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669B1 -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 Google Patents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669B1
KR101849669B1 KR1020150105788A KR20150105788A KR101849669B1 KR 101849669 B1 KR101849669 B1 KR 101849669B1 KR 1020150105788 A KR1020150105788 A KR 1020150105788A KR 20150105788 A KR20150105788 A KR 20150105788A KR 101849669 B1 KR101849669 B1 KR 10184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rotary drum
pressure
negative pressure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826A (ko
Inventor
히로후미 미즈노
카츠노리 이시구레
나오미 호소이
마사시 야노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5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single articles, e.g.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65B35/38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14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pneumatic fee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과제] 물품의 흡착 미스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는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픽업 장치(23)는, 흡인 구멍(231B)을 가지는 복수의 흡착부(231A)를 외주에 구비하는 회전 드럼(231)과, 흡인 구멍(231B)에 부압을 공급하는 진공 펌프(234)를 구비한다. 흡착부(231A)가 흡착 위치(P5)에 이르기 전에, 진공 펌프(234)로부터의 부압의 공급에 의해,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이, 미리 정제(5)를 흡착부(231A)에 흡착 가능한 진공압인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된다. 그리고, 정제(5)를 흡착해야 할 흡착부(231A)는, 적어도 흡착 위치(P5)를 통과하기 전후에 걸쳐서, 흡인 구멍(231B)에 진공 펌프(234)로부터 부압이 공급된 상태로 된다. 한편, 정제(5)를 흡착하지 말아야 할 흡착부(231A)는, 흡착부(231A)가 흡착 위치(P5)를 통과하기 전에, 흡인 구멍(231B)이 대기에 개방된다.

Description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PICKUP DEVICE AND BLISTER PACKAGING MACHINE}
본 발명은, 각종 물품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브리스터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진공(부압{負壓})을 이용함으로써, 정제 등이나 전자 부품(칩) 등의 각종 물품을 흡착 보유{保持}하는 픽업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픽업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외주면에 복수의 흡인 구멍(흡착 구멍)을 구비한 회전 드럼과, 해당{當該} 회전 드럼의 단면을 덮음과 동시에, 상기 흡인 구멍에 연통하는 공간(홈)을 가지는 플레이트와, 상기 공간에 부압을 공급하는 부압 공급 수단과, 상기 공간에 대한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부압의 공급 및 정지를 전환{切換}하는 전환 수단을 가지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 참조).
이 장치에서는,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소정의 흡착 위치(물품의 공급 위치)에 흡인 구멍이 도달했을 때, 해당 흡인 구멍은,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된 상기 공간에 연통하여, 부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해당 흡인 구멍에 대해(보다 정확하게는, 회전 드럼 중 해당 흡인 구멍을 형성하는 부위에 대해) 물품이 흡착 보유되게 된다.
또, 브리스터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브리스터 포장기에 있어서, 부압을 이용하여 물품을 선택적으로 흡인하고, 회수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이 장치는, 띠모양{帶狀}의 캐리어 스트립(용기 필름)의 브리스터(포켓부)에 정제 등의 물품이 충전된 후, 상기 브리스터가 막히기 전의 단계에서, 상기 물품을 흡인하여 회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장치는, 캐리어 스트립측을 향하는 흡인 구멍(개방실)이 복수 나란히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흡인 구멍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공기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등 참조). 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회수 대상의 물품이 소정의 회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캐리어 스트립이 단시간 일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공기 밸브가 전환됨으로써, 회수 대상으로 되는 물품에 대응하는 흡인 구멍에 부압이 공급된다(흡인 구멍이 진공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회수 대상의 물품이 흡인되어 회수되게 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특개2011-8076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개평5-270507호 공보
그런데, 통상, 부압의 공급 전에서 흡인 구멍은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상술한 각 종래 기술에서는, 이 대기압 하의 흡인 구멍에 대한 부압의 공급 및 정지를 전환함으로써, 물품이 흡착(흡인)되는지 여부가 전환된다.
그렇지만, 대기압 하의 흡인 구멍에 부압을 공급했을 때에, 흡인 구멍의 기압이, 물품을 흡착 가능한 기압(흡착 가능 진공압이라 칭함) 이하로 순식간에 내려간다고 하는 일은 없고, 흡인 구멍의 기압이 흡착 가능 진공압 이하로 되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물품을 흡착할지 여부의 전환에 시간을 요하고, 본래 흡착되어야 할 물품이 잘못하여 흡착되지 않는다고 한 사태(흡착 미스)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물품이 비교적 고속으로 반송되는 장치에서, 물품을 흡착할지 여부의 전환에 시간을 요해 버리면, 물품의 흡착 미스가 생기기 쉬워져 버리고, 나아가서는 물품의 선택적인 회수 등에 지장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물품의 흡착 미스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는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데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목분류하여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소정의 흡인 구멍을 각각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흡착부가,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외주에 설치됨과 동시에, 반송되는 물품에 맞추어 회전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을 공급하고,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진공압인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는 부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하고,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어 있는 상기 흡착부가 소정의 흡착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서 흡착되도록 구성된 픽업 장치로서,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이르기 전 단계인 제1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부압 공급 수단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의 공급이 개시되고, 상기 제1 타이밍보다도 나중이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이르기 전 단계인 제2 타이밍에서,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고,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이 공급 가능한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및, 상기 흡인 구멍이 대기에 개방되는 대기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개개의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서 물품을 흡착해야할지 여부를 인식 가능하고,
흡착해야 한다고 인식한 상기 흡착부에 관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한 후의 제3 타이밍까지의 동안,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가 유지{維持}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흡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인식한 상기 흡착부에 관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타이밍보다도 나중이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하기 전의 소정의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대기 개방 상태로 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수단 2.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에서의 상기 부압 공급 수단에 의한 상기 흡인 구멍에서의 감압 속도의 절대값보다도,
 상기 대기 개방 상태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에서의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부터의 승압 속도의 절대값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3. 상기 부압 공급 수단은,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진공압 중 최대의 기압인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보다도 작은 최종 도달 진공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타이밍에서,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최종 도달 진공압으로 되고,
상기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과 상기 최종 도달 진공압의 차압은, 상기 대기압과 상기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의 차압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또는 2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4.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흡인 구멍과 개별적으로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일단면에서 개구하는 복수의 통기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일단면은, 상기 통기 구멍과 연통하는 공간부를,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고정 밸브로 덮이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는 부압 공간부와,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 또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부압 공간부와 연통한 후의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늘어서는 일렬{一列}의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을, 개별적으로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또는 상기 대기 개방 상태로 하는 전환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5.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물품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의해 반송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도달했을 때에 회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 위치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연직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한 후, 소정의 흡착 유지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위치하는 회수 위치에 이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흡착 유지 영역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과 연통하는 흡착 유지 공간부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회수 위치의 앞쪽{手前}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회수 위치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과 연통하는 대기 개방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4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6. 상기 물품은, 오목모양{窪狀}의 포켓부에 수용된 상태로 반송되고,
상기 흡착부는, 외주 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그 선단면에 상기 흡인 구멍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흡착부의 선단부가 상기 포켓부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픽업 장치.
수단 7. 반송되는 용기 필름에 형성된 포켓부에 소정의 물품을 충전하는 충전 수단과,
해당 충전 수단의 하류측에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띠모양의 커버 필름을 취착{取着}하는 씰 수단과,
해당 씰 수단의 하류측에서,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취착되어 이루어지는 브리스터 필름을 시트 단위로 타발{打拔; punching, blanking}해서 소정의 브리스터 시트를 얻는 타발 수단과,
상기 충전 수단 및 상기 씰 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브리스터 시트로 되는 시트 예정 부위에 대해, 상기 물품의 양부{良否}에 관계된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검사 항목에 대해서 양부 판정을 수행하는 검사 수단과,
상기 물품을 회수 가능한 회수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수단 1 내지 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픽업 장치가, 상기 검사 수단 및 상기 씰 수단 사이에 설치된 브리스터 포장기로서,
상기 픽업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사 수단에 의해 적어도 1개의 상기 검사 항목에 대해서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는 상기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 상기 검사 수단에 의해 상기 물품의 양부에 관계된 항목에서 양호품{良品}으로 판정된 상기 물품을, 상기 흡착부가 흡착해야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상기 회수 수단은, 상기 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상기 물품을 회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스터 포장기.
수단 8. 상기 충전 수단은, 상기 물품이 저류{貯留}되는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회수 수단은, 회수한 상기 물품을 상기 저류부에 반송하는 물품 반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7에 기재된 브리스터 포장기.
