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209A - 토너,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토너 저장 유닛 - Google Patents

토너,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토너 저장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209A
KR20170093209A KR1020177018645A KR20177018645A KR20170093209A KR 20170093209 A KR20170093209 A KR 20170093209A KR 1020177018645 A KR1020177018645 A KR 1020177018645A KR 20177018645 A KR20177018645 A KR 20177018645A KR 20170093209 A KR20170093209 A KR 20170093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mponent
thf
image
bisphe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706B1 (ko
Inventor
나츠코 마츠시타
도모미 스즈키
고타로 오기노
도루 모리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0588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98290A1/en
Publication of KR2017009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7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viscosity, solubility, melting temperature, softening temperatur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02Preparation methods
    • G03G9/081Preparation methods by mixing the toner components in a liquefied state; melt kneading; reactive m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21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parame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4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55Polyes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75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G03G9/08782Wax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5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properties, e.g. acidity, molecular weight, sensitivity to react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적어도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토너가 제공되며, 이 토너는 FT-IR를 사용하여 ATR법에 따라 측정될 때에 피크비(W/R)가 0.20 내지 0.70이고, W/R은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비스페놀 A 골격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카르보닐기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비율이며, 토너의 THF 가용 성분의 GPC에 의해 구해지는, 토너의 분자량 분포는 1,000 내지 10,000의 범위에서 메인 피크를 갖고, 분자량 분포의 반치폭은 분자량 20,000 이하이며, 토너 중의 THF 불용 성분의 함량은 5질량% 내지 40질량%이다.

Description

토너,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토너 저장 유닛{TONER,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TONER STORED UNIT}
본 발명은 전자사진, 정전 기록, 정전 인쇄 등에 이용되는 토너,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토너 저장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의(electrophotographic) 복사기 및 프린터에 사용되고 있는 토너는 바인더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착색제, 이형제, 대전 제어제 등의 복수의 물질을 함유한 혼합물이다. 원하는 입경을 갖는 분쇄 토너는 이들 원재료를 용융 혼련하고, 그 결과로 형성된 용융 혼련물을 분쇄 및 분급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토너를 구성하는 원재료 가운데, 바인더 수지의 비율은 통상 80질량% 내지 90질량%이며, 이는 토너의 대부분 성분을 차지한다.
최근, 복사기의 소비 전력 저감 및 환경 부하 저감의 관점에서 토너의 바인더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저온의 정착 온도에서도 토너를 용이하게 정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토너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모노머 내에 비스페놀 A 골격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저온 정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우수한 광택도를 부여하는 멜트성(melting property)이 샤프하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특히 풀컬러(full-color) 토너용에 적합하다. 그러나, 비스페놀 A 골격은 토너 제조 시에 폴리에스테르의 분쇄성을 불량하게 한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토너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저온 정착성은 우수하지만, 고속 기계 분야에서 흔히 있는 일로 복사기로부터 연속으로 배출되는 인쇄 용지가 대량으로 쌓이는 경우에, 토너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종종 인쇄 용지가 서로 달라붙게 되는 소위 복사 블로킹(copy blocking)을 일으킨다. 따라서, 내블로킹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주요 과제이다.
그래서, 저온 정착성과 분쇄성의 양립을 도모하기 위해 수지 중의 비스페놀 A 골격을 저감시킨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알코올 성분과 카르복실산 성분을 축중합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되는 토너용 수지 및 토너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 카르복실산 성분의 80몰% 내지 100몰%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이들의 저급 알킬(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4) 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알코올 성분의 20몰% 내지 100몰%가 지방족 디올(해당 지방족 디올의 85몰% 내지 100몰%가 1,2-프로필렌 글리콜임)이며, 알코올 성분과 카르복실산 성분의 총량 중 0.1몰% 내지 20몰%가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 및 3가 이상의 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하나이다.
특허문헌 1의 발명은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골격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알코올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저온 정착성(low-temperature fixability)과 분쇄성(pulveriz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비스페놀 A 골격을 저감시킨 결과로, 이 방법에서는 토너가 현상기 등에서 교반될 때의 스트레스에 의해 열화될 수 있어 내스트레스성(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또 토너가 광전도체(photoconductor) 등의 부재를 오염시킬 수 있어 내필밍성(filming resistance)도 떨어질 수 있다. 즉, 이 방법은 정착성과 분쇄성을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내스트레스성, 내필밍성, 및 내블로킹성(blocking resistance)을 만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하다.
일본 특허 (JP-B) 제51386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내구성이 우수한 토너를 제공하는 것.
저온 정착성,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 내복사블로킹성(copy blocking resistance)이 우수하면서, 또한 내필밍성도 우수하고, 비용도 낮은 토너를 제공하는 것.
본 발명자들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적어도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FT-IR(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분석 측정 장치,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ic analytical measuring instrument)를 사용하여 ATR(Attenuated Total Reflection)법(전반사법)에 따라 측정될 때에 피크비(W/R)가 0.20 내지 0.70인 토너가, 저온 정착성,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 내복사블로킹성, 내구성, 내필밍성이 우수한 토너라는 결과의 본 발명을 완성시켰으며, 여기서 피크비(W/R)는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비스페놀 A 골격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카르보닐기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비율이다.
즉, 본 발명의 토너는 이하에 기재하는 토너이다. 토너는 적어도 바인더 수지를 함유한다. 토너는 FT-IR를 사용하여 ATR법에 따라 측정될 때에 피크비(W/R)가 0.20 내지 0.70이며, 여기서 피크비(W/R)는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비스페놀 A 골격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카르보닐기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비율이다. 또한 토너 중의 THF(테트라히드로푸란, tetrahydrofuran) 가용 성분의 GPC에 의해 구해지는 토너의 분자량 분포는 1,000 내지 10,000의 범위에서 메인 피크를 갖는다. 분자량 분포의 반치폭은 분자량 20,000 이하이다. 토너 중의 THF 불용 성분의 함량은 5질량% 내지 40질량%이다.
본 발명의 토너는 내구성, 저온 정착성,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 내복사블로킹성, 및 내필밍성이 우수하며, 또한, 저비용이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FT-IR"는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분석 측정 장치(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ic analytical measuring instrument)"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ATR법"은 "전반사법(total reflection method)"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토너는 적어도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FT-IR를 사용하여 ATR법에 따라 측정될 때에 피크비(W/R)가 0.20 내지 0.70이며, 여기서 피크비(W/R)는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비스페놀 A 골격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카르보닐기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비율이다. 또한 토너 중의 THF 가용 성분의 GPC에 의해 구해지는 토너의 분자량 분포는 1,000 내지 10,000의 범위에서 메인 피크를 갖는다. 분자량 분포의 반치폭은 분자량 20,000 이하이다. 토너 중의 THF 불용 성분의 함량은 5질량% 내지 40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GPC"는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토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적어도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원재료가 미리 정해진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이 용융 혼련된 다음에, 얻어진 용융 혼련물이 분쇄 및 분급되어 토너가 얻어진다.
이 토너는 FT-IR를 사용하여 ATR법으로 측정될 때에 피크비(W/R)가 0.20 내지 0.70이어야 하고, 여기서 피크비(W/R)는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비스페놀 A 골격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카르보닐기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비율이다.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피크비(W/R)는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6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6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55이다. W/R 값이 0.20 미만이면, 내필밍성과 내구성이 불량하다. W/R 값이 0.70보다 크면,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과 내블로킹성이 불량하다. W/R 값이 0.20 내지 0.70의 범위에 있으면, 저온 정착성과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이 우수하고, 내복사블로킹성, 내구성, 및 내필밍성과 동시에 만족될 수 있다.
