corporation Rust-preventive lubricant composition for zinc-plated steel material
JP3048710B2 (ja) * 1991-11-14 2000-06-05 日石三菱株式会社 ポイント摺動板用潤滑剤
JP2001050284A (ja) * 1999-08-02 2001-02-23 Nsk Ltd 潤滑剤供給部材を備えた転がり軸受
JP3707553B2 (ja) 2001-08-01 2005-10-19 日本精工株式会社 工作機械用アンギュラ玉軸受
JP2006117741A (ja) * 2004-10-20 2006-05-11 Pooraito Kk ゲル状潤滑剤組成物及び焼結含油軸受用潤滑剤
JP5036521B2 (ja) * 2007-12-12 2012-09-2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用潤滑剤組成物及びチェーン
JP5082869B2 (ja) * 2008-01-16 2012-11-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
JP5600380B2 (ja) * 2008-03-06 2014-10-01 Ntn株式会社 潤滑システム
JP5845652B2 (ja) * 2011-06-23 2016-01-20 日本精工株式会社 軸受装置及び工作機械用主軸装置
JP6364705B2 (ja) 2013-05-09 2018-08-01 株式会社リコー 映像出力装置、映像入力判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0606A (en) * 1978-03-14 1979-09-19 Nippon Koyu Kk Lubricator for rail switch slide plate
JP2006022865A (ja) * 2004-07-07 2006-01-26 Koyo Seiko Co Ltd 軸受用潤滑剤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07990A (zh) 2017-09-26
TW201627491A (zh) 2016-08-01
JPWO2016068219A1 (ja) 2018-01-18
JP6668251B2 (ja) 2020-03-18
EP3214160B1 (en) 2019-03-06
EP3214160A4 (en) 2017-09-06
EP3214160A1 (en) 2017-09-06
WO2016068219A1 (ja) 2016-05-06
EP3495464A1 (en)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lgado et al. Suitability of ethyl cellulose as multifunctional additive for blends of vegetable oil-based lubricants
KR20170094130A (ko) 윤활제 및 베어링 장치, 그리고 윤활제 공급 장치
KR101958125B1 (ko) 스핀들 장치 및 공작기계 주축용 스핀들
KR101983922B1 (ko) 구름 베어링
CN106574201A (zh) 用于防止和除去内燃机中的碳沉积物的润滑剂
JP2022000326A (ja) スピンドル装置
JP6993389B2 (ja) 低減された表面張力を有するギアオイルおよびエンジンオイル
JP6572302B2 (ja) 消泡剤組成物
JP2014194265A (ja) 潤滑液の供給方法
KR101933815B1 (ko) 베어링 장치
JP5538056B2 (ja) 集中給油システム用潤滑剤組成物
JP2006117741A (ja) ゲル状潤滑剤組成物及び焼結含油軸受用潤滑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