수단 9. 상기 용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물품이 흡착되는 위치 전후에는, 상기 포켓부의 개구를 막아, 상기 포켓부로부터의 상기 물품의 튀어나옴{飛出}을 방지하는 튀어나옴 방지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7 또는 8에 기재된 브리스터 포장기.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제1 타이밍에서 흡인 구멍에 부압이 공급되는 것에 의해, 늦어도 흡착부가 흡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제2 타이밍)에는, 흡인 구멍의 기압이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고, 흡착부에 대해 물품이 흡착 가능한 상태(흡착 가능 상태)로 된다. 게다가, 물품을 흡착해야 할 흡착부는, 전환 수단에 의해 부압 공급 가능 상태로 됨으로써, 흡착 위치의 통과 후까지 흡착 가능 상태인 채로 유지되고, 나아가서는 흡착 위치를 통과할 때에 물품을 흡착한다. 한편, 물품을 흡착하지 말아야 할 흡착부는, 전환 수단에 의해 대기 개방 상태로 됨으로써, 흡착 위치에의 도달 전에 물품을 흡착할 수 없는 상태(흡착 불가 상태)로 되고, 나아가서는 흡착 위치를 통과할 때에 물품을 흡착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종전에서는, 대기압 하의 흡인 구멍에 대한 부압의 공급 및 정지를 전환함으로써, 물품의 흡착과 비흡착이 전환되고 있지만, 상기 수단 1에서는, 흡인 구멍을 사전에 진공화하고, 흡착부를 미리 흡착 가능 상태로 한 다음에,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또는 대기 개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서, 흡착부에 의한 물품의 흡착과 비흡착이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착부가 미리 흡착 가능 상태로 되기 때문에, 흡착부에 의한 물품의 흡착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할 수가 있고, 흡착 미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일반적으로, 기압이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어 있는 흡인 구멍을 대기에 개방하고, 흡인 구멍의 기압을 흡착 가능 진공압보다도 크게 하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다시 말해,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요하는 시간)은, 대기압 하에 있는 흡인 구멍에 부압을 공급하고, 흡인 구멍의 기압을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기까지에 요하는 시간(다시 말해, 흡착 불가 상태로부터 흡착 가능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요하는 시간)과 비교하여 짧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종전의 수법과 비교하여, 흡착부에 대한 물품의 흡착과 비흡착을 보다 단시간에 전환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의 흡착 미스가 생겨 버리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상기 수단 1은, 물품이 비교적 고속으로 한창 반송되고 있는 도중에, 해당 물품을 흡착하는 경우에서 유효하다. 이와 같은 경우, 물품을 흡착할지 여부의 전환에 시간을 요하면, 물품의 흡착 미스가 생기기 쉽게 되지만,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물품을 흡착할지 여부의 전환을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흡착되어야 할 물품을 정밀도좋게, 보다 확실하게 흡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흡착부를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할 때의 흡인 구멍에서의 기압의 변화 속도가, 흡착부를 흡착 불가 상태로부터 흡착 가능 상태로 할 때의 흡인 구멍에서의 기압의 변화 속도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부를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보다 재빠르게 전환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흡착 미스의 발생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흡착부를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보다 재빠르게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방 타이밍을 흡착부가 흡착 위치에 이르는 타이밍에 보다 접근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타이밍도 가능한 한 늦출 수가 있고, 너무 빠른{이른} 단계로부터의 부압의 공급 개시(흡인 개시)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효율적인 흡인이 가능해진다.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흡착부를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할 때에 필요로 되는 흡인 구멍에서의 기압의 변화량의 최대값(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과 최종 도달 진공압의 차압)은, 흡착부를 흡착 불가 상태로부터 흡착 가능 상태로 할 때에 필요로 되는 흡인 구멍에서의 기압의 변화량의 최대값(대기압과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의 차압)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부를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한층 재빠르게 전환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흡착 미스의 발생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비록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에서의 상기 부압 공급 수단에 의한 상기 흡인 구멍에서의 감압 속도의 절대값」과, 「상기 대기 개방 상태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에서의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부터의 승압 속도의 절대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가까운 경우이더라도, 상기 수단 1에 의한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회전 드럼이 회전하고, 통기 구멍이 부압 공간부와 연통함으로써, 해당 통기 구멍과 연통하는 흡인 구멍에서 사전의 진공화가 수행되고, 흡인 구멍의 기압이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된다(흡착부가 흡착 가능 상태로 된다). 게다가, 회전 드럼이 더 회전하고, 통기 구멍을 거쳐서 일렬로 늘어선 흡착부에서의 각 흡인 구멍의 각각이,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 또는,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로 된 전환 공간부와 개별적으로 연통함으로써, 각 흡인 구멍이,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또는 대기 개방 상태로 된다. 다시 말해, 일렬로 늘어서는 흡착부의 각각에서 흡착 가능 상태를 유지할지 여부가 개별적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통기 구멍이 부압 공간부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흡인 구멍에서의 사전의 진공화가 개시되고, 통기 구멍이 전환 공간부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흡착부에서의 흡착 가능 상태가 유지 또는 해제된다. 따라서, 사전의 진공화나 흡착 가능 상태의 유지와 해제의 전환이 일정 위치에서 반드시 수행되게 된다. 그 결과, 흡착 미스의 발생 억제를 한층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흡착 유지 영역에 위치하는 모든 흡착부에서의 흡인 구멍에 부압을 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물품을 흡착부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흡착한 채로, 회수 위치측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반송시에서의 물품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고, 물품을 보다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회수 위치의 앞쪽으로부터 적어도 회수 위치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든 흡착부에서의 흡인 구멍이 대기에 개방되고, 흡착부에서의 물품의 흡착이 해제된다. 따라서, 회수 수단에 의한 물품의 회수를 보다 확실하게, 또한,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6에 의하면, 흡착 위치에서 흡착부의 선단부가 포켓부에 들어가게 된다. 그 때문에, 흡착부에 대해 물품을 보다 확실하게 흡착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7에 의하면, 용기 필름에 대해 커버 필름이 취착되기 전에, 불량으로 판정된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 양호품으로 판정된 물품이 회수된다. 여기서, 물품의 회수는 커버 필름의 취착 전에 수행되기 때문에, 회수시에 커버 필름을 찢거나 할 필요는 없고, 물품에 대한 외압의 인가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씰 수단에 이르기 전에 물품이 회수되기 때문에, 반송에 수반하는 진동이 장기간에 걸쳐 물품에 가해져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들이 서로 어울려, 회수되는 물품에 대해 데미지가 주어져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수한 물품에 대한 재검사 등의 수고가 드는 작업을 수행하는 일없이, 양호한 상태의 물품을 재이용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재이용되는 물품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하면서, 생산 코스트의 억제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수단 7에 의하면, 물품의 회수는 커버 필름의 취착 전에 수행되기 때문에, 씰 수단에 의한 열 등의 영향이 물품에 미치는 일은 없다. 이것에 의해, 재이용되는 물품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한층 확실하게 담보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단 7에 의하면, 씰 수단에 이르기 전의 비교적 빠른 단계에서 물품이 회수된다. 그 때문에, 물품이 흡습성을 가지는 정제 등인 경우에서, 물품의 흡습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런데, 브리스터 시트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점에서는, 검사 수단에 의한 검사 감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검사 감도를 높이면, 잘못해서 불량으로 판정되는 케이스가 많아져 버린다. 이와 같이 불량으로 판정되는 케이스가 증대해 버리면, 일반적인 종래 수법(예를 들면, 양호품의 물품을 포함하는 브리스터 시트를 그대로 폐기해 버리는 수법)을 이용한 경우, 매우 많은 양호품의 물품이 소용없게 되어 버려, 코스트가 극단적으로 증대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 상기 수단 7에 의하면, 양호품으로 판정된 물품은 회수되기 때문에, 검사 감도를 높였다고 해도, 많은 물품이 소용없게 되어 버린다고 한 사태는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코스트 증대를 초래하는 일없이, 브리스터 시트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브리스터 포장기는, 불량으로 판정된 시트 예정 부위가 타발되어 이루어지는 불량품의 브리스터 시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수단 8에 의하면, 물품 반송 수단에 의해서, 충전 수단의 저류부에 대해, 회수된 물품이 직접 되돌려보내진다. 따라서, 회수한 물품을 저류부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작업이 불필요해져,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수단 1 등에서, 흡착부는, 흡착 위치에 도달하기 전 단계에서, 사전에 흡착 가능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흡착부가 흡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흡착부에 대해 본래 흡착하지 말하야 할 물품이 잘못해서 흡착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점, 상기 수단 9에 의하면, 튀어나옴 방지 수단에 의해서, 흡착 위치 전후에 위치하는 물품의 튀어나옴이 방지된다. 따라서, 흡착부에 의해 물품을 흡착할 때에, 회수 대상이 아닌 물품이 잘못해서 흡착되고 회수되어 버린다고 한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 PTP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PTP 필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PTP 포장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 정제 충전 장치, 씰전 검사 장치, 및, 픽업 장치 등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 픽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픽업 장치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8] 픽업 장치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9] 도 6의 J-J선 단면도이다.
[도 10] 픽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 각 공간부와 진공 펌프 등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이나 최종 도달 진공압 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부터의 승압 속도나 흡착 가능 진공압에의 감압 속도를 도시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4] 검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 제1 검사 장치에 기억되는 양부 판정에 관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제2 검사 장치에 기억되는 양부 판정에 관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제3 검사 장치에 기억되는 양부 판정에 관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시트 예정 부위에서의 일련 번호 및 정제 번호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9] 제어 장치에 의해 파악되는 양부 판정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회수 대상 결정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1] 픽업 장치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2] 불량품으로서 배출되는 PTP 시트의 1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 불량품으로서 배출되는 PTP 시트의 1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4]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PTP 시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5]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정제 충전 장치나 픽업 장치 등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브리스터 시트로서의 PTP 시트(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TP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해서 용기 필름(3)에 취착된 커버 필름(4)을 가지고 있다.
용기 필름(3)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나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 필름(4)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란트가 표면에 도포된 불투명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PTP 시트(1)는, 평면시{平面視} 대략 직사각형모양{矩形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트 긴쪽 방향을 따라 배열된 5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지는 포켓열이, 시트 짧은쪽 방향으로 2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합계 10개의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에는, 물품으로서의 정제(5)가 1개씩 수용되어 있다(도 2 참조).
PTP 시트(1)는, 띠모양{帶狀}의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으로 형성된 브리스터 필름으로서의 PTP 필름(6)(도 3 참조)이 타발됨으로써, 시트모양으로 제조된다.
다음에, 상기 PTP 시트(1)를 제조하기 위한 브리스터 포장기로서의 PTP 포장기(11)의 개략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PTP 포장기(11)의 최상류측에서는, 띠모양의 용기 필름(3)의 원단{原反; original, raw}이 롤모양으로 감겨져{卷回} 있다. 롤모양으로 감겨진 용기 필름(3)의 인출단{引出端}측은, 가이드 롤(13)에 안내되고 있다. 용기 필름(3)은, 가이드 롤(13)의 하류 측에서 간헐 이송 롤(14)에 걸려{掛裝} 있다. 간헐 이송 롤(14)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 롤(13)과 간헐 이송 롤(14)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가열 장치(15) 및 포켓부 형성 장치(16)가 차례로 배설{配設}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장치(15)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이 가열되어 그 용기 필름(3)이 비교적 유연하게 된 상태에서,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가 성형된다. 가열 장치(15) 및 포켓부 형성 장치(16)에 의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포켓부 형성 수단이 구성된다. 포켓부(2)의 형성은, 간헐 이송 롤(14)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 사이의 인터벌 시에 수행된다.
간헐 이송 롤(14)로부터 내보내진 용기 필름(3)은, 텐션 롤(18), 가이드 롤(19) 및 필름 받침 롤(20)의 순으로 걸려 있다. 필름 받침 롤(20)은, 일정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필름(3)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텐션 롤(18)은, 용기 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14)과 필름 받침 롤(20)의 반송 동작의 상위{相違}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느슨함을 방지하여 용기 필름(3)을 상시 긴장 상태로 보유한다. 이것에 의해, 용기 필름(3)은, 텐션 롤(18) 및 필름 받침 롤(20) 사이에서, 정지하는 일없이 연속 반송된다.
가이드 롤(19)과 필름 받침 롤(20)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충전 수단으로서의 정제 충전 장치(21), 검사 수단으로서의 씰전 검사 장치(22), 및, 픽업 장치(23)가 이 순서로 배설되어 있다.
정제 충전 장치(21)는, 포켓부(2)에 정제(5)를 자동적으로 충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 받침 롤(20)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드럼(211)을 구비하고 있다. 해당{當該} 드럼(211)의 외표면에는, 정제(5)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 오목부(212)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수용 오목부(212)에 대해 흡기 구멍(213)이 연통해 있다.
또, 드럼(211)의 상부에 근접해서 정제 공급 슈트(214)이 설치되어 있다. 정제 공급 슈트(214)의 개구에 설치된 셔터(215)가 소정 간격마다 열림으로써, 정제 공급 슈트(214)로부터 1개씩 정제(5)가 낙하한다. 낙하한 정제(5)는, 상기 수용 오목부(212)에 수용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는 흡기 수단에 의해 흡기 구멍(213) 내의 에어가 흡인됨으로써, 드럼(211)의 외표면에 흡인 보유된다. 드럼(211)의 외표면에 흡인된 정제(5)는, 드럼(211)의 회전에 의해 아래쪽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드럼(211)의 하부에 정제(5)가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에어의 흡인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전된다.