또한, 토너는 FT-IR를 사용하여 적외 분광법(KBr 정제법)에 따라 측정될 때에 피크비(W'/R')가 0.06 내지 0.7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60, 특히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45이며, 여기서 피크비(W'/R')는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비율이다. W'/R' 값이 0.06 이상이면, 내필밍성과 내구성이 양호하다. W'/R' 값이 0.70 이하이면, 분쇄성과 내복사블로킹이 우수하다.
FT-IR를 사용하여 적외 분광법(KBr 정제법)에 따라 토너를 측정할 때에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피크비(W/R)와, FT-IR를 사용하여 적외 분광법(KBr 정제법)에 따라 토너를 측정할 때에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토너의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피크비(W'/R') 사이에는 W'/R'≤W/R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R'≤W/R의 관계가 성립될 때에, 내스트레스성, 내필밍성, 및 저온 정착성이 특히 우수하고, 분쇄성과 내블로킹성은 양호하며, 이들 복수의 특성이 고레벨로 만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크비(W/R) 대 피크비(W'/R')의 비(W/R)/(W'/R')는 1.0 내지 2.0이다.
FT-IR 스펙트럼 값은 "THERMO NICOLET NEXUS 470(Thermo Fisher Scientific사 제조)"를 사용하여 ATR법(전반사법), 적외 분광법(KBr 정제법)에 따라 측정된 값이다.
토너에 함유된 THF 가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은 20몰% 내지 100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내지 80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내지 50몰%이다. 또한, 토너에 함유된 THF 불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은 0몰% 내지 80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몰% 내지 50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몰% 내지 40몰%이다. 토너에 함유된 THF 가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이 토너에 함유된 THF 불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가 만족될 때에, 내구성, 내필밍성, 및 저온 정착성이 특히 우수하고, 분쇄성과 내블로킹성도 양호하며, 이들 복수의 특성이 고레벨로 만족될 수 있다.
THF 가용 성분 및 THF 불용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은, 이들 THF 가용 성분과 THF 불용 성분을 중수소화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1H-NMR(JNM-ECX, JEOL사 제조)에 따른 각종 알코올 모노머 및 산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피크를 구한 다음, 피크 면적비를 산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토너는 적어도 바인더 수지를 함유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저온 정착성,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는 바인더 수지로서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외의 수지도 이들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단독으로 또는 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알코올과 카르복실산의 축중합에 의해서 얻어진다. 알코올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 1,4-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및 비스페놀 A 등의 에테르화 비스페놀, 기타 2가 알코올 모노머, 및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 모너머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비스페놀 A 등의 에테르화 비스페놀와 같은 방향족 디올과, 탄소수 2 내지 6의 지방족 디올 둘 다가 알코올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족 디올의 적어도 일부는 에틸렌 글리콜 또는 1,2-프로필렌 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 성분 중의 탄소수 2 내지 6의 지방족 디올의 함량은 5몰% 내지 9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몰% 내지 90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몰% 내지 85몰%이다. 알코올 성분 중의 탄소수 2 내지 6의 지방족 디올의 함량이 5몰% 미만이면, 내구성과 내필밍성이 불량하다. 알코올 성분 중의 탄소수 2 내지 6의 지방족 디올의 함량이 90몰%보다 많으면,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과 내복사블로킹성이 불량하다. 알코올 성분 중의 탄소수 2 내지 6의 지방족 디올 성분 이외의 나머지는 방향족 디올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산 성분의 예는 2가의 유기산 모노머 및 3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 모노머를 포함한다.
2가의 유기산 모노머의 예는,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호박산, 및 말론산을 포함한다.
3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 모노머의 예는, 1,2,4-벤젠 트리카르복실산, 1,2,5-벤젠 트리카르복실산, 1,2,4-시클로헥산 트리카르복실산, 1,2,4-나프탈렌 트리카르복실산, 1,2,5-헥산 트리카르복실산, 1,3-디카르복실-2-메틸렌 카르복시 프로판, 및 1,2,7,8-옥탄 테트라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토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함유할 수 있다.
통상, 토너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이하, "H체(body)"라고도 함)와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이하, "L체"라고도 함)를 조합하여 사용될 때에, 정착성 등의 원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THF 불용 성분(insoluble component)은 H체에서 유래되고, THF 가용 성분(soluble component)은 L체와 일부 H체에서 유래된다.
H체는 내핫오프셋성(hot offset resistance)과 내구성의 관점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알코올 성분으로서 탄소수 2 내지 6의 지방족 디올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체의 알코올 성분 중의 지방족 디올의 함량은 20몰% 내지 10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몰% 내지 100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몰% 내지 100몰%이다. L체는 저온 정착성과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의 관점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L체의 알코올 성분으로서 방향족 디올 성분과 함께 탄소수 2 내지 6의 지방족 디올이 함유될 수도 있다. 알코올 성분 중의 지방족 디올의 함량은 0몰% 내지 8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내지 80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몰%∼80몰%이다.
H체와 L체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H체에 더 많은 지방족 디올 성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럼으로써, 내구성과 내필밍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저온 정착성,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 내복사블로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토너 제조 시의 분쇄 중에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L체)이 깨지기 쉬워서, 토너의 계면인 토너 표면에 나오기 쉬워질 수 있으며, 또 이러한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L체)에 지방족 디올 성분의 함량이 적으면, 즉 방향족 디올 성분의 함량이 많으면, 내구성, 내필밍성, 및 저온 정착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고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H체)에 지방족 디올 성분의 함량이 많으면,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과 내블로킹성이 양호해진다. 이러한 요인들로 이들 복수의 특성을 고레벨로 만족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W/R 값은 주로 L체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의 함량에 관한 값이다. L체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의 양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W/R 값을 표시하는 토너를 실현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열보존성의 관점에서, 통상 45℃ 내지 75℃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0℃이다.
토너의 THF 가용 성분의 GPC에 의해 얻어지는 토너의 분자량 분포는 1,000 내지 10,000의 범위에서 메인 피크를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의 범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8,000의 범위이다. 이 분포의 반치폭은 분자량 2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값이 전술한 범위에 있다면, 저온 정착성이 우수한 토너를 얻을 수 있다.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는 후술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40℃의 히트 챔버(heat chamber) 속에서 컬럼을 안정시키고, 이 온도에서 컬럼에, 용매로서 THF를 1 mL/분(min)의 유속으로 흐르게 하고, 0.05질량% 내지 0.6질량%의 샘플 농도로 조제된 수지의 THF 샘플 용액을 50 μL 내지 200 μL의 양으로 주입하여 측정을 행한다. 샘플(토너)의 분자량 측정에 있어서, 샘플의 분자량 분포는 여러 종류의 단분산 폴리스티렌 표준 샘플에 기초하여 작성된 검량선(calibration curve)의 대수값과 카운트값 사이의 관계로부터 산출된다. 검량선 작성용의 표준 폴리스티렌 샘플로서는, 예컨대 Pressure Chemica사 또는 Tosoh사 제조의 분자량 6×102, 2.1×103, 4×103, 1.75×104, 5.1×104, 1.1×105, 3.9×105, 8.6×105, 2×106, 및 4.48×106의 샘플을 사용하고, 적어도 약 10개의 표준 폴리스티렌 샘플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이다. 또한, 검출기로는 RI(굴절율) 검출기가 사용된다.
