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498A -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498A
KR20170082498A KR1020177006940A KR20177006940A KR20170082498A KR 20170082498 A KR20170082498 A KR 20170082498A KR 1020177006940 A KR1020177006940 A KR 1020177006940A KR 20177006940 A KR20177006940 A KR 20177006940A KR 20170082498 A KR20170082498 A KR 20170082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user
display devic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나가사카
Original Assignee
신지 나가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 나가사카 filed Critical 신지 나가사카
Publication of KR2017008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각종 표시 장치(300)에서 제공되는 화상의 열람 실적을 관리한다.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 장치(300)와 관리 서버(100)를 네트워크 INT로 접속한다. 관리 서버(100)에는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200)의 식별 정보 등을 등록해 둔다. 표시 장치(300)는 동영상 재생 중, 근방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을 확립하고, 식별 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취득함으로써, 열람 기록을 생성한다. 열람 기록은 적절한 타이밍에 관리 서버(100)로 송신된다. 휴대 단말(200)이 표시 장치(300)의 근방에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200)의 유저가 표시 장치(300)에 표시되는 화상을 시청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열람 기록을 생성함으로써 거리에 다수 설치된 표시 장치(300)에서 제공되는 화상의 열람 실적을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시스템{INFORMATIO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미리 설치된 출력 장치를 개재하여 광고와 기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C, 스마트 폰, 태블릿,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광고와 기타 정보를 검색하고 열람하기 위해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들 정보는 유저가 휴대 단말에서 검색했을 때뿐만 아니라 웹페이지의 일부에 표시되는 광고 등의 형식으로 제공되며, 또한 네트워크상에 설치된 각종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에 대해 메일이나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재하여 자동적으로 전송되는 등, 유저의 의사와 무관하게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유저의 의사와 무관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양태에서는 유저가 제공된 정보를 열람하는 실적을 향상시키는 것이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은 은행 등에서 접수표에 기재된 2차원 바코드를 휴대 단말로 판독하여 서버에 액세스함으로써, 그 점포에서의 서비스를 받을 때까지의 대기 시간에 상당하는 동영상을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송한 동영상이 열람될 가능성이 향상된다.
또한, 특허문헌 2는 휴대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통신 능력을 추정하고, 통신 능력에 맞춘 포맷으로 동영상을 전송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신 능력의 지장 없이 원활하게 동영상을 열람하는 것이 가능해져, 동영상 등을 유저가 열람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종래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에 각종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여러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336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86850호
요즈음, 거리에는 곳곳에 화상의 표시 장치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표시 장치 및 스피커로부터 광고나 기타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이 거리에 설치된 표시 장치, 스피커 등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에 있어서, 유저가 정보를 열람 또는 청취할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안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이들 정보가 어느 정도의 유저에게 도달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도 제안되지 않았다. 이러한 과제는 거리에 설치된 표시 장치나 스피커에 한정하지 않고,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 이외의 출력 장치로부터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 공통적인 과제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미리 설치된 출력 장치로부터의 정보 제공의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와, 당해 휴대 단말 또는 출력 장치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출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중 상기 관리 서버와 접속된 제1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가 출력되고 있는 기간 내에, 상기 출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중 타방의 제2 장치가 당해 제1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보에 접촉 가능한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당해 검출된 제2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검출 결과 및 식별 정보의 취득을 상기 제2 장치의 유저가 상기 정보에 접촉한 접촉 기록으로서 보존하는 접촉 기록 보존부를 갖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접촉 기록을 저장하는 접촉 기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접촉 기록을 취득하고, 상기 접촉 기록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시키는 접촉 기록 관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스마트 폰, 태블릿, 휴대 전화, 노트북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각종 정보 기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광고, 뉴스, 일기 예보, 관광 정보, 점술, 이벤트 정보 등 각종 내용의 것을 이용 가능하다. 정보의 양태도 동영상, 정지 화면, 음성 등 여러 양태를 취할 수 있으며, 출력 장치로는 동영상, 정지 화면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등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음성 출력의 경우에는 음성의 재생 장치와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정보는 관리 서버 또는 출력 장치에 기억시켜 둬도 되고, 출력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상의 모종의 서버에 기억시켜 둬도 된다.
네트워크는 인터넷과 같은 광역의 것이어도 되고, 인트라넷과 같이 한정된 영역 내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를 개재한 통신은 무선, 유선을 불문한다.
네트워크에는 휴대 단말 및 출력 장치 중 어느 일방만이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쌍방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제2 장치가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면 그것을 제1 장치가 검출한다. 소정의 위치 관계란, 제2 장치가 제1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들어가는 것, 제1 장치로부터 소정의 방향에 있는 것, 제1 장치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의 부채꼴 모양의 영역 등 여러 양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소정의 위치 관계는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에 접촉 가능한 위치 관계로서 정해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동영상 또는 정지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정보가 출력되고 있을 때는 이들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거리 또는 범위가 된다. 또한, 음성에 의해 정보가 출력되고 있을 때는 그 음성을 유저가 알아들을 수 있는 범위가 된다.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이와 같이 정의된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다고 하는 것은 휴대 단말을 가진 유저는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에 접촉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 제1 장치가 제2 장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유저가 정보에 접촉한 시간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즉, 출력 장치가 제1 장치로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을 때, 출력 장치가 제2 장치로서의 휴대 단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면, 출력 장치는 자신이 출력한 정보에 대해서, 어느 휴대 단말, 나아가서는 어느 유저가 접촉했는지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이 제1 장치로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을 때는, 휴대 단말이 제2 장치로서의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면, 휴대 단말은 유저가 어느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접촉하고 있는지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들 기록은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어, 특정의 유저가 어느 정도 정보에 접촉하고 있는가의 분석, 특정의 출력 장치로부터의 정보가 어느 정도의 유저에게 전달되고 있는가의 분석, 이들 분석을 근거로 하여 다양한 유저가 정보에 접촉하게 하는 동기 부여를 도모하는 등, 각종 양태로 활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의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 및 휴대 단말은 서로 정보를 통신 가능한 통신 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는 상기 통신 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통신 수단으로는 WiFi(등록상표) 등의 무선 LAN,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만일, 출력 장치와 휴대 단말 간의 통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상기 양태에 의하면, 출력 장치와 휴대 단말의 직접적인 통신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출력 장치, 휴대 단말 중 어느 것이 제1 장치가 되는 경우여도, 이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것으로써, 상대방의 장치가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무엇보다, 위치 관계의 판단은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1 장치가 제2 장치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그에 기초하여 위치 관계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적외선 통신과 같이 지향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면, 통신이 확립됨으로써 위치 관계의 판단에 제1 장치와 제2 장치의 방향도 저절로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가 출력되고 있는 기간 내에, 간헐적으로 상기 검출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교적 가벼운 부하로 정보에 접촉하고 있던 기간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유저가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에 어느 정도 접촉하고 있었는지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접촉을 개시한 시점과 종료한 시점을 특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 시점을 엄밀하게 특정하기 위해서는 출력 장치와 휴대 단말의 위치 관계를 상시 검출해 둘 필요가 발생하여, 그 부하를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이에 반해, 상기 양태에서는 간헐적으로 검출을 행하기 때문에, 가벼운 부하로 개시, 종료 시점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양태에 있어서, 검출을 행하는 간격은 검출 정밀도와의 관계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간격을 크게 하면, 검출의 부하가 경감되지만 정보에 대한 접촉의 개시, 종료한 시점의 특정 정밀도가 저하된다. 반대로, 간격을 작게 하면 특정 정밀도가 향상되지만 부하가 증대한다. 검출의 간격은 이들 양면을 고려하여 설정하면 된다.
