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213A - 납골함 - Google Patents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213A
KR20170088213A KR1020160008297A KR20160008297A KR20170088213A KR 20170088213 A KR20170088213 A KR 20170088213A KR 1020160008297 A KR1020160008297 A KR 1020160008297A KR 20160008297 A KR20160008297 A KR 20160008297A KR 20170088213 A KR20170088213 A KR 20170088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pening
storage part
bon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504B1 (ko
Inventor
권남호
Original Assignee
권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남호 filed Critical 권남호
Priority to KR1020160008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5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遺骸)를 모시기 위해 사용되는 납골함을 목재 재질로 제작하여 결로(結露)현상 등의 발생으로 인한 유골분(遺骨粉)의 부패, 변질 및 훼손을 방지하여 장기 보존을 가능케하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골분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 일부분이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유골분보관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전후면 모두에는 상측이 개구된 판넬삽입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판넬삽입부(115)의 전면에는 개방부(190)를 형성시켜 된 목재 재질의 함체(100); 상기 판넬삽입부(115)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인입출되고, 전면 또는 후면에 식별부재(210)가 형성되는 판넬(200); 상기 함체(100)의 상부를 커버하여 상기 판넬(200)이 개구된 상측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부덮개(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납골함{Charnel box}
본 발명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遺骸)를 모시기 위해 사용되는 납골함을 목재 재질로 제작하여 결로(結露)현상 등의 발생으로 인한 유골분(遺骨粉)의 부패, 변질 및 훼손을 방지하여 장기 보존을 가능케하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와 같은 유교문화권에서는 조상의 시신을 훼손할 수 없다는 효(孝) 사상과 풍수지리설 등으로 시신(屍身)의 화장(火葬)보다는 매장(埋葬)을 선호하고 있으며, 과시적 성향에 근간하여 망자(亡者)의 묘를 화려하고 보다 넓게 꾸미려는 경향이 있어 한정된 국토의 면적에 묘지의 면적이 날로 증가함으로 묘지의 절대적인 부족 및 그에 따른 국토 이용면적의 감소가 문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와 같이 인구밀도가 높고 국토면적이 좁은 국가에서는 묘지 부족현상이 심화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우리나라의 장례문화가 대부분이 매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었지만, 근래에는 정부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적극적인 화장을 유도하고 있어서 납골묘 및 납골묘에 안치(安置)되는 납골함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납골함은 자기(紫器) 또는 석재 등으로 제조되며, 외관이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것이 선호되고 있으나, 종래의 납골함 내부에는 외부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결로(結露)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유골(遺骨)에 습기가 함습(含濕)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로 인하여 유골분(遺骨粉)에 곰팡이나 세균번식 및 벌레발생 등으로 유골이 손상되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써,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6281호에 '납골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고안은 납골함을 이루는 보관용기를 이중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통기공(通氣孔)을 형성하는 구조이지만, 이 역시 외부의 온도 변화와 유입되는 수분 등으로 인하여 함체 내부의 내벽면에 결로현상은 여전히 발생하였고, 곰팡이 및 세균과 같은 유해 미생물들이 번식하여 부패/손상 등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없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6281호(2005.05.3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045호(2009.08.07.)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2396호(2008.10.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납골함을 항균, 방충, 방부, 제습, 해독 등의 작용이 뛰어난 목재 재질로 제작하여, 내부에 결로(結露)현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골분(遺骨粉)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장기 보존을 가능케하는 납골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납골함의 외부면을 고인(故人)의 사진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납골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유골분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 일부분이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유골분보관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전후면 모두에는 상측이 개구된 판넬삽입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판넬삽입부(115)의 전면에는 개방부(190)를 형성시켜 된 목재 재질의 함체(100); 상기 판넬삽입부(115)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인입출되고, 전면 또는 후면에 식별부재(210)가 형성되는 판넬(200); 상기 함체(100)의 상부를 커버하여 상기 판넬(200)이 개구된 상측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부덮개(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100)의 재질은 낙엽송, 잣나무, 소나무, 닥나무, 오동나무, 향나무, 편백나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내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내주면에는 수분흡수재(140)가 부착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 일부분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유골분수용홀(152)과, 상기 유골분수용홀(152)에 나선 결합되는 개폐구(154)로 구성되거나,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 일부분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골분투입홀(160)과, 그 유골분투입홀(160)의 상측에 마련되어 유골분투입홀을 개폐하는 개폐판(150)과, 상기 개폐판(150)을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식별부재(210)가 상기 