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317A - 주차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317A
KR20170089317A KR1020160009590A KR20160009590A KR20170089317A KR 20170089317 A KR20170089317 A KR 20170089317A KR 1020160009590 A KR1020160009590 A KR 1020160009590A KR 20160009590 A KR20160009590 A KR 20160009590A KR 20170089317 A KR20170089317 A KR 20170089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data
vehicle
parking lot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780B1 (ko
Inventor
정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카
Priority to KR102016000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7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side the vehicles
    • G06Q50/30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주차장 진입시 주차구역을 안내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주차장 전체에 대하여 차량을 주차하는 다수의 주차구역 각각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유무를 감지한 주차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센서와, 상기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 입차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카메라와, 상기 주차상태정보를 실시간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 각각에 대하여 주차장 입구부터 길안내하는 길안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장 지도정보를 갖는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차량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출입시간, 주차요금정산과 같은 주차관제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와, 상기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길안내데이터와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제공단말기, 및 상기 주차장 진입시 상기 데이터제공단말기로부터 길안내데이터와 주차장지도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제공받아서 주차장 지도상에 주차할 주차구역까지 길안내하는 것으로 차량에 구비된 길안내단말기가 구비된 차량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차 관제 시스템 {Parking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차장 입차시 주차구역을 안내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 건물은 주차장에 많은 차량이 주차되어 있어서 주차구역을 찾기 위해 주차장 내부를 돌아다니면서 시간을 낭비하고 특히, 처음 방문하는 건물의 주차장은 운전자가 주차장 구조를 이해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주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주차권에 제공한다 하더라도 제공된 주차구역을 찾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주차관련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3102호인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주차를 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주차를 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이 표시되도록 하고, 주차장 입구부터 주차공간까지 주행 경로를 생성하여 차량 운전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주제어기와, 상기 주차장 입구부터 주차공간까지의 주행경로를 표시하고 주차를 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하고 주차 및 출차에 필요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차량 운전자 단말과, 주차공간 및 차량움직임을 확인하여 상기 주 제어기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등록된 사용자의 차량을 인식하기 위해 RFID 인식기를 포함하고, 상기 RFID 인식기를 통하여 등록된 차량 정보를 인식하여 주 제어기가 해당 차량 운전자가 선호하는 주차공간으로 바로 유도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차량 운전자 단말이 각 주차장의 주차구역, 입출구, 차량통행로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주차하기 위해서 각 주차장 마다 주 제어기와 차량 운전자 단말 사이에 별도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등록된 사용자의 차량을 인식하기 위해서 RFID가 필요함으로 설비시 비용이 많이 소모되면 설계가 복잡하여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3102호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이 목적지의 주차장에서 길안내단말기에게 주차를 위해 출입제한장치가 출입을 제한하는 정차시간에 길안내데이터와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제공받아서 주차구역까지 길안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장 전체에 대하여 차량을 주차하는 다수의 주차구역 각각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유무를 감지한 주차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센서와, 상기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 입차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카메라와, 상기 주차상태정보를 실시간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 각각에 대하여 주차장 입구부터 길안내하는 길안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장 지도정보를 갖는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차량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출입시간, 주차요금정산과 같은 주차관제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와, 상기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길안내데이터와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제공단말기, 및 상기 주차장 진입시 상기 데이터제공단말기로부터 길안내데이터와 주차장지도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제공받아서 주차장 지도상에 주차할 주차구역까지 길안내하는 것으로 길안내단말기가 구비된 차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떤 주차장이든 차량이 주차를 위해 잠시 정차하는 과정에서 주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주차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주차구역 확보에 대한 심리적 안정을 갖는 효과가 있고, 목적지의 주차장 입차시 주차구역까지 길안내 함에 따라 주차가 완료될 때까지 안전하게 주차하면서 주차하기 위한 소요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으며 주차장 입차시 출입제한장치에 의해서 잠시 정차하는 동안에 주차장지도데이터와 길안내데이터를 제공받아 바로 실행되기 때문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쉽게 주차 안내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 입구에 대한 주차구역의 길안내데이터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길안내데이터에 의한 주차구역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주차 관제 시스템은 다수의 센서(100)와 번호인식카메라와(200)와 서버(300)와 데이터제공단말기(400) 및 길안내단말기(50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다수의 센서(100)는 주차장 전체에 대하여 차량이 주차하는 다수의 주차구역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유무를 감지한 주차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즉, 주차장 주차구역 각각은 주차장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의해서 차량이 임의의 주차구역을 점유한 상태이거나 차량이 임의의 주차구역을 미점유한 상태가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센서(100)는 실시간 변화하는 전체 주차구역에 대하여 차량의 점유, 미점유 즉, 차량이 주차구역에 주차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 주차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번호인식카메라(200)는 상기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 입차시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즉, 상기 번호인식카메라(200)는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출입시간, 주차요금정산을 비롯하여 주차장 내에서 발생한 모든 것을 주차관제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주차상태정보를 실시간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 각각에 대하여 주차장 입구부터 길안내하는 길안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장 지도정보를 갖는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차량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출입시간, 주차요금정산과 같은 주차관제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서버(300)는 주차장의 특성상 주차구역이 주차가 가능하거나 그렇지 못하는 경우로 구분되기 때문에 주차장 내에서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함으로 상기 다수의 센서(100)로부터 주차상태정보를 실시간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300)는 실시간 수신하는 주차상태정보를 통해서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 각각에 대하여 길안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길안내데이터가 표현되기 위한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서버(300)는 번호인식카메라(200)로부터 차량번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출입시간, 주차요금정산을 비롯하여 주차장 내부에서 발생되는 모든 것을 주차관제데이터로 생성하여 추후 활용할 목적으로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버(300)는 입구가 둘 이상인 경우는 각각의 주차구역에 대하여 각 입구별로 길 안내하기 위한 길안내데이터가 구축된다.