또, 정제 공급 슈트(214)의 상부에는, 정제(5)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216)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저류부(216)로부터 정제 공급 슈트(214)에 정제(5)가 공급된다.
씰전 검사 장치(22)는,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검사 장치(T1), 제2 검사 장치(D) 및 제3 검사 장치(A)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검사 장치(T1, D, A)에 의해, 정제(5)나 용기 필름(3)(시트 부분)에 관한 이상이 검사된다. 각 검사 장치(T1, D, A)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픽업 장치(23)는, 포켓부(2)로부터 정제(5)를 픽업하고, 픽업된 정제(5)를 픽업 장치(23)의 위쪽에 설치된 회수 수단으로서의 회수 장치(24) 측으로 반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픽업 장치(23)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회수 장치(24)는, 픽업 장치(23)에 의해 픽업된 정제(5)를 회수하는 것이며, 통부{筒部}(241)와, 흡인 장치(242)를 구비하고 있다. 통부(241)는, 용기 필름(3)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용기 필름(3)의 폭방향을 따른 포켓부(2)의 수와 동일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 설치되어 있다. 또, 통부(241)는, 연직 방향으로 늘어나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회수 장치(24) 및 정제 충전 장치(21) 사이에 설치된 정제 반송관(25)과 직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제 반송관(25)은, 예를 들면, 비교적 연질의 수지나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통부(241)는, 그 하단부에 개구부(241A)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241A)는, 후술하는 회전 드럼(231)의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241A)의 바로 아래쪽으로 픽업 장치(23)에 의해서 정제(5)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개구부(241A)는, 1개의 정제(5)만이 통과 가능한 개구 면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흡인 장치(242)는, 각 통부(241)에 접속된 복수의 송풍관(242A)과, 각 송풍관(242A)에 외기보다도 저습의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 장치(242B)를 구비하고 있다. 송풍 장치(242B)에 의한 에어의 공급에 의해서, 각 통부(241) 내에는 위쪽으로 향해진 기류가 발생하고, 그 결과, 통부(241) 내의 개구부(241A) 측이 흡인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개구부(241A)를 통해, 정제(5)를 1개씩 흡인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흡인(회수)된 정제(5)는, 공급 에어로 생긴 기류에 의해, 정제 반송관(25)을 통해, 상기 저류부(216)로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제 반송관(25) 및 송풍 장치(242B)에 의해, 물품 반송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4로 되돌아가, 띠모양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최상류 측에서 롤모양으로 감겨져 있다.
롤모양으로 감겨진 커버 필름(4)의 인출단은, 가이드 롤(26)에 의해서 가열 롤(27) 쪽으로 안내되고 있다. 가열 롤(27)은, 상기 필름 받침 롤(20)에 압접{壓接}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 롤(20, 27) 사이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들여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양 롤(20, 27) 사이를 가열 압접 상태에서 통과함으로써,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이 첩착{貼着}되고, 포켓부(2)가 커버 필름(4)으로 막힌다. 이것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충전된 PTP 필름(6)이 제조되도록 되어 있다. 필름 받침 롤(20) 및 가열 롤(27)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씰 수단이 구성된다.
필름 받침 롤(20)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 롤(28) 및 간헐 이송 롤(29)의 순으로 걸려 있다. 간헐 이송 롤(29)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28)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필름 받침 롤(20)과 간헐 이송 롤(29)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PTP 필름(6)의 느슨함을 방지하여 PTP 필름(6)을 상시 긴장 상태로 보유한다.
간헐 이송 롤(29)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 롤(31) 및 간헐 이송 롤(32)의 순으로 걸려 있다. 간헐 이송 롤(32)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31)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29, 32) 사이에서의 PTP 필름(6)의 느슨함을 방지한다.
간헐 이송 롤(29)과 텐션 롤(31)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슬릿 형성 장치(33) 및 각인{刻印} 장치(34)가 차례로 배설되어 있다. 슬릿 형성 장치(33)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에 절리{切離}용 슬릿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각인 장치(34)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태그부)에 각인을 새기는 기능을 가진다.
간헐 이송 롤(32)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그 하류 측에서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의 순으로 걸려 있다. 간헐 이송 롤(32)과 텐션 롤(35)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시트 타발 장치(37)가 배설되어 있다. 시트 타발 장치(37)는, PTP 필름(6)을 PTP 시트(1) 단위로 그 바깥가장자리{外緣}를 타발하는 타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시트 타발 장치(37)에 의해서 타발된 PTP 시트(1)는, 취출{取出; take-out} 컨베이어(38)에 의해서 반송되고, 완성품용 호퍼(39)에 일단 저류된다. 또한, 상기 검사 장치(T1, D, A)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서 불량 판정된 경우, 후술하는 제어 장치(60)로부터, 취출 컨베이어(38)의 반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배출 수단으로서의 불량 시트 배출 기구(40)에 불량품 신호가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불량 판정으로 된 PTP 시트(1)는, 불량 시트 배출 기구(40)에 의해서 별도 배출되고, 도시하지 않는 불량품 호퍼에 이송된다.
상기 연속 이송 롤(36)의 하류 측에는, 재단 장치(41)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타발 장치(37)에 의한 타발 후에 띠모양으로 남은 잔재부{殘在部}(스크랩부)를 구성하는 불요{不要} 필름부(42)는, 상기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에 안내된 후, 재단 장치(41)에 인도된다. 또한, 상기 연속 이송 롤(36)은 종동 롤이 압접되어 있고, 상기 불요 필름부(42)를 협지{挾持}하면서 반송 동작을 수행한다. 재단 장치(41)는, 불요 필름부(42)를 소정 치수로 재단하고 스크랩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스크랩은 스크랩용 호퍼(43)에 저류된 후, 별도 폐기 처리된다.
또한, 상기 각 롤(14, 19, 20, 29, 31, 32) 등은, 그 롤 표면과 포켓부(2)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지만, 각 롤(14) 등의 표면에는, 포켓부(2)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포켓부(2)가 찌그러져 버리는 일이 없다. 또, 포켓부(2)가 각 롤(14) 등의 오목부에 수용되면서 이송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간헐 이송 동작이나 연속 이송 동작이 확실하게 수행된다.
PTP 포장기(11)는, 상기 각종 장치(수단) 외에, 제어 장치(6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60)는,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연산 데이터나 입출력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등을 구비한, 이른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60)는, 예를 들면 상기 가열 장치(15), 포켓부 형성 장치(16), 정제 충전 장치(21) 및 픽업 장치(23) 등의 각종 장치의 구동 제어나, 필름 받침 롤(20) 등의 각종 롤러의 구동 제어 등을 맡는다. 또, 제어 장치(60)는, 도시하지 않는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이나 PTP 필름(6)의 반송량을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 장치(60)는, 제1 검사 장치(T1), 제2 검사 장치(D) 및 제3 검사 장치(A)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에 기억된 각종 정보(화상 데이터나 검사 조건, 양부 판정 결과에 관한 정보 등)를 수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60)는, 검사 장치(T1, D, A)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PTP 시트(1)로 되는 시트 예정 부위마다, 소정의 정제 번호 J1~J10(도 18 참조)으로 지시되는 각 정제(5) 및 시트 부분에 대한, 후술하는 각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 관한 양부를 특정 및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검사 장치(T1, D, A)에서 실행되는 검사 항목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지만, 제어 장치(60)는, 중복되어 있는 검사 항목에 관해서는, 적어도 1개의 검사 장치(T1, D, A)에서 불량으로 판정되어 있으면, 해당 검사 항목에 대해서는 불량으로 특정한다. 예를 들면, 검사 항목 X1에서, 어떤 정제(5)가, 검사 장치 T1, D에서는 양호로 판정되고, 검사 장치 A에서는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 제어 장치(60)는, 상기 정제(5)는 검사 항목 X1에서 불량으로 특정한다.
또, 제어 장치(60)에 의한 각종 장치의 구동 제어는, 제어 장치(60)의 ROM 등에 사전에 설정된 설정 데이터(각종 기구의 구동량의 데이터 등)나 각 검사 장치(T1, D, A)로부터 수신한 정보,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 등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60)가 PTP 포장기(11) 내의 각종 장치에 대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어 장치(60)는, 시트 예정 부위의 양부 결과(도 19 참조)에 기초하여, 픽업 장치(23)를 제어하고, 픽업 장치(23)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 양호품{良品}의 정제(5)만을 픽업한다. 픽업된 정제(5)는, 회수 장치(24)에 의해 회수된다. 또한, 정제(5)의 픽업에 관련하는 제어 장치(60)의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그 다음에, 픽업 장치(2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픽업 장치(23)는, 도 6~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모양{圓筒狀}의 회전 드럼(231)과, 이것과 동일 축에 배치된 원판모양{圓板狀}의 고정 밸브(232)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드럼(231)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5)의 속도에 맞추어 연속 회전하고 있다. 또한, 회전 드럼(231)에는, 도시하지 않는 인코더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인코더로부터 제어 장치(60)에 회전 드럼(231)의 회전 각도에 관한 신호가 일정 시간마다 출력되고 있다. 제어 장치(60)는, 그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 드럼(231)의 회전 각도를 파악할 수가 있고, 또, 파악한 회전 각도로부터 다음에 기술하는 흡착부(231A)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 드럼(231)은, 외주 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회전 드럼(231)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흡착부(231A)를 구비하고 있다. 흡착부(231A)는, 회전 드럼(231)의 축방향을 따라, 용기 필름(3)의 폭방향을 따른 포켓부(2)의 수와 동일 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 설치되고, 회전 드럼(231)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2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 드럼(231)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착부(231A)는, 회수 위치(P1), 사전 흡인 영역(P2), 전환 영역(P3) 및 흡착 유지 영역(P4)의 순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10 참조).
회수 위치(P1)는, 회전 드럼(231)의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위치해 있고, 해당 회수 위치(P1)를 향해 상기 통부(241)의 개구부(241A)가 개구되어 있다. 사전 흡인 영역(P2)은, 회수 위치(P1)와 전환 영역(P3) 사이에 위치해 있고, 흡착부(231A)의 이동 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의 범위에 걸치는 영역이다. 전환 영역(P3)은, 회전 드럼(231)의 회전축의 연직 아래쪽에 위치하는 흡착 위치(P5)를 포함하고, 흡착부(231A)의 이동 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의 범위에 걸치는 영역이다. 흡착 유지 영역(P4)은, 흡착부(231A)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전환 영역(P3) 직후로부터 회수 위치(P1) 앞쪽까지의 비교적 광범위에 걸치는 영역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착 위치(P5)에 배치된 흡착부(231A)는, 그 선단부가 포켓부(2)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또, 흡착부(231A)는, 각각의 선단면에서 개구하는 흡인 구멍(231B)을 구비하고 있고, 각 흡인 구멍(231B)은 개별적으로, 회전 드럼(231)의 내부에 설치된 통기 구멍(231C)과 연통해 있다. 통기 구멍(231C)은, 회전 드럼(231)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늘어나 있고, 회전 드럼(231)의 일단면에서 개구되어 있다(도 8 참조). 회전 드럼(231)의 축방향을 따라 늘어서는 일렬의 흡인 구멍(231B)과 연결되어 있는 각 통기 구멍(231C)의 개구는, 회전 드럼(231)의 지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늘어선 상태로 되어 있다(도 7 참조).