판넬(200)의 후면에 형성된 경우, 상기 판넬(200)은 상기 식별부재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 일부분에는 함몰부(125)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상부덮개(300)의 하면에는 상기 함몰부(125)에 끼움 결합되도록 그 함몰부(125)와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부(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납골함에 따르면, 항균, 방충, 방부, 제습, 해독 등의 작용이 뛰어난 목재로 제작되므로, 내부에 결로(結露)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아 그 만큼 유골분(遺骨粉)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납골함의 외부면을 고인(故人)의 사진 등의 수납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인의 다양한 생전 사진 등을 통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어서 가족과 친지 및 지인들에게 위안을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개폐판이 분리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의 분리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은 유골분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 일부분이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유골분보관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전후면 모두에는 상측이 개구된 판넬삽입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판넬삽입부(115)의 전면에는 개방부(190)를 형성시켜 된 목재 재질의 함체(100)와, 상기 판넬삽입부(115)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인입출되고, 전면 또는 후면에 식별부재(210)가 형성되는 판넬(200)과, 상기 함체(100)의 상부를 커버하여 상기 판넬(200)이 개구된 상측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부덮개(300);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0)는 수직방향으로 4개의 목재판(120)을 사각 형태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부에는 유골분을 넣어서 수용시킬 수 있는 인입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 목재판(120)으로 이루어져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함체(100)는 전면부를 기준으로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함체(100)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사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받침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10)는 그 상부에 배치되는 함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함체(100)가 넘어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체(100)의 내부에는 유골분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을 갖는 유골분보관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유골분보관부(130)는 유골분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그 내부에 습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내주면에는 수분흡수재(14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수분흡수재(140)는 유골분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내부 습기 등을 흡수 제거함으로써 유골분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분흡수재(140)는 한지, 창호지 등 함습(含濕) 작용이 탁월한 흡수재를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며, 습기 발생 등의 방지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내주면에 옻칠을 하거나 또는 옻칠 후에 수분흡수재(140)를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전후면 모두에는 상측이 개구된 각각의 판넬삽입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각 판넬삽입부(115)의 전면에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방부(190)가 마련된다.
추가로, 상기 판넬삽입부(115)는 유골분보관부(13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좌우측면 모두에 일측이 개구된 각각의 판넬삽입부(115)를 형성하여, 판넬(200)을 측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판넬삽입부(115)가 유골분보관부(13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형성될 경우에는, 그 면에는 개방부(190)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 면은 개방된 공간이 없도록 폐쇄시킬 수 있으며, 전후면 모두에 형성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190)가 양면에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개방부(19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골분보관부(130)의 전면부와 후면부가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의 상부 양측면에 형성된 공간으로 판넬을 끼워서 상하 방향을 따라 판넬(200)을 인입출시킨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내부에 수용된 유골분이 미세먼지 또는 각종세균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목재판(120)이 고정 부착되고,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전면과 후면에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판넬(200)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으로 판넬(200)을 인입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판넬(20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사진이나 가족관계 등이 기재된 식별부재(210)를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와 판넬(200) 사이에 개재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부재(210)가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와 판넬(200) 사이에 개재될 경우에는, 외측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판넬(200)이 투명하게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와 판넬(200) 사이에 개재되는 식별부재(210)는 상기 판넬삽입부(115)에 인입과 인출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210)를 변경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판넬(200)이 투명하게 형성될 경우에는, 인입과 인출 시 파손의 염려가 적은 투명 아크릴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투명유리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식별부재(210)의 일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처리된 문자 또는 그림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문양을 