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902A - 펜토오스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펜토오스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902A
KR20170089902A KR1020177017589A KR20177017589A KR20170089902A KR 20170089902 A KR20170089902 A KR 20170089902A KR 1020177017589 A KR1020177017589 A KR 1020177017589A KR 20177017589 A KR20177017589 A KR 20177017589A KR 20170089902 A KR20170089902 A KR 20170089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cording
subject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die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 윈 청
베 콴 탄
Original Assignee
인큐팜 그룹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큐팜 그룹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인큐팜 그룹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17008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9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bes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토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피험자의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흡수, 및/또는 피험자의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 흡수를 관리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험자의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 및/또는 고혈당증 및/또는 고지혈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펜토오스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A PENTOSE AND POLYPHENOLIC COMPOUND}
본 발명은 펜토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피험자에서의 혈중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흡수 및/또는 피험자에서의 식이 단백질로부터의 칼로리 흡수를 관리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피험자의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과체중 또는 비만은 음식 섭취와 에너지 소비 사이의 불균형의 결과이다. 이는 신체의 에너지 소비량을 초과하는 높은 수준의 에너지를 섭취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과식, 활동적이지 않은 또는 정적인 생활 방식, 유전 또는 가족력, 의학적 상태 및/또는 기타 요인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전세계적으로 10억명이 넘는 성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이며 정제된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에 의해 증가하고 있다. 비만 또는 과체중인 개체는 다양한 타입의 대사 증후군, 특히 심혈관 병태 및 II형 당뇨병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시간 경과에 따른 5kg 체중 감량이 당뇨병 위험성의 55% 감소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Hamman, RF et al, 2006). 체중 감량은 또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의 현저한 저하와 관련된다(Lavie, Milani & Ventura, 2009). 따라서, 체중 관리는 현대 건강관리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비만 또는 과체중을 퇴치하거나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활 방식 변화가 주요 해결책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선진국에서 신체 활동은 계속 감소하며 생활 방식의 변화는 실행이 어려울 수 있음에 따라, 칼로리 섭취 또는 흡수를 조절하는 것이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비만 및 이와 관련된 의학적 문제의 추가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체중 관리의 보다 수용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 되었다.
다이어트로 인한 총 칼로리 섭취량 감소는, 식이 섭취량 감소, 또는 칼로리 차단제, 식사 대체제, 식욕 감퇴제 등과 같은 약물 또는 보충제의 섭취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계획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체중 조절이나 체중 감량을 촉진하기 위해 현재 이용 가능한 약물 및 보충제의 효과는 매우 다양하며, 특히 약물 및 보충제를 칼로리 제한 식이 요법 및 운동 요법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식이 지방, 탄수화물 및 단백질의 섭취를 감소시키는 처치가 바람직하다.
제1 측면에 따라, 펜토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2 측면에 따라, 제1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영양보조(nutraceutical) 조성물이다.
제3 측면에 따라,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효소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4 측면에 따라,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효소를 억제하기 위한 시험관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효소를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라,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효소를 억제하기 위한 생체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효소를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혈중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수준을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제7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흡수를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제8 측면에 따라, 피험자에서의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의 소화 및 상기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관리, 예를 들면, 감소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식이 단백질의 소화 및 흡수의 관리 또는 감소는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달성되고/되거나, 상기 식이 탄수화물의 소화 및 흡수의 관리 또는 감소는 α-글루코시다아제 및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달성되고/되거나, 상기 식이 지방의 소화 및 흡수의 관리 또는 감소는 리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달성된다.
제9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흡수의 관리, 예를 들면,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10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혈중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수준의 관리, 예를 들면,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11 측면에 따라, 피험자에서의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의 소화 및 상기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관리, 예를 들면,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12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체중을 감량하기 위한 비치료적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제13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체중의 치료적 감량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14 측면에 따라, 피험자에서의 식이 지방, 탄수화물 및/또는 단백질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감소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제15 측면에 따라, 피험자에서의 식이 지방, 탄수화물 및/또는 단백질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16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제17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고혈당증(hyperglycemia) 및/또는 고지혈증(hyperlipidemia)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제18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19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고혈당증 및/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20 측면에 따라, 피험자의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흡수를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거나, 또는 피험자의 혈중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수준을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거나, 또는 피험자의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을 치료 또는 예방하거나, 또는 피험자의 고혈당증 및/또는 고지혈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제21 측면에 따라, 피험자에서의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의 소화 및 상기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또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 흡수를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펜토오스(예를 들면,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예를 들면, 식물 유래 타닌(tannin))의 배합물은 피험자에서의 글루코오스(당(sugar)) 및/또는 지질 흡수, 및/또는 피험자에서의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의 소화 및 상기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 흡수를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킬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상기 조성물은 위장관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예를 들면, 트립신)와 같은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조성물은 펜토오스(5개 탄소 원자를 갖는 단당류), 예를 들면, 알도펜토오스(탄소 쇄의 1 위치에 알데히드 작용기를 갖는다) 및/또는 케토펜토오스(탄소 쇄의 2 또는 3 위치에 케톤 작용기를 갖는다)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펜토오스는 L-펜토오스, 예를 들면, L-알도펜토오스 또는 L-케토펜토오스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펜토오스는 D-펜토오스, 예를 들면, D-알도펜토오스 또는 D-케토펜토오스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펜토오스는 L-아라비노오스, D-릭소오스, L-릭소오스, D-리보오스, L-리보오스, D-자일로오스, L-자일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알도펜토오스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펜토오스는 L-아라비노오스, L-릭소오스, L-리보오스, L-자일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펜토오스는 L-아라비노오스다. 