상기 양태는 출력 장치와 휴대 단말 간에 통신 수단이 구비됨과 함께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이 확립되어 있음으로써, 양자가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는 방법을 취하는 경우에 유용성이 높다. 통신이 확립되었을 때를 정보에 대한 접촉 개시의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의 성공 여부를 간헐적으로 확인해 두고, 통신이 중단된 시점을 정보에 대한 접촉의 종료 시점이라고 판단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접촉의 개시, 종료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을 검출한 것,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검출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정보의 출력을 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출력 장치와 휴대 단말이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었을 때, 정보의 출력을 개시하는 양태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출력 장치에 의한 불필요한 정보 제공을 억제할 수 있다.
정보의 출력 중에 새로운 휴대 단말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로는 여러 양태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새로운 휴대 단말의 검출은 무시해도 된다. 새로운 휴대 단말이 계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는 한, 출력 중의 정보 제공이 종료된 시점에서, 즉시 다음의 정보 제공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서는 출력 장치로부터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유저 자신, 또는 그 유저의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 한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유저 이외의 사람이 아무리 출력 장치의 근처에 있었다 해도, 상술한 검출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정보는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양태는 사람들에 대해 출력 장치로부터의 정보 제시를 받고 싶다는 욕구를 높여,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동기를 부여하는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양태는 동영상을 출력할 때 특히 유용하다. 유저에게 있어서 동영상에 의한 정보는 도중부터가 아닌 처음부터 시청하고 싶다는 욕구가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이러한 욕구에 응하여 출력 장치와 휴대 단말이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고, 유저가 정보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될 때 동영상의 출력을 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당해 동영상을 처음부터 시청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취득된 정보 데이터를 기억해 두는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 데이터 중 미출력의 정보 데이터가 없어지는 것, 및 열람 기한 내의 정보 데이터가 없어지는 것 중 적어도 일방을 만족할 때, 상기 정보 데이터의 취득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정보 기억부에 취득된 정보 데이터 중에 미출력의 정보 데이터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새로운 정보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아도, 미재생의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면 유저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미출력의 정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게 되었을 때는 유저가 싫증을 내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새로운 정보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보 데이터에 따라서는 일기 예보, 점술, 이벤트 정보 등 그 내용이 의미를 갖는 기간이 한정되어 있는 것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열람 기한이 한정되어 있는 정보 데이터에 대해서, 열람 기한이 경과된 경우에는 그 정보 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운 정보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들 조건을 고려하여 정보 데이터를 취득하기 때문에, 유저의 싫증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정보 제공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술한 두 가지 조건은 쌍방을 고려해도 되고, 어느 일방만을 고려해도 상관없다. 또한, 이 양태는 정보 기억부에 기억 가능한 정보 데이터가 1개인 경우 혹은 복수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유저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유저가 시청을 완료한 상태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비교적 짧은 주기로 정보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정보 데이터의 취득이 과도하게 행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과도한 취득을 억제하면서, 유저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보 데이터를 취득하는 타이밍은 이 양태에 관계 없이 여러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보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취득하도록 해도 되고, 동영상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 데이터 중 소정 개수가 열람 완료된 상태가 된 타이밍에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 기록 관리부는
상기 접촉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에 대해 부여되는 특전을 결정하는 특전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유저에 대해 특전을 부여하는 것이 동기가 되어, 유저가 정보에 접촉하게 될 가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특전으로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의 이용 요금 할인이나 면제, 각종 온라인 숍이나 실제 점포 등에서 이용 가능한 쿠폰이나 포인트의 제공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 특전은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정보에 대한 접촉이 소정 개수 또는 소정 시간을 초과했을 때 획일적인 내용으로 부여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접촉한 정보의 수나 시간에 따라 특전의 내용을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동영상, 정지 화면, 음성 등 정보의 종류에 따라 평가값을 변경하여 특전의 내용을 결정해도 된다.
특전 관리부를 구비하는 구성의 경우,
상기 제1 장치 및 관리 서버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검출 결과 중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검출의 결락에 대해서는 당해 결락을 보상하고, 상기 유저가 상기 정보에 접촉하고 있던 기간을 특정하여 상기 특전을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 장치와 제2 장치가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을 때 유저가 정보에 접촉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접촉 기록을 취득하지만, 통신 불량이나 노이즈 등의 영향에 의해 제2 장치의 위치 관계를 일시적으로 검출할 수 없는 시기, 즉 검출의 결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결락에 대해서는 유저가 정보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취급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불량 등이 발생해 있을 가능성을 생각하면 반드시 적절한 처리라고는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양태에서는 소정 기간 내의 결락에 대해서는 그것을 보상, 즉 결락이 없었던 것으로 하여 접촉 기록을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불량이나 노이즈 등의 영향을 억제하며 접촉 기록을 취득할 수 있다.
결락을 보상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소정 기간」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 장치의 검출에 발생한 결락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락이 발생하는 기간의 평균값, 최대값 등으로 설정해도 된다. 「소정 기간」은 고정값일 필요는 없으며, 결락이 발생할 때마다 그 결과를 학습하여 변화시키도록 해도 되고, 시간대나 장소 등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여러 특징을 반드시 전부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적절히 그 일부를 생략하거나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의 양태에 상관없이 여러 양태로 구성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되는 출력 장치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예를 들면,
정보 제공 시스템에 구비된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로서,
상기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기간 내에,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이 당해 출력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당해 검출된 휴대 단말로부터 당해 휴대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검출 결과 및 식별 정보의 취득을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가 상기 정보에 접촉한 접촉 기록으로서 보존하는 접촉 기록 보존부와,
상기 접촉 기록을 상기 관리 서버에 보고하는 접촉 기록 보고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을 검출하여 접촉 기록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출력 장치에 있어서도, 앞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설명한 각종 특징을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유저가 상기 정보에 접촉한 기록을 관리하는 접촉 기록 관리 방법으로서 구성해도 된다. 나아가, 이들 휴대 단말, 출력 장치 및 관리 서버에 상술한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하고, 또는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구성해도 된다.
