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052A -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 Google Patents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052A
KR20170093052A KR1020160087420A KR20160087420A KR20170093052A KR 20170093052 A KR20170093052 A KR 20170093052A KR 1020160087420 A KR1020160087420 A KR 1020160087420A KR 20160087420 A KR20160087420 A KR 20160087420A KR 20170093052 A KR20170093052 A KR 20170093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rotary drum
suction
switch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977B1 (ko
Inventor
카츠노리 이시구레
나오히코 노다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5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single articles, e.g.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65B11/52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one sheet being rendered plastic, e.g. by heating, and forced by fluid pressure, e.g. vacuum, into engagement with the other sheet and contents, e.g. skin-, blister-, or bubbl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흡착부의 소모나 물품의 파손 등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흡착부에 의해서 물품을 보다 확실하게 흡착 보유{保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픽업 장치는, 정제{錠劑}(5)가 충전{充塡}된 포켓부(2)를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용기 필름(3)의 위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복수의 흡착부(51A)를 외주에 가지고, 또한, 반송되는 용기 필름(3)에 맞추어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51)과, 각 흡착부(51A)를 개별적으로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切換; switch} 가능한 전자{電磁} 전환 밸브와, 용기 필름(3)을 회전 드럼(51) 측으로 들어올림 가능하게 구성된 리프트 장치(55)를 구비한다. 리프트 장치(55)는, 흡착부(51A)에 의한 흡착 대상의 정제(5)의 흡착 시에, 용기 필름(3)을 들어올려, 흡착 대상의 정제(5)를 흡착부(51A)에 접근시킨 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흡착시 이외일 때에, 흡착부(51A)로부터 정제(5)를 이간{離間}시킨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PICKUP DEVICE AND BLISTER PACKAGING MACHINE}
본 발명은, 물품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브리스터 포장기{包裝機}에 관한 것이다.
브리스터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브리스터 포장기는, 반송{搬送}되는 띠모양{帶狀}의 용기 필름에 대해 오목모양{凹狀}의 포켓부를 형성하는 수단, 포켓부에 정제{錠劑}나 전자 부품(칩) 등의 각종 물품을 충전{充塡}하는 수단, 용기 필름에 대해 커버 필름을 취착{取着}하는 수단과, 용기 필름 및 커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띠모양의 브리스터 필름을 브리스터 시트 단위로 타발{打拔; punching}하는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브리스터 포장기에 있어서, 부압{負壓}을 이용해서 각종 물품을 선택적으로 흡인하고, 회수{回收}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 참조). 상세하게 기술하면, 이 장치는, 띠모양의 캐리어 스트립(용기 필름에 상당한다) 측을 향하는 흡인구멍{吸引孔}(개방실)이 복수{複數} 나란히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흡인구멍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공기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수 대상의 물품이 소정의 회수 포지션에 도달하면, 상기 캐리어 스트립이 단시간 일시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공기 밸브가 전환{切換; switch}됨으로써, 회수 대상으로 되는 물품에 대응하는 흡인구멍에 부압이 공급된다(흡인구멍이 진공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회수 대상의 물품이 흡인되어 회수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수법에서는, 물품을 빨아올려 회수하기 때문에, 회수시에 물품에 대해 데미지를 주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회수한 물품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충분히 담보할 수가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도모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에 의해서, 복수의 흡착부가 외주에 설치된 회전 드럼 등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픽업 장치에 의해, 물품을 흡착해서 회수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해당{當該}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흡착 포지션에 배치된 흡착부에 의해서, 씰{seal} 전에, 불량 판정에 관계된 시트 예정부(최종적으로 브리스터 시트로 되는 부위)로부터 양품{良品}의 물품이 선택적으로 흡착되어 회수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5-270507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출원 특원2014-170501호
그런데, 흡착부에 의해서 물품을 보다 확실하게 흡착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흡착 포지션에서 흡착부와 물품이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상기 흡착 포지션에서 흡착부와 물품이 항상 접촉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흡착부의 소모(마모나 열화{劣化})가 생기기 쉽게 되어 버려, 흡착부가 적절한 상태로 유지{維持}되는 기간(수명)이 짧아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흡착 시에 있어서 물품에 대해 부여되는 부하{負荷}를 저감하기 위하여, 흡착부를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흡착부의 소모가 진행하기 쉽게 되어 버려, 수명이 보다 짧아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 흡착부의 접촉에 수반하여, 흡착 대상이 아닌 물품에 대해 데미지를 주어 버리거나, 이물{異物}이나 더러움{汚}을 부착시켜 버리거나 하는 것도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흡착부의 소모나 물품의 파손{破損} 등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흡착부에 의해서 물품을 보다 확실하게 흡착 보유{保持; hold}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데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목분류{項分}하여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소정의 물품이 충전된 포켓부를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띠모양의 용기 필름의 위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복수의 흡착부를 외주에 가지고, 또한, 반송되는 상기 용기 필름에 맞추어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각 흡착부를 개별적으로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소정의 흡착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를 흡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흡착부에 대해 상기 물품이 흡착되는 한편, 상기 흡착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를 비흡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흡착부에 대해 상기 물품이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을 구비한 픽업 장치로서,
상기 흡착부에 의한 흡착 대상으로 되는 상기 물품을 결정하는 흡착 대상 결정 수단과,
상기 용기 필름을 상기 회전 드럼 측으로 들어올림{持上} 가능하게 구성된 리프트 수단과,
상기 리프트 수단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리프트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프트 수단은, 상기 흡착부에 의한 흡착 대상의 상기 물품의 흡착 시에, 상기 용기 필름을 들어올려, 흡착 대상의 상기 물품을 상기 흡착부에 접근시킨 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흡착시 이외일 때에,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물품을 이간{離間}시킨 상태로 하도록 상기 리프트 제어 수단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수단 2. 상기 리프트 수단은, 상기 용기 필름의 반송에 맞추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용기 필름을 들어올릴 때에 외주면이 상기 용기 필름에 접촉하는 회전 롤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3.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이 돌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통모양{筒狀}의 벨로즈부{蛇腹部; bellows par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또는 2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4.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방사상{放射狀}으로 연장하는 흡인구멍을 가지고,
상기 회전 드럼은, 그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모양{圓筒狀}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흡인구멍이 내주로부터 외주로 관통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내주에 이동 불능인 상태로 배설{配設}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의 상기 흡인구멍과 개별적으로 연통{連通} 가능하게 구성된 외주 측으로 개구하는 전환 공간부를 가지는 원통모양의 고정 드럼과,
상기 전환 공간부에 대해 부압을 공급 가능한 부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은,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전환 공간부에 대한 부압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흡착부를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5.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인구멍을 통과해서 상기 회전 드럼의 외부에 광을 조사 가능한 발광{發光} 수단과,
상기 회전 드럼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검지 가능한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해서, 상기 흡착부에 대한 상기 물품의 흡착에 관한 양부{良否}를 판정하는 흡착 양부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4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6. 상기 고정 드럼은, 항상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포지션을 통과하고 나서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물품의 회수를 수행하는 회수 포지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해당 흡착부의 상기 흡인구멍과 연통하는 부압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부압 공간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5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7. 상기 전환 공간부는, 상기 흡착 포지션 바로앞에 상기 흡착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해당 흡착부의 상기 흡인구멍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8. 수단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픽업 장치와,
상기 회전 드럼의 상류 측에서, 상기 포켓부에 대해 상기 물품을 충전하는 충전 수단과,
상기 회전 드럼의 하류 측에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띠모양의 커버 필름을 취착{取着}하고,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취착되어 이루어지는 브리스터 필름을 얻는 씰 수단과,
해당 씰 수단의 하류 측에서, 상기 브리스터 필름을 시트 단위로 타발{打拔; punching}해서 소정의 브리스터 시트를 얻는 타발 수단과,
상기 충전 수단 및 상기 회전 드럼 사이에 위치하는, 최종적으로 상기 브리스터 시트로 되는 시트 예정부에 대해, 상기 물품의 양부에 관계된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검사 항목에 대해서 양부 판정을 수행하는 검사 수단을 구비한 브리스터 포장기로서,
상기 검사 수단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검사 항목에 대해서 불량으로 판정된 상기 시트 예정부를 불량 시트부로 했을 때,
상기 흡착 대상 결정 수단은, 상기 불량 시트부의 상기 포켓부에 충전된 상기 물품 중, 상기 검사 수단에 의해 상기 물품의 양부에 관계된 항목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것을 흡착 대상으로서 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스터 포장기.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물품을 흡착할 때에, 리프트 수단에 의해서, 용기 필름이 들어올려진 상태로 되고, 물품이 흡착부에 접근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흡착부에 의해서 물품을 보다 확실하게 흡착할 수가 있고, 나아가서는 물품을 보다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또, 흡착부에 대해 물품을 접근시킴에 있어서, 중량이 크고, 구조가 복잡한 회전 드럼을 상하이동{上下動}시키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대규모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제조 등에 관계된 코스트의 저감이나, 보다 안정적이고, 또한, 보다 고속인 동작의 실현 등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물품의 흡착시 이외일 때에는, 흡착부로부터 물품이 이간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흡착부의 소모(마모나 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고, 흡착부를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흡착부가 물품으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됨으로써, 흡착부의 접촉에 수반하는 물품의 파손이나 오손{汚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흡착부 중 적어도 물품과 접촉하는 부위를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착 시에 있어서 물품에 주는 부하를 저감할 수가 있어, 물품을 보다 양호한 상태로 회수할 수가 있다. 한편, 흡착부 중 적어도 물품과 접촉하는 부위를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에 의해 형성하면, 흡착부의 소모가 진행하기 쉽게 되는 것이 염려되지만,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이와 같은 염려를 불식{拂拭}시킬 수가 있다.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용기 필름의 반송에 맞추어 회전 가능한 회전 롤러에 의해서, 용기 필름이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들어올림 시에 용기 필름에 상처가 나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브리스터 시트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회전 롤러는, 용기 필름에의 접촉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자유 회전 가능한 종동{從動} 롤러이더라도 좋으며, 소정의 구동 수단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용기 필름의 반송에 맞추어 회전하는 구동 롤러이더라도 좋다.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물품을 흡착했을 때에, 벨로즈부가 줄어드는{축소하는} 것에 의해서, 물품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다 저감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을 한층 양호한 상태로 회수할 수가 있다.