토너는 THF 불용 성분을 5질량% 내지 40질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내지 35질량%이다. THF 불용 성분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내에 있다면, 내핫오프셋성을 갖고 내스트레스성이 우수한 토너를 얻을 수 있다.
토너의 THF 불용 성분의 GPC에 의해 구해지는 분자량 분포의 반치폭은 후술하는 방식으로 얻어진다.
분자량을 횡축에 표시하고 종축에 농도(질량비)를 임의의 높이로 표시한다. 메인 피크의 피크 탑 높이(peak top height)의 50% 높이에서의 메인 피크의 횡축 폭(분자량)이 반치폭이다.
메인 피크의 스커트부(skirt) 등에 상이한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스커트부에 있는 피크도 포함시킨 분자량에 기초하여 반치폭이 산출된다. 또한, 메인 피크의 피크 탑 높이의 50% 높이에서 횡축 상에 메인 피크 이외의 다른 피크가 있는 경우에는, 그 횡축과 각 피크와의 교점이 가리키는 분자량 중 가장 높은 분자량과 가장 낮은 분자량 사이의 차이가 반치폭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외의 사용 가능한 수지의 예는, 폴리스티렌, 클로로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스티렌/클로로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염화비닐 공중합체, 스티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예컨대, 스티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옥틸 공중합체, 및 스티렌/아크릴산 페닐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예컨대,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및 스티렌/메타크릴산페닐 공중합체), 스티렌/α-클로로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스티렌 또는 스티렌 치환체를 함유한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염화비닐 수지; 스티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로진-개질된 말레산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이오노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케톤 수지;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자일렌 수지;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등; 석유계 수지; 및 수소화 석유계 수지를 포함한다.
이들 수지 중 하나가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이 조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들 수지의 제조 방법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괴상 중합, 용액 중합, 유화 중합, 및 현탁 중합 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도 열보존성의 관점에서,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너에 사용되는 이형제로서는 공지된 모든 이형제 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탈유리 지방산형 카나우바 왁스, 몬탄 왁스 및 산화 라이스 왁스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카나우바 왁스는 미정질이고, 산가가 5 이하이며,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될 때 1 ㎛ 이하의 입경을 갖는다. 몬탄 왁스는 일반적으로 광물질로부터 정제된 몬탄 왁스를 말하며, 바람직한 몬탄 왁스는 카나우바 왁스와 같이 미정질이며, 산가가 5 내지 14이다. 산화 라이스 왁스는 공중 산화된 쌀겨 왁스이며, 바람직하게는 산화 라이스 왁스의 산가는 10 내지 30이다. 또한, 혼합될 수 있는 사용 가능한 이형제의 다른 예는 고형 실리콘 바니시,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몬탄계 에스테르 왁스, 및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의 종래에 공지된 모든 이형제를 포함한다. 이들 이형제의 사용량은 토너의 수지 성분에 대하여 1질량부 내지 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3질량부 내지 10질량부이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토너 성분으로서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의 예로서는, 카본 블랙, 램프 블랙, 아이언 블랙, 아닐린 블루,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한자 옐로우 G, 로다민 6C 레이크, 칼토 오일 블루, 크롬 옐로우, 퀴나크리돈, 벤지딘 옐로우, 로즈 벵갈, 및 트리알릴 메탄계 염료 등의 염안료 등의, 종래 공지된 염안료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블랙 토너로서도 풀컬러 토너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의 사용량은 토너 수지 성분에 대하여, 통상 1질량% 내지 30질량%, 바람직하게는 3질량% 내지 20질량%이다.
본 발명의 토너는 필요에 따라 대전 제어제, 유동성 개량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대전 제어제의 예로서는, 니그로신 염료, 금속 착염형 염료, 및 제4급 암모늄염 등의 종래 공지된 모든 대전 제어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대전 제어제의 사용량은 토너의 수지 성분에 대하여, 0.1질량부 내지 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내지 5질량부이다. 특히, 살리실산 금속 착체, 특히 6배위의 구성을 취할 수 있는 3가 이상의 금속을 함유한 착체가 전술한 이유로 바람직하다. 3가 이상의 금속의 예는, Al, Fe, Cr, 및 Zr를 포함한다. 유동성 개량제의 예로서는, 산화규소, 산화티타늄, 탄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및 티타늄산 바륨 등의, 종래 공지된 모든 유동성 개량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동성 개량제의 사용량은 토너 질량에 대하여, 0.1질량부 내지 5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내지 2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토너는 자성체를 함유한 자성 토너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토너에 함유될 수 있는 자성 재료의 예는, 마그네타이트, 적철광, 및 페라이트 등의 산화철, 철, 코발트, 및 니켈 같은 금속 또는 이들 금속과, 알루미늄, 코발트, 구리, 납, 마그네슘, 주석, 아연, 안티몬, 베릴륨, 비스무트, 카드뮴, 칼슘, 망간, 셀레늄, 티탄, 텅스텐, 바나듐의 합금,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마그네타이트가 자기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자성체는 평균 입경이 0.1 ㎛ 내지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에 함유되는 이들 자성체의 양은 수지 성분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약 15질량부 내지 200질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지 성분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 내지 100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토너는 1성분 현상제(one-component developer)와 2성분 현상제(two-component developer) 둘 다로서, 캐리어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토너를 2성분 현상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캐리어는 공지된 모든 캐리어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의 예는 철 분말(iron powder), 페라이트 분말, 및 니켈 분말 등의 자성 분말, 글래스 비드, 및 수지 등으로 표면 처리된 글래스 비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캐리어가 코팅될 수 있는 수지 분말의 예는,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실리콘 수지, 말레산 수지, 불소계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는 30질량% 내지 90질량% 양의 스티렌분(styrene moiety)을 함유한다. 이 범위는 다음의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스티렌분이 30질량% 미만이면, 현상성(developability)이 불량하다. 스티렌분이 90질량%를 넘으면, 코팅막이 딱딱하고 쉽게 박리되어 캐리어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본 발명의 캐리어의 수지 코팅은 전술한 수지 외에도, 접착부여제(tackifier), 경화제, 윤활제, 도전재, 대전 제어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토너를 1성분 현상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토너를 2성분 현상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라도, 토너는 용기(container)에 충전되고, 토너가 충전된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와는 별도로 유통되며, 사용자는 화상 형성을 위해 토너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한다. 사용되는 용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종래의 보틀형 또는 카트리지형에 제한되지 않는 어떤 용기라도 사용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법으로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복사기와 프린터기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정전 잠상 담지체(electrostatic latent image bearer), 대전 유닛, 정전 잠상 형성 유닛, 현상 유닛, 전사 유닛, 및 장착 유닛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기타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방법은 적어도, 정전 잠상 형성 단계, 현상 단계, 전사 단계, 및 정착 단계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기타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정전 잠상 담지체>
정전 잠상 담지체의 재질, 구조, 크기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정전 잠상 담지체 중에서 임의의 정전 잠상 담지체가 선택될 수도 있다. 재질에 있어서, 정전 잠상 담지체의 예는 비정질 실리콘, 셀레늄 등으로 이루어진 무기 감광체, 폴리실란, 프탈로폴리메틴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 감광체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비정질 실리콘이 수명이 길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정전 잠상 형성 유닛 및 정전 잠상 형성 단계>
정전 잠상 형성 유닛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정전 잠상 형성 유닛이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정전 잠상 형성 유닛이 선택될 수 있다. 정전 잠상 형성 유닛의 예는, 적어도, 정전 잠상 담지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도록 구성된 대전 유닛과, 정전 잠상 담지체의 표면을 화상 양식으로 노광하도록 구성된 노광 부재를 포함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정전 잠상 형성 단계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정전 잠상 형성 단계가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단계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정전 잠상 형성 단계가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정전 잠상 형성 단계는 정전 잠상 담지체의 표면을 대전시킨 다음에, 정전 잠상 담지체의 표면을 화상 양식으로 노광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고, 정전 잠상 형성 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전 유닛 및 대전>>
대전 유닛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임의의 대전 유닛이 선택될 수 있다. 대전 유닛의 예는,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롤러, 브러시, 필름, 고무 블레이드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접촉식 대전기, 및 코로트론(corotron), 스코로트론(scorotron) 등의,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비접촉식 대전기를 포함한다.