예컨대, 상기 서버(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 입구가 입구1, 입구2로 2개인 경우에 A(주차구역)에 대해서 입구1은 직진/좌회전/첫번째통로에서 좌회전/첫번째 위쪽 주차구역이라는 길안내데이터가 구축되고 똑같은 A(주차구역)에 대해서 입구2는 직진/첫번째통로에서 우회전/첫번째 위쪽 주차구역이라는 길안내데이터가 구축된다.
이와 같이, 주차구역은 차량이 진입하는 입구에 따라 길 안내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입구에 맞게 각각의 주차구역에 대한 길안내데이터가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구가 둘 이상인 곳에 데이터제공단말기(400)가 각각 설치된 경우에, 상기 서버(300)는 다수의 주차구역 각각에 우선순위가 정해져서 길안내데이터를 생성한 후 먼저 진입한 차량이 있는 데이터제공단말기(400)로 우선순위별로 길안내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주차장은 하나의 입구만 있는 것이 아니고 입구1, 입구2, 입구3과 같이 3개의 입구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상기 입구1, 2, 3 각각에 데이터제공단말기(400)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1, 2, 3에서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 다발적으로 차량이 진입한다면 먼저 진입한 차량부터 주차구역에 주차하기 위해서 우선순위가 정해진 주차구역에 대한 길안내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제공단말기(400)는 상기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300)로부터 길안내데이터와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상기 데이터제공단말기(400)는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할 때 차량 진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제한장치에 의해서 주차장 진입시 잠시 정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데이터제공단말기(400)는 정차하는 시간동안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주차장지도데이터와 길안내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길안내단말기(500)는 상기 주차장 진입시 상기 데이터제공단말기(400)로부터 길안내데이터와 주차장지도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제공받아서 주차장 지도상에 주차할 주차구역까지 길안내하는 것으로 차량에 구비된다.
즉, 상기 길안내단말기(500)는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제공받아서 실행됨에 따라 주차장 지도정보가 화면에 표시되고 이후에 상기 길안내데이터를 제공받아서 실행됨에 따라 상기 주차장 지도정보상에 주차할 주차구역까지 안내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주차장 진입시 주차장의 지도정보가 표시되면서 주차구역까지 길안내가 길안내단말기(500)를 통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처음 방문하는 곳이라도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고 주차에 필요한 시간이 절약되는 작용을 한다.
특히, 상기 길안내단말기(500)는 네비게이션과 같이 특정 지점까지 길안내하는 단말기로서 네비게이션에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로 구축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별도로 구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길안내단말기(500)는 진입시 제공되는 길안내데이터에 의해서 주차가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길안내단말기(500)를 통하여 주차구역재요청데이터를 상기 서버(300)에 전송함에 따라 상기 서버(300)는 신규길안내데이터를 상기 길안내단말기(5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안내단말기(500)는 진입시 A(주차구역)에 대한 길안내데이터를 제공받았지만 A(주차구역) 근처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등 특별한 상황에 의하여 주차가 불가능하다면 상기 길안내단말기(500)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주차구역재요청데이터를 상기 서버(300)에 전송하면 상기 서버(300)는 구축된 빈 주차구역데이터를 통해서 B(주차구역) 같은 빈 주차구역에 대한 신규길안내데이터를 상기 길안내단말기(5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데이터제공단말기(400)를 통해서 길안내데이터가 길안내데이터와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제공받아 수행되는 과정에서 길안내데이터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길안내단말기(500)는 데이터제공단말기(400)로부터 길안내데이터를 제공받기 이전 또는 제공받는 도중에 길안내단말기(5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장애인, 여성, 특수차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서버(300)로부터 장애인 주차구역, 여성 주차구역, 특수차량 주차구역에 해당하는 길안내데이터를 제공받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백화점은 남성, 여성 모두 주차장을 이용함은 물론이고 장애인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을 위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여성을 위한 여성전용 주차구역이 마련되고 있고, 특히, 백화점에 공급되는 각종 상품을 적재한 특수 차량도 주차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상기 길안내단말기(500)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장애인, 여성, 특수차량 운전자에게 맞게 주차구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다수의 센서 200 : 번호인식카메라
300 : 서버 400 : 데이터제공단말기
500 : 길안내단말기

Claims (5)

  1. 주차장 전체에 대하여 차량을 주차하는 다수의 주차구역 각각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유무를 감지한 주차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센서와;
    상기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 입차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카메라와;
    상기 주차상태정보를 실시간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 각각에 대하여 주차장 입구부터 길안내하는 길안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장 지도정보를 갖는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차량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번호를 기준으로 출입시간, 주차요금정산과 같은 주차관제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와;
    상기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길안내데이터와 주차장지도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제공단말기; 및