새겨서 상기 판넬(2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하거나, 상기 판넬(200)을 제외하고 상기 식별부재(210)만을 판넬삽입부(115)에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별부재(210)에 가훈, 명언 또는 효(孝) 사상을 고취(鼓吹)시키는 어구(語句) 등을 형성시키면 판넬(200)의 외관이 미려하게 될 뿐만 아니라, 후손들의 교육적 효과에 상당히 도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삽입부(115) 중앙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목재판(120) 일측에 이르기까지 목재 프레임(도면부호 미표기)을 추가 설치하여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개방되어 있는 공간을 구획(區劃)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판넬삽입부(115)의 개방된 단일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사진 또는 문구 등이 기재된 식별부재(21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넬(2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와 판넬(200)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부재(210)가 복수 개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판넬(200)도 그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인의 유골분을 수용할 수 있는 납골함을 기본으로 하되, 추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골분보관부(130)의 내부를 양분(兩分)하여 단일의 함체로 생전에 부부관계였던 2인의 유골분을 동시에 모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양분된 유골분보관부(130)는 각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유골분수용홀(152)이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공간을 외부와 긴밀하게 차단하도록 개폐구(154)가 상기 유골분수용홀(152)과 나선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300)는 함체(100)의 상부를 커버하여 상기 판넬(200) 및 식별부재(210)가 개구된 상측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상부덮개(300)는 함체(100)의 면적보다는 크게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골분보관부(130) 상부면 양측에는 함몰부(12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함몰부(125)는 상기 상부덮개(300)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320)와 끼움 결합되어 차폐(遮蔽)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함체(100) 내부에 수용된 판넬(200)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에 끼움 결합된 상부덮개(300)의 유격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300)의 상부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형물(3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형물은(310)은 산의 형상, 바위의 형상 및 고인의 조각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보는 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은 도 5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 일부분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유골분수용홀(152)과, 상기 유골분수용홀(152)에 나선 결합되는 개폐구(15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골분수용홀(152)은 유골분보관부(13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유골분수용홀(152)을 매개로 유골분을 넣어서 상기 유골분보관부(130)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골분수용홀(152)은 개폐구(154)와 긴밀하게 나선 결합되어, 유골분이 수용되어진 그 내부를 외부와 기밀 차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 일부분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골분투입홀(160)과, 그 유골분투입홀(160)의 상측에 마련되어 유골분투입홀을 개폐하는 개폐판(150)과, 상기 개폐판(150)을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17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개폐판(150)은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부와 분리되게 형성되고, 분리된 상기 개폐판(150)의 하부면 가장자리 모서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요철부(151)가 형성되어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요홈부(180)에 상응되도록 걸림 결합되고, 더욱 긴밀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개폐판(150)의 양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으로 볼트를 매개로 나선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멍은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부면에도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개폐판(150)에서부터 그 하부에 배치되는 유골분보관부(130)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판(150)은 함체(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골분투입홀(16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골분투입홀(160)은 유골분보관부(130)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어서 전술한 유골분수용홀(152)이 수행하는 기능과 동일하게 유골분을 넣어서 상기 유골분보관부(130)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70)는 상부면 중앙에 일자형으로 함몰된 요입부(15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170)는 일반 볼트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볼트의 크기를 증대시켜 요입부(154a)를 형성시키고, 상기 함몰된 요입부(154a)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간단한 도구(예를 들면 동전 등)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재(170)의 결합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납골함의 함체(100)는 목재를 성형 가공하여 형성된다. 또한, 함체(1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품, 예를 들면 상부덮개(300) 등도 목재를 성형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함체(100)는 낙엽송, 잣나무, 소나무, 닥나무, 오동나무, 향나무, 편백나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향이 좋고 항균, 방충, 방부, 제습, 해독 등의 작용이 뛰어난 향나무를 사용하는게 좋다.
여기서, 향나무에 대하여 언급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향나무는 열매가 구과(毬果)로 원형이며 흑자색으로 지름이 약 6~8cm이다. 성숙하면 비늘조각은 육질(肉質)로 되어 핵과 비슷하게 되고 약 2~4개의 종자가 들어있으며 다음 해 9~10월에 익는다.