따라서,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L-아라비노오스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L-아라비노오스는 식물 유래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L-아라비노오스는 식물 지아 메이스(Zea mays), 예를 들면, 콘(corn) 또는 마이츠(maize)로부터 유래되거나, 아라비아 검(gum Arabic)으로부터 유래된다. L-아라비노오스의 기타 공급원으로는 밀, 호밀, 쌀과 같은 목질재(셀룰로오스) 물질, 및 비트와 사과 과육(pulp)으로부터의 펙틴질 물질, 사탕 수수 버개스, 뿐만 아니라 플랜트 검(plant gum)이 포함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은 식물 유래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식물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은 식물 유래 타닌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식물 유래 타닌은 농축 타닌 및/또는 가수분해성 타닌이다. 농축 타닌은, 안토시아니딘을 수득하는 프로안토시아니딘으로도 알려져 있다. 가수분해성 타닌은 갈로타닌(gallotannin) 및 엘라기타닌(ellagitannin)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식물 유래 타닌은 식물 비티스 종(Vitis spp.), 예를 들면,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및/또는 비티스 로툰디폴리아(Vitis rotundifolia)로부터 유래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식물 유래 타닌은 비티스 비니페라로부터 유래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식물 유래 타닌은 그래이프 스텝(grape step), 과피(skin), 과육 및 씨앗을 포함하는 그래이프에 포함된다(즉, 그래이프의 성분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식물 유래 타닌은 그래이프 마르크(grape marc) 추출물에 포함된다.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예를 들면 주스용으로 압착한 후 그래이프의 고체 잔여물을 포함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과일의 과피, 과육, 씨앗 및 줄기를 함유한다.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그래이프 마르크의 수성 추출물로부터 생성된 갈색 수렴성(astringent) 분말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샤르도네(Chardonnay), 그르나슈(Grenache), 시라(Syrah), 카리냥(Carignan), 무르베르드(Mourvedre), 카누아즈(Counoise) 및/또는 알리칸테(Alicante)로부터 유래된다.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타닌 및 기타 유형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둘 다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 (및,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농축 타닌 및 가수분해성 타닌을 둘 다 함유한다. 특정 양태에서, 농축 타닌은, 가수분해성 타닌에 비해 소화 효소-결합 효과에 있어서 더 큰 활성을 갖는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약 1% w/w의 타닌, 예를 들면, 적어도 약 2% w/w의 타닌, 또는 적어도 약 3% w/w의 타닌, 또는 적어도 약 5% w/w의 타닌, 또는 적어도 약 10% w/w의 타닌, 또는 적어도 약 15% w/w의 타닌, 또는 적어도 약 20% w/w의 타닌, 또는 적어도 약 25% w/w, 또는 적어도 약 30% w/w의 타닌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약 20%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예를 들면, 약 25%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또는 약 30%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또는 약 32% w/w 내지 약 38% w/w의 타닌, 또는 약 33% w/w 내지 약 35% w/w의 타닌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약 50% w/w 이하의 타닌, 예를 들면, 약 45% w/w 이하의 타닌, 또는 약 40% w/w 이하의 타닌, 또는 약 35% w/w 이하의 타닌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은 L-아라비노오스에 대해, 그리고 L-아라비노오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에 대해 논의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양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하며, 상기 기술된 다른 유형의 펜토오스로 이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L-아라비노오스 및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L-아라비노오스 대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중량비는 약 95:5 내지 약 40:60, 예를 들면, 약 90:10 내지 약 40:60, 또는 약 85:15 내지 약 40:60, 또는 약 80:20 내지 약 40:60, 또는 약 75:25 내지 약 40:60, 또는 약 70:30 내지 약 40:60, 또는 약 65:45 내지 약 40:60, 또는 약 60:40 내지 약 40:60, 또는 약 55:45 내지 약 40:60, 또는 약 50:50 내지 약 40:60, 또는 약 50:50 내지 약 40:60, 또는 약 48:52 내지 약 40:60, 또는 약 48:52 내지 약 42:58 또는 약 47:53 내지 약 43:57, 또는 약 47:53 내지 약 44:56이다. 특정 양태에서, L-아라비노오스 및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중량비는 대략 46:54이다.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약 25%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예를 들면, 약 30%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또는 약 32% w/w 내지 약 38% w/w의 타닌, 또는 약 33% w/w 내지 약 35% w/w의 타닌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약 20% w/w의 L-아라비노오스 및/또는 적어도 약 2% w/w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약 30% w/w의 L-아라비노오스 및/또는 적어도 약 3% w/w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 또는 적어도 약 40% w/w의 L-아라비노오스 및/또는 적어도 약 4% w/w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 또는 적어도 약 30% w/w의 L-아라비노오스 및/또는 적어도 약 10% w/w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 또는 적어도 약 30% w/w의 L-아라비노오스 및/또는 적어도 약 15% w/w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 및/또는 적어도 약 30% w/w의 L-아라비노오스 및/또는 적어도 약 20% w/w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 및/또는 적어도 약 30% w/w의 L-아라비노오스 및/또는 적어도 약 25% w/w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 또는 적어도 약 30% w/w의 L-아라비노오스 및 적어도 약 30% w/w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약 25%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예를 들면, 약 30%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또는 약 32% w/w 내지 약 38% w/w의 타닌, 또는 약 33% w/w 내지 약 35% w/w의 타닌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L-아라비노오스 및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총량은 약 95%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 예를 들면, 90%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 약 80%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 또는 약 70%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 또는 약 60%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 또는 약 50%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L-아라비노오스 대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중량비는 약 95:5 내지 약 40:60, 예를 들면, 약 90:10 내지 약 40:60, 또는 약 85:15 내지 약 40:60, 또는 약 80:20 내지 약 40:60, 또는 약 75:25 내지 약 40:60, 또는 약 70:30 내지 약 40:60, 또는 약 65:45 내지 약 40:60, 또는 약 60:40 내지 약 40:60, 또는 약 55:45 내지 약 40:60, 또는 약 50:50 내지 약 40:60, 또는 약 50:50 내지 약 40:60, 또는 약 48:52 내지 약 40:60, 또는 약 48:52 내지 약 42:58 또는 약 47:53 내지 약 43:57, 또는 약 47:53 내지 약 44:56일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약 25%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예를 들면, 약 30%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또는 약 32% w/w 내지 약 38% w/w의 타닌, 또는 약 33% w/w 내지 약 35% w/w의 타닌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물 기원 및/또는 비(non)-식물 기원의 식이 섬유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이 섬유"는 당해 용어에 대해 통상적인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식이 섬유는 식물 유래 식품의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부분으로 간주된다. 통상적으로, 식이 섬유에는 두 가지 주요 성분, 물에 용해되는 가용성 섬유 및 물에 용해되지 않는 불용성 섬유가 있다. 