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830B1 - Ptp 포장기 - Google Patents
Ptp 포장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4830B1 KR101994830B1 KR1020187007780A KR20187007780A KR101994830B1 KR 101994830 B1 KR101994830 B1 KR 101994830B1 KR 1020187007780 A KR1020187007780 A KR 1020187007780A KR 20187007780 A KR20187007780 A KR 20187007780A KR 101994830 B1 KR101994830 B1 KR 1019948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ly
- contents
- adsorption
- upstream
- downstre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65B57/145—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for fluen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61J1/035—Blister-typ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6—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 B65B35/08—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using pocketed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tary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wrapping materials, containers, or pack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6—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stop, or to control the speed of, the machine as a wh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5—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single articles, e.g. tab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65G29/02—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for inclined or vertical trans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양품의 내용물을 쓸데없게{소용없게} 하지 않고 이용하는 것 등이 가능하고, 또한, 장치의 간소화나 각종 코스트의 억제를 도모할 수가 있는 PTP 포장기를 제공한다.
충전 장치는, 내용물로서의 정제(5)를 포켓부(2)에 충전하기 위한 하류측 회전 드럼(58)을 구비한다. 하류측 회전 드럼(58)은 하류측 흡착부(58A)를 가지고,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한 정제(5)의 흡착 상태가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PTP 시트로 될 시트 예정부에 공급되는 정제(5)가 불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하류측 흡착부(58A)가 흡착 상태로 됨으로써, 이 시트 예정부의 포켓부(2)에 대해 양품의 정제(5)는 충전되지 않고 하류측 흡착부(58A)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해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 정제(5)는, 다음번 이후의 충전시에 이용된다.
충전 장치는, 내용물로서의 정제(5)를 포켓부(2)에 충전하기 위한 하류측 회전 드럼(58)을 구비한다. 하류측 회전 드럼(58)은 하류측 흡착부(58A)를 가지고,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한 정제(5)의 흡착 상태가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PTP 시트로 될 시트 예정부에 공급되는 정제(5)가 불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하류측 흡착부(58A)가 흡착 상태로 됨으로써, 이 시트 예정부의 포켓부(2)에 대해 양품의 정제(5)는 충전되지 않고 하류측 흡착부(58A)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해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 정제(5)는, 다음번 이후의 충전시에 이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PTP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PTP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PTP 시트는, 정제{錠劑} 등의 내용물이 충전되는 포켓부를 가지는 용기 필름과, 용기 필름에 대해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부착{取着; attach}되는 커버 필름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용기 필름은 투명한 수지 등에 의해서 형성되고, 커버 필름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등으로 형성된다.
또, PTP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PTP 포장기는, 반송{搬送}되는 띠모양{帶狀}의 용기 필름에 대해 오목모양{凹狀}의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수단, 포켓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수단, 용기 필름에 대해 커버 필름을 부착하는 씰 수단, 및, 용기 필름 및 커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띠모양의 PTP 필름을 PTP 시트 단위로 펀칭{打拔; punching}하는 펀칭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PTP 포장기에서는, 용기 필름의 반송 경로 등 내용물의 이동 경로를 따라 검사 수단이 설치된다. 검사 수단에서는, 예를 들면, 포켓부에 대한 내용물의 충전 유무, 내용물의 갈라짐{割; 균열, 금}이나 깨짐{缺; 조각, 파편} 등의 외관 이상{異常}에 관한 검사가 수행된다.
종래, 검사 수단에 의해 불량 판정된 시트 예정부(펀칭 후, PTP 시트로 되는 부위)를 시트 단위로 펀칭한 후, 소정의 배출 수단에 의해 불량품의 PTP 시트를 배출하는 수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 참조).
또, 씰 수단의 상류에, 포켓부에 대한 내용물의 충전 유무를 판정하는 검사 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해당{當該} 검사 수단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에, 해당 불량 판정에 관계된 시트 예정부의 포켓부로부터 충전된 내용물을 빨아내어{吸出} 회수하고, 회수한 내용물을 재이용한다고 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등 참조).
그렇지만, 전자{前者}의 수법에서는, 불량품으로서 배출된 PTP 시트(불량 시트)에, 양품{良品}의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양품의 내용물을 포함하는 불량 시트를 그대로 폐기해 버리면, 양품의 내용물이 쓸데없게{소용없게} 되어, 생산 코스트{비용}의 증대를 초래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불량 시트로부터 양품의 내용물을 꺼내어{取出} 회수한다고 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이 경우에는, 회수에 수고{手間; 노력 또는 인력과 시간}가 들고, 또, 꺼낼 때에 내용물이 파손해 버리는 것이 염려된다.
또, 후자{後者}의 수법에서는, 내용물을 한 번{一度} 충전하고 나서 회수하기 때문에, 충전시나 회수시에 내용물에 데미지가 가해져 버려, 내용물의 파손을 초래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내용물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복잡화나 대형화, 각종 코스트의 증대 등을 일으켜 버리는 것도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내용물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수고가 드는 일없이, 양품의 내용물을 쓸데없게 하지 않고 이용할 수가 있으며, 또한, 장치의 간소화나 각종 코스트의 억제를 도모할 수가 있는 PTP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데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목분류하여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반송되는 띠모양의 용기 필름에 형성된 포켓부에 소정의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수단과,
해당 충전 수단의 하류에서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띠모양의 커버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띠모양의 PTP 필름을 얻는 씰 수단과,
해당 씰 수단의 하류에서 상기 PTP 필름에서의 최종적으로 소정의 PTP 시트로 될 부위인 시트 예정부를 펀칭함으로써, 상기 PTP 시트를 얻는 펀칭 수단을 구비한 PTP 포장기로서,
상기 충전 수단은,
상기 내용물을 흡착{吸着}할 수 있는 복수의 흡착부를 외주에 가짐과 동시에, 자신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흡착부가 소정의 공급 포지션으로부터 소정의 충전 포지션을 거쳐 상기 공급 포지션으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된 회전 드럼과,
상기 공급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에 대한 상기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切換}할 수 있는 공급 전환 수단을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공급 수단과,
상기 각 흡착부를 개별적으로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충전 포지션에서 상기 흡착부를 비흡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포켓부에 대해 상기 내용물이 충전되는 한편, 상기 충전 포지션에서 상기 흡착부를 흡착 상태로 유지{維持}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켓부에 대해 상기 내용물이 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흡착 상태 전환 수단과,
상기 흡착부가 상기 충전 포지션에 이르기 전의 단계{段階}에서, 해당 흡착부에 흡착된, 또는, 해당 흡착부에 흡착될 예정의 상기 내용물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해당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내용물에서의 외관의 양부{良否}를 판정하는 양부 판정 수단과,
해당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흡착 상태 제어 수단과,
상기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공급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공급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해 불량 판정이 이루어진 상기 내용물의 충전 대상으로 되는 상기 포켓부를 가지는 상기 시트 예정부를, 불량 시트부로 했을 때,
상기 흡착 상태 제어 수단은, 상기 불량 시트부의 상기 포켓부를 충전 대상으로 하는 상기 내용물 중 상기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해 양품 판정된 것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를, 적어도 상기 충전 포지션에서 흡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공급 포지션에서, 상기 양품 판정된 상기 내용물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에 대해 상기 내용물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공급 전환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수단 2. 상기 흡착 상태 제어 수단은, 상기 불량 시트부의 상기 포켓부를 충전 대상으로 하는 상기 내용물 중 상기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해 불량 판정된 것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를, 적어도 상기 충전 포지션에서 비흡착 상태로 하도록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PTP 포장기.
수단 3.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내용물을 흡착할 수 있는 복수의 상류측 흡착부를 외주에 가지고, 상기 공급 포지션에서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내용물을 상기 흡착부에 대해 건네주{受渡}도록 구성된 상류측 회전 드럼을 가지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내용물에서의 적어도 피흡착면과는 반대측 면을 촬상하는 제1 촬상 수단과,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내용물에서의 적어도 피흡착면과는 반대측 면을 촬상하는 제2 촬상 수단을 가지고,
상기 상류측 흡착부로부터 상기 흡착부로의 상기 내용물의 건네줌에 수반하여, 상기 내용물의 피흡착면이 표리 반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또는 2에 기재된 PTP 포장기.
수단 4. 상기 공급 수단은, 소정의 슛{shoot} 대응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대해 상기 내용물을 공급하는 공급 슛을 가지고,
상기 공급 전환 수단은, 상기 공급 슛으로부터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대한 상기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공급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에 대한 상기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촬상 수단은, 상기 흡착부가 소정의 촬상 포지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내용물을 촬상하고,
하나의 상기 시트 예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 모두가 상기 촬상 포지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하나의 상기 시트 예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 중의 적어도 1개가 상기 공급 포지션에 도달하기까지 요하는 시간은, 상기 상류측 흡착부가 상기 슛 대응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공급 포지션에 도달하기까지 요하는 시간보다도 큰 것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3에 기재된 PTP 포장기.