고정 밸브(232)는, 회전 드럼(231)의 일단면을 덮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고, 회전 드럼(231)과는 달리, 이동 불능으로 되어 있다. 또, 고정 밸브(232)는, 회전 드럼(231)의 일단면 측에 개구되는 오목모양{凹狀}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부(232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간부(232A)로서, 대기 개방 공간부(S1), 부압 공간부(S2), 전환 공간부(S3) 및 흡착 유지 공간부(S4)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회전 드럼(23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도 7, 도 10 참조). 각 공간부(S1~S4)는, 회전 드럼(231)의 회전에 수반하여, 통기 구멍(231C)과 연통하는 공간이다.
대기 개방 공간부(S1)는, 회수 위치(P1)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 흡착부(231A)가 배치되었을 때에, 해당 흡착부(231A)의 흡인 구멍(231B)에 연결되는 통기 구멍(231C)과 연통한다. 부압 공간부(S2)는, 사전 흡인 영역(P2)에 흡착부(231A)가 배치되었을 때, 해당 흡착부(231A)의 흡인 구멍(231B)에 연결되는 통기 구멍(231C)과 연통한다. 흡착 유지 공간부(S4)는, 흡착 유지 영역(P4)에 흡착부(231A)가 배치되었을 때에, 해당 흡착부(231A)의 흡인 구멍(231B)에 연결되는 통기 구멍(231C)과 연통한다. 대기 개방 공간부(S1), 부압 공간부(S2) 및 흡착 유지 공간부(S4)는, 각각 고정 드럼(232)의 지름 방향을 따라 비교적 큰 폭을 가지고 있고, 회전 드럼(231)의 회전에 수반하여, 개구가 일렬로 늘어선 각 통기 구멍(231C)과 한번에 연통하고, 나아가서는 통기 구멍(231C)을 거쳐서 회전 드럼(231)의 축방향을 따라 늘어선 일렬의 흡인 구멍(231B)과 한번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전환 공간부(S3)는, 전환 영역(P3)에 흡착부(231A)가 배치되었을 때, 해당 흡착부(231A)의 흡인 구멍(231B)에 연결되는 통기 구멍(231C)과 연통한다. 또, 전환 공간부(S3)는, 고정 밸브(232)의 지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각각 원호모양{圓弧狀}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각 전환 공간부(S3)는, 회전 드럼(231)의 회전에 수반하여, 개구가 일렬로 늘어선 각 통기 구멍(231C) 중 하나와 개별적으로 연통한다. 또한, 1개의 전환 공간부(S3)가 2개 이상의 통기 구멍(231C)과 연통하지 않도록, 회전 드럼(231)의 둘레방향을 따른 전환 공간부(S3)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 고정 밸브(232)에는, 각 공간부(S1~S4)와 연통하고, 회전 드럼(231)과는 반대 측을 향해서 개구하는 관통 구멍(23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또한, 도 11은 회전 드럼(231) 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밸브(232)에는, 각 관통 구멍(232B)과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통기관(233)(도 6 등에서 도시하지 않음)이 부착{取付; attach}되어 있고, 통기관(233)을 거쳐서 각 공간부(S1~S4)는, 부압이 공급되거나(흡기되거나), 대기에 개방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대기 개방 공간부(S1)는, 통기관(233)을 거쳐서 항상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부압 공간부(S2)는, 통기관(233)을 거쳐서 부압 공급 수단으로서의 진공 펌프(234)로부터 항상 부압이 공급된(진공화된) 상태로 되어 있다. 흡착 유지 공간부(S4)는, 통기관(233)을 거쳐서 진공 펌프(234)로부터 항상 부압이 공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기 개방 공간부(S1), 부압 공간부(S2) 및 흡착 유지 공간부(S4)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 및,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 중의 한쪽만이 항상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전환 공간부(S3)는, 통기관(233)을 거쳐서 진공 펌프(234)와 접속되어 있지만, 이 통기관(233)에는, 전환 수단으로서의 전환 전자 밸브{電磁弁}(23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전환 전자 밸브(235)에 의해, 전환 공간부(S3)에 대해 진공 펌프(234)로부터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 또는, 전환 공간부(S3)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전환 전자 밸브(235)는, 부압 공급 가능 상태와 대기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압 공급 가능 상태란, 진공 펌프(234)로부터 전환 공간부(S3)에 대해 부압이 공급되고 있고, 전환 공간부(S3)와 연통한 흡인 구멍(231B)에 부압을 공급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또, 대기 개방 상태란, 전환 공간부(S3)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고, 전환 공간부(S3)와 연통한 흡인 구멍(231B)이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 전환 전자 밸브(235)는, 제어 장치(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환 전자 밸브(235)의 동작은, 제어 장치(60)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 장치(60)에 의한 전환 전자 밸브(235)의 제어 처리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또, 진공 펌프(234)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을, 흡착 위치(P5)에 배치된 흡착부(231A)에 정제(5)가 흡착되는 진공압(흡착 가능 진공압) 중 최대의 기압인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보다도 작은 최종 도달 진공압에 도달 가능한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2는, 시간에 대한 기압의 변화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며, 실제의 기압은, 반드시 엄밀하게 직선적으로 변화하지 않아도 좋고, 진공 펌프(234)의 성능(예를 들면, 흡기 속도나 도달 압력 등) 등에 의해 여러 가지 양태{態樣}로 변화해도 좋다. 또, 흡착 가능 진공압은, 최종 도달 진공압 이상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 이하의 소정의 범위를 가지는 압력을 의미한다.
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압 공급 가능 상태에서의 진공 펌프(234)에 의한 흡인 구멍(231B)에서의 감압 속도의 절대값보다도, 대기 개방 상태에서의 흡인 구멍(231B)에서의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부터의 승압 속도의 절대값 쪽이 크게 되도록, 진공 펌프(234)의 성능 등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도 12와 마찬가지로, 기압의 변화를 단순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과 최종 도달 진공압의 차압(SA1)이, 대기압과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의 차압(SA2)보다도 작게 되도록, 진공 펌프(234)의 성능이 설정되어 있다(도 12 참조).
또,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픽업 장치(23)는, 용기 필름(3)의 바로{直} 근방에서, 이것과 평행하게 배설된 상류측 평판부(236) 및 하류측 평판부(237)를 가지고 있다. 흡착 위치(P5)의 바로 상류에 위치하는 포켓부(2)의 개구는, 상류측 평판부(236)에 의해서 항상 막혀 있고, 흡착 위치(P5)의 바로 하류에 위치하는 포켓부(2)의 개구는, 하류측 평판부(237)에 의해서 항상 막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평판부(236) 및 하류측 평판부(237)에 의해, 튀어나옴 방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 상술한 픽업 장치(2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 드럼(231)의 회전에 수반하여, 소정의 흡착부(231A)가 사전 흡인 영역(P2)에 도달하면, 해당 흡착부(231A)의 흡인 구멍(231B)은, 통기 구멍(231C)을 거쳐서, 부압 공간부(S2)에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흡인 구멍(231B)에 대한 부압의 공급이 개시된다. 흡착부(231A)가 사전 흡인 영역(P2)에 도달하고, 흡인 구멍(231B)에 대한 부압의 공급을 개시하는 타이밍이, 제1 타이밍에 상당한다.
흡착부(231A)가 사전 흡인 영역(P2)에 위치해 있는 동안에, 흡인 구멍(231B)은 서서히 감압되어 가고, 늦어도 흡착부(231A)가 사전 흡인 영역(P2)을 통과하기까지,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은,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착부(231A)가 사전 흡인 영역(P2)에 위치해 있는 동안에, 흡인 구멍(231B)은 최종 도달 진공압까지 감압된다.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이 흡착 가능 진공압(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종 도달 진공압)으로 되는 타이밍이, 제2 타이밍에 상당한다.
흡착부(231A)가 사전 흡인 영역(P2)을 통과하고, 전환 영역(P3)에 도달하면, 해당 흡착부(231A)의 흡인 구멍(231B)은, 통기 구멍(231C)을 거쳐서, 전환 공간부(S3)에 연통한다. 전환 공간부(S3)는, 상술한 대로,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 또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고,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의 전환 공간부(S3)와 연통한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은, 흡착 가능 진공압(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종 도달 진공압)인 채로 유지된다.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을 흡착 가능 진공압인 채로 유지하는 것은, 적어도 흡착부(231A)가 전환 영역(P3)을 통과할 때까지 수행된다. 흡착부(231A)가 전환 영역(P3)을 통과하고, 흡인 구멍(231B)과 전환 공간부(S3)가 비연통 상태로 되는 타이밍이, 제3 타이밍에 상당한다.
한편,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전환 공간부(S3)와 연통한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은, 단번에 상승하여, 흡착부(231A)가 흡착 위치(P5)에 도달하기 전에, 흡착 가능 진공압을 넘게 된다. 흡인 구멍(231B)이,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전환 공간부(S3)와 연통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이, 개방 타이밍에 상당한다.
회전 드럼(231)이 회전하고, 흡착부(231A)가 흡착 위치(P5)에 도달하면, 흡인 구멍(231B)에서 흡착 가능 진공압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흡착 가능 상태)의 흡착부(231A)에 대해, 정제(5)가 흡착된다. 한편, 흡인 구멍(231B)이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흡착 불가 상태)의 흡착부(231A)에 대해서는, 정제(5)가 흡착되지 않게 된다. 즉, 정제(5)는, 흡착부(231A)에 대해 선택적으로 흡착되게 된다.
또, 회전 드럼(231)이 회전하고, 흡착부(231A)가 흡착 유지 영역(P4)에 도달하면, 해당 흡착부(231A)의 흡인 구멍(231B)은, 통기 구멍(231C)을 거쳐서 흡착 유지 공간부(S4)에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은,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된다. 그리고, 정제(5)를 흡착하고 있는 흡착부(231A)에서는, 정제(5)가 보다 확실하게 흡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 드럼(23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정제(5)는 위쪽으로 반송되어 간다.