그런데, 물품을 흡착할 때에 용기 필름을 들어올린 상태로 하면, 결과적으로, 흡착부와 포켓부가 접근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흡착된 물품이,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포켓부로부터 나올 때에, 포켓부와 접촉하기 쉽게 되어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포켓부에 물품이 접촉해 버리면, 흡착부로부터 물품이 벗어나{이탈해} 버리거나, 물품이 손상되어 버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점,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벨로즈부가 줄어드는 것에 의해서 포켓부로부터 물품이 들어올려진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포켓부로부터 물품이 나오게 된다. 그 때문에, 포켓부에 물품이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흡착 미스나 물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상기 수단 1 등을 채용하기 때문에 생길 수 있는 디메리트{demerit}를 해소시킨다고 하는, 단지 상기 수단 3의 기술 사항만을 채용한 경우에는 발생하기 어려운, 상기 수단 1 등과 합친 것에 의한 특별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수단 4에 있어서, 각 흡착부를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수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센터 밸브 방식이 생각된다. 이 센터 밸브 방식이란, 복수의 전환 공간부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고정 밸브를, 회전 드럼의 축방향 단면{端面}을 덮도록 해서 설치함과 동시에, 각 흡착부의 흡인구멍이 각 전환 공간부에 대해 개별적으로 연통하도록 구성한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전환 공간부에 대한 부압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 각 흡인구멍에 대한 부압의 공급 및 비공급이 전환되고, 나아가서는 각 흡착부가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된다. 또, 이 방식에서, 각 흡인구멍은, 회전 드럼의 내부에서, 회전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함과 동시에, 회전 드럼의 축방향 단면(고정 밸브 측의 단면)에서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그렇지만, 이 방식에서는, 각 흡인구멍을 상기와 같이 설치하기 때문에, 회전 드럼을 대형화(대경화{大徑化})시킬 필요가 있다.
또, 필요에 따라, 흡인구멍이나 전환 공간부 등에 물품의 깨진 조각{단편} 등의 이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회전 드럼이나 고정 밸브를 분해한 다음에, 양자의 세정이 수행될 수 있지만, 상기 방식에서는, 흡인구멍이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그의 내부를 확인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세정 후에 있어서의 이물의 잔존 확인이 곤란하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점,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흡인구멍은 회전 드럼의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흡인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 회전 드럼을 대형화(대경화)시킬 필요는 없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회전 드럼은, 원통모양을 이룸과 동시에, 흡인구멍이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고정 드럼은, 원통모양을 이룸과 동시에, 전환 공간부가 외주 측으로 개구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회전 드럼 및 고정 드럼을 분해한 후에는, 흡인구멍의 내부나 전환 공간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세정 후의 이물의 잔존 확인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어, 편리성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흡착부에 대해 물품이 흡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품에 의해서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광이 차단된 상태로 되고, 한편, 흡착부에 대해 물품이 흡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광은 차단되는 일없이, 외부로 나오게 된다. 그 때문에, 수광 수단에서 검지되는 광은, 물품의 유무에 의해 상위{相違}하게 되고, 흡착 양부 판정 수단은, 이 검지되는 광의 상위에 근거해서, 흡착부에 대한 물품의 흡착에 관한 양부를 판정한다. 따라서, 흡착 대상의 물품이 흡착부에 흡착되어 있는지, 흡착 대상이 아닌 물품이 흡착부에 잘못해서 흡착되어 있지 않은지 등에 대한 판정을 정밀도좋게,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물품 자체를 검지 가능한 센서에 의해서, 흡착부에 대한 물품의 흡착 및 비흡착을 판정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이 경우에는,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른 흡착부의 간격(피치)을 비교적 좁게 했을 때에, 판정 정밀도가 저하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흡착부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에 수반하여, 흡착된 물품의 간격도 좁아져, 센서에 의한 물품의 검지가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해,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른 흡착부의 간격(피치)이 비교적 좁은 경우이더라도, 상기 판정을 정밀도좋게,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6에 의하면, 흡착 포지션을 통과하고 나서 회수 포지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흡착부를 보다 확실하게 흡착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물품을 보다 확실하게 흡착한 채로, 회수 포지션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반송 시에 있어서의 물품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어, 물품을 보다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수단 6에 의하면, 발광 수단은 부압 공간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수단에 대해, 물품의 깨진 조각 등의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흡착 대상의 물품이 흡착부에 흡착되어 있는지 등에 대한 판정을 한층 정밀도좋게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7에 의하면, 흡착 포지션 바로앞에서, 물품을 흡착할 예정인 흡착부의 흡인구멍에 대해 부압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흡착 포지션에 도달한 시점에서 흡착부를 보다 확실하게 흡착 가능 상태로 할 수가 있어, 물품의 흡착 미스를 보다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8에 의하면, 용기 필름에 대해 커버 필름이 취착되기 전에, 불량으로 판정된 시트 예정부(불량 시트부)로부터, 양품으로 판정된 물품을 흡착하고, 회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양품의 물품을 유효하게 재이용할 수가 있어, 생산 코스트의 억제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수단 8에 의하면, 씰 수단에 이르기 전에 물품이 흡착되기 때문에, 흡착 대상의 물품에 대해, 반송에 수반하는 진동이 장기간에 걸쳐서 가해져 버리는 것이나, 씰 수단에 의한 열 등의 영향이 미쳐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을 한층 양호한 상태로 회수할 수가 있어, 회수한 물품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이 양호한 상태의 물품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재이용 전의 회수한 물품의 재검사 등을 생략할 수가 있어, 생산 코스트의 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단 8에 의하면, 씰 수단에 이르기 전의 비교적 빠른 단계{段階}에서 물품이 회수된다. 그 때문에, 물품이 흡습성{吸濕性}을 가지는 것(예를 들면 정제 등)인 경우에 있어서, 물품에서의 흡습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런데, 브리스터 시트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점에서는, 검사 수단에 의한 검사 감도를 높이는 것이 요망되지만, 검사 감도를 높이면, 잘못해서 불량으로 판정되는 케이스가 많게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불량으로 판정되는 케이스가 증대해 버리면, 불량품의 브리스터 시트를 그대로 폐기하는 수법을 채용한 경우, 불량품의 브리스터 시트에 포함되는 많은 양품의 물품이 소용없게 되어 버려, 코스트가 극단적으로 증대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 상기 수단 8에 의하면, 양품으로 판정된 물품은 회수되기 때문에, 검사 감도를 높였다고 해도, 많은 물품이 소용없게 되어 버린다고 한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스트 증가{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일없이, 브리스터 시트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 PTP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 PTP 필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PTP 포장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 검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 제1 검사 장치에 기억되는 검사 결과의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제2 검사 장치에 기억되는 검사 결과의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제3 검사 장치에 기억되는 검사 결과의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시트 예정부에서의 일련 번호 및 정제 번호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 용기 필름의 반송 경로에 배치된 회전 드럼이나 리프트 장치 등의 사시도이다.
[도 11] 회전 드럼 등의 일부 파단{破斷} 정면도이다.
[도 12] 회전 드럼 및 고정 드럼의 단면도이다.
[도 13] 회전 드럼 및 고정 드럼의 단면도이다.
[도 14] 고정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15] 고정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16] 고정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17] 리프트 장치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18] 용기 필름을 들어올린 상태에서의 회전 드럼 등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19] 부압 공간부 및 전환 공간부와 진공 펌프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0] 제어 장치에 의해 파악되는 양부 판정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 동작 예정 테이블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 동작 예정 설정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3] 흡착 판정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4] 불량품으로서 배출되는 PTP 시트의 1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5] 불량품으로서 배출되는 PTP 시트의 1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6] 다른{別} 실시 형태에서의 리프트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 모식도이다.
이하에,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브리스터 시트로서의 PTP 시트(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TP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해서 용기 필름(3)에 취착된 커버 필름(4)을 가지고 있다.
용기 필름(3)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熱可塑性} 수지 재료나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 필름(4)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란트가 표면에 도포된 불투명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PTP 시트(1)는, 평면시{平面視} 대략 직사각형모양{矩形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트 긴쪽{長手} 방향을 따라 배열된 5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지는 포켓 열이, 시트 짧은쪽{短手} 방향으로 2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합계 10개의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에는, 물품으로서의 정제(5)가 하나씩 수용{收容}되어 있다(도 2 참조).   
PTP 시트(1)는, 띠모양의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으로 형성된 브리스터 필름으로서의 PTP 필름(6)(도 3 참조)이 타발됨으로써, 시트모양으로 제조된다.