수단 5. 상기 제1 촬상 수단 및 상기 제2 촬상 수단은, 각각 상기 내용물에서의 상기 흡착부에 의한 피흡착면과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의한 피흡착면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을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3 또는 4에 기재된 PTP 포장기.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해서 불량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충전 포지션에서, 이 불량 판정에 관계된 내용물이 공급될 예정인 시트 예정부(불량 시트부)에 대해, 양품의 내용물은 공급되지 않고, 흡착부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펀칭 후의 불량 시트에는, 양품의 내용물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양품의 내용물을 재이용하기 위해서, 불량 시트로부터 양품의 내용물을 꺼낸다고 하는 필요도 없고, 또, 불량 시트가 그대로 폐기되었다고 해도 양품의 내용물이 쓸데없게{소용없게} 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양품의 내용물을 흡착 보존유지{保持}한 흡착부는,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다시 공급 포지션 및 충전 포지션으로 이동해 가지만, 해당 흡착부에 대해 공급 포지션에서 새로운 내용물이 공급되는 일없이, 해당 흡착부는 양품의 내용물을 흡착 보존유지한 채 충전 포지션으로 이동해 간다. 그리고, 이 양품의 내용물의 공급 대상이 되는 시트 예정부를 공급 대상으로 하는 그 밖의{其他} 내용물에 불량이 없는 경우, 충전 포지션에서, 이 양품의 내용물이 포켓부에 충전된다. 즉, 불량 시트부에 관계된 양품의 내용물은, 포켓부에 대한 충전이나 포켓부로부터의 회수 등이 행해지는 일없이, 충전 포지션에서 그대로 흡착 보존유지되어, 다음번 이후{以降}의 충전시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내용물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수고를 들이는 일없이, 양품의 내용물을 쓸데없게 하지 않고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내용물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의 간소화나 각종 코스트의 억제를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불량 시트부에 대해, 양품의 내용물은 공급되지 않고, 불량의 내용물만이 공급된다. 따라서, 불량 시트에서는, 불량의 내용물만이 충전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충전된 내용물을 보는 것에 의해, 생긴 이상{異常}의 특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불량이 생긴 검사 항목 등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가 있어, 적절한 조치를 조기에 실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불량의 내용물을 별도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가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나 각종 코스트의 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내용물의 표리 양면을 촬상할 수가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양부 판정을 보다 정밀도좋게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공급 전환 수단은, 공급 슛으로부터 상류측 흡착부에 대한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함으로써, 공급 포지션에 배치된 흡착부에 대한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수단 3을 만족시키면서, 흡착부에 대한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소정의 흡착부에 대해 내용물을 건네주게 되는 소정의 상류측 흡착부가 슛 대응 포지션에 도달하기 전에, 충전 포지션에서의 상기 소정의 흡착부에 흡착되어 있는 내용물의 흡착 상태의 유지 또는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소정의 상류측 흡착부가 슛 대응 포지션에 도달하기 전에, 해당 소정의 상류측 흡착부에 대한 내용물의 공급 또는 비공급을 보다 확실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공급 전환 수단을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내용물의 표면 및 이면(양{兩}피흡착면)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측면에 관해서도 검사를 수행할 수가 있어, 양부 판정의 정밀도를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또, 측면의 양부 판정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양부 판정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검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 PTP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 PTP 필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PTP 포장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 본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 상류측 드럼의 일부 파단{破斷} 사시도이다.
[도 7] 상류측 드럼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8] 상류측 회전 드럼의 외주면{外周面}의 전개 모식도이다.
[도 9] 하류측 드럼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0] 하류측 드럼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1] 하류측 회전 드럼의 외주면의 전개 모식도이다.
[도 12] 각 공간부와 진공 펌프 등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 검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 양부 판정 결과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시트 예정부에서의 일련 번호 및 정제 번호 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 흡착 전환 예정 테이블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 공급 전환 예정 테이블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 흡착 전환 예정 테이블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 공급 전환 예정 테이블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 동작 예정 설정 처리의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21] 불량품으로서 배출되는 PTP 시트의 1예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22] 다른{別} 실시 형태에서의 본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3]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본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4] 프리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 PTP 필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PTP 포장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 본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 상류측 드럼의 일부 파단{破斷} 사시도이다.
[도 7] 상류측 드럼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8] 상류측 회전 드럼의 외주면{外周面}의 전개 모식도이다.
[도 9] 하류측 드럼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0] 하류측 드럼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1] 하류측 회전 드럼의 외주면의 전개 모식도이다.
[도 12] 각 공간부와 진공 펌프 등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 검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 양부 판정 결과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시트 예정부에서의 일련 번호 및 정제 번호 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 흡착 전환 예정 테이블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 공급 전환 예정 테이블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 흡착 전환 예정 테이블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 공급 전환 예정 테이블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 동작 예정 설정 처리의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21] 불량품으로서 배출되는 PTP 시트의 1예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22] 다른{別} 실시 형태에서의 본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3]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본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4] 프리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에,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PTP 시트(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TP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해서 용기 필름(3)에 부착{取着; attach}된 커버 필름(4)을 가지고 있다.
용기 필름(3)은, 예를 들면, PP(폴리 프로필렌)나 PVC(폴리 염화 비닐) 등의 비교적 경질{硬質}이며 소정의 강성{剛性}을 가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커버 필름(4)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란트가 표면에 도포된 불투명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PTP 시트(1)는, 평면에서 보아{平面視} 대략 직사각형모양{矩形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트 긴쪽 방향을 따라 배열된 5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지는 포켓열이, 시트 짧은쪽 방향으로 2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합계 10개의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에는, 내용물로서의 정제(5)가 1개씩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정제(5)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모양{圓形狀}의 원반모양{圓盤狀}을 이루며, 측면(5A)과, 해당{當該} 측면(5A)을 사이에 두는{挾; 협지하는} 평탄모양{平坦狀}의 표면(5B) 및 이면(5C)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PTP 시트(1)는, 띠모양{帶狀}의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으로 형성된 띠모양의 PTP 필름(6)(도 3 참조)이 펀칭{打拔; punching}됨으로써, 시트모양으로 제조된다.
다음에, 상기 PTP 시트(1)를 제조하기 위한 PTP 포장기(11)의 개략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PTP 포장기(11)의 최상류측에서는, 띠모양의 용기 필름(3)의 원단{原反; orignal, raw}이 롤모양으로 권회{捲回; wind around}되어 있다. 롤모양으로 권회된{감긴} 용기 필름(3)의 인출단{引出端}측은, 가이드 롤(13)에 안내되고 있다. 용기 필름(3)은, 가이드 롤(13)의 하류측에서 간헐 이송 롤(14)에 걸어 장착{掛裝}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14)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 롤(13)과 간헐 이송 롤(14)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가열 장치(15) 및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차례로 배설{配設}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장치(15)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이 가열되어 그 용기 필름(3)이 비교적 유연하게 된 상태에서,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가 성형된다. 포켓부(2)의 성형은, 간헐 이송 롤(14)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간의 인터벌 시에 수행된다.
간헐 이송 롤(14)로부터 내보내진{송출된} 용기 필름(3)은, 텐션 롤(18), 가이드 롤(19) 및 필름 받침 롤(20)의 순으로 걸어 장착되어 있다. 필름 받침 롤(20)은, 일정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필름(3)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텐션 롤(18)은, 용기 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緊張}하는 측으로 잡아당긴{인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14)과 필름 받침 롤(20)의 반송 동작의 상위{相違}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느슨해짐{弛; slack}을 방지하여 용기 필름(3)을 상시{常時} 긴장 상태로 보존유지{保持}한다. 이것에 의해, 용기 필름(3)은, 텐션 롤(18) 및 필름 받침 롤(20) 사이에서, 정지하는 일없이 연속 반송된다.
가이드 롤(19)과 필름 받침 롤(20)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충전{充塡} 수단으로서의 충전 장치(21)와 씰전 검사 장치(22)가 이 순서로 배설되어 있다.
충전 장치(21)는, 포켓부(2)에 정제(5)를 자동적으로 충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충전 장치(21)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기술{詳述}한다.
씰전 검사 장치(22)는, 예를 들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확실하게 충전되어 있는지 여부, 정제(5)의 이상{異常} 유무, 포켓부(2)로의 이물{異物} 혼입 유무 등, 주로 정제 불량에 관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띠모양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최상류측에서 롤모양으로 권회되어{감겨} 있다.
롤모양으로 권회된 커버 필름(4)의 인출단은, 가이드 롤(25)에 의해서 가열 롤(26) 쪽으로 안내되고 있다. 가열 롤(26)은, 상기 필름 받침 롤(20)에 압접{壓接}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양{兩}롤(20, 26) 사이로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들여보내지도록{송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양롤(20, 26) 사이를 가열 압접 상태로 통과하는 것에 의해,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이 붙여 부착{貼着}되고, 포켓부(2)가 커버 필름(4)으로 막힌다{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충전된 PTP 필름(6)이 제조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 받침 롤(20) 및 가열 롤(26)에 의해 씰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필름 받침 롤(20)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 롤(27) 및 간헐 이송 롤(28)의 순으로 걸어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28)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27)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필름 받침 롤(20)과 간헐 이송 롤(28)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PTP 필름(6)의 느슨해짐을 방지하여 PTP 필름(6)을 상시 긴장 상태로 보존유지한다.
필름 받침 롤(20)과 텐션 롤(27)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씰후 검사 장치(29)가 배설되어 있다. 이 씰후 검사 장치(29)는, 주로 커버 필름(4)에서의 균열이나 파단 등의 파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간헐 이송 롤(28)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 롤(31) 및 간헐 이송 롤(32)의 순으로 걸어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2)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31)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간헐 이송 롤(28, 32) 사이에서의 PTP 필름(6)의 느슨해짐을 방지한다.
간헐 이송 롤(28)과 텐션 롤(31)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슬릿 형성 장치(33) 및 각인 장치(34)가 배설되어 있다. 슬릿 형성 장치(33)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에 절리{切離}용 슬릿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각인 장치(34)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태그부)에 각인을 새기는{부가하는} 기능을 가진다.
간헐 이송 롤(32)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그의 하류측에서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의 순으로 걸어 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2)과 텐션 롤(35)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펀칭 수단으로서의 시트 펀칭 장치(37)가 배설되어 있다. 시트 펀칭 장치(37)는, PTP 필름(6)에서의 최종적으로 PTP 시트(1)로 되는 부위인 시트 예정부(7)(도 15 참조)의 바깥가장자리{外緣}를 펀칭하는 기능을 가진다.