대전은, 예컨대, 대전 유닛을 이용하여 정전 잠상 담지체의 표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대전 유닛은 롤러, 자기 브러시, 및 퍼 브러시(fur brush) 등의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의 사양 및 형태에 따라 대전 유닛의 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대전 유닛은 접촉식 대전 유닛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대전 유닛으로부터의 오존 방출이 저감된 화상 형성 장치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식 대전 유닛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광 부재 및 노광>>
노광 부재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노광 부재가 대전 유닛에 의해 대전된 정전 잠상 담지체의 표면을 원하는 화상대로 화상 양식으로 노광할 수 있다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노광 부재가 선택될 수 있다. 노광 부재의 예는, 복사 광학 시스템, 로드 렌즈(rod lens) 어레이 시스템, 레이저 광학 시스템, 및 액정 셔터 광학 시스템계 등의 각종 노광 부재를 포함한다.
노광 부재에 이용되는 광원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임의의 광원이 선택될 수 있다. 광원의 예는, 형광 램프, 텅스텐 램프, 할로겐 램프,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sodium-vapor lamp), 발광 다이오드(LED), 반도체 레이저(LD), 및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발광물 전반을 포함한다.
원하는 파장 영역의 광만 조사하기 위해서, 샤프 컷 필터, 밴드패스 필터, 근적외 컷 필터, 다이크로익 필터, 간섭 필터, 및 컬러 변환 필터 등의 각종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노광은 노광 부재를 이용하여 정전 잠상 담지체의 표면을 화상 양식으로 노광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전 잠상 담지체의 이면측에서 화상 양식으로 정전 잠상 담지체의 노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광배면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현상 유닛 및 현상 단계>
현상 유닛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현상 유닛이 토너를 포함하고,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가시상인 토너상(toner image)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현상 유닛이 선택될 수 있다.
현상 단계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현상 단계가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를 이용하여 현상하여 가시상인 토너상을 형성하는 단계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현상 단계가 선택될 수 있다. 현상 단계는 예컨대 현상 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현상 유닛으로서는, 토너를 마찰 교번하여 토너를 대전시키도록 구성된 교번기와, 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가 바람직하며, 현상체 담지체는 내부 고정된 자계 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표면에 토너를 함유한 현상제를 담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현상제>>
본 발명의 현상제는 적어도 토너를 함유하며, 필요에 따라 캐리어 등의 적절하게 선택된 기타 성분을 더 포함한다.
최근의 정보 처리 속도의 향상에 대응한 고속 프린터 등에 사용하도록, 장기 수명의 관점에서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가 바람직하다.
<<캐리어>>
캐리어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임의의 캐리어가 선택될 수 있다. 캐리어의 바람직한 예는, 코어 재료와, 코어 재료를 피복하는 수지층으로 구성되는 캐리어를 포함한다.
코어 재료의 재질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임의의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재질의 예는, 50 emu/g 내지 90 emu/g의 망간-스트론튬계 재료, 50 emu/g 내지 90 emu/g의 망간-마그네슘계 재료를 포함한다. 화상 농도(image density)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100 emu/g 이상의 철 분말, 75 emu/g 내지 120 emu/g의 마그네타이트 등의 고자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0 emu/g 내지 80 emu/g의 구리-아연계 재료 등의 저자화 재료는, 이러한 재료가 체인형 형태의 현상제의 감광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고화상 품질에 유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재료의 체적 평균 입경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체적 평균 입경은 10 ㎛ 내지 150 ㎛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40 ㎛ 내지 100 ㎛이다. 체적 평균 입경이 10 ㎛ 미만이면, 캐리어는 다수의 미분을 함유하여 입자당 자화가 불량해져 캐리어를 비산시킬 수 있다. 체적 평균 입경이 150 ㎛보다 크면, 캐리어는 비표면적이 작아서 토너가 비산하고, 특히 고형분이 큰 풀컬러 화상에서, 고형분의 재현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토너를 2성분 현상제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토너를 캐리어와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2성분 현상제 중의 캐리어의 함량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함량은 2성분 현상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90질량부 내지 98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93질량부 내지 97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현상제는 자성 1성분 현상 방법, 비자성 1성분 현상 방법, 및 2성분 현상 방법 등의 공지된 각종의 전자사진법에 의한 화상 형성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현상 유닛 내에서, 예컨대, 토너와 캐리어가 혼합 및 교반되어, 그 때의 마찰에 의해 토너가 대전되고, 회전하는 마그넷 롤러의 표면에 체인형 형태로 유지되어 자기 브러시를 형성한다. 마그넷 롤러는 정전 잠상 담지체 근방에 배치된다. 그래서, 마그넷 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자기 브러시를 구성하는 토너는 일부가 전기적인 흡인력에 의해서 정전 잠상 담지체의 표면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정전 잠상이 토너에 의해 현상되고, 토너의 가시상이 정전 잠상 담지체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전사 유닛 및 전사 단계>
전사 유닛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전사 유닛이 가시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도록 구성되는 유닛이라면,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전사 유닛은 가시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여 복합 전사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1 전사 유닛과, 복합 전사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도록 구성된 제2 전사 유닛을 포함한다.
전사 단계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전사 단계가 가시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단계라면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전사 단계는 중간 전사체의 이용을 수반하여, 가시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하는 제1 전사를 수행한 다음, 가시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제2 전사를 수행한다.
전사 단계는 전사 대전기를 이용하여 감광체를 통해 가시상을 대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전사 유닛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기록 매체에 이차 전사되는 화상이 복수 컬러의 토너로 이루어지는 컬러 화상인 경우에, 전사 유닛은 중간 전사체 위에 각 컬러의 토너를 순차 중합시켜 중간 전사체 위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중간 전사체는 그 중간 전사체 위의 화상을 기록 매체에 일괄로 이차 전사할 수 있다.
중간 전사체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으로 따라서 공지된 전사체 중에서 임의의 중간 전사체가 선택될 수 있다. 중간 전사체의 바람직한 예는 전사 벨트를 포함한다.
전사체(제1 전사체 및 제2 전사체)는 감광체 위에 형성된 가시상을, 그 가시상이 기록 매체에 박리되는 방식으로 대전시키도록 구성된 전사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기의 예는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코로나 전사기, 전사 벨트, 전사 롤러, 압력 전사 롤러, 및 점착 전사기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는 통상 보통지(regular paper)이지만, 기록 매체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기록 매체가 현상된 미정착상(developed unfixed image)이 전사될 수 있는 기록 매체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기록 매체가 선택될 수 있다. OHP용의 PET 베이스 등도 기록 매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정착 유닛 및 정착 단계>
정착 유닛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정착 유닛이 기록 매체에 전사된 전사상(transferred image)을 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유닛이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정착 유닛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공지된 가열 가압 부재가 바람직하다. 가열 가압 부재의 예는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의 조합,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와 무단 벨트의 조합을 포함한다.