흡착부(231A)가 회수 위치(P1) 앞쪽에 도달하면, 해당 흡착부(231A)의 흡인 구멍(231B)은, 통기 구멍(231C)을 거쳐서 대기 개방 공간부(S1)에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흡인 구멍(231B)은,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고, 정제(5)를 흡착하고 있는 흡착부(231A)에서는, 흡착 가능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흡착 가능 상태의 해제는, 흡착부(231A)가 회전 드럼(231)의 회전축의 연직 위쪽 위치의 바로 앞쪽{直手前}에 도달하고, 흡착부(231A)에 대해 정제(5)가 올라탄 상태로 되었을 때에 수행된다. 그 때문에, 흡착 가능 상태의 해제에 수반하여, 정제(5)가 흡착부(231A)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흡착부(231A)가 회수 위치(P1)에 도달하면, 흡착부(231A)에 흡착되어 있던 정제(5)가 회수 장치(24)에 의해서 빨아올려지고, 회수된다.
이후에서는, 상술한 동작이 되풀이하여 수행됨으로써, 정제(5)가 선택적으로 흡착(픽업)됨과 동시에, 흡착된 정제(5)가 회수되게 된다.
그 다음에, 각 검사 장치(T1, D, 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검사 장치(T1, D, A)는, 각각 조명 장치(50), 카메라(51) 및 처리 실행 장치(5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조명 장치(50)는, 포켓부(2)의 개구부 측 또는 돌출부 측으로부터, 용기 필름(3) 등(특히 최종적으로 PTP 시트(1)로 되는 부위)에 대해 소정의 광(예를 들면 근적외광이나 가시광)을 조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51)는, 조명 장치(50)에 의해 광이 조사된 용기 필름(3) 등을 촬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51)로서, 조명 장치(5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파장 영역에 감도를 가지는 CCD 카메라가 채용되고 있다. 이것에 한하지 않고, CMOS 카메라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제3 검사 장치(A) 등 일부 검사 장치의 카메라(51)에는, 색 식별 가능하도록 컬러 CCD 카메라가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51)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휘도 화상 데이터 또는 컬러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51) 내부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다음에,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처리 실행 장치(52)에 입력된다.
처리 실행 장치(52)는, 상기 제어 장치(60)와 마찬가지로, 이른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화상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처리 실행 장치(52)는, 화상 메모리(53), 검사 결과 기억 장치(54), 판정용 메모리(55), 데이터 메모리(56), 카메라 타이밍 제어 장치(57), 및,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58)를 구비하고 있고, 2값화{二値化} 처리나 덩어리{塊} 처리 등의 각종 화상 처리나, 불량 판정 처리(검사 처리) 등을 실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화상 메모리(53)는, 카메라(51)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화상의 이차원 이미지 데이터(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 화상 메모리(5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사가 실행된다. 물론, 검사의 실행시에, 화상 데이터에 대해 가공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마스킹 처리나, 셰이딩 보정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생각된다. 셰이딩 보정은, 용기 필름(3) 등의 촬상 범위 전체를 조명 장치(50)의 광으로 균일하게 비추는 것은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위치의 상위{相違}에 의해 생기는 광의 명도 격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검사시에서 화상 데이터에 대해 2값화 처리가 수행된 2값화 화상 데이터나, 마스킹 처리가 수행된 마스킹 화상 데이터 등도, 해당 화상 메모리(53)에 기억된다.
검사 결과 기억 장치(54)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좌표 등의 데이터, 검사 대상에 대한 양부 판정 결과의 데이터, 및, 그 데이터를 확률 통계적으로 처리한 통계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또, 각 검사 장치(T1, D, A)의 검사 결과 기억 장치(54)에는, 도 15~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정제 번호 J1~J10(도 18 참조)으로 지시되는 각 정제(5)와, 시트 부분에 대한 소정의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서의 양부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가, 시트 예정 부위를 특정하기 위한 일련 번호 LA1, LA2…(도 18 참조)과 함께 기억된다. 정제 번호는, 시트 예정 부위의 각 정제(5)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또한, 검사 항목 X1~X9는, 정제(5)의 양부에 관한 항목이다. 검사 항목 Y1은, 시트 부분(용기 필름(3))의 양부에 관한 항목이다. 검사 항목 Z1, Z2는, 정제(5) 및 시트 부분 쌍방의 양부에 관한 항목이다. 각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4로 되돌아가, 판정용 메모리(55)는, 검사에 이용되는 판정값(임계값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판정값은, 검사 항목마다 설정된다. 검사에 이용되는 판정값에는, 예를 들면 PTP 시트(1)나 포켓부(2), 정제(5) 등의 치수, 각종 검사 영역을 획정하기 위한 각종 윈도우 프레임의 형상이나 치수, 2값화 처리에 관계된 임계값, 면적 판정에 관계된 판정값, 색 식별 검사에 관계된 색 기준값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메모리(56)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메모리(56)에는, 불량 판정의 일시, 화상 데이터, 검사에 이용된 검사 조건 등이 기억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데이터 메모리(56)에는, 정제(5)의 이차원적인 위치에 대한 포켓부(2)의 이차원적인 위치에 관한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데이터 메모리(56)에는, 포켓부(2)와 PTP 시트(1)의 위치 관계에 관한 데이터도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정제(5)의 위치에 기초하여, 용기 필름(3)에서의 포켓부(2)의 위치, 나아가서는, 용기 필름(3)에서의 시트 예정 부위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 타이밍 제어 장치(57)는, 카메라(51)의 촬상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러한 촬상 타이밍은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고, 용기 필름(3)을 소정량 보낼 때마다 카메라(51)에 의한 촬상이 수행된다.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58)는, 각 검사 장치(T1, D, A)에서의 각종 제어를 맡는다. 예를 들면 각종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과 동시에, 제어 장치(60)와의 사이에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서, 제어 장치(60)가 픽업 장치(23)이나 불량 시트 배출 기구(40) 등을 제어하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또, 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58)는, 화상 데이터에서의 포켓부(2)나 정제(5)의 위치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으로 되는 시트 예정 부위를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된 시트 예정 부위에 대해, 반송 순서에 따른 상기 일련 번호를 설정한다. 시트 예정 부위의 상기 일련 번호는, 반송 방향 상류 측을 향해 1개씩 증대해 가는 양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각각의 검사 장치(T1, D, A)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 검사 장치(T1)는, 씰 전에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돌출부 측(정제(5)의 표면측)으로부터 검사를 수행하는 투과광식의 검사 장치이다. 제1 검사 장치(T1)에서는, 조명 장치(50)가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개구부 측에 배치되고, 카메라(51)가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돌출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50)로부터 조사되는 광(근적외광) 중, 용기 필름(3)을 투과한 광을 이차원 촬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검사 장치(T1)에서는, 검사 항목 X1~X6에 관한 검사가 수행된다.
검사 항목 X1은, 이른바 「정제 쪼개짐{割}」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에 쪼개짐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2는, 이른바 「정제 파편 혼입」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포켓부(2) 내에, 정제(5)의 파편 등, 정제(5) 이외의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3은, 이른바 「정제 결락{缺錠}」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포켓부(2) 내에 정제(5)가 충전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4는, 이른바 「정제 형상과 크기 차이」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의 형상이나 크기가, 제조 품종과 적합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5는, 이른바 「정제 깨짐{錠劑缺}」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에 깨짐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6은, 이른바 「정제 표면 박리」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의 표면층이 박리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제2 검사 장치(D)는, 씰 전에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개구부 측(정제(5)의 이면측)으로부터 검사를 수행하는 반사광식의 검사 장치이다. 제2 검사 장치(D)에서는, 조명 장치(50) 및 카메라(51)가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개구부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50)로부터 조사되는 광(근적외선) 중, 정제(5)에 반사한 광을 이차원 촬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검사 장치(D)에서는, 상기 검사 항목 X1~X5에 더하여, 검사 항목 X7, X8에 관한 검사가 수행된다.
검사 항목 X7은, 이른바 「정제상 머리카락{毛髮}」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 상에, 머리카락 등의 선모양{線狀}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X8은, 이른바 「정제상 이물」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 상에, 크기가 수mm(예를 들면 5mm) 이상이라고 하는 큰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제3 검사 장치(A)는, 씰 전에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돌출부 측 및 개구부 측(정제(5)의 표리면측)으로부터 검사를 수행하는 투과광식 및 반사광식의 양 기능을 구비한 검사 장치이다. 제3 검사 장치(A)에서는, 조명 장치(50)가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돌출부 측 및 개구부 측의 양측에 1개씩 배치되고, 2개의 카메라(51)가 용기 필름(3)의 포켓부(2) 개구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포켓부(2) 돌출부 측의 조명 장치(50)로부터 조사되는 광(가시광) 중, 용기 필름(3)을 투과한 광이 한쪽의 카메라(51)에 의해 이차원 촬상되고, 포켓부(2) 개구부 측의 조명 장치(50)로부터 조사되는 광(가시광) 중, 정제(5)에 반사한 광이 다른쪽의 카메라(51)(컬러 CCD 카메라)에 의해 이차원 촬상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3 검사 장치(A)에서는, 상기 검사 항목 X1~X5에 더하여, 검사 항목 X9, Y1, Z1, Z2에 관한 검사가 수행된다.
검사 항목 X9는, 이른바 「정제 색」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정제(5)의 색이, 제조 품종과 적합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Y1은, 이른바 「시트상 정제 가루」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용기 필름(3) 상에, 정제 가루 등 크기가 수mm(예를 들면 5mm) 미만의 작은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Z1은, 이른바 「시트상 머리카락」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용기 필름(3) 상에, 머리카락 등의 선모양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검사 항목 Z2는, 이른바 「시트상 이물」에 관한 항목이며, 이 항목에서는, 용기 필름(3) 상에, 크기가 수mm(예를 들면 5mm) 이상이라고 하는 큰 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그 다음에, 제어 장치(6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회수 장치(24)에 의해서 회수하는 정제(5)를 결정하기 위한 회수 대상 결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해당 처리는, 1개의 시트 예정 부위에 대한 각 검사 장치(T1, D, A)의 양부 판정 결과에 관한 정보 모두가 제어 장치(60)에 입력된 단계에서 수행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수 대상 결정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 S101에서, 검사 장치(T1, D, A)로부터 입력된 양부 판정 결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정제(5) 및 시트 부분에서의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 관한 양부를 특정한다(도 19 참조).