시트 펀칭 장치(37)에 의해서 펀칭된 PTP 시트(1)는, 취출{取出; taking-out} 컨베이어(38)에 의해서 반송되고, 완성품용 호퍼(39)에 일단 저류{貯留}된다. 또한, 상기 각 검사 장치(22, 29)에 의해서 불량품으로 판정된 PTP 시트(1)(불량 시트)는, 도시하지 않는 불량 시트 배출 기구에 의해서 별도로 배출된다.
상기 연속 이송 롤(36)의 하류측에는, 재단 장치(41)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펀칭 장치(37)에 의한 펀칭 후에 띠모양으로 남은 잔재부{殘材部}(스크랩부)를 구성하는 불필요{不要} 필름부(42)는, 상기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로 안내된 후, 재단 장치(41)로 인도된다. 또한, 상기 연속 이송 롤(36)은 종동{從動} 롤이 압접되어 있고, 상기 불필요 필름부(42)를 협지{挾持; 사이에 끼워 유지}하면서 반송 동작을 수행한다. 재단 장치(41)는, 불필요 필름부(42)를 소정 치수로 재단하고 스크랩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스크랩은 스크랩용 호퍼(43)에 저류된 후, 별도로 폐기 처리된다.
또한, 상기 각 롤(14, 19, 20, 28, 31, 32 등)은, 그 롤 표면과 포켓부(2)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지만, 각 롤(14 등)의 표면에는, 포켓부(2)가 수용될 오목부{凹部; recess}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포켓부(2)가 찌그러져{潰} 버리는 일이 없다. 또, 포켓부(2)가 각 롤(14 등)의 오목부에 수용되면서 이송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간헐 이송 동작이나 연속 이송 동작이 확실하게 수행된다.
그 다음에, 충전 장치(2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충전 장치(21)는, 본체 장치(51), 외관 검사 장치(71) 및 제어 장치(81)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본체 장치(5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 장치(5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류부(52), 공급 슛(53), 상류측 드럼(54) 및 하류측 드럼(57)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은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저류부(52)는, 정제(5)를 저류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이곳으로부터 공급 슛(53)으로 정제(5)가 순차{順次} 공급된다.
공급 슛(53)은, 통모양{筒狀}을 이루며, 상기 양드럼(54, 57)의 축방향(도 5의 지면{紙面} 안길이{奧行; depth; 앞쪽에서 뒤끝까지의 거리} 방향을 따라 복수{複數}(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 늘어서서{줄지어} 설치되어 있다. 또, 각 공급 슛(53)은, 그의 하부 개구가 상류측 드럼(54) 바로 위쪽{直上方}에 위치해 있으며, 해당 하부 개구 근방에는, 해당 하부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53A)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셔터(53A)의 개폐 동작은, 제어 장치(81)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고, 셔터(53A)가 열림으로써, 정제(5)가 공급 슛(53)으로부터 낙하하고, 상류측 드럼(54)측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53A)가 공급 전환{切換} 수단에 상당한다.
상류측 드럼(54)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모양의 상류측 회전 드럼(55)과, 이것과 동일축{同軸}에 배치된 원판모양{圓板狀}의 상류측 고정 밸브(56)를 구비하고 있다.
상류측 회전 드럼(55)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 후술하는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속도에 맞추어 연속 회전한다. 또, 상류측 회전 드럼(55)은, 상류측 흡착부(55A)와 상류측 통기구멍{通氣孔}(55C)을 각각 복수 구비하고 있다.
상류측 흡착부(55A)는,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외주면{外周面}에 설치된 구덩이모양 부분{窪狀部分; dented portion}과, 해당 구덩이모양 부분의 중심에서 개구{開口}하는 상류측 흡인구멍{吸引孔}(55B)을 구비하고 있으며, 해당 상류측 흡인구멍(55B)에 부압{負壓}이 공급됨으로써, 공급 슛(53)으로부터 공급되는 정제(5)를 흡착 보존유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상류측 흡착부(55A)는,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축방향을 따라, 용기 필름(3)의 폭방향을 따른 포켓부(2)의 수와 동일수{同數}(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 설치되며,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둘레방향{周方向}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7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류측 흡착부(55A)를 부호 (Y1∼Y35)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일이 있다(도 8 참조).
또, 상류측 흡착부(55A)는,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회전에 수반하여, 슛 대응 포지션(P1) 및 공급 포지션(P2)에 대해 순차 이동한다(도 5 참조).
슛 대응 포지션(P1)은, 공급 슛(53)으로부터의 정제(5)의 낙하 위치에 대응하는 포지션이며, 이 포지션에 배치된 상류측 흡착부(55A)로 공급 슛(53)으로부터 정제(5)가 공급된다.
공급 포지션(P2)은,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축의 연직{鉛直} 아래쪽에 위치하는 포지션이며, 이 포지션에서 상류측 흡착부(55A)로부터 후술하는 하류측 흡착부(58A)로 정제(5)가 건네진다.
상류측 통기구멍(55C)은, 상류측 회전 드럼(55) 내에 설치되며,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축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일단면{一端面}(상류측 고정 밸브(56) 측의 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또, 상류측 통기구멍(55C)은,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회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7개) 설치되어 있고, 1개의 상류측 통기구멍(55C)에 대해,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축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상류측 흡인구멍(55B)이 각각 연통{連通}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류측 회전 드럼(55)에는, 도시하지 않는 인코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인코더로부터 제어 장치(81)나 외관 검사 장치(71)로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회전 각도에 관한 신호가 일정 시간마다 출력되고 있다.
상류측 고정 밸브(56)는,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일단면을 덮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고, 상류측 회전 드럼(55)과는 달리, 이동 불능{移動不能}인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상류측 고정 밸브(56)는,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일단면측에 개구되는 상류측 부압 공간부(S1)와 대기 개방 공간부(S2)를 구비하고 있다. 양공간부(S1, S2)는, 각각 상류측 고정 밸브(56)의 축을 중심으로 한 만곡모양{灣曲狀}을 이루고 있다.
상류측 부압 공간부(S1)는, 슛 대응 포지션(P1)으로부터 공급 포지션(P2) 바로앞{手前}까지의 영역에 상류측 흡착부(55A)가 배치되었을 때에, 해당 상류측 흡착부(55A)의 상류측 흡인구멍(55B)에 대응하는 상류측 통기구멍(55C)과 연통하는 공간이다. 상류측 부압 공간부(S1)는, 상류측 고정 밸브(56)에 형성된 관통구멍{貫通孔}(56A)과 해당 관통구멍(56A)에 연통하는 소정의 통기관{通氣管}(62)을 거쳐서, 소정의 진공 펌프(61)로부터 항상 부압이 공급된 상태(진공화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12 참조).
대기 개방 공간부(S2)는, 공급 포지션(P2)으로부터 슛 대응 포지션(P1) 바로앞까지의 영역에 상류측 흡착부(55A)가 배치되었을 때, 해당 상류측 흡착부(55A)의 상류측 흡인구멍(55B)에 대응하는 상류측 통기구멍(55C)과 연통하는 공간이다. 대기 개방 공간부(S2)는, 상류측 고정 밸브(56)에 형성된 관통구멍(56B)을 거쳐서, 항상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12 참조).
상기와 같이 상류측 드럼(54)이 구성됨으로써, 슛 대응 포지션(P1)에 배치된 상류측 흡착부(55A)는 흡착 가능 상태로 되며, 공급 슛(53)으로부터 낙하한 정제(5)를 흡착 보존유지한다. 그리고,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회전에 수반하여, 정제(5)를 흡착 보존유지한 상류측 흡착부(55A)가 공급 포지션(P2)에 이르면, 상류측 흡착부(55A)에 의한 정제(5)의 흡착 보존유지가 해제되며, 하류측 흡착부(58A)에 정제(5)가 건네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드럼(54) 및 공급 슛(53)이 공급 수단에 상당한다.
하류측 드럼(57)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모양의 하류측 회전 드럼(58)과, 이것과 동일축에 배치된 원판모양의 하류측 고정 밸브(5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류측 회전 드럼(58)이 회전 드럼에 상당한다.
하류측 회전 드럼(58)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용기 필름(3)의 속도에 맞추어 연속 회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하류측 회전 드럼(58)은, 상류측 회전 드럼(55)과 동일 지름이며, 또한, 상류측 회전 드럼(55)과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하류측 회전 드럼(58)은, 하류측 흡착부(58A)와 하류측 통기구멍(58C)을 각각 복수 구비하고 있다.
하류측 흡착부(58A)는,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외주면에 설치된 구덩이모양 부분과, 해당 구덩이모양 부분의 중심에서 개구하는 하류측 흡인구멍(58B)을 구비하고 있으며, 해당 하류측 흡인구멍(58B)에 부압이 공급됨으로써, 상류측 흡착부(55A)로부터 건네지는 정제(5)를 흡착 보존유지하는 것이다. 또, 하류측 흡착부(58A)는, 상류측 흡착부(55A)와 동일수 설치되며, 또,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외주면에서의 하류측 흡착부(58A)의 배설 위치는,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외주면에서의 상류측 흡착부(55A)의 배설 위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하류측 흡착부(58A)를 부호 (X1∼X35)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일이 있다(도 11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호 (X1∼X35), (Y1∼Y35)에서의 수치가 동일한 양흡착부(55A, 58A) 사이에서 정제(5)의 건네줌{受渡}이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부호 (Y1)로 나타내어지는 상류측 흡착부(55A)로부터, 부호 (X1)로 나타내어지는 하류측 흡착부(58A)로 정제(5)가 건네지도록 되어 있다.