도 1은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각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화상 표시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열람 기록 보존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동영상 관리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열람 실적 집계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열람 이력 기록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실시예 1
A. 시스템 구성:
도 1은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정보 제공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화상을 표시 장치(300)(도면에는 구체적인 설치예에 따라 [1]∼[4]를 부여하여 나타내었다)에서 표시함과 함께, 유저가 표시된 정보를 열람한 이력을 휴대 단말(200)을 이용해 기록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표시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정지 화면, 동영상, 음성 등의 복수 종류의 소스를 적절히 선택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공되는 정보에는 광고, 뉴스, 일기 예보, 관광 정보, 점술, 이벤트 정보 등 각종 내용을 생각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와 표시 장치(300)는 인터넷 INT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30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장치에 상당한다.
표시 장치(300)로서 이용 가능한 장치를 도면 중에 예시하였다. 표시 장치(300[1])는 점포에 설치된 상품 소개용의 디지털 사이니지이고, 각종 광고 등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300[2])는 항공기 등의 좌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이며, 기내 안전에 관한 정보, 목적지의 관광 정보, 기후, 및 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등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300[3])는 자동 판매기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이고, 각종 광고 등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300[4])는 건널목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이며, 열차의 운행 상황, 광고 등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300)는 여기에 예시된 이외에도 여러 장치를 이용 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공공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장고나 기타 가전 제품 등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해도 된다.
휴대 단말(200)은 스마트 폰, 태블릿, 휴대 전화, 노트북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각종 정보 기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200)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장치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200)과 표시 장치(300) 간에는 근거리 통신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WiFi(등록상표), Bluetooth(등록상표),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이 인터넷 INT에 접속 가능한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수단을 생략해도 된다.
관리 서버(100)는 표시 장치(3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유저가 열람한 실적도 관리하고, 실적에 따라 이용 요금의 할인, 면제 등의 특전을 부여할 수 있다. 유저가 열람한 실적은 휴대 단말(200)을 개재하여 행한다. 열람한 실적의 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정보의 흐름 속에서 설명한다.
도면 중에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교환되는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었다.
휴대 단말(200)이 표시 장치(300[1])의 근방에 접근하면, 양자 간에서 근거리 통신이 확립된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300[1])가 통신을 확립시키기 위한 비컨(beacon)을 발신하고, 이를 검출한 휴대 단말(200)이 비컨에 응답함으로써 통신을 확립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통신이 확립되면, 휴대 단말(200)은 자기의 식별 정보를 표시 장치[1]에 송신한다(화살표 a1). 표시 장치(300[1])는 식별 정보의 취득에 의해, 근거리 통신을 확립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 관계에 휴대 단말(200)이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식별 정보로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200)에 고유의 단말 ID나, 실시예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휴대 단말(200)을 이용하는 유저에게 부여된 유저 ID 등, 각 유저에게 대응되는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300[1])에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화상 전송, 즉 표시용의 동영상 데이터가 전송된다(화살표 a2). 이 동영상 데이터는 표시시에 전송되는 것으로 해도 되고, 미리 전송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100)로부터는 URL 등 동영상 데이터의 소재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고, 표시 장치(300[1])가 인터넷 INT를 개재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 장치(300[1])는 전송된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 소정의 타이밍에 간헐적으로 휴대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열람 기록으로서 보존한다. 표시 장치(300[1])가 검출하는 휴대 단말(200)은 반드시 1대라고는 할 수 없다. 표시 장치(300[1])는 각각의 휴대 단말(200)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복수대의 휴대 단말(200)에 대응한 열람 기록을 생성한다.
이 열람 기록은 적절한 타이밍에 관리 서버(100)로 송신된다. 관리 서버(100)는 열람 기록을 관리하여, 휴대 단말(200)의 이용 요금 할인 등의 특전에 활용된다.
표시 장치(300[2]∼300[4])에 있어서도 동일한 정보의 교환이 행해진다. 즉, 각 표시 장치(300[2]∼300[4])는 각각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근방에 있는 휴대 단말(2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열람 기록을 생성하고, 관리 서버(100)에 보고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휴대 단말(200)이 표시 장치(300)의 근방에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200)의 유저가 표시 장치(300)에 표시되는 화상을 시청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해 열람 기록을 생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저가 휴대 단말(200)을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열람 기록이 생성되어 특전에 반영되게 된다. 화상을 열람한 실적이 높아지면 휴대 단말의 이용 요금 할인 등의 특전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300)의 부근에 머무르는 것은 유저에게 있어서도 이익이 된다. 표시 장치(300)의 부근에 있으면 자연스럽게 표시되는 화상을 열람할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정보 제공 시스템은 표시 장치(300)에 표시되는 화상을 많은 유저가 열람하게 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업 등으로부터 보면, 열람 기록이 생성됨으로써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어느 정도의 유저가 열람하고 있는지, 어떠한 시간대에 열람하고 있는지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많이 열람될 수 있도록 표시되는 화상의 내용을 개선하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정보 제공 시스템의 운영자는 본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기업 등으로부터 이용 요금을 취득하면, 휴대 단말의 이용 요금을 할인하는 등의 특전을 유저에게 부여했다고 해도 이익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200)과 표시 장치(300) 간에 근거리 통신이 성립됨으로써 휴대 단말(200)이 근방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휴대 단말(200)의 위치 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평가해도 된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300)의 어느 방향에 휴대 단말(200)이 있는지를 판단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표시 장치(300)의 배면측(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측)에 휴대 단말(200)이 있는 경우에는 정보를 열람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근거리 통신의 수단으로서 적외선 통신과 같이 지향성이 있는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휴대 단말(200)이 표시 장치(300)로부터 소정의 방향에 있을 때 통신이 확립되기 때문에, 위치 관계의 판단에 저절로 양자의 방향을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각 장치에 구비되어야 할 기능 블록을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서버(100), 휴대 단말(200), 표시 장치(300) 모두 CPU, RAM, ROM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이기 때문에, 각 기능 블록은 주로 컴퓨터에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모두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 서버(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관리 서버(100)에는 유저 데이터베이스(104), 표시 장치 데이터베이스(105),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07),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의 4개의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유저 데이터베이스(104)는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유저에 관하여 이름이나 이용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단말 ID 등 기본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표시 장치 데이터베이스(105)는 표시 장치(300)에 부여된 식별 정보 등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07)는 표시 장치(300)에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그 링크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쌍방을 혼재하여 저장 가능하게 하였다.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는 각 표시 장치(300)가 각각 기록한 열람 기록을 취득해 정리하고 저장한다.