한편, 향나무는 햇빛을 아주 좋아하는 극양수(일반적으로 침엽수나 소나무 종류)이고, 건조한 장소나 습한 장소 또는 추위에서도 적응력이 매우 강한 나무이다. 특히, 목재에서 나는 향은 살균 및 살충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향나무를 본 발명의 납골함의 주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항균, 방충, 방부, 제습, 해독 등의 작용이 탁월하여 내부에 결로(結露)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만큼 유골분(遺骨粉)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반영구적인 보존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인의 다양한 생전 사진 등을 통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으므로 가족과 친지 및 지인들에게 위안을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다른 한편, 거시적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의 효과를 고찰해보면, 본 발명의 납골함은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자기(紫器) 또는 석재로 이루어진 납골함은 폐기 시 폐기물 처리자에게 혐오적인 심리를 갖게 하며, 매립 시 오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썩지 않아 환경오염 폐기물이 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납골함은 목재로 이루어져 매립 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썩어 없어지는 것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함체 154a : 요입부
110 : 받침대 160 : 유골분투입홀
115 : 판넬삽입부 170 : 결합부재
120 : 목재판 180 : 요홈부
125 : 함몰부 190 : 개방부
130 : 유골분보관부 200 : 판넬
140 : 수분흡수재 210 : 식별부재
150 : 개폐판 300 : 상부덮개
151 : 요철부 310 : 조형물
152 : 유골분수용홀 320 : 돌출부
154 : 개폐구

Claims (7)

  1. 유골분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 일부분이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유골분보관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전후면 모두에는 상측이 개구된 판넬삽입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판넬삽입부(115)의 전면에는 개방부(190)를 형성시켜 된 목재 재질의 함체(100);
    상기 판넬삽입부(115)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인입출되고, 전면 또는 후면에 식별부재(210)가 형성되는 판넬(200);
    상기 함체(100)의 상부를 커버하여 상기 판넬(200)이 개구된 상측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부덮개(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의 재질은 낙엽송, 잣나무, 소나무, 닥나무, 오동나무, 향나무, 편백나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내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내주면에는 수분흡수재(14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 일부분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유골분수용홀(152)과, 상기 유골분수용홀(152)에 나선 결합되는 개폐구(1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 일부분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골분투입홀(160)과, 그 유골분투입홀(160)의 상측에 마련되어 유골분투입홀을 개폐하는 개폐판(150)과, 상기 개폐판(150)을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210)가 상기 판넬(200)의 후면에 형성된 경우, 상기 판넬(200)은 상기 식별부재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분보관부(130)의 상면 일부분에는 함몰부(125)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상부덮개(300)의 하면에는 상기 함몰부(125)에 끼움 결합되도록 그 함몰부(125)와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부(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KR1020160008297A 2016-01-22 2016-01-22 납골함 KR10184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97A KR101844504B1 (ko) 2016-01-22 2016-01-22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97A KR101844504B1 (ko) 2016-01-22 2016-01-22 납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213A true KR20170088213A (ko) 2017-08-01
KR101844504B1 KR101844504B1 (ko) 2018-04-02

Family

ID=5965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297A KR101844504B1 (ko) 2016-01-22 2016-01-22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1360A (zh) * 2019-06-10 2019-09-20 张胜伟 仿棺形骨灰存放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474B1 (ko) * 2023-10-04 2024-02-16 주식회사 생태경영연구원 야생조류 또는 소동물 먹이 활동을 모방한 행동풍부화 모이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544B2 (ja) * 1996-09-12 2001-08-06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光拡散性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光拡散成形体
KR101170431B1 (ko) * 2011-10-12 2012-08-07 차호현 납골 단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1360A (zh) * 2019-06-10 2019-09-20 张胜伟 仿棺形骨灰存放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504B1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504B1 (ko) 납골함
KR101215544B1 (ko) 봉안함
KR200408552Y1 (ko) 기능성 침대 머리판
KR200389651Y1 (ko) 납골함
KR20120101960A (ko) 가족 납골함
KR20160109068A (ko) 유골보존용 작은 유골 관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200399690Y1 (ko) 통기공을 형성한 옥 납골함
KR20100117466A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20170124902A (ko)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KR200281069Y1 (ko)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KR200380182Y1 (ko) 단지형 유골함
JP3236267U (ja) 仏壇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200398685Y1 (ko) 항습재의 교환이 용이한 납골함
KR200442396Y1 (ko) 멸균기능을 갖춘 납골함
KR100946254B1 (ko) 항균, 항습 봉안함
KR101170429B1 (ko) 납골 단지
KR200397432Y1 (ko) 납골함
TWM628967U (zh) 防潮骨灰罐
CN209064793U (zh) 一种防掏型垃圾箱
KR101389107B1 (ko) 유골함
KR101462585B1 (ko) 유골함 안치단
KR100800265B1 (ko) 납골함
KR200211374Y1 (ko) 제오라이트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