또, 하류측 흡착부(58A)는,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공급 포지션(P2), 촬상 포지션(P3) 및 충전 포지션(P4)에 대해 순차 이동한다(도 5 참조).
촬상 포지션(P3)은, 후술하는 하류측 카메라(73B)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이 포지션에 하류측 흡착부(58A)가 배치되었을 때에, 하류측 카메라(73B)에 의해서 해당 하류측 흡착부(58A)에 흡착된 정제(5)의 촬상이 수행된다.
충전 포지션(P4)은,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축의 연직 아래쪽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이 포지션에서 하류측 흡착부(58A)에 흡착 보존유지되어 있던 정제(5)가 포켓부(2)에 충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시트 예정부(7)의 포켓부(2)에 정제(5)를 충전하기 위해서,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회전 방향을 따라 늘어선 2열의 하류측 흡착부(58A)가 이용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2열의 하류측 흡착부(58A) 중 회전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1열의 하류측 흡착부(58A)가 촬상 포지션(P3)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2열의 하류측 흡착부(58A) 중 회전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는 1열의 하류측 흡착부(58A)가 공급 포지션(P2)에 도달하기까지의, 하류측 흡착부(58A)의 이동 거리가, 슛 대응 포지션(P1)으로부터 공급 포지션(P2)에 도달하기까지의 상류측 흡착부(55A)의 이동 거리보다도 큰 것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하나의 시트 예정부(7)에 대응하는 하류측 흡착부(58A) 모두가 촬상 포지션(P3)에 도달하고 나서, 이들 하류측 흡착부(58A) 중의 적어도 1개가 공급 포지션(P2)에 도달하기까지 요하는 시간은, 상류측 흡착부(55A)가 슛 대응 포지션(P1)으로부터 공급 포지션(P2)에 도달하기까지 요하는 시간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하류측 통기구멍(58C)은, 하류측 회전 드럼(58) 내에 설치되고,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축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일단면(하류측 고정 밸브(59) 측의 면)에서 개구하고 있다. 또, 하류측 통기구멍(58C)은,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지름 방향을 따라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 늘어서서 설치됨과 동시에, 이 지름 방향으로 늘어선 하류측 통기구멍(58C)의 열이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회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7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하류측 통기구멍(58C)은, 각각 하나의 하류측 흡인구멍(58B)과 연통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지름 방향으로 늘어선 1열의 하류측 통기구멍(58C)에 대해,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축방향으로 늘어선 1열의 하류측 흡인구멍(58B)이 대응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하류측 회전 드럼(58)에는, 도시하지 않는 인코더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인코더로부터 제어 장치(81)나 외관 검사 장치(71)로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회전 각도에 관한 신호가 일정 시간마다 출력되고 있다.
하류측 고정 밸브(59)는,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일단면을 덮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고, 하류측 회전 드럼(58)과는 달리, 이동 불능인 상태로 되어 있다. 하류측 고정 밸브(59)는,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일단면측에 개구하는 하류측 부압 공간부(S3)와 전환 공간부(S4)를 구비하고 있다. 양공간부(S3, S4)는, 각각의 하류측 고정 밸브(59)의 축을 중심으로 한 만곡모양을 이루고 있다.
하류측 부압 공간부(S3)는, 충전 포지션(P4)을 약간 지난 위치로부터, 충전 포지션(P4) 바로앞의 위치까지의, 공급 포지션(P2)을 포함하는 범위에 하류측 흡착부(58A)가 배치되었을 때에, 해당 하류측 흡착부(58A)의 하류측 흡인구멍(58B)에 대응하는 하류측 통기구멍(58C)과 연통하는 공간이다. 하류측 부압 공간부(S3)는, 하류측 고정 밸브(59)에 형성된 관통구멍(59A)과 해당 관통구멍(59A)에 연통하는 소정의 통기관(63)을 거쳐서, 진공 펌프(61)로부터 항상 부압이 공급된 상태(진공화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12 참조). 또, 하류측 부압 공간부(S3)는, 하류측 고정 밸브(59)의 지름 방향을 따라 비교적 큰 폭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하류측 부압 공간부(S3)는, 상기 지름 방향을 따라 일렬로 늘어선 각 하류측 통기구멍(58C)과 한꺼번에{一度}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환 공간부(S4)는, 충전 포지션(P4) 바로앞의 위치로부터, 충전 포지션(P4)을 약간 지난 위치까지의, 충전 포지션(P4)을 포함하는 범위에 하류측 흡착부(58A)가 배치되었을 때에, 해당 하류측 흡착부(58A)의 하류측 흡인구멍(58B)에 대응하는 하류측 통기구멍(58C)과 연통하는 공간이다. 전환 공간부(S4)는, 하류측 고정 밸브(59)의 지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각각 원호모양{圓弧狀}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각 전환 공간부(S4)는,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지름 방향을 따라 일렬로 늘어선 각 하류측 통기구멍 중의 1개와 개별적으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류측 고정 밸브(59)의 둘레방향을 따른 전환 공간부(S4)의 길이는,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회전 방향을 따른 하류측 통기구멍(58C)의 간격보다도 짧게 되어 있으며, 하나의 전환 공간부(S4)에 대해 2개 이상의 하류측 통기구멍(58C)이 동시에 연통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각 전환 공간부(S4)는, 하류측 고정 밸브(59)에 형성된 관통구멍(59B)과 이것에 연통하는 소정의 통기관(64)을 거쳐서 진공 펌프(61)와 접속되어 있다. 단, 통기관(64)에는, 흡착 상태 전환 수단으로서의 전자기{電磁} 전환 밸브(6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전자기 전환 밸브(65)에 의해, 전환 공간부(S4)에 대해 진공 펌프(61)로부터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와, 전환 공간부(S4)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전환 공간부(S4)의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충전 포지션(P4)에 배치된 각 하류측 흡착부(58A)에서의 흡착 상태의 유지 및 해제를 개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전자기 전환 밸브(65)는, 제어 장치(8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동작은, 제어 장치(81)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류측 드럼(57)이 구성됨으로써, 공급 포지션(P2)에 배치된 하류측 흡착부(58A)는, 흡착 가능 상태로 되며, 상류측 흡착부(55A)로부터 건네진{건네받은} 정제(5)를 흡착 보존유지한다. 이 때, 정제(5)에서의 피흡착면은 표리 반전{反轉}한다. 예를 들면, 상류측 흡착부(55A)에 의해 정제(5)의 표면(5B)이 흡착되어 있던 경우에는, 하류측 흡착부(58A)에 의해 정제(5)의 이면(5C)이 흡착된다. 그리고,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회전에 수반하여, 정제(5)를 흡착 보존유지한 하류측 흡착부(58A)가 충전 포지션(P4)에 이르렀을 때에, 대응하는 전환 공간부(S4)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류측 흡착부(58A)에 의한 정제(5)의 흡착이 해제되고,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전된다. 한편, 대응하는 전환 공간부(S4)에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하류측 흡착부(58A)에 의한 정제(5)의 흡착이 유지되고, 포켓부(2)에 정제(5)는 충전되지 않는다. 정제(5)의 흡착을 유지한 하류측 흡착부(58A)는, 그 상태인 채{그 상태 그대로} 공급 포지션(P2)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 다음에, 외관 검사 장치(7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관 검사 장치(71)는, 상류측 조명 장치(72A), 하류측 조명 장치(72B), 제2 촬상 수단으로서의 상류측 카메라(73A), 제1 촬상 수단으로서의 하류측 카메라(73B) 및 양부 판정 수단으로서의 양부 판정 장치(7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카메라(73A, 73B)가 촬상 수단에 상당한다.
상류측 조명 장치(72A)는, 상류측 드럼(54)에 대응하는 것이며, 슛 대응 포지션(P1) 및 공급 포지션(P2) 사이의 소정 포지션에 배치된 정제(5)에 대해 소정의 광{빛}(예를 들면 근적외광이나 가시광)을 조사한다.
하류측 조명 장치(72B)는, 하류측 드럼(57)에 대응하는 것이며, 촬상 포지션(P3)에 배치된 하류측 흡착부(58A)에 소정의 광(예를 들면 근적외광이나 가시광)을 조사함으로써, 해당 하류측 흡착부(58A)에 흡착된 정제(5)를 비춘다{밝힌다}.
상류측 카메라(73A) 및 하류측 카메라(73B)는, 조명 장치(72A, 72B)에 의해 광이 조사된 정제(5)를 촬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73A, 73B)로서, 볼록 렌즈를 구비하고, 조명 장치(72A, 72B)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파장 영역에 감도{感度}를 가지는 CCD 카메라가 채용되고 있다. 이것에 한하지 않고, CMOS 카메라를 채용해도 좋다.
또, 카메라(73A, 73B)는, 회전 드럼(55, 58)의 축방향을 따른 흡착부(55A, 58A)의 수에 대응해서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각 카메라(73A, 73B)에 의해 각각 하나의 정제(5)가 촬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73A, 73B)를 비교적 소수{少數}(예를 들면, 각각 1개씩) 설치하고, 소정의 미러를 이용함으로써, 카메라(73A, 73B)에 의해 복수의 정제(5)를 한꺼번에 촬상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류측 카메라(73A)는, 상류측 드럼(54)에 대응하는 것이며, 상류측 회전 드럼(55)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5)를 촬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상류측 카메라(73A)는, 볼록 렌즈로부터 그 초점까지의 거리(초점 거리)가, 볼록 렌즈로부터 촬상 대상 정제(5)까지의 거리보다도 큰 것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류측 카메라(73A)에 의해서, 정제(5)에서의 피흡착면과는 반대측 면(표면(5B) 및 이면(5C)의 한쪽)과 함께, 측면(5A)도 촬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류측 카메라(73B)는, 하류측 드럼(57)에 대응하는 것이며, 하류측 회전 드럼(58)에 의해 촬상 포지션(P3)에 반송된 정제(5)를 촬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하류측 카메라(73B)는, 상류측 카메라(73A)와 마찬가지로, 초점 거리가, 볼록 렌즈로부터 촬상 대상 정제(5)까지의 거리보다도 큰 것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류측 카메라(73B)에 의해서, 정제(5)에서의 피흡착면과는 반대측 면(표면(5B) 및 이면(5C)의 다른쪽)과 함께, 측면(5A)도 촬상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카메라(73A, 73B)에 의해서 정제(5)의 외표면의 전역{全域}이 촬상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73A, 73B)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휘도 화상 데이터 또는 컬러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73A, 73B) 내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다음에,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양부 판정 장치(74)에 입력된다.