다음에, 상기 PTP 시트(1)를 제조하기 위한 브리스터 포장기로서의 PTP 포장기(11)의 개략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PTP 포장기(11)의 최상류 측에서는, 띠모양의 용기 필름(3)의 원단{原反; original, raw}이 롤모양으로 감겨져{捲回} 있다. 롤모양으로 감겨진 용기 필름(3)의 인출단{引出端} 측은, 가이드 롤(13)에 안내되고 있다. 용기 필름(3)은, 가이드 롤(13)의 하류 측에서 간헐 이송 롤(14)에 걸려{掛裝} 있다. 간헐 이송 롤(14)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 롤(13)과 간헐 이송 롤(14)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가열 장치(15) 및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차례로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장치(15)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이 가열되어 그{該} 용기 필름(3)이 비교적 유연하게 된 상태에서,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가 성형{成形}된다. 포켓부(2)의 성형은, 간헐 이송 롤(14)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 동안의 인터벌 시에 수행된다.
간헐 이송 롤(14)로부터 내보내진{송출된} 용기 필름(3)은, 텐션 롤(18), 가이드 롤(19) 및 필름 받침 롤(20)의 순으로 걸려 있다. 필름 받침 롤(20)은, 일정{一定}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필름(3)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텐션 롤(18)은, 용기 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緊張}하는 측으로 인장{引張}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14)과 필름 받침 롤(20)과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늘어짐{弛}을 방지해서 용기 필름(3)을 상시{常時} 긴장 상태로 보유한다. 이것에 의해, 용기 필름(3)은, 텐션 롤(18) 및 필름 받침 롤(20) 사이에서, 정지하는 일없이 연속 반송된다.
가이드 롤(19)과 필름 받침 롤(20)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정제 충전 장치(21), 검사 수단으로서의 씰전 검사 장치(22), 및, 픽업 장치(23)가 이 순서로 배설되어 있다.
정제 충전 장치(21)는, 포켓부(2)에 정제(5)를 자동적으로 충전하는 충전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정제 충전 장치(21)는, 필름 받침 롤(20)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과 동기해서, 소정 간격마다 셔터를 여는 것에 의해 정제(5)를 낙하시키는 것이고, 이 셔터 개방 동작에 수반해서 각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전된다.
씰전 검사 장치(22)는, 상류 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검사 장치(T1), 제2 검사 장치(D) 및 제3 검사 장치(A)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검사 장치(T1, D, A)에 의해, 정제(5)나 용기 필름(3)(시트 부분)에 관한 이상이 검사된다. 또, 각 검사 장치(T1, D, A)는, 도시하지 않는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의 반송량을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검사 장치(T1, D, A)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픽업 장치(23)는, 반송되는 용기 필름(3)으로부터 특정의 정제(5)를 픽업해서 회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픽업 장치(23)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술한다.
한편, 띠모양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최상류 측에서 롤모양으로 감겨져 있다.
롤모양으로 감겨진 커버 필름(4)의 인출단은, 가이드 롤(26)에 의해서 가열 롤(27) 쪽으로 안내되고 있다. 가열 롤(27)은, 상기 필름 받침 롤(20)에 압접{壓接}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롤(20, 27) 사이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들여보내지도록{송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양롤(20, 27) 사이를 가열 압접 상태로 통과하는 것에 의해,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이 접착되고, 포켓부(2)가 커버 필름(4)으로 막힌다{폐색된다}. 이것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충전된 띠모양의 PTP 필름(6)이 제조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 받침 롤(20) 및 가열 롤(27)에 의해서, 씰 수단이 구성된다.
필름 받침 롤(20)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 롤(28) 및 간헐 이송 롤(29)의 순으로 걸려 있다. 간헐 이송 롤(29)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28)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인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필름 받침 롤(20)과 간헐 이송 롤(29)과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PTP 필름(6)의 늘어짐을 방지해서 PTP 필름(6)을 상시 긴장 상태로 보유한다.
간헐 이송 롤(29)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 롤(31) 및 간헐 이송 롤(32)의 순으로 걸려 있다. 간헐 이송 롤(32)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31)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인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29, 32) 사이에서의 PTP 필름(6)의 늘어짐을 방지한다.
간헐 이송 롤(29)과 텐션 롤(31)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슬릿 형성 장치(33) 및 각인{刻印} 장치(34)가 차례로 배설되어 있다. 슬릿 형성 장치(33)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에 절리{切離; cut-off}용 슬릿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각인 장치(34)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태그부)에 각인을 새기는 기능을 가진다.
간헐 이송 롤(32)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그의 하류 측에서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의 순으로 걸려 있다. 간헐 이송 롤(32)과 텐션 롤(35)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시트 타발 장치(37)가 배설되어 있다. 시트 타발 장치(37)는, PTP 필름(6)을 PTP 시트(1) 단위로 그의 바깥가장자리{外緣; outer edge}를 타발하는 타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시트 타발 장치(37)에 의해서 타발된 PTP 시트(1)는, 취출{取出; take-out} 컨베이어(38)에 의해서 반송되고, 완성품용 호퍼(39)에 일단 저류{貯留}된다. 또한, 상기 검사 장치(T1, D, A)의 어느것인가에 의해서 불량 판정된 경우, 불량 판정으로 된 PTP 시트(1)는, 취출 컨베이어(38)의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불량 시트 배출 기구(40)에 의해서 별도{別途} 배출되고, 도시하지 않는 불량품 호퍼에 이송된다.
상기 연속 이송 롤(36)의 하류 측에는, 재단{裁斷} 장치(41)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타발 장치(37)에 의한 타발 후에 띠모양으로 남은 잔재부{殘在部}(스크랩부)를 구성하는 불요{不要} 필름부(42)는, 상기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에 안내된 후, 재단 장치(41)에 인도된다. 또한, 상기 연속 이송 롤(36)은 종동 롤이 압접{壓接}되어 있고, 상기 불요 필름부(42)를 협지{挾持}하면서 반송 동작을 수행한다. 재단 장치(41)는, 불요 필름부(42)를 소정 치수로 재단해서 스크랩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스크랩은 스크랩용 호퍼(43)에 저류된 후, 별도 폐기 처리된다.
또한, 상기 각 롤(14, 19, 20, 29, 31, 32) 등은, 그의 롤 표면과 포켓부(2)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지만, 각 롤(14) 등의 표면에는, 포켓부(2)가 수용되는 오목부{凹部}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포켓부(2)가 찌그러져 버리는 일이 없다. 또, 포켓부(2)가 각 롤(14) 등의 오목부에 수용되면서 이송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간헐 이송 동작이나 연속 이송 동작이 확실하게 수행된다.
그 다음에, 각 검사 장치(T1, D, 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검사 장치(T1, D, A)는, 각각 조명 장치(70), 카메라(71) 및 처리 실행 장치(7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조명 장치(70)는, 포켓부(2)의 개구부 측 또는 돌출부 측으로부터, 용기 필름(3)이나 정제(5)(특히 최종적으로 PTP 시트(1)로 되는 부위)에 대해 소정의 광(예를 들면 근적외광이나 가시광)을 조사한다.
카메라(71)는, 조명 장치(70)에 의해 광이 조사된 용기 필름(3) 등을 촬상{撮像}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71)로서, 조명 장치(7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파장 영역에 감도를 가지는 CCD 카메라가 채용되고 있다. 이것에 한하지 않고, CMOS 카메라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제3 검사 장치(A) 등 일부 검사 장치의 카메라(71)에는, 색 식별 가능하도록 컬러 CCD 카메라가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71)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畵像} 데이터(휘도 화상 데이터 또는 컬러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71) 내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다음에,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처리 실행 장치(72)에 입력된다.
처리 실행 장치(72)는,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연산 데이터나 입출력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등을 구비한, 이른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화상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처리 실행 장치(72)는, 화상 메모리(73), 검사 결과 기억 장치(74), 판정용 메모리(75), 데이터 메모리(76), 카메라 타이밍 제어 장치(77), 및,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78)를 구비하고 있고, 2값화{2値化; binarization} 처리나 덩어리{塊; cluster} 처리 등의 각종 화상 처리나, 불량 판정 처리(검사 처리) 등을 실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화상 메모리(73)는, 카메라(7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 화상 메모리(7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해서 검사가 실행된다. 물론, 검사의 실행 시에, 화상 데이터에 대해 가공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마스킹 처리나, 셰이딩 보정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생각된다. 셰이딩 보정은, 용기 필름(3) 등의 촬상 범위 전체를 조명 장치(70)의 광으로 균일하게 비추는 것은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위치의 상위에 의해 생기는 광의 명도의 격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검사 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에 대해 2값화 처리가 수행된 2값화 화상 데이터나, 마스킹 처리가 수행된 마스킹 화상 데이터 등도, 화상 메모리(73)에 기억된다.
검사 결과 기억 장치(74)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좌표 등의 데이터, 검사 대상에 대한 양부 판정 결과의 데이터, 및, 그 데이터를 확률 통계적으로 처리한 통계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또, 각 검사 장치(T1, D, A)의 검사 결과 기억 장치(74)에는, 도 6∼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정제 번호 J1∼J10(도 9 참조)으로 지시되는 각 정제(5)와 시트 부분에 대한 소정의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서의 양부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가, 최종적으로 PTP 시트(1)로 되는 시트 예정부(7)(도 9 참조)를 특정하기 위한 일련 번호 LA1, LA2…(도 9 참조)과 함께 기억된다. 정제 번호는, 시트 예정부(7)의 각 정제(5)에 대응해서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또한, 도 6∼도 8 등에서는, 양품 판정을 「○」로 나타내고, 불량 판정을 「×」로 나타낸다.