동영상 관리부(108)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07)의 관리를 행한다.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나 링크 정보 등의 업로드를 받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07)에 저장한다. 또한, 표시 장치(3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의 전송 등을 행한다. 동영상은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07)에 저장된 오래된 것부터 단순하게 전송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각 표시 장치(300)로부터 지정된 속성 등에 합치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등록 관리부(101)는 유저 데이터베이스(104), 표시 장치 데이터베이스(105)에 대한 정보 등록을 관리한다.
열람 기록 관리부(102)는 각 표시 장치(300)로부터 열람 기록을 취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를 갱신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특전 관리부(103)는 열람 이력에 기초하여 유저에 대한 특전을 결정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특전의 내용으로는 각종 온라인 숍 등에서 이용할 수 있는 우대 쿠폰의 제공이나, 휴대 단말(200) 사용 요금의 감액 등을 들 수 있다.
동영상, 정지 화면, 음성 등 복수 종류의 소스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하는 경우에는 소스의 종별에 따라 소정의 평가 방법으로 공통 포인트로 환산하고, 그 포인트에 따라 특전을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소스의 종별마다 열람 이력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종별마다 특전을 나누어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 장치(3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동영상 관리부(301)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재생용의 동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한 동영상 데이터는 동영상 기억부(302)에 기억되어 있다. 동영상 기억부(302)는 한 개만의 동영상 데이터를 기억해도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동영상 데이터를 기억 가능하게 하였다.
동영상 재생부(303)는 동영상 기억부(302)에 기억된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200)이 근방에 있다는 것을 검출하면, 동영상 재생을 행하도록 하였다.
무선 통신부(304)는 휴대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을 확립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Bluetooth(등록상표)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도 된다. 통신의 확립에 의해 휴대 단말(200)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통신부(304)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장치의 검출부로서의 기능을 나타내게 된다.
식별 정보 수신부(305)는 근거리 통신을 개재하여 휴대 단말(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열람 기록 보존부(306)는 동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 근방에 있는 휴대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시계열로 기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표시되고 있는 동영상의 종류, 시간, 그것을 열람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는 유저를 대응 지은 열람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열람 기록 보고부(307)는 적절한 타이밍에 열람 기록을 관리 서버(100)에 보고한다. 보고의 타이밍 등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기적으로 관리 서버(100)에 업로드하는 방법, 관리 서버(10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업로드하는 방법, 표시 장치(300)에 저장된 열람 기록의 용량이 소정 이상이 되었을 때 업로드하는 방법 등을 취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단말(200)에는 휴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단말 ID가 부여되어 있다.
명령 입력부(204)는 휴대 단말(200)의 화면이나 각종 물리적인 스위치 등을 통해 유저의 조작에 의한 명령을 입력한다.
무선 통신부(201)는 표시 장치(300)와의 근거리 통신을 확립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식별 정보 송신부(203)는 표시 장치(300)와의 근거리 통신을 개재하여 휴대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표시 장치(300)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을 개재하여 식별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였으나, 인터넷 INT를 개재하여 관리 서버(1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을 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우선 표시 장치(300)가 관리 서버(100)에 대해서 휴대 단말(200)이 근방에 있는지 여부의 탐색 요구를 출력한다. 관리 서버(100)는 이에 응하여 각 휴대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표시 장치(300)의 근방에 있는 휴대 단말(200)을 추출해, 거기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표시 장치(300)에 송신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도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은 가능하다.
도 3은 각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측에 유저 데이터베이스(104), 표시 장치 데이터베이스(105)의 구조를 나타내고, 하측에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유저 데이터베이스(104)에는 각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유저 ID 외에 기본 정보, 속성 정보, 특전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기본 정보는 이름, 단말 ID, 주소 등 유저의 개인 정보 등이다.
속성 정보는 유저가 등록한 지역, 기호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 정보는 유저의 기호 등에 맞춘 동영상 표시 등을 위해 사용된다.
특전 정보는 열람 이력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부여된 특전을 기억하고 있다. 특전의 내용으로는 휴대 단말(200)에 대한 과금의 감액이나 쿠폰 제공 등을 들 수 있다.
표시 장치 데이터베이스(105)는 도 1에 나타낸 각종 표시 장치(300)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저장되는 정보로는 표시 장치(300)에 고유의 표시 장치 ID, 명칭, 종별, 위치 정보, URL 등을 들 수 있다. 종별이란 매장의 디지털 사이니지(도 1의 표시 장치(300[1])), 항공기 등의 좌석(도 1의 표시 장치(300[2])) 등 어디에 설치된 표시 장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위치 정보는 표시 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항공기의 좌석(도 1의 표시 장치(300[2]) 등)과 같이 이동체에 설치된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위치 정보를 생략해도 되고, 이동체인 취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등을 저장해도 된다. URL은 관리 서버(100)가 표시 장치(300)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표시 장치(300)의 인터넷 INT상의 소재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는 각 표시 장치로부터 취득한 열람 기록을 저장하고 있다. 열람 기록은 그것을 생성한 표시 장치(300)의 표시 장치 ID에 대응 지어, 화상 ID, 동영상/정지 화면의 종별, 장르, 표시 시각 및 단말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표시 장치 ID는 표시 장치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대응 지어져 있다.
화상 ID는 표시되고 있는 화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동영상/정지 화면은 그 화상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부 동영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동영상/정지 화면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이 정보가 효과를 발휘한다.
장르는 스포츠, 맛집 등 동영상의 내용에 따라 부여되는 종별이다.
표시 시각과 단말의 정보는 동영상을 표시하고 있었던 시각과, 그 때 검출된 휴대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대응 지어 저장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정보는 동영상의 표시 중에 10초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다. 정보를 기록하는 타이밍은 10초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도면의 예에서는 「13:25:05」의 시점에서 단말 ID가 001, 003, 005인 3대의 휴대 단말(200)이 근방에 있었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동일하게 도시하는 각 시각에 각 단말 ID의 휴대 단말(200)이 근방에 있었던 것이 된다. 이 기록을 보면, 단말 ID(001)이라는 휴대 단말은 13:25:05에서 식별 정보가 취득되지 않게 되는 13:25:25의 20초간 표시 장치(300)의 근방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하게 단말 ID(003)의 휴대 단말(200)은 13:25:05∼13:25:35 이후와 같이, 근방에 있던 시간이 특정된다.