가용성 섬유는 키토산, 아카시아 검, 구아 검, 저-메톡시 및 고-메톡시 펙틴, 귀리 및/또는 보리 베타 글루칸, 카라기난, 금불초(psyllium),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불용성 섬유는 귀리 외피 섬유(hull fibre), 완두콩 외피 섬유, 대두 외피 섬유, 대두 자엽(cotyledon) 섬유, 슈거비트 섬유, 셀룰로오스, 옥수수겨(corn bran)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식이 섬유는 아벨모셔스 종(Abelmoschus app)으로부터 유래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식이 섬유는 오크라(okra) 분말 또는 섬유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90중량%의 식이 섬유, 예를 들면, 약 1 내지 약 80중량%, 또는 약 1 내지 약 70중량%, 또는 약 1 내지 약 60중량%, 또는 약 1 내지 약 50중량%, 또는 약 5 내지 약 50중량%, 또는 약 10 내지 약 50중량%, 또는 약 20 내지 약 50중량%의 식이 섬유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기타 생물학적 활성제, 예를 들면,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과 같은 대사 질환의 치료에 적합한 생물학적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생물학적 활성제는, 리파아제 억제제, 예를 들면, 오르리스타트(orlistat) 및 세틸리스탯(cetilistat), 지방 결합제, 예를 들면, 탈수된 오퓬치아 피거스 인디카(Opuntia ficus indica) 엽상경(cladode) 분말, 알파 아밀라아제 억제제, 예를 들면, 흰색 강낭콩 추출물, 및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 예를 들면, 아카보스 및 타닌을 포함하는 흡수 변형제(altering agent); 약제학적 제제, 예를 들면, 시부트라민(sibutramine), 펜터민(phentermine), 디에틸프로피온, 리모나반트(rimonabant), 벤즈페타민(benzphetamine) 및 영양보조제(nutraceutical agent), 예를 들면, 감자 추출물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식욕 변형제; 대사 변형제, 예를 들면 모노옥시딘(monoxidine), 녹차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시트러스 아우란튬(Citrus aurantum) 추출물; 스타틴(statin), 예를 들면, 심바스타틴(simvastatin), 아트로바스타틴(atorvastatin), 로바스타틴(lovastatin),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및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등, 피브레이트(fibrate)(겜피브로실(gemfibrosil), 벤자피브레이트(bezafibrate),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또는 시프로피브레이트(ciprofibrate)), 담즙산 격리제(bile acid sequestrant) 예를 들면 콜레스티폴(colestipol), 콜레스티라민(cholestyramine)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저하제, 및 영양보조식(nutraceutical), 예를 들면, 식물 스테롤(plant sterol)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생물학적 활성제 또는 활성제들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1중량% 내지 약 50중량%, 예를 들면, 약 0.1중량% 내지 약 15중량%, 또는 약 0.5중량% 내지 약 10중량%, 또는 약 0.5중량% 내지 약 5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3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2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1중량%, 또는 약 0.001중량% 내지 약 5중량%, 또는 약 0.001중량% 내지 약 2중량%, 또는 약 0.001중량% 내지 약 1중량%, 또는 약 0.001중량% 내지 20 약 0.5중량%, 또는 약 0.001중량% 내지 약 0.1중량%, 또는 약 0.001중량% 내지 약 0.01중량% 범위의 양으로 상기 조성물에 존재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영양 성분(nutrient ingredient)을 추가로 포함한다. 비타민은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비타민 B12, 카로티노이드(베타-카로틴, 제아크산틴(zeaxanthin), 루테인(lutein) 및 리코펜(lycopene)을 포함함), 니아신, 엽산, 판토텐산, 비오틴, 비타민 C, 콜린, 이노시톨, 및 염 및 이의 유도체 중의 임의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미네랄은 칼슘, 인, 마그네슘, 철, 아연, 망간, 구리, 코발트, 붕소, 요오드, 나트륨, 칼륨, 몰리브덴, 셀레늄, 크롬, 불소 및 염소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들) 및/또는 미네랄(들)을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50중량%, 예를 들면, 비타민(들) 및/또는 미네랄(들)을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45중량%, 약 0.1 내지 약 40중량%, 또는 약 0.5 내지 약 30중량%, 또는 약 0.5 내지 약 20중량%, 또는 약 0.5 내지 약 10중량%, 또는 약 0.5 내지 약 5중량%, 또는 약 0.5 내지 약 3중량%, 또는 약 0.1 내지 약 2중량%, 또는 약 0.1 내지 약 1중량%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들) 및/또는 미네랄(들)을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5중량%, 예를 들면, 약 0.0001 내지 약 2중량%, 또는 약 0.0001 내지 약 1중량%, 또는 약 0.0001 내지 약 0.5중량%, 또는 약 0.0001 내지 약 0.1중량%, 또는 약 0.0001 내지 약 0.01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면,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약제)(예를 들면 정제, 캡슐, 분말, 액체 등)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성물은 영양보조 조성물, 예를 들면, 식료품, 식품 보충제, 식이 보충제, 건강 보충제, 식사 대체품, 음료, 음료 보충제, 식품 첨가물, 동물용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어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약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의)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 및 추가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투여 방식 및 투여형의 성질에 따라, 예를 들면, 희석제, 애주번트, 부형제, 비히클, 보존제, 충전제, 결합제, 붕해제, 습윤제, 에멀젼화제, 현탁제, 감미제, 향미제, 향신제, 항균제, 항진균제, 윤활제 및 분산제로부터 선택되는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드라제, 로젠지제, 과립제, 분말제, 펠릿제 및 샤세제를 포함하는 고체 제제; 및 엘릭시르제, 시럽제, 현탁제, 분무제, 에멀젼제 및 용액제를 포함하는 액체 제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기술 및 제형화는 일반적으로 문헌[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최신 에디션]에서 찾을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본 발명의 고체 투여형에서, 상기 활성 성분(들)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를 들면 인산이칼슘, 및/또는 다음의 것들 중 임의의 것과 혼합될 수 있다: 희석제, 충전제 또는 증량제, 예를 들면 녹말,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만니톨,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및/또는 규산; 결합제,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프로멜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수크로오스 및/또는 아카시아; 붕해제, 예를 들면 전분, 예를 들면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전분 유도체, 예를 들면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크로스폴리비닐피롤리돈, 탄산칼슘,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알긴산, 및 특정 규산염; 윤활제, 예를 들면 탈크,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나트륨 설페이트 스테아릴 포르메이트, 고형 폴리에틸렌 글리콜, 안정제, 예를 들면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향미제 및 착색제 및 이들의 혼합물.
정제, 및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기타 고체 투여형은 임의로 코팅 및 껍질(shell), 예를 들면 장용 코팅(enteric coating) 및 약제학적 제형 분야에 잘 알려진 다른 코팅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중합체를 다양한 비율로 사용하여 목적하는 방출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활성 성분(들)의 느리거나 조절된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때 다른 중합체 매트릭스, 리포솜 및/또는 미소구체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조성물은 임의로 착색제 및/또는 불투명화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임의로 지연된 방식으로 위장관의 특정 부분에서 활성 성분(들)만을 또는 활성 성분(들)을 우선적으로 방출하도록 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결합제, 희석제, 윤활제 및 코팅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 50% w/w 이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 예를 들면, 약 45% w/w 이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 또는 약 40% w/w 이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 또는 약 35% w/w 이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어도 약 1% w/w, 또는 적어도 약 10% w/w, 또는 적어도 약 15% w/w, 또는 적어도 약 20% w/w, 또는 적어도 약 25% w/w, 또는 적어도 약 30% w/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액체형 제제는 경구 투여를 위한 용액제, 현탁제, 및 에멀젼제, 예를 들면, 물 또는 물-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한다. 액체 제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수용액 중의 용액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활성 성분(들), 즉, L-아라비노오스 및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를 들면 물 및/또는 다음 중 임의의 하나와 혼합될 수 있다: 용매,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알코올; 보습제, 예를 들면 글리세롤; 감미제, 예를 들면 액체 글루코오스, 콘 시럽 및 수크로오스; 인공 감미제, 예를 들면 아스파탐, 스테비아 및 수크랄로오스; 보존제, 예를 들면 벤조에이트 및 파라벤; 점도 조정제/증점제, 예를 들면 검 및 알기네이트; 완충제; 향미제 및 착색제.