양부 판정 장치(74)는,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연산 데이터나 입출력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등을 구비한, 이른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화상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양부 판정 장치(74)는, 화상 메모리(75A), 검사 결과 기억 장치(75B), 판정용 메모리(75C), 데이터 메모리(75D), 카메라 타이밍 제어 장치(76), 및,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77)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값화{二値化} 처리나 덩어리{塊} 처리 등의 각종 화상 처리나, 불량 판정 처리(검사 처리) 등을 실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화상 메모리(75A)는, 카메라(73A, 73B)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화상의 이차원 이미지 데이터(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 화상 메모리(75A)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사가 실행된다. 물론, 검사의 실행 시에, 화상 데이터에 대해 가공 처리를 시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마스킹 처리나, 셰이딩 보정 등의 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생각된다. 셰이딩 보정은, 정제(5)에서의 촬상 범위 전체를 조명 장치(72A, 72B)의 광으로 균일하게 비추는 것은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는 것으로 인해, 위치의 상위{相違}에 의해 생기는 광의 명도 격차{불균일함}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검사 시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이값화 처리가 수행된 이값화 화상 데이터나, 마스킹 처리가 수행된 마스킹 화상 데이터 등도, 해당 화상 메모리(75A)에 기억된다.
검사 결과 기억 장치(75B)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좌표 등의 데이터, 검사 대상에 대한 양부 판정 결과의 데이터, 및, 그 데이터를 확률 통계적으로 처리한 통계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검사 결과 기억 장치(75B)에는, 소정의 정제 번호(J1∼J10)(도 15 참조)로 지시되는{가리켜지는} 각 정제(5)에서의 양부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가, 이들 정제(5)가 공급될 예정인 시트 예정부(7)를 특정하기 위한 일련 번호(LA1, LA2, LA3, LA4…)(도 15 참조)와 함께 기억된다(도 14 참조. 또한, 도 14에서는, 양품{良品}을 「○」로 나타내고, 불량{不良}을 「×」로 나타낸다).
또한, 정제(5)의 양부 판정은, 복수의 검사 항목에 근거하여 수행되며, 모든 검사 항목에서 양호{良}로 판정된 경우에, 정제(5)가 양품으로 판정되며, 적어도 1개의 검사 항목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 정제(5)가 불량으로 판정된다. 검사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5)에 갈라짐{割; 균열, 금}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항목(이른바 「정제 갈라짐」에 관한 항목), 정제(5)에 깨짐{缺; 조각, 파편}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항목(이른바 「정제 깨짐」에 관한 항목), 정제(5)의 표면층이 박리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항목(이른바 「정제 표면 박리」에 관한 항목), 및, 정제(5)의 형상이나 크기가 제조 품종과 적합한지 여부에 관한 항목(이른바 「정제 형상·크기 차이{違; 다름}」에 관한 항목)등을 들 수가 있다.
판정용 메모리(75C)는, 검사에 이용되는 판정값(임계값{threshold; 역치}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판정값은, 검사 항목마다 설정된다. 검사에 이용되는 판정값에는, 예를 들면 정제(5) 등의 치수, 각종 검사 영역을 획정{畵定; define; 명확히 구별하여 정함}하기 위한 각종 윈도우 프레임의 형상이나 치수, 이값화 처리에 관계된 임계값, 면적 판정에 관계된 판정값, 색 식별 검사에 관계된 색 기준값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메모리(75D)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 메모리(75D)에 대해, 불량 판정의 일시{日時}, 검사에 이용된 검사 조건 등이 기억된다.
카메라 타이밍 제어 장치(76)는, 양카메라(73A, 73B)의 촬상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러한 촬상 타이밍은 양회전 드럼(55, 58)의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되며, 회전 드럼(55, 58)이 소정량 회전할 때마다 카메라(73A, 73B)에 의한 촬상이 수행된다.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77)는, 외관 검사 장치(71)에서의 각종 제어를 맡는다. 예를 들면 각종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정제(5)의 양부를 판정한다. 또,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77)는, 제어 장치(81)와의 사이에서 각종 신호를 송수신{送受信}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77)는, 하류측 회전 드럼(58)이 일정량 회전할 때마다, 시트 예정부(7)의 상기 일련 번호를 1개씩 증대시켜 감과 동시에, 상기 일련 번호와, 해당 일련 번호로 지시되는 시트 예정부(7)로 공급될 예정인 정제(5)와의 대응 관계를 파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정제 번호(J1∼J10)로 지시되는 각 정제(5)에서의 양부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와, 이들 정제(5)가 공급될 예정인 시트 예정부(7)를 특정하기 위한 일련 번호가 관련지어진 다음에, 검사 결과 기억 장치(75B)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73A, 73B)에 의해서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고 나서 사이를 두는 일없이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가 도출됨과 동시에, 도출된 양부 판정 결과에 관한 정보가 즉석에서{卽座; 즉시} 제어 장치(81)로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나의 시트 예정부(7)에 공급될 예정인 각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는, 이들 각 정제(5)를 흡착하고 있는 하류측 흡착부(58A)로 정제(5)를 건네주게 되는 상류측 흡착부(55A)가 슛 대응 포지션(P1)에 이르기 전에 도출{導出}되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제어 장치(8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81)는, 상기 양부 판정 장치(74)와 마찬가지로, 이른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어 장치(81)는, 흡착 상태 제어 수단 및 공급 제어 수단에 상당한다.
제어 장치(81)는, 본체 장치(51) 및 외관 검사 장치(7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본체 장치(51)로부터 회전 드럼(55, 58)의 회전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 가능함과 동시에, 외관 검사 장치(71)로부터 양부 판정 결과에 관한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81)는, 회전 드럼(55, 58)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흡착부(55A, 58A)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 장치(81)는, 외관 검사 장치(71)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시트 예정부(7)마다 각 정제(5)의 양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 장치(81)는,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불량 판정된 정제(5)가 공급될 예정인 시트 예정부(7)에 대해, 해당 시트 예정부(7)로 공급될 예정인 그 밖의 양품 정제(5)를 공급하지 않도록 본체 장치(51)를 제어한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제어 장치(81)는, 우선,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전환 예정 및 공급 슛(53)의 공급 예정을 각각 설정하는 처리(동작 예정 설정 처리)를 수행한다. 설정된 전자기 전환 밸브(65)에 관계된 전환 예정은, 제어 장치(81)에서의 RAM의 흡착 전환 예정 테이블(KT1)(도 16, 도 18 참조)에 추가해서 기억된다. 또, 설정된 공급 슛(53)의 공급 예정은, 상기 RAM의 공급 전환 예정 테이블(KT2)(도 17, 도 19 참조)에 추가해서 기억된다.
또한, 도 16, 도 18에서는, 전환 공간부(S4)가 대기에 개방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65)를 동작시키는 것을 「Y」로 나타내며, 전환 공간부(S4)에 부압이 공급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65)를 동작시키는 것을 「N」으로 나타낸다. 또, 도 17, 도 19에서는, 상류측 흡착부(55A)로 정제(5)가 공급되도록 공급 슛(53)을 개방시키는 것을 「Y」로 나타내며, 상류측 흡착부(55A)로 정제(5)가 공급되지 않도록 공급 슛(53)을 폐쇄시키는 것을 「N」으로 나타낸다. 이에 더하여, 도 16∼도 19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동작 대상이 되는 전자기 전환 밸브(65)에 대응하는 흡착부(55A, 58A)의 부호 (X1∼X35), (Y1∼Y35)를 아울러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 장치(81)는, 소정의 타이밍마다(예를 들면, 하류측 흡착부(58A)가 촬상 포지션(P3)에 도달할 때마다), 흡착 전환 예정 테이블(KT1)의 데이터를 시프트시킴으로써,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축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선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응하는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전환 예정에 관한 데이터를 소정의 실시 테이블(JT1)(도 16, 도 18 참조)로 순차 시프트시킨다. 그런 다음에, 제어 장치(81)는, 실시 테이블(JT1)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하류측 흡착부(58A)가 충전 포지션(P4)에 도달하기 직전의 타이밍에서, 실시 테이블(JT1)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동작 제어의 실행 타이밍은,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또, 제어 장치(81)는, 소정 타이밍마다(예를 들면, 상류측 흡착부(55A)가 슛 대응 포지션(P1)에 도달할 때마다), 공급 전환 예정 테이블(KT2)의 데이터를 시프트시킴으로써,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축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선 상류측 흡착부(55A)에 대응하는 공급 슛(53)의 공급 예정에 관한 데이터를 소정의 실시 테이블(JT2)(도 17, 도 19 참조)로 순차 시프트시킨다. 그런 다음에, 제어 장치(81)는, 실시 테이블(JT2)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상류측 흡착부(55A)가 슛 대응 포지션(P1)에 도달하기 직전의 타이밍에서, 실시 테이블(JT2)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공급 슛(53)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공급 슛(53)의 동작 제어의 실행 타이밍은, 상류측 회전 드럼(55)의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그 다음에,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전환 예정 및 공급 슛(53)의 공급 예정을 각각 설정하는 처리(동작 예정 설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 예정 설정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 S11에서, 하나의 시트 예정부(7)에 공급될 예정인 정제(5)(1시트분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에 관한 정보가 제어 장치(81)에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시트 예정부(7)에 대응하는 10개분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1시트분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기까지 스텝 S11의 처리를 반복하며, 1시트분 정제(5)의 양부 판정 결과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스텝 S11:YES{예}), 스텝 S12로 이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1시트분 정제(5) 모두가 양품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모든 정제(5)가 양품인 경우(스텝 S12:YES), 스텝 S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판정 대상이 된 정제(5)가 공급될 예정인 시트 예정부(7)를 양품 시트부로서 특정하고, 스텝 S14로 이행한다. 계속되는 스텝 S14에서는, 통상 동작 설정 처리를 수행하며,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리턴한다}.