정착 단계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정착 단계가 기록 매체에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키는 공정이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정착 단계가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정착 단계는 토너가 기록 매체에 전사될 때 각 컬러의 토너에 대해 수행될 수 있거나, 중첩된 상태로 각 컬러의 모든 토너에 대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정착 단계는 정착 유닛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통상, 가열 가압 부재에 의한 가열은 통상, 80℃ 내지 20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목적에 따라서, 정착 유닛과 같이 또는 그 대신에, 공지된 광정착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정착 단계에서의 면압(contact pressure)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런데, 면압은 10 N/㎠ 내지 80 N/㎠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유닛 및 기타 단계>
기타 유닛의 예는 클리닝 유닛, 제전 유닛, 리사이클링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기타 단계의 예는 클리닝 단계, 제전 단계, 리사이클링 단계, 및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클리닝 유닛 및 클리닝 단계>>
클리닝 유닛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클리닝 유닛이 감광체 위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할 수 있는 유닛이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클리닝 유닛이 선택될 수 있다. 클리닝 유닛의 예는 자기 브러시 클리너, 정전 브러시 클리너, 자기 롤러 클리너, 블레이드 클리너, 브러시 클리너, 및 웹 클리너를 포함한다.
클리닝 단계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클리닝 단계가 감광체 위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할 수 있는 단계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클리닝 단계가 선택될 수 있다. 클리닝 단계는 예컨대 클리닝 유닛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제전 유닛 및 제전 단계>>
제전 유닛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제전 유닛이 감광체에 제전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감광체로부터 전하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유닛이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제전 유닛이 선택될 수 있다. 제전 유닛의 예는 제전 램프를 포함한다.
제전 단계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제전 단계가 감광체에 제전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감광체로부터 전하를 제거하는 단계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제전 단계가 선택될 수 있다. 제전 단계는 예컨대 제전 유닛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리사이클링 유닛 및 리사이클링 단계>>
리사이클링 유닛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리사이클링 유닛이 클리닝 단계에서 제거된 토너를 현상기로 리사이클하도록 구성되는 유닛이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리사이클링 유닛이 선택될 수 있다. 리사이클링 유닛의 예는 공지된 반송 유닛을 포함한다.
리사이클 단계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리사이클 단계가 클리닝 단계에서 제거된 토너를 현상기로 리사이클하는 단계라면, 목적에 따라 임의의 리사이클링 단계가 선택될 수 있다. 리사이클링 단계는 예컨대 리사이클링 유닛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일 양태에 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프린터이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1)는 복사기, 팩시밀리기, 복합기 등의,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1)는 급지부(210), 반송부(220), 화상 형성부(230), 전사부(240), 및 정착기(250)를 포함한다.
급지부(210)는 급지되는 용지(P)가 적재되는 급지 카세트(211)와, 급지 카세트(211)에 적재된 용지(P)를 한 장씩 급지하도록 구성된 급지 롤러(212)를 포함한다.
반송부(220)는 급지 롤러(212)에 의해 급지된 용지(P)를 전사부(240)쪽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롤러(221)와, 롤러(221)에 의해 반송된 용지(P)의 선단부를 끼워서 대기하며, 끼워진 용지를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전사부(240)에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타이밍 롤러(222)와, 컬러 토너상이 정착된 용지(P)를 배지 트레이(224)에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지 롤러(223)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230)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도면에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순서로, 옐로우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유닛(180Y)과, 시안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유닛(180C)과, 마젠타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유닛(180M)과, 블랙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유닛(180K)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유닛(Y, C, M, K) 중 임의의 화상 형성 유닛을 언급할 경우에, 그 화상 형성 유닛을 화상 형성 유닛이라고 한다.
또한, 현상제는 토너와 캐리어를 함유한다.
4개의 화상 형성 유닛(Y, C, M, K)은 사용되는 현상제만 서로 다를 뿐, 실질적으로 기계적인 구성은 서로 동일하다.
전사부(240)는 구동 롤러(241) 및 종동 롤러(242)와, 구동 롤러(241)의 구동을 따라 도면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중간 전사 벨트(243)와, 중간 전사 벨트(243)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 드럼(231)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1 전사 롤러(244Y, 244C, 244M, 244K)와, 토너상이 용지에 전사되는 위치에서 중간 전사 벨트(24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카운터 롤러(245) 및 제2 전사 롤러(246)를 포함한다.
정착기(250)는 내부 히터를 포함하며 용지(P)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정착 벨트(251)와, 정착 벨트(25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가압함으로써 정착 벨트(251)와 니프(nip)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롤러(25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용지(P) 위의 컬러 토너상에 열과 압력이 인가되어 용지(P)에 컬러 토너상이 정착된다. 컬러 토너상이 정착되는 용지(P)는 배지 롤러(223)에 의해 배지 트레이(224)에 배출된다. 이런 식으로, 일련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완료한다.
(토너 저장 유닛)
본 발명의 토너 저장 유닛은 토너 저장 기능이 있고 토너를 저장한 유닛을 말한다. 토너 저장 유닛이 취할 수 형태의 예는 토너 저장 용기, 현상기,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토너 저장 용기는 토너를 저장한 용기를 말한다.
현상기는 토너를 저장한 유닛을 포함하며 그 토너를 이용해서 화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말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화상 담지체와 현상 유닛을 통합 형태로 포함하고, 토너를 저장하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를 말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유닛, 노광 유닛, 및 클리닝 유닛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토너 저장 유닛이 부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화상 형성은 본 발명의 토너로 내구성, 저온 정착성,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 내복사블로킹, 및 내필밍성이 우수한 화상 형성을 유도한다. 이것은 저비용으로 양호한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착탈 가능한 형태로 성형되어 있고, 적어도, 정전 잠상을 담지하도록 구성된 정전 잠상 담지체와,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담지된 정전 잠상을 본 발명의 현상제로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현상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필요에 따라 기타 유닛도 포함할 수 있다.
현상 유닛은 적어도, 본 발명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용기와, 현상제 용기 내에 저장된 현상제를 담지하고 반송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한다. 현상 유닛은 담지된 현상제의 두께를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례를 도시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10)는 감광체 드럼(10), 코로나 대전기(58), 현상기(40), 전사 롤러(80), 및 클리닝 장치(90)를 포함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에 실시예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수지에 대해서는 표 1-1, 표 1-2, 및 표 2에, 특성 평가 방법에 대해서는 표 3에 나타낸다.
이하의 기재에서는, 다르게 명기하지 않는 한, 부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각 실시예에서 제작된 토너의 특성 평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방법)
<1> 저온 정착성
정착 롤러로서 테플론(등록 상표) 롤러를 포함하는 Ricoh Company사 제조의 복사기(MF2200)의 정착 유닛을 개조하여 얻은 장치 내에, Ricoh Company사 제조의 TYPE 6200 용지를 세팅하여 복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정착 온도를 변화시켜 토너의 콜드 오프셋 온도(정착 하한 온도)를 구하였다. 종래의 저온 정착 토너의 정착 하한 온도는 약 140℃ 내지 150℃이다.
