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266A - 프론트 로어암 장치 - Google Patents

프론트 로어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266A
KR20170087266A KR1020160007012A KR20160007012A KR20170087266A KR 20170087266 A KR20170087266 A KR 20170087266A KR 1020160007012 A KR1020160007012 A KR 1020160007012A KR 20160007012 A KR20160007012 A KR 20160007012A KR 20170087266 A KR20170087266 A KR 2017008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bracket
flange portion
point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6000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7266A/ko
Priority to PCT/KR2016/000608 priority patent/WO2017126718A1/ko
Publication of KR2017008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프론트 로어암 장치는: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G점 결합부가 형성되고, 너클부에 연결되도록 B점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어암 몸체; 및 로어암 몸체에서 G점 결합부와 B점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고,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A점 결합부가 형성되는 A점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론트 로어암 장치{FRONT LOWER ARM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도장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조향 성능을 유지하면서 노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현가 장치가 설치된다. 현가 장치는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프론트 로어암과 프론트 어퍼암을 포함한다. 프론트 로어암의 일측에는 볼 조인트가 결합되고, 프론트 로어암의 타측에는 G점 부시가 결합되고, 프론트 로어암의 중심부 근처에는 A점 부시가 설치된다. 프론트 로어암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프론트 로어암에 A점 부시 파이프가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므로, A점 부시 파이프의 난성형성으로 인하여 프레스 성형 공정이 복잡해진다.
또한, 프론트 로어암과 부시 파이프의 연결 부분에는 오목한 형태의 함몰부가 형성되므로, 프론트 로어암을 도장할 때에 도장액이 함몰부에 고임에 따라 도장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90498호(2002. 12. 05 공개, 발명의 명칭: 로어아암의 저더 저감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의하면,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도장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는: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G점 결합부가 형성되고, 너클부에 연결되도록 B점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어암 몸체; 및 상기 로어암 몸체에서 상기 G점 결합부와 상기 B점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A점 결합부가 형성되는 A점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점 브라켓은 상기 로어암 몸체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로어암 몸체는 양단부에 상기 G점 결합부와 상기 B점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어암 플레이트부;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의 폭방향 일측에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 및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의 폭방향 타측에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로어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점 브라켓은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의 일면에 용접되는 브라켓 플레이트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부의 상기 B점 결합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용접되는 제1 브라켓 플랜지부; 및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부의 상기 G점 결합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용접되는 제2 브라켓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 플랜지부는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1 브라켓 플랜지부의 단부는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 플랜지부의 단부는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서 상기 제1 브라켓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브라켓 플랜지부 사이 구간에는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보다 높이가 낮은 소음 감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점 브라켓 내부의 도장액이 상기 A점 브라켓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로어암 몸체와 상기 A점 브라켓의 접촉된 부분 중 일부 구간이 이격되는 도장액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장액 배출부는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브라켓 플랜지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가 연결되는 제1 라운드부가 이격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장액 배출부는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브라켓 플랜지부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로어암 플랜지부가 연결되는 제2 라운드부가 이격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어암 몸체와 A점 브라켓이 별도로 제작된 후 서로 용접되므로, 로어암 몸체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점 브라켓의 제1 브라켓 플랜지부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용접되고, 제2 브라켓 플랜지부가 제2 로어암 플랜지부에 용접되므로,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서 제1 만곡부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G점 결합부와 B점 결합부에 응력이나 충격이 작용함에 따라 로어암 몸체에 밴딩 모멘트가 가해지더라도 제2 로어암 플랜지부의 제2 만곡부에서 좌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 감소부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므로, 로어암 몸체 내부의 소음 주파수가 소음 감소부를 통해 A점 브라켓 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내부에서 소음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음 감소부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의 일부를 구성하므로, 제1 만곡부의 강성을 보다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장액 배출부가 A점 브라켓의 내부에서 도장액을 배출시키므로, 로어암 몸체와 A점 브라켓의 결합 부분에서 도장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서 로어암 몸체와 A점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서 A점 브라켓이 로어암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서 로어암 몸체와 A점 브라켓의 용접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서 로어암 몸체와 A점 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도장액 배출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프론트 로어암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서 로어암 몸체와 A점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는 로어암 몸체(110) 및 A점 브라켓(120)을 포함한다.
로어암 몸체(110)에는 서브 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되도록 G점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너클부(미도시)에 연결되도록 B점 결합부(113)가 형성된다. G점 결합부(111)는 플랜지 형태로 버링 가공(burring)된다.