또한, 검사 항목 X1∼X9는, 정제(5)의 양부에 관한 항목이다. 검사 항목 Y1은, 시트 부분(용기 필름(3))의 양부에 관한 항목이다. 검사 항목 Z1, Z2는, 정제(5) 및 시트 부분의 쌍방의 양부에 관한 항목이다. 각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5로 되돌아가, 판정용 메모리(75)는, 검사에 이용되는 판정값(임계값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판정값은, 검사 항목마다 설정된다. 검사에 이용되는 판정값에는, 예를 들면 PTP 시트(1)나 포켓부(2), 정제(5) 등의 치수, 각종 검사 영역을 획정{畵定; define}하기 위한 각종 윈도우 프레임의 형상이나 치수, 2값화 처리에 관계된 임계값, 면적 판정에 관계된 판정값, 색 식별 검사에 관계된 색 기준값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메모리(76)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메모리(76)에는, 불량 판정의 일시{日時}, 검사에 이용된 검사 조건 등이 기억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데이터 메모리(76)에는, 정제(5)의 이차원적인 위치에 대한 포켓부(2)의 이차원적인 위치에 관한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데이터 메모리(76)에는, 포켓부(2)와 PTP 시트(1)의 바깥가장자리의 위치 관계에 관한 설계상의 데이터도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정제(5)의 위치에 근거해서, 용기 필름(3)에서의 포켓부(2)의 위치, 나아가서는, 용기 필름(3)에서의 시트 예정부(7)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 타이밍 제어 장치(77)는, 카메라(71)의 촬상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러한 촬상 타이밍은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제어되고, 용기 필름(3)을 소정량 보낼 때마다 카메라(71)에 의한 촬상이 수행된다.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78)는, 각 검사 장치(T1, D, A)에서의 각종 제어를 맡고,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근거해서 시트 예정부(7)에서의 정제(5)나 시트 부분의 양부를 판정한다. 또,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78)는, 화상 데이터에서의 포켓부(2)나 정제(5)의 위치에 근거해서, 검사 대상으로 되는 시트 예정부(7)를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된 시트 예정부(7)에 대해, 용기 필름(3)의 반송 순서에 따른 상기 일련 번호를 설정한다. 시트 예정부(7)의 상기 일련 번호는, 반송 방향 상류 측을 향해서 하나씩 증대해 가는 양태{態樣}로 되어 있다.
다음에, 각각의 검사 장치(T1, D, A)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 검사 장치(T1)는, 씰 전에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돌출부 측(정제(5)의 표면 측)으로부터 검사를 수행하는 투과광식의 검사 장치이다. 제1 검사 장치(T1)에서는, 조명 장치(70)가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개구부 측에 배치되고, 카메라(71)가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돌출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70)로부터 조사되는 광(근적외광) 중, 용기 필름(3)을 투과한 광을 이차원 촬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검사 장치(T1)에서는, 검사 항목 X1∼X6에 관한 검사가 수행된다.
검사 항목 X1은, 이른바 「정제 쪼개짐{錠劑割}」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에 쪼깨짐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2는, 이른바 「정제 파편{錠劑破片} 혼입」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포켓부(2) 내에, 정제(5)의 파편 등, 정제(5) 이외의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3은, 이른바 「정제 결락{缺錠」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포켓부(2) 내에 정제(5)가 충전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4는, 이른바 「정제 형상·크기 차이{違}」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의 형상이나 크기가, 제조 품종과 적합{適合}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5는, 이른바 「정제 깨짐{錠劑缺}」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에 깨짐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6은, 이른바 「정제 표면 박리{剝離}」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의 표면층이 박리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제2 검사 장치(D)는, 씰 전에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개구부 측(정제(5)의 이면 측)으로부터 검사를 수행하는 반사광식의 검사 장치이다. 제2 검사 장치(D)에서는, 조명 장치(70) 및 카메라(71)가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개구부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70)로부터 조사되는 광(근적외선) 중, 정제(5)에 반사된 광을 이차원 촬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검사 장치(D)에서는, 상기 검사 항목 X1∼X5에 더하여, 검사 항목 X7, X8에 관한 검사가 수행된다.
검사 항목 X7은, 이른바 「정제상 머리카락{毛髮}」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 상에, 머리카락 등의 선모양{線狀}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8은, 이른바 「정제상 이물」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 상에, 크기가 수㎜(예를 들면 5㎜) 이상이라고 하는 큰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제3 검사 장치(A)는, 씰 전에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돌출부 측 및 개구부 측(정제(5)의 표리면 측)으로부터 검사를 수행하는 투과광식 및 반사광식의 양 기능을 구비한 검사 장치이다. 제3 검사 장치(A)에서는, 조명 장치(70)가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돌출부 측 및 개구부 측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고, 2개의 카메라(71)가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개구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포켓부(2) 돌출부 측의 조명 장치(70)로부터 조사되는 광(가시광) 중, 용기 필름(3)을 투과한 광이 한쪽의 카메라(71)에 의해 이차원 촬상되고, 포켓부(2) 개구부 측의 조명 장치(70)로부터 조사되는 광(가시광) 중, 정제(5)에 반사된 광이 다른쪽의 카메라(71)(컬러 CCD 카메라)에 의해 이차원 촬상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3 검사 장치(A)에서는, 상기 검사 항목 X1∼X5에 더하여, 검사 항목 X9, Y1, Z1, Z2에 관한 검사가 수행된다.
검사 항목 X9는, 이른바 「정제 색」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의 색이, 제조 품종과 적합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Y1은, 이른바 「시트상 정제가루{錠劑粉}」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용기 필름(3) 상에, 정제가루 등 크기가 수㎜(예를 들면 5㎜) 미만의 작은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Z1은, 이른바 「시트상 머리카락」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용기 필름(3) 상에, 머리카락 등의 선모양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Z2는, 이른바 「시트상 이물」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용기 필름(3) 상에, 크기가 수㎜(예를 들면 5㎜) 이상이라고 하는 큰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그 다음에, 픽업 장치(2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픽업 장치(2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51)과, 고정 드럼(52)과, 부압 공급 수단으로서의 진공 펌프(53)와, 흡착 상태 전환 수단으로서의 전자{電磁} 전환 밸브(54)와, 리프트 수단으로서의 리프트 장치(55)와, 흡착 대상 결정 수단, 리프트 제어 수단 및 흡착 양부 판정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56)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드럼(51)은, 도 10∼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모양을 이루고 있고,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의 바로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 드럼(51)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용기 필름(3)의 속도에 맞추어 연속 회전한다. 회전 드럼(51)의 외주에는, 흡착부(51A)가 설치되어 있다.
흡착부(51A)는, 회전 드럼(5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모양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흡착부(51A)는, 회전 드럼(51)의 축방향을 따라, 용기 필름(3)의 폭방향을 따른 포켓부(2)의 수와 동일수{同數}(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 설치되고, 회전 드럼(51)의 둘레방향{周方向}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2개) 설치되어 있다. 또, 흡착부(51A)의 선단{先端}측 부분은, 흡착부(51A)의 돌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통모양의 벨로즈부(51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벨로즈부(51B)는, 비교적 연질인 재료(예를 들면, 연질 고무나 연질 수지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흡착부(51A)는, 벨로즈부(51B)의 선단으로부터 회전 드럼(51)의 내주로 관통하는 흡인구멍(51C)을 구비하고 있다. 각 흡인구멍(51C)은, 회전 드럼(51)의 회전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하고 있다(회전 드럼(51)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흡인구멍(51C)에 부압이 공급됨으로써, 흡착부(51A)의 선단 부에서 정제(5)가 흡착된다. 또한, 정제(5)를 흡착한 상태에서의 흡착부(51A)에서, 벨로즈부(51B)는 줄어듦{縮} 변형한 상태로 된다(도 11 참조).
또, 흡착부(51A)는, 회전 드럼(51)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착 포지션(P1), 검사 포지션(P2) 및 회수 포지션(P3)에 대해 순차{順次} 이동한다(도 11 참조).
흡착 포지션(P1)은, 회전 드럼(51)의 축의 연직{鉛直} 아래쪽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이 포지션에서 흡착부(51A)에 대해 흡착 대상의 정제(5)가 흡착된다.
검사 포지션(P2)은, 흡착 포지션(P1) 및 회수 포지션(P3) 사이에서의, 후술하는 LED(64) 및 수광 센서(65)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이 포지션에 배치된 흡착부(51A)가, 흡착 대상의 정제(5)를 실제로 흡착하고 있는지 여부 등의 판정 대상으로 된다.
회수 포지션(P3)은, 흡착 포지션(P1)에 대해 회전 드럼(5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약 270° 어긋난 위치이며, 해당 포지션에서 흡착부(51A)에 의한 정제(5)의 흡착이 해제된다. 또한, 회수 포지션(P3)에 대응해서 정제 회수 상자(61)가 설치되어 있고, 흡착 해제된 정제(5)는, 해당 정제 회수 상자(61)에 회수된다.
또, 회전 드럼(51)에는, 도시하지 않는 인코더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인코더로부터 제어 장치(56)로 회전 드럼(51)의 회전 각도에 관한 신호가 일정 시간마다 출력되고 있다.