또한, 사용 직전에 구강 투여용 액체형 제제로 전환하도록 고안된 고체형 제제, 예를 들면 정제, 과립제 및 분말제가 포함된다. 이러한 액체형은 용액제, 현탁제 및 에멀젼제를 포함한다. 이들 특정한 고체형 제제는 단위 투여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장 편리하며, 따라서 단일 액체 투여 단위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또는, 필요한 경우, 소정 용적의 고체형 제제를 스푼 또는 다른 측정 장치로 측정함으로써, 복수의 개별 액체 투여량이 재구성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고체가 제공될 수 있다. 액체형으로 전환하도록 고안된 고체형 제제는, 활성 물질 이외에도, 향미제, 착색제, 안정제, 완충제, 인공 및 천연 감미제, 분산제, 증점제, 안정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액체형 제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액체는 물, 등장수, 주스, 우유, 에탄올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품(food)", "식료품(foodstuff)", "식품 보충제(food supplement)", "식이 보충제(dietary supplement)", "건강 보충제(health supplement)", "식사 대체품(meal replacement product)", "음료(beverage)" 및 "음료 보충제(beverage supplement)"는 해당 용어들에 대한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며 약제학적 제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조성 형태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들은 예를 들면 재수화 가능한 분말과 같은 식료품 전구체(foodstuff precursor) 또는 물, 우유 또는 다른 액체에 분산 가능한 분말과 같은 음료 전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구 섭취 전에 식품 또는 식료품과 조합하도록 고안된 고체형 제제가 포함된다. 상기 고체형 제제는 식품 또는 식료품에 혼합되거나, 예를 들면 식품 또는 식료품에 뿌려서 식품 또는 식료품에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체형은 분말, 과립, 펠릿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식품 또는 식료품에는 준비된 식사(조리되거나 신선한), 스프, 낙농 제품(예를 들면, 요거트, 크림, 크렘 프레슈), 빵 및 파스타와 같은 밀가루 제품, 스낵바와 같은 스낵 또는 편의용품(convenience item)(예를 들면, 초콜릿 바), 제과 제품 등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식품 또는 식료품 등은 상기 식품 또는 식료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중량% 내지 약 50중량%의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조성물, 예를 들면, 약 0.1중량% 내지 약 40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30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20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15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10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8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6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4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2중량%의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식품 또는 식료품 등은 상기 식품 또는 식료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약 0.2중량%의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조성물, 예를 들면, 적어도 약 0.5중량%, 또는 적어도 약 1중량%, 또는 적어도 약 5중량%의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험자에게 매일 경구 투여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상기 조성물은 위장관에서의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트립신과 같은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식이 지방, 탄수화물 및/또는 단백질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감소를 달성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형의 성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식사 전, 식사 도중, 또는 식사 후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캡슐 또는 분말은 식사 전 또는 식사 후 대략 15분 내지 60분에, 예를 들면, 식사 전 15분 내지 30분 또는 식사 후 30분 내지 45분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되는 상기 조성물의 양은 피험자의 요건 및 소비되는 식품 또는 식사 내의 주영양소, 즉 지방, 탄수화물 및 단백질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치료적 적용을 위해, 투여되는 상기 조성물의 양은 피험자의 요건, 치료되는 병태의 중증도, 및 소비되는 식품 또는 식사의 칼로리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정 상황에 대한 적절한 양/투여량의 결정은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치료적 적용을 위해,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의사 또는 수의사는 필요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일일 총량/용량은 원하는 경우 하루 동안 부분량으로 나눠서 식사와 함께 투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적합한 일일 투여량은 목적하는 효과, 예를 들면, 치료 효과를 생성시키고/시키거나 혈당 및/또는 지질 흡수를 감소시키는데 유효한 최저 투여량인 조성물의 양일 것이다. 상기 조성물의 무독성 성질로 인해 광범위한 투여량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L-아라비노오스 및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중량비 약 95:5 내지 약 40:60에서 일일 15g 이하, 예를 들면, 일일 약 10g 이하, 또는 일일 약 5g 이하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L-아라비노오스 및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중량비 약 95:5 내지 약 40:60에서 일일 100mg 내지 약 3g의 범위이며, 이는 하루에 걸쳐 임의로 단위 투여형들로 적절한 간격으로(예를 들어, 매 식사 후) 별도로 투여되는 2 또는 3 또는 그 이상의 서브-투여량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일일 약 200mg 내지 약 3g의 각각의 성분, 예를 들면, 일일 약 500mg 내지 약 3g의 각각의 성분, 또는 일일 약 750mg 내지 약 2.5g의 각각의 성분, 또는 일일 약 1000mg 내지 약 2000mg의 각각의 성분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임의로 식사 전, 식사 도중, 또는 식사 후 1일 2 또는 3회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식사당 투여량은 약 5g 이하의 상기 조성물, 예를 들면, 약 3g 이하의 상기 조성물, 예를 들면, 약 2.5g 이하의 상기 조성물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L-아라비노오스 대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중량비는 약 95:5 내지 약 40:60일 수 있다. 따라서, L-아라비노오스의 일일 투여량은 일일 250mg 내지 10g의 범위일 수 있으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일일 투여량은 일일 50mg 내지 2g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의 권장 일일 투여량은 2.6g일 수 있으며, 즉, 상기 조성물은 2400mg의 L-아라비노오스 및 180mg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920mg의 L-아라비노오스 및 1080mg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을 일일 총 2g의 투여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다양한 치료적 적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표현 "치료 또는 예방" 및 이와 유사한 표현은, 우세한 의료 관행에 따라 이용 가능한 시험들 중 임의의 것에 따라 판단되는 바와 같이, 장애를 제거 또는 회피하거나 이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예방적 처치 및 치유적 처치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건강관리를 지칭한다. 특별한 결과를 얻기 위한 합리적 기대를 목표로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닌 개입(intervention)은 "치료 또는 예방"이라는 표현에 포함된다. 장애의 진행을 늦추거나 중단시키는 데 성공하는 개입은 "치료 또는 예방"이라는 표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기 쉬운(susceptible to)" 및 이와 유사한 표현은, 특히, 개인 또는 질환에 대한 공지된 위험 인자를 사용하여 평가한 바와 같이 질환, 예를 들면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의 통상의 발병 위험보다 더 높은 위험을 갖는 개인을 지칭한다. 이러한 개인은, 예를 들면, 약제를 처방하고/하거나 특별한 식이요법, 생활 방식 또는 유사한 권고사항이 해당 개인에게 지시될 정도로 질환, 예를 들면,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이 발병할 실질적인 위험이 있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피험자는 사람이다. 기타 양태에서, 피험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람 이외의 포유동물이다.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은 효소, 예를 들면, 하나 이상 소화 효소의 억제에 사용될 수 있다.
포유류의 α-글루코시다아제는 1,4 α-결합하에 작용하는 글루코시다아제이다. 이는 탄수화물(예를 들면 전분) 및 이당류(예를 들면 설탕(table sugar))를 글루코오스로 분해시키는 효소이다. 탄수화물 및 이당류는 단당(simple sugar)으로 통상 전환되며, 이는 장을 통해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α-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의 감소(즉, 억제)는 당 흡수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혈당 수준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포유류의 α-아밀라아제는 거대 α-연결된 다당류, 예를 들면 전분 또는 기타 복합 탄수화물의 α-결합을 가수분해시켜, 장을 통해 흡수될 수 있는 글루코오스 및 말토오스를 생성시키는 효소이다. 따라서,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의 감소(즉, 억제)는 당 흡수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혈당 수준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포유류의 리파아제는 지질의 가수분해를 촉매하고 이에 따라 식이 지방의 소화를 보조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리파아제의 활성의 감소(즉, 억제)는 식이 지방의 흡수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지질 수준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포유류의 프로테아제(예를 들면, 트립신, 펩신 및/또는 키모트립신)는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단백질을 더 작은 펩타이드로 분해시키고 이는 아미노산으로 추가로 가수분해하여 이것이 혈류 흡수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효소의 패밀리(family)이다. 따라서, 프로테아제(예를 들면, 트립신, 펩신 및/또는 키모트립신)의 활성의 감소(즉, 억제)는 식이 단백질로부터 칼로리의 흡수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이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프로테아제는 세린 프로테아제 패밀리의 구성원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프로테아제 아스파르테이트 프로테아제 패밀리의 구성원이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L-아라비노오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타닌)의 배합물은 α-아밀라아제 및 α-글루코시다아제와 결합하여, 상기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례적으로, 특정 양태에서, L-아라비노오스와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타닌)의 배합물은 α-아밀라아제 및/또는 α-글루코시다아제의 억제의 증가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L-아라비노오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타닌)의 배합물은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예를 들면, 트립신)의 활성을 유리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은 α-아밀라아제, α-글루코시다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예를 들면, 트립신)의 활성을 동시에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조성물은 효소-억제제 조성물이라고도 하며, 즉,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로부터의 타닌)의 배합물은 적합한 상대량으로 존재할 수 있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배합물은 α-아밀라아제, α-글루코시다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예를 들면, 트립신, 펩신 또는 키모트립신) 중의 하나 이상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의 억제성은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억제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관내 방법은 하기 실시예 부분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의 억제성은 특정량의 효소의 활성을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조성물의 양(즉, 효소 1ml당 상기 조성물의 ㎍ 또는 mg으로 나타낸 IC50)으로 표현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α-아밀라아제에 대한 IC50이 약 250㎍/ml 미만, 예를 들면, 약 200㎍/ml 미만, 또는 약 150㎍/ml 미만, 또는 약 100㎍/ml 미만, 또는 약 50㎍/ml 미만, 또는 약 25㎍/ml 미만, 또는 약 15㎍/ml 미만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α-글루코시다아제에 대한 IC50이 약 800㎍/ml 미만, 예를 들면, 약 750㎍/ml 미만, 또는 약 650㎍/ml 미만, 또는 약 600㎍/ml 미만, 또는 약 500㎍/ml 미만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트립신에 대한 IC50이 약 250㎍/ml 미만, 예를 들면, 약 200㎍/ml 미만, 또는 약 100㎍/ml 미만, 또는 약 50㎍/ml 미만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리파아제에 대한 IC50이 약 100㎍/ml 미만, 예를 들면, 약 75㎍/ml 미만, 또는 약 50㎍/ml 미만, 또는 약 25㎍/ml 미만, 또는 약 15㎍/ml 미만, 또는 약 10㎍/ml 미만이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α-아밀라아제에 대한 IC50이 약 15㎍/ml 미만이고,
α-글루코시다아제에 대한 IC50이 약 600㎍/ml 미만이고,
트립신에 대한 IC50이 약 50㎍/ml 미만이고,
리파아제에 대한 IC50이 약 10㎍/ml 미만이다.