로어암 몸체(110)는 양단부에 G점 결합부(111)와 B점 결합부(113)가 형성되는 로어암 플레이트부(114)와, 로어암 플레이트부(114)의 폭방향 일측에 로어암 플레이트부(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와, 로어암 플레이트부(114)의 폭방향 타측에 로어암 플레이트부(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를 포함한다. 로어암 플레이트(114)의 폭방향 양측에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와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가 형성되므로, 로어암 몸체(110)의 강성과 내구성이 보강될 수 있다.
로어암 몸체(11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라운드지게 휘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의 중심부에는 제1 만곡부(115a)가 형성되고,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의 중심부에는 제2 만곡부(117a)가 형성된다. 로어암 몸체(110)가 라운드지게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G점 결합부(111)와 B점 결합부(113)에 응력이나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 로어암 몸체(110) 전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로어암 몸체(110)에 밴딩 모멘트(banding moment)가 가해지더라도 로어암 몸체(110)에서 좌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어암 몸체(110)에서 로어암 플레이트부(114)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가 연결되는 부분을 제1 라운드부(115b)라고 하고, 로어암 몸체(110)에서 로어암 플레이트부(114)와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가 연결되는 부분을 제2 라운드부(117b)라고 정의한다.
A점 브라켓(120)은 로어암 몸체(110)에서 G점 결합부(111)와 B점 결합부(113) 사이에 결합되도록 로어암 몸체(110)와 별도로 제작된다. A점 브라켓(120)에는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A점 결합부(126)가 형성된다. A점 브라켓(120)이 로어암 몸체(110)와 별도로 제작되므로, 프론트 로어암 장치가 프레스 성형될 때에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점 브라켓(120)은 로어암 몸체(1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A점 브라켓(120)이 로어암 몸체(11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되므로,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점 결합부(126)는 중심부에 A점 부시가 압입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된다. A점 결합부가 링 형태로 형성되므로, A점 부시에 전달되는 진동이 완충될 수 있다.
A점 브라켓(120)은 로어암 플레이트부(114)의 일면에 용접되는 브라켓 플레이트부(121)와, 브라켓 플레이트부(121)의 B점 결합부(113) 측에 형성되고,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되는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와, 브라켓 플레이트부(121)의 G점 결합부(111) 측에 형성되고,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되는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를 포함한다.
브라켓 플레이트부(121)가 로어암 플레이트(114)의 일면과 접촉되고,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와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되므로, 로어암 몸체부(110)에서 중심부 근처와 제1 만곡부(115a)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로어암 몸체(110)의 중심부 근처와 제1 만곡부(115a)의 강성이 A점 브라켓(120)에 의해 보강되므로, G점 결합부(111)과 B점 결합부(113)에 응력이나 충격이 작용함에 따라 로어암 몸체(110)에 밴딩 모멘트(banding moment)가 가해지더라도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의 제2 만곡부(117a)에서 좌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로어암 장치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 플레이트부(121)가 로어암 플레이트(114)의 일면과 면접촉되고,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와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로어암 몸체부(110)에서 중심부 근처와 제1 만곡부(115a)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플레이트부(121)가 로어암 플레이트(114)의 일면과 선접촉되고,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와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플레이트부(121)의 단부의 지지력이 로어암 플레이트(114)의 중심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므로, 제1 만곡부(115a)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접촉되고,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의 단부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된다.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접촉되므로,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 만곡부(115a)의 강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G점 결합부(111)과 B점 결합부(113)에 응력이나 충격이 작용함에 따라 로어암 몸체(110)에 밴딩 모멘트(도 4의 화살표 방향)가 가해지더라도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의 제2 만곡부(117a)에서 좌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면접촉되고,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의 단부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된다.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면접촉되므로,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제1 만곡부(115a)의 강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선접촉되고,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의 단부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된다.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선접촉되므로,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의 단부의 지지력이 제1 만곡부(115a)에 집중적으로 작용됨에 따라 제1 만곡부(115a)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의 단부는 G점 결합부(111)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의 단부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의 용접부(W)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의 용접부(W)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용접부(W)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용접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의 단부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된다. 이때,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의 단부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맞대어진 후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의 단부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가 용접된다.