통상 동작 설정 처리에서는, 양품 시트부에 대해 정제(5)가 공급됨과 동시에, 양품 시트부에 대해 정제(5)를 공급한 후의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해 새로운 정제(5)가 공급되도록 본체 장치(51)의 동작 예정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충전 포지션(P4)에서, 양품 시트부에 대응하는 각 하류측 흡착부(58A)의 하류측 흡인구멍(58B)이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전환 예정을 설정함과 동시에, 설정한 전환 예정을 동작 예정 테이블(KT1)에 추가해서 기억한다. 예를 들면, 일련 번호 LA3으로 지시되는 시트 예정부(7)가 양품 시트부인 경우에, 이 양품 시트부에 공급될 예정인 정제(5)에 대응하는, 부호 (X21∼X30)으로 나타내어지는 하류측 흡착부(58A)에서 하류측 흡인구멍(58B)이 대기에 개방되도록, 대응하는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전환 예정을 설정한다(도 16 참조). 그런 다음에, 설정한 전환 예정을 흡착 전환 예정 테이블(KT1)에 추가해서 기억한다.
또, 공급 포지션(P2)에서, 양품 시트부에 공급되게 되는 각 정제(5)에 대응하는 각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해 새로운 정제(5)가 공급되도록, 공급 슛(53)의 공급 예정을 설정함과 동시에, 설정한 공급 예정을 공급 전환 예정 테이블(KT2)에 기억한다. 예를 들면, 일련 번호 LA3으로 지시되는 시트 예정부(7)가 양품 시트부인 경우, 부호 (X21∼X30)으로 나타내어지는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응하는, 부호 (Y21∼Y30)으로 나타내어지는 상류측 흡착부(55A)로 공급 포지션(P2)에서 정제(5)가 공급되도록 공급 슛(53)의 공급 예정을 설정한다(도 17 참조). 그런 다음에, 설정한 공급 예정을 공급 전환 예정 테이블(KT2)에 추가해서 기억한다.
한편, 1시트 분의 정제(5) 중 적어도 1개가 불량인 경우(스텝 S12:NO{아니오})에는, 스텝 S15로 이행하며, 불량의 정제(5)가 공급되게 되는 시트 예정부(7)를 불량 시트부로서 특정한다. 예를 들면, 일련 번호 LA4로 지시되는 시트 예정부(7)에 공급될 예정인 정제(5) 중의 적어도 1개가 불량 판정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시트 예정부(7)를 불량 시트부로서 특정한다.
스텝 S15에 계속되는 스텝 S16에서는, 흡착 유지 결정 처리를 수행한다. 해당 처리에서는, 충전 포지션(P4)에서, 불량 시트부에 대응하는 각 하류측 흡착부(58A)의 하류측 흡인구멍(58B) 중, 양품 판정된 정제(5)에 대응하는 것에 부압이 공급되는 한편, 불량 판정된 정제(5)에 대응하는 것이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전환 예정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에, 설정한 전환 예정을 흡착 전환 예정 테이블(KT1)에 추가해서 기억한다. 예를 들면, 일련 번호 LA4로 지시되는 시트 예정부(7)가 불량 시트부인 것으로 한다(도 14 참조). 이 경우, 이 불량 시트부에 공급될 예정인 정제(5) 중 양품 판정된 정제(5)에 대응하는, 부호 (X2∼X5, X31∼X35)로 나타내어지는 하류측 흡착부(58A)에서는, 대응하는 하류측 흡인구멍(58B)으로 부압이 공급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전환 예정을 설정한다(도 18 참조). 한편, 불량 판정된 정제(5)에 대응하는, 부호 (X1)로 나타내어지는 하류측 흡착부(58A)에서는, 대응하는 하류측 흡인구멍(58B)이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도록 전자기 전환 밸브(65)의 전환 예정을 설정한다(도 18 참조). 그런 다음에, 설정한 전환 예정을 흡착 전환 예정 테이블(KT1)에 추가해서 기억한다. 이와 같이 전환 예정이 설정·기억됨으로써, 양품 판정된 정제(5)는 불량 시트부에 공급되지 않고, 불량 판정된 정제(5)만이 불량 시트부로 공급되게 된다.
계속되는 스텝 S17에서는, 정제 비공급 결정 처리를 수행하고,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 정제 비공급 결정 처리에서는, 불량 시트부에 공급될 예정이었던 정제(5) 중, 양품의 정제(5)에 대응하는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해 새로운 정제(5)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불량의 정제(5)에 대응하는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해 새로운 정제(5)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급 슛(53)의 공급 예정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에, 설정한 공급 예정을 공급 전환 예정 테이블(KT2)에 추가한다. 예를 들면, 일련 번호 LA4로 지시되는 시트 예정부(7)가 불량 시트부인 것으로 한다(도 14 참조). 이 경우, 부호 (X2∼X5, X31∼35)로 나타내어지는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응하는, 부호 (Y2∼Y5, Y31∼Y35)로 나타내어지는 상류측 흡착부(55A)로 정제(5)가 공급되지 않도록 공급 슛(53)의 공급 예정을 설정한다(도 19 참조). 한편, 부호 (X1)로 나타내어지는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응하는, 부호 (Y1)로 나타내어지는 상류측 흡착부(55A)로 정제(5)가 공급되도록 공급 슛(53)의 공급 예정을 설정한다(도 19 참조). 그리고, 설정한 공급 예정을 공급 전환 예정 테이블(KT2)에 추가해서 기억한다. 이와 같이 공급 예정이 설정·기억됨으로써, 정제(5)를 이미 흡착 보존유지하고 있는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해 정제(5)가 공급되지 않고, 정제(5)를 흡착 보존유지하고 있지 않는 하류측 흡착부(58A)에만 정제(5)가 공급되게 된다.
이상으로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양부 판정 장치(74)에 의해서 불량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충전 포지션(P4)에서, 이 불량 판정에 관계된 정제(5)가 공급될 예정인 시트 예정부(7)(불량 시트부)에 대해, 양품의 정제(5)는 공급되지 않고, 하류측 흡착부(58A)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펀칭 후의 불량 시트에는, 양품의 정제(5)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양품의 정제(5)를 재이용하기 위해서, 불량 시트로부터 양품의 정제(5)를 꺼낸다고 할 필요도 없고, 또, 불량 시트가 그대로 폐기되었다고 해도 양품의 정제(5)가 쓸데없게{소용없게} 되는 일은 없다.
또, 양품의 정제(5)를 흡착 보존유지한 하류측 흡착부(58A)는, 하류측 회전 드럼(58)의 회전에 수반하여 다시 공급 포지션(P2) 및 충전 포지션(P4)으로 이동해 가지만, 해당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해 공급 포지션(P2)에서 새로운 정제(5)가 공급되는 일없이, 해당 하류측 흡착부(58A)는 양품의 정제(5)를 흡착 보존유지한 채로 충전 포지션(P4)으로 이동해 간다. 그리고, 이 양품의 정제(5)의 공급 대상이 되는 시트 예정부(7)를 공급 대상으로 하는 그 밖의 정제(5)에 불량이 없는 경우, 충전 포지션(P4)에서, 이 양품의 정제(5)가 포켓부(2)에 충전된다. 즉, 불량 시트부에 관계된 양품의 정제(5)는, 포켓부(2)에 대한 충전이나 포켓부(2)로부터의 회수 등이 수행되는 일없이, 충전 포지션(P4)에서 그대로 흡착 보존유지되어, 다음번 이후의 충전시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제(5)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수고를 들이는 일없이, 양품의 정제(5)를 쓸데없게 하지 않고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정제(5)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의 간소화나 각종 코스트{비용}의 억제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량 시트부에 대해, 양품의 정제(5)는 공급되지 않고, 불량의 정제(5)만이 공급된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얻어진 불량 시트부에 관계된 PTP 시트(1)에서는, 불량의 정제(5)만이 포켓부(2)에 충전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충전된 정제(5)를 보는 것에 의해, 생긴 이상{異常}의 특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불량이 생긴 검사 항목 등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가 있어, 적절한 조치를 조기에 실행할 수가 있다.