특정 양태에 따라,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트립신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효소를 억제하기 위한 생체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효소를 본 발명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 즉, L-아라비노오스와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타닌)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 따라,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트립신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효소를 억제하기 위한 시험관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효소를 본 발명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따르는 조성물, 즉, L-아라비노오스와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타닌)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한다.
추가로, L-아라비노오스와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타닌)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이 소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특정 양태에 따르는 상기 조성물은 피험자의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을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는 방법에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양태에 따르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피험자의 혈당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특정 양태에서,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의 관리 또는 감소는 α-글루코시다아제 및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글루코오스 흡수를 감소시킴으로서 달성된다.
추가로, 특정 양태에 따르는 상기 조성물은 피험자의 혈중 지질 수준을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는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혈중 지질은 전체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양태에 따르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피험자의 혈중 지질 수준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특정 양태에서, 지질 수준의 관리 또는 감소는 리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지질 흡수를 감소시킴으로서 달성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식이 지방을 결합시키고 이에 따라 지방 흡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이 지방-결합 성질을 갖는 오크라 분말 또는 섬유와 같은 식이 섬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특정 양태에 따르는 상기 조성물은 피험자의 식이에서 섭취되는 단백질로부터의 아미노산 흡수를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는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양태에 따르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피험자의 식이에서 섭취되는 단백질로부터의 칼로리 흡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특정 양태에서, 식이 단백질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관리 또는 감소는 트립신, 펩신 또는 키모트립신과 같은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달성된다.
특정 양태에 따르는 상기 조성물은 피험자의 식이에서 섭취되는 식이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 흡수를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는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식이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관리 또는 감소는 α-글루코시다아제 및 α-아밀라아제의 활성 및 리파아제의 활성 각각을 억제함으로써 달성된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치료 방법 및 적용에 따라,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즉,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의 공급원, 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이 유효량으로 투여되어,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흡수 및/또는 식이 단백질로부터의 칼로리 흡수가 감소하여 이에 따라 혈당, 지질 수준 및 칼로리 섭취가 감소한다. 유효량은 당, 지질 및/또는 칼로리 흡수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치료 효과를 생성시킬 수 있는 양으로 이해될 것이다. 유효량은 위에 기재된 투여량, 투여형 또는 투여 요법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화합물의 공급원에 속한다.
특정 양태에서, 상기 기술된 각각의 치료적 적용에서, L-아라비노오스 및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즉, 하나 이상 식물 유래 타닌의 공급원)의 총량은 90%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 예를 들면, 약 80%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 또는 약 70%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 또는 약 60%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 또는 약 50% w/w 이하의 상기 조성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L-아라비노오스 대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중량비는 약 95:5 내지 약 40:60, 예를 들면, 약 90:10 내지 약 40:60, 또는 약 85:15 내지 약 40:60, 또는 약 80:20 내지 약 40:60, 또는 약 75:25 내지 약 40:60, 또는 약 70:30 내지 약 40:60, 또는 약 65:45 내지 약 40:60, 또는 약 60:40 내지 약 40:60, 또는 약 55:45 내지 약 40:60, 또는 약 50:50 내지 약 40:60, 또는 약 50:50 내지 약 40:60, 또는 약 48:52 내지 약 40:60, 또는 약 48:52 내지 약 42:58 또는 약 47:53 내지 약 43:57, 또는 약 47:53 내지 약 44:56일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약 25%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예를 들면, 약 30%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 또는 약 32% w/w 내지 약 38% w/w의 타닌, 또는 약 33% w/w 내지 약 35% w/w의 타닌을 포함할 수 있다.
비만은 과도한 체지방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정도로 축적되어 기대 수명이 단축되거나 건강상의 문제가 증가하는 의학적 상태이다. 피험자는, 피험자의 체중(킬로그램)을 피험자의 신장(미터)의 제곱으로 나누어 수득한 측정치인 체질량 지수(BMI)가 30kg/㎡ 또는 그 이상을 초과할 때 비만인 것으로 간주된다.
비만은 다양한 질환, 특히 심장 질환, 2형 당뇨병,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특정 유형의 암, 및 골관절염(osteoarthritis)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BMI는 피험자의 질량을 그의 신장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통상적으로 미터법 단위로 표시된다:
BMI = 체중 (킬로그램)/(신장 (미터))²
1997년에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정하고 2000년에 발표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의는 아래 표에 나열된 값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대사 증후군은, 함께 발생했을 때, 피험자의 심혈관 질환 및 당뇨병과 같은 질환 유발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복합적인 의학적 장애이다. 대사 증후군은 대사 증후군 X, 심장대사 증후군, 증후군 X,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리븐 증후군(Reaven's syndrom)(제럴드 리븐(Gerald Reaven)의 이름에서 유래됨), 및 CHAOS(오스트레일리아에서)로도 알려져 있다.
대사 증후군에 대한 다수의 상이한 정의들이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대사 증후군에 관한 국제 당뇨 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전세계 컨센서스 정의(2006)는 다음과 같다: 복부 비만(인종(ethnicity) 특이적 값을 갖는 허리 둘레로 정의됨) 및 하기 사항들 중의 임의의 두 가지:
ㆍ 트리글리세라이드 상승: > 150mg/dL (1.7mmol/L), 또는 당해 지질 이상에 대한 특별한 치료
ㆍ HDL 콜레스테롤 저하: < 40mg/dL (1.03mmol/L) (남성), < 50mg/dL (1.29mmol/L) (여성), 또는 당해 지질 이상에 대한 특별한 치료
ㆍ 혈압(BP) 상승: 수축기 BP > 130mmHg 또는 이완기 BP > 85mmHg, 또는 이전에 진단된 고혈압의 치료
ㆍ 공복 혈장 글루코오스(FPG) 상승: >100mg/dL (5.6mmol/L), 또는 이전에 진단된 2형 당뇨병
피험자의 BMI가 30kg/㎡를 넘으면 복부 비만으로 추정될 수 있으며 허리 둘레 측정은 불필요하다.