저온 정착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은 용지 급지 선속도 120 mm/sec 내지 150 mm/sec, 면압 1.2 kgf/㎠, 니프폭 3 mm를 포함한다. 고온 오프셋을 평가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은 급지 선속도 50 mm/sec, 면압 2.0 kgf/㎠, 니프폭 4.5 mm를 포함한다. 특성 평가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가 기준)
A: 130℃ 이상 140℃ 미만
B: 140℃ 이상 150℃ 미만
C: 150℃ 이상 160℃ 미만
D: 160℃ 이상
<2> 내필밍성(Filming Resistance)
Ricoh Company사 제조의 복사기(MP9001)를 이용하여, 100장의 용지에 연속 인쇄를 50회 반복하여 전자사진 감광체에 토너의 필밍을 발생시켰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내필밍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필밍이 발생하지 않음
B: 약한 필밍 발생
C: 필밍이 수군데 발생
D: 필밍이 다량 발생
<4> 내구성
Ricoh Company사 제조의 복사기(MP9001)를 이용하여, 300,000장의 용지를 연속으로 인쇄하였다. 인쇄 중에 토너에 정전기 축적(static buildup)의 저하로 인한 화상 비산 상태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가 기준)
A: 정전기 축적이 저하하지 않고 화상 비산도 발생하지 않는다.
B: 정진기 축적이 1 μC/g 이상 10 μC/g 미만 저하하지만 화상 비산은 발생하지 않는다.
C: 정전기 축적이 10 μC/g 이상 20 μC/g 미만 저하하고, 화상 비산도 발생한다.
D: 정전기 축적이 20 μC/g 이상 저하하고, 화상 비산도 발생한다.
<4> 내화상블로킹성
백지와 테스트 차트(흑색 솔리드 화상부와 윤곽 화상부가 교대로 인쇄된 것)를 교대로 5장 중첩해서, 압력을 가해 75℃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1시간 동안 자연 냉각하였다. 그 후에, 백지에 전사된 부분에서 ID를 측정하여, ΔID가 높은 토너는 내블로킹성이 불량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가 기준)
A: 0.001 미만
B: 0.001 이상 0.008 미만
C: 0.008 이상 0.01 미만
D: 0.01 이상
<5> 분쇄성(pulverizability)
토너의 거친 분쇄물(스크린 메쉬 1.5 mm)을 기계식 분쇄기(터보 밀 T250)로 9,800 rpm에서 분쇄했을 때의 체적 평균 입경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가 기준)
A: 6.5 ㎛ 미만
B: 6.5 ㎛ 이상 7.0 ㎛ 미만
C: 7.0 ㎛ 이상 7.5 ㎛ 미만
D: 7.5 ㎛ 이상
<6> 비용
토너의 THF 가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의 함량과, THF 불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의 함량을 더하여, 토너 전체 중의 비스페놀 A양에 기초해서 비용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가 기준)
A: 0몰% 이상 66몰% 미만
B: 66몰% 이상 140몰% 미만
C: 140몰% 이상 171몰% 미만
D: 171몰% 이상 200몰% 미만
(폴리에스테르 제조)
아래의 표 1-1, 표 1-2, 및 표 2에 나타낸 원료를, 온도계, 교반기, 커패시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이 장착된 용량 1L의 4구(口) 라운드 플라스크에 담아서 이 플라스크를 맨틀 히터에 세팅하고, 질소 가스 도입관을 통해 질소 가스를 도입해서 플라스크 내부를 불활성 분위기로 유지한 상태로 가열하였다. 계속해서 0.05 g의 디부틸 주석 옥사이드를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온도를 200℃로 유지해서 반응시킨 다음, 폴리에스테르 수지 A 내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Q를 얻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수지 A 6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J 40부
카바우나 왁스 5부
카본 블랙(#44: Mitsubishi Kasei사 제조) 10부
Zr(lV) 살리실산 화합물 1부
전술한 조성의 혼합물을 헨쉘 믹서(Henschel mixer)로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에, 롤밀로 130℃ 내지 140℃의 온도로 약 30분간 가열 용융하고,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얻어진 혼련물을 제트밀 또는 기계식 분쇄기 및 에어 분급기로 분쇄 및 분급하여 토너 베이스를 얻었다. 얻어진 토너 베이스에 소수성 실리카를 0.5질량% 첨가 혼합하여, 최종적인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B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K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C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L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D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E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N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F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L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G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O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H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D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F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L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D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L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C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N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Q로,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J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K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비교예 1>
폴리에스테르 수지 F 6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P 40부
카바우나 왁스 5부
카본 블랙(#44: Mitsubishi Kasei 제조) 10부
Zr(IV) 살리실산 화합물 1부
전술한 조성의 혼합물을 헨쉘 믹서로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에, 롤밀로 130℃ 내지 140℃의 온도로 약 30분간 가열 용융하고,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얻어진 혼련물을 제트밀 또는 기계식 분쇄기 및 에어 분급기로 분쇄 및 분급하여 토너 베이스를 얻었다. 얻어진 토너 베이스에 소수성 실리카를 0.5질량% 첨가 혼합하여, 최종적인 토너를 얻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F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I로, 비교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P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N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비교예 3>
비교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F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D로, 비교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P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비교예 4>
비교예 1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D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L로 변경한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하여 토너를 얻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조합은 표 3-1에 나타낸다.
[표 1-1]
Figure pct00001
[표 1-2]
Figure pct00002
[표 2]
Figure pct00003
[표 3-1]
Figure pct00004
[표 3-2]
Figure pct00005
(실시예 1)
실시예 1은 THF(tetrahydrofuran)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5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90몰%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실시예 1에서는 W'/R'의 값이 0.70 이상이고, 토너에 비스페놀 A 함량이 높기 때문에, C레벨의 분쇄성이 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4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50몰%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고, 모든 평가 항목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3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35몰%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실시예 3은 모든 특성을 좋은 밸런스로 충족하지만, THF 불용 성분에 지방족 디올 함량이 높기 때문에 특히 분쇄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8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20몰%인 H체 수지를 조합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실시예 4는 모든 특성을 좋은 밸런스로 충복하지만, THF 가용 성분에 방향족 디올 함량이 높아 내필밍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였으며, THF 불용 성분에 지방족 디올 함량이 높아 분쇄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10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70몰%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실시예 5는 토너 표면에 나오기 쉬운 L체인 THF 가용 성분에 방향족 디올 함량이 높아, 저온 정착성, 내필밍성, 내구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3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인 0몰%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실시예 6은 모든 특성을 좋은 밸런스로 충족하였으며, THF 불용 성분에 지방족 디올 함량이 높아서, 분쇄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6은 또한 토너 중의 비스페놀 A 함량이 낮아 내블로킹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6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55몰%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으며, 모든 평가 항목에서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8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8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75몰%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8은 THF 가용 성분에 방향족 디올 함량이 높아서 양호한 저온 정착성을 얻었지만, 토너 중의 비스페놀 A 함량이 높아서 분쇄성이 C레벨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9는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8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20몰%이고, THF 가용 성분의 Mp가 1,000이며, THF 불용 성분 함량이 5질량%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실시예 9는 THF 가용 성분의 Mp가 낮고 THF 불용 성분 함량이 낮기 때문에 양호한 분쇄성을 달성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3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0몰%이며, THF 불용 성분 함량이 40질량%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실시예 10은 토너 중의 비스페놀 A 함량이 낮기 때문에, 내블로킹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3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20몰%이고, THF 불용 성분 함량이 35질량%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실시예 11은 모든 특성을 좋은 밸런스로 충족하였고, THF 불용 성분에 포함된 지방족 디올 함량이 높아서 분쇄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였고, 또한 THF 불용 성분 함량이 35질량%이라서 내구성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2는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10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35몰%이고, THF 불용 성분 함량이 5질량%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였다. 실시예 12는 토너 표면에 나오기 쉬운 L체인 THF 가용 성분에 포함된 방향족 디올 함량이 높기 때문에, 저온 정착성, 내필밍성, 및 내구성에서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12는 THF 불용 성분 함량이 5질량%로 낮기 때문에, 분쇄성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4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40몰%이고, THF 불용 성분 함량이 25질량%인 H체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고, 모든 평가 항목에서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 수지 둘 다의 알코올 성분에 비스페놀 A가 함유되지 않는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내화상블로킹성과 분쇄성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였지만, 내필밍성과 내구성에서는 결과가 불량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 수지 둘 다의 알코올 성분에 비스페놀 A가 100몰% 함유된 수지를 조합한 결과로서, 저온 정착성, 내필밍성, 및 내구성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였지만, 내화상블로킹성과 분쇄성에서는 결과가 불량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8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20몰%이고, THF 가용 성분의 Mp가 900이며, THF 불용 성분 함량이 3질량%인 H체 수지를 조합하였다.그 결과, 비교예 3은 THF 가용 성분 메인 피크가 낮고, THF 불용 성분 함량이 낮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으며, 저온 정착성, 내필밍성, 및 내구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얻었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가용 성분인 L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30몰%인 L체 수지와, THF에 용해시켰을 때의 불용 성분인 H체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되는 비스페놀 A양이 0몰%이고, THF 가용 성분 메인 피크 반치폭이 300,000이고, THF 불용 성분 함량이 50질량%인 H체 수지를 조합했다. 그 결과, 비교예 4는 TFT 가용 성분 메인 피크 반치폭이 크고, THF 불용 성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고, 저온 정착성 및 분쇄성에서 불량한 결과를 얻었다.