또, 불량의 정제(5)는 불량 시트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불량의 정제(5)를 별도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가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장치의 간소화나 각종 코스트의 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2개의 회전 드럼(55, 58)을 이용하여, 흡착부(55A, 58A)에 의한 정제(5)의 피흡착면이 표리 반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등에 의해, 카메라(73A, 73B)에 의해서, 정제(5)의 측면(5A), 표면(5B) 및 이면(5C)을 촬상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정제(5)의 외표면 전역에 대해서 양부 판정을 수행할 수가 있어, 양부 판정을 보다 정밀도좋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 측면(5A)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촬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양부 판정이 수행된다. 그 때문에, 표면(5B) 및 이면(5C)과는 별도로, 측면(5A)의 양부 판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양부 판정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어, 검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공급 슛(53)으로부터 상류측 흡착부(55A)에 대한 정제(5)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함으로써, 공급 포지션(P2)에 배치된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한 정제(5)의 공급 및 비공급이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회전 드럼(55, 58)을 이용함으로써 양부 판정의 정밀도를 높이면서,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한 정제(5)의 공급 및 비공급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하나의 시트 예정부(7)에 대응하는 하류측 흡착부(58A) 모두가 촬상 포지션(P3)에 도달하고 나서, 이들 하류측 흡착부(58A) 중의 적어도 1개가 공급 포지션(P2)에 도달하기까지 요하는 시간은, 상류측 흡착부(55A)가 슛 대응 포지션(P1)으로부터 공급 포지션(P2)에 도달하기까지 요하는 시간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소정의 하류측 흡착부(58A)에 대해 정제(5)를 건네주게 되는 소정의 상류측 흡착부(55A)가 슛 대응 포지션(P1)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소정의 하류측 흡착부(58A)에 흡착되어 있는 정제(5)의 흡착 상태의 유지 또는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소정의 상류측 흡착부(55A)가 슛 대응 포지션(P1)에 도달하기 전에, 해당 소정의 상류측 흡착부(55A)에 대한 정제(5)의 공급 또는 비공급을 보다 확실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좋다. 물론, 이하에서 예시하지 않는 다른{他}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본체 장치(51)는, 상류측 드럼(54) 및 공급 슛(53)에 의해 공급 수단이 구성되어 있지만,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슛(53)만에 의해서 공급 수단을 구성해도 좋다. 즉, 상류측 드럼(54)을 거치는{경유하는} 일없이, 하류측 회전 드럼(58)에 정제(5)가 직접 공급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렌즈를 이용함과 동시에 초점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정제(5)의 측면(5A)을 카메라(73A, 73B)에 의해서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즘(91)을 이용하여 측면(5A)을 촬상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프리즘(91)은, 예를 들면, 각각 원뿔대모양{圓錐台狀}의 내주면(91A) 및 외주면(91B)을 구비한 것이며, 카메라(73A, 73B) 및 촬상 대상의 정제(5)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내주면(91A)을 투과한 측면(5A)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외주면(91B)에서 반사됨과 동시에, 그 반사광이 내주면(91A)에서 반사되어 카메라(73A, 73B)에 입사{入射}하는 것에 의해, 측면(5A)이 촬상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서의 측면(5A)의 일그러짐{歪; 왜곡}을 보다 억제할 수가 있어, 양부 판정의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 불량 판정된 정제(5)는 불량 시트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불량 판정된 정제(5)를 소정의 불량품 배출부(예를 들면, 불량의 정제(5)를 수용하기 위한 기{器} 등)에 배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배출에 있어서, 하류측 흡착부(58A)로부터 정제(5)를 뺄{제외할} 때에는, 예를 들면, 소정의 발톱모양{爪狀} 부재를 정제(5)에 접촉시킴으로써 정제(5)를 빼도 좋고, 하류측 흡인구멍(58B)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정제(5)를 빼도 좋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용물이 정제(5)인 경우에 대해서 구체화하고 있지만, 내용물의 종별, 형상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캅셀{캡슐}이나 전자 부품, 식품 등, 내용물이 정제(5)와는 다른 것이어도 좋다.
(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필름(3)이 PP나 PVC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커버 필름(4)이 알루미늄박 등을 베이스재{基材}로 해서 형성되어 있지만, 각 필름(3, 4)의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재질의 것을 채용해도 좋다.
(f) 외관 검사 장치(71)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검사 항목은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적당히{適宜} 변경 가능하다.
(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드럼(55, 58)에 대한 공급 후의, 흡착부(55A, 58A)에 흡착된 정제(5)에 대해 양부 판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회전 드럼(55, 58)에 공급 전의 정제(5)에 대해 양부 판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h) PTP 시트(1)에서의 포켓부(2)의 배열이나 개수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2열, 10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3열 12개의 포켓부를 가지는 타입을 비롯해, 여러가지{다양한} 배열, 개수로 이루어지는 PTP 시트를 채용할 수가 있다.
(i) 상기 실시 형태에서, PTP 필름(6)은, 그의 폭방향을 따라 1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그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 PTP 필름(6)에서의 포켓부(2)의 배치 등에 따라, 충전 장치(21)의 구성을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1…PTP 시트, 2…포켓부, 3…용기 필름, 4…커버 필름, 5…정제(내용물), 6…PTP 필름, 11…PTP 포장기, 20…필름 받침 롤(씰 수단), 21…충전 장치(충전 수단), 26…가열 롤(씰 수단), 37…시트 펀칭 장치(펀칭 수단), 53…공급 슛, 53A…셔터(공급 전환 수단), 55…상류측 회전 드럼, 55A…상류측 흡착부, 58…하류측 회전 드럼(회전 드럼), 58A…하류측 흡착부(흡착부), 65…전자기 전환 밸브(흡착 상태 전환 수단), 73A…상류측 카메라(제2 촬상 수단), 73B…하류측 카메라(제1 촬상 수단), 74…양부 판정 장치(양부 판정 수단), 81…제어 장치(흡착 상태 제어 수단, 공급 제어 수단), P1…슛 대응 포지션, P2…공급 포지션, P3…촬상 포지션, P4…충전 포지션.
Claims (7)
- 반송되는 띠모양의 용기 필름에 형성된 포켓부에 소정의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 수단과,
해당{當該} 충전 수단의 하류에서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띠모양의 커버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띠모양의 PTP 필름을 얻는 씰 수단과,
해당 씰 수단의 하류에서 상기 PTP 필름에서의 최종적으로 소정의 PTP 시트로 될 부위인 시트 예정부를 펀칭함으로써, 상기 PTP 시트를 얻는 펀칭 수단을 구비한 PTP 포장기로서,
상기 충전 수단은,
상기 내용물을 흡착할 수 있는 복수의 흡착부를 외주에 가짐과 동시에, 자신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흡착부가 소정의 공급 포지션으로부터 소정의 충전 포지션을 거쳐 상기 공급 포지션으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된 회전 드럼과,
상기 공급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에 대한 상기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할 수 있는 공급 전환 수단을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공급 수단과,
상기 각 흡착부를 개별적으로 흡착 상태 또는 비흡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충전 포지션에서 상기 흡착부를 비흡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포켓부에 대해 상기 내용물이 충전되는 한편, 상기 충전 포지션에서 상기 흡착부를 흡착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켓부에 대해 상기 내용물이 충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흡착 상태 전환 수단과,
상기 흡착부가 상기 충전 포지션에 이르기 전의 단계에서, 해당 흡착부에 흡착된, 또는, 해당 흡착부에 흡착될 예정의 상기 내용물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해당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내용물에서의 외관의 양부{良否}를 판정하는 양부 판정 수단과,
해당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흡착 상태 제어 수단과,
상기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공급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공급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해 불량 판정이 이루어진 상기 내용물의 충전 대상으로 되는 상기 포켓부를 가지는 상기 시트 예정부를, 불량 시트부로 했을 때,
상기 흡착 상태 제어 수단은, 상기 불량 시트부의 상기 포켓부를 충전 대상으로 하는 상기 내용물 중 상기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해 양품{良品} 판정된 것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를, 적어도 상기 충전 포지션에서 흡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공급 포지션에서, 상기 양품 판정된 상기 내용물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에 대해 상기 내용물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공급 전환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상태 제어 수단은, 상기 불량 시트부의 상기 포켓부를 충전 대상으로 하는 상기 내용물 중 상기 양부 판정 수단에 의해 불량 판정된 것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를, 적어도 상기 충전 포지션에서 비흡착 상태로 하도록 상기 흡착 상태 전환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내용물을 흡착할 수 있는 복수의 상류측 흡착부를 외주에 가지고, 상기 공급 포지션에서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내용물을 상기 흡착부에 대해 건네주도록 구성된 상류측 회전 드럼을 가지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내용물에서의 적어도 피흡착면과는 반대측 면을 촬상하는 제1 촬상 수단과,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내용물에서의 적어도 피흡착면과는 반대측 면을 촬상하는 제2 촬상 수단을 가지고,
상기 상류측 흡착부로부터 상기 흡착부로의 상기 내용물의 건네줌에 수반하여, 상기 내용물의 피흡착면이 표리 반전{反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내용물을 흡착할 수 있는 복수의 상류측 흡착부를 외주에 가지고, 상기 공급 포지션에서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내용물을 상기 흡착부에 대해 건네주도록 구성된 상류측 회전 드럼을 가지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내용물에서의 적어도 피흡착면과는 반대측 면을 촬상하는 제1 촬상 수단과,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내용물에서의 적어도 피흡착면과는 반대측 면을 촬상하는 제2 촬상 수단을 가지고,
상기 상류측 흡착부로부터 상기 흡착부로의 상기 내용물의 건네줌에 수반하여, 상기 내용물의 피흡착면이 표리 반전{反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소정의 슛{shoot} 대응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대해 상기 내용물을 공급하는 공급 슛을 가지고,
상기 공급 전환 수단은, 상기 공급 슛으로부터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대한 상기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공급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에 대한 상기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촬상 수단은, 상기 흡착부가 소정의 촬상 포지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내용물을 촬상하고,