여기서, 단말 ID(005)에 대해서는 시각 13:25:05∼13:25:35 중 시각 13:25:15에 있어서 데이터의 결락이 발생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데이터가 결락되어 있는 시각에는 단말 ID(005)는 근방에 없었던 것으로 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의 결락이 비교적 단시간인 경우에는 결락을 보상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의 결락이 30초 이내인 경우, 그 결락은 통신 문제나 노이즈의 영향 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데이터가 결락되어 있는 동안도 그 단말은 표시 장치의 근방에 있었던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다. 그 결과, 단말 ID(005)는 시각 13:25:05∼13:25:35 이후에 계속적으로 표시 장치의 근방에 있었던 것으로서 체재 시간이 구해지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이즈 등의 영향에 의해 체재 시간 등의 산출이 유저에게 있어 불리한 취급이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의 시스템 구성에 의해, 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 1에서 설명한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이하,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내용을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B. 화상 표시 처리:
도 4는 화상 표시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표시 장치(300)가 실행하는 처리이다.
이 처리를 개시했을 때, 표시 장치(300)는 이미 화상을 표시 중인 경우에는(단계 S10), 이어서 그 표시를 계속한다.
화상을 표시 중이 아닌 경우에는(단계 S10), 휴대 단말(200)의 검출 처리를 행한다(단계 S11). 표시 장치(300)로부터 비컨을 출력하고, 이에 대해 휴대 단말(200)의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처리가 된다. 이 처리는 화상의 표시 중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표시 장치(300)가 가동하고 있는 동안 다른 처리와 병행하여 간헐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을 검출할 수 없을 때는(단계 S12), 단계 S10, S11의 처리, 즉 휴대 단말(200)의 검출을 반복적으로 행한다.
휴대 단말(200)이 검출되면, 표시 장치(300)는 재생하는 동영상을 선택한다(단계 S13). 동영상은 단순하게 동영상 기억부(302)에 저장된 시기가 오래된 것부터 선택하거나, 또는 랜덤으로 선택해도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3개의 우선 조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하였다.
첫 번째 조건은 미재생인 동영상이다. 표시 장치는 다수의 유저가 열람하는 것이지만, 미재생인 동영상이면 유저가 아직 열람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유저가 열람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두 번째 조건은 「재생 기한이 빠른 것」이다. 동영상 중에는 일기 예보나 점술, 일시가 한정된 이벤트나 캠페인 광고 등 일정한 재생 기한을 지나면 정보의 의의가 거의 없어지는 것이 있다. 재생 기한이 빠른 동영상을 우선적으로 재생하면 이러한 동영상이 미재생인 채 파기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세 번째 조건은 유저의 기호이다. 예를 들면, 스포츠를 좋아하는 유저에 대해서는 스포츠에 관련된 동영상을 우선적으로 재생함으로써, 유저의 관심을 끄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저의 기호는 검출된 휴대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송신하고, 관리 서버(100)로부터 유저 데이터베이스(104)에 기록된 기호 등의 회답을 받음으로써 특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조건 1∼3에 기초하여 동영상을 선택함으로써, 검출된 휴대 단말(200)의 유저에게 싫증 나지 않는, 가치 있고 관심이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건 1∼3은 반드시 모두를 고려할 필요는 없으며 일부를 생략해도 상관없다. 또한, 기타 조건을 추가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동영상마다 재생 시간이 상이한 경우에는,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재생 시간의 길이를 고려할 수도 있다.
동영상이 선택되면, 표시 장치(300)는 선택된 화상의 표시를 개시한다(단계 S14). 이상의 처리를 반복적으로 실행함으로써 표시 장치(300)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처리예에서, 화상의 표시 중에는 다른 휴대 단말(200)의 검출 처리는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단계 S11), 이를 병행하여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상의 표시 중에 새롭게 표시 장치의 근방에 접근한 유저를 검출하고, 표시 중인 화상의 재생이 종료된 후에는 두 번째로 접근한 유저의 기호에 맞춘 화상을 표시하는 등의 양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 열람 기록 보존 처리:
도 5는 열람 기록 보존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표시 장치(300)가 화상의 표시 중에 근방에 있는 휴대 단말(200)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기록하여, 열람 기록을 생성하기 위한 처리이다.
표시 장치(300)는 처리를 개시했을 때 화상을 표시 중이 아니면(단계 S20), 아무것도 행하지 않고 처음부터 처리를 반복한다.
화상을 표시 중인 경우에는(단계 S20), 기록 작성 타이밍을 기다린다(단계 S21).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람 기록은 10초 등의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생성하고 있다. 이 기록 작성 타이밍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 장치(300)는 아무것도 행하지 않고 이 처리를 다시 처음부터 반복한다.
기록 작성 타이밍에 합치할 때는(단계 S21), 휴대 단말 검출 처리를 행한다(단계 S22). 이 시점에서 비컨을 출력하여 휴대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되고, 열람 기록 보존 처리와는 별도로 짧은 간격으로 휴대 단말(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반복적으로 실행해 두어, 단계 S22에서는 바로 근처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 장치(300)는 이 검출 결과에 따라 열람 기록을 갱신한다(단계 S23).
열람 기록은 여러 포맷으로 작성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도 3의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에 나타낸 형식으로 할 수 있다. 단계 S23에서는 시각(예를 들면, 13:25:05)과 그 시점에서 검출된 단말(예를 들면, 001, 003, 005)을 대응 지어 기록하게 된다.
D. 동영상 관리 처리:
도 6은 동영상 관리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표시 장치(300)가 관리 서버(10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처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갱신하는 모드와 수시 갱신하는 모드의 두 가지를 표시 장치(300)의 관리자가 선택 가능하게 하였다.
표시 장치(300)는 동영상 관리 처리를 개시하면, 수시 갱신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 수시 갱신 모드가 아닌 경우, 즉 정기적으로 갱신하는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갱신 기한이 경과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41), 갱신 기한을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동영상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수시 갱신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단계 S40), 또는 정기 갱신 모드에 있어서 갱신 기한이 다가와 있는 경우(단계 S41)에는 이하의 순서로 동영상 갱신을 행한다.
우선, 재생 기한이 경과된 동영상을 삭제한다(단계 S42). 우측에 동영상을 갱신할 때의 처리 모습을 나타내었다. 표시 장치(300)에 mv1∼mv7의 7개의 동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동영상 관리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일자가 2014년 8월 12일이라고 하면, 동영상 mv1, mv5의 재생 기한은 각각 2014년 8월 10일(mv1), 2014년 8월 05일(mv5)이기 때문에 모두 재생 기한이 지난 것이 된다. 따라서, 단계 S42에서는 동영상 mv1, mv5의 동영상이 삭제된다.