그 다음에, 스텝 S102에서, 특정된 각 정제(5) 및 시트 부분에 대한 각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 대한 양부에 기초하여, 시트 예정 부위의 양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정제(5) 및 시트 부분에서, 검사 항목 X1~X9, Y1, Z1, Z2의 적어도 1개에서 불량으로 판정되어 있는 경우(스텝 S102:NO), 시트 예정 부위를 불량으로 판정하고, 스텝 S103으로 이행한다. 한편, 각 정제(5) 및 시트 부분에서, 모든 검사 항목 X1~X9, Y1, Z1, Z2에서 불량 판정이 없는 경우(스텝 S102:YES), 시트 예정 부위를 양호로 판정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3에서는, 불량 판정된 검사 항목이, 검사 항목 Z1 또는 검사 항목 Z2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검사 항목 Z1 또는 검사 항목 Z2에서 불량으로 판정되어 있는 경우(스텝 S103:YES),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상 머리카락」 또는 「시트상 이물」의 검사 항목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불량으로 판정된 시트 예정 부위에서의 모든 정제(5)가 만일 양호품이라고 하여,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의 정제(5)의 회수를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어느것인가의 정제(5)에 대해, 머리카락이나 이물이 접촉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검사 항목 Z1, Z2의 쌍방에서 불량으로 판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3:NO), 스텝 S104로 이행하고, 특정된 양부에 관한 정보로부터, 회수 대상으로 되는 정제(5)를 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예정 부위의 각 정제(5) 중, 각 검사 항목 X1~X9 모두에서 양호로 판정된 것을 회수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만일 정제 번호 J2로 나타내어지는 정제(5)에서의 불량 판정만을 이유로 하여, 스텝 S102에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정제 번호 J2로 나타내어지는 정제(5) 이외의 정제(5)를 회수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또, 예를 들면, 시트 부분이 검사 항목 Y1에 관해 불량으로 판정된 것만을 이유로 하여, 스텝 S102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정제(5)에 이상은 없기 때문에, 모든 정제(5)를 회수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회수 대상에 관한 정보를, 시트 예정 부위의 일련 번호와 함께 상기 RAM에 기억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21을 참조하여, 제어 장치(60)에 의한 전환 전자 밸브(235)의 제어 처리(픽업 장치 제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해당 처리는, 일정 시간(예를 들면, 수ms)마다 되풀이하여 실행된다.
픽업 장치 제어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 S201에서, 흡착부(231A)가 전환 영역(P3)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은, 회전 드럼(231)에 설치된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스텝 S2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스텝 S202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20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02에서는, 전환 영역(P3)에 위치하는 흡착부(231A)가 흡착 위치(P5)에 도달했을 때에 상대{相對}하게 되는 정제(5)가, 회수 대상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상기 RAM에 기억된 회수 대상에 관한 정보와, 용기 필름(3)의 반송량을 파악하기 위한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또, 이 판정은, 전환 영역(P3)에 위치해 있는 개개의 흡착부(231A)마다 수행되고, 이하의 스텝 S203~S208의 처리에 관해서도, 개개의 흡착부(231A)를 대상으로 하여 실행된다. 스텝 S202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03으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202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06로 이행한다.
스텝 S203에서는, 정제(5)를 흡착하게 되는 흡착부(231A)에서, 그 흡인 구멍(231B)과 연통하는 전환 공간부(S3)에 대응하는 개방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개방 플래그는, 각 전환 공간부(S3)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고, 전환 공간부(S3)가 대기에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온으로 되는 상태 판정 정보이다. 개방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스텝 S203:NO), 다시 말해, 전환 공간부(S3)에 대해 이미 부압이 공급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그 결과, 정제(5)를 흡착해야 할 흡착부(231A)는, 흡착 가능 상태가 유지되게 되고, 흡착 위치(P5)에 도달하면, 정제(5)를 흡착하게 된다.
한편, 개방 플래그가 온인 경우(스텝 S203:YES), 다시 말해, 전환 공간부(S3)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4로 이행하고, 전환 전자 밸브(235)를 제어하고, 정제(5)를 흡착해야 할 흡착부(231A)의 흡인 구멍(231B)과 연통하는 전환 공간부(S3)에 대해, 진공 펌프(234)로부터 부압이 공급되는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전환 공간부(S3)는 흡인 가능 진공압 이하의 기압으로 되고, 흡인 구멍(231B)과 부압을 공급 가능한 상태(부압 공급 가능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정제(5)를 흡착해야 할 흡착부(231A)는, 흡착 가능 상태로 되고, 흡착 위치(P5)에 도달하면, 정제(5)를 흡착하게 된다. 계속되는 스텝 S205에서, 개방 플래그를 오프로 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정제(5)가 회수 대상인 경우와 달리, 정제(5)가 회수 대상이 아닌 경우(스텝 S202:NO)에는, 스텝 S206으로 이행하고, 흡착 불가 상태로 되어야 할 흡착부(231A)에서, 그 흡인 구멍(231B)과 연통하는 전환 공간부(S3)에 대응하는 개방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개방 플래그가 온인 경우(스텝 S206:YES), 다시 말해, 전환 공간부(S3)가 이미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그 결과, 전환 공간부(S3)에 연통하는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은 순식간에 증대하고, 흡착부(231A)가 흡착 위치(P5)에 도달했을 때에는,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은 흡인 가능 진공압보다도 큰 기압(통상, 대기압)으로 된다. 그리고, 흡착부(231A)에 대해 정제(5)는 흡착되지 않게 된다.
한편, 개방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스텝 S206:NO)에는, 스텝 S207로 이행하고, 전환 전자 밸브(235)를 제어함으로써, 정제(5)를 흡착하지 말하야 할 흡착부(231A)의 흡인 구멍(231B)과 연통하는 전환 공간부(S3)를 대기에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이 전환 공간부(S3)와 연통하는 흡인 구멍(231B)이 대기에 개방되는 상태(대기 개방 상태)로 된다. 그 결과,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이 증대하고, 흡착 위치(P5)에서 흡착부(231A)에 대해 정제(5)는 흡착되지 않게 된다. 스텝 S207 후, 스텝 S208에서 개방 플래그를 온으로 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흡인 구멍(231B)을 사전에 진공화하고, 흡착부(231A)를 미리 흡착 가능 상태로 한 다음에,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또는 대기 개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서, 흡착부(231A)에 대한 정제(5)의 흡착과 비흡착이 전환된다. 이와 같이 흡착부(231A)가 미리 흡착 가능 상태로 되기 때문에, 흡착부(231A)에 의한 정제(5)의 흡착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할 수가 있고, 흡착 미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일반적으로, 기압이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어 있는 흡인 구멍(231B)을 대기에 개방하고,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을 흡착 가능 진공압보다도 크게 하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다시 말해,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은, 대기압 하에 있는 흡인 구멍(231B)에 부압을 공급하고, 흡인 구멍(231B)의 기압을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기까지 요하는 시간(다시 말해, 흡착 불가 상태로부터 흡착 가능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과 비교하여 짧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흡착부(231A)에 대한 정제(5)의 흡착과 비흡착을 보다 단시간에 전환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정제(5)의 흡착 미스가 생겨 버리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부압 공급 가능 상태에서의 진공 펌프(234)에 의한 흡인 구멍(231B)에서의 감압 속도의 절대값보다도, 대기 개방 상태에서의 흡인 구멍(231B)에서의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부터의 승압 속도의 절대값 쪽이 크게 되어 있다. 즉, 흡착부(231A)를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할 때의 흡인 구멍(231B)에서의 기압의 변화 속도가, 흡착부(231A)를 흡착 불가 상태로부터 흡착 가능 상태로 할 때의 흡인 구멍(231B)에서의 기압의 변화 속도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부(231A)를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보다 재빠르게 전환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흡착 미스의 발생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흡착부(231A)를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보다 재빠르게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방 타이밍을 흡착부(231A)가 흡착 위치(P5)에 이르는 타이밍에 보다 접근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타이밍도 가능한 한 늦출 수가 있고, 너무 빠른{이른} 단계로부터의 부압의 공급 개시(흡인 개시)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효율적인 흡인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착부(231A)를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할 때에 필요로 되는 흡인 구멍(231B)에서의 기압의 변화량의 최대값(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과 최종 도달 진공압의 차압(SA1))은, 흡착부(231A)를 흡착 불가 상태로부터 흡착 가능 상태로 할 때에 필요로 되는 흡인 구멍(231B)에서의 기압의 변화량의 최대값(대기압과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의 차압(SA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부(231A)를 흡착 가능 상태로부터 흡착 불가 상태로 한층 재빠르게 전환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흡착 미스의 발생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 드럼(231)의 회전에 수반하여, 통기 구멍(231C)이 부압 공간부(S2)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흡인 구멍(231B)에서의 사전의 진공화가 개시되고, 통기 구멍(231C)이 전환 공간부(S3)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흡착부(231A)에서의 흡착 가능 상태가 유지 또는 해제된다. 따라서, 사전의 진공화나 흡착 가능 상태의 유지와 해제의 전환이 일정 위치에서 반드시 수행되게 된다. 그 결과, 흡착 미스의 발생 억제를 한층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흡착 유지 영역(P4)에 위치하는 모든 흡착부(231A)에서의 흡인 구멍(231B)에 부압을 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정제(5)를 보다 확실하게 흡착부(231A)에 흡착한 채로, 회수 위치(P1) 측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반송시에서의 정제(5)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고, 정제(5)를 보다 확실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또, 회수 위치(P1)의 앞쪽으로부터 적어도 회수 위치(P1)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든 흡착부(231A)에서의 흡인 구멍(231B)이 대기에 개방되고, 흡착부(231A)에서의 정제(5)의 흡착이 해제된다. 따라서, 회수 장치(24)에 의한 정제(5)의 회수를 보다 확실하게, 또한,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흡착 위치(P5)에서 흡착부(231A)의 선단부가 포켓부(2)에 들어가게 된다. 그 때문에, 흡착부(231A)에 대해 정제(5)를 한층 더 확실하게 흡착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량으로 판정된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 양호품으로 판정된 정제(5)를 회수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정제 공급 슈트(214)에 막힘이 생겨, 정제(5)가 포켓부(2)에 대해 충전되지 않는 상태로 되면, PTP 필름(6)에는, 정제(5)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포켓부(2)가 일렬로 나란히 생길 수 있다. 그 결과, 이른바 「정제 결락」이 발생한 PTP 시트(1)가 다수 생겨 버리고, 다수의 양호품 정제(5)가 소용없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정제 공급 슈트(214)의 막힘이 생겼다고 해도, 불량으로 판정된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 양호품의 정제(5)를 회수할 수가 있다.