세계 보건 기구 기준(1999)은 당뇨병, 글루코오스 내성 장애, 공복 글루코오스 또는 인슐린 저항 장애 중의 임의의 하나, 및 하기 사항들 중의 두 가지의 존재를 요구한다:
ㆍ 혈압: ≥ 140/90mmHg
ㆍ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트리글리세라이드 (TG): ≥ 1.695mmol/L 및 고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 (HDL-C) ≤ 0.9mmol/L (남성), ≤ 1.0mmol/L (여성)
ㆍ 복부 비만: 허리:둔부 비 > 0.90 (남성); > 0.85 (여성), 또는 체질량 지수 > 30kg/㎡
ㆍ 미세알부민뇨증(microalbuminuria): 뇨중 알부민 배설율 ≥ 20㎍/min 또는 알부민:크레아티닌(creatinine) 비 ≥ 30mg/g
인슐린 저항성 연구를 위한 유럽 모임(European group for the study of insulin resistance)(1999)은 비당뇨병 피험자들 중 공복 인슐린 수치의 상위 25%로 정의된 인슐린 저항성 및 하기 사항들 중의 임의의 두 가지 이상을 요구한다:
ㆍ 복부 비만: 허리 둘레 ≥ 94cm (남성), ≥ 80cm (여성)
ㆍ 이상지질혈증: TG ≥ 2.0mmol/L 및/또는 HDL-C < 1.0mmol/L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치료
ㆍ 고혈압: 혈압 ≥ 140/90mmHg 또는 항고혈압 약제
ㆍ 공복 혈장 글루코오스 ≥ 6.1mmol/L
미국 국립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 성인 치료 패널 III(The US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2001)은 다음의 사항들 중의 적어도 세 가지를 요구한다:
ㆍ 복부 비만: 허리 둘레 ≥ 102cm 또는 40인치 (남성), ≥ 88cm 또는 36인치(여성)
ㆍ 이상지질혈증: TG ≥ 1.7mmol/L (150mg/dl)
ㆍ 이상지질혈증: HDL-C < 40mg/dL (남성), < 50mg/dL (여성)
ㆍ 혈압 ≥ 130/85mmHg, 또는 고혈압의 치료
ㆍ 공복 혈장 글루코오스 ≥ 6.1mmol/L (110mg/dl)
특정 양태에서, 대사 증후군은 대사 증후군에 관한 국제 당뇨 연맹 전세계 컨센서스 정의(2006)에 따라 정의되는 바와 같다.
특정 양태에서, 대사 증후군은 세계 보건 기구 기준(1999)에 따라 정의된다.
특정 양태에서, 대사 증후군은 인슐린 저항성 연구를 위한 유럽 모임(1999)에 따라 정의된다.
특정 양태에서, 대사 증후군은 미국 국립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 성인 치료 패널 III(2001)에 따라 정의된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추가의 치료 방법 및 적용에 따라,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즉,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의 공급원, 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이 유효량으로 투여되어, 비만 및/또는 대사 질환(예를 들면, 대사 증후군)이 치료 또는 예방된다. 유효량은 비만 및/또는 대사 질환(예를 들면, 대사 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 즉, 치료 효과를 생성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이해될 것이다. 유효량은 위에 기재된 투여량, 투여형 또는 투여 요법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화합물의 공급원에 속한다.
고혈당증 또는 고혈당은 혈장에서 글루코오스가 과량으로 순환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글루코오스 수준이 11.1mmol/l(200mg/dl)보다 높을 때 발생하지만 15 내지 20mmol/l(~250 내지 300mg/dl)와 같은 더 높은 수치가 나타날 때까지 증상이 눈에 띄기 시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미국 당뇨병 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의 지침에 따르면, 혈중 글루코오스가 ~5.6 내지 ~7mmol/l (100 내지 126mg/dl) 사이의 일정한 범위인 피험자는 고혈당으로 간주되는 반면, 7mmol/l(126mg/dl)가 넘으면 일반적으로 당뇨병을 갖고 있다. 7mmol/l(125mg/dl)를 초과하는 만성 수준은 장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고지혈증은 혈액 내의 지질 및/또는 지질단백질의 일부 또는 전부이 수준이 비정상적으로 상승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이상지질혈증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고지혈증은 일반적으로 1차 및 2차 아형으로 분류된다. 1차 고지혈증은 일반적으로 유전적 원인(예를 들면 수용체 단백질의 돌연변이)에 기인하며 2 차 고지혈증은 당뇨병 또는 다른 의학적 상태와 같은 다른 근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지질 및 지질단백질 이상은 일반 대중에게 흔하며, 이는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에 대한 이의 영향으로 인해 심혈관 질환에 대한 수정가능한 위험 인자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추가의 치료 방법 및 적용에 따라,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즉,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의 공급원, 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이 유효량으로 투여되어, 고혈당증 및/또는 고지혈증이 치료 또는 예방된다. 유효량은 고혈당증 및/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즉, 치료 효과를 생성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이해될 것이다. 유효량은 위에 기재된 투여량, 투여형 또는 투여 요법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 화합물의 공급원에 속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의 공급원, 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을 임의로 본원에 기술된 기타 성분들 중의 하나 이상, 예를 들면 식이 섬유, 비타민(들), 미네랄,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활성제의 추가의 공급원과, 각각의 성분을 목적하는 양으로 갖는 조성물을 수득하기에 적합한 양으로 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의 공급원(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 및 임의로 본원에 기술된 추가의 성분들 중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은 L-아라비노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의 공급원(예를 들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 및 임의로 본원에 기술된 추가의 성분들 중의 임의의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방법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식품 산업에 알려져 있는 방법, 예를 들면 건강 식품 바(bar)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이 있다. 당해 공정은 형성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혼합물은 성형되고, 가압되고, 분무 건조되고 또는 특정 형상, 예를 들면 바(bar), 볼(ball), 펠릿(pellet) 또는 클러스터(cluster)(예를 들면 아침 시리얼에서 발견되는 타입의 클러스터)로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술된 타입의 다른 포유동물 또는 사람에 의한 경구 섭취에 적합한 크기로 형성된다.
사람 적용 및 치료에 유용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은 또한 높은 혈당 및/또는 지질 수준, 비만 및 체중 증가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특정 범위의 포유동물에서 유용하다. 이러한 포유류로는 예를 들면 동물원에 있는 비인간 영장류(예를 들면 유인원(ape), 원숭이(monkey) 및 여우원숭이(lemur)); 고양이 또는 개와 같은 반려 동물; 개, 말 및 조랑말과 같은 작업용 및 경주용 동물; 가축, 예를 들면 돼지, 양, 염소, 사슴, 소(oxen) 및 소(cattle); 및 설치류(예를 들면 토끼, 래트, 마우스, 햄스터, 게르빌 또는 기니피그)과 같은 실험용 동물이 포함된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피험자의 체중 관리, 예를 들면, 감량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치료가능한 장애를 경감시키거나 치료할 수는 없지만, 피험자가 건강한 체중(예를 들면, BMI 18.5 내지 24.9)을 유지하게 하거나, 또는 과체중 피험자(예를 들면, BMI가 25.0 내지 29.9인 피험자)가 체중을 바람직하게는 건강한 체중 감량(즉, BMI를 25로 감소)을 하게 하거나, 또는 피험자의 체중 증가를 줄이거나 최소화시키거나 경감시키거나 방지하게 할 수는 있다. 따라서, 특정 양태에서, 상기 체중 감량 방법은 미용적(즉, 비치료적)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적합한 일일 투여량은 목적하는 정도 또는 타입의 체중 관리를 얻는데 유효한 최저 투여량인 조성물의 양일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위에 기재된 투여량, 투여형 또는 투여 요법은 피험자의 체중을 유지하는 방법제 적합할 것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적절한 투여량 또는 투여형은 통상적으로 피험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이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 개시 당시의 피험자의 식이 습관 및 건강 상태의 중증도와 같은 인자에 좌우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고자 하는 피험자는 체중을 줄이고자 하는 과체중 피험자보다 상기 조성물을 더 적은 양으로 섭취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고칼로리 식이 요법을 받는 피험자는 상기 조성물을 더 많이 섭취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체중 관리 방법은 예를 들면 신체 활동의 증가 및/또는 건강한 또는 더 건강한 식이요법과 같은 기타 통상의 체중 감량 관리와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억제제 조성물
정제 형태의 조성물을 표 1에 열거된 화합물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2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은 타닌 함량이 약 33 내지 35% w/w이었다. 상기 조성물은 L-아라비노오스 대 GME의 비가 약 93:7이었다.