고정 드럼(52)은, 원통모양을 이루고 있고, 회전 드럼(51)의 내주에 이동 불능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고정 드럼(52)은, 도 11∼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고정 드럼의 외주 측으로 개구하는 공간인, 부압 공간부(S1), 개방 공간부(S2) 및 전환 공간부(S3)를 구비하고 있다. 또, 고정 드럼(52)은, 내주와 각 공간부(S1∼S3)를 관통하는 직선모양{直線狀}의 관통구멍{貫通孔子}(52A)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1 등에서는, 양드럼(51, 52) 사이에 틈{隙間}이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양드럼(51, 52) 사이에 틈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부압 공간부(S1)는, 흡착 포지션(P1)을 조금 지난 위치로부터, 회수 포지션(P3) 바로앞의 위치까지의, 검사 포지션(P2)을 포함하는 범위에 흡착부(51A)가 배치되었을 때에, 해당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과 연통하는 공간이다. 부압 공간부(S1)는, 관통구멍(52A)과 해당 관통구멍(52A)에 연통하는 소정의 통기관{通氣管}(62)을 거쳐서, 상기 진공 펌프(53)로부터 항상 부압이 공급된 상태(진공화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19 참조). 또, 부압 공간부(S1)는, 고정 드럼(52)의 축방향을 따라 비교적 큰 폭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부압 공간부(S1)는, 회전 드럼(51)의 축방향을 따라 일렬로 늘어선 흡인구멍(51C)과 한번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방 공간부(S2)는, 회수 포지션(P3)에 흡착부(51A)가 배치되었을 때에, 해당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과 연통하는 공간이다. 개방 공간부(S2)는, 관통구멍(52A)을 거쳐서, 항상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전환 공간부(S3)는, 흡착 포지션(P1) 바로앞의 위치로부터, 흡착 포지션(P1)을 조금 지난 위치까지의, 흡착 포지션(P1)을 포함하는 범위에 흡착부(51A)가 배치되었을 때에, 해당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과 연통하는 공간이다. 전환 공간부(S3)는, 고정 드럼(52)의 축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회전 드럼(5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드럼(51)의 축방향을 따라 일렬로 늘어선 각 흡인구멍(51C) 중의 하나와 개별적으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 드럼(52)의 둘레방향을 따른 전환 공간부(S3)의 길이는, 회전 드럼(51)의 회전 방향을 따른 흡인구멍(51C)의 내주측 개구의 간격보다도 짧게 되어 있고, 하나의 전환 공간부(S3)에 대해 2개 이상의 흡인구멍(51C)이 동시에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각 전환 공간부(S3)는, 관통구멍(52A)과 이것에 연통하는 소정의 통기관(63)을 거쳐서 상기 진공 펌프(53)와 접속되어 있다(도 19 참조). 단, 통기관(63)에는, 상기 전자 전환 밸브(5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전자 전환 밸브(54)에 의해, 전환 공간부(S3)에 대해 진공 펌프(53)로부터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와, 전환 공간부(S3)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전환 공간부(S3)의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흡착 포지션(P1)에 배치된 각 흡착부(51A)를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개별적으로 전환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전자 전환 밸브(54)는, 상기 제어 장치(5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자 전환 밸브(54)의 동작은, 제어 장치(56)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 고정 드럼(52)의 외주에는, 발광 수단으로서의 LED(64)가 부압 공간부(S1)에 배치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LED(64)는, 흡착 포지션(P1)으로부터 회수 포지션(P3)까지의 흡착된 정제(5)의 반송 경로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사 포지션(P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LED(64)는, 회전 드럼(51)의 축방향을 따른 흡인구멍(51C)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고정 드럼(52)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LED(64)의 정면에 흡인구멍(51C)이 배치되었을 때, LED(64)로부터의 광이 해당 흡인구멍(51C)을 통해서 회전 드럼(51)의 외부에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드럼(51)의 외부로서, LED(64)와 상대{相對}하는 위치에는, 수광 수단으로서의 수광 센서(65)가 설치되어 있다(도 11 등 참조). 수광 센서(65)는, LED(64)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검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광을 검지하면, 제어 장치(56)에 대해 수광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프트 장치(55)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 드럼(51)의 회전축의 연직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리프트 장치(55)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구동 수단에 의해서, 용기 필름(3)과 접촉해서 이것을 일정량(예를 들면, 1㎜∼3㎜)만큼 들어올리는 위쪽 위치(도 18 참조)와, 용기 필름(3)으로부터 이간한 아래쪽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리프트 장치(55)를 상기 위쪽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흡착 포지션(P1)에 배치된 흡착부(51A)가 정제(5)와 접근하도록(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자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리프트 장치(55)를 상기 아래쪽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흡착 포지션(P1)에 배치된 흡착부(51A)는 정제(5)로부터 이간하도록 되어 있다.
또, 리프트 장치(55)는, 제어 장치(5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리프트 장치(55)의 승강 동작은, 제어 장치(56)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 리프트 장치(55)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필름(3)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회전 롤러(55A, 55B)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롤러(55A, 55B)는, 자유 회전 가능한 종동 롤러이며, 리프트 장치(55)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들어올림 시에는, 그의 외주면이 용기 필름(3)과 접촉한다. 그리고, 회전 롤러(55A, 55B)는 반송되는 용기 필름(3)에의 접촉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또, 양회전 롤러(55A, 55B)의 외주에는, 회전 롤러(55A, 55B)의 둘레방향으로 연장하는 고리모양{環狀}의 홈부{溝部}(55C)가, 회전 롤러(55A, 55B)의 축방향을 따라, 용기 필름(3)의 폭방향을 따른 포켓부(2)의 수와 동일수 설치되어 있다. 회전 롤러(55A, 55B)의 축방향을 따른 홈부(55C)의 형성 간격은, 용기 필름(3)의 폭방향을 따른 포켓부(2)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홈부(55C)의 폭은, 포켓부(2)의 외경보다도 큰 것으로 되고, 홈부(55C)의 깊이는, 포켓부(2)의 높이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리프트 장치(55)를 상기 위쪽 위치에 배치하고, 용기 필름(3)을 들어올린 상태로 했을 때에는, 홈부(55C)에 포켓부(2)가 배치되게 되고, 포켓부(2)의 찌그러짐 변형 등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롤러(55A, 55B)를 상기 아래쪽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도, 홈부(55C)에 포켓부(2)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아래쪽 위치로부터 상기 위쪽 위치까지의 리프트 장치(55)의 이동 거리를 비교적 작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용기 필름(3)의 들어올림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가 있고, 정제(5)의 흡착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56)는, 상기 처리 실행 장치(72)와 마찬가지로, 이른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56)는, 각 검사 장치(T1, D, A)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에 기억된 검사 결과에 관한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56)는, 검사 장치(T1, D, A)로부터 수신한 검사 결과에 관한 정보에 근거해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예정부(7)마다, 상기 정제 번호 J1∼J10으로 지시되는 각 정제(5) 및 시트 부분에 대한, 각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 관한 양부 판정 결과를 특정·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검사 장치(T1, D, A)에서 실행되는 검사 항목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지만, 제어 장치(56)는, 중복되어 있는 검사 항목에 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장치(T1, D, A)에서 불량으로 판정되고 있으면, 해당 검사 항목에 대해서는 불량으로 특정한다. 예를 들면, 검사 항목 X1에서, 어떤 정제(5)가, 검사 장치(T1, D)에서는 양호{良}로 판정되고, 검사 장치(A)에서는 불량{不良}으로 판정된 경우, 제어 장치(56)는, 상기 어떤 정제(5)는 검사 항목 X1에서 불량이라고 특정한다.
또, 제어 장치(56)는, 시트 예정부(7)의 양부 판정 결과(도 20 참조)에 근거해서, 전자 전환 밸브(54) 및 리프트 장치(55)를 제어하고, 불량으로 판정된 시트 예정부(7)로부터 양품의 정제(5)만을 흡착부(51A)에 흡착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 및 리프트 장치(55)를 제어한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제어 장치(56)는, 우선, 시트 예정부(7)의 양부 판정 결과에 근거해서,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 및 리프트 장치(55)의 승강 예정을 설정하는 처리(동작 예정 설정 처리)를 수행한다. 설정된 전자 전환 밸브(54) 및 리프트 장치(55)에 관계된 동작 예정은, 제어 장치(56)에서의 RAM의 동작 예정 테이블(KT)(도 21 참조)에 추가해서 기억된다.
또한, 도 21에서는, 전환 공간부(S3)에 부압이 공급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를 동작시키는 것을 「Y」로 나타내고, 전환 공간부(S3)가 대기에 개방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를 동작시키는 것을 「N」으로 나타낸다. 다시 말해, 정제(5)를 흡착할 때를 「Y」로 나타내고, 정제(5)를 흡착하지 않을 때를 「N」으로 나타낸다. 또, 위쪽 위치에 배치되도록 리프트 장치(55)를 동작시키는 것을 「Y」로 나타내고,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도록 리프트 장치(55)를 동작시키는 것을 「N」으로 나타낸다. 또, 도 21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동작 대상으로 되는 전자 전환 밸브(54)에 대응하는 정제(5)의 정제 번호 J1∼J10을 아울러 나타낸다.
또, 제어 장치(56)는, 소정의 타이밍마다(예를 들면,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이 전환 공간부(S3)에 대해 비연통으로 된 직후의 타이밍마다)에, 동작 예정 테이블(KT)의 데이터를 시프트시킴으로써, 회전 드럼(51)의 축방향에 일렬로 늘어선 흡착부(51A)에 대응하는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 및, 리프트 장치(55)의 승강 예정에 관한 데이터를 소정의 실시 테이블(JT1, JT2)(도 21 참조)에 순차 시프트시킨다.
그런 후, 제어 장치(56)는, 실시 테이블(JT1)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이 전환 공간부(S3)에 도달하기 직전의 타이밍에서, 실시 테이블(JT1)의 데이터에 근거해서, 전자 전환 밸브(54) 및 리프트 장치(55)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전자 전환 밸브(54) 및 리프트 장치(55)의 동작 제어의 실행 타이밍은, 회전 드럼(51)의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결정된다.