다음으로, 표시 장치(300)는 재생이 끝난 동영상을 삭제한다(단계 S43). 우측의 예에서 재생이 끝난 동영상은 동영상 mv1, mv3, mv6이다. 이미 동영상 mv1은 단계 S42에서 삭제되었기 때문에, 나머지 동영상 mv3, mv6이 단계 S43의 처리에서 삭제된다.
표시 장치(300)는 다음으로, 동영상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4). 예를 들면, 단계 S42, S43의 처리에 의해 전혀 동영상이 삭제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동영상을 취득할 필요성은 낮다고 판단하여 동영상 갱신을 행하지 않고 동영상 관리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42, S43의 처리에 의해 동영상이 삭제되었을 경우에는 삭제하여 부족한 개수 분의 동영상을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단계 S45). 우측에 나타낸 예에서는 4개의 동영상이 삭제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 서버(100)로부터 새롭게 4개의 동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표시 장치(200)에 7개의 동영상을 저장해 두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저장 가능한 동영상의 개수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저장 가능한 최대 개수의 동영상을 유지해 둘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4개의 동영상을 삭제하였으나, 관리 서버(100)에 관리자가 설정한 장르 또는 기호에 맞는 동영상이 업로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운로드를 1∼3개만 해도 무방하다. 반대로, 표시 장치(300)에서 관리자가 설정한 장르 또는 기호에 맞는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의 수를 확인하고, 이 수를 상한으로 하여 단계 S42, S43의 처리에 의한 동영상 삭제를 제한해도 된다.
E. 열람 실적 집계 처리:
도 7은 열람 실적 집계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관리 서버(100)에 있어서,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의 열람 기록을 집계하여 유저에게 부여하는 특전을 결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이 처리를 개시하면, 관리 서버(100)는 처리 대상자를 결정하고 그 유저 ID를 취득한다(단계 S60). 유저 ID는 관리 서버(100)가 유저의 관리에 이용하고 있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100)는 유저 데이터베이스(104)를 참조하여 유저가 이용하고 있는 휴대 단말(200)의 식별 정보인 단말 ID를 특정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0)는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열람 실적을 취득한다(단계 S62). 열람 기록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마다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된 단말 ID에 대응하는 기록을 그 중에서 추출하는 것이다.
도면 중에 열람 실적에 따른 결과를 예시하였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단말 ID(001)의 경우, 열람의 개시 시각이 13:25:05, 종료 시각이 13:25:25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의 열람 기록의 화상 ID, 동영상 정지 화면, 장르의 정보에 기초하여 어떠한 화상을 열람했는지도 특정할 수 있다.
열람 실적이 집계되면, 다음으로 관리 서버(100)는 열람 실적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산출한다(단계 S63). 이 포인트는 화상의 열람 실적을 통일적으로 취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평가값이며, 동영상의 열람 시간을 그대로 포인트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표시 장치(300)에 표시하는 화상에 동영상과 정지 화면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다음에 나타내는 각종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다.
[산출 방법 1]
포인트=동영상의 포인트×동영상 열람 횟수+정지 화면의 포인트×정지 화면 열람 횟수;
여기서 동영상 및 정지 화면의 포인트는 임의의 값을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지 화면보다 동영상 쪽이 유저의 기억에 남기 쉽다는 것을 고려하여, 동영상의 포인트를 정지 화면의 포인트보다 높게 설정해도 된다.
[산출 방법 2]
포인트=SUM(동영상의 포인트×동영상의 열람 시간×동영상의 계수)
   +SUM(정지 화면의 포인트×정지 화면의 열람 시간);
여기서 동영상의 포인트 및 정지 화면의 포인트는 임의의 값을 설정 가능하다.
동영상의 계수는 동영상의 열람 시간과 정지 화면의 열람 시간의 중량감을 조정하기 위한 계수이며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정지 화면은 비교적 단시간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반해, 동영상은 정해진 시간을 열람하지 않으면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동영상을 열람하고 있는 단위시간 당 중량감은 광고의 표시 시간보다 가볍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동영상의 계수는 1보다 작은 실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M은 동영상 및 정지 화면의 열람 이력 전체의 합계를 구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포인트의 산출은 이 밖에도 여러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동영상 또는 정지 화면을 복수 회 열람하고 있는 경우에는 열람 횟수에 따라 포인트를 증대 또는 저감시키도록 해도 된다. 동영상과 정지 화면을 개별적으로 평가하여, 각각에 대해 포인트를 산출하도록 해도 된다.
관리 서버(100)는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포인트에 기초하여 특전을 유저에게 환원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64). 본 실시예에서는 포인트가 200 이하의 범위에서는 포인트에 따라 우대 쿠폰 A, 우대 쿠폰 B를 유저에게 제공하고, 201포인트 이상인 경우에는 휴대 단말(200) 사용 요금을 감액하도록 하였다. 사용 요금의 감액에 대해서는 일정액 또는 일정 비율로 해도 되고, 포인트에 따라 할인액 또는 할인율을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특전을 받을지 여부를 유저가 선택 가능하게 해도 된다. 특전은 동영상, 정지 화면, 음성 등의 소스마다 특전의 내용을 변경해도 된다.
F.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거리에 존재하는 많은 표시 장치(300)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에 유저가 접촉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300)의 관리자는 열람 기록에 기초하여, 보다 유저가 열람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제공하는 정보의 내용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열람 이력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특전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동영상이나 광고를 열람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보다 정보 제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로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에서는 표시 장치(300)가 관리 서버(100)와 인터넷 INT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었던 것에 반해, 실시예 2에서는 휴대 단말(200A)이 관리 서버(100A)와 접속되어 있는 예이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는 휴대 단말(200A)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장치에 해당하고, 표시 장치(300A)가 제2 장치에 해당한다.
도면 중에 실시예 2의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교환되는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었다.
휴대 단말(200A)이 표시 장치(300A)의 근방에 접근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자 간에서 근거리 통신이 확립된다. 그리고, 표시 장치(300)는 근거리 통신을 개재하여 자기의 식별 정보를 휴대 단말(200A)에 송신한다(화살표 b1). 휴대 단말(200A)은 식별 정보의 취득에 의해 표시 장치(300A)를 검출할 수 있다. 식별 정보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300A)에 고유의 표시 장치 ID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300A)는 미리 준비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 동영상 데이터는 DVD 등의 미디어에 기록되어 있어도 되고, 표시 장치(300A)가 인터넷 INT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관리 서버(100A) 등으로부터 전송해도 된다.
표시 장치(300A)는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 소정의 타이밍에 간헐적으로 휴대 단말(200)에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휴대 단말(200)은 이를 열람 이력으로서 기록한다. 표시 장치(300A)의 근방에 복수의 휴대 단말(200A)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휴대 단말(200A)에서 열람 이력이 기록된다. 또한, 휴대 단말(200A)이 복수의 표시 장치(300A)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 표시 장치에 대응한 열람 이력이 기록된다.