하나의 상기 시트 예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 모두가 상기 촬상 포지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하나의 상기 시트 예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 중의 적어도 1개가 상기 공급 포지션에 도달하기까지 요하는 시간은, 상기 상류측 흡착부가 상기 슛 대응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공급 포지션에 도달하기까지 요하는 시간보다도 큰 것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소정의 슛{shoot} 대응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대해 상기 내용물을 공급하는 공급 슛을 가지고,
상기 공급 전환 수단은, 상기 공급 슛으로부터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대한 상기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공급 포지션에 배치된 상기 흡착부에 대한 상기 내용물의 공급 및 비공급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촬상 수단은, 상기 흡착부가 소정의 촬상 포지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내용물을 촬상하고,
하나의 상기 시트 예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 모두가 상기 촬상 포지션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하나의 상기 시트 예정부에 대응하는 상기 흡착부 중의 적어도 1개가 상기 공급 포지션에 도달하기까지 요하는 시간은, 상기 상류측 흡착부가 상기 슛 대응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공급 포지션에 도달하기까지 요하는 시간보다도 큰 것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수단 및 상기 제2 촬상 수단은, 각각 상기 내용물에서의 상기 흡착부에 의한 피흡착면과 상기 상류측 흡착부에 의한 피흡착면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을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012170A JP6062584B1 (ja) | 2016-01-26 | 2016-01-26 | Ptp包装機 |
JPJP-P-2016-012170 | 2016-01-26 | ||
PCT/JP2016/069597 WO2017130436A1 (ja) | 2016-01-26 | 2016-07-01 | Ptp包装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1221A KR20180041221A (ko) | 2018-04-23 |
KR101994830B1 true KR101994830B1 (ko) | 2019-07-01 |
Family
ID=5780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7780A KR101994830B1 (ko) | 2016-01-26 | 2016-07-01 | Ptp 포장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926907B2 (ko) |
EP (1) | EP3409601B1 (ko) |
JP (1) | JP6062584B1 (ko) |
KR (1) | KR101994830B1 (ko) |
CN (1) | CN108349613B (ko) |
WO (1) | WO201713043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508519A1 (en) * | 2003-08-20 | 2005-02-23 | Mars Incorporated |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products and array of packaged products |
CA3001813A1 (en) * | 2015-10-16 | 2017-04-20 | Avent, Inc.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stacking and loading wrapped facemasks into a carton in a manufacturing line |
DE102017125986A1 (de) * | 2017-11-07 | 2019-05-09 | Theegarten-Pactec Gmbh & Co. Kg |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Transport von Komprimaten |
MX2020006749A (es) * | 2018-01-05 | 2020-08-24 |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 Envasado de comestibles sin acondicionamiento. |
JP7191455B2 (ja) * | 2018-06-19 | 2022-12-19 | Ckd株式会社 | 錠剤充填装置、及び、ptp包装機 |
JP6865714B2 (ja) * | 2018-07-03 | 2021-04-28 | Ckd株式会社 | Ptpシートの製造方法 |
JP7083719B2 (ja) * | 2018-07-25 | 2022-06-13 | Ckd株式会社 | Ptpシートの製造方法 |
JP6924730B2 (ja) * | 2018-07-25 | 2021-08-25 | Ckd株式会社 | Ptpシートの製造方法 |
JP7322252B2 (ja) * | 2018-09-03 | 2023-08-07 | Ckd株式会社 | Ptp包装機 |
JP7142521B2 (ja) * | 2018-09-03 | 2022-09-27 | Ckd株式会社 | Ptp包装機 |
CN109625389B (zh) * | 2019-02-13 | 2023-09-22 | 云南恩典科技产业发展有限公司 | 一种卷烟泡罩包装机 |
JP6763059B1 (ja) * | 2019-05-16 | 2020-09-30 | Ckd株式会社 | 検査装置、包装機及び包装体の検査方法 |
JP2021058339A (ja) * | 2019-10-04 | 2021-04-15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錠剤処理装置および錠剤処理方法 |
CN112499177A (zh) * | 2020-11-26 | 2021-03-16 | 林雨航 | 一种胶囊检测自运输检测台 |
JP7066026B1 (ja) | 2021-04-07 | 2022-05-12 | Ckd株式会社 | 検査装置、ブリスター包装機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
US20230211912A1 (en) * | 2022-01-03 | 2023-07-06 | Rxsafe Llc |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
JP7542022B2 (ja) | 2022-03-01 | 2024-08-29 | Ckd株式会社 | ブリスタ包装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9908A (ja) | 2000-02-09 | 2001-08-14 | Ckd Corp | 充填装置及びptp包装機 |
JP2004028604A (ja) | 2002-06-21 | 2004-01-29 | Ckd Corp | 錠剤の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
JP2014223946A (ja) | 2013-04-25 | 2014-12-04 | シミックCmo株式会社 | Ptpシート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66477A (en) * | 1978-10-24 | 1981-05-12 | Michael Ackley | Material ori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
US4353456A (en) * | 1979-04-27 | 1982-10-12 | Nippon Elanco Kabushiki Kaisha | Capsule orient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US4819406A (en) * | 1987-09-25 | 1989-04-11 | Sanford Redmond Inc. | Compact form-fill-seal machine for automatic production of sealed packages |
US5040353A (en) | 1990-07-26 | 1991-08-20 | Glaxo Inc. | System for inspecting and recycling goods from defective packages on a blister packaging machine |
JP2897801B2 (ja) * | 1993-03-18 | 1999-05-31 |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 直径に比べて小さい厚みをもつ円板状固形製剤の搬送装置 |
JP3105752B2 (ja) * | 1994-11-29 | 2000-11-06 |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 偏平物品の側面検査装置、偏平物品の搬送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偏平物品の外観検査装置 |
IT1273854B (it) * | 1994-12-16 | 1997-07-11 | Ima Spa | Sistema per l'alimetazione di articoli negli alveoli di un nastro alveolato |
JPH08217027A (ja) | 1995-02-17 | 1996-08-27 | Ckd Corp | 包装フィルムの送り制御方法 |
ITBO20010650A1 (it) * | 2001-10-26 | 2003-04-26 | Ima Spa | Metodo e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confezioni blister |
JP4003829B2 (ja) * | 2002-07-26 | 2007-11-07 |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 搬送ドラムへの被搬送物の供給装置、及び被搬送物の供給方法 |
JP3935105B2 (ja) * | 2003-05-13 | 2007-06-20 |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 錠剤充填装置及びptp包装機 |
JP4076924B2 (ja) * | 2003-08-05 | 2008-04-16 |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 充填装置及びptp包装機 |
CA2668694A1 (en) * | 2006-10-19 | 2008-04-24 | Wm. Wrigley Jr. Company | Non-contact printed comestible product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EP1988024B2 (en) * | 2007-05-04 | 2017-05-24 | GEA Food Solutions Germany GmbH | Packaging machine with foreign substance detection |
JP4596193B2 (ja) * | 2008-08-08 | 2010-12-0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データ更新方法 |
JP5504976B2 (ja) * | 2010-03-02 | 2014-05-2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
JP5721278B2 (ja) * | 2013-04-24 | 2015-05-20 | Ckd株式会社 | Ptpシート検査システム |
-
2016
- 2016-01-26 JP JP2016012170A patent/JP6062584B1/ja active Active
- 2016-07-01 KR KR1020187007780A patent/KR1019948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7-01 CN CN201680063161.2A patent/CN108349613B/zh active Active
- 2016-07-01 WO PCT/JP2016/069597 patent/WO201713043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7-01 EP EP16888022.7A patent/EP3409601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07-02 US US16/025,108 patent/US1092690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9908A (ja) | 2000-02-09 | 2001-08-14 | Ckd Corp | 充填装置及びptp包装機 |
JP2004028604A (ja) | 2002-06-21 | 2004-01-29 | Ckd Corp | 錠剤の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
JP2014223946A (ja) | 2013-04-25 | 2014-12-04 | シミックCmo株式会社 | Ptpシート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09601A1 (en) | 2018-12-05 |
WO2017130436A1 (ja) | 2017-08-03 |
KR20180041221A (ko) | 2018-04-23 |
US20180305058A1 (en) | 2018-10-25 |
EP3409601B1 (en) | 2020-07-01 |
CN108349613B (zh) | 2020-07-07 |
CN108349613A (zh) | 2018-07-31 |
JP6062584B1 (ja) | 2017-01-18 |
EP3409601A4 (en) | 2019-08-28 |
JP2017132490A (ja) | 2017-08-03 |
US10926907B2 (en) | 2021-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4830B1 (ko) | Ptp 포장기 | |
KR101838977B1 (ko) |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 |
CN106802304B (zh) | 外观检查装置 | |
KR101648820B1 (ko) | Ptp 포장기 | |
CN110023742B (zh) | 检查装置及ptp包装机 | |
CN111033241B (zh) | 外观检查装置和泡罩包装机 | |
CN110871917B (zh) | Ptp包装机 | |
JP6861678B2 (ja) | 良否確認システム及びブリスタ包装システム | |
JP6316774B2 (ja) | 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 |
JP5993358B2 (ja) |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 |
WO2022215296A1 (ja) | 検査装置、ブリスター包装機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 |
JP2007135982A (ja) | 錠剤搬送装置 | |
JP2022133332A (ja) | Ptp包装機 | |
JP7560532B2 (ja) | カプセルの外観検査装置 | |
KR20160084129A (ko) | 필름 부착 장치 | |
JP6347614B2 (ja) | 封緘体フラップ検査装置 | |
JP7542022B2 (ja) | ブリスタ包装機 | |
CN111225183A (zh) | 检查装置远程对应系统 | |
JP6444913B2 (ja) | 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 |
JP6998344B2 (ja) | 外観検査装置及び包装シート製造装置並びに外観検査方法 | |
JP7292865B2 (ja) | 透明ビン検査装置及び透明ビン検査方法 | |
JPH07185476A (ja) | びんの色選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