또, 제어 장치(56)는, 실시 테이블(JT2)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흡착부(51A)가 검사 포지션(P2)에 도달한 타이밍에서, 실시 테이블(JT2)의 데이터, 및, 수광 센서(65)로부터의 수광 신호의 유무에 근거해서, 흡착 대상의 정제(5)가 흡착부(51A)에 대해 실제로 흡착되어 있는지 여부, 및, 흡착 대상이 아닌 정제(5)가 흡착부(51A)에 대해 잘못해서 흡착되어 있지 않은지 여부 등에 대해서 판정한다. 또한, 흡착 대상의 정제(5)가 흡착부(51A)에 대해 흡착되어 있지 않은 등의 흡착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제어 장치(56)는, 흡착 이상 처리를 실행한다. 흡착 이상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PTP 포장기(11)의 동작을 긴급 정지시키는 처리나, 흡착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를 알리는 처리 등을 들 수가 있다.
그 다음에,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 및 리프트 장치(55)의 승강 예정의 설정 처리(동작 예정 설정 처리), 및, 정제(5)의 흡착 판정에 관한 제어 처리(흡착 판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2를 참조해서, 동작 예정 설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작 예정 설정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 S11에서, 하나의 시트 예정부(7)의 검사 결과(1시트분의 검사 결과)가 각 검사 장치(T1, D, A)로부터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1시트분의 검사 결과가 입력될 때까지 스텝 S11의 처리를 반복하고, 1시트분의 검사 결과가 입력되면(스텝 S11: YES), 스텝 S12로 이행한다.
계속되는 스텝 S12에서는, 검사 장치(T1, D, A)로부터 입력된 검사 결과에 근거해서, 하나의 시트 예정부(7)에서의 각 정제(5) 및 시트 부분의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 관한 양부를 특정한다(도 20 참조).
그 다음에, 스텝 S13에서, 특정된 각 정제(5) 및 시트 부분에 대한 각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 대한 양부에 근거해서, 시트 예정부(7)의 양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정제(5) 및 시트 부분에서, 모든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서 불량 판정이 없는 경우(스텝 S13: YES), 시트 예정부(7)를 양품 시트부로서 특정하고, 계속되는 스텝 S14에서, 통상 동작 설정 처리를 수행하고,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
통상 동작 설정 처리에서는, 양품 시트부로부터 정제(5)를 회수하지 않고, 또한, 리프트 장치(55)를 아래쪽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전자 전환 밸브(54) 및 리프트 장치(55)의 동작 예정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흡착 포지션(P1)에서, 양품 시트부에 대응하는 각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이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일련 번호 LA1로 지시되는 시트 예정부(7)가 양품 시트부인 경우, 이 양품 시트부에 공급된 정제(5)에 대응하는 각 흡착부(51A)에서, 흡인구멍(51C)이 대기에 개방되도록, 대응하는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을 설정한다. 또, 리프트 장치(55)가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도록, 리프트 장치(55)의 승강 예정을 설정한다. 그런 후, 설정된 전자 전환 밸브(54) 및 리프트 장치(55)의 동작 예정을, 동작 예정 테이블(KT)에 추가해서 기억한다.
한편, 스텝 S13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5에서, 불량 판정된 검사 항목이, 검사 항목 Z1 또는 검사 항목 Z2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검사 항목 Z1 또는 검사 항목 Z2에서 불량으로 판정되고 있는 경우(스텝 S15: YES), 스텝 S14로 이행하여, 통상 동작 설정 처리를 수행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상 머리카락」 또는 「시트상 이물」의 검사 항목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불량 시트부에서의 모든 정제(5)가 만일 검사 항목 X1∼X9에서 양호로 판정되고 있더라도, 시트 예정부(7)로부터의 정제(5)의 회수를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어느것인가의 정제(5)에 대해, 머리카락이나 이물이 접촉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검사 항목 Z1, Z2의 쌍방에서 불량으로 판정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5: NO), 스텝 S16으로 이행하여, 불량 판정에 관계된 시트 예정부(7)를 불량 시트부로서 특정한다. 예를 들면, 일련 번호 LA2로 지시되는 시트 예정부(7)에서의 정제(5) 중의 적어도 하나가 불량 판정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시트 예정부(7)를 불량 시트부로서 특정한다.
계속되는 스텝 S17에서는, 특정된 양부에 관한 정보에 근거해서, 회수 동작 설정 처리를 수행하고,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 회수 동작 설정 처리에서는, 흡착 포지션(P1)에서, 불량 시트부에 대응하는 각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 중, 양품 판정된 정제(5)에 대응하는 것에 부압이 공급되는 한편, 불량 판정된 정제(5)에 대응하는 것이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을 설정한다.
또, 설정된 전환 예정에 근거해서, 리프트 장치(55)의 승강 예정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드럼(51)의 축방향에 일렬로 늘어선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 모두가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도록 리프트 장치(55)의 승강 예정을 설정한다. 한편, 상기 일렬로 늘어선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의 적어도 하나에 부압이 공급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위쪽 위치에 배치되도록 리프트 장치(55)의 승강 예정을 설정한다. 그런 후, 설정된 전자 전환 밸브(54) 및 리프트 장치(55)의 동작 예정을, 동작 예정 테이블(KT)에 추가해서 기억한다.
그 다음에, 도 23을 참조해서, 흡착 판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검사 포지션(P2)에 배치된 각 흡착부(51A) 중의 하나를 대상으로 한 판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겠지만, 실제로는, 검사 포지션(P2)에 배치된 각 흡착부(51A) 모두에 대해 마찬가지 판정 처리가 수행된다.
흡착 판정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 S21에서, 흡착부(51A)가 검사 포지션(P2)에 도달했는지 여부, 즉, 판정 타이밍인지 여부를 반복 판정한다. 또한, 판정 타이밍은, 회전 드럼(51)의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판정된다.
판정 타이밍으로 된 경우에는(스텝 S21: YES), 스텝 S22에서, 수광 센서(65)로부터 수광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한다. 수광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22: YES), 스텝 S23으로 이행하고, 수광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22: NO), 스텝 S24로 이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실시 테이블(JT2)의 데이터를 참작하여, 흡인구멍(51C)이 대기에 개방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흡인구멍(51C)이 대기에 개방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23: YES), 스텝 S25로 이행한다. 그리고, 스텝 S25에서, 흡착 대상이 아닌 정제(5)가 잘못해서 흡착된 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다고 해서, 흡착 정상으로 판정하고,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한편,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이 흡인구멍(51C)에 대해 부압을 공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23: NO), 스텝 S26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스텝 S26에서, 흡착 대상의 정제(5)가 흡착되어 있지 않다고 해서, 흡착 이상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또, 스텝 S24에서는, 실시 테이블(JT2)의 데이터를 참작하여, 흡인구멍(51C)이 대기에 개방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흡인구멍(51C)이 대기에 개방되도록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24: YES), 스텝 S26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스텝 S26에서, 흡착 대상이 아닌 정제(5)가 잘못해서 흡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고 해서, 흡착 이상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한편, 전자 전환 밸브(54)의 전환 예정이 흡인구멍(51C)에 대해 부압을 공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24: NO), 스텝 S25로 이행한다. 그리고, 스텝 S25에서, 흡착 대상의 정제(5)가 정상적으로 흡착되어 있다고 해서, 흡착 정상으로 판정하고,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제(5)를 흡착할 때에, 리프트 장치(55)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이 들어올려진 상태로 되고, 정제(5)가 흡착부(51A)에 접근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흡착부(51A)에 의해서 정제(5)를 보다 확실하게 흡착할 수가 있고, 나아가서는 정제(5)를 보다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또, 용기 필름(3)의 반송에 맞추어 회전 가능한 회전 롤러(55A, 55B)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이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들어올림 시에 용기 필름(3)에 상처가 나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PTP 시트(1)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흡착부(51A)에 대해 정제(5)를 접근시킴에 있어서, 중량이 크고, 구조가 복잡한 회전 드럼(51)이나 고정 드럼(52) 등을 상하이동시키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대규모인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제조 등에 관계된 코스트의 저감이나, 보다 안정적이고, 또한, 보다 고속인 동작의 실현 등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정제(5)의 흡착시 이외일 때에는, 흡착부(51A)로부터 정제(5)가 이간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흡착부(51A)의 소모(마모나 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어, 흡착부(51A)를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흡착부(51A)가 정제(5)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됨으로써, 흡착부(51A)의 접촉에 수반하는 정제(5)의 파손이나 오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흡착부(51A) 중 적어도 정제(5)와 접촉하는 부위(벨로즈부(51B))는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 시에 있어서 정제(5)에 주는 부하를 저감할 수가 있어, 정제(5)를 보다 양호한 상태로 회수할 수가 있다. 또한, 흡착부(51A) 중 적어도 정제(5)와 접촉하는 부위를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에 의해 형성하면, 흡착부(51A)의 소모가 진행하기 쉽게 되는 것이 염려되지만, 상기한 대로, 흡착부(51A)의 소모 억제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염려를 불식시킬 수가 있다.