이상 제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토너는 저온 정착성 및 토너 제조 시의 분쇄성이 우수하며, 또한, 내복사블로킹성, 내스트레스성 및 내필밍성도 우수한 토너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양태는 예컨대 다음과 같다.
<1> 토너에 있어서,
적어도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는,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ic analysis,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분석) 방법으로 ATR(Attenuated Total Reflection)법(전반사법)에 따라 측정될 때에 피크비(W/R)가 0.20 내지 0.70이며, 여기서 상기 피크비(W/R)는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상기 토너의 비스페놀 A 골격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상기 토너의 카르보닐기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비율이며,
상기 토너의 THF(테트라히드로푸란, tetrahydrofuran) 가용 성분의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구해지는, 상기 토너의 분자량 분포는 1,000 내지 10,000의 범위에서 메인 피크를 갖고, 상기 분자량 분포의 반치폭은 분자량 20,000 이하이며,
상기 토너 중의 THF 불용 성분의 함량은 5질량% 내지 40질량%이다.
<2> <1>에 따른 토너에 있어서,
상기 토너는, FT-IR(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분석) 방법으로 적외 분광법(KBr 정제법)에 따라 측정될 때에 피크비(W'/R')가 0.06 내지 0.70이며, 여기서 상기 피크비(W'/R')는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상기 토너의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상기 토너의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비율이다.
<3> <2>에 따른 토너에 있어서,
상기 피크비(W/R)와 상기 피크비(W'/R')는 이하의 관계,
W'/R'≤ W/R
를 만족한다.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은 비스페놀 A 성분을 포함한다.
<5> <4>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THF 가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은 20몰% 내지 100몰%이고,
상기 토너의 THF 불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은 0몰% 내지 80몰%이며,
상기 THF 가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은 상기 THF 불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보다 많다.
<6>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피크비(W/R) 대 상기 피크비(W'/R')의 비(W/R)/(W'/R')는 1.0 내지 2.0이다.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토너 중의 THF 불용 성분의 함량은 10질량% 내지 35질량%이다.
<8> 현상제에 있어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한다.
<9> 토너 저장 유닛에 있어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토너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저장 유닛은 상기 토너를 저장한 것이다.
<10>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정전 잠상 담지체와,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를 대전시키도록 구성된 대전 유닛과,
대전된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정전 잠상 형성 유닛과,
토너를 이용해서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toner image)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현상 유닛과,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도록 구성된 전사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도록 구성된 정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토너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토너이다.
<11>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정전 잠상 형성 단계와,
토너를 이용해서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하는 현상 단계와,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토너이다.
<12>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정전 잠상 담지체와,
토너를 이용해서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toner image)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현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와 상기 현상 유닛을 통합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토너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토너이다.
1: 화상 형성 장치 10: 감광체 드럼
40: 현상기 58: 코로나 대전기
80: 전사 롤러 90: 클리닝 장치
110: 프로세스 카트리지 210: 급지부
211: 급지 카세트 212: 급지 롤러
220: 반송부 221: 롤러
222: 타이밍 롤러 223: 급지 롤러
224: 배지 트레이 230: 화상 형성부
231: 감광체 드럼 233: 노광기
240: 전사부 241: 구동 롤러
242: 종동 롤러 243: 중간 전사 벨트
244Y, 244C, 244M, 244K: 제1 전사 롤러
245: 제2 카운터 롤러 246: 제2 전사 롤러
250: 정착기 251: 정착 벨트
252: 가압 롤러 P: 용지

Claims (10)

  1. 토너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는,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ic analysis,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분석) 방법으로 ATR(Attenuated Total Reflection)법(전반사법)에 따라 측정될 때에 피크비(W/R)가 0.20 내지 0.70이며, 여기서 상기 피크비(W/R)는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상기 토너의 비스페놀 A 골격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상기 토너의 카르보닐기 유래의 최대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비율이며,
    상기 토너의 THF(테트라히드로푸란, tetrahydrofuran) 가용(soluble) 성분의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구해지는, 상기 토너의 분자량 분포는 1,000 내지 10,000의 범위에서 메인 피크를 갖고, 상기 분자량 분포의 반치폭은 분자량 20,000 이하이며,
    상기 토너 중의 THF 불용(insoluble) 성분의 함량은 5질량% 내지 40질량%인 것인 토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는, FT-IR(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분석) 방법으로 적외 분광법(KBr 정제법)에 따라 측정될 때에 피크비(W'/R')가 0.06 내지 0.70이며, 여기서 상기 피크비(W'/R')는 1,480 cm-1 내지 1,520 cm-1에서 관찰되는 상기 토너의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W') 대 1,700 cm-1 내지 1,750 cm-1에서 관찰되는 상기 토너의 스펙트럼 피크의 높이(R')의 비율인 것인 토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비(W/R)와 상기 피크비(W'/R')는 이하의 관계,
    W'/R'≤ W/R
    를 만족하는 것인 토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은 비스페놀 A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토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THF 가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은 20몰% 내지 100몰%이고,
    상기 토너의 THF 불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은 0몰% 내지 80몰%이며,
    상기 THF 가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은 상기 THF 불용 알코올 성분 중의 비스페놀 A 성분의 함량보다 많은 것인 토너.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비(W/R) 대 상기 피크비(W'/R')의 비(W/R)/(W'/R')는 1.0 내지 2.0인 것인 토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THF 불용 성분의 함량은 10질량% 내지 35질량%인 것인 토너.
  8. 토너 저장 유닛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너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저장 유닛은 상기 토너를 저장한 것인 토너 저장 유닛.
  9.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정전 잠상 담지체(electrostatic latent image bearer)와,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를 대전시키도록 구성된 대전 유닛과,
    대전된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정전 잠상 형성 유닛과,
    토너를 이용해서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toner image)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현상 유닛과,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도록 구성된 전사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도록 구성된 정착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토너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너인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0.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토너를 이용해서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전 잠상 담지체 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너인 것인 화상 형성 방법.