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의 단부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되므로,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가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와 함께 제1 만곡부(115a)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만곡부(115a)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와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되므로,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와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의 용접 부위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의 평면에 위치되어 용접 토치(미도시)가 용접 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A점 브라켓(120)이 로어암 몸체(110)에 용이하게 용접되고, 용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로어암 몸체(110)에 A점 브라켓(120)이 용접에 의해 연결되므로, 로어암 몸체(110)와 A점 브라켓(120)의 접촉 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로어암 몸체(110)과 A점 브라켓(120)에 작용하는 하중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로어암 몸체(11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서 A점 브라켓이 로어암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서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와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 사이 구간에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보다 높이가 낮은 소음 감소부(116)가 형성된다. 소음 감소부(116)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므로, 소음 주파수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와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에 가로막혀 로어암 몸체(110)의 내부에서 맴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로어암 몸체(110) 내부의 소음 주파수가 소음 감소부(116)를 통해 A점 브라켓(120) 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내부에서 소음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음 감소부(116)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의 높이보다는 낮지만 로어암 몸체(110)의 로어암 플레이트부(114)보다는 높게 형성되므로, 제1 만곡부(115a)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의 제1 만곡부(115a)에서 강성이 보강되므로, 제1 만곡부(115a)에 대향되는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의 제2 만곡부(117a)에서 좌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서 로어암 몸체와 A점 브라켓의 용접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어암 장치에서 로어암 몸체와 A점 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도장액 배출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A점 브라켓(120) 내부의 도장액이 A점 브라켓(1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로어암 몸체(110)와 A점 브라켓(120)의 접촉된 부분 중 일부 구간이 이격되는 도장액 배출부(130)가 형성된다. 도장액 배출부(130)가 A점 브라켓(120)의 내부에서 도장액을 배출하므로, 로어암 몸체(110)와 A점 브라켓(120) 사이에서 도장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A점 브라켓(10)과 로어암 몸체(110)의 접촉 부분에서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장액 배출부(130)는 브라켓 플레이트부(121)와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123b)와, 로어암 플레이트부(114)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가 연결되는 제1 라운드부(115b)가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다. 이때, 제1 연결부(123b)의 곡률 반경이 제1 라운드부(115b)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1 연결부(123b)와 제1 라운드부(115b)가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도장액 배출부(130)가 제1 라운드부(115b)와 제1 연결부(123b) 사이에 형성되므로, 로어암 몸체(110)나 A점 브라켓(120)에 도장액 배출부(130)를 위한 별도의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형상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23b)에 제1 연결부(123b)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하거나, 제1 라운드부(115b)에 제1 라운드부(115b)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1 연결부(123b)와 제1 라운드부(115b)가 서로 이격되게 할 수도 있다.
도장액 배출부(130)는 브라켓 플레이트부(121)와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125b)와, 로어암 플레이트부(114)와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가 연결되는 제2 라운드부(117b)가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다. 이때, 제2 연결부(125b)의 곡률 반경이 제2 라운드부(117b)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2 연결부(125b)와 제2 라운드부(117b)가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도장액 배출부(130)가 제2 라운드부(117b)와 제2 연결부(125b) 사이에 형성되므로, 로어암 몸체(110)나 A점 브라켓(120)에 도장액 배출부(130)를 위한 별도의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형상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125b)에 제2 연결부(125b)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하거나, 제2 라운드부(117b)에 제2 라운드부(117b)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2 연결부(125b)와 제2 라운드부(117b)가 이격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로어암 몸체(110)의 외측면과 A점 브라켓(120)의 단부가 용접된다. 이때, 용접부(W)는 A점 브라켓(120)의 단부 중에서 도장액 배출부(130,131)가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된다. 즉, 용접부(W)는 제1 라운드부(115b), 제1 연결부(123b) 및 제2 연결부(125)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되므로, 용접부(W)가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부(W)에 의해 도장액 배출부(130,13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접부(W)가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인 제1 라운드부(115b), 제1 연결부(123b) 및 제2 연결부(125)를 회피하여 형성되므로, 용접부(W)의 내구수명 및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어암 몸체(110)와 A점 브라켓(120)이 별도로 제작된 후 서로 결합되므로, 로어암 몸체(110)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소재의 고강도화를 추구할 수 있다.