표 1에 열거된 정제 형태인 조성물의 샘플을 사용하여, 네 가지 타입의 효소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 α- 글루코시다아제 억제
당해 방법은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의 억제 방법을 기술한다. 당해 측정은 수성 매질 내에서 수행한다. 당해 결과는 기술된 실험 조건에서 1mg의 α-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50% 억제하는데 요구되는 제품의 mg으로 표현된다.
상기 샘플을 분쇄하여 상이한 농도로 용해시켰다. 억제에 대한 효소 반응은, α-글루코시다아제에 특이적인 발색 기질(chromogenic substrate): 4-니트로페닐 D-글루코피라노시다아제(glucopyranosidase)의 형질전환(transformation)이다. 상기 샘플이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경우 색 변화(황색)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400nm에서 측정 가능하였다. 당해 반응의 동력학은 분광광도계로 모니터링하였으며 이어서 효소의 최대 반응 속도를 측정하하고, 이어서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억제율(%) 대 샘플 농도를 나타낸 커브는, 1mg의 α-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의 50% 억제에 요구되는 제품의 양을 결정한다.
- α- 아밀라아제 억제
당해 방법은 α-아밀라아제 활성의 억제 방법을 기술한다. 당해 측정은 수성 매질 내에서 수행한다. 당해 결과는 기술된 실험 조건에서 1mg의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을 50% 억제하는데 요구되는 제품의 mg으로 표현된다.
상기 샘플을 상이한 농도로 용해시켰다. 억제에 대한 효소 반응은, α-아밀라아제에 특이적인 발색 기질: 2-클로로,4-니트로페닐 말토트리오사이드(maltotrioside)의 형질전환이다. 상기 샘플이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경우 색 변화(황색)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400nm에서 측정 가능하였다. 당해 반응의 동력학은 분광광도계로 모니터링하였으며 이어서 효소의 최대 반응 속도를 측정하하고, 이어서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억제율(%) 대 샘플 농도를 나타낸 커브는, 1mg의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의 50% 억제에 요구되는 제품의 양을 결정한다.
- 리파아제 억제 방법
리파아제 억제 검정은 제US 2008/0317821 A1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간단하게, 50㎕의 총 반응 용적은, 13mM Tris, 150mM NaCl, 1.36mM CaCl2 완충액(pH 8.0)/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다양한 농도의 시험 샘플, 0.396U의 리파아제 효소, 5㎕의 탈염수 및 0.1mM의 기재(4-메틸 엄벨리페릴올리에이트(umbelliferyloleate))를 함유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혼합하고 형광도의 변화를 FLUOstar Optima(BMG 랩테크(BMG Labtech), 독일)를 사용하여 360nm 여기 및 460nm 발광에서 25℃에서 20분 동안 측정하였다. 모든 반응은 6개 복재물(replicate)에서 수행하였다. 대조군 반응은 시험 샘플 없이 수행하였다.
- 트립신 억제 방법
트립신 억제 검정은 문헌[Cannell et al., 1988 ("Methods in Biotechnology - Natural Products Isolation", edited by Richard JP Cannell, Humana Press, Totowa, New Jersey)]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간단하게, 사전(pre)-항온처리 용적은 0.4M tris-HCl pH 7.5/양성 대조군/다양한 농도의 시험 용액 및 21.6 유닛의 효소를 함유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37℃에서 30분 동안 사전-항온처리하였다. 이어지는 사전-항온배양 기재(BAPNA)를 333.33μM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혼합하고 37℃에서 3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흡광도를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 plate reader)(VersaMax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VersaMax microplate reader), 몰레큘러 디바이시즈(Molecular devices), 미국)에서 410nm에서 측정하였다. 시험 샘플이 없는 대조 반응을 실행하였다.
실시예 2 - 분석 검정
표 1에 기재된 정제의 조성물을 근거로 하지만 L-아라비노오스 및 GME의 비가 상이한 추가의 일련의 조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하였다. 이들 조성물 및 시험 결과를 표 2에 제제 F2, F3, F4 및 F5로서 요약한다. L-아라비노오스(제제 A) 또는 GME(제제 G)만을 포함하는 비교용 정제를 또한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2에 요약한다.
제제 F1은 표 1에 기재된 정제의 조성물에 상응한다.
Figure pct00003

Claims (42)

  1. 펜토오스 및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폴리페놀 화합물이 식물 유래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식물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이 식물 유래 타닌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래 타닌이 식물 비티스 종(Vitis spp.)으로부터 유래되는,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래 타닌이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 내에 포함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토오스가 L-아라비노오스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아라비노오스가 식물 지아 메이스(Zea mays)로부터 유래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L-아라비노오스 및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이 약 25% w/w 내지 약 40% w/w의 타닌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L-아라비노오스 대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중량비가 약 95:5 내지 약 40:60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L-아라비노오스 대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의 중량비가 약 60:40 내지 약 40:60인,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약 20% w/w의 L-아라비노오스 및/또는 적어도 약 2% w/w의 그래이프 마르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및/또는 비-식물 기원의 식이 섬유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섬유가 아벨모셔스 종(Abelmoschus app)으로부터 유래되는,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식료품, 식품 보충제, 음료, 음료 보충제, 식이 보충제, 건강 보충제, 식사 대체품, 식품 첨가물, 동물용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인,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가 결합제, 희석제, 윤활제 및 코팅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50% w/w 이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용 제제 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용 제제가 캡슐제, 정제, 분말제, 시럽제, 용액제, 현탁제, 샤세제 또는 쉐이크인, 약제학적 조성물.
  21.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효소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
  22.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효소를 억제하기 위한 시험관내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상기 효소를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23. α-글루코시다아제, α-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효소를 억제하기 위한 생체내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상기 효소를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3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피험자의 혈중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수준을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는 방법.
  25.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피험자의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흡수를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는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오스 흡수 및/또는 혈중 글루코오스 수준의 관리 또는 감소가 α-글루코시다아제 및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달성되는, 방법.
  27.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흡수 및/또는 수준의 관리 또는 감소가 리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달성되는, 방법.
  28.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피험자에서의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의 소화 및 상기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관리, 예를 들면, 감소 방법으로서, 상기 식이 단백질의 소화 및 흡수의 관리 또는 감소가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달성되고/되거나, 식이 탄수화물의 소화 및 흡수의 관리 또는 감소가 α-글루코시다아제 및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달성되고/되거나, 식이 지방의 소화 및 흡수의 관리 또는 감소가 리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달성되는, 방법.
  29. 제23항 내지 제2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식사 전 또는 식사 후 약 15분 내지 약 60분에 피험자에게 투여되는, 방법.
  30. 피험자의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흡수의 관리, 예를 들면,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
  31. 피험자의 혈중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수준의 관리, 예를 들면,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
  32. 피험자에서의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의 소화 및 상기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관리, 예를 들면,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
  33.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피험자의 체중을 감량하기 위한 비치료적 방법.
  34. 피험자의 체중의 치료적 감량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
  35.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피험자에서의 식이 지방, 탄수화물 및/또는 단백질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감소 방법.