또, 정제(5)를 흡착했을 때에, 벨로즈부(51B)가 줄어드는 것에 의해서 정제(5)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다 저감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정제(5)를 한층 양호한 상태로 회수할 수가 있다. 또, 벨로즈부(51B)가 줄어드는 것에 의해서 포켓부(2)로부터 정제(5)가 들어올려진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포켓부(2)로부터 정제(5)가 나오게 된다. 그 때문에, 포켓부(2)에 정제(5)가 접촉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흡착 미스나 정제(5)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흡인구멍(51C)은 회전 드럼(51)의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흡인구멍(51C)을 형성하기 위해서 회전 드럼(51)을 대형화(대경화)시킬 필요는 없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회전 드럼(51) 및 고정 드럼(52)을 분해한 후에는, 흡인구멍(51C)의 내부나 전환 공간부(S3) 등을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세정 후의 이물의 잔존 확인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어, 편리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흡인구멍(51C)을 통과 가능한 광을 조사하는 LED(64)와, LED(64)로부터의 광을 수광 가능한 수광 센서(65)를 이용한 흡착 판정 처리에 의해, 흡착 대상의 정제(5)가 흡착부(51A)에 흡착되어 있는지, 흡착 대상이 아닌 정제(5)가 흡착부(51A)에 잘못해서 흡착되어 있지 않은지 등에 대한 판정을 정밀도좋게,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 드럼(51)의 회전 방향을 따른 흡착부(51A)의 간격(피치)이 비교적 좁은 경우이더라도, 상기 판정을 정밀도좋게,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LED(64)는 부압 공간부(S1)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LED(64)에 대해, 정제(5)의 깨진 조각 등의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흡착 대상의 정제(5)가 흡착부(51A)에 흡착되어 있는지 등의 판정을 한층 정밀도좋게 수행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흡착 포지션(P1)을 통과하고 나서 회수 포지션(P3)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은 부압 공간부(S1)에 연통하기 때문에, 해당 흡착부(51A)를 보다 확실하게 흡착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정제(5)를 보다 확실하게 흡착한 채로, 회수 포지션(P3)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반송시에 있어서의 정제(5)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어, 정제(5)를 보다 한층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착 포지션(P1) 바로앞에서, 정제(5)를 흡착할 예정인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이 전환 공간부(S3)와 연통한다. 따라서, 흡착 포지션(P1) 바로앞에서 흡인구멍(51C)에 대한 부압의 공급을 개시할 수가 있고, 흡착 포지션(P1)에 도달한 시점에서 흡착부(51A)를 보다 확실하게 흡착 가능 상태로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정제(5)의 흡착 미스를 보다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또, 용기 필름(3)에 대해 커버 필름(4)이 취착되기 전에, 불량으로 판정된 시트 예정부(7)(불량 시트부)로부터, 양품으로 판정된 정제(5)를 흡착하고, 회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양품의 정제(5)를 유효하게 재이용할 수가 있어, 생산 코스트의 억제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필름 이송 롤(20) 및 가열 롤(27)(씰 수단)에 이르기 전에 정제(5)가 흡착되기 때문에, 흡착 대상의 정제(5)에 대해, 반송에 수반하는 진동이 장기간에 걸쳐서 가해져 버리는 것이나, 씰에 수반하는 열 등의 영향이 미쳐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정제(5)를 한층 양호한 상태로 회수할 수가 있어, 회수한 정제(5)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이 양호한 상태의 정제(5)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재이용 전의 회수한 정제(5)의 재검사 등을 생략할 수가 있어, 생산 코스트의 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필름 이송 롤(20) 및 가열 롤(27)(씰 수단)에 이르기 전의 비교적 빠른 단계에서 정제(5)가 회수되기 때문에, 정제(5)에서의 흡습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불량 시트부로부터 양품으로 판정된 정제(5)는 회수되기 때문에, PTP 시트(1)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씰전 검사 장치(22)에 의한 검사 감도를 높였다고 해도, 많은 정제(5)가 소용없게 되어 버린다고 한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스트 증가{비용 상승}를 초래하는 일없이, PTP 시트(1)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량품의 PTP 시트(1)로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물(P)이 검지된 것에 수반하여, 정제(5)가 모두 회수되어, 포켓부(2) 모두가 비어 있는 것이나,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제(5)가 남아 있는 것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포켓부(2)가 빈 불량품의 PTP 시트(1)는, 시트 예정부(7)가 시트 자체의 이상 또는 일부 포켓부(2)에 정제(5)가 수용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이상(이른바 「정제 결락」)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결과, 배출된 것이다. 또, 정제(5)가 남아 있는 불량품의 PTP 시트(1)는, 남아 있는 정제(5)의 이상에 의해 시트 예정부(7)가 불량으로 판정된 결과, 배출된 것이다. 따라서, 배출된 PTP 시트(1)의 상태를 보는 것에 의해, 어떠한 원인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또, 정제(5)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남은 정제(5)나 시트 부분을 보는 것에 의해, 발생한 이상의 특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불량이 발생한 검사 항목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가 있어, 적절한 조치를 조기에 실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좋다. 물론, 이하에서 예시하지 않는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리프트 장치(55)는, 용기 필름(3)을 들어올림 가능한 것이면 좋고, 그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으로부터 외주까지의 거리가 증감하는 편심 롤러(81A, 81B)를 구비하고, 용기 필름(3)의 들어올림 시에, 상기 편심 롤러(81A, 81B)가 회전함으로써, 해당 편심 롤러(81A, 81B)에 의해 용기 필름(3)이 들어올려지도록 리프트 장치(81)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리프트 장치(81)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보다 고속인 동작 등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는, 편심 롤러(81A, 81B)가 용기 필름(3)의 반송 속도에 맞추어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 필름(3)에 상처가 나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PTP 시트(1)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수 포지션(P3)에서, 흡착부(51A)의 흡인구멍(51C)이 대기에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해당 흡인구멍(51C)에 대해 정압{正壓}이 공급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흡착부(51A)에 의한 정제(5)의 흡착을 보다 확실하게 해제할 수가 있어, 정제(5)를 보다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c) PTP 시트(1)에서의 포켓부(2)의 배열이나 개수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2열, 10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3열 12개의 포켓부를 가지는 타입을 비롯해서, 여러가지 배열, 개수로 이루어지는 PTP 시트를 채용할 수가 있다.
또, PTP 필름(6)은, 그의 폭방향을 따라 1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그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 PTP 시트(1)나 PTP 필름(6)의 형상 변경에 맞추어, 회전 드럼(51) 등의 형상(외경 등)이나 흡착부(51A)의 수, 배치 등을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불량 판정된 시트 대응부(7)로부터 양품의 정제(5)를 회수하기 위해서, 픽업 장치(23)가 이용되고 있지만, 픽업 장치(23)의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픽업 장치(23)는, 여러 가지 용도로 이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픽업 장치(23)는, 소정의 포켓부를 굳이 비운 상태로 해두고 싶은 경우에도 이용할 수가 있다.
(e) 상기 실시 형태에서, 시트 예정부(7)에서의 정제(5)의 흡착 및 비흡착은, 해당 시트 예정부(7)의 양부에만 근거해서 결정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시트 예정부(7)에서의 정제(5)의 흡착 및 비흡착을, 해당 시트 예정부(7) 자체의 양부와, 해당 시트 예정부(7)의 전후(직상류{直上流} 및 직하류{直下流})에 위치하는 시트 예정부(7)의 양부에 근거해서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어떤 시트 예정부(7)의 전후에 위치하는 시트 예정부(7)가 소정의 검사 항목(예를 들면, 검사 항목 Z1, Z2)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어떤 시트 예정부(7)의 양부에 관계없이, 해당 어떤 시트 예정부(7)에서의 정제(5)의 흡착을 중지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정제(5)를 흡착할 때에, 인접하는 불량 판정된 시트 예정부(7)의 이물 등이 흡착부(51A)에 흡착되어 버린다고 한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수된 정제(5)에서의 안전성 등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f)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이 정제(5)인 경우에 대해서 구체화하고 있지만, 물품의 종별, 형상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식품이나 전자 부품, 의료 기구 등, 물품이 정제(5)와는 다른 것이더라도 좋다.
(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필름(3)이 PP나 PVC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커버 필름(4)이 알루미늄박 등을 기재{基材; base material}로 해서 형성되어 있지만, 각 필름(3, 4)의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재질의 것을 채용해도 좋다.
(h) 상기 실시 형태에서, 회수된 정제(5)는 정제 회수 상자(61)에 회수되도록 되어 있지만, 회수된 정제(5)가 정제 충전 장치(21) 측으로 직접 되돌려보내짐과 동시에, 되돌려보내진 정제(5)가 정제 충전 장치(21)에 의해서 포켓부(2)에 충전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회수한 정제(5)를 정제 충전 장치(21) 측으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작업이 불필요해져,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i) 각 검사 장치(T1, D, A)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검사 항목은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j)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검사 항목 Z1 또는 검사 항목 Z2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 정제(5)를 회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이더라도, 정제(5)를 회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각 검사 항목에서의 양부 판정 결과와, 회수 대상으로서 결정되는 정제(5)의 관계를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k) 정제 충전 장치(21)로부터 회전 드럼(51)까지의 사이에서, 용기 필름(3)을 외기{外氣}보다도 저습{低濕} 분위기 하에서 반송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정제(5)의 흡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어, 재이용되는 정제(5)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담보할 수가 있다.
또한, 저습 분위기 하로 하는 것은, 예를 들면, 정제 충전 장치(21) 및 회전 드럼(51) 사이에서의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소정의 케이스로 덮음과 동시에, 해당 케이스 내에 외기보다도 저습의 가스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1…PTP 시트(브리스터 시트), 2…포켓부, 3…용기 필름, 4…커버 필름, 5…정제(물품), 6…PTP 필름(브리스터 필름), 7…시트 예정부, 11…PTP 포장기(브리스터 포장기), 20…필름 받침 롤(씰 수단), 21…정제 충전 장치(충전 수단), 22…씰전 검사 장치(검사 수단), 23…픽업 장치, 27…가열 롤(씰 수단), 37…시트 타발 장치(타발 수단), 51…회전 드럼, 51A…흡착부, 51B…벨로즈부, 51C…흡인구멍, 52…고정 드럼, 53…진공 펌프(부압 공급 수단), 54…전자 전환 밸브(흡착 상태 전환 수단), 55…리프트 장치(리프트 수단), 55A, 55B…회전 롤러, 56…제어 장치(흡착 대상 결정 수단, 리프트 제어 수단, 흡착 양부 판정 수단), 64…LED(발광 수단), 65…수광 센서(수광 수단), S1…부압 공간부, S3…전환 공간부.