또한, A점 브라켓(120)의 제1 브라켓 플랜지부(123)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 용접되고, A점 브라켓(120)의 제2 브라켓 플랜지부(125)가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에 용접되므로,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에서 제1 만곡부(115a)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G점 결합부(111)과 B점 결합부(113)에 응력이나 충격이 작용함에 따라 로어암 몸체(110)에 밴딩 모멘트가 가해지더라도 제2 로어암 플랜지부(117)의 제2 만곡부(117a)에서 좌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음 감소부(116)가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므로, 로어암 몸체(110) 내부의 소음 주파수가 소음 감소부(116)를 통해 A점 브라켓(120) 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로어암 장치의 내부에서 소음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음 감소부(116)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115)의 일부를 구성하므로, 제1 만곡부(115a)의 강성을 보다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도장액 배출부(130)가 로어암 몸체(110)와 A점 브라켓(120) 사이에서 도장액을 배출하므로, 로어암 몸체(110)와 A점 브라켓(120) 사이에서 도장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로어암 몸체 111: G점 결합부
113: B점 결합부 114: 로어암 플레이트부
115: 제1 로어암 플랜지부 115a: 제1 만곡부
115b: 제1 라운드부 116: 소음 감소부
117: 제2 로어암 플랜지부 117a: 제2 만곡부
117b: 제2 라운드부 120: A점 브라켓
121: 브라켓 플레이트부 123: 제1 브라켓 플랜지부 123b: 제1 연결부 125: 제2 브라켓 플랜지부 125b: 제2 연결부 126: A점 결합부
130,131: 도장액 배출부

Claims (10)

  1.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G점 결합부가 형성되고, 너클부에 연결되도록 B점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어암 몸체; 및
    상기 로어암 몸체에서 상기 G점 결합부와 상기 B점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A점 결합부가 형성되는 A점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점 브라켓은 상기 로어암 몸체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 몸체는,
    양단부에 상기 G점 결합부와 상기 B점 결합부가 형성되는 로어암 플레이트부;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의 폭방향 일측에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로어암 플랜지부; 및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의 폭방향 타측에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로어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A점 브라켓은,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의 일면에 용접되는 브라켓 플레이트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부의 상기 B점 결합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용접되는 제1 브라켓 플랜지부; 및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부의 상기 G점 결합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용접되는 제2 브라켓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 플랜지부는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1 브라켓 플랜지부의 단부는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 플랜지부의 단부는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에서 상기 제1 브라켓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브라켓 플랜지부 사이 구간에는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보다 높이가 낮은 소음 감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A점 브라켓 내부의 도장액이 상기 A점 브라켓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로어암 몸체와 상기 A점 브라켓의 접촉된 부분 중 일부 구간이 이격되는 도장액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액 배출부는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브라켓 플랜지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로어암 플랜지부가 연결되는 제1 라운드부가 이격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액 배출부는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브라켓 플랜지부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로어암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로어암 플랜지부가 연결되는 제2 라운드부가 이격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어암 장치.
KR1020160007012A 2016-01-20 2016-01-20 프론트 로어암 장치 KR20170087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12A KR20170087266A (ko) 2016-01-20 2016-01-20 프론트 로어암 장치
PCT/KR2016/000608 WO2017126718A1 (ko) 2016-01-20 2016-01-20 프론트 로어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012A KR20170087266A (ko) 2016-01-20 2016-01-20 프론트 로어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266A true KR20170087266A (ko) 2017-07-28

Family

ID=5936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012A KR20170087266A (ko) 2016-01-20 2016-01-20 프론트 로어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87266A (ko)
WO (1) WO20171267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2708A (zh) * 2017-12-26 2018-06-15 清华大学苏州汽车研究院(吴江) 一种用于骡车阶段的下摆臂
US11772443B1 (en) * 2022-05-02 2023-10-03 Jason Weller Upper shock mount br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25221A1 (en) * 2020-09-29 2024-01-25 Yorozu Corporation Suspension structure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55Y1 (ko) * 1997-12-19 2001-10-25 이계안 승용차 프론트 로어암 구조
KR100405543B1 (ko) * 2001-05-28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어아암의 저더 저감장치
KR101509977B1 (ko) * 2013-11-20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표준형 크로스맴버
KR20150066110A (ko) * 2013-12-06 2015-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일링암의 구조
KR101553811B1 (ko) * 2014-05-30 2015-09-18 주식회사화신 프론트 로워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2708A (zh) * 2017-12-26 2018-06-15 清华大学苏州汽车研究院(吴江) 一种用于骡车阶段的下摆臂
US11772443B1 (en) * 2022-05-02 2023-10-03 Jason Weller Upper shock mount br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6718A1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8450A1 (en) Suspension Member
KR10133896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US8308193B2 (en) Vehicle frame assembly and method
US10479409B2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KR20170087266A (ko) 프론트 로어암 장치
CN105292264A (zh) 车身结构
KR101754118B1 (ko) 프론트 로어암 장치
KR101704746B1 (ko) 카울크로스멤버
JP2020164092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20170081515A (ko) 차량의 조인트부 강성 증대 구조
KR20120045894A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CN210502142U (zh) 用于车辆的悬架装置
CN109941343B (zh) 汽车用横梁结构
JP6131787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7186812B2 (ja) サスペンション
KR102494216B1 (ko) 차량용 후륜 크로스 멤버
KR102175954B1 (ko) 차량용 프레임 구조
JP4488398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7415108B2 (ja) 車両用ロアアーム
KR102223261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JP7269469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および、自動車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7040259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120133191A (ko)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60009154A1 (en) Suspension member
JP2008296794A (ja) カウルサイ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