  36. 피험자에서의 식이 지방, 탄수화물 및/또는 단백질로부터의 칼로리 흡수의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
  37.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피험자의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38.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피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피험자의 고혈당증 및/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39. 피험자의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
  40. 피험자의 고혈당증 및/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
  41. 피험자의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흡수를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거나, 또는 피험자의 혈중 글루코오스 및/또는 지질 수준을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거나, 또는 피험자의 비만 및/또는 대사 증후군을 치료 또는 예방하거나, 또는 피험자의 고혈당증 및/또는 고지혈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
  42. 피험자에서의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의 소화 및 상기 식이 단백질, 탄수화물 및/또는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 흡수를 관리, 예를 들면, 감소시키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
KR1020177017589A 2014-11-27 2015-11-26 펜토오스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89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4703552 2014-11-27
MYPI2014703552 2014-11-27
PCT/MY2015/000098 WO2016085321A2 (en) 2014-11-27 2015-11-26 Inhibitory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902A true KR20170089902A (ko) 2017-08-04

Family

ID=5513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589A KR20170089902A (ko) 2014-11-27 2015-11-26 펜토오스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80200274A1 (ko)
EP (1) EP3223841A2 (ko)
JP (1) JP2017538693A (ko)
KR (1) KR20170089902A (ko)
CN (1) CN106999595A (ko)
AU (1) AU2015354844B2 (ko)
BR (1) BR112017011122A2 (ko)
CA (1) CA2967260A1 (ko)
CO (1) CO2017005383A2 (ko)
EA (1) EA038456B1 (ko)
GE (1) GEP20217236B (ko)
MX (1) MX2017006827A (ko)
UA (1) UA124965C2 (ko)
WO (1) WO201608532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7833A1 (en) * 2017-05-25 2018-11-29 Muhammed Majeed Enzyme composition for management of metabolic health
JP2019094313A (ja) * 2017-11-28 2019-06-20 ビオフェルミン製薬株式会社 腹部膨満感改善用組成物及び腹部膨満感改善作用を有する物質又は組成物をスクリーニングする方法
BE1025428B1 (nl) * 2018-01-23 2019-02-14 Omega Pharma Innovation & Development Nv Voedingssupplement en gebruiken daarvan
ES2724728A1 (es) * 2018-03-08 2019-09-13 Bodega Matarromera S L Composición para la regulación del metabolismo de la glucosa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2057A1 (en) * 1992-11-25 1994-06-09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Diet sweetener
FR2773150B1 (fr) * 1997-12-30 2000-03-31 Ferco Procede d'obtention d'un tanin de raisin, tanin obtenu et utilisations
FR2790645B1 (fr) * 1999-03-12 2001-06-08 Arkopharma Laboratoires Complement alimentaire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a base d' un extrait de raisin riche en polyphenols
FR2836337B1 (fr) * 2002-02-28 2004-11-19 Bio Serae Laboratoires Utilisation des polymeres procyanidoliques a titre d'agents inhibuteurs des alpha-amylases et application dans des compositions a visees dietetiques
US7037535B2 (en) * 2002-11-19 2006-05-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neutralizing house dust mite feces
US20040115285A1 (en) * 2002-12-13 2004-06-17 Peter Rohdewald Method of normalizing glucose levels in blood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by oral administration of proanthocyanidins containing plant extracts
SG10201403828PA (en) 2004-07-05 2014-10-30 Suntory Holdings Ltd Lipase inhibitors
JP2008094754A (ja) * 2006-10-11 2008-04-24 En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糖尿病または血糖コントロール用栄養組成物
WO2008093670A1 (ja) * 2007-02-01 2008-08-07 Tk Bio-Research Laboratory Co., Ltd. ブドウ果皮・種子乳酸菌発酵物、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医薬及び食品
JP2010059105A (ja) * 2008-09-04 2010-03-18 Unitika Ltd 炎症性腸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CN101822754B (zh) * 2010-05-28 2012-05-23 江苏大学 葡萄籽提取物的双频超声辅助提取方法及作为脂肪酶抑制剂的应用
CN102613456B (zh) * 2012-03-05 2014-07-23 陈功 具有脂肪酶活性抑制作用低聚木糖组合物及其应用
CN102630753A (zh) * 2012-03-05 2012-08-15 苏州先阔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降糖降脂作用的豆奶
CN102614203A (zh) * 2012-03-05 2012-08-01 苏州先阔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α-葡萄糖苷酶抑制作用的低聚木糖组合物及其应用
CN102652525A (zh) * 2012-05-07 2012-09-05 山东协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l-阿拉伯糖功能硬糖及其制作方法
CN103610053B (zh) * 2013-11-27 2015-07-15 河西学院 一种高纯度葡萄籽提取物片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24965C2 (uk) 2021-12-22
US20180200274A1 (en) 2018-07-19
EP3223841A2 (en) 2017-10-04
WO2016085321A3 (en) 2016-08-04
WO2016085321A2 (en) 2016-06-02
JP2017538693A (ja) 2017-12-28
CA2967260A1 (en) 2016-06-02
GEP20217236B (en) 2021-03-25
CO2017005383A2 (es) 2017-09-20
BR112017011122A2 (pt) 2018-01-23
AU2015354844A1 (en) 2017-05-04
EA038456B1 (ru) 2021-08-31
EA201791173A1 (ru) 2018-01-31
AU2015354844B2 (en) 2021-03-04
MX2017006827A (es) 2018-01-30
CN106999595A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mbati et al. Millets-review on nutritional profiles and health benefits
Faris et al. Role of lentils (Lens culinaris L.) in human health and nutrition: a review
Ayua et al. Polyphenolic inhibition of enterocytic starch digestion enzymes and glucose transporters for managing type 2 diabetes may be reduced in food systems
RU2356247C2 (ru) Комбинации и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жирные кислоты и аминокислоты,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замедления прогрессирова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диабета и связанных с диабетом заболеваний и состояний,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веса тела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набор
CN101606704B (zh) 一种具有多种功能作用的膳食纤维食品
EP309676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okra for use in reducing dietary fat absorption
JP2007330124A (ja) 肥満及び生活習慣病の防止・改善をする為の健康食品用組成物
AU201535484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 pentose and polyphenolic compound
Budhwar et al. Antidiabetic properties of rice and wheat bran—A review
KR20080110730A (ko) 대사증후군 치료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CN111034999A (zh) 一种具有抗糖减重功能的组合物
Preuss et al. Potential of diet and dietary supplementation to ameliorate the chronic clinical perturbations of the metabolic syndrome
Chatuevedi et al. Diversified therapeutic potential of Avena sativa: An exhaustive review
JP5307019B2 (ja) 骨吸収抑制剤、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飲料、食品及び医薬品
KR101540004B1 (ko) 혈당, 혈압, 혈류 및 콜레스테롤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Wang et al. Glucose metabolic effects of oat noodles with different processing in type 2 diabetic mice
CN101015352A (zh) 一种用于减肥和降血脂的海洋功能食品
JP2006020606A (ja) 肥満防止、改善のための健康食品用組成物
US7416750B1 (en) Composition to provide maintenance and nutritional support in glycemic control deficits
Liu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developing low glycemic index foods with white kidney bean α-amylase inhibitor
KR20150044014A (ko) 소화흡수를 억제하는 항비만용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7813A (ko) 식욕억제, 체지방 감소 및 배변 활성화등 3가지 기능을 갖는 항비만 기능성 조성물
EP3235510A1 (en)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glucose metabolism
KR20170087794A (ko) 항비만 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ddique et al. Dietary fibre and related antioxidant components from cereal sources and their role in health: A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