또, 정제(5)의 회수는 커버 필름(4)의 취착 전에 수행되기 때문에, 회수시에 커버 필름(4)을 찢거나 할 필요는 없고, 정제(5)에 대한 외압의 인가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씰 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양 롤(20, 27)에 이르기 전에 정제(5)가 회수되기 때문에, 반송에 수반하는 진동이 장기간에 걸쳐서 정제(5)에 가해져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들이 서로 어울려, 회수되는 정제(5)에 대해 데미지가 주어져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수한 정제(5)에 대한 재검사 등의 수고가 드는 작업을 수행하는 일없이, 양호한 상태의 정제(5)를 재이용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재이용되는 정제(5)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하면서, 생산 코스트의 억제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정제(5)의 회수는 커버 필름(4)의 취착 전에 수행되기 때문에, 가열 롤(27)에 의한 열의 영향이 정제(5)에 미치는 일은 없다. 이것에 의해, 재이용되는 정제(5)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양 롤(20, 27)에 이르기 전의 비교적 빠른{이른} 단계에서 정제(5)가 회수되기 때문에, 정제(5)의 흡습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재이용되는 정제(5)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한층 더 담보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양호품으로 판정된 정제(5)는 회수되기 때문에, 씰전 검사 장치(22)에서의 검사 감도를 높였다고 해도, 많은 정제(5)가 소용없게 되어 버린다고 한 사태는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코스트의 증대를 방지하면서, 검사 감도를 높이고, PTP 시트(1)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량품의 PTP 시트(1)로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물(P)이 검지된 것에 수반하여, 정제(5)가 모두 회수되고, 포켓부(2) 모두가 비어 있는 것과,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제(5)가 남아 있는 것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포켓부(2)가 빈 불량품의 PTP 시트(1)는, 시트 예정 부위가 시트 자체의 이상 또는 일부 포켓부(2)에 정제(5)가 수용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이상(이른바 「정제 결락」)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결과, 배출된 것이다. 또, 정제(5)가 남아 있는 불량품의 PTP 시트(1)는, 남아 있는 정제(5)의 이상에 의해 시트 예정 부위가 불량으로 판정된 결과, 배출된 것이다. 따라서, 배출된 PTP 시트(1)의 상태를 봄으로써, 어떠한 원인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또, 정제(5)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남은 정제(5)나 시트 부분을 봄으로써, 생긴 이상의 특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불량이 생긴 검사 항목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가 있고, 적절한 조치를 조기에 실행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저류부(216)에 대해 회수된 정제(5)가 직접 되돌려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회수한 정제(5)를 저류부(216)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에 의해 정제(5)가 회수되기 때문에, 회수시에 있어서 정제(5)에 데미지가 주어져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양호한 상태의 정제(5)를 회수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흡인을 위해서 공급되는 에어는 저습이기 때문에, 정제(5)의 흡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고, 재이용되는 정제(5)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또, 정제 충전 장치(21)로부터 픽업 장치(23)까지의 사이에서, 용기 필름(3)은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따라서, 용기 필름(3)의 정지에 수반하는 충격이 정제(5)에 가해져 버린다고 한 사태가 생기지 않게 되고, 정제(5)에 대한 데미지의 부여를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양호한 상태의 정제(5)를 회수할 수가 있고, 재이용되는 정제(5)에서의 안전성 등을 한층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좋다. 물론, 이하에서 예시하지 않는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 가능하다.
(a) PTP 시트(1)에서의 포켓부(2)의 배열이나 개수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2열, 10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3열 12개의 포켓부를 가지는 타입을 비롯해, 여러가지 배열, 개수로 이루어지는 PTP 시트를 채용할 수가 있다.
또, PTP 필름(6)은, 그 폭방향을 따라 1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그 폭방향을 따라 복수 시트분에 대응하는 수의 포켓부(2)가 배열된 구성이어도 좋다.
또, PTP 시트(1)나 PTP 필름(6)의 형상 변경에 맞추어, 회전 드럼(231)의 형상(외경 등)이나 흡착부(231A)의 수, 배치 등을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불량 판정된 시트 대응부로부터 양호품의 정제(5)를 회수하기 위해서, 픽업 장치(23)가 이용되고 있지만, 픽업 장치(23)의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픽업 장치(23)는, 여러 가지 용도로 이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물품으로서 입자모양{粒狀}의 과자 등을 수용하는 브리스터 시트(101)에서, 복수(예를 들면, 100매)의 브리스터 시트(101) 중 1개의 브리스터 시트(101)에서만, 통상 수용되는 물품(5A)과는 다른 물품(5B)(예를 들면, 「대조」를 의미하는 것 등)를 수용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브리스터 시트(101)를 제조하는 경우, 물품(5A)을 충전하는 물품 충전 장치(102)와, 물품(5B)을 충전하는 물품 충전 장치(103)를 설치하고, 물품 충전 장치(102)에서는, 통상, 모든 포켓부에 물품(5A)을 충전하도록 설정하는 한편, 드물게 생기는 물품 충전 장치(103)에 의한 물품(5B)의 충전에 대응하기 위하여, 물품(5B)이 충전될 예정의 포켓부에 대해서는 물품(5A)을 충전하지 않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픽업 장치(23)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상류에 위치하는 물품 충전 장치(102)는, 모든 포켓부에 대해 물품(5A)을 충전하는 것으로 하고, 해당 물품 충전 장치(102)의 하류에 배치된 픽업 장치(23)에 의해, 물품 충전 장치(103)에 의해 물품(5B)이 충전될 예정의 포켓부로부터 물품(5A)을 취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류측의 물품 충전 장치(102)는, 모든 포켓부에 물품(5A)을 충전하는 것이면 좋고, 물품 충전 장치(102)에서, 물품(5B)이 충전될 예정의 포켓부에 대해 물품(5A)을 충전하지 않도록 한다고 한 설정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물품 충전 장치(102)의 조정 등에 관계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 픽업 장치(23)는, 소정의 포켓부를 굳이 비운 상태로 해두고 싶은 경우에도 이용할 수가 있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의 정제(5)의 회수 및 비회수는, 해당 시트 예정 부위 자체의 양부에만 기초하여 결정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의 정제(5)의 회수 및 비회수를, 시트 예정 부위 자체의 양부와, 해당 시트 예정 부위 전후(직상류 및 직하류)에 위치하는 시트 예정 부위의 양부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수법에서는, 어떤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 정제(5)를 회수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이더라도, 해당 어떤 시트 예정 부위 전후에 위치하는 시트 예정 부위가 소정의 검사 항목(예를 들면, 검사 항목 Z1, Z2)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어떤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의 정제(5)의 회수를 중지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정제(5)를 회수할 때에, 인접하는 불량 판정된 시트 예정 부위의 이물 등이 흡착부(231A)에 흡착되어 버린다고 한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수된 정제(5)에서의 안전성 등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이 정제(5)인 경우에 대해서 구체화하고 있지만, 물품의 종별, 형상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식품이나 전자 부품, 의료 기구 등, 물품이 정제(5)와는 다른 것이더라도 좋다.
(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필름(3)이 PP나 PVC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커버 필름(4)이 알루미늄박 등을 기재{基材}로 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각 필름(3, 4)의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재질의 것을 채용해도 좋다.
(f)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제 반송관(25) 및 송풍 장치(242B)에 의해, 물품 반송 수단이 구성되어 있고, 에어에 의해서 정제(5)를 반송하는 양태로 되어 있지만, 물품 반송 수단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물품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에 의해서 물품 반송 수단을 구성해도 좋다.
(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수단에 의해서, 회수된 정제(5)가 저류부(216)에 직접 되돌려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회수된 정제(5)를 저류부(216)에 직접 되돌려보낼 필요는 없다. 따라서, 회수된 정제(5)가, 이것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용기에 반송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h) 각 검사 장치(T1, D, A)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검사 항목은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i)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검사 항목 Z1 또는 검사 항목 Z2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 정제(5)를 회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이더라도, 정제(5)를 회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각 검사 항목에서의 양부 판정 결과와, 회수 대상으로서 결정되는 정제(5)의 관계를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j) 정제 충전 장치(21)로부터 픽업 장치(23)까지의 사이에서, 용기 필름(3)을 외기보다도 저습 분위기 하에서 반송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정제(5)의 흡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고, 재이용되는 정제(5)에서의 안전성이나 신뢰성을 한층 더 확실하게 담보할 수가 있다.
또한, 저습 분위기 하로 하는 것은, 예를 들면, 정제 충전 장치(21) 및 픽업 장치(23) 사이에서의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소정의 케이스로 덮음과 동시에, 해당 케이스 내에 외기보다도 저습의 가스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k)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드럼(231)에 돌기모양의 흡착부(231A)가 설치되어 있지만, 흡착부(231A)는 반드시 돌기모양이 아니어도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회전 드럼의 외주면을 돌기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고, 회전 드럼에서의 흡인 구멍을 형성하는 부위에 의해서 흡착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1…PTP 시트(브리스터 시트), 2…포켓부, 3…용기 필름, 4…커버 필름, 5…정제(물품), 6…PTP 필름(브리스터 필름), 11…PTP 포장기(브리스터 포장기), 20…필름 받침 롤, 21…정제 충전 장치(충전 수단), 22…씰전 검사 장치(검사 수단), 23…픽업 장치, 24…회수 장치(회수 수단), 25…정제 반송관, 27…가열 롤, 37…시트 타발 장치(타발 수단), 216…저류부, 231…회전 드럼, 231A…흡착부, 231B…흡인 구멍, 231C…통기 구멍, 232…고정 밸브, 232A…공간부, 234…진공 펌프(부압 공급 수단), 235…전환 전자 밸브(전환 수단), 236…상류측 평판부(튀어나옴 방지 수단), 237…하류측 평판부(튀어나옴 방지 수단), S1…대기 개방 공간부, S2…부압 공간부, S3…전환 공간부, S4…흡착 유지 공간부, P1…회수 위치, P4…흡착 유지 영역, P5…흡착 위치.