    상기 주차장 진입시 상기 데이터제공단말기로부터 길안내데이터와 주차장지도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제공받아서 주차장 지도상에 주차할 주차구역까지 길안내하는 것으로 차량에 구비된 길안내단말기가 구비된 차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입구가 둘 이상인 경우는 각각의 주차구역에 대하여 각 입구별로 길안내하기 위한 길안내데이터가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입구가 둘 이상인 곳에 데이터제공단말기가 설치된 경우에, 상기 서버는 다수의 주차구역 각각에 우선순위가 정해져서 길안내데이터를 생성한 후 먼저 진입한 차량이 있는 데이터제공단말기로 우선순위별로 길안내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안내단말기는 진입시 제공되는 길안내데이터에 의해서 주차가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길안내단말기를 통하여 주차구역재요청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함에 따라 상기 서버는 신규길안내데이터를 상기 길안내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안내단말기는 데이터제공단말기로부터 길안내데이터를 제공받기 이전 또는 제공받는 도중에 길안내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장애인, 여성, 특수차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서버로부터 장애인 주차구역, 여성 주차구역, 특수차량 주차구역에 해당하는 길안내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KR1020160009590A 2016-01-26 2016-01-26 주차 관제 시스템 KR101864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90A KR101864780B1 (ko) 2016-01-26 2016-01-26 주차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90A KR101864780B1 (ko) 2016-01-26 2016-01-26 주차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317A true KR20170089317A (ko) 2017-08-03
KR101864780B1 KR101864780B1 (ko) 2018-06-05

Family

ID=5965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590A KR101864780B1 (ko) 2016-01-26 2016-01-26 주차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5575A (zh) * 2019-03-22 2020-05-12 谢长淮 一种基于电子地图的无人值守停车收费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31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제온시스템 진출입차량 보안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KR20100070079A (ko) * 2008-12-17 2010-06-25 (주) 엘지텔레콤 실시간으로 주차 가능 구역 정보를 주차 고객에게 제공하는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3753A (ko) * 2010-06-07 2011-12-1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유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예약안내 시스템
KR101343102B1 (ko) 2012-07-13 2013-12-20 한국과학기술원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31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제온시스템 진출입차량 보안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KR20100070079A (ko) * 2008-12-17 2010-06-25 (주) 엘지텔레콤 실시간으로 주차 가능 구역 정보를 주차 고객에게 제공하는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3753A (ko) * 2010-06-07 2011-12-1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유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예약안내 시스템
KR101343102B1 (ko) 2012-07-13 2013-12-20 한국과학기술원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5575A (zh) * 2019-03-22 2020-05-12 谢长淮 一种基于电子地图的无人值守停车收费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780B1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682281B1 (ko) 주차위치 자동 안내시스템
KR101343102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5588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digital signage for directing parking traffic
US20200117926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arking of vehicle
CN105745682B (zh) 包括驾驶员识别设备和驾驶员识别信号发送器的机动车
KR101417522B1 (ko) 고속도로 자율주행 시스템 및 방법
US114558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5069429A (ja) 情報案内システム、表示装置、サーバ装置、情報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86015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주차블록 안내시스템 및 이를 위한 주차관리서버
CN113167592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KR20210156394A (ko) 주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36776B1 (ko) 차량의 톨-게이트 구간 안내 장치 및 방법
US11500381B2 (en) Stopping position control device, stopping posi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topping position control
KR20180100842A (ko) 주차 안내 시스템
CN113853638B (zh) 车辆调度服务上车地点决定方法以及车辆调度服务上车地点决定装置
CN111862678A (zh) 无障碍停车位的引导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105864B1 (ko) 비콘을 이용한 유휴 주차장 스마트 예약 및 이용 시스템
KR101701232B1 (ko)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4780B1 (ko) 주차 관제 시스템
JP6222416B1 (ja) 駐車場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情報提供方法
CN113283687A (zh) 服务器、车辆运行系统、车辆运行方法以及非易失性计算机可读取介质
KR102217424B1 (ko) 자율주행 대용량 간선 급행버스의 승객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류장 지원시스템
US20210065549A1 (en) Parking/stopping position guidance system and database generation device
KR102632050B1 (ko) 주차정보 및 편의성 위한 스마트시티형 스마트 카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