Claims (12)

  1. 소정의 물품이 충전된 포켓부를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띠모양{帶狀}의 용기 필름의 위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복수의 흡착부를 외주에 가지고, 또한, 반송되는 상기 용기 필름에 맞추어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각 흡착부를 개별적으로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切換; switch} 가능하고, 소정의 흡착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를 흡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흡착부에 대해 상기 물품이 흡착되는 한편, 상기 흡착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를 비흡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흡착부에 대해 상기 물품이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을 구비한 픽업 장치로서,
    상기 흡착부에 의한 흡착 대상으로 되는 상기 물품을 결정하는 흡착 대상 결정 수단과,
    상기 용기 필름을 상기 회전 드럼 측으로 들어올림 가능하게 구성된 리프트 수단과,
    상기 리프트 수단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리프트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프트 수단은, 상기 흡착부에 의한 흡착 대상의 상기 물품의 흡착 시에, 상기 용기 필름을 들어올려, 흡착 대상의 상기 물품을 상기 흡착부에 접근시킨 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흡착시 이외일 때에,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물품을 이간{離間}시킨 상태로 하도록 상기 리프트 제어 수단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수단은, 상기 용기 필름의 반송에 맞추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용기 필름을 들어올릴 때에 외주면이 상기 용기 필름에 접촉하는 회전 롤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이 돌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통모양{筒狀}의 벨로즈부{蛇腹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이 돌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통모양의 벨로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방사상{放射狀}으로 연장하는 흡인구멍을 가지고,
    상기 회전 드럼은, 그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모양{圓筒狀}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흡인구멍이 내주로부터 외주로 관통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내주에 이동 불능인 상태로 배설{配設}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의 상기 흡인구멍과 개별적으로 연통{連通} 가능하게 구성된 외주 측으로 개구하는 전환 공간부를 가지는 원통모양의 고정 드럼과,
    상기 전환 공간부에 대해 부압{負壓}을 공급 가능한 부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은,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전환 공간부에 대한 부압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흡착부를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흡인구멍을 가지고,
    상기 회전 드럼은, 그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모양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흡인구멍이 내주로부터 외주로 관통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내주에 이동 불능인 상태로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의 상기 흡인구멍과 개별적으로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 외주 측으로 개구하는 전환 공간부를 가지는 원통모양의 고정 드럼과,
    상기 전환 공간부에 대해 부압을 공급 가능한 부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은,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전환 공간부에 대한 부압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흡착부를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흡인구멍을 가지고,
    상기 회전 드럼은, 그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모양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흡인구멍이 내주로부터 외주로 관통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내주에 이동 불능인 상태로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의 상기 흡인구멍과 개별적으로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 외주 측으로 개구하는 전환 공간부를 가지는 원통모양의 고정 드럼과,
    상기 전환 공간부에 대해 부압을 공급 가능한 부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은,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전환 공간부에 대한 부압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흡착부를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흡인구멍을 가지고,
    상기 회전 드럼은, 그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모양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흡인구멍이 내주로부터 외주로 관통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내주에 이동 불능인 상태로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의 상기 흡인구멍과 개별적으로 연통 가능하게 구성된 외주 측으로 개구하는 전환 공간부를 가지는 원통모양의 고정 드럼과,
    상기 전환 공간부에 대해 부압을 공급 가능한 부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은,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전환 공간부에 대한 부압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흡착부를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인구멍을 통과해서 상기 회전 드럼의 외부에 광을 조사 가능한 발광 수단과,
    상기 회전 드럼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검지 가능한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에서의 검지 결과에 근거해서, 상기 흡착부에 대한 상기 물품의 흡착에 관한 양부{良否}를 판정하는 흡착 양부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드럼은, 항상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포지션을 통과하고 나서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물품의 회수를 수행하는 회수 포지션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해당{當該} 흡착부의 상기 흡인구멍과 연통하는 부압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부압 공간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공간부는, 상기 흡착 포지션 바로앞에 상기 흡착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해당 흡착부의 상기 흡인구멍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픽업 장치와,
    상기 회전 드럼의 상류 측에서, 상기 포켓부에 대해 상기 물품을 충전{充塡}하는 충전 수단과,
    상기 회전 드럼의 하류 측에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띠모양의 커버 필름을 취착{取着}하고,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취착되어 이루어지는 브리스터 필름을 얻는 씰{seal} 수단과,
    해당 씰 수단의 하류 측에서, 상기 브리스터 필름을 시트 단위로 타발{打拔; punching}해서 소정의 브리스터 시트를 얻는 타발 수단과,
    상기 충전 수단 및 상기 회전 드럼 사이에 위치하는, 최종적으로 상기 브리스터 시트로 되는 시트 예정부에 대해, 상기 물품의 양부에 관계된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검사 항목에 대해서 양부 판정을 수행하는 검사 수단을 구비한 브리스터 포장기로서,
    상기 검사 수단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검사 항목에 대해서 불량으로 판정된 상기 시트 예정부를 불량 시트부로 했을 때,
    상기 흡착 대상 결정 수단은, 상기 불량 시트부의 상기 포켓부에 충전된 상기 물품 중, 상기 검사 수단에 의해 상기 물품의 양부에 관계된 항목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것을 흡착 대상으로서 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스터 포장기.
KR1020160087420A 2016-02-04 2016-07-11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KR101838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0105 2016-02-04
JP2016020105A JP6397836B2 (ja) 2016-02-04 2016-02-04 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052A true KR20170093052A (ko) 2017-08-14
KR101838977B1 KR101838977B1 (ko) 2018-03-16

Family

ID=5953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420A KR101838977B1 (ko) 2016-02-04 2016-07-11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97836B2 (ko)
KR (1) KR101838977B1 (ko)
CN (1) CN1070318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5662B1 (ja) * 2018-05-30 2019-10-23 Ckd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7083719B2 (ja) * 2018-07-25 2022-06-13 Ckd株式会社 Ptpシートの製造方法
CN109230483B (zh) * 2018-08-20 2020-06-02 广州奔力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缓冲固定装置
CN108996135B (zh) * 2018-08-20 2020-08-18 湖南丰晟国际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缓冲固定装置的使用方法
CN111409911B (zh) * 2020-04-09 2020-11-20 东阳市聚铕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剔除面膜空袋的检测装置
JP7344235B2 (ja) * 2021-01-27 2023-09-13 Ckd株式会社 ブリスタ包装機
DE102022121154A1 (de) 2022-08-22 2024-02-22 Khs Gmbh Greifer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352Y1 (ko) * 1970-09-21 1974-02-14
JPH0249967B2 (ja) * 1982-12-29 1990-10-31 Tetra Pak Int Hansobutsupintensoyobaketsutohoiiruhenohansobutsupinoshiagekyokyusochi
US4753061A (en) * 1986-06-20 1988-06-28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ackaging chip components
US5040353A (en) 1990-07-26 1991-08-20 Glaxo Inc. System for inspecting and recycling goods from defective packages on a blister packaging machine
US5442892A (en) * 1994-01-14 1995-08-22 Glaxo Inc. System for facilitate recycling goods from defective packages on a blister packaging machine
EP0915014A1 (en) * 1997-11-05 1999-05-12 Ackley Machin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indicia on pellet shaped pharmaceutical articles and orienting same within blistered packaging
JP2001219908A (ja) * 2000-02-09 2001-08-14 Ckd Corp 充填装置及びptp包装機
IT1321226B1 (it) * 2000-06-05 2003-12-31 Ima Spa Dispositivo per il recupero di prodotti in esubero da un nastroalveolato in una macchina blisteratrice .
ITBO20020389A1 (it) 2002-06-18 2003-12-18 Gd Spa Unita a magazzino per prodotti di forma sostanzialmente parallelepipeda
AU2011226737B2 (en) * 2010-03-11 2016-12-15 Manrex Pty. Ltd. Blister sheet loading apparatus with bounce prevention means
CN201816749U (zh) * 2010-09-02 2011-05-04 玉环联达模具厂 一种胰岛素针热封装配机
BR112013027681B1 (pt) * 2011-04-28 2022-07-26 Qualysense Ag Aparelho para classificação de partículas em classes de qualidade e método para classificação de partículas em classes de qualidade
JP6274575B2 (ja) 2014-09-19 2018-02-07 株式会社イシダ 箱詰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977B1 (ko) 2018-03-16
JP2017137101A (ja) 2017-08-10
JP6397836B2 (ja) 2018-09-26
CN107031882B (zh) 2019-06-04
CN107031882A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977B1 (ko)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KR101994830B1 (ko) Ptp 포장기
CN106802304B (zh) 外观检查装置
KR101648820B1 (ko) Ptp 포장기
CN111033241B (zh) 外观检查装置和泡罩包装机
JP5526183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3793217B1 (ja) 画像解析検査用コンベヤ、製品検査用ベルト及び画像解析検査の検査精度向上方法
KR101849669B1 (ko)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JP7142521B2 (ja) Ptp包装機
JP5993358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WO2022215296A1 (ja) 検査装置、ブリスター包装機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JP4472499B2 (ja) 不良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7322252B2 (ja) Ptp包装機
JP2017189749A (ja) 物品選別装置
JP7034111B2 (ja) 検査装置、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8179568A (ja) 検査装置、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の製造方法
JP6347614B2 (ja) 封緘体フラップ検査装置
JP7542022B2 (ja) ブリスタ包装機
WO2020059214A1 (ja) 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CN111225183A (zh) 检查装置远程对应系统
JP2018021759A (ja) 検査システム及びptp包装機
JP2021021564A (ja) 外観検査装置及び包装シート製造装置並びに外観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