KR1020177018645A 2014-12-19 2015-11-26 토너,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토너 저장 유닛 KR101935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6990 2014-12-19
JPJP-P-2014-256990 2014-12-19
JPJP-P-2015-147500 2015-07-27
JP2015147500 2015-07-27
JP2015223698A JP6590204B2 (ja) 2014-12-19 2015-11-16 トナー、現像剤、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トナー収容ユニット
JPJP-P-2015-223698 2015-11-16
PCT/JP2015/005884 WO2016098290A1 (en) 2014-12-19 2015-11-26 Toner,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toner stored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209A true KR20170093209A (ko) 2017-08-14
KR101935706B1 KR101935706B1 (ko) 2019-01-04

Family

ID=5795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645A KR101935706B1 (ko) 2014-12-19 2015-11-26 토너,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토너 저장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10399B2 (ko)
EP (1) EP3234697B1 (ko)
JP (1) JP6590204B2 (ko)
KR (1) KR101935706B1 (ko)
CN (1) CN1071112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2813B2 (ja) * 2015-03-13 2019-04-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トナー収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826752B2 (ja) * 2016-06-15 2021-02-1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現像剤、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トナー収容ユニット
JP6857330B2 (ja) * 2016-06-15 2021-04-1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トナー収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8180239A (ja) 2017-04-12 2018-11-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トナー収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7257741B2 (ja) 2018-01-18 2023-04-1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トナー収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7067147B2 (ja) 2018-03-12 2022-05-1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トナー収容ユニット
JP7188174B2 (ja) 2019-02-22 2022-12-1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現像剤、トナー収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印刷物の製造方法
JP2021002031A (ja) 2019-06-19 2021-01-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及び現像剤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3690A (en) 1993-03-31 1995-04-04 Ricoh Company, Ltd. Developer for developing latent electrostatic images
JP3313895B2 (ja) 1993-07-12 2002-08-12 株式会社リコー 乾式電子写真用トナー
JPH09106105A (ja) 1995-08-08 1997-04-22 Ricoh Co Ltd カラートナー
JPH1184719A (ja) 1997-07-10 1999-03-30 Ricoh Co Ltd 乾式電子写真用トナー
US6303258B1 (en) 1999-01-29 2001-10-16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toner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toner
JP4118498B2 (ja) 1999-10-05 2008-07-16 株式会社リコー 静電荷現像用トナー、トナー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500595B1 (en) 1999-10-20 2002-12-31 Ricoh Company, Ltd. Carrier for electrophotographic develop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rrier, and coating liquid for the method
JP3942139B2 (ja) 1999-10-20 2007-07-1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現像剤
JP2002278269A (ja) 2000-12-20 2002-09-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861191B2 (en) 2001-01-31 2005-03-01 Ricoh Company, Ltd. Dry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JP2003228192A (ja) 2001-01-31 2003-08-15 Ricoh Co Ltd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3167389A (ja) 2001-05-24 2003-06-13 Ricoh Co Ltd 電子写真用キャリア及び現像剤
JP3966543B2 (ja) 2001-06-25 2007-08-2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画像形成方法及び電子写真装置
US20030152857A1 (en) 2001-08-07 2003-08-14 Hideki Sugiura Toner, developer, image-forming method and image-forming device
US7169522B2 (en) 2002-03-12 2007-01-30 Ricoh Company, Ltd. Toner for developing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developer using the same, full-color toner kit using the same, image-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image-forming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image-forming process using the same
JP3600219B2 (ja) 2002-03-22 2004-12-15 株式会社リコー 静電荷像現像用現像剤及び画像形成装置
EP1701220B9 (en) 2003-09-18 2016-09-21 Ricoh Company, Ltd. Toner and developer, toner charged container,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forming
EP1522900B1 (en) 2003-10-08 2008-08-06 Ricoh Company, Ltd. Toner and develop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developer
JP5138630B2 (ja) 2003-12-10 2013-02-0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トナー用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トナー組成物
CA2607632A1 (en) 2005-05-10 2006-11-16 Ricoh Company, Ltd. Toner and developer, ton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7033773A (ja) * 2005-07-26 2007-02-08 Ricoh Co Ltd 画像形成用トナー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17386B2 (ja) 2006-02-07 2011-11-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トナーと現像剤
JP2007248982A (ja) 2006-03-17 2007-09-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
JP4980682B2 (ja) 2006-09-19 2012-07-1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及び現像剤
EP1965261B1 (en) 2007-03-02 2016-11-09 Ricoh Company, Ltd.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method for producing the toner, image form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ing the toner
JP2008216515A (ja) 2007-03-02 2008-09-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用いるトナー
US20080227018A1 (en) 2007-03-16 2008-09-18 Junichi Awamura Toner for developing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toner
JP4859058B2 (ja) 2007-03-16 2012-01-18 株式会社リコー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JP2008275865A (ja) * 2007-04-27 2008-11-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それに用いられるトナー、キャリア、現像剤
US20090142094A1 (en) 2007-11-29 2009-06-04 Toyoshi Sawada Toner, develop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33959A (ja) 2007-11-29 2009-06-18 Ricoh Co Ltd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及び該トナー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と装置
JP5146661B2 (ja) 2008-05-08 2013-02-2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の製造方法及びトナー
JP2012063636A (ja) 2010-09-16 2012-03-29 Ricoh Co Ltd トナーの製造方法及びトナー
JP2012128405A (ja) * 2010-11-22 2012-07-05 Ricoh Co Ltd トナー、並びに現像剤、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3109135A (ja) * 2011-11-21 2013-06-06 Ricoh Co Ltd トナー及び現像剤
JP6160133B2 (ja) 2012-04-03 2017-07-12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画像形成用トナー、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2869126A4 (en) * 2012-06-22 2016-01-20 Canon Kk TONER
US9639017B2 (en) * 2014-04-19 2017-05-02 Xerox Corporation Toner comprising colorant wax disper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4697A4 (en) 2017-10-25
CN107111260A (zh) 2017-08-29
US10310399B2 (en) 2019-06-04
JP6590204B2 (ja) 2019-10-16
JP2017027008A (ja) 2017-02-02
EP3234697A1 (en) 2017-10-25
EP3234697B1 (en) 2021-06-16
CN107111260B (zh) 2021-02-09
KR101935706B1 (ko) 2019-01-04
US20180329326A1 (en)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706B1 (ko) 토너,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방법, 및 토너 저장 유닛
KR101489764B1 (ko) 토너, 화상 형성 방법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US7297455B2 (en) Toner, and image forming method
US20140255840A1 (en) Toner for electrophotography, and image form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ing the toner
JP5861537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9904190B2 (en) Toner,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process cartridge
JP2000056511A (ja) トナー及び画像形成方法
US10061220B2 (en) Toner,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process cartridge
US20190011847A1 (en) Toner, toner stored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70345A (ja) トナー、トナー収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170343A (ja) トナー、トナー収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74186A (ja) 電子写真画像形成用トナー、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826752B2 (ja) トナー、現像剤、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トナー収容ユニット
US10025213B2 (en) Toner, toner stored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65077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製造方法
JP6857330B2 (ja) トナー、トナー収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CN107526257B (zh) 调色剂,调色剂收纳单元,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方法
WO2016098290A1 (en) Toner,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toner stored unit
JP5861538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6926974B2 (ja) トナー、トナー収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86105A (ja) 現像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122043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