이 열람 이력은 적절한 타이밍에 휴대 단말(200A)로부터 관리 서버(100A)에 송신된다(화살표 b2). 관리 서버(100A)는 열람 이력을 관리하고, 휴대 단말(200A)의 이용 요금 할인 등의 특전에 활용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화상의 열람 결과를 기록하는 주체 및 그 방법이 상이하다. 실시예 1에서는 표시 장치(300)가 휴대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열람 기록으로서 보관하였다. 이는 바꾸어 말하면, 표시 장치(300)가 어느 유저에게 열람되고 있었는지를 기록하고 있었던 것이 된다. 이에 반해, 실시예 2에서는 휴대 단말(200A)이 표시 장치(300A)의 식별 정보를 열람 이력으로서 보관한다. 이는 바꾸어 말하면, 휴대 단말(200A)의 유저가 어느 표시 장치(300A)로부터의 정보를 열람했는지를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유저가 열람한 이력을 직접 기록하게 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200A)에서 기록하는 정보를 「열람 이력」이라고 칭하고 있다.
도 9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에서 설명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각 장치에 구비되어야 할 기능 블록을 나타내었다. 어느 기능 블록도 주로 컴퓨터에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 서버(100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관리 서버(100A)에는 유저 데이터베이스(104A), 표시 장치 데이터베이스(105A),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07A),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A)의 4개의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유저 데이터베이스(104A), 표시 장치 데이터베이스(105A) 및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07A)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A)는 각 휴대 단말(200A)에 의해 생성된 열람 이력을 저장하는 것이다.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A)의 구조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에 있어서, 단말 ID를 대신하여 표시 장치 ID를 기록하는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다만, 화상 ID나 동영상/정지 화면 등의 정보도 표시 장치 ID마다 상이한 것이 되기 때문에, 열람 기록은 하나의 표시 장치 ID에 대해 하나의 레코드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등록 관리부(101A), 열람 기록 관리부(102A), 특전 관리부(103A) 및 동영상 관리부(108A)의 기능은 대체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다만, 실시예 2에서는 휴대 단말(200A)이 열람 이력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 서버(100)가 열람 이력을 취득할 때의 액세스처는 각 휴대 단말(200A)이 되며, 또한 특전을 결정할 때의 처리도 열람 이력의 포맷에 맞춘 처리가 필요해진다.
실시예 2에 있어서, 표시 장치(300A)가 인터넷 INT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동영상 데이터를 관리 서버(100A)로부터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07A), 동영상 관리부(108A)는 생략해도 된다.
표시 장치(300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 장치(300A)에는 표시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로서 표시 장치 ID가 부여되어 있다.
동영상 재생부(303A)는 동영상 기억부(302A)에 기억된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200A)이 근방에 있다는 것을 검출하면 동영상 재생을 행하도록 하였다.
무선 통신부(301A)는 휴대 단말(200A)과 근거리 통신을 확립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식별 정보 송신부(305A)는 근거리 통신을 개재하여 휴대 단말(200A)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휴대 단말(200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명령 입력부(204A)는 휴대 단말(200A)의 화면이나 각종 물리적인 스위치 등을 통해 유저의 조작에 의한 명령을 입력한다.
무선 통신부(201A)는 표시 장치(300A)와의 근거리 통신을 확립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통신의 확립에 의해 표시 장치(300A)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 2에서는 무선 통신부(201A)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장치의 검출부로서의 기능을 나타내게 된다.
식별 정보 수신부(203A)는 표시 장치(300A)와의 근거리 통신을 개재하여 표시 장치(300A)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열람 이력 기록부(205A)는 표시 장치(300A)가 동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 표시 장치(300A)로부터의 식별 정보를 시계열로 기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표시되고 있는 동영상의 종류, 시간, 그것을 표시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대응 지은 열람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열람 이력 보고부(206A)는 적절한 타이밍에 열람 이력을 관리 서버(100)에 보고한다. 보고의 타이밍 등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기적으로 관리 서버(100)에 업로드하는 방법, 관리 서버(10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업로드하는 방법, 휴대 단말(200A)에 저장된 열람 이력의 용량이 소정 이상이 되었을 때 업로드하는 방법 등을 취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열람 이력 기록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휴대 단말(200)이 실행하는 처리이다.
휴대 단말(200A)은 열람 이력의 기록 타이밍이 아닌 경우는(단계 S70), 열람 이력의 기록 타이밍이 올 때까지 기다린다.
또한, 휴대 단말(200A)은 기록 타이밍이 된 경우에도(단계 S70), 표시 장치(300A)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는(단계 S71) 열람 이력을 기록하지 않고 처음부터 처리를 반복한다.
표시 장치(300A)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71), 표시 장치로부터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여(단계 S72) 열람 이력을 갱신한다(단계 S73).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로는 표시 장치 ID, 표시 장치에서 재생하고 있는 화상의 식별 정보인 화상 ID, 동영상/정지 화면의 종별, 화상의 장르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상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휴대 단말(200A)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106)(도 3 참조)에 있어서 단말 ID를 표시 장치 ID로 치환한 포맷에서의 열람 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A)가 유저에게 특전을 환원하기 위한 열람 실적 집계 처리(도 7 참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2에 의해서도, 표시 장치(300A)에서 재생된 동영상의 열람 이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표시 내용의 개선, 표시를 열람하기 위한 유저에 대한 동기 부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1,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각종 특징을 반드시 전부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적절히 그 일부를 생략하거나 조합하여 여러 변형예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미리 설치된 출력 장치를 개재하여 제공되는 광고와 기타 정보의 열람 실적을 관리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
100, 100A : 관리 서버
101, 101A : 등록 관리부
102, 102A : 열람 기록 관리부
103, 103A : 특전 관리부
104, 104A : 유저 데이터베이스
105, 105A : 표시 장치 데이터베이스
106, 106A : 열람 기록 데이터베이스
107, 107A :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108, 108A : 동영상 관리부
200, 200A : 휴대 단말
201, 201A : 무선 통신부
203, 203A : 식별 정보 송신부
204, 204A : 명령 입력부
205A : 열람 이력 기록부
206A : 열람 이력 보고부
300, 300A : 표시 장치
301, 301A : 동영상 관리부
302, 302A : 동영상 기억부
303, 303A : 동영상 재생부
304 : 무선 통신부
305, 305A : 식별 정보 수신부
306 : 열람 기록 보존부
307 : 열람 기록 보고부

Claims (9)

  1.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와, 당해 휴대 단말 또는 출력 장치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출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중 상기 관리 서버와 접속된 제1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가 출력되고 있는 기간 내에, 상기 출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중 타방의 제2 장치가 당해 제1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보에 접촉 가능한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당해 검출된 제2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검출 결과 및 식별 정보의 취득을 상기 제2 장치의 유저가 상기 정보에 접촉한 접촉 기록으로서 보존하는 접촉 기록 보존부를 갖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접촉 기록을 저장하는 접촉 기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접촉 기록을 취득하고, 상기 접촉 기록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시키는 접촉 기록 관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 및 휴대 단말은 서로 정보를 통신 가능한 통신 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는 상기 통신 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가 출력되고 있는 기간 내에, 간헐적으로 상기 검출을 행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을 검출한 것,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검출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정보의 출력을 개시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취득된 정보 데이터를 기억해 두는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 데이터 중 미출력의 정보 데이터가 없어지는 것, 및 열람 기한 내의 정보 데이터가 없어지는 것 중 적어도 일방을 만족할 때, 상기 정보 데이터의 취득을 행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기록 관리부는
    상기 접촉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에 대해 부여되는 특전을 결정하는 특전 관리부를 구비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 및 관리 서버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검출 결과 중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검출의 결락에 대해서는 당해 결락을 보상하고, 상기 유저가 상기 정보에 접촉하고 있던 기간을 특정하여 상기 특전을 결정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8. 정보 제공 시스템에 구비된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로서,
    상기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 기간 내에,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이 당해 출력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당해 검출된 휴대 단말로부터 당해 휴대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와,
    상기 검출 결과 및 식별 정보의 취득을 상기 휴대 단말의 유저가 상기 정보에 접촉한 접촉 기록으로서 보존하는 접촉 기록 보존부와,
    상기 접촉 기록을 상기 관리 서버에 보고하는 접촉 기록 보고부를 구비하는 출력 장치.