Claims (16)

  1. 삭제
  2. 소정의 흡인 구멍을 각각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흡착부가,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외주에 설치됨과 동시에, 반송되는 물품에 맞추어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을 공급하고,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진공압인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는 부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하고,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어 있는 상기 흡착부가 소정의 흡착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서 흡착되도록 구성된 픽업 장치로서,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이르기 전단계인 제1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부압 공급 수단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의 공급이 개시되고, 상기 제1 타이밍보다도 나중이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이르기 전단계인 제2 타이밍에서,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고,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이 공급 가능한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및, 상기 흡인 구멍이 대기에 개방되는 대기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개개의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서 물품을 흡착해야할 것인지 여부를 인식 가능하고,
    흡착해야 한다고 인식한 상기 흡착부에 관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한 후인 제3 타이밍까지의 동안,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흡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인식한 상기 흡착부에 관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타이밍보다도 나중이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하기 전의 소정의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대기 개방 상태로 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에서의 상기 부압 공급 수단에 의한 상기 흡인 구멍에서의 감압 속도의 절대값보다도,
    상기 대기 개방 상태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에서의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부터의 승압 속도의 절대값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3. 소정의 흡인 구멍을 각각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흡착부가,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외주에 설치됨과 동시에, 반송되는 물품에 맞추어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을 공급하고,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진공압인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는 부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하고,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어 있는 상기 흡착부가 소정의 흡착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서 흡착되도록 구성된 픽업 장치로서,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이르기 전단계인 제1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부압 공급 수단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의 공급이 개시되고, 상기 제1 타이밍보다도 나중이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이르기 전단계인 제2 타이밍에서,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고,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이 공급 가능한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및, 상기 흡인 구멍이 대기에 개방되는 대기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개개의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서 물품을 흡착해야할 것인지 여부를 인식 가능하고,
    흡착해야 한다고 인식한 상기 흡착부에 관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한 후인 제3 타이밍까지의 동안,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흡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인식한 상기 흡착부에 관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타이밍보다도 나중이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하기 전의 소정의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대기 개방 상태로 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부압 공급 수단은,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진공압 중 최대의 기압인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보다도 작은 최종 도달 진공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타이밍에서,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최종 도달 진공압으로 되고,
    상기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과 상기 최종 도달 진공압의 차압은, 대기압과 상기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의 차압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공급 수단은,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진공압 중 최대의 기압인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보다도 작은 최종 도달 진공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타이밍에서,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최종 도달 진공압으로 되고,
    상기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과 상기 최종 도달 진공압의 차압은, 대기압과 상기 최대 흡착 가능 진공압의 차압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5. 소정의 흡인 구멍을 각각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흡착부가,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외주에 설치됨과 동시에, 반송되는 물품에 맞추어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을 공급하고,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진공압인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는 부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하고,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어 있는 상기 흡착부가 소정의 흡착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서 흡착되도록 구성된 픽업 장치로서,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이르기 전단계인 제1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부압 공급 수단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의 공급이 개시되고, 상기 제1 타이밍보다도 나중이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이르기 전단계인 제2 타이밍에서,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고,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이 공급 가능한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및, 상기 흡인 구멍이 대기에 개방되는 대기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개개의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서 물품을 흡착해야할 것인지 여부를 인식 가능하고,
    흡착해야 한다고 인식한 상기 흡착부에 관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한 후인 제3 타이밍까지의 동안,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흡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인식한 상기 흡착부에 관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타이밍보다도 나중이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하기 전의 소정의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대기 개방 상태로 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흡인 구멍과 개별적으로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일단면에서 개구하는 복수의 통기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일단면은, 상기 통기 구멍과 연통하는 공간부를,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고정 밸브로 덮이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는 부압 공간부와,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 또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부압 공간부와 연통한 후의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늘어서는 일렬의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을, 개별적으로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또는 상기 대기 개방 상태로 하는 전환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흡인 구멍과 개별적으로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일단면에서 개구하는 복수의 통기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일단면은, 상기 통기 구멍과 연통하는 공간부를,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고정 밸브로 덮이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는 부압 공간부와,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 또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부압 공간부와 연통한 후의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늘어서는 일렬의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을, 개별적으로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또는 상기 대기 개방 상태로 하는 전환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흡인 구멍과 개별적으로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일단면에서 개구하는 복수의 통기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일단면은, 상기 통기 구멍과 연통하는 공간부를,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고정 밸브로 덮이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는 부압 공간부와,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 또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부압 공간부와 연통한 후의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늘어서는 일렬의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을, 개별적으로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또는 상기 대기 개방 상태로 하는 전환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흡인 구멍과 개별적으로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일단면에서 개구하는 복수의 통기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일단면은, 상기 통기 구멍과 연통하는 공간부를,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고정 밸브로 덮이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는 부압 공간부와,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 또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부압 공간부와 연통한 후의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회전 드럼의 축방향으로 늘어서는 일렬의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을, 개별적으로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또는 상기 대기 개방 상태로 하는 전환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물품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의해 반송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도달했을 때에 회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 위치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연직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한 후, 소정의 흡착 유지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위치하는 회수 위치에 이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흡착 유지 영역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과 연통하는 흡착 유지 공간부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회수 위치의 앞쪽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회수 위치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과 연통하는 대기 개방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물품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의해 반송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도달했을 때에 회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 위치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연직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한 후, 소정의 흡착 유지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위치하는 회수 위치에 이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흡착 유지 영역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과 연통하는 흡착 유지 공간부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회수 위치의 앞쪽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회수 위치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과 연통하는 대기 개방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물품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의해 반송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도달했을 때에 회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 위치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연직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한 후, 소정의 흡착 유지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위치하는 회수 위치에 이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흡착 유지 영역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과 연통하는 흡착 유지 공간부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회수 위치의 앞쪽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회수 위치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과 연통하는 대기 개방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상기 물품은,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의해 반송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도달했을 때에 회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 위치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축의 연직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한 후, 소정의 흡착 유지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회전축의 연직 위쪽에 위치하는 회수 위치에 이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부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흡착 유지 영역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과 연통하는 흡착 유지 공간부와,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통기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회수 위치의 앞쪽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회수 위치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흡착부에서의 상기 흡인 구멍과 연통하는 대기 개방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13. 소정의 흡인 구멍을 각각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흡착부가,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외주에 설치됨과 동시에, 반송되는 물품에 맞추어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과,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을 공급하고,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을, 상기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진공압인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하는 부압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하고,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어 있는 상기 흡착부가 소정의 흡착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반송되는 물품이 상기 흡착부에서 흡착되도록 구성된 픽업 장치로서,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이르기 전단계인 제1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부압 공급 수단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의 공급이 개시되고, 상기 제1 타이밍보다도 나중이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이르기 전단계인 제2 타이밍에서, 대응하는 상기 흡인 구멍의 기압이 상기 흡착 가능 진공압으로 되고,
    상기 부압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흡인 구멍에 부압이 공급 가능한 부압 공급 가능 상태, 및, 상기 흡인 구멍이 대기에 개방되는 대기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전환 수단과,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개개의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서 물품을 흡착해야할 것인지 여부를 인식 가능하고,
    흡착해야 한다고 인식한 상기 흡착부에 관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한 후인 제3 타이밍까지의 동안, 상기 부압 공급 가능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흡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인식한 상기 흡착부에 관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타이밍보다도 나중이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를 통과하기 전의 소정의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대기 개방 상태로 되도록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물품은, 오목모양의 포켓부에 수용된 상태로 반송되고,
    상기 흡착부는, 외주 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그 선단면에 상기 흡인 구멍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흡착부가 상기 흡착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흡착부의 선단부가 상기 포켓부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장치.
  14. 반송되는 용기 필름에 형성된 포켓부에 소정의 물품을 충전하는 충전 수단과,
    해당{當該} 충전 수단의 하류측에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띠모양의 커버 필름을 취착{取着}하는 씰 수단과,
    해당 씰 수단의 하류측에서,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취착되어 이루어지는 브리스터 필름을 시트 단위로 타발{打拔}해서 소정의 브리스터 시트를 얻는 타발 수단과,
    상기 충전 수단 및 상기 씰 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브리스터 시트로 되는 시트 예정 부위에 대해, 상기 물품의 양부{良否}에 관계된 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검사 항목에 대해서 양부 판정을 수행하는 검사 수단과,
    상기 물품을 회수 가능한 회수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픽업 장치가, 상기 검사 수단 및 상기 씰 수단 사이에 설치된 브리스터 포장기로서,
    상기 픽업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사 수단에 의해 적어도 1개의 상기 검사 항목에 대해서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에, 대응하는 상기 시트 예정 부위로부터, 상기 검사 수단에 의해 상기 물품의 양부에 관계된 항목에서 양호품{良品}으로 판정된 상기 물품을, 상기 흡착부가 흡착해야 할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회수 수단은, 상기 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상기 물품을 회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스터 포장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수단은, 상기 물품이 저류{貯留}되는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회수 수단은, 회수한 상기 물품을 상기 저류부에 반송하는 물품 반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스터 포장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필름의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물품이 흡착되는 위치 전후에는, 상기 포켓부의 개구를 막아, 상기 포켓부로부터의 상기 물품의 튀어나옴{飛出}을 방지하는 튀어나옴 방지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스터 포장기.
KR1020150105788A 2015-05-07 2015-07-27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KR101849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4890A JP6316774B2 (ja) 2015-05-07 2015-05-07 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JPJP-P-2015-094890 2015-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26A KR20160131826A (ko) 2016-11-16
KR101849669B1 true KR101849669B1 (ko) 2018-04-17

Family

ID=5747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788A KR101849669B1 (ko) 2015-05-07 2015-07-27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16774B2 (ko)
KR (1) KR101849669B1 (ko)
CN (1) CN1061149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2348B2 (ja) * 2017-08-01 2021-06-23 Ckd株式会社 ブリスタシート搬送装置
CN108528806B (zh) * 2018-04-26 2023-08-25 佛山道斯水溶包装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真空控制系统的凝珠包装机及方法
CN109080863B (zh) * 2018-09-28 2020-11-17 陕西科技大学 一种药丸类药品的装填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0762A (ja) * 2009-10-02 2011-04-21 Shibuya Kogyo Co Ltd 物品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8Y2 (ja) * 1986-12-15 1995-01-11 澁谷工業株式会社 物品振分け装置
US5040353A (en) * 1990-07-26 1991-08-20 Glaxo Inc. System for inspecting and recycling goods from defective packages on a blister packaging machine
JP4241439B2 (ja) * 2003-06-18 2009-03-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型電子部品の取扱い装置
JP5291061B2 (ja) * 2010-09-16 2013-09-18 Ckd株式会社 Ptpシート搬送装置
JP5535153B2 (ja) * 2011-08-31 2014-07-02 Ckd株式会社 Ptp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
JP5616316B2 (ja) * 2011-12-06 2014-10-29 Ckd株式会社 ポケット部形成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JP5635021B2 (ja) * 2012-02-06 2014-12-03 Ckd株式会社 加熱装置及びブリスター包装機
JP5697168B2 (ja) * 2012-08-07 2015-04-08 Ckd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EP2989012A1 (de) * 2013-04-23 2016-03-02 GEA Food Solutions Germany GmbH Verpackungsmaschine mit einem porösen mitt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0762A (ja) * 2009-10-02 2011-04-21 Shibuya Kogyo Co Ltd 物品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10553A (ja) 2016-12-15
CN106114964A (zh) 2016-11-16
JP6316774B2 (ja) 2018-04-25
CN106114964B (zh) 2018-10-23
KR20160131826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830B1 (ko) Ptp 포장기
KR101648820B1 (ko) Ptp 포장기
KR101838977B1 (ko)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KR101849669B1 (ko) 픽업 장치 및 브리스터 포장기
CN110871917B (zh) Ptp包装机
KR101544048B1 (ko) 필터 자동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필터
US201701743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ortion packets of a smokeless tobacco product or non-tobacco snuff product
JP7322252B2 (ja) Ptp包装機
JP6865714B2 (ja) Ptpシートの製造方法
JP7065820B2 (ja) Ptp包装機及びptpシート製造方法
JP7411524B2 (ja) ブリスタ包装機及びブリスタシートの製造方法
JP6444913B2 (ja) 検査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JP7254038B2 (ja) ブリスタ包装機及びブリスタ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0015524A (ja) Ptpシートの製造方法
EP4371894A1 (en) Process for the management of waste with semifinished product recirculation for an automatic machine for manufacturing or packing consumer articles
JP2023127031A (ja) ブリスタ包装機
JP2006052059A (ja) カード集積装置及びカード集積方法
JP2020014694A (ja) Ptp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ptp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