  9.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와, 당해 휴대 단말 또는 출력 장치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상기 정보에 접촉한 기록을 관리하는 접촉 기록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출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중 상기 관리 서버와 접속된 제1 장치가 실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가 출력되고 있는 기간 내에, 상기 출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중 타방의 제2 장치가 당해 제1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보에 접촉 가능한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당해 검출된 제2 장치로부터 당해 제2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검출 결과 및 식별 정보의 취득을 상기 제2 장치의 유저가 상기 정보에 접촉한 접촉 기록으로서 보존하는 접촉 기록 보존 단계를 갖고,
    상기 관리 서버가 실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접촉 기록을 취득하고, 접촉 기록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시키는 접촉 기록 관리 단계를 구비하는 접촉 기록 관리 방법.
KR1020177006940A 2014-09-19 2015-08-28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082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0714 2014-09-19
JP2014190714A JP6246689B2 (ja) 2014-09-19 2014-09-19 情報提供システム
PCT/JP2015/074399 WO2016043022A1 (ja) 2014-09-19 2015-08-28 情報提供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498A true KR20170082498A (ko) 2017-07-14

Family

ID=5553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940A KR20170082498A (ko) 2014-09-19 2015-08-28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86040A1 (ko)
JP (1) JP6246689B2 (ko)
KR (1) KR20170082498A (ko)
CN (1) CN106663263A (ko)
TW (1) TWI569218B (ko)
WO (1) WO2016043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5369A (zh) * 2016-04-01 2017-10-24 尼尔森网联媒介数据服务有限公司 同源数据监测装置和方法
JP6611096B2 (ja) * 2016-08-22 2019-11-27 日本メディカ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診療支援情報提供システム、診療支援情報提供方法、サーバ装置、及び、診療支援情報提供プログラム
WO2018158958A1 (ja) * 2017-03-03 2018-09-07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KR102089804B1 (ko) * 2017-06-14 2020-03-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환경에서 개인 성향분석을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17460D0 (en) * 2000-07-18 2000-08-30 Hewlett Packard Co Message passing to a known location
JP4136334B2 (ja) * 2000-07-27 2008-08-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情報収集システム
JP4248376B2 (ja) * 2003-05-15 2009-04-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閲覧コンテンツ変更装置、閲覧コンテンツ変更プログラム、および閲覧コンテンツ変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80021777A1 (en) * 2006-04-24 2008-01-24 Illumobile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visual content
CN101599156B (zh) * 2008-06-05 2016-06-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广告展现方法、装置和系统
JP5410229B2 (ja) * 2009-10-01 2014-02-05 ソフトバンクBb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385845B2 (ja) * 2010-04-26 2014-01-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注目度算出装置、コンテンツ注目度算出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注目度算出プログラム
TWI474270B (zh) * 2011-09-28 2015-02-21 Interactive kanban system, interactive methods and kanban
JP2013161360A (ja) * 2012-02-07 2013-08-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デジタルサイネージ配信システム
US8983396B2 (en) * 2012-03-19 2015-03-17 Gaurav Nukala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ameter adjustment during measurement gaps
JP2014048700A (ja) * 2012-08-29 2014-03-17 Sharp Corp 広告システム、広告管理装置、広告管理方法、および広告管理プログラム
JP6098232B2 (ja) * 2013-03-01 2017-03-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店舗支援システム、携帯端末、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62377A (ja) 2016-04-25
CN106663263A (zh) 2017-05-10
JP6246689B2 (ja) 2017-12-13
TW201626309A (zh) 2016-07-16
TWI569218B (zh) 2017-02-01
US20170186040A1 (en) 2017-06-29
WO2016043022A1 (ja)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831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location-based information retrieval
US9203882B2 (en) Exchanging digital content
KR101418393B1 (ko) 모바일 사용자 상황 기반 지능형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140278860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content shar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533083B1 (ko) 위치기반 컨텐츠 추천방법, 위치기반 컨텐츠 추천장치 및 전자장치
KR20060103837A (ko) 콘텐츠 추천 시스템, 통신 단말 및 콘텐츠 추천 방법
JP2012098598A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管理装置、広告提供管理方法および広告提供管理プログラム
TW201533588A (zh) 提供掃碼結果資訊的方法及裝置
JP5474842B2 (ja) 広告提供サーバ、広告提供システムおよび広告提供方法
US96481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bile device activity
US11144971B2 (en) Facilitation of real-time interactive feedback
KR20170082498A (ko) 정보 제공 시스템
JP2013115545A (ja) エリア別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エリア別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装置、中継サー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02968A (ja) 広告管理装置及び情報通信端末用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エア
JP2017058765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1303323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Video Sharing
JP552785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6289134B2 (ja) データ処理装置、表示装置、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423468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20140132329A (ko) 가상채널을 통해 제안을 구성 및 제시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6174936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46924B2 (ja) 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CA2907168C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bile device activity
KR20130069479A (ko)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15429B1 (ko) 유세차량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0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28

Effective date: 20191128